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A c i t y a n d i t s s t r e a m
e d i t e d b y p e t e r g . r o w e
w i t h s a e - h o o n k i m a n d s a n g - h o o n j u n g
G r a d u at e S c h o o l o f D e s i g n , H a r va r d U n i v e r s i t y
I n c o l l a b o r at i o n w i t h S e o u l D e v e l o p m e n t I n s t i t u t e
A n A p p r a i s a l o f t h e C h e o n gg y e c h e o n R e s t o r at i o n P r o j e c t
a n d I t s E n v i r o n s i n S e o u l , S o u t h K o r e a
preface acknowledgments
10 12
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14
2
urban context
and precedents
50
3
project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80
contents
methodological notes chronology of events bibliography index
247 249 256
7
outcomes, issues,
and significance
208
4
project percept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124
5
other nearby plans
and projects
146
6
property development
and land markets
184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b. Mobility Analysis
c. Real Estate Economic Analysis
220
Copyright 201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ll rights are reserved. No part may be reproduced without permission.
A research report of the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Book and cover design by Wilcox Design
Printed and bound by Puritan Press
Cover images: Pil-soo Maing and Min-hwan Park
The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is a leading center for education,
information, and technical expertise on the built environment. Its departments
of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and Design offer
masters and doctoral degree programs and provide the foundation for its Advanced
Studies and Executive Education programs.
credits
Editor
Peter G. Rowe
Research Assistants
Sae-hoon Kim
Sang-hoon Jung
Production Assistants
Pil-soo Maing
Ji-hoon Song
Contributors
Kristen Hunter
Ok-hyun Kim
Pil-soo Maing
Min-hwan Park
Duck-su Seo
Ji-hoon Song
Text Editing
Melissa Vaughn
Design
Jean Wilcox
Wilcox Design
Transcription
Maria Moran
Translation
Sang-hoon Jung
Sae-hoon Kim
Pil-soo Maing
Front cover illustration
Pil-soo Maing
Back cover illustration
Min-hwan Park
Publication based on work conducted at the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during the Spring of 2010, in collaboration with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In the summer of 2009, there was a discussion with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about our interest in collaborating on a research project. From this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study and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an independent although government-supported
think tank and research center–generously agreed to both sponsor and collaborate
in an appraisal of this important project.
AlthoughwellknowninKoreanandEastAsianurbandesignandplanning
circles, Cheonggyecheon had not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e West,
despite broad popular acclaim at home in Seoul. Moreover, Cheonggyecheon and
its environs appeared to embody a relatively complex and complete set of issues
present among similar contemporary undertakings, quite apart from its unique
contributions to central Seoul. Following on from waterfront redevelopments,
urban stream and river restorations have been moving to the fore as venues for
improving cities’ amenities and meeting press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objectives. Already in East Asia—the focus of this particular research laboratory’s
activities—there are a number of examples one can point to, including Funanhe
and Shahe in Chengdu, China, and the Otagawa in Hiroshima, Japan. In short,
Cheonggyecheon seemed like an appropriate and useful case study, especially in
an educational milieu such as Harvard’s Graduate School of Design.
Conduct of this appraisal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took the form of a Faculty Research Seminar at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an educational vehicle that allows faculty to conduct research projects with
students as a part of the School’s regular academic program. This particular
seminar, simply titled Evaluation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and Its
Environs in Seoul, South Korea, was open to six students from different programs
in the School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0. They were: Kristen Hunter, Ok-
hyun Kim, Pil-soo Maing, Min-hwan Park, Duck-su Seo, and Ji-hoon Song. The
PREFACE 2009년 여름, 하버드대학교 디자인스쿨에서 서울시산하 시
정개발연구원과의 공동연구에 대해 관심을 갖고 협의한 것
이 본 연구가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청계천복원사업이 연구 주제로 선정되었고, 서울시 출연기
관이자 독립적인 서울시 씽크탱크 및 연구센터의 역할을 하
고 있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본 연구의 후원기관이자 공
동연구기관이 되었다.
청계천 복원은 비록 한국과 동아시아의 도시설계
및 도시계획계 내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서울에서의
대중적 호평에도 불구하고 아직 서구 세계에는 상세히 알려지
지 않았다. 더욱이 서울 도심에서 갖는 그 고유한 의의를 떠
나, 청계천 복원 과정은 이와 유사한 성격의 다른 프로젝트에
서도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이슈들이 비교적 복잡하고 포괄
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수변 재개발의 측면에서 볼 때
도심의 하천과 강의 복원은 도시의 여가시설을 개선하고 갈수
록 중요해지는 환경 보존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예는 중국 청두의 푸난허와 샤허,
일본 히로시마의 오타가와강 복원 등 본 연구진이 주로 다루
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에 이미 많이 존재한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 (Harvard GSD)에 의한 청계
천 프로젝트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미있는 작업이다.
본 청계천 복원 연구는 하버드 디자인대학 내에서
교수연구세미나 (Faculty Research Seminar)의 형태로 진
행되었는데, 이는 정규교육과정 중 교수진이 학생들과 함께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하는 아카데믹 프로그램이다.
이 세미나는 2010년 봄학기에 ‘서울의 청계천 복원사업과
그 주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이름으로 학교 내 서로 다른
11
PREFACE 10
class was assisted by two teaching and research assistants: Sang-hoon
Jung and Sae-hoon Kim. In addition to normal classroom activities,
two field trips were conducted. The first, in December 2009, was
largely for reconnaissance and data-gathering purposes, whereas the
more extensive field trip in March 2010 enabled the research team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key protagonists in the restoration
effort and to thoroughly examine Cheonggyecheon itself, as well as
other nearby and related projects. This publication i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effort and an appraisal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PETER G. ROWE
RAYMOND GARBE PROFESSOR OF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HARVARD UNIVERSITY DISTINGUISHED SERVICE PROFESSOR
학위과정에 속한 여섯 명의 대학원생들과 함께 진행되었다.
참여한 석사과정 학생들은 크리스틴 헌터, 김옥현, 맹필수,
박민환, 서덕수, 송지훈 등이다. 그리고 본 수업에는 두 명
의 박사과정 학생인 정상훈과 김세훈이 수업조교 및 연구조
교로 도움을 주었다. 일상적인 수업 진행 이외에도 두 번의
서울방문이 이루어졌다. 2009년 12월에 있었던 첫 번째 방
문은 현장 답사와 자료 수집이 주 목적이었고, 보다 포괄적
으로 진행된 2010년 3월의 두 번째 방문에서는 연구에 참여
한 전체 학생들과 교수가 복원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
했던 인물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했고 청계천 및 그와 관
련된 프로젝트들에 대해 철저한 관찰과 분석을 수행했다. 이
책은 이러한 연구진들의 학문적 노력과 청계천에 대한 평가
를 기록한 결과이다.
피터 로우
레이몬드 가베 건축-도시계획 교수
하버드대학교 석좌교수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under the able leadership of Mun-kun
Cheong, provided us with all of the information and collaborative insights
that we needed, in addition to their generous sponsorship of the project.
We were particularly indebted to Chang-woo Lee, the Director General of
the Office of Planning and Coordination, and for their patient tutelage
to: Byung-soon Jeong, Hee-yun Jeong, Wun-soo Kim, Guang-hoon Lee,
Seong-chang Lee, Hee-ji Lim, Hyun-chan Park, and Sung-il Shin. They
also organized an admirable historical briefing by Bong-hee Je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Numerous participants in the Cheonggyecheon project and
memb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ave of their valuable
time and cordially shared with us their understandings and insights
into what transpired. Notably, Yun-jae Yang, the Former Head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Headquarters, met with us on several
occasions both in Boston and Seoul. Also, Moon-young Son, Executive
Vice President of Hyundai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graciously met
with us on two occasions, providing very valuable managerial and technical
insights about the project and its impact in Seoul. Soo-hong Rho, the
Former Vice Chairman of the Cheonggyecheon Citizens’ Committee; Kee-
yeon Hwang, the former Chief of the Cheonggyecheon Research Group;
and Il-joong Kim, a Former Representative of the Environmental Justice
Citizens’ Coalition, kindly provided understanding of Cheonggyecheon’s
background and insight about the project’s governance. In addition
to Moon-young Son of Hyundai; Sang-joo Han, the Chief Executive
Officer of Dongil Engineering; Chang-gap Jeon, the Vice President
of Dongmyung Engineering; Jeong-yul Kang, Construction Manager
ACKNOWLEDGMENTS 정문건 원장 이하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본 연구의 공동연구
기관이자 후원자로써 연구에 필요한 소중한 정보 및 연구협
력에 대한 노력을 아낌없이 제공해 주었다. 특히 이창우 선
임연구위원은 하버드 연구진을 따뜻하게 환대해주었고, 정
병순 박사, 정희윤 박사, 김운수 박사, 이광훈 박사, 이성창
박사, 임희지 박사, 박현찬 박사 그리고 신성일 박사 등은 연
구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서울시정개발연
구원 연구진들은 또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전봉희 교수를
초청하여 서울의 역사에 대한 탁월한 설명을 경청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청계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수많은 분들과 서울
시 정부부처의 실무진들이 복원사업과 관련된 지식과 식견
을 성심껏 전해 주기 위해 소중한 시간을 할애해 주었다. 특
히 청계천복원 추진본부의 양윤재 전 본부장은 보스턴과 서
울에서 연구진과 몇 차례 만남을 가졌다. 또한 손문영 현대
건설 전무는 두 차례의 만남을 통해 복원공사와 관련된 관
리 및 기술적 문제들, 그리고 복원이 서울에 미친 영향에 대
한 매우 소중한 식견을 전해주었다. 노수홍 전 청계천복원시
민위원회 부위원장, 황기연 전 청계천지원연구단장, 그리고
김일중 환경정의 공동대표 등은 청계천 복원의 배경과 프로
젝트의 거버넌스에 대한 의견을 상세히 이야기해 주었다. 현
대건설 손문영 전무뿐만 아니라 한상주 동일엔지니어링 대
표, 전창갑 동명기술단 부사장, 강정률 GS 건설 소장, 박영
훈 탑엔지니어링 대표, 석재덕 대림산업 상무 등은 각 기업
의 청계천 복원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해 열심히 설명해 주었
다. CA 조경의 진양교 소장, 최진석 서울시 하천관리팀장 그
13
ACKNOWLEDGMENTS 12
of G.S. Construction; Young-hoon Park, Chief Executive Officer of TOP
Engineering; and Jae-duk Seok, Vice President of Daelim Construction,
enthusiastically shared with us their firms’ experiences in construction
of the project. Yang-gyo Jin, Principal at CA Landscape; Jin-seok Choi,
Manager of the Water Management Departmen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In-keun Lee, Chairma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frastructure Headquarter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design and related technical issues. Finally, Dong-yun Choi, Form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hief Negotiator for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Headquarters, and Woong-jae Lee, Former Representative
of the Cheonggyecheon Redevelopment Merchant’s Coalition, cordially
shared their views, albeit from different vantage points, about the project, as
did Seung-keun Park, Chief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ultural
Facilities Bureau.
In addition, we enjoyed the hospitality and support of Sohn-
Joo Minn and the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Korean Alumni
Association. Michael Lee from Samsung Construction and Technology, in
addition to being an esteemed member of this Association, shared with us
invaluable insights into the functioning of Seoul’s property markets.
Here at home, recognition should be given to Karen Kittredge for
her splendid assistance in helping manage the project from its inception;
to Maria Moran for her organizational support; and to Melissa Vaughn and
Jean Wilcox for their inspired nurturing of this publication to fruition.
리고 이인근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프로젝트의 설계
및 그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들에 대한 소중한 정보를 제공하
였다. 마지막으로 최동윤 전 청계천복원추진본부 총괄담당
관과 이웅재 전 청계천상인재개발대책위원회 위원장, 그리
고 박성근 전 청계천복원계획담당관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청계천 복원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성심 성의껏 설명해 주었
다.
그리고 본 연구진들은 연세대 민선주 교수와 한국
에 있는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 졸업생들의 따뜻한 환대
를 받았다. 그 중, 삼성물산의 이형석 차장은 서울의 부동산
시장에 관한 소중한 식견을 공유해주었다.
