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24
Download to read offline
행정간행물 등록번호
17000-20030-67-9717
방글라데시 개황
2010. 5
외 교 통 상 부
방글라데시의 국기
[ 국 기 해 설 ]
◯ 방글라데시 국기는 1971.3월 독립전쟁시 아와미연맹당(Awami League)의
당기를 모체로 제정되었다.
◯ 적색의 원은 독립전쟁이라는 암흑의 시기를 거치고 떠오르는 태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방글라데시(벵갈의 나라)의 독립, 저항의 정신을 상징하며 바탕의
녹색은 활력이 넘치는 풍요한 방글라데시의 국토를 상징한다.
방글라데시의 국화(國花)
◯ 방글라데시 국화인 수련(Water Lily)은 연못, 강 등 방글라데시의 곳곳에서
볼 수 있다.
방글라데시의 문장(紋章)
◯ 방글라데시 국가 문장(紋章)은 국화(國花)인 수련(Water Lily)을 두 개의
벼 묶음과 별 그리고 잎사귀가 감싸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Ⅰ. 일반현황 ·············································································································· 9
1. 개 관 ············································································································· 11
2. 정치, 외교, 군사 ···························································································· 12
3. 경제, 사회 ······································································································· 13
II. 역 사 ··············································································································· 15
1. 근대이전 ··········································································································· 17
2. 영국 식민지 시대 ···························································································· 17
3. 동파키스탄 시대 ······························································································ 17
4.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 ··················································································· 18
Ⅲ. 정 치 ·············································································································· 23
1. 개 관 ·········································································································· 25
2. 통치구조 ·········································································································· 25
3. 정 당 ·········································································································· 27
4. 국내정세 ·········································································································· 28
Ⅳ. 외 교 ·············································································································· 31
1. 대외정책 ·········································································································· 33
2. 주변국가와의 관계 ·························································································· 34
3. 주요국가와의 관계 ·························································································· 38
4. 비동맹외교 ······································································································ 40
Contents
5. 대아랍외교 ······································································································ 40
6. 외교관계 현황 ································································································· 41
7. 전 망 ·········································································································· 42
Ⅴ. 경 제 ············································································································ 43
1. 주요경제지표 ··································································································· 45
2. 경제개황 ·········································································································· 46
3. 경제동향 ·········································································································· 49
4. 투자환경 ·········································································································· 52
5. 주요 산업별 개황 ···························································································· 61
6. 무역정책 ········································································································ 64
Ⅵ. 사회 문화 ············································································································ 67
1. 일반특징 ·········································································································· 69
2. 교 육 ·········································································································· 69
3. 종 교 ·········································································································· 70
4. 언 론 ·········································································································· 70
5. 관 광 ·········································································································· 71
Ⅶ. 군 사 ·············································································································· 73
1. 국가 안보 정책 ······························································································· 75
2. 국방정책 ·········································································································· 75
3. 국가 안보 조직 ······························································································· 77
4. 군 사 력 ·········································································································· 77
5. 군의 위상 ········································································································ 77
6. 연도별 군비지출 현황 ···················································································· 78
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 79
1. 기본관계 ··········································································································· 81
2. 대한반도 정책 ································································································· 81
3. 한․방글라데시 공동위원회 ·············································································· 83
4. 양국간 교역현황 ····························································································· 84
5. 투자현황 ·········································································································· 87
6. 주요 프로젝트 공사실적 ················································································· 89
7. 진출기업 현황 ································································································· 90
8. 고용 허가제 ···································································································· 92
9. EDCF 차관사업 ······························································································ 92
10. 개발협력사업 추진현황 ················································································· 93
11. 협정체결 현황 ································································································ 96
12. 문화체육 교류 ······························································································· 96
13. 주요인사 교류 ······························································································· 98
14. 교민현황 ······································································································ 103
15. 친선단체 ······································································································ 103
Ⅸ. 북한과의 관계 ··································································································· 107
1. 기본관계 ········································································································ 109
2. 대북한 기본정책 ··························································································· 109
3. 경제․통상관계 ································································································ 109
4. 협정 체결 현황 ······························································································ 111
5. 주요 인사 교류 ······························································································ 111
6. 친북한 단체 ··································································································· 114
Ⅹ. 참고사항 ············································································································ 115
1. 정부 요인 약력 ······························································································ 117
2. 내각명단 ······································································································· 121
11Ⅰ. 일반현황
Ⅰ. 일반현황
1. 개 관
◯ 국 명 :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 독 립 일 : 71. 3. 26(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
◯ 위 치 : 3면이 인도와 접경, 동남부 일부가 미얀마와 접경, 남부는
벵갈만에 임해(북위 20°34′- 26°38′, 동경 88°01′- 92°41′)
◯ 면 적 : 147,570 ㎢(한반도의 2/3)
◯ 인 구 : 1억 6,220만 명(09, 세계 7위)
- 인구밀도 1,099명/㎢(09)
- 인구증가율 1.29%(09)
◯ 인 종 : 벵갈인(98%), 비하리, 챠크마, 무갈, 아랍인, 파탄족 등
◯ 수 도 : Dhaka(인구 : 1,500만명 추산)
- 주요도시 : Chittagong, Khulna, Syhlet
◯ 종 교 : 회교(83%), 힌두교(16%), 불교(0.7%), 기독교(0.3%)
- 88.6월 회교를 국교로 선언(8차 개헌)
◯ 문 맹 률 : 47.5%
◯ 언 어 : 벵갈어(90%, 공용어), 힌두어(8%), 영어(통용)
◯ 기 후 : 아열대 몬순기후(sub-tropical monsoon) - 고온다습
- 겨울(11월-2월), 여름(3월-6월), 우기(7월-10월)로 구분
- 연평균 강우량(다카: 2,186, 실렛: 4,842, 치타공 3,310 mm)
- 7-9월간 연강우량의 75% 집중, 홍수다발시기
- 연평균강우량: 1,902-4,842 mm
- 연평균기온: 겨울 20℃(11-29℃), 여름 36.7℃(21-38℃)
◯ 영 해 : 12해리(73. 3. 14)
12 방글라데시 개황
◯ 접속수역 : 6해리(74. 2. 13)
◯ 경제수역 : 200해리(74. 3. 14)
◯ 시 차 : 한국보다 3시간 느림(그리니치 표준시보다 6시간 빠름)
2. 정치, 외교, 군사
◯ 정치제도 : 내각책임제(91. 9월 개헌)
- 72. 1월 ~ 75. 1월 내각책임제
- 75. 1월 대통령중심제
- 91. 9월 내각책임제로 복귀
◯ 의회제도 : 단원제(의석 345, 임기 5년)
◯ 주요정당
- Awami League(당수: Sheikh Hasina 현 총리, Sheikh Mujibur Rahman
초대 대통령의 장녀)
- Bangladesh Nationalist Party(당수: Begum Khaleda Zia 전 총리, Ziaur
Rahman 전 대통령의 미망인)
- Jatiya Party(당수: H.M. Ershad 전 대통령)
- Jatiya Shamajtantrik Dal(당수: Hasanul Haque Inu)
- Jamaat-e-Islami(당수: Maullana Matiur Rhaman Nazimi)
- Workers Party(당수: Rashed Khan Menon)
◯ 행정부 주요인사
- Md. Zillur Rahman 대통령(09. 2. 12 취임)
- Sheikh Hasina 총리(09. 1. 6 취임)
◯ 국 경 일 : 3. 26(71. 3. 26 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선언일)
◯ 국제관계 : UN 및 관계기구에 가입, 비동맹(NAM)국가연맹, 영연방국가, OIC
및 SAARC의 일원
- UN 가입일 : 74. 9. 17
◯ 대외정책 : 비동맹 중립외교노선
13Ⅰ. 일반현황
◯ 총 병 력
- 정 규 군 : 17.7만명(육군 15.7만명, 해군 1.3만명, 공군 0.7만명)
- 비정규군 : 국경수비대(BDR) - 4만명, ANSAR & VDP - 460만명,
해양경비대 - 720명
3. 경제, 사회
◯ 국내총생산(GDP) : 916억불(08/09)
◯ 1인당 GDP : 630불(08/09)
◯ 실질 경제성장율 : 6.5%(08/09)
◯ 무역규모(08/09)
- 수출 : 158억불(08/09)
- 수입 : 203억불(08/09)
◯ 외 채 : 208억불로 GDP의 25.5%(08/09)
◯ 회계년도 : 7월 1일 - 다음해 6월 30일
◯ 화 폐 : 다카(Taka)
◯ 환 율 : US$1 = TK68.51(10. 5. 2일 현재)
◯ 생 산 물 : 황마, 피혁, 미곡, 홍차, 사탕수수
◯ 주요자원 : 천연가스, 석회석, 고령토
◯ 도 량 형 : 미터법과 영국식 도량형 혼용
◯ 국제공항 : Dhaka, Chittagong
◯ 국제항구
- 외항 : Chittagong, Khulna, Mongla
- 내항 : Dhaka, Naranyagani, Chandpur 등
◯ 근무시간
- 정부기관 및 일반기업 : 일~목 : 09:00-17:00, 금․토 : 휴무
17Ⅱ. 역 사
Ⅱ. 역 사
1. 근대이전
◯ B.C 6세기경 아리안족, 갠지스강 하류 벵갈지방(현 방글라데시) 진출
- 선주민 드라비다족과 함께 벵갈인 형성
◯ B.C 5세기 중엽이후 인도대륙왕조가 지배
- 마가다 왕조(B.C 5세기) 이후 회교 왕조성립(A.D 13세기 초기)까지 불교문화
융성
◯ 1260년 회교 왕조, 벵갈지역 지배
- 회교문화 본격 성립
◯ 1575년 무갈제국, 벵갈지역 정복, 통치
2. 영국 식민지 시대
◯ 1757년 영국, 벵갈 포함 인도전역에 대한 배타적 지배권 확보
- 영국의 기계․면제품 시장화, 황마 및 차 생산지화
◯ 20세기 초 회교도의 반영운동 확산
- 1906년『전인도회교도연맹』(All-India Muslim League) 결성, 독자적 반영투쟁
- 1907년 7월 영국, 반영운동 확산 차단 위해『벵갈지역 분할령』선포(주민들의
반대로 1911년 철회)
3. 동파키스탄 시대
◯ 1947. 8. 14 파키스탄의 11개주 중 1개주(동파키스탄)로 독립
- 벵갈지역 힌두교도들은 벵갈지역(동․서벵갈)이 하나의 국가로 독립할 경우,
회교도가 다수가 되는 상황 우려
18 방글라데시 개황
- 벵갈지역 회교도들은 인도로부터 독립하지 않을 경우, 소수 힌두교에 의한
다수 회교도 지배 우려
- 따라서 상이한 종족과 언어에도 불구, 종교적 공통점 때문에 동벵갈지역
(현 방글라데시)은 파키스탄의 일부로 인도로부터 독립
◯ 독립이후 서파키스탄의 정치․경제 사회적 차별정책, 이질적 요소존재 등으로
분리독립운동 지속
- 1952 벵갈어 운동을 효시로 대서파키스탄 독립운동 시작
- 1954. 3월 동파키스탄 주 의회 총선에서 야당 대승
- 1969. 3월 아유브 칸 정부에 대한 벵갈인들의 반정시위
- 1970. 12월 동파키스탄 독립을 주창해 온 아와미연맹당(Awami League),
총선에서 압승, 국회개회 무기연기(동파키스탄 국민회의
162석 중 160석, 동파키스탄 주의회 300석 중 289석 차지)
- 1971. 3. 26 독립선언 및 내전
- 1971. 12. 16 독립전 승리
4.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
가. Sheikh Mujibur Rahman 정권
ㅇ 1972. 1. 11 S. Mujibur Rahman(아와미연맹당) 총리의 내각책임제 정권
수립, 사회주의경제, 비동맹중립노선 선언
ㅇ 1975. 1월 대통령중심제 개헌, BAKSAL(노동자 농민 아와미연맹) 1당
독재 실시
ㅇ 1975. 8. 15 쿠데타 및 S. Mujibur Rahman 대통령 피살
나. Ziaur Rahman 정권
◯ 1975. 12 계엄하 Ziaur Rahman 육군참모총장 정권장악
◯ 1977. 5 다수정당 인정 및 대통령 권한 강화 수정헌법 국민투표
19Ⅱ. 역 사
◯ 1978. 6월 대통령 선거, Ziaur Rahman 당선
◯ 1978. 9월 Bangladesh Nationalist Party(BNP) 창당
◯ 1979. 2월 총선 실시(BNP가 의회 2/3이상 의석 획득)
◯ 1981. 3. 5 해외망명 중이던 S. Mujibur Rahman 장녀 Sheikh Hasina
귀국, 아와미연맹당 당수 취임, 대정부 투쟁 강화
◯ 1981. 5. 30 군부쿠데타 기도 및 Ziaur Rahman 대통령 피살, Abdus
Sattar 부통령 권한대행
◯ 1981. 11. 15 대통령 선거, Abdus Sattar 당선(임기 5년)
다. Hussain Muhammed Ershard 정권
◯ 1982. 3. 24 군사쿠데타 및 계엄선포, H.M. Ershad 육군참모총장이
계엄 사령관으로서 전권 장악
◯ 1982. 3. 27 Ahsanuddin Chowdhury 대통령 취임(Ershad 계엄사령관이
임명)
◯ 1983. 12. 11 Ershad 계엄사령관, 대통령 취임
◯ 1986. 10. 15 Ershad 대통령, 국민직선으로 재선
◯ 1986. 11. 10 계엄령 해제
◯ 1987. 11. 10 야당 측의 반정부운동인 "Dhaka Siege Programme"을
시발로 Ershad 정권 퇴진투쟁 격화
◯ 1987. 11. 29 전국에 비상사태 선포
◯ 1987. 12. 6 의회해산
◯ 1988. 3. 3 주요야당 불참하 총선실시
- 대통령 중임제한 및 부통령직선제 실시
◯ 1990. 10. 10 전국규모 정권퇴진운동 확산
◯ 1990. 12. 6 Ershad 대통령 사임 및 Shahanbuddin Ahmed 대통령 권한
대행 취임
◯ 1991. 2. 27 총선실시
- BNP 200석 중 140석 획득, 제1당으로 부상
20 방글라데시 개황
라. Begum Khaleda Zia 정권
◯ 1991. 3. 20 Zia 총리(BNP 당수)의 신정부 출범
◯ 1991. 9. 15 내각제 개헌, 국민투표로 통과
◯ 1991. 10. 9 Abdour Rahman Biswas 대통령 취임
◯ 1994. 12. 2 AL, Jatiya Party 및 Jamaat-e-Islami 등 야당의원 147명
의원직 사퇴
◯ 1996. 2. 15 BNP 단독 총선 실시
◯ 1996. 3. 26 중립 과도정부하 총선실시를 위한 개헌
◯ 1996. 3. 30 Zia 정부 퇴진 및 중립과도정부 구성
◯ 1996. 6. 12 총선실시
- Awami League 146석 획득, 제1당으로 부상
마. Sheikh Hasina 정권
◯ 1996. 6. 23 Sheikh Hasina Awami League 당수 총리 취임
- 21년 만에 Awami League 재집권
◯ 1996. 7. 14 제7대 의회 개원
◯ 1996. 7. 23 Shahabuddin Ahmed 대통령 당선
◯ 1996. 10. 9 Shahabuddin Ahmed 대통령 취임
◯ 2001. 10. 1 총선 실시
- BNP 196석 획득
바. Begum Khaleda Zia 정권
◯ 2001. 10. 10 Zia 총리(BNP 당수) 재집권
◯ 2001. 11 AQM Badruddoza Chowdhurry 대통령 취임
◯ 2002. 6. 21 AQM Badruddoza Chowdhurry 대통령 사임 및
Jamiruddin Sircar 국회의장이 대통령 대행
21Ⅱ. 역 사
◯ 2002. 9. 6 Prof. Dr. Iajuddin Ahmed 대통령 취임
◯ 2006. 10. 29 Zia 정부 퇴진 및 과도정부 구성
- Prof. Dr. Iajuddin Ahmed 대통령이 과도정부 수반 겸직
사. 과도중립내각
◯ 2007. 1. 11 비상사태 선포
◯ 2007. 1. 12 Fakhruddin Ahmed 임시정부 수반 취임
