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KAIST OUIC Overview
Gateway to Success
2014. 4
Ⅰ. KAIST OVERVIEW
Ⅱ. 산학협력단 소개
Ⅲ. 주요 추진사업
Gateway to Success
Ⅰ. KAIST OVERVIEW
Ⅰ. KAIST OVERVIEW
Seoul
Seoul Campus
Daejeon
Main Campus
ICC Campus
KAIST Campuses
Ⅰ. KAIST OVERVIEW
• 1971년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을 위해 KAIS 설립
• 1984년 한국과학기술대학(KIT) 설립(학사과정 신설)
• 2009년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 통합
교직원 현황(1,609) 학생현황 (10,249) 예산현황 (751 Million USD)
직원교원
학사
석박사통합
석사 박사
22%
59%
19%
연구비
정부지원
기부 및 기타
4,047
(39%)
2,311
(21%)
2,704
(26%)1,187
(12%)
(As of Jan. 2013) (As of Jan. 2013) (As of 2012)
Facts and Figures
Ⅰ. KAIST OVERVIEW
2013 Asian Rankings : 6th
2013 World Rankings : 60th
- 36th Engineering & IT
- 47th Natural Sciences
2012 World Rankings : 68th
- 44th in Engineering & IT
- 361 collaborative agreements in 59 countries
- 26 joint international research projects in 7 countries.
- About 200 foreign faculty members from 27 countries.
- 700 international students from more than 70 countries.
Reputation
Ⅰ. KAIST OVERVIEW
Nearly 25%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ersonnel at Samsung
Electronics are KAIST Ph.D. holders.
KAIST graduates hold 20% of all
engineering doctorates in Korea
KAIST graduates also hold 10% of all
engineering professorships in Korea.
Graduates
Ⅰ. KAIST OVERVIEW Role Model of Science &
Engineering Institutions
KAIST Venture DNA
벤처창업의 진원지 | 1980년대
한국과학원은 과학기술 분야에 관한 이론과 응용력을 갖춘 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습
니다. 대학의 우수인력들은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창업활동과 접목시키는 분위기가 강했습
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개교 10년을 전후로 기술기반의 창업기업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 메디슨 이민화 대표(86년 전기전자과 박사)
• 나노엔텍 김광태 대표(87년 전산학과 석사)
• 터보테크 장흥순 대표(89년 전기전자과 박사)
벤처열풍의 중심 | 1990년대
인터넷의 보급과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기회가 열리게 되면서 벤처산업 발전에
유리한 구조변화가 있었습니다. 또한 성공한 벤처기업이 많아지면서 후배창업자들에게 신
선한 자극제가 되었습니다.
• 다림비전 김영대 대표(85년 기계공학 박사)
• NHN(네이버) 이혜진 의장(92년 전산학과 석사)
• 엔엑스씨(넥슨) 김정주 대표(93년 전산학과 석사)
• 네오위즈 나성균 대표(96년 산업경영학과 석사)
• 아이디스 김영달 대표(93년 전산학과 박사)
벤처창업의 진화 | 2000년대
지난 20년 동안 벤처기업의 산실을 담당해온 KAIST는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기반
을 마련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프라형성에 주력하여 왔습니다.
• 뉴로스 김승우 대표(91년 항공우주공학과 박사)
• 메디톡스 정현호 대표(92년 생물공학과 박사)
• 이녹스 장경호 대표(97년 신소재공학과 박사)
• 디엔에프 도영규 대표(75년 화학과 석사)
• 파인테크닉스 최정혁 대표(98년 기술경영전공 석사)
• 엔써즈 김길연 대표(02년 전산학 석사)
새로운 도전 | 2010년대
선배들의 기업가 정신을 이어 받아 더욱 많은 학생들이 창업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이
를 실천에 옮기고 있습니다. KAIST 창업보육센터는 이에 맞추어 학생창업전담 지원체제로
전향하여 다양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창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아이카이스트 김성진 대표(13년 문화기술대학원 석사)
• 이노테라피 이문수 대표(04년 생물과학과 석사)
• 아이엠컴퍼니 정인모 대표(산업디자인학과 학사 재학)
Ⅰ. KAIST OVERVIEW
Gateway to Success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 입주기업 지원 및 관리
• 학생/동문 창업지원
