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2012
   소셜고객 시장을 지향하는 기업을 위한
            소셜행동 분석의 시작




              2012년 8월 29일
                      김나리
Contents
•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 분석 기술 동향 2012
  – 브랜드 평판
  – 고객 영향력
  – 소셜 행동
•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소셜 고객 시장
소셜 고객은 뉴미디어 마케팅의 주인공

• 브랜드 평판을 형성하는 주체
  – 제품리뷰, 구매경험을 컨텐츠로 생성하고 공유
• Online & Offline Engagement의 융합
  – 구매행동 트랜잭션의 소셜화 가속
구매행동 트랜잭션의 소셜화




     Image source: The Dawn of the Social Consumer by Brian Solis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뉴미디어 마케팅을 위한 새로운 툴과 데이터

•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고객 대화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성과를 측정하도록 지원하는 기술
• 소셜 비즈니스
 – 기업의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 고객대화를 통합
 – On-going Engagement Business
테크놀로지 벤더
소셜고객에 대한 Analytics와 Engagement 툴제공

Radian6, HootSuite,           Storify, Favstar.fm, Tweetbot
Sprinklr




펄스K, 소셜메트릭스,
스마트인사이트 외 다수                          Klout, Tweetlevel, Kred


                      source: Twitter ecosystem (http://dev.twitter.com)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의 영역

• 수집
• 검색
• 분석
 – 자사와 경쟁사의 브랜드 평판을 진단하는 기술
 – 고객과의 접점을 찾는 기술
 – 고객의 니즈와 관심사를 파악하는 기술
• 빅데이터 프로세싱
• 비즈니스 프로세스 연동
분석 기술 동향 2012
무엇을 분석할 수 있나?

• 풀어야 할 질문들
 – 브랜드 평판을 높이기 위해 어떤 활동을 해야하나?
 – 누구와 인게이지 해야 하나?
 – 어떤 컨텐츠를 생성하고 마케팅할 것인가?
• 브랜드 평판
• 고객 영향력
• 소셜 행동
브랜드 평판 분석

• 브랜드 평판 분석
 – 인지도, 호감도 측정하여 지표화
 – 포스팅의 감성을 분석 (긍정, 부정, 중립)
• 브랜드 이미지 분석
 – 브랜드에 대해 표현된 감성어 추출
 –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부합하는 정도를 측정
브랜드 평판 – 지표 예
          다크나이트 라이즈              9%

          액션, 범죄, 스릴러
          164분
          15세이상 관람가
                                        91%
          개봉일
          2012-07-19
          제작연도 2012년




                                트위터        블로그


                                  출처별 멘션수

펄스K의 소셜스코어                 미디어플랫폼
                              트위터
                                              멘션수
                                              79,137
                              블로그             7,532

   69.6                 펄스 : 다크나이트라이즈

                        수집기간 : 2012.7.12 ~ 2012.8.26
브랜드 평판 – 지표 예
           미드나잇 인 파리
                                  16%
           코미디, 멜로/로맨스,
           판타지
           94분
           15세이상 관람가

           개봉일
           2012-07-05
           제작연도 2011년                        84%




                                   트위터     블로그


                                    출처별 멘션수

펄스K의 소셜 스코어                  미디어플랫폼
                               트위터
                                                멘션수
                                               11,971
                               블로그             2,359
    71.3                  펄스 : 미드나잇인파리

                          수집기간 : 2012.7.1 ~ 2012.8.26
미드나잇인파리 – 버즈와 관객수
600                                                       온라인 상의 영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 20여일간 유지         30000
                   140개 ~ 170여개 스크린 수 점유
                                                                   관객수       트위터          블로그
500                                                                                             25000



400                                                                                             20000
                                           영화 개봉일
                                           - 7월 19일 목요일
300                                                                                             15000

                                               블로그 상의 블로거가 자연발생적으로 작성하는 후기 꾸준히 발생
200                                                                                             10000



100                                                                                             5000



 0                                                                                              0




