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강호성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배포 후기
IAMPopup
처음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를 만들어서 배포한다는 것이 마냥 딴세상 얘기같았는데
막상 시도를 해보니 그렇게. 심하게. 엄두도 못내고. 시도도 못해볼 정도로. 어렵지는 않았다.
해당 발표자료를 포함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제작 과정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였습니다.
https://yagom.net/courses/open-source-library/
목차
▫오픈소스 제작의 의미
▫의존성 관리 도구
▫라이선스 저작권
▫CocoaPods
▫SPM
▫홍보
오픈소스 제작의 의미
전세계 누구에게나 코드 리뷰를 받을 수 있는 기회
코드를 공개한다는 부분에서 더 신경쓰고 고민해서 코드를 짤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
경력이 쌓기 힘든 주니어 개발자에게 색다른 경력
오픈소스 활동을 통해서 내가 커뮤니티에 기여를 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
오픈소스 제작의 의미
기능 구현 코드가 프로젝트 파일에 있다면,, 😱
오픈소스 제작의 의미
라이브러리 만들 이유 충분.
라이브러리를 만들어서 프로젝트에 사용한다면?
의존성 관리 도구
라이선스 저작권
의존성 관리 도구
의존성 관리 도구란?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개발하기 위해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프로젝트와 해당 라이브러리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관리해주는 도구
의존성 관리 도구
iOS 의존성 관리 도구
코코아팟(Cocoapods)
카르타고(Carthage)
스위프트 패키지 매니저(Swift Package Manager)
의존성 관리 도구
의존성 관리 도구를 사용 ❌
▫ 해당 라이브러리에 대한 업데이트가 생겨 버전이 올라가면 일일히 코드를 수정
▫ 외부 라이브러리의 코드를 직접 프로젝트에 하드코딩
▫ 99.9999% 발생하는 휴먼에러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의존성 관리 도구를 사용한다면 명령어 및 클릭으로 시간, 안전성 보장 !!
라이선스 저작권
저작권 소스코드 공개 필요 동일한 라이선스 적용 상업적 이용
GPL ⭕ ⭕ ⭕
BSD ❌ ❌ ⭕
MIT ❌ ❌ ⭕
Apache ❌ ❌ ⭕
라이선스 저작권
GPL
소스코드 공개 필요 ⭕ 동일한 라이센스 적용 ⭕ 상업적이용 ⭕
▫ 오픈소스의 철학에 기초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자유를 누린 만큼 너의 코드도 공개해!' 원칙을 가지고 있다.

▫ 동일한 GPL 라이선스를 사용해야한다.

▫ 이미 판례를 통해 법적인 효력까지 갖춘 라이선스
라이선스 저작권
BSD
소스코드 공개 필요 ❌ 동일한 라이센스 적용 ❌ 상업적이용 ⭕
▫ GPL과 다르게 코드는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고, 소스코드는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

▫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돈 받고 팔아도 된다.

▫ 책임 도피형 라이선스

▫ 누구나 자신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발생 가능한 모든 리스크와 손해는 본인이 책임
라이선스 저작권
MIT
소스코드 공개 필요 ❌ 동일한 라이센스 적용 ❌ 상업적이용 ⭕
▫ BSD를 기초해서 만든 라이선스라 규정은 거의 동일

▫ BSD 계열의 소프트웨어에서 일반 소프트웨어로 옮겨오기 위해 만든 라이선스
라이선스 저작권
Apache
소스코드 공개 필요 ❌ 동일한 라이센스 적용 ❌ 상업적이용 ⭕
▫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쪽의 대부분의 라이브러리가 이 라이선스 규정을 따르고 있다.

▫ 사용자에게 무제한적으로 사용을 허가하며, 특허 사용료를 요구할 수 없다.

▫ 소스코드를 무료로 공개해놓고 그걸 빌미 삼아 특허권 소송을 제기하는 더티한 플레이를 막기 위한 규정이 있다.