돌이켜 보건대, 본 프로젝트에 처음부터 여러
모로 섬세하게 신경을 써 준 캐턴 키트리지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마리아 모런은 행정적인 도움을 주었고 멜리사 본과
진 윌콕스는 본 출판이 완성되기까지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5 15
15
r u n n i n g h e a d h e r e
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제1장 공공성 개선과 패러다임 전환
2005년 10월 청계천복원사업 개장 이후, 대한민국 서울의 중심에 위
치한 청계천에는 연간 수백 만의 방문객들이 모여들었고, 도시의 거주
성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서울시의 노력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중
요한 장소가 되었다. 또한 이 사업은 열섬효과 개선, 바람길 회복, 동
식물 서식지 제공, 관광연계 효과 등으로 인해 국제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지상의 복개도로와 노후화된 고가도로를 제거하고 하부 하천
에 약 6km 길이의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주변 도시의 발전을 저해하던
물리적 장벽이 제거되었을 뿐 아니라, 서울의 단편화된 문화유적들을
연결하는 중추적 네트워크가 조성되었으며, 다양한 공공시설 및 도심
상업의 자생적 확대를 위한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국지적인 효과 이외에도, 청계천은 다시 한번 한국
의 도시화 과정에서 주목할만한 도시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시, 혹은
Since it opened in October 2005,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in central
Seoul, South Korea, has attracted millions of visitors annually and become a prominent
aspec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the amenity of the
city and the quality of life for its citizens. The project has been widely touted for its
amelioration of heat-island effects, restoration of wind corridors, provision of habit for
flora and fauna, and promotion of tourism, and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attention
and some acclaim. By removing portions of a grade-level roadway and a physically
obsolete elevated freeway to make way for the re-creation of an underlying stream as
the central feature of a roughly 6-kilometer-long public park, the city not only removed
a physical barrier that blighted the area and hindered economic development in its
vicinity, but also created the spine of a network linking heritage sites and opening up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of other worthwhile civic and commercial undertakings.
1.01 Four Views of the Hyongsedo
Concept of Hanyang (Unknown,
ca. 1765, National Library of Korea;
Unknown, 1700s, Yeungnam
University Museum; Unknown,
1776–1800,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im, 1824–1834,
Korea University Museum)
4개의 한양 형세도
17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상징하고 있다. 다시 말해 청계천 복원은, 공식적 그리고 비공식적으
로, 공공프로젝트에 대한 모호한 태도에서 보다 긍정적으로 도시의 미
래를 내다보는 태도로의 변화, 그 기능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서의 생활방식과 거주성이라는 포괄적인 주제로의 초점
이동, 그리고 도시를 단순히 관리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적극
적인 공공재 창출로의 도시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하나의 중요한 완결
점을 보여준다. 다른 지역이나 다른 역사적 시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은 한 순간에 갑자기 일어났거나 청계천 복원
이라는 단일 사건에 의해서만 일어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러한 전
환의 순간에 도달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고 많은 사건들이 있
었다. 그러나 도시 패러다임의 변화가 보다 명확해 지는 현 시점에서
청계천 복원은 대중들에게 가장 강하게 기억될 사건으로 보인다. 마찬
16
Beyond these local impacts, however, Cheonggyecheon came to symbolize a
major paradigm shift in Korean urbanization; it signaled the finality of a turning point
in discourse about the city—official and otherwise—from an ambivalence about public
projects to an optimistic forward-looking attitude, from a focus on relatively functional
matters to broader issues about lifestyle and livability, and from simply managing
urban affairs to actively promoting public good. As elsewhere and at other times in
history, this turning or tipping point did not happen all at once, nor solely because of
Cheonggyecheon’s restoration. In reality, it took some time in coming. At the end of
the turning moment, however, what happened at Cheonggyecheon seems to be most
vivid in the public mind. Also, this was not the first time that Cheonggyecheon had
served as a leitmotif of a change from one era to the next; it had symbolized such
events on at least two previous occasions. The present moment may not be the last of
가지로, 청계천이 시대 전환의 상징적 공간이 된 것은 서울의 역사 속
에서 이번이 처음은 아니며, 이미 최소 두 번의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그 중요한 장소로써의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리고 청계천은 아직 완결
된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어날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도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크다.
청계천이 서울의 중심에 자리하게 된 것은 조선왕조(1392-
1910) 3년 태조에 의해 한양이 수도로 지정된 14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청계천은 남쪽의 큰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나의 지
류로써 수도로 지정된 서울의 중심을 서에서 동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비교적 작은 간헐천이었다. 한양천도에서부터 청계천은 우주 및 기의
흐름과 관련해서 물, 바람, 방위 및 주변 산세 등의 조합에 있어서 새
로운 도시의 물리적 구조를 규정한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청계천의 하
천 흐름은 주변 산지에서 기원한 30여 개의 작은 지천에 의해 만들어졌
다. 청계천은 거주자들의 삶에 필수적인 생활용수를 제공했을 뿐만 아
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남향을 선호하는 양반들의 지역인 북촌과 일반
인들이 사는 남촌으로 한양을 구분 짓는 경계로 작용하기도 했다.
주기적인 홍수 위협에 직면한 조선왕조의 통치자들은 공공
의 안전 및 위생적 필요에 의해 청계천의 자연적 형태를 변형하기 위
한 다양한 일들을 실행에 옮겼다. 예를 들어, 태종은 1411년 물을 관
장하는 정부조직인 개천도감을 세우고, 1412년 석축과 목축의 설치를
포함한 개천의 준천을 위해 52,800여명의 백성들을 동원하였다.1
이
보다 2년 전인 1410년에는 광통교가 지어졌는데 이는 주로 국가적 행
사를 거행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1412년에서 1419년 사이에
태종은 청계천과 종로 주변에 다수의 상업 지역을 조성하였다.2
이후
1441년에 세종은 개천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표를 마전교 부근에
설치하였으며, 비슷한 시기에 정기적으로 개천을 유지 보수하고 홍수
를 조절하기 위한 기관인 수성금화도감을 설립하였다. 세종대에는 또
한 수표교가 만들어졌으며, 청계천을 한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
의 하수를 하류로 배출하는 도심 하수구로 사용할 것을 결정하였다.3
such occasions, for Cheonggyecheon can be still appreciated as a not altogether
finished project.
Cheonggyecheon’s presence in what is now Seoul dates from the late
fourteenth century, when the eventually walled city of Hanyang was initially established
by King Taejo in the third year of the newly founded Joseon Dynasty (1392–1910). At
the time, Cheonggyecheon was a relatively small, intermittent stream running from
west to east roughly through the center of what became the capital, as a tributary of
the much larger and navigable Han River to the south. From Hanyang’s foundation,
Cheonggyecheon enjoyed geomantic significance in the arrangement of wind and
water, and other orientations associated with cosmic breath and the energetic flow of qi
(Korean ki), all of which, together with the encircling mountains, strongly characterized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emerging city. In fact, for its part Cheonggyecheon was
fed and enlivened by some thirty smaller tributaries whose headwaters originated in
the surrounding hills. When flowing, Cheonggyecheon also provided water for urban
inhabitants and, over time, became something of a border within the walled city,
broadly separating the southern commoner quarters from the favorably solar-facing
aristocratic precincts to the north.
Not satisfied with the stream in its natural condition—as prone to periodic
and dangerous flash flooding—rulers in the Joseon Dynasty undertook various
modifications in the interest of public safety if not the health of their subjects. In
1411, King Taejong established Gaecheondogam, a water management authority. The
following year, 52,800 or so people were mobilized for extensive stream construction,
including emplacement of both stone and wooden embankments.1
Two years
earlier, the Gwangtong Bridge—Gwangtonggyo—was built, to be used primarily for
ceremonial purposes. Between 1412 and 1419, King Taejong also established a number
of market areas, all with relatively close associations to Cheonggyecheon and Jongno,
a prominent street running parallel to the stream on the north.2
Later, in 1441, King
Sejong installed a marker at the Majeongyo to monitor water levels, while creating
another authority to periodically oversee repairs, maintenance, and flood-control
19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18
1
2
4
3
5
6
7
9
11
1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8
1. Baekwoondongcheon
2. Okryudongcheon
3. Sajikdongcheon
4. Gyeongbokgung Naesu
5. Gyeonghuigung Naesu
6. Samcheongdongcheon
7. Daeeunamcheon
8. Cheongreungdongcheon
9. Changdongcheon
10. Hoihyundongcheon
11. Namsandongcheon
12. Yijeondongcheon
13. Chujadongcheon
14. Pildongcheon
15. Saengmindongcheon
16. Mooksadongcheon
17. Changdeokgung Okryucheonsu
18. Hoidongcheon
19. Geumweeyoungcheon
20. Bukyoungcheon
21. Ankukdongcheon
22. Ssangyimundongcheon
23. Namsomundongcheon
24. Seonggyungwan Heungdeokdongcheon
Cheonggyecheon
Mt. Bugaksan
Mt. Inwangsan
Mt. Namsan
1.02 The Branches of Cheonggyecheon
(Sourc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6, 11)
청계천의 지류들
1
2
4
3
5
6
7
9
11
1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8
1. Baekwoondongcheon
2. Okryudongcheon
3. Sajikdongcheon
4. Gyeongbokgung Naesu
5. Gyeonghuigung Naesu
6. Samcheongdongcheon
7. Daeeunamcheon
8. Cheongreungdongcheon
9. Changdongcheon
10. Hoihyundongcheon
11. Namsandongcheon
12. Yijeondongcheon
13. Chujadongcheon
14. Pildongcheon
15. Saengmindongcheon
16. Mooksadongcheon
17. Changdeokgung Okryucheonsu
18. Hoidongcheon
19. Geumweeyoungcheon
20. Bukyoungcheon
21. Ankukdongcheon
22. Ssangyimundongcheon
23. Namsomundongcheon
24. Seonggyungwan Heungdeokdongcheon
Cheonggyecheon
Mt. Bugaksan
Mt. Inwangsan
Mt. Namsan
한참 후 1760년에는 영조가 청계천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200,000여명의 인력을 57일 동안 동원하였고, 하천 제
방의 일부를 직선화하였으며 개천 전체를 석축으로 개축하였다.4
뿐만
아니라, 영조는 준천에 참여한 인력들에게 개천을 따라 새롭게 조성된
땅을 일종의 보상으로 제공하고 상행위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함
으로써 향후 역사를 대비하였다. 이와 같은 준천을 통해 동대문과 남
대문 주변 지역 등 청계천 주변의 다른 상가 구역 또한 확장되었으며,
activities (Suseonggeumhwadogam). Supyogyo, another bridge, was also built during
Sejong’s reign, and Cheonggyecheon became used as a sewer.3
Much later, in 1760, King Yeongjo mobilized 200,000 workers for fifty-seven
days to dredge Cheonggyecheon. He also more fully established a stone embankment,
along with some necessary stream straightening.4
Moreover, for those workers who
agreed to engage in further stream dredging, he provided plots of newly developed land
along the stream’s edge, as well as the right to trade. Other markets within the vicinity
1420 Majeongyo
(Supyogyo)
1441 Supyo
(Watermark)
1421 Deokseongbanggyo
1421 Changseonbanggyo
(Three Bridges)
1421 Yeonhwangbanggyo
(Two bridges)
Stone Embankment
and Dredging
Jongmyo-dong Sugumun
Dongdaemun
1421 Jeongseonbanggyo
1421 Branch Stream Excavations and Embankments
Bridge
Bridge (Unknown Location)
Stone Embankment and Dredging Wood Embankment
and Dredging
Gwangtonggyo
Jongmyo-dong
Hyejunggyo
Jeongseonbangdonggugyo
Mojeongyo
Sogwangtonggyo
Jangui-dong
Sugumun
Dongdaemun
Commoner’ Quarters
Aristocrat
Military
Authorized
Merchant
Technocrat
1.03 1.04 1.05
2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0
of Cheonggyecheon, such as those in the Dongdaemun and Namdaemun areas,
were also expanded, and factories became included within the well-established
authorized markets (Unjongga), supplying vendors with products.5
Certainly by
this time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Cheonggyecheon epitomized the Joseon
Dynasty’s concern for public safety, its mature development of flood-control
infrastructure, and the enduring location of markets and industries. In many
respects, those features were to last well into the contemporary period. It is also
운종가와 같은 시전 구역에는 상가에 물품을 제공하는 공장들이 들어
섰다.5
18세기 후반까지의 청계천은 공공안전과 치수를 위한 기반시설
확충 및 상공업 지역 조성 등에 대한 조선 왕조의 노력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장소였다. 이렇게 형성된 청계천 및 그 주변의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태종
대에 최소한 개천 상류에 대해 복개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결국
태종에 의해 반려되었다는 점이다.6
또한 세종대에는 하천을 깨끗한
Hyejunggyo
Changdeokgungdonggu
Namdaemun
Jongru
Daegulmun
Jungsunbangdonggu
Jongmyojeon Munru
Dongdaemun
Gyeongbokgung
Nambang
1
4
1
4
1412
1
4
1
2
1412
-141
3
1414
1412-1413
Newly
Developed
Land
Metal
Shoes
Beadband Button
Cabinet
Gold, Silver, and Jade
Brass
Book
Pharmacy
Private Market
(Ehyun)
Private Market
(Chilpae)
Authorized Market
(Unjongga)
Stream Dredging (1760) and
Stone Embankment (1773)
1.03 Stormwater Improvements
under King Taejong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69; The History of Seoul
Metropolitan. http://seoul600.
