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Culture Technology
: RFID, LBS, USIM, Context Awareness
                                       이근희
Start with LBS(Location Based Service)
LBS 관련 용어들

                                                                                                                 Telematics
                                                                                      • Telecommunication + Informatics 의 합성어
                                                                                      • 차량·항공·선박 등 운송장비에 내장된 컴퓨터와 무선
                                                                                      통신 기술, 위성항법장치, 인터넷에서 문자신호와
                                                                                      음성신호를 바꾸는 기술에 의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LBS(Location Based Service)
                                                                                      • 위치기반서비스
                                                                                      •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각종 서비스와
                                                                                      연계하는 서비스
                                                                                      • 유비쿼터스의 핵심기능 중 하나
                                                                                      • 예) 네비게이션, 실시간 교통 정보, 맛집정보,
                                                                                      위치기반 SNS 등

                                                                                                                         Etc.
                                                                                      • GIS
                                                                                      : 지리정보 시스템. 공간상의 위치를 도형 및
                                                                                      속성 자료로 통합 연결하여 처리하는 시스템
                                                                                      • ITS
                                                                                      :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수직, 가공하여 제공하는 차
                                                                                      세대 교통 체계
                                                                                      • 도시통합관제기술
                                                                                      : U-city 내에서 일어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
stevegarfield on Flickr : http://www.flickr.com/photos/stevegarfield/1270723762//     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
위치 측위 시스템 – 위성

                                                                               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인공위성을 이용해 대상물의 위치와 고도 속도를
                                                계산하는 시스템
                                                • 원래는 군사용. 민간에서도 항공기, 선박 등의
                                                항법장치에 사용하고 있음.
                                                                                 GPS
                                                • GNSS 의 하나
                                                • 1985년부터 무료로 위치 정보를 제공.
                                                • 미국에 의해 주도됨
                                                • 이슈 : 미국의 서비스 계획 변경에 따른 서비스 중단
                                                이슈가 상존

                                                       독자 GPS 시스템               움직임
                                                • 미국에 대한 의존성에서 탈피하기 위한 움직임.
                                                • Galileo
                                                : 2010년부터 정식 서비스 개시. EU와 유럽우주기구에
                                                서 주도
                                                • GLONASS
                                                : 러시아 주도. 위성의 노후로 인해 지구전역을 커버하
                                                지 못함
                                                • 베이두(Beidou)
                                                : 중국. 정지 위성을 사용하여 아시아 일부 지역만
                                                서비스 가능
                                                • QZSS
www.ebuzz.co.kr/content/buzz_vie...%3D43755
                                                : 일본. 동아시아 지역만 커버하는 시스템 개발 중.
LBS를 활용한 서비스

        개인의 위치기반 서비스
  • 개인용 GPS를 활용한 여행 및 건강관리
  • 아이들 귀가 검증 위치추적 서비스


        기업의 차세대 경쟁력
  • 네비게이션 지원 스마트폰과 PND의 성장이 기대됨.




  • 증강현실을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 등장
  • 자동차 회사 텔레매틱스
  : GM – 온스타 서비스
  : 벤츠 – 텔레에이드
  : 포드 – 윙캐스트
  : BMW – BMW 어시스트
  : 대우자동차 - 드림넷
위치검색/지역검색 시장의 성장

                   지도검색
• 검색 분야의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
• 구글
: 구글지도, 구글어스, 구글택시 및 지도와 위성
사진을 하이브리드한 서비스 제공
: AJAX 방식으로 구현
• 마이크로소프트 : 지도 서비스 제공
• 한국 : 네이버와 다음의 지도서비스 강화


Smart Phone 을 활용한 지도서비스
• SmartPhone을 활용한 모바일 쿼리 증가
• 야후 아이팟 전용 지도, 모바일 전체 쿼리의
4배
위치검색/지역검색 시장의 성장




           Sekai Camera           Foursquare




         모바일웹2.0, 그리고      위치기반                집단지성 :       참여/공유
                          메모 서비스               모바일 2.0에서는
                                               검색어 입력 없이 사용가능한 형태로 위키가
• 모바일 SNS 을 활용하여, 지도와 정보공유를 link               진화함.
: 예) 소셜라이트, 스티키노트
                                               1) Nearest Wiki 의 경우,
• 지오태깅으로 정보 공유
: 예) 블린                                        주변 건물을 찍는 방식으로 검색이 됨.
• 최근 Sekai Camera 및 Foursquare 서비스 등장          2) 개인이 만드는 지도
                                               맛집을 비록하여 지도 구축에 참여
Go to RFID which is core of SMART TAG
물류 시스템의 혁신을 가져온 SMART TAG