                                                              영화 감상평과 소셜 상의 버즈 추이

      영화 개봉 D-Day      영화 개봉 D+7 이후                           영화평 발생의 주된 케이스가 되는 콘텐츠, 즉 블로
      대부분 영화의 경우       다크나이트 라이즈와는 대조적으로 개봉일                  그/트위터 콘텐츠가 자연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시사회를 통한 입소문      이후 약 20여일간 장기적인 트위터 버즈와
      발생이 일어나므로 개봉     관객수 추이가 유사하게 움직임                       소셜 상의 버즈가 관객수 추이에 영향을 준것으로
      전날을 중심으로 버즈 발생   OST및 감독 작품에 대한 입소문이 꾸준히                해석함. 특히 온라인 상의 긍정적 후기 및 블로그 콘
                       발생
                                                              텐츠가 상호적 버즈 발생에 도움을 줌.
미드나잇인파리 – 감성 추이
400                                                                                                                                                                                              온라인 상의 영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 20여일간 유지                                                                                                        30000
                                                                                                                                                                                                                        관객수                              긍정                       중립                            부정
350
                                                                                                                                                                                                                                                                                                                                      25000

300

                                                                                                                                                                                                                                                                                                                                      20000
250
                                                                                                                                              영화 개봉일
                                                                                                                                              - 7월 19일 목요일
200                                                                                                                                                                                                                                                                                                                                   15000


150
                                                                                                                                                                                                                                                                                                                                      10000

100
                                                                                                                                                                                                                           약 한달여 15개 ~ 30개 스크린 수 지속적으로 점유
                                                                                                                                                                                                                                                                                                                                      5000
 50


 0                                                                                                                                                                                                                                                                                                                                    0
                            12.07.05




                                                                                                                                                                                      12.08.02




                                                                                                                                                                                                                                                                                          12.08.20
      12.07.01

                 12.07.03



                                       12.07.07

                                                  12.07.09

                                                             12.07.11

                                                                        12.07.13

                                                                                   12.07.15

                                                                                              12.07.17

                                                                                                         12.07.19

                                                                                                                    12.07.21

                                                                                                                               12.07.23

                                                                                                                                          12.07.25

                                                                                                                                                     12.07.27

                                                                                                                                                                12.07.29

                                                                                                                                                                           12.07.31



                                                                                                                                                                                                  12.08.04

                                                                                                                                                                                                             12.08.06

                                                                                                                                                                                                                        12.08.08

                                                                                                                                                                                                                                   12.08.10

                                                                                                                                                                                                                                              12.08.12

                                                                                                                                                                                                                                                         12.08.14

                                                                                                                                                                                                                                                                    12.08.16

                                                                                                                                                                                                                                                                               12.08.18



                                                                                                                                                                                                                                                                                                     12.08.22

                                                                                                                                                                                                                                                                                                                12.08.24

                                                                                                                                                                                                                                                                                                                           12.08.26
                                                                                                                                                                                                             관객수와 온라인상의 감성 추이
                                                                                                                                                                                                             온라인 상에서 발생되는 버즈들의 긍정, 부정 추이를
                              영화 개봉 D-Day 이후                                                                                                                                                                 모니터링. 단,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에 대한 주관적
                              영화 관람 후 영화 평에 대해서는 매우 주관적인 관점이
                              있음을 감안해야 하나 긍정 분포가 유의미하게 높을 경                                                                                                                                                  판단에 대해서는 참조. 어떠한 부분에 대한 대화가
                              우엔 잠재 관객을 극장으로 이끄는 효과를 누릴 수 있으                                                                                                                                                 오가고 있으며, 어느 채널에서 활발하게 발생되는지
                              므로 감성 추이를 모니터링하여 긍정 메시지 확산을 위
                              한 전략 필요.                                                                                                                                                                       판단 후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모색 필요.
고객 영향력 분석

