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팔라우
팔라우 국기
o 팔라우의 국기는 국제 연합의 신탁 통치령 시절이었던 1981년 1월 1일에
제정됨. 하늘색 바탕 가운데에 금색 원이 그려져 있으며, 하늘색은 태평
양을, 금색 원은 보름달, 사랑과 평화, 평온을 의미함.
팔라우 국장
o 팔라우의 국장은 1981년 1월 1일에 제정되었으며, 가운데에 그려져 있는
원 안쪽에는 팔라우의 전통적인 가옥이 그려져 있음.
o 원 바깥쪽 상단에는 "팔라우 국민 회의" ("Olbiil era Kelulau") 라는 문구가,
바깥쪽 하단에는 팔라우의 공식 명칭인 "팔라우 공화국" ("Republic of
Palau") 이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음.
팔라우 지도
목 차
Ⅰ 일반개황 173
1. 개 관
2. 지리적 특성
3. 약 사
173
174
174
Ⅱ 정치 ․ 외교 ․ 국방 175
1. 정치제도
2. 최근정세
3. 외 교
175
176
177
Ⅲ 경 제 178
1. 주요 경제지표
2. 경제상황
178
179
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0
1. 외교관계
2. 주요 인사교류
3. 경제 ․ 통상협력
4. 개발협력
5. 국제기구 진출 지지
6. 한인징용자 위령비 재건립 사업
180
180
182
183
185
185
팔라우 개황-Ⅰ. 일반개황 173
Ⅰ. 일반개황
1. 개 관
❏ 국 명 : Republic of Palau(통칭‘Palau')
❏ 면 적 : 458㎢(200여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 9개 섬에만
사람이 거주)
❏ 인 구 : 2만여명(인구증가율 0.374% 2010년도 추정), 65%가
과거 수도였던 Koror에 거주. 외국인 6,000명
(필리핀인 5,000명, 중국인 300명, 일본인 150명,
한국인 70여명)
❏ 행정구역
• 16개주 : Aimeliik, Airai, Angaur, Hatohobei, Kayangel,
Kokor, Melekeok, Ngaraard, Ngarchelong,
Ngardmau, Ngatpang, Ngchesar, Ngeremlengui,
Ngiwal, Peleliu, Sonsorol
• 16개주의 전통적인 정치지도자들은‘Council of Chiefs'를
구성, 대통령 및 정부에 대해 전통법 및 관습과 헌법 및 법
률과의 관계 등 전통법과 관습 보전을 위한 제 문제에 대한
조언 권한
❏ 언 어 : 영어, 팔라우어
❏ 종 교 : 기독교 80%(천주교 40%, 개신교 40%), 토착종교 20%
❏ 독 립 일 : 1994년 10월 1일(1947년 이후 미국의 신탁통치로부터
독립)
❏ 정부형태 : 대통령제(임기 4년)
174 태평양도서국 개황
❏ 대 통 령 : Johnson Toribiong
❏ 부 통 령 : Kerai Mariur
❏ 화 폐 : 미국 달러
❏ 국내총생산 (GDP) : US$1억 7,840만(2009년, 미 국무부)
❏ 1인당 GDP : US$8,941(2009년, 미 국무부)
❏ 수출입현황
• 수 출 : US$588만
• 수 입 : US$129백만(연료, 식품, 공산품, 2008년, 미 국무부)
2. 지리적 특성
❏ 필리핀 남동쪽 800km 지점에 위치한 200여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9개 섬에만 사람이 거주(과거 수도 소재지였던
Koror 섬에 65%의 주민이 거주)
❏ 팔라우 정부는 2006년 10월 가장 큰 섬인 Babeldaob 섬으로
수도를 이전하였으며, 동 섬의 순환도로를 대우에서 건설
3. 약 사
❏ 4,000여년전부터 현재 인도네시아 등으로부터의 이주자들이
거주를 시작하였으며, 18C말 영국의 상선이 이곳에 좌초함
으로써 서방세계에 소개
❏ 19C에 들어 스페인이 팔라우를 지배하였으나, 1898년 미 ․
스페인 전쟁후 독일로 지배권이 이양
❏ 1차 세계대전 기간중 1914년 일본으로 지배권이 넘어갔으며,
2차 세계대전 후 1947년부터 미국 신탁통치를 받다가 1994년
10월 독립
팔라우 개황-Ⅱ. 정치 ․ 외교 175
Ⅱ. 정치 ․ 외교
1. 정치제도
가. 행정부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임기 4년)
❏ 대 통 령 : Johnson Toribiong
❏ 부 통 령 : Kerai Mariur
【팔라우 내각명단】
성 명 직 위
Kerai Mariur 재정부장관
Victor Yano 국무부장관
Stevenson Kuartei 보건부장관
Masa-Aki Emesiochel 교육부장관
Jackson Ngiraingas 상무부장관
Faustina Rehuher-Marugg 사회·문화부장관
Johnny Gibbons 법무부장관
Harry Fritz 자원·개발부장관
나. 입법부
❏ 의회형태 : 상 ․ 하 양원제(임기 4년)
❏ 상 원(전국 선거에서 9명 선출)
• 상원의장 : Mlib Tmetuchl
❏ 하 원(16개주에서 각 1명씩 선출, 16명)
• 하원의장 : Noah Idechong
176 태평양도서국 개황
2. 최근정세
가. 신정부 출범
❏ 2009년 1월 15일 Toribiong 대통령의 신정부 출범
나. 신정부의 주요 정책과제
❏ 신정부는 미 ․ 팔라우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이
2009년 종료됨에 따라, 취임 이후 미국의 지속적인 지원 확보에 집중
• 2010년 1월, 2009년 종료 예정이던 미국의 대팔라우 원조를