◯ 2008. 12. 29 총선 실시
- AL 230석 획득
아. Sheikh Hasina 정권
◯ 2009. 1. 6 Hasina 총리(AL 당수) 재집권
◯ 2009. 1. 25 제9대 국회 개원(Abdul Hamid 국회의장)
◯ 2009. 2. 12 Zillur Rahman 대통령 취임
25Ⅲ. 정 치
Ⅲ. 정 치
1. 개 관
가. 정 체 : 입헌공화국
나. 헌 법
◯ 1972. 12. 26 공포, 1991. 9 제10차 개헌
다.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채택
- 1972. 1월 내각책임제
- 1975. 1월 대통령중심제
- 1991. 9우 내각책임제로 복귀
2. 통치구조
가. 행정부(내각책임제)
◯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외교 ․ 국방에 관한 형식적 권한 보유
- 임기 5년, 1회에 한해 중임가능, 의회에서 선출
- 내각 총리가 실질적 권한행사
- 의회다수당 총재가 총리가 되고, 내각은 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
- 행정권의 수반은 총리이며, 내각의 연대책임
- 각료 중 9할은 국회의원 중, 1할은 국회의원 피선거권자 중 임명
26 방글라데시 개황
◯ 행정부 요인
- 대통령 : Md. Zillur Rahman(2009. 2. 12 취임)
- 총리 : Sheikh Hasian(2009. 1. 6 취임)
- 외교장관 : Dipu Moni(2009. 1. 6 취임)
나. 입법부
◯ 단원제 의회(Jatiya Sangsad)
◯ 의 석 : 345석
- 지역구 300석(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전원 여성) : 45석
◯ 임 기 : 5년
◯ 선거권 : 18세 이상
다. 사법부
1) 법률체계 : 영국 식민통치 영향으로 관습법이 큰 비중을 차지
2) 구 조
◯ 대법원(Supreme Court)
- 수도 다카에 소재하고 있으며 상고법원(Appellate Division)과 항소법원
(High Court Division)으로 구성
- 대법원장 및 상고법원, 항소법원 판사는 총리 및 법무장관의 권고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정년 65세)
- 최고재판소 판사의 수는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만큼 임명 가능(상고
법원 판사는 최고재판소장 포함 5명, 항소법원 판사는 32명임)
◯ 지방재판소
- 각주(district)마다 지방재판소 설치
- 지방재판소에는 형사사건만을 담당하는 치안판사(magistrate)와 형사․민사를
모두 담당하는 판사(judge)가 있음
27Ⅲ. 정 치
◯ 특별재판소
- 특별재판소로 행정법원 및 노동법원 설치
라. 지방행정조직
◯ 지방 행정 구역은 우리의 도(道)에 해당하는 Division, 군(郡)에 해당하는
District, 읍(邑)에 해당하는 Upazila, 리(里)에 해당하는 Union 으로 분류
◯ 현재 7개의 Division으로 구성 : Dhaka / Rajshahi / Rangpur / Barisal /
Chittagong / Sylhet / Khulna
3. 정 당
가. 정당제도
◯ 자유, 복수정당제로 수십 개의 정당 존재
- 1975. 1월-8월간 단일정당제 채택, S. Mujibur Rahman 대통령이 조직한
'노동자․농민 아와미연맹'(BAKSAL) 1당만이 존재
◯ 1983. 11월 정치활동 자유화이후 수많은 정당이 이합집산을 거듭
나. 주요정당
◯ 방글라데시 아와미연맹(Bangladesh Awami League : AL)
- 창 당 : 1954년
- 당 수 : Sheikh Hasina
- 성 향 : 원래 서민계층에 기반을 둔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표방하였으나,
1996년 선거시부터 주요 금융․공공시설 국유화 반대 등 자유 시장 경제체제
지향 천명, 친인도 성향
- 특이사항 : 방글라데시 정당 중 가장 오랜 전통, 동․서파키스탄 시대
동파키스탄 이익 대변
28 방글라데시 개황
- 1964 M. Rahman(초대 대통령)의 영도 하에 독립운동 주도
1973. 3 제1차 총선승리(315석 중 306석)로 1975. 1월까지 집권
1991. 2 총선에서 제1야당
1996. 6 총선 승리, 집권
2001. 10. 1 총선 패배, 다시 제1야당
2008. 12. 29 총선 승리, 집권
◯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Bangladesh Nationalist Party : BNP)
- 창 당 : 1978년(Ziaur Rahman 대통령이 창당)
- 당 수 : Begum Khaleda Zia(Ziaur Rahman 대통령의 미망인)
- 성 향 : 군출신 인사들이 주축이 된 보수, 민족주의 성향
- 1991. 2 총선서 승리, 집권하였으나, 1996.6.12 총선에서는 패배(제1야당)
- 2001. 10. 1 총선 압승, 재집권
- 2008. 12. 29 총선 패배, 다시 제1야당
◯ Jatiya Party
- 창 당 : 1983년(H.M. Ershad 대통령이 창당)
- 당 수 : 전직 대통령 H.M. Ershad
- Ershad 정권 몰락 후, 1991. 2월, 1996. 6월, 2001. 10월 총선에서 제2야당
으로 전락
◯ 기타 JSD(사회주의 계열), 이슬람당(Jammat-e-Islami, JI), 노동당, 자유
민주당, 공산당 등 많은 군소정당 존재
4. 국내 정세
◯ 2006. 10월 Zia 정권 퇴진 후 차기 총선을 둘러싼 BNP와 AL간 극한대치와
전국적인 유혈사태로 군부 후원 하에 비상사태가 선포되고 총선시까지 정국을
관리할 과도정부(non-party caretaker government)가 구성
- 과도정부는 헌법상 총선 전 3개월만 존속하도록 되어 있으나, 총선이 2008년
말까지 연기됨에 따라 약 2년간 통치
- 과도정부는 당초 부패척결과 정치개혁을 명분으로 Zia BNP 당수와 Hasina
AL 당수를 배제한 새로운 정치질서를 모색하였으나, 두 여사를 대체할 정치
세력 형성이 시기상조임이 분명해짐에 따라 이들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2008. 12. 29 총선 실시
◯ 동 총선 결과 Hasina 당수가 이끄는 AL이 총 300개 의석 중 230석을 획득,
Zia의 BNP를 누르고 압승
◯ 2009. 1. 6 정식 출범한 Hasian 정부는 과도정부 기간 동안 폭등하였던 쌀값을
안정화하는 한편 주재국의 만성적인 전력 및 교통난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국가
사업을 추진
- 특히 총선 시 공약한 2021년까지 ‘중소득국가’ 및 ‘디지털방글라데시 2021’
구현을 목표로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면서 과거 정권과의
차별성을 부각하기 위해 노력
◯ 향후 Hasina 정부는 견실한 경제성장 기조를 유지하면서 전력․에너지 대책, 교통
인프라 구축, 디지털방글라데시 추진 등 민생 및 경제발전과 밀접한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어 현 정부의 지지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
30 방글라데시 개황
33Ⅳ. 외 교
Ⅳ. 외 교
1. 대외정책
가. 정책기조
◯ 1975년 Ziaur Rahman 대통령 이후 비동맹․중립외교노선 추구
나. 외교목표
◯ 자주독립 및 주권의 확보, 유지
◯ 국내정치, 사회발전을 위한 다양한 우호협력관계 증진
◯ 평화, 자주, 진보를 위한 국제협력증진
다. 외교원칙(헌법 제25조 규정)
◯ 주권평등
◯ 내정불간섭
◯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 유엔헌장 및 국제법 준수(민족자결주의, 반식민, 반제국, 반인종주의)
◯ 회교적 결속에 기초한 회교국가간 형제관계의 유지 및 강화
라. 대외관계의 특징
1) 독립주권 수호-안보 외교
◯ 중국과의 우호관계 중시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출범을 주도, 지역결속 및 지역협력 강화 도모
34 방글라데시 개황
2) 빈곤탈피, 국제협력 추진
◯ 미국, 일본, 캐나다 및 서구제국의 경제개발 협력 중시
◯ 홍수 방재를 위한 외교적 노력 경주
◯ 영연방내 협조 유지
3) 회교권 결속기여 노력
◯ OIC를 중심으로 한 회교권 국가와 결속강화(특히 사우디와의 관계 중시)
4) 비동맹외교를 통한 국제적 지위 향상
◯ 비동맹회의 및 국제기구에서의 적극적 활동으로 국제적 지위 향상
2. 주변국가와의 관계
가.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SAARC)
◯ 1980. 5월 Ziaur Rahman 대통령이 지역협력에 관한 협의를 위해 정상회담
개최를 제의, 1985. 12월 제1차 정상회의를 방글라데시에서 개최하는 등 동
기구의 창설 주도
- 2005. 11월 제13차 SAARC 정상회의 다카 개최
◯ 지정학적, 경제구조적인 약소국가로서의 활로개척을 위하여 SAARC 창설 적극
주도 및 참여
※ SAARC 개요
- 목 적 : 지역 국가 간 비정치 분야 협력 도모
- 회원국 : 8개국(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부탄, 몰디브,
35Ⅳ. 외 교
아프가니스탄)
- 회원국 간 상이한 입장과 인도의 지배적인 영향력 등을 감안할 때 EU와 같은
지역통합기구로의 발전가능성은 적으나 지역경제협력기구로의 발전 가능성은
상존
- 2005. 11 제13차 정상회의 개최(방글라데시)
- 2007. 4 제14차 정상회의 개최(인도)
- 2008. 8 제15차 정상회의 개최(스리랑카)
- 2010. 4 제16차 정상회의 개최(부탄)
- 우리나라는 2007년 제14차 정상회의시 옵저버로 가입
나. 대인도 관계
◯ 인도는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시 최대지원국
◯ 양국은 1982년 정상회담(Ershad-Indira)을 통하여 합동경제위원회(JEC) 설치
에 합의
◯ South Talpatty섬의 소유권문제, 영해문제 등이 양국 간 현안문제로 남아 있음.
- 4,600여Km에 달하는 국경선을 공유하고 있는 양국관계는 다수의 주재국 국민
인도체류문제, 국경지역 충돌, 상대국가 국경 내 반정부세력 및 테러캠프 문제,
수자원 공유문제, 인도상품의 밀수, 주재국 Gas 수출문제 등 정치 ․ 심리적
현안으로 때때로 긴장관계 노정
- 인도는 과거 World Bank를 통한 Jamuna Bridge 건설 방해, UN에서의
Rohingya 난민문제에 대해 방글라데시 입장 반대
◯ 정치 ․ 경제적으로 대방글라데시 영향력 막강
- 방글라데시는 자국 생산제품의 인도시장 duty free access 및 연간 10억불
이상의 무역적자폭 축소를 인도 측에 요구
◯ Hasina 총리 인도방문(2010. 1월)
- Hasina 총리는 Manmohan Singh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 후 양국간 협력방안을
담은 공동성명(Joint Communique) 채택
36 방글라데시 개황
- 민주주의, 다원주의 및 법의 지배라는 공동 입장 천명, 안보 및 대테러 협력,
대테러 및 협사사법 협력 강화를 위한 3개 협정 서명, 양국 공동 하천 이용,
경제통상 및 개발협력 방안 등 포함
다. 대파키스탄 관계
◯ 1974. 4월 양국 간 외교관계 설립
- 이집트, 쿠웨이트 등 아랍국가와 중국 등의 화해 요구 압력 등이 작용
- 독립 전쟁을 겪었으나(약 300만명 피살 추정) 아직도 고급관리, 군 고위
간부들이 파키스탄 육사출신으로 전통적 우호관계 유지
◯ 1977. 12. 21-23 Ziaur Rahman 대통령 파키스탄 방문계기로 화해진전
◯ 1983. 2월 방글라데시 외상의 파키스탄 방문 및 1983. 8월 파키스탄 외무장관의
방글라데시 답방
- 방글라데시 독립 후 최초의 파키스탄 외상 공식방문으로서 불편했던 관계를
화해의 분위기로 전환
◯ 1989. 7월 부토 파키스탄 총리의 방글라데시 공식방문으로 양국관계 완전 정상화
이후 양국교류 증진
◯ 2002. 7월말 무샤라프 대통령은 방글라데시 공식방문시 1971년 독립전쟁 당시
파키스탄군의 방글라데시인 학살문제 등에 대해 “양국에 깊은 상처를 남긴
비극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하고 “불행한 시기에 저질러진 과도함에
유감을 표명”하여 과거사문제를 일단락지었음.
- 한편, 독립전쟁 시 방글라데시내 20여만의 파키스탄 유민 송환문제 및 45억불
상당의 방글라 자산배분문제 등에 대해 계속 협의하기로 함.
라. 대미얀마 관계
◯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당시 인위적으로 설정된 국경선으로 인해 사소한
충돌 발생가능성 내재
- 방글라에 친밀감 갖는 벵골계 Rohingya족(회교도) 미얀마 국경 내 거주
37Ⅳ. 외 교
- 미얀마에 친밀감 갖는 몽골계 소수민족(불교도) 방글라내 거주
◯ 미얀마 정부의 소수민족차별정책으로 인하여 1991~1992년 Rohingya 회교도
난민 약 25만 명 이상이 방글라데시 영내로 피난, 양국 간 마찰 초래
- 1992. 4월 미얀마 U Ohn Gyaw 외무장관의 방글라데시 방문, 송환협정 체결
계기 마련
◯ UNHCR의 적극 개입으로 1996. 4월 40,033세대 197,397명의 난민송환이
실현되었으나, 아직까지 2만여 난민이 남아있어 양국간 현안으로 상존(1993.
5. 12 방글라데시 정부와 UNHCR간 MOU 체결, 1993. 11. 5 미얀마 정부와
UNHCR간 MOU 체결)
◯ 2002. 12월 미얀마 Thanshwe 총리의 방글라데시 공식방문을 통해 양국은
다카-양곤 간 도로건설을 비롯하여 양국 간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
◯ 해상 경계 획정 문제
- 2000년대 초 벵갈만에서 대형 해상 석유가스전 탐사 성공 이후 양국간 해양
경계 획정 문제가 표면화되고, 2008. 11월에는 양국간 해상 대치로 우리
대우의 미얀마 AD-7광구(주재국의 08-13광구와 중첩) 탐사활동이 중단되는
사태 발생
- 2010. 1월 개최된 양국 회담에서 주재국이 주장하는 형평성(equity) 원칙과
미얀마측이 주장하는 등거리(equidistance) 원칙을 절충하여 향후 기술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합의
마. 대태국 관계
◯ 태국은 방글라데시의 대ASEAN 접촉창구
- 방글라데시는 ASEAN dialogue partner 및 ARF 참가희망을 태국을 통해
동남아국가에 타진
◯ 양국 간 합작투자, 경제협력관계 긴밀
◯ 1992. 1월 태국 황태자 방글라데시 방문으로 우호관계 심화
38 방글라데시 개황
◯ 2002. 7월 Thaksin 태국총리의 방글라 공식방문을 통해 Joint Business
Council 설립 및 투자보호협정 및 도로망 연결사업 등이 구체적으로 합의되어
양국 간 무역확대에 큰 진전
바. 대네팔관계
◯ 네팔은 갠지스강 수원지로서 방글라데시에 중요한 국가
◯ 방글라데시는 네팔에 대하여 횡단루트(Transit route)와 항구사용권을 제공
사. 대ASEAN 관계
◯ ASEAN 국가로부터 경제 원조를 받고 있지는 않으나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ASEAN 제국과의 경제협력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
◯ 방글라데시의 Look East 정책 표방에 따라 ASEAN과의 관계증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방/인니 정상 교환방문(2003/2004년)
- Zia 총리 브루나이 방문(2004. 1월)
- 베트남 대통령 방문(2004. 3월)
- Zia 총리 베트남 방문(2005. 5월)
3. 주요국가와의 관계
가. 대중국 관계
◯ 1975. 10월 양국간 국교수립 이후 대중국 우호관계 중시
- 중국은 인도와 갠지스강 분쟁시 방글라데시 지지
- 방글라데시는 아프간사태, 캄푸치아사태에 대해 중국과 공동보조
◯ 무상원조 및 차관공여 등으로 중국의 영향력 다대
- 빈번한 고위인사교류, 군사사절단 교환방문, 경제협력 및 문화교류 증대 등
39Ⅳ. 외 교
을 통해 양국 간 유대관계 긴밀화를 도모
- 1989. 11월 이붕 중국 총리의 방글라데시 공식방문, 1991. 6월 및 1995. 9월
Zia 총리의 중국 방문, 2002. 1월 주룽지 중국 총리의 공식 방문, 2002. 12월
Zia 총리의 중국 방문, 2003. 11월 중국 정협주석(서열 4위) 방문, 2005. 4월
원자바오 중국 총리 방문, 2005. 8월 Zia 총리 중국 방문(국내폭탄테러로 조기
귀국), 2010. 3월 Hasina 총리 중국 방문
나. 대미국 관계
◯ 미국은 서남아지역의 안정 유지세력으로 인도, 파키스탄을 중시하였으나,
9. 11사태 이후 대아프간 전쟁을 수행하면서 온건 이슬람국가로서 방글라데시의
착실한 민주발전, 지역안정 기여, 대테러전 지원에 대해 평가
- 미국은 회교근본주의세력(테러리스트)의 방글라데시내 영향력 확대를 경계
◯ 방글라데시는 비동맹 중립노선을 표방하고 있으나 경제관계 등을 고려, 미국과의
관계 중시
- 미국은 방글라데시 주요 교역대상국
- 방글라데시는 국제무력분쟁에 있어 평화유지군(PKO) 파견 등으로 미국의 해결
노력 지원
다. 대러시아 관계
◯ 독립 후 Mujibur Rahman 대통령 집권시 친소 경향, 동 대통령 피살 후에는
관계 소원
◯ 1983. 11월 다카주재 소련대사관이 반정부활동에 개입했다는 증거를 제시,
대사관직원 수명을 출국 조치
- 1984. 6월 문화원 및 영사관의 활동재개 등 대소관계 개선
◯ 구소련으로부터 다액의 원조와 무상경제협력을 받았으나, 공산체제 붕괴 후
러시아측으로부터 원조 미미
40 방글라데시 개황
라. 대일본 관계
◯ 1972. 6. 27 양국 간 국교 수립(동년 9월 상호 대사 교환)
◯ 수교이후 일본의 원조 및 차관제공 증대로 각료 및 사절단의 교환 등 교류 활발
- 일본은 방글라데시 최대 원조공여국이자, 방글라데시의 교역 상대국으로서
중요한 위치
- 2005. 7월 Zia 총리 일본 방문, 2006. 7월 아소타로 일본외상 방글라데시 방문
마. 대영국 관계
◯ 영국은 구 식민종주국으로서 1972. 3월 국교수립이후 활발한 인적교류와 원조를
지속하는 등 양국관계는 정치, 외교, 경제 등 모든 면에서 영국이 방글라데시를
지원
- 영국은 매년 상당액의 유․무상원조를 제공하며 교역상 중요위치
- 영국 내 약 50만 명의 방글라데시 출신 거주
◯ 방글라데시는 영연방국의 일원으로 적극 참여
4. 비동맹외교
◯ 비동맹을 외교의 기조로 삼고 있는 비동맹권의 일원으로서 비동맹 원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입장을 견지, 비동맹 내 조정위원회에 적극 참여
◯ 평화공존, 외세배격, 타국 내정문제 불간섭을 주장하면서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
빈국을 대변
5. 대아랍 외교
◯ 회교국의 일원으로서 회교국가와의 협력과 발전이 주요 외교정책의 하나
- 2005. 12월 Zia 총리 사우디 개최 OIC 정상회의 참석
41Ⅳ. 외 교
- 2006. 08월 Zia 총리 OIC 특별정상회의(말레이시아) 참석
- 중동지역에 대한 방글라데시의 노동력 수출은 국가경제의 큰 비중차지
◯ 주요 원조국의 하나인 사우디와도 1974. 11월 국교수립 이후 양국 정상의 빈번
한 상호교환방문 등을 통해 경제협력 도모
◯ 중동산 원유를 유리한 조건으로 신용 도입하기 위해 중동국가 방문 활발
- 2006. 05 Zia 총리 UAE방문, 쿠웨이트 방문
- 2006. 10 Zia 총리 사우디 방문
- 2010. 02 Hasina 총리 쿠웨이트 방문
6. 외교관계 현황
가. 방글라데시 재외공관 현황
◯ 대 사 관 : 45
◯ 총영사관 : 11
◯ 국제기구대표부 : 2
나. 주요 국제기구 협약 가입
◯ 국제기구 : UN 및 주요 국제기구 가입
◯ 지역 국제기구 : SAARC
다. 주 방글라데시 외국공관
◯ 대사관 : 47 (상주)
◯ 영 사 관 : 40 (명예영사 포함)
◯ 국제기구 : 22 (UNDP, UNHCR, UNICEF, UNFPA, WHO, ILO, WFP, IMF,
FAO, ADB, CIRDAP, ICDDR, WB, ICRC, IFRC, IFDC, IJSG, IOM, IUT,
PPD, UNESCO, UNIC)
42 방글라데시 개황
7. 전 망
◯ 비동맹 중립노선을 계속 견지하면서 주권 보전, 경제실리외교를 통한 자국
이익의 극대화 및 경제발전 추구 예상
◯ 대인도 유화정책을 계속 추구하면서도, 미․중․아랍과의 결속 및 관계강화
45Ⅴ. 경 제
Ⅴ. 경 제
1. 주요 경제지표
◯ 국내경제(회계연도 : 7.1-다음해 6.30)
- 국내총생산(GDP) : 916억불(08/09)
- 실질경제성장률 : 6.5%(08/09), 지난 6년간 연평균 6% 내외의 성장률 유지
- 1인당 GDP : 630불(08/09)
- 물가상승률 : 8.4%(08/09)
- 투자율(GDP 대비) : 19.07%(08/09)
- 국내실업률 : 20% 정도로 추산
◯ 대외경제
- 총수출 : 158억불(08/09)
- 총수입 : 203억불(08/09)
- 경상수지 : 9.8억불 흑자(08/09)
- 외환보유고 : 65.1억불(08/09)
- 해외근로자의 국내 외환송금 : 약 96.9억불(08/09)
- 환율 : 2003년도 변동환율제 도입, 최근 3년간 평균 TK/US$1 68.00로 안정적
유지
※ US$1 = TK68.51 (10. 5. 2일 현재)
- 대외부채 : 208억불로 GDP의 25.5%(08/09)
46 방글라데시 개황
2. 경제개황
가. 독립이전의 경제 상황
◯ 식민지적 경제구조로 출발
- 영국으로부터 독립(1947) 이전 영국에 대한 공업용 원자재의 안정적 공급원 겸
영국 상품의 시장으로서 전형적인 식민지경영에 의한 자본수탈의 대상
◯ 차 및 황마생산 중심으로 근대공업 시작
- 19세기부터 홍차와 황마(쥬트)의 대규모 농장개념 도입
◯ 인도로부터 독립 후 서파키스탄의 차별정책으로 세계 최빈곤지역으로 전락
(1947~1971)
- 인구비중의 우위(55%)에도 불구, 전체 예산의 30% 및 총원조액의 20%만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에 할당
- 파키스탄 독립전쟁 당시 사회간접자본 파괴 등 막대한 경제적 피해 발생
나. 경제구조 및 시장특성
◯ 전형적인 저개발농업국가 구조
-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제1위로 높은 국가로서 전체인구의 약 50%가 농업에
종사하며, 농업이 국내총생산의 21% 차지
-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제조업 및 기간시설이 낙후
◯ 경제인구 구성의 취약점
- 인구 과밀 및 높은 인구증가율
- 인구 1%에 해당하는 상류층이 국부(National Wealth)의 90% 이상 점유하고
있으며 1일 1달러 소득 미만인 극빈자는 전체 인구의 41.3% 차지(2008,
Economic Review from Ministry of Finance)
- 높은 문맹률 : 47.5%(2008, Bureau of Statistics), 실제문맹률은 60%에 달함
47Ⅴ. 경 제
◯ 구조적 모순
- 농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도 불구, 농업생산성 불안정(기후조건 및 전기
사정에 좌우)
- 경제발전 및 인프라구축 등에 필요한 투자재원을 외자 및 원조에 의존하고
있으며, 무상원조 감소 및 상환부담 가중
- 여-야간 극한대립으로 인한 정치 불안정이 잦은 파업으로 이어져 수출산업 등
제조업분야에 큰 타격
- 부존자원의 부족으로 산업에 필요한 원부자재 수입의존도가 높아 만성적인
무역수지를 해외근로자 송금으로 대체
◯ 시장특성
- 시장규모는 매년 확대되고 있지만 낮은 국민소득으로 유효수요 및 실질 구매력
증가가 높지 않음
- 다카를 중심으로 치타공, 쿨라, 라샤히 등 주요 도시에 신흥 부촌들이 생겨나고
있음
- 대규모 도소매상이 없으며 수입상보다는 에이전트들의 활동이 활발하고 가족
경영 형태로 소규모 영업을 하고 있음
- 회교국가로서 종교의식이 소비패턴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국자본과
외국인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 내재
다. 경제개발계획 실적
◯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 전 3차례 5개년 경제개발계획(1956~1970)을 실시하였
으나 서파키스탄의 차별정책으로 동파키스탄의 경제성장 저조
◯ 1971년 독립 후 제1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1973. 7~1978. 6)은 석유파동, 대
홍수, 정치적 불안정(사회주의) 등으로 목표(5.5%)에 못 미치는 연평균 3.7%
GDP 성장
◯ 5개년 개발계획을 보완한 2개년 경제개발계획(1978. 7~1980. 6)은 목표
(5.6%)에 근접한 5% GDP 성장
48 방글라데시 개황
◯ 제2차 5개년 개발계획(1980. 7~1985. 6) 기간 중 목표(7.2%)의 절반수준인
3.8% GDP 성장
- 홍수로 인한 농업부문 피해와 공업생산의 부진
◯ 제3차 5개년 개발계획(1986. 7~1990. 6)은 GDP 성장목표 5.4%에 훨씬 못
미치는 3.9% 성장
- 1987, 1988년의 대홍수 및 정치적 불안정
◯ 제4차 5개년 개발계획(1990. 7~1995. 6) 기간 중 연평균 4.5% GDP 성장률
기록
- 거시경제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이룩하고 수출신장세가 수입증가율을 상회
하는 실적 달성
- 그러나 재정 및 금융구조 개편 부진, 낮은 투자율(GDP의 12-14%)로 고도
성장을 이룩하지 못함
◯ 제5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1997. 7~2002. 6) 기간 중 연평균 6% GDP 성장
- 개발목표 : 빈곤타파, 식량자급, 고용증진, 인구증가율 축소 등 구체적인
목표제시
- 민간투자 확대 : 민간 56%, 공공 44%
-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 : 산업(14%), 에너지(23%), 농업(5%), 교육
(6.5%), 상업(7.5%), 교통(7.5%)
◯ 5개년 개발 계획을 보완한 3개년 개발계획(2002. 7~2005. 6) 기간 중 연평균
6% GDP 성장
◯ 2005년이후 5개년 경제개발 계획은 BNP정권시 PRSP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프로젝트로 2007년까지 3년간 시행
- 과도정부기간에 PRSP가 2008년까지 1년 연장
◯ 현 정부의 국가경제위원회(NEC)는 2차 PRSP (2009. 7~2011. 6) 3개년 계획을
마련, 7.2%의 경제성장을 목표로 농업 및 발전분야를 중심으로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며 총 소요예산은 460억불