seoul.go.kr)
태종대 준천 현황
1.04 Stormwater Improvements
under King Sejong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71; The History of Seoul
Metropolitan. http://seoul600.
seoul.go.kr)
세종대 준천 현황
1.05 Divisions of Han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52–53)
조선시대 한양 공간 구분
1.06	Market Areas under King
Taejong (Source: Drawn
based on The History of Seoul
Metropolitan. http://seoul600.
seoul.go.kr)
태종대 도성 내 상가 지역
1.07 Markets, Factories, and
Stormwater Improvements
under King Yeongjo (Source:
Drawn based on Jeon 2001,
19–20; Cho 2005, 54–57)
영조대 준천 및 상가, 공장 현황
1.06 1.07
상태의 명당수로 유지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한양에 필수적인
하수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현실적 필요에 의해 거부되었다.7
일제 강점기 (1910-1945) 중에도 공공안전의 측면에서 홍
수조절과 이후 화재예방을 중요시하는 풍토는 계속 이어졌고, 공공위
생의 측면이 한층 강조되면서 근대적 공공시설 및 기반시설 조성이 시
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또한 청계천이 ‘열린 하천’ 이라는 의미의 개천
으로 불리다가 ‘맑은 하천’ 이라는 의미의 현재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
다.8
1918년 일본 정부는 청계천과 주변 주요 지류들의 준천을 위해 당
시 돈 250,000원의 예산을 할당하였고, 이후 이러한 준천작업은 정기
적으로 시행되었다. 하천과 주변의 지류들은 도시 전반의 하수 시스템
interesting to note that init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the idea of covering
over Cheonggyecheon, or at least in its upper reaches, was debated, but eventually
opposed by the King himself.6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idea of returning
the stream to a purer state was also discussed, but rejected in favor of the pragmatism
of its use for needed drainage.7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otherwise known as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1910–1945), an orientation toward public safety continued
with regard to flooding and later fire protection, together with the beginnings of
modern utilities and infrastructure concomitant with a rising concern for public
health. This was also the time at which Cheonggyecheon got its present name, which
1.08 1.09
1.08 Juncheongyechup under King
Yeongjo (Source: Unknown, ca.
1760, Ho-am Art Museum)
준천계첩
1.09	Supyogyo (Sourc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0)
수표교
23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2
을 위해 암거화되었다.9
1920년대 후반에 이르러 상하수도 배관시스
템과 한강 주변의 정수시설이 조성되었고 1915년부터 일제에 의해 대
부분 철거된 서울성곽 안쪽의 청계천 지역에도 상수도 공급이 시작되
었다.10
예전에 상권이 형성된 지역은 현대적인 상업지역으로 변모하
기 시작했으며, 일본인 점유와 한국인 점유로 구별되는 남촌과 북촌의
구분이 거의 청계천을 따라 이루어졌다. 특히 새롭게 서비스가 공급된
지역에서의 공장 위치 또한 이러한 패턴을 보인다.11
1930년대에 이르
러 서울의 중심부 및 남쪽에 전차가 도입되었으며, 그 노선들은 청계
천을 남북방향으로 가로질렀다.12
1937년 중일전쟁 직후에는, 폭격에
의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저층 및 노후화된 도시 조직을 가
meant “clean water” in Japanese.8
The Korean, in fact, was Gaecheon, meaning “open
stream.” In 1918, the Japanese government allocated 250,000 won for the dredging
of Cheonggyecheon along with some of its major tributaries, a practice that was to
persist regularly thereafter. The stream and its tributaries also became the conduit
right-of-way for an area-wide sewer system.9
By the late 1920s, a piped water system
with water purification plants, near the Han River, was in place, servicing much
of the Cheonggyecheon area that was once inside the city walls, most of which the
Japanese had demolished, beginning in 1915.10
Older market areas were transformed
into modern market systems, and a dividing line developed, between Namchon
to the south and Bukchon to the north, almost along the edge of Cheonggyecheon,
Dredged Stream Reaches
(Specific Locations Unknown)
Gwanghwamun
To Sindap
Railway Bridge
1.10
1.10	Dredged Stream Reaches under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131)
일제 시대 하천 준설 범위
demarcating the area of Japanese occupancy from that of Korean. The location of
factories, especially within the now well-served areas, more or less followed suit.11
By
the 1930s, tram service had been install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city,
with lines straddling Cheonggyecheon to both the north and south.12
Then in 1937, on
the heels of the Sino-Japanese war, the Air Strike Defense Law was enacted (although
not implemented thoroughly until the 1940s), whereby 50-meter-wide fire breaks were
cut through the low-rise and often ramshackle urban fabric, to prevent, or arrest, the
spread of fire from air raids on the city.13
Several of these crossed Cheonggyecheon, to
be used later for redevelopment projects. In 1926 the Japanese also began to formulate
a plan to cover Cheonggyecheon with a reinforced-concrete deck hosting building
development, as well as a road. In fact, they began construction on several upstream
branches beginning in the same year. This plan, largely in the service of eradicating the
appearance of a deteriorating water body along almost its entire length, was abandoned
due to concerns about drainage and flooding while work was in progress. Work did
commence in 1937, however, covering the stream from Taepyeongno in the direction
of Gwangtonggyo.14
In the aftermath of the birth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and the later
civil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heonggyecheon became covered, although
this time to make way for a broad transportation artery. Extending nearly 6 kilometers
from Mojeongyo in the west, first to Gwangtonggyo in 1955 and then downstream to
the Sindap Railway Bridge in the east, full-scale work began on the roadway in 1958,
taking several decades to complete.15
More than 240,000 people were mobilized, as a
reinforced-concrete deck on columns placed into the stream bed and along its sides
was erected, together with drainage and sewer conduits.16
This decking essentially
entombed the stream below and resulted in the demolition of numerous shanties that
had been built along the banks in the aftermath of wartime destruction and massive
immigration, mainly from rural areas.
The textile industry began to boom from the mid-1960s, with the garment
industry blossoming around Dongdaemun, not far from Cheonggyecheon.17
Tool
로지르는 50미터 폭의 소개공지를 설치하는 방공법이 제정되었고, 이
는 40년대에 이르러 도시 전역에서 시행되었다.13
청계천을 가로지르
는 소개공지 중 일부는 향후 재개발 사업을 위한 대지로 이용되었다.
1926년 조선총독부에서 도로와 함께 건물을 그 상부에 건설하고자 철
근 콘크리트로 청계천을 복개하는 계획을 공식화 하였으며, 실제로 같
은 해에 청계천의 일부 지류에 대해 공사를 시작하였다. 수질이 악화
된 하천을 은폐시키기 위해 시행된 이 계획은 건설 도중에 배수 및 홍
수위험 문제로 인하여 폐기되었다. 하지만 1937년에 일부 시행되어 태
평로에서 광통교 방향의 일부 구간은 복개가 이루어졌다.14
1948년의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이후 한국전쟁이 끝난 후,
그 상부를 주요 간선도로로 사용하기 위해 청계천 복개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광통교까지의 구간이 1955년에 복개되었고, 그 후 서쪽으로
는 모전교에서 동쪽으로 신답철교에 이르기까지 약 6km 구간에 대한
전면적 복개 공사가 1958년에 시작되어 상당기간 계속되었다.15
24만
명 이상의 건설인부가 동원되어 하상에 세운 기둥 위로 철근 콘크리트
복개구조물이 놓여졌고, 그 주변으로 하수 및 배수관이 설치되었다.16
이러한 복개공사는 근본적으로 하천을 지하화하였고, 이를 위해 전쟁
중 주로 농촌지역에서 유입된 대규모 이주민들이 제방을 따라 조성한
대규모 판자촌들이 철거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의 국내 섬유산업의 호황과 함께 청계천
주변의 동대문 지역에서는 의류산업이 성황을 이루었다.17
전후 군부
대에서 흘러나온 군수품을 주로 취급하던 공구상가는 대부분 종로와
창덕궁 주변 청계천 북측에 위치해 있었는데 청계천 복개 후 남쪽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게 된다.18
복개된 청계천의 폭은 50m에서 90m에 이
를 정도로 상당히 넓었으며, 복개된 곳 중 평화시장 주변과 같은 일부
지역은 노천 시장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공사기간 중에도 전차는 공
사현장을 가로지르며 계속 운행하였다. 그 후, 1967년에서 76년에는
청계고가도로가 건설되었고, 이를 남산1호터널과 연결하는 삼일고가
도로는 1969년에서 70년에 세워졌다.19
25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4
stores, often trading in military surplus after the civil war, located on the north side
of the stream, along Jongno near Changdeok Palace, before moving to the south
after Cheonggyecheon was covered and became a broad thoroughfare.18
Indeed, the
covering was quite wide, varying somewhere from 50 to 90 meters. It also served as
an open-air market in some areas such as Pyeonghwa. During construction, a tram
line also continued to operate across the construction activity. Then, between 1967
and 1976, the Cheonggye Elevated Highway was constructed, along with the Samil
Elevated Bypass, between 1969 and 1970, leading to the Namsan number-one tunnel.19
At the time, the elevated freeways associated with Cheonggyecheon were not
the only ones constructed. However, they were the longest and most conspicuous.
Hyun-ok Kim, the Mayor of Seoul between 1966 and 1970 (sometimes referred to
as “Kim the Bulldozer” for his prowess in the construction of modern public works),
was reported to have justified the necessity of the highway construction by simply
observing that “cars must run fast.”20
Certainly, modern expressways and the jump into
the automobile era were consistent with the rapid yet narrowly construed production-
oriented version of modernization being pursued by the military regime, ushered in
by Chung-hee Park in the coup of 1961. Also being advanced at much the same time
was high-rise apartment living, replacing traditionally oriented courtyard and low-
rise dwelling, as an expression of having arrived in the modern world. Nearby to the
Cheonggyecheon right-of-way, a number of new modern buildings were constructed,
including the Miesian-like steel and glass 3.1 Building at the junction with the Samil
Elevated Bypass. Segments of the Cheonggye Elevated Highway further downstream
were also lined with modern high-rise public housing. Then there was the remarkable
Sewoon Sangga complex, built on both sides of the Cheonggyecheon right-of-way in
a tangential, north-south direction in one of the former fire break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multi-storied, horizontal, almost 1-kilometer-long project by Soo-
keun Kim was made up of apartments, offices, commercial retail space, and a hotel.
The interconnected structure was raised on pilotis and crossed by “sky streets.” In
fact, it was one of the few buildings realized anywhere in the world at the time that
물론 청계고가도로가 당시 서울의 유일한 고가도로는 아니
었다. 그러나 청계고가도로는 그 중 가장 길었으며 가장 눈에 띄는 고
가도로이기도 했다.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서울시장을 역임했으며
근대 공공건설프로젝트에서 보여준 추진력 때문에 ‘불도저 시장’이라
불리던 김현옥 시장은 “차량은 빨리 달려야 한다”는 철학으로 고가도
로 건설의 필요성을 정당화한 것으로 전해진다.20
분명 한국에서의 근
대적 고속도로 체계와 자동차 시대로의 진입은 1961년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정부가 추구한 생산위주의 급진적 근대화와 일
맥상통한다. 또한, 근대사회의 도래를 상징하듯 전통적 중정형 및 저
층 주택을 대체하여 등장한 고층아파트 주거형식의 도입 역시 거의 비
슷한 시기에 가속화되었다. 삼일 고가도로와 청계천의 교차점 위치에
우뚝 서 있는 미스 반데로에 스타일의 삼일 빌딩을 비롯, 청계천 주변
에는 다수의 근대적 건축물들이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청계 고가도
로에서 보다 하류 구간에는 근대적인 고층 공공주택들이 줄지어 들어
섰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일제시대 소개공지 중 하나였던 대지 위
에, 주목할 만한 건축물인 세운상가가 청계천을 길게 가로지르며 남북
방향으로 지어졌다. 건축가 김수근에 의해 설계된 길이 1km에 이르는
이 수평적 복층 건축물은 아파트, 오피스, 상가 및 호텔 등으로 구성되
었다. 서로 연결되어 있는 건물의 구조물들은 필로티 위에 띄워졌으며
소위 ‘공중 가로’에 의해 서로 교차하였다. 실제로 이 건물은 당시 세
계의 건축계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팀10의 도시-건축 개념
에 따라 실제로 지어진 매우 보기 드문 근대건축물 중 하나이다. 이러
한 급진적 개발과 근대화의 시기에 한국의 도시화 패러다임은 한번의
큰 변화를 겪는다. 도시의 기반시설은 국가경제발전을 나타내는 주요
상징물이 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1974년 시작된 사우디아라비아 주
베일항 건설 계약 등 토목인프라 건설분야에 있어서의 한국의 역량이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한국 국가경제의 비약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군사정권 초기
에 이미 이러한 방식의 근대화에 대한 균열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
0 1 2 4km
Ttukseom Water Purification Plant
Noryangjin Water Purification Plant
1.11
27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6
1.12
0 0.5 1 2km
Korean-Owned Factories
Japanese-Owned Factories
Ratio of Japanese >35% (1942)
1.11	Water Supply in the Late 1920s and the
Ttukseom Purification Plant of 1912
(Source: Drawn based on Kim 2003,
308, 312)
1920년대 후반 상수도 현황 및 1912년
뚝섬 정수장
1.12	Distribution of Korean and Japanese-
Owned Factories in 1936 (Source:
Drawn based on Kim 2003, 33, 41)
1936년 한인, 일인 소유 공장 분포
0 1 2 4km
Tram Lines (1936)
1.13	Distribution of Tram Lines in 1936 and Tramway
Crossing Cheonggyecheon (Source: Drawn based
on Kim 2003, 161; Seoul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04, 177)
1936년 전차 노선 및 청계천을 지나는 전차
29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8
0 1 2 4
Air Strike Defense Fire Break
1.14	Air Strike Defense Fire Breaks, circa 1940 (Source:
Drawn based on Son 2003, 246; Kim 2003, 476;
U.S. Army 1946; Hur 1989, 40;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0a, 244)
1940년경 소개공지 현황
0 1 2 4
Air Strike Defense Fire Break
3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30
1.15	Keijo (Seoul) City Map of 1927
with Roadway Improvements
(Source: Hur 1989, 36)
도로체계가 개선된 1927년
경성지도
1.16	Covered Section of
Cheonggyecheon during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ourc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ww.archives.go.kr/
english/index.jsp)
일제시대 청계천 복개구간
1.16
closely conformed to the academically influential Team 10 urban-architectural doctrine.
