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03
Download to read offline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2013. 1.
수탁기관 : 미래전파공학연구소
제 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연구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년 1월
수 탁 기 관 : 미래전파공학연구소
연 구 책 임 자 : 안 준 오
참 여 연 구 원 : 신 한 철
장 나 래
전 우 관
목 차
■ 요약문 ···································································································································viii
제1장 개요 ····································································································································1
제2장 전자파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조사 및 분석 ············································3
제1절 해외 주요국의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도 및 기술기준 ································3
1. 유럽 ·····························································································································4
2. 영국 ·····························································································································8
3. 미국 ···························································································································13
4. 일본 ···························································································································16
5. 국제표준 및 적용사례분석 ···················································································24
제2절 국내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도 및 기술기준 ················································46
1. 전자파적합성 법제도 및 기술기준 ·····································································46
2. 정보통신, 전기, 건축물 등 엔지니어링 제도 ···················································48
제3장 전자파적합성 ․ 안전관리 산업 규모 및 특허 현황 분석 ······································52
제1절 전자파적합성 산업현황 ··························································································52
1. 전자파적합성 소재․부품 산업현황 ······································································52
2. 전자파적합성 시험․인증 시장 현황 ····································································53
3. 전자파적합성 산업비용 현황 ···············································································54
제2절 국내 안전관리 산업현황 ························································································56
제3절 특허맵 분석을 통한 국내 전자파 안전성 기술수준 분석 ······························59
1. 특허 관점에서의 기술 수준 ·················································································59
2. 특허맵 분석 ·············································································································60
3. 특허동향조사 결과 ·································································································65
제4장 국내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 및 법령정비 방안 ······························67
1.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의무화 대상 설비 지정 ·············································67
- iv -
2.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방법 개선 ·····································································68
3.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사후관리 ·······································································68
4.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제도 법령정비 방안 ···················································69
5.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기술기준 및 평가방법 ···············································71
제5장 결론 ··································································································································74
[부록] 연구반 회의 개최 자료 ································································································76
- v -
표 목 차
<표 1-1> 전자파 오동작 사례 ····································································································2
<표 2-1> 유럽연합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4
<표 2-2> 영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9
<표 2-3> 미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13
<표 2-4> 일본 전자파 장해 규제대상 기기 ··········································································17
<표 2-5> 일본 전기용품의 기술기준 성령상 전기용품 종류 ············································18
<표 2-6> 일본 PSE 마크 ···········································································································18
<표 2-7> 일본 정보기술장치(ITE) 구분 ··················································································20
<표 2-8> 일본 기술기준 적합확인 ··························································································21
<표 2-9> 일본 VCCI 기술기준 전원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22
<표 2-10> 일본 VCCI 기술기준 통신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22
<표 2-11>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1) ···············································22
<표 2-12>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2) ···············································23
<표 2-13> 일본 정보기술장치별 VCCI 마킹 방법 ·······························································23
<표 2-14>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 요구조건 ····························································25
<표 2-15> 전자파 적합성 제어 계획 ······················································································25
<표 2-16> 전자파 적합성 시험 계획 ······················································································26
<표 2-17> IEC61508의 세부규격 ······························································································28
<표 2-18> IEC61000 시리즈의 구조 ························································································29
<표 2-19> 예상되는 전자파 환경의 현상과 종류 ································································30
<표 2-20> 기존 전기철도에서 발생한 주요 문제점 ····························································37
<표 2-21> 전기철도 구성 시스템에 따른 EMC 관리대상 설비 ········································38
<표 2-22> 철도시스템의 EMC 분석 ························································································39
<표 2-23> 자동차 안전 무결성 레벨의 결정 방법 ······························································43
<표 2-24> 국내 전자파적합성 고시 주요 개정내용 ····························································47
<표 2-25> 국내 정보통신 관리제도 ························································································48
<표 2-26> 국내 전기설비 관리제도 ························································································49
<표 2-27> 국내 인증 및 안전관리 제도 현황 ······································································51
- vi -
<표 2-28> 국내외 기기 인증제도 및 안전관리 제도 현황 ················································51
<표 3-1> 전자파적합성 부품 시장 규모 예측 ······································································52
<표 3-2> 전자부품 시장 규모(2008년) ····················································································53
<표 3-3> 국내 전자파적합성 시험․인증 건수 ········································································53
<표 3-4> 국내 전자파적합성 시험․인증 산업규모 ································································54
<표 3-5> 국내 전자파적합성 산업비용 ··················································································55
<표 3-6> 국내 주요 안전관리 공사 실적 ··············································································56
<표 3-7> 국내 주요 안전관리 산업 규모(2011년) ································································57
<표 3-8> 해외 안전관리 산업 규모 ························································································57
<표 3-9> 국내 정보통신 기술자 및 감리원 현황 ································································58
<표 3-10> 미국특허에서 국가별 기술수준 순위 ··································································60
<표 4-1> 전자파 산업육성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의 장·단점 ························70
<표 4-2> 전자파 안전관리 규정 추가의 장·단점 ······························································70
- vii -
그 림 목 차
[그림 2-1] 유럽연합의 적합성평가 및 고정설비 비교 ··························································6
[그림 2-2] 일본 자주규제 시스템 ····························································································21
[그림 2-3] 기능 안전 관련 규격 체계 ····················································································27
[그림 2-4] IEC 61000-1-2와 상호 관련된 표준 ····································································32
[그림 2-5] 단순 EFS를 위한 기능적 안전절차를 위한 전자파 적합성 개요 ···············33
[그림 2-6] EMC 관리절차 ··········································································································36
[그림 2-7] 전기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37
[그림 2-8]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41
[그림 2-9]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42
[그림 2-10] 정유공장에서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44
[그림 2-11] 국내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47
[그림 2-12] 국내 전자파적합성 제도 ······················································································48
[그림 3-1] 국가별 기술영향력의 구간별 추이 비교 ····························································60
[그림 3-2] 전자파 환경 분야의 세부 기술별 점유율 및 특허출원 동향 ······················61
[그림 3-3] 전자파 안전성 관련 기기보호기술 분야의 특허공보별 점유율 및 특허출원
동향 ··············································································································································62
[그림 3-4] 기기보호기술 분야의 주요국의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63
[그림 3-5] 특허점유율 및 증가율에 따른 포트폴리오 분석 ··············································64
- viii -
< 전자파 안전성 >
인증 받은 개별 기자재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구현되는 주요 ICT 인프라
에서 노출되는 외부 전자파환경을 평가하고, 인프라 내부로의 전자기적
결합을 분석하여 최적의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인프라를 구성하는 개별 기자
재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및 외부 고출력 전자파로부터
의 보호능력
요 약 문
1. 제목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2.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o 현재 전기철도, 변전소, 통신센터 등 대부분의 대형·복합시설은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이용하고 있는 시설물로 이러한
주요 인프라 시설 및 설비는 전자파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함
o 전자파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존의 방송통신기자재 수준에서의 전자파
적합성(EMC) 범주보다 더 확대된 대형·복합 시스템 및 설비의 내부, 외부 및
설비 간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이 요구됨
- 기존 제품단위의 전자파적합성과는 별도로 통신기기를 포함한 전자제품의
총합으로 구성된 철도교통, 송·배전, 통신시설 등 주요 인프라는 시스템의
설치상태 및 외부 전자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자파 안전성 확보가 중요
- ix -
항목 기존 신규
연구 개념 전자파 적합성 전자파 안전성
대상 기기 방송통신기자재 등 기기 ICT, 공장, 철도 등 시설
국제 표준 CISPR 중심 ITU-T, IEC
연구 대상 제품수준의 적합성 시설의 기능적 안전성
전자파 특징 비의도 전자파 의도 + 비의도 전자파
국내제도 전자파장해방지 및 보호 전자파 엔지니어링(계획)
<전자파 안전성 기술개발 개념도>
o 주요 시설의 기능적 안전성(functional safety) 확보를 위한 EMC 엔지니어링
기술은 다양하고 복잡화하고 있는 전기·전자 및 전자파를 이용하는 복합
설비를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로 선진 주요국에서는
이미 적용 중에 있음
- 유럽의 경우는 EU 이사회에서 대형·네트워크 등 고정설비에 대한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를 의무화 하고 있음
※ Directive 2004/108/EC of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f 15 Dec. 2004
- x -
- 또한 IET(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서도 복합 및 단순
설비에 대한 “EMC 기능 안전성”에 대한 절차와 방법 등에 대해 발표함
- 미국의 경우도 원자력시설 등 주요 인프라 시설에 대하여 전자파로부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지침서와 기술보고서를 마련하여 시행중에 있음
o 국내에서도 방송통신 기술이 전기, 철도, 건축 등 타 산업분야로 융합됨에
따라 대형 복합시설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영향 및 안전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기술연구 및 법제도화를 추진 중에 있음
o 따라서 주요시설의 EMC 기능적 안전성(functional safety) 확보를 위한 전
자파 관리의 기반 기술 연구 과제인 "ICT 시설 등 주요 인프라의 전자파
안전성 연구" 과제 수행에 있어서,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 및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가 필요함
o 특히 아래의 내용에 대한 조사·분석 및 연구추진이 필요
- 유럽, 미국 등 전자파 안전성 평가제도 마련 기관, 상세 내용 및 도입·시
행기관 현황 분석
- 특허맵 분석을 통한 국내 전자파 안전성 기술수준 조사
- 국내 전자파 안전성 제도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법령 정비방안
연구
- 국내 유사 엔지니어링 제도 분석 연구 등
o 또한 학계,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 ETRI, EMC 시험업체 등 관련
전문가 공동의 기술검토와 의견수렴들이 시기에 맞게 추진되어, 정부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추진을 위해 적기에 연구 결과들이 반영될 필요가 있음
o 이를 위하여 주요시설의 기능적 안전성(functional safety) 확보를 위한 전자파
- xi -
엔지니어링 연구반을 구성 및 운영하고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에
따른 국내외 전파자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등을 조사할 필요가 있
음
3. 연구의 목표 및 내용
3.1 연구 목표
o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반을 운영하여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에 대한 수요를 조사·분석하고 법제 도입을 위한 전자파엔지니어링
제도 및 기준을 도출코자 함
3.2 연구 내용
o 전파자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조사 및 분석
- 복합설비 안전성 관련 국제 표준 및 EMC 안전성 평가제도 관련 최근 표준화
기술 동향 분석
※ 유럽, 미국 등 주요국가의 관련 규정을 조사 분석하고, EMC functional safety 적용대상,
process, 방법론, 기술규격, 측정 및 평가방법(measurement & assessments) 등
- 국가별 전자파 안전성 평가제도 마련 기관 및 연구기관 동향 분석
- 국제 연구 기관의 연구 개발 동향 비교 분석
o 특허맵 분석을 통한 국내 전자파 안전성 기술수준 연구
- 전자파 환경 분야 중 기기보호, 전파감시, 인체보호 등 특허맵 분석
- 복합대형설비, 고출력 전자파 대응기술, 시스템레벨 EMC 기술에 대한 특허
점유율 조사 등
- xii -
o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기준 마련을 위한 전담반 구성 및 운영
-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 ETRI, EMC 시험기관, 정보통신 공사 관련
산업체, 학계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 전담반 구성(연구반원 구성시
ETRI 담당자에게 사전 확인절차를 거쳐야 함)
- 월별 1회의 정기회의 외에 국립전파연구원 혹은 연구반 소집 필요시 실무
전담반 회의 개최 및 지원
- 전자파 엔지니어링 연구 및 의견 수렴 등을 위한 워크샵 개최 및 지원(국외
동향 조사를 위한 출장 등 포함)
- 전담반 주요 연구 내용
· 유럽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및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국내 제도와의
차이점 및 시사점 도출
· 우리나라 정보통신, 전기, 건축 등 엔지니어링 제도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우리나라 전자파 엔지니어링 시장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전자파 엔지니어링 대상 건축물 또는 시설물 선정(안) 마련
·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 및 법령 정비 방안 마련
·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기준, 평가방법 등 마련
4. 연구결과
4.1 결과물 :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결과
보고서
o 연구 전담반 운영 결과 보고서
o 전자파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주사 분석결과
- xiii -
o 국내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 및 법령 정비 방안
o 국외 전자파 안전성 평가제도 마련 기관 및 연구 기관 동향 분석
o 전자파 안전성 기술 수준 특허맵 분석
o 국내 정보통신, 전기, 건축 등 엔지니어링 제도 분석
o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기준, 평가방법 등
4.2 제출자료
o 연구결과물이 담긴 CD-ROM 1부
5. 기대효과
본 결과물은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에 필요한 ICT 등 주요 인프라로 구성되
는 대형시설의 전자파 안전성 가이드라인 연구에 광범위한 활용이 기대되며,
향후 국내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에 필요한 기반 기술로서 활용이 할 수
있다.
- 1 -
제1장 개요
방송통신, 디지털 기기의 이용 활성화는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산업의
육성과 부가가치를 창출시켜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나, 전자기기의 이용확
대로 인한 전자파의 발생으로 역기능에 대한 문제도 함께 발생시키고 있다. 이
는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방송․무선통신 서비스에 간섭을 일으키
고 외부 전자파로부터 기기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표 1-1>에 그 사례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의 전파법령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가 다른 기기의 동작을 방해하는지 여부와 외부 전자파의 영향을 받을 때에도
기기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준수토록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전자 기기 단위로 적합성평가를 실시하고 기준에 적합한 인
증받은 제품만 시장에 출시 유통되도록 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전자․방송통신 기기 및 설비들은 융․복합 추세에 따라 복합적으
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상태에서의 전자파적
합성은 평가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방송통신 서비스 장해방지 및 기기 오
동작 방지 등 전자파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하여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설비에
대한 전자파적합성을 평가하여 관리하는 제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복합시설물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 확보를 외국의 경우 전자파 기능적
안전성 확보라고 하며 흔히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라 지칭한다. 즉, 전자파 안
전성이란 인증 받은 개별 기기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구현되는 주요 ICT 인프라
에서 노출되는 외부 전자파환경을 평가하고, 인프라 내부로의 전자기적 결함을
분석하여 최적의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인프라를 구성하는 별개 기자재가 안정
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및 외부 고출력 전자파로부터의 보호능력
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2 -
구 분 내 용
RFID, USN 기기
오동작 유발
- 유비쿼터스 서비스 확대로 가정 및 대형시설물에 RFID
및 USN기기들이 적용되어 서비스 되는데, 시설내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간섭 및 전자파 내성 부족으로 유비쿼
터스 기기가 오동작하여 물적 피해 및 인명피해 유발할
수 있음
- 항공기나 주변 통신시설 등에서 발생된 불요 전자파 등
으로 공항물류 창고내 RFID, USN기기의 데이터 전송
오류로 미국으로 발송되어야 할 항공 수화물이 영국으로
발송되는 사례 발생
태양광 발전 인버터로
인한 공장 기계
오동작 유발
-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증가
로 대형 고정시설 및 공장 등에 적용된 태양광 발전 인
버터에서 발생된 비정상 전자파로 인한 공장 기계의 오
동작으로 물적 피해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전기차 충전중 차량
급발진 사고
- 전기자동차 상용화로 인한 전기충전인프라가 확대되는
미래에 전기충전시설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 철도시스
템이 정지하거나, 제어불능상태가 되어 대형 사고를 유
발할 수 있음
무인 경전철 시스템의
잦은 고장
- 향후 무인 철도 및 경전철 시스템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철도시설내 또는 철도 주변시설에서 발생된 전자파로 철
도시스템이 정지하거나, 제어불능상태가 되어 대형 사고
를 유발할 수 있음
무인주차시설의
주차 관리원
사망 사고
- 전자파 적합성이 확보되지 않은 무인 주차시스템이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 간섭으로 차량용 승강기가
오동작하여 주차 관리요원이 인명피해를 입는 사례가 발
생할 수 있음
<표 1-1> 전자파 오동작 사례
- 3 -
제2장 전자파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조사 및 분석
제1절 해외 주요국의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도 및 기술기준
유럽연합(EU)에서는 전자파 적합성 지침(EMC Directive 2004/108/EC)을 제정
하여 2009년부터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기기 수준의 전
자파 적합성 인증에서 다루기 힘든 고정 설비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인
증을 하고 있다.
영국은 난 2007년 유럽집행위원회 EMC 지침에 의해 전자파 방해를 야기할
우려가 있거나 전자파 방해로 인하여 성능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비에
적용되는 전자파적합성 규칙(EMC Regulation 2006)을 제정하여 시행중이며
「UK Regulations SI 2006 No. 3418」에 따라 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미국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는 명확치는 않으나 전자파적합성 제도는 전
기통신법(1996)에 의해 미연방통신위원회(FCC)가 EMC 기술기준을 규정하고 인
증을 통해 확인 하고 있으며, 47 CFR 215 "Federal Government focal point for
electromagnetic pulse(EMP) information"에서 고출력 전자기파에 대한 국가 안
보 및 재난 대비 통신망의 보호를 규정하고 있고 관련 업무는 국가통신시스템
(National Communications System; NCS)에서 담당하고 있다.
일본은 전기용품안전법에 의해 라디오 및 TV에 방해를 주는 기기를 규제하
였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전자파 영향 규제는 VCCI(Voluntary Control Council
for Interference by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
의회)에서 담당하고 있다. VCCI 규격은 법률적인 규제력은 없지만, 시장전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법적규제는 근거조항이 없지만,
VCCI 회원제를 통해 법규제와 동등한 억제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외 주요국에서는 이미 전자파 엔지니어링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
고 있거나 기타 유사한 제도 내에서 전자파 안전성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
다. 본 절에서는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의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
도와 기술기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4 -
1. 유럽
1.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서는 전자파 적합성 지침(EMC Directive
2004/108/EC)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기에 대한 전자파 적
합성을 확인하는 인증제도(CE)를 마련하여 제조자, 판매자를 관리하고 있다. 특
히, 2007년 7월부터 대형․네트워크 등 고정설비1)에 대한 전자파적합성을 확인
하는 엔지니어링 제도를 의무화하여 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EMC 지침은 장비가 적절한 수준의 전자파적합성 요건을 준수하여 시장에서
기능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장비(equipment)는 기기(apparatus)
와 고정설비(fixed installation)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기기는 최종 사용자를 위해 하나의 기능성 개체로서 상용화 되고, 전자파 장
해를 유발할 수 있거나, 그 성능이 전자파 장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완성된
제품 및 그 조합을 의미한다.
<표 2-1> 유럽연합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구 분 내 용
법령 o EMC Directive
주관기관 o EU 집행위원회
제도
o 기기인증
o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관리
기술기준 o 유럽 통합표준(ETSI, CENELEC)
1) 고정설비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식의 기기들을 조립
하거나 설치하는 특정 조합을 의미하며 공장, 발전소, 전력/통신/컴퓨터 네트워크 설비, 공항
설비, 철도 기반시설 등에 해당한다. 고정설비는 엔지니어링(안전관리) 모범관행(good engineering
practices)을 적용하고 부품의 정상적 용도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장비의 보호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