49Ⅴ. 경 제
3. 경제동향
◯ 세계 각국 및 WB, ADB 등에서 지원하는 유․무상 원조자금에 의한 경제개발과
정부의 각종 구조개혁 프로그램을 지속 추진중
- 08/09 회계연도의 경상 GDP규모는 916억불로 집계될 것으로 추정, 실질
GDP 증가율은 지난 5년간 6%대 이상으로, 개도국의 평균 증가율에 근접
◯ GDP의 산업별 구성비는 07/08 회계연도 기준 서비스 42.1%, 농림수산업
20.9%, 제조업 17.8%, 건설업 9.1%, 광산 1%를 각각 차지
- 농업부문 가운데 비중이 높은 농작물 성장률은 기후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음에
따라 등락이 심하고, 제조업 부문은 지난 5년간 평균 9%대로 꾸준한 성장률을
유지
◯ 물가는 원유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과 유통이 열악하여 기초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여 2009년도 12월말까지 이미 7%에 육박
- 실제 도시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 물가상승은 이미 15~20% 이상
- 2006. 10월부터 다카화의 갑작스런 평가절상 이후, 11월 중순부터는 급격한
평가절하가 이루어져 많은 생필품과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방글라
데시 경제에 부담
- 대외교역은 08/09년 회계연도 수출이 전년 대비 10.3% 증가한 158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수입은 산업용원재료,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기계류 수입증가로
전회계년대비 4.6% 증가한 203억달러를 기록
◯ 무역수지 악화로 해외근로자의 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외환보유고는
08/09년도 회계연도 기준 약 65.1억불을 기록
◯ 금융통화 부문에서는 은행권 부실채권 규모가 전체 여신의 1.7% 정도로 부실이
낮아지고 있으나, 중앙은행에서는 은행권 여신관리 감독 강화 및 무담보대출을
억제
- 2006년 3월에는 최초로 부실채권을 탕감하는 등 최근 은행들의 부실이 많이
완화되고 있어 2009년 실적이 사상최대를 기록(민간은행 및 외국계 은행)
- 중앙은행의 긴축정책으로 투자가 어느 정도 위축되고 있으며, 또한 경상
50 방글라데시 개황
경비 지출을 위한 정부의 금융권 차입증가로 재정적자가 GDP의 4.5%를
넘어서고 있음
◯ 09/10 회계연도 방글라데시 정부의 예산은 개발자금을 포함 전년대비 13.6%
증가한 167억불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6.5%대 GDP 성장이 목표
- 09/10년도 연차개발계획(Annual Development Programme)은 전년대비
32.6% 증가한 44.8억불로 편성하였는데, 분야별로는 지방개발에 22.6%, 에
너지투자 13.6%, 교통통신 15.2%, 교육․IT 13.0%, 보건 9.7%, 농업개발
7.5%, 기타 7.6%로 각각 배분
◯ 고용면에서는 농업부문이 전체 노동인구의 48.1%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소매
및 요식업은 16.45%, 제조업이 10.97%로 그 뒤를 잇고 있음(05/06년 기준).
실업률은 정부 공식통계로는 4.3%이나 세계은행(WB)은 20%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 미발달로 성인남자 실업률이 높고 아동취업률이 노동인구의
10%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산
◯ 방글라데시는 농업국가로 농산물 작황 여부가 전체 경제성장률을 좌우하지만
1980년대 후반 들어 저임을 이용한 섬유산업에 대한 외국인들의 투자가 크게
증가하여 현재 섬유산업은 방글라데시 전체 수출의 약 75%를 차지하는 주력산
업이 되었으며, 최근 정부와 민간업계는 신발, 비료, 의약품 및 IT 분야를 제2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중
◯ 방글라데시는 유일한 부존자원인 천연가스의 개발을 통해 전력생산의 대부분을
가스에 의존하고 있으나, 가스 생산량의 한계, 막대한 개발 비용으로 인한 외국
업체의 개발사업주도, 대도시 위주의 가스사용 등으로 전력난이 심화
- 지난 2008년 2월 총 28개 광구의 국제 입찰이 시행된 제 3차 뱅골만 가스전
개발은 9개 광구에 대해 미국의 Conoco Phillips와 아일랜드의 Tullow사만이
낙찰을 받은 상태(2009.9월 시점) 로서, Petrobangla와 합작생산계약(PSCs)에
서명하지 않고 있는 상태
- 미국의 지질연구소(USGS)는 뱅골만에 25억 배럴의 오일에 상응하는 15조
입방피트의 가스가 매장되어 있다고 조사한 바 있음
◯ 방글라데시는 경제개발 외 국민들의 빈곤 감소를 위해 Microcredit을 비롯한
51Ⅴ. 경 제
다양한 개발정책을 펴고 있으며, 정부 총지출의 23-25% 정도가 이러한 최저
생계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구제정책에 사용
- Microcredit의 대부로 알려진 Mohammad Yunus 그라민 은행 총재는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은행대출을 통해 2006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지만 일부에
서는 고리대금업자로 오해받기도 함
◯ 2005년 POST MFA(다자간 섬유협정)에 따른 쿼터폐지로 최대산업인 섬유산업
위기론이 대두되었으나, 방글라데시 기업들의 후방산업 투자확대 등으로 현재
까지 위기를 잘 극복 중
- 수출가공지역(EPZ)내 제한적인 노조 허용, 섬유분야 노동자 시위 및 인건비
상승, 정치 불안, 비효율적인 정부운영, 고유가로 인한 수입대금 결재 어려움
등이 섬유수출업체들의 주요 현안
<표> 방글라데시의 거시경제지표
구 분 단 위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경상GDP(98/96기준) 십억불 51.9 56.5 60.4 62.0 68.0 78.9 91.6
GDP 실질성장률
(불변요소가격)
% 5.3 6.3 6.0 6.7 6.8 6.2 6.5
인 구 백만명 133.4 135.2 137.0 138.0 140.0 142.4 162.2
1인당 GDP 불 389 418 445 447 484 554 630
수 입 백만불 9,658 10,903 13,147 14,460 16,800 19,504 20,296
수 출 백만불 6,548 7,603 8,655 10,500 11,500 14,309 15,782
무역 수지 백만불 -3,110 -3,300 -4,560 -4,300 -5,300 -5,195 -4,514
경상 수지 백만불 197 510 435 526 500 672 980
외환보유고(기말) 백만불 2,470 2,705 2,930 3,484 3,655 6,148 6,509
해외원조(집행기준) 백만불 1,585 954 1,259 1,241 1,624 1,956 1,664
대외 부채(기말) 백만불 16,953 17,953 18,557 18,908 19,355 20,110 20,831
총재정 적자
% of
GDP
3.4 3.5 4.5 4.1 4.5 4.9 4.1
인플레이션 % 4.4 5.8 6.5 7.1 7.0 9.9 8.4
환 율(평균) TK/불 57.9 58.94 61.39 67.02 69.0 68.6 68.8
: Ministry of Finance, Bangladesh Bank, Bangladesh Bureau of Statistics
52 방글라데시 개황
4. 투자환경
가. 인프라 현황
(1) 전력
◯ 전력설비 현황은 송전망 시설(Transmission Line)이 9,530 Circuit km, 배전망
시설(Distribution Line)이 260,000km로 전체인구중 전력사용 비율은 47%에
달함
- 전기 공급이 비교적 안정적인 도시에서도 잦은 정전으로 산업 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2014년까지 전력 수요량이 약
8,000MW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어 전력공급은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방글라데시 정부는 해외민자발전사업(IPP) 등으로 2015년까지
5300MW의 추가전력을 공급한다는 계획
(2) 통신
◯ 고정 전화선은 국영기업인 Bangladesh Telegraph and Board(BTTB)에 의해
거의 독점되고 있으나, 현재 회선수는 100만에 불과하여 인구 1000명당 7대에
불과한 상황
◯ 휴대폰 서비스의 경우 1989년 민간업체에 최초 허가된 이후 현재까지 5개사가
서비스 중으로 2008년 말 4천만 가입자를 돌파
◯ 국제통신은 BTTB에 의해 위성연결 4개의 지상중계소를 통해 독점 서비스중
◯ 전화 요금수준은 시내전화의 경우 인근국에 비해 20% 내외 저렴한데, 시내
전화요금의 경우 5분당 TK1.50(U$0.026)
- 휴대폰 요금과 국제전화 요금은 비싼 편인데 다카-서울의 경우 TK22/분으로
방글라데시-일본/미국 등에 비해 2배나 비싸지만 한국에 대한 국제요금을
조만간 인하할 예정
53Ⅴ. 경 제
◯ 다카-치타공 구간은 철도청에 의해 Grameen phone을 통해 광케이블로 연결
되어 있으며, PGCB에서 배전시설과 함께 치타공-다카-보그라, 브라만바리
아-실렛 구간 공사에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등 방글라데시 광케이블을 전국적
으로 네트워크화 할 예정
(3) 도로 등 운송
◯ 내륙운송화물의 63%, 내륙승객의 73%이 도로망 이용(자료 : Roads & Highways
Department)
- 지난 1998년에 자무나대교의 완공으로 방글라데시 도로운송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으며, 이어 파드마강의 쿨나-룹샤교 등이 완공되어 동서교통 원활
◯ 도로망과 더불어 총연장 2,880km의 철도는 바리살 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방의 주요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카시와 자무나대교 간 42km 철로가
2005년 말 완공되어 국토의 동서 연결이 가능
- 내륙 운송화물의 30%, 내륙 승객의 20-25%가 철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
- 현재 46개의 상업용 열차(우편, 특급, 지방)가 운영 중이며, 이중 26개의 열
차편이 민영화 되었지만 대부분의 열차가 50년 이상 노후화
◯ 치타공 항은 방글라데시 제1의 항구로서 전체 수입물품의 80%, 수출물품의
75%를 소화하나, 항만 수심이 낮아 대형선박은 진입 불가
나. 투자정책
(1) 외국인투자 개관
◯ 방글라데시는 외국인 투자활성화 및 투자기업보호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외
국인투자법」(Foreign Private Investment- Promotion & Protection Act)을
1980년에 제정, 시행중
- 해외자본의 국내투자를 적극 유치하기 위해 1999년에 신산업정책을 발표하여
외국인투자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확대하고 외환규제도 완화
54 방글라데시 개황
투자지역 면제기간 대상산업
수출가공공단
(Export Processing Zone)
10년 업종불문
◯ 2009. 12월 기준 총 외국인 투자금액(신고기준)은 누계로 244억불이며 미국,
영국, 말레이시아, 일본, 홍콩 등이 주요 투자국이지만 대부분 금융 및 서비스,
가스개발 등에 집중
- 이외 수출가공공단(Expert Processing Zone)내 외국인투자는 11.5억불이며
이중 한국이 4.7억불 이상 투자
<외국인투자관련 정책>
- 외국인투자법에 따라 외국인과 내국인 투자자에 대해 동등 대우
- 국유화로부터 투자기업 보호
- 주식매각대금 및 순이익의 본국 송금 허용
- 투자금지 산업, 은행, 보험 등 금융산업 및 국방, 치안 등을 제외하고 모든 서
비스, 제조업에 대한 외국인투자 장려
- 투자금액 상한선이 없으며, 100% 단독투자 허용
- 해외에서 조달된 투자금액의 전액과 배당금, 이익의 본국 송금이 허용되며,
배당금 및 유보이익의 재투자 시 신규투자로 간주
- 핵심전략산업(Thrust sector)에 투자한 경우「방글라데시소기업가내공업공사
(Bangladesh Small & Cottage Industries Corp. : BSCIC) 소유 산업부지
배정에 우선권 부여
<재정 및 금융 인센티브>
- 외국인 투자기업 중 전력생산 분야는 15년간 법인세 면제 혜택을 받으며, 그 외
분야는 아래와 같이 3개 투자지역에 투자시 일정기간 법인세 면제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게 됨
55Ⅴ. 경 제
바리살, 쿨나, 라사히, 실렛
(이상 4개지역은 주재국 북쪽지역)
랑카마티, 반다반, 쿠카차리힐드
(이상 3개지역은 치타공 Hill 지역)
6년 전략업종
다카 및 치타공 지역
(랑카마티, 반다반, 쿠카차리힐드 지역 제외)
4년 전략업종
※ 전략업종(총29개) : 농산물가공업, 섬유산업(섬유기계포함), 가죽업, 신발, 장난감, 가구, 정보
통신, 제약업, 도자기업, 플라스틱업, 철강업, 비료업, 살충제, 컴퓨터하드웨어, 석유화학업,
농기계업, 보일러, 화학, 제약원료업, 우유가공업, 조선업, 에너지절약형 램프제조업, 밧데리
산업, 재활용업, 화장품업, 관광업, 새우가공업, 쥬트(Jute), 컴프레서
(2) 수출가공공단(Export Processing Zone, EPZ)
◯ 수출가공지역(EPZ)은 1980년 제정된「방글라데시EPZ법」(Bangladesh Export
Processing Zone Act)에 따라 1983년 최초로 항구도시인 치타공에 설치되었
으며, 그 이후 1993년 다카, 1997년 몽글라, 2000년 쿠밀라, 2001년 이셔디와
웃다라에 EPZ이 각각 설치
- 1996년에는「방글라데시 민자EPZ법」(Bangladesh Private Export Processing
Zone Act)이 제정되어 민간기업에게도 EPZ 설립이 허용되어 우리나라 ‘영원
무역’에서 KEPZ(Korean EPZ)에 투자
◯ EPZ 입주 기업에게는 10년간 법인세 및 차입자본 이자소득세 면제, 쌍무협정에
의한 이중과세 면제, 기계류․장비․원자재․차량․공장건물 건설용 원자재 면세수입,
생산제품의 면세수출 등 각종 인센티브가 부여되고 있으며, 특히 외국인 투자는
법으로 보장되고 투자금액에 제한이 없으며, 이윤과 투자원본의 철수가 가능
◯ 치타공 및 다카 EPZ의 경우 이미 입주가 완료되었지만 기타 4개의 EPZ에는
국내외 투자자유치에 실패하자 방글라데시 정부는 다카 및 치타공지역에
Karnapuli EPZ(치타공), Adamji EPZ(다카) 등 추가 EPZ를 건설하였으며, 그 외
SPZ (Specialized Processing Zone)이라는 우리나라 산업공단과 유사한 단지도
조성한다는 계획
56 방글라데시 개황
다. 금융
(1) 외환 관리
◯ 1994.3.24 IMF와의 협정에 따라 모든 대외거래에 있어 방글라데시 다카(TK)
화가 태환가능토록 공고
- 외환거래취급은행은 Bangladesh Bank(중앙은행)의 승인 없이 대외무역결제와
외화차입금에 대한 변제가 가능
- 아직 내국인의 해외자본 이전이 자유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정 한도액을
초과하는 결제는 여전히 중앙은행의 승인을 요함
◯ 외국인의 직접투자나 포트폴리오투자에 의한 원금, 투자이익, 배당금의 해외
송금은 중앙은행의 승인 없이 가능
(가) 환율 정책
◯ 중앙은행의 환율정책은 해외시장에서의 자국 상품 경쟁력유지와 자국 해외
근로자의 국내송금 유입장려, 물가안정 등을 목표로 조정
- 환율은 2003년 완전변동환율제가 도입되었지만 중앙은행은 정부의 동의하에
시중은행과의 외환 거래시 적용되는 환율의 폭을 공지
◯ 고유가로 인해 원유수입국인 방글라데시는 달러화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해외근로자 송금이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 환율은 매우 안정적
<표> 최근 방글라데시의 대미 평균환율
구 분 0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2010.5
Taka/US$1 57.90 58.94 61.0 67.08 68.0 68.6 68.8 68.51
* 출 처 :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나) 외환관련 제약
◯ 방글라데시인의 외화 해외반출을 엄격히 통제
- 자국인의 경우 U$구좌가 없을 경우 해외로의 현금송금(T/T)이 불가하고, 모든
57Ⅴ. 경 제
대외무역거래는 신용장 거래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업체들은 현지화로 결재
(단 EPZ는 외화구좌 운용가능)
- 이에 따라 무역업체들은 Under Invoice를 통해 수입할 경우, 제3국에 소재하고
있는 외국은행 구좌를 통해 차액을 지불하거나 직접 차액을 소지하고 수출업
체에 전달하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무역거래를 가장한 불법 취업에 악용
(2) 금융시장
◯ 1971년 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 후 주재국내 모든 은행은 6개의 은행으로
통폐합 국유화 되었으며, 이중 Pubali Bank와 Uttara Bank 2개 은행은 1985.
1월 민간에 이전
◯ 방글라데시 금융기관은 Bangladesh Bank(중앙은행)를 중심으로 3개의 국영상
업은행(nationalised commercial bank), 5개의 정부소유 특수금융기관
(specialised bank), 34개의 민간은행(private bank), 10개의 외국은행 및 28
개의 비은행금융기관(non-bank financial institution)으로 각각 구성
(가) 중앙은행(Bangladesh Bank)
◯ Bangladesh Bank Order에 의거 1972년 설립된 Bangladesh Bank는 중앙은
행으로서 모든 은행에 대한 감독․통제권을 갖고 있으며 화폐발행, 통화 관리 등
의 업무를 수행
(나) 상업은행(Commercial Bank)
◯ 예금 여수신업무, 어음인수 및 할인, 보증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아래 3가지로
구분
- 국영상업은행 (Nationalized Commercial Bank: NCB)
- 민간상업은행 (Private Commercial Bank)
- 외국은행 (Foreign Commercial Bank)
58 방글라데시 개황
(다) 특수금융기관(Specialised Financial Institution)
◯ 국가경제발전과 산업진흥을 목적으로 주로 기업의 중장기 투자자금을 제공하는
5개의 특수금융기관으로 전국 지점수가 1,318개로 방대한 반면, 전체 은행권
자산의 5%, 예금의 4%만 점유하고 있어 실제 활동은 매우 빈약한 편
(라) 비은행금융기관(Non-bank Financial Institution)
◯ 비은행 금융기관에는 주식․채권을 중개하는 투자은행, 뮤추얼펀드 및 보험회사와
연기금 등으로 구분
- 총28개의 비은행금융기관이 영업중이며, 12개사는 외국과의 합작
-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은 이들 금융기관의 중장기 자금 제공을 위해 IDA와
프로젝트 론에 서명하고, 2000. 2월부터 FIDP(Financial Institutions
Development Project) 운용중
◯ 보험산업은 방글라데시의 사회주의적인 경제정책에 따라 독립과 함께 국유화
된 이후 1984년 생명, 손해 양 분야에 민간의 참여를 허용하였고 현재는 50여
개 이상의 보험회사가 설립되어 영업중
(3) 최근 금융구조조정 동향
◯ 국영상업은행과 일부 민간은행의 경우 엄청난 누적 부실여신으로 곤경에 처해
있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방글라데시 정부에서는 다양한 상
품과 개혁프로그램을 도입중
◯ 중앙은행의 부실채권에 대한 감시 강화 및 오래된 부실채권에 대한 대차대조표
상의 삭제정책 등으로 부실채권 비율이 2005년말 15%에서 2009년말에는
1.7%미만으로 떨어져 TK2,244.2억 기록중
◯ 2004년부터 본격적인 은행권 구조조정을 통해 국영은행의 지점수가 거의 절반
으로 축소 및 통폐합되었으며, 중앙은행의 강력한 부채비율 및 유보비율 준수
강화, 그리고 갈수록 심해지는 민간은행과의 경쟁, 유명 외국계 컨설팅회사와
의 구조조정 컨설팅 등을 통해 체질이 강화되었으나, 아직도 지역주민의 반발,
59Ⅴ. 경 제
영향력 있는 인사의 로비와 국영상업은행을 상대로 한 고소사태 등으로 어려
움을 겪고 있음
◯ 은행구조조정 작업이 비록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주요 조정 작업들이 늦어지고
있으나, 기존 은행들의 자본금 확충 필요, 2004년 이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저축률 감소, 5-6%대의 높은 마진율, 정부의 은행차입 증가 등으로 인한
은행들의 대출심사 강화 등으로 일부 산업계의 대출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중앙은행의 구조개혁과 관련하여 WB는 인원을 30% 감축, 은행업무 전산화
추진을 권고중이며, 중앙은행령(Bangladesh Bank Order, 1972) 개정을 통한
중앙은행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 촉구중
(4) 증권 시장
◯ 방글라데시에는 1954. 4월에 설립된 다카증권거래소(DSE)와 1995. 4월에 설
립된 치타공증권거래소(CSE)가 운영중
◯ 장외시장은 아직 없으며 시장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와 경직성, 투자자와 기업
들의 은행 선호와 유리한 금리 등 영향으로 발전이 늦어지고 있고 증권거래소
와 큰손의 의도적인 시장조작, 기관투자가 부재, 임직원들의 내부거래 성행도
증권시장의 성장을 가로막고 있어 최근 들어 DSE에서는 부실업체의 상장말소
를 추진중
◯ 2008. 6월말 DSE의 상장회사 수는 609개사이며 시가 총액은 총 56.83억불
수준으로 치타공증권거래소(CSE)에는 231개사가 등록(시가총액 15.03억불),
다카증권거래소에는 378개사가 등록(시가총액 41.8억불)
라. 조세
(1) 개관
◯ 09/10 회계연도 수입예산에 따르면 총수입 예산 167억불 중 세수입이 53.6%인
89.5억불
60 방글라데시 개황
- 외국원조는 4.5%(7.5억불)로 전년대비 4.07%증가, 해외차입은 7.6%(12.7
억불)로 전년대비 29.4% 증가
- 국세청(NBR) 예상 세금확보(89.5억불) : VAT : 37.4%, 수입관세 17.1%,
소득세 27.1%, 특소세 17.2%, 기타 1.2%
- 비국세청 세수(4.3억불) : 담배 및 주류세(1.8%), 자동차세(22.3%), 토지세
(16.53%), 인지세(59.2%) 등
- 비세금 수입(non-tax revenue) : 21.7억불
(2) 이중과세방지협정
◯ 이중과세방지협정은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하여 협정국으로 송금되는 영업이익,
배당금, 이자, 로열티 등과 같은 국제 소득에 대한 이중과세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럽, 인도 등 21개국과 체결하였으며 한국과도 체결(1983. 5월)
(3) 조세제도의 문제점
◯ 제한된 세원
- 1억6천만 인구 중 납세인구는 법인을 포함하여 150만명 정도이며 이중 1/3
정도만이 실제 세금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에 대한
과도한 Tax Holiday와 면세혜택 부여로 세수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간접세에 대한 높은 의존율
- 2009-2010 예산 기준 세수구조가 VAT 37.4%, 관세 17.1%, 소득세 27.1%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VAT, 관세 등 간접세에 대한 의존율이 과도하게 높음
◯ 조세행정 전산화 지연
- 관세의 경우 AYSCUD++라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전산화하고 있으나, 납세고
지서 발부, 징수 등 전반적인 조세행정 전산화가 되어 있지 않아 비효율적인
행정낭비와 세무공무원의 비리가 만연
61Ⅴ. 경 제
5. 주요 산업별 개황
가. 산업정책
◯ 매 3-5년마다 산업정책을 발표하고 있으며 현재 2006년에 마련된 산업정책
을 그대로 사용중
- 식량자급을 목표로 농업관련 공업부문에 대한 중점투자, 수출품목 다변화를
위한 Thrust Industry에 대한 지원확대, 산업입지의 분산을 통한 지역 간 균
형발전 도모, 수입대체산업 육성 등
나. 산업동향
◯ 방글라데시는 점차 전통적인 농업 위주 산업구조에서 탈피하여 공업 중심의 산
업구조로 전환 하는 과정에 있으나, 아직까지는 의류산업 이외에 뚜렷한 전략
산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수입으로 대체하는 수준임
◯ 각 산업별 GDP 비중을 살펴보면, 1970년 55%에 이르렀던 농림수산업은
07/08 회계연도 기준 20.9%로 축소되었으며, 제조업 17.8%, 광산 1%, 서비스
42.1%임
◯ 제조업은 기초산업 부재로 대부분의 자본재를 수입에 의존하며, 제조업 중 섬
유(봉제) 산업이 전체 수출의 79%를 점유하고 있고, 기타 의약품, 냉동 어류,
황마, 차, 가죽 등을 수출
◯ 최근에는 식·음료 및 담배, 화학 및 고무 플라스틱, 제지 및 인쇄·출판 등 분야
에 대한 투자 활발
다. 주요 산업별 동향
◯ 의류산업
- 방글라데시 의류산업은 1980년대 초까지 미국과 유럽시장에 가장 많은 의류
62 방글라데시 개황
를 수출하던 스리랑카의 정정 불안으로 서방 바이어들이 거래를 꺼리면서 반
사이익을 얻어 발전하게 되었으며, 1983년 180개에 불과했던 봉제공장이
2008년 말 기준 6,000여 개로 증가
- 의류산업은 08/09년 113억 달러를 수출하여 국가 총 수출의 79%를 점유하
였으며 고용 200만 명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인구만 1,500만 명에 이르는
국가 핵심 산업으로 성장함.
- 주요 생산 품목으로는 셔츠, T셔츠, 바지, 재킷, 스웨터 등으로 최근 니트 의
류의 생산 및 수출이 증가 추세이며, 수출의 90% 이상이 미국과 유럽 지역에
집중되고 내수 산업은 취약한 편
◯ 직물산업