•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 학내 기업가정신 문화조성
• 지식재산권 관리
• 기술이전 및 기술마케팅
• 기업회원제
• 기관고유사업 운영
ORGANIZATION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기술사업화센터
연구부총장
총장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ROLE
특허/기술이전
기업협력 사업화지원
 창업지원
 인큐베이팅
 인프라구축
 기업회원제
 브랜드관리
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설립
 지재권 관리
 기술이전
OUIC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HISTORY
1994
신기술창업지원단 확대 발족
사업관리기관 선정(과기부)
동문창업관 신축 개관
기술이전교류센터 지정(과학기술부)
KAIST TBI/TIC 설치
1997 1999 2001 2002
KAIST창업보육센터 지정(중소기업청)
2005
산학협력단 명칭변경, KAIST기술종합병원 설립 개소
2006
아시아창업보육협회(AABI)로부터 최우수 선정
2007
KAIST & ICU 통합에 따른 창업보육센터 확대 통합
2010
신기술창업관 신축 개관
입주·졸업기업 총매출액 2조 5,110억 달성, 신규사업 경진대회 중소기업청장상
2012 2013
Startup KAIST 선포(학생창업 활성화), 최우수 창업보육기관 국무총리표장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ACHIEVEMENT
KAIST 창업보육센터 보육기업
2012년 말 기준 총 491개사 육성
Since 1994
휴폐업
201개
41%
전체 매출액
1조 9천억 원
전체 고용인원
1천 8백여 명
코스닥 상장업체: 11개사
(코넥스 상장업체 2개사)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290 billion)
(27 billion)
(27 billion) (184 billion)
(20 billion)
(28 billion)
(25 billion)
(743 billion)
(As of 2012)
3개사
상장폐지
미창업
16개
3%
생존
269개
56%
* 미확인 기업 5개사 제외
Representatives of KAIST
Alumni Companies
Company Est. Founders
Sales
Revenues(2010)
Remarks
1989 Jung Joo Kim 1.5 $B
Largest Market
Share of On-
line Game in
the World
1999 Hye Chan Lee 2.4 $B
5th Search
Engine in the
world
1999 Dong Hyuk Shin 0.18$B
10% Global
Market share
on Touch Panel
1997 Seong gyun Na 0.74$B
World’s first
automatic
internet access
software
(As of 2012)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Economic Impact of KAIST
• KAIST 출신 창업기업 804개사
• KOSPI & KOSDAQ 상장기업 39개사
• 총자산 15조 154억 원
• 총매출액 9조 9,061억 원
• 총고용인원 23,511명
(As of 2012)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Patent Registration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단위:건)
1,000
600
300
0
1,047
212
432
87
1,010
262
223
75
2009 2010 2012
1,059
114
595
33
2011
1,139
242
850
95
평균
747건
Applied Domestic Patent
Registered Domestic Patent
Registered Overseas
Application
Applied Overseas Application
The number of IP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09
World’s Top 5 (WIPO, 2011)
World’s Top 32 (US IPIQ, 2013)
Technology Transfer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3.06
billion
(48)
1.4
billion
(45)
2.11
billion
(40)
3.86
billion
(48)
▶2003 ~ 2008 ▶2009 ▶ 2010 ▶ 2011 ▶2012
6yr
average
870 million
(29)
2009 2010 2011 2012
Total
(2010-2012)
Gross Royalty (KRW) 1.4 billion 2.11 billion 3.86 billion 3.06 billion 9.03 billion
The number of Tech.
Transfer
45
40 48 48 136
Gateway to Success
Ⅲ. 주요추진사업
Ⅲ. 주요 추진사업
학생과외활동지침 개정
KAIST 재학생 창업 허용
창업보육센터 운영규정
재학생 창업 시 관리비 면제
창업지원 프로그램 신설
행정지원 운영
창업준비공간 제공 및 관리
Winning Combination, Ent.
Lunch Talk, E5-KAIST
제도 정비 및 시설·공간 제공을 통한 캠퍼스 내 기업가 정신 고취
2013년 진행사항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Valley
KAIST Biz Park
KAIST Creative Space
Open-Communication-Creation-Convergent
Startup KAIST !!
