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3
Gamma Interaction Position Estim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Daeun Kim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감마선 반응위치판별 정확도 향상
#CONTENTS
• 연구 배경
• 연구 목표
• 연구 이론
• 실험 과정
• 실험 결과
• 결론
#연구 배경
 PET 검출기 픽셀 분할 증가  공간분해능 향상
 PET 검출기 수 증가  민감도 향상
 광센서 채널 수 증가, 픽셀 분할 수 증가  멀티플렉싱회로 필요
#연구 배경
 PET 검출기 영상의 왜곡 문제
 PET 검출기의 픽셀분할 오류 문제
 PET 검출기의 픽셀분할 정확도 문제
#연구 이론
 PET 원리
 양전자방출 방사성 동위원소
 추적자 (Tracer) 주입
 양전자 쌍소멸
 감마선 쌍 검출
 영상 재구성
#연구 이론
 DPC 원리
 전하분배법칙
 Elmore delay
 Charge Sensitive Amplifier
 Shaping
 Peak Detection
𝐷𝑒𝑙𝑎𝑦 𝑓𝑟𝑜𝑚 𝐴 𝑡𝑜 𝐵
= 𝑅1𝐶1 + 𝑅1 + 𝑅2 𝐶2
+ 𝑅1 + 𝑅2 + 𝑅3 𝐶3
+ 𝑅1 + 𝑅2 + 𝑅3 + 𝑅4 𝐶4
FPGA
PeakDetection
USB3.0
PC
Real-time
Control
Artificial
Neural
Network
12 pixels
12pixels
………
A
B
C
D
Electronics Board
Readout
SiPMArray
(12x12)
…
…
…
…
…
Amplifier
+
A/Dconverter
Na-22 or Cs-137
144:4
DPC
#연구 이론
심층 신경망의 주요 이슈와 해결방법
 XOR 분류  MLP (Multi-Layer Perceptron)
 Curve fitting  Non-linear Regression
 Curse of Dimensionality  Large Sample, GPU
 Vanishing Gradient  ReLU
 Overfitting  Dropout
X
Y
Z
Y
X
X
Y
Z
#연구 이론
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DNN)
 More than 3 hidden layers
 Modularization
 Solution for vanishing gradient
 Solution for overfitting
#연구 이론
심층 신경망 구조
 분류층
 피팅층
…
A
B
C
D
X
Y
분류층 (3층) 피팅층 (3층)
800 600 400 200 20 10 24
입력층 출력층
…
…
…
…
…
#실험 과정
 학습데이터 획득
 실험세팅
Na - 22
12pixels
12pixels
방사선 콜리메이터 검출기
ADC, FPGA, USB 3.0
#실험 과정
 학습데이터 분석
AB
D C
𝑋 =
𝐴 + 𝐶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𝐶 +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𝑋 =
𝑓𝑥(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𝑓𝑦(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Anger’s 수식
DNN 함수
#실험 과정
시뮬레이션
 저차원 분류
 고차원 분류
 상호정보량 분석
 신경망 학습
정보 엔트로피
상호 정보량
공분산
#실험 과정
 학습종료조건 (Stopping criterion)
- Sum of RMSE
- Validation set
#실험 결과 (선형성 평가)
픽셀분할 실패
픽셀분할 성공
Maximum
Peak-to-Valley Ratio
X축: 3.9 -> 39.3
Y축: 3.2 -> 46.2
3.9
39.3
3.2
46.2
#실험 결과 (에러율 평가)
𝒆𝒓𝒓𝒐𝒓 =
𝒇𝒏
𝒕𝒑 + 𝒇𝒏
= 𝟏 −
𝒕𝒑
𝒕𝒑 + 𝒇𝒏
실제 정답
실험결과
#실험 결과 (픽셀별 에러율)
 실험 픽셀: 모서리 영역 (4x8)
에러 카운트 량 에러율
반복실험1 평균
에러 개선률
(row 별)
실험1
18%
14%
13%
13%
총 15%
에러 개선률
(row 별)
실험2
11%
11%
12%
9%
총 10%
에러 카운트 량 에러율
반복실험2 평균
#결론 • 영상 선형성 개선: Peak-to-Valley Ratio
• X축: 3.9 -> 39.3
• Y축: 3.2 -> 46.2
• 픽셀분할 정확도 개선:
• 10~15%
• 외곽 픽셀들의 개선률 높음
에러 개선률
(row 별)
실험1 실험2
18% 11%
14% 11%
13% 12%
13% 9%
총 15% 총 10%
#고찰 및 토론
결과 고찰
• 문제인식: 저항기반 멀티플렉싱 환경에서 검출기의 픽셀분할 비율증가
 감마선 반응위치추정 정확도 감소
 Anger’s 위치판별 수식의 문제점: 2개 변수만 사용
• 심층신경망 알고리즘의 높은 분류성능과 피팅성능
 감마선 반응위치추정 정확도와 픽셀 영역분할 성능 개선
추후 연구 계획
• 더 작게 픽셀분할한 검출기 설계: 고해상도 영상
• 추가 위치판별용 변수 추출 및 적용: 위치판별 성능개선
𝑋 =
𝐴 + 𝐶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𝐶 +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𝑋 =
𝑓𝑥(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𝑓𝑦(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T H A N K
Y O U
The end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Gamma Interaction Position Estim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딥러닝의 기본
딥러닝의 기본딥러닝의 기본
딥러닝의 기본deepseaswjh
 