- 전체 섬유산업의 근간을 형성하면서 많은 노동력을 고용하고 있으나, 하지만
매년 감소 추세
- 환편 및 평편 직기는 물론 에어제트 등 직물산업에 대한 투자가 급속 증가 추세
◯ 냉동 어류산업
- 새우 가공이 대종을 이루는 방글라데시 냉동 어류 가공산업은 총수출의 7%,
GDP의 4.7%로 점유
- 대부분 벨기에 등 유럽 시장에 수출되고 있으며 연간 수출액은 약 4억 달러
정도이나 최근 위생 불량 및 연근해 조업 부진으로 수출액 감소세
◯ 시멘트 산업
- 전체 시설의 65%만 가동되고 있으며 원료인 클링커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
나 2007년부터 클링커 생산시설에 투자중
◯ 비료산업
- 천연가스를 이용한 요소 비료 생산이 주종을 이루며 연간 생산 규모는 180만
톤이나 수요는 230만 톤을 넘어 매년 50만 톤 이상을 수입에 의존
- 방글라데시 정부가 일부 투자하고 일본 등에서 투자한 민영 Karnapuli
Fertilizer Company(KAFCO)사의 경우 매년 생산률 및 수출 증가로 모범적
인 흑자 기업으로 알려지고 있음
◯ 제지산업
63Ⅴ. 경 제
- 대부분의 제지는 민간 및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고, 연간 종이류 수입규모는
3억 달러 수준이며 이중 한국이 최대 수출국
◯ 신발산업
- 풍부한 가죽 생산과 완제품 분야의 외국인 투자를 배경으로 발전한 신발산업
은 연간 5,000만 달러의 수출 실적과 고용 인원 1만여 명의 주요 산업으로 성
장중
- 대부분 가죽신발 제조업체이며, 스포츠화 내수는 수입에 의존하며, 치타공
소재 EPZ 한국 투자업체들이 일본 및 유럽 지역에 스포츠화를 수출중
- EU의 대중국 및 베트남산 신발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이후 방글라데시 신
발산업에 대한 투자 관심 증가
◯ 가죽산업
- 전통산업 중 하나이나 국제 가격 하락과 동남아 경쟁국들의 저가 공세로 수
출이 2억 달러에 불과하며, 대부분 1차 가공(tannery)품의 수출로서, 가죽
완제품의 수출은 신발을 제외하고 300만 달러에 불과
- 매년 가죽 생산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가 낮고 시설이 열악한 편
이며, 세계 주요 원피 생산 국가(전 세계 1.7%)이지만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매
년 2차 이드(희생제) 때 전체 가죽의 50%가 공급되어 수급 불균형 현상 존재
- 가죽 제품은 대EU 수출시 GSP 혜택이 있으며 정부에서도 가죽 수출시 현금
보조정책을 시행중이나, 2006년부터 환경오염을 이유로 다카 시내의 가죽 공
장을 정수처리가 되는 외곽으로 옮기는 사업을 추진중
◯ 황마산업
- 전통산업의 하나로 Raw Jute 1억 2,000만 달러, 가공제품 1억 3,000만 달러
의 수출 실적으로 총 수출의 3%를 점유
◯ IT산업
- IT에 대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정부는 총리 주재 하의 ICT T/F팀을 조직하고,
과거 과학기술부를 과학정보통신기술부로 개칭, 방글라데시 컴퓨터협의회
(Bangladesh Computer Council)를 설치하는 등 IT 산업을 Thrust Sector
분야에 포함시켜 투자 자금 지원, 금융 기관 우선 대출, S/W 개발과 IT 서비
64 방글라데시 개황
스 관련 산업 신규 투자시 10년간 면세 혜택 부여 등 각종 지원 정책을 마련중
◯ 의약품산업
- 내수시장의 97%를 자국에서 생산된 의약품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의약품 제
조회사 수는 200개 사로 이 중 상위 20개 제약 회사에 포함된 5개사가 다국
적 기업으로 전체 생산의 20%를 점유
- WTO TRIPs에서도 국제적인 특허가 난 의약품일지라도 최빈개도국의 생산과
수출에 대해 2016년까지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있어 방글라데시의 의약품 제
조는 점차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고 있음
◯ 그린에너지(신재생에너지, 환경 등)
- 온실가스(GHG) 배출이 연간 0.2t톤으로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대비 매우
낮으나 해수면 1.5m상승시 전체국토가 침수되는 등 지구온난화에 따른 영향
을 많이 받는 국가 중 하나
- "Bangladesh Climate Change and Action Plan 2008"하에 2개
Committee(Strategy and Action Plan Committee, Fund Operation
Committee)가 방글라데시 환경부 등 관련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6개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Action Plan을 단기, 중기, 장기적 과제로 마련
- 아울러 GHGs 감축관련 주재국 정부가 아래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중
· 2012년까지 1백만개 SHS(Solar Home Systems) 보급
· Solar Water Pump for Irrigation Project
· 치타공/다카 상하수도 건설 프로젝트 사업
· 바이오매스 플랜트 건설 사업
6. 무역정책
가. 기본정책
◯ 현지 생산 가능 품목의 수입억제 및 원부자재의 수입 원활화
◯ 사치성 물품 등 불요불급의 수입억제
65Ⅴ. 경 제
◯ L/C에 의한 수출입 외환규제
◯ 전통상품 수출기반 확대 및 수출품목/지역 다변화
◯ 수입품의 선적 전 검사를 통한 세수확대 및 해상보험의 국적보험사 이용
나. 무역구조
◯ 연간 60억불 이상의 무역적자
◯ 원자재 및 기계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
◯ 섬유(의류) 수출이 전체 수출의 79% 이상
◯ 수출가공공단(Export Processing Zone) 운영 및 확대추세
◯ 석유를 수입에 의존하여 국제유가변동에 취약
다. 수입관리
◯ 관련제도 및 법규
- 재무부에서 마련한 연간 외환운용계획서 및 지출용도별 외환재원할당내역서
를 근거로 상무부가 3-5년마다 수입정책(Import Policy Order) 발표
- 09/10년 회계연도의 경우 4단계 관세구조로 H.S.Code 8단위 기준으로 총
6,288개의 품목군으로 구성, 이중 0%세율을 적용받는 품목은 249개, 3%
730개, 5% 1,024개, 12% 1,590개, 25% 2,178개 등
- 관세 이외 약 1,102개 품목에 대해 우리나라의 특별소비세와 비슷한
supplementary duty를 20%-500%까지 부과(20% 878개, 30% 41개,
45% 37개, 60% 80개, 100% 27개, 250% 13개, 350% 22개, 500% 4개)
- 기타 수입품에 규제관세(RD) 5%, 사전소득세(AIT) 3%, 사전부가가치세
(ATV) 2.25%(단 AVT의 경우 산업용 수입 시 면제) 각각 부과
◯ 수입규제품목
- 일부 종교상의 이유나 공서양속에 위배되는 상품과 환경 등 화학․섬유산업
(예 비닐백 등) 중 국내 생산업체의 보호 필요성이 있는 제품을 수입금지
66 방글라데시 개황
품목으로 지정 운영
◯ 기타
- 이슬람 국가로서 이스라엘 원산 또는 이스라엘 국적 선반 운송물품에 대해
수입금지
라. 수출관리
◯ 관련제도 및 법규
- 상무부에서 2-3년마다 수출정책을 수립, 시행
- EPB(Export Promotion Bureau)에서 해외 전시회 참가 및 개최, 사절단 파
견, 수출보조금, 수출용 원자재 및 기계류 수입 시 무관세 등 수출진흥정책
시행중
- 재무부에서 Tax Holiday 및 각종 수출보조금 정책 운영 중
- 수출진흥기금(EPF, Export Promotion Fund) 운영, 수출절차 간소화, 기타
세제 및 금융상의 혜택부여
◯ 수출금지품목
- 철 및 비철금속 제품
-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나프타 및 난방용 제외)
- 황마종자, 양파, 우유 및 유제품
- 쇠고기, 양고기, 코코넛, 계란 및 가금류 등
◯ GSP 혜택
- 방글라데시산 제품에 대한 무관세 국가 : EU(25개국), 호주, 캐나다, 일본 등
- 기타 한국, 중국 등에서도 일부제품 무관세
69Ⅵ. 사회 문화
Ⅵ. 사회 문화
1. 일반특징
◯ 소수민족 구성비가 낮아 비교적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
- 치타공 구릉지대(Chittagong Hill Tracts: CHT)에는 독특한 문화를 보존
하고 있는 100만명의 13개 소수부족들이 거주(방글라데시내 소수민족은
약120만명 추산)
2. 교 육
가. 개 관
◯ 방글라데시 정부의 노력으로 1990년초부터 초등학교 취학률이 높아져 현재는
97%에 이르고 있으나, 교육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
나. 교육과정 : 초등(5년), 중등(5년), 고등(2년), 대학(2년-5년)
◯ 대학제도
- 2년간의 College : 일반교양과목 이수․졸업하면 문리학사(Bachelor's degree
in liberal arts and science) 취득
- 3년간의 University : College 졸업후 University 진학을 위해 자격시험
(High School Certificate)이 필요하며, 졸업하면 Bachelors (Honours) 학위
취득
- 주요대학교
University of Dhaka
North-South University
70 방글라데시 개황
University of Chittagong
Bngladesh Agricultural University
University of Rajshahi
University of Khulna
Bangladesh University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Open University
다. 교육정책
◯ 회교이념과 가치전수에 중점을 두는 한편, 경제개발계획에 따른 고급기술인력
및 기능인력 수요충당에 우선
3. 종 교
◯ 회교(83%), 힌두교(16%), 기타 불교(0.7%), 기독교(0.3%) 등
- 1988. 6월 8차 헌법 개정시 회교를 국교로 선언
◯ 회교종파는 수니(Sunni)파이며 전국적으로 20만개 이상의 회교사원(Mosque)
이 있고 수도 다카에 2천개의 회교사원이 있음
- 방글라데시의 이슬람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제방면에서, 영향력이 지대
하나 회교근본주의 세력은 미약
4. 언 론
◯ 언론의 자유가 비교적 잘 보장되어 있으며 신문사가 상당히 많음
- 언론기관 20여개, 일간지 150종 이상
- 총 신문발행부수: 160만부
71Ⅵ. 사회 문화
<표> 주요일간지 (2010. 3월 현재)
신 문 명 발 행 지 사 용 어 발간부수(천부)
Dainik Ittefaq Dhaka 벵갈어 240
Dainik Inqilab Dhaka 벵갈어 250
The Daily Star Dhaka 영 어 52
The Bangladesh Observer Dhaka 영 어 40
The Independent Dhaka 영 어 30
The Financial Express Dhaka 영 어 30
The New Nation Dhaka 영 어 15
Dhaka Courier(주간) Dhaka 영 어 12.5
The New Age Dhaka 영 어 11
The News Today Dhaka 영 어 10
◯ 라디오 및 TV
- 현지어 라디오 방송 4개 채널(Bangladesh Betar, Radio Today, Radio
Foorti, ABC)
- 국영 TV(Bangladesh TV) 1개와 민영 케이블방송이 11개(Channel-I, ATN
Bangla, NTV, RTV, Bangla Vision, STV, Baishaki TV, My TV, Channel
One, Diganta TV, Islamic TV)
◯ 통 신 사
(자 국)
- Bangladesh Sangbad Sangstha(BSS 국영)
- United News of Bangladesh(UNB)
(외 국)
- Reuters, AP, AFP, 신화사 등 외국 통신사 현지 에이전트
5. 관 광
◯ 관광지는 회교적 배경 및 경제활동 부진 등의 이유로 거의 개발이 안 된 상태
◯ 주요 관광지는 Sundarban(UNESCO 지정 자연보호지역), Cox's Bazar 해안(치
타공 남부지역 위치, 세계최장 해안선), Kaptal Lake (Rangamati 지역소재),
Chittagong Hill Tracts 족촌, 북부 Sylhet 차농원 등
73Ⅵ. 사회 문화
75Ⅶ. 군사
Ⅶ. 군 사
1. 국가 안보 정책
◯ 1971년 독립 이후 열악한 국방력으로 인해 인접국으로부터 군사적 위협에 대한
우려는 있으나, 외교적 노력으로 평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한된 공격능력을
보유한 방어적 군사전략을 유지
◯ 국가안보를 위해 불가피하게 친미, 친중국 외교정책을 취하고 있으며, 집권
정당에 따라 친인도정책 정도가 결정
- 4,600km에 달하는 인도국경에서의 소규모 국경충돌 가능성이 방글라데시의
안보 위협요소로 작용
◯ 한편, UN PKO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중
2. 국방정책
◯ 기본개념 : 제한된 공격능력을 보유한 방어적 국방정책
◯ 전시에는 독립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 게릴라전으로 대항한다는 기본개념을
가지고 있음
- 평시 대대장급 이상 현역 지휘관이 내무부 조직하에 있는 향토방위사령부
(ANSAR & VDP), 국경수비대(BDR), 해안경비대(BCG) 등 준군사조직을 통솔
- 군은 모병제로서 경제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처우를 받으므로 군
지원을 선호
76 방글라데시 개황
군사 지휘 체계
총리/국방장관
대 통 령
육 본 해 본 공 본
합동작전본부*
해군구성군
국방부
공군구성군육군구성군
총리실군사보좌실합동군사령부*
합동군사령부(전면전) 지휘계통
합동작전본부(국지전) 협조계통
지원계통
* 전시에 운영
77Ⅶ. 군사
3. 국가안보 조직
◯ 헌법상 국군 통수권자는 대통령이나 총리가 국방장관을 겸임하면서, 실질적
으로 군을 지휘
- 그러나 총선관리를 위한 과도정부 기간이나, 비상사태 하에서는 대통령에게
국군통수권이 부여
- 평시에는 총리가 직접 각 군을 지휘하거나 총리 군사보좌실을 통해 각 군 업
무를 조정
◯ 총리 군사보좌실은 평시 각 군의 교육, 물자장비 구매, 해외파견 업무, 각 군의
행정적 업무협조와 관련한 총리의 군 지휘권을 전달하고 반영하는 수준에서
군을 통제
- 전시에는 총리 군사보좌실이 합동사령부로 구성되어, 총리가 전군을 통제․지
휘하는 역할을 담당
4. 군사력
◯ 현역
- 육군 : 157,000여명(7개 보병사단, 5개 독립여단)
- 해군 : 12,500여명(2개 해역사령부, 1개 전단, 1개 훈련소)
- 공군 : 7,000여명(4개 비행단)
◯ 준군사조직 : 내무부 소속
- 방글라데시 국경수비대(Bangladesh Rifle, BDR) : 4만명
- ANSAR & VDP(Village Defense Party) : 460만명
․ ANSAR : 30만, VDP : 430만
5. 군의 위상
◯ PKO 활동 적극 참여
78 방글라데시 개황
- 군은 UN 평화유지활동에 적극 참여, 국제무대에서 외교력 제고와 외화획득
에 크게 공헌하고 있음
- 2009.12월 현재 10,427여명이 파견(파키스탄 다음으로 세계 2위의 PKO
파견국)
◯ 국내 정치와의 관계
- 1971년 독립이후 7차례의 군사쿠데타로 국내 정치에 관여한 바 있음
- 장교들의 교육 수준이 높고, 군에 대한 국민들의 신망이 높음
- 1991년 3월 민간정부 출범 이후 군에 대한 지속적인 처우 및 군 복무 여건개
선 등으로 정치적 중립 자세 견지
- 2005년 육사 1기생(1975년 임관)이 육군총장을 포함한 주요직위에 진출함으
로써, 구 파키스탄군 출신 원로세대의 교체
◯ 군의 위상
- 군 고위인사들은 전역 후에도 그 직위에 따라 장관, 국회의원, 외교관으로 진
출하는 등 최고 수준의 예우를 받고 있음
- 또한 군의 약 40%가 해외근무, 해외 군사교육 이수 등 해외경험이 있는 인재
들로서 국민으로부터도 상당한 신망을 받고 있음
6. 연도별 군비 지출 현황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군비지출
(백만불)
675 675 655 657 659 669 720 757 767
GDP 대비
비율(%)
1.3 1.2 1.1 1.1 1.1 1 1.1 1.1 1.1
※ 출 처 :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SIPRI)의 2009년 Year Book
79Ⅶ. 군사
81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1. 기본관계
◯ 1972. 5. 12 한국, 방글라데시정부 승인
◯ 1973. 9. 13 영사관계 수립, 합의
◯ 1973. 12. 18 외교관계 수립
◯ 1975. 3. 1 주방글라데시 상주대사관 개설
◯ 1987. 2월 주한 방글라데시 상주대사관 개설
2. 대한반도 정책
가. 대남북한 정책
◯ 과거 비동맹 중립외교노선을 표방하면서 남북한 등거리외교를 표방하였으나,
90년대 이후 우리나라와의 실질 협력관계가 심화됨에 따라 북한과의 관계는
점차 소원화되는 추세
◯ 북한 핵문제, 남북한 관련 사안에 대해 국제무대에서 우리입장 적극 지지
- 2009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2차 핵실험에 대해 북한 비난 정부성명 발표
- 08/09 비동맹회의 한반도 조항 관련, 우리 입장 적극 대변
나. 남북한 통일정책
◯ 대남북한 중립, 등거리정책을 반영, 한반도 통일문제는 한국의 문제로서 외세의
간섭 없이 7.4 공동성명에 입각하여 평화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 견지
82 방글라데시 개황
다. 국제회의 등에서의 태도
◯ 비동맹회의
- 1980. 6월 뉴욕 비동맹대사급회의시 한국문제 제기 반대
- 1981. 2월 뉴델리 비동맹외상회의시 우리나라 입장이해 및 협력 태도
- 1982. 6월 하바나 비동맹조정위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입장 적극지지
- 1983. 3월 뉴델리 비동맹 정상회담시 우리나라 지지
- 1985. 8월 앙골라 비동맹 외상회의시 우리나라 지지
- 1988년 하라레 비동맹 정상회담시 우리나라 이해
- 2002. 4월 남아공 비동맹 조정위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지지
- 2003. 2월 쿠알라룸푸르 비동맹 정상회의시 우리나라 지지
- 2008. 7월 테헤란 비동맹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입장 적극지지
- 2009. 4월 하바나 비동맹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입장 적극지지
◯ 유엔 및 기타국제기구
- 1983년 유엔안보리시 대소규탄 연설(KAL기 사건)
- 1985.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우리나라 입장 지지발언
- 1987. 9월 유엔 총회시 Chowdhury 외상(의장) 우리나라 입장지지
- 1991-1995 우리나라의 국제기구이사국 진출 적극지지(유엔안전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ECOSOC이사국, 인권위원회, FAO 이
사국, WTO, IPU, IMO, UNDP 및 UNIDO 기획예산위 등)
- 2001-2004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적극지지(유엔인권위,ISO, ICAO,
IMO, ILC, UNEP, ITU, 아동권리위, WHO 사무총장인준,
ICTR, ECOSOC, IMO, UPU, CEDAW, ICTY 등)
- 2005-2006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적극지지(유엔COC위원, IMO, 세
계유산위(WHC), 유엔마약위원회(CND), ITLOS 재판관 재
선, 아동권리위, 유엔지속개발위(CSD), 인권이사회(HRC),
ITU, 인터폴 집행위원 등)
83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 2007-2008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및 국제행사 유치 적극지지(2014
인천아시안게임유치, 대륙붕한계위, ICAO 이사국,
UNESCO 집행 아시국, IMO 이사국, 인권이사회 자문위,
만국우편연합 우편운영이사회, 기후변화정부간패널, WEC
2013 대구 총회 유치, 유엔아동권리위)
- 2009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및 국제행사 유치 적극지지(국제
해양법재판소 보궐선거, UNESCO 집행이사국, IMO 이사
국, 제5차세계자연보전총회(WCC) 제주 유치)
3. 한․방글라데시 공동위원회
가. 개최근거
◯ 1985. 6월 Ershad 대통령 방한시 체결된 양국대통령 간 공동성명(제9조)에
따라 매년 서울과 다카에서 양국외무장관을 수석대표로 교대로 개최하기로
합의
나. 실적
◯ 제1차 공동위원회
- 일시 및 장소: 1986. 10. 17-18 다카(이원경 외무장관 방문)
- 한․방 투자보장협정 서명
◯ 제2차 공동위원회
- 일시 및 장소: 1987. 8. 24-25 서울(Chowdhury 외무장관 방한)
- 동공동위 상설위원회(Standing Committe) 설치 합의
․ 양국차관보급을 대표로 서울-다카에서 교대개최 합의
84 방글라데시 개황
◯ 제3차 공동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1993. 12. 9, 서울(Rahman 외무장관 방한)
- 양국간 경제기술협력 협정 서명 및 아국업체 투자진출 증대, 무역역조 시정
방안 등 협의
- Khulna 지역 송배전 공사용 EDCF(14백만 미불) 차관 협정 서명
4. 양국간 교역현황
가. 교역현황
(1) 수출동향
◯ 2009년 대방글라데시 수출(누계기준)은 10.64억불로 전년대비 2.8% 감소
◯ 주요수출품 : 열연강판, 합성수지, 의약품, 시멘트, 섬유기계, 제지류
(2) 수입동향
◯ 2009년 대방글라데시 수입(누계기준)은 1.22억불로 전년대비 27.5%감소
◯ 가죽제품 수입이 전체 수입의 18.03% 점유
- 소가죽, 황마 등 전통 수입품이외에 기타 동 스크랩, 신발 및 운동복 등 소량
수입
(3) 무역수지
◯ 수출용 원부자재에서 기계, 철강, 제지 등 산업용 자재로 공급전환
- 최근 3년간(2007~2009)연평균 7억불 이상의 흑자 시현 중
85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표>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불, %)
구 분
수출 수입
수지(백만불)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2003 544 7.6 29.1 29.6 515
2004 620 14.0 41.5 42.8 579
2005 611 -1.5 45.5 9.6 565
2006 648 6.1 69 51.4 579
2007 612 -5.7 142 105.9 470
2008 1,095 79.1 169 19.2 926
2009 1,064 -2.8 122 -27.9 942
* 출 처 : KITA 무역통계
<표>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품목별 수출동향
(단위 : 백만불, %)
품목명
2007 2008 2009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612 -5.7 1,095 79.1 1,064 -2.8
열연강판 55 56.2 82 48.2 147 78.4
합성수지 54 43.0 88 62.3 82 -6.6
의약품 5 -10.6 17 249.3 38 126.3
아연도강판 26 43.0 24 -6.5 37 53.2
인쇄용지 23 -7.4 33 41.6 37 12.8
아연괴 및 스크랩 34 15.4 26 -23.0 31 18.9
골판지 용지 35 - 43 24.6 31 -28.2
신문용지 14 -26.7 22 58.0 28 27.2
섬유기계 37 -24.4 32 -12.8 22 -32.1
기타의 직물 18 -9.1 21 17.6 20 -1.5
판지 17 -15.1 19 11.8 18 -3.8
시멘트 3 -56.9 23 579.0 17 -25.8
* 출 처 : KITA 무역통계
86 방글라데시 개황
품목명(MTI코드) 전망근거
일반기계
(71,72,75,79)
▪세계경기회복에 따른 기업투자 확대
▪건설장비, 식품포장기계, 인쇄기계 유망
자동차
(741)
▪소용 승용차의 경우 특별관세 인상으로 감소
▪CNG 버스 아국기업 EDCF 정부입찰 참가
철강제품
(61)
▪서민용 주택공급사업으로 수요확대
▪사회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참가로 수출증가
석유화학
(21)
▪적극적 경기부양책 시행으로 수출기업 투자확대
▪원가절감에 따른 플라스틱 생산기지로 부상
섬유류
(4)
▪인조섬유을 중심으로 수입확대전망
▪기타 직물은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수입수요하락
평판디스플레이
(836)
▪주재국 ICT 정책 시행에 따른 개발 수요
▪아국제품에 대한 이미지 확산(삼성전자 법인설립)
무선통신기기
(821)
▪수입관세 구조 변경, 고가제품 수입확대 난망
▪휴대폰 가입비율이 인구대비 30%로 포화
반도체
(831)
▪일부가전제품 조립공장에서 소량수입
▪대량 가전제품 제조생산업체 전무
자동차부품
(742)
▪일본 자동차의 95%이상 수입시장 점유
▪아국산 SUV차량 판매로 Aftermarket용 수입수요
컴퓨터
(813)
▪수입관세 무관세로 수입수요 확대 전망
▪주재국 ICT 정책에 따른 개발 수요
<표>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 백만불, %)
품목명
2007 2008 2009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42 105.9 169 19.2 122 -27.9
기타가죽 4 -20.5 7 59.6 22 231.9
직물제 의류 8 92.1 8 -6.8 17 123.1
동괴및스크랩 9 80.3 7 -29.2 6 -15.1
소가죽 32 52.7 30 -4.6 5 -82.5
기타신발 1 -55.5 3 138.7 4 50.0
편직제의류 1 33.7 3 165.6 4 29.3
천연섬유원료 2 15.5 2 -11.7 2 21.8
기타의 섬유제품 2 35.5 2 -5.8 2 -6.1
마사 및 기타 1 -4.0 1 -32.7 1 47.2
* 출 처 : KITA 무역통계
나. 수출확대 유망품목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drtravel