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고정설비를 설치 운영하는 자는 기술기준에 만족하도록 엔지니어링을 실
시하고 기술기준 적합여부를 문서화하여 기록, 관리하여야 한다.
- 5 -
유럽연합은 위 지침에서 전자파적합성 기술기준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데, 전
기통신 설비 등이 정상 작동할 수 없게 하는 전자파 발생을 차단하고, 일반적
인 전자파에 의해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자파 내성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세부 기술기준은 유럽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통합표준(harmonized standard)
을 활용하여 기술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데, 장비의 보호요건은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가 무선 및 전기통신 장비나 기타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
게 하는 수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정상적인 사용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
는 전자파 장해로 허용 불가능한 수준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자파 장해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한다. 통합표준이란 유럽
표준(CENELEC, CEN, ETSI)중에서 의무적으로 준수하도록 유럽관보에서 지정
하는 표준으로써 공표된 통합표준을 준수하면 필수요건을 준수한 것으로 추정
한다.
기기 인증과 관련하여 기기들이 시장에서 유통하기 전에 제조자는 기술기준
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적합성선언(인증)을 실시한다. 기기인증 이후 EU
각 국가들은 기술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는 경우 시장에서 철수시키
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1.2 고정설비 안전관리
유럽연합 회원국은 고정설비에 대한 책임자를 지정하여야 하며, 책임자는 이
를 회원국에 신고하여야 한다. 엔지니어링 적합여부 문서는 고정설비가 운용되
는 동안 보관되어야 하며, 정부의 제출 요구 및 점검 또는 심사 시 제시하여야
한다.
고정설비에 대한 적합여부 확인은 고정설비의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징후가
있는 경우와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장해에 대한 민원이 제기되는 경우
실시하게 된다. 회원국은 기술기준을 준수하지 못한 사실이 확인 되면 고정설
비가 필수요건을 준수하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6 -
다만, 고정설비는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CE 인증, 자기적
합성선언 또는 공식 EMC 평가 적용 대상이 아니나, EMC 지침의 필수 요건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림 2-1] 유럽연합의 적합성평가 및 고정설비 비교
유럽연합의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모범관행의 전제조건으로 고정설비에 사용
되는 각 부품은 제조업체에서 모든 EMC 지침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
여야 한다. 이는 대형기기, 장비, EMC 지침 범위 외 부품 등에 관계없이 모든
부속품에 적용된다.
고정설비는 미리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들 역시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고, 이는 사용지침서를 통해 확인된다. 사용지침서에는 명시된
환경(특히 EMC 환경), 보호장비, 필터 등의 필수적인 추가 보조 장치, 외부연결
에 필요한 케이블의 사양과 길이, 사용조건, EMC 특별 예방책(equipotential
earthing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모범관행은 특정 고정설비에 적용되는 표준 및 실행코
드를 고려하여 적절한 기술적 관리(suitable technical behaviour)를 하여야 한
- 7 -
다. 다만, 모든 상황을 고려하는 설비 표준을 마련할 수는 없으므로 엔지니어링
모범관행에 따라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방출(emissions), 결합 또는 방사
(coupling & radiation), 내성(immunity) 조건의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
먼저 방출은 EMC 디자인을 통해 방사의 원인을 완화할 적절한 조치(필터나
흡수장치의 추가 등), 결합 또는 방사는 거리, 등전위 접지, 케이블 선택, 차폐
등과 관련된 적절한 조치, 마지막으로 내성은 민감한 장비를 다양한 방해 요소
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지정된 고정설비에 보호요구 조건을 적용할 경우, 외부환경과 구분하기 위해
해당 고정설비의 경계 및 지리적 한계를 반드시 정의하여야 하며, 전도된(고주
파/저주파) 방해요소가 정해진 경계선을 넘나들 수 있는 포트 및 인터페이스,
외부환경과의 커플링 메커니즘, 외부환경 또는 외부환경으로 부터의 방사를 필
수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다만, 고정설비 내에 조합된 각각의 기기들 간의
EMC 문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EU의 EMC Directive 2004/108에 언급된 기술기준과 고정설비에 대한 특정
요건은 다음과 같다.
o 보호 요건(Protection requirements)
장비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장할 수 있는 서술방식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조하여야 한다.(Equipment shall be so designed and manufactured, having
regard to the state of the art, as to ensure that:)
(a)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가 무선 및 전기통신 장비나 기타 장비가 정상적으
로 작동할 수 없게 하는 수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a) the electromagnetic
disturbance generated does not exceed the level above which radio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or other equipment cannot operate as
intended;)
(b) 정상적인 사용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전자파 장해로 허용 불가능한
수준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자파 장해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한다.((b) it has a level of immunity to the electromagnetic
- 8 -
disturbance to be expected in its intended use which allows it to operate
without unacceptable degradation of its intended use.)
o 고정 설비에 대한 특정 요건
고정설비는 엔지니어링 모범 관행을 적용하고 부품의 정상적 용도에 대한 정
보를 고려하여 1항에 제시된 보호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모범 관행을 문서화해야 하며 해당 문서는 담당 책임자가
고정 설비가 운영되는 동안 해당 기관의 점검 시 제출용으로 보관해야 한다.
(Specific requirements for fixed installations :
Installation and intended use of components
A fixed installation shall be installed applying good engineering practices and
resp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intended use of its components, with a view
to meeting the protection requirements set out in Point 1. Those good
engineering practices shall be documented and the documentation shall be
held by the person(s) responsible at the disposal of the relevant national
authorities for inspection purposes for as long as the fixed installation is in
operation.)
2. 영국
2.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영국은 지난 2007년 유럽집행위원회 EMC 지침에 의해 전자파 방해를 야기
할 우려가 있거나 전자파 방해로 인하여 성능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비
에 적용되는 전자파적합성 규칙(EMC Regulation 2006)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
다. 이는 유럽집행위원회 EMC 지침을 수용하여 기기에 대한 인증제도와 고정
설비에 대한 엔지니어링 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전자파 무해성 장비, 민강항공 분야의 공통규칙에 관한 유럽의회 및 유
- 9 -
럽이사회 규정(EC No.1592/2002)에 언급된 유럽항공안전국에서 정한 항공제품․
부품 및 기기, 무선장비 및 통신단말 장비에 관한 유럽의회 및 유럽이사회 지
침(1999/5/EC) 및 적합성 상호인정에 포함된 장비, 아마추어 무선장치, 유럽의
회 및 유럽이사회 지침(2004/22/EC)에 포함된 측정계기 또는 중간조립품, 무역
박람회 또는 이와 유사한 행사에 출품된 장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표 2-2> 영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구 분 내 용
법령 o EMC Regulation 2006
법령 제개정 기관 o 국무부
집행기관
o 지방정부
o Ofcom
제도
o 기기인증
o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기술기준 o 유럽 통합표준
전자파적합성 규칙에 따르면 모든 장비에 대한 필수 요구사항으로 장비가 발
생시킨 전자파 방해가 무선통신장비 또는 기타 장비가 의도된 대로 작동할 수
없는 레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예상되는 전자파 방해에 대해 본래의 기능
이 허용 불가능할 정도로 저하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일정한 수준의 내성을
가져야 한다.
전자파 장치는 위의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하여야 하며, 문서화된 적합성 평
가 절차에 따라 적합여부를 입증해야 한다. 또한 기술 문서를 작성하고 집행기
관이 이를 요청할 경우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적합성 선언서를 작성하
여야 한다. 그리고 장치는 제조자가 작성한 기술문서에 따라 제조하고 CE 마크
를 부착하여야 한다.
- 10 -
EC 적합성 선언은 장치가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선언
이다. 적합성 선언에는 EMC 지침의 언급, 해당 장치의 명칭, 제조자의 이름과
주소, 해당하는 경우 제조자의 공인대리인의 이름과 주소, 해당 장치가 EMC 지
침의 조항을 준수한다는 적합성이 선언된 시방서의 날짜, 적합성 선언일, 제조
자 또는 제조자의 공인대리인의 신원과 서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CE 마크는 장치가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경우와 책임자가 필수 요구사
항의 준수 여부를 입증한 경우, 제조자 또는 제조자의 공인대리인은 장치에 CE
마크를 부착하여야 한다. 다만, CE 마킹을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장치의
특성으로 부착할 수 없는 경우 부속 문서에 CE 마킹을 표시하여야 한다.
전자파적합성 규칙의 제정기관은 국무부이지만 실질적인 집행기관은 지방정
부의 무역표준국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무선스펙트럼 보호 및 관리와 관련된
집행은 통신위원회(Ofcom)가 담당하고 있다.
기기 인증은 유럽연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기의 시장 유통 전 적합성선언
(인증)을 실시하여야 하며, 기술기준 준수여부 확인 등 사후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인증기관(NB)은 국무부 장관이 지명한 기관으로써, 그 역할은 제조자가 요구
한 범위 내에서 기술문서를 평가하는 것이다. 제조자 또는 제조자의 공인대리
인은 방출 및 내성에 관한 필수 요구사항의 전부 또는 일부의 준수 여부를 입
증하기 위하여 인증기관을 참여시킬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인증기관을 참
석시키기로 하였다면 제조자는 내부 생산관리 절차를 완료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내부 생산관리란 제조자가 장치의 전자파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써, 장치가 모든 관련 통합 표준을 준수하고 있음을 입증하거나 통상적
인 모든 작동조건, 그 장치가 제조자가 장치 본래 용도의 모든 구성을 고려하
여 필수 요구사항에 대한 자체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결국 통합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해당 표준에 포함된 필수 요구사항의 부분을 준수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관련 통합표준의 일부만을 적용한 경우에는 적용된 통합표준에
포함된 필수 요구사항의 일부만을 준수하는 것으로 본다.
인증기관은 평가되는 기술문서의 해당 부분을 검토하게 된다. 평가해야 할
- 11 -
필수 요구사항들의 준수여부가 입증되면 인증기관은 그러한 취지의 진술서를
발급하게 되고, 제조자는 이 진술서를 기술문서에 추가하게 된다.
모든 관련 통합표준을 사용하는 것은 전자파 적합성 평가를 수행한 것과 동
일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통합표준의 일부만을 적용한 경우(예를 들어 방출에
는 적용하였지만, 내성에는 적용하지 않은 경우) 통합표준은 적용된 측면에 대
해서만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 유형에 따라 필수 요구사항을 완전하게 포함시
키기 위해서는 동시에 적용하는 통합표준이 둘 이상 있을 수 있다.
2.2 고정설비 안전관리
고정설비의 위의 모든 장비에 대한 필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지만, 적합
성 평가를 받거나 적합성 선언을 할 필요는 없으며, CE 마크를 부착할 필요도
없다. 그 이유는 앞의 유럽연합 부분에서 살펴보았다.
고정설비를 사용할 때에는 고정설비가 필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관리․통
제하는 고정설비 책임자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설비 책임자는 고정설비의
구성을 통제하고 그 설비가 우수한 공학기술(GEP)을 준수하였는지 입증할 수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설비에 사용되는 장치의 제조자에게는 그 설비의 전자파 적합성 특성을
파악하여 문서화할 것이 요구된다. 제조자는 설비의 전자파 적합성 특성을 충
분히 이해하여 그 장치를 적합하게 설계 또는 적용시킬 수 있고 특정 주의사항
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설비의 전자파 적합성 특성을 파악하는 것
은 고정설비의 적합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기준을 제공하고 요청시 증거를 제시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요구되는 상세 수준은 장치의 복잡성, 정해진 고정설비, 전자파 환경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간단한 상황에서는 통합표준에 규정된 환경을 적용하
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보다 복잡한 경우에는 설비 또는 환경의 다른
부분에 특정한 전자파 특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장치의 제조가가
책임진다.
- 12 -
자신의 책임을 이행하는데 있어 제조자는 고정설비 책임자를 포함하여 적절
한 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전자파적합성 규칙에는 고정설비 책임자에
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책임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제조자만이
장치에 대한 특성을 알고 있으며, 고정설비 책임자는 적합성 평가에서 제외되
어 있기 때문이다.
고정설비의 EMC 특성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면 제조자는 장
치를 시장에 출시하기 위한 적합성 평가 절차를 따를 수 있는 선택권을 갖는다.
고정설비가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정설비를 검사
할 수 있고 장비를 압수하거나 고정설비 전원을 차단 할 수 있다. 고정설비가
기술기준을 준수하지 못한 사실이 확인 되면 집행기관은 고정설비 사용자 또는
책임자에게 고정설비의 사용을 금지토록 통지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 고정설비가 다른 고정설비의 물리적 경계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고정설비 책임자가 다를 가능성이 높다. 각 책임자는 서로
다른 기관에 소속될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경우 두 기관 간에 계약 합의사항
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으며, 그 설비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도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각 고정설비의 적합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될 것이다.
첫 번째 경우에 각 고정설비가 EMC 지침의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지 여
부는 개별적으로 고려된다. 규모가 더 큰 고정설비의 책임자는 그 안에 포함된
규모가 작은 고정설비의 적합성에 대해 달리 합의하지 않는 이상 책임이 없다.
그러나 각 고정설비는 다른 고정설비의 전자파 환경의 일부가 되므로 고정설비
의 사용에 관한 일반의무(필수 요구사항 준수, 우수한 공학기술 준수 등)를 준
수하는데 주위환경을 고려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환경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장해가 발생하고 그 장해의 원인이 규모가 더 큰 고정설비 내에 있는 경우,
집행기관은 먼저 규모가 더 큰 고정설비의 책임자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규모가 더 작은 고정설비의 책임자도 이에 협력하여야 한다.
- 13 -
3. 미국
3.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미국의 경우 전자파적합성 제도는 전기통신법(1996)에 의해 미연방통신위원
회(FCC)가 EMC 기술기준을 규정하고 인증을 통해 확인 하고 있다.
<표 2-3> 미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구 분 내 용
법령 o 전기통신법 1996
주관기관 o 연방통신위원회(FCC)
기술기준
o CFR Part 15(EMC 기준 일반)
o CFR Part 18(산업과학의료용 기준)
미국의 기술기준은 방송통신기기와 산업과학의료용 고주파 이용기기에 대한
전자파적합성 기준을 각각 규정하고 있는데, Part 15에서는 의도적으로 전파를
발사하는 무선기기와 비의도적 전파를 발사하는 일반 방송통신기기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며, Part 18에서는 전자레인지, 유도 조리기구 등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전자파적합성 기술기준 중 전자파 방해방지 기준에 대해서만 규
정하고 있으며 전자파 내성 기준은 규정은 정하지 않고 있다. 이는 EMI 기준은
무선주파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엄격하게 규제하고, EMS 기준은 제품 및 신뢰
성에 관련되므로 정부에서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기기 인증제도의 경우 유럽연합, 영국과 마찬가지로 기기들이 시장에서 유통
하기 전에 제조자는 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적합성선언(인증)을
실시하게 되며, 시장에 유통 중인 기기에 대한 기술기준 준수여부를 확인하고
- 14 -
위반 시 수거, 인증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3.2 원자력 설비에 대한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전형적인 환경은 전기적 잡음의 많은 공급원을 포함하
는데, 예를 들면 휴대용 무전기(hand-held two-way radios), 아크 용접기, 대용
량 유도부하 개폐(switching of large inductive loads), 합선 고전류(high fault
current), 및 발전기 또는 송전 전압 단계 전환(switching)과 관련된 고 에너지
급속 과도현상(high-energy fast transients)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EMI/RFI 환경에 아주 큰 취약성을 보일 수 있다. 즉, 미국의 경우는 일반 기기
에 대한 전자파적합성은 인증 제도를 통해 확인하고 원자력설비 등 특별 설비
는 전자파 안전관리를 의무화하고 있다.
미국 「원자력 규제 위원회」에서는 원자력에 관한 미연방규정집 Part 50에
근거하여 원자력 설비를 전자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규제지침)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미연방 규정 10집 50부(10 CFR Part 50)에 해당하는 “제조 및 활용 시설의
국내 면허”에 관한 원자력규제위원회(NRC) 규정은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안전
에 중요한 구조, 시스템 및 부품이 환경 조건의 영향을 수용할 수 있도록(즉,
상정된 모든 서비스 조건하에서 기능적으로 정상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야 하
고, 시험에서처럼 설계 제어 측정이 설계의 적정성을 점검하는데 사용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미연방 규정집 10집 50부(10 CFR Part 50)의 50절 55a(h)에서 방호 시스템은
건설허가 발급 여부에 따라 IEEE Std 603-1991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안전시
스템을 위한 기준(Criteria for Safety Systems for Nuclear Power Generating
Stations),” 또는 IEEE Std 279-1971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방호시스템을 위
한 기준(Criteria for Protection Systems for Nuclear Power Generating
Stations),”의 요구조건을 반드시 충족하여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에 관한 전자파적합성(EMC) 프로
- 15 -
그램을 수립하여 이행하는 것은 안전관련 구조물, 계통 및 기기가 원자력발전
소의 사용 환경조건의 영향을 수용하고 그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됨을 확신시
켜 준다. 따라서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의 설비개선이나 새로운 설치에 따
른 설계, 시험 및 설치에 관한 합의된 기술표준 사례 적용이 그러한 프로그램
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결국 규제지침은 전자파 영향을 억제하기 위한 설계
및 설치사례, 기기의 전자파 방출(emission) 및 감응성(susceptibility)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사례, 그리고 기기의 전력서지내력(SWC)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사례
를 권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은 새로운 안전관련 계통이나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하이브리드(예: 아날로그 및 디지털 혼합형) 전자기기를 포함한 기존 안전관련
계통의 설비개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안전관련 기기의 전자파 방출,
EMI/RFI 감응성, 그리고 전력서지내력을 평가하기 위해 승인된 시험방법은 설
치 전에 시험시설 또는 실험실에 적용하려는 것이다. 또한 현장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어떤 독특한 EMI/RFI 발생원 존재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안전관련 계
측․제어 시스템 설치장소의 전자파 조건을 평가해야 한다. 여기에는 EMI/RFI 발
생장치는 휴대용 및 고정형 기기(예: 휴대용 송수신기, 아크 용접기, 전력공급
장치와 발전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계통 설치 시에 어떤 확인된 발생장치로부터 규정된 동작포락선
(operating envelopes)보다 아래로 8dB 이상의 EMI/RFI 수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동작포락선이 제대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기기
는 원자력발전소의 실제 설치상태와 같은 물리적 배열상태에서 시험이 수행된
다. 그 외에 기기는 시험 중에 정상 동작모드(의도된 기능 수행)에 놓여야 한
다. 또한 시험 후에도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의 물리적 배열은 유지되어야
하고 배열의 모든 변경사항은 관리되어야 한다.
그리고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서의 휴대용 EMI/RFI 방
사체(예: 용접기 및 송수신기) 사용을 금지하기 위하여 행정 통제를 위한 통제
구역(exclusion zone)을 설정하여야 한다. 통제구역은 설치지점과 휴대용
EMI/RFI 방사체의 사용허용 지점까지의 최소거리로 정의된다. 통제구역은 부지
- 16 -
특성과 특정발전소 안에서 사용된 휴대용 EMI/RFI 방사체의 유효방사출력과 안
테나 이득에 따라 달라진다.
4. 일본
4.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일본은 전기용품안전법에 의해 라디오 및 TV에 방해를 주는 기기를 규제하
였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전자파 영향 규제는 VCCI(Voluntary Control Council
for Interference by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
의회)에서 담당하고 있다. VCCI 규격은 법률적인 규제력은 없지만, 시장전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법적규제는 근거조항이 없지만,
VCCI 회원제를 통해 법규제와 동등한 억제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용품은 「전기용품안전법」에서 전자계강도를 규정
하고 있으며, 고주파이용설비 방사에 대해서는 「전파법」에서 규정하고 있고,
정보처리장치 및 전자사무기기에서 발생하는 방해파 방지를 위한 기술기준은
VCCI 협회에서 규정하고 있다.
전기용품안전법은 전기용품의 제조, 판매 등을 규제함과 동시에 전기용품에
의한 위험 및 장해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 법률규제를 받
는 제품은 특정전기용품과 특정전기용품이외의 전기용품으로 454품목이 규정
되어 있으며, 제조업자는 대상제품에 대해 전기용품의 안전성과 EMI의 적합확
인을 실시하여, 기기에 PSE 마크를 표시할 의무가 있다.
대상 제품의 제조 또는 수입업자는 기술기준적합의무(제8조) 등의 의무를 다
하고 사업자 스스로 법에 근거한 절차를 거쳐야 PSE 마크 표시가 가능하다(제
10조). 법을 근거로 한 표시가 없는 전기용품은 판매가 불가능하다는 제한을 두
고 있다(제27조).
- 17 -
<표 2-4> 일본 전자파 장해 규제대상 기기
원 칙 주요 기기
o 상용교류전원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계 및 부품 중 정령, 성령, 규칙 등
에서 지정한 것
- 즉, 건전지만으로 동작하는 것은 대상
제외
o 탈부착식 AV 아답터방식의 기기로
AC 아답터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
서는 대부분 대상 제외
o 전원의 전압(100V)에서 저압으로 변
압된 회로에 접속하는 부품 및 전원과
전기적 접속이 없는 부품은 대상 제외
※ 구체적으로 전기용품안전법시행령에서
정하는 454품목, 특정전기용품(115품목),
특정이외의 전기용품(339품목)
o 전기조리기구, 보온기, 포트, 커피메이커
등의 전기주방용품
o 냉장고, 전자렌지, 식기세탁건조기 등
주방가전
o 드라이기, 다리미, 세탁기, 환풍기, 청소기
등 일반 가전
o 에어컨, 선풍기, 가습기, 전기난로, 족욕기
등의 공조가전, 난방기구
o 전기장난감, 전동장난감, TV 게임기
o 형광등, 전등, 스탠드 등의 조명기기
o 스테레오, 라디오 DVD, TV 등의 AV
기기
o 마사지기, 고주파탈모기, 자기치료기 등
전기용품안전법 제8조에 의해 전기용품에 해당하는 제품은 「전기용품의 기
술기준을 정하는 성령」의 기술기준을 따라야 한다. 위 기술기준에서는 전기용
품의 안전성과 전자파 적합성을 요구하는데, 전기안전성은 가동부분 및 예리한
부분 등에 대한 기계적 요인과 감전, 전기불안전으로 인한 화재 등에 대한 전
기적 요인 등을 규제하고 있다. 전자파적합성은 제품에서 방출되는 잡음에 대
해 방출한도치를 규제하고 있다.
위 성령에서는 아래 <표 2-5>의 전기용품 종류별로 기술기준을 별표로 규정
하고 있다.
- 18 -
<표 2-5> 일본 전기용품의 기술기준 성령상 전기용품 종류
종 류 별 표
1. 전선 및 전기온상선 별표제1
2. 전선관, 플로어덕트 및 선관 및 이들 부속품 별표제2
3. 퓨즈 별표제3
4. 배선기구 별표제4
5. 전류제한기 별표제5
6. 소형단상변압기 및 방전등용 안정기 별표제6
7. 전기용품안전법시행령 별표제2제6에서 말하는 소형교류전동기 별표제7
8. 전기용품안전법시행령 별표제1 제6호~제9호 및 별표제2 제7
호~제11호의 교류용 전기기계기구 및 휴대발전기
별표제8
9. 리튬이온 축전지 별표제9
<표 2-6> 일본 PSE 마크
구분 마크 대체표시
특정 전기용품
※ 실제는 상기 마크와 함께 인정,
승인검사기관의 마크, 제조사업
자 명칭, 정격전압, 정격소비전력
등이 표시됨
<PS>E
특정 전기용품 이외
용품
※ 실제는 상기 마크와 함께 제조사
업자의 명칭, 정격전압, 정격소비
전력 등이 표시됨
(PS)E
- 19 -
전자파적합성(잡음 허용치)을 규제하는 전기용품에는 고주파 이용기기, 라디
오수신기/TV수신기 및 관련기기, 디지털기술 응용기기, 전열기구, 전동력 응용
기기 및 배선기구, 형광램프, 조명기기, 고주파변조기를 가지는 기기, 휴대발전
기가 있다.
원칙적으로 「전기용품안전법」에서 규정하는 ‘특정전기용품’ 및 ‘특정
전기용품이외의 용품’ 이외의 제품은 규제대상에서 제외되며, PSE 마크 없이
도 판매가 가능하다. 대상 외 제품에는 PC, 프린터 등 PC 및 그 주변기기, 전
화기, FAX, 무선통신기기, 스팀청소기, UHF 컨버터 등이 있다.
기술기준 확인의무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EMI 적합확인을 만족시키는 경
우 PSE(Product+Safety+Electrical appliance & materials) 마크를 부착한다.
4.2.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의회
일본의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의회(VCCI)는 국제전기표준회의(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국제전파장해특별위원회(CISPR) 권고
(Publication 22)를 근거로 우정성 전기통신기술심의회가 1985년 12월, 「정보처
리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방해파의 허용치 및 측정법에 대한 기술규격」을 정리
하여 우정대신에 보고하였고, 우정성은 관련업계에 전파방해방지에 대한 요청
을 실시하여 1985년 12월 신기계공업회, 일본사무기계공업회, 일본전자기계공
업회, 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는 정보처리장치, 전기통신기기 및 전자사무용기기
에서 방해파를 일으키는 장해에 대해 자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VCCI를 설립
하였다.
일본 EMC 규제에는 VCCI 규격이 있으며, VCCI 협회에서 자주규제조치운용
규정, 기술기준, 시험기기의 교정방법, 시장발취시험 등을 규정하고 있다. 기술
기준은 국제규격(IEC)의 개정에 따라 매해 개정하고 있으며, ① 목적, 적용범위,
② 참조문서, ③ 용어 정의, ④ 허용치, ⑤ 측정설비, ⑥ 측정방법, ⑦ 측정설비․
장치의 부정확성 등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VCCI의 자주규제조치는 일본에서 제조되는 정보기술장치(ITE: Information
- 20 -
Technology Equipment)에 해당되는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CLASS A 정보기술장치」 및 「CLASS B 정보기술장치」로 분류된다.
<표 2-7> 일본 정보기술장치(ITE) 구분
구 분 내 용
CLASS A
o CLASS A 정보기술장치의 방해허용치를 만족시키지만, CLASS B
정보기술장치의 방해허용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모든 정보기술
장치
CLASS B
o CLASS B 정보기술장치의 방해허용치를 만족시키는 장치
o CLASS B 정보기술장치는 주로 가정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을 의도
한 장치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장비가 포함됨
- 사용장소가 고정되어있지 않은 장치: 예로, 내장전지를 충전하여
동작하는 포터블장치
- 전기통신회선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통신단말장치
- 전기통신회선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통신단말장치
- 팩시밀리
※주: 가정환경이란 해당 기기에서 10m이내의 거리에서 라디오, TV 등의
방송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이 예상되는 환경을 말함. 주택환경이라고도 함
자주규제조치는 VCCI의 회원이 자사의 ITE에 대해 일본국내 출하에 앞서 방해
파 규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자사 제품의 CLASS를 구분하여 적합확인을 신고
한 후 기기에 해당 표시를 부착하여 출하해야 한다.
- 21 -
[그림 2-2] 일본 자주규제 시스템
VCCI 회원은 자사의 ITE가 협회에서 규정하는 기술기준의 허용치에 적합함
