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카메룬공화국 개황
2009. 3
외 교 통 상 부
카메룬 국가
【 국가 악보 】
【 국가 가사 】
(영어)
O Cameroon, Thou Cradle of our Fathers,
Holy Shrine where in our midst they now repose,
Their tears and blood and sweat thy soil did water,
On thy hills and valleys once their tillage rose.
Dear Fatherland, thy worth no tongue can tell!
How can we ever pay thy due?
Thy welfare we will win in toil and love and peace,
Will be to thy name ever true!
Chorus:
Land of Promise, land of Glory! Thou, of life and joy, our only store!
Thine be honour, thine devotion, And deep endearment, for evermore.
(불어)
O Cameroun berceau de nos ancètres, va debout et jaloux de ta liberté,
comme un soleil ton drapeau fier doit être, un symbole ardent de foi et
d'unité,
Que tous tes enfants du Nord et Sud, De l'Est à l'Ouest soient tout amour,
Te servir que ce soit le seul but, pour remplir leur devoir toujours;
Chorus:
Chère Patrie, Terre chérie, Tu es notre seul et vrai bonheur,
Notre joie, notre vie, En toi l'amour et le grand honneur.
(번역)
오 카메룬 우리 조상들의 요람, 일어나라, 자유를 열망하라
자랑스런 국기에 있는 태양처럼, 믿음과 연합의 불타는 상징처럼
북에서 남까지, 동에서 서까지 우리의 아이들 모두가 사랑스럽구나.
그들 모두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하나의 목표에 봉사하라
(후렴)
사랑하는 조국, 사랑하는 땅, 우리의 유일한 것, 진정한 행복이다.
우리의 기쁨, 우리의 생명, 그 안에 사랑과 큰 행복이 있다.
(듣기)
http://www.lecameroun.net/cameroun-hymne.htm
목 차
Ⅰ. 개 관 ···································································································· 1
Ⅱ. 약 사
1. 초기역사 ·································································································· 13
2. 독일보호령 및 영․불 식민시대 ··························································· 14
3. 독립이후 Ahmadou Ahidjo 대통령시대 ················································ 15
4. Paul Biya 대통령 통치 1기 ···································································· 15
5. Paul Biya 대통령 통치 2기: 다당제 시대 ············································ 16
Ⅲ. 정 치
1. 정치제도 ·································································································· 21
2. 카메룬의 정치 특성 ················································································ 33
3. 카메룬의 주요 정치인 ············································································ 34
4. 최근 정세 ································································································· 37
Ⅳ. 외 교
1. 대외정책기조 ··························································································· 43
2. 최근 대외관계동향 ················································································· 44
Ⅴ. 경 제
1. 개요 및 경제동향 ··················································································· 49
2.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 현황 ································································ 51
3. 진출 가이드 ····························································································· 55
(참고자료) 카메룬 에너지․자원 현황 ························································ 61
Ⅵ. 군 사
1. 개 요 ········································································································ 69
2. 병력 및 군복무 ······················································································· 69
3. 국방예산 ································································································· 69
Ⅶ. 사회․문화
1. 인종, 종교 및 언어 ················································································ 73
2. 교 육 ································································································· 75
3. 언 론 ································································································· 76
4. 문 화 ································································································· 78
Ⅷ. 한국과의 관계
1. 대한정책 ································································································· 83
2. 외교일지 ································································································· 83
3. 주요인사교류 ························································································· 83
4. 주요협정 체결 현황 ·············································································· 84
5. 개발협력 ································································································· 85
6. 무역 및 투자 현황 ················································································ 86
7. 동포 현황 ······························································································· 86
8. 명예영사관 ····························································································· 87
Ⅸ. 북한과의 관계
1. 대북한정책 ····························································································· 91
2. 외교일지 ································································································· 91
3. 주요인사 교류 ························································································· 91
4. 주요협정 체결 현황 ·············································································· 92
5. 무역 및 투자 현황 ················································································ 92
Ⅹ. 참고자료
1. 주요인사 약력 ······················································································· 95
2. 외교부 기구표 ······················································································· 99
3. 주요 기관, 단체 웹사이트 주소 ·························································· 100
- 1 -
I. 개 관
- 3 -
I. 개 관
o 국 명: 카메룬공화국 (Republic of Cameroon)
o 수 도: 야운데 (Yaoundé, 인구 110만명, 2003년 인구조사 기준)
- 기타 주요도시(인구): Douala(130만명), Garoua(424,312명), Maroua
(409,546명), Bafoussam(319,457명), Bamenda(321,490명), Nkongsamba
(166,262명), Ngaoundere(216,300명)
o 위 치: 아프리카 대륙 중서부 기니만에 위치
- 나이지리아와 적도기니 사이
o 면 적: 475,440㎢ (남한의 4.8배, 남북한 면적의 2.2배 크기)
o 지 리
- 북부는 평지, 중서부는 고지, 남부와 해안지역은 열대우림지역으로 구분
- 최고봉은 수도 야운데 서쪽 288㎞ 지점, 기니만에서 23㎞ 내륙에 위치
한 Mount Cameroon으로 4,095m (활화산으로서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
카 서부, 중부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아프리카 전체에서 6번째로
높으면서 해안에서 가장 가까운 산)
o 기 후
- 북부 평원 및 Sahel 지역: 비가 매우 적고 더운 기후 (7개월 건기)
- 중서부 고원지대(야운데 포함): 약간 선선하고 건기가 상대적으로 짧음.
- 남부 열대우림 지역: 덥고 4개월간 건기
- 해안 열대우림 지역(두알라 포함): 연중 덥고 습도가 높은 (후덥지근한)
기후
- 북에서 남으로 사하라성 기후에서 적도 습윤기후로 바뀌며, 크게 건기
(12월-3월), 점이기, 우기(6월-11월)로 나눠지나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
가 있음.
․ 북부 지역은 4-9월간 우기이며 잔여 기간은 건기로서 연중 평균 강
우량은 1,000~1,750mm
․ 남부 지역은 2개의 우기(소우기: 3~6월, 대우기: 8~11월)와 2개의 건
- 4 -
기(소건기: 6~8월, 대건기: 11~3월)가 있으며, 연평균 강우량은
4,030mm
o 인 구: 18,467,692명 (2008년 추계)
- 인구증가율: 2.218%
o 언 어: 프랑스어(80%), 영어(20%) (2개 공용어), Pidgin, Fulfulde, Ewondo
를 포함한 270개 아프리카 토속어와 사투리
o 인 종: 카메룬고원지대인 (31%), 적도 Bantu (19%), Kirdi (11%), Fulani
(10%), 북서 Bantu (8%), 동부 Nigritic (7%), 기타 아프리카인
(13%), 비아프리카인 (1% 미만)
o 종 교: 기독교 (40%), 이슬람 (20%), 아프리카토속종교 (40%)
o 독립일: 1960.1.1 (프랑스 식민지역), 1961.10.1 (영국 식민지역)
o 국경일: 5.20.(1972.5.20 동․서 카메룬 통합을 위한 국민투표 기념일).
o 국가원수: Paul BIYA 대통령 (1982.11.5. 이후 현재까지)
- 임기 7년, 중임 제한 없음.
- 가장 최근의 대통령선거는 2004.10.11 실시되었으며, 차기 대통령선거
는 2011.10월 실시 예정
- 2004년 대선 결과 득표율: Paul BIYA 대통령 (70.9%), John FRU NDI
(17.4%), Adamou Ndam NJOYA (4.5%), Garga Haman ADJI (3.7%)
o 정부형태: 대통령중심제
o 헌 법: 현행 헌법은 1972.6.2. 제정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개헌은 2008년
에 이루어짐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
o 행정수반: Ephraïm Inoni 총리(2004.12.8. 취임)
- 대통령이 임명
o 의 회: 단원제 (의석수 180석)
- 국회의원은 국민의 보통선거에 의해 선출됨. 임기는 5년이나 대통령은
국회의원의 임기를 연장하거나 단축할 수 있음.
- 헌법상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상원이 구성되지 않고
있음.
- 5 -
- 가장 최근의 국회의원 선거는 2007.7.22. 실시되었으며, 차기 총선은
2012년 실시 예정
- 2007년 총선 결과 정당별 의석수: RDCP (집권당) 140석, SDF 14석,
UDC 4석, UNDP 4석, MP 1석, 17석은 법원의 선거무효 판결로 공석
o 명목 GDP: 206.5억불 (2007년)1)
o 실질 GDP (PPP): 402.4억불 (2007년)
o 실질 GDP 성장률: 2.7% (2007년)
o 1인당 명목 GDP: 1,097불 (2007년)
o 1인당 실질 GDP (PPP): 2,200불 (2007년)
o 산업별 GDP 구성(2007년): 농업(43.9%), 공업(15.8%), 서비스업(40.3%)
o 노동인구(2007년): 667.4만명
o 예산규모(2007년): 세입 41.79억불, 세출 32.97억불
o 공공부채(2007년): GDP의 15.5%
o 인플레율(2007년): 1.1%
o 농산물: 커피, 코코아, 면화, 고무, 바나나, 곡식류, 가축류, 목재 등
o 공업: 원유생산 및 정유, 알루미늄 생산, 식품가공, 소비재 생산, 섬유류,
목재 생산, 수리조선업 등
o 대외무역규모
- 수출액(2007년): 40억불(원유, 통나무 및 제재목, 면화, 코코아, 알루미
늄, 커피, 고무, 바나나 등)
* 수출대상국(2007년): 스페인(20.1%), 이태리(16%), 프랑스(11.9%), 한
국(8.6%), 네덜란드(6.2%), 미국(5.8%)
- 수입액(2007년): 37억불(기계류, 전기기기, 자동차, 원유, 식품 및 식량,
농산품 재료, 헌옷 등)
* 수입대상국(2007년): 프랑스(23.4%), 나이지리아(12.8%), 중국(9%),
벨기에(5.8%), 미국(4%)
1) 이 책 4-5쪽의 통계자료는 미 CIA의 World Factbook을 출처로 하며, 이 책 6-8쪽의
세계은행측이 작성한 카메룬 경제지표 일람표상의 통계자료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6 -
o 경제원조수령액(2005년): 413.8백만불
o 광물자원: 석유, 천연가스, 보크사이트, 철광석, 우라늄, 니켈, 아연, 금, 다
이아몬드, 구리, 대리석 등
o 외환보유고: 29.32억불 (2007년)
o 외채: 25.54억불 (2007년)
o 화폐단위: 세파프랑 (franc CFA, 통화 약호는 XAF)
- 1 세파프랑 = 1/655.957 유로 (고정환율)
- 1 세파프랑 = 447.703 미불 (2008년 연평균환율, 시장변동환율 적용)
《표: 세파화 대 미달러화 환율변동추이》
※ 출처 (원출처: Bloomberg)
http://www.afdb.org/pls/portal/docs/PAGE/ADB_ADMIN_PG/DOCUMENTS/FINANCIALINFOR
MATION/CAMEROON.PDF
XFA/USD
350.000
400.000
450.000
500.000
550.000
600.000
01/13/2009
12/29/2008
12/14/2008
11/29/2008
11/14/2008
10/30/2008
10/15/2008
09/30/2008
09/15/2008
08/31/2008
08/16/2008
08/01/2008
07/17/2008
07/02/2008
06/17/2008
06/02/2008
05/18/2008
05/03/2008
04/18/2008
04/03/2008
03/19/2008
03/04/2008
02/18/2008
02/03/2008
01/19/2008
01/04/2008
12/20/2007
12/05/2007
11/20/2007
11/05/2007
10/21/2007
10/06/2007
09/21/2007
09/06/2007
08/22/2007
08/07/2007
07/23/2007
07/08/2007
06/23/2007
06/08/2007
05/24/2007
05/09/2007
04/24/2007
04/09/2007
03/25/2007
03/10/2007
02/23/2007
02/08/2007
01/24/2007
01/09/2007
※ 출처: Economist誌에 링크된 OANDA.com(The Currency Site ™)
o 도량형: 미터제
- 7 -
카메룬 경제지표 일람표 2008.9.24. 세계은행 작성
≕≕≕≕≕≕≕≕≕≕≕≕≕≕≕≕≕≕≕≕≕≕≕≕≕≕≕≕≕≕≕≕≕≕≕≕≕≕≕≕≕≕≕≕≕≕≕≕≕≕≕≕≕≕≕≕≕≕≕≕≕≕≕≕≕≕≕≕≕
빈곤 및 각종 사회지표
카메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세계
중저소득
국가
2007년도
인구 (단위: 백만명) 18.5 800 3,437
1인당 국민총소득(GNI) (단위: 미화 불) .. 952 1,887
국민총소득 (GNI) (단위: 미화 십억불) .. 762 6,485
2001-7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 (%) 2.2 2.5 1.1
노동인구증가율 (%) 2.2 2.6 1.5
2001-7년중 가용한 최신 통계(Most recent estimate; latest year available, 2001-07)
빈곤률 (% of population below national poverty line) 40 .. ..
도시인구율 (% of total population) 56 36 42
기대수명 (년) 50 51 69
영아 1,000명당 사망 (per 1,000 live births) 87 94 41
5세 이하 유아 영양실조율 (% of children under 5) 15 27 25
상수도 보급률 (% of population) 70 58 88
15세 이상 문자해독율 (% of population age 15+) 68 59 89
초등학교 취학률 (% of school-age population) 107 94 111
남성 인구율 (기준: 100) 117 99 112
여성 인구율 (기준: 100) 98 88 109
주요 경제지표 및 장기 추이 (단위: 미화 십억불)
1987 1997 2006 2007
국내총생산 (GDP) (미화 십억불) 12.3 9.8 18.0 20.6
국내총생산 대비 총자본형성률 24.7 15.1 16.8 17.3
국내총생산 대비 상품․서비스 수출률 16.7 21.4 23.0 22.1
국내총생산 대비 국내총저축률 20.8 18.2 18.9 18.2
국내총생산 대비 국민총저축률 .. 13.0 .. ..
국내총생산 대비 경상수지흑자(적자)율 -5.0 -2.6 0.7 0.4
국내총생산 대비 투자지출율 1.5 1.9 0.8 ..
국내총생산 대비 총부채율 37.1 105.7 17.7 ..
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현재가치율 .. .. 3.6 ..
연간수출액 대비 부채 현재가치율 .. .. 12.5 ..
- 8 -
(연평균성장율)
1987-97 1997-07 2006 2007 2007-11간
예상
국내총생산 성장율 -1.9 3.9 3.2 3.3 4.6
1인당 국내총생산 성장율 -4.6 1.5 1.1 1.3 3.6
상품․서비스 수출 성장율 -0.3 1.4 1.3 -12.1 10.7
경제구조(산업부문별 국내총생산) (단위: %)
1987 1997 2006 2007
농업 24.8 24.7 19.9 19.5
공업(Industry) 30.1 30.6 31.4 30.7
제조업(Manufacturing) 13.2 19.5 .. ..
서비스업 45.1 44.7 48.7 49.8
가계소비지출 67.1 72.7 71.5 72.6
정부지출 12.2 9.1 9.6 9.2
상품․서비스 수입 20.6 18.4 21.0 21.3
(연평균성장율)
1987-97 1997-07 2006 2007
농업 성장율 2.5 4.1 3.0 3.9
공업(Industry) 성장율 -5.6 2.0 1.8 0.1
제조업(Manufacturing) 성장율 -2.0 8.3 .. ..
서비스업 성장율 -2.7 5.1 3.5 5.0
가계소비지출 성장율 -1.2 4.9 3.7 9.8
정부지출 성장율 -1.9 4.8 3.0 -0.8
총자본형성 성장율 -6.7 5.3 2.5 0.4
상품․서비스 수입 성장율 -1.6 5.8 2.3 6.2
물가 수준 및 정부 재정
1987 1997 2006 2007
물가 수준 (% change)
소비자물가 13.2 4.1 5.1 0.9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GDP deflator) -2.4 3.7 3.9 2.0
국내총생산 대비 정부재정 비율(% of GDP, includes current grants)
국내총생산 대비 정부수입 비율 18.4 11.3 47.6 20.0
국내총생산 대비 재정 비율 4.7 1.5 40.4 12.8
국내총생산 대비 재정 흑자(적자) 비율 -13.0 -3.9 37.5 8.8
- 9 -
무역 (단위: 미화 백만불)
1987 1997 2006 2007
총수출 (FOB 가격) 1,729 1,816 3,696 4,049
원유 및 정제유 843 743 1,880 2,053
코코아, 버터, 케이크 291 245 259 249
제조업 상품 230 291 424 560
총수입 (CIF 가격) 1,853 1,347 2,910 3,012
곡류 133 155 320 358
연료․에너지 16 136 46 44
자본재 580 399 440 445
수출가격지수(2000년 수출가격 = 100) 59 104 114 115
수입가격지수(2000년 수입가격 = 100) 45 96 111 112
교역조건 (2000년 교역조건 = 100) 132 109 103 103
경상수지 (단위: 미화 백만불)
1987 1997 2006 2007
상품․서비스 수출 2,054 2,306 5,053 5,524
상품․서비스 수입 2,538 2,041 4,935 5,752
무역수지 -484 265 118 -228
순수입 -159 -609 -251 -78
순경상이전(Net current transfers) 31 86 252 389
경상수지 -611 -258 119 83
순금융 (Net financing items) 1,137 400 528 845
순보유고 변화(Changes in net reserves) -525 -142 -646 -928
주:
외환보유고 .. 10 1,653 2,726
전환율(Conversion rate)(DEC, local/US$) 318.8 541.1 522.8 479.2
- 10 -
외채 및 해외지원 유입(RESOURCE FLOWS)
(단위: 미화 백만불)
1987 1997 2006 2007
총외채 4,564 10,402 3,171 ..
세계은행(IBRD) 528 402 46 40
국제개발공사(IDA) 239 609 170 198
총서비스채무(Total debt service) 649 506 519 ..
세계은행(IBRD) 68 110 43 7
국제개발공사(IDA) 3 10 13 2
해외지원 유입 구성(Composition of net resource flows)
공적 무상공여(Official grants) 50 139 2,751 ..
공적 금융(Official creditors) 131 22 -88 ..
민간 금융(Private creditors) -17 -25 -122 ..
해외직접투자(순유입) 116 78 309 ..
세계은행 지원프로그램
세계은행측 공약(Commitments) 20 25 0 227
세계은행측 지출(Disbursements) 80 126 29 20
원본 변제(Principal repayments) 30 79 47 5
순유입(Net flows) 50 47 -18 14
이자 지급(Interest payments) 42 40 9 4
순이전(Net transfers) 8 7 -27 11
- 11 -
Ⅱ. 약 사
- 13 -
Ⅱ. 약 사
1. 초기 역사
o 현재의 카메룬 영토에는 신석기시대부터 인간의 정착이 이루어졌으며,
Fulani, Hausa, Fang, Kanuri족 등 여러 민족에 의한 침략과 이주가 이
루어져 왔음.
o 기원후(AD) 500년 경에는 차드호 주변에서 Sao 문화가 발흥하였으며,
이후 잘 알려지지 않은 제국 가운데 하나인 Kanem 제국, 그리고 이를
계승한 Bornu 제국 등이 이 지역을 통치함.
o 유럽인들과의 접촉은 1472년 시작됨. 1472년 포르투갈 선원들이 Wouri
강 유역에 도착하였으며, 곧 대대적인 노예무역이 시작되어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등의 국가에 의해 계속되었음.
- 이들은 Wouri강에서 새우떼가 많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강 이름을
Rio dos Camarões (River of Prawns: 새우의 강)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여기서 Cameroon이라는 국명이 기원함.
o 이후 수세기 동안 유럽인들은 정기적으로 해안지역 주민들과 무역(주
로 야자유와 상아 거래)을 하였으며, 선교사들의 내륙진출이 본격적으
로 이루어졌음.
o 19세기초 Modibo Adama가 북부지역에서 Fulani 군인들을 이끌고 비이
슬람교도 등에 대항하여 이슬람성전(Jihad)을 치른 후 Adamawa 제국을
세웠음.
o 영국은 19세기초 해안지역에 대한 상업적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이
지역에 영국의 무역 및 선교활동 거점이 1850년대 형성됨.
- 14 -
2. 독일 보호령 및 영국․프랑스의 위임(신탁) 통치 시대
o 1884년 독일은 Wuori강 유역의 Douala 주민들과 조약을 체결하여 그
지역을 자신들의 보호령이라고 주장하고 영국을 축출함.
o 독일은 Douala항을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내륙지역으로의 진출을 본
격화하여 농장을 개발하고 도로와 교량을 건설함. 독일은 1911년 모로
코에서의 독일의 권리를 포기하는 대신 프랑스로부터 카메룬 내 영토
를 추가 확보하였으며, 2년 후 북부 이슬람교도 지역에 대한 독일의
관할권이 강화되었음. 1차대전 기간 동안 이 지역은 프랑스와 영국군
이 점령함.
o 1911년 독일에 할양되었던 지역은 1차대전후 프랑스가 차지하여 프랑
스령 적도아프리카(French Equatorial Africa)의 일부가 되었음.
o 여타 지역은 프랑스와 영국지역으로 분할된 후 국제연맹의 위임통치
령이 되었으며, 양 지역 모두 2차대전 중 연합국측에 가담하였음.
1946년 카메룬에 대한 국제연맹의 위임통치는 국제연합의 신탁통치로
변경되었음.
o 1950년대 민족주의 세력이 대두함에 따라 독립 문제는 프랑스령
Cameroun의 가장 시급한 문제였으며, 영국령 Cameroon에서는 프랑스
령 Cameroun과 통합할 것인지, 아니면 나이지리아의 일부로 흡수될
것인지가 가장 큰 문제였음.
o 1955.7.13. 프랑스가 가장 극렬한 정치세력으로서 카메룬의 즉각적인
독립과 영국령 Cameroon과의 연합을 주장해 온 카메룬인민연맹(Union
des Populations du Cameroun: UPC)를 불법화한 결과, 프랑스 식민정부
에 대한 비정규전(게릴라전)이 촉발되었으며, UPC 지도자 Ruben Um
Nyobé가 암살됨.
o 프랑스는 1957년 프랑스령 카메룬에 자치정부 구성을, 1959년에는 내
부적인 자치를 허용하였음.
- 15 -
3. 독립 이후 Ahmadou Ahidjo 대통령 시대
o 1960.1.1 프랑스령 Cameroun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Ahmadou Ahidjo를
초대 대통령으로 한 카메룬공화국(Republic of Cameroon)을 수립하였음.
o 영국령 Cameroon은 북부와 남부로 분열됨. 1961년초 UN 후원 하에 실
시된 국민투표에서 북부지역은 나이지리아에 합류하기로 결정하였으
며, 남부지역은 프랑스에서 독립한 카메룬공화국과 통합하여 연방공화
국(Federal Republic of Cameroon)을 구성하고, 2명의 총리와 의회를 두
되 단일 대통령 체제를 수립하기로 결정하고 Ahmadou Ahidjo가 초대
대통령으로 됨.
o 1966년 동․서 카메룬의 주요 정당들이 카메룬국민연합(Cameroon
National Union: CNU)으로 통합됨.
o 1972년 카메룬은 헌법을 개정하여 연방을 폐지하고 단일국가 체제를
수립하면서 국명을 카메룬연합공화국(United Republic of Cameroon)으
로 변경함.
o 카메룬은 대통령중심제를 유지하였으나, 여전히 단일정당제였음.
o 1982.11.4. Ahidjo 대통령은 22년간 행사해 왔던 권력을 당시 헌법상
대통령 유고시 권력승계자(총리)의 지위에 있던 Paul Biya에게 물려주
고 대통령직에서 사퇴함.
4. Paul Biya 대통령 통치 1기
o Ahidjo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집권당이면서 카메룬의 유일한
정당인 카메룬국민연맹(CNU: Cameroon National Union) 당수직을 유지
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였으나, Paul Biya 세력은 Ahidjo를 CNU
당수에서 물러나게 하여 권력을 완전 장악함. Ahidjo는 북부 출신 이
슬람교도였으며, Biya는 남부 출신 기독교도로서 출신 배경과 권력 기
반이 상이하였음.