Ⅲ. 주요 추진사업
The Startup KAIST Movement
Ⅲ. 주요 추진사업
Institute of Entrepreneurship
Director
Steering Committee
Global market entry
Global marketing
Global network building
Global funding
Division for
Startup & Acceleration
Business startup support
Consulting
Mentoring
Network building
Startup idea competition
Funding
Divisio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 Research
Entrepreneurship education
Business startups education
Business startups OJT
Business startups support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research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um, Seminars
Operations Team
Division for
Global Promotion
Implement and Manage the startup KAIST Movement
Ⅲ. 주요 추진사업
Startup Support Program
 Ent. Dilemma
 Ent. Lunch Talk
 ㅋㅋㅋ Salad
K. Talk
 E*5 KAIST
 Startup Club
 Startup & Research
Cooperation
K. Startup
 Winning
Combination
 Mentoring Party
K. Connect
 For + Startup
 Through + Startup
 About + Startup
K. Education
 Conference
 Ent. Of the year
 Capital Day
 Demo Day
 Enternship @ S.K
 The S. Interview
K. Show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Talk
Entrepreneurs' Dilemma
‘나는 창업가 타입일까 아닐까?, 나는 어떤 기업가가 되고 싶은가? 등
심리 전문 상담가와 함께하는 비밀이야기 시간
Entrepreneurship Lunch Talk
성공한 CEO를 초청하여 창업경험담과 노하우를 듣는 시간
ㅋㅋㅋ Salad
Startup KAIST 공간 홍보 및 창업 관련자 네트워킹 시간
5月
상반기
11月
하반기
Monthly
Year
Biweekly
Year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Startup
E*5 KAIST
아이디어 구체화를 위한 단계별 미션 및 멘토링 지원 창업오디션 프로그램
Startup Club
학내 기업가정신 문화 확산 을 위한 창업동아리 육성
Startup & Research Cooperation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과의 협력을 통한 사업아이템 발굴 및
아이디어 구체화를 위한 정기 교류회
4月
상반기
9月
하반기
수시
Year
Quarterly
Year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Connect
Wining Combination
창업초기기업, 예비창업자, 1인 창조기업의 인력난 해결을 위한
기업홍보활동을 통한 오픈형 리쿠르팅 포럼
Mentoring Party
특정 요일 시간 장소를 지정하여 멘토링이 필요한 학생이 해당일시에
방문하여 멘토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함
5月
상반기
11月
하반기
Biweekly
Year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Education
Education for Startup
(예비창업단계)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제공
Education through Startup
(창업초기단계) 선배 창업가가 후배 창업가들에게 창업을 통해
본인이 배운 노하우 전달하는 시간
Education about Startup
(창업성장단계) 인사, 노무, 회계 등 창업후 기업가가 습득해야하는
지식 전달
6月
Year
10月
Year
11月
Year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Show
Conference
K-connect 등 학생 중심의 기업가정신 컨퍼런스, 포럼 등 개최 지원
Entrepreneur of the year
재학/졸업생 기업가중 KAIST 구성원이 뽑은 올해의 기업가 선정
Capital Day
유망 투자자를 초청 투자 기준, 방법 등 투자자 및 자사 홍보
수시
Year
12月
Year
5月
상반기
10月
하반기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Show
Demo Day
사전 심사를 거쳐 우수 기업만 참여할 수 있는 Closed IR Meeting
Enternship @ Startup KAIST
보육센터에서 보육중인 우수 기업에서 여름/겨울 방학을 이용
창업인턴십 기회 제공
The Startup Interview
전문가 및 창업자 대상 인터뷰(멘토참여 및 홍보수단 활용)
6月
Year
수시
Year
6月
상반기
11月
하반기
Thank you
산학협력단 홈페이지: ouic.kaist.ac.kr
Startup KAIST 홈페이지: startup.kaist.ac.kr
E.Mail: startup@kaist.ac.kr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KAIST OUIC Overview