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
drtravel
 
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
drtravel
 
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
drtravel
 
베네수엘라개황 2004
베네수엘라개황 2004베네수엘라개황 2004
베네수엘라개황 2004
drtravel
 
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
drtravel
 
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
drtravel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
drtravel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
drtravel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drtravel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
drtravel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
drtravel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drtravel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
drtravel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drtravel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drtravel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
drtravel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drtravel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drtravel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drtravel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
drtravel
 

More from drtravel (20)

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2011.6 발트3개국개황
2011.6 발트3개국개황
 
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볼리비아 개황 20100827
 
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벨라루스 2011
벨라루스 2011
 
베네수엘라개황 2004
베네수엘라개황 2004베네수엘라개황 2004
베네수엘라개황 2004
 
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
 
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
 

방글라데시 개황%282010%29

  • 2.
  • 3. 방글라데시의 국기 [ 국 기 해 설 ] ◯ 방글라데시 국기는 1971.3월 독립전쟁시 아와미연맹당(Awami League)의 당기를 모체로 제정되었다. ◯ 적색의 원은 독립전쟁이라는 암흑의 시기를 거치고 떠오르는 태양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방글라데시(벵갈의 나라)의 독립, 저항의 정신을 상징하며 바탕의 녹색은 활력이 넘치는 풍요한 방글라데시의 국토를 상징한다.
  • 4. 방글라데시의 국화(國花) ◯ 방글라데시 국화인 수련(Water Lily)은 연못, 강 등 방글라데시의 곳곳에서 볼 수 있다. 방글라데시의 문장(紋章) ◯ 방글라데시 국가 문장(紋章)은 국화(國花)인 수련(Water Lily)을 두 개의 벼 묶음과 별 그리고 잎사귀가 감싸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 5. Ⅰ. 일반현황 ·············································································································· 9 1. 개 관 ············································································································· 11 2. 정치, 외교, 군사 ···························································································· 12 3. 경제, 사회 ······································································································· 13 II. 역 사 ··············································································································· 15 1. 근대이전 ··········································································································· 17 2. 영국 식민지 시대 ···························································································· 17 3. 동파키스탄 시대 ······························································································ 17 4.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 ··················································································· 18 Ⅲ. 정 치 ·············································································································· 23 1. 개 관 ·········································································································· 25 2. 통치구조 ·········································································································· 25 3. 정 당 ·········································································································· 27 4. 국내정세 ·········································································································· 28 Ⅳ. 외 교 ·············································································································· 31 1. 대외정책 ·········································································································· 33 2. 주변국가와의 관계 ·························································································· 34 3. 주요국가와의 관계 ·························································································· 38 4. 비동맹외교 ······································································································ 40 Contents
  • 6. 5. 대아랍외교 ······································································································ 40 6. 외교관계 현황 ································································································· 41 7. 전 망 ·········································································································· 42 Ⅴ. 경 제 ············································································································ 43 1. 주요경제지표 ··································································································· 45 2. 경제개황 ·········································································································· 46 3. 경제동향 ·········································································································· 49 4. 투자환경 ·········································································································· 52 5. 주요 산업별 개황 ···························································································· 61 6. 무역정책 ········································································································ 64 Ⅵ. 사회 문화 ············································································································ 67 1. 일반특징 ·········································································································· 69 2. 교 육 ·········································································································· 69 3. 종 교 ·········································································································· 70 4. 언 론 ·········································································································· 70 5. 관 광 ·········································································································· 71 Ⅶ. 군 사 ·············································································································· 73 1. 국가 안보 정책 ······························································································· 75 2. 국방정책 ·········································································································· 75 3. 국가 안보 조직 ······························································································· 77 4. 군 사 력 ·········································································································· 77 5. 군의 위상 ········································································································ 77 6. 연도별 군비지출 현황 ···················································································· 78
  • 7. 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 79 1. 기본관계 ··········································································································· 81 2. 대한반도 정책 ································································································· 81 3. 한․방글라데시 공동위원회 ·············································································· 83 4. 양국간 교역현황 ····························································································· 84 5. 투자현황 ·········································································································· 87 6. 주요 프로젝트 공사실적 ················································································· 89 7. 진출기업 현황 ································································································· 90 8. 고용 허가제 ···································································································· 92 9. EDCF 차관사업 ······························································································ 92 10. 개발협력사업 추진현황 ················································································· 93 11. 협정체결 현황 ································································································ 96 12. 문화체육 교류 ······························································································· 96 13. 주요인사 교류 ······························································································· 98 14. 교민현황 ······································································································ 103 15. 친선단체 ······································································································ 103 Ⅸ. 북한과의 관계 ··································································································· 107 1. 기본관계 ········································································································ 109 2. 대북한 기본정책 ··························································································· 109 3. 경제․통상관계 ································································································ 109 4. 협정 체결 현황 ······························································································ 111 5. 주요 인사 교류 ······························································································ 111 6. 친북한 단체 ··································································································· 114 Ⅹ. 참고사항 ············································································································ 115 1. 정부 요인 약력 ······························································································ 117 2. 내각명단 ······································································································· 121
  • 8.
  • 9.
  • 10.
  • 11. 11Ⅰ. 일반현황 Ⅰ. 일반현황 1. 개 관 ◯ 국 명 :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 독 립 일 : 71. 3. 26(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 ◯ 위 치 : 3면이 인도와 접경, 동남부 일부가 미얀마와 접경, 남부는 벵갈만에 임해(북위 20°34′- 26°38′, 동경 88°01′- 92°41′) ◯ 면 적 : 147,570 ㎢(한반도의 2/3) ◯ 인 구 : 1억 6,220만 명(09, 세계 7위) - 인구밀도 1,099명/㎢(09) - 인구증가율 1.29%(09) ◯ 인 종 : 벵갈인(98%), 비하리, 챠크마, 무갈, 아랍인, 파탄족 등 ◯ 수 도 : Dhaka(인구 : 1,500만명 추산) - 주요도시 : Chittagong, Khulna, Syhlet ◯ 종 교 : 회교(83%), 힌두교(16%), 불교(0.7%), 기독교(0.3%) - 88.6월 회교를 국교로 선언(8차 개헌) ◯ 문 맹 률 : 47.5% ◯ 언 어 : 벵갈어(90%, 공용어), 힌두어(8%), 영어(통용) ◯ 기 후 : 아열대 몬순기후(sub-tropical monsoon) - 고온다습 - 겨울(11월-2월), 여름(3월-6월), 우기(7월-10월)로 구분 - 연평균 강우량(다카: 2,186, 실렛: 4,842, 치타공 3,310 mm) - 7-9월간 연강우량의 75% 집중, 홍수다발시기 - 연평균강우량: 1,902-4,842 mm - 연평균기온: 겨울 20℃(11-29℃), 여름 36.7℃(21-38℃) ◯ 영 해 : 12해리(73. 3. 14)
  • 12. 12 방글라데시 개황 ◯ 접속수역 : 6해리(74. 2. 13) ◯ 경제수역 : 200해리(74. 3. 14) ◯ 시 차 : 한국보다 3시간 느림(그리니치 표준시보다 6시간 빠름) 2. 정치, 외교, 군사 ◯ 정치제도 : 내각책임제(91. 9월 개헌) - 72. 1월 ~ 75. 1월 내각책임제 - 75. 1월 대통령중심제 - 91. 9월 내각책임제로 복귀 ◯ 의회제도 : 단원제(의석 345, 임기 5년) ◯ 주요정당 - Awami League(당수: Sheikh Hasina 현 총리, Sheikh Mujibur Rahman 초대 대통령의 장녀) - Bangladesh Nationalist Party(당수: Begum Khaleda Zia 전 총리, Ziaur Rahman 전 대통령의 미망인) - Jatiya Party(당수: H.M. Ershad 전 대통령) - Jatiya Shamajtantrik Dal(당수: Hasanul Haque Inu) - Jamaat-e-Islami(당수: Maullana Matiur Rhaman Nazimi) - Workers Party(당수: Rashed Khan Menon) ◯ 행정부 주요인사 - Md. Zillur Rahman 대통령(09. 2. 12 취임) - Sheikh Hasina 총리(09. 1. 6 취임) ◯ 국 경 일 : 3. 26(71. 3. 26 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선언일) ◯ 국제관계 : UN 및 관계기구에 가입, 비동맹(NAM)국가연맹, 영연방국가, OIC 및 SAARC의 일원 - UN 가입일 : 74. 9. 17 ◯ 대외정책 : 비동맹 중립외교노선
  • 13. 13Ⅰ. 일반현황 ◯ 총 병 력 - 정 규 군 : 17.7만명(육군 15.7만명, 해군 1.3만명, 공군 0.7만명) - 비정규군 : 국경수비대(BDR) - 4만명, ANSAR & VDP - 460만명, 해양경비대 - 720명 3. 경제, 사회 ◯ 국내총생산(GDP) : 916억불(08/09) ◯ 1인당 GDP : 630불(08/09) ◯ 실질 경제성장율 : 6.5%(08/09) ◯ 무역규모(08/09) - 수출 : 158억불(08/09) - 수입 : 203억불(08/09) ◯ 외 채 : 208억불로 GDP의 25.5%(08/09) ◯ 회계년도 : 7월 1일 - 다음해 6월 30일 ◯ 화 폐 : 다카(Taka) ◯ 환 율 : US$1 = TK68.51(10. 5. 2일 현재) ◯ 생 산 물 : 황마, 피혁, 미곡, 홍차, 사탕수수 ◯ 주요자원 : 천연가스, 석회석, 고령토 ◯ 도 량 형 : 미터법과 영국식 도량형 혼용 ◯ 국제공항 : Dhaka, Chittagong ◯ 국제항구 - 외항 : Chittagong, Khulna, Mongla - 내항 : Dhaka, Naranyagani, Chandpur 등 ◯ 근무시간 - 정부기관 및 일반기업 : 일~목 : 09:00-17:00, 금․토 : 휴무
  • 14.
  • 15.
  • 16.
  • 17. 17Ⅱ. 역 사 Ⅱ. 역 사 1. 근대이전 ◯ B.C 6세기경 아리안족, 갠지스강 하류 벵갈지방(현 방글라데시) 진출 - 선주민 드라비다족과 함께 벵갈인 형성 ◯ B.C 5세기 중엽이후 인도대륙왕조가 지배 - 마가다 왕조(B.C 5세기) 이후 회교 왕조성립(A.D 13세기 초기)까지 불교문화 융성 ◯ 1260년 회교 왕조, 벵갈지역 지배 - 회교문화 본격 성립 ◯ 1575년 무갈제국, 벵갈지역 정복, 통치 2. 영국 식민지 시대 ◯ 1757년 영국, 벵갈 포함 인도전역에 대한 배타적 지배권 확보 - 영국의 기계․면제품 시장화, 황마 및 차 생산지화 ◯ 20세기 초 회교도의 반영운동 확산 - 1906년『전인도회교도연맹』(All-India Muslim League) 결성, 독자적 반영투쟁 - 1907년 7월 영국, 반영운동 확산 차단 위해『벵갈지역 분할령』선포(주민들의 반대로 1911년 철회) 3. 동파키스탄 시대 ◯ 1947. 8. 14 파키스탄의 11개주 중 1개주(동파키스탄)로 독립 - 벵갈지역 힌두교도들은 벵갈지역(동․서벵갈)이 하나의 국가로 독립할 경우, 회교도가 다수가 되는 상황 우려
  • 18. 18 방글라데시 개황 - 벵갈지역 회교도들은 인도로부터 독립하지 않을 경우, 소수 힌두교에 의한 다수 회교도 지배 우려 - 따라서 상이한 종족과 언어에도 불구, 종교적 공통점 때문에 동벵갈지역 (현 방글라데시)은 파키스탄의 일부로 인도로부터 독립 ◯ 독립이후 서파키스탄의 정치․경제 사회적 차별정책, 이질적 요소존재 등으로 분리독립운동 지속 - 1952 벵갈어 운동을 효시로 대서파키스탄 독립운동 시작 - 1954. 3월 동파키스탄 주 의회 총선에서 야당 대승 - 1969. 3월 아유브 칸 정부에 대한 벵갈인들의 반정시위 - 1970. 12월 동파키스탄 독립을 주창해 온 아와미연맹당(Awami League), 총선에서 압승, 국회개회 무기연기(동파키스탄 국민회의 162석 중 160석, 동파키스탄 주의회 300석 중 289석 차지) - 1971. 3. 26 독립선언 및 내전 - 1971. 12. 16 독립전 승리 4. 방글라데시 인민공화국 가. Sheikh Mujibur Rahman 정권 ㅇ 1972. 1. 11 S. Mujibur Rahman(아와미연맹당) 총리의 내각책임제 정권 수립, 사회주의경제, 비동맹중립노선 선언 ㅇ 1975. 1월 대통령중심제 개헌, BAKSAL(노동자 농민 아와미연맹) 1당 독재 실시 ㅇ 1975. 8. 15 쿠데타 및 S. Mujibur Rahman 대통령 피살 나. Ziaur Rahman 정권 ◯ 1975. 12 계엄하 Ziaur Rahman 육군참모총장 정권장악 ◯ 1977. 5 다수정당 인정 및 대통령 권한 강화 수정헌법 국민투표
  • 19. 19Ⅱ. 역 사 ◯ 1978. 6월 대통령 선거, Ziaur Rahman 당선 ◯ 1978. 9월 Bangladesh Nationalist Party(BNP) 창당 ◯ 1979. 2월 총선 실시(BNP가 의회 2/3이상 의석 획득) ◯ 1981. 3. 5 해외망명 중이던 S. Mujibur Rahman 장녀 Sheikh Hasina 귀국, 아와미연맹당 당수 취임, 대정부 투쟁 강화 ◯ 1981. 5. 30 군부쿠데타 기도 및 Ziaur Rahman 대통령 피살, Abdus Sattar 부통령 권한대행 ◯ 1981. 11. 15 대통령 선거, Abdus Sattar 당선(임기 5년) 다. Hussain Muhammed Ershard 정권 ◯ 1982. 3. 24 군사쿠데타 및 계엄선포, H.M. Ershad 육군참모총장이 계엄 사령관으로서 전권 장악 ◯ 1982. 3. 27 Ahsanuddin Chowdhury 대통령 취임(Ershad 계엄사령관이 임명) ◯ 1983. 12. 11 Ershad 계엄사령관, 대통령 취임 ◯ 1986. 10. 15 Ershad 대통령, 국민직선으로 재선 ◯ 1986. 11. 10 계엄령 해제 ◯ 1987. 11. 10 야당 측의 반정부운동인 "Dhaka Siege Programme"을 시발로 Ershad 정권 퇴진투쟁 격화 ◯ 1987. 11. 29 전국에 비상사태 선포 ◯ 1987. 12. 6 의회해산 ◯ 1988. 3. 3 주요야당 불참하 총선실시 - 대통령 중임제한 및 부통령직선제 실시 ◯ 1990. 10. 10 전국규모 정권퇴진운동 확산 ◯ 1990. 12. 6 Ershad 대통령 사임 및 Shahanbuddin Ahmed 대통령 권한 대행 취임 ◯ 1991. 2. 27 총선실시 - BNP 200석 중 140석 획득, 제1당으로 부상
