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Amazon CloudFront Day 2018
Route53을 활용한 Multi-CDN 서비스 관리하기
GS네오텍과 Amazon이 함께하는
1. Route53을 활용한 Multi-CDN 서비스 관리하기
2. Route53이란 무엇인가?
3. 왜 여러 CDN 서비스들을 사용할까?
4. 그래서, GS네오텍은 무엇을?
CONTENTS
Route53을 활용한 Multi-CDN 서비스 관리하기
예시01 |
Amazon CloudFront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
GS네오텍의 GSCDN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
2개를 6:4 분배로 이용할 수 없을까?
Route53으로 간단히 해결~
고객은 N개의 CDN 서비스를 같이 분배를 통하여 이용하고 싶다.
• 예 : Amazon CloudFront, GSCDN, 타 CDN 등
이번 예시는 Amazon CloudFront와 GSCDN을 6:4 비중으로 이용하고 싶다.
• Amazon CloudFront Service Domain : d2bmbyr6v1en1y.cloudfront.net
• GSCDN Service Domain : awsdocs.cloud.gscdn.net
• 대표 Service Domain : awsdocs.muxcdn.net
손쉽게 Amazon Route53에 Service Domain을 등록하고, 각 CDN 서비스의 Domain을 Weighted 방식으로 CNAME 처리하자.
그럼, 알아서 분배되어 이용할 수 있다.
끝!
Amazon Route53 설정02 |
[Amazon Web Console] 접속 후, “Networking & Content Delivery” 카테고리의 “Route 53”을 선택
“Hosted zones”에서 대표 서비스 도메인 호스트 선택
“Create Record Set”을 클릭하여, Record Set 등록 (동일한 Sub Domain으로 2개의 레코드셋 추가)
• Type : CNAME – Canonical name
• Value : 각각 CDN 서비스 도메인 입력
• Routing Policy : Weighted 선택
• Weighted : Amazon CloudFront 쪽은 60, GSCDN 쪽은 40
• Set ID : 고유한 ID 식별하기 좋은 임의의 값 입력
Amazon Route53 설정02 |
결과03 |
끝!
정말 이걸로 끝인가요?
네!
Route53이란 무엇인가?
DNS란 무엇인가?01 |
사용자
DNS Resolver
DNS Root Name Server
Name Server for .com TLD
Amazon Route53 Name Server
Web Server for www.test.com 192.0.2.4
www.test.com
① 주소 표시줄에 www.test.com 입력
② ISP 관리 DNS 해석기로 라우팅
③ DNS 루트 이름 서버에 전달
④ .com 도메인의 TLD 이름 서버 응답
⑤ .com 도메인 이름 서버에 질의
⑥ Route53 이름 서버 응답
⑦ Route53 이름 서버에 질의
⑧ 192.0.2.4 IP 주소 응답
⑨ 192.0.2.4 IP 주소 응답
⑩ IP 주소로 http://www.test.com에 대한 요청 전송
⑪ 웹 서버의 컨텐츠 응답
Amazon Route53 이란?02 |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클라우드 Domain Name System(DNS) 웹 서비스
100% 이용 가능 보장
www.example.com과 같은 이름을 192.0.2.1과 같이 컴퓨터 간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 (IPv6 호환)
종량 과금제
• 호스팅 영역 관리 : 호스팅 영역에 대한 월별 요금 지불
• DNS 쿼리 제공 : Alias A 레코드를 제외한, 모든 DNS 쿼리에 대한 요금 부과
• 도메인 이름 관리 : Route53을 통한 도메인 연간 비용 청구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1. Simple
• 해당 레코드의 값만을 기반으로 쿼리에 응답
• 도메인에 대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리소스만 있는 경우에 사용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2. Weighted
• 사용자가 지정하는 비율에 따라 여러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
• 가중치 0~255를 지정할 수 있음
70
30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3. Latency
• 여러 위치에 리소스가 있고 최상의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
• 어느 리전이 사용자에게 가장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지 결정한 후 해당 리전의 지연시간 레코드를 선택
• 일정 기간에 걸쳐 수행되는 지연 시간 측정에 기반을 두고 있음
15ms
2ms
33ms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4. Failover
• 액티브-패시브 장애 조치를 구성하려는 경우에 사용
• 특정 리소스가 정상일 경우 해당 리소스로 라우팅하고, 첫 번째 리소스가 비정상일 경우 다른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
FAIL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5. Geolocation
•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트래픽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
• 지리 위치는 IP 주소를 위치에 매핑하는 방식으로 작동
Tokyo
Seoul
Singapore
부산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6. Multivalue Answer
• Route53이 DNS 쿼리에 무작위로 선택된 최대 8개의 정상 레코드로 응답하게 하려는 경우에 사용
• 정상 상태의 리소스의 값만 반환함
왜 여러 CDN 서비스들을 사용할까?
CDN 서비스를 사용하는 목적01 |
많은 이유와 목적이 있겠지만,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은 3가지 이유가 주요 사항
빠르고…
안정적이고…
싸게…
왜 여러 CDN 서비스들을 사용할까?02 |
[#1] 우리는 CDN도 이중화 해야 합니다. 단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보장을 100% 할 수 있나요?
[#2] 국내는 G사, 해외는 A사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3] 기 계약된 CDN 서비스가 있습니다. 국내라서 Bandwidth 기반으로 과금이 되는데, 스파이크성 트래픽
은 트래픽 종량제 CDN 서비스들을 이용하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4] 우리는 HTTP(S) 다운로드 밖에 없습니다. 무조건 싸게 사용하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5] 혹시, 장애가 나면 다른 CDN 서비스로 최대한 빠르게 전환이 가능할까요?
[#N] OOOOOOOOOOOOOOOOOOOOOOOOOO ?
여러 CDN 서비스들을 어떻게 사용할까?03 |
답은 앞에 설명 드렸습니다.
수작업으로 그 때 그 때 설정하시면 됩니다.
한 번 설정해 놓고 자동으로 관리되게 끔 할 수 없나요?
그래서, GS네오텍은 무엇을?
Multi-CDN 관리 서비스란?01 |
다양한 CDN Provider를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 도메인을 기준으로 원하는 정책에 따라 분기를 제어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
정책 (기본) : 가중치 기반(Weighted), 지역 기반(Geolocation) (1가지 정책만 적용 가능)
다양한 CDN Provider에 대한 통계를 통합하여 표시
• 표시 항목 : 대역폭(Bandwidth), 전송량(Transferred Data), 요청수(Request)
• 표시 단위 : 5분, 1시간, 1일 간격
각 사용자의 접근, 변경에 대한 행위에 대해 로그를 저장하여 확인 가능
Multi-CDN 관리 서비스 구성02 |
사용자
Route53
Amazon CloudFront
GSCDN
타 CDN
WiseN Multi-CDN 관리 서비스
Dashboard03 |
• 서비스 도메인 기준으로 연결된 각 CDN Provider 및 분배 기준 실시간 표시
• CDN Provider 별 최근 Bandwidth, Transferred Data, Request 통계 표시
Statistics04 |
• 서비스 도메인 기준, 각 CDN Provider 기준 선택적으로 분/시간/일 단위로 통계 그래프 표시
• Bandwidth, Transferred Data, Request 통계 정보 표시
CDN Provider, Service Domain05 |
• CDN Provider 리스트, 등록, 수정, 삭제 관리
• Service Domain 리스트, 등록, 수정, 삭제 관리 : 가중치 분배, 지역 분배 선택
DEMO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
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
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
Amazon Web Services Korea
 
