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인증의 필요성
인증이란?
1. 표준
2. 기술규정
3. 시험 및 검사
제품 및 기관/기업 개인 을
아래의 항목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아닌 제 3자가
적합하다는 평가를 하는 것
인증이란?
인증 대상 용도
개인 자격, 출입,거래, 국적 등
기업 기업간 인증,무역 인증,
경영 인증 등
국가 국가간 협약,
중재 행위 등
동물 및
생물
위험 여부,
멸종위기/희귀
신종 발견 등
제품 서비스, 보안SW, HW, 품질, 안전 등
시험, 검사, 표준, 적합의 정의
분류 정의
시험 특정한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나 또
는 그 이상의 특성을 규정된 절차에 따라 측정하는
기술적인 작업
검사 측정, 시험 또는 계측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한 관측
및 판단에 의한 적합성을 증명하는 행위
표준 - 합의에 의해 작성
- 인정된 기관에 의해 승인
- 주어진 범위 내에서 최적 수준의 공통적 반복 사
용을 통한 규칙, 지침 또는 특성을 제공하는 매체를
칭함
적합 관련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는 지를 직접 또는 간적
접으로 결정하는 것에 관한 모든 활동
<KEY NOTE>
"인증, 시험, 검사는 모두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활동이다.”
“인증은 시험 및 검사가 필요하며, 표준을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인증의 폐해와 문제점
분류
사람 문제 1. 경영진에 인증에 대한 편견 및 무관심
2. 개인의 상황, 기업 상황에 맞추는 노력을 안 함.
3. 인증은 한번 받으면 끝이라는 생각을 지님
상황 문제 1. 화물 숭배가 발생함
2. 인정 기관이 이익에 의해서 결정 되는게 아닌
가? 하는 걱정
3. 인증기관과 인증 당사자 간의 발생한 분쟁
인증의 폐해와 문제점
답변
인정 기관도 다 수의 이익집단에 의해 협의에 의해 움직입니다.
적어도 “표준”이라는 매체가 생겨나게 됩니다.
“표준”에 따라서 심사를 해주는 제3자가 바로“인증 기관”입니다.
1. 인증기관 자체의 기술 수집을 하지않는 안일함
2. “영업 이익” 만을 위한 무분별한 인증 남용
3. 인증기관이 아닌 문제
4. 허위 인증 혹은 아예 다른 분야의 인증
5. 인증만 된 기관인데 인정기관의 업무를 보는 행위
6. 일반적인 컨설팅 업체인데도 불구하고, 공신력을 행사하는
행위
컨설팅은 컨설팅입니다.
안 되면 개불이나 소불이나 소용 없습니다. 예산 낭비입니다
인증의 문제점
답변
인증은 이론이다. 그러니 괴리감이 생긴다.
3정 5S의 내용이나 생산관리인데 SW에 맞기나 해? 라고들 합니
다.” 기본이 공업계열에서 온 품질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결
국 2015년도 ISO9001 마저도 개정판은 SW에서도 적용이 가능
하게, 문서 에서 매체로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깃헙을 쓰던가 SVN 같은 소스코드가 있는 저장소도 상
관이 없다는 겁니다. 문서가 아닌 저장 매체가 되었기 때문이고,
심지어는 유럽권에 SW 수출시 9001 /14001따서 오라고 하는데
도 있습니다.
인증의 문제점
답변
특히나 문서상에 그 놈에 기안 배포 승인이 우리의 발목을 잡습
니다. 강요하지 않습니다. 인증들을 보면 대부분은 "신뢰성"
이나 사람 죽어나가는 위험한 거 아니면 법적 제제 사항 보다
“고작” 위에 있습니다. 적용이 어려운게 아니라 업무의 프로세
스를 아예 “문서화” 하지 않으려는 병폐가 문제입니다.
이제 굳이 이런게 힘들다면!
구글 APK 발행하듯이! 편하게 해도 승인이라고 하는
겁니다. 매체니까요. 우리는 이렇게 한다고 기록만
해주십시요.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답변
TMMI 나 보안 인증, ISO9001 / 14001 자격인증, 따야 하나요?
제가 반대로 입장을 바꾸어 기업을 운영한다고 생각한다면, 지금