  • 20. 20 방글라데시 개황 라. Begum Khaleda Zia 정권 ◯ 1991. 3. 20 Zia 총리(BNP 당수)의 신정부 출범 ◯ 1991. 9. 15 내각제 개헌, 국민투표로 통과 ◯ 1991. 10. 9 Abdour Rahman Biswas 대통령 취임 ◯ 1994. 12. 2 AL, Jatiya Party 및 Jamaat-e-Islami 등 야당의원 147명 의원직 사퇴 ◯ 1996. 2. 15 BNP 단독 총선 실시 ◯ 1996. 3. 26 중립 과도정부하 총선실시를 위한 개헌 ◯ 1996. 3. 30 Zia 정부 퇴진 및 중립과도정부 구성 ◯ 1996. 6. 12 총선실시 - Awami League 146석 획득, 제1당으로 부상 마. Sheikh Hasina 정권 ◯ 1996. 6. 23 Sheikh Hasina Awami League 당수 총리 취임 - 21년 만에 Awami League 재집권 ◯ 1996. 7. 14 제7대 의회 개원 ◯ 1996. 7. 23 Shahabuddin Ahmed 대통령 당선 ◯ 1996. 10. 9 Shahabuddin Ahmed 대통령 취임 ◯ 2001. 10. 1 총선 실시 - BNP 196석 획득 바. Begum Khaleda Zia 정권 ◯ 2001. 10. 10 Zia 총리(BNP 당수) 재집권 ◯ 2001. 11 AQM Badruddoza Chowdhurry 대통령 취임 ◯ 2002. 6. 21 AQM Badruddoza Chowdhurry 대통령 사임 및 Jamiruddin Sircar 국회의장이 대통령 대행
  • 21. 21Ⅱ. 역 사 ◯ 2002. 9. 6 Prof. Dr. Iajuddin Ahmed 대통령 취임 ◯ 2006. 10. 29 Zia 정부 퇴진 및 과도정부 구성 - Prof. Dr. Iajuddin Ahmed 대통령이 과도정부 수반 겸직 사. 과도중립내각 ◯ 2007. 1. 11 비상사태 선포 ◯ 2007. 1. 12 Fakhruddin Ahmed 임시정부 수반 취임 ◯ 2008. 12. 29 총선 실시 - AL 230석 획득 아. Sheikh Hasina 정권 ◯ 2009. 1. 6 Hasina 총리(AL 당수) 재집권 ◯ 2009. 1. 25 제9대 국회 개원(Abdul Hamid 국회의장) ◯ 2009. 2. 12 Zillur Rahman 대통령 취임
  • 22.
  • 23.
  • 24.
  • 25. 25Ⅲ. 정 치 Ⅲ. 정 치 1. 개 관 가. 정 체 : 입헌공화국 나. 헌 법 ◯ 1972. 12. 26 공포, 1991. 9 제10차 개헌 다. 정부형태 ◯ 내각책임제 채택 - 1972. 1월 내각책임제 - 1975. 1월 대통령중심제 - 1991. 9우 내각책임제로 복귀 2. 통치구조 가. 행정부(내각책임제) ◯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외교 ․ 국방에 관한 형식적 권한 보유 - 임기 5년, 1회에 한해 중임가능, 의회에서 선출 - 내각 총리가 실질적 권한행사 - 의회다수당 총재가 총리가 되고, 내각은 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 - 행정권의 수반은 총리이며, 내각의 연대책임 - 각료 중 9할은 국회의원 중, 1할은 국회의원 피선거권자 중 임명
  • 26. 26 방글라데시 개황 ◯ 행정부 요인 - 대통령 : Md. Zillur Rahman(2009. 2. 12 취임) - 총리 : Sheikh Hasian(2009. 1. 6 취임) - 외교장관 : Dipu Moni(2009. 1. 6 취임) 나. 입법부 ◯ 단원제 의회(Jatiya Sangsad) ◯ 의 석 : 345석 - 지역구 300석(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전원 여성) : 45석 ◯ 임 기 : 5년 ◯ 선거권 : 18세 이상 다. 사법부 1) 법률체계 : 영국 식민통치 영향으로 관습법이 큰 비중을 차지 2) 구 조 ◯ 대법원(Supreme Court) - 수도 다카에 소재하고 있으며 상고법원(Appellate Division)과 항소법원 (High Court Division)으로 구성 - 대법원장 및 상고법원, 항소법원 판사는 총리 및 법무장관의 권고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정년 65세) - 최고재판소 판사의 수는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만큼 임명 가능(상고 법원 판사는 최고재판소장 포함 5명, 항소법원 판사는 32명임) ◯ 지방재판소 - 각주(district)마다 지방재판소 설치 - 지방재판소에는 형사사건만을 담당하는 치안판사(magistrate)와 형사․민사를 모두 담당하는 판사(judge)가 있음
  • 27. 27Ⅲ. 정 치 ◯ 특별재판소 - 특별재판소로 행정법원 및 노동법원 설치 라. 지방행정조직 ◯ 지방 행정 구역은 우리의 도(道)에 해당하는 Division, 군(郡)에 해당하는 District, 읍(邑)에 해당하는 Upazila, 리(里)에 해당하는 Union 으로 분류 ◯ 현재 7개의 Division으로 구성 : Dhaka / Rajshahi / Rangpur / Barisal / Chittagong / Sylhet / Khulna 3. 정 당 가. 정당제도 ◯ 자유, 복수정당제로 수십 개의 정당 존재 - 1975. 1월-8월간 단일정당제 채택, S. Mujibur Rahman 대통령이 조직한 '노동자․농민 아와미연맹'(BAKSAL) 1당만이 존재 ◯ 1983. 11월 정치활동 자유화이후 수많은 정당이 이합집산을 거듭 나. 주요정당 ◯ 방글라데시 아와미연맹(Bangladesh Awami League : AL) - 창 당 : 1954년 - 당 수 : Sheikh Hasina - 성 향 : 원래 서민계층에 기반을 둔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표방하였으나, 1996년 선거시부터 주요 금융․공공시설 국유화 반대 등 자유 시장 경제체제 지향 천명, 친인도 성향 - 특이사항 : 방글라데시 정당 중 가장 오랜 전통, 동․서파키스탄 시대 동파키스탄 이익 대변
  • 28. 28 방글라데시 개황 - 1964 M. Rahman(초대 대통령)의 영도 하에 독립운동 주도 1973. 3 제1차 총선승리(315석 중 306석)로 1975. 1월까지 집권 1991. 2 총선에서 제1야당 1996. 6 총선 승리, 집권 2001. 10. 1 총선 패배, 다시 제1야당 2008. 12. 29 총선 승리, 집권 ◯ 방글라데시 민족주의당(Bangladesh Nationalist Party : BNP) - 창 당 : 1978년(Ziaur Rahman 대통령이 창당) - 당 수 : Begum Khaleda Zia(Ziaur Rahman 대통령의 미망인) - 성 향 : 군출신 인사들이 주축이 된 보수, 민족주의 성향 - 1991. 2 총선서 승리, 집권하였으나, 1996.6.12 총선에서는 패배(제1야당) - 2001. 10. 1 총선 압승, 재집권 - 2008. 12. 29 총선 패배, 다시 제1야당 ◯ Jatiya Party - 창 당 : 1983년(H.M. Ershad 대통령이 창당) - 당 수 : 전직 대통령 H.M. Ershad - Ershad 정권 몰락 후, 1991. 2월, 1996. 6월, 2001. 10월 총선에서 제2야당 으로 전락 ◯ 기타 JSD(사회주의 계열), 이슬람당(Jammat-e-Islami, JI), 노동당, 자유 민주당, 공산당 등 많은 군소정당 존재 4. 국내 정세 ◯ 2006. 10월 Zia 정권 퇴진 후 차기 총선을 둘러싼 BNP와 AL간 극한대치와 전국적인 유혈사태로 군부 후원 하에 비상사태가 선포되고 총선시까지 정국을 관리할 과도정부(non-party caretaker government)가 구성 - 과도정부는 헌법상 총선 전 3개월만 존속하도록 되어 있으나, 총선이 2008년 말까지 연기됨에 따라 약 2년간 통치
  • 29. - 과도정부는 당초 부패척결과 정치개혁을 명분으로 Zia BNP 당수와 Hasina AL 당수를 배제한 새로운 정치질서를 모색하였으나, 두 여사를 대체할 정치 세력 형성이 시기상조임이 분명해짐에 따라 이들의 정치 참여를 보장하고 2008. 12. 29 총선 실시 ◯ 동 총선 결과 Hasina 당수가 이끄는 AL이 총 300개 의석 중 230석을 획득, Zia의 BNP를 누르고 압승 ◯ 2009. 1. 6 정식 출범한 Hasian 정부는 과도정부 기간 동안 폭등하였던 쌀값을 안정화하는 한편 주재국의 만성적인 전력 및 교통난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국가 사업을 추진 - 특히 총선 시 공약한 2021년까지 ‘중소득국가’ 및 ‘디지털방글라데시 2021’ 구현을 목표로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하면서 과거 정권과의 차별성을 부각하기 위해 노력 ◯ 향후 Hasina 정부는 견실한 경제성장 기조를 유지하면서 전력․에너지 대책, 교통 인프라 구축, 디지털방글라데시 추진 등 민생 및 경제발전과 밀접한 분야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어 현 정부의 지지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예상
  • 31.
  • 32.
  • 33. 33Ⅳ. 외 교 Ⅳ. 외 교 1. 대외정책 가. 정책기조 ◯ 1975년 Ziaur Rahman 대통령 이후 비동맹․중립외교노선 추구 나. 외교목표 ◯ 자주독립 및 주권의 확보, 유지 ◯ 국내정치, 사회발전을 위한 다양한 우호협력관계 증진 ◯ 평화, 자주, 진보를 위한 국제협력증진 다. 외교원칙(헌법 제25조 규정) ◯ 주권평등 ◯ 내정불간섭 ◯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 유엔헌장 및 국제법 준수(민족자결주의, 반식민, 반제국, 반인종주의) ◯ 회교적 결속에 기초한 회교국가간 형제관계의 유지 및 강화 라. 대외관계의 특징 1) 독립주권 수호-안보 외교 ◯ 중국과의 우호관계 중시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출범을 주도, 지역결속 및 지역협력 강화 도모
  • 34. 34 방글라데시 개황 2) 빈곤탈피, 국제협력 추진 ◯ 미국, 일본, 캐나다 및 서구제국의 경제개발 협력 중시 ◯ 홍수 방재를 위한 외교적 노력 경주 ◯ 영연방내 협조 유지 3) 회교권 결속기여 노력 ◯ OIC를 중심으로 한 회교권 국가와 결속강화(특히 사우디와의 관계 중시) 4) 비동맹외교를 통한 국제적 지위 향상 ◯ 비동맹회의 및 국제기구에서의 적극적 활동으로 국제적 지위 향상 2. 주변국가와의 관계 가.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outh Asian Association for Regional Cooperation, SAARC) ◯ 1980. 5월 Ziaur Rahman 대통령이 지역협력에 관한 협의를 위해 정상회담 개최를 제의, 1985. 12월 제1차 정상회의를 방글라데시에서 개최하는 등 동 기구의 창설 주도 - 2005. 11월 제13차 SAARC 정상회의 다카 개최 ◯ 지정학적, 경제구조적인 약소국가로서의 활로개척을 위하여 SAARC 창설 적극 주도 및 참여 ※ SAARC 개요 - 목 적 : 지역 국가 간 비정치 분야 협력 도모 - 회원국 : 8개국(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네팔, 부탄, 몰디브,
  • 35. 35Ⅳ. 외 교 아프가니스탄) - 회원국 간 상이한 입장과 인도의 지배적인 영향력 등을 감안할 때 EU와 같은 지역통합기구로의 발전가능성은 적으나 지역경제협력기구로의 발전 가능성은 상존 - 2005. 11 제13차 정상회의 개최(방글라데시) - 2007. 4 제14차 정상회의 개최(인도) - 2008. 8 제15차 정상회의 개최(스리랑카) - 2010. 4 제16차 정상회의 개최(부탄) - 우리나라는 2007년 제14차 정상회의시 옵저버로 가입 나. 대인도 관계 ◯ 인도는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전쟁시 최대지원국 ◯ 양국은 1982년 정상회담(Ershad-Indira)을 통하여 합동경제위원회(JEC) 설치 에 합의 ◯ South Talpatty섬의 소유권문제, 영해문제 등이 양국 간 현안문제로 남아 있음. - 4,600여Km에 달하는 국경선을 공유하고 있는 양국관계는 다수의 주재국 국민 인도체류문제, 국경지역 충돌, 상대국가 국경 내 반정부세력 및 테러캠프 문제, 수자원 공유문제, 인도상품의 밀수, 주재국 Gas 수출문제 등 정치 ․ 심리적 현안으로 때때로 긴장관계 노정 - 인도는 과거 World Bank를 통한 Jamuna Bridge 건설 방해, UN에서의 Rohingya 난민문제에 대해 방글라데시 입장 반대 ◯ 정치 ․ 경제적으로 대방글라데시 영향력 막강 - 방글라데시는 자국 생산제품의 인도시장 duty free access 및 연간 10억불 이상의 무역적자폭 축소를 인도 측에 요구 ◯ Hasina 총리 인도방문(2010. 1월) - Hasina 총리는 Manmohan Singh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 후 양국간 협력방안을 담은 공동성명(Joint Communique) 채택
  • 36. 36 방글라데시 개황 - 민주주의, 다원주의 및 법의 지배라는 공동 입장 천명, 안보 및 대테러 협력, 대테러 및 협사사법 협력 강화를 위한 3개 협정 서명, 양국 공동 하천 이용, 경제통상 및 개발협력 방안 등 포함 다. 대파키스탄 관계 ◯ 1974. 4월 양국 간 외교관계 설립 - 이집트, 쿠웨이트 등 아랍국가와 중국 등의 화해 요구 압력 등이 작용 - 독립 전쟁을 겪었으나(약 300만명 피살 추정) 아직도 고급관리, 군 고위 간부들이 파키스탄 육사출신으로 전통적 우호관계 유지 ◯ 1977. 12. 21-23 Ziaur Rahman 대통령 파키스탄 방문계기로 화해진전 ◯ 1983. 2월 방글라데시 외상의 파키스탄 방문 및 1983. 8월 파키스탄 외무장관의 방글라데시 답방 - 방글라데시 독립 후 최초의 파키스탄 외상 공식방문으로서 불편했던 관계를 화해의 분위기로 전환 ◯ 1989. 7월 부토 파키스탄 총리의 방글라데시 공식방문으로 양국관계 완전 정상화 이후 양국교류 증진 ◯ 2002. 7월말 무샤라프 대통령은 방글라데시 공식방문시 1971년 독립전쟁 당시 파키스탄군의 방글라데시인 학살문제 등에 대해 “양국에 깊은 상처를 남긴 비극으로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하고 “불행한 시기에 저질러진 과도함에 유감을 표명”하여 과거사문제를 일단락지었음. - 한편, 독립전쟁 시 방글라데시내 20여만의 파키스탄 유민 송환문제 및 45억불 상당의 방글라 자산배분문제 등에 대해 계속 협의하기로 함. 라. 대미얀마 관계 ◯ 미얀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할 당시 인위적으로 설정된 국경선으로 인해 사소한 충돌 발생가능성 내재 - 방글라에 친밀감 갖는 벵골계 Rohingya족(회교도) 미얀마 국경 내 거주
  • 37. 37Ⅳ. 외 교 - 미얀마에 친밀감 갖는 몽골계 소수민족(불교도) 방글라내 거주 ◯ 미얀마 정부의 소수민족차별정책으로 인하여 1991~1992년 Rohingya 회교도 난민 약 25만 명 이상이 방글라데시 영내로 피난, 양국 간 마찰 초래 - 1992. 4월 미얀마 U Ohn Gyaw 외무장관의 방글라데시 방문, 송환협정 체결 계기 마련 ◯ UNHCR의 적극 개입으로 1996. 4월 40,033세대 197,397명의 난민송환이 실현되었으나, 아직까지 2만여 난민이 남아있어 양국간 현안으로 상존(1993. 5. 12 방글라데시 정부와 UNHCR간 MOU 체결, 1993. 11. 5 미얀마 정부와 UNHCR간 MOU 체결) ◯ 2002. 12월 미얀마 Thanshwe 총리의 방글라데시 공식방문을 통해 양국은 다카-양곤 간 도로건설을 비롯하여 양국 간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정비 ◯ 해상 경계 획정 문제 - 2000년대 초 벵갈만에서 대형 해상 석유가스전 탐사 성공 이후 양국간 해양 경계 획정 문제가 표면화되고, 2008. 11월에는 양국간 해상 대치로 우리 대우의 미얀마 AD-7광구(주재국의 08-13광구와 중첩) 탐사활동이 중단되는 사태 발생 - 2010. 1월 개최된 양국 회담에서 주재국이 주장하는 형평성(equity) 원칙과 미얀마측이 주장하는 등거리(equidistance) 원칙을 절충하여 향후 기술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합의 마. 대태국 관계 ◯ 태국은 방글라데시의 대ASEAN 접촉창구 - 방글라데시는 ASEAN dialogue partner 및 ARF 참가희망을 태국을 통해 동남아국가에 타진 ◯ 양국 간 합작투자, 경제협력관계 긴밀 ◯ 1992. 1월 태국 황태자 방글라데시 방문으로 우호관계 심화
  • 38. 38 방글라데시 개황 ◯ 2002. 7월 Thaksin 태국총리의 방글라 공식방문을 통해 Joint Business Council 설립 및 투자보호협정 및 도로망 연결사업 등이 구체적으로 합의되어 양국 간 무역확대에 큰 진전 바. 대네팔관계 ◯ 네팔은 갠지스강 수원지로서 방글라데시에 중요한 국가 ◯ 방글라데시는 네팔에 대하여 횡단루트(Transit route)와 항구사용권을 제공 사. 대ASEAN 관계 ◯ ASEAN 국가로부터 경제 원조를 받고 있지는 않으나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ASEAN 제국과의 경제협력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 ◯ 방글라데시의 Look East 정책 표방에 따라 ASEAN과의 관계증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방/인니 정상 교환방문(2003/2004년) - Zia 총리 브루나이 방문(2004. 1월) - 베트남 대통령 방문(2004. 3월) - Zia 총리 베트남 방문(2005. 5월) 3. 주요국가와의 관계 가. 대중국 관계 ◯ 1975. 10월 양국간 국교수립 이후 대중국 우호관계 중시 - 중국은 인도와 갠지스강 분쟁시 방글라데시 지지 - 방글라데시는 아프간사태, 캄푸치아사태에 대해 중국과 공동보조 ◯ 무상원조 및 차관공여 등으로 중국의 영향력 다대 - 빈번한 고위인사교류, 군사사절단 교환방문, 경제협력 및 문화교류 증대 등
  • 39. 39Ⅳ. 외 교 을 통해 양국 간 유대관계 긴밀화를 도모 - 1989. 11월 이붕 중국 총리의 방글라데시 공식방문, 1991. 6월 및 1995. 9월 Zia 총리의 중국 방문, 2002. 1월 주룽지 중국 총리의 공식 방문, 2002. 12월 Zia 총리의 중국 방문, 2003. 11월 중국 정협주석(서열 4위) 방문, 2005. 4월 원자바오 중국 총리 방문, 2005. 8월 Zia 총리 중국 방문(국내폭탄테러로 조기 귀국), 2010. 3월 Hasina 총리 중국 방문 나. 대미국 관계 ◯ 미국은 서남아지역의 안정 유지세력으로 인도, 파키스탄을 중시하였으나, 9. 11사태 이후 대아프간 전쟁을 수행하면서 온건 이슬람국가로서 방글라데시의 착실한 민주발전, 지역안정 기여, 대테러전 지원에 대해 평가 - 미국은 회교근본주의세력(테러리스트)의 방글라데시내 영향력 확대를 경계 ◯ 방글라데시는 비동맹 중립노선을 표방하고 있으나 경제관계 등을 고려, 미국과의 관계 중시 - 미국은 방글라데시 주요 교역대상국 - 방글라데시는 국제무력분쟁에 있어 평화유지군(PKO) 파견 등으로 미국의 해결 노력 지원 다. 대러시아 관계 ◯ 독립 후 Mujibur Rahman 대통령 집권시 친소 경향, 동 대통령 피살 후에는 관계 소원 ◯ 1983. 11월 다카주재 소련대사관이 반정부활동에 개입했다는 증거를 제시, 대사관직원 수명을 출국 조치 - 1984. 6월 문화원 및 영사관의 활동재개 등 대소관계 개선 ◯ 구소련으로부터 다액의 원조와 무상경제협력을 받았으나, 공산체제 붕괴 후 러시아측으로부터 원조 미미
  • 40. 40 방글라데시 개황 라. 대일본 관계 ◯ 1972. 6. 27 양국 간 국교 수립(동년 9월 상호 대사 교환) ◯ 수교이후 일본의 원조 및 차관제공 증대로 각료 및 사절단의 교환 등 교류 활발 - 일본은 방글라데시 최대 원조공여국이자, 방글라데시의 교역 상대국으로서 중요한 위치 - 2005. 7월 Zia 총리 일본 방문, 2006. 7월 아소타로 일본외상 방글라데시 방문 마. 대영국 관계 ◯ 영국은 구 식민종주국으로서 1972. 3월 국교수립이후 활발한 인적교류와 원조를 지속하는 등 양국관계는 정치, 외교, 경제 등 모든 면에서 영국이 방글라데시를 지원 - 영국은 매년 상당액의 유․무상원조를 제공하며 교역상 중요위치 - 영국 내 약 50만 명의 방글라데시 출신 거주 ◯ 방글라데시는 영연방국의 일원으로 적극 참여 4. 비동맹외교 ◯ 비동맹을 외교의 기조로 삼고 있는 비동맹권의 일원으로서 비동맹 원칙의 준수를 강조하는 입장을 견지, 비동맹 내 조정위원회에 적극 참여 ◯ 평화공존, 외세배격, 타국 내정문제 불간섭을 주장하면서 유엔 등 국제기구에서 빈국을 대변 5. 대아랍 외교 ◯ 회교국의 일원으로서 회교국가와의 협력과 발전이 주요 외교정책의 하나 - 2005. 12월 Zia 총리 사우디 개최 OIC 정상회의 참석
  • 41. 41Ⅳ. 외 교 - 2006. 08월 Zia 총리 OIC 특별정상회의(말레이시아) 참석 - 중동지역에 대한 방글라데시의 노동력 수출은 국가경제의 큰 비중차지 ◯ 주요 원조국의 하나인 사우디와도 1974. 11월 국교수립 이후 양국 정상의 빈번 한 상호교환방문 등을 통해 경제협력 도모 ◯ 중동산 원유를 유리한 조건으로 신용 도입하기 위해 중동국가 방문 활발 - 2006. 05 Zia 총리 UAE방문, 쿠웨이트 방문 - 2006. 10 Zia 총리 사우디 방문 - 2010. 02 Hasina 총리 쿠웨이트 방문 6. 외교관계 현황 가. 방글라데시 재외공관 현황 ◯ 대 사 관 : 45 ◯ 총영사관 : 11 ◯ 국제기구대표부 : 2 나. 주요 국제기구 협약 가입 ◯ 국제기구 : UN 및 주요 국제기구 가입 ◯ 지역 국제기구 : SAARC 다. 주 방글라데시 외국공관 ◯ 대사관 : 47 (상주) ◯ 영 사 관 : 40 (명예영사 포함) ◯ 국제기구 : 22 (UNDP, UNHCR, UNICEF, UNFPA, WHO, ILO, WFP, IMF, FAO, ADB, CIRDAP, ICDDR, WB, ICRC, IFRC, IFDC, IJSG, IOM, IUT, PPD, UNESCO, UNIC)
  • 42. 42 방글라데시 개황 7. 전 망 ◯ 비동맹 중립노선을 계속 견지하면서 주권 보전, 경제실리외교를 통한 자국 이익의 극대화 및 경제발전 추구 예상 ◯ 대인도 유화정책을 계속 추구하면서도, 미․중․아랍과의 결속 및 관계강화
  • 43.
  • 44.
  • 45. 45Ⅴ. 경 제 Ⅴ. 경 제 1. 주요 경제지표 ◯ 국내경제(회계연도 : 7.1-다음해 6.30) - 국내총생산(GDP) : 916억불(08/09) - 실질경제성장률 : 6.5%(08/09), 지난 6년간 연평균 6% 내외의 성장률 유지 - 1인당 GDP : 630불(08/09) - 물가상승률 : 8.4%(08/09) - 투자율(GDP 대비) : 19.07%(08/09) - 국내실업률 : 20% 정도로 추산 ◯ 대외경제 - 총수출 : 158억불(08/09) - 총수입 : 203억불(08/09) - 경상수지 : 9.8억불 흑자(08/09) - 외환보유고 : 65.1억불(08/09) - 해외근로자의 국내 외환송금 : 약 96.9억불(08/09) - 환율 : 2003년도 변동환율제 도입, 최근 3년간 평균 TK/US$1 68.00로 안정적 유지 ※ US$1 = TK68.51 (10. 5. 2일 현재) - 대외부채 : 208억불로 GDP의 25.5%(08/09)
  • 46. 46 방글라데시 개황 2. 경제개황 가. 독립이전의 경제 상황 ◯ 식민지적 경제구조로 출발 - 영국으로부터 독립(1947) 이전 영국에 대한 공업용 원자재의 안정적 공급원 겸 영국 상품의 시장으로서 전형적인 식민지경영에 의한 자본수탈의 대상 ◯ 차 및 황마생산 중심으로 근대공업 시작 - 19세기부터 홍차와 황마(쥬트)의 대규모 농장개념 도입 ◯ 인도로부터 독립 후 서파키스탄의 차별정책으로 세계 최빈곤지역으로 전락 (1947~1971) - 인구비중의 우위(55%)에도 불구, 전체 예산의 30% 및 총원조액의 20%만 동파키스탄(현 방글라데시)에 할당 - 파키스탄 독립전쟁 당시 사회간접자본 파괴 등 막대한 경제적 피해 발생 나. 경제구조 및 시장특성 ◯ 전형적인 저개발농업국가 구조 -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제1위로 높은 국가로서 전체인구의 약 50%가 농업에 종사하며, 농업이 국내총생산의 21% 차지 - 부존자원이 빈약하고 제조업 및 기간시설이 낙후 ◯ 경제인구 구성의 취약점 - 인구 과밀 및 높은 인구증가율 - 인구 1%에 해당하는 상류층이 국부(National Wealth)의 90% 이상 점유하고 있으며 1일 1달러 소득 미만인 극빈자는 전체 인구의 41.3% 차지(2008, Economic Review from Ministry of Finance) - 높은 문맹률 : 47.5%(2008, Bureau of Statistics), 실제문맹률은 60%에 달함
  • 47. 47Ⅴ. 경 제 ◯ 구조적 모순 - 농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에도 불구, 농업생산성 불안정(기후조건 및 전기 사정에 좌우) - 경제발전 및 인프라구축 등에 필요한 투자재원을 외자 및 원조에 의존하고 있으며, 무상원조 감소 및 상환부담 가중 - 여-야간 극한대립으로 인한 정치 불안정이 잦은 파업으로 이어져 수출산업 등 제조업분야에 큰 타격 - 부존자원의 부족으로 산업에 필요한 원부자재 수입의존도가 높아 만성적인 무역수지를 해외근로자 송금으로 대체 ◯ 시장특성 - 시장규모는 매년 확대되고 있지만 낮은 국민소득으로 유효수요 및 실질 구매력 증가가 높지 않음 - 다카를 중심으로 치타공, 쿨라, 라샤히 등 주요 도시에 신흥 부촌들이 생겨나고 있음 - 대규모 도소매상이 없으며 수입상보다는 에이전트들의 활동이 활발하고 가족 경영 형태로 소규모 영업을 하고 있음 - 회교국가로서 종교의식이 소비패턴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국자본과 외국인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불신 내재 다. 경제개발계획 실적 ◯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 전 3차례 5개년 경제개발계획(1956~1970)을 실시하였 으나 서파키스탄의 차별정책으로 동파키스탄의 경제성장 저조 ◯ 1971년 독립 후 제1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1973. 7~1978. 6)은 석유파동, 대 홍수, 정치적 불안정(사회주의) 등으로 목표(5.5%)에 못 미치는 연평균 3.7% GDP 성장 ◯ 5개년 개발계획을 보완한 2개년 경제개발계획(1978. 7~1980. 6)은 목표 (5.6%)에 근접한 5% GDP 성장