을 확인해야 한다.
<표 2-8> 일본 기술기준 적합확인
구 분 내 용
기술기준의
적합확인
o 회원은 ITE의 적합확인시험을 실시, 동 협회의 기술기준에 적
합함을 확인
o 적합확인시험은 6항에서 등록된 측정설비를 사용해야함
적합확인 신고
o 회원은 ITE 적합확인시험을 실시한 후, 별도로 정하는 「적합
확인신고」를 제품의 출하까지 협회에 제출하고 그 수리증명을
받아야함
※ 적합확인신고는 수리증명발행까지는 약 1주간 소요
VCCI 기술기준은 CLASS 별로 전원포트전도방해파, 통신포트전도방해파, 방
해파전계강도 허용치를 만족하여야 한다.
- 22 -
<표 2-9> 일본 VCCI 기술기준 전원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구 분 주파수 범위
허용치
준첨두치 평균치
CLASS A
150㎑ ~ 500㎑ 79dB 66dB
500㎑ ~ 30㎒ 73dB 60dB
CLASS B
150㎑ ~ 500㎑ 66~56dB 56~46dB
500㎑ ~ 5㎒ 56dB 46dB
5㎒ ~ 30㎒ 60dB 50dB
<표 2-10> 일본 VCCI 기술기준 통신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구 분 주파수 범위
전압허용치 전류허용치
준첨두치 평균치 준첨두치 평균치
CLASS A
150㎑ ~ 500㎑ 97~87dB 84~74dB 53~43dB 40~30dB
500㎑ ~ 30㎒ 87dB 74dB 43dB 30dB
CLASS B
150㎑ ~ 500㎑ 84~74dB 74~64dB 40~30dB 30~20dB
500㎑ ~ 30㎒ 74dB 64dB 30dB 20dB
<표 2-11>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1)
구 분 주파수 범위 준첨두허용치
CLASS A
30㎒ ~ 230㎒ 40dB
230㎑ ~ 1000㎒ 47dB
CLASS B
30㎒ ~ 230㎒ 30dB
230㎑ ~ 1000㎒ 37dB
※주: 측정거리 10m
- 23 -
<표 2-12>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2)
구 분 주파수 범위 평균치허용치 첨두허용치
CLASS A
1~3GHz 56dB 76dB
3~6GHz 60dB 80dB
CLASS B
1~3GHz 50dB 70dB
3~6GHz 54dB 74dB
※ 주: 측정거리 3m
VCCI는 표시방법 및 카탈로그․취급설명서의 기재형식을 별도로 지정하고 있
어 CLASS 군별로 별도의 표시를 부착하여야 한다.
<표 2-13> 일본 정보기술장치별 VCCI 마킹 방법
구 분 내 용
CLASS A
o 출하품마다 다음의 문구를 보기 쉬운 곳에 부착해야함
이 장치는 CLASS A 정보기술장치입니다. 이 장치를 가정환경에
서 사용하면 전파방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사용
자가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VCCI-A
CLASS B
o 아래의 마크를 보이기 쉬운 곳에 부착해야함
- 24 -
5. 국제표준 및 적용사례 분석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는 시스템-레벨에서의 전자파 사고의 급증으로 더욱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정연춘(2012)2)은 대형 시스템에서의 전자파 적
합성에 대해 서술한 MIL-E-6051D를 비롯하여 전기적/전자적 시스템의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몇 가지 지침을 소개하였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고 실제 시스템
에서 적용된 사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5.1 MIL-E-6051D
MIL-E-6051D는 군사규격으로 전자파 적합성 환경의 제어를 포함하여 낙뢰보
호, 정전기, 본딩과 접지 등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 요구사항의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해당되는 모든 전기적/전자적 시스템, 서브시스템 및 장비는
모두 이 규격을 의무적으로 준수하도록 되어있다.
전자파 적합성 요구사항으로 “시스템 전자파 적합성 프로그램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rogram, EMCP)”, “시스템 자격요건”, 전자
파 적합성 프로그램의 세부사항이 포함된 “제어 계획”등이 있다.
EMC 요구사항 중 EMCP는 시스템을 위한 전반적인 전자파 적합성 프로그램
으로 본 규격에서 제시한 기준과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 사양 기반의 접
근방식, 기획, 기술적 판단 기준과 관리제어 방안안과 같은 기술적·관리적 부
분을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시스템이 갖춰야할 요구사항은 공중과 지상에서 운용되는 모든 시
스템(서브 시스템과 장비포함)이 시스템 적합성에 부합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
위한 조건으로 사후관리보다는 초기 설계시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해야 하며,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한의 요구조건은 아래 <표2-14>와 같다.
2) 정연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KIEES Journal》, 23권 8호, pp.
942~949.
- 25 -
<표 2-14>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 요구조건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 요구조건
- 서브시스템 및 장비의 임계 범위
- 열화 판정기준
- 간섭과 민감성 제어
- 배선과 케이블
- 전력
- 본딩과 접지
- 낙뢰보호
- 정전기
- 인체 위험
- 폭발물과 군수품에 대한 전자파 위험
- 외부 환경
- 진압(억제) 요소
마지막으로 전자파 적합성에대한 제어 계획은 EMCP를 위하여 <표 2-15>와
같이 세부사항을 설명하고 있으며, 고객에게 검토 및 승인을 받아야 한다.
<표 2-15> 전자파 적합성 제어 계획
전자파 적합성 제어 계획
- 책임과 권한
- 상근 및 비상근 전자파 적합성 인력의 수와 경력
- 전자파 적합성을 보장하는 방법 및 요구사항
- 표준에 따라 해결되지 못한 문제의 해결책을 위한 예측된 문제 영역과
제안된 방안
-시스템 안테나로부터 방사 특징
- 케이블 설계 등과 같은 일반적 접근 방법
- 26 -
-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부식 제어 요구사항의 영향
- 낙뢰보호를 위한 판단기준과 필요한 시험
- 강수공전과 추진 서브시스템 충전을 포함한 대전을 위한 판단기준 및
필요한 시험
- 일정 및 마일스톤
전자파 적합성 시험 계획의 주요 내용은 <표 2-16>과 같으며 시스템 레벨의
전자파 적합성으로 일반적인 승인 레벨을 갖는다.
<표 2-16> 전자파 적합성 시험 계획
주요내용
- 시험소로부터의 증명된 시험 결과를 활용
- 시험 조건 및 절차
- 시험 위치 및 동작 성능을 모의하기 위한 배치에 대한 서술
- 관련 인력
5.2 IEC 61508
IEC3) 61508은 전기·전자적 프로그램이 가능한 안전 시스템의 기능적 안전
에 대한 국제규격으로 EN Standard로 채택되었다.4) 미국과 유럽 등 국외에서는
3)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이하 IEC). IEC는 지난 1904년 미
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국제전기회의 결과로 1906년 스위스 제네바에 창설됐다. IEC의 목적은 모
든 전기공학적 표준화 문제와 기타 관련 문제에 대해 국제적 협력을 증진하고 세계시장의 요구에 효
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IEC 활동은 전기전자분야의 표준화를 이룩하기 위해 회원국가와의 국제적
협력하에 IEC규격을 제정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제정된 규격을 세계 각국에 보급하여 모든 국가가
전기, 전자제품 및 이와 관련한 사항들을 이 규격에 맞게 표준화함으로써 전기, 전자제품에 대한 품질
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국제적 유통을 원활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4) IEC 61508은 1990년대 말 Edition1 이 발행되었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2010년에 Edition 2가 새롭게
개정되어 출간되었다. 주요 개정항목으로는 안전 라이프 사이클(IEC 61508-1), 용어의 정의 추가 개
- 27 -
2000년대 초부터 원전, 항공, 의료, 철도, 플랜트 산업과 같은 안전필수
(Safety-critical) 시스템의 안전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IEC 61508에 따른 기
능적 안정성 검증을 요구하고 있다.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대표적인 ISO 및
IEC 규격을 기본 규격에서 개발 제품 규격에 이르기까지 [그림 3-1]에 정리하
여 나타내었다.
자료: 월간 자동화기술(2012.12), p.65.
[그림 2-3] 기능 안전 관련 규격 체계
IEC 61508은 아래 <표 2-17>과 같이 총 7개의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IEC 61508-4), 하드웨어 안전도, 소프트웨어 안전도 관련 구성상 제약 사항(IEC 61508-2, IEC
61508-3)이 있다.
- 28 -
<표 2-17> IEC61508의 세부규격
Part 설 명
Part 0 기능적 안전과 IEC 61508
Part 1 일반 요구사항
Part 2
전기적/전자적/프로그램이 가능한 전자적 안전관련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Part 3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Part 4 정의 및 약어
Part 5 안전 무결성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
Part 6 IEC 61508-2와 IEC 61508-3의 적용지침
Part 7 수단 및 기법의 개관
IEC 61508의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개념은 점차 모든 IT 융합의 산업분야로
확대되는 추세이며 원자력 분야에서는 IEC61513과 IEC 60880, 철도 분야에서는
IEC 62278, 프로세스 산업분야에서는 IEC 61513,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IEC62304, 자동차 분야에서는 ISO 26263 규격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발전
되고 있다. 최근 유럽 등에 관련 제품을 수출하는 국내 기업에게도 IEC 61508
관련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관련 인증을 받기까지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해 수출장벽으로 작용함에 따라 전반적인 제품 안정 및 수출 활성
화를 위하여 IEC 61508을 비롯하여 시스템의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관심과 체
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5.3 IEC 61000-1-2
IEC 61508에서는 EMC에 대한 기능적 안전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언
급하지 않고 있으며, EMC 기본규격은 IEC 61000시리즈에서 다루고 있고 이 시
- 29 -
리즈는 전자파 현상의 전문용어와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파 환경, 측정,
시험과 측정기술과 설치 및 완화 지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5) 각 파트
에 대한 범주와 자세한 설명은 <표 2-18>과 같다.
<표 2-18> IEC61000 시리즈의 구조
Part 범 주 내 용
Part 1 일반
일반적인 고려사항(소개, 기본적인 원칙들, 안전)
정의 및 용어
Part 2 환경
환경에 대한 기술
환경에 대한 분류
적합성 레벨
Part 3 허용기준
방출 허용기준
내성 허용기준
Part 4
시험과
측정기술
측정기술
시험기술
Part 5
설치 및
완화지침
설치 지침
완화 방법과 장치들
Part 6 일반규격 Generic Standard
Part 7 그 이외
자료: 전자파기술원 Newsletter 통권 제5호
IEC 61000의 EMC 기본규격 중 각종 전자현상에 대한 전기·전자기기의 기능
적 안전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IEC 61000-1-2에서 서술하였다. 이
파트는 기능적 안전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전략, 성능 판정 조건, 시험 계
획, 내성 요구사항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6)
5) 전자파기술원 Newsletter 통권 제5호 “EMC 정의와 관련 규격가이드"를 참고
6) 이 부분은 월간 자동화기술(2012.12)을 참고하였다.
- 30 -
시스템의 기능적 안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라이프 사이클에 걸쳐
개념 단계에서부터 서비스 폐기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필요한 전자파
적합성 고려사항을 검토해야하고, <표 2-19>는 예상되는 각종 전자기적 현상에
대한 현상과 종류를 나타내었다.
<표 2-19> 예상되는 전자파 환경의 현상과 종류
현 상 종 류
정전기 방전(ESD) - 인간 및 기계
고출력 비핵 전자기파(HPEM)
고고도 핵 전자기파(HEMP)
a. 연속파형 또는 과도파형
b. 단발성 또는 반복성 버스트
c. 단발성 또는 반복성
d. 특정 조건 하에서 고려됨
저주파 전도 현상
- 고조파, 상호고조파
- 전력선 신호 전압
- 전압 요동
- 전압 강하 및 순간정전
- 전압 불평형
- 전력 주파수 변동
- 저주파 유도 전압
- 교류 망에서의 직류
저주파 복사 현상
- 자기장
- 전기장
고주파 전도 현상
- 직접 결합 또는 유도 연속파형전압 또는 전류
- 단방향성 과도 신호
- 진동파형 과도 신호
- 31 -
고주파 복사 현상
- 자기장
- 전기장
- 전자기장
◾ 연속파형
◾ 과도파형
자료: 정연춘(2012)
또한 전자기적 영향과 관련하여 기능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요구사항을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1) 제안된 혹은 존재하는 장비 또는 시스템의 구조, 설계, 의도된 기능의 정의
2) 관련된 전자기적 환경에 대한 설명
3) 안전 요구사항의 규정
4) 전자파 방해에 기인하여 안전 리스크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을 확인하기 위
한 의존성 분석
5) 안전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 시험 수행
6)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면, 설계 또는 설치 수단의 변경
7) 장비 또는 시스템이 규정된 안전 요구사항에 따라 성능을 발휘함을 증명하
는 검증 과정
8)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규정된 기능적 안전성을 확신하기 위해 운영 및 유지
보수 지시사항 작성
IEC 61000-1-2와 관련하여 기기의 안전 기능에 대한 평가기준으로서 FS라는
성능평가 기준을 규정하고 있는 범용 표준 초안인 IEC 61000-6-7이 있다. 기존
에 IEC 61000-6-2에서 비 안전관련 장비와 시스템의 EMC 평가기준이 있었으
나 안전관련 장비와 시스템에 대해서는 평가기준이 모호함에 따라 IEC
61000-6-2의 내용을 참고하여 “EMC와 기능적 안전성(EMC and Functional
safety)"의 안전관련 장비와 시스템의 EMC 평가 규격을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
- 32 -
를 진행하고 있다. 아래 [그림 2-4]는 EMC와 기능적 안정성과 상호 관련 있는
표준화 문서들을 나타내고 있다.
자료: Bernd Jaekel, “Current status of standardiz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and
functional safety", Przegląd Elektrotechniczny(June, 2012)
[그림 2-4] IEC 61000-1-2와 상호 관련된 표준
5.4 IET Guide
영국의 공학기술학회(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ET)에
서는 기능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전자파 적합성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에
대하여 작업반을 구성하여 검토하기 시작하여 2008년에 “기능적 안전을 위한
전자파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for Functional Safety, EFS)”이라
- 33 -
는 가이드라인을 출판하였다. 이 가이드는 IEC 61508과 IEC 61000-1-2의 규격
을 근간으로 작성되었으며 [그림 2-5]와 같이 관리 및 기술적 측면에 관한 실
질적이고 경제적인 절차를 제공하며 안전 및 임무에 임계적인 시스템에 적용하
기 적합한 관리 지침이다.
자료: www.theiet.org
[그림 2-5] 단순 EFS를 위한 기능적 안전절차를 위한 전자파 적합성 개요
- 34 -
위의 기능적 안전 절차를 위한 EMC의 개요는 크게 EFS 설계, 표준, EFS 생
성, EFS 작업, 폐기, 처분의 네 가지 단계로 구별 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총 10단계의 절차를 걸쳐 EMC에 대한 분석을 실행한다.
0 단계는 전체적인 전자기적 안전계획에 대한 내용으로 전체 담당자, 프로젝
트의 목표, EFS의 경계, 기간, 예산과 직원 및 책임당국을 결정에 대해 서술하
였으며 다음의 모든 단계를 관리하는 활동을 설정한다.
1단계는 시스템간의 전자기적/물리적 현상 결정을 위하여 라이프사이클 동안
EFS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는(타 장비 또는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출 포함) 최
악의 전자기적/물리적 외부 환경들을 결정한다.
2단계는 시스템 내부의 전자기적/물리적 현상을 결정하는 단계로 라이프사이
클 동안 동일한 EFS의 다른 부분으로 인해 노출이 예상되는 최악의 전자기적/
물리적 외부환경들을 결정한다.
3단계는 전자기적/물리적 현상에 대한 기능적 성능을 규정하기 위하여 EMI를
고려한 위험 식별 및 위험평가 수행과 전자기적 현상에 대한 시스템간 혹은 시
스템 내부의 각각의 최악의 경우를 위한 EFS 규격을 작성하고, EFS의 라이프
사이클 동안에 관련되는 물리적 환경 현상도 규정한다.
4단계는 EFS의 연구 및 설계로 EFS에 대한 전자기적/물리적 완화와 전자기
적/안전 설계 기술을 포함한 통합 표준제품 뿐만 아니라 EFS 사용자지침, 3단
계에서 검토된 라이프 사이클 동안 전자기적/물리적 성능사양에 부합되는 연구
와 설계에 대해 검토된다.
5단계는 전자기적/물리적 검증과 유효성 평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로 설계 및 실행절차의 설계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EFS에 대한 검증 및 유효
성에 대한 계획 작성과 3단계에서 제시된 규정에 대해 공정의 가장 높은 실용
적 단계에서 EFS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6단계는 표준제품 선택 및 주문제작하는 단계로 전자기적/물리적/성능의 사
양과 3단계에서 제시한 EFS 규격에 따라 전자기적/물리적/성능에 부합하고 4단
계에서 검토된 설계대로 전자기적/안전하게 설계한다. 또한 필수적인 전자기적/
물리적 사양은 제품의 구매단계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CE 마킹7)이 전자기
- 35 -
적 성능에 대한 증거로 대체될 수 없다.
7단계는 조립/설치/서비스 개시 및 EFS 검증의 단계로 오류 와 저품질(재료,
상품, 서비스, 서비스, 제작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QC)를 수행하고, 5단계에서 제시된 검증계획을 따라 전자기적
/물리적 성능을 검증해야한다.
8단계는 EFS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단계로 5단계의 검증계획에 따라 3단계의
사양에 부합하는 EFS의 전기적/물리적 성능을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9단계에서
라이프사이클 동안 EFS의 전자기적/물리적/성능적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
해 운영, 유지보수, 수리, 개조, 업그레이드, 수정, 폐기, 처분 등을 수행한다.
5.5 대형설비의 전자파적합성 평가 적용사례
복합설비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 평가절차는 프로젝트의 설계·제작 및 시험
단계와 병행하여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전체적인 절차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이
어야 하며 비교적 명료해야한다. [그림 2-6]는 EMC의 관리절차에 대하여 나타
내고 있다. EMC의 관리의 목적은 EMC 관련 규격에 따라 각 설비 및 시스템이
설계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초기 설계단계에서 중점관리를 통한 추가비용을
최소화 하고, 전자파 환경 분석과 영향예측, 장해 방지대책의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자 함에 있다.
다음은 시스템레벨에서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평가가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
여 알아보았다.
① 전기철도 시스템
전기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에대한 평가는 아래 [그림 2-7]과 같은 절
7) EU는 전자파 적합성 지침(EMC Directive)의 요구조건에 적합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표시로 장치에
CE 마킹을 부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특정 고정설비에 병합하기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상업
적으로는 사용 불가능한 장치에 대하여 일부 예외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러한 전자파 적합성 지침에
대한 요구사항에 부합함을 증명하기 위하여 CE 마크를 부착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 36 -
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 절차는 제출문서 요구사항에 따라 수립된 전체적인
전자파 적합성 관리 계획으로 시작된다.
[그림 2-6] EMC 관리절차
이로부터 시스템 내부, 시스템 상호간 및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에서의 시스템
레벨의 장비에 대한 간섭 요건의 분명한 정의에 기초한 전자파 적합성을 입증
하기 위한 기술적 전략이 수립된다.
기존의 전기철도에서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사항으로는 전차선 접촉
전압, 차량추진 제어장치, 차량 하부 시스템, 전력 공급장치, 신호 및 통신설비
장애 등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 <표 2-20>과 같다.
- 37 -
[그림 2-7] 전기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표 2-20> 기존 전기철도에서 발생한 주요 문제점
항 목 내 용
전차선 접촉전압
- 차량 운행 시 전차선과 집전장치와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높은 접촉전압이 설비의 오작동, 고장 및 전기 충격을 발생
차량 추진
제어 장치
- 기동 및 주행 시 많은 고조파를 유발
- 고조파가 분산이나 방사를 유발
- 38 -
차량 하부시스템
- 비용 절감을 목표로 설계하는 경우 EMC 특성을 간과
할 수 있음
전력 공급장치
- 열차의 주행으로 인한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하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무리가
따름
- 전력공급에 관한 규정 및 규칙을 준수하지 않으면 상
당한 장해가 발생
신호 및 통신
설비장애
- 시스템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 및 통신 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제약이 되는 주파수와 전자파의
정보 부재로 인항 장채 발생 가능성 내포
전기철도는 크게 차량, 신호, 전력 공급, 통신, 기계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각
시스템에 따른 관리 대상 설비를 <표 2-2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2-21> 전기철도 구성 시스템에 따른 EMC 관리대상 설비
항 목 내 용
차량
- 견인장치
- 보조 전원장치
- 제동장치
- 종합제어 장치
- 방송 및 표시기 장치
신호
- ATP/TD 장치
- 연동장치
- ATO 장치
통신
- 승객안내 설비
- 화상전송설비
- 전송설비
- 열차무선설비
전기 - 원격감시제어 설비 - 변전설비
기계 - 자동제어설비 - 스크린도어설비
- 39 -
이와 같은 시스템 내부에서의 전자파 적합성 분석(intra-system EMC
analysis), 각각의 시스템 상호간의 전자파 적합성 분석(inter-system EMC
analysis)와 나아가서 각각의 시스템과 외부 전자파 환경과의 영향을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에는 예비 위험 식별 회의, 위험 식별 연구 및 위험 로그
(hazard log)의 사용을 수반하는 방법, 시스템 내부·상호간·외부
(intra·inter·extra) 시스템 전자파 적합성 리스크 분석 등이 사용되며 아래의
<표 2-22>과 같다.
<표 2-22> 철도시스템의 EMC 분석
구 분
철도 시스템의 범위 외적요인
철도차량 전기설비 기계설비 통신설비 신호설비
철도차량 내부 상호간 상호간 상호간 상호간 외부
전기설비 내부 상호간 상호간 상호간 외부
기계설비 내부 상호간 상호간 외부
통신설비 내부 상호간 외부
신호설비 내부 외부
시스템 내부 EMC 분석은 하부시스템내의 모든 장비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
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과정으로 시스템 내 장비에서 발생하여 시스템 내부 인
접 장비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파장해 수준은 허용기준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하
며 시스템 내 장비는 시스템의 다른 장비가 방사하는 전자파의 허용기준 내에
서 적절히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서브시스템 내부 장비중 전자파 방사
장비와 취약 장비를 확인하여 EMI 위험요인을 기록하고 시스템 내부 EMI 위험
요인을 기준으로 서브시스템 내부 장비들을 검토하여 EMI 발생이 우려되는 상
황들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대책관련 사항들의 정의와 반영결과를 확인해야한
다.
시스템 간 EMC 분석은 각각의 하부시스템 상호간 제 기능을 수행하는 검토
하는 것으로 하부시스템 장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인접한 하부시스템 장비
- 40 -
에 중대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하고, 하부시스템 장비는 주변의 하부시스템들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의 허용기준 내에서 적절히 작동하는지 검토해야한다.
외부 시스템 EMC 분석은 철도 시스템의 외부에 있는 장비와 철도 시스템이
모두 제 기능을 수행하는지 검토하는 것으로 철도 시스템 장비는 철도 시스템
외부의 인접 장비에 중대한 전자파 장해를 일으키지 않아야하며, 철도 시스템
장비는 철도 시스템 외부의 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허용기준내의 전자파방사 환
경에서 적절히 작동하는지 검토해야한다.
철도시스템에 사용되는 전기전자기기가 만족해야하는 EMC의 성능 및 측정
평가법을 규정하는 IEC 622368)(국내KS C IEC 62236)규격에 부합해야하며, 이를
시험하기 위하여 전자파 방사 수준이 최고치로 예상되는 여러 장소를 선택하여
측정한다. 시험절차는 크게 사전환경조사, 수전단계9)조사, 차량투입단계로 나
누어 볼 수 있다.
사전환경조사 단계에서는 설치 전 전자파 환경을 측정하고 설치 후 환경 데
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기본데이터 파악, IEC 62236-2 규격에 따른 현장환경 측
정, 인근 철도 등 외적 요인으로 철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는 단
계이다.
수전단계 환경조사 단계에서는 사전환경 조사단계와 유사하게 수전 단계의
환경을 측정하고 차량 투입 후 환경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를 파
악하고 IEC 62236-2 규격에 따른 현장 환경 측정 및 인근 철도 등 외적요인으
로부터 철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철도시스템에서 외부 시스템으로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차량 투입 단계에서는 차량을 포함한 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환경을 측정하고
IEC 62236-2 규격에 따른 현장 환경 측정 및 인근 철도 등 외적 요인으로 철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평가하며 특정 장비의 전자파 방사를
측정하고 외적요인을 포함한 전자파 환경에서 철도 시스템의 기능적 이상 유무
8) 철도에서 EMC 전부를 완전하게 망라한 것은 아니며 철도시스템 전체와 기기가 발생하는 전파잡음 강
도의 허용치와 측정법, 기기가 갖추어야하는 내성에 관한 규정이 주된 애용으로 되어있다.(출처: 전자
파기술원 Newsletter 통권 제12호 “철도 EMC 기술동향”)
9) 예를 들면 한국전력으로부터 수전되어 전차선에 급전이 이루어지는 단계
- 41 -
를 시험한다. [그림 2-8]은 전기철도시스템의 시험절차를 그림으로 도표로 나타
내었다.
[그림 2-8]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② 상업적 빌딩
공항 또는 철도 부문 내에서 운영되는 빌딩과 같이 상업적 빌딩이 복잡한 전
자파 환경에 놓이게 되는 경우 EMC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빌딩 프로젝트의 착
수로부터 지침의 목표가 만족될 것이라는 보장할 필요가 있다. [그림 2-9]는 상
업적 빌딩에 적용되는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이다.
- 42 -
자료: 정연춘(2012)
[그림 2-9]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구축된 환경 내에서 전자파 적합성을 확보하는 것은 모델링과 측정으로 구성되
는 기술적 요소와 관리규칙(리스크 분석, 관련된 적합성 선언, 책임자 등)으로
기술적 요소를 패키지하는 관리계획 요소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 될 수 있다.
전자파 적합성 패키지는 전자파 적합성이 올바르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증빙하
는 보조 방법으로서 관리 과정에 대한 입력으로 기술적 평가로부터 얻어진 결
과물을 사용한다. 결합된 전체 패키지는 지침에 따라 전자파 적합성이 확보되
었음을 보증하는 증빙자료(혹은 파일)를 제공할 것이다.
설계 분석 단계에서는 대게 빌딩 자체와 플랜트 장비의 설계자 및 설치자가
준수하여야 하는 전자파 적합성 관리 계획의 준비를 포함한다. 설계 검토는 상
호 연계된 이슈로 예를 들면 추가적인 차폐를 제공하거나 보다 높은 레벨의 내
성을 가진 시스템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일을 포함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빌딩
의 상업적 운용은 빌딩의 수명에 따라 변하는 건물의 차폐에 대한 장기간 유지
보수에 관한 고려가 주어질 필요가 있으며, 케이블 작업 배치 전략은 가능한
프로젝트 초기에 정의되어야 한다.
- 43 -
또한 공항과 철도역과 같은 복잡한 전자파 환경에서 빌딩 내부에 있는 다양
한 시스템의 방출 및 내성 특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운영 구역을 정하는 것
(zoning)이 필요하다.
③ 자동차
자동차는 기능적 안전 측면에서 시스템으로 다루어지며, ISO 26262에 근거하
여 차량 탑재 전장부품 및 구동 소프트웨어에 대해 엄격하게 기능적 안전이 요
구되고 있다. ISO 26262는 총 9개 파트로 구성되며 과거의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제도와 달리 제조자에게 무한 입증 책임이 있다.
자동차 레벨에서 안전과 관련된 각각의 고장은 아래 <표 2-23>과 같이 자동
차 안전 무결성 레벨(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ASIL)로 평가되며 ASIL
은 다음의 세 가지 파라미터로 평가된다.
<표 2-23> 자동차 안전 무결성 레벨의 결정 방법
심각성
등급
확률 등급
제어 가능성 등급
C1 C2 C3
S1
E1 QM QM QM
E2 QM QM QM
E3 QM QM A
E4 QM A B
S2
E1 QM QM QM
E2 QM QM A
E3 QM A B
E4 A B C
S3
E1 QM QM A
E2 QM A B
E3 A B C
E4 B C D
- 44 -
① 확률 등급(Exposure, E): 운전 상황에서의 노출 되는 빈도[E1…E4]
② 제어 가능성 등급(Controllability, C): 그 상황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제어 가능성[C1…C3]
③ 심각성 등급(Severity, S): 그 상황에서 받게 되는 손상의 정도[S0…S3]
4가지의 ASIL(ASIL A, ASIL B, ASIL C, ASIL D)로 정의되며, ASIL A가 가장
낮은 수준의 안전 무결성 레벨이고 ASIL D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 무결성 레
벨이다. 이러한 4가지 레벨 외에 QM(Quality Management) 등급은 ISO 26262 준
수 요구 사항이 없음을 의미한다.
④ 정유공장
정유공장의 건설과 관련하여 [그림 2-10]과 같은 전자파 적합성이 검토된다.
자료: 정연춘(2012)
[그림 2-10] 정유공장에서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 45 -
특히, 엔지니어링 설계 단계에서 신설되는 설비가 기존 공장 지역 내 또는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경우 현장 조사하여 인접지역에 위치하는 공장들 간의
인터페이스 접지 및 케이블링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을 반드시 다루어야 한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전자파 발생원 및 피해 기기(전력선, 개폐기, 낙뢰 등) 그
리고 특별한 목적으로 건설된 전자파 발생원 및 피해 기기(민간 및 군용 무선,
TV 및 통신 송신기)의 식별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전자파 적합성 문제를 평가
해야한다.
적용 가능한 경우 공장 인수 시험 결과를 포함한 전기 계통 장비의 전자파
적합성 규격을 검토하고, 공장 지역의 전자파 환경 레벨을 고려한 운영 구역
지정 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리고 표준적인 전자파 적합성 대책방법과
IEC61000-5 시리즈와 같은 완화 조치의 검토가 필요하여 낙뢰가능성이 큰 지역
에 대해서 직접 낙뢰 및 낙뢰 전자파 펄스로 인한 장비의 손상이 예상되는 경
우는 추가적인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6)