- 16 -
o 1983년 Ahidjo는 Paul Biya에 대한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프
랑스로 도주함.
o 1984.1.14. 대통령에 재취임한 Paul Biya 대통령은 같은 해 북부 이슬람
교도 장교들이 시도한 또 한 번의 쿠데타를 분쇄하였으며, 이로 인해
50여명의 군 장교들이 처형됨. 이후 대통령은 국방부를 대통령실 산하
에 둠으로써 군대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음.
o 1985년 집권당이자 유일정당인 CNU는 카메룬국민민주운동(CPDM:
Camero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불어명 RDPC)으로 당명을
변경함.
o 1986년 정치범들이 석방되었으며, 1987년 Biya 대통령은 공공분야를
포함한 경제개혁 조치를 단행하였음. (1988.4.24. 대통령 취임)
o 1990년 변호사, 교사, 학생들이 주동이 된 민주주의 개혁을 요구하는
다수의 시위와 파업으로 인해 시위자 6명이 사망하였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Biya 대통령은 단일정당제를 포기하고 다수정당제를 승인함.
5. Paul Biya 대통령 통치 2기: 다당제 시대
o 1992.10월 실시된 최초의 민주선거에서 Biya는 대통령에 선출되었으나,
동 선거에서 대대적으로 부정선거가 자행되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국민들의 격렬한 항의가 뒤따랐음.
o 1990년대부터 IMF와 World Bank가 카메룬 경제 활성화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개시하였으나 신통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으며, 국영기업
민영화도 부진했음. 과거 영국령 카메룬 지역의 영어사용 주민들은 자
치 및 연방제로의 복귀를 추구해 왔음.
o 1990년대 석유가 많이 부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니만 Bakassi
반도의 영유권을 둘러싼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
으며, 1994년과 1996년에는 양국간 무력충돌이 있었음.
- 17 -
o 1997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Biya 대통령은 재선되었으나, Biya
측이 정부에서 독립된 기관이 선거를 관장토록 하자는 야당측 요구를
거부함에 따라 3개 주요 야당은 동 대통령 선거를 보이코트하였음.
o 2002년 국제사법재판소(ICJ)는 판결을 통해 Bakassi 반도와 차드호 주
변지역에 대한 카메룬의 영유권을 인정함. 2006년 8월 카메룬-나이지
리아간 협정 체결로 Bakassi 반도를 카메룬에 이양하기 위한 절차가
개시되었으며, 2년간 과도기간을 거쳐 2008.8월 이양이 완료됨.
o 2004년 실시된 대통령선거에서 Biya 대통령은 75%의 지지를 얻어 대
통령에 당선됨. 다수의 외국 선거감시단은 대통령선거가 민주적이었다
고 했으나, 언론인들은 정부가 투표율이 79%라고 주장했음에도 불구
하고 실제 투표자는 굉장히 적었다고 함. 야당 정치인들과 다수의 카
메룬 국민들은 정부가 투표결과를 조작했다고 주장함.
o 2007년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정부 여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
지했으나 정부․여당이 부정선거를 획책했다는 비난을 받았음.
o 2008년 2월 유가 인상과 Biya 대통령이 헌법의 대통령 연임제한 조항
을 개정하여 계속적인 집권을 모색하려고 한다는 소식으로 Yaounde,
Douala 및 다수의 도시에서 택시운전사들의 시위에 일반 시민들이 합
류한 대규모 소요사태가 발생함.
o 2008.4월 국회는 대통령 연임제한을 철폐하는 헌법개정안을 의결함.
- 19 -
Ⅲ. 정 치
- 21 -
Ⅲ. 정 치
1. 정치제도
가. 헌 법
(1) 헌법 개요
o 1960.1.1. 프랑스령 카메룬의 독립과 동시에 발효된 카메룬헌법은
최근까지 수차례 개정되었으며, 대통령에게 국가권력이 집중된
권위주의적 정치체제를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
(2) 카메룬헌법 제정 및 개정 요지
o 1960년 제헌
- 1960.1.1. 독립을 앞두고 1959년말 급히 성안되었으며 대통령
의 권한 등 통치구조의 많은 조항을 프랑스 헌법을 모방하여
제정
- 국민의 보통선거로 선출되는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국
회를 가진 단일국가 지향
o 1961년 헌법 개정
- 영국령 카메룬과 합병, 국명을 카메룬연방공화국(Federal Republic
of Cameroon)으로 개칭
- 동․서 카메룬은 각각 별도의 총리와 국회를 보유
- 강력한 연방정부를 수립하고 대통령은 부통령, 내각 및 50명
정원의 연방의회의 도움을 받아 연방을 통치
- 대통령은 프랑스어권 출신, 부통령은 영어권 출신 가운데 선출
o 1972년 헌법 개정
- 연방제를 폐지하여 단일공화국으로 하고, 국명을 카메룬연합
- 22 -
공화국(United Republic of Cameroon)으로 개칭
- 대통령에게 더욱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
- 종전의 의회제도(동․서 카메룬별 의회 및 연방의회 병존)를 폐
지하고, 120명 정원의 단원제 국회(National Assembly)를 신설
- 대통령직 계승자를 국회의장으로 지정
o 1975년 헌법 개정
- 총리직 신설
o 1979년 헌법 개정
- 대통령 유고시 대통령직 승계자를 총리로 지정
(이 조항에 따라 1982년 Paul Biya가 Ahmadou Ahidjo 대통령
으로부터 대통령직 승계)
o 1984년 헌법 개정
- 1982년 Paul Biya 대통령의 취임후 전임 Ahidjo 대통령과의 권
력투쟁에서 승리한 결과를 반영
- 국명을 카메룬공화국(Republic of Cameroon)으로 개칭
- 총리직을 폐지하고 대통령직 승계자를 국회의장으로 지정하면
서 비상시에는 대통령이 내각 구성원 누구에게나 대통령 권한
을 위임할 수 있도록 규정
o 1996년 헌법 개정
- 1990년대 카메룬 정치의 자유화 이후 영어권 국민들의 연방제
도 부활 요구에 대한 Biya 대통령의 대응 조치
- 국회에 상원(Senate)을 두고 대통령의 임기를 7년으로 연장
- 상원의장을 대통령직 승계자로 지정
- 도(Province)를 어느 정도의 자치가 허용되는 지역(semi-autonomous
"Region")으로 변경
* 그러나, 상원 신설 및 지방의 반자치지역으로의 변경은 현
재까지도 실현되지 않고 있음.
- 23 -
o 2008년 헌법 개정
- 대통령이 직무상 한 행위에 대해서는 퇴임후에도 기소되지 않
도록 하는 평생면책특권 부여
- 대통령이 무제한 재선될 수 있도록 중임제한 조항 철폐
나. 정치체제
o 헌법상 대통령이 국정전반에 대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된
강력한 대통령중심제의 정치제제이며, 행정부와 입법부가 권력을
양분하는 2권분립제를 채택하고 있음.
o 입법권은 행정부와 국회(National Assembly)가 공동으로 보유하며,
행정권은 총리를 수반으로 하는 내각에 의해 행사되는 반면, 사법
권은 행정부(법무부)에 부속되어 사법부 독립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음.
다. 대통령
(1) 대통령의 권한
o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가정책을 결정하고 정부조직을 관리하
며, 군대를 통수하고 조약을 교섭․비준하며, 국가비상사태를 선포
하고 국회를 해산할 수 있는 등 광범위한 권력을 가짐.
o 대통령은 총리를 포함한 각 부처 장관 등 내각 구성원과 법관,
장군, 도지사, 군수, 경찰서장, 국영기업사장을 임명, 해임하고,
법령을 승인 또는 거부하는 등의 권한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국회와 협의하지 않음.
o 대통령이 잠정적으로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총
리에게, 총리가 없을 때에는 내각 구성원에게 대통령의 권한 가
운데 시급한 사항을 처리하도록 위임할 수 있음.
- 24 -
(2) 대통령의 선출
o 카메룬은 1960년 독립 이후 1990년대초까지 단일정당제를 유지
해 왔으며, 대통령도 국민이 직접 선출하지 않고 단일정당이 추
대해 왔음.
- 초대 Ahmadou Ahidjo 대통령은 1960년부터 1982년까지 22년
간, 1982년 Ahidjo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직을 승계한 Paul
Biya 대통령은 1992년까지 10년간 단일정당의 추대에 의해 대
통령에 취임
o 대통령을 국민이 직접 선출하게 된 것은 1992년부터이며, 이후
1997년, 2004년 대통령 선거가 실시됨.
- 1992년에는 대통령 임기가 5년이었으나, 1997년 개헌으로 대
통령 임기를 7년으로 연장
* 최근 대통령 선거 결과 (2004.10.11.)
입후보자 (소속정당) 득표수 득표율(%)
Paul Biya (Camerr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RDPC) 2,665,359 70.92
Ni John Fru Ndi (Social Democratic Front: SDF) 654,066 17.40
Adamou Ndam Njoya (Cameroon Democratic Union: UDC) 168,318 4.48
Garga Haman Adji (Alliance for Democracy and Development:
ADD)
140,372 3.74
12 Others 130,106 3.46
Total (투표율: 82.2%) 3,758,221 100.00
라. 행정부
o 행정권은 총리를 수반으로 하고 각부 장관으로 구성된 내각에 의해
행사되며, 각부 장관은 총리의 추천에 의해 대통령이 임명함.
o 내각 구성에 대한 국회 동의는 필요하지 않으며, 각 부처장관은 국
회의원, 지방․지역정부 또는 의회 의장, 직역별 협회 회장 등을 겸
직할 수 없고, 기타 고용 또는 직업 활동에 종사할 수 없음.
- 25 -
□ 내각 명단
Prime Minister Ephraim INONI
Deputy Prime Minister & Min. of Justice Ahmadou ALI
Deputy Prime Minister & Min.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Jean NKUETE
Secretary General of the Presidency Laurent ESSO
Min. of Commerce
Luc Magloire MBARGA
ATANGANA
Min. of Communication Jean Pierre Biyiti Bi ESSAM
Min. of Culture Ama Tutu MUNA
Min. of Defense Rémy Zé MEKA
Min. of Economy, Planning, & Regional Development Louis Paul MOTAZE
Min. of Employment & Professional & Technical
Training
Zacharie PÉRÉVET
Min. of Energy & Water Resources Jean-Bernard SINDEU
Min. of Environment & Nature Protection Pierre HÉLÉ
Min. of External Relations Henri Eyebe AYISSI
Min. of Finance Lazare Essimi MENYE
Min. of Forestry & Wildlife Elvis NGOLLE NGOLLE
Min. of Higher Education Jacques Fame NDONGO
Min. of Industry, Mines, & Technological Development Badel Ndanga NDINGA
Min. of Labor & Social Security Robert NKILI
Min. of Lands & Titles Anong Adibime PASCAL
Min. of Livestock & Fisheries Aboubakary SARKI
Min. of Post & Telecommunications Maigari BELLO BOUBA
Min. of Primary Education Haman ADAMA
Min. of Public Health André Mama FOUDA
Min. of Public Service & Admin. Reform Emmanuel BONDÉ
Min. of Public Works Bernard Messengue AVOM
Min. of Scientific Research & Innovation Madeleine TCHUENTÉ
Min. of Secondary Education Louis BAPÈS BAPÈS
Min. of Social Affairs Catherine Bakang MBOCK
Min. of Sports & Physical Education Augustin EDZOA
Min. of Territorial Admin. & Decentralization Hamidou Yaya MARAFA
Min. of Tourism Baba HAMADOU
Min. of Transport Haounaye GOUNOKO
Min. of Urban Development & Housing Colbert TCHATAT
Min. of Small & Medium-sized Enterprises, Social
Economy & Handicrafts
Laurent ETOUNDI NGOA
Min. of Women & Family Protection Suzanne BOMBACK
Min. of Youth Adoum GAROUA
Min. in Charge of Special Duties at the Presidency Paul Nji ATANGA
Min. in Charge of Special Duties at the Presidency Victor MENGOT
Min. in Charge of Special Duties at the Presidency Hamadou MUSTAPHA
Governor, Central Bank Philibert ANDZEMBE
Ambassador to the US Jerome MENDOUGA
Permanent Representative to the UN, New York Michel Tommo MONTHE
- 26 -
* 카메룬 정부의 부처 수는 34개로서 국가규모에 비해 과다한 수준이며,
부처별 관장업무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음. 예컨대 교육부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들이 1개 부처를 유지하고 있는 데 비해, 카메룬은 기초
교육부, 중등교육부, 고등․평생교육부 등 3개 부처를 유지하고 있음.
- 이는 엄청난 행정낭비를 초래하고 있어 행정개혁의 필요성이 크나,
정치적 이유(국내 대표적 부족별로 각료직을 배분하여 정치적 균
형 유지)로 인해 개혁 작업 추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마. 의 회
(1) 구 성
o 국회는 헌법상 양원제이나, 현재까지 상원이 구성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단원제로 운영되고 있음.
- 1996년 개정 헌법은 1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을 설치하
되, 100명의 상원의원 가운데 ⅓을 대통령이 임명하며, 나머지
는 간접선거로 선출하도록 규정
o 국회의 의석수는 180석이며, 의원의 임기는 5년임.
o 국회는 1년에 3차례(3/4월, 6/7월, 11/12월) 각 30일 회기의 정기
회의를 개의하며, 대통령이 요구하거나 재적의원 ⅓이 찬성할
경우 15일 기한의 특별회의를 개의할 수 있음.
(2) 선 거
o 전국은 49개 선거구로 나누어져 있으며, 선거구별 인구에 따라 1
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에서부터 2명 이상의 의원을 선
출하는 중․대선거구로 구분됨.
o 투표는 정당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20세 이상의 국민에 의해
직접․비밀투표가 실시됨.
o 선거구별 의원 당선은 특정 선거구에서 각 정당이 획득한 득표
에 따라 정당별 명부에서 정한 순서에 의거 결정됨.
- 27 -
(3) 주요권한
o 입법권과 행정부 감독권이 주요권한으로서 국회는 법률안 및 정
부의 예산안을 심의함.
o 법률안은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되며, 대통령이 재의
를 요구한 법률안은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받을 경우 가결됨.
o 주재국 국회는 독립 이후 정권교체 없이 집권여당이 장악하고
있어 대통령이 제안한 법률안을 수정․거부한 예가 없으며, 정부
견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
(4) 국회의장단
o 국회의장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embly):
- Djibril Cavayé Yeguie (RDPC)
o 부의장 : 6명 (여당 5명, 제1야당 1명)
- Etong Hilarion (RDPC)
- Baoro Théophile (RDPC)
- Abunaw Rose Makia (RDPC)
- Mbah Ndam Joseph Njang (SDF)
- Danata Paul (RDPC)
- Wa Mathurin (RDPC)
바. 지방 행정
(1) 개 관
o 1996년 개정된 카메룬 헌법은 전국을 어느 정도 자치가 보장되
는 10개의 지역(Region)으로 나누고, 각 지역의회의 행정 하에
두도록 규정하고 있음.
o 그러나, 실제로는 1996년 헌법 개정 이전의 체제가 계속 유지되
고 있으며, 대통령이 임명하는 도지사(Governor)가 행정을 담당하
는 10개의 도(Province)로 나누어져 있음.
- 28 -
o 도지사는 대통령의 뜻을 이행하고, 각 도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사정을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공무원을 관리하고 평화를 유지하
며, 산하 행정조직 장에 대한 감독을 임무로 하고 있음.
o 2008.11.12. Paul Biya 대통령은 도(Province)를 지역(Region)으로
변경하고, 최소 행정단위인 구역(district)을 폐지하는 내용의 대
통령령을 발표함.
- 카메룬 일부언론은 지역(Region)의 지방의회 의장을 주민투표
로 선출하지 않고 여전히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함으로써 진정
한 지방자치와는 거리가 먼 형식적인 조치라고 비난
(2) 구 성
o 10개 지역(Region)은 58개 군(Division, département)으로, 군은 다
시 300개의 면(Sub-division, arrondissement)으로 나누어지며, 종래
최소 행정단위였던 구역(District)은 ‘08.11월 대통령령으로 폐지되
게 되었음.
- 지역을 관할하는 도지사(Governor, gouverneur) 뿐 아니라 군수
(Divisional Officer, prefet), 면장(Assistant Divisional Officer,
sous-prefet), 구역(District)의 장(chef de district) 등 모든 지방자
치단체장은 대통령이 임명함.
o 최북단에 위치한 도는 Far North(Extrême Nord), North (Nord),
Adamawa(Adamaoua)이며, 그 아래 위치한 도는 Center(Centre),
East(Est)임. 남부 도(South, Sud)는 기니만 연안의 남부국경 사이
에 위치하고 있음. 카메룬의 서부 지역에는 4개의 도가 있으며,
Littoral(Littoral), Southwest(Sud-Ouest)은 해안에, Northwest
(Nord-Ouest)와 West(Ouest)는 서부 초원에 위치하고 있음.
Northwest와 Southwest는 영국령이었고, 여타 지역은 프랑스령이
었음.
사. 사법부
o 카메룬의 법률제도는 대체로 프랑스계 대륙법(civil law)에 기반을
- 29 -
두고 영미법(common law)의 영향을 받았음. 헌법에는 사법부의 독
립을 보장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대통령이 판사들을 임
명하고 법원이 행정부(법무부) 관할하에 있기 때문에 사법부 독립
은 보장되지 않고 있음.
o 법원은 1심법원(Tribunal), 항소법원(Court of Appeal), 대법원(Supreme
Court)로 구성됨.
o 한편, 국회는 반역죄 또는 국가안보위해 혐의를 받는 정부 고위공
무원을 재판할 특별법원(High Court of Justice) 판사 9명을 선출함.
o 카메룬 헌법(제46조-제52조)은 법률, 조약 및 국제협정의 위헌여부
를 심사하고, 선거 및 국민투표 결과의 적법성을 판단하며, 행정기
관간 권한쟁의를 관장하는 헌법위원회(Constitutional Council)에 관해
규정함.
- 헌법위원회에 대한 상기 사안 부의는 대통령, 국회의장, 국회의
원 재적 ⅓의 찬성으로, 또한 지방의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에 대
해서는 지방정부의 장이 할 수 있음.
- 11명의 헌법위원회 위원(임기 5년) 가운데 헌법위원회 위원장을
포함한 3인은 대통령이, 3인은 하원의장이, 3인은 상원의장이, 2
명은 고위사법위원회(Higher Judicial Council)가 추천하는 인사를
대통령이 임명함.
* 헌법위원회 관련 규정은 상원 설치 규정과 같이 아직 시행되
지 않고 있음.
아. 정 당
(1) 특 징
o 1960년 독립 후 1990년 다당제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카메룬은
Ahmadou Ahidjo 초대 대통령이 창당한 Cameroon National
Union(CNU) 단일정당 체제를 유지해 왔음.
o 1992년 다당제가 허용된 직후에는 제1야당 사회민주전선(Social
Democratic Front: SDF)의 당수가 대통령 선거에서 Paul Biya 대
- 30 -
통령과 거의 대등한 득표율을 기록하는 등 정권교체 가능성도
대두되었으나, 정부 여당의 야당 와해공작과 야당의 자체분열
등으로 야당의 정치적 위상은 계속 약화되어 왔음.
(2) 주요 정당
o 카메룬국민민주운동(CPDM: Camero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RDPC: Rassemblement démocratique du Peuple Camerounais)
- 1960년 독립 이후 유일 정당이었던 Cameroon National Union
(CNU)를 계승한 집권여당으로서 카메룬 정국을 주도하고 있
으며, 1985년 현재의 명칭으로 당명 변경
- 다당제 허용 이후 최초로 실시된 1992년 총선에서는 180석 가
운데 88석을 획득하는데 그쳐, 8석을 얻은 MDR(Movement of
the Defense of the Republic)과의 연정을 통해 과반수 의석을
겨우 확보하 예도 있었음.
- 그러나, 최근 실시된 2007년 총선에서는 180석 가운데 153석
을 차지하는 압승(13석은 법원의 선거무효 판결)
* 당수 : Paul Biya 대통령
* 중앙위 사무총장: René Emmanuel Sadi
o 사회민주전선(SDF: Social Democratic Front; FSD: Front Social-
Démocratique)
- 1990년 다당제가 허용된 후 Bamenda 지역에서 창당한 카메룬
의 대표적인 야당으로서 카메룬 서부 영어권 주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음.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SI: Socialist International)의 회원정당으로
서 사회주의 정강정책을 채택하고 있음.
- 1992년 실시된 대통령선거에서 SDF의 Fru Ndi 후보는 투표자
36%의 지지를 받아 40%의 득표율을 기록한 Paul Biya 대통령
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였으나, 집권세력의 위협에 의한
선거부정에 의해 대선승리를 놓쳤다는 평가를 받음.
- 1997년 총선에서 SDF는 43석의 의석을 얻었으며, 특히 지역기
- 31 -
반인 Northwest Province에서는 총 20석 가운데 19석을 석권하
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둠.
- SDF는 1997년 대통령 선거는 보이코트하였으며, 이후 Fru
Ndi 당수가 2004년 대선에 재출마하였으나 17.4% 득표율로
Biya 대통령에게 크게 뒤떨어졌고, 2007년 총선에서도 SDF는
16석을 얻는데 그쳤음.
- SDF는 2008년 4월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를 위한 헌법개정안
처리에 반대하여 국회 표결에 불참하였음.
* 당수: John Fru Ndi
o 민주주의와 전진을 위한 국민연맹 (NUDP: National Union for
Democracy and Progress; UNDP: Union Nationale pour la Démocratie et
le Progrès)
- Paul Biya 대통령 집권 이후 프랑스에 망명중이던 Maigari
Bello Bouba 전총리 주도로 1991년 3월 창당되었으며, 카메룬
북부를 지역 기반으로 하고 있는 이 정당은 Ahmadou Ahidjo
전임 대통령의 정치적 유산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
- 창당 직후인 1992년 실시된 총선에서 집권여당(RDPC) 88석
에 이어 68석을 얻어 일약 원내 제2당으로 부상하였으나, 의
회에 진출한 MDR(Movement for the Defense of the Republic)
과 UPC(Union of the Peoples of Cameroon) 등 2개 야당이 모
두 RDPC와 제휴함으로써 원내 유일한 야당으로 잔류
- 그러나, UNDP는 1997년 총선에서 13석을 얻는데 그쳤으며,
같은 해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는 독립적인 선거감시 기구 부
재를 이유로 불참하였으나, Bello Bouba 당수가 대선후 정부
가 제의해 온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직을 수락함으로써
사실상 여당과 제휴함.
- UNDP는 2002년 총선에서는 단 1석만을 얻는 참패를 하였는 바,
당내 인사들은 참패의 원인이 Bello Bouba 당수의 정부 참여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여당과 결별하고 UNDP의 야당성 회복을
요구하였으나, Bello Bouba 당수는 이를 거부하고 정부에 잔류함.
- 32 -
- 2004년 대선에서 Bello Bouba 당수는 “정당은 정권의 획득을
위해 창당되지만, 자신의 경우 카메룬 평화와 계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Biya 대통령을 지지한다”면서 Biya 대통령 지지
를 선언하고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음.
- 2007년 총선에서 UNDP는 6석을 획득함.
* 당수: Maigari Bello Bouba
o 카메룬 민주연맹 (CDU: Cameroon Democratic Union: UDC:
Union Démocratique du Cameroun)
- Ahmadou Ahidjo 대통령 하에서 교육부장관을 역임한 Amadou
Ndam Njoya가 창당함.
- 1992년 총선시 선거감시기구 부재 등을 이유로 사회민주전선
(SDF)과 함께 총선 참여를 거부하였음.
- 1997년 총선에서 UDC는 5석을 획득하였으며, 같은 해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는 SDF, UNDP과 함께 불참함.
- 2002년 총선에서도 UDC는 5석을 획득하였으며, 2004년 실시
된 대선의 경우 Amadou Ndam Njoya 당수가 SDF의 John Fru
Ndi 당수와의 야당후보 단일화에 실패후 출마한 결과 득표율
4.47%로 3위를 차지함.
- 2007년 총선에서 UDC는 4석을 얻는데 그침.
* 당수: Amadou Ndam Njoya
o 진보운동(PM: Progressive Movement, MP: Mouvement Progressiste)
- 1991.8.23. Jean-Jacques Ekindi가 창당
- Ekindi 당수는 1992년 MP의 대통령후보로 출마, 0.79%의 득표
율로 5위를 차지하였으며,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0.27%를
득표, 16명의 후보 가운데 13위를 차지함.
- 2007년 총선에 출마한 Ekindi 당수는 Littoral Province의 Wouri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됨.
* 당수: Jean-Jacques Ekindi
- 33 -
o 남부카메룬국민회의 (SCNC: Southern Cameroon National Council)
- 영어사용권의 분리독립을 주장하는 정당으로서 아직 국회에는
진출하지 못하고 있음.