  • 48. 48 방글라데시 개황 ◯ 제2차 5개년 개발계획(1980. 7~1985. 6) 기간 중 목표(7.2%)의 절반수준인 3.8% GDP 성장 - 홍수로 인한 농업부문 피해와 공업생산의 부진 ◯ 제3차 5개년 개발계획(1986. 7~1990. 6)은 GDP 성장목표 5.4%에 훨씬 못 미치는 3.9% 성장 - 1987, 1988년의 대홍수 및 정치적 불안정 ◯ 제4차 5개년 개발계획(1990. 7~1995. 6) 기간 중 연평균 4.5% GDP 성장률 기록 - 거시경제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이룩하고 수출신장세가 수입증가율을 상회 하는 실적 달성 - 그러나 재정 및 금융구조 개편 부진, 낮은 투자율(GDP의 12-14%)로 고도 성장을 이룩하지 못함 ◯ 제5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1997. 7~2002. 6) 기간 중 연평균 6% GDP 성장 - 개발목표 : 빈곤타파, 식량자급, 고용증진, 인구증가율 축소 등 구체적인 목표제시 - 민간투자 확대 : 민간 56%, 공공 44% -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 : 산업(14%), 에너지(23%), 농업(5%), 교육 (6.5%), 상업(7.5%), 교통(7.5%) ◯ 5개년 개발 계획을 보완한 3개년 개발계획(2002. 7~2005. 6) 기간 중 연평균 6% GDP 성장 ◯ 2005년이후 5개년 경제개발 계획은 BNP정권시 PRSP (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프로젝트로 2007년까지 3년간 시행 - 과도정부기간에 PRSP가 2008년까지 1년 연장 ◯ 현 정부의 국가경제위원회(NEC)는 2차 PRSP (2009. 7~2011. 6) 3개년 계획을 마련, 7.2%의 경제성장을 목표로 농업 및 발전분야를 중심으로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며 총 소요예산은 460억불
  • 49. 49Ⅴ. 경 제 3. 경제동향 ◯ 세계 각국 및 WB, ADB 등에서 지원하는 유․무상 원조자금에 의한 경제개발과 정부의 각종 구조개혁 프로그램을 지속 추진중 - 08/09 회계연도의 경상 GDP규모는 916억불로 집계될 것으로 추정, 실질 GDP 증가율은 지난 5년간 6%대 이상으로, 개도국의 평균 증가율에 근접 ◯ GDP의 산업별 구성비는 07/08 회계연도 기준 서비스 42.1%, 농림수산업 20.9%, 제조업 17.8%, 건설업 9.1%, 광산 1%를 각각 차지 - 농업부문 가운데 비중이 높은 농작물 성장률은 기후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음에 따라 등락이 심하고, 제조업 부문은 지난 5년간 평균 9%대로 꾸준한 성장률을 유지 ◯ 물가는 원유를 비롯한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과 유통이 열악하여 기초 생필품 가격이 급등하여 2009년도 12월말까지 이미 7%에 육박 - 실제 도시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 물가상승은 이미 15~20% 이상 - 2006. 10월부터 다카화의 갑작스런 평가절상 이후, 11월 중순부터는 급격한 평가절하가 이루어져 많은 생필품과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방글라 데시 경제에 부담 - 대외교역은 08/09년 회계연도 수출이 전년 대비 10.3% 증가한 158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수입은 산업용원재료,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 기계류 수입증가로 전회계년대비 4.6% 증가한 203억달러를 기록 ◯ 무역수지 악화로 해외근로자의 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외환보유고는 08/09년도 회계연도 기준 약 65.1억불을 기록 ◯ 금융통화 부문에서는 은행권 부실채권 규모가 전체 여신의 1.7% 정도로 부실이 낮아지고 있으나, 중앙은행에서는 은행권 여신관리 감독 강화 및 무담보대출을 억제 - 2006년 3월에는 최초로 부실채권을 탕감하는 등 최근 은행들의 부실이 많이 완화되고 있어 2009년 실적이 사상최대를 기록(민간은행 및 외국계 은행) - 중앙은행의 긴축정책으로 투자가 어느 정도 위축되고 있으며, 또한 경상
  • 50. 50 방글라데시 개황 경비 지출을 위한 정부의 금융권 차입증가로 재정적자가 GDP의 4.5%를 넘어서고 있음 ◯ 09/10 회계연도 방글라데시 정부의 예산은 개발자금을 포함 전년대비 13.6% 증가한 167억불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6.5%대 GDP 성장이 목표 - 09/10년도 연차개발계획(Annual Development Programme)은 전년대비 32.6% 증가한 44.8억불로 편성하였는데, 분야별로는 지방개발에 22.6%, 에 너지투자 13.6%, 교통통신 15.2%, 교육․IT 13.0%, 보건 9.7%, 농업개발 7.5%, 기타 7.6%로 각각 배분 ◯ 고용면에서는 농업부문이 전체 노동인구의 48.1%를 차지하고 있으며, 도소매 및 요식업은 16.45%, 제조업이 10.97%로 그 뒤를 잇고 있음(05/06년 기준). 실업률은 정부 공식통계로는 4.3%이나 세계은행(WB)은 20%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특히 산업 미발달로 성인남자 실업률이 높고 아동취업률이 노동인구의 10% 정도에 이를 것으로 추산 ◯ 방글라데시는 농업국가로 농산물 작황 여부가 전체 경제성장률을 좌우하지만 1980년대 후반 들어 저임을 이용한 섬유산업에 대한 외국인들의 투자가 크게 증가하여 현재 섬유산업은 방글라데시 전체 수출의 약 75%를 차지하는 주력산 업이 되었으며, 최근 정부와 민간업계는 신발, 비료, 의약품 및 IT 분야를 제2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노력중 ◯ 방글라데시는 유일한 부존자원인 천연가스의 개발을 통해 전력생산의 대부분을 가스에 의존하고 있으나, 가스 생산량의 한계, 막대한 개발 비용으로 인한 외국 업체의 개발사업주도, 대도시 위주의 가스사용 등으로 전력난이 심화 - 지난 2008년 2월 총 28개 광구의 국제 입찰이 시행된 제 3차 뱅골만 가스전 개발은 9개 광구에 대해 미국의 Conoco Phillips와 아일랜드의 Tullow사만이 낙찰을 받은 상태(2009.9월 시점) 로서, Petrobangla와 합작생산계약(PSCs)에 서명하지 않고 있는 상태 - 미국의 지질연구소(USGS)는 뱅골만에 25억 배럴의 오일에 상응하는 15조 입방피트의 가스가 매장되어 있다고 조사한 바 있음 ◯ 방글라데시는 경제개발 외 국민들의 빈곤 감소를 위해 Microcredit을 비롯한
  • 51. 51Ⅴ. 경 제 다양한 개발정책을 펴고 있으며, 정부 총지출의 23-25% 정도가 이러한 최저 생계를 보장하기 위한 사회구제정책에 사용 - Microcredit의 대부로 알려진 Mohammad Yunus 그라민 은행 총재는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은행대출을 통해 2006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지만 일부에 서는 고리대금업자로 오해받기도 함 ◯ 2005년 POST MFA(다자간 섬유협정)에 따른 쿼터폐지로 최대산업인 섬유산업 위기론이 대두되었으나, 방글라데시 기업들의 후방산업 투자확대 등으로 현재 까지 위기를 잘 극복 중 - 수출가공지역(EPZ)내 제한적인 노조 허용, 섬유분야 노동자 시위 및 인건비 상승, 정치 불안, 비효율적인 정부운영, 고유가로 인한 수입대금 결재 어려움 등이 섬유수출업체들의 주요 현안 <표> 방글라데시의 거시경제지표 구 분 단 위 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경상GDP(98/96기준) 십억불 51.9 56.5 60.4 62.0 68.0 78.9 91.6 GDP 실질성장률 (불변요소가격) % 5.3 6.3 6.0 6.7 6.8 6.2 6.5 인 구 백만명 133.4 135.2 137.0 138.0 140.0 142.4 162.2 1인당 GDP 불 389 418 445 447 484 554 630 수 입 백만불 9,658 10,903 13,147 14,460 16,800 19,504 20,296 수 출 백만불 6,548 7,603 8,655 10,500 11,500 14,309 15,782 무역 수지 백만불 -3,110 -3,300 -4,560 -4,300 -5,300 -5,195 -4,514 경상 수지 백만불 197 510 435 526 500 672 980 외환보유고(기말) 백만불 2,470 2,705 2,930 3,484 3,655 6,148 6,509 해외원조(집행기준) 백만불 1,585 954 1,259 1,241 1,624 1,956 1,664 대외 부채(기말) 백만불 16,953 17,953 18,557 18,908 19,355 20,110 20,831 총재정 적자 % of GDP 3.4 3.5 4.5 4.1 4.5 4.9 4.1 인플레이션 % 4.4 5.8 6.5 7.1 7.0 9.9 8.4 환 율(평균) TK/불 57.9 58.94 61.39 67.02 69.0 68.6 68.8 : Ministry of Finance, Bangladesh Bank, Bangladesh Bureau of Statistics
  • 52. 52 방글라데시 개황 4. 투자환경 가. 인프라 현황 (1) 전력 ◯ 전력설비 현황은 송전망 시설(Transmission Line)이 9,530 Circuit km, 배전망 시설(Distribution Line)이 260,000km로 전체인구중 전력사용 비율은 47%에 달함 - 전기 공급이 비교적 안정적인 도시에서도 잦은 정전으로 산업 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2014년까지 전력 수요량이 약 8,000MW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어 전력공급은 수요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방글라데시 정부는 해외민자발전사업(IPP) 등으로 2015년까지 5300MW의 추가전력을 공급한다는 계획 (2) 통신 ◯ 고정 전화선은 국영기업인 Bangladesh Telegraph and Board(BTTB)에 의해 거의 독점되고 있으나, 현재 회선수는 100만에 불과하여 인구 1000명당 7대에 불과한 상황 ◯ 휴대폰 서비스의 경우 1989년 민간업체에 최초 허가된 이후 현재까지 5개사가 서비스 중으로 2008년 말 4천만 가입자를 돌파 ◯ 국제통신은 BTTB에 의해 위성연결 4개의 지상중계소를 통해 독점 서비스중 ◯ 전화 요금수준은 시내전화의 경우 인근국에 비해 20% 내외 저렴한데, 시내 전화요금의 경우 5분당 TK1.50(U$0.026) - 휴대폰 요금과 국제전화 요금은 비싼 편인데 다카-서울의 경우 TK22/분으로 방글라데시-일본/미국 등에 비해 2배나 비싸지만 한국에 대한 국제요금을 조만간 인하할 예정
  • 53. 53Ⅴ. 경 제 ◯ 다카-치타공 구간은 철도청에 의해 Grameen phone을 통해 광케이블로 연결 되어 있으며, PGCB에서 배전시설과 함께 치타공-다카-보그라, 브라만바리 아-실렛 구간 공사에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등 방글라데시 광케이블을 전국적 으로 네트워크화 할 예정 (3) 도로 등 운송 ◯ 내륙운송화물의 63%, 내륙승객의 73%이 도로망 이용(자료 : Roads & Highways Department) - 지난 1998년에 자무나대교의 완공으로 방글라데시 도로운송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하였으며, 이어 파드마강의 쿨나-룹샤교 등이 완공되어 동서교통 원활 ◯ 도로망과 더불어 총연장 2,880km의 철도는 바리살 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방의 주요도시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카시와 자무나대교 간 42km 철로가 2005년 말 완공되어 국토의 동서 연결이 가능 - 내륙 운송화물의 30%, 내륙 승객의 20-25%가 철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 - 현재 46개의 상업용 열차(우편, 특급, 지방)가 운영 중이며, 이중 26개의 열 차편이 민영화 되었지만 대부분의 열차가 50년 이상 노후화 ◯ 치타공 항은 방글라데시 제1의 항구로서 전체 수입물품의 80%, 수출물품의 75%를 소화하나, 항만 수심이 낮아 대형선박은 진입 불가 나. 투자정책 (1) 외국인투자 개관 ◯ 방글라데시는 외국인 투자활성화 및 투자기업보호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외 국인투자법」(Foreign Private Investment- Promotion & Protection Act)을 1980년에 제정, 시행중 - 해외자본의 국내투자를 적극 유치하기 위해 1999년에 신산업정책을 발표하여 외국인투자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확대하고 외환규제도 완화
  • 54. 54 방글라데시 개황 투자지역 면제기간 대상산업 수출가공공단 (Export Processing Zone) 10년 업종불문 ◯ 2009. 12월 기준 총 외국인 투자금액(신고기준)은 누계로 244억불이며 미국, 영국, 말레이시아, 일본, 홍콩 등이 주요 투자국이지만 대부분 금융 및 서비스, 가스개발 등에 집중 - 이외 수출가공공단(Expert Processing Zone)내 외국인투자는 11.5억불이며 이중 한국이 4.7억불 이상 투자 <외국인투자관련 정책> - 외국인투자법에 따라 외국인과 내국인 투자자에 대해 동등 대우 - 국유화로부터 투자기업 보호 - 주식매각대금 및 순이익의 본국 송금 허용 - 투자금지 산업, 은행, 보험 등 금융산업 및 국방, 치안 등을 제외하고 모든 서 비스, 제조업에 대한 외국인투자 장려 - 투자금액 상한선이 없으며, 100% 단독투자 허용 - 해외에서 조달된 투자금액의 전액과 배당금, 이익의 본국 송금이 허용되며, 배당금 및 유보이익의 재투자 시 신규투자로 간주 - 핵심전략산업(Thrust sector)에 투자한 경우「방글라데시소기업가내공업공사 (Bangladesh Small & Cottage Industries Corp. : BSCIC) 소유 산업부지 배정에 우선권 부여 <재정 및 금융 인센티브> - 외국인 투자기업 중 전력생산 분야는 15년간 법인세 면제 혜택을 받으며, 그 외 분야는 아래와 같이 3개 투자지역에 투자시 일정기간 법인세 면제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게 됨
  • 55. 55Ⅴ. 경 제 바리살, 쿨나, 라사히, 실렛 (이상 4개지역은 주재국 북쪽지역) 랑카마티, 반다반, 쿠카차리힐드 (이상 3개지역은 치타공 Hill 지역) 6년 전략업종 다카 및 치타공 지역 (랑카마티, 반다반, 쿠카차리힐드 지역 제외) 4년 전략업종 ※ 전략업종(총29개) : 농산물가공업, 섬유산업(섬유기계포함), 가죽업, 신발, 장난감, 가구, 정보 통신, 제약업, 도자기업, 플라스틱업, 철강업, 비료업, 살충제, 컴퓨터하드웨어, 석유화학업, 농기계업, 보일러, 화학, 제약원료업, 우유가공업, 조선업, 에너지절약형 램프제조업, 밧데리 산업, 재활용업, 화장품업, 관광업, 새우가공업, 쥬트(Jute), 컴프레서 (2) 수출가공공단(Export Processing Zone, EPZ) ◯ 수출가공지역(EPZ)은 1980년 제정된「방글라데시EPZ법」(Bangladesh Export Processing Zone Act)에 따라 1983년 최초로 항구도시인 치타공에 설치되었 으며, 그 이후 1993년 다카, 1997년 몽글라, 2000년 쿠밀라, 2001년 이셔디와 웃다라에 EPZ이 각각 설치 - 1996년에는「방글라데시 민자EPZ법」(Bangladesh Private Export Processing Zone Act)이 제정되어 민간기업에게도 EPZ 설립이 허용되어 우리나라 ‘영원 무역’에서 KEPZ(Korean EPZ)에 투자 ◯ EPZ 입주 기업에게는 10년간 법인세 및 차입자본 이자소득세 면제, 쌍무협정에 의한 이중과세 면제, 기계류․장비․원자재․차량․공장건물 건설용 원자재 면세수입, 생산제품의 면세수출 등 각종 인센티브가 부여되고 있으며, 특히 외국인 투자는 법으로 보장되고 투자금액에 제한이 없으며, 이윤과 투자원본의 철수가 가능 ◯ 치타공 및 다카 EPZ의 경우 이미 입주가 완료되었지만 기타 4개의 EPZ에는 국내외 투자자유치에 실패하자 방글라데시 정부는 다카 및 치타공지역에 Karnapuli EPZ(치타공), Adamji EPZ(다카) 등 추가 EPZ를 건설하였으며, 그 외 SPZ (Specialized Processing Zone)이라는 우리나라 산업공단과 유사한 단지도 조성한다는 계획
  • 56. 56 방글라데시 개황 다. 금융 (1) 외환 관리 ◯ 1994.3.24 IMF와의 협정에 따라 모든 대외거래에 있어 방글라데시 다카(TK) 화가 태환가능토록 공고 - 외환거래취급은행은 Bangladesh Bank(중앙은행)의 승인 없이 대외무역결제와 외화차입금에 대한 변제가 가능 - 아직 내국인의 해외자본 이전이 자유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정 한도액을 초과하는 결제는 여전히 중앙은행의 승인을 요함 ◯ 외국인의 직접투자나 포트폴리오투자에 의한 원금, 투자이익, 배당금의 해외 송금은 중앙은행의 승인 없이 가능 (가) 환율 정책 ◯ 중앙은행의 환율정책은 해외시장에서의 자국 상품 경쟁력유지와 자국 해외 근로자의 국내송금 유입장려, 물가안정 등을 목표로 조정 - 환율은 2003년 완전변동환율제가 도입되었지만 중앙은행은 정부의 동의하에 시중은행과의 외환 거래시 적용되는 환율의 폭을 공지 ◯ 고유가로 인해 원유수입국인 방글라데시는 달러화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해외근로자 송금이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 환율은 매우 안정적 <표> 최근 방글라데시의 대미 평균환율 구 분 002/03 03/04 04/05 05/06 06/07 07/08 08/09 2010.5 Taka/US$1 57.90 58.94 61.0 67.08 68.0 68.6 68.8 68.51 * 출 처 :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나) 외환관련 제약 ◯ 방글라데시인의 외화 해외반출을 엄격히 통제 - 자국인의 경우 U$구좌가 없을 경우 해외로의 현금송금(T/T)이 불가하고, 모든
  • 57. 57Ⅴ. 경 제 대외무역거래는 신용장 거래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업체들은 현지화로 결재 (단 EPZ는 외화구좌 운용가능) - 이에 따라 무역업체들은 Under Invoice를 통해 수입할 경우, 제3국에 소재하고 있는 외국은행 구좌를 통해 차액을 지불하거나 직접 차액을 소지하고 수출업 체에 전달하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무역거래를 가장한 불법 취업에 악용 (2) 금융시장 ◯ 1971년 파키스탄으로부터 분리, 독립 후 주재국내 모든 은행은 6개의 은행으로 통폐합 국유화 되었으며, 이중 Pubali Bank와 Uttara Bank 2개 은행은 1985. 1월 민간에 이전 ◯ 방글라데시 금융기관은 Bangladesh Bank(중앙은행)를 중심으로 3개의 국영상 업은행(nationalised commercial bank), 5개의 정부소유 특수금융기관 (specialised bank), 34개의 민간은행(private bank), 10개의 외국은행 및 28 개의 비은행금융기관(non-bank financial institution)으로 각각 구성 (가) 중앙은행(Bangladesh Bank) ◯ Bangladesh Bank Order에 의거 1972년 설립된 Bangladesh Bank는 중앙은 행으로서 모든 은행에 대한 감독․통제권을 갖고 있으며 화폐발행, 통화 관리 등 의 업무를 수행 (나) 상업은행(Commercial Bank) ◯ 예금 여수신업무, 어음인수 및 할인, 보증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아래 3가지로 구분 - 국영상업은행 (Nationalized Commercial Bank: NCB) - 민간상업은행 (Private Commercial Bank) - 외국은행 (Foreign Commercial Bank)
  • 58. 58 방글라데시 개황 (다) 특수금융기관(Specialised Financial Institution) ◯ 국가경제발전과 산업진흥을 목적으로 주로 기업의 중장기 투자자금을 제공하는 5개의 특수금융기관으로 전국 지점수가 1,318개로 방대한 반면, 전체 은행권 자산의 5%, 예금의 4%만 점유하고 있어 실제 활동은 매우 빈약한 편 (라) 비은행금융기관(Non-bank Financial Institution) ◯ 비은행 금융기관에는 주식․채권을 중개하는 투자은행, 뮤추얼펀드 및 보험회사와 연기금 등으로 구분 - 총28개의 비은행금융기관이 영업중이며, 12개사는 외국과의 합작 - 방글라데시 중앙은행은 이들 금융기관의 중장기 자금 제공을 위해 IDA와 프로젝트 론에 서명하고, 2000. 2월부터 FIDP(Financial Institutions Development Project) 운용중 ◯ 보험산업은 방글라데시의 사회주의적인 경제정책에 따라 독립과 함께 국유화 된 이후 1984년 생명, 손해 양 분야에 민간의 참여를 허용하였고 현재는 50여 개 이상의 보험회사가 설립되어 영업중 (3) 최근 금융구조조정 동향 ◯ 국영상업은행과 일부 민간은행의 경우 엄청난 누적 부실여신으로 곤경에 처해 있어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어 방글라데시 정부에서는 다양한 상 품과 개혁프로그램을 도입중 ◯ 중앙은행의 부실채권에 대한 감시 강화 및 오래된 부실채권에 대한 대차대조표 상의 삭제정책 등으로 부실채권 비율이 2005년말 15%에서 2009년말에는 1.7%미만으로 떨어져 TK2,244.2억 기록중 ◯ 2004년부터 본격적인 은행권 구조조정을 통해 국영은행의 지점수가 거의 절반 으로 축소 및 통폐합되었으며, 중앙은행의 강력한 부채비율 및 유보비율 준수 강화, 그리고 갈수록 심해지는 민간은행과의 경쟁, 유명 외국계 컨설팅회사와 의 구조조정 컨설팅 등을 통해 체질이 강화되었으나, 아직도 지역주민의 반발,
  • 59. 59Ⅴ. 경 제 영향력 있는 인사의 로비와 국영상업은행을 상대로 한 고소사태 등으로 어려 움을 겪고 있음 ◯ 은행구조조정 작업이 비록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주요 조정 작업들이 늦어지고 있으나, 기존 은행들의 자본금 확충 필요, 2004년 이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실질저축률 감소, 5-6%대의 높은 마진율, 정부의 은행차입 증가 등으로 인한 은행들의 대출심사 강화 등으로 일부 산업계의 대출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 ◯ 중앙은행의 구조개혁과 관련하여 WB는 인원을 30% 감축, 은행업무 전산화 추진을 권고중이며, 중앙은행령(Bangladesh Bank Order, 1972) 개정을 통한 중앙은행의 독립성 보장을 위해 촉구중 (4) 증권 시장 ◯ 방글라데시에는 1954. 4월에 설립된 다카증권거래소(DSE)와 1995. 4월에 설 립된 치타공증권거래소(CSE)가 운영중 ◯ 장외시장은 아직 없으며 시장에 대한 광범위한 통제와 경직성, 투자자와 기업 들의 은행 선호와 유리한 금리 등 영향으로 발전이 늦어지고 있고 증권거래소 와 큰손의 의도적인 시장조작, 기관투자가 부재, 임직원들의 내부거래 성행도 증권시장의 성장을 가로막고 있어 최근 들어 DSE에서는 부실업체의 상장말소 를 추진중 ◯ 2008. 6월말 DSE의 상장회사 수는 609개사이며 시가 총액은 총 56.83억불 수준으로 치타공증권거래소(CSE)에는 231개사가 등록(시가총액 15.03억불), 다카증권거래소에는 378개사가 등록(시가총액 41.8억불) 라. 조세 (1) 개관 ◯ 09/10 회계연도 수입예산에 따르면 총수입 예산 167억불 중 세수입이 53.6%인 89.5억불
  • 60. 60 방글라데시 개황 - 외국원조는 4.5%(7.5억불)로 전년대비 4.07%증가, 해외차입은 7.6%(12.7 억불)로 전년대비 29.4% 증가 - 국세청(NBR) 예상 세금확보(89.5억불) : VAT : 37.4%, 수입관세 17.1%, 소득세 27.1%, 특소세 17.2%, 기타 1.2% - 비국세청 세수(4.3억불) : 담배 및 주류세(1.8%), 자동차세(22.3%), 토지세 (16.53%), 인지세(59.2%) 등 - 비세금 수입(non-tax revenue) : 21.7억불 (2) 이중과세방지협정 ◯ 이중과세방지협정은 방글라데시에서 발생하여 협정국으로 송금되는 영업이익, 배당금, 이자, 로열티 등과 같은 국제 소득에 대한 이중과세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럽, 인도 등 21개국과 체결하였으며 한국과도 체결(1983. 5월) (3) 조세제도의 문제점 ◯ 제한된 세원 - 1억6천만 인구 중 납세인구는 법인을 포함하여 150만명 정도이며 이중 1/3 정도만이 실제 세금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에 대한 과도한 Tax Holiday와 면세혜택 부여로 세수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간접세에 대한 높은 의존율 - 2009-2010 예산 기준 세수구조가 VAT 37.4%, 관세 17.1%, 소득세 27.1%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VAT, 관세 등 간접세에 대한 의존율이 과도하게 높음 ◯ 조세행정 전산화 지연 - 관세의 경우 AYSCUD++라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전산화하고 있으나, 납세고 지서 발부, 징수 등 전반적인 조세행정 전산화가 되어 있지 않아 비효율적인 행정낭비와 세무공무원의 비리가 만연
  • 61. 61Ⅴ. 경 제 5. 주요 산업별 개황 가. 산업정책 ◯ 매 3-5년마다 산업정책을 발표하고 있으며 현재 2006년에 마련된 산업정책 을 그대로 사용중 - 식량자급을 목표로 농업관련 공업부문에 대한 중점투자, 수출품목 다변화를 위한 Thrust Industry에 대한 지원확대, 산업입지의 분산을 통한 지역 간 균 형발전 도모, 수입대체산업 육성 등 나. 산업동향 ◯ 방글라데시는 점차 전통적인 농업 위주 산업구조에서 탈피하여 공업 중심의 산 업구조로 전환 하는 과정에 있으나, 아직까지는 의류산업 이외에 뚜렷한 전략 산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으며 수입으로 대체하는 수준임 ◯ 각 산업별 GDP 비중을 살펴보면, 1970년 55%에 이르렀던 농림수산업은 07/08 회계연도 기준 20.9%로 축소되었으며, 제조업 17.8%, 광산 1%, 서비스 42.1%임 ◯ 제조업은 기초산업 부재로 대부분의 자본재를 수입에 의존하며, 제조업 중 섬 유(봉제) 산업이 전체 수출의 79%를 점유하고 있고, 기타 의약품, 냉동 어류, 황마, 차, 가죽 등을 수출 ◯ 최근에는 식·음료 및 담배, 화학 및 고무 플라스틱, 제지 및 인쇄·출판 등 분야 에 대한 투자 활발 다. 주요 산업별 동향 ◯ 의류산업 - 방글라데시 의류산업은 1980년대 초까지 미국과 유럽시장에 가장 많은 의류