당장에 이 인증이 우리회사에 필요하냐고 생각하면 일단 당장은
"NO" 입니다.
하지만.. 만약 회사가 "입찰" 이나,국가기관, 혹은 수출이 끼어
있는데 고객사가 요구한다면 해야만 합니다. “요구사항” 이자나요.
“필요하다면” 앞서와 같은“검사 / 검토“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게
개인이 되었던, 회사 업무가 되었던 말이지요.
SW 혹은 게임 쪽은 특히나 아직은 없었지만, 앞으로도 없다는 보장
은 없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답변
인증들을 하기 전에 우리 쪽은 할만 할까? 정도는 검사가 가능
합니다. 툴 킷 정도야 다 제공을 합니다. 솔직히 구글 뒤져보면,
일반적인 인증에 대한 자료는 다 나옵니다... 결국 인증기관이나
인정기관이 해주는 거지, 양식은 신경 안 씁니다.
인증의 내용을 보면 대부분 우리회사를 “점검” 하는 지표가 됩
니다. 물론 이게 정말 쓸모가 없어 보일 수도 있는게, 자신의 업
무 외 파악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답변
업무의 다중화
애석하게도 공부를 해야 합니다.
SW QA 라는 입지도 줄어듭니다.
HW + SW의 시대가 곧 오는데도 불구하고,
“인증”이 필요 없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최대한 인증은 꼭 필요한 부분만!
예를 들자면 개인적인 인증
( 자격증 , 교육 수료증, 개인 프로젝트, 아이디어 및 특허)
사실 QA가 개발자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만, 반대로 이윤이나
꼭 필요한 업무를 갖고 오는 것은 분명히 팀에 유지력을 높게합
니다.
답변
문제는 요구사항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결국 고객사와 하려
는 인증의 절차 입니다. 왜냐면 고객사가 원하는 표준이나 기술
에 기반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러한 기준의 공신력이
나, 당위성은 회사마다 다릅니다.
개인 인증 중에서도 파급력이 있는 공부를 하십시오.
입찰이 가능한 자격증
회사 유지 시 필요한 자격증
물론 따기는 무척이나 어렵습니다.
"전기" 시리즈만 보더라도 전기공사에 입찰이 가능합니다. 물론
론 영어를 잘한다면 국외로 딸 수 도 있고, 전환도 가능합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우리는 SW 회사인데 왜 인증 따위를 해야 하나요?
(구) 생산 위주의 산업현장
디자인 : 높음
생산 : 높음
기능 : 낮음
기존에 이미 기능에 대한 정의 및 양산
에 대한 전략이 있기에 이러한 그림이
됨
소프트웨어 산업현장
디자인 : 매우 높음
생산 : 매우 낮음
기능 : 매우 높음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요구사항이 계
속 바뀌고, 외형 및 기능성 선호에 의
해서 많은 차이를 보이기에 저런 그림
이 나옴.
우리는 SW 회사인데 왜 인증 따위를 해야 하나요?
?
앞으로의 융합된 산업현장
디자인 : 높음?
생산 : 높음?
기능 : 높음?
예측이 힘듭니다. 각각을 본다면 다시
위와 같은 그림이 되는데. 지금은 도저
히 보이지 않습니다.
인증이라 함은 그래도 기본적인 보증
을 합니다.
“시간”이 들던 인력이 들던 “돈”이 들
건 “자원”이 들어가는게 문제입니다.
우리는 SW 회사인데 왜 인증 따위를 해야 하나요?
당연한 이야기로 자원이 드는 업무도 힘들어 죽겠는데 인증을 해야 하는
건
고역입니다.
니키인형 : 여기는 고작 인형 회사인데도 왜 인증을 따야 했을까요?
이런 헝겁으로 이루어진 “귀여운” “솜 덩어리”조차도
“인증”을 받습니다.
이거도 저거도 다 힘든데 인증이고 나발이고?
• https://ko.wikipedia.org/wiki/ISO_26262 자동차에는
SW가 안 들어가는가. 보안은 필요 없는가. 그리고 과
연 우리가 자력으로“증명 할 수” 있는가?
• 자율주행 SW를 과연 자동차 관련사만 만들게 될 것
인가?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인증의 중요성(누가바닷컴 4월)