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
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
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
구회 연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Soojin Shin
 
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
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
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INNOBIZ Association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Shougo Kim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더게임체인저스
 
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
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
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
INNOBIZ Association
 
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
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
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
Marine Design Busan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구회 연
 
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
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
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
StartupAlliance
 
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
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
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
Shougo Kim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Jinsoo Kim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메가트렌드랩 megatrendlab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Jeonghwan Jeon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두원 차
 
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
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
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
vaness_kcube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
더게임체인저스
 
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
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
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
Jinsoo Kim
 
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
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
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
NEOPLY
 
06 한국엔젤투자협회
06 한국엔젤투자협회06 한국엔젤투자협회
06 한국엔젤투자협회
VentureSquare
 

Similar to KAIST OUIC Overview (20)

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
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
제21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세계화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청년창업사관학교(엔젤모임 발표자료) 111006
 
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
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
2013년 이노비즈협회 브로슈어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Gsc2015 봄 05 윤세명-중소기업청창업진흥과_tips_설명자료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
 
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
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
2014 이노비즈협회 국문브로슈어
 
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
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
해양디자인 국제컨퍼런스 2010 발표자료 _ 최익현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제22차 포럼 발표자료 - 창조경제의 성과와 미래과제
 
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
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
20160504_테헤란로 커피클럽_SparkLabs
 
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
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
Gsc2015 봄 12 모진철-sk 플래닛 상생혁신센터 발표자료_0421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사회문제해결 기술창업세미나 금천구 20171110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Entrepreneurship via tec biz initiative johnson sg jun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스타트업 커뮤니티 웨이 - 도룡벤처포럼 강연 및 토론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박근혜 정부 과학기술정책 구조 및 방향성
 
815tv 03 KBC
815tv 03 KBC815tv 03 KBC
815tv 03 KBC
 
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
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
케이큐브미디어키트 2013.4월호 (K CUBE MEDIA KIT_APR,2013)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
[창업자&예비창업자] 스타트업 R&D 지원사업 성공 전략
 
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
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
사업계획서 기술창업V1.4 20160416
 
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
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
네오플라이 미디어킷 2018 Q1
 