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
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
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What's hot (20)

Hanghae99 FinalProject Moyeora!
Hanghae99 FinalProject Moyeora!Hanghae99 FinalProject Moyeora!
Hanghae99 FinalProject Moyeora!
 
Redis edu 5
Redis edu 5Redis edu 5
Redis edu 5
 
20170609 tech day_4th-nginx(lb)-이재훈
20170609 tech day_4th-nginx(lb)-이재훈20170609 tech day_4th-nginx(lb)-이재훈
20170609 tech day_4th-nginx(lb)-이재훈
 
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
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
AWS Media Day- POOQ의 AWS Headend (Live/VoD) 구축 (박명순 부장)
 
Elastic webservice
Elastic webserviceElastic webservice
Elastic webservice
 
CloudFront 활용하기
CloudFront 활용하기CloudFront 활용하기
CloudFront 활용하기
 
AWS를 활용한 글로벌 아키텍처 운용 전략 - 김상필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2 Advanced
AWS를 활용한 글로벌 아키텍처 운용 전략 - 김상필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2 AdvancedAWS를 활용한 글로벌 아키텍처 운용 전략 - 김상필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2 Advanced
AWS를 활용한 글로벌 아키텍처 운용 전략 - 김상필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2 Advanced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나에게 맞는 AW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선택하기 :: 양승도 :: AWS Summit Seoul 2016
 