                            SMART TAG
  • 물류 시스템에 혁신을 가져온 모바일 기술.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활용하
  는 방향으로 진행.
  • 활용범위 – 유비쿼터스, 위치기반서비스, 차세대유통,
  물류, 무역시스템, 전자결제, 자동안내 등 생활 전반.
  • 효과 – 물류 적용 시 유통 및
  재고 기간은 적용 전보다
  단축되는 반면 매출은 50%
  증가.
  • 이슈 – 가격
  : 히타치의 ‘히비키 프로젝트’
  에 의해 50원 대 가격 형성
  예상.
  : 프린트하는 방식으로 가격이
  50센트까지 내려갈 것으로 기대



      한국의 SMART TAG 적용
  • 2005년 말 미국과 중국 다음으로 많은 RFID를
  화물운송에 사용.
  • 주로 교통카드나 보안출입카드에 많이 활용. 단, 제품
  태그 부분은 미진함.
RFID 의 장점

RFID의 장점
  •   리더기 조준의 필요가 없음.
  •   비접촉식이라 반영구적임.
  •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으며, 재활용성을 가짐.
  •   부착 위치를 옮길 수 있어 위치 유연성이 큼.
  •   데이터 판독 속도가 빠르며, 상호작용적인 지적 성능이 가능하며, 대량 송수신이 가능.
  •   자료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보안이 뛰어남.

RFID의 경제성
  1. 능률과 생산성 향상
      • 자료 수집 및 통계, 관리 속도 향상.
      • 물류 및 재고 관리에 효율적이고, 많은 과정이 자동화로 처리됨
  2. 수익성 향상
      • 운영비와 생산비, 인건비 감소. 재고 관리 비용감소 및 제품 회전율 향상
      • 다른 자동화 인식에 비해 저렴
  3. 고객에 대한 만족감 증대
      • 고객 대응 속도 및 태도 개선. 이에 따른 고객 만족도 증가

RFID    태그의 종류
  전원 공급에 따라     능동형   내장 배터리를 사용해 최장 10년 사용, 다양한 크기의 메모리 가능, 30~~100m
                      의 넓은 범위
                수동형   전원공급이 없어 반영구적 수명, 간단한 구조, 저렴한 비용, 짧은 가독 거리, 높은
                      출력의 판독기 필요, 읽기만 가능
  주파수에 따라       저주파   30~500MHz의 저주파 사용, 저려한 비용, 짧은 가독 거리

                고주파   13.56MHz나 900 MHz의 고주파 사용, 1m에 가까운 장거리 인식
RFID 적용 영역




                                                              (출처 : ATLAS DB)



                 다른 기술 접목으로 다양한 제품 생산 가능
• 제품의 위치추적, 결제, 신원 확인, 도난 방지, 범죄 방지까지 활용됨.
• Cold-Chain sensor 라고 불리우는 센서를 부착한 RFID를 활용하면 제품의 온도 감시
à 화장품, 식료품, 의약품, 꽃 등 온도와 관련된 제품의 모니터링 가능.
à 로슈진단(Roche Diagnostics)는 의약품 추적을 위해 DHL 과 함꼐 콜드체인센서를 활용함.
플랫폼 통합 정도에 따른 진화 서비스

플랫폼 통합 정도와 정보처리 유형에 서비스 발전방향
  플랫폼 통합 정도




              연대                    개인별 학습이력을
                                                           유비쿼터스
              플랫폼   통합 금융결제           관리하는
                                                            사무실
                                     평생학습지원
                    상호연대형 모델
                                         융합형 모델
                    (Cooperation
         정도




                                        (Convergence
                      Model)
                                         Model)
              공통                                          원격 투약지시
                    공공도서관            공급체인망 통합
                                                           고도의 ITS
              플랫폼



                                       부가가치 정보형 모델 (Intelligent Model)

              단일                                         오염 정도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식품추적
                                                           자동세탁
              플랫폼


                     정적인 정보           이력 정보            실시간으로 변하는 정보
                                   정보처리 유형             (출처 : 일본 총무성 자료 수정)
인물 식별과 개체 관리까지

                       미아방지
• 해운대의 미아 방지용 전자 팔찌
서비스




범죄예방
              • 캘리포니아 주립 교도소는
              1999년부터 RFID 를 이용한
              재소자 추적 시스템 사용
              à 재소자들의 폭력이 현저히
              감소




     인물 식별 및 U-캠퍼스
• 병원에서는 팔찌형 스마트
태그를 통해 환자를 구별
• 개인명함 정보를 수록한 팔찌를
낀 개인이 악수를 하는 것만으로
명함 정보가 교환됨 : Poken
• RFID 학생카드를 도입한 캠퍼스
항공사에서 초밥집까지, 모바일이 경쟁력이다.

                     항공여행업
                                  모바일 경쟁력 향상을 위해
                                  RFID 도입의 고려가 필요함.


