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웹 접근성 이해하기
웹 접근성의 개념과 기본 원칙
유정식
eatdesignlove@gmail.com
차례
1. 개념
2. 품질인증마크
3. 기본 4원칙
1. 개념
웹표준 : 넓은 의미에서 웹 기술 전반과 관련한 표준 규격을 의미한다. 하지만 좁은 의미에 해
당하는 웹 화면을 구성하는 기술과 관련된 표준 규격을 의미하는 경우가 일반적.
웹 호환성 : 흔히 크로스 브라우징을 의미한다. IE, Chrome, Safari, FireFox 등 브라우저에 관
계없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웹 사용성 : 웹 서비스에 대해 경험적 만족도를 느끼고 서비스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느냐에 관한 것.
웹 접근성 :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보장하는 것.
웹 사용성
웹 표준
웹 접근성 웹 호환성
선형화 문법준수
개념들간의 관계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민간 일반 공연장 및 소공연장, 300석 이상의 영화상영관, 사립 박물관 및 미술관을 제외하고
모두 웹 접근성을 적용해야 한다.(15.4월 기준)
이때 적용의 대상은 단순히 웹 사이트만이 아니라 모바일 웹, 모바일 앱 등 ‘광 또는 전자적 방
식의 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정보로 보아야 한다.
왜? 웹 접근성을 지켜야하는가?
피해를 입은 사람 또는 그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나 단체에 의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할
수 있고, 조사를 통해 받은 시정권고 및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시에는 3천만원 이하의 과
태료 등을 받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 당할 수 있다.
준수하지 않았을 때?
2010년 방송 3사 홈페이지 진정사례
2012년 대한항공, 한전병원,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 등 민사 소송 사례
2. 품질인증마크
장애인과 고령자가 웹사이트 이용에 불편이 없게 웹 접근성 표준을 준수한 우수 사이트의 품질
을 인증하는 마크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웹 접근성 품질심사 가이드 v1.3>
3. 기본 4대 원칙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적절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 : alt, longdesc
(자막제공) : 멀티미디어 콘텐츠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 차트 등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 바로가기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대비) : 배경과 콘텐츠간 명암차이
(배경음 사용금지) : 자동 재생 배경음
인식의 용이성 :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키보드 사용보장) : tab key
(초점 이동) : foucus, 논리적 초점이동
(응답시간 조절) : 몇 초 후 페이지 이동 중지
(정지기능 제공) : 슬라이드 이미지 정지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제한) : 초당 3-50회 깜빡임
(반복영역 건너뛰기) : 건너뛰기 제공
(제목 제공) :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
(적절한 링크 텍스트) : PDF보기
운용의 용이성 :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기본 언어 표시) : < html lang=“ko”>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 팝업창
(콘텐츠의 선형화) : 제목-내용의 구성
(표의 구성) : th, td, id, headers
(레이블 제공) : <label for=“name”>이름</label><input id=“name” />
(오류 정정) : 서식입력
이해의 용이성 : 콘텐츠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마크업 오류방지) : 태그의 열고 닫음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 플래시
견고성 : 웹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호환되어야 한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코딩카페]웹접근성 이해하기 유정식

웹 접근성 A to z
웹 접근성 A to z 웹 접근성 A to z
웹 접근성 A to z
Joon-Ho Hyun
 
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
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
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
Youngil Ryu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선영 박
 
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
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
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
Justin Shin
 
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
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
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
Lab Snc
 
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
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
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
준극 김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Hyunmin Lim
 
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
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
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
Youngil Ryu
 
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
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
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Joon-Ho Hyun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KTH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KTH, 케이티하이텔
 
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
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
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
구중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Daum DNA
 
유저빌러티
유저빌러티유저빌러티
유저빌러티
tailofmoon
 
04.발표
04.발표04.발표
04.발표
EducationWebs
 
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
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
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NAVER D2
 
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
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
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
Jonathan Jeon
 
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
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
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
Justin Shin
 
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
JungHyuk Kwon
 
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
정혁 권
 

Similar to [코딩카페]웹접근성 이해하기 유정식 (20)

웹 접근성 A to z
웹 접근성 A to z 웹 접근성 A to z
웹 접근성 A to z
 
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
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
1.보건복지정보개발원 1부(웹 접근성의 이해)자료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웹접근성캠프서울 반응형웹에서의접근성확보방법
 