It is within this moment of rapid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at the paradigm of
urbanization in South Korea changed once again. Infrastructure became an expression of
national development and its palpable symbol, just as Korean prowess i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tarted to command international attention, with the Jubail Port contract
in Saudi Arabia, beginning in 1974.
Cracks began to appear relatively early in the military regime’s modern edifice,
despit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national economic activity. From its standing a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South Korea was painstakingly making its
way up the economic ladder. Then in 1970 labor issues, previously hidden from view,
appeared tragically in public with Tae-il Chun’s self-immolation. Chun was a tailor
in the Pyeonghwa market who was protesting the atrocious labor conditions in the
garment industry.21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tion in the central area of Seoul,
of which the Cheonggyecheon districts were a fundamental part, were losing out to
polycentric development elsewhere in the metropolitan area, such as Gangnam to
다. 전세계에서 가장 가난했던 국가들 중 하나에서 짧은 시간 경제강
국으로 성장하는 험난한 길을 한국은 걸어갔다. 하지만 근대화의 그늘
에 가려져 있던 노동자들의 비참한 현실이 1970년 전태일의 분신과 함
께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평화시장에서 재단사로 일했던 전태일은
의류 산업의 처참한 노동환경에 대해 저항했다.21
한편 서울이 다핵구
조의 도시로 변화함에 따라 청계천을 중심으로 한 서울 구도심의 경제
활동과 인구는 한강 이남의 강남과 같은 지역으로 빠져나갔다. 1979
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과 전두환의 군사 쿠데타, 그리고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발발과 이에 대한 탄압이 이어졌다. 시간은 흘러갔고,
시청 앞 대규모 시위와 5일간의 명동성당 연좌시위로 대표되는 1987
년 6월 항쟁 등으로 인해 군사정권의 시대는 점차 막을 내리고 있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고, 90년 3당
합당을 통해 93년 대통령에 당선된 김영삼은 군사 정권을 종식시켰
으며, 뒤이어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들의 등장과 함께 한국의 민주
주의는 발전해갔다. 착취와 비민주적 억압에 대한 저항의 공간으로
써 청계천과 그 주변 지역은 이러한 한국 근대사의 생생한 증인이기
도 하다.
이와 거의 동시인 1990년대 초반 경, 많은 교통량을 소화
하던 청계고가도로와 삼일고가도로에 대한 정밀 조사의 필요성이 대
두되었고, 보수공사는 끊이지 않았다. 1991년에서 92년 사이 이루어
진 대한토목학회의 청계고가도로 정밀안전검사는 구조물 내부의 철골
이 부식되었으며 그 상판이 구조적으로 열악한 상태임을 밝혀내었다.
이는 1994년부터 1999년까지의 남산터널에서 시작되는 삼일 교차로
2km 구간에 대한 전면적 정비로 이어졌다. 그리고 1997년부터 청계
고가도로 구간은 승용차 이외의 차량 통행이 전면 제한되었다.22
이러
한 2000년 말에서 2001년에 이르는 시기에 명확해진 것은 과거 시대
의 가장 중요한 성취였던 도시인프라건설의 결과가 더 이상 지속가능
하지 않다는 것이다. 즉 청계고가도로는 더 이상 안전하지 않으며, 거
의 재건 수준의 근본적인 수리나 철거가 요구되었다. 불행하게도 서울
은 급속한 근대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지어진 구조물들의 붕괴참사에
대한 경험이 이미 있었다.
1990년대부터 청계천 복원 문제는 학계와 도시계획 전문가
집단, 그리고 환경보존가들 사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였고, 복원의 필
요성과 그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파급효과 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
되기 시작하였다. 복원에 대한 생각을 누가 처음 시작했는지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최종 프로젝트의 결과와 무관할 수도 있다.
복원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 논의는 늦어도 1991년경 학계를 중심으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분야의 노수홍 교수
가 비공식적으로 역사학자 이희덕 교수와 복원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
를 나누었다. 또한 노수홍 교수는 1998년 ‘토지’로 유명한 소설가 박경
리 선생과 청계천 복원에 대한 이야기를 직접 나누었다. 이들은 청계
천살리기연구회를 조직하여 2000년도 9월에 박경리 선생의 토지문화
관에서 첫 번째 심포지엄을 갖는다. 연세대학교와 공동 주최 하에 이
틀에 걸쳐 이루어진 본 심포지엄에는 경제, 법학, 문화, 환경, 생태, 공
the south across the Han River. Chung-hee Park was assassinated in 1979, followed
by Doo-hwan Chun’s further military coup and the uprising and repression of the
Gwangju Democratic Movement in 1980. With the 1987 June Uprising, marked by
massive demonstrations in front of City Hall and a five-day sit-in at nearby Myung-
dong Church, time began to run out on the military regime. Seoul’s hosting of the
Olympic Games in 1988 focused attention on human rights, and following the three-
party political merger of 1990, Young-sam Kim became president in 1993. The end
of military rule enabled democracy to emerge, with a succession of democratically
elected civilian governments in the years since. As spaces of exploitation and spaces
of demonstration, Cheonggyecheon and its more immediate vicinity played witness
to most of these events.
At much the same time, the heavily traveled Cheonggye Highway and its
Samil Bypass were subject to increasing scrutiny and continued repair. Between 1991
and 1992,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safety evaluation of the elevated
roadways found steel beams corroded and construction top plates in poor condition.
This was followed in 1994 to 1999 by a complete overhaul of a 2-kilometer section
of the Samil Bypass leading out from the Namsan Tunnel. By 1997, access on the
Cheonggye Highway was restricted to passenger vehicles only.22
At this juncture,
around late 2000 and into 2001, it became reasonably clear that perhaps the most
prominent urban infrastructure achievements of the prior era were unsustainable.
The Cheonggye Highway was unsafe and would have to undergo substantial repair,
almost to the point of reconstruction, or it would have to be demolished. Unfortunately,
Seoul was no stranger to construction failures, with almost all coming from the same
era of very rapid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From the 1990s onward, Cheonggyecheon came under periodic discussion
in academic and professional circles, as well as among conservationists, leading to
reasonably broad acceptance of the stream restoration project with its likely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Initiation of the idea is difficult to trace to
any single source with certainty and is probably irrelevant to the eventual outcome.
33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32
공보건, 그리고 공학 등 서로 다른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는 청계천 복원과 관련된 각종 분야를 망라한 첫 번째 공식적인 모
임이었고 이후 2001년도 및 2002년도 청계천살리기심포지엄을 통해
복원비용 등 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24
양윤재 당시 서울
대 환경대학원 교수도 복원에 따른 잠재적 효과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
지기 시작했고 대학원생들과 함께 관련된 학술활동을 했다. 1993년 해
외에서 방문교수 생활을 하면서 그는 독일과 미국에서의 하천복원과 관
련된 바이오엔지니어링 및 기타 여러 측면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25
청계천 복원에 대한 논의는 갈수록 확대되어 학계 밖으로도
뻗어나갔다. 예를 들어 대표적 진보성향 매체인 한겨례 신문은 2002
년 1월 1일 청계천 복원에 대한 박경리 선생의 글을 특집기사로 실었
고, 2002년 4월 9일에서 7월 3일에 걸쳐 ‘청계천에 새 생명을’이라는
제목 하에 열 편의 특집기사를 연재하였다.26
또한 2002년 청계천 복
원사업이 서울시장 선거공약으로 쟁점화되자 1994년 설립된 녹색연합
과 1989년 민주화 운동 과정에 설립된 영향력 있는 시민단체인 경실
련 등도 자신의 입장을 발표하거나 시장선거 출마자들에게 압력을 행
사하는 등 복원사업에 대한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전달했다.27
2002년
시장선거가 진행되는 동안 주요 일간지들 또한 청계천 복원 여부에 대
해 갈수록 관심을 기울였다.
2002년 각 정당별 서울시장 후보자가 윤곽을 드러내자 청
계천 복원은 후보자 간에 큰 시각차이를 드러낸 중요 이슈로 부각되었
다. 보수성향의 한나라당에서는 당시 61세였던 이명박 후보가 서울시
장 후보로 결정되었다. 진보성향의 민주당에서는 소위 386세대 – 30
대 전후로 198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며 1960년대에 태어난 – 출신의
김민석 후보가 서울시장 후보로 결정되었다. 두 후보 모두 1992년도
에 정계에 진출하였는데, 이명박 후보는 강력한 재벌인 현대그룹의 계
열사인 현대건설의 CEO 출신이었고, 김민석 후보는 1980년대 민주화
학생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처음부터 이명박 후보는 청계천 복
원문제를 선점하여 최우선 선거공약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반해, 김민
Initial discussions appear to have taken place as early as 1991, if not before, in
academic circles. Soo-hong Rho, a professor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t Yonsei
University, discussed the idea with the historian Hee-deok Lee, at least informally.23
He also took the idea up more directly in 1998 with the notable writer Kyung-ni
Park, author of the bestseller The Land. Together, Rho, Lee, and Park formed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called the Cheonggyecheon Revival Academy in
2000, holding their first symposium on reviving the stream in September of that
year at Park’s Land Museum, outside of Seoul. Participating in the two-day event
sponsored, at least in part, by Yonsei University, were numerous specialists from
the fields of economics, law, culture, environment, ecology, public health, and
engineering. It was the first time such a cross-disciplinary gathering had been held
and resulted in the organization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Study Group.