- 당지도부내 권력투쟁으로 유권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음.
(3) 정당별 의석 (2007.7.22. 및 2007.9.30. 총선 결과)
정 당 명 의석수
의석수
변동
Camero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불어명 RDPC) 153 +4
Social Democratic Front (SDF) 16 -6
National Union for Democracy and Progress (불어명 UNDP) 6 +5
Cameroon Democratic Union (불어명 UDC) 4 -1
Progressive Movement (불어명 MP) 1 +1
계 180
2. 카메룬 정치 특성
o 카메룬은 대통령제 공화국임. Paul Biya 대통령은 1982년부터 대통령에
재임 중이며, 2008.4월 헌법개정으로 중임제한이 철폐되어 2011년 대
통령 선거에 다시 출마할 수 있게 되었음.
o Biya 대통령에게 국가권력이 집중되어 왔음. 1996년 개정된 헌법으로
양원제 구성, 헌법위원회 설치, 지방의회 등을 규정하기 시작했으나,
현재도 이러한 조항은 시행되지 않고 있음.
o 국회는 임기 5년인 18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의원은 5년마다 보통
선거로 선출되며, 1년에 3차례(3월, 6월, 11월) 개회됨.
o 모든 중요한 행정권은 대통령에게 있으며, 대통령은 총리와 각료들을
임명, 해임함.
- 34 -
o 1960년부터 집권당 단일정당제를 유지해 왔던 카메룬은 1990년대초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저항과 경제난이 겹치자 1992년 다
당제를 도입하였음.
o 그러나, 1982년 이래 정권을 잡고 있는 Paul Biya 대통령과 집권여당
(RDPC)은 자신들의 지지 기반을 프랑스어 사용지역 대부분으로 확장
해 나감으로써 권력 장악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었음.
o 여당의 권력 장악․유지는, 종족 계열에 따라 분열되어 있어 Biya 대통
령의 통치에 대한 실제적 위협이 되지 못하고 있는 야당이 오히려 도
와주고 있는 형편임. 정부여당의 선거부정과 야당의 분열에 환멸을
느낀 유권자들의 정치 무관심이 심화되고 있음.
o 1997년 헌법 개정시 대통령은 7년 임기로 재선만이 허용되어 있었으
나, 2008.4월 국회는 헌법을 재개정하여 대통령의 연임 제한을 철폐함
에 따라, 당초 2011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기로 되어 있던 Biya 대통
령이 다시 출마할 것인지, 아니면 후계자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줄 것인
지가 향후 카메룬 정국 향방을 좌우할 가장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3. 카메룬의 주요 정치인
가. Paul Biya
o 1982년부터 집권해 온 Biya 대통령은 초연하고 카리스마 없는 대중
적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장 오랫동안 권력을 유지하고 있는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임.
o 집권 초기 초대 대통령 Ahmadou Ahidjo 대통령 세력의 쿠데타 시
도 등으로 약간 흔들리기는 했으나, Biya 대통령은 종족 및 개인적
충성도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지지망을 구축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해
왔음.
o Biya 대통령은 카메룬이 주변 국가들에 비해 정치, 경제적 안정을
- 35 -
확보한 공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국정운영에는 관심이
없고 외국에 장기체류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음.
- 2008년 하반기에는 유엔총회, 프랑스어권 정상회의 참석 등을 이
유로 40일 이상 외유
o 2004년 재선되었으며, 2011년 동 임기가 만료되나, 작년 국회의 대
통령 중임 제한 철폐를 위한 헌법개정안 통과를 “지켜보겠다”고 결
의를 나타낸 것으로 미루어볼 때 2011년 이후에도 그의 통치를 연
장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됨.
나. John Fru Ndi
o 카메룬에서 가장 극단적인 정치인 가운데 한사람인 Fru Ndi는 1990
년대 초반 한때 정치개혁 운동을 주도했던 제1야당 사회민주전선
(SDF)을 이끌고 있음.
o Fru Ndi 당수는 다당제 허용 이후 최초로 실시된 1992년 대통령 선
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은 실제로는 동인
이 승리했다고 믿고 있음.
o 최근 동인의 권위적인 지도 스타일이 공격받고 있으며, 당내에서
경쟁하는 파벌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단일후보로 지명되는데 실패한 후 야당 연합
에서 탈퇴하여 개별 후보로 출마하여 신뢰성이 크게 손상되었음.
o Fru Ndi는 SDF에서는 여전히 강력한 지지를 얻고 있으나, 전국적인
정치무대에 있어서는 영향력이 계속 감소하고 있음. Fru Ndi는
2006.5월부터 당내 경쟁파벌 인사 피살 사건과 관련하여 재판을 받
았는 바, 정부의 영향하에 있는 법원이 2008년 10월, 예상을 뒤엎고
“유죄판결을 내릴 수 없다”고 판결함에 따라, Fru Ndi 당수를 포함
한 혐의자 22명이 모두 석방됨. 동인들이 유죄판결을 받았을 경우
정당으로서의 SDF의 생존 차체가 어려워졌을 것이나, Fru Ndi 당수
등의 석방으로 SDF는 다시 전열을 정비할 기회를 갖게 되었음.
- 36 -
다. Adamou Ndam Njoya
o 카메룬의 초대대통령 Ahmadou Ahidjo 통치(1960-1982) 당시 교육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정직하고 성실한 인물이라는 평판을 받은
Adamou Ndam Njoya는 카메룬 국회 제3당인 카메룬민주연맹(Union
démocratique du Cameroun: UDC)을 이끌고 있음.
o UDC는 총선시마다 Ndam Njoya과 Bamoum족의 마을인 West
Province의 Noun Department에서 승리했음.
o Ndam Njoya는 정부에 합류하라는 제의를 계속 거부함으로써 존경
을 받고 있으나, UDC의 영향력을 Noun 지역 이상으로 확장해 나
가지 못함으로써 지역적 인물로 전락함.
라. René Emmanuel Sadi
o 소수 종족인 Yokos족 출신으로서 2007.4월 집권여당인 RDPC 사무
총장에 임명되었음. 외교관 출신으로서 수년간 Biya 대통령을 측근
에서 보좌해 왔으며, 현재 대통령실 사무차장이라는 영향력있는 직
위를 차지하고 있음. Sadi는 직위를 활용하여 여당 내에서 영향력을
늘려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Biya 대통령의 후계자 후보로 자주 거
론되고 있음.
마. Ephraim Inoni
o South-West Province의 영어권 출신이며, 2004년 총리로 임명되기 전
까지 대통령실에서 10년간 사무차장으로 재직하였음.
o 동인의 총리 임명은 총리를 영어권 출신 가운데 임명하는 관행에
따른 것이지만 Biya 대통령과의 친밀한 관계 및 오랜 행정경험에
비추어, Inoni 총리는 전임 총리들보다는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
이라는 기대를 받았음.
- 37 -
o 그러나, 대통령 전용기 도입을 둘러싼 부패 스캔들 연루 의혹으로
인해 그의 정치적 지위는 약화된 것으로 보임.
4. 최근 정세
가. 여당(RDPC)의 선거 승리
o 2007년 7월 실시된 총선과 시의회 선거에서 여당(RDPC)은 압승을
거둠으로써 국회에서 절대 다수 의석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시의회
에서도 우월적 지위를 굳혀가게 되었음.
o 여당의 승리는 2006년 제1야당 SDF가 2개 진영으로 분열되어 SDF
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가 감소함에 따라 더욱 촉진되었음. 2007
년 총선의 투표율은 매우 저조하였으며, 법원은 선거부정으로 17석
의 선거 결과를 무효화했음.
o 이에 따라 실시된 보궐선거에서는 RDPC가 13석을, SDF와 UNDP가
각 2석씩 차지함.
o SDF는 선거무효를 주장했으나, 투표 관련 일부 불법행위가 있었다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선거감시기구(Observatoire national des élections:
ONEL)는 이번 선거가 자유롭고 공정하게 치러졌다고 발표함.
나. 생활조건 악화에 대한 대중의 좌절
o 2008년 2월 택시운전사들이 유가 인상에 반대하여 일으킨 파업은
카메룬의 주요 도시에서 폭동으로 비화되었음. 개인사업체를 약탈
하고, 정부 건물을 방화, 파괴한 폭도들은 대부분 불만에 찬 젊은이
들이었음.
o 이 사건은 1990년대초 다당제 정치를 등장하게 했던 국민적 저항
이후 가장 심각한 사회적 불안을 노정하였으며, 군대 동원후 사태
가 진압되었음. 인권단체에 의하면 동 진압과정에서 100명 이상이
- 38 -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o 정부는 야당이 폭동을 부추겼다고 비난했으나, 대부분의 평론가들
은 정치적 좌절감과 경제적 어려움에서 초래된 국민들의 분노가 진
정한 원인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대중의 분노를 결정적으로 촉발한 계기는 집권여당(RDPC)이 헌
법상의 대통령 중임제한을 철폐하여 Biya 대통령의 재출마를 가
능하게 하려는 움직임이었음.
다.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 개헌안 통과
o 2008년 4월 집권여당이 장악한 국회는 대통령의 중임제한을 철폐하
는 헌법개정안을 의결함. 이에 따라, 대통령의 임기가 종료되는
2011년 이후, Biya 대통령이 다시 출마할 수 있게 되었음.
o 또 하나의 헌법개정 사항은 대통령이 사퇴할 경우 모든 기소에서
면제된다고 하는 조항임.
o 여당이 국회에서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헌법개정
안이 부결될 가능성은 애당초 거의 없었음. 여당은 헌법개정안이
국가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강변했으나, 동 개헌에
의해 Biya 정권이 계속될 경우 경제난 또한 계속될 것이라고 믿는
일부 국민들의 불만을 샀음.
o 2008년의 개헌은 국민들의 정치염증을 더욱 조장하였으며, 집권당
인 RDPC내에서도 변화를 갈망하는 젊은 당원들의 기대와도 부합
하지 않는 것임. 집권당내 반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당
내 신구 세대간 분열상이 더욱 커질 가능성은 있음.
라. 선거관리기구 설립
o 카메룬 정부는 외국 원조국의 압력에 따라 2000년 선거 감시 업무
를 수행하는 국가선거관리단(National Election Observatory: ONEL)을
- 39 -
내무부(Ministry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산하에 설립하였음.
o 그러나 ONEL의 위원들 대부분이 여당인 RDPC 출신으로 신뢰를
받지 못하였음. 외국의 강한 압력에 따라 카메룬 국회는 2006.12월
ONEL을 대체할 새로운 선거관리기구(Elections Cameroon: Elecam)를
설립하는 법률을 입법함.
o Elecam 설립법은 정부에게 2008.6월까지 동 위원들을 임명하도록
했으나, 국회는 동 시한을 2008.12월까지 6개월 더 연장함.
o Elecam 위원 12명을 모두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한 법률 조항에 반
대하고 있는 야당은 상기 6개월 연장 조치를 정부가 진정으로 독립
적인 선거관리기관을 설립할 정치적 의지가 없는 증거라고 해석하
였음.
o Paul Biya 대통령은 2008.12.30. Elecam 위원 12명을 임명하였음. 위
원중 9명이 정부․여당 출신이며, 3명은 당적은 없으나 친여 인사로
서 사실상 위원 전원이 Biya 대통령의 사람들로 구성되었음.
- 41 -
Ⅳ. 외 교
- 43 -
Ⅳ. 외 교
1. 대외정책 기조
가. 경제, 실리외교 정책
o 구 식민종주국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와의 전통적인 정치, 경제 유
대 관계 강화 정책추진
o ‘90년대에 들어 지나친 대불 의존 탈피를 위한 외교 다변화를 모색,
미국, 영국, 독일 등과의 관계도 증진
o ‘95.11. 영연방 가입을 통해 영어권 국가들과의 정치∙경제 교류 강화
o 경제적 실리 측면에서 주요 원조국인 일본, 중국과의 관계 강화
나. 아프리카 역내관계
o 중서부 아프리카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카메룬, 차드, 가봉,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공화국 등 6개국으로 구성된 중부아프
리카 경제통화공동체(CEMAC: Communauté économique et monétaire
de l'Afrique centrale)에 주도적으로 참여
o 인접국인 나이지리아와는 94.2 국경 유전지대 Bakassi 반도에서 무
력충돌, 국경분쟁 등으로 관계가 불편하였으나 99.5월 나이지리아의
민선정부 출범 이후 관계 개선
o 2001.3월 프랑스-아프리카 정상회담 개최로 아프리카 내 불어권 국
가들과의 유대 강화 및 위상 제고
- 44 -
2. 최근 대외관계 동향
가. 프랑스, 미국 등 서방 국가와의 원만한 관계 유지
o 프랑스는 카메룬과 방위협정을 체결하고 있고, 주요 무역상대국․원
조국이면서 최대 투자국이기도 함. 현재 카메룬에는 160개 이상의
프랑스계 회사가 활동하고 있음.
o 미국은 이 지역의 유전지대에 관한 점증하는 전략적 이해관계와 카
메룬의 광물자원을 채굴하고 있는 미국 회사의 이익을 반영, 미국-
카메룬 관계도 더욱 강화되고 있음.
나. 나이지리아의 Bakassi 반도 이양
o 2008년 8월 나이지리아는 Bakassi 반도를 카메룬에 완전히 이양함으
로써 1993년 나이지리아 군대가 동 지역을 점령한 이래 양국 관계
를 악화시킨 분쟁을 평화적으로 종결함.
o Bakassi 반도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풍부하게 부존되어 있으며, 주변
수역은 어류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o UN이 감독하는 공동위원회가 1,800km에 달하는 양국간 육상 국경
의 획정 작업을 진행중임. 양국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Bakass 반도의 악화일로에 있는 보안상황에 대처해 나가기 위
해 중요함.
다. 지역 문제에 대한 Biya 대통령의 소극적 자세
o 카메룬은 중앙아프리카경제통화공동체(CEMAC)의 주도적 회원국이
며, CEMAC GDP의 거의 반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메
룬은 역내에서 정치적 역할을 수행할 의사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 Biya 대통령이 CEMAC 정상회의에 거의 참석하지 않는 등,
CEMAC에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45 -
o 그러나, 최근 CEMAC 일부 회원국의 정치적 불안이 심화되고 있어
카메룬 당국이 역내 협력 문제에 더욱 큰 관심을 갖도록 만들고 있음.
라. 난민 유입 증가
o 접경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차드의 불안정과 전쟁으로 카메룬에
유입되는 난민의 수가 급증하고 있어 카메룬에 큰 부담이 되고 있음.
o UN 통계에 의하면 2008년 2월 차드에서 전투가 발생했을 때 적어
도 30,000명의 난민이 카메룬에 들어왔으며, 중앙아프리카의 안보상
황이 악화됨에 따라 최근 수년간 약 45,000명의 중앙아프리카인 난
민이 카메룬에 유입된 것으로 추산됨.
- 47 -
Ⅴ. 경 제
- 49 -
Ⅴ. 경 제
1. 개요 및 경제동향
가. 경제 개요
o 카메룬은 농업에 유리한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고 있고, 각종 광물,
석유․가스, 산림 등 천연자원도 풍부함.
o 카메룬 경제는 농산물 및 천연자원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이
러한 1차 수출품의 국제가격 등락은 카메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
고 있음.
o 카메룬의 경제개발은 정부의 관리 미숙, 부패의 만연 등과 같이 비
우호적 기업환경으로 인해 부진한 상태임.
- 카메룬은 세계은행의 연례 국별 기업환경 조사 등에서 세계 최
하위 국가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그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정부의 부패 문제가 늘 지적되고 있음.
o 최근 카메룬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2~3%로서 국민들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유엔의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를 달성하는데도 불충분함.
o 카메룬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가나, 세네갈 등 여타 아프리카
국가보다 높으나, 교육, 보건 등 주요 사회․경제지표에 있어서는 이
들 나라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음.
o 카메룬 정부는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루어내겠다는 목표와
결의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정부내 부패 척결 및 민간
기업의욕 제고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함.
- 50 -
나. 경제 동향
o 카메룬은 독립후 25년여간 아프리카에서 가장 풍요로운 국가였음.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카메룬의 주요 수출품인 원유, 코
코아, 커피, 면화 등의 국제가격 폭락, 통화가치의 과대평가 문제,
경제관리 실패 등의 제 요인이 겹쳐 10년 이상의 장기 불황을 경험
하였음. 1986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 중 실질 GDP가 무려 60%
이상 감소하였으며, 반면 경상수지 적자, 재정 적자 및 대외부채는
크게 증가했음.
o 이에 따라, 카메룬은 1980년대 후반부터 IMF와 세계은행의 지원을
받으면서 일련의 경제개혁 조치를 시행해야 했음. 이러한 조치들은
국민들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었으며, 1994년 1월에는 카메룬을
중심으로 한 CEMAC 국가들이 사용하는 세파프랑화(XAF) 가치가
50% 절하되었으며 1995년에는 공무원 봉급이 65% 삭감되는 일까
지 있었음.
o 카메룬은 IMF의 기존 4개 지원프로그램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였
음. 2005년 10월 IMF가 승인한 3년 기한의 빈곤감소 및 성장프로그
램(Poverty Reduction and Growth Facility: PRGF)은 2008년말 종료되
었음.
o 공식통계상 인플레는 잡혀가고 있으나(세계은행측 자료에 의하면
2008년은 2.9%로 예상), 카메룬 국민들은 곡가, 유가 등 생활물가
앙등에 좌절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들의 불만이 2008년 2월
Douala, Yaoundé 등 대도시에서 일어났던 유혈폭동․소요사태의 주요
한 원인이 되었음. 2008년 3월 카메룬 정부는 기초생활용품 물가인
하를 위해 식품류에 대한 수입관세 인하 등의 조치를 취했음.
o 정부가 추진해 온 국영기업의 민영화 역시 부진한 상태임. 종래 국
영수도회사(National Water Utility: SNEC)는 2개의 사업체로 분리되
어, 수도 인프라를 관장하는 CAMWATER는 아직 정부 소유로 남아
있으며, 동 부문을 제외한 SNEC는 현재 모로코수도회사(Moroccan
- 51 -
Water Utility)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의 소유임. 국영항공사 CAMAIR
및 국영통신회사 CAMTEL을 민영화하려는 계획은 이 분야의 정치
적 민감성과 외국 투자자들의 카메룬내 부패에 대한 우려 때문에
별다른 진전이 없었음. CAMTEL은 체신부 감독 하에 현재 영업을
계속하고 있으나, CAMAIR는 공식적으로 사망선고를 받고 2008년
5월 모든 취항을 중단했음.
o 카메룬의 대외교역에 있어서 프랑스 등 유럽연합국가들이 전체수입
의 36.6%와 수출의 66.1%를 차지하고 있음. 여타 지역 주요 무역상
대국으로는 미국, 중국, 한국 등이 있으며, 특히 미국은 카메룬의
주요 투자국임(차드-카메룬 송유관 및 에너지 공급업체 AES Sonel
에 투자). 중국은 최근 카메룬 중․저가 공산품 시장을 석권해 나가
고 있으며, 또한 카메룬산 목재를 대량 수입해 감으로써 카메룬의
신흥 교역 상대국으로 급부상하고 있음.
2.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infrastructure) 현황
가. 개 요
o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은 매우 부족하여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뒷
받침하기 어려움.
o 카메룬내 도로망은 대부분 비포장 상태로 느리고 위험하며, 특히
우기에는 통과 자체가 불가능한 곳이 많아 카메룬 안팎으로 상품
을 수송하는 데 엄청난 경제적, 시간적 비용부담을 초래하고 있음.
o 카메룬의 상업중심지인 Douala는 중서부 아프리카의 주요 항구이며,
Douala와 수도인 Yaoundé에는 국제항공사들이 취항하고 있어 외부
와 비교적 잘 연결되어 있음.
나. 철 도
o 카메룬의 철도망은 총 1,009㎞에 불과하나, 국내 화물운송에서 중추
- 52 -
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철도는 또한 카메룬 북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및 차드와 연결되는 주요 교통수단임. 주요 노선은
Douala-Yaoundé, Yaoundé-Ngaoundéré, Douala- Mbanga- Nkongdamba
와 Otélé-Mbalmayo 간임.
o 1999년 프랑스 기업 Bolloré와 남아공의 Comazar가 포함된 컨소시엄
이 20년간 카메룬 철도망 운영․관리권을 인수하여 현재 Camrail이라
는 명칭으로 운영하고 있음. 이후에 화물운송은 급증하였으나, 여객
운송은 아직도 부진한 상태임.
다. 항 공
o 카메룬에는 Douala, Yaoundé, Garoua 등 3개 국제공항을 포함하여
15개 공항이 있음. 공항의 운영은 민영화되어 있음.
o Douala와 Yaoundé 공항에는 Air France, Swiss International Air,
Brussels Airline, Air Maroc, Kenya Airline 등 항공사가 취항하여 유럽,
미국, 중동, 아시아 등으로의 연결이 원활한 편임.
o 국적항공사 Cameroon Airline의 매각에 실패한 후 정부는 쌓여가는
적자 때문에 청산 절차를 밟았음. 2006년 10월 동 항공사의 자산을
인수하기 위해 새로운 회사 Camair가 설립되었으나 동 회사도 2008
년 5월 영업을 중단하였음.
라. 항 구
o 카메룬에는 4개의 항구가 있으며, 그 가운데 Douala항이 가장 중요
한 항구임. 두알라는 전체 항구 물동량의 95%에 달하는 연간 6백만
톤의 화물을 취급함.
o Douala항에는 11개의 선석이 있으며, 창고와 화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상당함. Douala는 카메룬 뿐만 아니라 내륙국가인 중앙아프
리카공화국 및 차드를 위한 물류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함.
o Kienkém강 하구 대서양 해변에 위치한 Kribi항은 통나무와 코코아
- 53 -
수출을 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Kribi 심해항 건설 사업이 국책
사업으로 2009년 9월 개시될 예정임. Kribi 심해항 건설은 Mbalam
철광석 광상을 포함한 카메룬 남부의 대규모 광물 광상을 상업화하
는데 필수적임.
o Limbé항은 Douala항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물량을 일부 처리하고
있음. Limbé항을 심해항으로 본격 개발하려는 계획은 Kribi 심해항을
우선적으로 개발한 이후 단계에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마. 도 로
o 철도망이 충분하게 정비되지 못한 카메룬에서 도로운송은 주요 육
상운송수단임. 카메룬의 도로망은 50,000㎞이며, 그 가운데 56%가
주요 간선도로로 분류됨. 그러나, 주요 간선도로중 불과 4,300㎞만이
포장되었으며, 나머지 도로의 경우에는 우기에는 통행하기 곤란함.
o 열악한 도로 여건으로 교통사고가 빈발하며, 연간 2,500명 이상의
교통사고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음. 톨게이트에서의 합법․비합법적
통행료 징수는 심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운송비를 증가시키는 요
인이 되고 있음.
o 열악한 도로 여건은 국가경쟁력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자주 거론
되고 있음. 최근 카메룬 정부는 외국의 개발 원조 지원을 받아 도
로망을 정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바. 에너지
o 카메룬 지방 소재 가구의 5%만이 전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목재와
숯이 카메룬의 주요 에너지원의 역할을 하고 있음.
o 카메룬 국영 Société nationale de raffinage(SONARA)는 하루 42,000
배럴의 석유를 생산하나, 카메룬 원유의 진한 성분 때문에 대부분
의 원유를 나이지리아 또는 적도기니로부터 수입․사용하고 있음.
o 카메룬은 수력발전 잠재력은 풍부하나 단지 1%의 수자원만이 개발․
- 54 -
활용되고 있음. Sanaga강에 있는 384 메가와트급 Song Loulou 댐과
263 메가와트급 Edea 댐은 카메룬 전기 공급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
고 있음. Bénoué강 유역 Garoua 인근 Lagdo에 있는 소규모 수력시
설의 건설사업은 일부 중국정부의 자금 지원으로 1970년대 시행된
바 있음.
o 2000년 국영전기회사 Société nationale d'éléctricité (SONEL)을 미국회
사 AES에 매각한 것은 전력분야 대량투자 유입을 촉진하였음.
