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국어국문학과 b574004 김다예
“ ”
- 스마트폰으로 차량 서비스를 요청한다는 단순한 아이
디어 하나에서 시작된 Uber는 온디맨드 네트워크의 급속
한 확장과 함께 수많은 라이더와 드라이버 파트너를 연
결하는 세계적인 규모의 이동 수단으로 성장
2010
2012
미국을 벗어나
국제화 시도
2017
2019
3월 기준,
기업가치 $82
billion 돌파
‘Ubercab’
이라는
이름으로 설립
2009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서비스 제공 시작
현 CEO
Dara Khosrowshahi
임명
9,100만 명
매 달 Uber를 사용하는
고객 수
63개국
Uber 서비스가 제공되는
국가의 개수
100억 건
세계 각지에서 제공된
차량 서비스 횟수
1400만 건
매일 완료 된
차량 서비스 횟수
2018년 12월 기준
1. 라이더가
앱을 열어
목적지를 입력한다.
2.라이더가
드라이버 파트너와
매치된다.
3. 드라이버 파트너가
라이더를
픽업한다.
4. 드라이버 파트너가
라이더의 목적지까지
운행한다.
5. 라이더와 파트너는
별점과 리뷰를
남긴다.
출처 : Uber 웹사이트
On-demand형
서비스
저렴한 옵션 편리한 이동수단
- 필요할 때
언제나 요청 가능.
- 버튼 하나만 누르면
드라이브 파트너가
원하는 곳 까지 데려다 줌.
- 상황에 따라
Uber X, Uber pool 등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옵션 선택 가능.
우버는
공유 경제“
”
필요한 재화를 직접 소유
하지 않고 타인의 유휴
자산에 접근해 이용하거
나 공유
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소비자 측면 : 소비자 편의 증대
1. 모바일 및 인터넷 거래 환경을 통하여 거래 체결 과정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음
- 수요자와 공급자가 필요 정보가 공유된 상태에서 수요자의 서비스 요청을
공급자가 수락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별도 협상 없이 실시간 거래 체결
- 대부분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에서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므로 수요자
와 공급자 간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이외의 부가적인 행동이 필요 없음
-> 어플로 차량을 호출하고 탑승 후 도착하면 요금지불 없이 내림
- 글로벌 단일 플랫폼을 활용하고 공식적으로 팁 등의 부가 비용을 지불하
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외국인도 편리하게 사용 가능
- 소비자 측면 : 소비자 편의 증대
2.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수요자에게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기존 서비
스 제공자에게 치우쳐 있던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하고, 정보의 투명성
및 서비스의 신뢰도 증가
- 운전자 성명, 차종, 예상 최적경로, 도착시각,요금 등이 어플로 제공되
기 때문에 바가지 요금 등 부당 행위가 발생하기 어려움
- 운전자별로 승객이 체크한 만족도를 공개하기 때문에 만족도에 따라
서 서비스 요청을 취소할 수 있으며, 높은 서비스 수준을 유도할 수
있음
-> 모든 승객에게 5점 만점의 고객만족도 점수를 받아 공개하며, 평
균 3점 미만의 운전자는 우버 면허를 취소함
- 소비자 측면 : 밀레니얼 세대
소유보다는 자신들이 원할 때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
- 밀레니얼 세대의 경제상황으로 볼 때 소유보다는 공유, 렌트 등
을 선호하며, 오늘날 소비파워가 가장 높은 그룹으로 평가받음.
- 우버는 이에 부합하는 On demand의 경제에 기반한 서비스
- 우버의 성공에 밀레니얼 세대가 기여한 바가 큼.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노동 유연성
1. 전통적이고 획일적인 근무 형태에서 벗어나 노동자가 원하는 시간에
일할 수 있는 유연한 노동 형태 운영 가능
- 우버 기사들은 근무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때에 자유롭게 근무할 수 있으며,
본인이 원하지 않는 시간에는 서비스 요
청에 응답할 의무도 없음
- 최소 근무 할당량도 없으며 개인이 원하
고 여력이 되는한 더 많은 시간을 투여하여
더 많은 시간당 소득을 얻을 수도 있음
-> 우버 기사의 시간당 수익은 U$10 미만
부터 U$25 이상까지 다양하게 분포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노동 유연성
2. 유휴 노동시간(Idle time)과 유휴 자산(Idle asset)을 활용하여 수익 창출
기회가 확대
- 기존 출퇴근에만 이용하던 차량을 택시영업에 이용할 수 있음.
이와 같은 유휴 자산의 공유가 곧 공유경제의 기본 핵심 !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새로운 기회 제공
Uber는 시장으로부터 제외되었던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줌
- 아예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도 면허 취득에 있어서 문제가
없음.
- 청각장애인들은 잘 듣지 못하는 대신 일반 운전자보다 시야가 1.5배
더 넓음.
그 대표적인 사례가 deaf or hard-of-hearing driving partners.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새로운 기회 제공
- 우버는 2020년까지 여성들에게 백만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겠다고 발표.
- 이와 같이 제도권 직업에 진출하기 어려웠던 이민자‧저소득층 등이 별
도의 교육이나 훈련 없이도 주요 소득원으로 우버를 선택할 수 있음
또한 여성들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
1. Uber 웹사이트 https://www.uber.com/kr/ko/
2. Uber Newsroom https://www.uber.com/ko-KR/newsroom
3. 우버의 성장엔진은 무엇인가
https://happist.com/556240/%EC%9A%B0%EB%B2%84%EC%9D%98-
%EC%84%B1%EC%9E%A5%EC%97%94%EC%A7%84%EC%9D%80-
%EB%AC%B4%EC%97%87%EC%9D%B8%EA%B0%80-by-
growthhackers/
4.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행태가 미국을 재구성한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
View.do?setIdx=243&dataIdx=157265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Business innovation

