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7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 제주해녀
Value of Preserving Haenyeo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제주해녀의 문명사적 가치
한국 제주도의 해녀는 해양채집을 통해 경제 활동을 해온 제주여성
※ 잠녀, 잠수, 해녀라 함
기계장치 없이 맨몸, 무호흡, 맨손으로 자연생태에 적응해서 잠수기술을 발휘
해녀 공동체가 기술에 관계없이 생산과 판매 분배를 공동으로 함
역사적 기원, 집단경제, 지역사회 재투자, 도제정신과 상호부조 문화형성
독특한 민속지식을 지닌 전통기술보유자로서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
제주해녀 역사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503
▶ 문자왕 13년 : 가옥(珂玉)은 섭라(涉羅)의 소산인데, 섭라는 백제(百濟)에 병합되있으니…
▶ 탐라포(耽羅鮑)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전복의 종류
▶ 제주도 해인(海人)이 잡은 전복
▶ 탐라와의 무역에서 전해진 것
일본 엔기시키(延喜式), 주계식상(主計式上) ,
927
고려사
▶ 탐라 구당사(句當使) 윤응균 (尹應均)이 큰 진주 두 개를 바쳤는데 야명주(夜明珠)라 한다.
▶ 충렬왕 2년 6월(1276) : 임유간이 탐라에서 구슬을 채취하다가 얻지 못하자 백성들이 가지고 있던
100여 개의 구슬을 탈취하여 원나라가 가지고 갔다.
작업기술과 민속지식
가. 작업기술 : 뱃물질, 갓물질
▶ 물때이용 :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 작업
(물속에 잠수하여 물의 흐름을 덜 받고, 물위로 올라왔을때 테왁 망사리가 조수에 흐르지 않도록 함)
▶ 수심 20M까지 2분간 작업
나. 민속지식
▶ 생산물 채취장소 인지
▶ 도구의 제작 및 이용지식
▶ 조수의 흐름과 천기의 변화에 적응
제주해녀의 생업
해녀회장동회장동회장동회장동회장불턱동아리불턱동아리불턱동아리불턱동아리
어촌계장
해녀공동체와 어장관리
가. 해녀공동체 조직
나. 바다밭의 어장관리
▶ 바다밭 이용은 제주도 내에 100개 단위로 구성
▶ 공동으로 잠수해서, 공동으로 작업
▶ 바다 어장 관리 철저, 어장청소, 자원관리
▶ 해산물 생태, 산란기를 고려, 금채기 설정
▶ 잠수 날짜와 시간을 제한하여 작업하며 매달 정기적으로
바다 청소
▶ 해양환경 조성으로 21세기형 자연 보존형 인간 모델
▶ 지속 가능한 해양생태 환경 관리자로서 자연생태계에 기여
제주해녀문화
해녀문화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문화 보존 및 전승에 관한 조례 제548호(2009. 11)」
▶ 제주해녀들이 물질과 함께 생활에서 생겨난 유 ·무형의 문화유산
▶ 나잠기술, 어로 민속지식, 신앙, 노래, 작업도구와 옷, 공동체의 습속 등을 포함
※유네스코무형유산협약(ICH협약)의 정의에 따르면
▶‘제주해녀문화’는 모범적 사례
▶ 무형적 표현과 지식 : 관습, 표현, 지식, 기술 등
▶ 무형문화유산 물건 : 도구, 사물 등
▶ 무형문화유산의 실현장소 : 공간(바다 어장)
물소중이(소중기)
가장 과학적이고 몸에 맞는 생리적인 옷, 수압에 덜 영향 받으며 작업가능
1970년대부터 고무옷으로 전환
고무옷은 깊이, 장시간 작업(오전10시~오후4시)에 용이
ㅓㅗ
족쇄눈(족은눈) 물체
‘쇠로 만든 작은 물안경’ 솜에 넣어 누빈 긴 상의. 겨울에 보온용으로 걸친다.
ㅓㅗ
가. 제주해녀의 물옷과 물질도구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10호(2008년 지정)
테왁 ·망사리
테왁은 박으로 만든 부위
망사리는 그물로 만든 해산물을 넣기 위한 망아리
ㅓㅗ
종개호미
낫의 일종으로 미역과 같은 해조류를 채취할 때 사용
바닷물의 염분 때문에 녹이 슬어 자루가 빠지기 쉽기
때문에 자루 바깥쪽을 철사나 못으로 고정
나. 해녀노래
▶ 제주여성을 대표하는 해녀들이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노래( 일명 해녀노젓는소리)
▶ 제주여성의 삶의 존재 방식과 정서가 잘 나타남
▶ 원시 어업노동요로서의 미학적 가치 (고난-극복)
▶ 노동기원적 음악적 특성, 문학적 특성이 드러남
다. 불턱의 공동체
▶ 몸을 데우고 옷을 갈아 입는 공간
▶ 해녀공동체의 상징
- 정보전달, 의사소통, 인간적인 질서와 상호간의 배려
- 인간적인 삶의 미덕
▶ 상·중·하 군의 계급에서 상·하의 배려
<하도리 서동 불턱> <성산 신양리 ‘오등애’ 불턱>
라. 전통 사회의 미덕 : 게석
▶ 인정의 문화
- 초보자들에게 상군 해녀가 격려의 뜻으로 해산물을 잡아서 망사리에 넣어줌
- 상군 선배에 대한 존경, 후배에 대한 배려
- 인간적인 미덕
마. 무속의 문화
※ 해녀공동체를 확인시켜주는 대표적인 의례이며 축제
(잠수굿,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j
▶ 해녀들이 물질작업의 안전과 풍요를 기원 (무사안녕과 풍요)
▶ <요왕맞이>는 바다를 관장하는 용왕(龍王)을 맞아들여 풍어와 무사고를 기원
▶ <씨드림> 해녀들의 채취물의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씨를 바닷가에 뿌리는 의례
▶ 해녀들이 모든 비용을 부담하여 제물을 준비
▶ 해신당
<종달리 – 생개남돈짓당> <김녕리 잠수굿>
‘70 ‘80 ‘90 2000 2005 2010 2011 2012
잠수수(명) 14.143 7,804 6,827 5,789 5,545 4,995 4,881 4,574
30세미만(%) 31.3 9.8 4.3 0.1 0 0 0 0.1(6)
30~49세(%) 54.9 60.7 44.2 22.1
(1,282)
12.9 2.5
(125)
2.7
(132)
1.7
(81)
50세이상(%) 13.8 29.5 51.5 77.8
(4,504)
87.1
(4,827)
97.5
(4,870)
97.3
(4,749)
98.1
(4,487)
해녀의 지속가능성
연도별 잠수 현황
▶ 연안 환경오염, 대규모 양식산업 등 바다 환경의 변화로 인해 수확량 감소
▶ 고학력 여성 증가, 고된 작업 환경 등 인문 사회적 환경 변화
▶ 현대사회에서 해녀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을 인식
▶ 전통적이면서 지속 가능한 여성의 삶과 문화가 소멸 위기에 직면
ICH협약에 따른 등재와 과제
▶ 무형문화유산 보호 진흥을 위한 법적 제도적 조치 : 법령, 특별법, 조례 등 (11조)
▶ 유산목록 작성 및 갱신 (12조)
▶ 유산 보호 통합 정책의 수립과 이행 (13조)
▶ 보전 기관의 지정 (13조)
▶ 효과적인 보전을 위한 연구 (13조)
▶ 유산가치 인식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강화 (13조)
▶ 지역사회의 참여 (15조)
현대에 다시 보는 해녀문화
▶ 긴 역사 속에 각인된 제주의 무형문화유산
▶ 그간의 찬란한 기억을 대상으로 한 현지보존
▶ 미래지향의 존재 구현으로 가치추구
▶ 지속가능한 생태환경과 공존을 위한 노력 필요
Thank you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annehiltybpw