Subsequent symposia were held in 2001 and 2002, further detailing proposals
for recovery, including costs.24
Others such as Yun-jae Yang, then a professo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also
started looking at the potential benefits of stream restoration, conducting surveys
with graduate students. As a visiting scholar abroad in 1993, he also spent time
looking into bioengineering and other aspects of stream recovery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25
Gradually, momentum behind the idea of stream restoration increased
and broadened beyond academic circles. The Hankyoreh, a prominent left-
leaning newspaper, published an article by Kyung-ni Park on the prospect of
Cheonggyecheon’s restoration on January 1, 2002, with an intention to serialize
ten subsequent articles with Professor Rho, which were eventually published
under the title “Bring New Life to Cheonggyecheon” from April 9 to July 3, 2002.26
Then, as the topic became more intertwined with the mayoral elections of 2002,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Green Korea, founded in 1994, and even
the influential Kyungsilren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founded
during the democratic movement in 1989, became involved, taking positions and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Cheonggyecheon Ch.1.pdf city planning projects

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
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
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
wannabmuse
 
후츄 프로젝트 모집안
후츄 프로젝트 모집안후츄 프로젝트 모집안
후츄 프로젝트 모집안
wannabmuse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legokim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SoJung Kim
 
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
sujin park
 
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
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
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seekly
 
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
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
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
여성환경연대
 

Similar to Cheonggyecheon Ch.1.pdf city planning projects (9)

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
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
문화 프로젝트 모집안 3
 
후츄 프로젝트 모집안
후츄 프로젝트 모집안후츄 프로젝트 모집안
후츄 프로젝트 모집안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기_조화해요_탐방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2기_영감쟁이_탐방 계획서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김상우 경춘선폐선부지 감성을 입히는 시민 참여 홍보 전략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주민과 함께하는 삼호철새마을 만들기 최종보고서
 
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연구원 소개
연구원 소개
 
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
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
최종 역사문화의길수정계획 1차중간보고 수정
 
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
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
도시생태계의 이해(2004년_오충현)
 

Cheonggyecheon Ch.1.pdf city planning projects

  • 1. A c i t y a n d i t s s t r e a m e d i t e d b y p e t e r g . r o w e w i t h s a e - h o o n k i m a n d s a n g - h o o n j u n g G r a d u at e S c h o o l o f D e s i g n , H a r va r d U n i v e r s i t y I n c o l l a b o r at i o n w i t h S e o u l D e v e l o p m e n t I n s t i t u t e A n A p p r a i s a l o f t h e C h e o n gg y e c h e o n R e s t o r at i o n P r o j e c t a n d I t s E n v i r o n s i n S e o u l , S o u t h K o r e a
  • 2. preface acknowledgments 10 12 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14 2 urban context and precedents 50 3 project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80 contents
  • 3. methodological notes chronology of events bibliography index 247 249 256 7 outcomes, issues, and significance 208 4 project percept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124 5 other nearby plans and projects 146 6 property development and land markets 184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b. Mobility Analysis c. Real Estate Economic Analysis 220
  • 4. Copyright 201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ll rights are reserved. No part may be reproduced without permission. A research report of the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Book and cover design by Wilcox Design Printed and bound by Puritan Press Cover images: Pil-soo Maing and Min-hwan Park The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is a leading center for education, information, and technical expertise on the built environment. Its departments of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and Design offer masters and doctoral degree programs and provide the foundation for its Advanced Studies and Executive Education programs.
  • 5. credits Editor Peter G. Rowe Research Assistants Sae-hoon Kim Sang-hoon Jung Production Assistants Pil-soo Maing Ji-hoon Song Contributors Kristen Hunter Ok-hyun Kim Pil-soo Maing Min-hwan Park Duck-su Seo Ji-hoon Song Text Editing Melissa Vaughn Design Jean Wilcox Wilcox Design Transcription Maria Moran Translation Sang-hoon Jung Sae-hoon Kim Pil-soo Maing Front cover illustration Pil-soo Maing Back cover illustration Min-hwan Park Publication based on work conducted at the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during the Spring of 2010, in collaboration with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 6. In the summer of 2009, there was a discussion with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about our interest in collaborating on a research project. From this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study and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an independent although government-supported think tank and research center–generously agreed to both sponsor and collaborate in an appraisal of this important project. AlthoughwellknowninKoreanandEastAsianurbandesignandplanning circles, Cheonggyecheon had not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e West, despite broad popular acclaim at home in Seoul. Moreover, Cheonggyecheon and its environs appeared to embody a relatively complex and complete set of issues present among similar contemporary undertakings, quite apart from its unique contributions to central Seoul. Following on from waterfront redevelopments, urban stream and river restorations have been moving to the fore as venues for improving cities’ amenities and meeting press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objectives. Already in East Asia—the focus of this particular research laboratory’s activities—there are a number of examples one can point to, including Funanhe and Shahe in Chengdu, China, and the Otagawa in Hiroshima, Japan. In short, Cheonggyecheon seemed like an appropriate and useful case study, especially in an educational milieu such as Harvard’s Graduate School of Design. Conduct of this appraisal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took the form of a Faculty Research Seminar at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an educational vehicle that allows faculty to conduct research projects with students as a part of the School’s regular academic program. This particular seminar, simply titled Evaluation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and Its Environs in Seoul, South Korea, was open to six students from different programs in the School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10. They were: Kristen Hunter, Ok- hyun Kim, Pil-soo Maing, Min-hwan Park, Duck-su Seo, and Ji-hoon Song. The PREFACE 2009년 여름, 하버드대학교 디자인스쿨에서 서울시산하 시 정개발연구원과의 공동연구에 대해 관심을 갖고 협의한 것 이 본 연구가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청계천복원사업이 연구 주제로 선정되었고, 서울시 출연기 관이자 독립적인 서울시 씽크탱크 및 연구센터의 역할을 하 고 있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이 본 연구의 후원기관이자 공 동연구기관이 되었다. 청계천 복원은 비록 한국과 동아시아의 도시설계 및 도시계획계 내에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서울에서의 대중적 호평에도 불구하고 아직 서구 세계에는 상세히 알려지 지 않았다. 더욱이 서울 도심에서 갖는 그 고유한 의의를 떠 나, 청계천 복원 과정은 이와 유사한 성격의 다른 프로젝트에 서도 발생할 수 있는 일련의 이슈들이 비교적 복잡하고 포괄 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수변 재개발의 측면에서 볼 때 도심의 하천과 강의 복원은 도시의 여가시설을 개선하고 갈수 록 중요해지는 환경 보존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예는 중국 청두의 푸난허와 샤허, 일본 히로시마의 오타가와강 복원 등 본 연구진이 주로 다루 고 있는 동아시아 지역에 이미 많이 존재한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 (Harvard GSD)에 의한 청계 천 프로젝트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하고 의미있는 작업이다. 본 청계천 복원 연구는 하버드 디자인대학 내에서 교수연구세미나 (Faculty Research Seminar)의 형태로 진 행되었는데, 이는 정규교육과정 중 교수진이 학생들과 함께 연구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하는 아카데믹 프로그램이다. 이 세미나는 2010년 봄학기에 ‘서울의 청계천 복원사업과 그 주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이름으로 학교 내 서로 다른
  • 7. 11 PREFACE 10 class was assisted by two teaching and research assistants: Sang-hoon Jung and Sae-hoon Kim. In addition to normal classroom activities, two field trips were conducted. The first, in December 2009, was largely for reconnaissance and data-gathering purposes, whereas the more extensive field trip in March 2010 enabled the research team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key protagonists in the restoration effort and to thoroughly examine Cheonggyecheon itself, as well as other nearby and related projects. This publication is the outcome of the research effort and an appraisal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PETER G. ROWE RAYMOND GARBE PROFESSOR OF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HARVARD UNIVERSITY DISTINGUISHED SERVICE PROFESSOR 학위과정에 속한 여섯 명의 대학원생들과 함께 진행되었다. 참여한 석사과정 학생들은 크리스틴 헌터, 김옥현, 맹필수, 박민환, 서덕수, 송지훈 등이다. 그리고 본 수업에는 두 명 의 박사과정 학생인 정상훈과 김세훈이 수업조교 및 연구조 교로 도움을 주었다. 일상적인 수업 진행 이외에도 두 번의 서울방문이 이루어졌다. 2009년 12월에 있었던 첫 번째 방 문은 현장 답사와 자료 수집이 주 목적이었고, 보다 포괄적 으로 진행된 2010년 3월의 두 번째 방문에서는 연구에 참여 한 전체 학생들과 교수가 복원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 했던 인물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했고 청계천 및 그와 관 련된 프로젝트들에 대해 철저한 관찰과 분석을 수행했다. 이 책은 이러한 연구진들의 학문적 노력과 청계천에 대한 평가 를 기록한 결과이다. 피터 로우 레이몬드 가베 건축-도시계획 교수 하버드대학교 석좌교수
  • 8. The Seoul Development Institute, under the able leadership of Mun-kun Cheong, provided us with all of the information and collaborative insights that we needed, in addition to their generous sponsorship of the project. We were particularly indebted to Chang-woo Lee, the Director General of the Office of Planning and Coordination, and for their patient tutelage to: Byung-soon Jeong, Hee-yun Jeong, Wun-soo Kim, Guang-hoon Lee, Seong-chang Lee, Hee-ji Lim, Hyun-chan Park, and Sung-il Shin. They also organized an admirable historical briefing by Bong-hee Je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Numerous participants in the Cheonggyecheon project and member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ave of their valuable time and cordially shared with us their understandings and insights into what transpired. Notably, Yun-jae Yang, the Former Head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Headquarters, met with us on several occasions both in Boston and Seoul. Also, Moon-young Son, Executive Vice President of Hyundai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graciously met with us on two occasions, providing very valuable managerial and technical insights about the project and its impact in Seoul. Soo-hong Rho, the Former Vice Chairman of the Cheonggyecheon Citizens’ Committee; Kee- yeon Hwang, the former Chief of the Cheonggyecheon Research Group; and Il-joong Kim, a Former Representative of the Environmental Justice Citizens’ Coalition, kindly provided understanding of Cheonggyecheon’s background and insight about the project’s governance. In addition to Moon-young Son of Hyundai; Sang-joo Han, the Chief Executive Officer of Dongil Engineering; Chang-gap Jeon, the Vice President of Dongmyung Engineering; Jeong-yul Kang, Construction Manager ACKNOWLEDGMENTS 정문건 원장 이하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본 연구의 공동연구 기관이자 후원자로써 연구에 필요한 소중한 정보 및 연구협 력에 대한 노력을 아낌없이 제공해 주었다. 특히 이창우 선 임연구위원은 하버드 연구진을 따뜻하게 환대해주었고, 정 병순 박사, 정희윤 박사, 김운수 박사, 이광훈 박사, 이성창 박사, 임희지 박사, 박현찬 박사 그리고 신성일 박사 등은 연 구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서울시정개발연 구원 연구진들은 또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전봉희 교수를 초청하여 서울의 역사에 대한 탁월한 설명을 경청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청계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수많은 분들과 서울 시 정부부처의 실무진들이 복원사업과 관련된 지식과 식견 을 성심껏 전해 주기 위해 소중한 시간을 할애해 주었다. 특 히 청계천복원 추진본부의 양윤재 전 본부장은 보스턴과 서 울에서 연구진과 몇 차례 만남을 가졌다. 또한 손문영 현대 건설 전무는 두 차례의 만남을 통해 복원공사와 관련된 관 리 및 기술적 문제들, 그리고 복원이 서울에 미친 영향에 대 한 매우 소중한 식견을 전해주었다. 노수홍 전 청계천복원시 민위원회 부위원장, 황기연 전 청계천지원연구단장, 그리고 김일중 환경정의 공동대표 등은 청계천 복원의 배경과 프로 젝트의 거버넌스에 대한 의견을 상세히 이야기해 주었다. 현 대건설 손문영 전무뿐만 아니라 한상주 동일엔지니어링 대 표, 전창갑 동명기술단 부사장, 강정률 GS 건설 소장, 박영 훈 탑엔지니어링 대표, 석재덕 대림산업 상무 등은 각 기업 의 청계천 복원 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해 열심히 설명해 주었 다. CA 조경의 진양교 소장, 최진석 서울시 하천관리팀장 그
  • 9. 13 ACKNOWLEDGMENTS 12 of G.S. Construction; Young-hoon Park, Chief Executive Officer of TOP Engineering; and Jae-duk Seok, Vice President of Daelim Construction, enthusiastically shared with us their firms’ experiences in construction of the project. Yang-gyo Jin, Principal at CA Landscape; Jin-seok Choi, Manager of the Water Management Departmen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In-keun Lee, Chairma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frastructure Headquarters, provided valuable information about design and related technical issues. Finally, Dong-yun Choi, Former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hief Negotiator for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Headquarters, and Woong-jae Lee, Former Representative of the Cheonggyecheon Redevelopment Merchant’s Coalition, cordially shared their views, albeit from different vantage points, about the project, as did Seung-keun Park, Chief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ultural Facilities Bureau. In addition, we enjoyed the hospitality and support of Sohn- Joo Minn and the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 Korean Alumni Association. Michael Lee from Samsung Construction and Technology, in addition to being an esteemed member of this Association, shared with us invaluable insights into the functioning of Seoul’s property markets. Here at home, recognition should be given to Karen Kittredge for her splendid assistance in helping manage the project from its inception; to Maria Moran for her organizational support; and to Melissa Vaughn and Jean Wilcox for their inspired nurturing of this publication to fruition. 리고 이인근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프로젝트의 설계 및 그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들에 대한 소중한 정보를 제공하 였다. 마지막으로 최동윤 전 청계천복원추진본부 총괄담당 관과 이웅재 전 청계천상인재개발대책위원회 위원장, 그리 고 박성근 전 청계천복원계획담당관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청계천 복원에 대한 그들의 견해를 성심 성의껏 설명해 주었 다. 그리고 본 연구진들은 연세대 민선주 교수와 한국 에 있는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 졸업생들의 따뜻한 환대 를 받았다. 그 중, 삼성물산의 이형석 차장은 서울의 부동산 시장에 관한 소중한 식견을 공유해주었다. 돌이켜 보건대, 본 프로젝트에 처음부터 여러 모로 섬세하게 신경을 써 준 캐턴 키트리지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마리아 모런은 행정적인 도움을 주었고 멜리사 본과 진 윌콕스는 본 출판이 완성되기까지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 10.