AES는 카메룬 전력사업에 2001-2007년간 총 1,500억 세파프랑(미화
3억5천만불 상당)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짐. 동 투자로 인해 11개
발전소의 전력 생산 능력이 927 메가와트로 증가하였으며, 송․배전
시설도 개선되었음.
o 동 사는 연간 6%씩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Kribi 가스
발전소(150MW)와 Dibimaba 화력발전소(88MW)를 2010년 12월 완공
을 목표로 건설중이나, 동 완공후에도 카메룬의 전력수요를 모두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함.
o 카메룬 정부는 전력공급 부족에 대응하여 카메룬의 수력발전 잠재
력을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장기 계획을 입안하였음. 이 계획
은 Long Pangar, Nachtigal, Memve'ele 댐 등을 건설하자는 것임.
o 이와 같은 수력발전댐의 건설은 카메룬에 풍부한 알루미늄 제련 시
설의 확장 등과 같이, 광업 및 산업 프로젝트의 개발․추진을 위해
중요함.
사. 통 신
o 국제통신연맹(ITU)에 의하면 카메룬에는 약 13만개의 유선 전화선이
운영되고 있음. 2002년 국영통신회사 Camtel은 Douala에서 말레이시아,
인도, 남아공, 중서부 아프리카 국가와 유럽을 연결하는 SAT3/
WASC/SAFE 광학섬유에 대한 접속점을 부여받았으며, 동 광학섬유
는 1,070㎞에 달하는 차드-카메룬 송유관을 따라서 부설되었음.
- 55 -
o 그러나, 불충분한 유선전화망과 Camtel의 열악한 서비스는 휴대폰
사용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휴대폰 사용자 수는 2001년의 471,000명
에서 2007년에는 약 450만명으로 10배 가량 대폭 증가하였음.
o 카메룬의 이동통신시장은 남아공의 MTN사와 프랑스의 Orange사가
시장을 반분하고 있음. Camtel은 이동통신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중임.
3. 카메룬 기업진출 가이드
가. 경제 정세 일반
o 카메룬은 천혜의 농업환경 및 풍부한 천연자원으로 인해 아프리카
에서 자연조건이 가장 유리한 국가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음.
o IMF 지원에 수반된 권고에 따라 카메룬 정부가 수행한 1997-2000간
경제구조조정 계획(ESAF)은 정부의 긴축재정, 공기업 민영화 등 경
제개혁의 진전과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호조 등에 따라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됨.
o 국가 주요 산업인 바나나, 수자원, 전기, 고무 국영회사의 민영화와
1997년 1월 이후 추진한 차드 Doba 유전-카메룬 Kribi 항구간 송유
관 사업 등에 힘입어 국내 경기도 활성화됨.
o 카메룬 정부는 선진국의 외채 탕감 또는 상환기간 연장, 민영화 정
책 지속 추진, 부패방지 등의 노력을 전개하고 있으나 지난 80년대
중반부터 장기간 누적되어 온 경제난을 극복하는 데에는 상당한 기
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됨.
o 특히,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외국인 투자유치의 걸림돌이 되어 온
정부의 비능률적인 경제관리, 관료주의와 부패, 대외부채의 증가
등을 향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여부가 카메룬 경제․사회 발전의
관건임.
- 56 -
나. 시장상황, 개발정책 및 전략
(1) 시장 상황
o GDP: 약 206억불(2007)
o 1인당 국민소득: 1,097불(2007)
o 1980-86년간 석유개발에 힘입어 호전되었던 경제상황이 1987년
이후 주요 1차 수출품(석유, 커피, 코코아)의 국제가격이 폭락하
면서 위기에 직면하였으나, 1994년초 채택된 경제개방 신전략
및 곧이어 단행된 세파프랑 평가절하 등에 힘입어 다소 회복되
었으며, 1997년 이후에는 매년 3-4%대의 GDP 경제성장률을 보
이고 있음.
o 대외무역 추이
(단위: 백만불)
‘04 ‘05 ‘06 ‘07
수출(FOB) 2,708.4 2,932.9 3,696.8 4,049.9
수입(FOB) 2,406.3 2,735.0 3,150.5 3,760.0
□ 주요 수출입품(2007)
- 수출: 원유(50.9%), 목재(12.1%), 코코아(7.1%), 면화(3.3%)
- 수입: 광물 및 원재료(14.3%), 반가공품(15.0%)
□ 주요 교역상대국(2007)
- 수출: 스페인(20.1%), 이탈리아(16.0%), 프랑스(11.9%), 한국(8.6%),
네덜란드(6.2%), 미국(5.8%)
* 우리나라는 2003년까지는 카메룬으로부터 수입이 거의 없었으
나 2004년부터 급증(2004년: 7.1%, 2005년: 8.1%, 2006년:
7.3%)
- 수입: 프랑스(23.4%), 나이지리아(12.8%), 중국(9%), 벨기에(5.8%),
미국(4%)
- 57 -
(2) 개발정책 및 전략
o 카메룬은 경제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1988년 9월 IMF 및 세계은
행과의 협의하에 국영기업의 민영화작업 추진 시작
o 민영화 계획은 재무부장관 휘하의 부처간위원회(Comité Inter-
ministeriel)의 공공기업개발단(Mission de Rehabilitation des
Entreprises Publiques)에 의해 수행되고 있음.
o 민영화 대상에 포함되었던 약 30여개 공기업 가운데 현재까지
카메룬 바나나회사, 전기공사(SONEL) 등 일부만이 민영화 완료
(3) 해외투자유치 시책
o 카메룬 정부는 산업자유지역 관리청을 창설하고 해외투자 유치
를 위해 투자 기업에 특혜를 부여하고 있음.
o 재정적 혜택: 자유지역(Zone Franche)내 기업에 대해서는 개발 첫
10년 동안 업종에 관계없이 등록세 및 조세 면제 혜택을 제공함.
o 통상, 관세분야 혜택: 수출, 수입은 당국의 허가나 쿼터 제한을
받지 않고 허용되며 관세면제의 혜택을 받음.
o 노동법 분야 혜택: 산업자유지역(Zone Franche Industrielle)내의 기
업은 노동계약 체결시 사회보장기금(C.N.P.S: Caisse Nationale de
Prévoyance Sociale) 부담금을 지불하지 않는 혜택을 누림.
다. 우리나라와의 경제․통상관계
(1) 교역 현황
o 개요: 원유수입에 따른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단위: 천불)
‘03 ‘04 ‘05 '06 '07
‘08
(1-10월)
수출 9,670 15,246 13,352 11,418 24,954 37,943
수입 55,570 269,491 323,897 425,816 520,185 228,622
- 58 -
o 수출 품목(2007)
- 수출: 플라스틱, 기계류, 섬유제품, 전기기기
- 수입: 원유, 목재
라. 여타국 진출 현황
(1) 유럽국가
o 카메룬은 역사적으로 유럽, 특히 식민종주국이었던 프랑스와 깊
은 정치적․경제적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o 석유, 광업 분야
- Total(석유개발, 프랑스), ELF SEREFCA(석유개발, 프랑스),
PECHINEY-UGINE KULMAN, BRGM, SOCATRAL (알루미늄,
프랑스), COGEFAR(채석장 개발, 프랑스)
o 통신: LIEF-TEL(프랑스), ALCATEL(프랑스), SIEMENS(독일)
o 자동차: RENAULT(프랑스), PEUGEOT(프랑스), BENZ(독일)
o 항공분야: ASECNA(프랑스)
(2) 일본
o Toyata, Mitsubishi, Nissan, Matsuda, Suzuki 등 자동차회사 진출이
활발하며 카메룬 자동차시장의 50%를 상회하는 점유율을 보이
고 있음.
(3) 중국
o 국제회의장(Palais des Congrès), 병원, 스타디움 등을 건설해 주고
있음.
마. 부문별 진출 확대 방안
(1) 진출 유망업종 및 진출 방안
o 카메룬 정부의 천연자원 개발․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인프라 건
- 59 -
설 추진 계획을 감안할 때 항만 및 도로 건설 분야 진출이 유망
시되며, 카메룬 국영 Camtel의 민영화 추진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가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정보․통신 분야 진출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음.
o 중소기업 진출 유망업종으로는 상기 정보․통신분야 관련 (저가형
내지 중고) 컴퓨터 조립․수리․유통업이 유망하며, 현지의 저임금
여건을 감안시 가발업, 신발제조업, 전구 및 형광등 제조업, 자동
차 정비업, 가구 제조업 등 진출을 상정해 볼 수 있음.
(2) 진출방안
o 농업
- 카메룬의 농업은 노동인구의 49% 가량이 종사하며, 2008년 세
계은행 통계에 의하면 2007년 카메룬 GDP의 20% 가량을 생
산하고 있음. 주요 농산물로는 커피, 카카오, 담배, 바나나, 옥
수수, 사탕수수 등이 있음.
- 카메룬의 비옥하면서도 저렴한 농지, 풍부한 저임의 노동력,
국내 쌀 수급의 불균형(연간 소비량 80만톤, 생산량 10만톤
가량, 70만톤을 수입에 의존) 등을 감안시 쌀농사 분야 기업
의 농업 진출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o 임업
- 산림이 2천만 헥타르에 달하며, 목재가 양질인 것으로 평가받
고 있으므로 목재 채취․수출 분야 진출도 검토 가능
o 수산업
- 카메룬의 연평균 어획고는 약 7만 5천톤에 달함.
- 새우, 농어, 청어, 넙치 등 어종이 다양하고 풍부함.
- 수산물 유통․가공업 진출을 검토 가능
o 제조업
- 카메룬의 제조업은 GDP의 30% 가량을 차지하고 있음. 주요업
- 60 -
종으로는 식품업, 음료업, 의류업, 직물업, 신발업, 시멘트산업,
플라스틱 산업, 고무산업 등이 있음.
- 카메룬(및 인접 CEMAC 회원국) 내수를 겨냥한 경공업형 제
조업 분야 진출을 검토 가능
o 통신업
- 국내 통신은 체신부가 ACTEL (Agence Commerciale des
Telecommunications)을 통해 관리하고 있음.
- 국제통신은 INTELCAM이 담당하고 있으며 동 회사는 프랑스
통신회사인 France Telecom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음.
- 카메룬은 한국의 EDCF 자금에 의한 DDX 체제의 일부 도입
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음.
(3) 성공사례
o 사진현상업
- 카메룬 국민의 사진 선호에 따라 지난 1980년대 중반~1990년
대 초까지 큰 호황을 누렸으며, 현재에도 20여개의 한국인 경
영 사진현상소가 있음.
- 그러나, 세파프랑화의 평가절하, 한국인 업소에서 기술 습득후
독립한 현지인 업소와의 가격 인하 경쟁 등으로 현재에는 다
소 고전하고 있음.
- 61 -
(참고자료)
【 카메룬 에너지․자원 현황 】
1. 원유, 가스, 광물 자원 현황 및 진출 환경
가. 현황
1) 원유 및 천연가스
o 매장량 및 생산량
확인 매장량 생산량
원유 4억 배럴 86,800 barrel/day
천연가스 39 Tcf
* 출처 : EIA 통계(2006년 기준)
* EIU 2007 보고서 기준 : 원유 확인매장량(2.15억 배럴), 천연가스(1100억 큐빅미터)
* 미 국무부 웹사이트 카메룬 국별정보에 의하면 카메룬의 석유매장량은 점차 고갈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기술
o 연도별 원유 생산량 및 수출량
연도 2003 2004 2005 2006
생산량(b/d) 67,200 66,300 82,700 86,800
수출량(b/d) 43,700 42,800 58,500 62,300
* 출처 : EIA 통계(2006년 기준)
2) 기타 주요 광물
종류 단위 2002 2003 2004 2005 2006
알루미늄(정련) 천톤 67.0 77.2 85.9 90.4 87.0
금 Kg 700 700 1,500 1,500 N.A
* 출처 : WMS, World Metal Statistics Yearbook, 2007
- 62 -
나. 개발 현황
1) 석유
o 석유 생산․수출은 주요 유전에서의 생산량 감소로 1990년대 후
반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으나, 최근 소형 유전의 개발과
한계 유전 지역의 재탐사를 통하여 생산량이 재증가 추세임.
- 북부 Logone Birni, Rio del Rey 유전 지역을 중심으로 탐사 활
동이 활발히 진행중
o 석유 매장량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되는 카메룬 남부 바카시
(Bakassi) 반도를 2008년 나이지리아로부터 이양받음에 따라, 동
지역에 대한 개발이 향후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
- 2007년 바카시 반도내 광구 입찰이 있었으나, 별도의 성과없
이 종료
o 석유의 경우 그간 카메룬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90% 이상이 다국
적 석유메이저(프랑스계 Total 자회사인 Total E&P, 미국계 Shell
자회사인 Pecten)에 의해 주도되어 왔으며, 현재 유망 광구에 대
한 탐사도 다국적 석유메이저들이 주도하고 있는 상태임.
- 카메룬 정부는 2003년 석유법을 개정하여 기존 한계 유전과
심해 유전에 대한 개발을 유도
2) 천연가스
o 천연가스는 확인매장량 1100억 큐빅미터중 700억 큐빅미터가
Rio del Rey 지역, 400억 큐빅미터가 Douala/Kribi-Campo 지역에
매장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카메룬 정부와 영국계 석유회사
(Bowleven) 등이 천연가스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카메룬 정부는 향후 천연가스 개발을 통하여 자국 전력 수요
를 충당할 계획
o 카메룬 국영석유회사(SNH: Societe Nationale des Hydrocarbures)와
Perenco(Shell 자회사)간 2006년 생산물분배계약(PSA)이 체결되었
으며, 이에따라 남부 Sanaga 유전에서의 천연가스 개발이 추진중임.
- 63 -
- 또한 영국계 회사인 Bowleven은 Rio del Rey 및 Etinde 지역에
서 대규모 천연가스가 발견되었음을 발표
3) 기타 주요 광물
o 철광석의 경우 호주(Sundance Resource) 주도로 남동부 Mbalam
지역내 광산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는 바, 연 35백만톤 규모의
대자석(haematite) 생산을 목표로 관련 사업이 추진중임.
o 또한 미국 회사인 Geovic 주도로 동부 Lomie 지역에서 2009년부
터 코발트(3,300 ton/year) 및 니켈(2,800 ton/year) 생산이 추진중
에 있음.
2. 우리 기업의 진출 현황 및 에너지․자원 투자 유망 분야
가. 우리 기업의 진출 현황
o 카메룬내 우리 교민은 150명 수준인 바,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우
리 기업의 진출은 현재 전무함.
- 1990년대 대우건설 카메룬 법인이 활동하였으나, 현재 철수
- 대다수 교민들은 자영업과 영세 규모의 목재 수출업 등에 종사
- 최근 현지인과 우리 교민이 출자한 AFKO 시멘트 회사가 합작
법인 형태로 설립
o 최근 카메룬 광물자원 개발․수출을 목적으로 한․카메룬 합작 법
인의 설립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음.
- C&K Mining 및 KOCAM 등
나. 에너지․자원 투자 유망 분야
o 석유 및 천연가스의 경우, Total, Shell 등 석유 메이저들이 Logone
Birni, Rio del Rey 등 기존 광구 및 유망 광구에서 개발․생산을
주도하고 있음.
- 64 -
o 카메룬 정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기니만 심해 광구의 탐사, 나이
지리아로부터 이양된 바카시 반도내 광구 개발은 초기 단계인 바,
동 개발에의 참여 가능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o 카메룬 유일의 정유소(정제능력 일당 42,000배럴, 국영 Société
Nationale de Raffinage<SONARA> 운영)가 Limbe항에 위치하고 있는
바, 향후 Limbe항만 개발사업 참여를 아울러 검토할 필요가 있음.
o 카메룬의 목재 수출은 2005년 기준 전체 수출의 13%를 차지(석유
수출에 이어 2번째 주요 수출품)하고 있는 바, 향후 우리 기업의
동 분야 진출 방안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카메룬에서는 300여종의 상업적 가치가 있는 수종중 70여종만이
개발되고 있으며, 벌채권 대부분은 외국 회사 보유
- 개발된 수종중 ayous, sapele, azobe, iroko, frake 등 5개 수종이
70% 이상을 차지
- 벌채된 원목과 목재는 80% 이상 EU 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으나,
최근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도 증가 추세
3. 에너지․자원 관련 카메룬 정부의 정책 방향
가. 카메룬 정부의 에너지․자원 관련 정책
o 카메룬 정부는 2003년 석유법 개정을 통하여 유전 탐사 부문 인센
티브와 조세 혜택을 부여하는 등, 자국내 유전 개발에 있어서 외국
기업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음.
- 주재국내 기존 주요 유전의 생산량 감소가 지속됨에 따라, 신규
유전 개발 목적으로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 적극적
o 천연가스 개발 관련, 향후 주요 전력원으로 천연가스를 개발할 계
획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상업적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임.
- 65 -
나. 에너지․자원 분야 주요 정책 결정권자 및 주요 회사
o 에너지․자원 분야 주무 부처는 산업광산기술부(Ministry of
Industry, Min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이며, 국영석유회사
(SNH: Societe Nationale des Hydrocarboures)가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업무를 실무적으로 관장하고 있음.
o 카메룬 정부에서 에너지․자원 관련 주요 정책 결정은 Paul Biya
대통령이 직접 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o 현재 카메룬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90% 이상이 석유 메이져인 Total
과 Shell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만큼, 향후 유전 개발 및 에너
지․자원 관련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상기 석유 메이저들의 영
향력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다. 각국과의 협력 현황
o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생산에 있어서는 Total, Shell 등 석유 메이
저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호주의 경우 철광석, 미국은 코발트 및
니켈 생산을 추진중임.
o 최근 중국도 카메룬 유전 개발 가능성을 탐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광업과 임업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준비중인 것으로도 알
려지고 있음.
4. 진출시 고려사항
o 세계은행 및 EIU 보고서 등에 따르면 카메룬은 사하라이남 국가중에
서도 기업환경이 가장 열악한 국가로 분류되고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 이는 관료 집단의 심각한 부패, 국내금용 조달의 곤란함, 분쟁
발생시 신뢰가능한 사법절차 부재 등에 기인함.
- 66 -
o 또한 카메룬내 사회간접자본의 미비로 인하여 신규 사업 진출에 있어
서 상당한 간접비용이 소요될 것인 바, 전력 및 공업용수의 부족, 주
요 지점간 철도망 부재, 도로 비포장(우기에 통행 곤란), 항만 처리시
설 부족 등으로 인한 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됨.
- 일례로 남동부 Mbalam 지역에서 철광석 개발을 추진중인 호주 회
사는 연 35백만 톤 규모의 철광석 생산을 위해 향후 총 25억불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
o 석유가 상당량 부존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나이지리아 접경 바카
시 반도의 경우, 최근 나이지리아 의회가 바카시 반도의 카메룬 이양
을 무효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인접 니제르델타내 나이지
리아인 무장 불만세력에 의한 테러공격 위험도 계속 고조되고 있어,
향후 카메룬 주도의 바카시 반도 유전 개발시 현지 기업 여건으로서
정치적 위험(political risk), 안전상의 위험(security risk)이 상존할 가능
성이 있음.
- 67 -
Ⅵ. 군 사
- 69 -
Ⅵ. 군사 및 국방
1. 개 요
o 카메룬의 군부는 민간인 통제 하의 비정치적인 조직으로서 카메룬은
국방 분야에서 프랑스의 도움을 많이 받아 왔음. 프랑스의 군사적 영
향력이 종전에 비해서는 감소하고 있다고 하나, 최근 나이지리아와 영
유권 분쟁이 있던 Bakassi 반도에 군대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도 프랑
스군 자문관이 지원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o 1982년 대통령에 취임한 Paul Biya 대통령은 1984년 이슬람계 장교들
이 시도한 쿠데타후 국방부를 대통령실 직속으로 이관함으로써 군대
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카메룬은 별도의 국방부를 두지 않고 대통령실 소속 장
관급 인사가 국방업무를 관장하는 체제
2. 병력 및 군복무
o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모병제로, 카메룬 정규군은 육․해․공군을 합
쳐 총 26,000-27,000명 수준임.
o 카메룬 육군 기지는 전국에 산재해 있으며, 공군 기지는 Garoua,
Yaoundé, Douala, Bamenda에, 해군기지는 Douala에 두고 있음.
3. 국방예산(2006년) : 약 2.6억달러
o 총 GDP의 1.3% 점유
- 71 -
Ⅶ. 문화 ․ 사회
- 73 -
Ⅶ. 문화․사회
1. 인종, 종교 및 언어
가. 인 종
o 카메룬에는 200개 이상의 종족 및 언어 그룹이 있으며 카메룬의 인
구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음.
- 주로 이슬람교도가 사는 북부 지역에는 Fulani(Foulbé) 종족이 더
오래 전부터 살아온 Kirdi족 및 다른 그룹과 함께 살고 있음.
- 카메룬 최북단에 사는 Choa 아랍족은 여타 카메룬 사람들보다는
국경 너머 차드 국민과 유사한 점이 더 많음.
- 서부 지역의 압도적인 그룹은 Bamiléké족으로서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퍼져 있는 종족임. Bamiléké족은 어느 곳에 정착하든지 으
레 사업에서 큰 성공을 거두는 점이 해당 지역 토착민들과 마찰
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함.
- Béti-Fang 종족 그룹의 Béti 및 Bulu 그룹은 남부에서 세력을 떨치
는 종족으로서 Paul Biya 대통령의 주요한 권력 기반이 되고 있음.
- Grand Sawa라고 알려진 Douala, Bassa, Bakweri 등의 해안지역은
관습의 영향이 강한 곳이며, 서부의 Bamoum 지역도 명목상으로
는 약간의 힘을 가진 전통적 지배자가 있음.
- 추산에 따르면 카메룬에는 230개에서 282개의 서로 다른 종족 및
언어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Adamawa 고원이
이러한 그룹을 북부와 남부로 분할하고 있음.
- 북부 지역 주민은 수단계 종족 그룹으로서 중앙 고원지대와 북
부 저지대에 살고 있으며, Fulani족은 북부 카메룬 전 지역에 퍼
져 있음. 소수의 Shuwa 아랍족은 차드호 인근에 살고 있음.
- 남부 카메룬에는 Bantu와 Semi-Bantu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음. Bantu 사용 그룹은 해안 및 적도지역에 거주하고 있
으며, Semi-Bantu 사용 그룹은 서부 초원에 살고 있음.
- 74 -
- 약 5,000명의 피그미족이 남동부와 해안우림지대를 배회하거나
작은 도로변 정착지에서 살고 있음.
- 나이지리아인, 특히 Igbo족은 카메룬에서 가장 큰 외국인 그룹을
형성하고 있음. 2007년 추계에 의하면 카메룬은 총 97,400명에
달하는 난민, 망명자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49,300명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 41,600명은 차드에서, 2,900명은 나이지
리아에서 유입되었음.
나. 종 교
o 카메룬은 높은 수준의 종교의 자유 하에서 다양한 종교가 있음. 전체
인구의 40% 가량이 기독교인이며, 40% 가량이 精靈숭배자(animist),
나머지 20% 가량이 이슬람교도임.
o 북부 지역 주민들은 이슬람교도가 압도적이나, 일부 종족은 아직도
정령숭배 신앙을 견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Fulani족에 의해 Kirdi
(“pagan:이교도")라고 불림.
o 남부에 거주하는 종족 그룹은 대부분 기독교 또는 정령숭배 신앙
또는 이 두 가지가 섞인 혼합신앙을 믿음. 많은 사람들이 주술신앙
은 믿고 있음.
다. 언 어
o 식민시대 도입된 유럽언어(프랑스어, 영어)가 Northwest 및 Southwest
Province에 사는 인구의 1/5을 차지하는 영어사용권과 인구의 4/5를
차지하는 불어사용권으로 언어적 분열을 초래하였음. 영어와 프랑
스어는 모두 카메룬의 공용어임.
o 카메룬식 Pidgin English는 종전 영국이 통치하던 지역에서는 가장
잘 통용되는 언어임. 1970년대 중반부터 영어, 불어, Pidgin이 혼합
된 Camfranglais라는 언어가 점차 인기를 끌어가고 있음.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카메룬 개황 %282009.3%29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drtravel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drtravel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drtravel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drtravel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drtravel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drtravel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drtravel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drtravel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drtravel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drtravel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drtravel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drtravel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drtravel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drtravel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drtravel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drtravel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drtravel
 
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drtravel
 
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drtravel
 

More from drtravel (20)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
 
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
 

카메룬 개황 %282009.3%29

  • 3. 【 국가 가사 】 (영어) O Cameroon, Thou Cradle of our Fathers, Holy Shrine where in our midst they now repose, Their tears and blood and sweat thy soil did water, On thy hills and valleys once their tillage rose. Dear Fatherland, thy worth no tongue can tell! How can we ever pay thy due? Thy welfare we will win in toil and love and peace, Will be to thy name ever true! Chorus: Land of Promise, land of Glory! Thou, of life and joy, our only store! Thine be honour, thine devotion, And deep endearment, for evermore. (불어) O Cameroun berceau de nos ancètres, va debout et jaloux de ta liberté, comme un soleil ton drapeau fier doit être, un symbole ardent de foi et d'unité, Que tous tes enfants du Nord et Sud, De l'Est à l'Ouest soient tout amour, Te servir que ce soit le seul but, pour remplir leur devoir toujours; Chorus: Chère Patrie, Terre chérie, Tu es notre seul et vrai bonheur, Notre joie, notre vie, En toi l'amour et le grand honneur.
