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貧富之道 莫之奪予 巧者有餘 拙者不足 부자와 가난함의 이치는 주고 빼앗는 것이 아니다 .  그 생각이 교묘한가  ?  졸렬한가 ?  이다 생각하는 힘 !  그리고 기다리는 힘 !
살길은 1.  老子曰 ( 노자왈 ) :  노자가 말하기를   2.  至治之極 ( 지치지극 ) : ‘ 정치를 아주 잘하면 3.  鄰國相望 ( 린국상망 ) :  이웃 나라가 서로 우러러 보고   4.  鷄狗之聲相聞 ( 계구지성상문 ) :  닭 우는 소리와 개 짓는 소리가  항시 들려오고 5.  民各甘其食 ( 민각감기식 ) :  백성들은 각각 먹는 것을 즐겨하고   6.  美其服 ( 미기복 ) :  자기들의  옷을 아름답게  꾸미고 7.  安其俗 ( 안기속 ) :  자기들의 풍속을 편안히 하며   8 . 樂其業 ( 낙기업 ) :  그들의 일을 즐기며   9.  至老死不相往來 ( 지노사불상왕래 ) :  늙어 죽을 때까지 쓸데없이 왔다 갔다 하며 바쁘지  않다’ 10 .  必用此爲 務輓 近世 ( 필용차위무만근세 ) :  그러나 그런 노자류의 가르침은 근세의  백성들의 마음을  현혹하여 아전인수한  셈이다 (  힘쓸 務 /  현혹할 무 :  끌 輓 / 애도할 만  ) 11 . 塗民耳目 ( 도민이목 ) :  백성들의 눈과 귀를 막고  (  욕망을 누르는  그런 가르침은  ) 12  則幾無行矣 ( 칙기무행의 ) :  흔히 백성이 실행도  하지 않는  헛된 가르침이다  (  幾 - 자주 종종 /  어찌  :  어조사 - 끝마침 矣  )
살길은 13  太史公曰 ( 태사공왈 ) :  태사공이 말 하기를 14  夫神農以前 ( 부신농이전 ) : “ 신농씨 이전에 대해서는 15  吾不知已 ( 오불지이 ) :  내가 잘 모르지만 , 16  至若詩書所述虞夏以來 ( 지약시서소술우하이래 ) :  시경이나 서경에 기록된 우나 라 , 하나라 이래로 17  耳目欲極聲色之好 ( 이목욕극성색지호 ) :  눈과 귀 의 욕망은 아름다운 모습과 소리를 좋아하고 18  口欲窮 芻豢 之味 ( 구욕궁추환지미 ) :  입 의 욕망 은  짐승을 잡고 길러가면서 까지 그 맛을 추구하고 19  身安逸樂 ( 신안일락 ) :  또 몸은 편안과 쾌락을 좋아하고 20  而心誇矜勢能之榮 ( 이심과긍세능지영 ) :  마음은 권력과 재능의 영광스러움을 자랑하려고 했으니 21  使俗之漸民久矣 ( 사속지점민구의 ) :  백성들이 이러한 풍속에 물든지 오래 되었다 22  雖戶說以眇論 ( 수호설이묘론 ) :  비록 오묘한 이론을 가지고 집집마다 다니며 설명을 해도 23  終不能化 ( 종불능화 ) :  마침내  교화시킬 수 없 는 것이 다
살길은 24  故善者因之 ( 고선자인지 ) :  그러므로 정치를 잘 하는 자는 자연스러운 이치로 하고 25  其次利道之 ( 기차이도지 ) :  그 다음은 백성을 이 득을 보 게   하 여  이끌어주며 26  其次敎誨之 ( 기차교회지 ) :  그 다음은 백성을  참회하고 반성하게 하여 가르 치며 27  其次 整齊 之 ( 기차정제지 ) :  그 다음은 백성을  정돈과 절제로 가르치고 28  最下者與之爭 ( 최하자여지쟁 ) :  가장 못하는 자는 백성과 다툰다 29  夫山西饒材竹穀纑旄玉石 ( 부산서요재죽곡로모옥석 ) :  산서 지방에는 목재 · 