More from annehiltybpw (20)

Com1 eomois-kivisild
Com1   eomois-kivisildCom1   eomois-kivisild
Com1 eomois-kivisild
 
P2 sulaiman hala
P2   sulaiman halaP2   sulaiman hala
P2 sulaiman hala
 
P2 im hongjae
P2   im hongjaeP2   im hongjae
P2 im hongjae
 
P1 lu annette
P1   lu annetteP1   lu annette
P1 lu annette
 
Edu6 schiapani tommasa
Edu6   schiapani tommasaEdu6   schiapani tommasa
Edu6 schiapani tommasa
 
Com2 kim jihyun
Com2   kim jihyunCom2   kim jihyun
Com2 kim jihyun
 
P2 zaman arif
P2   zaman arifP2   zaman arif
P2 zaman arif
 
P2 vazquez elizabeth
P2   vazquez elizabethP2   vazquez elizabeth
P2 vazquez elizabeth
 
P2 gula lauren
P2   gula laurenP2   gula lauren
P2 gula lauren
 
P1 suh young-kyung
P1   suh young-kyungP1   suh young-kyung
P1 suh young-kyung
 
P1 oneill patti
P1   oneill pattiP1   oneill patti
P1 oneill patti
 
P£ mc kenzie lynn
P£   mc kenzie lynnP£   mc kenzie lynn
P£ mc kenzie lynn
 
P£ janahi ahlam
P£   janahi ahlamP£   janahi ahlam
P£ janahi ahlam
 
Ind6 mc call grant
Ind6   mc call grantInd6   mc call grant
Ind6 mc call grant
 
Ind5 laosang siriporn
Ind5   laosang siripornInd5   laosang siriporn
Ind5 laosang siriporn
 
