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3
구본탁
1. 정의
• m x n 행렬(matrix) M은 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이루어진 실수들의 정사각
배열이다.
• 행(row)들의 개수와 열(column)들의 개수를 곱한 것을 행렬의 차원이라
부른다
• 행렬을 구성하는 수들을 원소(element) 또는 성분(entry)이라 부른다.
1. 정의
• 행렬 A는 4x4 행렬, B는 3x2행렬, u는 1x3행렬, v는 4x1행렬이다.
• 행렬 A의 4행(네번째 행) 2열(두번째 열)의 성분은 A42 = -5이다.
• 행렬 u와 v는 각각 행이나 열이 하나라는 점에서 특별한 행렬이다.
• 이런 정류의 행렬을 흔히 행벡터(row Vector)나 열벡터(column Vector)라고
부른다.
이는 이들이 벡터를 행렬형태로 나타내는데 쓰이기 때문이다.
1. 정의
• 행렬을 벡터로 간주하는 경우.
1. 정의
• 행렬의 상등, 덧셈, 스칼라 곱셈, 뺄셈 등의 정의
1. 두 행렬은 오직 대응되는 성분들이 상등일 때에만 상등이다. 따라서, 두행렬의 상등을
비교하려면 두 행렬의 행 수와 열 수가 동일해야 한다.
2. 두 행렬을 더할 때에는 대응되는 성분들을 더한다. 따라서 행 수와 열 수가 같은 행렬끼리만
덧셈이 가능하다.
3. 행렬에 하나의 스칼라를 곱할 때에는 행렬의 모든 성분에 그 스칼라를 곱한다.
4. 행렬의 뺄셈은 스칼라 곱셈과 행렬 덧셈으로 정의한다.
즉, A – B = A + (-1 x B) = A + (-B) 이다.
1. 정의
• 행렬의 상등, 덧셈, 스칼라 곱셈, 뺄셈 등의 정의
2. 행렬 곱셈
• 행렬 곱셈의 정의
a. 만일 행렬 A가 m x n 의 행렬이고 B가 n x p 의 행렬이면 둘의 곱 AB는 하나의 m x p
행렬이 된다.
b. A의 행벡터의 차원과 B의 열벡터의 차원이 일치해야만 AB가 성립한다.
(간단히 생각하면 A의 가로 길이와 B의 세로길이가 일치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됨.)
위 예시에서는 A의 행벡터 차원은 2지만 B의 열벡터의 차원은 3이기 때문에 AB는
성립하지 않는다.
2. 행렬 곱셈
• 행렬 곱셈의 정의
곱 AB는 정의되지만 BA는 정의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B의 열
수가 A의 행 수와 같지 않기 때문.
따라서 일반적으로 행렬의 곱셈에서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는다.
2. 행렬 곱셈
• 벡터의 행렬과 곱셈
결과적으로 1 x n이 어떠한 행벡터 u와
어떠한 n x m 의 행렬 A에 대해 곱 uA는
A의 행벅터들의 일차 결합에 u의
스칼라 계수들이 적용된 것이다.
2. 행렬 곱셈
• 결합법칙
행렬 곱셈은 덧셈에 대한 배분법칙을 만족한다.
즉 A(B+C) = AB+AC이며
(A+B)C = AC+BC 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행렬 곱셈이 아래와 같은 결합법칙을 만족한다는
것이다.
덕분에 행렬들을 곱하는 순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B)C = A(BC)
3. 행렬의 전치
행렬의 전치, 즉 전치행렬은 주어진 행렬의 행들과 열들을 맞바꾼 것을
말함.
따라서 m x n 의 행렬의 전치행렬을 n x m 행렬이다.
행렬 M의 전치행렬을 MT라고 표기한다.
1. (A+B)T = AT+BT
2. (cA)T = cAT
3. (AB)T = BTAT
4. (AT)T = A
5. (A-1)T = (AT)-1
4. 단위행렬
• 단위행렬은 주대각 성분(좌상에서 우하로의 주된 대각선에 있는성분)들만 1이고
나머지는 모두 0인 정방행렬이다.
• 단위행렬은 곱셈의 항등원 역할을 한다.
즉, 만일 A가 m x n 행렬이고 B가 n x p 행렬, 그리고 I가 n x n 단위행렬 이라면,
AI = A, IB = B 를 만족한다.
• 다른 말로 하면, 어떤 행렬에 단위행렬을 곱해도 그 행렬은 변하지 않는다.
• 단위행렬을 1의 행렬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행렬 M이 정방행렬이라면 단위행렬은 다음과 같은 곱셈 교환법칙을 만족한다.
MI = IM = M
5. 행렬식
• 행렬식은 정방행렬을 받아서 실수 값을 산출하는 특별한 함수이다.
정방행렬 A의 행렬식을 흔히 detA로 표기한다.(혹은 |A| 로 표기하기도 함.)
• 소행렬
n x n 행렬 A가 주어졌을 때, 그 소행렬 Āij는 A의 i번째 행과 j번째 열을
삭제한 결과로 생긴 (n – 1) x (n – 1) 행렬이다.
5. 행렬식
• 행렬식의 정의
• 한 행렬의 행렬식은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4 x 4 행렬의 행렬식은 3 x 3 행렬의 행렬식을 항으로 하여 정의되고
3 x 3 행렬의 행렬식은 2 x 2 행렬의 행렬식으로 정의된다.
• A가 n x n 행렬이라고 정의 할 때, n>1 에 대해 A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5. 행렬식(기하학적 의미)
• 2차 정사각행렬
| 4 2 |
| 1 5 | = 18
• 3차 정사각행렬
5. 행렬식(행렬식 구해보기)
• 2차 정사각행렬
5. 행렬식(행렬식 구해보기)
• 3차 정사각행렬 (대각선법칙)
5. 행렬식(행렬식 구해보기)
• 3차 정사각행렬 (여인수전개)
5. 행렬식(예제)
6. 딸림행렬
이 여인수 행렬 CA의 전치행렬을 A의
딸림행렬(수반행렬)이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7. 행렬의 역
• 행렬 대수는 나눗셈 연산을 정의하지 않지만, 곱셈에 관한 역(Inverse), 즉
역행렬에 대한 정의는 존재한다.
1. 오직 정방행렬만 역행렬을 가진다.
2. n x n의 행렬 M은 역시 n x n 행렬이며, M-1 로 표기한다.
3. 모든 정방행렬에 역행렬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역행렬이 있는 행렬을 가리켜
가역행렬이라 부르며, 역행렬이 없는 행렬을 가리켜 특이행렬이라 부른다.
4. 역행렬이 존재하는 경우 그 역행렬은 고유하다.
5. 행렬에 그 역행렬을 곱하면 단위행렬이 나온다. 즉 MM-1 = M-1M =I 이다.
7. 행렬의 역
• 다음은 딸림행렬과 행렬식을 이용해 역행렬을 구하는 공식이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HolyTak