• General Influencers
  – SNS 상의 사용자 활동을 모델링
  – SNA Centrality를 계산하여 영향력 지수화
• Domain Influencers
  – General Influencers 분석 기술에
    사용자 컨텐츠 분석 및 SNA Clustering을 결합
  – 해당 도메인에 대해 관심이 높으면서 적당한
    크기의 네트워크를 가진 다수의 영향력자를 발견
Domain Influencers – 연예 분야
General Influence                     Domain Influence
                                                        연예
순위             ID      점수        순위               ID           점수   ※ 2012년 7월
                                                       비중(%)
                                                                    한달간 스팸/
 1    welovehani       74        1    songcine81        37     78   봇을 제외한
 2    teoinmbc         73        2    ganiiiiii          9     77   한글 트위터
 3    ganiiiiii        72                                           사용자를 대상
                                 3    biguse            10     72
 4    biguse           70        4    teoinmbc          25     70
 5    sohnPD           64        5    sohnPD            36     70
 6    syh24            63        6    ez1pd             54     70
 7    ez1pd            61        7    photoispower      16     64
 8    Actressk         55        8    windowpainting     8     61
 9    photoispower     51        9    welovehani         3     59
 10   songcine81       47        10   Actressk           8     52
 11   windowpainting   46        11   syh24             0.6    35

○ songcine81 : 송씨네 영화 ↑ + 31      ○ teoinmbc : 김태호 PD ↔ - 3
○ welovehani : 한겨레신문 기자 ↓ - 15    ○ shy24 : 기자 (정치부) ↓ - 28
Domain Influencers – 통신 분야
General Influence                    Domain Influence
                                                      통신
순위           ID    점수          순위           ID       비중(%)
                                                             점수   ※ 2012년 7월
                                                                  한달간 스팸/
1    kwang82        78          1      kwang82        53     90   봇을 제외한
2    mobizenpekr    68          2      xguru          85     83   한글 트위터
                                                                  사용자를 대상
3    hmpyo          64          3      goodgle        69     82
4    xguru          64          4      hmpyo          53     80
5    Projecty       63          5      mobizenpekr    57     80
6    parkto         60          6      ehddn1         71     79
7    ehddn1         58          7      parkto         26     74
8    eddyhong       55          8      Projecty       18     69
9    goodgle        55          9      gemong1        26     65
10   gemong1        52          10     eddyhong       19     62

         ○ hmpyo : KT 표현명 대표 ↑ + 16
         ○ xguru : KTH SW아키텍트 ↑ + 19
         ○ kwang82 : IT 전문기자 ↑ + 12
소셜 행동 분석

• 고객 이해
 – Interest, Intention, Sentiment
 – Check-in, 소비한 컨텐츠, 구매행동, 구매의도
• 단골 관계 구축
 – Special Offers, Rewards, Brand Reach
 – Permission-based Operation
알아야 배려할 수 있다
소셜 행동 분석의 기술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감성 분석
  – 관심 / 의도 분석
• Social Network Analysis
  – 도메인 인플루언서 발굴
  – 커뮤니티 그룹 발견
소셜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
소셜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

• 요소기술과 고객DB의 통합
 – 분석 기술 기반 공유
 –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결합
• 장점
 – Cost / Speed
 – Scalability / Flexibility
 – Measurement / Governance
뉴미디어 마케팅 플랫폼
마케팅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기반을 확보

소셜미디어 분석       전략 도출        실행             평가




  소셜미디어 분석기술      소셜미디어 관리기술           성과측정 기술




           CMS                   CRM
                  소셜분석데이터
플랫폼의 발전 단계

• Experiment
  – 일회성, 상이한 기술을 도입하여 실험하는 단계
  – 온라인 고객과의 상호대화 기록이 분산화
• Integration
  – 소셜분석 기술을 기업의 정보 시스템과 통합
  – 성과 측정을 위한 기술 기반 공유
• Maturation
  – On-going Engagement Business
  – Co-creation Business Platform
요약

• Customer Analytics for Marketing
• Social Business Technology Platform
• Vendor Selection
감사합니다.



(135-524)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890번지 유니온스틸빌딩 17,18층
         Tel. 02-3469-8793 / Email. pulsek@konantech.com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Han Woo PARK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Han Woo PARK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Han Woo PARK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Hanbat National Univerisity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Han Woo PARK
 
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
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
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
Han Woo PARK
 
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
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
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
Hyochan PARK
 
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
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
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
Han Woo PARK
 
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
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
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
Tae Young Lee
 
Social Network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Social Network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Giorgos Cheliotis
 

Viewers also liked (10)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9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2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5주차 1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회연결망 분석과 혁신연구 권기석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
사이버컴과 네트워크분석 13주차 1
 