06 한국엔젤투자협회
06 한국엔젤투자협회06 한국엔젤투자협회
06 한국엔젤투자협회
 

KAIST OUIC Overview

  • 1. KAIST OUIC Overview Gateway to Success 2014. 4
  • 2. Ⅰ. KAIST OVERVIEW Ⅱ. 산학협력단 소개 Ⅲ. 주요 추진사업
  • 3. Gateway to Success Ⅰ. KAIST OVERVIEW
  • 4. Ⅰ. KAIST OVERVIEW Seoul Seoul Campus Daejeon Main Campus ICC Campus KAIST Campuses
  • 5. Ⅰ. KAIST OVERVIEW • 1971년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고급 과학기술 인력을 양성을 위해 KAIS 설립 • 1984년 한국과학기술대학(KIT) 설립(학사과정 신설) • 2009년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 통합 교직원 현황(1,609) 학생현황 (10,249) 예산현황 (751 Million USD) 직원교원 학사 석박사통합 석사 박사 22% 59% 19% 연구비 정부지원 기부 및 기타 4,047 (39%) 2,311 (21%) 2,704 (26%)1,187 (12%) (As of Jan. 2013) (As of Jan. 2013) (As of 2012) Facts and Figures
  • 6. Ⅰ. KAIST OVERVIEW 2013 Asian Rankings : 6th 2013 World Rankings : 60th - 36th Engineering & IT - 47th Natural Sciences 2012 World Rankings : 68th - 44th in Engineering & IT - 361 collaborative agreements in 59 countries - 26 joint international research projects in 7 countries. - About 200 foreign faculty members from 27 countries. - 700 international students from more than 70 countries. Reputation
  • 7. Ⅰ. KAIST OVERVIEW Nearly 25%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personnel at Samsung Electronics are KAIST Ph.D. holders. KAIST graduates hold 20% of all engineering doctorates in Korea KAIST graduates also hold 10% of all engineering professorships in Korea. Graduates
  • 8. Ⅰ. KAIST OVERVIEW Role Model of Science & Engineering Institutions
  • 9. KAIST Venture DNA 벤처창업의 진원지 | 1980년대 한국과학원은 과학기술 분야에 관한 이론과 응용력을 갖춘 자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습 니다. 대학의 우수인력들은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창업활동과 접목시키는 분위기가 강했습 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개교 10년을 전후로 기술기반의 창업기업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 메디슨 이민화 대표(86년 전기전자과 박사) • 나노엔텍 김광태 대표(87년 전산학과 석사) • 터보테크 장흥순 대표(89년 전기전자과 박사) 벤처열풍의 중심 | 1990년대 인터넷의 보급과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른 새로운 기회가 열리게 되면서 벤처산업 발전에 유리한 구조변화가 있었습니다. 또한 성공한 벤처기업이 많아지면서 후배창업자들에게 신 선한 자극제가 되었습니다. • 다림비전 김영대 대표(85년 기계공학 박사) • NHN(네이버) 이혜진 의장(92년 전산학과 석사) • 엔엑스씨(넥슨) 김정주 대표(93년 전산학과 석사) • 네오위즈 나성균 대표(96년 산업경영학과 석사) • 아이디스 김영달 대표(93년 전산학과 박사) 벤처창업의 진화 | 2000년대 지난 20년 동안 벤처기업의 산실을 담당해온 KAIST는 벤처기업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기반 을 마련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프라형성에 주력하여 왔습니다. • 뉴로스 김승우 대표(91년 항공우주공학과 박사) • 메디톡스 정현호 대표(92년 생물공학과 박사) • 이녹스 장경호 대표(97년 신소재공학과 박사) • 디엔에프 도영규 대표(75년 화학과 석사) • 파인테크닉스 최정혁 대표(98년 기술경영전공 석사) • 엔써즈 김길연 대표(02년 전산학 석사) 새로운 도전 | 2010년대 선배들의 기업가 정신을 이어 받아 더욱 많은 학생들이 창업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이 를 실천에 옮기고 있습니다. KAIST 창업보육센터는 이에 맞추어 학생창업전담 지원체제로 전향하여 다양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창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아이카이스트 김성진 대표(13년 문화기술대학원 석사) • 이노테라피 이문수 대표(04년 생물과학과 석사) • 아이엠컴퍼니 정인모 대표(산업디자인학과 학사 재학) Ⅰ. KAIST OVERVIEW