[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
[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
[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
mosaicnet
 
Technical writing seminar
Technical writing seminarTechnical writing seminar
Technical writing seminar
tw-nshc
 

Similar to 인증의 중요성(누가바닷컴 4월) (20)

[Blt] 중소기업을 위한 인증제도 안내 131018
[Blt] 중소기업을 위한 인증제도 안내 131018[Blt] 중소기업을 위한 인증제도 안내 131018
[Blt] 중소기업을 위한 인증제도 안내 131018
 
성공적인 Sw사업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
성공적인 Sw사업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성공적인 Sw사업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
성공적인 Sw사업 수행을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 및 적용사례
 
STEG Company Introduction
STEG Company IntroductionSTEG Company Introduction
STEG Company Introduction
 
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 v2
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 v2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 v2
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 v2
 
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
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
Event storming based msa training commerce example
 
성공하는 기업이 일하는 방법 : Organize + Discuss + Complete Work
성공하는 기업이 일하는 방법 : Organize + Discuss + Complete Work성공하는 기업이 일하는 방법 : Organize + Discuss + Complete Work
성공하는 기업이 일하는 방법 : Organize + Discuss + Complete Work
 
Qa가 무엇인가 이태헌
Qa가 무엇인가 이태헌Qa가 무엇인가 이태헌
Qa가 무엇인가 이태헌
 
더 나은 사용자 경험과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기
더 나은 사용자 경험과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기더 나은 사용자 경험과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기
더 나은 사용자 경험과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덕트 매니저로 일하기
 
EMOCON 2015 - 품질과 테스트는 다르다
EMOCON 2015 - 품질과 테스트는 다르다EMOCON 2015 - 품질과 테스트는 다르다
EMOCON 2015 - 품질과 테스트는 다르다
 
Atlassian Product Overview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 2016년 4월 버전
Atlassian Product Overview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 2016년 4월 버전Atlassian Product Overview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 2016년 4월 버전
Atlassian Product Overview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 2016년 4월 버전
 
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2016년 4월 버전)
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2016년 4월 버전)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2016년 4월 버전)
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아틀라시안 제품 소개 (2016년 4월 버전)
 
원격테스트
 원격테스트 원격테스트
원격테스트
 
[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
[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
[5분특강] 좌씨의 즐거운 SW 품질관리의 하루
 
한국 비즈니스 Application SW, 혁신이 필요한 이유(컬럼)
한국 비즈니스 Application SW, 혁신이 필요한 이유(컬럼)한국 비즈니스 Application SW, 혁신이 필요한 이유(컬럼)
한국 비즈니스 Application SW, 혁신이 필요한 이유(컬럼)
 
Istqb 1-소프트웨어테스팅기초
Istqb 1-소프트웨어테스팅기초Istqb 1-소프트웨어테스팅기초
Istqb 1-소프트웨어테스팅기초
 
Warby parker_Final
Warby parker_FinalWarby parker_Final
Warby parker_Final
 
프로덕트 매니지먼트하기
프로덕트 매니지먼트하기프로덕트 매니지먼트하기
프로덕트 매니지먼트하기
 
Technical writing seminar
Technical writing seminarTechnical writing seminar
Technical writing seminar
 
Istqb 2-소프트웨어수명주기와테스팅-2015
Istqb 2-소프트웨어수명주기와테스팅-2015Istqb 2-소프트웨어수명주기와테스팅-2015
Istqb 2-소프트웨어수명주기와테스팅-2015
 
공개Sw 유지관리 서비스 가이드라인 (전문)
공개Sw 유지관리 서비스 가이드라인 (전문)공개Sw 유지관리 서비스 가이드라인 (전문)
공개Sw 유지관리 서비스 가이드라인 (전문)
 

인증의 중요성(누가바닷컴 4월)