2024년까지 연장하여 2.5억불 지원계획을 약속받고, 2010년
9월 미국과 자유연합협정에 대한 포괄적인 재검토 작업을
바탕으로 구체 지원방안 마련에 합의
❏ 신정부는 2010년 9월 미국과 합의한 자유연합협정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 작업에서 향후 미국의 지원방안 등에 있어
유리한 협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외교력을 집중할 전망
❏ 신정부는 또한, 팔라우 경제가 미국의 원조자금과 관광산업에
의존해 온 만큼, 신정부 출범이후 대미 의존도를 줄이고, 관광업
이외의 산업기반을 구축, 국가재정 기반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지속중
다. 주요 국내정세
❏ Toribiong 대통령 취임이후, 정치개혁을 위해 과거 정치지도자
들에 대한 부패 및 공직남용 혐의를 이유로 검찰 조사를 진행,
이들 중 일부를 기소하는 등 신 ․ 구 권력간 갈등 양상 발생
❏ 한편, 대만과 단독 수교를 맺고 있는 팔라우는 신정부 출범
이후 팔라우 의회 일부에서는 중국과의 수교를 주장하는
움직임이 제기
팔라우 개황-Ⅱ. 정치 ․ 외교 177
3. 외 교
❏ 팔라우는 미국과의 조약(the Compact of Free Association
with the US)에 따라 1994년 10월 1일 독립하였으며, 미국은
이 조약에 따라 50년간 팔라우의 국방을 책임
❏ 팔라우는 2010년 6월 현재 52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1994년 12월 UN에 가입하고, 이어 UNESCO, FAO, IAEA,
ICAO, IOC, IPU, UNCTAD, WHO, IBRD, IMF, ADB 등 가입
※ 수교국(2010년 6월 현재 52개국)
- 미국, 호주, 뉴질랜드, PNG, 마이크로네시아, 나우루, 키리바시, 일본,
한국, 인도, 이스라엘, 스페인, 스웨덴, 포르투갈, 영국, 태국, 화란,
필리핀, 캐나다, 프랑스, 독일, 바티칸, 이탈리아, 마샬군도, 싱가포르,
칠레, 대만, EU, 아일랜드, 스위스, 동티모르, 체코, 그리스,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오스트리아, 멕시코,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러시아, 인도네시아, 슬로바키아, 베트남, 코소보, 핀란드, 모로코,
솔로몬제도,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레이트(UAE), 캄보디아, 벨기에
❏ 팔라우내 상주공관 : 4개국(미국, 일본, 필리핀, 대만)
❏ 팔라우 재외공관 : 4개 대사관(미국, 일본, 필리핀, 대만), 5개
영사관(독일 함부르크, 네덜란드 Heiloo, 미국 괌, 사이판,
하와이), 1개 대표부(UN)
178 태평양도서국 개황
Ⅲ. 경 제
1. 주요 경제지표
❏ 국내총생산 (GDP) : US$1억 7,840만(2009년, 미 국무부)
❏ 1인당 GDP : US$8,941(2009년, 미 국무부)
❏ GDP의 구성 : 무역 21%, 공공부문 20%, 건축업 15%, 요식업
10%, 금융 8%, 교통통신 8% 등
❏ 무 역
• 수 출 : US$588만(수산물, 봉제, 수공예품)
․ 미국, 일본, 싱가포르가 주요 수출 대상국
• 수 입 : US$129백만(연료, 식품, 공산품, 2008년, 미 국무부)
․ 미국(괌 포함)으로부터 수입이 약 50%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주로 일본, 싱가포르, 대만, 한국에서 수입
❏ 대외부채 : US$3,800만(2006년)
❏ 화 폐 : 미국 달러
❏ 주요산업 : 관광업, 건설업, 농업, 수산업
• 관광수입이 GDP의 약 50% 차지(주요 관광객은 일본, 대만,
미국, 한국 등)
• 풍부한 수산자원 보유(일본, 대만, 필리핀, 미국 등의 참치
어선단 200해리 경제수역내 조업)
팔라우 개황-Ⅲ. 경제 179
2. 경제상황
❏ 팔라우의 1인당 GDP는 8,000미불 이상으로서 태평양 국가
중에서는 부국
❏ 1983년부터 1997년까지 매년 10% 이상의 경제성장을 이룩
하였으나, 아시아 경제위기의 여파로 1998년과 1999년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
• 2000년부터는 매년 3% 이상의 성장세 시현
❏ 관광이 팔라우의 가장 주요한 산업으로 청정해안에서 스쿠버
다이빙, 스노컬링 등이 유명
• 2009년 관광객 수는 71,887명 수준이며(2008년 대비 9% 감소),
이중 일본 37%, 대만 23%, 한국 18%(약 1.3만명), 미국 12% 순
❏ 인구의 80%가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바, 공공부분
에서만 인구의 30%를 고용
❏ 건설부분은 GDP의 15%를 차지하고 있는 바, 팔라우 정부는
Koror섬, Babeldaob섬 등의 국제공항 신청사 및 활주로
확장공사, 신항만건설, 지방도로건설 등 인프라 건설을 중점
추진
❏ 농업은 자급자족 수준이며 코코넛, 바나나 등이 주산물이며,
수산업이 개발 가능성이 큰 분야
❏ 팔라우는 미국으로부터 독립시 협정에 따라 1994년부터 2009년
까지 15년에 걸쳐 총 4.5억불의 무상원조를 받기로 하고,
1994년에 1차로 1.42억불을 지원받고, 그 이후 매년 2천만불
정도를 지원
180 태평양도서국 개황
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 외교관계
