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7
Download to read offline
1	
  




        2004년, 자살예방대책 5개년 계획 시행 	
  
10만 명당 자살률은	
  
23.7명에서 31명으로 증가했다.	
  
문제현황 집중분석	
  
군인 자살과 청소년 자살	
  

•  전체 사망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3년 37%에
 서 2011년 67%로 늘어났다.	
  해마다 80명 이상의 군인들이
 자살을 선택하는데 심리적 부검이라기 보다는 진상 조사
 차원이라고 보면 된다.	
  
•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니 대책도 만들지 못하는 상황이다.	
  
•  국방부 내부 조직으로 운영해서는 안된다.	
  
•  독립성과 객관성이 전제돼야 한다.	
  
기존통계의 일반화의 오류	
  

•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정신적 문제가 29.5%,	
  질병이
 23.3%,	
  경제적 어려움이 15.7%,	
  인간관계가 15%	
  등이다.	
  	
  
•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만1292달러였을 때 자살률이
 13.6명이었는데 1인당 GNI가 2만562달러로 늘어난 2010년
 에는 33.5명으로 높아졌다.	
  
•  경제적 어려움이 자살의 가장 큰 이유라고 보기엔 어렵다.	
  
•  국민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4.20점으로 OECD	
  회원국 가
 운데 뒤에서 세 번째이다.	
  
복지비용증가가	
  
자살예방의 해결책이 아니다	
  
•  자살을 개인의 정신적 문제로 보고 접근했기 때문에 실패
 했다.	
  
•  우울증 치료에 정부 지원을 늘린다고 해서 자살률은 줄어
 들지 않는다.	
  (보건복지부 데이터베이스)	
  
•  ‘왜 우울증이 늘어나는가’ 사회경제적 환경에 대한 접근이
 부족했다.	
  (핀란드, 일본 등 예방 정책 모범 국가사례 OECD	
  
 Sta<s<cs	
  &	
  WHO	
  Database)	
  
•  프로파일러라고 불리우는 심리적 부검을 할 수 있는 전문
 적으로 교육을 받은 인력은 10명도 채 안된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자살 1위국이었던 핀란드의 자살예방 복지정책 	
  



•  핀란드나 미국처럼 정부가 주도해 제도를 운영한
 사례는 없다.	
  
•  핀란드는 1986년 세계 최초로 국가가 주도하는
 거국적 ‘자살예방프로젝트’를 단행했다.
‘자살공화국’ 오명 씻은	
  
핀란드의 자살예방 프로젝트	
  
•  산업화 과정서 자살률 3배 급증	
  
•  1965년부터 1990년까지 25년 동안 핀란드의 자살 사망률
 은 3배나 늘어났다.	
  
•  한없이 치솟는 자살률로 국가적 위기의식까지 느낀 핀란
 드 정부	
  
•  1986년부터 1992년까지 무려 6년간 학교·∙병원·∙사회복지기
 관·∙군대·∙교회 등 각계 각층의 전문가 5만명이 동원되어
 1337명에 대한 심리적 부검 진행했다.	
  
•  전문가 5만명 동원 자살자 ‘심리 부검’	
  
•  자살 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마
 련했고 4년간 이 프로그램은 핀란드 전역에서 실행	
  
•  자살위험군 상담·∙약물 치료 병행	
  
•  WHO도 핀란드 본뜬 모델 만들어	
  
결론	
  
•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심리적 부검은 연구 차원의
   조사로 7건 밖에 되지 않는다.	
  
•  나라마다 문화와 생활습관이 달라서 핀란드나 미
   국,	
  일본의 방식을 그대로 우리나라에 가져올 수는
   없다.	
  
•  한국형 심리적 부검 절차를 정립하고 데이터베이스
   를 구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부산시가 2012년부터 부산경찰청과 함께 심리적 부
   검을 실시한다.	
  