재나무 · 닥나무 · 모시 · 검정소 꼬리 · 옥석이 풍부하고 30  山東多魚鹽漆絲聲色 ( 산동다어염칠사성색 ) :  산동지방에는 물고기 · 소금 · 옻 · 명주실 · 음악과 여색이 훌륭하다 31  江南出枏梓薑桂金錫連丹沙犀瑇瑁珠璣齒革 ( 강남출남재강계금석연단사서대모주기치혁 ) :  강남지방에는 녹나무 · 가래나무 · 생강 · 계수나무 · 금 · 주석 · 납 · 단사 · 무소 뿔 · 대모 · 상아와 같은 동물의 이빨 · 가죽이 많이 생산된다 . 32  龍門碣石 ( 용문갈석 )  北多馬牛羊旃裘筋角 ( 북다마우양전구근각 ) :  용문갈석의  북쪽에서는 말 · 소 · 양 · 모전 · 갖옷 · 짐승의 근육과 뿔이 많이 생산된다 . 33 銅․鐵則千里往往山出棊置 ( 동․철칙천리왕왕산출기치 ) :  동과 철은 천리 사방에서 나와 마치 바둑판 위에 바둑돌을 펼쳐 놓은 것 같다 34  此其大較也 ( 차기대교야 ) :  이것이 대체적인 상황이다 .
살길은 35  皆中國人民所喜好 ( 개중국인민소희호 ) :  이것들은 모두 중국 백성들이 좋아하는 것으로 36  謠俗被服飮食奉生送死之具也 ( 요속피복음식봉생송사지구야 ) :  의복이나 음식 및 산 사람을 받들고 죽은 사람을 보내는데 사용하는 용품이다 37  故待   (  고대  ) –  그러므로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38.  農而食之   ( 농이식지 ) :  밭  농부 는 먹을 거리를  만들어 내고 39  虞而出之 ( 우이출지 ) :  산골농부는  생산되어 나오는 시기를 기다린다 40  工而成之 ( 공이성지 ) :  공인이 그것을 만들어 내고 41  商而通之 ( 상이통지 ) :  상인은 이를 유통한다 . 42  此寧有政敎發徵期會哉 ( 차녕유정교발징기회재 ) :  이것이 어찌 관리하고 ,  가르치고 ,  분배하는 것에 대해  때를 정한 약속이 있어서 이겠는가 ? 43  人各任其能 ( 인각임기능 ) :  사람들은 각기 자기의 능 력 에 따라 44  竭其力 ( 갈기력 ) :  자기 힘을 다해 45  以得所欲 ( 이득소욕 ) :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다
살길은 46  故物 賤 之徵 貴 ( 고물천지징귀 ) :  그래서 물건 값이  흔하고 싸 다는 것은 비싸질 조짐이고 47  貴之徵賤 ( 귀지징천 ) :  비싸다는 것은 싸질 조짐이다 48  各勸其業 ( 각권기업 ) :  사람들이 자기 일에 힘쓰 게 하 고 49  樂其事 ( 락기사 ) :  자기가 종사하는 일 을  즐겁게 여기 게 하 면 50  若水之趨下 ( 약수지추하 ) :  이는 마치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과 같이 51  日夜無休時 ( 일야무휴시 ) :  밤낮 쉬는 때가 없다 52  不召而自來 ( 불소이자래 ) :  그래서  사람 을 불러  모이게 하지  않아도 스스로 오고 53  不求而民出之 ( 불구이민출지 ) :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생산에 힘쓰게 된다 54  豈非道之所符 ( 기비도지소부 ) :  이 어찌 도리에 부합되는 일이 아니며 55  而自然之驗邪 ( 이자연지험사 ) :  자연스러움의 증거가 아니겠는가 ?