❏ 1995년 3월 22일 수교(한국은 팔라우의 9번째 수교국)
❏ 주필리핀한국대사관이 겸임 관할
❏ 명예영사 : Surangel S. Whipps Jr. 현 상원의원
• 1996년 10월 18일 임명
• 전 상원의장의 장남이며, 사업경영(쇼핑센터, 차량판매, 무역업 등)
• 전직 대통령의 처남
2. 주요 인사교류
❏ 팔라우인사 방한
• 1996.5 Nakamura 대통령 비공식 방한
• 1997.6 Nakamura 대통령 비공식 방한
• 2002.2 Remengesau 대통령 비공식 방한(세계문화체육대전
참석차)
• 2002.3 Shmull 국무장관 일행(경제사절단) 방한
• 2002.6 Remengesau 대통령 비공식 방한(월드컵 축구경기
참관차)
• 2004.1 Remengesau 대통령 비공식 방한(통일교재단주최
세계 평화정상회의 참석차)
• 2004.5 Shmull 국무장관 일행 방한(국제항공협력세미나
참석)
팔라우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1
• 2009.11 Toribiong 대통령 비공식 방한(부산 해양포럼
참석차)
❏ 아국인사 방문
• 1995.3 김정원 대통령 특사 팔라우 방문, 수교의정서 서명
• 1995.7 이장춘 대사 신임장 제정
• 1997.1 김도언 의원(신한국당), Nakamura 대통령 취임식 참석
• 1998.2 박동순 대사 신임장 제정
• 1999.5 신성오 대사 신임장 제정
• 2000.5 허경만 전남도지사 EXPO 2010 여수유치 교섭
• 2001.1 신성오대사 대통령 취임식 참석
• 2001.10 손상하 대사 신임장 제정
• 2003.2 APPU 대표단 팔라우 방문(서정화 통외통위 위원장)
• 2004.2 손상하 대사 이임인사차 방문
• 2004.7 유명환 대사 신임장 제정
• 2005.1 유명환 대사 대통령 취임식 참석
• 2006.2 홍종기 대사 신임장 제정
• 2006.10 홍종기 대사 독립기념일 및 수도이전 기념행사 참석
• 2007.3 홍승목 공사 여수세계박람회 유치 지지 방문
• 2009.1 최중경 대사 신임장 제정
• 2009.11 황우여 의원 등 아태환경개발의원회의 참석차 방문
• 2010.9 이혜민 대사 신임장 제정
182 태평양도서국 개황
3. 경제ㆍ통상협력
가. 교역량
(단위: 천불)
구 분 수 출 수 입
1998년 1,704 42
1999년 2,496 60
2000년 6,642 141
2001년 7,066 24
2002년 7,188 17
2003년 3,567 664
2004년 6,212 204
2005년 2,991 284
2006년 2,310 199
2007년 1,663 243
2008년 2,070 118
2009년 1,525 76
2010년(1~11월) 1,450 21
주요품목
철강 및 금속제품, 기계류, 수송
장비, 가죽 ․ 고무 및 신발류 등
산호, 동, 알루미늄 등
나. 우리기업 진출 현황
❏ 현지 투자기업
• Socio Micronesia Inc.(토목회사, 대표 : 이찬우, 괌 거주)
• Hanpa Industrial Development Co.(건축 및 건자재회사, 대표
: 하순섭, 팔라우 거주)
❏ 소규모 업체 : 여행사, 식당 등
❏ 주요 건설 실적
• 중앙산업(1969-1973년) : 팔라우의 정화조, 상수도, 고등학교,
마이크로네시아 직업대학건물 건설
• 유원건설(1987-1989년) : Pelelieu, Angaur 등 2개주의 상수도
공사
팔라우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3
• 쌍용건설(1989-1992년) : 팔라우 국립병원 신축 공사
• 대우건설(1999-2007년) : Babeldaob 섬 일주 Palau Compact
Road 건설
< 참고 : Comapact Road 건설공사 >
❏ 공사 개요 : 팔라우 최대 건설공사
ㅇ Babeldaob섬 순환도로
ㅇ 폭 7m, 2차선의 총연장 85km 아스팔트 도로
ㅇ 미국의 대팔라우 사회간접자본 시설투자의 일환
- 1994년 팔라우 독립시 미국이 제공한 무상원조 자금을 사용하여 건설
ㅇ 대우건설이 1998년 수주, 1999년 기공 및 2007년 10월 완공
❏ 대우 ․ 미국정부간 소송
ㅇ 예상 공사기간이 당초 3년(1999-2002)이었으나, 일기불순 등으로
공사기간 연장
ㅇ 이에, 대우측은 2001년 공기연장에 따른 추가비용 1,330만불을
미측에 요청하고, 미국측이 이의 지불을 거부하자, 미국 법정에
제소하였으나 패소
4. 개발협력
❏ 1991, 1992, 1993년 : 매년 어로기술 과정에 공무원 1명
연수 초청
❏ 1997년 : 외빈용 소나타 1대 제공
❏ 1998년 : 현대 그레이스 승합차 1대 제공, 마이크로네시아 게임에
경기운영요원 파견 및 체육용품 제공
❏ 1999년 : 행정발전계획과정에 공무원 2명 연수 초청
❏ 2000년 : 의약품 안전과정에 공무원 1명 연수 초청
184 태평양도서국 개황
❏ 2001년 : 수산양식, 결핵 퇴치, 전시회 과정에 공무원 3명
연수 초청
❏ 2002년 : 해양수산양식 등 3개과정에 공무원 5명 연수 초청
❏ 2003년 : 4개과정에 6명 연수생 초청
❏ 2004년 : 5개과정에 5명 연수생 초청
❏ 1996년-2004년 2월말 : 윤성일 외과전문의 파견(연 6만불 지원
상당)
• 팔라우내 유일한 외과전문의로서 팔라우측 요청에 따라
파견기간을 2년씩 2회 연장
• 2010년 EXPO 지지확보를 위해 파견기간 1년 추가 연장했으나
2004년 3월 1일 파견 종료
❏ 2004년 : 외빈용 의전차량 1대(XG)
❏ 2005년 : 4개과정에 4명 연수생 초청
❏ 2006년 : 해외봉사단 협력의사 1명 파견