신기술1차발표(p1)
신기술1차발표(p1) 신기술1차발표(p1)
신기술1차발표(p1)
 
A Study on High Precision Op-Amps
A Study on High Precision Op-AmpsA Study on High Precision Op-Amps
A Study on High Precision Op-Amps
 
IC Design of Power Management Circuits (I)
IC Design of Power Management Circuits (I)IC Design of Power Management Circuits (I)
IC Design of Power Management Circuits (I)
 
2017년 ict 10대 주목 이슈 20161130
2017년 ict 10대 주목 이슈 201611302017년 ict 10대 주목 이슈 20161130
2017년 ict 10대 주목 이슈 20161130
 
Power Management IC Overview
Power Management IC OverviewPower Management IC Overview
Power Management IC Overview
 
IoT Standards: The Next Generation
IoT Standards: The Next GenerationIoT Standards: The Next Generation
IoT Standards: The Next Generation
 

Similar to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준일 홍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kysnyou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atelier t*h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봉조 김
 

Similar to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20)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0019(홈네트워크시스템 표준공법연구 201212)
0019(홈네트워크시스템 표준공법연구 201212)0019(홈네트워크시스템 표준공법연구 201212)
0019(홈네트워크시스템 표준공법연구 201212)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고령친화산업 실태조사 및_산업분석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20121207 우면산 2차_원인보고서_(대한토목학회-초안)-파일용량_축소한것
 
135
 135 135
135
 
ce_grad
ce_gradce_grad
ce_grad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미래예측 기획 역량 고도화를 위한 기획연구 (임현)
 
기본공급약관
기본공급약관기본공급약관
기본공급약관
 
201011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가능 분야별 환경 분석 및 정책방향 연구(최종)
201011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가능 분야별 환경 분석 및 정책방향 연구(최종)201011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가능 분야별 환경 분석 및 정책방향 연구(최종)
201011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가능 분야별 환경 분석 및 정책방향 연구(최종)
 
AVR 기초와 응용 강의노트(최한호)
AVR 기초와 응용 강의노트(최한호)AVR 기초와 응용 강의노트(최한호)
AVR 기초와 응용 강의노트(최한호)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 중간점검보고서
 
서울시 정보통신 설계기준 - 2014
서울시 정보통신 설계기준 - 2014서울시 정보통신 설계기준 - 2014
서울시 정보통신 설계기준 - 2014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2012_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_한국인터넷진흥원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Indoor Location Tracking
Indoor Location TrackingIndoor Location Tracking
Indoor Location Tracking
 
예산모텔출장€텔레그램opp399☞예산출장샵○예산출장샵가격○예산오피출장○예산성인마사지/콜걸 예산성인안마
예산모텔출장€텔레그램opp399☞예산출장샵○예산출장샵가격○예산오피출장○예산성인마사지/콜걸 예산성인안마예산모텔출장€텔레그램opp399☞예산출장샵○예산출장샵가격○예산오피출장○예산성인마사지/콜걸 예산성인안마
예산모텔출장€텔레그램opp399☞예산출장샵○예산출장샵가격○예산오피출장○예산성인마사지/콜걸 예산성인안마
 
원주출장샵추천〓24시상담≠텔레/ssx166〓원주출장샵예약〓원주출장전문업체〓원주성인마사지〓원주콜걸『섹파』원주출장
원주출장샵추천〓24시상담≠텔레/ssx166〓원주출장샵예약〓원주출장전문업체〓원주성인마사지〓원주콜걸『섹파』원주출장 원주출장샵추천〓24시상담≠텔레/ssx166〓원주출장샵예약〓원주출장전문업체〓원주성인마사지〓원주콜걸『섹파』원주출장
원주출장샵추천〓24시상담≠텔레/ssx166〓원주출장샵예약〓원주출장전문업체〓원주성인마사지〓원주콜걸『섹파』원주출장
 
◐함평출장샵◑상담/문의∬라인wag58∬함평감성스웨디시↗함평타이↗함평스포츠건마
◐함평출장샵◑상담/문의∬라인wag58∬함평감성스웨디시↗함평타이↗함평스포츠건마◐함평출장샵◑상담/문의∬라인wag58∬함평감성스웨디시↗함평타이↗함평스포츠건마
◐함평출장샵◑상담/문의∬라인wag58∬함평감성스웨디시↗함평타이↗함평스포츠건마
 
남원출장업소≒라인58oss≒남원자택출장<<와꾸보장>>남원출장전문업체24시간 상담*남원아로마출장
남원출장업소≒라인58oss≒남원자택출장<<와꾸보장>>남원출장전문업체24시간 상담*남원아로마출장남원출장업소≒라인58oss≒남원자택출장<<와꾸보장>>남원출장전문업체24시간 상담*남원아로마출장
남원출장업소≒라인58oss≒남원자택출장<<와꾸보장>>남원출장전문업체24시간 상담*남원아로마출장
 
공주출장업소∈라인wag58∋공주출장/고객만족도 1위업소 언제어디서나 이용가능>>공주출장샵가격
공주출장업소∈라인wag58∋공주출장/고객만족도 1위업소 언제어디서나 이용가능>>공주출장샵가격공주출장업소∈라인wag58∋공주출장/고객만족도 1위업소 언제어디서나 이용가능>>공주출장샵가격
공주출장업소∈라인wag58∋공주출장/고객만족도 1위업소 언제어디서나 이용가능>>공주출장샵가격
 

More from 활 김

(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
(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
(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
활 김
 

More from 활 김 (20)

20161229 분쟁조정사례판례 포켓북
20161229 분쟁조정사례판례 포켓북20161229 분쟁조정사례판례 포켓북
20161229 분쟁조정사례판례 포켓북
 
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4차 산업혁명과 ict
4차 산업혁명과 ict
 
시스코 wIPS 소개자료
시스코 wIPS 소개자료시스코 wIPS 소개자료
시스코 wIPS 소개자료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Khidi+brief+vol.215(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14 c 59(lte-r과 ps-lte연동방안연구)
14 c 59(lte-r과 ps-lte연동방안연구)14 c 59(lte-r과 ps-lte연동방안연구)
14 c 59(lte-r과 ps-lte연동방안연구)
 