살길은 56  周書曰 ( 주서왈 ) : < 주서 > 에 이르기를 57  農不出 ( 농불출 ) : ‘ 농부 가 생산하지 않으면 58  則乏其食 ( 칙핍기식 ) :  식량이 부족하고 59  工不出 ( 공불출 ) :  공인 이 물건을 만들지 않으면 60  則乏其事 ( 칙핍기사 ) :  물자가 모자라게 되며 , 61  商不出 ( 상불출 ) :  상인 이 교역하지 않으면 62  則三寶絶 ( 칙삼보절 ) :  삼보 ( 三寶 :  식량 ,  자재 ,  상품 ) 의 공급이 끊어지고 63  虞不出 ( 우불출 ) :  우인   (  산과 저수지에서 먹을 것을 생산하는 사람  ) 이 없으면 64  則財匱少 ( 칙재궤소 ) :  물자가 적어지고 65  財匱少 ( 재궤소 ) :  물자가 적어지면 66  而山澤不辟矣 ( 이산택불벽의 ) :  살림과 하천이 개발되지 않는다 .’ 라고 했다 67  此四者 ( 차사자 ) :  이 넷은 68  民所衣食之原也 ( 민소의식지원야 ) :  백성이 입고 먹는 근원이다
살길은 69  原大則饒 ( 원대칙요 ) :  근원이 많으면 풍요롭고 70  原小則鮮 ( 원소칙선 ) :  근원이 적으면 빈곤해지며 71  上則富國 ( 상칙부국 ) :  위로는 나라를 부강하게 하고 72  下則富家 ( 하칙부가 ) :  아래로는 가정을 부유하게 한다 . 73  貧富之道 ( 빈부지도 ) :  빈부의 이치는 74  莫之奪予 ( 막지탈여 ) :  억지로 빼앗거나 줄 수 없는 것이며 75  而巧者有餘 ( 이교자유여 ) :  재주가 있는 자는 항상 여유가 있고 76  拙者不足 ( 졸자부족 ) :  재주가 없는 자는 항상 부족  하 게 된다
조지 소로스가 가르쳐 주는 시장 주가 주당순이익 금액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기간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글로발 Top 10

Btn3회차
Btn3회차Btn3회차
Btn3회차
guest15a6b6
 
Btn3회차
Btn3회차Btn3회차
Btn3회차
guest35108af
 
Korean culture 9 .2
Korean culture 9 .2Korean culture 9 .2
Korean culture 9 .2TBuyannemekh
 

Similar to 글로발 Top 10 (6)

Btn3회차
Btn3회차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
Btn3회차Btn3회차
Btn3회차
 
Korean culture 9 .2
Korean culture 9 .2Korean culture 9 .2
Korean culture 9 .2
 

글로발 Top 10

  • 1. 貧富之道 莫之奪予 巧者有餘 拙者不足 부자와 가난함의 이치는 주고 빼앗는 것이 아니다 . 그 생각이 교묘한가 ? 졸렬한가 ? 이다 생각하는 힘 ! 그리고 기다리는 힘 !