• 박호성 내과의 (2006년 5월~2009년 4월/팔라우국립병원)
❏ 2009년 : 해외봉사단 협력의사 1명 파견
• 손창남 내과의 (2009년 7월~현재/팔라우국립병원)
❏ 2009년 : 제14차 아시아태평양 환경개발 의원회의(APPCED)
개최경비지원
• APPCED 창립 및 운영에 있어 우리나라의 주도적 역할을
고려, 팔라우정부에 회의경비 2만4천불 지원
팔라우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5
< 참고 : 대팔라우 무상원조 재개 문제 >
❏ 팔라우의 소득수준이 OECD/DAC 기준 중상위 소득국에 해당
ㅇ 이에 우리나라 무상원조 대상국에서 2006년부터 제외
❏ 2009년 미국의 원조중단에 따른 무상원조 재개문제 검토
ㅇ 미국의 원조에 상당부분 의존해 왔던 팔라우 경제가, 2009년 원조
중단과 이후 원조 축소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 예상
ㅇ 이에, 우리의 대팔라우 원조재개 필요성이 검토되고는 있으나, 지원
재개 여부 등은 미정
5. 국제기구 진출 지지
❏ 팔라우는 우리나라 및 한국인의 국제기구 진출 지지 요청에
적극 협조 자세
❏ 여수 박람회 유치 지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 유치 지지
등을 비롯,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이사국 진출 등 적극 지지
6. 한인징용자 위령비 재건립 사업
가. 경 위
❏ 1981.10 해외희생동포 추념사업회가 팔라우 한인위령비를
K-B Bridge 진입부에 건립
❏ 1996.9.26 K-B Bridge(가장 큰 섬인 Badeldaob섬과 수도가
위치한 Koror섬을 연결하는 다리) 붕괴
❏ 1999.7 동 Bridge 재건설 공사가 시작되면서 동 위령비내
유골을 타장소(이찬우 전한인회장의 Socio 건설
회사 부지내)로 이전, 안치
186 태평양도서국 개황
나. 위령비 재건립 추진
❏ 해외희생동포 추념사업체(회장 : 이용택)는 대사관, 재외동포
재단, 팔라우 한인회 등과 협조, 위령비 재건립 추진
❏ 2002년 4월 3일 팔라우 정부측으로부터 토지사용허가서 취득
❏ 2002년 4월 30일 외교통상부 및 재외동포재단에 사업비(30,000
미불) 지원 요청
• 재외동포재단, 10,000미불 지원(2002년 12월)
❏ 2002년 7월 위령비 건립 착공식 거행
• 신수도인 Melekeok의 정부 신청사에서 600m 거리
❏ 2004년 12월 위령비 건립에 필요한 석조물(추념사업회 제작)
팔라우 도착
• 정지작업을 한 지반이 불안정하여 설치 공사 지연
❏ 2007년 건립완료 및 제막식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drtravel

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drtravel
 
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drtravel
 
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drtravel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drtravel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drtravel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drtravel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drtravel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drtravel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drtravel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drtravel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drtravel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drtravel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drtravel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drtravel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drtravel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drtravel
 
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drtravel
 
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drtravel
 

More from drtravel (20)

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
 
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오만개황%282008.4%29
오만개황%282008.4%29
 
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예멘개황자료 0806
예멘개황자료 0806
 

팔라우개황%282011.5%291

  • 2.