                                  주유소, 후불정산 and so on

                                  • RFID 방식의 결제수단
• 수하물 처리 시간 축소 및 분실 위험 감소
                                  : 비접촉식으로 요금정산. 예) 엑슨모빌의
                                  ‘Speedpass’
       건강관리 및 운동량 측정              • 한국 고속도로 요금정산
                                  시스템인 하이패스
                                  • 놀이공원과 컨벤션
                                  산업에 적용
                                  • 도서관 및 도서 대여점의
                                  경우 책의 반출, 도난 방지에
                                  RFID 활용
                                  • 화이자의 경우, 비아그라의 무단 복제방지를
                                  위해
                                  태그를 부착함.
                                  • 일본 회전초밥집의 접시의 RFID Tag
• 운동량 측정, 마라톤 대회의 자동기록 계측에 적용됨.
• 예) 워키, 폴라 플로우링크
USIM, How support modality?
지속가능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모달리티

           What is   Multi Modality?
  • 여러 가지 형태와 의미로 컴퓨터와 대화화는 환경.
  모바일에서는 다양한 모바일기기가 하나의 서버에
  연결되어 기기를 바꾸면서도 하던 일을 계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함.

   USIM,   개인정보 이동성 강화
  • 2008년, 우리나라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개방 논의 진행.
  • USIM 은 사용자 인증을 목적으로 함.
  • USIM 개방이 되면, USIM 교체
  장착으로 해당 단말 사용 가능
  • 모토로라의 경우, Instantmoto
  자판기를 통해 휴대전화 판매
  • 유럽, 중국, 베트남 등 해외에서는
  USIM을 통해 사용자 선택권 강화


                  폐쇄적인 한국은?
  • 정책 측면에서 폐쇄적인 한국은 USIM 개방을 최대한
  미루었음.
  • 2008년부터는 USIM 잠금이 일부 해제됨.
2010년, 한국의 USIM 정책은?




Do you remember   “때문에~~”?
USIM 개방에 따라, 핸드폰을 맘대로 고르는 시대 도래.
또한 USIM 기반 생활 인프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Finally, Context Awareness and Pervasive computing
Think about the “COMPUTING”
U-컴퓨팅 상황인지기술

u-컴퓨팅 관련 기술 / 미들웨어
  • 학술기관 연구 현황
  : Oxygen(MIT), Aura(CMU), Gaia(UIUC), RCSM(ASU), PICO(UTA) 연구 중.
  • IT 기업 현황
  : IBM, Microsoft, HP 의 경우,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개발에 총력을 쓰고 있음.
  • 국내 상황
  : IT839전략 및 u-Korea 구축 투자.
  : 센서 네트워크, BcN 과 같이 기반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과 VOD 서비스 개발에 집중.


u-컴퓨팅 관련 기술 / Context awareness
  • 여러 사용자가 공존하는 환경 지원을 위해 그룹 상황(충돌, 조화 등)을 감지하고 해결하는 기술,
  그리고 사용자의 문맥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술, 지능적으로 서비스를 재구성하는 기술이
  함께 요구됨.
  • 예) 아버지는 뉴스 프로그램 시청을 원하고 아이는 만화 프로그램 시청을 원하는 충돌 상황 가능.
  이에 대한 조화 서비스 구성이 이에 해당함.




         U-컴퓨팅 상황 인지를 위한
      5대 핵심 요소 기술을 살펴보고자 함.
#1 : 위치 인식 기술




사용자 위치를 반영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주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검색을 수행함.
1 / 센서를 활용한 위치 인식 : GPS, 중계국, 전파, 초음파
2 / 위치 관리 기술 : 위치정보를 관리
3 / 위치 센서 통합 기술 : 새로운 위치 센서 도입할 경우, 이를 설치하여 쓰는 기술.
#1 : 위치 인식 기술 상세 - 위치센서

                             위치센서
  •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기술

            인프라 기반             분산형
  설명     환경에 미리 설치된        센서들이 자가적으로
         인프라를 이용하여 센       서로의 위치를
         서가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하는 방법
         방법
  장점     • 높은 정확성          • 낮은 비용으로 운용.
                           • 인프라가 없는 곳에
                           동작
  단점     • 설치비용이 높음.   • 정확성이 떨어짐.
         • 인프라가 없는 곳에서
         는 동작을 하지 않음.
  예      • GPS - 미약한 신호와   • 트라앙큐레션
         정확성의 한도가 있음.      • 멀티라터레션
         • 휴대폰 중계국 방식      • 포스-디렉티드
         • 크리켓, 유비센스와      컨버전스
         같은 실내인식센서.
#1 : 위치 인식 기술 상세 – 위치관리

                             위치관리
  • 인식된 위치를 상황 인지 응용에서 사용하게 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일관된 형태로 제공하고 위치 센서를
  운영하는 것.