  • 62. 62 방글라데시 개황 를 수출하던 스리랑카의 정정 불안으로 서방 바이어들이 거래를 꺼리면서 반 사이익을 얻어 발전하게 되었으며, 1983년 180개에 불과했던 봉제공장이 2008년 말 기준 6,000여 개로 증가 - 의류산업은 08/09년 113억 달러를 수출하여 국가 총 수출의 79%를 점유하 였으며 고용 200만 명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인구만 1,500만 명에 이르는 국가 핵심 산업으로 성장함. - 주요 생산 품목으로는 셔츠, T셔츠, 바지, 재킷, 스웨터 등으로 최근 니트 의 류의 생산 및 수출이 증가 추세이며, 수출의 90% 이상이 미국과 유럽 지역에 집중되고 내수 산업은 취약한 편 ◯ 직물산업 - 전체 섬유산업의 근간을 형성하면서 많은 노동력을 고용하고 있으나, 하지만 매년 감소 추세 - 환편 및 평편 직기는 물론 에어제트 등 직물산업에 대한 투자가 급속 증가 추세 ◯ 냉동 어류산업 - 새우 가공이 대종을 이루는 방글라데시 냉동 어류 가공산업은 총수출의 7%, GDP의 4.7%로 점유 - 대부분 벨기에 등 유럽 시장에 수출되고 있으며 연간 수출액은 약 4억 달러 정도이나 최근 위생 불량 및 연근해 조업 부진으로 수출액 감소세 ◯ 시멘트 산업 - 전체 시설의 65%만 가동되고 있으며 원료인 클링커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 나 2007년부터 클링커 생산시설에 투자중 ◯ 비료산업 - 천연가스를 이용한 요소 비료 생산이 주종을 이루며 연간 생산 규모는 180만 톤이나 수요는 230만 톤을 넘어 매년 50만 톤 이상을 수입에 의존 - 방글라데시 정부가 일부 투자하고 일본 등에서 투자한 민영 Karnapuli Fertilizer Company(KAFCO)사의 경우 매년 생산률 및 수출 증가로 모범적 인 흑자 기업으로 알려지고 있음 ◯ 제지산업
  • 63. 63Ⅴ. 경 제 - 대부분의 제지는 민간 및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고, 연간 종이류 수입규모는 3억 달러 수준이며 이중 한국이 최대 수출국 ◯ 신발산업 - 풍부한 가죽 생산과 완제품 분야의 외국인 투자를 배경으로 발전한 신발산업 은 연간 5,000만 달러의 수출 실적과 고용 인원 1만여 명의 주요 산업으로 성 장중 - 대부분 가죽신발 제조업체이며, 스포츠화 내수는 수입에 의존하며, 치타공 소재 EPZ 한국 투자업체들이 일본 및 유럽 지역에 스포츠화를 수출중 - EU의 대중국 및 베트남산 신발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이후 방글라데시 신 발산업에 대한 투자 관심 증가 ◯ 가죽산업 - 전통산업 중 하나이나 국제 가격 하락과 동남아 경쟁국들의 저가 공세로 수 출이 2억 달러에 불과하며, 대부분 1차 가공(tannery)품의 수출로서, 가죽 완제품의 수출은 신발을 제외하고 300만 달러에 불과 - 매년 가죽 생산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가 낮고 시설이 열악한 편 이며, 세계 주요 원피 생산 국가(전 세계 1.7%)이지만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매 년 2차 이드(희생제) 때 전체 가죽의 50%가 공급되어 수급 불균형 현상 존재 - 가죽 제품은 대EU 수출시 GSP 혜택이 있으며 정부에서도 가죽 수출시 현금 보조정책을 시행중이나, 2006년부터 환경오염을 이유로 다카 시내의 가죽 공 장을 정수처리가 되는 외곽으로 옮기는 사업을 추진중 ◯ 황마산업 - 전통산업의 하나로 Raw Jute 1억 2,000만 달러, 가공제품 1억 3,000만 달러 의 수출 실적으로 총 수출의 3%를 점유 ◯ IT산업 - IT에 대한 중요성을 감안하여 정부는 총리 주재 하의 ICT T/F팀을 조직하고, 과거 과학기술부를 과학정보통신기술부로 개칭, 방글라데시 컴퓨터협의회 (Bangladesh Computer Council)를 설치하는 등 IT 산업을 Thrust Sector 분야에 포함시켜 투자 자금 지원, 금융 기관 우선 대출, S/W 개발과 IT 서비
  • 64. 64 방글라데시 개황 스 관련 산업 신규 투자시 10년간 면세 혜택 부여 등 각종 지원 정책을 마련중 ◯ 의약품산업 - 내수시장의 97%를 자국에서 생산된 의약품으로 조달하고 있으며, 의약품 제 조회사 수는 200개 사로 이 중 상위 20개 제약 회사에 포함된 5개사가 다국 적 기업으로 전체 생산의 20%를 점유 - WTO TRIPs에서도 국제적인 특허가 난 의약품일지라도 최빈개도국의 생산과 수출에 대해 2016년까지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있어 방글라데시의 의약품 제 조는 점차 경쟁력을 확보해나가고 있음 ◯ 그린에너지(신재생에너지, 환경 등) - 온실가스(GHG) 배출이 연간 0.2t톤으로 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 대비 매우 낮으나 해수면 1.5m상승시 전체국토가 침수되는 등 지구온난화에 따른 영향 을 많이 받는 국가 중 하나 - "Bangladesh Climate Change and Action Plan 2008"하에 2개 Committee(Strategy and Action Plan Committee, Fund Operation Committee)가 방글라데시 환경부 등 관련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6개 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Action Plan을 단기, 중기, 장기적 과제로 마련 - 아울러 GHGs 감축관련 주재국 정부가 아래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중 · 2012년까지 1백만개 SHS(Solar Home Systems) 보급 · Solar Water Pump for Irrigation Project · 치타공/다카 상하수도 건설 프로젝트 사업 · 바이오매스 플랜트 건설 사업 6. 무역정책 가. 기본정책 ◯ 현지 생산 가능 품목의 수입억제 및 원부자재의 수입 원활화 ◯ 사치성 물품 등 불요불급의 수입억제
  • 65. 65Ⅴ. 경 제 ◯ L/C에 의한 수출입 외환규제 ◯ 전통상품 수출기반 확대 및 수출품목/지역 다변화 ◯ 수입품의 선적 전 검사를 통한 세수확대 및 해상보험의 국적보험사 이용 나. 무역구조 ◯ 연간 60억불 이상의 무역적자 ◯ 원자재 및 기계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 ◯ 섬유(의류) 수출이 전체 수출의 79% 이상 ◯ 수출가공공단(Export Processing Zone) 운영 및 확대추세 ◯ 석유를 수입에 의존하여 국제유가변동에 취약 다. 수입관리 ◯ 관련제도 및 법규 - 재무부에서 마련한 연간 외환운용계획서 및 지출용도별 외환재원할당내역서 를 근거로 상무부가 3-5년마다 수입정책(Import Policy Order) 발표 - 09/10년 회계연도의 경우 4단계 관세구조로 H.S.Code 8단위 기준으로 총 6,288개의 품목군으로 구성, 이중 0%세율을 적용받는 품목은 249개, 3% 730개, 5% 1,024개, 12% 1,590개, 25% 2,178개 등 - 관세 이외 약 1,102개 품목에 대해 우리나라의 특별소비세와 비슷한 supplementary duty를 20%-500%까지 부과(20% 878개, 30% 41개, 45% 37개, 60% 80개, 100% 27개, 250% 13개, 350% 22개, 500% 4개) - 기타 수입품에 규제관세(RD) 5%, 사전소득세(AIT) 3%, 사전부가가치세 (ATV) 2.25%(단 AVT의 경우 산업용 수입 시 면제) 각각 부과 ◯ 수입규제품목 - 일부 종교상의 이유나 공서양속에 위배되는 상품과 환경 등 화학․섬유산업 (예 비닐백 등) 중 국내 생산업체의 보호 필요성이 있는 제품을 수입금지
  • 66. 66 방글라데시 개황 품목으로 지정 운영 ◯ 기타 - 이슬람 국가로서 이스라엘 원산 또는 이스라엘 국적 선반 운송물품에 대해 수입금지 라. 수출관리 ◯ 관련제도 및 법규 - 상무부에서 2-3년마다 수출정책을 수립, 시행 - EPB(Export Promotion Bureau)에서 해외 전시회 참가 및 개최, 사절단 파 견, 수출보조금, 수출용 원자재 및 기계류 수입 시 무관세 등 수출진흥정책 시행중 - 재무부에서 Tax Holiday 및 각종 수출보조금 정책 운영 중 - 수출진흥기금(EPF, Export Promotion Fund) 운영, 수출절차 간소화, 기타 세제 및 금융상의 혜택부여 ◯ 수출금지품목 - 철 및 비철금속 제품 - 석유 및 석유화학제품(나프타 및 난방용 제외) - 황마종자, 양파, 우유 및 유제품 - 쇠고기, 양고기, 코코넛, 계란 및 가금류 등 ◯ GSP 혜택 - 방글라데시산 제품에 대한 무관세 국가 : EU(25개국), 호주, 캐나다, 일본 등 - 기타 한국, 중국 등에서도 일부제품 무관세
  • 67.
  • 68.
  • 69. 69Ⅵ. 사회 문화 Ⅵ. 사회 문화 1. 일반특징 ◯ 소수민족 구성비가 낮아 비교적 문화적 동질성을 유지 - 치타공 구릉지대(Chittagong Hill Tracts: CHT)에는 독특한 문화를 보존 하고 있는 100만명의 13개 소수부족들이 거주(방글라데시내 소수민족은 약120만명 추산) 2. 교 육 가. 개 관 ◯ 방글라데시 정부의 노력으로 1990년초부터 초등학교 취학률이 높아져 현재는 97%에 이르고 있으나, 교육수준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 나. 교육과정 : 초등(5년), 중등(5년), 고등(2년), 대학(2년-5년) ◯ 대학제도 - 2년간의 College : 일반교양과목 이수․졸업하면 문리학사(Bachelor's degree in liberal arts and science) 취득 - 3년간의 University : College 졸업후 University 진학을 위해 자격시험 (High School Certificate)이 필요하며, 졸업하면 Bachelors (Honours) 학위 취득 - 주요대학교 University of Dhaka North-South University
  • 70. 70 방글라데시 개황 University of Chittagong Bngladesh Agricultural University University of Rajshahi University of Khulna Bangladesh University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Open University 다. 교육정책 ◯ 회교이념과 가치전수에 중점을 두는 한편, 경제개발계획에 따른 고급기술인력 및 기능인력 수요충당에 우선 3. 종 교 ◯ 회교(83%), 힌두교(16%), 기타 불교(0.7%), 기독교(0.3%) 등 - 1988. 6월 8차 헌법 개정시 회교를 국교로 선언 ◯ 회교종파는 수니(Sunni)파이며 전국적으로 20만개 이상의 회교사원(Mosque) 이 있고 수도 다카에 2천개의 회교사원이 있음 - 방글라데시의 이슬람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제방면에서, 영향력이 지대 하나 회교근본주의 세력은 미약 4. 언 론 ◯ 언론의 자유가 비교적 잘 보장되어 있으며 신문사가 상당히 많음 - 언론기관 20여개, 일간지 150종 이상 - 총 신문발행부수: 160만부
  • 71. 71Ⅵ. 사회 문화 <표> 주요일간지 (2010. 3월 현재) 신 문 명 발 행 지 사 용 어 발간부수(천부) Dainik Ittefaq Dhaka 벵갈어 240 Dainik Inqilab Dhaka 벵갈어 250 The Daily Star Dhaka 영 어 52 The Bangladesh Observer Dhaka 영 어 40 The Independent Dhaka 영 어 30 The Financial Express Dhaka 영 어 30 The New Nation Dhaka 영 어 15 Dhaka Courier(주간) Dhaka 영 어 12.5 The New Age Dhaka 영 어 11 The News Today Dhaka 영 어 10 ◯ 라디오 및 TV - 현지어 라디오 방송 4개 채널(Bangladesh Betar, Radio Today, Radio Foorti, ABC) - 국영 TV(Bangladesh TV) 1개와 민영 케이블방송이 11개(Channel-I, ATN Bangla, NTV, RTV, Bangla Vision, STV, Baishaki TV, My TV, Channel One, Diganta TV, Islamic TV) ◯ 통 신 사 (자 국) - Bangladesh Sangbad Sangstha(BSS 국영) - United News of Bangladesh(UNB) (외 국) - Reuters, AP, AFP, 신화사 등 외국 통신사 현지 에이전트 5. 관 광 ◯ 관광지는 회교적 배경 및 경제활동 부진 등의 이유로 거의 개발이 안 된 상태 ◯ 주요 관광지는 Sundarban(UNESCO 지정 자연보호지역), Cox's Bazar 해안(치 타공 남부지역 위치, 세계최장 해안선), Kaptal Lake (Rangamati 지역소재), Chittagong Hill Tracts 족촌, 북부 Sylhet 차농원 등
  • 72.
  • 74.
  • 75. 75Ⅶ. 군사 Ⅶ. 군 사 1. 국가 안보 정책 ◯ 1971년 독립 이후 열악한 국방력으로 인해 인접국으로부터 군사적 위협에 대한 우려는 있으나, 외교적 노력으로 평화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한된 공격능력을 보유한 방어적 군사전략을 유지 ◯ 국가안보를 위해 불가피하게 친미, 친중국 외교정책을 취하고 있으며, 집권 정당에 따라 친인도정책 정도가 결정 - 4,600km에 달하는 인도국경에서의 소규모 국경충돌 가능성이 방글라데시의 안보 위협요소로 작용 ◯ 한편, UN PKO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중 2. 국방정책 ◯ 기본개념 : 제한된 공격능력을 보유한 방어적 국방정책 ◯ 전시에는 독립 국가를 유지하기 위해 게릴라전으로 대항한다는 기본개념을 가지고 있음 - 평시 대대장급 이상 현역 지휘관이 내무부 조직하에 있는 향토방위사령부 (ANSAR & VDP), 국경수비대(BDR), 해안경비대(BCG) 등 준군사조직을 통솔 - 군은 모병제로서 경제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처우를 받으므로 군 지원을 선호
  • 76. 76 방글라데시 개황 군사 지휘 체계 총리/국방장관 대 통 령 육 본 해 본 공 본 합동작전본부* 해군구성군 국방부 공군구성군육군구성군 총리실군사보좌실합동군사령부* 합동군사령부(전면전) 지휘계통 합동작전본부(국지전) 협조계통 지원계통 * 전시에 운영
  • 77. 77Ⅶ. 군사 3. 국가안보 조직 ◯ 헌법상 국군 통수권자는 대통령이나 총리가 국방장관을 겸임하면서, 실질적 으로 군을 지휘 - 그러나 총선관리를 위한 과도정부 기간이나, 비상사태 하에서는 대통령에게 국군통수권이 부여 - 평시에는 총리가 직접 각 군을 지휘하거나 총리 군사보좌실을 통해 각 군 업 무를 조정 ◯ 총리 군사보좌실은 평시 각 군의 교육, 물자장비 구매, 해외파견 업무, 각 군의 행정적 업무협조와 관련한 총리의 군 지휘권을 전달하고 반영하는 수준에서 군을 통제 - 전시에는 총리 군사보좌실이 합동사령부로 구성되어, 총리가 전군을 통제․지 휘하는 역할을 담당 4. 군사력 ◯ 현역 - 육군 : 157,000여명(7개 보병사단, 5개 독립여단) - 해군 : 12,500여명(2개 해역사령부, 1개 전단, 1개 훈련소) - 공군 : 7,000여명(4개 비행단) ◯ 준군사조직 : 내무부 소속 - 방글라데시 국경수비대(Bangladesh Rifle, BDR) : 4만명 - ANSAR & VDP(Village Defense Party) : 460만명 ․ ANSAR : 30만, VDP : 430만 5. 군의 위상 ◯ PKO 활동 적극 참여
  • 78. 78 방글라데시 개황 - 군은 UN 평화유지활동에 적극 참여, 국제무대에서 외교력 제고와 외화획득 에 크게 공헌하고 있음 - 2009.12월 현재 10,427여명이 파견(파키스탄 다음으로 세계 2위의 PKO 파견국) ◯ 국내 정치와의 관계 - 1971년 독립이후 7차례의 군사쿠데타로 국내 정치에 관여한 바 있음 - 장교들의 교육 수준이 높고, 군에 대한 국민들의 신망이 높음 - 1991년 3월 민간정부 출범 이후 군에 대한 지속적인 처우 및 군 복무 여건개 선 등으로 정치적 중립 자세 견지 - 2005년 육사 1기생(1975년 임관)이 육군총장을 포함한 주요직위에 진출함으 로써, 구 파키스탄군 출신 원로세대의 교체 ◯ 군의 위상 - 군 고위인사들은 전역 후에도 그 직위에 따라 장관, 국회의원, 외교관으로 진 출하는 등 최고 수준의 예우를 받고 있음 - 또한 군의 약 40%가 해외근무, 해외 군사교육 이수 등 해외경험이 있는 인재 들로서 국민으로부터도 상당한 신망을 받고 있음 6. 연도별 군비 지출 현황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군비지출 (백만불) 675 675 655 657 659 669 720 757 767 GDP 대비 비율(%) 1.3 1.2 1.1 1.1 1.1 1 1.1 1.1 1.1 ※ 출 처 :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SIPRI)의 2009년 Year Book
  • 80.
  • 81. 81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1. 기본관계 ◯ 1972. 5. 12 한국, 방글라데시정부 승인 ◯ 1973. 9. 13 영사관계 수립, 합의 ◯ 1973. 12. 18 외교관계 수립 ◯ 1975. 3. 1 주방글라데시 상주대사관 개설 ◯ 1987. 2월 주한 방글라데시 상주대사관 개설 2. 대한반도 정책 가. 대남북한 정책 ◯ 과거 비동맹 중립외교노선을 표방하면서 남북한 등거리외교를 표방하였으나, 90년대 이후 우리나라와의 실질 협력관계가 심화됨에 따라 북한과의 관계는 점차 소원화되는 추세 ◯ 북한 핵문제, 남북한 관련 사안에 대해 국제무대에서 우리입장 적극 지지 - 2009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 2차 핵실험에 대해 북한 비난 정부성명 발표 - 08/09 비동맹회의 한반도 조항 관련, 우리 입장 적극 대변 나. 남북한 통일정책 ◯ 대남북한 중립, 등거리정책을 반영, 한반도 통일문제는 한국의 문제로서 외세의 간섭 없이 7.4 공동성명에 입각하여 평화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입장 견지
  • 82. 82 방글라데시 개황 다. 국제회의 등에서의 태도 ◯ 비동맹회의 - 1980. 6월 뉴욕 비동맹대사급회의시 한국문제 제기 반대 - 1981. 2월 뉴델리 비동맹외상회의시 우리나라 입장이해 및 협력 태도 - 1982. 6월 하바나 비동맹조정위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입장 적극지지 - 1983. 3월 뉴델리 비동맹 정상회담시 우리나라 지지 - 1985. 8월 앙골라 비동맹 외상회의시 우리나라 지지 - 1988년 하라레 비동맹 정상회담시 우리나라 이해 - 2002. 4월 남아공 비동맹 조정위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지지 - 2003. 2월 쿠알라룸푸르 비동맹 정상회의시 우리나라 지지 - 2008. 7월 테헤란 비동맹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입장 적극지지 - 2009. 4월 하바나 비동맹 각료급회의시 우리나라 입장 적극지지 ◯ 유엔 및 기타국제기구 - 1983년 유엔안보리시 대소규탄 연설(KAL기 사건) - 1985. 9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우리나라 입장 지지발언 - 1987. 9월 유엔 총회시 Chowdhury 외상(의장) 우리나라 입장지지 - 1991-1995 우리나라의 국제기구이사국 진출 적극지지(유엔안전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ECOSOC이사국, 인권위원회, FAO 이 사국, WTO, IPU, IMO, UNDP 및 UNIDO 기획예산위 등) - 2001-2004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적극지지(유엔인권위,ISO, ICAO, IMO, ILC, UNEP, ITU, 아동권리위, WHO 사무총장인준, ICTR, ECOSOC, IMO, UPU, CEDAW, ICTY 등) - 2005-2006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적극지지(유엔COC위원, IMO, 세 계유산위(WHC), 유엔마약위원회(CND), ITLOS 재판관 재 선, 아동권리위, 유엔지속개발위(CSD), 인권이사회(HRC), ITU, 인터폴 집행위원 등)
  • 83. 83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 2007-2008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및 국제행사 유치 적극지지(2014 인천아시안게임유치, 대륙붕한계위, ICAO 이사국, UNESCO 집행 아시국, IMO 이사국, 인권이사회 자문위, 만국우편연합 우편운영이사회, 기후변화정부간패널, WEC 2013 대구 총회 유치, 유엔아동권리위) - 2009 우리나라 국제기구 진출 및 국제행사 유치 적극지지(국제 해양법재판소 보궐선거, UNESCO 집행이사국, IMO 이사 국, 제5차세계자연보전총회(WCC) 제주 유치) 3. 한․방글라데시 공동위원회 가. 개최근거 ◯ 1985. 6월 Ershad 대통령 방한시 체결된 양국대통령 간 공동성명(제9조)에 따라 매년 서울과 다카에서 양국외무장관을 수석대표로 교대로 개최하기로 합의 나. 실적 ◯ 제1차 공동위원회 - 일시 및 장소: 1986. 10. 17-18 다카(이원경 외무장관 방문) - 한․방 투자보장협정 서명 ◯ 제2차 공동위원회 - 일시 및 장소: 1987. 8. 24-25 서울(Chowdhury 외무장관 방한) - 동공동위 상설위원회(Standing Committe) 설치 합의 ․ 양국차관보급을 대표로 서울-다카에서 교대개최 합의
  • 84. 84 방글라데시 개황 ◯ 제3차 공동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1993. 12. 9, 서울(Rahman 외무장관 방한) - 양국간 경제기술협력 협정 서명 및 아국업체 투자진출 증대, 무역역조 시정 방안 등 협의 - Khulna 지역 송배전 공사용 EDCF(14백만 미불) 차관 협정 서명 4. 양국간 교역현황 가. 교역현황 (1) 수출동향 ◯ 2009년 대방글라데시 수출(누계기준)은 10.64억불로 전년대비 2.8% 감소 ◯ 주요수출품 : 열연강판, 합성수지, 의약품, 시멘트, 섬유기계, 제지류 (2) 수입동향 ◯ 2009년 대방글라데시 수입(누계기준)은 1.22억불로 전년대비 27.5%감소 ◯ 가죽제품 수입이 전체 수입의 18.03% 점유 - 소가죽, 황마 등 전통 수입품이외에 기타 동 스크랩, 신발 및 운동복 등 소량 수입 (3) 무역수지 ◯ 수출용 원부자재에서 기계, 철강, 제지 등 산업용 자재로 공급전환 - 최근 3년간(2007~2009)연평균 7억불 이상의 흑자 시현 중
  • 85. 85Ⅷ. 우리나라와의 관계 <표>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수출입 실적 (단위 : 백만불, %) 구 분 수출 수입 수지(백만불)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2003 544 7.6 29.1 29.6 515 2004 620 14.0 41.5 42.8 579 2005 611 -1.5 45.5 9.6 565 2006 648 6.1 69 51.4 579 2007 612 -5.7 142 105.9 470 2008 1,095 79.1 169 19.2 926 2009 1,064 -2.8 122 -27.9 942 * 출 처 : KITA 무역통계 <표>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품목별 수출동향 (단위 : 백만불, %) 품목명 2007 2008 2009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612 -5.7 1,095 79.1 1,064 -2.8 열연강판 55 56.2 82 48.2 147 78.4 합성수지 54 43.0 88 62.3 82 -6.6 의약품 5 -10.6 17 249.3 38 126.3 아연도강판 26 43.0 24 -6.5 37 53.2 인쇄용지 23 -7.4 33 41.6 37 12.8 아연괴 및 스크랩 34 15.4 26 -23.0 31 18.9 골판지 용지 35 - 43 24.6 31 -28.2 신문용지 14 -26.7 22 58.0 28 27.2 섬유기계 37 -24.4 32 -12.8 22 -32.1 기타의 직물 18 -9.1 21 17.6 20 -1.5 판지 17 -15.1 19 11.8 18 -3.8 시멘트 3 -56.9 23 579.0 17 -25.8 * 출 처 : KITA 무역통계
  • 86. 86 방글라데시 개황 품목명(MTI코드) 전망근거 일반기계 (71,72,75,79) ▪세계경기회복에 따른 기업투자 확대 ▪건설장비, 식품포장기계, 인쇄기계 유망 자동차 (741) ▪소용 승용차의 경우 특별관세 인상으로 감소 ▪CNG 버스 아국기업 EDCF 정부입찰 참가 철강제품 (61) ▪서민용 주택공급사업으로 수요확대 ▪사회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참가로 수출증가 석유화학 (21) ▪적극적 경기부양책 시행으로 수출기업 투자확대 ▪원가절감에 따른 플라스틱 생산기지로 부상 섬유류 (4) ▪인조섬유을 중심으로 수입확대전망 ▪기타 직물은 가격경쟁력 하락으로 수입수요하락 평판디스플레이 (836) ▪주재국 ICT 정책 시행에 따른 개발 수요 ▪아국제품에 대한 이미지 확산(삼성전자 법인설립) 무선통신기기 (821) ▪수입관세 구조 변경, 고가제품 수입확대 난망 ▪휴대폰 가입비율이 인구대비 30%로 포화 반도체 (831) ▪일부가전제품 조립공장에서 소량수입 ▪대량 가전제품 제조생산업체 전무 자동차부품 (742) ▪일본 자동차의 95%이상 수입시장 점유 ▪아국산 SUV차량 판매로 Aftermarket용 수입수요 컴퓨터 (813) ▪수입관세 무관세로 수입수요 확대 전망 ▪주재국 ICT 정책에 따른 개발 수요 <표> 우리나라의 대방글라데시 품목별 수입동향 (단위 : 백만불, %) 품목명 2007 2008 2009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총계 142 105.9 169 19.2 122 -27.9 기타가죽 4 -20.5 7 59.6 22 231.9 직물제 의류 8 92.1 8 -6.8 17 123.1 동괴및스크랩 9 80.3 7 -29.2 6 -15.1 소가죽 32 52.7 30 -4.6 5 -82.5 기타신발 1 -55.5 3 138.7 4 50.0 편직제의류 1 33.7 3 165.6 4 29.3 천연섬유원료 2 15.5 2 -11.7 2 21.8 기타의 섬유제품 2 35.5 2 -5.8 2 -6.1 마사 및 기타 1 -4.0 1 -32.7 1 47.2 * 출 처 : KITA 무역통계 나. 수출확대 유망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