2016년도 제2회 정보통신기술사 필기문제
2016년도 제2회 정보통신기술사 필기문제2016년도 제2회 정보통신기술사 필기문제
2016년도 제2회 정보통신기술사 필기문제
 
20160726 074710(포켓몬go의 성공요인과 파급효과)
20160726 074710(포켓몬go의 성공요인과 파급효과)20160726 074710(포켓몬go의 성공요인과 파급효과)
20160726 074710(포켓몬go의 성공요인과 파급효과)
 
DVR과 NVR의 차이
DVR과 NVR의 차이DVR과 NVR의 차이
DVR과 NVR의 차이
 
(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
(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
(삼성테크윈) 네트워크 감시시스템_디자인가이드_20120921
 
20150925171021015 9 2015년분류체계
20150925171021015 9 2015년분류체계20150925171021015 9 2015년분류체계
20150925171021015 9 2015년분류체계
 
제1회건축물에너지평가사(필기)기출문제(20150823)
제1회건축물에너지평가사(필기)기출문제(20150823)제1회건축물에너지평가사(필기)기출문제(20150823)
제1회건축물에너지평가사(필기)기출문제(20150823)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20150529 by_hkim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20150529 by_hkim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20150529 by_hkim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20150529 by_hkim
 
에너지진단제도
에너지진단제도에너지진단제도
에너지진단제도
 
(10 진흥-나-18) 건축물내-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_공동구축_및_공동사용_활성화를_위한_법제화_방안_연구
(10 진흥-나-18) 건축물내-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_공동구축_및_공동사용_활성화를_위한_법제화_방안_연구(10 진흥-나-18) 건축물내-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_공동구축_및_공동사용_활성화를_위한_법제화_방안_연구
(10 진흥-나-18) 건축물내-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_공동구축_및_공동사용_활성화를_위한_법제화_방안_연구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2014 공동주택 품질검수_매뉴얼
2014 공동주택 품질검수_매뉴얼2014 공동주택 품질검수_매뉴얼
2014 공동주택 품질검수_매뉴얼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_위한_설계기준(국토부_고시_2015-141,_2015.3.16)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_위한_설계기준(국토부_고시_2015-141,_2015.3.16)공동주택 결로 방지를_위한_설계기준(국토부_고시_2015-141,_2015.3.16)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_위한_설계기준(국토부_고시_2015-141,_2015.3.16)
 
위례신도시광역교통대책 사업별 추진현황_자료(최종)
위례신도시광역교통대책 사업별 추진현황_자료(최종)위례신도시광역교통대책 사업별 추진현황_자료(최종)
위례신도시광역교통대책 사업별 추진현황_자료(최종)
 
영유아시설 대상 전자파_환경측정_결과
영유아시설 대상 전자파_환경측정_결과영유아시설 대상 전자파_환경측정_결과
영유아시설 대상 전자파_환경측정_결과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최종연구보고서