AWS EMR Cost optimization
AWS EMR Cost optimizationAWS EMR Cost optimization
AWS EMR Cost optimization
 
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아마존 닷컴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
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
Elastic Load Balancing 심층 분석 - AWS Summit Seoul 2017
 
[웨비나] Follow me!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본편 - 강지나 테크 에반젤리스트
[웨비나] Follow me!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본편 - 강지나 테크 에반젤리스트[웨비나] Follow me!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본편 - 강지나 테크 에반젤리스트
[웨비나] Follow me!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기본편 - 강지나 테크 에반젤리스트
 
Optane DC Persistent Memory(DCPMM) 성능 테스트
Optane DC Persistent Memory(DCPMM) 성능 테스트Optane DC Persistent Memory(DCPMM) 성능 테스트
Optane DC Persistent Memory(DCPMM) 성능 테스트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클라우드 기반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 옵션 - AWS Summit Seoul 2017
 
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롯데닷컴의 AWS 클라우드 활용 사례 - AWS Summit Seoul 2017
 
Using CloudFront and S3 at SMARTSTUDY
Using CloudFront and S3 at SMARTSTUDYUsing CloudFront and S3 at SMARTSTUDY
Using CloudFront and S3 at SMARTSTUDY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온라인교육시리즈] 베어메탈서비스 소개 및 활용 - 현영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온라인교육시리즈] 베어메탈서비스 소개 및 활용 - 현영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온라인교육시리즈] 베어메탈서비스 소개 및 활용 - 현영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온라인교육시리즈] 베어메탈서비스 소개 및 활용 - 현영환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Apache kafka performance(throughput) - without data loss and guaranteeing dat...
Apache kafka performance(throughput) - without data loss and guaranteeing dat...Apache kafka performance(throughput) - without data loss and guaranteeing dat...
Apache kafka performance(throughput) - without data loss and guaranteeing dat...
 
게임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활용하기 - 김필중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3 Gaming
게임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활용하기 - 김필중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3 Gaming게임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활용하기 - 김필중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3 Gaming
게임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데이터 분석 활용하기 - 김필중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Cloud Track 3 Gaming
 

Similar to Amazon cf day sesseion2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
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
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
Amazon Web Services Korea
 
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
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
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
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
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
Amazon Web Services Korea
 

Similar to Amazon cf day sesseion2 (20)

AWS Summit Seoul 2015 - CloudFront를 활용한 글로벌 진출기 (Com2us 사례)
AWS Summit Seoul 2015 -  CloudFront를 활용한 글로벌 진출기 (Com2us 사례)AWS Summit Seoul 2015 -  CloudFront를 활용한 글로벌 진출기 (Com2us 사례)
AWS Summit Seoul 2015 - CloudFront를 활용한 글로벌 진출기 (Com2us 사례)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WS Finance Symposium_국내 메이저 증권사의 클라우드 글로벌 로드밸런서 활용 사례 (gslb)
AWS Finance Symposium_국내 메이저 증권사의 클라우드 글로벌 로드밸런서 활용 사례 (gslb)AWS Finance Symposium_국내 메이저 증권사의 클라우드 글로벌 로드밸런서 활용 사례 (gslb)
AWS Finance Symposium_국내 메이저 증권사의 클라우드 글로벌 로드밸런서 활용 사례 (gslb)
 
AWS 9월 웨비나 | AWS와 함께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AWS 9월 웨비나 |  AWS와 함께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AWS 9월 웨비나 |  AWS와 함께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AWS 9월 웨비나 | AWS와 함께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AWS 12월 웨비나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AWS 12월 웨비나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AWS 12월 웨비나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AWS 12월 웨비나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백서 요약] Building a Real-Time Bidding Platform on AWS
[백서 요약] Building a Real-Time Bidding Platform on AWS[백서 요약] Building a Real-Time Bidding Platform on AWS
[백서 요약] Building a Real-Time Bidding Platform on AWS
 
AWS Builders Online Series |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강철, AWS 어카운트 매니저
AWS Builders Online Series |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강철, AWS 어카운트 매니저AWS Builders Online Series |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강철, AWS 어카운트 매니저
AWS Builders Online Series |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강철, AWS 어카운트 매니저
 
변화와 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 김진우 AWS 어카운트 매니저, 이아영 네오위즈 가버너스팀 팀장, 박주희 우아한형제들 시스템신...
변화와 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 김진우 AWS 어카운트 매니저, 이아영 네오위즈 가버너스팀 팀장, 박주희 우아한형제들 시스템신...변화와 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 김진우 AWS 어카운트 매니저, 이아영 네오위즈 가버너스팀 팀장, 박주희 우아한형제들 시스템신...
변화와 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 김진우 AWS 어카운트 매니저, 이아영 네오위즈 가버너스팀 팀장, 박주희 우아한형제들 시스템신...
 