  • 10. Gateway to Success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 11.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 입주기업 지원 및 관리 • 학생/동문 창업지원 • 창업지원 프로그램 운영 • 학내 기업가정신 문화조성 • 지식재산권 관리 • 기술이전 및 기술마케팅 • 기업회원제 • 기관고유사업 운영 ORGANIZATION 산학협력단 창업보육센터 기술사업화센터 연구부총장 총장
  • 12.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ROLE 특허/기술이전 기업협력 사업화지원  창업지원  인큐베이팅  인프라구축  기업회원제  브랜드관리  기술지주회사& 자회사 설립  지재권 관리  기술이전 OUIC
  • 13.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HISTORY 1994 신기술창업지원단 확대 발족 사업관리기관 선정(과기부) 동문창업관 신축 개관 기술이전교류센터 지정(과학기술부) KAIST TBI/TIC 설치 1997 1999 2001 2002 KAIST창업보육센터 지정(중소기업청) 2005 산학협력단 명칭변경, KAIST기술종합병원 설립 개소 2006 아시아창업보육협회(AABI)로부터 최우수 선정 2007 KAIST & ICU 통합에 따른 창업보육센터 확대 통합 2010 신기술창업관 신축 개관 입주·졸업기업 총매출액 2조 5,110억 달성, 신규사업 경진대회 중소기업청장상 2012 2013 Startup KAIST 선포(학생창업 활성화), 최우수 창업보육기관 국무총리표장
  • 14.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ACHIEVEMENT KAIST 창업보육센터 보육기업 2012년 말 기준 총 491개사 육성 Since 1994 휴폐업 201개 41% 전체 매출액 1조 9천억 원 전체 고용인원 1천 8백여 명 코스닥 상장업체: 11개사 (코넥스 상장업체 2개사)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290 billion) (27 billion) (27 billion) (184 billion) (20 billion) (28 billion) (25 billion) (743 billion) (As of 2012) 3개사 상장폐지 미창업 16개 3% 생존 269개 56% * 미확인 기업 5개사 제외
  • 15. Representatives of KAIST Alumni Companies Company Est. Founders Sales Revenues(2010) Remarks 1989 Jung Joo Kim 1.5 $B Largest Market Share of On- line Game in the World 1999 Hye Chan Lee 2.4 $B 5th Search Engine in the world 1999 Dong Hyuk Shin 0.18$B 10% Global Market share on Touch Panel 1997 Seong gyun Na 0.74$B World’s first automatic internet access software (As of 2012)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 16. Economic Impact of KAIST • KAIST 출신 창업기업 804개사 • KOSPI & KOSDAQ 상장기업 39개사 • 총자산 15조 154억 원 • 총매출액 9조 9,061억 원 • 총고용인원 23,511명 (As of 2012)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 17. Patent Registration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단위:건) 1,000 600 300 0 1,047 212 432 87 1,010 262 223 75 2009 2010 2012 1,059 114 595 33 2011 1,139 242 850 95 평균 747건 Applied Domestic Patent Registered Domestic Patent Registered Overseas Application Applied Overseas Application The number of IP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09 World’s Top 5 (WIPO, 2011) World’s Top 32 (US IPIQ, 2013)
  • 18. Technology Transfer Ⅱ. KAIST 산학협력단 소개 3.06 billion (48) 1.4 billion (45) 2.11 billion (40) 3.86 billion (48) ▶2003 ~ 2008 ▶2009 ▶ 2010 ▶ 2011 ▶2012 6yr average 870 million (29) 2009 2010 2011 2012 Total (2010-2012) Gross Royalty (KRW) 1.4 billion 2.11 billion 3.86 billion 3.06 billion 9.03 billion The number of Tech. Transfer 45 40 48 48 136
  • 19. Gateway to Success Ⅲ. 주요추진사업
  • 20. Ⅲ. 주요 추진사업 학생과외활동지침 개정 KAIST 재학생 창업 허용 창업보육센터 운영규정 재학생 창업 시 관리비 면제 창업지원 프로그램 신설 행정지원 운영 창업준비공간 제공 및 관리 Winning Combination, Ent. Lunch Talk, E5-KAIST 제도 정비 및 시설·공간 제공을 통한 캠퍼스 내 기업가 정신 고취 2013년 진행사항
  • 21.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Valley KAIST Biz Park KAIST Creative Space Open-Communication-Creation-Convergent Startup KAIST !!