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
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
Scott 김효동 네트워크분석 박한우 영남대 슬라이드
 
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
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
7장 네트워크로 세상을 읽다 : 사회 관계망 분석 입문하기
 
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
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
노드엑셜 따라잡기 강의용 슬라이드 모음
 
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
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
2016317 파이썬기초_파이썬_다중설치부터_Jupyter를이용한프로그래밍_이태영
 
Social Network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Social Network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More from Jinseok Ro

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
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
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
Jinseok Ro
 
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
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
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
Jinseok Ro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
Jinseok Ro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
Jinseok Ro
 
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
Jinseok Ro
 
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
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
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
Jinseok Ro
 
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
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
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
Jinseok Ro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Jinseok Ro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
Jinseok Ro
 
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
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
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
Jinseok Ro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
Jinseok Ro
 
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
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
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
Jinseok Ro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
Jinseok Ro
 
[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
[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
[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
Jinseok Ro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
Jinseok Ro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
Jinseok Ro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
Jinseok Ro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
Jinseok Ro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
Jinseok Ro
 
[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
[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
[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
Jinseok Ro
 

More from Jinseok Ro (20)

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
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
트위터로 본 진격의 워터파크
 
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
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
설국열차, 그리고 더 테러 라이브에 관한 소셜 분석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 ②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
소셜미디어를 분석하는 마케터를 위한 가이드라인(1부)
 
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
영화 흥행에 관한 마이너리티 리포트
 
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
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
연관 키워드 분석으로 찾는 마케팅 인사이트
 
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
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
열린 사회와 고객들 - SNS에 대처하는 마케터의 자세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10월 2주)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9월 4주, 10월 1주)
 
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
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
날씨와 단어: 평균 기온과 '기침' 키워드의 트위터 출현 빈도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3주)
 
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
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
아이폰5 관련 소셜 분석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2주)
 
[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
[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
[펄스K] 서비스 소개 브로셔(2P)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9월 1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5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
펄스K 소셜미디어트렌드(8월 4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3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
[펄스K] 주간 소셜미디어 트렌드(8월 2주)
 
[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
[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
[기고] 빅데이터와 소셜 분석
 