  • 2. 인증이란? 1. 표준 2. 기술규정 3. 시험 및 검사 제품 및 기관/기업 개인 을 아래의 항목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아닌 제 3자가 적합하다는 평가를 하는 것
  • 3. 인증이란? 인증 대상 용도 개인 자격, 출입,거래, 국적 등 기업 기업간 인증,무역 인증, 경영 인증 등 국가 국가간 협약, 중재 행위 등 동물 및 생물 위험 여부, 멸종위기/희귀 신종 발견 등 제품 서비스, 보안SW, HW, 품질, 안전 등
  • 4. 시험, 검사, 표준, 적합의 정의 분류 정의 시험 특정한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나 또 는 그 이상의 특성을 규정된 절차에 따라 측정하는 기술적인 작업 검사 측정, 시험 또는 계측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한 관측 및 판단에 의한 적합성을 증명하는 행위 표준 - 합의에 의해 작성 - 인정된 기관에 의해 승인 - 주어진 범위 내에서 최적 수준의 공통적 반복 사 용을 통한 규칙, 지침 또는 특성을 제공하는 매체를 칭함 적합 관련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는 지를 직접 또는 간적 접으로 결정하는 것에 관한 모든 활동
  • 5. <KEY NOTE> "인증, 시험, 검사는 모두 적합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활동이다.” “인증은 시험 및 검사가 필요하며, 표준을 통하여 이루어집니다.”
  • 6. 인증의 폐해와 문제점 분류 사람 문제 1. 경영진에 인증에 대한 편견 및 무관심 2. 개인의 상황, 기업 상황에 맞추는 노력을 안 함. 3. 인증은 한번 받으면 끝이라는 생각을 지님 상황 문제 1. 화물 숭배가 발생함 2. 인정 기관이 이익에 의해서 결정 되는게 아닌 가? 하는 걱정 3. 인증기관과 인증 당사자 간의 발생한 분쟁
  • 7. 인증의 폐해와 문제점 답변 인정 기관도 다 수의 이익집단에 의해 협의에 의해 움직입니다. 적어도 “표준”이라는 매체가 생겨나게 됩니다. “표준”에 따라서 심사를 해주는 제3자가 바로“인증 기관”입니다. 1. 인증기관 자체의 기술 수집을 하지않는 안일함 2. “영업 이익” 만을 위한 무분별한 인증 남용 3. 인증기관이 아닌 문제 4. 허위 인증 혹은 아예 다른 분야의 인증 5. 인증만 된 기관인데 인정기관의 업무를 보는 행위 6. 일반적인 컨설팅 업체인데도 불구하고, 공신력을 행사하는 행위 컨설팅은 컨설팅입니다. 안 되면 개불이나 소불이나 소용 없습니다. 예산 낭비입니다
  • 8. 인증의 문제점 답변 인증은 이론이다. 그러니 괴리감이 생긴다. 3정 5S의 내용이나 생산관리인데 SW에 맞기나 해? 라고들 합니 다.” 기본이 공업계열에서 온 품질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결 국 2015년도 ISO9001 마저도 개정판은 SW에서도 적용이 가능 하게, 문서 에서 매체로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깃헙을 쓰던가 SVN 같은 소스코드가 있는 저장소도 상 관이 없다는 겁니다. 문서가 아닌 저장 매체가 되었기 때문이고, 심지어는 유럽권에 SW 수출시 9001 /14001따서 오라고 하는데 도 있습니다.
  • 9. 인증의 문제점 답변 특히나 문서상에 그 놈에 기안 배포 승인이 우리의 발목을 잡습 니다. 강요하지 않습니다. 인증들을 보면 대부분은 "신뢰성" 이나 사람 죽어나가는 위험한 거 아니면 법적 제제 사항 보다 “고작” 위에 있습니다. 적용이 어려운게 아니라 업무의 프로세 스를 아예 “문서화” 하지 않으려는 병폐가 문제입니다. 이제 굳이 이런게 힘들다면! 구글 APK 발행하듯이! 편하게 해도 승인이라고 하는 겁니다. 매체니까요. 우리는 이렇게 한다고 기록만 해주십시요.