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
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
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HolyTak
 
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
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
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HolyTak
 
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
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
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HolyTak
 
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HolyTak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HolyTak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HolyTak
 
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HolyTak
 
Windosw via c 스터디17장
Windosw via c 스터디17장Windosw via c 스터디17장
Windosw via c 스터디17장HolyTak
 
Windosw via c 스터디12장
Windosw via c 스터디12장Windosw via c 스터디12장
Windosw via c 스터디12장HolyTak
 
Windows via c/c++ 스터디9장
Windows via c/c++ 스터디9장Windows via c/c++ 스터디9장
Windows via c/c++ 스터디9장HolyTak
 
Windosw via c/c++ 스터디5장
Windosw via c/c++ 스터디5장Windosw via c/c++ 스터디5장
Windosw via c/c++ 스터디5장HolyTak
 
Windosw via c 스터디2장
Windosw via c 스터디2장Windosw via c 스터디2장
Windosw via c 스터디2장HolyTak
 

More from HolyTak (12)

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
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
14장 입자 시스템과 스트림 출력.pptx
 
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
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
Graphics 14장 1인칭 카메라 만들기.pptx
 
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
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
Graphics 8장 텍스처 적용.pptx
 
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6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3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20장.pptx
 
Windosw via c 스터디17장
Windosw via c 스터디17장Windosw via c 스터디17장
Windosw via c 스터디17장
 
Windosw via c 스터디12장
Windosw via c 스터디12장Windosw via c 스터디12장
Windosw via c 스터디12장
 
Windows via c/c++ 스터디9장
Windows via c/c++ 스터디9장Windows via c/c++ 스터디9장
Windows via c/c++ 스터디9장
 
Windosw via c/c++ 스터디5장
Windosw via c/c++ 스터디5장Windosw via c/c++ 스터디5장
Windosw via c/c++ 스터디5장
 