AWS Summit Seoul 2015 -CloudFront와 Route53 기반 콘텐츠 배포 전략 (GS네오텍-박정수)
AWS Summit Seoul 2015 -CloudFront와 Route53 기반 콘텐츠 배포 전략 (GS네오텍-박정수)AWS Summit Seoul 2015 -CloudFront와 Route53 기반 콘텐츠 배포 전략 (GS네오텍-박정수)
AWS Summit Seoul 2015 -CloudFront와 Route53 기반 콘텐츠 배포 전략 (GS네오텍-박정수)
 
서버리스 아키텍처 패턴 및 로그 처리를 위한 파이프라인 구축기 - 황윤상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Matthew Han, SendBi...
서버리스 아키텍처 패턴 및 로그 처리를 위한 파이프라인 구축기 - 황윤상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Matthew Han, SendBi...서버리스 아키텍처 패턴 및 로그 처리를 위한 파이프라인 구축기 - 황윤상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Matthew Han, SendBi...
서버리스 아키텍처 패턴 및 로그 처리를 위한 파이프라인 구축기 - 황윤상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Matthew Han, SendBi...
 
AWS Summit Seoul 2023 | 갤럭시 규모의 서비스를 위한 Amazon DynamoDB의 역할과 비용 최적화 방법
AWS Summit Seoul 2023 | 갤럭시 규모의 서비스를 위한 Amazon DynamoDB의 역할과 비용 최적화 방법AWS Summit Seoul 2023 | 갤럭시 규모의 서비스를 위한 Amazon DynamoDB의 역할과 비용 최적화 방법
AWS Summit Seoul 2023 | 갤럭시 규모의 서비스를 위한 Amazon DynamoDB의 역할과 비용 최적화 방법
 
요금 모델 및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지원 - 정도현,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요금 모델 및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지원 - 정도현,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요금 모델 및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지원 - 정도현,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요금 모델 및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지원 - 정도현,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
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
AWS Partner Techshift - 소프트웨어 기업의 성공적인 SaaS 서비스 전환을 위한 제언 (이원일 수석컨설턴트)
 
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
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
Photon게임서버 네트워크엔진과 GBaaS를 통한 AWS DB 서비스 구성 방법 소개 - AWS Summit Seoul 2017
 
모두싸인의 AWS 성장기
모두싸인의 AWS 성장기모두싸인의 AWS 성장기
모두싸인의 AWS 성장기
 
Basics for understanding the cloud
Basics for understanding the cloudBasics for understanding the cloud
Basics for understanding the cloud
 
Aws serverless services
Aws serverless servicesAws serverless services
Aws serverless services
 
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
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
AWS CLOUD 2017 -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이병윤 이사)
 
01. 클라우드 기업 도입 사례
01. 클라우드 기업 도입 사례01. 클라우드 기업 도입 사례
01. 클라우드 기업 도입 사례
 
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
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
성공적인 AWS클라우드로의 여정 그리고 5가지 궁금한 점 :: 김재성 :: AWS Summit Seoul 2016
 

More from GS Neotek

More from GS Neotek (12)

[GS네오텍] Google BigQuery
[GS네오텍] Google BigQuery[GS네오텍] Google BigQuery
[GS네오텍] Google BigQuery
 
[GS네오텍] Google Cloud CDN
[GS네오텍] Google Cloud CDN[GS네오텍] Google Cloud CDN
[GS네오텍] Google Cloud CDN
 
[GS네오텍] Google Compute Engine
[GS네오텍]  Google Compute Engine[GS네오텍]  Google Compute Engine
[GS네오텍] Google Compute Engine
 
[GS네오텍] Google Kubernetes Engine
[GS네오텍]  Google Kubernetes Engine [GS네오텍]  Google Kubernetes Engine
[GS네오텍] Google Kubernetes Engine
 
[GS네오텍] Google Stackdriver
[GS네오텍] Google Stackdriver[GS네오텍] Google Stackdriver
[GS네오텍] Google Stackdriver
 