  • 3. 팔라우 국기 o 팔라우의 국기는 국제 연합의 신탁 통치령 시절이었던 1981년 1월 1일에 제정됨. 하늘색 바탕 가운데에 금색 원이 그려져 있으며, 하늘색은 태평 양을, 금색 원은 보름달, 사랑과 평화, 평온을 의미함. 팔라우 국장 o 팔라우의 국장은 1981년 1월 1일에 제정되었으며, 가운데에 그려져 있는 원 안쪽에는 팔라우의 전통적인 가옥이 그려져 있음. o 원 바깥쪽 상단에는 "팔라우 국민 회의" ("Olbiil era Kelulau") 라는 문구가, 바깥쪽 하단에는 팔라우의 공식 명칭인 "팔라우 공화국" ("Republic of Palau") 이라는 문구가 쓰여져 있음.
  • 5. 목 차 Ⅰ 일반개황 173 1. 개 관 2. 지리적 특성 3. 약 사 173 174 174 Ⅱ 정치 ․ 외교 ․ 국방 175 1. 정치제도 2. 최근정세 3. 외 교 175 176 177 Ⅲ 경 제 178 1. 주요 경제지표 2. 경제상황 178 179 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0 1. 외교관계 2. 주요 인사교류 3. 경제 ․ 통상협력 4. 개발협력 5. 국제기구 진출 지지 6. 한인징용자 위령비 재건립 사업 180 180 182 183 185 185
  • 6.
  • 7. 팔라우 개황-Ⅰ. 일반개황 173 Ⅰ. 일반개황 1. 개 관 ❏ 국 명 : Republic of Palau(통칭‘Palau') ❏ 면 적 : 458㎢(200여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 9개 섬에만 사람이 거주) ❏ 인 구 : 2만여명(인구증가율 0.374% 2010년도 추정), 65%가 과거 수도였던 Koror에 거주. 외국인 6,000명 (필리핀인 5,000명, 중국인 300명, 일본인 150명, 한국인 70여명) ❏ 행정구역 • 16개주 : Aimeliik, Airai, Angaur, Hatohobei, Kayangel, Kokor, Melekeok, Ngaraard, Ngarchelong, Ngardmau, Ngatpang, Ngchesar, Ngeremlengui, Ngiwal, Peleliu, Sonsorol • 16개주의 전통적인 정치지도자들은‘Council of Chiefs'를 구성, 대통령 및 정부에 대해 전통법 및 관습과 헌법 및 법 률과의 관계 등 전통법과 관습 보전을 위한 제 문제에 대한 조언 권한 ❏ 언 어 : 영어, 팔라우어 ❏ 종 교 : 기독교 80%(천주교 40%, 개신교 40%), 토착종교 20% ❏ 독 립 일 : 1994년 10월 1일(1947년 이후 미국의 신탁통치로부터 독립) ❏ 정부형태 : 대통령제(임기 4년)
  • 8. 174 태평양도서국 개황 ❏ 대 통 령 : Johnson Toribiong ❏ 부 통 령 : Kerai Mariur ❏ 화 폐 : 미국 달러 ❏ 국내총생산 (GDP) : US$1억 7,840만(2009년, 미 국무부) ❏ 1인당 GDP : US$8,941(2009년, 미 국무부) ❏ 수출입현황 • 수 출 : US$588만 • 수 입 : US$129백만(연료, 식품, 공산품, 2008년, 미 국무부) 2. 지리적 특성 ❏ 필리핀 남동쪽 800km 지점에 위치한 200여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고, 9개 섬에만 사람이 거주(과거 수도 소재지였던 Koror 섬에 65%의 주민이 거주) ❏ 팔라우 정부는 2006년 10월 가장 큰 섬인 Babeldaob 섬으로 수도를 이전하였으며, 동 섬의 순환도로를 대우에서 건설 3. 약 사 ❏ 4,000여년전부터 현재 인도네시아 등으로부터의 이주자들이 거주를 시작하였으며, 18C말 영국의 상선이 이곳에 좌초함 으로써 서방세계에 소개 ❏ 19C에 들어 스페인이 팔라우를 지배하였으나, 1898년 미 ․ 스페인 전쟁후 독일로 지배권이 이양 ❏ 1차 세계대전 기간중 1914년 일본으로 지배권이 넘어갔으며, 2차 세계대전 후 1947년부터 미국 신탁통치를 받다가 1994년 10월 독립
  • 9. 팔라우 개황-Ⅱ. 정치 ․ 외교 175 Ⅱ. 정치 ․ 외교 1. 정치제도 가. 행정부 ❏ 정부형태 : 대통령 중심제(임기 4년) ❏ 대 통 령 : Johnson Toribiong ❏ 부 통 령 : Kerai Mariur 【팔라우 내각명단】 성 명 직 위 Kerai Mariur 재정부장관 Victor Yano 국무부장관 Stevenson Kuartei 보건부장관 Masa-Aki Emesiochel 교육부장관 Jackson Ngiraingas 상무부장관 Faustina Rehuher-Marugg 사회·문화부장관 Johnny Gibbons 법무부장관 Harry Fritz 자원·개발부장관 나. 입법부 ❏ 의회형태 : 상 ․ 하 양원제(임기 4년) ❏ 상 원(전국 선거에서 9명 선출) • 상원의장 : Mlib Tmetuchl ❏ 하 원(16개주에서 각 1명씩 선출, 16명) • 하원의장 : Noah Idechong