Ind3 witmer lesha
Ind3   witmer leshaInd3   witmer lesha
Ind3 witmer lesha
 
Ind2 ozyol arzu
Ind2   ozyol arzuInd2   ozyol arzu
Ind2 ozyol arzu
 
Ind2 alemdar selda
Ind2   alemdar seldaInd2   alemdar selda
Ind2 alemdar selda
 
Ind1 yi taejin
Ind1   yi taejinInd1   yi taejin
Ind1 yi taejin
 
Ind1 kim dongjun
Ind1   kim dongjunInd1   kim dongjun
Ind1 kim dongjun
 

Ind6 choa hye-gyoung - kor

  • 1.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 제주해녀 Value of Preserving Haenyeo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2. 제주해녀의 문명사적 가치 한국 제주도의 해녀는 해양채집을 통해 경제 활동을 해온 제주여성 ※ 잠녀, 잠수, 해녀라 함 기계장치 없이 맨몸, 무호흡, 맨손으로 자연생태에 적응해서 잠수기술을 발휘 해녀 공동체가 기술에 관계없이 생산과 판매 분배를 공동으로 함 역사적 기원, 집단경제, 지역사회 재투자, 도제정신과 상호부조 문화형성 독특한 민속지식을 지닌 전통기술보유자로서 살아있는 무형문화유산
  • 3. 제주해녀 역사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503 ▶ 문자왕 13년 : 가옥(珂玉)은 섭라(涉羅)의 소산인데, 섭라는 백제(百濟)에 병합되있으니… ▶ 탐라포(耽羅鮑)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전복의 종류 ▶ 제주도 해인(海人)이 잡은 전복 ▶ 탐라와의 무역에서 전해진 것 일본 엔기시키(延喜式), 주계식상(主計式上) , 927 고려사 ▶ 탐라 구당사(句當使) 윤응균 (尹應均)이 큰 진주 두 개를 바쳤는데 야명주(夜明珠)라 한다. ▶ 충렬왕 2년 6월(1276) : 임유간이 탐라에서 구슬을 채취하다가 얻지 못하자 백성들이 가지고 있던 100여 개의 구슬을 탈취하여 원나라가 가지고 갔다.
  • 4. 작업기술과 민속지식 가. 작업기술 : 뱃물질, 갓물질 ▶ 물때이용 :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 작업 (물속에 잠수하여 물의 흐름을 덜 받고, 물위로 올라왔을때 테왁 망사리가 조수에 흐르지 않도록 함) ▶ 수심 20M까지 2분간 작업 나. 민속지식 ▶ 생산물 채취장소 인지 ▶ 도구의 제작 및 이용지식 ▶ 조수의 흐름과 천기의 변화에 적응 제주해녀의 생업
  • 6. 나. 바다밭의 어장관리 ▶ 바다밭 이용은 제주도 내에 100개 단위로 구성 ▶ 공동으로 잠수해서, 공동으로 작업 ▶ 바다 어장 관리 철저, 어장청소, 자원관리 ▶ 해산물 생태, 산란기를 고려, 금채기 설정 ▶ 잠수 날짜와 시간을 제한하여 작업하며 매달 정기적으로 바다 청소 ▶ 해양환경 조성으로 21세기형 자연 보존형 인간 모델 ▶ 지속 가능한 해양생태 환경 관리자로서 자연생태계에 기여
  • 7. 제주해녀문화 해녀문화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문화 보존 및 전승에 관한 조례 제548호(2009. 11)」 ▶ 제주해녀들이 물질과 함께 생활에서 생겨난 유 ·무형의 문화유산 ▶ 나잠기술, 어로 민속지식, 신앙, 노래, 작업도구와 옷, 공동체의 습속 등을 포함 ※유네스코무형유산협약(ICH협약)의 정의에 따르면 ▶‘제주해녀문화’는 모범적 사례 ▶ 무형적 표현과 지식 : 관습, 표현, 지식, 기술 등 ▶ 무형문화유산 물건 : 도구, 사물 등 ▶ 무형문화유산의 실현장소 : 공간(바다 어장)