  • 11. 15 15 15 r u n n i n g h e a d h e r e 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제1장 공공성 개선과 패러다임 전환
  • 12. 2005년 10월 청계천복원사업 개장 이후, 대한민국 서울의 중심에 위 치한 청계천에는 연간 수백 만의 방문객들이 모여들었고, 도시의 거주 성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서울시의 노력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중 요한 장소가 되었다. 또한 이 사업은 열섬효과 개선, 바람길 회복, 동 식물 서식지 제공, 관광연계 효과 등으로 인해 국제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지상의 복개도로와 노후화된 고가도로를 제거하고 하부 하천 에 약 6km 길이의 공원을 조성함으로써 주변 도시의 발전을 저해하던 물리적 장벽이 제거되었을 뿐 아니라, 서울의 단편화된 문화유적들을 연결하는 중추적 네트워크가 조성되었으며, 다양한 공공시설 및 도심 상업의 자생적 확대를 위한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러한 국지적인 효과 이외에도, 청계천은 다시 한번 한국 의 도시화 과정에서 주목할만한 도시 패러다임의 변화를 예시, 혹은 Since it opened in October 2005,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in central Seoul, South Korea, has attracted millions of visitors annually and become a prominent aspect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efforts to improve the amenity of the city and the quality of life for its citizens. The project has been widely touted for its amelioration of heat-island effects, restoration of wind corridors, provision of habit for flora and fauna, and promotion of tourism, and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attention and some acclaim. By removing portions of a grade-level roadway and a physically obsolete elevated freeway to make way for the re-creation of an underlying stream as the central feature of a roughly 6-kilometer-long public park, the city not only removed a physical barrier that blighted the area and hindered economic development in its vicinity, but also created the spine of a network linking heritage sites and opening up opportunities for development of other worthwhile civic and commercial undertakings. 1.01 Four Views of the Hyongsedo Concept of Hanyang (Unknown, ca. 1765, National Library of Korea; Unknown, 1700s, Yeungnam University Museum; Unknown, 1776–1800, Seoul National University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im, 1824–1834, Korea University Museum) 4개의 한양 형세도
  • 13. 17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상징하고 있다. 다시 말해 청계천 복원은, 공식적 그리고 비공식적으 로, 공공프로젝트에 대한 모호한 태도에서 보다 긍정적으로 도시의 미 래를 내다보는 태도로의 변화, 그 기능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도시에서의 생활방식과 거주성이라는 포괄적인 주제로의 초점 이동, 그리고 도시를 단순히 관리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적극 적인 공공재 창출로의 도시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하나의 중요한 완결 점을 보여준다. 다른 지역이나 다른 역사적 시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은 한 순간에 갑자기 일어났거나 청계천 복원 이라는 단일 사건에 의해서만 일어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러한 전 환의 순간에 도달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고 많은 사건들이 있 었다. 그러나 도시 패러다임의 변화가 보다 명확해 지는 현 시점에서 청계천 복원은 대중들에게 가장 강하게 기억될 사건으로 보인다. 마찬 16 Beyond these local impacts, however, Cheonggyecheon came to symbolize a major paradigm shift in Korean urbanization; it signaled the finality of a turning point in discourse about the city—official and otherwise—from an ambivalence about public projects to an optimistic forward-looking attitude, from a focus on relatively functional matters to broader issues about lifestyle and livability, and from simply managing urban affairs to actively promoting public good. As elsewhere and at other times in history, this turning or tipping point did not happen all at once, nor solely because of Cheonggyecheon’s restoration. In reality, it took some time in coming. At the end of the turning moment, however, what happened at Cheonggyecheon seems to be most vivid in the public mind. Also, this was not the first time that Cheonggyecheon had served as a leitmotif of a change from one era to the next; it had symbolized such events on at least two previous occasions. The present moment may not be the last of
  • 14. 가지로, 청계천이 시대 전환의 상징적 공간이 된 것은 서울의 역사 속 에서 이번이 처음은 아니며, 이미 최소 두 번의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그 중요한 장소로써의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리고 청계천은 아직 완결 된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도 일어날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도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크다. 청계천이 서울의 중심에 자리하게 된 것은 조선왕조(1392- 1910) 3년 태조에 의해 한양이 수도로 지정된 14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청계천은 남쪽의 큰 한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나의 지 류로써 수도로 지정된 서울의 중심을 서에서 동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비교적 작은 간헐천이었다. 한양천도에서부터 청계천은 우주 및 기의 흐름과 관련해서 물, 바람, 방위 및 주변 산세 등의 조합에 있어서 새 로운 도시의 물리적 구조를 규정한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청계천의 하 천 흐름은 주변 산지에서 기원한 30여 개의 작은 지천에 의해 만들어졌 다. 청계천은 거주자들의 삶에 필수적인 생활용수를 제공했을 뿐만 아 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 남향을 선호하는 양반들의 지역인 북촌과 일반 인들이 사는 남촌으로 한양을 구분 짓는 경계로 작용하기도 했다. 주기적인 홍수 위협에 직면한 조선왕조의 통치자들은 공공 의 안전 및 위생적 필요에 의해 청계천의 자연적 형태를 변형하기 위 한 다양한 일들을 실행에 옮겼다. 예를 들어, 태종은 1411년 물을 관 장하는 정부조직인 개천도감을 세우고, 1412년 석축과 목축의 설치를 포함한 개천의 준천을 위해 52,800여명의 백성들을 동원하였다.1 이 보다 2년 전인 1410년에는 광통교가 지어졌는데 이는 주로 국가적 행 사를 거행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1412년에서 1419년 사이에 태종은 청계천과 종로 주변에 다수의 상업 지역을 조성하였다.2 이후 1441년에 세종은 개천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표를 마전교 부근에 설치하였으며, 비슷한 시기에 정기적으로 개천을 유지 보수하고 홍수 를 조절하기 위한 기관인 수성금화도감을 설립하였다. 세종대에는 또 한 수표교가 만들어졌으며, 청계천을 한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 의 하수를 하류로 배출하는 도심 하수구로 사용할 것을 결정하였다.3 such occasions, for Cheonggyecheon can be still appreciated as a not altogether finished project. Cheonggyecheon’s presence in what is now Seoul dates from the late fourteenth century, when the eventually walled city of Hanyang was initially established by King Taejo in the third year of the newly founded Joseon Dynasty (1392–1910). At the time, Cheonggyecheon was a relatively small, intermittent stream running from west to east roughly through the center of what became the capital, as a tributary of the much larger and navigable Han River to the south. From Hanyang’s foundation, Cheonggyecheon enjoyed geomantic significance in the arrangement of wind and water, and other orientations associated with cosmic breath and the energetic flow of qi (Korean ki), all of which, together with the encircling mountains, strongly characterized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emerging city. In fact, for its part Cheonggyecheon was fed and enlivened by some thirty smaller tributaries whose headwaters originated in the surrounding hills. When flowing, Cheonggyecheon also provided water for urban inhabitants and, over time, became something of a border within the walled city, broadly separating the southern commoner quarters from the favorably solar-facing aristocratic precincts to the north. Not satisfied with the stream in its natural condition—as prone to periodic and dangerous flash flooding—rulers in the Joseon Dynasty undertook various modifications in the interest of public safety if not the health of their subjects. In 1411, King Taejong established Gaecheondogam, a water management authority. The following year, 52,800 or so people were mobilized for extensive stream construction, including emplacement of both stone and wooden embankments.1 Two years earlier, the Gwangtong Bridge—Gwangtonggyo—was built, to be used primarily for ceremonial purposes. Between 1412 and 1419, King Taejong also established a number of market areas, all with relatively close associations to Cheonggyecheon and Jongno, a prominent street running parallel to the stream on the north.2 Later, in 1441, King Sejong installed a marker at the Majeongyo to monitor water levels, while creating another authority to periodically oversee repairs, maintenance, and flood-control
  • 15. 19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18 1 2 4 3 5 6 7 9 11 1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8 1. Baekwoondongcheon 2. Okryudongcheon 3. Sajikdongcheon 4. Gyeongbokgung Naesu 5. Gyeonghuigung Naesu 6. Samcheongdongcheon 7. Daeeunamcheon 8. Cheongreungdongcheon 9. Changdongcheon 10. Hoihyundongcheon 11. Namsandongcheon 12. Yijeondongcheon 13. Chujadongcheon 14. Pildongcheon 15. Saengmindongcheon 16. Mooksadongcheon 17. Changdeokgung Okryucheonsu 18. Hoidongcheon 19. Geumweeyoungcheon 20. Bukyoungcheon 21. Ankukdongcheon 22. Ssangyimundongcheon 23. Namsomundongcheon 24. Seonggyungwan Heungdeokdongcheon Cheonggyecheon Mt. Bugaksan Mt. Inwangsan Mt. Namsan 1.02 The Branches of Cheonggyecheon (Sourc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6, 11) 청계천의 지류들 1 2 4 3 5 6 7 9 11 10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8 1. Baekwoondongcheon 2. Okryudongcheon 3. Sajikdongcheon 4. Gyeongbokgung Naesu 5. Gyeonghuigung Naesu 6. Samcheongdongcheon 7. Daeeunamcheon 8. Cheongreungdongcheon 9. Changdongcheon 10. Hoihyundongcheon 11. Namsandongcheon 12. Yijeondongcheon 13. Chujadongcheon 14. Pildongcheon 15. Saengmindongcheon 16. Mooksadongcheon 17. Changdeokgung Okryucheonsu 18. Hoidongcheon 19. Geumweeyoungcheon 20. Bukyoungcheon 21. Ankukdongcheon 22. Ssangyimundongcheon 23. Namsomundongcheon 24. Seonggyungwan Heungdeokdongcheon Cheonggyecheon Mt. Bugaksan Mt. Inwangsan Mt. Namsan
  • 16. 한참 후 1760년에는 영조가 청계천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200,000여명의 인력을 57일 동안 동원하였고, 하천 제 방의 일부를 직선화하였으며 개천 전체를 석축으로 개축하였다.4 뿐만 아니라, 영조는 준천에 참여한 인력들에게 개천을 따라 새롭게 조성된 땅을 일종의 보상으로 제공하고 상행위를 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함 으로써 향후 역사를 대비하였다. 이와 같은 준천을 통해 동대문과 남 대문 주변 지역 등 청계천 주변의 다른 상가 구역 또한 확장되었으며, activities (Suseonggeumhwadogam). Supyogyo, another bridge, was also built during Sejong’s reign, and Cheonggyecheon became used as a sewer.3 Much later, in 1760, King Yeongjo mobilized 200,000 workers for fifty-seven days to dredge Cheonggyecheon. He also more fully established a stone embankment, along with some necessary stream straightening.4 Moreover, for those workers who agreed to engage in further stream dredging, he provided plots of newly developed land along the stream’s edge, as well as the right to trade. Other markets within the vicinity 1420 Majeongyo (Supyogyo) 1441 Supyo (Watermark) 1421 Deokseongbanggyo 1421 Changseonbanggyo (Three Bridges) 1421 Yeonhwangbanggyo (Two bridges) Stone Embankment and Dredging Jongmyo-dong Sugumun Dongdaemun 1421 Jeongseonbanggyo 1421 Branch Stream Excavations and Embankments Bridge Bridge (Unknown Location) Stone Embankment and Dredging Wood Embankment and Dredging Gwangtonggyo Jongmyo-dong Hyejunggyo Jeongseonbangdonggugyo Mojeongyo Sogwangtonggyo Jangui-dong Sugumun Dongdaemun Commoner’ Quarters Aristocrat Military Authorized Merchant Technocrat 1.03 1.04 1.05