  • 4. (번역) 오 카메룬 우리 조상들의 요람, 일어나라, 자유를 열망하라 자랑스런 국기에 있는 태양처럼, 믿음과 연합의 불타는 상징처럼 북에서 남까지, 동에서 서까지 우리의 아이들 모두가 사랑스럽구나. 그들 모두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하나의 목표에 봉사하라 (후렴) 사랑하는 조국, 사랑하는 땅, 우리의 유일한 것, 진정한 행복이다. 우리의 기쁨, 우리의 생명, 그 안에 사랑과 큰 행복이 있다. (듣기) http://www.lecameroun.net/cameroun-hymne.htm
  • 5. 목 차 Ⅰ. 개 관 ···································································································· 1 Ⅱ. 약 사 1. 초기역사 ·································································································· 13 2. 독일보호령 및 영․불 식민시대 ··························································· 14 3. 독립이후 Ahmadou Ahidjo 대통령시대 ················································ 15 4. Paul Biya 대통령 통치 1기 ···································································· 15 5. Paul Biya 대통령 통치 2기: 다당제 시대 ············································ 16 Ⅲ. 정 치 1. 정치제도 ·································································································· 21 2. 카메룬의 정치 특성 ················································································ 33 3. 카메룬의 주요 정치인 ············································································ 34 4. 최근 정세 ································································································· 37 Ⅳ. 외 교 1. 대외정책기조 ··························································································· 43 2. 최근 대외관계동향 ················································································· 44 Ⅴ. 경 제 1. 개요 및 경제동향 ··················································································· 49 2.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 현황 ································································ 51 3. 진출 가이드 ····························································································· 55 (참고자료) 카메룬 에너지․자원 현황 ························································ 61
  • 6. Ⅵ. 군 사 1. 개 요 ········································································································ 69 2. 병력 및 군복무 ······················································································· 69 3. 국방예산 ································································································· 69 Ⅶ. 사회․문화 1. 인종, 종교 및 언어 ················································································ 73 2. 교 육 ································································································· 75 3. 언 론 ································································································· 76 4. 문 화 ································································································· 78 Ⅷ. 한국과의 관계 1. 대한정책 ································································································· 83 2. 외교일지 ································································································· 83 3. 주요인사교류 ························································································· 83 4. 주요협정 체결 현황 ·············································································· 84 5. 개발협력 ································································································· 85 6. 무역 및 투자 현황 ················································································ 86 7. 동포 현황 ······························································································· 86 8. 명예영사관 ····························································································· 87 Ⅸ. 북한과의 관계 1. 대북한정책 ····························································································· 91 2. 외교일지 ································································································· 91 3. 주요인사 교류 ························································································· 91 4. 주요협정 체결 현황 ·············································································· 92 5. 무역 및 투자 현황 ················································································ 92 Ⅹ. 참고자료 1. 주요인사 약력 ······················································································· 95 2. 외교부 기구표 ······················································································· 99 3. 주요 기관, 단체 웹사이트 주소 ·························································· 100
  • 7. - 1 - I. 개 관
  • 8.
  • 9. - 3 - I. 개 관 o 국 명: 카메룬공화국 (Republic of Cameroon) o 수 도: 야운데 (Yaoundé, 인구 110만명, 2003년 인구조사 기준) - 기타 주요도시(인구): Douala(130만명), Garoua(424,312명), Maroua (409,546명), Bafoussam(319,457명), Bamenda(321,490명), Nkongsamba (166,262명), Ngaoundere(216,300명) o 위 치: 아프리카 대륙 중서부 기니만에 위치 - 나이지리아와 적도기니 사이 o 면 적: 475,440㎢ (남한의 4.8배, 남북한 면적의 2.2배 크기) o 지 리 - 북부는 평지, 중서부는 고지, 남부와 해안지역은 열대우림지역으로 구분 - 최고봉은 수도 야운데 서쪽 288㎞ 지점, 기니만에서 23㎞ 내륙에 위치 한 Mount Cameroon으로 4,095m (활화산으로서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 카 서부, 중부 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아프리카 전체에서 6번째로 높으면서 해안에서 가장 가까운 산) o 기 후 - 북부 평원 및 Sahel 지역: 비가 매우 적고 더운 기후 (7개월 건기) - 중서부 고원지대(야운데 포함): 약간 선선하고 건기가 상대적으로 짧음. - 남부 열대우림 지역: 덥고 4개월간 건기 - 해안 열대우림 지역(두알라 포함): 연중 덥고 습도가 높은 (후덥지근한) 기후 - 북에서 남으로 사하라성 기후에서 적도 습윤기후로 바뀌며, 크게 건기 (12월-3월), 점이기, 우기(6월-11월)로 나눠지나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 가 있음. ․ 북부 지역은 4-9월간 우기이며 잔여 기간은 건기로서 연중 평균 강 우량은 1,000~1,750mm ․ 남부 지역은 2개의 우기(소우기: 3~6월, 대우기: 8~11월)와 2개의 건
  • 10. - 4 - 기(소건기: 6~8월, 대건기: 11~3월)가 있으며, 연평균 강우량은 4,030mm o 인 구: 18,467,692명 (2008년 추계) - 인구증가율: 2.218% o 언 어: 프랑스어(80%), 영어(20%) (2개 공용어), Pidgin, Fulfulde, Ewondo 를 포함한 270개 아프리카 토속어와 사투리 o 인 종: 카메룬고원지대인 (31%), 적도 Bantu (19%), Kirdi (11%), Fulani (10%), 북서 Bantu (8%), 동부 Nigritic (7%), 기타 아프리카인 (13%), 비아프리카인 (1% 미만) o 종 교: 기독교 (40%), 이슬람 (20%), 아프리카토속종교 (40%) o 독립일: 1960.1.1 (프랑스 식민지역), 1961.10.1 (영국 식민지역) o 국경일: 5.20.(1972.5.20 동․서 카메룬 통합을 위한 국민투표 기념일). o 국가원수: Paul BIYA 대통령 (1982.11.5. 이후 현재까지) - 임기 7년, 중임 제한 없음. - 가장 최근의 대통령선거는 2004.10.11 실시되었으며, 차기 대통령선거 는 2011.10월 실시 예정 - 2004년 대선 결과 득표율: Paul BIYA 대통령 (70.9%), John FRU NDI (17.4%), Adamou Ndam NJOYA (4.5%), Garga Haman ADJI (3.7%) o 정부형태: 대통령중심제 o 헌 법: 현행 헌법은 1972.6.2. 제정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개헌은 2008년 에 이루어짐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 o 행정수반: Ephraïm Inoni 총리(2004.12.8. 취임) - 대통령이 임명 o 의 회: 단원제 (의석수 180석) - 국회의원은 국민의 보통선거에 의해 선출됨. 임기는 5년이나 대통령은 국회의원의 임기를 연장하거나 단축할 수 있음. - 헌법상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상원이 구성되지 않고 있음.
  • 11. - 5 - - 가장 최근의 국회의원 선거는 2007.7.22. 실시되었으며, 차기 총선은 2012년 실시 예정 - 2007년 총선 결과 정당별 의석수: RDCP (집권당) 140석, SDF 14석, UDC 4석, UNDP 4석, MP 1석, 17석은 법원의 선거무효 판결로 공석 o 명목 GDP: 206.5억불 (2007년)1) o 실질 GDP (PPP): 402.4억불 (2007년) o 실질 GDP 성장률: 2.7% (2007년) o 1인당 명목 GDP: 1,097불 (2007년) o 1인당 실질 GDP (PPP): 2,200불 (2007년) o 산업별 GDP 구성(2007년): 농업(43.9%), 공업(15.8%), 서비스업(40.3%) o 노동인구(2007년): 667.4만명 o 예산규모(2007년): 세입 41.79억불, 세출 32.97억불 o 공공부채(2007년): GDP의 15.5% o 인플레율(2007년): 1.1% o 농산물: 커피, 코코아, 면화, 고무, 바나나, 곡식류, 가축류, 목재 등 o 공업: 원유생산 및 정유, 알루미늄 생산, 식품가공, 소비재 생산, 섬유류, 목재 생산, 수리조선업 등 o 대외무역규모 - 수출액(2007년): 40억불(원유, 통나무 및 제재목, 면화, 코코아, 알루미 늄, 커피, 고무, 바나나 등) * 수출대상국(2007년): 스페인(20.1%), 이태리(16%), 프랑스(11.9%), 한 국(8.6%), 네덜란드(6.2%), 미국(5.8%) - 수입액(2007년): 37억불(기계류, 전기기기, 자동차, 원유, 식품 및 식량, 농산품 재료, 헌옷 등) * 수입대상국(2007년): 프랑스(23.4%), 나이지리아(12.8%), 중국(9%), 벨기에(5.8%), 미국(4%) 1) 이 책 4-5쪽의 통계자료는 미 CIA의 World Factbook을 출처로 하며, 이 책 6-8쪽의 세계은행측이 작성한 카메룬 경제지표 일람표상의 통계자료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12. - 6 - o 경제원조수령액(2005년): 413.8백만불 o 광물자원: 석유, 천연가스, 보크사이트, 철광석, 우라늄, 니켈, 아연, 금, 다 이아몬드, 구리, 대리석 등 o 외환보유고: 29.32억불 (2007년) o 외채: 25.54억불 (2007년) o 화폐단위: 세파프랑 (franc CFA, 통화 약호는 XAF) - 1 세파프랑 = 1/655.957 유로 (고정환율) - 1 세파프랑 = 447.703 미불 (2008년 연평균환율, 시장변동환율 적용) 《표: 세파화 대 미달러화 환율변동추이》 ※ 출처 (원출처: Bloomberg) http://www.afdb.org/pls/portal/docs/PAGE/ADB_ADMIN_PG/DOCUMENTS/FINANCIALINFOR MATION/CAMEROON.PDF XFA/USD 350.000 400.000 450.000 500.000 550.000 600.000 01/13/2009 12/29/2008 12/14/2008 11/29/2008 11/14/2008 10/30/2008 10/15/2008 09/30/2008 09/15/2008 08/31/2008 08/16/2008 08/01/2008 07/17/2008 07/02/2008 06/17/2008 06/02/2008 05/18/2008 05/03/2008 04/18/2008 04/03/2008 03/19/2008 03/04/2008 02/18/2008 02/03/2008 01/19/2008 01/04/2008 12/20/2007 12/05/2007 11/20/2007 11/05/2007 10/21/2007 10/06/2007 09/21/2007 09/06/2007 08/22/2007 08/07/2007 07/23/2007 07/08/2007 06/23/2007 06/08/2007 05/24/2007 05/09/2007 04/24/2007 04/09/2007 03/25/2007 03/10/2007 02/23/2007 02/08/2007 01/24/2007 01/09/2007 ※ 출처: Economist誌에 링크된 OANDA.com(The Currency Site ™) o 도량형: 미터제
  • 13. - 7 - 카메룬 경제지표 일람표 2008.9.24. 세계은행 작성 ≕≕≕≕≕≕≕≕≕≕≕≕≕≕≕≕≕≕≕≕≕≕≕≕≕≕≕≕≕≕≕≕≕≕≕≕≕≕≕≕≕≕≕≕≕≕≕≕≕≕≕≕≕≕≕≕≕≕≕≕≕≕≕≕≕≕≕≕≕ 빈곤 및 각종 사회지표 카메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세계 중저소득 국가 2007년도 인구 (단위: 백만명) 18.5 800 3,437 1인당 국민총소득(GNI) (단위: 미화 불) .. 952 1,887 국민총소득 (GNI) (단위: 미화 십억불) .. 762 6,485 2001-7년간 연평균 인구증가율 (%) 2.2 2.5 1.1 노동인구증가율 (%) 2.2 2.6 1.5 2001-7년중 가용한 최신 통계(Most recent estimate; latest year available, 2001-07) 빈곤률 (% of population below national poverty line) 40 .. .. 도시인구율 (% of total population) 56 36 42 기대수명 (년) 50 51 69 영아 1,000명당 사망 (per 1,000 live births) 87 94 41 5세 이하 유아 영양실조율 (% of children under 5) 15 27 25 상수도 보급률 (% of population) 70 58 88 15세 이상 문자해독율 (% of population age 15+) 68 59 89 초등학교 취학률 (% of school-age population) 107 94 111 남성 인구율 (기준: 100) 117 99 112 여성 인구율 (기준: 100) 98 88 109 주요 경제지표 및 장기 추이 (단위: 미화 십억불) 1987 1997 2006 2007 국내총생산 (GDP) (미화 십억불) 12.3 9.8 18.0 20.6 국내총생산 대비 총자본형성률 24.7 15.1 16.8 17.3 국내총생산 대비 상품․서비스 수출률 16.7 21.4 23.0 22.1 국내총생산 대비 국내총저축률 20.8 18.2 18.9 18.2 국내총생산 대비 국민총저축률 .. 13.0 .. .. 국내총생산 대비 경상수지흑자(적자)율 -5.0 -2.6 0.7 0.4 국내총생산 대비 투자지출율 1.5 1.9 0.8 .. 국내총생산 대비 총부채율 37.1 105.7 17.7 .. 국내총생산 대비 부채 현재가치율 .. .. 3.6 .. 연간수출액 대비 부채 현재가치율 .. .. 12.5 ..
  • 14. - 8 - (연평균성장율) 1987-97 1997-07 2006 2007 2007-11간 예상 국내총생산 성장율 -1.9 3.9 3.2 3.3 4.6 1인당 국내총생산 성장율 -4.6 1.5 1.1 1.3 3.6 상품․서비스 수출 성장율 -0.3 1.4 1.3 -12.1 10.7 경제구조(산업부문별 국내총생산) (단위: %) 1987 1997 2006 2007 농업 24.8 24.7 19.9 19.5 공업(Industry) 30.1 30.6 31.4 30.7 제조업(Manufacturing) 13.2 19.5 .. .. 서비스업 45.1 44.7 48.7 49.8 가계소비지출 67.1 72.7 71.5 72.6 정부지출 12.2 9.1 9.6 9.2 상품․서비스 수입 20.6 18.4 21.0 21.3 (연평균성장율) 1987-97 1997-07 2006 2007 농업 성장율 2.5 4.1 3.0 3.9 공업(Industry) 성장율 -5.6 2.0 1.8 0.1 제조업(Manufacturing) 성장율 -2.0 8.3 .. .. 서비스업 성장율 -2.7 5.1 3.5 5.0 가계소비지출 성장율 -1.2 4.9 3.7 9.8 정부지출 성장율 -1.9 4.8 3.0 -0.8 총자본형성 성장율 -6.7 5.3 2.5 0.4 상품․서비스 수입 성장율 -1.6 5.8 2.3 6.2 물가 수준 및 정부 재정 1987 1997 2006 2007 물가 수준 (% change) 소비자물가 13.2 4.1 5.1 0.9 국내총생산 디플레이터(GDP deflator) -2.4 3.7 3.9 2.0 국내총생산 대비 정부재정 비율(% of GDP, includes current grants) 국내총생산 대비 정부수입 비율 18.4 11.3 47.6 20.0 국내총생산 대비 재정 비율 4.7 1.5 40.4 12.8 국내총생산 대비 재정 흑자(적자) 비율 -13.0 -3.9 37.5 8.8
  • 15. - 9 - 무역 (단위: 미화 백만불) 1987 1997 2006 2007 총수출 (FOB 가격) 1,729 1,816 3,696 4,049 원유 및 정제유 843 743 1,880 2,053 코코아, 버터, 케이크 291 245 259 249 제조업 상품 230 291 424 560 총수입 (CIF 가격) 1,853 1,347 2,910 3,012 곡류 133 155 320 358 연료․에너지 16 136 46 44 자본재 580 399 440 445 수출가격지수(2000년 수출가격 = 100) 59 104 114 115 수입가격지수(2000년 수입가격 = 100) 45 96 111 112 교역조건 (2000년 교역조건 = 100) 132 109 103 103 경상수지 (단위: 미화 백만불) 1987 1997 2006 2007 상품․서비스 수출 2,054 2,306 5,053 5,524 상품․서비스 수입 2,538 2,041 4,935 5,752 무역수지 -484 265 118 -228 순수입 -159 -609 -251 -78 순경상이전(Net current transfers) 31 86 252 389 경상수지 -611 -258 119 83 순금융 (Net financing items) 1,137 400 528 845 순보유고 변화(Changes in net reserves) -525 -142 -646 -928 주: 외환보유고 .. 10 1,653 2,726 전환율(Conversion rate)(DEC, local/US$) 318.8 541.1 522.8 479.2
  • 16. - 10 - 외채 및 해외지원 유입(RESOURCE FLOWS) (단위: 미화 백만불) 1987 1997 2006 2007 총외채 4,564 10,402 3,171 .. 세계은행(IBRD) 528 402 46 40 국제개발공사(IDA) 239 609 170 198 총서비스채무(Total debt service) 649 506 519 .. 세계은행(IBRD) 68 110 43 7 국제개발공사(IDA) 3 10 13 2 해외지원 유입 구성(Composition of net resource flows) 공적 무상공여(Official grants) 50 139 2,751 .. 공적 금융(Official creditors) 131 22 -88 .. 민간 금융(Private creditors) -17 -25 -122 .. 해외직접투자(순유입) 116 78 309 .. 세계은행 지원프로그램 세계은행측 공약(Commitments) 20 25 0 227 세계은행측 지출(Disbursements) 80 126 29 20 원본 변제(Principal repayments) 30 79 47 5 순유입(Net flows) 50 47 -18 14 이자 지급(Interest payments) 42 40 9 4 순이전(Net transfers) 8 7 -27 11
  • 17. - 11 - Ⅱ. 약 사
  • 18.
  • 19. - 13 - Ⅱ. 약 사 1. 초기 역사 o 현재의 카메룬 영토에는 신석기시대부터 인간의 정착이 이루어졌으며, Fulani, Hausa, Fang, Kanuri족 등 여러 민족에 의한 침략과 이주가 이 루어져 왔음. o 기원후(AD) 500년 경에는 차드호 주변에서 Sao 문화가 발흥하였으며, 이후 잘 알려지지 않은 제국 가운데 하나인 Kanem 제국, 그리고 이를 계승한 Bornu 제국 등이 이 지역을 통치함. o 유럽인들과의 접촉은 1472년 시작됨. 1472년 포르투갈 선원들이 Wouri 강 유역에 도착하였으며, 곧 대대적인 노예무역이 시작되어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등의 국가에 의해 계속되었음. - 이들은 Wouri강에서 새우떼가 많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강 이름을 Rio dos Camarões (River of Prawns: 새우의 강)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여기서 Cameroon이라는 국명이 기원함. o 이후 수세기 동안 유럽인들은 정기적으로 해안지역 주민들과 무역(주 로 야자유와 상아 거래)을 하였으며, 선교사들의 내륙진출이 본격적으 로 이루어졌음. o 19세기초 Modibo Adama가 북부지역에서 Fulani 군인들을 이끌고 비이 슬람교도 등에 대항하여 이슬람성전(Jihad)을 치른 후 Adamawa 제국을 세웠음. o 영국은 19세기초 해안지역에 대한 상업적 주도권을 장악하였으며, 이 지역에 영국의 무역 및 선교활동 거점이 1850년대 형성됨.
  • 20. - 14 - 2. 독일 보호령 및 영국․프랑스의 위임(신탁) 통치 시대 o 1884년 독일은 Wuori강 유역의 Douala 주민들과 조약을 체결하여 그 지역을 자신들의 보호령이라고 주장하고 영국을 축출함. o 독일은 Douala항을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내륙지역으로의 진출을 본 격화하여 농장을 개발하고 도로와 교량을 건설함. 독일은 1911년 모로 코에서의 독일의 권리를 포기하는 대신 프랑스로부터 카메룬 내 영토 를 추가 확보하였으며, 2년 후 북부 이슬람교도 지역에 대한 독일의 관할권이 강화되었음. 1차대전 기간 동안 이 지역은 프랑스와 영국군 이 점령함. o 1911년 독일에 할양되었던 지역은 1차대전후 프랑스가 차지하여 프랑 스령 적도아프리카(French Equatorial Africa)의 일부가 되었음. o 여타 지역은 프랑스와 영국지역으로 분할된 후 국제연맹의 위임통치 령이 되었으며, 양 지역 모두 2차대전 중 연합국측에 가담하였음. 1946년 카메룬에 대한 국제연맹의 위임통치는 국제연합의 신탁통치로 변경되었음. o 1950년대 민족주의 세력이 대두함에 따라 독립 문제는 프랑스령 Cameroun의 가장 시급한 문제였으며, 영국령 Cameroon에서는 프랑스 령 Cameroun과 통합할 것인지, 아니면 나이지리아의 일부로 흡수될 것인지가 가장 큰 문제였음. o 1955.7.13. 프랑스가 가장 극렬한 정치세력으로서 카메룬의 즉각적인 독립과 영국령 Cameroon과의 연합을 주장해 온 카메룬인민연맹(Union des Populations du Cameroun: UPC)를 불법화한 결과, 프랑스 식민정부 에 대한 비정규전(게릴라전)이 촉발되었으며, UPC 지도자 Ruben Um Nyobé가 암살됨. o 프랑스는 1957년 프랑스령 카메룬에 자치정부 구성을, 1959년에는 내 부적인 자치를 허용하였음.
  • 21. - 15 - 3. 독립 이후 Ahmadou Ahidjo 대통령 시대 o 1960.1.1 프랑스령 Cameroun은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여 Ahmadou Ahidjo를 초대 대통령으로 한 카메룬공화국(Republic of Cameroon)을 수립하였음. o 영국령 Cameroon은 북부와 남부로 분열됨. 1961년초 UN 후원 하에 실 시된 국민투표에서 북부지역은 나이지리아에 합류하기로 결정하였으 며, 남부지역은 프랑스에서 독립한 카메룬공화국과 통합하여 연방공화 국(Federal Republic of Cameroon)을 구성하고, 2명의 총리와 의회를 두 되 단일 대통령 체제를 수립하기로 결정하고 Ahmadou Ahidjo가 초대 대통령으로 됨. o 1966년 동․서 카메룬의 주요 정당들이 카메룬국민연합(Cameroon National Union: CNU)으로 통합됨. o 1972년 카메룬은 헌법을 개정하여 연방을 폐지하고 단일국가 체제를 수립하면서 국명을 카메룬연합공화국(United Republic of Cameroon)으 로 변경함. o 카메룬은 대통령중심제를 유지하였으나, 여전히 단일정당제였음. o 1982.11.4. Ahidjo 대통령은 22년간 행사해 왔던 권력을 당시 헌법상 대통령 유고시 권력승계자(총리)의 지위에 있던 Paul Biya에게 물려주 고 대통령직에서 사퇴함. 4. Paul Biya 대통령 통치 1기 o Ahidjo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집권당이면서 카메룬의 유일한 정당인 카메룬국민연맹(CNU: Cameroon National Union) 당수직을 유지 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였으나, Paul Biya 세력은 Ahidjo를 CNU 당수에서 물러나게 하여 권력을 완전 장악함. Ahidjo는 북부 출신 이 슬람교도였으며, Biya는 남부 출신 기독교도로서 출신 배경과 권력 기 반이 상이하였음.