필요한 데이터 및 데이터 전개 순서	
  

•  우리나라 자살률 -­‐	
  OECD국가 내 순위,	
  시간별 자살률,	
  자살
   인구지표 데이터
•  복지지원 현황 -­‐	
  우울증 관련 복지 정책 지원 데이터
•  국민개인소득 -­‐	
  OECD국가 내 소득 순위,	
  소득재분배와 불
   평등	
  


•  핀란드(참고용 모범사례)	
  -­‐	
  위와 같은 데이터로 전개
•  복지지원 현황 -­‐ 수치 데이터와 함께 방법론적 대안은 그
   래픽으로 표현	
  
2	
  



         한국의 교육 문제 …
        국가 생산성까지 영향미쳐	
  
한국 교육의 문제	
  

•  맹목적인 훈육,	
  경쟁,	
  평가의 덫	
  
•  '몰입교육'이 아닌 '익사교육’	
  
공부 잘하는 한국	
  

•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	
  2009년 65개국 47만명
 의 15살 학생들이 참여한 시험에서 한국은 참여국
 중 독해 1위,	
  수학·∙과학 2위를 차지	
  
•  국제교육성취평가협회(IAEEA)	
  국제읽기능력평가
 (PIRLS), 수학·∙과학성취도평가(TIMSS)	
  :	
  60개국을 대
 상으로 한 2011년 평가에서 한국은 핀란드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경제협력개발기구)	
  
韓 노동시간 여전히 세계최장	
  
노동 생산성은 OECD	
  최하위	
  

•  학업성취도가 낮은 많은 나라들이 성인기에 이르
 면 매우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  노르웨이,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은 전통적으로
 시간당 생산성이 가장 높은 나라인데,	
  이들은 학
 업능력평가에서 20위권에도 못 들었다.	
  
•  한국의 생산성은 늘 바닥권이다.	
  
붙잡아 놓고 시험공부만 시키는 교육방식은
비효율적인 장시간 노동으로 이어진다	
  

•  한국의 근로자 1인당 노동시간(2011년 기준)은
 OECD	
  34개 회원국 중 1인당 국내총생산(GDP)	
  상
 위 17개국의 평균 노동시간보다 30.5%	
  길다.
 (OECD	
  2013년 구조개혁평가보고서)	
  


•  한국의 노동생산성(2011년 기준)은 OECD	
  1인당
 GDP	
  상위 17개국 평균보다 46.5% 낮다.	
  
노동시간은 생산성과 비례하지 않는다	
  

•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같은 시간을 일해도 다른 선
   진국 근로자보다 생산성은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
   는다.	
  


•  우리나라보다 낮은 노동생산성을 보인 국가는 터키
   (-­‐50.6%),	
  헝가리(-­‐51.9%),	
  폴란드(-­‐53.0%),	
  에스토니
   아(-­‐53.2%),	
  칠레(-­‐62.5%),	
  멕시코(-­‐68.9%)	
  등 동유럽
   이나 중남미에 위치한 개발도상국들이다.	
  
•  비효율적인 노동시간 개선이 필요하다.	
  
•  (노동시장 개선을 위해)	
  정규직 노동자에 대
 한 고용 보장을 줄이는 대신 비정규직 노동
 자에 대한 사회적 보호를 넓히고,	
  훈련 프로
 그램을 개선시켜야 한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9)

트리거 시스템
트리거 시스템트리거 시스템
트리거 시스템
 
m-Station Channel Xpander5 020325
m-Station Channel Xpander5 020325m-Station Channel Xpander5 020325
m-Station Channel Xpander5 020325
 
Erdenet comminution circuit expansion last
Erdenet comminution circuit expansion lastErdenet comminution circuit expansion last
Erdenet comminution circuit expansion last
 
Unlimited 3G internet
Unlimited 3G internetUnlimited 3G internet
Unlimited 3G internet
 
How Computer Virus Spreads
How Computer Virus SpreadsHow Computer Virus Spreads
How Computer Virus Spreads
 