경영혁신과제2
경영혁신과제2경영혁신과제2
경영혁신과제2vjdoory
 
부르미 픽업카
부르미 픽업카부르미 픽업카
부르미 픽업카
starlight0621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RightBrain inc.
 
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
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
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
iron han
 
<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
<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
<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
Hwaryun Kim
 
The UBER phenomenon
The UBER phenomenonThe UBER phenomenon
The UBER phenomenon
Jake Jeon
 
고등7조 택시잡기
고등7조 택시잡기고등7조 택시잡기
고등7조 택시잡기
obsspecial
 
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
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
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Eunhwa Yang
 
Waze
WazeWaze
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
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
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
Charles Pyo
 
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
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
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Eunhwa Yang
 
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
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
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흐름 여유
 
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
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
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
(주)핑거
 

Similar to Business innovation (13)

경영혁신과제2
경영혁신과제2경영혁신과제2
경영혁신과제2
 
부르미 픽업카
부르미 픽업카부르미 픽업카
부르미 픽업카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IoT 관점에서 본 2015년 디자인 트랜드 및 2016년 전망
 
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
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
공유경제 - 자동차를 공유하는 Getaround
 
<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
<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
<parking> UX service design_김화련
 
The UBER phenomenon
The UBER phenomenonThe UBER phenomenon
The UBER phenomenon
 
고등7조 택시잡기
고등7조 택시잡기고등7조 택시잡기
고등7조 택시잡기
 
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
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
23기 0319 c조_naver case_ver3.0
 
Waze
WazeWaze
Waze
 
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
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
한국 대리운전 시장의 이해
 
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
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
23기 110319 ateam_렌즈케이스_ver2[2].0
 
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
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
20141208 대리운전시장의이해
 
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
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
미래 컨택센터.컨택저널 기고
 