                      위치정보             형태
             물리적인 좌표         추상적인 이름
  설명     특정 좌표계에서          추상적인 이름으로
         지정된 물리적 좌표로       제공.
         위치 정보 제공
  단점     -                 • 객체간의 상대적
                           위치를 알기 어려움
  예      • GPS : 위도/경도/고도 • RFID : 추상이름.
         • 유비센스 : 3차원좌표


              위치관리의 센서 구성
  •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 관리가 가능함.
  • 다중 센서 관리 시에는 Adapter 를 사용하여 센서의
  통신방법, 위치 정보 형태를 균등하게 변환함.

        위치 센서 시스템           자동 배치
          기존 시스템에 추가 새로운 시스템 설치
  설명     기존 설치되었던 위치       새로운 위치 시스템을
         시스템에 센서를 추가       설치
#1 : 위치 인식 기술 상세 – 위치 인식 솔루션

              위치 인식 솔루션 비교
            인식거리 위치정확도 보안여부                네트워크
                                            속도
   UWB     30 ft      6 in        -       40~60 Mbps
   RFID   0~20m     Range        좋음            -
     IR  10~30m   Room level      -            -
   Blue 100m/20m/   Range       매우 좋음       1 Mbps
  -tooth   10m
   WiFi   2~5m    Up to 100m    매우 좋음     1~11 Mbps
   IrDA   1~3m      Range        좋음        16 Mbps
                               출처 : ETRI 실내외연속측위기술동향

   측위                      설명
            • 저전력으로 대용량 데이터 전달
            • 실내 측위에서 15 m 의 정확도를 가짐
   UWB      • RFID에 비해 신호 도달거리가 긺(50m 내외)
            • 현재 LAN 에 활용되는 기술을 대체할 잠재력을 지님.
            • 개당 생산 단가가 높음
            • 근접 센서이므로 NLOS 오차 문제가 없음.
            • 근접의 조건을 만족하면 tag 가 빨리 움직여도 감지할
            수 있음.
   RFID     • Tag 에 읽기/쓰기 기능을 부가하여 정보 보조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
            • 신호도달거리가 2~3m 정도로 짧음.
            • 측위 활용 시 대부분의 장소에 밀도 높게 리더를 설치
     IR     • 매우 정확한 위치 정확도. 3차원 측위 기능
            • 칩셋 대량 생산으로 인해 저가의 인프라 설치 비용
    Blue
            • 송수신 Latency 가 커서 동적 환경에서 위치정확도가
   -tooth
            떨어짐.
            • 벽 또는 불투명 물질을 통과할 수 없음.
   IrDA
            • IR의 제한된 인식 거리로 인한 서비스 범위 제한
#2 : 상황 정보 관리 기술




센서를 통해 상황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고 Effector를 통해 상황정보
를 변화시킴.
1 / 상황정보 조합
2 / 상황정보를 추론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
  상황정보 추론을 위해서 Ontology, First-Order Logic 활용.
#3 : 서비스 검색 기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Client 혹은 Network Entity의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의 레퍼런스를 제공하는 것
1 / 기술
: Network Topology(디렉토리 기반 토폴로지), Transport Infra(IP 기반), 검색 범위,
검색 방법(온톨로지 활용)
#4 : 서비스 재구성




사용자들의 목표를 만족시켜 주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동적 구성하는 것.
1 / 태스크 기반의 서비스 구성 프레임워크
: 사용자의 이동 및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재구성, 사용자의
목표를 만족시킴
#5 : 서비스 상호작용 기술




다양한 지능 객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1 / 애플리케이션은 컨텍스트 변화에 따라 지능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끊임없이 변경되어야 함.
위치 인식을 활용한 서비스
END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
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
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
Paul (Kang Won) LEE
 
카드3분기 국문pt
카드3분기 국문pt카드3분기 국문pt
카드3분기 국문pt
Hyundai Finance
 
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
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
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
AD Tcast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제관 이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CIZION
 
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
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
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Minjeong Lee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
훈주 윤
 

Viewers also liked (7)

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
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
정당 공천 전략과 대안
 
카드3분기 국문pt
카드3분기 국문pt카드3분기 국문pt
카드3분기 국문pt
 
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
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
티캐스트 Follow me Season 8 IMC Proposal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적용기술 및 서비스 사례와 주요과제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라이브리 서비스 제안서(Livere Service Proposal)
 
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
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
열정페이리서치&아이디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
웨어러블 디바이스 최신 동향 및 전망
 

Similar to lbs rfid-usim_context_awareness(발제;이근희)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Inniya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YOO SE KYUN
 