소셜 고객을 지향하는 기업을 위한 분석에 대하여

  • 1.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2012 소셜고객 시장을 지향하는 기업을 위한 소셜행동 분석의 시작 2012년 8월 29일 김나리
  • 2. Contents •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 분석 기술 동향 2012 – 브랜드 평판 – 고객 영향력 – 소셜 행동 •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
  • 4. 소셜 고객 시장 소셜 고객은 뉴미디어 마케팅의 주인공 • 브랜드 평판을 형성하는 주체 – 제품리뷰, 구매경험을 컨텐츠로 생성하고 공유 • Online & Offline Engagement의 융합 – 구매행동 트랜잭션의 소셜화 가속
  • 5. 구매행동 트랜잭션의 소셜화 Image source: The Dawn of the Social Consumer by Brian Solis
  • 6.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뉴미디어 마케팅을 위한 새로운 툴과 데이터 •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 온라인 상에 존재하는 고객 대화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성과를 측정하도록 지원하는 기술 • 소셜 비즈니스 – 기업의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 고객대화를 통합 – On-going Engagement Business
  • 7. 테크놀로지 벤더 소셜고객에 대한 Analytics와 Engagement 툴제공 Radian6, HootSuite, Storify, Favstar.fm, Tweetbot Sprinklr 펄스K, 소셜메트릭스, 스마트인사이트 외 다수 Klout, Tweetlevel, Kred source: Twitter ecosystem (http://dev.twitter.com)
  • 8. 소셜 비즈니스 테크놀로지의 영역 • 수집 • 검색 • 분석 – 자사와 경쟁사의 브랜드 평판을 진단하는 기술 – 고객과의 접점을 찾는 기술 – 고객의 니즈와 관심사를 파악하는 기술 • 빅데이터 프로세싱 • 비즈니스 프로세스 연동
  • 10. 무엇을 분석할 수 있나? • 풀어야 할 질문들 – 브랜드 평판을 높이기 위해 어떤 활동을 해야하나? – 누구와 인게이지 해야 하나? – 어떤 컨텐츠를 생성하고 마케팅할 것인가? • 브랜드 평판 • 고객 영향력 • 소셜 행동
  • 11. 브랜드 평판 분석 • 브랜드 평판 분석 – 인지도, 호감도 측정하여 지표화 – 포스팅의 감성을 분석 (긍정, 부정, 중립) • 브랜드 이미지 분석 – 브랜드에 대해 표현된 감성어 추출 –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부합하는 정도를 측정
  • 12. 브랜드 평판 – 지표 예 다크나이트 라이즈 9% 액션, 범죄, 스릴러 164분 15세이상 관람가 91% 개봉일 2012-07-19 제작연도 2012년 트위터 블로그 출처별 멘션수 펄스K의 소셜스코어 미디어플랫폼 트위터 멘션수 79,137 블로그 7,532 69.6 펄스 : 다크나이트라이즈 수집기간 : 2012.7.12 ~ 2012.8.26
  • 13. 브랜드 평판 – 지표 예 미드나잇 인 파리 16% 코미디, 멜로/로맨스, 판타지 94분 15세이상 관람가 개봉일 2012-07-05 제작연도 2011년 84% 트위터 블로그 출처별 멘션수 펄스K의 소셜 스코어 미디어플랫폼 트위터 멘션수 11,971 블로그 2,359 71.3 펄스 : 미드나잇인파리 수집기간 : 2012.7.1 ~ 2012.8.26
  • 14. 미드나잇인파리 – 버즈와 관객수 600 온라인 상의 영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 20여일간 유지 30000 140개 ~ 170여개 스크린 수 점유 관객수 트위터 블로그 500 25000 400 20000 영화 개봉일 - 7월 19일 목요일 300 15000 블로그 상의 블로거가 자연발생적으로 작성하는 후기 꾸준히 발생 200 10000 100 5000 0 0 영화 감상평과 소셜 상의 버즈 추이 영화 개봉 D-Day 영화 개봉 D+7 이후 영화평 발생의 주된 케이스가 되는 콘텐츠, 즉 블로 대부분 영화의 경우 다크나이트 라이즈와는 대조적으로 개봉일 그/트위터 콘텐츠가 자연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시사회를 통한 입소문 이후 약 20여일간 장기적인 트위터 버즈와 발생이 일어나므로 개봉 관객수 추이가 유사하게 움직임 소셜 상의 버즈가 관객수 추이에 영향을 준것으로 전날을 중심으로 버즈 발생 OST및 감독 작품에 대한 입소문이 꾸준히 해석함. 특히 온라인 상의 긍정적 후기 및 블로그 콘 발생 텐츠가 상호적 버즈 발생에 도움을 줌.
  • 15. 미드나잇인파리 – 감성 추이 400 온라인 상의 영화에 대한 긍정적 평가 20여일간 유지 30000 관객수 긍정 중립 부정 350 25000 300 20000 250 영화 개봉일 - 7월 19일 목요일 200 15000 150 10000 100 약 한달여 15개 ~ 30개 스크린 수 지속적으로 점유 5000 50 0 0 12.07.05 12.08.02 12.08.20 12.07.01 12.07.03 12.07.07 12.07.09 12.07.11 12.07.13 12.07.15 12.07.17 12.07.19 12.07.21 12.07.23 12.07.25 12.07.27 12.07.29 12.07.31 12.08.04 12.08.06 12.08.08 12.08.10 12.08.12 12.08.14 12.08.16 12.08.18 12.08.22 12.08.24 12.08.26 관객수와 온라인상의 감성 추이 온라인 상에서 발생되는 버즈들의 긍정, 부정 추이를 영화 개봉 D-Day 이후 모니터링. 단, 엔터테인먼트 컨텐츠에 대한 주관적 영화 관람 후 영화 평에 대해서는 매우 주관적인 관점이 있음을 감안해야 하나 긍정 분포가 유의미하게 높을 경 판단에 대해서는 참조. 어떠한 부분에 대한 대화가 우엔 잠재 관객을 극장으로 이끄는 효과를 누릴 수 있으 오가고 있으며, 어느 채널에서 활발하게 발생되는지 므로 감성 추이를 모니터링하여 긍정 메시지 확산을 위 한 전략 필요. 판단 후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모색 필요.