  • 22. - 16 - o 1983년 Ahidjo는 Paul Biya에 대한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감에 따라 프 랑스로 도주함. o 1984.1.14. 대통령에 재취임한 Paul Biya 대통령은 같은 해 북부 이슬람 교도 장교들이 시도한 또 한 번의 쿠데타를 분쇄하였으며, 이로 인해 50여명의 군 장교들이 처형됨. 이후 대통령은 국방부를 대통령실 산하 에 둠으로써 군대를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음. o 1985년 집권당이자 유일정당인 CNU는 카메룬국민민주운동(CPDM: Camero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불어명 RDPC)으로 당명을 변경함. o 1986년 정치범들이 석방되었으며, 1987년 Biya 대통령은 공공분야를 포함한 경제개혁 조치를 단행하였음. (1988.4.24. 대통령 취임) o 1990년 변호사, 교사, 학생들이 주동이 된 민주주의 개혁을 요구하는 다수의 시위와 파업으로 인해 시위자 6명이 사망하였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Biya 대통령은 단일정당제를 포기하고 다수정당제를 승인함. 5. Paul Biya 대통령 통치 2기: 다당제 시대 o 1992.10월 실시된 최초의 민주선거에서 Biya는 대통령에 선출되었으나, 동 선거에서 대대적으로 부정선거가 자행되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국민들의 격렬한 항의가 뒤따랐음. o 1990년대부터 IMF와 World Bank가 카메룬 경제 활성화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개시하였으나 신통한 결과를 가져오지 못했으며, 국영기업 민영화도 부진했음. 과거 영국령 카메룬 지역의 영어사용 주민들은 자 치 및 연방제로의 복귀를 추구해 왔음. o 1990년대 석유가 많이 부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기니만 Bakassi 반도의 영유권을 둘러싼 나이지리아와 카메룬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 으며, 1994년과 1996년에는 양국간 무력충돌이 있었음.
  • 23. - 17 - o 1997년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Biya 대통령은 재선되었으나, Biya 측이 정부에서 독립된 기관이 선거를 관장토록 하자는 야당측 요구를 거부함에 따라 3개 주요 야당은 동 대통령 선거를 보이코트하였음. o 2002년 국제사법재판소(ICJ)는 판결을 통해 Bakassi 반도와 차드호 주 변지역에 대한 카메룬의 영유권을 인정함. 2006년 8월 카메룬-나이지 리아간 협정 체결로 Bakassi 반도를 카메룬에 이양하기 위한 절차가 개시되었으며, 2년간 과도기간을 거쳐 2008.8월 이양이 완료됨. o 2004년 실시된 대통령선거에서 Biya 대통령은 75%의 지지를 얻어 대 통령에 당선됨. 다수의 외국 선거감시단은 대통령선거가 민주적이었다 고 했으나, 언론인들은 정부가 투표율이 79%라고 주장했음에도 불구 하고 실제 투표자는 굉장히 적었다고 함. 야당 정치인들과 다수의 카 메룬 국민들은 정부가 투표결과를 조작했다고 주장함. o 2007년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정부 여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 지했으나 정부․여당이 부정선거를 획책했다는 비난을 받았음. o 2008년 2월 유가 인상과 Biya 대통령이 헌법의 대통령 연임제한 조항 을 개정하여 계속적인 집권을 모색하려고 한다는 소식으로 Yaounde, Douala 및 다수의 도시에서 택시운전사들의 시위에 일반 시민들이 합 류한 대규모 소요사태가 발생함. o 2008.4월 국회는 대통령 연임제한을 철폐하는 헌법개정안을 의결함.
  • 24.
  • 25. - 19 - Ⅲ. 정 치
  • 26.
  • 27. - 21 - Ⅲ. 정 치 1. 정치제도 가. 헌 법 (1) 헌법 개요 o 1960.1.1. 프랑스령 카메룬의 독립과 동시에 발효된 카메룬헌법은 최근까지 수차례 개정되었으며, 대통령에게 국가권력이 집중된 권위주의적 정치체제를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 (2) 카메룬헌법 제정 및 개정 요지 o 1960년 제헌 - 1960.1.1. 독립을 앞두고 1959년말 급히 성안되었으며 대통령 의 권한 등 통치구조의 많은 조항을 프랑스 헌법을 모방하여 제정 - 국민의 보통선거로 선출되는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국 회를 가진 단일국가 지향 o 1961년 헌법 개정 - 영국령 카메룬과 합병, 국명을 카메룬연방공화국(Federal Republic of Cameroon)으로 개칭 - 동․서 카메룬은 각각 별도의 총리와 국회를 보유 - 강력한 연방정부를 수립하고 대통령은 부통령, 내각 및 50명 정원의 연방의회의 도움을 받아 연방을 통치 - 대통령은 프랑스어권 출신, 부통령은 영어권 출신 가운데 선출 o 1972년 헌법 개정 - 연방제를 폐지하여 단일공화국으로 하고, 국명을 카메룬연합
  • 28. - 22 - 공화국(United Republic of Cameroon)으로 개칭 - 대통령에게 더욱 광범위한 권한을 부여 - 종전의 의회제도(동․서 카메룬별 의회 및 연방의회 병존)를 폐 지하고, 120명 정원의 단원제 국회(National Assembly)를 신설 - 대통령직 계승자를 국회의장으로 지정 o 1975년 헌법 개정 - 총리직 신설 o 1979년 헌법 개정 - 대통령 유고시 대통령직 승계자를 총리로 지정 (이 조항에 따라 1982년 Paul Biya가 Ahmadou Ahidjo 대통령 으로부터 대통령직 승계) o 1984년 헌법 개정 - 1982년 Paul Biya 대통령의 취임후 전임 Ahidjo 대통령과의 권 력투쟁에서 승리한 결과를 반영 - 국명을 카메룬공화국(Republic of Cameroon)으로 개칭 - 총리직을 폐지하고 대통령직 승계자를 국회의장으로 지정하면 서 비상시에는 대통령이 내각 구성원 누구에게나 대통령 권한 을 위임할 수 있도록 규정 o 1996년 헌법 개정 - 1990년대 카메룬 정치의 자유화 이후 영어권 국민들의 연방제 도 부활 요구에 대한 Biya 대통령의 대응 조치 - 국회에 상원(Senate)을 두고 대통령의 임기를 7년으로 연장 - 상원의장을 대통령직 승계자로 지정 - 도(Province)를 어느 정도의 자치가 허용되는 지역(semi-autonomous "Region")으로 변경 * 그러나, 상원 신설 및 지방의 반자치지역으로의 변경은 현 재까지도 실현되지 않고 있음.
  • 29. - 23 - o 2008년 헌법 개정 - 대통령이 직무상 한 행위에 대해서는 퇴임후에도 기소되지 않 도록 하는 평생면책특권 부여 - 대통령이 무제한 재선될 수 있도록 중임제한 조항 철폐 나. 정치체제 o 헌법상 대통령이 국정전반에 대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보장된 강력한 대통령중심제의 정치제제이며, 행정부와 입법부가 권력을 양분하는 2권분립제를 채택하고 있음. o 입법권은 행정부와 국회(National Assembly)가 공동으로 보유하며, 행정권은 총리를 수반으로 하는 내각에 의해 행사되는 반면, 사법 권은 행정부(법무부)에 부속되어 사법부 독립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음. 다. 대통령 (1) 대통령의 권한 o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가정책을 결정하고 정부조직을 관리하 며, 군대를 통수하고 조약을 교섭․비준하며, 국가비상사태를 선포 하고 국회를 해산할 수 있는 등 광범위한 권력을 가짐. o 대통령은 총리를 포함한 각 부처 장관 등 내각 구성원과 법관, 장군, 도지사, 군수, 경찰서장, 국영기업사장을 임명, 해임하고, 법령을 승인 또는 거부하는 등의 권한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국회와 협의하지 않음. o 대통령이 잠정적으로 자신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는 총 리에게, 총리가 없을 때에는 내각 구성원에게 대통령의 권한 가 운데 시급한 사항을 처리하도록 위임할 수 있음.
  • 30. - 24 - (2) 대통령의 선출 o 카메룬은 1960년 독립 이후 1990년대초까지 단일정당제를 유지 해 왔으며, 대통령도 국민이 직접 선출하지 않고 단일정당이 추 대해 왔음. - 초대 Ahmadou Ahidjo 대통령은 1960년부터 1982년까지 22년 간, 1982년 Ahidjo 대통령으로부터 대통령직을 승계한 Paul Biya 대통령은 1992년까지 10년간 단일정당의 추대에 의해 대 통령에 취임 o 대통령을 국민이 직접 선출하게 된 것은 1992년부터이며, 이후 1997년, 2004년 대통령 선거가 실시됨. - 1992년에는 대통령 임기가 5년이었으나, 1997년 개헌으로 대 통령 임기를 7년으로 연장 * 최근 대통령 선거 결과 (2004.10.11.) 입후보자 (소속정당) 득표수 득표율(%) Paul Biya (Camerr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RDPC) 2,665,359 70.92 Ni John Fru Ndi (Social Democratic Front: SDF) 654,066 17.40 Adamou Ndam Njoya (Cameroon Democratic Union: UDC) 168,318 4.48 Garga Haman Adji (Alliance for Democracy and Development: ADD) 140,372 3.74 12 Others 130,106 3.46 Total (투표율: 82.2%) 3,758,221 100.00 라. 행정부 o 행정권은 총리를 수반으로 하고 각부 장관으로 구성된 내각에 의해 행사되며, 각부 장관은 총리의 추천에 의해 대통령이 임명함. o 내각 구성에 대한 국회 동의는 필요하지 않으며, 각 부처장관은 국 회의원, 지방․지역정부 또는 의회 의장, 직역별 협회 회장 등을 겸 직할 수 없고, 기타 고용 또는 직업 활동에 종사할 수 없음.
  • 31. - 25 - □ 내각 명단 Prime Minister Ephraim INONI Deputy Prime Minister & Min. of Justice Ahmadou ALI Deputy Prime Minister & Min. of Agriculture & Rural Development Jean NKUETE Secretary General of the Presidency Laurent ESSO Min. of Commerce Luc Magloire MBARGA ATANGANA Min. of Communication Jean Pierre Biyiti Bi ESSAM Min. of Culture Ama Tutu MUNA Min. of Defense Rémy Zé MEKA Min. of Economy, Planning, & Regional Development Louis Paul MOTAZE Min. of Employment & Professional & Technical Training Zacharie PÉRÉVET Min. of Energy & Water Resources Jean-Bernard SINDEU Min. of Environment & Nature Protection Pierre HÉLÉ Min. of External Relations Henri Eyebe AYISSI Min. of Finance Lazare Essimi MENYE Min. of Forestry & Wildlife Elvis NGOLLE NGOLLE Min. of Higher Education Jacques Fame NDONGO Min. of Industry, Mines, & Technological Development Badel Ndanga NDINGA Min. of Labor & Social Security Robert NKILI Min. of Lands & Titles Anong Adibime PASCAL Min. of Livestock & Fisheries Aboubakary SARKI Min. of Post & Telecommunications Maigari BELLO BOUBA Min. of Primary Education Haman ADAMA Min. of Public Health André Mama FOUDA Min. of Public Service & Admin. Reform Emmanuel BONDÉ Min. of Public Works Bernard Messengue AVOM Min. of Scientific Research & Innovation Madeleine TCHUENTÉ Min. of Secondary Education Louis BAPÈS BAPÈS Min. of Social Affairs Catherine Bakang MBOCK Min. of Sports & Physical Education Augustin EDZOA Min. of Territorial Admin. & Decentralization Hamidou Yaya MARAFA Min. of Tourism Baba HAMADOU Min. of Transport Haounaye GOUNOKO Min. of Urban Development & Housing Colbert TCHATAT Min. of Small & Medium-sized Enterprises, Social Economy & Handicrafts Laurent ETOUNDI NGOA Min. of Women & Family Protection Suzanne BOMBACK Min. of Youth Adoum GAROUA Min. in Charge of Special Duties at the Presidency Paul Nji ATANGA Min. in Charge of Special Duties at the Presidency Victor MENGOT Min. in Charge of Special Duties at the Presidency Hamadou MUSTAPHA Governor, Central Bank Philibert ANDZEMBE Ambassador to the US Jerome MENDOUGA Permanent Representative to the UN, New York Michel Tommo MONTHE
  • 32. - 26 - * 카메룬 정부의 부처 수는 34개로서 국가규모에 비해 과다한 수준이며, 부처별 관장업무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음. 예컨대 교육부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들이 1개 부처를 유지하고 있는 데 비해, 카메룬은 기초 교육부, 중등교육부, 고등․평생교육부 등 3개 부처를 유지하고 있음. - 이는 엄청난 행정낭비를 초래하고 있어 행정개혁의 필요성이 크나, 정치적 이유(국내 대표적 부족별로 각료직을 배분하여 정치적 균 형 유지)로 인해 개혁 작업 추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마. 의 회 (1) 구 성 o 국회는 헌법상 양원제이나, 현재까지 상원이 구성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단원제로 운영되고 있음. - 1996년 개정 헌법은 10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을 설치하 되, 100명의 상원의원 가운데 ⅓을 대통령이 임명하며, 나머지 는 간접선거로 선출하도록 규정 o 국회의 의석수는 180석이며, 의원의 임기는 5년임. o 국회는 1년에 3차례(3/4월, 6/7월, 11/12월) 각 30일 회기의 정기 회의를 개의하며, 대통령이 요구하거나 재적의원 ⅓이 찬성할 경우 15일 기한의 특별회의를 개의할 수 있음. (2) 선 거 o 전국은 49개 선거구로 나누어져 있으며, 선거구별 인구에 따라 1 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소선거구에서부터 2명 이상의 의원을 선 출하는 중․대선거구로 구분됨. o 투표는 정당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20세 이상의 국민에 의해 직접․비밀투표가 실시됨. o 선거구별 의원 당선은 특정 선거구에서 각 정당이 획득한 득표 에 따라 정당별 명부에서 정한 순서에 의거 결정됨.
  • 33. - 27 - (3) 주요권한 o 입법권과 행정부 감독권이 주요권한으로서 국회는 법률안 및 정 부의 예산안을 심의함. o 법률안은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되며, 대통령이 재의 를 요구한 법률안은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받을 경우 가결됨. o 주재국 국회는 독립 이후 정권교체 없이 집권여당이 장악하고 있어 대통령이 제안한 법률안을 수정․거부한 예가 없으며, 정부 견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 (4) 국회의장단 o 국회의장 (President of the National Assembly): - Djibril Cavayé Yeguie (RDPC) o 부의장 : 6명 (여당 5명, 제1야당 1명) - Etong Hilarion (RDPC) - Baoro Théophile (RDPC) - Abunaw Rose Makia (RDPC) - Mbah Ndam Joseph Njang (SDF) - Danata Paul (RDPC) - Wa Mathurin (RDPC) 바. 지방 행정 (1) 개 관 o 1996년 개정된 카메룬 헌법은 전국을 어느 정도 자치가 보장되 는 10개의 지역(Region)으로 나누고, 각 지역의회의 행정 하에 두도록 규정하고 있음. o 그러나, 실제로는 1996년 헌법 개정 이전의 체제가 계속 유지되 고 있으며, 대통령이 임명하는 도지사(Governor)가 행정을 담당하 는 10개의 도(Province)로 나누어져 있음.
  • 34. - 28 - o 도지사는 대통령의 뜻을 이행하고, 각 도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사정을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공무원을 관리하고 평화를 유지하 며, 산하 행정조직 장에 대한 감독을 임무로 하고 있음. o 2008.11.12. Paul Biya 대통령은 도(Province)를 지역(Region)으로 변경하고, 최소 행정단위인 구역(district)을 폐지하는 내용의 대 통령령을 발표함. - 카메룬 일부언론은 지역(Region)의 지방의회 의장을 주민투표 로 선출하지 않고 여전히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함으로써 진정 한 지방자치와는 거리가 먼 형식적인 조치라고 비난 (2) 구 성 o 10개 지역(Region)은 58개 군(Division, département)으로, 군은 다 시 300개의 면(Sub-division, arrondissement)으로 나누어지며, 종래 최소 행정단위였던 구역(District)은 ‘08.11월 대통령령으로 폐지되 게 되었음. - 지역을 관할하는 도지사(Governor, gouverneur) 뿐 아니라 군수 (Divisional Officer, prefet), 면장(Assistant Divisional Officer, sous-prefet), 구역(District)의 장(chef de district) 등 모든 지방자 치단체장은 대통령이 임명함. o 최북단에 위치한 도는 Far North(Extrême Nord), North (Nord), Adamawa(Adamaoua)이며, 그 아래 위치한 도는 Center(Centre), East(Est)임. 남부 도(South, Sud)는 기니만 연안의 남부국경 사이 에 위치하고 있음. 카메룬의 서부 지역에는 4개의 도가 있으며, Littoral(Littoral), Southwest(Sud-Ouest)은 해안에, Northwest (Nord-Ouest)와 West(Ouest)는 서부 초원에 위치하고 있음. Northwest와 Southwest는 영국령이었고, 여타 지역은 프랑스령이 었음. 사. 사법부 o 카메룬의 법률제도는 대체로 프랑스계 대륙법(civil law)에 기반을
  • 35. - 29 - 두고 영미법(common law)의 영향을 받았음. 헌법에는 사법부의 독 립을 보장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대통령이 판사들을 임 명하고 법원이 행정부(법무부) 관할하에 있기 때문에 사법부 독립 은 보장되지 않고 있음. o 법원은 1심법원(Tribunal), 항소법원(Court of Appeal), 대법원(Supreme Court)로 구성됨. o 한편, 국회는 반역죄 또는 국가안보위해 혐의를 받는 정부 고위공 무원을 재판할 특별법원(High Court of Justice) 판사 9명을 선출함. o 카메룬 헌법(제46조-제52조)은 법률, 조약 및 국제협정의 위헌여부 를 심사하고, 선거 및 국민투표 결과의 적법성을 판단하며, 행정기 관간 권한쟁의를 관장하는 헌법위원회(Constitutional Council)에 관해 규정함. - 헌법위원회에 대한 상기 사안 부의는 대통령, 국회의장, 국회의 원 재적 ⅓의 찬성으로, 또한 지방의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에 대 해서는 지방정부의 장이 할 수 있음. - 11명의 헌법위원회 위원(임기 5년) 가운데 헌법위원회 위원장을 포함한 3인은 대통령이, 3인은 하원의장이, 3인은 상원의장이, 2 명은 고위사법위원회(Higher Judicial Council)가 추천하는 인사를 대통령이 임명함. * 헌법위원회 관련 규정은 상원 설치 규정과 같이 아직 시행되 지 않고 있음. 아. 정 당 (1) 특 징 o 1960년 독립 후 1990년 다당제가 도입되기 이전까지 카메룬은 Ahmadou Ahidjo 초대 대통령이 창당한 Cameroon National Union(CNU) 단일정당 체제를 유지해 왔음. o 1992년 다당제가 허용된 직후에는 제1야당 사회민주전선(Social Democratic Front: SDF)의 당수가 대통령 선거에서 Paul Biya 대
  • 36. - 30 - 통령과 거의 대등한 득표율을 기록하는 등 정권교체 가능성도 대두되었으나, 정부 여당의 야당 와해공작과 야당의 자체분열 등으로 야당의 정치적 위상은 계속 약화되어 왔음. (2) 주요 정당 o 카메룬국민민주운동(CPDM: Camero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RDPC: Rassemblement démocratique du Peuple Camerounais) - 1960년 독립 이후 유일 정당이었던 Cameroon National Union (CNU)를 계승한 집권여당으로서 카메룬 정국을 주도하고 있 으며, 1985년 현재의 명칭으로 당명 변경 - 다당제 허용 이후 최초로 실시된 1992년 총선에서는 180석 가 운데 88석을 획득하는데 그쳐, 8석을 얻은 MDR(Movement of the Defense of the Republic)과의 연정을 통해 과반수 의석을 겨우 확보하 예도 있었음. - 그러나, 최근 실시된 2007년 총선에서는 180석 가운데 153석 을 차지하는 압승(13석은 법원의 선거무효 판결) * 당수 : Paul Biya 대통령 * 중앙위 사무총장: René Emmanuel Sadi o 사회민주전선(SDF: Social Democratic Front; FSD: Front Social- Démocratique) - 1990년 다당제가 허용된 후 Bamenda 지역에서 창당한 카메룬 의 대표적인 야당으로서 카메룬 서부 영어권 주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음. - 사회주의 인터내셔널(SI: Socialist International)의 회원정당으로 서 사회주의 정강정책을 채택하고 있음. - 1992년 실시된 대통령선거에서 SDF의 Fru Ndi 후보는 투표자 36%의 지지를 받아 40%의 득표율을 기록한 Paul Biya 대통령 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였으나, 집권세력의 위협에 의한 선거부정에 의해 대선승리를 놓쳤다는 평가를 받음. - 1997년 총선에서 SDF는 43석의 의석을 얻었으며, 특히 지역기
  • 37. - 31 - 반인 Northwest Province에서는 총 20석 가운데 19석을 석권하 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둠. - SDF는 1997년 대통령 선거는 보이코트하였으며, 이후 Fru Ndi 당수가 2004년 대선에 재출마하였으나 17.4% 득표율로 Biya 대통령에게 크게 뒤떨어졌고, 2007년 총선에서도 SDF는 16석을 얻는데 그쳤음. - SDF는 2008년 4월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를 위한 헌법개정안 처리에 반대하여 국회 표결에 불참하였음. * 당수: John Fru Ndi o 민주주의와 전진을 위한 국민연맹 (NUDP: National Union for Democracy and Progress; UNDP: Union Nationale pour la Démocratie et le Progrès) - Paul Biya 대통령 집권 이후 프랑스에 망명중이던 Maigari Bello Bouba 전총리 주도로 1991년 3월 창당되었으며, 카메룬 북부를 지역 기반으로 하고 있는 이 정당은 Ahmadou Ahidjo 전임 대통령의 정치적 유산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음. - 창당 직후인 1992년 실시된 총선에서 집권여당(RDPC) 88석 에 이어 68석을 얻어 일약 원내 제2당으로 부상하였으나, 의 회에 진출한 MDR(Movement for the Defense of the Republic) 과 UPC(Union of the Peoples of Cameroon) 등 2개 야당이 모 두 RDPC와 제휴함으로써 원내 유일한 야당으로 잔류 - 그러나, UNDP는 1997년 총선에서 13석을 얻는데 그쳤으며, 같은 해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는 독립적인 선거감시 기구 부 재를 이유로 불참하였으나, Bello Bouba 당수가 대선후 정부 가 제의해 온 국무장관(Minister of State)직을 수락함으로써 사실상 여당과 제휴함. - UNDP는 2002년 총선에서는 단 1석만을 얻는 참패를 하였는 바, 당내 인사들은 참패의 원인이 Bello Bouba 당수의 정부 참여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여당과 결별하고 UNDP의 야당성 회복을 요구하였으나, Bello Bouba 당수는 이를 거부하고 정부에 잔류함.
  • 38. - 32 - - 2004년 대선에서 Bello Bouba 당수는 “정당은 정권의 획득을 위해 창당되지만, 자신의 경우 카메룬 평화와 계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Biya 대통령을 지지한다”면서 Biya 대통령 지지 를 선언하고 선거에 출마하지 않았음. - 2007년 총선에서 UNDP는 6석을 획득함. * 당수: Maigari Bello Bouba o 카메룬 민주연맹 (CDU: Cameroon Democratic Union: UDC: Union Démocratique du Cameroun) - Ahmadou Ahidjo 대통령 하에서 교육부장관을 역임한 Amadou Ndam Njoya가 창당함. - 1992년 총선시 선거감시기구 부재 등을 이유로 사회민주전선 (SDF)과 함께 총선 참여를 거부하였음. - 1997년 총선에서 UDC는 5석을 획득하였으며, 같은 해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는 SDF, UNDP과 함께 불참함. - 2002년 총선에서도 UDC는 5석을 획득하였으며, 2004년 실시 된 대선의 경우 Amadou Ndam Njoya 당수가 SDF의 John Fru Ndi 당수와의 야당후보 단일화에 실패후 출마한 결과 득표율 4.47%로 3위를 차지함. - 2007년 총선에서 UDC는 4석을 얻는데 그침. * 당수: Amadou Ndam Njoya o 진보운동(PM: Progressive Movement, MP: Mouvement Progressiste) - 1991.8.23. Jean-Jacques Ekindi가 창당 - Ekindi 당수는 1992년 MP의 대통령후보로 출마, 0.79%의 득표 율로 5위를 차지하였으며,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0.27%를 득표, 16명의 후보 가운데 13위를 차지함. - 2007년 총선에 출마한 Ekindi 당수는 Littoral Province의 Wouri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됨. * 당수: Jean-Jacques Ekindi
  • 39. - 33 - o 남부카메룬국민회의 (SCNC: Southern Cameroon National Council) - 영어사용권의 분리독립을 주장하는 정당으로서 아직 국회에는 진출하지 못하고 있음. - 당지도부내 권력투쟁으로 유권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음. (3) 정당별 의석 (2007.7.22. 및 2007.9.30. 총선 결과) 정 당 명 의석수 의석수 변동 Cameroon People's Democratic Movement (불어명 RDPC) 153 +4 Social Democratic Front (SDF) 16 -6 National Union for Democracy and Progress (불어명 UNDP) 6 +5 Cameroon Democratic Union (불어명 UDC) 4 -1 Progressive Movement (불어명 MP) 1 +1 계 180 2. 카메룬 정치 특성 o 카메룬은 대통령제 공화국임. Paul Biya 대통령은 1982년부터 대통령에 재임 중이며, 2008.4월 헌법개정으로 중임제한이 철폐되어 2011년 대 통령 선거에 다시 출마할 수 있게 되었음. o Biya 대통령에게 국가권력이 집중되어 왔음. 1996년 개정된 헌법으로 양원제 구성, 헌법위원회 설치, 지방의회 등을 규정하기 시작했으나, 현재도 이러한 조항은 시행되지 않고 있음. o 국회는 임기 5년인 18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의원은 5년마다 보통 선거로 선출되며, 1년에 3차례(3월, 6월, 11월) 개회됨. o 모든 중요한 행정권은 대통령에게 있으며, 대통령은 총리와 각료들을 임명, 해임함.