LBS마켓현황 20100811
LBS마켓현황 20100811LBS마켓현황 20100811
LBS마켓현황 20100811
Industrial Bank of Korea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Kwang Woo NAM
 
Solution
SolutionSolution
Solution
litbiz
 
2조 발표자료
2조 발표자료2조 발표자료
2조 발표자료
anty ty
 
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
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
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
mIra115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datasciencekorea
 
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
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
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
A-type Company
 
Global.Positioning.System
Global.Positioning.SystemGlobal.Positioning.System
Global.Positioning.Systemlustlust
 
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JAE PIL KO
 
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
김 유정
 

Similar to lbs rfid-usim_context_awareness(발제;이근희) (15)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20100701 스마트폰과 위치기반서비스를 활용한 서비스산업 혁신전략
 
경정기
경정기경정기
경정기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200907 모바일 킬러앱, 위치기반서비스 전략
 
LBS마켓현황 20100811
LBS마켓현황 20100811LBS마켓현황 20100811
LBS마켓현황 20100811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공간정보시스템 개론] L01 공간정보시스템개요
 
Solution
SolutionSolution
Solution
 
Gis개론
Gis개론Gis개론
Gis개론
 
2조 발표자료
2조 발표자료2조 발표자료
2조 발표자료
 
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
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
civil engineering lecture_survey GPS .ppt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동향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시티의 빅데이터 분석론 - 최준영
 
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
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
스마트 폰 보급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는 Indoor gps 기술
 
Global.Positioning.System
Global.Positioning.SystemGlobal.Positioning.System
Global.Positioning.System
 
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WiFi에서의 위치 기반 서비스
 
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0425 꽃길만걷자 조
0425 꽃길만걷자 조
 

lbs rfid-usim_context_awareness(발제;이근희)