  • 16. 고객 영향력 분석 • General Influencers – SNS 상의 사용자 활동을 모델링 – SNA Centrality를 계산하여 영향력 지수화 • Domain Influencers – General Influencers 분석 기술에 사용자 컨텐츠 분석 및 SNA Clustering을 결합 – 해당 도메인에 대해 관심이 높으면서 적당한 크기의 네트워크를 가진 다수의 영향력자를 발견
  • 17. Domain Influencers – 연예 분야 General Influence Domain Influence 연예 순위 ID 점수 순위 ID 점수 ※ 2012년 7월 비중(%) 한달간 스팸/ 1 welovehani 74 1 songcine81 37 78 봇을 제외한 2 teoinmbc 73 2 ganiiiiii 9 77 한글 트위터 3 ganiiiiii 72 사용자를 대상 3 biguse 10 72 4 biguse 70 4 teoinmbc 25 70 5 sohnPD 64 5 sohnPD 36 70 6 syh24 63 6 ez1pd 54 70 7 ez1pd 61 7 photoispower 16 64 8 Actressk 55 8 windowpainting 8 61 9 photoispower 51 9 welovehani 3 59 10 songcine81 47 10 Actressk 8 52 11 windowpainting 46 11 syh24 0.6 35 ○ songcine81 : 송씨네 영화 ↑ + 31 ○ teoinmbc : 김태호 PD ↔ - 3 ○ welovehani : 한겨레신문 기자 ↓ - 15 ○ shy24 : 기자 (정치부) ↓ - 28
  • 18. Domain Influencers – 통신 분야 General Influence Domain Influence 통신 순위 ID 점수 순위 ID 비중(%) 점수 ※ 2012년 7월 한달간 스팸/ 1 kwang82 78 1 kwang82 53 90 봇을 제외한 2 mobizenpekr 68 2 xguru 85 83 한글 트위터 사용자를 대상 3 hmpyo 64 3 goodgle 69 82 4 xguru 64 4 hmpyo 53 80 5 Projecty 63 5 mobizenpekr 57 80 6 parkto 60 6 ehddn1 71 79 7 ehddn1 58 7 parkto 26 74 8 eddyhong 55 8 Projecty 18 69 9 goodgle 55 9 gemong1 26 65 10 gemong1 52 10 eddyhong 19 62 ○ hmpyo : KT 표현명 대표 ↑ + 16 ○ xguru : KTH SW아키텍트 ↑ + 19 ○ kwang82 : IT 전문기자 ↑ + 12
  • 19. 소셜 행동 분석 • 고객 이해 – Interest, Intention, Sentiment – Check-in, 소비한 컨텐츠, 구매행동, 구매의도 • 단골 관계 구축 – Special Offers, Rewards, Brand Reach – Permission-based Operation
  • 21. 소셜 행동 분석의 기술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 감성 분석 – 관심 / 의도 분석 • Social Network Analysis – 도메인 인플루언서 발굴 – 커뮤니티 그룹 발견
  • 23. 소셜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 • 요소기술과 고객DB의 통합 – 분석 기술 기반 공유 –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결합 • 장점 – Cost / Speed – Scalability / Flexibility – Measurement / Governance
  • 24. 뉴미디어 마케팅 플랫폼 마케팅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 기반을 확보 소셜미디어 분석 전략 도출 실행 평가 소셜미디어 분석기술 소셜미디어 관리기술 성과측정 기술 CMS CRM 소셜분석데이터
  • 25. 플랫폼의 발전 단계 • Experiment – 일회성, 상이한 기술을 도입하여 실험하는 단계 – 온라인 고객과의 상호대화 기록이 분산화 • Integration – 소셜분석 기술을 기업의 정보 시스템과 통합 – 성과 측정을 위한 기술 기반 공유 • Maturation – On-going Engagement Business – Co-creation Business Platform
  • 26. 요약 • Customer Analytics for Marketing • Social Business Technology Platform • Vendor Selection
  • 27. 감사합니다. (135-524)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890번지 유니온스틸빌딩 17,18층 Tel. 02-3469-8793 / Email. pulsek@konante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