  • 10. 176 태평양도서국 개황 2. 최근정세 가. 신정부 출범 ❏ 2009년 1월 15일 Toribiong 대통령의 신정부 출범 나. 신정부의 주요 정책과제 ❏ 신정부는 미 ․ 팔라우 자유연합협정(Compact of Free Association)이 2009년 종료됨에 따라, 취임 이후 미국의 지속적인 지원 확보에 집중 • 2010년 1월, 2009년 종료 예정이던 미국의 대팔라우 원조를 2024년까지 연장하여 2.5억불 지원계획을 약속받고, 2010년 9월 미국과 자유연합협정에 대한 포괄적인 재검토 작업을 바탕으로 구체 지원방안 마련에 합의 ❏ 신정부는 2010년 9월 미국과 합의한 자유연합협정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 작업에서 향후 미국의 지원방안 등에 있어 유리한 협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외교력을 집중할 전망 ❏ 신정부는 또한, 팔라우 경제가 미국의 원조자금과 관광산업에 의존해 온 만큼, 신정부 출범이후 대미 의존도를 줄이고, 관광업 이외의 산업기반을 구축, 국가재정 기반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지속중 다. 주요 국내정세 ❏ Toribiong 대통령 취임이후, 정치개혁을 위해 과거 정치지도자 들에 대한 부패 및 공직남용 혐의를 이유로 검찰 조사를 진행, 이들 중 일부를 기소하는 등 신 ․ 구 권력간 갈등 양상 발생 ❏ 한편, 대만과 단독 수교를 맺고 있는 팔라우는 신정부 출범 이후 팔라우 의회 일부에서는 중국과의 수교를 주장하는 움직임이 제기
  • 11. 팔라우 개황-Ⅱ. 정치 ․ 외교 177 3. 외 교 ❏ 팔라우는 미국과의 조약(the Compact of Free Association with the US)에 따라 1994년 10월 1일 독립하였으며, 미국은 이 조약에 따라 50년간 팔라우의 국방을 책임 ❏ 팔라우는 2010년 6월 현재 52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으며, 1994년 12월 UN에 가입하고, 이어 UNESCO, FAO, IAEA, ICAO, IOC, IPU, UNCTAD, WHO, IBRD, IMF, ADB 등 가입 ※ 수교국(2010년 6월 현재 52개국) - 미국, 호주, 뉴질랜드, PNG, 마이크로네시아, 나우루, 키리바시, 일본, 한국, 인도, 이스라엘, 스페인, 스웨덴, 포르투갈, 영국, 태국, 화란, 필리핀, 캐나다, 프랑스, 독일, 바티칸, 이탈리아, 마샬군도, 싱가포르, 칠레, 대만, EU, 아일랜드, 스위스, 동티모르, 체코, 그리스,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오스트리아, 멕시코,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터키, 러시아, 인도네시아, 슬로바키아, 베트남, 코소보, 핀란드, 모로코, 솔로몬제도,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레이트(UAE), 캄보디아, 벨기에 ❏ 팔라우내 상주공관 : 4개국(미국, 일본, 필리핀, 대만) ❏ 팔라우 재외공관 : 4개 대사관(미국, 일본, 필리핀, 대만), 5개 영사관(독일 함부르크, 네덜란드 Heiloo, 미국 괌, 사이판, 하와이), 1개 대표부(UN)
  • 12. 178 태평양도서국 개황 Ⅲ. 경 제 1. 주요 경제지표 ❏ 국내총생산 (GDP) : US$1억 7,840만(2009년, 미 국무부) ❏ 1인당 GDP : US$8,941(2009년, 미 국무부) ❏ GDP의 구성 : 무역 21%, 공공부문 20%, 건축업 15%, 요식업 10%, 금융 8%, 교통통신 8% 등 ❏ 무 역 • 수 출 : US$588만(수산물, 봉제, 수공예품) ․ 미국, 일본, 싱가포르가 주요 수출 대상국 • 수 입 : US$129백만(연료, 식품, 공산품, 2008년, 미 국무부) ․ 미국(괌 포함)으로부터 수입이 약 50%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주로 일본, 싱가포르, 대만, 한국에서 수입 ❏ 대외부채 : US$3,800만(2006년) ❏ 화 폐 : 미국 달러 ❏ 주요산업 : 관광업, 건설업, 농업, 수산업 • 관광수입이 GDP의 약 50% 차지(주요 관광객은 일본, 대만, 미국, 한국 등) • 풍부한 수산자원 보유(일본, 대만, 필리핀, 미국 등의 참치 어선단 200해리 경제수역내 조업)