  • 1. Culture Technology : RFID, LBS, USIM, Context Awareness 이근희
  • 2. Start with LBS(Location Based Service)
  • 3. LBS 관련 용어들 Telematics • Telecommunication + Informatics 의 합성어 • 차량·항공·선박 등 운송장비에 내장된 컴퓨터와 무선 통신 기술, 위성항법장치, 인터넷에서 문자신호와 음성신호를 바꾸는 기술에 의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서비스 LBS(Location Based Service) • 위치기반서비스 •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각종 서비스와 연계하는 서비스 • 유비쿼터스의 핵심기능 중 하나 • 예) 네비게이션, 실시간 교통 정보, 맛집정보, 위치기반 SNS 등 Etc. • GIS : 지리정보 시스템. 공간상의 위치를 도형 및 속성 자료로 통합 연결하여 처리하는 시스템 • ITS : 실시간으로 교통 정보를 수직, 가공하여 제공하는 차 세대 교통 체계 • 도시통합관제기술 : U-city 내에서 일어나는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 stevegarfield on Flickr : http://www.flickr.com/photos/stevegarfield/1270723762// 여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
  • 4. 위치 측위 시스템 – 위성 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 인공위성을 이용해 대상물의 위치와 고도 속도를 계산하는 시스템 • 원래는 군사용. 민간에서도 항공기, 선박 등의 항법장치에 사용하고 있음. GPS • GNSS 의 하나 • 1985년부터 무료로 위치 정보를 제공. • 미국에 의해 주도됨 • 이슈 : 미국의 서비스 계획 변경에 따른 서비스 중단 이슈가 상존 독자 GPS 시스템 움직임 • 미국에 대한 의존성에서 탈피하기 위한 움직임. • Galileo : 2010년부터 정식 서비스 개시. EU와 유럽우주기구에 서 주도 • GLONASS : 러시아 주도. 위성의 노후로 인해 지구전역을 커버하 지 못함 • 베이두(Beidou) : 중국. 정지 위성을 사용하여 아시아 일부 지역만 서비스 가능 • QZSS www.ebuzz.co.kr/content/buzz_vie...%3D43755 : 일본. 동아시아 지역만 커버하는 시스템 개발 중.
  • 5. LBS를 활용한 서비스 개인의 위치기반 서비스 • 개인용 GPS를 활용한 여행 및 건강관리 • 아이들 귀가 검증 위치추적 서비스 기업의 차세대 경쟁력 • 네비게이션 지원 스마트폰과 PND의 성장이 기대됨. • 증강현실을 접목한 새로운 서비스 등장 • 자동차 회사 텔레매틱스 : GM – 온스타 서비스 : 벤츠 – 텔레에이드 : 포드 – 윙캐스트 : BMW – BMW 어시스트 : 대우자동차 - 드림넷
  • 6. 위치검색/지역검색 시장의 성장 지도검색 • 검색 분야의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 • 구글 : 구글지도, 구글어스, 구글택시 및 지도와 위성 사진을 하이브리드한 서비스 제공 : AJAX 방식으로 구현 • 마이크로소프트 : 지도 서비스 제공 • 한국 : 네이버와 다음의 지도서비스 강화 Smart Phone 을 활용한 지도서비스 • SmartPhone을 활용한 모바일 쿼리 증가 • 야후 아이팟 전용 지도, 모바일 전체 쿼리의 4배
  • 7. 위치검색/지역검색 시장의 성장 Sekai Camera Foursquare 모바일웹2.0, 그리고 위치기반 집단지성 : 참여/공유 메모 서비스 모바일 2.0에서는 검색어 입력 없이 사용가능한 형태로 위키가 • 모바일 SNS 을 활용하여, 지도와 정보공유를 link 진화함. : 예) 소셜라이트, 스티키노트 1) Nearest Wiki 의 경우, • 지오태깅으로 정보 공유 : 예) 블린 주변 건물을 찍는 방식으로 검색이 됨. • 최근 Sekai Camera 및 Foursquare 서비스 등장 2) 개인이 만드는 지도 맛집을 비록하여 지도 구축에 참여
  • 8. Go to RFID which is core of SMART TAG
  • 9. 물류 시스템의 혁신을 가져온 SMART TAG SMART TAG • 물류 시스템에 혁신을 가져온 모바일 기술.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활용하 는 방향으로 진행. • 활용범위 – 유비쿼터스, 위치기반서비스, 차세대유통, 물류, 무역시스템, 전자결제, 자동안내 등 생활 전반. • 효과 – 물류 적용 시 유통 및 재고 기간은 적용 전보다 단축되는 반면 매출은 50% 증가. • 이슈 – 가격 : 히타치의 ‘히비키 프로젝트’ 에 의해 50원 대 가격 형성 예상. : 프린트하는 방식으로 가격이 50센트까지 내려갈 것으로 기대 한국의 SMART TAG 적용 • 2005년 말 미국과 중국 다음으로 많은 RFID를 화물운송에 사용. • 주로 교통카드나 보안출입카드에 많이 활용. 단, 제품 태그 부분은 미진함.