Ppt outline-1ztacwjd
Ppt outline-1ztacwjdPpt outline-1ztacwjd
Ppt outline-1ztacwjd
 
VCetvrtak_marti_misterija_23_mocvara
VCetvrtak_marti_misterija_23_mocvaraVCetvrtak_marti_misterija_23_mocvara
VCetvrtak_marti_misterija_23_mocvara
 
Four types of computers
Four types of computersFour types of computers
Four types of computers
 
new doc 1
new doc 1new doc 1
new doc 1
 

More from Yerin Choi

0410 진행상황
0410 진행상황0410 진행상황
0410 진행상황
Yerin Choi
 
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
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
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
Yerin Choi
 
0912945 최예린
0912945 최예린0912945 최예린
0912945 최예린
Yerin Choi
 

More from Yerin Choi (7)

Final
FinalFinal
Final
 
0424
04240424
0424
 
0416
04160416
0416
 
0410 진행상황
0410 진행상황0410 진행상황
0410 진행상황
 
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
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
0410 아름다운시각화 제2장
 
0327 ppt
0327 ppt0327 ppt
0327 ppt
 
0912945 최예린
0912945 최예린0912945 최예린
0912945 최예린
 

0403 subject

  • 1. 1   2004년, 자살예방대책 5개년 계획 시행  
  • 2. 10만 명당 자살률은   23.7명에서 31명으로 증가했다.  
  • 3. 문제현황 집중분석   군인 자살과 청소년 자살   •  전체 사망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3년 37%에 서 2011년 67%로 늘어났다.  해마다 80명 이상의 군인들이 자살을 선택하는데 심리적 부검이라기 보다는 진상 조사 차원이라고 보면 된다.   •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니 대책도 만들지 못하는 상황이다.   •  국방부 내부 조직으로 운영해서는 안된다.   •  독립성과 객관성이 전제돼야 한다.  
  • 4. 기존통계의 일반화의 오류   •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정신적 문제가 29.5%,  질병이 23.3%,  경제적 어려움이 15.7%,  인간관계가 15%  등이다.     •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만1292달러였을 때 자살률이 13.6명이었는데 1인당 GNI가 2만562달러로 늘어난 2010년 에는 33.5명으로 높아졌다.   •  경제적 어려움이 자살의 가장 큰 이유라고 보기엔 어렵다.   •  국민 행복지수는 10점 만점에 4.20점으로 OECD  회원국 가 운데 뒤에서 세 번째이다.  
  • 5. 복지비용증가가   자살예방의 해결책이 아니다   •  자살을 개인의 정신적 문제로 보고 접근했기 때문에 실패 했다.   •  우울증 치료에 정부 지원을 늘린다고 해서 자살률은 줄어 들지 않는다.  (보건복지부 데이터베이스)   •  ‘왜 우울증이 늘어나는가’ 사회경제적 환경에 대한 접근이 부족했다.  (핀란드, 일본 등 예방 정책 모범 국가사례 OECD   Sta<s<cs  &  WHO  Database)   •  프로파일러라고 불리우는 심리적 부검을 할 수 있는 전문 적으로 교육을 받은 인력은 10명도 채 안된다.  
  • 6.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자살 1위국이었던 핀란드의 자살예방 복지정책   •  핀란드나 미국처럼 정부가 주도해 제도를 운영한 사례는 없다.   •  핀란드는 1986년 세계 최초로 국가가 주도하는 거국적 ‘자살예방프로젝트’를 단행했다.