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
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
보이스몬DS서비스_Presentation_20100416
 
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
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
04.발표 반응형웹에서접근성확보방법
 
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
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
Qa를 위한 검사항목으로 바라보는 웹 접근성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
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
2.보건복지정보개발원 2부(국가표준 및 품질마크)자료
 
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
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
국내외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 및 기술 동향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 진짜 할 만 한가?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H3 2011 반응형 웹디자인,진짜 할 만 한가?_Fi팀_신현석
 
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
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
Web 2.0과 도서관 활용사례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반응형 웹 디자인은 만능인가? - 신현석
 
유저빌러티
유저빌러티유저빌러티
유저빌러티
 
04.발표
04.발표04.발표
04.발표
 
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
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
개발자를 위한 웹표준 & 웹접근성이야기
 
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
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
차세대 웹 환경에서의 UI/UX 기술 표준화 동향
 
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
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
보이스몬ds 소프트뱅크세미나 20100715_완결
 
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웹을 지탱하는 기술
웹을 지탱하는 기술
 

[코딩카페]웹접근성 이해하기 유정식

  • 1. 웹 접근성 이해하기 웹 접근성의 개념과 기본 원칙 유정식 eatdesignlove@gmail.com
  • 3. 1. 개념 웹표준 : 넓은 의미에서 웹 기술 전반과 관련한 표준 규격을 의미한다. 하지만 좁은 의미에 해 당하는 웹 화면을 구성하는 기술과 관련된 표준 규격을 의미하는 경우가 일반적. 웹 호환성 : 흔히 크로스 브라우징을 의미한다. IE, Chrome, Safari, FireFox 등 브라우저에 관 계없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웹 사용성 : 웹 서비스에 대해 경험적 만족도를 느끼고 서비스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느냐에 관한 것. 웹 접근성 :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보장하는 것.
  • 4. 웹 사용성 웹 표준 웹 접근성 웹 호환성 선형화 문법준수 개념들간의 관계
  • 5.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민간 일반 공연장 및 소공연장, 300석 이상의 영화상영관, 사립 박물관 및 미술관을 제외하고 모두 웹 접근성을 적용해야 한다.(15.4월 기준) 이때 적용의 대상은 단순히 웹 사이트만이 아니라 모바일 웹, 모바일 앱 등 ‘광 또는 전자적 방 식의 정보를 제공’하는 모든 정보로 보아야 한다. 왜? 웹 접근성을 지켜야하는가?
  • 6. 피해를 입은 사람 또는 그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이나 단체에 의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할 수 있고, 조사를 통해 받은 시정권고 및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시에는 3천만원 이하의 과 태료 등을 받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 당할 수 있다. 준수하지 않았을 때? 2010년 방송 3사 홈페이지 진정사례 2012년 대한항공, 한전병원,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 등 민사 소송 사례
  • 7. 2. 품질인증마크 장애인과 고령자가 웹사이트 이용에 불편이 없게 웹 접근성 표준을 준수한 우수 사이트의 품질 을 인증하는 마크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웹 접근성 품질심사 가이드 v1.3>
  • 8. 3. 기본 4대 원칙 인식의 용이성 운용의 용이성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 9. (적절한 대체 텍스트를 제공) : alt, longdesc (자막제공) : 멀티미디어 콘텐츠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 차트 등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 바로가기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대비) : 배경과 콘텐츠간 명암차이 (배경음 사용금지) : 자동 재생 배경음 인식의 용이성 :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 10. (키보드 사용보장) : tab key (초점 이동) : foucus, 논리적 초점이동 (응답시간 조절) : 몇 초 후 페이지 이동 중지 (정지기능 제공) : 슬라이드 이미지 정지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제한) : 초당 3-50회 깜빡임 (반복영역 건너뛰기) : 건너뛰기 제공 (제목 제공) :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 (적절한 링크 텍스트) : PDF보기 운용의 용이성 :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 11. (기본 언어 표시) : < html lang=“ko”>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 팝업창 (콘텐츠의 선형화) : 제목-내용의 구성 (표의 구성) : th, td, id, headers (레이블 제공) : <label for=“name”>이름</label><input id=“name” /> (오류 정정) : 서식입력 이해의 용이성 : 콘텐츠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12. (마크업 오류방지) : 태그의 열고 닫음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 플래시 견고성 : 웹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호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