  • 1. 최종연구보고서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2013. 1. 수탁기관 : 미래전파공학연구소
  • 2. 제 출 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연구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3년 1월 수 탁 기 관 : 미래전파공학연구소 연 구 책 임 자 : 안 준 오 참 여 연 구 원 : 신 한 철 장 나 래 전 우 관
  • 3. 목 차 ■ 요약문 ···································································································································viii 제1장 개요 ····································································································································1 제2장 전자파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조사 및 분석 ············································3 제1절 해외 주요국의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도 및 기술기준 ································3 1. 유럽 ·····························································································································4 2. 영국 ·····························································································································8 3. 미국 ···························································································································13 4. 일본 ···························································································································16 5. 국제표준 및 적용사례분석 ···················································································24 제2절 국내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도 및 기술기준 ················································46 1. 전자파적합성 법제도 및 기술기준 ·····································································46 2. 정보통신, 전기, 건축물 등 엔지니어링 제도 ···················································48 제3장 전자파적합성 ․ 안전관리 산업 규모 및 특허 현황 분석 ······································52 제1절 전자파적합성 산업현황 ··························································································52 1. 전자파적합성 소재․부품 산업현황 ······································································52 2. 전자파적합성 시험․인증 시장 현황 ····································································53 3. 전자파적합성 산업비용 현황 ···············································································54 제2절 국내 안전관리 산업현황 ························································································56 제3절 특허맵 분석을 통한 국내 전자파 안전성 기술수준 분석 ······························59 1. 특허 관점에서의 기술 수준 ·················································································59 2. 특허맵 분석 ·············································································································60 3. 특허동향조사 결과 ·································································································65 제4장 국내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 및 법령정비 방안 ······························67 1.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의무화 대상 설비 지정 ·············································67
  • 4. - iv - 2.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방법 개선 ·····································································68 3.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사후관리 ·······································································68 4.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제도 법령정비 방안 ···················································69 5.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기술기준 및 평가방법 ···············································71 제5장 결론 ··································································································································74 [부록] 연구반 회의 개최 자료 ································································································76
  • 5. - v - 표 목 차 <표 1-1> 전자파 오동작 사례 ····································································································2 <표 2-1> 유럽연합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4 <표 2-2> 영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9 <표 2-3> 미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13 <표 2-4> 일본 전자파 장해 규제대상 기기 ··········································································17 <표 2-5> 일본 전기용품의 기술기준 성령상 전기용품 종류 ············································18 <표 2-6> 일본 PSE 마크 ···········································································································18 <표 2-7> 일본 정보기술장치(ITE) 구분 ··················································································20 <표 2-8> 일본 기술기준 적합확인 ··························································································21 <표 2-9> 일본 VCCI 기술기준 전원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22 <표 2-10> 일본 VCCI 기술기준 통신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22 <표 2-11>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1) ···············································22 <표 2-12>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2) ···············································23 <표 2-13> 일본 정보기술장치별 VCCI 마킹 방법 ·······························································23 <표 2-14>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 요구조건 ····························································25 <표 2-15> 전자파 적합성 제어 계획 ······················································································25 <표 2-16> 전자파 적합성 시험 계획 ······················································································26 <표 2-17> IEC61508의 세부규격 ······························································································28 <표 2-18> IEC61000 시리즈의 구조 ························································································29 <표 2-19> 예상되는 전자파 환경의 현상과 종류 ································································30 <표 2-20> 기존 전기철도에서 발생한 주요 문제점 ····························································37 <표 2-21> 전기철도 구성 시스템에 따른 EMC 관리대상 설비 ········································38 <표 2-22> 철도시스템의 EMC 분석 ························································································39 <표 2-23> 자동차 안전 무결성 레벨의 결정 방법 ······························································43 <표 2-24> 국내 전자파적합성 고시 주요 개정내용 ····························································47 <표 2-25> 국내 정보통신 관리제도 ························································································48 <표 2-26> 국내 전기설비 관리제도 ························································································49 <표 2-27> 국내 인증 및 안전관리 제도 현황 ······································································51
  • 6. - vi - <표 2-28> 국내외 기기 인증제도 및 안전관리 제도 현황 ················································51 <표 3-1> 전자파적합성 부품 시장 규모 예측 ······································································52 <표 3-2> 전자부품 시장 규모(2008년) ····················································································53 <표 3-3> 국내 전자파적합성 시험․인증 건수 ········································································53 <표 3-4> 국내 전자파적합성 시험․인증 산업규모 ································································54 <표 3-5> 국내 전자파적합성 산업비용 ··················································································55 <표 3-6> 국내 주요 안전관리 공사 실적 ··············································································56 <표 3-7> 국내 주요 안전관리 산업 규모(2011년) ································································57 <표 3-8> 해외 안전관리 산업 규모 ························································································57 <표 3-9> 국내 정보통신 기술자 및 감리원 현황 ································································58 <표 3-10> 미국특허에서 국가별 기술수준 순위 ··································································60 <표 4-1> 전자파 산업육성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의 장·단점 ························70 <표 4-2> 전자파 안전관리 규정 추가의 장·단점 ······························································70
  • 7. - vii - 그 림 목 차 [그림 2-1] 유럽연합의 적합성평가 및 고정설비 비교 ··························································6 [그림 2-2] 일본 자주규제 시스템 ····························································································21 [그림 2-3] 기능 안전 관련 규격 체계 ····················································································27 [그림 2-4] IEC 61000-1-2와 상호 관련된 표준 ····································································32 [그림 2-5] 단순 EFS를 위한 기능적 안전절차를 위한 전자파 적합성 개요 ···············33 [그림 2-6] EMC 관리절차 ··········································································································36 [그림 2-7] 전기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37 [그림 2-8]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41 [그림 2-9]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42 [그림 2-10] 정유공장에서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44 [그림 2-11] 국내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47 [그림 2-12] 국내 전자파적합성 제도 ······················································································48 [그림 3-1] 국가별 기술영향력의 구간별 추이 비교 ····························································60 [그림 3-2] 전자파 환경 분야의 세부 기술별 점유율 및 특허출원 동향 ······················61 [그림 3-3] 전자파 안전성 관련 기기보호기술 분야의 특허공보별 점유율 및 특허출원 동향 ··············································································································································62 [그림 3-4] 기기보호기술 분야의 주요국의 연도별 특허출원 동향 ································63 [그림 3-5] 특허점유율 및 증가율에 따른 포트폴리오 분석 ··············································64
  • 8. - viii - < 전자파 안전성 > 인증 받은 개별 기자재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구현되는 주요 ICT 인프라 에서 노출되는 외부 전자파환경을 평가하고, 인프라 내부로의 전자기적 결합을 분석하여 최적의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인프라를 구성하는 개별 기자 재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및 외부 고출력 전자파로부터 의 보호능력 요 약 문 1. 제목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2.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o 현재 전기철도, 변전소, 통신센터 등 대부분의 대형·복합시설은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이용하고 있는 시설물로 이러한 주요 인프라 시설 및 설비는 전자파에 대한 안전성 확보가 매우 중요함 o 전자파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존의 방송통신기자재 수준에서의 전자파 적합성(EMC) 범주보다 더 확대된 대형·복합 시스템 및 설비의 내부, 외부 및 설비 간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이 요구됨 - 기존 제품단위의 전자파적합성과는 별도로 통신기기를 포함한 전자제품의 총합으로 구성된 철도교통, 송·배전, 통신시설 등 주요 인프라는 시스템의 설치상태 및 외부 전자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자파 안전성 확보가 중요
  • 9. - ix - 항목 기존 신규 연구 개념 전자파 적합성 전자파 안전성 대상 기기 방송통신기자재 등 기기 ICT, 공장, 철도 등 시설 국제 표준 CISPR 중심 ITU-T, IEC 연구 대상 제품수준의 적합성 시설의 기능적 안전성 전자파 특징 비의도 전자파 의도 + 비의도 전자파 국내제도 전자파장해방지 및 보호 전자파 엔지니어링(계획) <전자파 안전성 기술개발 개념도> o 주요 시설의 기능적 안전성(functional safety) 확보를 위한 EMC 엔지니어링 기술은 다양하고 복잡화하고 있는 전기·전자 및 전자파를 이용하는 복합 설비를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로 선진 주요국에서는 이미 적용 중에 있음 - 유럽의 경우는 EU 이사회에서 대형·네트워크 등 고정설비에 대한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를 의무화 하고 있음 ※ Directive 2004/108/EC of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f 15 Dec. 2004
  • 10. - x - - 또한 IET(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에서도 복합 및 단순 설비에 대한 “EMC 기능 안전성”에 대한 절차와 방법 등에 대해 발표함 - 미국의 경우도 원자력시설 등 주요 인프라 시설에 대하여 전자파로부터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지침서와 기술보고서를 마련하여 시행중에 있음 o 국내에서도 방송통신 기술이 전기, 철도, 건축 등 타 산업분야로 융합됨에 따라 대형 복합시설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영향 및 안전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기술연구 및 법제도화를 추진 중에 있음 o 따라서 주요시설의 EMC 기능적 안전성(functional safety) 확보를 위한 전 자파 관리의 기반 기술 연구 과제인 "ICT 시설 등 주요 인프라의 전자파 안전성 연구" 과제 수행에 있어서,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 및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가 필요함 o 특히 아래의 내용에 대한 조사·분석 및 연구추진이 필요 - 유럽, 미국 등 전자파 안전성 평가제도 마련 기관, 상세 내용 및 도입·시 행기관 현황 분석 - 특허맵 분석을 통한 국내 전자파 안전성 기술수준 조사 - 국내 전자파 안전성 제도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법령 정비방안 연구 - 국내 유사 엔지니어링 제도 분석 연구 등 o 또한 학계,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 ETRI, EMC 시험업체 등 관련 전문가 공동의 기술검토와 의견수렴들이 시기에 맞게 추진되어, 정부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추진을 위해 적기에 연구 결과들이 반영될 필요가 있음 o 이를 위하여 주요시설의 기능적 안전성(functional safety) 확보를 위한 전자파
  • 11. - xi - 엔지니어링 연구반을 구성 및 운영하고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에 따른 국내외 전파자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등을 조사할 필요가 있 음 3. 연구의 목표 및 내용 3.1 연구 목표 o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반을 운영하여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에 대한 수요를 조사·분석하고 법제 도입을 위한 전자파엔지니어링 제도 및 기준을 도출코자 함 3.2 연구 내용 o 전파자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조사 및 분석 - 복합설비 안전성 관련 국제 표준 및 EMC 안전성 평가제도 관련 최근 표준화 기술 동향 분석 ※ 유럽, 미국 등 주요국가의 관련 규정을 조사 분석하고, EMC functional safety 적용대상, process, 방법론, 기술규격, 측정 및 평가방법(measurement & assessments) 등 - 국가별 전자파 안전성 평가제도 마련 기관 및 연구기관 동향 분석 - 국제 연구 기관의 연구 개발 동향 비교 분석 o 특허맵 분석을 통한 국내 전자파 안전성 기술수준 연구 - 전자파 환경 분야 중 기기보호, 전파감시, 인체보호 등 특허맵 분석 - 복합대형설비, 고출력 전자파 대응기술, 시스템레벨 EMC 기술에 대한 특허 점유율 조사 등
  • 12. - xii - o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기준 마련을 위한 전담반 구성 및 운영 - 방송통신위원회, 국립전파연구원, ETRI, EMC 시험기관, 정보통신 공사 관련 산업체, 학계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 전담반 구성(연구반원 구성시 ETRI 담당자에게 사전 확인절차를 거쳐야 함) - 월별 1회의 정기회의 외에 국립전파연구원 혹은 연구반 소집 필요시 실무 전담반 회의 개최 및 지원 - 전자파 엔지니어링 연구 및 의견 수렴 등을 위한 워크샵 개최 및 지원(국외 동향 조사를 위한 출장 등 포함) - 전담반 주요 연구 내용 · 유럽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및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국내 제도와의 차이점 및 시사점 도출 · 우리나라 정보통신, 전기, 건축 등 엔지니어링 제도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우리나라 전자파 엔지니어링 시장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전자파 엔지니어링 대상 건축물 또는 시설물 선정(안) 마련 ·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 및 법령 정비 방안 마련 ·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기준, 평가방법 등 마련 4. 연구결과 4.1 결과물 : 전자파 안전성 평가 기술수요 분석 및 연구반 구성 운영 결과 보고서 o 연구 전담반 운영 결과 보고서 o 전자파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주사 분석결과
  • 13. - xiii - o 국내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 및 법령 정비 방안 o 국외 전자파 안전성 평가제도 마련 기관 및 연구 기관 동향 분석 o 전자파 안전성 기술 수준 특허맵 분석 o 국내 정보통신, 전기, 건축 등 엔지니어링 제도 분석 o 전자파 엔지니어링 기술기준, 평가방법 등 4.2 제출자료 o 연구결과물이 담긴 CD-ROM 1부 5. 기대효과 본 결과물은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에 필요한 ICT 등 주요 인프라로 구성되 는 대형시설의 전자파 안전성 가이드라인 연구에 광범위한 활용이 기대되며, 향후 국내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에 필요한 기반 기술로서 활용이 할 수 있다.
  • 14. - 1 - 제1장 개요 방송통신, 디지털 기기의 이용 활성화는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산업의 육성과 부가가치를 창출시켜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으나, 전자기기의 이용확 대로 인한 전자파의 발생으로 역기능에 대한 문제도 함께 발생시키고 있다. 이 는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방송․무선통신 서비스에 간섭을 일으키 고 외부 전자파로부터 기기의 오동작이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으며 <표 1-1>에 그 사례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의 전파법령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가 다른 기기의 동작을 방해하는지 여부와 외부 전자파의 영향을 받을 때에도 기기가 정상 동작하는지 여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여 이를 준수토록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전자 기기 단위로 적합성평가를 실시하고 기준에 적합한 인 증받은 제품만 시장에 출시 유통되도록 하여 소비자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전자․방송통신 기기 및 설비들은 융․복합 추세에 따라 복합적으 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상태에서의 전자파적 합성은 평가하고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방송통신 서비스 장해방지 및 기기 오 동작 방지 등 전자파 역기능을 예방하기 위하여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설비에 대한 전자파적합성을 평가하여 관리하는 제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복합시설물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 확보를 외국의 경우 전자파 기능적 안전성 확보라고 하며 흔히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라 지칭한다. 즉, 전자파 안 전성이란 인증 받은 개별 기기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구현되는 주요 ICT 인프라 에서 노출되는 외부 전자파환경을 평가하고, 인프라 내부로의 전자기적 결함을 분석하여 최적의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인프라를 구성하는 별개 기자재가 안정 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 및 외부 고출력 전자파로부터의 보호능력 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15. - 2 - 구 분 내 용 RFID, USN 기기 오동작 유발 - 유비쿼터스 서비스 확대로 가정 및 대형시설물에 RFID 및 USN기기들이 적용되어 서비스 되는데, 시설내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간섭 및 전자파 내성 부족으로 유비쿼 터스 기기가 오동작하여 물적 피해 및 인명피해 유발할 수 있음 - 항공기나 주변 통신시설 등에서 발생된 불요 전자파 등 으로 공항물류 창고내 RFID, USN기기의 데이터 전송 오류로 미국으로 발송되어야 할 항공 수화물이 영국으로 발송되는 사례 발생 태양광 발전 인버터로 인한 공장 기계 오동작 유발 - 대체 에너지로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증가 로 대형 고정시설 및 공장 등에 적용된 태양광 발전 인 버터에서 발생된 비정상 전자파로 인한 공장 기계의 오 동작으로 물적 피해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 전기차 충전중 차량 급발진 사고 - 전기자동차 상용화로 인한 전기충전인프라가 확대되는 미래에 전기충전시설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 철도시스 템이 정지하거나, 제어불능상태가 되어 대형 사고를 유 발할 수 있음 무인 경전철 시스템의 잦은 고장 - 향후 무인 철도 및 경전철 시스템이 일반화된 상황에서 철도시설내 또는 철도 주변시설에서 발생된 전자파로 철 도시스템이 정지하거나, 제어불능상태가 되어 대형 사고 를 유발할 수 있음 무인주차시설의 주차 관리원 사망 사고 - 전자파 적합성이 확보되지 않은 무인 주차시스템이 내부 또는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파 간섭으로 차량용 승강기가 오동작하여 주차 관리요원이 인명피해를 입는 사례가 발 생할 수 있음 <표 1-1> 전자파 오동작 사례
  • 16. - 3 - 제2장 전자파 안전성 평가 표준화 기술 수요 조사 및 분석 제1절 해외 주요국의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도 및 기술기준 유럽연합(EU)에서는 전자파 적합성 지침(EMC Directive 2004/108/EC)을 제정 하여 2009년부터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기기 수준의 전 자파 적합성 인증에서 다루기 힘든 고정 설비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인 증을 하고 있다. 영국은 난 2007년 유럽집행위원회 EMC 지침에 의해 전자파 방해를 야기할 우려가 있거나 전자파 방해로 인하여 성능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비에 적용되는 전자파적합성 규칙(EMC Regulation 2006)을 제정하여 시행중이며 「UK Regulations SI 2006 No. 3418」에 따라 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미국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는 명확치는 않으나 전자파적합성 제도는 전 기통신법(1996)에 의해 미연방통신위원회(FCC)가 EMC 기술기준을 규정하고 인 증을 통해 확인 하고 있으며, 47 CFR 215 "Federal Government focal point for electromagnetic pulse(EMP) information"에서 고출력 전자기파에 대한 국가 안 보 및 재난 대비 통신망의 보호를 규정하고 있고 관련 업무는 국가통신시스템 (National Communications System; NCS)에서 담당하고 있다. 일본은 전기용품안전법에 의해 라디오 및 TV에 방해를 주는 기기를 규제하 였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전자파 영향 규제는 VCCI(Voluntary Control Council for Interference by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 의회)에서 담당하고 있다. VCCI 규격은 법률적인 규제력은 없지만, 시장전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법적규제는 근거조항이 없지만, VCCI 회원제를 통해 법규제와 동등한 억제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외 주요국에서는 이미 전자파 엔지니어링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 고 있거나 기타 유사한 제도 내에서 전자파 안전성에 대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 다. 본 절에서는 유럽, 미국,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의 전자파 안전성 관련 법제 도와 기술기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 17. - 4 - 1. 유럽 1.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에서는 전자파 적합성 지침(EMC Directive 2004/108/EC)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기에 대한 전자파 적 합성을 확인하는 인증제도(CE)를 마련하여 제조자, 판매자를 관리하고 있다. 특 히, 2007년 7월부터 대형․네트워크 등 고정설비1)에 대한 전자파적합성을 확인 하는 엔지니어링 제도를 의무화하여 이를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EMC 지침은 장비가 적절한 수준의 전자파적합성 요건을 준수하여 시장에서 기능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장비(equipment)는 기기(apparatus) 와 고정설비(fixed installation)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기기는 최종 사용자를 위해 하나의 기능성 개체로서 상용화 되고, 전자파 장 해를 유발할 수 있거나, 그 성능이 전자파 장해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완성된 제품 및 그 조합을 의미한다. <표 2-1> 유럽연합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구 분 내 용 법령 o EMC Directive 주관기관 o EU 집행위원회 제도 o 기기인증 o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관리 기술기준 o 유럽 통합표준(ETSI, CENELEC) 1) 고정설비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식의 기기들을 조립 하거나 설치하는 특정 조합을 의미하며 공장, 발전소, 전력/통신/컴퓨터 네트워크 설비, 공항 설비, 철도 기반시설 등에 해당한다. 고정설비는 엔지니어링(안전관리) 모범관행(good engineering practices)을 적용하고 부품의 정상적 용도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장비의 보호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 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고정설비를 설치 운영하는 자는 기술기준에 만족하도록 엔지니어링을 실 시하고 기술기준 적합여부를 문서화하여 기록, 관리하여야 한다.