  • 2. 살길은 1. 老子曰 ( 노자왈 ) : 노자가 말하기를 2. 至治之極 ( 지치지극 ) : ‘ 정치를 아주 잘하면 3. 鄰國相望 ( 린국상망 ) : 이웃 나라가 서로 우러러 보고 4. 鷄狗之聲相聞 ( 계구지성상문 ) : 닭 우는 소리와 개 짓는 소리가 항시 들려오고 5. 民各甘其食 ( 민각감기식 ) : 백성들은 각각 먹는 것을 즐겨하고 6. 美其服 ( 미기복 ) : 자기들의 옷을 아름답게 꾸미고 7. 安其俗 ( 안기속 ) : 자기들의 풍속을 편안히 하며 8 . 樂其業 ( 낙기업 ) : 그들의 일을 즐기며 9. 至老死不相往來 ( 지노사불상왕래 ) : 늙어 죽을 때까지 쓸데없이 왔다 갔다 하며 바쁘지 않다’ 10 . 必用此爲 務輓 近世 ( 필용차위무만근세 ) : 그러나 그런 노자류의 가르침은 근세의 백성들의 마음을 현혹하여 아전인수한 셈이다 ( 힘쓸 務 / 현혹할 무 : 끌 輓 / 애도할 만 ) 11 . 塗民耳目 ( 도민이목 ) : 백성들의 눈과 귀를 막고 ( 욕망을 누르는 그런 가르침은 ) 12 則幾無行矣 ( 칙기무행의 ) : 흔히 백성이 실행도 하지 않는 헛된 가르침이다 ( 幾 - 자주 종종 / 어찌 : 어조사 - 끝마침 矣 )
  • 3. 살길은 13 太史公曰 ( 태사공왈 ) : 태사공이 말 하기를 14 夫神農以前 ( 부신농이전 ) : “ 신농씨 이전에 대해서는 15 吾不知已 ( 오불지이 ) : 내가 잘 모르지만 , 16 至若詩書所述虞夏以來 ( 지약시서소술우하이래 ) : 시경이나 서경에 기록된 우나 라 , 하나라 이래로 17 耳目欲極聲色之好 ( 이목욕극성색지호 ) : 눈과 귀 의 욕망은 아름다운 모습과 소리를 좋아하고 18 口欲窮 芻豢 之味 ( 구욕궁추환지미 ) : 입 의 욕망 은 짐승을 잡고 길러가면서 까지 그 맛을 추구하고 19 身安逸樂 ( 신안일락 ) : 또 몸은 편안과 쾌락을 좋아하고 20 而心誇矜勢能之榮 ( 이심과긍세능지영 ) : 마음은 권력과 재능의 영광스러움을 자랑하려고 했으니 21 使俗之漸民久矣 ( 사속지점민구의 ) : 백성들이 이러한 풍속에 물든지 오래 되었다 22 雖戶說以眇論 ( 수호설이묘론 ) : 비록 오묘한 이론을 가지고 집집마다 다니며 설명을 해도 23 終不能化 ( 종불능화 ) : 마침내 교화시킬 수 없 는 것이 다
  • 4. 살길은 24 故善者因之 ( 고선자인지 ) : 그러므로 정치를 잘 하는 자는 자연스러운 이치로 하고 25 其次利道之 ( 기차이도지 ) : 그 다음은 백성을 이 득을 보 게 하 여 이끌어주며 26 其次敎誨之 ( 기차교회지 ) : 그 다음은 백성을 참회하고 반성하게 하여 가르 치며 27 其次 整齊 之 ( 기차정제지 ) : 그 다음은 백성을 정돈과 절제로 가르치고 28 最下者與之爭 ( 최하자여지쟁 ) : 가장 못하는 자는 백성과 다툰다 29 夫山西饒材竹穀纑旄玉石 ( 부산서요재죽곡로모옥석 ) : 산서 지방에는 목재 · 재나무 · 닥나무 · 모시 · 검정소 꼬리 · 옥석이 풍부하고 30 山東多魚鹽漆絲聲色 ( 산동다어염칠사성색 ) : 산동지방에는 물고기 · 소금 · 옻 · 명주실 · 음악과 여색이 훌륭하다 31 江南出枏梓薑桂金錫連丹沙犀瑇瑁珠璣齒革 ( 강남출남재강계금석연단사서대모주기치혁 ) : 강남지방에는 녹나무 · 가래나무 · 생강 · 계수나무 · 금 · 주석 · 납 · 단사 · 무소 뿔 · 대모 · 상아와 같은 동물의 이빨 · 가죽이 많이 생산된다 . 32 龍門碣石 ( 용문갈석 ) 北多馬牛羊旃裘筋角 ( 북다마우양전구근각 ) : 용문갈석의 북쪽에서는 말 · 소 · 양 · 모전 · 갖옷 · 짐승의 근육과 뿔이 많이 생산된다 . 33 銅․鐵則千里往往山出棊置 ( 동․철칙천리왕왕산출기치 ) : 동과 철은 천리 사방에서 나와 마치 바둑판 위에 바둑돌을 펼쳐 놓은 것 같다 34 此其大較也 ( 차기대교야 ) : 이것이 대체적인 상황이다 .