즉, 어떤 소프트웨어가 아파치 라이선스를 채택해서 배포했다면, 그 소프트웨어가 특허출원이 되어 있어도 사용자에게 특허 사용료를 요구할 수 없다.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배포
CocoaPods
프로젝트 생성
pod lib create {라이브러리명}
CocoaPods
프로젝트 설정
1. 플랫폼
2. 프로그래밍 언어
3. 화면 스크린샷 유무
4. 추가적인 프레임워크 사용 여부
5. View 기반 테스팅
CocoaPods
프로젝트 빌드
CocoaPods
podspec
라이브러리를 생성하면 같은 경로에 {라이브러리명}.podspec 파일이 함께 생성
.podspec
pod 라이브러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 해당 파일에 문제가 있을 경우 라이브러리를 CocoaPods에 배포할 때 오류가 발생 가능 (오타 조심)
CocoaPods
.podspec 파일
s.license
사용할 라이선스 저작권을 변경할 수 있다.
CocoaPods
Github 저장소 생성
Github에서 새로운 레포를 생성하고 생성한 프로젝트를 연결
⟹ Git을 통하여 버전 관리
CocoaPods
테스트
Example for {라이브러리} > ViewController
기능 구현
Development Pods > {라이브러리 폴더} > {라이브러리 파일}
접근 제어자 파헤치기
CocoaPods
CocoaPods
.podspec 검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로 배포할 기능 구현이 끝이 나면
.podspec 검증을 통해 .podspec 파일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pod spec lint
오류
1. podspec 파일에 swift 버전 명시 X
2. Command Line Tools 설정
3. 버전 tag 불일치
CocoaPods
배포
계정 인증
pod trunk register {이메일} {이름}
1. CocoaPods에 계정을 등록
2. 기입된 이메일로 인증 메일
3. 링크 클릭하면 인증 완료
CocoaPods
배포
인증이 완료되면 배포를 진행
.podspec 검증을 통해 문제가 없었다면 배포가 가능
pod trunk push {라이브러리명}.podspec
CocoaPods
배포
해당 라이브러리 repo로 이동하면 pod 뱃지가 추가되며 배포 완료 !
프로젝스 설정에서 선택한 플랫폼 (iOS) 뱃지와
.podspec 파일에서 등록한 라이선스 저작권 MIT 뱃지도 추가된다.
SPM
SPM 지원 방법
Package.swift 파일만 추가해주면 된다 !
.podspec (CocoaPods) == Package.swift (SPM)
SPM
Package 파일 생성
touch Package.swift
Package 파일 열기
open -a Xcode ./Package.swift
SPM
Package.swift
생성한 Package 파일을 열어서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
SPM
Package.swift
Package.swift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파일만 열리는 게 아닌
Xcode에서 SPM 라이브러리로 인식되어 열립니다.
SPM
배포
Package.swift 파일을 커밋 후 Github로 push
▫새로운 tag (0.1.x)를 적용하면 spm에서도 해당 라이브러리를 사용 가능
▫Read.ME.md 파일에 SPM 뱃지까지 추가하면 SPM까지 설치 완료
홍보
https://github.com/onmyway133/awesome-ios-animation
홍보
Pull Request
끝 !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
[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
[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
Ian Choi
 
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
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
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
NAVER Engineering
 
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
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
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
Lee Geonhee
 
[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
[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
[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
PandoraCube , Sejong University
 
Git로 협업하기
Git로 협업하기Git로 협업하기
Git로 협업하기
Kim Byoungsu
 
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
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
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
Ubuntu Korea Community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NAVER D2
 
Angular Library
Angular LibraryAngular Library
Angular Library
SangHun Lee
 
Opensource sw day
Opensource sw dayOpensource sw day
Opensource sw day
DaeMyung Kang
 
Soscon lt 1
Soscon lt 1Soscon lt 1
Soscon lt 1
DaeMyung Kang
 
githubaction
githubactiongithubaction
githubaction
Wonjun Hwang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Minsuk Lee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
BJ Jang
 
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
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
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
Ian Choi
 
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
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
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
jungseob shin
 
Open source oss
Open source ossOpen source oss
Open source oss
DaeMyung Kang
 
[세미나] 20160520 Gradle
[세미나] 20160520 Gradle[세미나] 20160520 Gradle
[세미나] 20160520 Gradle
Sanghoon Yoon
 
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
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
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
JeongHun Byeon
 
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
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
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
Kenu, GwangNam Heo
 

What's hot (20)