성능 최대화를 위한 CloudFront 설정 Best Practice
성능 최대화를 위한 CloudFront 설정 Best Practice성능 최대화를 위한 CloudFront 설정 Best Practice
성능 최대화를 위한 CloudFront 설정 Best Practice
 
Double-Edged Sword of Cloud Security
Double-Edged Sword of Cloud SecurityDouble-Edged Sword of Cloud Security
Double-Edged Sword of Cloud Security
 
CloudFront - Cloud Native CDN vs. Primitive CDN
CloudFront - Cloud Native CDN vs. Primitive CDNCloudFront - Cloud Native CDN vs. Primitive CDN
CloudFront - Cloud Native CDN vs. Primitive CDN
 
Amazon cf day sesseion6
Amazon cf day sesseion6Amazon cf day sesseion6
Amazon cf day sesseion6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5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5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5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5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4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4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4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4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3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3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3
GS Neotek aws_Amazon_CloudFrontDay2018_session3
 

Amazon cf day sesseion2

  • 1. Amazon CloudFront Day 2018 Route53을 활용한 Multi-CDN 서비스 관리하기 GS네오텍과 Amazon이 함께하는
  • 2. 1. Route53을 활용한 Multi-CDN 서비스 관리하기 2. Route53이란 무엇인가? 3. 왜 여러 CDN 서비스들을 사용할까? 4. 그래서, GS네오텍은 무엇을? CONTENTS
  • 3. Route53을 활용한 Multi-CDN 서비스 관리하기
  • 4. 예시01 | Amazon CloudFront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 GS네오텍의 GSCDN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 2개를 6:4 분배로 이용할 수 없을까? Route53으로 간단히 해결~ 고객은 N개의 CDN 서비스를 같이 분배를 통하여 이용하고 싶다. • 예 : Amazon CloudFront, GSCDN, 타 CDN 등 이번 예시는 Amazon CloudFront와 GSCDN을 6:4 비중으로 이용하고 싶다. • Amazon CloudFront Service Domain : d2bmbyr6v1en1y.cloudfront.net • GSCDN Service Domain : awsdocs.cloud.gscdn.net • 대표 Service Domain : awsdocs.muxcdn.net 손쉽게 Amazon Route53에 Service Domain을 등록하고, 각 CDN 서비스의 Domain을 Weighted 방식으로 CNAME 처리하자. 그럼, 알아서 분배되어 이용할 수 있다. 끝!
  • 5. Amazon Route53 설정02 | [Amazon Web Console] 접속 후, “Networking & Content Delivery” 카테고리의 “Route 53”을 선택 “Hosted zones”에서 대표 서비스 도메인 호스트 선택 “Create Record Set”을 클릭하여, Record Set 등록 (동일한 Sub Domain으로 2개의 레코드셋 추가) • Type : CNAME – Canonical name • Value : 각각 CDN 서비스 도메인 입력 • Routing Policy : Weighted 선택 • Weighted : Amazon CloudFront 쪽은 60, GSCDN 쪽은 40 • Set ID : 고유한 ID 식별하기 좋은 임의의 값 입력
  • 11. DNS란 무엇인가?01 | 사용자 DNS Resolver DNS Root Name Server Name Server for .com TLD Amazon Route53 Name Server Web Server for www.test.com 192.0.2.4 www.test.com ① 주소 표시줄에 www.test.com 입력 ② ISP 관리 DNS 해석기로 라우팅 ③ DNS 루트 이름 서버에 전달 ④ .com 도메인의 TLD 이름 서버 응답 ⑤ .com 도메인 이름 서버에 질의 ⑥ Route53 이름 서버 응답 ⑦ Route53 이름 서버에 질의 ⑧ 192.0.2.4 IP 주소 응답 ⑨ 192.0.2.4 IP 주소 응답 ⑩ IP 주소로 http://www.test.com에 대한 요청 전송 ⑪ 웹 서버의 컨텐츠 응답
  • 12. Amazon Route53 이란?02 | 가용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클라우드 Domain Name System(DNS) 웹 서비스 100% 이용 가능 보장 www.example.com과 같은 이름을 192.0.2.1과 같이 컴퓨터 간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숫자로 된 IP 주소로 변환 (IPv6 호환) 종량 과금제 • 호스팅 영역 관리 : 호스팅 영역에 대한 월별 요금 지불 • DNS 쿼리 제공 : Alias A 레코드를 제외한, 모든 DNS 쿼리에 대한 요금 부과 • 도메인 이름 관리 : Route53을 통한 도메인 연간 비용 청구