  • 5. 살길은 35 皆中國人民所喜好 ( 개중국인민소희호 ) : 이것들은 모두 중국 백성들이 좋아하는 것으로 36 謠俗被服飮食奉生送死之具也 ( 요속피복음식봉생송사지구야 ) : 의복이나 음식 및 산 사람을 받들고 죽은 사람을 보내는데 사용하는 용품이다 37 故待 ( 고대 ) – 그러므로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38. 農而食之 ( 농이식지 ) : 밭 농부 는 먹을 거리를 만들어 내고 39 虞而出之 ( 우이출지 ) : 산골농부는 생산되어 나오는 시기를 기다린다 40 工而成之 ( 공이성지 ) : 공인이 그것을 만들어 내고 41 商而通之 ( 상이통지 ) : 상인은 이를 유통한다 . 42 此寧有政敎發徵期會哉 ( 차녕유정교발징기회재 ) : 이것이 어찌 관리하고 , 가르치고 , 분배하는 것에 대해 때를 정한 약속이 있어서 이겠는가 ? 43 人各任其能 ( 인각임기능 ) : 사람들은 각기 자기의 능 력 에 따라 44 竭其力 ( 갈기력 ) : 자기 힘을 다해 45 以得所欲 ( 이득소욕 ) :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다
  • 6. 살길은 46 故物 賤 之徵 貴 ( 고물천지징귀 ) : 그래서 물건 값이 흔하고 싸 다는 것은 비싸질 조짐이고 47 貴之徵賤 ( 귀지징천 ) : 비싸다는 것은 싸질 조짐이다 48 各勸其業 ( 각권기업 ) : 사람들이 자기 일에 힘쓰 게 하 고 49 樂其事 ( 락기사 ) : 자기가 종사하는 일 을 즐겁게 여기 게 하 면 50 若水之趨下 ( 약수지추하 ) : 이는 마치 물이 아래로 흐르는 것과 같이 51 日夜無休時 ( 일야무휴시 ) : 밤낮 쉬는 때가 없다 52 不召而自來 ( 불소이자래 ) : 그래서 사람 을 불러 모이게 하지 않아도 스스로 오고 53 不求而民出之 ( 불구이민출지 ) :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생산에 힘쓰게 된다 54 豈非道之所符 ( 기비도지소부 ) : 이 어찌 도리에 부합되는 일이 아니며 55 而自然之驗邪 ( 이자연지험사 ) : 자연스러움의 증거가 아니겠는가 ?
  • 7. 살길은 56 周書曰 ( 주서왈 ) : < 주서 > 에 이르기를 57 農不出 ( 농불출 ) : ‘ 농부 가 생산하지 않으면 58 則乏其食 ( 칙핍기식 ) : 식량이 부족하고 59 工不出 ( 공불출 ) : 공인 이 물건을 만들지 않으면 60 則乏其事 ( 칙핍기사 ) : 물자가 모자라게 되며 , 61 商不出 ( 상불출 ) : 상인 이 교역하지 않으면 62 則三寶絶 ( 칙삼보절 ) : 삼보 ( 三寶 : 식량 , 자재 , 상품 ) 의 공급이 끊어지고 63 虞不出 ( 우불출 ) : 우인 ( 산과 저수지에서 먹을 것을 생산하는 사람 ) 이 없으면 64 則財匱少 ( 칙재궤소 ) : 물자가 적어지고 65 財匱少 ( 재궤소 ) : 물자가 적어지면 66 而山澤不辟矣 ( 이산택불벽의 ) : 살림과 하천이 개발되지 않는다 .’ 라고 했다 67 此四者 ( 차사자 ) : 이 넷은 68 民所衣食之原也 ( 민소의식지원야 ) : 백성이 입고 먹는 근원이다
  • 8. 살길은 69 原大則饒 ( 원대칙요 ) : 근원이 많으면 풍요롭고 70 原小則鮮 ( 원소칙선 ) : 근원이 적으면 빈곤해지며 71 上則富國 ( 상칙부국 ) : 위로는 나라를 부강하게 하고 72 下則富家 ( 하칙부가 ) : 아래로는 가정을 부유하게 한다 . 73 貧富之道 ( 빈부지도 ) : 빈부의 이치는 74 莫之奪予 ( 막지탈여 ) : 억지로 빼앗거나 줄 수 없는 것이며 75 而巧者有餘 ( 이교자유여 ) : 재주가 있는 자는 항상 여유가 있고 76 拙者不足 ( 졸자부족 ) : 재주가 없는 자는 항상 부족 하 게 된다
  • 9. 조지 소로스가 가르쳐 주는 시장 주가 주당순이익 금액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