  • 10. RFID 의 장점 RFID의 장점 • 리더기 조준의 필요가 없음. • 비접촉식이라 반영구적임. •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으며, 재활용성을 가짐. • 부착 위치를 옮길 수 있어 위치 유연성이 큼. • 데이터 판독 속도가 빠르며, 상호작용적인 지적 성능이 가능하며, 대량 송수신이 가능. • 자료 위변조가 불가능하여 보안이 뛰어남. RFID의 경제성 1. 능률과 생산성 향상 • 자료 수집 및 통계, 관리 속도 향상. • 물류 및 재고 관리에 효율적이고, 많은 과정이 자동화로 처리됨 2. 수익성 향상 • 운영비와 생산비, 인건비 감소. 재고 관리 비용감소 및 제품 회전율 향상 • 다른 자동화 인식에 비해 저렴 3. 고객에 대한 만족감 증대 • 고객 대응 속도 및 태도 개선. 이에 따른 고객 만족도 증가 RFID 태그의 종류 전원 공급에 따라 능동형 내장 배터리를 사용해 최장 10년 사용, 다양한 크기의 메모리 가능, 30~~100m 의 넓은 범위 수동형 전원공급이 없어 반영구적 수명, 간단한 구조, 저렴한 비용, 짧은 가독 거리, 높은 출력의 판독기 필요, 읽기만 가능 주파수에 따라 저주파 30~500MHz의 저주파 사용, 저려한 비용, 짧은 가독 거리 고주파 13.56MHz나 900 MHz의 고주파 사용, 1m에 가까운 장거리 인식
  • 11. RFID 적용 영역 (출처 : ATLAS DB) 다른 기술 접목으로 다양한 제품 생산 가능 • 제품의 위치추적, 결제, 신원 확인, 도난 방지, 범죄 방지까지 활용됨. • Cold-Chain sensor 라고 불리우는 센서를 부착한 RFID를 활용하면 제품의 온도 감시 à 화장품, 식료품, 의약품, 꽃 등 온도와 관련된 제품의 모니터링 가능. à 로슈진단(Roche Diagnostics)는 의약품 추적을 위해 DHL 과 함꼐 콜드체인센서를 활용함.
  • 12. 플랫폼 통합 정도에 따른 진화 서비스 플랫폼 통합 정도와 정보처리 유형에 서비스 발전방향 플랫폼 통합 정도 연대 개인별 학습이력을 유비쿼터스 플랫폼 통합 금융결제 관리하는 사무실 평생학습지원 상호연대형 모델 융합형 모델 (Cooperation 정도 (Convergence Model) Model) 공통 원격 투약지시 공공도서관 공급체인망 통합 고도의 ITS 플랫폼 부가가치 정보형 모델 (Intelligent Model) 단일 오염 정도에 따른 폐기물 처리 식품추적 자동세탁 플랫폼 정적인 정보 이력 정보 실시간으로 변하는 정보 정보처리 유형 (출처 : 일본 총무성 자료 수정)
  • 13. 인물 식별과 개체 관리까지 미아방지 • 해운대의 미아 방지용 전자 팔찌 서비스 범죄예방 • 캘리포니아 주립 교도소는 1999년부터 RFID 를 이용한 재소자 추적 시스템 사용 à 재소자들의 폭력이 현저히 감소 인물 식별 및 U-캠퍼스 • 병원에서는 팔찌형 스마트 태그를 통해 환자를 구별 • 개인명함 정보를 수록한 팔찌를 낀 개인이 악수를 하는 것만으로 명함 정보가 교환됨 : Poken • RFID 학생카드를 도입한 캠퍼스
  • 14. 항공사에서 초밥집까지, 모바일이 경쟁력이다. 항공여행업 모바일 경쟁력 향상을 위해 RFID 도입의 고려가 필요함. 주유소, 후불정산 and so on • RFID 방식의 결제수단 • 수하물 처리 시간 축소 및 분실 위험 감소 : 비접촉식으로 요금정산. 예) 엑슨모빌의 ‘Speedpass’ 건강관리 및 운동량 측정 • 한국 고속도로 요금정산 시스템인 하이패스 • 놀이공원과 컨벤션 산업에 적용 • 도서관 및 도서 대여점의 경우 책의 반출, 도난 방지에 RFID 활용 • 화이자의 경우, 비아그라의 무단 복제방지를 위해 태그를 부착함. • 일본 회전초밥집의 접시의 RFID Tag • 운동량 측정, 마라톤 대회의 자동기록 계측에 적용됨. • 예) 워키, 폴라 플로우링크
  • 15. USIM, How support modality?
  • 16. 지속가능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모달리티 What is Multi Modality? • 여러 가지 형태와 의미로 컴퓨터와 대화화는 환경. 모바일에서는 다양한 모바일기기가 하나의 서버에 연결되어 기기를 바꾸면서도 하던 일을 계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함. USIM, 개인정보 이동성 강화 • 2008년, 우리나라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개방 논의 진행. • USIM 은 사용자 인증을 목적으로 함. • USIM 개방이 되면, USIM 교체 장착으로 해당 단말 사용 가능 • 모토로라의 경우, Instantmoto 자판기를 통해 휴대전화 판매 • 유럽, 중국, 베트남 등 해외에서는 USIM을 통해 사용자 선택권 강화 폐쇄적인 한국은? • 정책 측면에서 폐쇄적인 한국은 USIM 개방을 최대한 미루었음. • 2008년부터는 USIM 잠금이 일부 해제됨.
  • 17. 2010년, 한국의 USIM 정책은? Do you remember “때문에~~”? USIM 개방에 따라, 핸드폰을 맘대로 고르는 시대 도래. 또한 USIM 기반 생활 인프라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 18. Finally, Context Awareness and Pervasive computing
  • 19. Think about the “COMPUTING”
  • 20. U-컴퓨팅 상황인지기술 u-컴퓨팅 관련 기술 / 미들웨어 • 학술기관 연구 현황 : Oxygen(MIT), Aura(CMU), Gaia(UIUC), RCSM(ASU), PICO(UTA) 연구 중. • IT 기업 현황 : IBM, Microsoft, HP 의 경우, 유비쿼터스 미들웨어 개발에 총력을 쓰고 있음. • 국내 상황 : IT839전략 및 u-Korea 구축 투자. : 센서 네트워크, BcN 과 같이 기반 하드웨어 인프라 구축과 VOD 서비스 개발에 집중. u-컴퓨팅 관련 기술 / Context awareness • 여러 사용자가 공존하는 환경 지원을 위해 그룹 상황(충돌, 조화 등)을 감지하고 해결하는 기술, 그리고 사용자의 문맥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선택하는 기술, 지능적으로 서비스를 재구성하는 기술이 함께 요구됨. • 예) 아버지는 뉴스 프로그램 시청을 원하고 아이는 만화 프로그램 시청을 원하는 충돌 상황 가능. 이에 대한 조화 서비스 구성이 이에 해당함. U-컴퓨팅 상황 인지를 위한 5대 핵심 요소 기술을 살펴보고자 함.