  • 22. Ⅲ. 주요 추진사업 The Startup KAIST Movement
  • 23. Ⅲ. 주요 추진사업 Institute of Entrepreneurship Director Steering Committee Global market entry Global marketing Global network building Global funding Division for Startup & Acceleration Business startup support Consulting Mentoring Network building Startup idea competition Funding Division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 Research Entrepreneurship education Business startups education Business startups OJT Business startups support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research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um, Seminars Operations Team Division for Global Promotion Implement and Manage the startup KAIST Movement
  • 24. Ⅲ. 주요 추진사업 Startup Support Program  Ent. Dilemma  Ent. Lunch Talk  ㅋㅋㅋ Salad K. Talk  E*5 KAIST  Startup Club  Startup & Research Cooperation K. Startup  Winning Combination  Mentoring Party K. Connect  For + Startup  Through + Startup  About + Startup K. Education  Conference  Ent. Of the year  Capital Day  Demo Day  Enternship @ S.K  The S. Interview K. Show
  • 25.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Talk Entrepreneurs' Dilemma ‘나는 창업가 타입일까 아닐까?, 나는 어떤 기업가가 되고 싶은가? 등 심리 전문 상담가와 함께하는 비밀이야기 시간 Entrepreneurship Lunch Talk 성공한 CEO를 초청하여 창업경험담과 노하우를 듣는 시간 ㅋㅋㅋ Salad Startup KAIST 공간 홍보 및 창업 관련자 네트워킹 시간 5月 상반기 11月 하반기 Monthly Year Biweekly Year
  • 26.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Startup E*5 KAIST 아이디어 구체화를 위한 단계별 미션 및 멘토링 지원 창업오디션 프로그램 Startup Club 학내 기업가정신 문화 확산 을 위한 창업동아리 육성 Startup & Research Cooperation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과의 협력을 통한 사업아이템 발굴 및 아이디어 구체화를 위한 정기 교류회 4月 상반기 9月 하반기 수시 Year Quarterly Year
  • 27.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Connect Wining Combination 창업초기기업, 예비창업자, 1인 창조기업의 인력난 해결을 위한 기업홍보활동을 통한 오픈형 리쿠르팅 포럼 Mentoring Party 특정 요일 시간 장소를 지정하여 멘토링이 필요한 학생이 해당일시에 방문하여 멘토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함 5月 상반기 11月 하반기 Biweekly Year
  • 28.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Education Education for Startup (예비창업단계) 창업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제공 Education through Startup (창업초기단계) 선배 창업가가 후배 창업가들에게 창업을 통해 본인이 배운 노하우 전달하는 시간 Education about Startup (창업성장단계) 인사, 노무, 회계 등 창업후 기업가가 습득해야하는 지식 전달 6月 Year 10月 Year 11月 Year
  • 29.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Show Conference K-connect 등 학생 중심의 기업가정신 컨퍼런스, 포럼 등 개최 지원 Entrepreneur of the year 재학/졸업생 기업가중 KAIST 구성원이 뽑은 올해의 기업가 선정 Capital Day 유망 투자자를 초청 투자 기준, 방법 등 투자자 및 자사 홍보 수시 Year 12月 Year 5月 상반기 10月 하반기
  • 30. Ⅲ. 주요 추진사업 2014년 추진계획 K. Show Demo Day 사전 심사를 거쳐 우수 기업만 참여할 수 있는 Closed IR Meeting Enternship @ Startup KAIST 보육센터에서 보육중인 우수 기업에서 여름/겨울 방학을 이용 창업인턴십 기회 제공 The Startup Interview 전문가 및 창업자 대상 인터뷰(멘토참여 및 홍보수단 활용) 6月 Year 수시 Year 6月 상반기 11月 하반기
  • 31. Thank you 산학협력단 홈페이지: ouic.kaist.ac.kr Startup KAIST 홈페이지: startup.kaist.ac.kr E.Mail: startup@kaist.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