  • 8. 물소중이(소중기) 가장 과학적이고 몸에 맞는 생리적인 옷, 수압에 덜 영향 받으며 작업가능 1970년대부터 고무옷으로 전환 고무옷은 깊이, 장시간 작업(오전10시~오후4시)에 용이 ㅓㅗ 족쇄눈(족은눈) 물체 ‘쇠로 만든 작은 물안경’ 솜에 넣어 누빈 긴 상의. 겨울에 보온용으로 걸친다. ㅓㅗ 가. 제주해녀의 물옷과 물질도구 :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10호(2008년 지정)
  • 9. 테왁 ·망사리 테왁은 박으로 만든 부위 망사리는 그물로 만든 해산물을 넣기 위한 망아리 ㅓㅗ 종개호미 낫의 일종으로 미역과 같은 해조류를 채취할 때 사용 바닷물의 염분 때문에 녹이 슬어 자루가 빠지기 쉽기 때문에 자루 바깥쪽을 철사나 못으로 고정
  • 10. 나. 해녀노래 ▶ 제주여성을 대표하는 해녀들이 노를 저으면서 부르는 노래( 일명 해녀노젓는소리) ▶ 제주여성의 삶의 존재 방식과 정서가 잘 나타남 ▶ 원시 어업노동요로서의 미학적 가치 (고난-극복) ▶ 노동기원적 음악적 특성, 문학적 특성이 드러남
  • 11. 다. 불턱의 공동체 ▶ 몸을 데우고 옷을 갈아 입는 공간 ▶ 해녀공동체의 상징 - 정보전달, 의사소통, 인간적인 질서와 상호간의 배려 - 인간적인 삶의 미덕 ▶ 상·중·하 군의 계급에서 상·하의 배려 <하도리 서동 불턱> <성산 신양리 ‘오등애’ 불턱>
  • 12. 라. 전통 사회의 미덕 : 게석 ▶ 인정의 문화 - 초보자들에게 상군 해녀가 격려의 뜻으로 해산물을 잡아서 망사리에 넣어줌 - 상군 선배에 대한 존경, 후배에 대한 배려 - 인간적인 미덕
  • 13. 마. 무속의 문화 ※ 해녀공동체를 확인시켜주는 대표적인 의례이며 축제 (잠수굿,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j ▶ 해녀들이 물질작업의 안전과 풍요를 기원 (무사안녕과 풍요) ▶ <요왕맞이>는 바다를 관장하는 용왕(龍王)을 맞아들여 풍어와 무사고를 기원 ▶ <씨드림> 해녀들의 채취물의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씨를 바닷가에 뿌리는 의례 ▶ 해녀들이 모든 비용을 부담하여 제물을 준비 ▶ 해신당 <종달리 – 생개남돈짓당> <김녕리 잠수굿>
  • 14. ‘70 ‘80 ‘90 2000 2005 2010 2011 2012 잠수수(명) 14.143 7,804 6,827 5,789 5,545 4,995 4,881 4,574 30세미만(%) 31.3 9.8 4.3 0.1 0 0 0 0.1(6) 30~49세(%) 54.9 60.7 44.2 22.1 (1,282) 12.9 2.5 (125) 2.7 (132) 1.7 (81) 50세이상(%) 13.8 29.5 51.5 77.8 (4,504) 87.1 (4,827) 97.5 (4,870) 97.3 (4,749) 98.1 (4,487) 해녀의 지속가능성 연도별 잠수 현황 ▶ 연안 환경오염, 대규모 양식산업 등 바다 환경의 변화로 인해 수확량 감소 ▶ 고학력 여성 증가, 고된 작업 환경 등 인문 사회적 환경 변화 ▶ 현대사회에서 해녀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을 인식 ▶ 전통적이면서 지속 가능한 여성의 삶과 문화가 소멸 위기에 직면
  • 15. ICH협약에 따른 등재와 과제 ▶ 무형문화유산 보호 진흥을 위한 법적 제도적 조치 : 법령, 특별법, 조례 등 (11조) ▶ 유산목록 작성 및 갱신 (12조) ▶ 유산 보호 통합 정책의 수립과 이행 (13조) ▶ 보전 기관의 지정 (13조) ▶ 효과적인 보전을 위한 연구 (13조) ▶ 유산가치 인식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강화 (13조) ▶ 지역사회의 참여 (15조)
  • 16. 현대에 다시 보는 해녀문화 ▶ 긴 역사 속에 각인된 제주의 무형문화유산 ▶ 그간의 찬란한 기억을 대상으로 한 현지보존 ▶ 미래지향의 존재 구현으로 가치추구 ▶ 지속가능한 생태환경과 공존을 위한 노력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