  • 13.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1. Simple • 해당 레코드의 값만을 기반으로 쿼리에 응답 • 도메인에 대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리소스만 있는 경우에 사용
  • 14.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2. Weighted • 사용자가 지정하는 비율에 따라 여러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 • 가중치 0~255를 지정할 수 있음 70 30
  • 15.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3. Latency • 여러 위치에 리소스가 있고 최상의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 • 어느 리전이 사용자에게 가장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지 결정한 후 해당 리전의 지연시간 레코드를 선택 • 일정 기간에 걸쳐 수행되는 지연 시간 측정에 기반을 두고 있음 15ms 2ms 33ms
  • 16.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4. Failover • 액티브-패시브 장애 조치를 구성하려는 경우에 사용 • 특정 리소스가 정상일 경우 해당 리소스로 라우팅하고, 첫 번째 리소스가 비정상일 경우 다른 리소스로 트래픽을 라우팅 FAIL
  • 17.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5. Geolocation •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트래픽 라우팅하려는 경우에 사용 • 지리 위치는 IP 주소를 위치에 매핑하는 방식으로 작동 Tokyo Seoul Singapore 부산
  • 18. Amazon Route53 Routing Policy03 | 6. Multivalue Answer • Route53이 DNS 쿼리에 무작위로 선택된 최대 8개의 정상 레코드로 응답하게 하려는 경우에 사용 • 정상 상태의 리소스의 값만 반환함
  • 19. 왜 여러 CDN 서비스들을 사용할까?
  • 20. CDN 서비스를 사용하는 목적01 | 많은 이유와 목적이 있겠지만,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은 3가지 이유가 주요 사항 빠르고… 안정적이고… 싸게…
  • 21. 왜 여러 CDN 서비스들을 사용할까?02 | [#1] 우리는 CDN도 이중화 해야 합니다. 단일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보장을 100% 할 수 있나요? [#2] 국내는 G사, 해외는 A사를 사용하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3] 기 계약된 CDN 서비스가 있습니다. 국내라서 Bandwidth 기반으로 과금이 되는데, 스파이크성 트래픽 은 트래픽 종량제 CDN 서비스들을 이용하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4] 우리는 HTTP(S) 다운로드 밖에 없습니다. 무조건 싸게 사용하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5] 혹시, 장애가 나면 다른 CDN 서비스로 최대한 빠르게 전환이 가능할까요? [#N] OOOOOOOOOOOOOOOOOOOOOOOOOO ?
  • 22. 여러 CDN 서비스들을 어떻게 사용할까?03 | 답은 앞에 설명 드렸습니다. 수작업으로 그 때 그 때 설정하시면 됩니다. 한 번 설정해 놓고 자동으로 관리되게 끔 할 수 없나요?
  • 24. Multi-CDN 관리 서비스란?01 | 다양한 CDN Provider를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 도메인을 기준으로 원하는 정책에 따라 분기를 제어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 정책 (기본) : 가중치 기반(Weighted), 지역 기반(Geolocation) (1가지 정책만 적용 가능) 다양한 CDN Provider에 대한 통계를 통합하여 표시 • 표시 항목 : 대역폭(Bandwidth), 전송량(Transferred Data), 요청수(Request) • 표시 단위 : 5분, 1시간, 1일 간격 각 사용자의 접근, 변경에 대한 행위에 대해 로그를 저장하여 확인 가능
  • 25. Multi-CDN 관리 서비스 구성02 | 사용자 Route53 Amazon CloudFront GSCDN 타 CDN WiseN Multi-CDN 관리 서비스
  • 26. Dashboard03 | • 서비스 도메인 기준으로 연결된 각 CDN Provider 및 분배 기준 실시간 표시 • CDN Provider 별 최근 Bandwidth, Transferred Data, Request 통계 표시
  • 27. Statistics04 | • 서비스 도메인 기준, 각 CDN Provider 기준 선택적으로 분/시간/일 단위로 통계 그래프 표시 • Bandwidth, Transferred Data, Request 통계 정보 표시
  • 28. CDN Provider, Service Domain05 | • CDN Provider 리스트, 등록, 수정, 삭제 관리 • Service Domain 리스트, 등록, 수정, 삭제 관리 : 가중치 분배, 지역 분배 선택
  • 29. DE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