  • 17. 2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0 of Cheonggyecheon, such as those in the Dongdaemun and Namdaemun areas, were also expanded, and factories became included within the well-established authorized markets (Unjongga), supplying vendors with products.5 Certainly by this time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Cheonggyecheon epitomized the Joseon Dynasty’s concern for public safety, its mature development of flood-control infrastructure, and the enduring location of markets and industries. In many respects, those features were to last well into the contemporary period. It is also 운종가와 같은 시전 구역에는 상가에 물품을 제공하는 공장들이 들어 섰다.5 18세기 후반까지의 청계천은 공공안전과 치수를 위한 기반시설 확충 및 상공업 지역 조성 등에 대한 조선 왕조의 노력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장소였다. 이렇게 형성된 청계천 및 그 주변의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지금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태종 대에 최소한 개천 상류에 대해 복개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결국 태종에 의해 반려되었다는 점이다.6 또한 세종대에는 하천을 깨끗한 Hyejunggyo Changdeokgungdonggu Namdaemun Jongru Daegulmun Jungsunbangdonggu Jongmyojeon Munru Dongdaemun Gyeongbokgung Nambang 1 4 1 4 1412 1 4 1 2 1412 -141 3 1414 1412-1413 Newly Developed Land Metal Shoes Beadband Button Cabinet Gold, Silver, and Jade Brass Book Pharmacy Private Market (Ehyun) Private Market (Chilpae) Authorized Market (Unjongga) Stream Dredging (1760) and Stone Embankment (1773) 1.03 Stormwater Improvements under King Taejong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69; The History of Seoul Metropolitan. http://seoul600. seoul.go.kr) 태종대 준천 현황 1.04 Stormwater Improvements under King Sejong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71; The History of Seoul Metropolitan. http://seoul600. seoul.go.kr) 세종대 준천 현황 1.05 Divisions of Hanyang during the Joseon Dynasty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52–53) 조선시대 한양 공간 구분 1.06 Market Areas under King Taejong (Source: Drawn based on The History of Seoul Metropolitan. http://seoul600. seoul.go.kr) 태종대 도성 내 상가 지역 1.07 Markets, Factories, and Stormwater Improvements under King Yeongjo (Source: Drawn based on Jeon 2001, 19–20; Cho 2005, 54–57) 영조대 준천 및 상가, 공장 현황 1.06 1.07
  • 18. 상태의 명당수로 유지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한양에 필수적인 하수도로 사용해야 한다는 현실적 필요에 의해 거부되었다.7 일제 강점기 (1910-1945) 중에도 공공안전의 측면에서 홍 수조절과 이후 화재예방을 중요시하는 풍토는 계속 이어졌고, 공공위 생의 측면이 한층 강조되면서 근대적 공공시설 및 기반시설 조성이 시 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또한 청계천이 ‘열린 하천’ 이라는 의미의 개천 으로 불리다가 ‘맑은 하천’ 이라는 의미의 현재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 다.8 1918년 일본 정부는 청계천과 주변 주요 지류들의 준천을 위해 당 시 돈 250,000원의 예산을 할당하였고, 이후 이러한 준천작업은 정기 적으로 시행되었다. 하천과 주변의 지류들은 도시 전반의 하수 시스템 interesting to note that initially,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ng, the idea of covering over Cheonggyecheon, or at least in its upper reaches, was debated, but eventually opposed by the King himself.6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e idea of returning the stream to a purer state was also discussed, but rejected in favor of the pragmatism of its use for needed drainage.7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otherwise known as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1910–1945), an orientation toward public safety continued with regard to flooding and later fire protection, together with the beginnings of modern utilities and infrastructure concomitant with a rising concern for public health. This was also the time at which Cheonggyecheon got its present name, which 1.08 1.09 1.08 Juncheongyechup under King Yeongjo (Source: Unknown, ca. 1760, Ho-am Art Museum) 준천계첩 1.09 Supyogyo (Sourc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0) 수표교
  • 19. 23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2 을 위해 암거화되었다.9 1920년대 후반에 이르러 상하수도 배관시스 템과 한강 주변의 정수시설이 조성되었고 1915년부터 일제에 의해 대 부분 철거된 서울성곽 안쪽의 청계천 지역에도 상수도 공급이 시작되 었다.10 예전에 상권이 형성된 지역은 현대적인 상업지역으로 변모하 기 시작했으며, 일본인 점유와 한국인 점유로 구별되는 남촌과 북촌의 구분이 거의 청계천을 따라 이루어졌다. 특히 새롭게 서비스가 공급된 지역에서의 공장 위치 또한 이러한 패턴을 보인다.11 1930년대에 이르 러 서울의 중심부 및 남쪽에 전차가 도입되었으며, 그 노선들은 청계 천을 남북방향으로 가로질렀다.12 1937년 중일전쟁 직후에는, 폭격에 의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저층 및 노후화된 도시 조직을 가 meant “clean water” in Japanese.8 The Korean, in fact, was Gaecheon, meaning “open stream.” In 1918, the Japanese government allocated 250,000 won for the dredging of Cheonggyecheon along with some of its major tributaries, a practice that was to persist regularly thereafter. The stream and its tributaries also became the conduit right-of-way for an area-wide sewer system.9 By the late 1920s, a piped water system with water purification plants, near the Han River, was in place, servicing much of the Cheonggyecheon area that was once inside the city walls, most of which the Japanese had demolished, beginning in 1915.10 Older market areas were transformed into modern market systems, and a dividing line developed, between Namchon to the south and Bukchon to the north, almost along the edge of Cheonggyecheon, Dredged Stream Reaches (Specific Locations Unknown) Gwanghwamun To Sindap Railway Bridge 1.10 1.10 Dredged Stream Reaches under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ource: Drawn based on Cho 2005, 131) 일제 시대 하천 준설 범위
  • 20. demarcating the area of Japanese occupancy from that of Korean. The location of factories, especially within the now well-served areas, more or less followed suit.11 By the 1930s, tram service had been install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city, with lines straddling Cheonggyecheon to both the north and south.12 Then in 1937, on the heels of the Sino-Japanese war, the Air Strike Defense Law was enacted (although not implemented thoroughly until the 1940s), whereby 50-meter-wide fire breaks were cut through the low-rise and often ramshackle urban fabric, to prevent, or arrest, the spread of fire from air raids on the city.13 Several of these crossed Cheonggyecheon, to be used later for redevelopment projects. In 1926 the Japanese also began to formulate a plan to cover Cheonggyecheon with a reinforced-concrete deck hosting building development, as well as a road. In fact, they began construction on several upstream branches beginning in the same year. This plan, largely in the service of eradicating the appearance of a deteriorating water body along almost its entire length, was abandoned due to concerns about drainage and flooding while work was in progress. Work did commence in 1937, however, covering the stream from Taepyeongno in the direction of Gwangtonggyo.14 In the aftermath of the birth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and the later civil wa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heonggyecheon became covered, although this time to make way for a broad transportation artery. Extending nearly 6 kilometers from Mojeongyo in the west, first to Gwangtonggyo in 1955 and then downstream to the Sindap Railway Bridge in the east, full-scale work began on the roadway in 1958, taking several decades to complete.15 More than 240,000 people were mobilized, as a reinforced-concrete deck on columns placed into the stream bed and along its sides was erected, together with drainage and sewer conduits.16 This decking essentially entombed the stream below and resulted in the demolition of numerous shanties that had been built along the banks in the aftermath of wartime destruction and massive immigration, mainly from rural areas. The textile industry began to boom from the mid-1960s, with the garment industry blossoming around Dongdaemun, not far from Cheonggyecheon.17 Tool 로지르는 50미터 폭의 소개공지를 설치하는 방공법이 제정되었고, 이 는 40년대에 이르러 도시 전역에서 시행되었다.13 청계천을 가로지르 는 소개공지 중 일부는 향후 재개발 사업을 위한 대지로 이용되었다. 1926년 조선총독부에서 도로와 함께 건물을 그 상부에 건설하고자 철 근 콘크리트로 청계천을 복개하는 계획을 공식화 하였으며, 실제로 같 은 해에 청계천의 일부 지류에 대해 공사를 시작하였다. 수질이 악화 된 하천을 은폐시키기 위해 시행된 이 계획은 건설 도중에 배수 및 홍 수위험 문제로 인하여 폐기되었다. 하지만 1937년에 일부 시행되어 태 평로에서 광통교 방향의 일부 구간은 복개가 이루어졌다.14 1948년의 대한민국 정부수립과 이후 한국전쟁이 끝난 후, 그 상부를 주요 간선도로로 사용하기 위해 청계천 복개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광통교까지의 구간이 1955년에 복개되었고, 그 후 서쪽으로 는 모전교에서 동쪽으로 신답철교에 이르기까지 약 6km 구간에 대한 전면적 복개 공사가 1958년에 시작되어 상당기간 계속되었다.15 24만 명 이상의 건설인부가 동원되어 하상에 세운 기둥 위로 철근 콘크리트 복개구조물이 놓여졌고, 그 주변으로 하수 및 배수관이 설치되었다.16 이러한 복개공사는 근본적으로 하천을 지하화하였고, 이를 위해 전쟁 중 주로 농촌지역에서 유입된 대규모 이주민들이 제방을 따라 조성한 대규모 판자촌들이 철거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의 국내 섬유산업의 호황과 함께 청계천 주변의 동대문 지역에서는 의류산업이 성황을 이루었다.17 전후 군부 대에서 흘러나온 군수품을 주로 취급하던 공구상가는 대부분 종로와 창덕궁 주변 청계천 북측에 위치해 있었는데 청계천 복개 후 남쪽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게 된다.18 복개된 청계천의 폭은 50m에서 90m에 이 를 정도로 상당히 넓었으며, 복개된 곳 중 평화시장 주변과 같은 일부 지역은 노천 시장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공사기간 중에도 전차는 공 사현장을 가로지르며 계속 운행하였다. 그 후, 1967년에서 76년에는 청계고가도로가 건설되었고, 이를 남산1호터널과 연결하는 삼일고가 도로는 1969년에서 70년에 세워졌다.19
  • 21. 25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4 stores, often trading in military surplus after the civil war, located on the north side of the stream, along Jongno near Changdeok Palace, before moving to the south after Cheonggyecheon was covered and became a broad thoroughfare.18 Indeed, the covering was quite wide, varying somewhere from 50 to 90 meters. It also served as an open-air market in some areas such as Pyeonghwa. During construction, a tram line also continued to operate across the construction activity. Then, between 1967 and 1976, the Cheonggye Elevated Highway was constructed, along with the Samil Elevated Bypass, between 1969 and 1970, leading to the Namsan number-one tunnel.19 At the time, the elevated freeways associated with Cheonggyecheon were not the only ones constructed. However, they were the longest and most conspicuous. Hyun-ok Kim, the Mayor of Seoul between 1966 and 1970 (sometimes referred to as “Kim the Bulldozer” for his prowess in the construction of modern public works), was reported to have justified the necessity of the highway construction by simply observing that “cars must run fast.”20 Certainly, modern expressways and the jump into the automobile era were consistent with the rapid yet narrowly construed production- oriented version of modernization being pursued by the military regime, ushered in by Chung-hee Park in the coup of 1961. Also being advanced at much the same time was high-rise apartment living, replacing traditionally oriented courtyard and low- rise dwelling, as an expression of having arrived in the modern world. Nearby to the Cheonggyecheon right-of-way, a number of new modern buildings were constructed, including the Miesian-like steel and glass 3.1 Building at the junction with the Samil Elevated Bypass. Segments of the Cheonggye Elevated Highway further downstream were also lined with modern high-rise public housing. Then there was the remarkable Sewoon Sangga complex, built on both sides of the Cheonggyecheon right-of-way in a tangential, north-south direction in one of the former fire breaks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This multi-storied, horizontal, almost 1-kilometer-long project by Soo- keun Kim was made up of apartments, offices, commercial retail space, and a hotel. The interconnected structure was raised on pilotis and crossed by “sky streets.” In fact, it was one of the few buildings realized anywhere in the world at the time that 물론 청계고가도로가 당시 서울의 유일한 고가도로는 아니 었다. 그러나 청계고가도로는 그 중 가장 길었으며 가장 눈에 띄는 고 가도로이기도 했다. 1966년부터 1970년까지 서울시장을 역임했으며 근대 공공건설프로젝트에서 보여준 추진력 때문에 ‘불도저 시장’이라 불리던 김현옥 시장은 “차량은 빨리 달려야 한다”는 철학으로 고가도 로 건설의 필요성을 정당화한 것으로 전해진다.20 분명 한국에서의 근 대적 고속도로 체계와 자동차 시대로의 진입은 1961년 쿠데타를 통해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정부가 추구한 생산위주의 급진적 근대화와 일 맥상통한다. 또한, 근대사회의 도래를 상징하듯 전통적 중정형 및 저 층 주택을 대체하여 등장한 고층아파트 주거형식의 도입 역시 거의 비 슷한 시기에 가속화되었다. 삼일 고가도로와 청계천의 교차점 위치에 우뚝 서 있는 미스 반데로에 스타일의 삼일 빌딩을 비롯, 청계천 주변 에는 다수의 근대적 건축물들이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청계 고가도 로에서 보다 하류 구간에는 근대적인 고층 공공주택들이 줄지어 들어 섰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일제시대 소개공지 중 하나였던 대지 위 에, 주목할 만한 건축물인 세운상가가 청계천을 길게 가로지르며 남북 방향으로 지어졌다. 건축가 김수근에 의해 설계된 길이 1km에 이르는 이 수평적 복층 건축물은 아파트, 오피스, 상가 및 호텔 등으로 구성되 었다. 서로 연결되어 있는 건물의 구조물들은 필로티 위에 띄워졌으며 소위 ‘공중 가로’에 의해 서로 교차하였다. 실제로 이 건물은 당시 세 계의 건축계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팀10의 도시-건축 개념 에 따라 실제로 지어진 매우 보기 드문 근대건축물 중 하나이다. 이러 한 급진적 개발과 근대화의 시기에 한국의 도시화 패러다임은 한번의 큰 변화를 겪는다. 도시의 기반시설은 국가경제발전을 나타내는 주요 상징물이 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1974년 시작된 사우디아라비아 주 베일항 건설 계약 등 토목인프라 건설분야에 있어서의 한국의 역량이 국제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한국 국가경제의 비약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군사정권 초기 에 이미 이러한 방식의 근대화에 대한 균열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