  • 40. - 34 - o 1960년부터 집권당 단일정당제를 유지해 왔던 카메룬은 1990년대초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저항과 경제난이 겹치자 1992년 다 당제를 도입하였음. o 그러나, 1982년 이래 정권을 잡고 있는 Paul Biya 대통령과 집권여당 (RDPC)은 자신들의 지지 기반을 프랑스어 사용지역 대부분으로 확장 해 나감으로써 권력 장악력을 계속 유지할 수 있었음. o 여당의 권력 장악․유지는, 종족 계열에 따라 분열되어 있어 Biya 대통 령의 통치에 대한 실제적 위협이 되지 못하고 있는 야당이 오히려 도 와주고 있는 형편임. 정부여당의 선거부정과 야당의 분열에 환멸을 느낀 유권자들의 정치 무관심이 심화되고 있음. o 1997년 헌법 개정시 대통령은 7년 임기로 재선만이 허용되어 있었으 나, 2008.4월 국회는 헌법을 재개정하여 대통령의 연임 제한을 철폐함 에 따라, 당초 2011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기로 되어 있던 Biya 대통 령이 다시 출마할 것인지, 아니면 후계자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줄 것인 지가 향후 카메룬 정국 향방을 좌우할 가장 큰 과제로 대두되고 있음. 3. 카메룬의 주요 정치인 가. Paul Biya o 1982년부터 집권해 온 Biya 대통령은 초연하고 카리스마 없는 대중 적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가 장 오랫동안 권력을 유지하고 있는 지도자 가운데 한 사람임. o 집권 초기 초대 대통령 Ahmadou Ahidjo 대통령 세력의 쿠데타 시 도 등으로 약간 흔들리기는 했으나, Biya 대통령은 종족 및 개인적 충성도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지지망을 구축함으로써 권력을 장악해 왔음. o Biya 대통령은 카메룬이 주변 국가들에 비해 정치, 경제적 안정을
  • 41. - 35 - 확보한 공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적인 국정운영에는 관심이 없고 외국에 장기체류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음. - 2008년 하반기에는 유엔총회, 프랑스어권 정상회의 참석 등을 이 유로 40일 이상 외유 o 2004년 재선되었으며, 2011년 동 임기가 만료되나, 작년 국회의 대 통령 중임 제한 철폐를 위한 헌법개정안 통과를 “지켜보겠다”고 결 의를 나타낸 것으로 미루어볼 때 2011년 이후에도 그의 통치를 연 장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됨. 나. John Fru Ndi o 카메룬에서 가장 극단적인 정치인 가운데 한사람인 Fru Ndi는 1990 년대 초반 한때 정치개혁 운동을 주도했던 제1야당 사회민주전선 (SDF)을 이끌고 있음. o Fru Ndi 당수는 다당제 허용 이후 최초로 실시된 1992년 대통령 선 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은 실제로는 동인 이 승리했다고 믿고 있음. o 최근 동인의 권위적인 지도 스타일이 공격받고 있으며, 당내에서 경쟁하는 파벌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 2004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단일후보로 지명되는데 실패한 후 야당 연합 에서 탈퇴하여 개별 후보로 출마하여 신뢰성이 크게 손상되었음. o Fru Ndi는 SDF에서는 여전히 강력한 지지를 얻고 있으나, 전국적인 정치무대에 있어서는 영향력이 계속 감소하고 있음. Fru Ndi는 2006.5월부터 당내 경쟁파벌 인사 피살 사건과 관련하여 재판을 받 았는 바, 정부의 영향하에 있는 법원이 2008년 10월, 예상을 뒤엎고 “유죄판결을 내릴 수 없다”고 판결함에 따라, Fru Ndi 당수를 포함 한 혐의자 22명이 모두 석방됨. 동인들이 유죄판결을 받았을 경우 정당으로서의 SDF의 생존 차체가 어려워졌을 것이나, Fru Ndi 당수 등의 석방으로 SDF는 다시 전열을 정비할 기회를 갖게 되었음.
  • 42. - 36 - 다. Adamou Ndam Njoya o 카메룬의 초대대통령 Ahmadou Ahidjo 통치(1960-1982) 당시 교육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정직하고 성실한 인물이라는 평판을 받은 Adamou Ndam Njoya는 카메룬 국회 제3당인 카메룬민주연맹(Union démocratique du Cameroun: UDC)을 이끌고 있음. o UDC는 총선시마다 Ndam Njoya과 Bamoum족의 마을인 West Province의 Noun Department에서 승리했음. o Ndam Njoya는 정부에 합류하라는 제의를 계속 거부함으로써 존경 을 받고 있으나, UDC의 영향력을 Noun 지역 이상으로 확장해 나 가지 못함으로써 지역적 인물로 전락함. 라. René Emmanuel Sadi o 소수 종족인 Yokos족 출신으로서 2007.4월 집권여당인 RDPC 사무 총장에 임명되었음. 외교관 출신으로서 수년간 Biya 대통령을 측근 에서 보좌해 왔으며, 현재 대통령실 사무차장이라는 영향력있는 직 위를 차지하고 있음. Sadi는 직위를 활용하여 여당 내에서 영향력을 늘려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Biya 대통령의 후계자 후보로 자주 거 론되고 있음. 마. Ephraim Inoni o South-West Province의 영어권 출신이며, 2004년 총리로 임명되기 전 까지 대통령실에서 10년간 사무차장으로 재직하였음. o 동인의 총리 임명은 총리를 영어권 출신 가운데 임명하는 관행에 따른 것이지만 Biya 대통령과의 친밀한 관계 및 오랜 행정경험에 비추어, Inoni 총리는 전임 총리들보다는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 이라는 기대를 받았음.
  • 43. - 37 - o 그러나, 대통령 전용기 도입을 둘러싼 부패 스캔들 연루 의혹으로 인해 그의 정치적 지위는 약화된 것으로 보임. 4. 최근 정세 가. 여당(RDPC)의 선거 승리 o 2007년 7월 실시된 총선과 시의회 선거에서 여당(RDPC)은 압승을 거둠으로써 국회에서 절대 다수 의석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시의회 에서도 우월적 지위를 굳혀가게 되었음. o 여당의 승리는 2006년 제1야당 SDF가 2개 진영으로 분열되어 SDF 에 대한 유권자들의 지지가 감소함에 따라 더욱 촉진되었음. 2007 년 총선의 투표율은 매우 저조하였으며, 법원은 선거부정으로 17석 의 선거 결과를 무효화했음. o 이에 따라 실시된 보궐선거에서는 RDPC가 13석을, SDF와 UNDP가 각 2석씩 차지함. o SDF는 선거무효를 주장했으나, 투표 관련 일부 불법행위가 있었다는 보도에도 불구하고 선거감시기구(Observatoire national des élections: ONEL)는 이번 선거가 자유롭고 공정하게 치러졌다고 발표함. 나. 생활조건 악화에 대한 대중의 좌절 o 2008년 2월 택시운전사들이 유가 인상에 반대하여 일으킨 파업은 카메룬의 주요 도시에서 폭동으로 비화되었음. 개인사업체를 약탈 하고, 정부 건물을 방화, 파괴한 폭도들은 대부분 불만에 찬 젊은이 들이었음. o 이 사건은 1990년대초 다당제 정치를 등장하게 했던 국민적 저항 이후 가장 심각한 사회적 불안을 노정하였으며, 군대 동원후 사태 가 진압되었음. 인권단체에 의하면 동 진압과정에서 100명 이상이
  • 44. - 38 -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o 정부는 야당이 폭동을 부추겼다고 비난했으나, 대부분의 평론가들 은 정치적 좌절감과 경제적 어려움에서 초래된 국민들의 분노가 진 정한 원인일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대중의 분노를 결정적으로 촉발한 계기는 집권여당(RDPC)이 헌 법상의 대통령 중임제한을 철폐하여 Biya 대통령의 재출마를 가 능하게 하려는 움직임이었음. 다. 대통령 중임제한 철폐 개헌안 통과 o 2008년 4월 집권여당이 장악한 국회는 대통령의 중임제한을 철폐하 는 헌법개정안을 의결함. 이에 따라, 대통령의 임기가 종료되는 2011년 이후, Biya 대통령이 다시 출마할 수 있게 되었음. o 또 하나의 헌법개정 사항은 대통령이 사퇴할 경우 모든 기소에서 면제된다고 하는 조항임. o 여당이 국회에서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헌법개정 안이 부결될 가능성은 애당초 거의 없었음. 여당은 헌법개정안이 국가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강변했으나, 동 개헌에 의해 Biya 정권이 계속될 경우 경제난 또한 계속될 것이라고 믿는 일부 국민들의 불만을 샀음. o 2008년의 개헌은 국민들의 정치염증을 더욱 조장하였으며, 집권당 인 RDPC내에서도 변화를 갈망하는 젊은 당원들의 기대와도 부합 하지 않는 것임. 집권당내 반란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당 내 신구 세대간 분열상이 더욱 커질 가능성은 있음. 라. 선거관리기구 설립 o 카메룬 정부는 외국 원조국의 압력에 따라 2000년 선거 감시 업무 를 수행하는 국가선거관리단(National Election Observatory: ONEL)을
  • 45. - 39 - 내무부(Ministry of Territorial Administration) 산하에 설립하였음. o 그러나 ONEL의 위원들 대부분이 여당인 RDPC 출신으로 신뢰를 받지 못하였음. 외국의 강한 압력에 따라 카메룬 국회는 2006.12월 ONEL을 대체할 새로운 선거관리기구(Elections Cameroon: Elecam)를 설립하는 법률을 입법함. o Elecam 설립법은 정부에게 2008.6월까지 동 위원들을 임명하도록 했으나, 국회는 동 시한을 2008.12월까지 6개월 더 연장함. o Elecam 위원 12명을 모두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한 법률 조항에 반 대하고 있는 야당은 상기 6개월 연장 조치를 정부가 진정으로 독립 적인 선거관리기관을 설립할 정치적 의지가 없는 증거라고 해석하 였음. o Paul Biya 대통령은 2008.12.30. Elecam 위원 12명을 임명하였음. 위 원중 9명이 정부․여당 출신이며, 3명은 당적은 없으나 친여 인사로 서 사실상 위원 전원이 Biya 대통령의 사람들로 구성되었음.
  • 46.
  • 47. - 41 - Ⅳ. 외 교
  • 48.
  • 49. - 43 - Ⅳ. 외 교 1. 대외정책 기조 가. 경제, 실리외교 정책 o 구 식민종주국 프랑스를 비롯한 서구와의 전통적인 정치, 경제 유 대 관계 강화 정책추진 o ‘90년대에 들어 지나친 대불 의존 탈피를 위한 외교 다변화를 모색, 미국, 영국, 독일 등과의 관계도 증진 o ‘95.11. 영연방 가입을 통해 영어권 국가들과의 정치∙경제 교류 강화 o 경제적 실리 측면에서 주요 원조국인 일본, 중국과의 관계 강화 나. 아프리카 역내관계 o 중서부 아프리카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며, 카메룬, 차드, 가봉,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공화국 등 6개국으로 구성된 중부아프 리카 경제통화공동체(CEMAC: Communauté économique et monétaire de l'Afrique centrale)에 주도적으로 참여 o 인접국인 나이지리아와는 94.2 국경 유전지대 Bakassi 반도에서 무 력충돌, 국경분쟁 등으로 관계가 불편하였으나 99.5월 나이지리아의 민선정부 출범 이후 관계 개선 o 2001.3월 프랑스-아프리카 정상회담 개최로 아프리카 내 불어권 국 가들과의 유대 강화 및 위상 제고
  • 50. - 44 - 2. 최근 대외관계 동향 가. 프랑스, 미국 등 서방 국가와의 원만한 관계 유지 o 프랑스는 카메룬과 방위협정을 체결하고 있고, 주요 무역상대국․원 조국이면서 최대 투자국이기도 함. 현재 카메룬에는 160개 이상의 프랑스계 회사가 활동하고 있음. o 미국은 이 지역의 유전지대에 관한 점증하는 전략적 이해관계와 카 메룬의 광물자원을 채굴하고 있는 미국 회사의 이익을 반영, 미국- 카메룬 관계도 더욱 강화되고 있음. 나. 나이지리아의 Bakassi 반도 이양 o 2008년 8월 나이지리아는 Bakassi 반도를 카메룬에 완전히 이양함으 로써 1993년 나이지리아 군대가 동 지역을 점령한 이래 양국 관계 를 악화시킨 분쟁을 평화적으로 종결함. o Bakassi 반도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풍부하게 부존되어 있으며, 주변 수역은 어류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o UN이 감독하는 공동위원회가 1,800km에 달하는 양국간 육상 국경 의 획정 작업을 진행중임. 양국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Bakass 반도의 악화일로에 있는 보안상황에 대처해 나가기 위 해 중요함. 다. 지역 문제에 대한 Biya 대통령의 소극적 자세 o 카메룬은 중앙아프리카경제통화공동체(CEMAC)의 주도적 회원국이 며, CEMAC GDP의 거의 반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카메 룬은 역내에서 정치적 역할을 수행할 의사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보임. Biya 대통령이 CEMAC 정상회의에 거의 참석하지 않는 등, CEMAC에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51. - 45 - o 그러나, 최근 CEMAC 일부 회원국의 정치적 불안이 심화되고 있어 카메룬 당국이 역내 협력 문제에 더욱 큰 관심을 갖도록 만들고 있음. 라. 난민 유입 증가 o 접경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과 차드의 불안정과 전쟁으로 카메룬에 유입되는 난민의 수가 급증하고 있어 카메룬에 큰 부담이 되고 있음. o UN 통계에 의하면 2008년 2월 차드에서 전투가 발생했을 때 적어 도 30,000명의 난민이 카메룬에 들어왔으며, 중앙아프리카의 안보상 황이 악화됨에 따라 최근 수년간 약 45,000명의 중앙아프리카인 난 민이 카메룬에 유입된 것으로 추산됨.
  • 52.
  • 53. - 47 - Ⅴ. 경 제
  • 54.
  • 55. - 49 - Ⅴ. 경 제 1. 개요 및 경제동향 가. 경제 개요 o 카메룬은 농업에 유리한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고 있고, 각종 광물, 석유․가스, 산림 등 천연자원도 풍부함. o 카메룬 경제는 농산물 및 천연자원 수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이 러한 1차 수출품의 국제가격 등락은 카메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 고 있음. o 카메룬의 경제개발은 정부의 관리 미숙, 부패의 만연 등과 같이 비 우호적 기업환경으로 인해 부진한 상태임. - 카메룬은 세계은행의 연례 국별 기업환경 조사 등에서 세계 최 하위 국가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그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정부의 부패 문제가 늘 지적되고 있음. o 최근 카메룬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2~3%로서 국민들의 기대에 크게 못 미치고 있으며, 유엔의 새천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를 달성하는데도 불충분함. o 카메룬은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가나, 세네갈 등 여타 아프리카 국가보다 높으나, 교육, 보건 등 주요 사회․경제지표에 있어서는 이 들 나라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음. o 카메룬 정부는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루어내겠다는 목표와 결의를 가지고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정부내 부패 척결 및 민간 기업의욕 제고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함.
  • 56. - 50 - 나. 경제 동향 o 카메룬은 독립후 25년여간 아프리카에서 가장 풍요로운 국가였음.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카메룬의 주요 수출품인 원유, 코 코아, 커피, 면화 등의 국제가격 폭락, 통화가치의 과대평가 문제, 경제관리 실패 등의 제 요인이 겹쳐 10년 이상의 장기 불황을 경험 하였음. 1986년부터 1994년까지의 기간 중 실질 GDP가 무려 60% 이상 감소하였으며, 반면 경상수지 적자, 재정 적자 및 대외부채는 크게 증가했음. o 이에 따라, 카메룬은 1980년대 후반부터 IMF와 세계은행의 지원을 받으면서 일련의 경제개혁 조치를 시행해야 했음. 이러한 조치들은 국민들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었으며, 1994년 1월에는 카메룬을 중심으로 한 CEMAC 국가들이 사용하는 세파프랑화(XAF) 가치가 50% 절하되었으며 1995년에는 공무원 봉급이 65% 삭감되는 일까 지 있었음. o 카메룬은 IMF의 기존 4개 지원프로그램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였 음. 2005년 10월 IMF가 승인한 3년 기한의 빈곤감소 및 성장프로그 램(Poverty Reduction and Growth Facility: PRGF)은 2008년말 종료되 었음. o 공식통계상 인플레는 잡혀가고 있으나(세계은행측 자료에 의하면 2008년은 2.9%로 예상), 카메룬 국민들은 곡가, 유가 등 생활물가 앙등에 좌절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민들의 불만이 2008년 2월 Douala, Yaoundé 등 대도시에서 일어났던 유혈폭동․소요사태의 주요 한 원인이 되었음. 2008년 3월 카메룬 정부는 기초생활용품 물가인 하를 위해 식품류에 대한 수입관세 인하 등의 조치를 취했음. o 정부가 추진해 온 국영기업의 민영화 역시 부진한 상태임. 종래 국 영수도회사(National Water Utility: SNEC)는 2개의 사업체로 분리되 어, 수도 인프라를 관장하는 CAMWATER는 아직 정부 소유로 남아 있으며, 동 부문을 제외한 SNEC는 현재 모로코수도회사(Moroccan
  • 57. - 51 - Water Utility)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의 소유임. 국영항공사 CAMAIR 및 국영통신회사 CAMTEL을 민영화하려는 계획은 이 분야의 정치 적 민감성과 외국 투자자들의 카메룬내 부패에 대한 우려 때문에 별다른 진전이 없었음. CAMTEL은 체신부 감독 하에 현재 영업을 계속하고 있으나, CAMAIR는 공식적으로 사망선고를 받고 2008년 5월 모든 취항을 중단했음. o 카메룬의 대외교역에 있어서 프랑스 등 유럽연합국가들이 전체수입 의 36.6%와 수출의 66.1%를 차지하고 있음. 여타 지역 주요 무역상 대국으로는 미국, 중국, 한국 등이 있으며, 특히 미국은 카메룬의 주요 투자국임(차드-카메룬 송유관 및 에너지 공급업체 AES Sonel 에 투자). 중국은 최근 카메룬 중․저가 공산품 시장을 석권해 나가 고 있으며, 또한 카메룬산 목재를 대량 수입해 감으로써 카메룬의 신흥 교역 상대국으로 급부상하고 있음. 2.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infrastructure) 현황 가. 개 요 o 카메룬의 사회기간시설은 매우 부족하여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뒷 받침하기 어려움. o 카메룬내 도로망은 대부분 비포장 상태로 느리고 위험하며, 특히 우기에는 통과 자체가 불가능한 곳이 많아 카메룬 안팎으로 상품 을 수송하는 데 엄청난 경제적, 시간적 비용부담을 초래하고 있음. o 카메룬의 상업중심지인 Douala는 중서부 아프리카의 주요 항구이며, Douala와 수도인 Yaoundé에는 국제항공사들이 취항하고 있어 외부 와 비교적 잘 연결되어 있음. 나. 철 도 o 카메룬의 철도망은 총 1,009㎞에 불과하나, 국내 화물운송에서 중추
  • 58. - 52 - 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철도는 또한 카메룬 북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및 차드와 연결되는 주요 교통수단임. 주요 노선은 Douala-Yaoundé, Yaoundé-Ngaoundéré, Douala- Mbanga- Nkongdamba 와 Otélé-Mbalmayo 간임. o 1999년 프랑스 기업 Bolloré와 남아공의 Comazar가 포함된 컨소시엄 이 20년간 카메룬 철도망 운영․관리권을 인수하여 현재 Camrail이라 는 명칭으로 운영하고 있음. 이후에 화물운송은 급증하였으나, 여객 운송은 아직도 부진한 상태임. 다. 항 공 o 카메룬에는 Douala, Yaoundé, Garoua 등 3개 국제공항을 포함하여 15개 공항이 있음. 공항의 운영은 민영화되어 있음. o Douala와 Yaoundé 공항에는 Air France, Swiss International Air, Brussels Airline, Air Maroc, Kenya Airline 등 항공사가 취항하여 유럽, 미국, 중동, 아시아 등으로의 연결이 원활한 편임. o 국적항공사 Cameroon Airline의 매각에 실패한 후 정부는 쌓여가는 적자 때문에 청산 절차를 밟았음. 2006년 10월 동 항공사의 자산을 인수하기 위해 새로운 회사 Camair가 설립되었으나 동 회사도 2008 년 5월 영업을 중단하였음. 라. 항 구 o 카메룬에는 4개의 항구가 있으며, 그 가운데 Douala항이 가장 중요 한 항구임. 두알라는 전체 항구 물동량의 95%에 달하는 연간 6백만 톤의 화물을 취급함. o Douala항에는 11개의 선석이 있으며, 창고와 화물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도 상당함. Douala는 카메룬 뿐만 아니라 내륙국가인 중앙아프 리카공화국 및 차드를 위한 물류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함. o Kienkém강 하구 대서양 해변에 위치한 Kribi항은 통나무와 코코아
  • 59. - 53 - 수출을 위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Kribi 심해항 건설 사업이 국책 사업으로 2009년 9월 개시될 예정임. Kribi 심해항 건설은 Mbalam 철광석 광상을 포함한 카메룬 남부의 대규모 광물 광상을 상업화하 는데 필수적임. o Limbé항은 Douala항의 처리용량을 초과하는 물량을 일부 처리하고 있음. Limbé항을 심해항으로 본격 개발하려는 계획은 Kribi 심해항을 우선적으로 개발한 이후 단계에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마. 도 로 o 철도망이 충분하게 정비되지 못한 카메룬에서 도로운송은 주요 육 상운송수단임. 카메룬의 도로망은 50,000㎞이며, 그 가운데 56%가 주요 간선도로로 분류됨. 그러나, 주요 간선도로중 불과 4,300㎞만이 포장되었으며, 나머지 도로의 경우에는 우기에는 통행하기 곤란함. o 열악한 도로 여건으로 교통사고가 빈발하며, 연간 2,500명 이상의 교통사고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음. 톨게이트에서의 합법․비합법적 통행료 징수는 심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운송비를 증가시키는 요 인이 되고 있음. o 열악한 도로 여건은 국가경쟁력을 저해하는 주요인으로 자주 거론 되고 있음. 최근 카메룬 정부는 외국의 개발 원조 지원을 받아 도 로망을 정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바. 에너지 o 카메룬 지방 소재 가구의 5%만이 전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목재와 숯이 카메룬의 주요 에너지원의 역할을 하고 있음. o 카메룬 국영 Société nationale de raffinage(SONARA)는 하루 42,000 배럴의 석유를 생산하나, 카메룬 원유의 진한 성분 때문에 대부분 의 원유를 나이지리아 또는 적도기니로부터 수입․사용하고 있음. o 카메룬은 수력발전 잠재력은 풍부하나 단지 1%의 수자원만이 개발․
  • 60. - 54 - 활용되고 있음. Sanaga강에 있는 384 메가와트급 Song Loulou 댐과 263 메가와트급 Edea 댐은 카메룬 전기 공급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 고 있음. Bénoué강 유역 Garoua 인근 Lagdo에 있는 소규모 수력시 설의 건설사업은 일부 중국정부의 자금 지원으로 1970년대 시행된 바 있음. o 2000년 국영전기회사 Société nationale d'éléctricité (SONEL)을 미국회 사 AES에 매각한 것은 전력분야 대량투자 유입을 촉진하였음. AES는 카메룬 전력사업에 2001-2007년간 총 1,500억 세파프랑(미화 3억5천만불 상당)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짐. 동 투자로 인해 11개 발전소의 전력 생산 능력이 927 메가와트로 증가하였으며, 송․배전 시설도 개선되었음. o 동 사는 연간 6%씩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Kribi 가스 발전소(150MW)와 Dibimaba 화력발전소(88MW)를 2010년 12월 완공 을 목표로 건설중이나, 동 완공후에도 카메룬의 전력수요를 모두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함. o 카메룬 정부는 전력공급 부족에 대응하여 카메룬의 수력발전 잠재 력을 활용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장기 계획을 입안하였음. 이 계획 은 Long Pangar, Nachtigal, Memve'ele 댐 등을 건설하자는 것임. o 이와 같은 수력발전댐의 건설은 카메룬에 풍부한 알루미늄 제련 시 설의 확장 등과 같이, 광업 및 산업 프로젝트의 개발․추진을 위해 중요함. 사. 통 신 o 국제통신연맹(ITU)에 의하면 카메룬에는 약 13만개의 유선 전화선이 운영되고 있음. 2002년 국영통신회사 Camtel은 Douala에서 말레이시아, 인도, 남아공, 중서부 아프리카 국가와 유럽을 연결하는 SAT3/ WASC/SAFE 광학섬유에 대한 접속점을 부여받았으며, 동 광학섬유 는 1,070㎞에 달하는 차드-카메룬 송유관을 따라서 부설되었음.