  • 10.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답변 TMMI 나 보안 인증, ISO9001 / 14001 자격인증, 따야 하나요? 제가 반대로 입장을 바꾸어 기업을 운영한다고 생각한다면, 지금 당장에 이 인증이 우리회사에 필요하냐고 생각하면 일단 당장은 "NO" 입니다. 하지만.. 만약 회사가 "입찰" 이나,국가기관, 혹은 수출이 끼어 있는데 고객사가 요구한다면 해야만 합니다. “요구사항” 이자나요. “필요하다면” 앞서와 같은“검사 / 검토“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게 개인이 되었던, 회사 업무가 되었던 말이지요. SW 혹은 게임 쪽은 특히나 아직은 없었지만, 앞으로도 없다는 보장 은 없습니다.
  • 11.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답변 인증들을 하기 전에 우리 쪽은 할만 할까? 정도는 검사가 가능 합니다. 툴 킷 정도야 다 제공을 합니다. 솔직히 구글 뒤져보면, 일반적인 인증에 대한 자료는 다 나옵니다... 결국 인증기관이나 인정기관이 해주는 거지, 양식은 신경 안 씁니다. 인증의 내용을 보면 대부분 우리회사를 “점검” 하는 지표가 됩 니다. 물론 이게 정말 쓸모가 없어 보일 수도 있는게, 자신의 업 무 외 파악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12.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답변 업무의 다중화 애석하게도 공부를 해야 합니다. SW QA 라는 입지도 줄어듭니다. HW + SW의 시대가 곧 오는데도 불구하고, “인증”이 필요 없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최대한 인증은 꼭 필요한 부분만! 예를 들자면 개인적인 인증 ( 자격증 , 교육 수료증, 개인 프로젝트, 아이디어 및 특허) 사실 QA가 개발자가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만, 반대로 이윤이나 꼭 필요한 업무를 갖고 오는 것은 분명히 팀에 유지력을 높게합 니다.
  • 13. 답변 문제는 요구사항이라는 것도 따지고 보면 결국 고객사와 하려 는 인증의 절차 입니다. 왜냐면 고객사가 원하는 표준이나 기술 에 기반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이러한 기준의 공신력이 나, 당위성은 회사마다 다릅니다. 개인 인증 중에서도 파급력이 있는 공부를 하십시오. 입찰이 가능한 자격증 회사 유지 시 필요한 자격증 물론 따기는 무척이나 어렵습니다. "전기" 시리즈만 보더라도 전기공사에 입찰이 가능합니다. 물론 론 영어를 잘한다면 국외로 딸 수 도 있고, 전환도 가능합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인증이 있을까요? 고민해봅시다.
  • 14. 우리는 SW 회사인데 왜 인증 따위를 해야 하나요? (구) 생산 위주의 산업현장 디자인 : 높음 생산 : 높음 기능 : 낮음 기존에 이미 기능에 대한 정의 및 양산 에 대한 전략이 있기에 이러한 그림이 됨 소프트웨어 산업현장 디자인 : 매우 높음 생산 : 매우 낮음 기능 : 매우 높음 소프트웨어의 특성상 요구사항이 계 속 바뀌고, 외형 및 기능성 선호에 의 해서 많은 차이를 보이기에 저런 그림 이 나옴.
  • 15. 우리는 SW 회사인데 왜 인증 따위를 해야 하나요? ? 앞으로의 융합된 산업현장 디자인 : 높음? 생산 : 높음? 기능 : 높음? 예측이 힘듭니다. 각각을 본다면 다시 위와 같은 그림이 되는데. 지금은 도저 히 보이지 않습니다. 인증이라 함은 그래도 기본적인 보증 을 합니다. “시간”이 들던 인력이 들던 “돈”이 들 건 “자원”이 들어가는게 문제입니다.
  • 16. 우리는 SW 회사인데 왜 인증 따위를 해야 하나요? 당연한 이야기로 자원이 드는 업무도 힘들어 죽겠는데 인증을 해야 하는 건 고역입니다. 니키인형 : 여기는 고작 인형 회사인데도 왜 인증을 따야 했을까요? 이런 헝겁으로 이루어진 “귀여운” “솜 덩어리”조차도 “인증”을 받습니다.
  • 17. 이거도 저거도 다 힘든데 인증이고 나발이고? • https://ko.wikipedia.org/wiki/ISO_26262 자동차에는 SW가 안 들어가는가. 보안은 필요 없는가. 그리고 과 연 우리가 자력으로“증명 할 수” 있는가? • 자율주행 SW를 과연 자동차 관련사만 만들게 될 것 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