  • 22. 0 1 2 4km Ttukseom Water Purification Plant Noryangjin Water Purification Plant 1.11
  • 23. 27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6 1.12 0 0.5 1 2km Korean-Owned Factories Japanese-Owned Factories Ratio of Japanese >35% (1942) 1.11 Water Supply in the Late 1920s and the Ttukseom Purification Plant of 1912 (Source: Drawn based on Kim 2003, 308, 312) 1920년대 후반 상수도 현황 및 1912년 뚝섬 정수장 1.12 Distribution of Korean and Japanese- Owned Factories in 1936 (Source: Drawn based on Kim 2003, 33, 41) 1936년 한인, 일인 소유 공장 분포
  • 24. 0 1 2 4km Tram Lines (1936) 1.13 Distribution of Tram Lines in 1936 and Tramway Crossing Cheonggyecheon (Source: Drawn based on Kim 2003, 161; Seoul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2004, 177) 1936년 전차 노선 및 청계천을 지나는 전차
  • 25. 29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28 0 1 2 4 Air Strike Defense Fire Break 1.14 Air Strike Defense Fire Breaks, circa 1940 (Source: Drawn based on Son 2003, 246; Kim 2003, 476; U.S. Army 1946; Hur 1989, 40;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0a, 244) 1940년경 소개공지 현황 0 1 2 4 Air Strike Defense Fire Break
  • 26. 31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30 1.15 Keijo (Seoul) City Map of 1927 with Roadway Improvements (Source: Hur 1989, 36) 도로체계가 개선된 1927년 경성지도 1.16 Covered Section of Cheonggyecheon during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Sourc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ww.archives.go.kr/ english/index.jsp) 일제시대 청계천 복개구간 1.16 closely conformed to the academically influential Team 10 urban-architectural doctrine. It is within this moment of rapid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at the paradigm of urbanization in South Korea changed once again. Infrastructure became an expression of national development and its palpable symbol, just as Korean prowess i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tarted to command international attention, with the Jubail Port contract in Saudi Arabia, beginning in 1974. Cracks began to appear relatively early in the military regime’s modern edifice, despit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national economic activity. From its standing a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world, South Korea was painstakingly making its way up the economic ladder. Then in 1970 labor issues, previously hidden from view, appeared tragically in public with Tae-il Chun’s self-immolation. Chun was a tailor in the Pyeonghwa market who was protesting the atrocious labor conditions in the garment industry.21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tion in the central area of Seoul, of which the Cheonggyecheon districts were a fundamental part, were losing out to polycentric development elsewhere in the metropolitan area, such as Gangnam to 다. 전세계에서 가장 가난했던 국가들 중 하나에서 짧은 시간 경제강 국으로 성장하는 험난한 길을 한국은 걸어갔다. 하지만 근대화의 그늘 에 가려져 있던 노동자들의 비참한 현실이 1970년 전태일의 분신과 함 께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평화시장에서 재단사로 일했던 전태일은 의류 산업의 처참한 노동환경에 대해 저항했다.21 한편 서울이 다핵구 조의 도시로 변화함에 따라 청계천을 중심으로 한 서울 구도심의 경제 활동과 인구는 한강 이남의 강남과 같은 지역으로 빠져나갔다. 1979 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과 전두환의 군사 쿠데타, 그리고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발발과 이에 대한 탄압이 이어졌다. 시간은 흘러갔고, 시청 앞 대규모 시위와 5일간의 명동성당 연좌시위로 대표되는 1987 년 6월 항쟁 등으로 인해 군사정권의 시대는 점차 막을 내리고 있었다.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는 인권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고, 90년 3당 합당을 통해 93년 대통령에 당선된 김영삼은 군사 정권을 종식시켰 으며, 뒤이어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들의 등장과 함께 한국의 민주 주의는 발전해갔다. 착취와 비민주적 억압에 대한 저항의 공간으로
  • 27. 써 청계천과 그 주변 지역은 이러한 한국 근대사의 생생한 증인이기 도 하다. 이와 거의 동시인 1990년대 초반 경, 많은 교통량을 소화 하던 청계고가도로와 삼일고가도로에 대한 정밀 조사의 필요성이 대 두되었고, 보수공사는 끊이지 않았다. 1991년에서 92년 사이 이루어 진 대한토목학회의 청계고가도로 정밀안전검사는 구조물 내부의 철골 이 부식되었으며 그 상판이 구조적으로 열악한 상태임을 밝혀내었다. 이는 1994년부터 1999년까지의 남산터널에서 시작되는 삼일 교차로 2km 구간에 대한 전면적 정비로 이어졌다. 그리고 1997년부터 청계 고가도로 구간은 승용차 이외의 차량 통행이 전면 제한되었다.22 이러 한 2000년 말에서 2001년에 이르는 시기에 명확해진 것은 과거 시대 의 가장 중요한 성취였던 도시인프라건설의 결과가 더 이상 지속가능 하지 않다는 것이다. 즉 청계고가도로는 더 이상 안전하지 않으며, 거 의 재건 수준의 근본적인 수리나 철거가 요구되었다. 불행하게도 서울 은 급속한 근대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지어진 구조물들의 붕괴참사에 대한 경험이 이미 있었다. 1990년대부터 청계천 복원 문제는 학계와 도시계획 전문가 집단, 그리고 환경보존가들 사이에서 논의되기 시작하였고, 복원의 필 요성과 그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파급효과 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 되기 시작하였다. 복원에 대한 생각을 누가 처음 시작했는지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최종 프로젝트의 결과와 무관할 수도 있다. 복원에 대한 최초의 공식적 논의는 늦어도 1991년경 학계를 중심으로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연세대학교 환경공학분야의 노수홍 교수 가 비공식적으로 역사학자 이희덕 교수와 복원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 를 나누었다. 또한 노수홍 교수는 1998년 ‘토지’로 유명한 소설가 박경 리 선생과 청계천 복원에 대한 이야기를 직접 나누었다. 이들은 청계 천살리기연구회를 조직하여 2000년도 9월에 박경리 선생의 토지문화 관에서 첫 번째 심포지엄을 갖는다. 연세대학교와 공동 주최 하에 이 틀에 걸쳐 이루어진 본 심포지엄에는 경제, 법학, 문화, 환경, 생태, 공 the south across the Han River. Chung-hee Park was assassinated in 1979, followed by Doo-hwan Chun’s further military coup and the uprising and repression of the Gwangju Democratic Movement in 1980. With the 1987 June Uprising, marked by massive demonstrations in front of City Hall and a five-day sit-in at nearby Myung- dong Church, time began to run out on the military regime. Seoul’s hosting of the Olympic Games in 1988 focused attention on human rights, and following the three- party political merger of 1990, Young-sam Kim became president in 1993. The end of military rule enabled democracy to emerge, with a succession of democratically elected civilian governments in the years since. As spaces of exploitation and spaces of demonstration, Cheonggyecheon and its more immediate vicinity played witness to most of these events. At much the same time, the heavily traveled Cheonggye Highway and its Samil Bypass were subject to increasing scrutiny and continued repair. Between 1991 and 1992,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safety evaluation of the elevated roadways found steel beams corroded and construction top plates in poor condition. This was followed in 1994 to 1999 by a complete overhaul of a 2-kilometer section of the Samil Bypass leading out from the Namsan Tunnel. By 1997, access on the Cheonggye Highway was restricted to passenger vehicles only.22 At this juncture, around late 2000 and into 2001, it became reasonably clear that perhaps the most prominent urban infrastructure achievements of the prior era were unsustainable. The Cheonggye Highway was unsafe and would have to undergo substantial repair, almost to the point of reconstruction, or it would have to be demolished. Unfortunately, Seoul was no stranger to construction failures, with almost all coming from the same era of very rapid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From the 1990s onward, Cheonggyecheon came under periodic discussion in academic and professional circles, as well as among conservationists, leading to reasonably broad acceptance of the stream restoration project with its likely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benefits. Initiation of the idea is difficult to trace to any single source with certainty and is probably irrelevant to the eventual outcome.
  • 28. 33 Public Improvements and Paradigm Shifts 32 공보건, 그리고 공학 등 서로 다른 분야의 많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는 청계천 복원과 관련된 각종 분야를 망라한 첫 번째 공식적인 모 임이었고 이후 2001년도 및 2002년도 청계천살리기심포지엄을 통해 복원비용 등 보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24 양윤재 당시 서울 대 환경대학원 교수도 복원에 따른 잠재적 효과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 지기 시작했고 대학원생들과 함께 관련된 학술활동을 했다. 1993년 해 외에서 방문교수 생활을 하면서 그는 독일과 미국에서의 하천복원과 관 련된 바이오엔지니어링 및 기타 여러 측면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25 청계천 복원에 대한 논의는 갈수록 확대되어 학계 밖으로도 뻗어나갔다. 예를 들어 대표적 진보성향 매체인 한겨례 신문은 2002 년 1월 1일 청계천 복원에 대한 박경리 선생의 글을 특집기사로 실었 고, 2002년 4월 9일에서 7월 3일에 걸쳐 ‘청계천에 새 생명을’이라는 제목 하에 열 편의 특집기사를 연재하였다.26 또한 2002년 청계천 복 원사업이 서울시장 선거공약으로 쟁점화되자 1994년 설립된 녹색연합 과 1989년 민주화 운동 과정에 설립된 영향력 있는 시민단체인 경실 련 등도 자신의 입장을 발표하거나 시장선거 출마자들에게 압력을 행 사하는 등 복원사업에 대한 시민사회의 목소리를 전달했다.27 2002년 시장선거가 진행되는 동안 주요 일간지들 또한 청계천 복원 여부에 대 해 갈수록 관심을 기울였다. 2002년 각 정당별 서울시장 후보자가 윤곽을 드러내자 청 계천 복원은 후보자 간에 큰 시각차이를 드러낸 중요 이슈로 부각되었 다. 보수성향의 한나라당에서는 당시 61세였던 이명박 후보가 서울시 장 후보로 결정되었다. 진보성향의 민주당에서는 소위 386세대 – 30 대 전후로 1980년대에 대학을 다녔으며 1960년대에 태어난 – 출신의 김민석 후보가 서울시장 후보로 결정되었다. 두 후보 모두 1992년도 에 정계에 진출하였는데, 이명박 후보는 강력한 재벌인 현대그룹의 계 열사인 현대건설의 CEO 출신이었고, 김민석 후보는 1980년대 민주화 학생운동의 상징적인 인물이었다. 처음부터 이명박 후보는 청계천 복 원문제를 선점하여 최우선 선거공약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반해, 김민 Initial discussions appear to have taken place as early as 1991, if not before, in academic circles. Soo-hong Rho, a professor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t Yonsei University, discussed the idea with the historian Hee-deok Lee, at least informally.23 He also took the idea up more directly in 1998 with the notable writer Kyung-ni Park, author of the bestseller The Land. Together, Rho, Lee, and Park formed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called the Cheonggyecheon Revival Academy in 2000, holding their first symposium on reviving the stream in September of that year at Park’s Land Museum, outside of Seoul. Participating in the two-day event sponsored, at least in part, by Yonsei University, were numerous specialists from the fields of economics, law, culture, environment, ecology, public health, and engineering. It was the first time such a cross-disciplinary gathering had been held and resulted in the organization of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Study Group. Subsequent symposia were held in 2001 and 2002, further detailing proposals for recovery, including costs.24 Others such as Yun-jae Yang, then a professo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also started looking at the potential benefits of stream restoration, conducting surveys with graduate students. As a visiting scholar abroad in 1993, he also spent time looking into bioengineering and other aspects of stream recovery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25 Gradually, momentum behind the idea of stream restoration increased and broadened beyond academic circles. The Hankyoreh, a prominent left- leaning newspaper, published an article by Kyung-ni Park on the prospect of Cheonggyecheon’s restoration on January 1, 2002, with an intention to serialize ten subsequent articles with Professor Rho, which were eventually published under the title “Bring New Life to Cheonggyecheon” from April 9 to July 3, 2002.26 Then, as the topic became more intertwined with the mayoral elections of 2002,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uch as Green Korea, founded in 1994, and even the influential Kyungsilren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founded during the democratic movement in 1989, became involved, taking positions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