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ses cookies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you with relevant advertising. If you continue browsing the sit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n this website. See our User Agreement and Privacy Policy.
SlideShare uses cookies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you with relevant advertising. If you continue browsing the sit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n this website. See our Privacy Policy and User Agreement for details.
Successfully reported this slideshow.
Activate your 14 day free trial to unlock unlimited reading.
1.
1. Vector를 생성하거나 복사할
때 미리 크기를 지정한다.
(크기를 아는 경우)
2.
1. Vector를 생성하거나 복사할 때 미리 크기를 지정한다.
• Vector의 memory가 다 차면 더 크게 재할
당을 받는다.
• 메모리 재 할당
1. vector_old보다 큰 새로운 vector_new
memory 할당
2. Vector_old의 내용을 vector_new에 복사
3. Vector_old의 내용 삭제
4. Vector_old의 메모리 할당 해제
3.
1. Vector를 생성하거나 복사할 때 미리 크기를 지정한다.
• 만약 그냥 vector를 생성해서 값을 하나하
나 넣어준다면?
• 새롭게 값을 넣어주다가 계속해서 메모리
재 할당이 발생
• 크기를 아는 경우 한번에 크게 할당 해 놓
으면 메모리 재 할당이 일어나지 않는다.
4.
2. vector.shrink_to_fit()
• Vector.clear()와
• Vector.erase()는 vector의 내용을 지워주는
함수지만 할당된 메모리는 해제 x
• Vector.shrink_to_fit()은 vector의 메모리를
vector.size()에 맞춰서 재 할당한다.
5.
2. vector.shrink_to_fit()
• Vector.shrink_to_fit()을 지원하지 않을 때
• Vector<T>().swap(vector_cur)
– 텅 빈 벡터와 현재 벡터를 교환해준다.
– 벡터의 모든 값을 삭제하고 메모리도 초기화
• Vector<T>(vector_cur).swap(vector_cur)
– 자기 자신을 넣은 복사 생성자와 교환해준다.
– 현재 size만큼만 메모리가 남게 된다.
6.
3. 대입연산자 vs insert vs
push_back
• 대입연산자
– 기존 벡터의 크기를 알고 있다.
– 새로운 벡터의 크기 재 할당은 한번만.
– vector가 아닌 다른 컨테이너에서 복사하는
경우에는 대입연산자는 사용할 수 없다.
• 이 때는 insert를 사용하자.
7.
3. 대입연산자 vs insert vs
push_back
• Vector.Insert(p,b,e)
– Vector의 p 위치에 반복자 b부터 e까지의 값
을 넣어준다.
– 이 경우도 반복자의 시작과 끝을 알고 있기 때
문에 재 할당이 반복해서 일어나지 않는다.
8.
3. 대입연산자 vs insert vs
push_back
• Push_back()
– 공간이 부족해질 때마다 재 할당이 발생
– 비효율적
– 복사 할 크기를 알고 있다면 미리 메모리 할
당부터 하고 값을 복사 해 오면 좀 나아지지
않을까…
9.
4. 반복자 vs vector.at() vs vector[i]
• 이 경우 at()이 속도가 가장 느리다.
• 왜?
• at(p) 함수의 경우 p의 값을 vector.size()
와 비교해서 적절한 위치에 접근하는지를
판단한 이후 값을 반환해준다.
• 따라서 안정성은 높다.
10.
4. 반복자 vs vector.at() vs vector[i]
• Vector[i] 의 경우 속도는 빠르지만 잘못된
위치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치명적인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11.
5. Vector.insert(p,x)
– vector의 p 위치에 x 값을 입력한다.
– p위치 이후로 있는 원소들이 모두 한 칸씩 뒤
로 밀려야 한다. -> 매우 비효율적
– 만약 반복적으로 insert(p,x) 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 구조를 다시 짜보자..
12.
6. push_back() vs emplace_back()
• Vector<T> vector_test;
• Vector_test.push_back( T );
• Vector_test.emplace_back( T생성 인자)
13.
6. push_back() vs emplace_back()
• Push_back()
– 객체를 전달한다.
– 전달받은 객체를 vector의 맨 뒤에 넣어준다.
– 새로운 값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임시 객체의
생성과 이동생성자의 호출, 임시 객체의 파괴
가 일어난다.
14.
6. push_back() vs emplace_back()
• Emplace_back
– 객체생성을 위한 인자를 전달한다.
– 전달받은 인자로 생성한 객체를 vector의 맨
뒤에 넣어준다.
– 전달받은 인자로 생성한 객체가 vector에 바
로 저장되기 때문에 임시 객체가 생성되지 않
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