  • 13. 팔라우 개황-Ⅲ. 경제 179 2. 경제상황 ❏ 팔라우의 1인당 GDP는 8,000미불 이상으로서 태평양 국가 중에서는 부국 ❏ 1983년부터 1997년까지 매년 10% 이상의 경제성장을 이룩 하였으나, 아시아 경제위기의 여파로 1998년과 1999년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 • 2000년부터는 매년 3% 이상의 성장세 시현 ❏ 관광이 팔라우의 가장 주요한 산업으로 청정해안에서 스쿠버 다이빙, 스노컬링 등이 유명 • 2009년 관광객 수는 71,887명 수준이며(2008년 대비 9% 감소), 이중 일본 37%, 대만 23%, 한국 18%(약 1.3만명), 미국 12% 순 ❏ 인구의 80%가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바, 공공부분 에서만 인구의 30%를 고용 ❏ 건설부분은 GDP의 15%를 차지하고 있는 바, 팔라우 정부는 Koror섬, Babeldaob섬 등의 국제공항 신청사 및 활주로 확장공사, 신항만건설, 지방도로건설 등 인프라 건설을 중점 추진 ❏ 농업은 자급자족 수준이며 코코넛, 바나나 등이 주산물이며, 수산업이 개발 가능성이 큰 분야 ❏ 팔라우는 미국으로부터 독립시 협정에 따라 1994년부터 2009년 까지 15년에 걸쳐 총 4.5억불의 무상원조를 받기로 하고, 1994년에 1차로 1.42억불을 지원받고, 그 이후 매년 2천만불 정도를 지원
  • 14. 180 태평양도서국 개황 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 외교관계 ❏ 1995년 3월 22일 수교(한국은 팔라우의 9번째 수교국) ❏ 주필리핀한국대사관이 겸임 관할 ❏ 명예영사 : Surangel S. Whipps Jr. 현 상원의원 • 1996년 10월 18일 임명 • 전 상원의장의 장남이며, 사업경영(쇼핑센터, 차량판매, 무역업 등) • 전직 대통령의 처남 2. 주요 인사교류 ❏ 팔라우인사 방한 • 1996.5 Nakamura 대통령 비공식 방한 • 1997.6 Nakamura 대통령 비공식 방한 • 2002.2 Remengesau 대통령 비공식 방한(세계문화체육대전 참석차) • 2002.3 Shmull 국무장관 일행(경제사절단) 방한 • 2002.6 Remengesau 대통령 비공식 방한(월드컵 축구경기 참관차) • 2004.1 Remengesau 대통령 비공식 방한(통일교재단주최 세계 평화정상회의 참석차) • 2004.5 Shmull 국무장관 일행 방한(국제항공협력세미나 참석)
  • 15. 팔라우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1 • 2009.11 Toribiong 대통령 비공식 방한(부산 해양포럼 참석차) ❏ 아국인사 방문 • 1995.3 김정원 대통령 특사 팔라우 방문, 수교의정서 서명 • 1995.7 이장춘 대사 신임장 제정 • 1997.1 김도언 의원(신한국당), Nakamura 대통령 취임식 참석 • 1998.2 박동순 대사 신임장 제정 • 1999.5 신성오 대사 신임장 제정 • 2000.5 허경만 전남도지사 EXPO 2010 여수유치 교섭 • 2001.1 신성오대사 대통령 취임식 참석 • 2001.10 손상하 대사 신임장 제정 • 2003.2 APPU 대표단 팔라우 방문(서정화 통외통위 위원장) • 2004.2 손상하 대사 이임인사차 방문 • 2004.7 유명환 대사 신임장 제정 • 2005.1 유명환 대사 대통령 취임식 참석 • 2006.2 홍종기 대사 신임장 제정 • 2006.10 홍종기 대사 독립기념일 및 수도이전 기념행사 참석 • 2007.3 홍승목 공사 여수세계박람회 유치 지지 방문 • 2009.1 최중경 대사 신임장 제정 • 2009.11 황우여 의원 등 아태환경개발의원회의 참석차 방문 • 2010.9 이혜민 대사 신임장 제정
  • 16. 182 태평양도서국 개황 3. 경제ㆍ통상협력 가. 교역량 (단위: 천불) 구 분 수 출 수 입 1998년 1,704 42 1999년 2,496 60 2000년 6,642 141 2001년 7,066 24 2002년 7,188 17 2003년 3,567 664 2004년 6,212 204 2005년 2,991 284 2006년 2,310 199 2007년 1,663 243 2008년 2,070 118 2009년 1,525 76 2010년(1~11월) 1,450 21 주요품목 철강 및 금속제품, 기계류, 수송 장비, 가죽 ․ 고무 및 신발류 등 산호, 동, 알루미늄 등 나. 우리기업 진출 현황 ❏ 현지 투자기업 • Socio Micronesia Inc.(토목회사, 대표 : 이찬우, 괌 거주) • Hanpa Industrial Development Co.(건축 및 건자재회사, 대표 : 하순섭, 팔라우 거주) ❏ 소규모 업체 : 여행사, 식당 등 ❏ 주요 건설 실적 • 중앙산업(1969-1973년) : 팔라우의 정화조, 상수도, 고등학교, 마이크로네시아 직업대학건물 건설 • 유원건설(1987-1989년) : Pelelieu, Angaur 등 2개주의 상수도 공사