Windosw via c 스터디2장
Windosw via c 스터디2장Windosw via c 스터디2장
Windosw via c 스터디2장
 

Graphics 2장 행렬.pptx

  • 2. 1. 정의 • m x n 행렬(matrix) M은 m개의 행과 n개의 열로 이루어진 실수들의 정사각 배열이다. • 행(row)들의 개수와 열(column)들의 개수를 곱한 것을 행렬의 차원이라 부른다 • 행렬을 구성하는 수들을 원소(element) 또는 성분(entry)이라 부른다.
  • 3. 1. 정의 • 행렬 A는 4x4 행렬, B는 3x2행렬, u는 1x3행렬, v는 4x1행렬이다. • 행렬 A의 4행(네번째 행) 2열(두번째 열)의 성분은 A42 = -5이다. • 행렬 u와 v는 각각 행이나 열이 하나라는 점에서 특별한 행렬이다. • 이런 정류의 행렬을 흔히 행벡터(row Vector)나 열벡터(column Vector)라고 부른다. 이는 이들이 벡터를 행렬형태로 나타내는데 쓰이기 때문이다.
  • 4. 1. 정의 • 행렬을 벡터로 간주하는 경우.
  • 5. 1. 정의 • 행렬의 상등, 덧셈, 스칼라 곱셈, 뺄셈 등의 정의 1. 두 행렬은 오직 대응되는 성분들이 상등일 때에만 상등이다. 따라서, 두행렬의 상등을 비교하려면 두 행렬의 행 수와 열 수가 동일해야 한다. 2. 두 행렬을 더할 때에는 대응되는 성분들을 더한다. 따라서 행 수와 열 수가 같은 행렬끼리만 덧셈이 가능하다. 3. 행렬에 하나의 스칼라를 곱할 때에는 행렬의 모든 성분에 그 스칼라를 곱한다. 4. 행렬의 뺄셈은 스칼라 곱셈과 행렬 덧셈으로 정의한다. 즉, A – B = A + (-1 x B) = A + (-B) 이다.
  • 6. 1. 정의 • 행렬의 상등, 덧셈, 스칼라 곱셈, 뺄셈 등의 정의
  • 7. 2. 행렬 곱셈 • 행렬 곱셈의 정의 a. 만일 행렬 A가 m x n 의 행렬이고 B가 n x p 의 행렬이면 둘의 곱 AB는 하나의 m x p 행렬이 된다. b. A의 행벡터의 차원과 B의 열벡터의 차원이 일치해야만 AB가 성립한다. (간단히 생각하면 A의 가로 길이와 B의 세로길이가 일치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됨.) 위 예시에서는 A의 행벡터 차원은 2지만 B의 열벡터의 차원은 3이기 때문에 AB는 성립하지 않는다.
  • 8. 2. 행렬 곱셈 • 행렬 곱셈의 정의 곱 AB는 정의되지만 BA는 정의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B의 열 수가 A의 행 수와 같지 않기 때문. 따라서 일반적으로 행렬의 곱셈에서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는다.
  • 9. 2. 행렬 곱셈 • 벡터의 행렬과 곱셈 결과적으로 1 x n이 어떠한 행벡터 u와 어떠한 n x m 의 행렬 A에 대해 곱 uA는 A의 행벅터들의 일차 결합에 u의 스칼라 계수들이 적용된 것이다.
  • 10. 2. 행렬 곱셈 • 결합법칙 행렬 곱셈은 덧셈에 대한 배분법칙을 만족한다. 즉 A(B+C) = AB+AC이며 (A+B)C = AC+BC 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행렬 곱셈이 아래와 같은 결합법칙을 만족한다는 것이다. 덕분에 행렬들을 곱하는 순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AB)C = A(BC)
  • 11. 3. 행렬의 전치 행렬의 전치, 즉 전치행렬은 주어진 행렬의 행들과 열들을 맞바꾼 것을 말함. 따라서 m x n 의 행렬의 전치행렬을 n x m 행렬이다. 행렬 M의 전치행렬을 MT라고 표기한다. 1. (A+B)T = AT+BT 2. (cA)T = cAT 3. (AB)T = BTAT 4. (AT)T = A 5. (A-1)T = (AT)-1