  • 61. - 55 - o 그러나, 불충분한 유선전화망과 Camtel의 열악한 서비스는 휴대폰 사용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휴대폰 사용자 수는 2001년의 471,000명 에서 2007년에는 약 450만명으로 10배 가량 대폭 증가하였음. o 카메룬의 이동통신시장은 남아공의 MTN사와 프랑스의 Orange사가 시장을 반분하고 있음. Camtel은 이동통신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중임. 3. 카메룬 기업진출 가이드 가. 경제 정세 일반 o 카메룬은 천혜의 농업환경 및 풍부한 천연자원으로 인해 아프리카 에서 자연조건이 가장 유리한 국가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음. o IMF 지원에 수반된 권고에 따라 카메룬 정부가 수행한 1997-2000간 경제구조조정 계획(ESAF)은 정부의 긴축재정, 공기업 민영화 등 경 제개혁의 진전과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호조 등에 따라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됨. o 국가 주요 산업인 바나나, 수자원, 전기, 고무 국영회사의 민영화와 1997년 1월 이후 추진한 차드 Doba 유전-카메룬 Kribi 항구간 송유 관 사업 등에 힘입어 국내 경기도 활성화됨. o 카메룬 정부는 선진국의 외채 탕감 또는 상환기간 연장, 민영화 정 책 지속 추진, 부패방지 등의 노력을 전개하고 있으나 지난 80년대 중반부터 장기간 누적되어 온 경제난을 극복하는 데에는 상당한 기 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됨. o 특히,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외국인 투자유치의 걸림돌이 되어 온 정부의 비능률적인 경제관리, 관료주의와 부패, 대외부채의 증가 등을 향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여부가 카메룬 경제․사회 발전의 관건임.
  • 62. - 56 - 나. 시장상황, 개발정책 및 전략 (1) 시장 상황 o GDP: 약 206억불(2007) o 1인당 국민소득: 1,097불(2007) o 1980-86년간 석유개발에 힘입어 호전되었던 경제상황이 1987년 이후 주요 1차 수출품(석유, 커피, 코코아)의 국제가격이 폭락하 면서 위기에 직면하였으나, 1994년초 채택된 경제개방 신전략 및 곧이어 단행된 세파프랑 평가절하 등에 힘입어 다소 회복되 었으며, 1997년 이후에는 매년 3-4%대의 GDP 경제성장률을 보 이고 있음. o 대외무역 추이 (단위: 백만불) ‘04 ‘05 ‘06 ‘07 수출(FOB) 2,708.4 2,932.9 3,696.8 4,049.9 수입(FOB) 2,406.3 2,735.0 3,150.5 3,760.0 □ 주요 수출입품(2007) - 수출: 원유(50.9%), 목재(12.1%), 코코아(7.1%), 면화(3.3%) - 수입: 광물 및 원재료(14.3%), 반가공품(15.0%) □ 주요 교역상대국(2007) - 수출: 스페인(20.1%), 이탈리아(16.0%), 프랑스(11.9%), 한국(8.6%), 네덜란드(6.2%), 미국(5.8%) * 우리나라는 2003년까지는 카메룬으로부터 수입이 거의 없었으 나 2004년부터 급증(2004년: 7.1%, 2005년: 8.1%, 2006년: 7.3%) - 수입: 프랑스(23.4%), 나이지리아(12.8%), 중국(9%), 벨기에(5.8%), 미국(4%)
  • 63. - 57 - (2) 개발정책 및 전략 o 카메룬은 경제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1988년 9월 IMF 및 세계은 행과의 협의하에 국영기업의 민영화작업 추진 시작 o 민영화 계획은 재무부장관 휘하의 부처간위원회(Comité Inter- ministeriel)의 공공기업개발단(Mission de Rehabilitation des Entreprises Publiques)에 의해 수행되고 있음. o 민영화 대상에 포함되었던 약 30여개 공기업 가운데 현재까지 카메룬 바나나회사, 전기공사(SONEL) 등 일부만이 민영화 완료 (3) 해외투자유치 시책 o 카메룬 정부는 산업자유지역 관리청을 창설하고 해외투자 유치 를 위해 투자 기업에 특혜를 부여하고 있음. o 재정적 혜택: 자유지역(Zone Franche)내 기업에 대해서는 개발 첫 10년 동안 업종에 관계없이 등록세 및 조세 면제 혜택을 제공함. o 통상, 관세분야 혜택: 수출, 수입은 당국의 허가나 쿼터 제한을 받지 않고 허용되며 관세면제의 혜택을 받음. o 노동법 분야 혜택: 산업자유지역(Zone Franche Industrielle)내의 기 업은 노동계약 체결시 사회보장기금(C.N.P.S: Caisse Nationale de Prévoyance Sociale) 부담금을 지불하지 않는 혜택을 누림. 다. 우리나라와의 경제․통상관계 (1) 교역 현황 o 개요: 원유수입에 따른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음. (단위: 천불) ‘03 ‘04 ‘05 '06 '07 ‘08 (1-10월) 수출 9,670 15,246 13,352 11,418 24,954 37,943 수입 55,570 269,491 323,897 425,816 520,185 228,622
  • 64. - 58 - o 수출 품목(2007) - 수출: 플라스틱, 기계류, 섬유제품, 전기기기 - 수입: 원유, 목재 라. 여타국 진출 현황 (1) 유럽국가 o 카메룬은 역사적으로 유럽, 특히 식민종주국이었던 프랑스와 깊 은 정치적․경제적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o 석유, 광업 분야 - Total(석유개발, 프랑스), ELF SEREFCA(석유개발, 프랑스), PECHINEY-UGINE KULMAN, BRGM, SOCATRAL (알루미늄, 프랑스), COGEFAR(채석장 개발, 프랑스) o 통신: LIEF-TEL(프랑스), ALCATEL(프랑스), SIEMENS(독일) o 자동차: RENAULT(프랑스), PEUGEOT(프랑스), BENZ(독일) o 항공분야: ASECNA(프랑스) (2) 일본 o Toyata, Mitsubishi, Nissan, Matsuda, Suzuki 등 자동차회사 진출이 활발하며 카메룬 자동차시장의 50%를 상회하는 점유율을 보이 고 있음. (3) 중국 o 국제회의장(Palais des Congrès), 병원, 스타디움 등을 건설해 주고 있음. 마. 부문별 진출 확대 방안 (1) 진출 유망업종 및 진출 방안 o 카메룬 정부의 천연자원 개발․수출을 활성화하기 위한 인프라 건
  • 65. - 59 - 설 추진 계획을 감안할 때 항만 및 도로 건설 분야 진출이 유망 시되며, 카메룬 국영 Camtel의 민영화 추진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가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정보․통신 분야 진출도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음. o 중소기업 진출 유망업종으로는 상기 정보․통신분야 관련 (저가형 내지 중고) 컴퓨터 조립․수리․유통업이 유망하며, 현지의 저임금 여건을 감안시 가발업, 신발제조업, 전구 및 형광등 제조업, 자동 차 정비업, 가구 제조업 등 진출을 상정해 볼 수 있음. (2) 진출방안 o 농업 - 카메룬의 농업은 노동인구의 49% 가량이 종사하며, 2008년 세 계은행 통계에 의하면 2007년 카메룬 GDP의 20% 가량을 생 산하고 있음. 주요 농산물로는 커피, 카카오, 담배, 바나나, 옥 수수, 사탕수수 등이 있음. - 카메룬의 비옥하면서도 저렴한 농지, 풍부한 저임의 노동력, 국내 쌀 수급의 불균형(연간 소비량 80만톤, 생산량 10만톤 가량, 70만톤을 수입에 의존) 등을 감안시 쌀농사 분야 기업 의 농업 진출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o 임업 - 산림이 2천만 헥타르에 달하며, 목재가 양질인 것으로 평가받 고 있으므로 목재 채취․수출 분야 진출도 검토 가능 o 수산업 - 카메룬의 연평균 어획고는 약 7만 5천톤에 달함. - 새우, 농어, 청어, 넙치 등 어종이 다양하고 풍부함. - 수산물 유통․가공업 진출을 검토 가능 o 제조업 - 카메룬의 제조업은 GDP의 30% 가량을 차지하고 있음. 주요업
  • 66. - 60 - 종으로는 식품업, 음료업, 의류업, 직물업, 신발업, 시멘트산업, 플라스틱 산업, 고무산업 등이 있음. - 카메룬(및 인접 CEMAC 회원국) 내수를 겨냥한 경공업형 제 조업 분야 진출을 검토 가능 o 통신업 - 국내 통신은 체신부가 ACTEL (Agence Commerciale des Telecommunications)을 통해 관리하고 있음. - 국제통신은 INTELCAM이 담당하고 있으며 동 회사는 프랑스 통신회사인 France Telecom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음. - 카메룬은 한국의 EDCF 자금에 의한 DDX 체제의 일부 도입 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음. (3) 성공사례 o 사진현상업 - 카메룬 국민의 사진 선호에 따라 지난 1980년대 중반~1990년 대 초까지 큰 호황을 누렸으며, 현재에도 20여개의 한국인 경 영 사진현상소가 있음. - 그러나, 세파프랑화의 평가절하, 한국인 업소에서 기술 습득후 독립한 현지인 업소와의 가격 인하 경쟁 등으로 현재에는 다 소 고전하고 있음.
  • 67. - 61 - (참고자료) 【 카메룬 에너지․자원 현황 】 1. 원유, 가스, 광물 자원 현황 및 진출 환경 가. 현황 1) 원유 및 천연가스 o 매장량 및 생산량 확인 매장량 생산량 원유 4억 배럴 86,800 barrel/day 천연가스 39 Tcf * 출처 : EIA 통계(2006년 기준) * EIU 2007 보고서 기준 : 원유 확인매장량(2.15억 배럴), 천연가스(1100억 큐빅미터) * 미 국무부 웹사이트 카메룬 국별정보에 의하면 카메룬의 석유매장량은 점차 고갈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기술 o 연도별 원유 생산량 및 수출량 연도 2003 2004 2005 2006 생산량(b/d) 67,200 66,300 82,700 86,800 수출량(b/d) 43,700 42,800 58,500 62,300 * 출처 : EIA 통계(2006년 기준) 2) 기타 주요 광물 종류 단위 2002 2003 2004 2005 2006 알루미늄(정련) 천톤 67.0 77.2 85.9 90.4 87.0 금 Kg 700 700 1,500 1,500 N.A * 출처 : WMS, World Metal Statistics Yearbook, 2007
  • 68. - 62 - 나. 개발 현황 1) 석유 o 석유 생산․수출은 주요 유전에서의 생산량 감소로 1990년대 후 반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으나, 최근 소형 유전의 개발과 한계 유전 지역의 재탐사를 통하여 생산량이 재증가 추세임. - 북부 Logone Birni, Rio del Rey 유전 지역을 중심으로 탐사 활 동이 활발히 진행중 o 석유 매장량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되는 카메룬 남부 바카시 (Bakassi) 반도를 2008년 나이지리아로부터 이양받음에 따라, 동 지역에 대한 개발이 향후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 - 2007년 바카시 반도내 광구 입찰이 있었으나, 별도의 성과없 이 종료 o 석유의 경우 그간 카메룬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90% 이상이 다국 적 석유메이저(프랑스계 Total 자회사인 Total E&P, 미국계 Shell 자회사인 Pecten)에 의해 주도되어 왔으며, 현재 유망 광구에 대 한 탐사도 다국적 석유메이저들이 주도하고 있는 상태임. - 카메룬 정부는 2003년 석유법을 개정하여 기존 한계 유전과 심해 유전에 대한 개발을 유도 2) 천연가스 o 천연가스는 확인매장량 1100억 큐빅미터중 700억 큐빅미터가 Rio del Rey 지역, 400억 큐빅미터가 Douala/Kribi-Campo 지역에 매장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카메룬 정부와 영국계 석유회사 (Bowleven) 등이 천연가스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 카메룬 정부는 향후 천연가스 개발을 통하여 자국 전력 수요 를 충당할 계획 o 카메룬 국영석유회사(SNH: Societe Nationale des Hydrocarbures)와 Perenco(Shell 자회사)간 2006년 생산물분배계약(PSA)이 체결되었 으며, 이에따라 남부 Sanaga 유전에서의 천연가스 개발이 추진중임.
  • 69. - 63 - - 또한 영국계 회사인 Bowleven은 Rio del Rey 및 Etinde 지역에 서 대규모 천연가스가 발견되었음을 발표 3) 기타 주요 광물 o 철광석의 경우 호주(Sundance Resource) 주도로 남동부 Mbalam 지역내 광산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는 바, 연 35백만톤 규모의 대자석(haematite) 생산을 목표로 관련 사업이 추진중임. o 또한 미국 회사인 Geovic 주도로 동부 Lomie 지역에서 2009년부 터 코발트(3,300 ton/year) 및 니켈(2,800 ton/year) 생산이 추진중 에 있음. 2. 우리 기업의 진출 현황 및 에너지․자원 투자 유망 분야 가. 우리 기업의 진출 현황 o 카메룬내 우리 교민은 150명 수준인 바, 에너지․자원 분야에서 우 리 기업의 진출은 현재 전무함. - 1990년대 대우건설 카메룬 법인이 활동하였으나, 현재 철수 - 대다수 교민들은 자영업과 영세 규모의 목재 수출업 등에 종사 - 최근 현지인과 우리 교민이 출자한 AFKO 시멘트 회사가 합작 법인 형태로 설립 o 최근 카메룬 광물자원 개발․수출을 목적으로 한․카메룬 합작 법 인의 설립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음. - C&K Mining 및 KOCAM 등 나. 에너지․자원 투자 유망 분야 o 석유 및 천연가스의 경우, Total, Shell 등 석유 메이저들이 Logone Birni, Rio del Rey 등 기존 광구 및 유망 광구에서 개발․생산을 주도하고 있음.
  • 70. - 64 - o 카메룬 정부가 적극 추진하고 있는 기니만 심해 광구의 탐사, 나이 지리아로부터 이양된 바카시 반도내 광구 개발은 초기 단계인 바, 동 개발에의 참여 가능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음. o 카메룬 유일의 정유소(정제능력 일당 42,000배럴, 국영 Société Nationale de Raffinage<SONARA> 운영)가 Limbe항에 위치하고 있는 바, 향후 Limbe항만 개발사업 참여를 아울러 검토할 필요가 있음. o 카메룬의 목재 수출은 2005년 기준 전체 수출의 13%를 차지(석유 수출에 이어 2번째 주요 수출품)하고 있는 바, 향후 우리 기업의 동 분야 진출 방안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 - 카메룬에서는 300여종의 상업적 가치가 있는 수종중 70여종만이 개발되고 있으며, 벌채권 대부분은 외국 회사 보유 - 개발된 수종중 ayous, sapele, azobe, iroko, frake 등 5개 수종이 70% 이상을 차지 - 벌채된 원목과 목재는 80% 이상 EU 지역으로 수출되고 있으나, 최근 아시아 지역으로의 수출도 증가 추세 3. 에너지․자원 관련 카메룬 정부의 정책 방향 가. 카메룬 정부의 에너지․자원 관련 정책 o 카메룬 정부는 2003년 석유법 개정을 통하여 유전 탐사 부문 인센 티브와 조세 혜택을 부여하는 등, 자국내 유전 개발에 있어서 외국 기업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음. - 주재국내 기존 주요 유전의 생산량 감소가 지속됨에 따라, 신규 유전 개발 목적으로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 적극적 o 천연가스 개발 관련, 향후 주요 전력원으로 천연가스를 개발할 계 획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상업적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임.
  • 71. - 65 - 나. 에너지․자원 분야 주요 정책 결정권자 및 주요 회사 o 에너지․자원 분야 주무 부처는 산업광산기술부(Ministry of Industry, Min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이며, 국영석유회사 (SNH: Societe Nationale des Hydrocarboures)가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 업무를 실무적으로 관장하고 있음. o 카메룬 정부에서 에너지․자원 관련 주요 정책 결정은 Paul Biya 대통령이 직접 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o 현재 카메룬에서 생산되는 석유의 90% 이상이 석유 메이져인 Total 과 Shell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만큼, 향후 유전 개발 및 에너 지․자원 관련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상기 석유 메이저들의 영 향력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다. 각국과의 협력 현황 o 석유 및 천연가스 개발․생산에 있어서는 Total, Shell 등 석유 메이 저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호주의 경우 철광석, 미국은 코발트 및 니켈 생산을 추진중임. o 최근 중국도 카메룬 유전 개발 가능성을 탐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광업과 임업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준비중인 것으로도 알 려지고 있음. 4. 진출시 고려사항 o 세계은행 및 EIU 보고서 등에 따르면 카메룬은 사하라이남 국가중에 서도 기업환경이 가장 열악한 국가로 분류되고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 이는 관료 집단의 심각한 부패, 국내금용 조달의 곤란함, 분쟁 발생시 신뢰가능한 사법절차 부재 등에 기인함.
  • 72. - 66 - o 또한 카메룬내 사회간접자본의 미비로 인하여 신규 사업 진출에 있어 서 상당한 간접비용이 소요될 것인 바, 전력 및 공업용수의 부족, 주 요 지점간 철도망 부재, 도로 비포장(우기에 통행 곤란), 항만 처리시 설 부족 등으로 인한 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됨. - 일례로 남동부 Mbalam 지역에서 철광석 개발을 추진중인 호주 회 사는 연 35백만 톤 규모의 철광석 생산을 위해 향후 총 25억불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 o 석유가 상당량 부존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나이지리아 접경 바카 시 반도의 경우, 최근 나이지리아 의회가 바카시 반도의 카메룬 이양 을 무효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인접 니제르델타내 나이지 리아인 무장 불만세력에 의한 테러공격 위험도 계속 고조되고 있어, 향후 카메룬 주도의 바카시 반도 유전 개발시 현지 기업 여건으로서 정치적 위험(political risk), 안전상의 위험(security risk)이 상존할 가능 성이 있음.
  • 73. - 67 - Ⅵ. 군 사
  • 74.
  • 75. - 69 - Ⅵ. 군사 및 국방 1. 개 요 o 카메룬의 군부는 민간인 통제 하의 비정치적인 조직으로서 카메룬은 국방 분야에서 프랑스의 도움을 많이 받아 왔음. 프랑스의 군사적 영 향력이 종전에 비해서는 감소하고 있다고 하나, 최근 나이지리아와 영 유권 분쟁이 있던 Bakassi 반도에 군대를 배치하는 데 있어서도 프랑 스군 자문관이 지원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o 1982년 대통령에 취임한 Paul Biya 대통령은 1984년 이슬람계 장교들 이 시도한 쿠데타후 국방부를 대통령실 직속으로 이관함으로써 군대 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음. - 이에 따라, 카메룬은 별도의 국방부를 두지 않고 대통령실 소속 장 관급 인사가 국방업무를 관장하는 체제 2. 병력 및 군복무 o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모병제로, 카메룬 정규군은 육․해․공군을 합 쳐 총 26,000-27,000명 수준임. o 카메룬 육군 기지는 전국에 산재해 있으며, 공군 기지는 Garoua, Yaoundé, Douala, Bamenda에, 해군기지는 Douala에 두고 있음. 3. 국방예산(2006년) : 약 2.6억달러 o 총 GDP의 1.3% 점유
  • 76.
  • 77. - 71 - Ⅶ. 문화 ․ 사회
  • 78.
  • 79. - 73 - Ⅶ. 문화․사회 1. 인종, 종교 및 언어 가. 인 종 o 카메룬에는 200개 이상의 종족 및 언어 그룹이 있으며 카메룬의 인 구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음. - 주로 이슬람교도가 사는 북부 지역에는 Fulani(Foulbé) 종족이 더 오래 전부터 살아온 Kirdi족 및 다른 그룹과 함께 살고 있음. - 카메룬 최북단에 사는 Choa 아랍족은 여타 카메룬 사람들보다는 국경 너머 차드 국민과 유사한 점이 더 많음. - 서부 지역의 압도적인 그룹은 Bamiléké족으로서 전국적으로 가장 많이 퍼져 있는 종족임. Bamiléké족은 어느 곳에 정착하든지 으 레 사업에서 큰 성공을 거두는 점이 해당 지역 토착민들과 마찰 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함. - Béti-Fang 종족 그룹의 Béti 및 Bulu 그룹은 남부에서 세력을 떨치 는 종족으로서 Paul Biya 대통령의 주요한 권력 기반이 되고 있음. - Grand Sawa라고 알려진 Douala, Bassa, Bakweri 등의 해안지역은 관습의 영향이 강한 곳이며, 서부의 Bamoum 지역도 명목상으로 는 약간의 힘을 가진 전통적 지배자가 있음. - 추산에 따르면 카메룬에는 230개에서 282개의 서로 다른 종족 및 언어 그룹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 Adamawa 고원이 이러한 그룹을 북부와 남부로 분할하고 있음. - 북부 지역 주민은 수단계 종족 그룹으로서 중앙 고원지대와 북 부 저지대에 살고 있으며, Fulani족은 북부 카메룬 전 지역에 퍼 져 있음. 소수의 Shuwa 아랍족은 차드호 인근에 살고 있음. - 남부 카메룬에는 Bantu와 Semi-Bantu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음. Bantu 사용 그룹은 해안 및 적도지역에 거주하고 있 으며, Semi-Bantu 사용 그룹은 서부 초원에 살고 있음.
  • 80. - 74 - - 약 5,000명의 피그미족이 남동부와 해안우림지대를 배회하거나 작은 도로변 정착지에서 살고 있음. - 나이지리아인, 특히 Igbo족은 카메룬에서 가장 큰 외국인 그룹을 형성하고 있음. 2007년 추계에 의하면 카메룬은 총 97,400명에 달하는 난민, 망명자를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 가운데 49,300명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 41,600명은 차드에서, 2,900명은 나이지 리아에서 유입되었음. 나. 종 교 o 카메룬은 높은 수준의 종교의 자유 하에서 다양한 종교가 있음. 전체 인구의 40% 가량이 기독교인이며, 40% 가량이 精靈숭배자(animist), 나머지 20% 가량이 이슬람교도임. o 북부 지역 주민들은 이슬람교도가 압도적이나, 일부 종족은 아직도 정령숭배 신앙을 견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Fulani족에 의해 Kirdi (“pagan:이교도")라고 불림. o 남부에 거주하는 종족 그룹은 대부분 기독교 또는 정령숭배 신앙 또는 이 두 가지가 섞인 혼합신앙을 믿음. 많은 사람들이 주술신앙 은 믿고 있음. 다. 언 어 o 식민시대 도입된 유럽언어(프랑스어, 영어)가 Northwest 및 Southwest Province에 사는 인구의 1/5을 차지하는 영어사용권과 인구의 4/5를 차지하는 불어사용권으로 언어적 분열을 초래하였음. 영어와 프랑 스어는 모두 카메룬의 공용어임. o 카메룬식 Pidgin English는 종전 영국이 통치하던 지역에서는 가장 잘 통용되는 언어임. 1970년대 중반부터 영어, 불어, Pidgin이 혼합 된 Camfranglais라는 언어가 점차 인기를 끌어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