  • 18. - 5 - 유럽연합은 위 지침에서 전자파적합성 기술기준 원칙을 규정하고 있는데, 전 기통신 설비 등이 정상 작동할 수 없게 하는 전자파 발생을 차단하고, 일반적 인 전자파에 의해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전자파 내성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세부 기술기준은 유럽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통합표준(harmonized standard) 을 활용하여 기술기준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데, 장비의 보호요건은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가 무선 및 전기통신 장비나 기타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 게 하는 수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정상적인 사용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 는 전자파 장해로 허용 불가능한 수준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자파 장해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한다. 통합표준이란 유럽 표준(CENELEC, CEN, ETSI)중에서 의무적으로 준수하도록 유럽관보에서 지정 하는 표준으로써 공표된 통합표준을 준수하면 필수요건을 준수한 것으로 추정 한다. 기기 인증과 관련하여 기기들이 시장에서 유통하기 전에 제조자는 기술기준 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적합성선언(인증)을 실시한다. 기기인증 이후 EU 각 국가들은 기술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확인하는 경우 시장에서 철수시키 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1.2 고정설비 안전관리 유럽연합 회원국은 고정설비에 대한 책임자를 지정하여야 하며, 책임자는 이 를 회원국에 신고하여야 한다. 엔지니어링 적합여부 문서는 고정설비가 운용되 는 동안 보관되어야 하며, 정부의 제출 요구 및 점검 또는 심사 시 제시하여야 한다. 고정설비에 대한 적합여부 확인은 고정설비의 규정을 준수하지 못한 징후가 있는 경우와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 장해에 대한 민원이 제기되는 경우 실시하게 된다. 회원국은 기술기준을 준수하지 못한 사실이 확인 되면 고정설 비가 필수요건을 준수하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19. - 6 - 다만, 고정설비는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CE 인증, 자기적 합성선언 또는 공식 EMC 평가 적용 대상이 아니나, EMC 지침의 필수 요건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림 2-1] 유럽연합의 적합성평가 및 고정설비 비교 유럽연합의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모범관행의 전제조건으로 고정설비에 사용 되는 각 부품은 제조업체에서 모든 EMC 지침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을 사용하 여야 한다. 이는 대형기기, 장비, EMC 지침 범위 외 부품 등에 관계없이 모든 부속품에 적용된다. 고정설비는 미리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부품들 역시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고, 이는 사용지침서를 통해 확인된다. 사용지침서에는 명시된 환경(특히 EMC 환경), 보호장비, 필터 등의 필수적인 추가 보조 장치, 외부연결 에 필요한 케이블의 사양과 길이, 사용조건, EMC 특별 예방책(equipotential earthing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모범관행은 특정 고정설비에 적용되는 표준 및 실행코 드를 고려하여 적절한 기술적 관리(suitable technical behaviour)를 하여야 한
  • 20. - 7 - 다. 다만, 모든 상황을 고려하는 설비 표준을 마련할 수는 없으므로 엔지니어링 모범관행에 따라 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방출(emissions), 결합 또는 방사 (coupling & radiation), 내성(immunity) 조건의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한다. 먼저 방출은 EMC 디자인을 통해 방사의 원인을 완화할 적절한 조치(필터나 흡수장치의 추가 등), 결합 또는 방사는 거리, 등전위 접지, 케이블 선택, 차폐 등과 관련된 적절한 조치, 마지막으로 내성은 민감한 장비를 다양한 방해 요소 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지정된 고정설비에 보호요구 조건을 적용할 경우, 외부환경과 구분하기 위해 해당 고정설비의 경계 및 지리적 한계를 반드시 정의하여야 하며, 전도된(고주 파/저주파) 방해요소가 정해진 경계선을 넘나들 수 있는 포트 및 인터페이스, 외부환경과의 커플링 메커니즘, 외부환경 또는 외부환경으로 부터의 방사를 필 수적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다만, 고정설비 내에 조합된 각각의 기기들 간의 EMC 문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EU의 EMC Directive 2004/108에 언급된 기술기준과 고정설비에 대한 특정 요건은 다음과 같다. o 보호 요건(Protection requirements) 장비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장할 수 있는 서술방식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조하여야 한다.(Equipment shall be so designed and manufactured, having regard to the state of the art, as to ensure that:) (a) 발생되는 전자파 장해가 무선 및 전기통신 장비나 기타 장비가 정상적으 로 작동할 수 없게 하는 수준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a) the electromagnetic disturbance generated does not exceed the level above which radio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or other equipment cannot operate as intended;) (b) 정상적인 사용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전자파 장해로 허용 불가능한 수준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전자파 장해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 한다.((b) it has a level of immunity to the electromagnetic
  • 21. - 8 - disturbance to be expected in its intended use which allows it to operate without unacceptable degradation of its intended use.) o 고정 설비에 대한 특정 요건 고정설비는 엔지니어링 모범 관행을 적용하고 부품의 정상적 용도에 대한 정 보를 고려하여 1항에 제시된 보호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모범 관행을 문서화해야 하며 해당 문서는 담당 책임자가 고정 설비가 운영되는 동안 해당 기관의 점검 시 제출용으로 보관해야 한다. (Specific requirements for fixed installations : Installation and intended use of components A fixed installation shall be installed applying good engineering practices and respecting the information on the intended use of its components, with a view to meeting the protection requirements set out in Point 1. Those good engineering practices shall be documented and the documentation shall be held by the person(s) responsible at the disposal of the relevant national authorities for inspection purposes for as long as the fixed installation is in operation.) 2. 영국 2.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영국은 지난 2007년 유럽집행위원회 EMC 지침에 의해 전자파 방해를 야기 할 우려가 있거나 전자파 방해로 인하여 성능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비 에 적용되는 전자파적합성 규칙(EMC Regulation 2006)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 다. 이는 유럽집행위원회 EMC 지침을 수용하여 기기에 대한 인증제도와 고정 설비에 대한 엔지니어링 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전자파 무해성 장비, 민강항공 분야의 공통규칙에 관한 유럽의회 및 유
  • 22. - 9 - 럽이사회 규정(EC No.1592/2002)에 언급된 유럽항공안전국에서 정한 항공제품․ 부품 및 기기, 무선장비 및 통신단말 장비에 관한 유럽의회 및 유럽이사회 지 침(1999/5/EC) 및 적합성 상호인정에 포함된 장비, 아마추어 무선장치, 유럽의 회 및 유럽이사회 지침(2004/22/EC)에 포함된 측정계기 또는 중간조립품, 무역 박람회 또는 이와 유사한 행사에 출품된 장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표 2-2> 영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구 분 내 용 법령 o EMC Regulation 2006 법령 제개정 기관 o 국무부 집행기관 o 지방정부 o Ofcom 제도 o 기기인증 o 고정설비 엔지니어링 기술기준 o 유럽 통합표준 전자파적합성 규칙에 따르면 모든 장비에 대한 필수 요구사항으로 장비가 발 생시킨 전자파 방해가 무선통신장비 또는 기타 장비가 의도된 대로 작동할 수 없는 레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예상되는 전자파 방해에 대해 본래의 기능 이 허용 불가능할 정도로 저하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일정한 수준의 내성을 가져야 한다. 전자파 장치는 위의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하여야 하며, 문서화된 적합성 평 가 절차에 따라 적합여부를 입증해야 한다. 또한 기술 문서를 작성하고 집행기 관이 이를 요청할 경우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적합성 선언서를 작성하 여야 한다. 그리고 장치는 제조자가 작성한 기술문서에 따라 제조하고 CE 마크 를 부착하여야 한다.
  • 23. - 10 - EC 적합성 선언은 장치가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선언 이다. 적합성 선언에는 EMC 지침의 언급, 해당 장치의 명칭, 제조자의 이름과 주소, 해당하는 경우 제조자의 공인대리인의 이름과 주소, 해당 장치가 EMC 지 침의 조항을 준수한다는 적합성이 선언된 시방서의 날짜, 적합성 선언일, 제조 자 또는 제조자의 공인대리인의 신원과 서명이 포함되어야 한다. CE 마크는 장치가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경우와 책임자가 필수 요구사 항의 준수 여부를 입증한 경우, 제조자 또는 제조자의 공인대리인은 장치에 CE 마크를 부착하여야 한다. 다만, CE 마킹을 부착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장치의 특성으로 부착할 수 없는 경우 부속 문서에 CE 마킹을 표시하여야 한다. 전자파적합성 규칙의 제정기관은 국무부이지만 실질적인 집행기관은 지방정 부의 무역표준국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무선스펙트럼 보호 및 관리와 관련된 집행은 통신위원회(Ofcom)가 담당하고 있다. 기기 인증은 유럽연합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기의 시장 유통 전 적합성선언 (인증)을 실시하여야 하며, 기술기준 준수여부 확인 등 사후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인증기관(NB)은 국무부 장관이 지명한 기관으로써, 그 역할은 제조자가 요구 한 범위 내에서 기술문서를 평가하는 것이다. 제조자 또는 제조자의 공인대리 인은 방출 및 내성에 관한 필수 요구사항의 전부 또는 일부의 준수 여부를 입 증하기 위하여 인증기관을 참여시킬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인증기관을 참 석시키기로 하였다면 제조자는 내부 생산관리 절차를 완료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내부 생산관리란 제조자가 장치의 전자파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써, 장치가 모든 관련 통합 표준을 준수하고 있음을 입증하거나 통상적 인 모든 작동조건, 그 장치가 제조자가 장치 본래 용도의 모든 구성을 고려하 여 필수 요구사항에 대한 자체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결국 통합표준을 준수한다는 것은 해당 표준에 포함된 필수 요구사항의 부분을 준수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관련 통합표준의 일부만을 적용한 경우에는 적용된 통합표준에 포함된 필수 요구사항의 일부만을 준수하는 것으로 본다. 인증기관은 평가되는 기술문서의 해당 부분을 검토하게 된다. 평가해야 할
  • 24. - 11 - 필수 요구사항들의 준수여부가 입증되면 인증기관은 그러한 취지의 진술서를 발급하게 되고, 제조자는 이 진술서를 기술문서에 추가하게 된다. 모든 관련 통합표준을 사용하는 것은 전자파 적합성 평가를 수행한 것과 동 일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통합표준의 일부만을 적용한 경우(예를 들어 방출에 는 적용하였지만, 내성에는 적용하지 않은 경우) 통합표준은 적용된 측면에 대 해서만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 유형에 따라 필수 요구사항을 완전하게 포함시 키기 위해서는 동시에 적용하는 통합표준이 둘 이상 있을 수 있다. 2.2 고정설비 안전관리 고정설비의 위의 모든 장비에 대한 필수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지만, 적합 성 평가를 받거나 적합성 선언을 할 필요는 없으며, CE 마크를 부착할 필요도 없다. 그 이유는 앞의 유럽연합 부분에서 살펴보았다. 고정설비를 사용할 때에는 고정설비가 필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관리․통 제하는 고정설비 책임자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설비 책임자는 고정설비의 구성을 통제하고 그 설비가 우수한 공학기술(GEP)을 준수하였는지 입증할 수 있는 문서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설비에 사용되는 장치의 제조자에게는 그 설비의 전자파 적합성 특성을 파악하여 문서화할 것이 요구된다. 제조자는 설비의 전자파 적합성 특성을 충 분히 이해하여 그 장치를 적합하게 설계 또는 적용시킬 수 있고 특정 주의사항 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설비의 전자파 적합성 특성을 파악하는 것 은 고정설비의 적합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기준을 제공하고 요청시 증거를 제시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요구되는 상세 수준은 장치의 복잡성, 정해진 고정설비, 전자파 환경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간단한 상황에서는 통합표준에 규정된 환경을 적용하 는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으나. 보다 복잡한 경우에는 설비 또는 환경의 다른 부분에 특정한 전자파 특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은 장치의 제조가가 책임진다.
  • 25. - 12 - 자신의 책임을 이행하는데 있어 제조자는 고정설비 책임자를 포함하여 적절 한 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전자파적합성 규칙에는 고정설비 책임자에 게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책임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제조자만이 장치에 대한 특성을 알고 있으며, 고정설비 책임자는 적합성 평가에서 제외되 어 있기 때문이다. 고정설비의 EMC 특성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면 제조자는 장 치를 시장에 출시하기 위한 적합성 평가 절차를 따를 수 있는 선택권을 갖는다. 고정설비가 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정설비를 검사 할 수 있고 장비를 압수하거나 고정설비 전원을 차단 할 수 있다. 고정설비가 기술기준을 준수하지 못한 사실이 확인 되면 집행기관은 고정설비 사용자 또는 책임자에게 고정설비의 사용을 금지토록 통지하여야 한다. 경우에 따라 고정설비가 다른 고정설비의 물리적 경계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고정설비 책임자가 다를 가능성이 높다. 각 책임자는 서로 다른 기관에 소속될 가능성도 높다. 이러한 경우 두 기관 간에 계약 합의사항 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으며, 그 설비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도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각 고정설비의 적합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될 것이다. 첫 번째 경우에 각 고정설비가 EMC 지침의 필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지 여 부는 개별적으로 고려된다. 규모가 더 큰 고정설비의 책임자는 그 안에 포함된 규모가 작은 고정설비의 적합성에 대해 달리 합의하지 않는 이상 책임이 없다. 그러나 각 고정설비는 다른 고정설비의 전자파 환경의 일부가 되므로 고정설비 의 사용에 관한 일반의무(필수 요구사항 준수, 우수한 공학기술 준수 등)를 준 수하는데 주위환경을 고려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환경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 장해가 발생하고 그 장해의 원인이 규모가 더 큰 고정설비 내에 있는 경우, 집행기관은 먼저 규모가 더 큰 고정설비의 책임자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규모가 더 작은 고정설비의 책임자도 이에 협력하여야 한다.
  • 26. - 13 - 3. 미국 3.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미국의 경우 전자파적합성 제도는 전기통신법(1996)에 의해 미연방통신위원 회(FCC)가 EMC 기술기준을 규정하고 인증을 통해 확인 하고 있다. <표 2-3> 미국의 전자파적합성 법체계 구 분 내 용 법령 o 전기통신법 1996 주관기관 o 연방통신위원회(FCC) 기술기준 o CFR Part 15(EMC 기준 일반) o CFR Part 18(산업과학의료용 기준) 미국의 기술기준은 방송통신기기와 산업과학의료용 고주파 이용기기에 대한 전자파적합성 기준을 각각 규정하고 있는데, Part 15에서는 의도적으로 전파를 발사하는 무선기기와 비의도적 전파를 발사하는 일반 방송통신기기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며, Part 18에서는 전자레인지, 유도 조리기구 등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미국은 현재 전자파적합성 기술기준 중 전자파 방해방지 기준에 대해서만 규 정하고 있으며 전자파 내성 기준은 규정은 정하지 않고 있다. 이는 EMI 기준은 무선주파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엄격하게 규제하고, EMS 기준은 제품 및 신뢰 성에 관련되므로 정부에서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기기 인증제도의 경우 유럽연합, 영국과 마찬가지로 기기들이 시장에서 유통 하기 전에 제조자는 기술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적합성선언(인증)을 실시하게 되며, 시장에 유통 중인 기기에 대한 기술기준 준수여부를 확인하고
  • 27. - 14 - 위반 시 수거, 인증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3.2 원자력 설비에 대한 전자파적합성 안전관리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전형적인 환경은 전기적 잡음의 많은 공급원을 포함하 는데, 예를 들면 휴대용 무전기(hand-held two-way radios), 아크 용접기, 대용 량 유도부하 개폐(switching of large inductive loads), 합선 고전류(high fault current), 및 발전기 또는 송전 전압 단계 전환(switching)과 관련된 고 에너지 급속 과도현상(high-energy fast transients) 등이 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EMI/RFI 환경에 아주 큰 취약성을 보일 수 있다. 즉, 미국의 경우는 일반 기기 에 대한 전자파적합성은 인증 제도를 통해 확인하고 원자력설비 등 특별 설비 는 전자파 안전관리를 의무화하고 있다. 미국 「원자력 규제 위원회」에서는 원자력에 관한 미연방규정집 Part 50에 근거하여 원자력 설비를 전자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규제지침)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미연방 규정 10집 50부(10 CFR Part 50)에 해당하는 “제조 및 활용 시설의 국내 면허”에 관한 원자력규제위원회(NRC) 규정은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안전 에 중요한 구조, 시스템 및 부품이 환경 조건의 영향을 수용할 수 있도록(즉, 상정된 모든 서비스 조건하에서 기능적으로 정상 동작하도록) 설계되어야 하 고, 시험에서처럼 설계 제어 측정이 설계의 적정성을 점검하는데 사용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미연방 규정집 10집 50부(10 CFR Part 50)의 50절 55a(h)에서 방호 시스템은 건설허가 발급 여부에 따라 IEEE Std 603-1991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안전시 스템을 위한 기준(Criteria for Safety Systems for Nuclear Power Generating Stations),” 또는 IEEE Std 279-1971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방호시스템을 위 한 기준(Criteria for Protection Systems for Nuclear Power Generating Stations),”의 요구조건을 반드시 충족하여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에 관한 전자파적합성(EMC) 프로
  • 28. - 15 - 그램을 수립하여 이행하는 것은 안전관련 구조물, 계통 및 기기가 원자력발전 소의 사용 환경조건의 영향을 수용하고 그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됨을 확신시 켜 준다. 따라서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의 설비개선이나 새로운 설치에 따 른 설계, 시험 및 설치에 관한 합의된 기술표준 사례 적용이 그러한 프로그램 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결국 규제지침은 전자파 영향을 억제하기 위한 설계 및 설치사례, 기기의 전자파 방출(emission) 및 감응성(susceptibility)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사례, 그리고 기기의 전력서지내력(SWC)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사례 를 권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은 새로운 안전관련 계통이나 아날로그, 디지털 또는 하이브리드(예: 아날로그 및 디지털 혼합형) 전자기기를 포함한 기존 안전관련 계통의 설비개선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안전관련 기기의 전자파 방출, EMI/RFI 감응성, 그리고 전력서지내력을 평가하기 위해 승인된 시험방법은 설 치 전에 시험시설 또는 실험실에 적용하려는 것이다. 또한 현장 장해를 일으킬 수 있는 어떤 독특한 EMI/RFI 발생원 존재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안전관련 계 측․제어 시스템 설치장소의 전자파 조건을 평가해야 한다. 여기에는 EMI/RFI 발 생장치는 휴대용 및 고정형 기기(예: 휴대용 송수신기, 아크 용접기, 전력공급 장치와 발전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계측제어계통 설치 시에 어떤 확인된 발생장치로부터 규정된 동작포락선 (operating envelopes)보다 아래로 8dB 이상의 EMI/RFI 수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동작포락선이 제대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기기 는 원자력발전소의 실제 설치상태와 같은 물리적 배열상태에서 시험이 수행된 다. 그 외에 기기는 시험 중에 정상 동작모드(의도된 기능 수행)에 놓여야 한 다. 또한 시험 후에도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의 물리적 배열은 유지되어야 하고 배열의 모든 변경사항은 관리되어야 한다. 그리고 안전관련 계측․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에서의 휴대용 EMI/RFI 방 사체(예: 용접기 및 송수신기) 사용을 금지하기 위하여 행정 통제를 위한 통제 구역(exclusion zone)을 설정하여야 한다. 통제구역은 설치지점과 휴대용 EMI/RFI 방사체의 사용허용 지점까지의 최소거리로 정의된다. 통제구역은 부지
  • 29. - 16 - 특성과 특정발전소 안에서 사용된 휴대용 EMI/RFI 방사체의 유효방사출력과 안 테나 이득에 따라 달라진다. 4. 일본 4.1 전자파적합성 법령 체계 및 기술기준 일본은 전기용품안전법에 의해 라디오 및 TV에 방해를 주는 기기를 규제하 였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전자파 영향 규제는 VCCI(Voluntary Control Council for Interference by Information Technology Equipment,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 의회)에서 담당하고 있다. VCCI 규격은 법률적인 규제력은 없지만, 시장전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전자기기에 대한 법적규제는 근거조항이 없지만, VCCI 회원제를 통해 법규제와 동등한 억제효과를 얻도록 하고 있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용품은 「전기용품안전법」에서 전자계강도를 규정 하고 있으며, 고주파이용설비 방사에 대해서는 「전파법」에서 규정하고 있고, 정보처리장치 및 전자사무기기에서 발생하는 방해파 방지를 위한 기술기준은 VCCI 협회에서 규정하고 있다. 전기용품안전법은 전기용품의 제조, 판매 등을 규제함과 동시에 전기용품에 의한 위험 및 장해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제1조). 법률규제를 받 는 제품은 특정전기용품과 특정전기용품이외의 전기용품으로 454품목이 규정 되어 있으며, 제조업자는 대상제품에 대해 전기용품의 안전성과 EMI의 적합확 인을 실시하여, 기기에 PSE 마크를 표시할 의무가 있다. 대상 제품의 제조 또는 수입업자는 기술기준적합의무(제8조) 등의 의무를 다 하고 사업자 스스로 법에 근거한 절차를 거쳐야 PSE 마크 표시가 가능하다(제 10조). 법을 근거로 한 표시가 없는 전기용품은 판매가 불가능하다는 제한을 두 고 있다(제27조).
  • 30. - 17 - <표 2-4> 일본 전자파 장해 규제대상 기기 원 칙 주요 기기 o 상용교류전원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기계 및 부품 중 정령, 성령, 규칙 등 에서 지정한 것 - 즉, 건전지만으로 동작하는 것은 대상 제외 o 탈부착식 AV 아답터방식의 기기로 AC 아답터를 포함하지 않는 상태에 서는 대부분 대상 제외 o 전원의 전압(100V)에서 저압으로 변 압된 회로에 접속하는 부품 및 전원과 전기적 접속이 없는 부품은 대상 제외 ※ 구체적으로 전기용품안전법시행령에서 정하는 454품목, 특정전기용품(115품목), 특정이외의 전기용품(339품목) o 전기조리기구, 보온기, 포트, 커피메이커 등의 전기주방용품 o 냉장고, 전자렌지, 식기세탁건조기 등 주방가전 o 드라이기, 다리미, 세탁기, 환풍기, 청소기 등 일반 가전 o 에어컨, 선풍기, 가습기, 전기난로, 족욕기 등의 공조가전, 난방기구 o 전기장난감, 전동장난감, TV 게임기 o 형광등, 전등, 스탠드 등의 조명기기 o 스테레오, 라디오 DVD, TV 등의 AV 기기 o 마사지기, 고주파탈모기, 자기치료기 등 전기용품안전법 제8조에 의해 전기용품에 해당하는 제품은 「전기용품의 기 술기준을 정하는 성령」의 기술기준을 따라야 한다. 위 기술기준에서는 전기용 품의 안전성과 전자파 적합성을 요구하는데, 전기안전성은 가동부분 및 예리한 부분 등에 대한 기계적 요인과 감전, 전기불안전으로 인한 화재 등에 대한 전 기적 요인 등을 규제하고 있다. 전자파적합성은 제품에서 방출되는 잡음에 대 해 방출한도치를 규제하고 있다. 위 성령에서는 아래 <표 2-5>의 전기용품 종류별로 기술기준을 별표로 규정 하고 있다.
  • 31. - 18 - <표 2-5> 일본 전기용품의 기술기준 성령상 전기용품 종류 종 류 별 표 1. 전선 및 전기온상선 별표제1 2. 전선관, 플로어덕트 및 선관 및 이들 부속품 별표제2 3. 퓨즈 별표제3 4. 배선기구 별표제4 5. 전류제한기 별표제5 6. 소형단상변압기 및 방전등용 안정기 별표제6 7. 전기용품안전법시행령 별표제2제6에서 말하는 소형교류전동기 별표제7 8. 전기용품안전법시행령 별표제1 제6호~제9호 및 별표제2 제7 호~제11호의 교류용 전기기계기구 및 휴대발전기 별표제8 9. 리튬이온 축전지 별표제9 <표 2-6> 일본 PSE 마크 구분 마크 대체표시 특정 전기용품 ※ 실제는 상기 마크와 함께 인정, 승인검사기관의 마크, 제조사업 자 명칭, 정격전압, 정격소비전력 등이 표시됨 <PS>E 특정 전기용품 이외 용품 ※ 실제는 상기 마크와 함께 제조사 업자의 명칭, 정격전압, 정격소비 전력 등이 표시됨 (PS)E
  • 32. - 19 - 전자파적합성(잡음 허용치)을 규제하는 전기용품에는 고주파 이용기기, 라디 오수신기/TV수신기 및 관련기기, 디지털기술 응용기기, 전열기구, 전동력 응용 기기 및 배선기구, 형광램프, 조명기기, 고주파변조기를 가지는 기기, 휴대발전 기가 있다. 원칙적으로 「전기용품안전법」에서 규정하는 ‘특정전기용품’ 및 ‘특정 전기용품이외의 용품’ 이외의 제품은 규제대상에서 제외되며, PSE 마크 없이 도 판매가 가능하다. 대상 외 제품에는 PC, 프린터 등 PC 및 그 주변기기, 전 화기, FAX, 무선통신기기, 스팀청소기, UHF 컨버터 등이 있다. 기술기준 확인의무를 통해 제품의 안전성과 EMI 적합확인을 만족시키는 경 우 PSE(Product+Safety+Electrical appliance & materials) 마크를 부착한다. 4.2.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의회 일본의 전자파장해자주규제협의회(VCCI)는 국제전기표준회의(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국제전파장해특별위원회(CISPR) 권고 (Publication 22)를 근거로 우정성 전기통신기술심의회가 1985년 12월, 「정보처 리장치 등에서 발생하는 방해파의 허용치 및 측정법에 대한 기술규격」을 정리 하여 우정대신에 보고하였고, 우정성은 관련업계에 전파방해방지에 대한 요청 을 실시하여 1985년 12월 신기계공업회, 일본사무기계공업회, 일본전자기계공 업회, 일본전자공업진흥협회는 정보처리장치, 전기통신기기 및 전자사무용기기 에서 방해파를 일으키는 장해에 대해 자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VCCI를 설립 하였다. 일본 EMC 규제에는 VCCI 규격이 있으며, VCCI 협회에서 자주규제조치운용 규정, 기술기준, 시험기기의 교정방법, 시장발취시험 등을 규정하고 있다. 기술 기준은 국제규격(IEC)의 개정에 따라 매해 개정하고 있으며, ① 목적, 적용범위, ② 참조문서, ③ 용어 정의, ④ 허용치, ⑤ 측정설비, ⑥ 측정방법, ⑦ 측정설비․ 장치의 부정확성 등 7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VCCI의 자주규제조치는 일본에서 제조되는 정보기술장치(ITE: Information
  • 33. - 20 - Technology Equipment)에 해당되는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데,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CLASS A 정보기술장치」 및 「CLASS B 정보기술장치」로 분류된다. <표 2-7> 일본 정보기술장치(ITE) 구분 구 분 내 용 CLASS A o CLASS A 정보기술장치의 방해허용치를 만족시키지만, CLASS B 정보기술장치의 방해허용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모든 정보기술 장치 CLASS B o CLASS B 정보기술장치의 방해허용치를 만족시키는 장치 o CLASS B 정보기술장치는 주로 가정환경에서 사용되는 것을 의도 한 장치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장비가 포함됨 - 사용장소가 고정되어있지 않은 장치: 예로, 내장전지를 충전하여 동작하는 포터블장치 - 전기통신회선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통신단말장치 - 전기통신회선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통신단말장치 - 팩시밀리 ※주: 가정환경이란 해당 기기에서 10m이내의 거리에서 라디오, TV 등의 방송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이 예상되는 환경을 말함. 주택환경이라고도 함 자주규제조치는 VCCI의 회원이 자사의 ITE에 대해 일본국내 출하에 앞서 방해 파 규제를 실시하는 것으로, 자사 제품의 CLASS를 구분하여 적합확인을 신고 한 후 기기에 해당 표시를 부착하여 출하해야 한다.