[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
[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
[201808] GitHub 사용하기 - GIt & 협업 활용
 
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
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
네이버 오픈소스 세미나 -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하기 NAVER 박은정
 
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
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
GitHub로 프로젝트 운영하기
 
[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
[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
[PandoraCube] 오픈 소스와 깃허브
 
Subversion
SubversionSubversion
Subversion
 
Git로 협업하기
Git로 협업하기Git로 협업하기
Git로 협업하기
 
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
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
강분도 - 공개SW개발과 우분투 (2010Y10M05D)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Angular Library
Angular LibraryAngular Library
Angular Library
 
Opensource sw day
Opensource sw dayOpensource sw day
Opensource sw day
 
Soscon lt 1
Soscon lt 1Soscon lt 1
Soscon lt 1
 
githubaction
githubactiongithubaction
githubaction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Open Source 그리고 git과 github, code review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Git 사용법 실습
 
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
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
국제화/번역과 함께 하는 오픈소스에 대한 경험 및 노하우
 
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
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
GitHub Pull Request 간단 사용 설명서
 
Open source oss
Open source ossOpen source oss
Open source oss
 
[세미나] 20160520 Gradle
[세미나] 20160520 Gradle[세미나] 20160520 Gradle
[세미나] 20160520 Gradle
 
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
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
오픈소스 생태계 일원으로서의 개발자
 
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
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
소셜 코딩 GitHub & branch & branch strategy
 

Similar to 위클리 발표자료

오픈소스가이드 win,c++
오픈소스가이드 win,c++오픈소스가이드 win,c++
오픈소스가이드 win,c++
jdo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slhead1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Channy Yun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slhead1
 
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
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
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
Hankyo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NAVER D2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Kevin Kim
 
The opensource
The opensourceThe opensource
The opensource
licubeclub
 
우아한오픈소스
우아한오픈소스우아한오픈소스
우아한오픈소스
Jun Ho Lee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NAVER D2
 
[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
[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
[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
Soongsil University
 
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
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
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
NAVER D2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SANGHEE SHIN
 
[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
[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
[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
KTH, 케이티하이텔
 
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
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
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
Ian Choi
 
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
Kenu, GwangNam Heo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
devCAT Studio, NEXON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mosaicnet
 
Open source engineering
Open source engineeringOpen source engineering
Open source engineering
YoungSu Son
 
Open source engineering - 0.1
Open source engineering - 0.1Open source engineering - 0.1
Open source engineering - 0.1YoungSu Son
 

Similar to 위클리 발표자료 (20)

오픈소스가이드 win,c++
오픈소스가이드 win,c++오픈소스가이드 win,c++
오픈소스가이드 win,c++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Introduction to FOSS4G & OSGeo for KRIHS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공간정보연구원] 1일차 - 오픈소스GIS 개요
 
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
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
02.[참고]오픈소스sw라이선스가이드라인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경희대 해커 기술 세미나 - Git hub으로 학교 팀프로젝트 하기(조성수)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오픈소스 연구개발의 성공을 위한 전략 Next Level 성장 가이드라인
 
The opensource
The opensourceThe opensource
The opensource
 
우아한오픈소스
우아한오픈소스우아한오픈소스
우아한오픈소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제 5회 D2 CAMPUS FEST O.T - 오픈소스 라이선스
 
[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
[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
[숭실대학교 SODA] 오픈소스란 무엇인가?
 
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
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
D2 CAMPUS FEST 2015 오리엔테이션 session1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오픈 소스와 독점소프트웨어 : 그 이해와 전략적 활용
 
[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
[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
[H3 2012] 오픈소스로 개발 실력 쌓기
 
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
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
오픈소스 개발 Upstream - ONOS/CORD 워킹 그룹 2차 세미나
 
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오픈소스의 이해
오픈소스의 이해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
이승재, 강성훈, 내가 만든 언어의 개발환경을 Visual Studio Code로 빠르고 쉽게 구축하기 #1, NDC2017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공개SW와 개발방법론(오픈소스 성공요인 사례)
 
Open source engineering
Open source engineeringOpen source engineering
Open source engineering
 
Open source engineering - 0.1
Open source engineering - 0.1Open source engineering - 0.1
Open source engineering - 0.1
 

위클리 발표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