  • 7. ‘자살공화국’ 오명 씻은   핀란드의 자살예방 프로젝트   •  산업화 과정서 자살률 3배 급증   •  1965년부터 1990년까지 25년 동안 핀란드의 자살 사망률 은 3배나 늘어났다.   •  한없이 치솟는 자살률로 국가적 위기의식까지 느낀 핀란 드 정부   •  1986년부터 1992년까지 무려 6년간 학교·∙병원·∙사회복지기 관·∙군대·∙교회 등 각계 각층의 전문가 5만명이 동원되어 1337명에 대한 심리적 부검 진행했다.  
  • 8. •  전문가 5만명 동원 자살자 ‘심리 부검’   •  자살 원인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마 련했고 4년간 이 프로그램은 핀란드 전역에서 실행   •  자살위험군 상담·∙약물 치료 병행   •  WHO도 핀란드 본뜬 모델 만들어  
  • 9. 결론   •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심리적 부검은 연구 차원의 조사로 7건 밖에 되지 않는다.   •  나라마다 문화와 생활습관이 달라서 핀란드나 미 국,  일본의 방식을 그대로 우리나라에 가져올 수는 없다.   •  한국형 심리적 부검 절차를 정립하고 데이터베이스 를 구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부산시가 2012년부터 부산경찰청과 함께 심리적 부 검을 실시한다.  
  • 10. 필요한 데이터 및 데이터 전개 순서   •  우리나라 자살률 -­‐  OECD국가 내 순위,  시간별 자살률,  자살 인구지표 데이터 •  복지지원 현황 -­‐  우울증 관련 복지 정책 지원 데이터 •  국민개인소득 -­‐  OECD국가 내 소득 순위,  소득재분배와 불 평등   •  핀란드(참고용 모범사례)  -­‐  위와 같은 데이터로 전개 •  복지지원 현황 -­‐ 수치 데이터와 함께 방법론적 대안은 그 래픽으로 표현  
  • 11. 2   한국의 교육 문제 … 국가 생산성까지 영향미쳐  
  • 12. 한국 교육의 문제   •  맹목적인 훈육,  경쟁,  평가의 덫   •  '몰입교육'이 아닌 '익사교육’  
  • 13. 공부 잘하는 한국   •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  2009년 65개국 47만명 의 15살 학생들이 참여한 시험에서 한국은 참여국 중 독해 1위,  수학·∙과학 2위를 차지   •  국제교육성취평가협회(IAEEA)  국제읽기능력평가 (PIRLS), 수학·∙과학성취도평가(TIMSS)  :  60개국을 대 상으로 한 2011년 평가에서 한국은 핀란드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경제협력개발기구)  
  • 14. 韓 노동시간 여전히 세계최장   노동 생산성은 OECD  최하위   •  학업성취도가 낮은 많은 나라들이 성인기에 이르 면 매우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  노르웨이,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은 전통적으로 시간당 생산성이 가장 높은 나라인데,  이들은 학 업능력평가에서 20위권에도 못 들었다.   •  한국의 생산성은 늘 바닥권이다.  
  • 15. 붙잡아 놓고 시험공부만 시키는 교육방식은 비효율적인 장시간 노동으로 이어진다   •  한국의 근로자 1인당 노동시간(2011년 기준)은 OECD  34개 회원국 중 1인당 국내총생산(GDP)  상 위 17개국의 평균 노동시간보다 30.5%  길다. (OECD  2013년 구조개혁평가보고서)   •  한국의 노동생산성(2011년 기준)은 OECD  1인당 GDP  상위 17개국 평균보다 46.5% 낮다.  
  • 16. 노동시간은 생산성과 비례하지 않는다   •  우리나라 근로자들이 같은 시간을 일해도 다른 선 진국 근로자보다 생산성은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 는다.   •  우리나라보다 낮은 노동생산성을 보인 국가는 터키 (-­‐50.6%),  헝가리(-­‐51.9%),  폴란드(-­‐53.0%),  에스토니 아(-­‐53.2%),  칠레(-­‐62.5%),  멕시코(-­‐68.9%)  등 동유럽 이나 중남미에 위치한 개발도상국들이다.  
  • 17. •  비효율적인 노동시간 개선이 필요하다.   •  (노동시장 개선을 위해)  정규직 노동자에 대 한 고용 보장을 줄이는 대신 비정규직 노동 자에 대한 사회적 보호를 넓히고,  훈련 프로 그램을 개선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