  • 34. - 21 - [그림 2-2] 일본 자주규제 시스템 VCCI 회원은 자사의 ITE가 협회에서 규정하는 기술기준의 허용치에 적합함 을 확인해야 한다. <표 2-8> 일본 기술기준 적합확인 구 분 내 용 기술기준의 적합확인 o 회원은 ITE의 적합확인시험을 실시, 동 협회의 기술기준에 적 합함을 확인 o 적합확인시험은 6항에서 등록된 측정설비를 사용해야함 적합확인 신고 o 회원은 ITE 적합확인시험을 실시한 후, 별도로 정하는 「적합 확인신고」를 제품의 출하까지 협회에 제출하고 그 수리증명을 받아야함 ※ 적합확인신고는 수리증명발행까지는 약 1주간 소요 VCCI 기술기준은 CLASS 별로 전원포트전도방해파, 통신포트전도방해파, 방 해파전계강도 허용치를 만족하여야 한다.
  • 35. - 22 - <표 2-9> 일본 VCCI 기술기준 전원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구 분 주파수 범위 허용치 준첨두치 평균치 CLASS A 150㎑ ~ 500㎑ 79dB 66dB 500㎑ ~ 30㎒ 73dB 60dB CLASS B 150㎑ ~ 500㎑ 66~56dB 56~46dB 500㎑ ~ 5㎒ 56dB 46dB 5㎒ ~ 30㎒ 60dB 50dB <표 2-10> 일본 VCCI 기술기준 통신포트전도방해파 허용치 구 분 주파수 범위 전압허용치 전류허용치 준첨두치 평균치 준첨두치 평균치 CLASS A 150㎑ ~ 500㎑ 97~87dB 84~74dB 53~43dB 40~30dB 500㎑ ~ 30㎒ 87dB 74dB 43dB 30dB CLASS B 150㎑ ~ 500㎑ 84~74dB 74~64dB 40~30dB 30~20dB 500㎑ ~ 30㎒ 74dB 64dB 30dB 20dB <표 2-11>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1) 구 분 주파수 범위 준첨두허용치 CLASS A 30㎒ ~ 230㎒ 40dB 230㎑ ~ 1000㎒ 47dB CLASS B 30㎒ ~ 230㎒ 30dB 230㎑ ~ 1000㎒ 37dB ※주: 측정거리 10m
  • 36. - 23 - <표 2-12> 일본 VCCI 기술기준 방해파전계강도 허용치(2) 구 분 주파수 범위 평균치허용치 첨두허용치 CLASS A 1~3GHz 56dB 76dB 3~6GHz 60dB 80dB CLASS B 1~3GHz 50dB 70dB 3~6GHz 54dB 74dB ※ 주: 측정거리 3m VCCI는 표시방법 및 카탈로그․취급설명서의 기재형식을 별도로 지정하고 있 어 CLASS 군별로 별도의 표시를 부착하여야 한다. <표 2-13> 일본 정보기술장치별 VCCI 마킹 방법 구 분 내 용 CLASS A o 출하품마다 다음의 문구를 보기 쉬운 곳에 부착해야함 이 장치는 CLASS A 정보기술장치입니다. 이 장치를 가정환경에 서 사용하면 전파방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사용 자가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도록 요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VCCI-A CLASS B o 아래의 마크를 보이기 쉬운 곳에 부착해야함
  • 37. - 24 - 5. 국제표준 및 적용사례 분석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는 시스템-레벨에서의 전자파 사고의 급증으로 더욱 그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정연춘(2012)2)은 대형 시스템에서의 전자파 적 합성에 대해 서술한 MIL-E-6051D를 비롯하여 전기적/전자적 시스템의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몇 가지 지침을 소개하였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고 실제 시스템 에서 적용된 사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5.1 MIL-E-6051D MIL-E-6051D는 군사규격으로 전자파 적합성 환경의 제어를 포함하여 낙뢰보 호, 정전기, 본딩과 접지 등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 요구사항의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해당되는 모든 전기적/전자적 시스템, 서브시스템 및 장비는 모두 이 규격을 의무적으로 준수하도록 되어있다. 전자파 적합성 요구사항으로 “시스템 전자파 적합성 프로그램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program, EMCP)”, “시스템 자격요건”, 전자 파 적합성 프로그램의 세부사항이 포함된 “제어 계획”등이 있다. EMC 요구사항 중 EMCP는 시스템을 위한 전반적인 전자파 적합성 프로그램 으로 본 규격에서 제시한 기준과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 사양 기반의 접 근방식, 기획, 기술적 판단 기준과 관리제어 방안안과 같은 기술적·관리적 부 분을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시스템이 갖춰야할 요구사항은 공중과 지상에서 운용되는 모든 시 스템(서브 시스템과 장비포함)이 시스템 적합성에 부합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 위한 조건으로 사후관리보다는 초기 설계시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해야 하며,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한의 요구조건은 아래 <표2-14>와 같다. 2) 정연춘,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KIEES Journal》, 23권 8호, pp. 942~949.
  • 38. - 25 - <표 2-14>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 요구조건 시스템 설계 프로그램의 최소 요구조건 - 서브시스템 및 장비의 임계 범위 - 열화 판정기준 - 간섭과 민감성 제어 - 배선과 케이블 - 전력 - 본딩과 접지 - 낙뢰보호 - 정전기 - 인체 위험 - 폭발물과 군수품에 대한 전자파 위험 - 외부 환경 - 진압(억제) 요소 마지막으로 전자파 적합성에대한 제어 계획은 EMCP를 위하여 <표 2-15>와 같이 세부사항을 설명하고 있으며, 고객에게 검토 및 승인을 받아야 한다. <표 2-15> 전자파 적합성 제어 계획 전자파 적합성 제어 계획 - 책임과 권한 - 상근 및 비상근 전자파 적합성 인력의 수와 경력 - 전자파 적합성을 보장하는 방법 및 요구사항 - 표준에 따라 해결되지 못한 문제의 해결책을 위한 예측된 문제 영역과 제안된 방안 -시스템 안테나로부터 방사 특징 - 케이블 설계 등과 같은 일반적 접근 방법
  • 39. - 26 - -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부식 제어 요구사항의 영향 - 낙뢰보호를 위한 판단기준과 필요한 시험 - 강수공전과 추진 서브시스템 충전을 포함한 대전을 위한 판단기준 및 필요한 시험 - 일정 및 마일스톤 전자파 적합성 시험 계획의 주요 내용은 <표 2-16>과 같으며 시스템 레벨의 전자파 적합성으로 일반적인 승인 레벨을 갖는다. <표 2-16> 전자파 적합성 시험 계획 주요내용 - 시험소로부터의 증명된 시험 결과를 활용 - 시험 조건 및 절차 - 시험 위치 및 동작 성능을 모의하기 위한 배치에 대한 서술 - 관련 인력 5.2 IEC 61508 IEC3) 61508은 전기·전자적 프로그램이 가능한 안전 시스템의 기능적 안전 에 대한 국제규격으로 EN Standard로 채택되었다.4) 미국과 유럽 등 국외에서는 3)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이하 IEC). IEC는 지난 1904년 미 국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국제전기회의 결과로 1906년 스위스 제네바에 창설됐다. IEC의 목적은 모 든 전기공학적 표준화 문제와 기타 관련 문제에 대해 국제적 협력을 증진하고 세계시장의 요구에 효 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다. IEC 활동은 전기전자분야의 표준화를 이룩하기 위해 회원국가와의 국제적 협력하에 IEC규격을 제정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제정된 규격을 세계 각국에 보급하여 모든 국가가 전기, 전자제품 및 이와 관련한 사항들을 이 규격에 맞게 표준화함으로써 전기, 전자제품에 대한 품질 과 안전성을 확보하고 나아가 국제적 유통을 원활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고) 4) IEC 61508은 1990년대 말 Edition1 이 발행되었으며 기술의 발전으로 2010년에 Edition 2가 새롭게 개정되어 출간되었다. 주요 개정항목으로는 안전 라이프 사이클(IEC 61508-1), 용어의 정의 추가 개
  • 40. - 27 - 2000년대 초부터 원전, 항공, 의료, 철도, 플랜트 산업과 같은 안전필수 (Safety-critical) 시스템의 안전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IEC 61508에 따른 기 능적 안정성 검증을 요구하고 있다.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대표적인 ISO 및 IEC 규격을 기본 규격에서 개발 제품 규격에 이르기까지 [그림 3-1]에 정리하 여 나타내었다. 자료: 월간 자동화기술(2012.12), p.65. [그림 2-3] 기능 안전 관련 규격 체계 IEC 61508은 아래 <표 2-17>과 같이 총 7개의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IEC 61508-4), 하드웨어 안전도, 소프트웨어 안전도 관련 구성상 제약 사항(IEC 61508-2, IEC 61508-3)이 있다.
  • 41. - 28 - <표 2-17> IEC61508의 세부규격 Part 설 명 Part 0 기능적 안전과 IEC 61508 Part 1 일반 요구사항 Part 2 전기적/전자적/프로그램이 가능한 전자적 안전관련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Part 3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Part 4 정의 및 약어 Part 5 안전 무결성 레벨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 Part 6 IEC 61508-2와 IEC 61508-3의 적용지침 Part 7 수단 및 기법의 개관 IEC 61508의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개념은 점차 모든 IT 융합의 산업분야로 확대되는 추세이며 원자력 분야에서는 IEC61513과 IEC 60880, 철도 분야에서는 IEC 62278, 프로세스 산업분야에서는 IEC 61513,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IEC62304, 자동차 분야에서는 ISO 26263 규격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발전 되고 있다. 최근 유럽 등에 관련 제품을 수출하는 국내 기업에게도 IEC 61508 관련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관련 인증을 받기까지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해 수출장벽으로 작용함에 따라 전반적인 제품 안정 및 수출 활성 화를 위하여 IEC 61508을 비롯하여 시스템의 기능적 안정성에 대한 관심과 체 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5.3 IEC 61000-1-2 IEC 61508에서는 EMC에 대한 기능적 안전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언 급하지 않고 있으며, EMC 기본규격은 IEC 61000시리즈에서 다루고 있고 이 시
  • 42. - 29 - 리즈는 전자파 현상의 전문용어와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자파 환경, 측정, 시험과 측정기술과 설치 및 완화 지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5) 각 파트 에 대한 범주와 자세한 설명은 <표 2-18>과 같다. <표 2-18> IEC61000 시리즈의 구조 Part 범 주 내 용 Part 1 일반 일반적인 고려사항(소개, 기본적인 원칙들, 안전) 정의 및 용어 Part 2 환경 환경에 대한 기술 환경에 대한 분류 적합성 레벨 Part 3 허용기준 방출 허용기준 내성 허용기준 Part 4 시험과 측정기술 측정기술 시험기술 Part 5 설치 및 완화지침 설치 지침 완화 방법과 장치들 Part 6 일반규격 Generic Standard Part 7 그 이외 자료: 전자파기술원 Newsletter 통권 제5호 IEC 61000의 EMC 기본규격 중 각종 전자현상에 대한 전기·전자기기의 기능 적 안전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IEC 61000-1-2에서 서술하였다. 이 파트는 기능적 안전의 유효성과 안전성에 대한 전략, 성능 판정 조건, 시험 계 획, 내성 요구사항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6) 5) 전자파기술원 Newsletter 통권 제5호 “EMC 정의와 관련 규격가이드"를 참고 6) 이 부분은 월간 자동화기술(2012.12)을 참고하였다.
  • 43. - 30 - 시스템의 기능적 안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라이프 사이클에 걸쳐 개념 단계에서부터 서비스 폐기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에서 필요한 전자파 적합성 고려사항을 검토해야하고, <표 2-19>는 예상되는 각종 전자기적 현상에 대한 현상과 종류를 나타내었다. <표 2-19> 예상되는 전자파 환경의 현상과 종류 현 상 종 류 정전기 방전(ESD) - 인간 및 기계 고출력 비핵 전자기파(HPEM) 고고도 핵 전자기파(HEMP) a. 연속파형 또는 과도파형 b. 단발성 또는 반복성 버스트 c. 단발성 또는 반복성 d. 특정 조건 하에서 고려됨 저주파 전도 현상 - 고조파, 상호고조파 - 전력선 신호 전압 - 전압 요동 - 전압 강하 및 순간정전 - 전압 불평형 - 전력 주파수 변동 - 저주파 유도 전압 - 교류 망에서의 직류 저주파 복사 현상 - 자기장 - 전기장 고주파 전도 현상 - 직접 결합 또는 유도 연속파형전압 또는 전류 - 단방향성 과도 신호 - 진동파형 과도 신호
  • 44. - 31 - 고주파 복사 현상 - 자기장 - 전기장 - 전자기장 ◾ 연속파형 ◾ 과도파형 자료: 정연춘(2012) 또한 전자기적 영향과 관련하여 기능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요구사항을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1) 제안된 혹은 존재하는 장비 또는 시스템의 구조, 설계, 의도된 기능의 정의 2) 관련된 전자기적 환경에 대한 설명 3) 안전 요구사항의 규정 4) 전자파 방해에 기인하여 안전 리스크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을 확인하기 위 한 의존성 분석 5) 안전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 시험 수행 6)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면, 설계 또는 설치 수단의 변경 7) 장비 또는 시스템이 규정된 안전 요구사항에 따라 성능을 발휘함을 증명하 는 검증 과정 8)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규정된 기능적 안전성을 확신하기 위해 운영 및 유지 보수 지시사항 작성 IEC 61000-1-2와 관련하여 기기의 안전 기능에 대한 평가기준으로서 FS라는 성능평가 기준을 규정하고 있는 범용 표준 초안인 IEC 61000-6-7이 있다. 기존 에 IEC 61000-6-2에서 비 안전관련 장비와 시스템의 EMC 평가기준이 있었으 나 안전관련 장비와 시스템에 대해서는 평가기준이 모호함에 따라 IEC 61000-6-2의 내용을 참고하여 “EMC와 기능적 안전성(EMC and Functional safety)"의 안전관련 장비와 시스템의 EMC 평가 규격을 만들기 위한 프로젝트
  • 45. - 32 - 를 진행하고 있다. 아래 [그림 2-4]는 EMC와 기능적 안정성과 상호 관련 있는 표준화 문서들을 나타내고 있다. 자료: Bernd Jaekel, “Current status of standardization related to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and functional safety", Przegląd Elektrotechniczny(June, 2012) [그림 2-4] IEC 61000-1-2와 상호 관련된 표준 5.4 IET Guide 영국의 공학기술학회(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IET)에 서는 기능적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전자파 적합성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에 대하여 작업반을 구성하여 검토하기 시작하여 2008년에 “기능적 안전을 위한 전자파 적합성(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for Functional Safety, EFS)”이라
  • 46. - 33 - 는 가이드라인을 출판하였다. 이 가이드는 IEC 61508과 IEC 61000-1-2의 규격 을 근간으로 작성되었으며 [그림 2-5]와 같이 관리 및 기술적 측면에 관한 실 질적이고 경제적인 절차를 제공하며 안전 및 임무에 임계적인 시스템에 적용하 기 적합한 관리 지침이다. 자료: www.theiet.org [그림 2-5] 단순 EFS를 위한 기능적 안전절차를 위한 전자파 적합성 개요
  • 47. - 34 - 위의 기능적 안전 절차를 위한 EMC의 개요는 크게 EFS 설계, 표준, EFS 생 성, EFS 작업, 폐기, 처분의 네 가지 단계로 구별 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총 10단계의 절차를 걸쳐 EMC에 대한 분석을 실행한다. 0 단계는 전체적인 전자기적 안전계획에 대한 내용으로 전체 담당자, 프로젝 트의 목표, EFS의 경계, 기간, 예산과 직원 및 책임당국을 결정에 대해 서술하 였으며 다음의 모든 단계를 관리하는 활동을 설정한다. 1단계는 시스템간의 전자기적/물리적 현상 결정을 위하여 라이프사이클 동안 EFS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되는(타 장비 또는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출 포함) 최 악의 전자기적/물리적 외부 환경들을 결정한다. 2단계는 시스템 내부의 전자기적/물리적 현상을 결정하는 단계로 라이프사이 클 동안 동일한 EFS의 다른 부분으로 인해 노출이 예상되는 최악의 전자기적/ 물리적 외부환경들을 결정한다. 3단계는 전자기적/물리적 현상에 대한 기능적 성능을 규정하기 위하여 EMI를 고려한 위험 식별 및 위험평가 수행과 전자기적 현상에 대한 시스템간 혹은 시 스템 내부의 각각의 최악의 경우를 위한 EFS 규격을 작성하고, EFS의 라이프 사이클 동안에 관련되는 물리적 환경 현상도 규정한다. 4단계는 EFS의 연구 및 설계로 EFS에 대한 전자기적/물리적 완화와 전자기 적/안전 설계 기술을 포함한 통합 표준제품 뿐만 아니라 EFS 사용자지침, 3단 계에서 검토된 라이프 사이클 동안 전자기적/물리적 성능사양에 부합되는 연구 와 설계에 대해 검토된다. 5단계는 전자기적/물리적 검증과 유효성 평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 로 설계 및 실행절차의 설계 요소를 확인하기 위해 EFS에 대한 검증 및 유효 성에 대한 계획 작성과 3단계에서 제시된 규정에 대해 공정의 가장 높은 실용 적 단계에서 EFS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6단계는 표준제품 선택 및 주문제작하는 단계로 전자기적/물리적/성능의 사 양과 3단계에서 제시한 EFS 규격에 따라 전자기적/물리적/성능에 부합하고 4단 계에서 검토된 설계대로 전자기적/안전하게 설계한다. 또한 필수적인 전자기적/ 물리적 사양은 제품의 구매단계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CE 마킹7)이 전자기
  • 48. - 35 - 적 성능에 대한 증거로 대체될 수 없다. 7단계는 조립/설치/서비스 개시 및 EFS 검증의 단계로 오류 와 저품질(재료, 상품, 서비스, 서비스, 제작 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QC)를 수행하고, 5단계에서 제시된 검증계획을 따라 전자기적 /물리적 성능을 검증해야한다. 8단계는 EFS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단계로 5단계의 검증계획에 따라 3단계의 사양에 부합하는 EFS의 전기적/물리적 성능을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9단계에서 라이프사이클 동안 EFS의 전자기적/물리적/성능적 특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 해 운영, 유지보수, 수리, 개조, 업그레이드, 수정, 폐기, 처분 등을 수행한다. 5.5 대형설비의 전자파적합성 평가 적용사례 복합설비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 평가절차는 프로젝트의 설계·제작 및 시험 단계와 병행하여 고려될 필요가 있으며 전체적인 절차는 체계적이고 논리적이 어야 하며 비교적 명료해야한다. [그림 2-6]는 EMC의 관리절차에 대하여 나타 내고 있다. EMC의 관리의 목적은 EMC 관련 규격에 따라 각 설비 및 시스템이 설계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초기 설계단계에서 중점관리를 통한 추가비용을 최소화 하고, 전자파 환경 분석과 영향예측, 장해 방지대책의 체계적인 관리를 하고자 함에 있다. 다음은 시스템레벨에서 전자파 적합성에 대한 평가가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 여 알아보았다. ① 전기철도 시스템 전기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에대한 평가는 아래 [그림 2-7]과 같은 절 7) EU는 전자파 적합성 지침(EMC Directive)의 요구조건에 적합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표시로 장치에 CE 마킹을 부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특정 고정설비에 병합하기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상업 적으로는 사용 불가능한 장치에 대하여 일부 예외사항에 적용될 경우 이러한 전자파 적합성 지침에 대한 요구사항에 부합함을 증명하기 위하여 CE 마크를 부착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 49. - 36 - 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 절차는 제출문서 요구사항에 따라 수립된 전체적인 전자파 적합성 관리 계획으로 시작된다. [그림 2-6] EMC 관리절차 이로부터 시스템 내부, 시스템 상호간 및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에서의 시스템 레벨의 장비에 대한 간섭 요건의 분명한 정의에 기초한 전자파 적합성을 입증 하기 위한 기술적 전략이 수립된다. 기존의 전기철도에서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사항으로는 전차선 접촉 전압, 차량추진 제어장치, 차량 하부 시스템, 전력 공급장치, 신호 및 통신설비 장애 등이 있었으며 이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 <표 2-20>과 같다.
  • 50. - 37 - [그림 2-7] 전기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표 2-20> 기존 전기철도에서 발생한 주요 문제점 항 목 내 용 전차선 접촉전압 - 차량 운행 시 전차선과 집전장치와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높은 접촉전압이 설비의 오작동, 고장 및 전기 충격을 발생 차량 추진 제어 장치 - 기동 및 주행 시 많은 고조파를 유발 - 고조파가 분산이나 방사를 유발
  • 51. - 38 - 차량 하부시스템 - 비용 절감을 목표로 설계하는 경우 EMC 특성을 간과 할 수 있음 전력 공급장치 - 열차의 주행으로 인한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하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무리가 따름 - 전력공급에 관한 규정 및 규칙을 준수하지 않으면 상 당한 장해가 발생 신호 및 통신 설비장애 - 시스템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호 및 통신 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 제약이 되는 주파수와 전자파의 정보 부재로 인항 장채 발생 가능성 내포 전기철도는 크게 차량, 신호, 전력 공급, 통신, 기계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각 시스템에 따른 관리 대상 설비를 <표 2-21>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표 2-21> 전기철도 구성 시스템에 따른 EMC 관리대상 설비 항 목 내 용 차량 - 견인장치 - 보조 전원장치 - 제동장치 - 종합제어 장치 - 방송 및 표시기 장치 신호 - ATP/TD 장치 - 연동장치 - ATO 장치 통신 - 승객안내 설비 - 화상전송설비 - 전송설비 - 열차무선설비 전기 - 원격감시제어 설비 - 변전설비 기계 - 자동제어설비 - 스크린도어설비
  • 52. - 39 - 이와 같은 시스템 내부에서의 전자파 적합성 분석(intra-system EMC analysis), 각각의 시스템 상호간의 전자파 적합성 분석(inter-system EMC analysis)와 나아가서 각각의 시스템과 외부 전자파 환경과의 영향을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분석에는 예비 위험 식별 회의, 위험 식별 연구 및 위험 로그 (hazard log)의 사용을 수반하는 방법, 시스템 내부·상호간·외부 (intra·inter·extra) 시스템 전자파 적합성 리스크 분석 등이 사용되며 아래의 <표 2-22>과 같다. <표 2-22> 철도시스템의 EMC 분석 구 분 철도 시스템의 범위 외적요인 철도차량 전기설비 기계설비 통신설비 신호설비 철도차량 내부 상호간 상호간 상호간 상호간 외부 전기설비 내부 상호간 상호간 상호간 외부 기계설비 내부 상호간 상호간 외부 통신설비 내부 상호간 외부 신호설비 내부 외부 시스템 내부 EMC 분석은 하부시스템내의 모든 장비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 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과정으로 시스템 내 장비에서 발생하여 시스템 내부 인 접 장비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파장해 수준은 허용기준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하 며 시스템 내 장비는 시스템의 다른 장비가 방사하는 전자파의 허용기준 내에 서 적절히 작동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서브시스템 내부 장비중 전자파 방사 장비와 취약 장비를 확인하여 EMI 위험요인을 기록하고 시스템 내부 EMI 위험 요인을 기준으로 서브시스템 내부 장비들을 검토하여 EMI 발생이 우려되는 상 황들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대책관련 사항들의 정의와 반영결과를 확인해야한 다. 시스템 간 EMC 분석은 각각의 하부시스템 상호간 제 기능을 수행하는 검토 하는 것으로 하부시스템 장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인접한 하부시스템 장비
  • 53. - 40 - 에 중대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하고, 하부시스템 장비는 주변의 하부시스템들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파의 허용기준 내에서 적절히 작동하는지 검토해야한다. 외부 시스템 EMC 분석은 철도 시스템의 외부에 있는 장비와 철도 시스템이 모두 제 기능을 수행하는지 검토하는 것으로 철도 시스템 장비는 철도 시스템 외부의 인접 장비에 중대한 전자파 장해를 일으키지 않아야하며, 철도 시스템 장비는 철도 시스템 외부의 장비에 의해 발생하는 허용기준내의 전자파방사 환 경에서 적절히 작동하는지 검토해야한다. 철도시스템에 사용되는 전기전자기기가 만족해야하는 EMC의 성능 및 측정 평가법을 규정하는 IEC 622368)(국내KS C IEC 62236)규격에 부합해야하며, 이를 시험하기 위하여 전자파 방사 수준이 최고치로 예상되는 여러 장소를 선택하여 측정한다. 시험절차는 크게 사전환경조사, 수전단계9)조사, 차량투입단계로 나 누어 볼 수 있다. 사전환경조사 단계에서는 설치 전 전자파 환경을 측정하고 설치 후 환경 데 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기본데이터 파악, IEC 62236-2 규격에 따른 현장환경 측 정, 인근 철도 등 외적 요인으로 철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는 단 계이다. 수전단계 환경조사 단계에서는 사전환경 조사단계와 유사하게 수전 단계의 환경을 측정하고 차량 투입 후 환경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를 파 악하고 IEC 62236-2 규격에 따른 현장 환경 측정 및 인근 철도 등 외적요인으 로부터 철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과 철도시스템에서 외부 시스템으로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차량 투입 단계에서는 차량을 포함한 철도 시스템의 전자파 환경을 측정하고 IEC 62236-2 규격에 따른 현장 환경 측정 및 인근 철도 등 외적 요인으로 철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평가하며 특정 장비의 전자파 방사를 측정하고 외적요인을 포함한 전자파 환경에서 철도 시스템의 기능적 이상 유무 8) 철도에서 EMC 전부를 완전하게 망라한 것은 아니며 철도시스템 전체와 기기가 발생하는 전파잡음 강 도의 허용치와 측정법, 기기가 갖추어야하는 내성에 관한 규정이 주된 애용으로 되어있다.(출처: 전자 파기술원 Newsletter 통권 제12호 “철도 EMC 기술동향”) 9) 예를 들면 한국전력으로부터 수전되어 전차선에 급전이 이루어지는 단계
  • 54. - 41 - 를 시험한다. [그림 2-8]은 전기철도시스템의 시험절차를 그림으로 도표로 나타 내었다. [그림 2-8]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② 상업적 빌딩 공항 또는 철도 부문 내에서 운영되는 빌딩과 같이 상업적 빌딩이 복잡한 전 자파 환경에 놓이게 되는 경우 EMC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빌딩 프로젝트의 착 수로부터 지침의 목표가 만족될 것이라는 보장할 필요가 있다. [그림 2-9]는 상 업적 빌딩에 적용되는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이다.
  • 55. - 42 - 자료: 정연춘(2012) [그림 2-9] 전기철도 시스템의 시험절차 구축된 환경 내에서 전자파 적합성을 확보하는 것은 모델링과 측정으로 구성되 는 기술적 요소와 관리규칙(리스크 분석, 관련된 적합성 선언, 책임자 등)으로 기술적 요소를 패키지하는 관리계획 요소 두 가지 측면에서 검토 될 수 있다. 전자파 적합성 패키지는 전자파 적합성이 올바르게 다루어지고 있음을 증빙하 는 보조 방법으로서 관리 과정에 대한 입력으로 기술적 평가로부터 얻어진 결 과물을 사용한다. 결합된 전체 패키지는 지침에 따라 전자파 적합성이 확보되 었음을 보증하는 증빙자료(혹은 파일)를 제공할 것이다. 설계 분석 단계에서는 대게 빌딩 자체와 플랜트 장비의 설계자 및 설치자가 준수하여야 하는 전자파 적합성 관리 계획의 준비를 포함한다. 설계 검토는 상 호 연계된 이슈로 예를 들면 추가적인 차폐를 제공하거나 보다 높은 레벨의 내 성을 가진 시스템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일을 포함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빌딩 의 상업적 운용은 빌딩의 수명에 따라 변하는 건물의 차폐에 대한 장기간 유지 보수에 관한 고려가 주어질 필요가 있으며, 케이블 작업 배치 전략은 가능한 프로젝트 초기에 정의되어야 한다.
  • 56. - 43 - 또한 공항과 철도역과 같은 복잡한 전자파 환경에서 빌딩 내부에 있는 다양 한 시스템의 방출 및 내성 특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운영 구역을 정하는 것 (zoning)이 필요하다. ③ 자동차 자동차는 기능적 안전 측면에서 시스템으로 다루어지며, ISO 26262에 근거하 여 차량 탑재 전장부품 및 구동 소프트웨어에 대해 엄격하게 기능적 안전이 요 구되고 있다. ISO 26262는 총 9개 파트로 구성되며 과거의 제조물 책임(Product liability)제도와 달리 제조자에게 무한 입증 책임이 있다. 자동차 레벨에서 안전과 관련된 각각의 고장은 아래 <표 2-23>과 같이 자동 차 안전 무결성 레벨(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ASIL)로 평가되며 ASIL 은 다음의 세 가지 파라미터로 평가된다. <표 2-23> 자동차 안전 무결성 레벨의 결정 방법 심각성 등급 확률 등급 제어 가능성 등급 C1 C2 C3 S1 E1 QM QM QM E2 QM QM QM E3 QM QM A E4 QM A B S2 E1 QM QM QM E2 QM QM A E3 QM A B E4 A B C S3 E1 QM QM A E2 QM A B E3 A B C E4 B C D
  • 57. - 44 - ① 확률 등급(Exposure, E): 운전 상황에서의 노출 되는 빈도[E1…E4] ② 제어 가능성 등급(Controllability, C): 그 상황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제어 가능성[C1…C3] ③ 심각성 등급(Severity, S): 그 상황에서 받게 되는 손상의 정도[S0…S3] 4가지의 ASIL(ASIL A, ASIL B, ASIL C, ASIL D)로 정의되며, ASIL A가 가장 낮은 수준의 안전 무결성 레벨이고 ASIL D는 가장 높은 수준의 안전 무결성 레 벨이다. 이러한 4가지 레벨 외에 QM(Quality Management) 등급은 ISO 26262 준 수 요구 사항이 없음을 의미한다. ④ 정유공장 정유공장의 건설과 관련하여 [그림 2-10]과 같은 전자파 적합성이 검토된다. 자료: 정연춘(2012) [그림 2-10] 정유공장에서 전자파 적합성 평가 절차
  • 58. - 45 - 특히, 엔지니어링 설계 단계에서 신설되는 설비가 기존 공장 지역 내 또는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경우 현장 조사하여 인접지역에 위치하는 공장들 간의 인터페이스 접지 및 케이블링에 대한 전자파 적합성을 반드시 다루어야 한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전자파 발생원 및 피해 기기(전력선, 개폐기, 낙뢰 등) 그 리고 특별한 목적으로 건설된 전자파 발생원 및 피해 기기(민간 및 군용 무선, TV 및 통신 송신기)의 식별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전자파 적합성 문제를 평가 해야한다. 적용 가능한 경우 공장 인수 시험 결과를 포함한 전기 계통 장비의 전자파 적합성 규격을 검토하고, 공장 지역의 전자파 환경 레벨을 고려한 운영 구역 지정 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리고 표준적인 전자파 적합성 대책방법과 IEC61000-5 시리즈와 같은 완화 조치의 검토가 필요하여 낙뢰가능성이 큰 지역 에 대해서 직접 낙뢰 및 낙뢰 전자파 펄스로 인한 장비의 손상이 예상되는 경 우는 추가적인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