  • 12. 4. 단위행렬 • 단위행렬은 주대각 성분(좌상에서 우하로의 주된 대각선에 있는성분)들만 1이고 나머지는 모두 0인 정방행렬이다. • 단위행렬은 곱셈의 항등원 역할을 한다. 즉, 만일 A가 m x n 행렬이고 B가 n x p 행렬, 그리고 I가 n x n 단위행렬 이라면, AI = A, IB = B 를 만족한다. • 다른 말로 하면, 어떤 행렬에 단위행렬을 곱해도 그 행렬은 변하지 않는다. • 단위행렬을 1의 행렬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행렬 M이 정방행렬이라면 단위행렬은 다음과 같은 곱셈 교환법칙을 만족한다. MI = IM = M
  • 13. 5. 행렬식 • 행렬식은 정방행렬을 받아서 실수 값을 산출하는 특별한 함수이다. 정방행렬 A의 행렬식을 흔히 detA로 표기한다.(혹은 |A| 로 표기하기도 함.) • 소행렬 n x n 행렬 A가 주어졌을 때, 그 소행렬 Āij는 A의 i번째 행과 j번째 열을 삭제한 결과로 생긴 (n – 1) x (n – 1) 행렬이다.
  • 14. 5. 행렬식 • 행렬식의 정의 • 한 행렬의 행렬식은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4 x 4 행렬의 행렬식은 3 x 3 행렬의 행렬식을 항으로 하여 정의되고 3 x 3 행렬의 행렬식은 2 x 2 행렬의 행렬식으로 정의된다. • A가 n x n 행렬이라고 정의 할 때, n>1 에 대해 A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15. 5. 행렬식(기하학적 의미) • 2차 정사각행렬 | 4 2 | | 1 5 | = 18 • 3차 정사각행렬
  • 17. 5. 행렬식(행렬식 구해보기) • 3차 정사각행렬 (대각선법칙)
  • 18. 5. 행렬식(행렬식 구해보기) • 3차 정사각행렬 (여인수전개)
  • 20. 6. 딸림행렬 이 여인수 행렬 CA의 전치행렬을 A의 딸림행렬(수반행렬)이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21. 7. 행렬의 역 • 행렬 대수는 나눗셈 연산을 정의하지 않지만, 곱셈에 관한 역(Inverse), 즉 역행렬에 대한 정의는 존재한다. 1. 오직 정방행렬만 역행렬을 가진다. 2. n x n의 행렬 M은 역시 n x n 행렬이며, M-1 로 표기한다. 3. 모든 정방행렬에 역행렬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역행렬이 있는 행렬을 가리켜 가역행렬이라 부르며, 역행렬이 없는 행렬을 가리켜 특이행렬이라 부른다. 4. 역행렬이 존재하는 경우 그 역행렬은 고유하다. 5. 행렬에 그 역행렬을 곱하면 단위행렬이 나온다. 즉 MM-1 = M-1M =I 이다.
  • 22. 7. 행렬의 역 • 다음은 딸림행렬과 행렬식을 이용해 역행렬을 구하는 공식이다.

Editor's Notes

  1.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WER API(Windows Error Reporting)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WER API를 사용하면 문제가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자세이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쉽게 버그를 찾고 수정할 수 있다고 한다.
  2. 벡터 표기법과 행렬 표기법을 자유롭게 바꿔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3. 종종 행렬의 행들을 벡터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다. 열벡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4. 이 딸림행렬을 이용하면 행렬의 역을 구하는 명시적 공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