  • 21. #1 : 위치 인식 기술 사용자 위치를 반영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주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검색을 수행함. 1 / 센서를 활용한 위치 인식 : GPS, 중계국, 전파, 초음파 2 / 위치 관리 기술 : 위치정보를 관리 3 / 위치 센서 통합 기술 : 새로운 위치 센서 도입할 경우, 이를 설치하여 쓰는 기술.
  • 22. #1 : 위치 인식 기술 상세 - 위치센서 위치센서 •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기술 인프라 기반 분산형 설명 환경에 미리 설치된 센서들이 자가적으로 인프라를 이용하여 센 서로의 위치를 서가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하는 방법 방법 장점 • 높은 정확성 • 낮은 비용으로 운용. • 인프라가 없는 곳에 동작 단점 • 설치비용이 높음. • 정확성이 떨어짐. • 인프라가 없는 곳에서 는 동작을 하지 않음. 예 • GPS - 미약한 신호와 • 트라앙큐레션 정확성의 한도가 있음. • 멀티라터레션 • 휴대폰 중계국 방식 • 포스-디렉티드 • 크리켓, 유비센스와 컨버전스 같은 실내인식센서.
  • 23. #1 : 위치 인식 기술 상세 – 위치관리 위치관리 • 인식된 위치를 상황 인지 응용에서 사용하게 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일관된 형태로 제공하고 위치 센서를 운영하는 것. 위치정보 형태 물리적인 좌표 추상적인 이름 설명 특정 좌표계에서 추상적인 이름으로 지정된 물리적 좌표로 제공. 위치 정보 제공 단점 - • 객체간의 상대적 위치를 알기 어려움 예 • GPS : 위도/경도/고도 • RFID : 추상이름. • 유비센스 : 3차원좌표 위치관리의 센서 구성 • 하나 이상의 위치 센서 관리가 가능함. • 다중 센서 관리 시에는 Adapter 를 사용하여 센서의 통신방법, 위치 정보 형태를 균등하게 변환함. 위치 센서 시스템 자동 배치 기존 시스템에 추가 새로운 시스템 설치 설명 기존 설치되었던 위치 새로운 위치 시스템을 시스템에 센서를 추가 설치
  • 24. #1 : 위치 인식 기술 상세 – 위치 인식 솔루션 위치 인식 솔루션 비교 인식거리 위치정확도 보안여부 네트워크 속도 UWB 30 ft 6 in - 40~60 Mbps RFID 0~20m Range 좋음 - IR 10~30m Room level - - Blue 100m/20m/ Range 매우 좋음 1 Mbps -tooth 10m WiFi 2~5m Up to 100m 매우 좋음 1~11 Mbps IrDA 1~3m Range 좋음 16 Mbps 출처 : ETRI 실내외연속측위기술동향 측위 설명 • 저전력으로 대용량 데이터 전달 • 실내 측위에서 15 m 의 정확도를 가짐 UWB • RFID에 비해 신호 도달거리가 긺(50m 내외) • 현재 LAN 에 활용되는 기술을 대체할 잠재력을 지님. • 개당 생산 단가가 높음 • 근접 센서이므로 NLOS 오차 문제가 없음. • 근접의 조건을 만족하면 tag 가 빨리 움직여도 감지할 수 있음. RFID • Tag 에 읽기/쓰기 기능을 부가하여 정보 보조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 • 신호도달거리가 2~3m 정도로 짧음. • 측위 활용 시 대부분의 장소에 밀도 높게 리더를 설치 IR • 매우 정확한 위치 정확도. 3차원 측위 기능 • 칩셋 대량 생산으로 인해 저가의 인프라 설치 비용 Blue • 송수신 Latency 가 커서 동적 환경에서 위치정확도가 -tooth 떨어짐. • 벽 또는 불투명 물질을 통과할 수 없음. IrDA • IR의 제한된 인식 거리로 인한 서비스 범위 제한
  • 25. #2 : 상황 정보 관리 기술 센서를 통해 상황정보의 변화를 감지하고 Effector를 통해 상황정보 를 변화시킴. 1 / 상황정보 조합 2 / 상황정보를 추론하여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제공 상황정보 추론을 위해서 Ontology, First-Order Logic 활용.
  • 26. #3 : 서비스 검색 기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Client 혹은 Network Entity의 요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서비스의 레퍼런스를 제공하는 것 1 / 기술 : Network Topology(디렉토리 기반 토폴로지), Transport Infra(IP 기반), 검색 범위, 검색 방법(온톨로지 활용)
  • 27. #4 : 서비스 재구성 사용자들의 목표를 만족시켜 주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동적 구성하는 것. 1 / 태스크 기반의 서비스 구성 프레임워크 : 사용자의 이동 및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재구성, 사용자의 목표를 만족시킴
  • 28. #5 : 서비스 상호작용 기술 다양한 지능 객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1 / 애플리케이션은 컨텍스트 변화에 따라 지능 객체 간의 상호작용이 끊임없이 변경되어야 함.
  • 30. END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