  • 17. 팔라우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3 • 쌍용건설(1989-1992년) : 팔라우 국립병원 신축 공사 • 대우건설(1999-2007년) : Babeldaob 섬 일주 Palau Compact Road 건설 < 참고 : Comapact Road 건설공사 > ❏ 공사 개요 : 팔라우 최대 건설공사 ㅇ Babeldaob섬 순환도로 ㅇ 폭 7m, 2차선의 총연장 85km 아스팔트 도로 ㅇ 미국의 대팔라우 사회간접자본 시설투자의 일환 - 1994년 팔라우 독립시 미국이 제공한 무상원조 자금을 사용하여 건설 ㅇ 대우건설이 1998년 수주, 1999년 기공 및 2007년 10월 완공 ❏ 대우 ․ 미국정부간 소송 ㅇ 예상 공사기간이 당초 3년(1999-2002)이었으나, 일기불순 등으로 공사기간 연장 ㅇ 이에, 대우측은 2001년 공기연장에 따른 추가비용 1,330만불을 미측에 요청하고, 미국측이 이의 지불을 거부하자, 미국 법정에 제소하였으나 패소 4. 개발협력 ❏ 1991, 1992, 1993년 : 매년 어로기술 과정에 공무원 1명 연수 초청 ❏ 1997년 : 외빈용 소나타 1대 제공 ❏ 1998년 : 현대 그레이스 승합차 1대 제공, 마이크로네시아 게임에 경기운영요원 파견 및 체육용품 제공 ❏ 1999년 : 행정발전계획과정에 공무원 2명 연수 초청 ❏ 2000년 : 의약품 안전과정에 공무원 1명 연수 초청
  • 18. 184 태평양도서국 개황 ❏ 2001년 : 수산양식, 결핵 퇴치, 전시회 과정에 공무원 3명 연수 초청 ❏ 2002년 : 해양수산양식 등 3개과정에 공무원 5명 연수 초청 ❏ 2003년 : 4개과정에 6명 연수생 초청 ❏ 2004년 : 5개과정에 5명 연수생 초청 ❏ 1996년-2004년 2월말 : 윤성일 외과전문의 파견(연 6만불 지원 상당) • 팔라우내 유일한 외과전문의로서 팔라우측 요청에 따라 파견기간을 2년씩 2회 연장 • 2010년 EXPO 지지확보를 위해 파견기간 1년 추가 연장했으나 2004년 3월 1일 파견 종료 ❏ 2004년 : 외빈용 의전차량 1대(XG) ❏ 2005년 : 4개과정에 4명 연수생 초청 ❏ 2006년 : 해외봉사단 협력의사 1명 파견 • 박호성 내과의 (2006년 5월~2009년 4월/팔라우국립병원) ❏ 2009년 : 해외봉사단 협력의사 1명 파견 • 손창남 내과의 (2009년 7월~현재/팔라우국립병원) ❏ 2009년 : 제14차 아시아태평양 환경개발 의원회의(APPCED) 개최경비지원 • APPCED 창립 및 운영에 있어 우리나라의 주도적 역할을 고려, 팔라우정부에 회의경비 2만4천불 지원
  • 19. 팔라우 개황-Ⅳ. 우리나라와의 관계 185 < 참고 : 대팔라우 무상원조 재개 문제 > ❏ 팔라우의 소득수준이 OECD/DAC 기준 중상위 소득국에 해당 ㅇ 이에 우리나라 무상원조 대상국에서 2006년부터 제외 ❏ 2009년 미국의 원조중단에 따른 무상원조 재개문제 검토 ㅇ 미국의 원조에 상당부분 의존해 왔던 팔라우 경제가, 2009년 원조 중단과 이후 원조 축소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 예상 ㅇ 이에, 우리의 대팔라우 원조재개 필요성이 검토되고는 있으나, 지원 재개 여부 등은 미정 5. 국제기구 진출 지지 ❏ 팔라우는 우리나라 및 한국인의 국제기구 진출 지지 요청에 적극 협조 자세 ❏ 여수 박람회 유치 지지, 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 유치 지지 등을 비롯, UN 경제사회이사회(ECOSOC) 이사국 진출 등 적극 지지 6. 한인징용자 위령비 재건립 사업 가. 경 위 ❏ 1981.10 해외희생동포 추념사업회가 팔라우 한인위령비를 K-B Bridge 진입부에 건립 ❏ 1996.9.26 K-B Bridge(가장 큰 섬인 Badeldaob섬과 수도가 위치한 Koror섬을 연결하는 다리) 붕괴 ❏ 1999.7 동 Bridge 재건설 공사가 시작되면서 동 위령비내 유골을 타장소(이찬우 전한인회장의 Socio 건설 회사 부지내)로 이전, 안치
  • 20. 186 태평양도서국 개황 나. 위령비 재건립 추진 ❏ 해외희생동포 추념사업체(회장 : 이용택)는 대사관, 재외동포 재단, 팔라우 한인회 등과 협조, 위령비 재건립 추진 ❏ 2002년 4월 3일 팔라우 정부측으로부터 토지사용허가서 취득 ❏ 2002년 4월 30일 외교통상부 및 재외동포재단에 사업비(30,000 미불) 지원 요청 • 재외동포재단, 10,000미불 지원(2002년 12월) ❏ 2002년 7월 위령비 건립 착공식 거행 • 신수도인 Melekeok의 정부 신청사에서 600m 거리 ❏ 2004년 12월 위령비 건립에 필요한 석조물(추념사업회 제작) 팔라우 도착 • 정지작업을 한 지반이 불안정하여 설치 공사 지연 ❏ 2007년 건립완료 및 제막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