Business innovation

  • 2. “ ” - 스마트폰으로 차량 서비스를 요청한다는 단순한 아이 디어 하나에서 시작된 Uber는 온디맨드 네트워크의 급속 한 확장과 함께 수많은 라이더와 드라이버 파트너를 연 결하는 세계적인 규모의 이동 수단으로 성장
  • 3. 2010 2012 미국을 벗어나 국제화 시도 2017 2019 3월 기준, 기업가치 $82 billion 돌파 ‘Ubercab’ 이라는 이름으로 설립 2009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서비스 제공 시작 현 CEO Dara Khosrowshahi 임명
  • 4. 9,100만 명 매 달 Uber를 사용하는 고객 수 63개국 Uber 서비스가 제공되는 국가의 개수 100억 건 세계 각지에서 제공된 차량 서비스 횟수 1400만 건 매일 완료 된 차량 서비스 횟수 2018년 12월 기준
  • 5. 1. 라이더가 앱을 열어 목적지를 입력한다. 2.라이더가 드라이버 파트너와 매치된다. 3. 드라이버 파트너가 라이더를 픽업한다. 4. 드라이버 파트너가 라이더의 목적지까지 운행한다. 5. 라이더와 파트너는 별점과 리뷰를 남긴다. 출처 : Uber 웹사이트
  • 6. On-demand형 서비스 저렴한 옵션 편리한 이동수단 - 필요할 때 언제나 요청 가능. - 버튼 하나만 누르면 드라이브 파트너가 원하는 곳 까지 데려다 줌. - 상황에 따라 Uber X, Uber pool 등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옵션 선택 가능.
  • 7. 우버는 공유 경제“ ” 필요한 재화를 직접 소유 하지 않고 타인의 유휴 자산에 접근해 이용하거 나 공유 에 기반을 두고 있다.
  • 8. - 소비자 측면 : 소비자 편의 증대 1. 모바일 및 인터넷 거래 환경을 통하여 거래 체결 과정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음 - 수요자와 공급자가 필요 정보가 공유된 상태에서 수요자의 서비스 요청을 공급자가 수락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별도 협상 없이 실시간 거래 체결 - 대부분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에서 자동으로 결제가 이루어지므로 수요자 와 공급자 간 서비스 요청 및 제공 이외의 부가적인 행동이 필요 없음 -> 어플로 차량을 호출하고 탑승 후 도착하면 요금지불 없이 내림 - 글로벌 단일 플랫폼을 활용하고 공식적으로 팁 등의 부가 비용을 지불하 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외국인도 편리하게 사용 가능
  • 9. - 소비자 측면 : 소비자 편의 증대 2. 온라인 플랫폼을 통하여 수요자에게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기존 서비 스 제공자에게 치우쳐 있던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화하고, 정보의 투명성 및 서비스의 신뢰도 증가 - 운전자 성명, 차종, 예상 최적경로, 도착시각,요금 등이 어플로 제공되 기 때문에 바가지 요금 등 부당 행위가 발생하기 어려움 - 운전자별로 승객이 체크한 만족도를 공개하기 때문에 만족도에 따라 서 서비스 요청을 취소할 수 있으며, 높은 서비스 수준을 유도할 수 있음 -> 모든 승객에게 5점 만점의 고객만족도 점수를 받아 공개하며, 평 균 3점 미만의 운전자는 우버 면허를 취소함
  • 10. - 소비자 측면 : 밀레니얼 세대 소유보다는 자신들이 원할 때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함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 - 밀레니얼 세대의 경제상황으로 볼 때 소유보다는 공유, 렌트 등 을 선호하며, 오늘날 소비파워가 가장 높은 그룹으로 평가받음. - 우버는 이에 부합하는 On demand의 경제에 기반한 서비스 - 우버의 성공에 밀레니얼 세대가 기여한 바가 큼.
  • 11.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노동 유연성 1. 전통적이고 획일적인 근무 형태에서 벗어나 노동자가 원하는 시간에 일할 수 있는 유연한 노동 형태 운영 가능 - 우버 기사들은 근무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때에 자유롭게 근무할 수 있으며, 본인이 원하지 않는 시간에는 서비스 요 청에 응답할 의무도 없음 - 최소 근무 할당량도 없으며 개인이 원하 고 여력이 되는한 더 많은 시간을 투여하여 더 많은 시간당 소득을 얻을 수도 있음 -> 우버 기사의 시간당 수익은 U$10 미만 부터 U$25 이상까지 다양하게 분포
  • 12.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노동 유연성 2. 유휴 노동시간(Idle time)과 유휴 자산(Idle asset)을 활용하여 수익 창출 기회가 확대 - 기존 출퇴근에만 이용하던 차량을 택시영업에 이용할 수 있음. 이와 같은 유휴 자산의 공유가 곧 공유경제의 기본 핵심 !
  • 13.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새로운 기회 제공 Uber는 시장으로부터 제외되었던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열어줌 - 아예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도 면허 취득에 있어서 문제가 없음. - 청각장애인들은 잘 듣지 못하는 대신 일반 운전자보다 시야가 1.5배 더 넓음. 그 대표적인 사례가 deaf or hard-of-hearing driving partners.
  • 14. - 서비스 제공자 측면 : 새로운 기회 제공 - 우버는 2020년까지 여성들에게 백만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겠다고 발표. - 이와 같이 제도권 직업에 진출하기 어려웠던 이민자‧저소득층 등이 별 도의 교육이나 훈련 없이도 주요 소득원으로 우버를 선택할 수 있음 또한 여성들에게도 새로운 기회를 제공.
  • 15. 1. Uber 웹사이트 https://www.uber.com/kr/ko/ 2. Uber Newsroom https://www.uber.com/ko-KR/newsroom 3. 우버의 성장엔진은 무엇인가 https://happist.com/556240/%EC%9A%B0%EB%B2%84%EC%9D%98- %EC%84%B1%EC%9E%A5%EC%97%94%EC%A7%84%EC%9D%80- %EB%AC%B4%EC%97%87%EC%9D%B8%EA%B0%80-by- growthhackers/ 4. 밀레니얼 세대의 소비행태가 미국을 재구성한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2/globalBbsData View.do?setIdx=243&dataIdx=157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