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
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
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홍배 김
 
Cnn 발표자료
Cnn 발표자료Cnn 발표자료
Cnn 발표자료종현 최
 
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
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
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KwangHyeonPark
 
2.supervised learning(epoch#2)-3
2.supervised learning(epoch#2)-32.supervised learning(epoch#2)-3
2.supervised learning(epoch#2)-3Haesun Park
 
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
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
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홍배 김
 
인공신경망
인공신경망인공신경망
인공신경망종열 현
 

Similar to Gamma Interaction Position Estim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8)

딥러닝의 기본
딥러닝의 기본딥러닝의 기본
딥러닝의 기본
 
Titanic data analysis
Titanic data analysisTitanic data analysis
Titanic data analysis
 
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
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
Recurrent Neural Net의 이론과 설명
 
Cnn 발표자료
Cnn 발표자료Cnn 발표자료
Cnn 발표자료
 
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
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
Enliple BERT-Small을 이용한 KorQuAD 모델
 
2.supervised learning(epoch#2)-3
2.supervised learning(epoch#2)-32.supervised learning(epoch#2)-3
2.supervised learning(epoch#2)-3
 
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
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
Focal loss의 응용(Detection & Classification)
 
인공신경망
인공신경망인공신경망
인공신경망
 

Gamma Interaction Position Estim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 1. Gamma Interaction Position Estim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Daeun Kim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감마선 반응위치판별 정확도 향상
  • 2. #CONTENTS • 연구 배경 • 연구 목표 • 연구 이론 • 실험 과정 • 실험 결과 • 결론
  • 3. #연구 배경  PET 검출기 픽셀 분할 증가  공간분해능 향상  PET 검출기 수 증가  민감도 향상  광센서 채널 수 증가, 픽셀 분할 수 증가  멀티플렉싱회로 필요
  • 4. #연구 배경  PET 검출기 영상의 왜곡 문제  PET 검출기의 픽셀분할 오류 문제  PET 검출기의 픽셀분할 정확도 문제
  • 5. #연구 이론  PET 원리  양전자방출 방사성 동위원소  추적자 (Tracer) 주입  양전자 쌍소멸  감마선 쌍 검출  영상 재구성
  • 6. #연구 이론  DPC 원리  전하분배법칙  Elmore delay  Charge Sensitive Amplifier  Shaping  Peak Detection 𝐷𝑒𝑙𝑎𝑦 𝑓𝑟𝑜𝑚 𝐴 𝑡𝑜 𝐵 = 𝑅1𝐶1 + 𝑅1 + 𝑅2 𝐶2 + 𝑅1 + 𝑅2 + 𝑅3 𝐶3 + 𝑅1 + 𝑅2 + 𝑅3 + 𝑅4 𝐶4 FPGA PeakDetection USB3.0 PC Real-time Control Artificial Neural Network 12 pixels 12pixels ……… A B C D Electronics Board Readout SiPMArray (12x12) … … … … … Amplifier + A/Dconverter Na-22 or Cs-137 144:4 DPC
  • 7. #연구 이론 심층 신경망의 주요 이슈와 해결방법  XOR 분류  MLP (Multi-Layer Perceptron)  Curve fitting  Non-linear Regression  Curse of Dimensionality  Large Sample, GPU  Vanishing Gradient  ReLU  Overfitting  Dropout X Y Z Y X X Y Z
  • 8. #연구 이론  심층 신경망(Deep Neural Network,DNN)  More than 3 hidden layers  Modularization  Solution for vanishing gradient  Solution for overfitting
  • 9. #연구 이론 심층 신경망 구조  분류층  피팅층 … A B C D X Y 분류층 (3층) 피팅층 (3층) 800 600 400 200 20 10 24 입력층 출력층 … … … … …
  • 10. #실험 과정  학습데이터 획득  실험세팅 Na - 22 12pixels 12pixels 방사선 콜리메이터 검출기 ADC, FPGA, USB 3.0
  • 11. #실험 과정  학습데이터 분석 AB D C 𝑋 = 𝐴 + 𝐶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𝐶 +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𝑋 = 𝑓𝑥(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𝑓𝑦(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Anger’s 수식 DNN 함수
  • 12. #실험 과정 시뮬레이션  저차원 분류  고차원 분류  상호정보량 분석  신경망 학습 정보 엔트로피 상호 정보량 공분산
  • 13. #실험 과정  학습종료조건 (Stopping criterion) - Sum of RMSE - Validation set
  • 14. #실험 결과 (선형성 평가) 픽셀분할 실패 픽셀분할 성공 Maximum Peak-to-Valley Ratio X축: 3.9 -> 39.3 Y축: 3.2 -> 46.2 3.9 39.3 3.2 46.2
  • 15. #실험 결과 (에러율 평가) 𝒆𝒓𝒓𝒐𝒓 = 𝒇𝒏 𝒕𝒑 + 𝒇𝒏 = 𝟏 − 𝒕𝒑 𝒕𝒑 + 𝒇𝒏 실제 정답 실험결과
  • 16. #실험 결과 (픽셀별 에러율)  실험 픽셀: 모서리 영역 (4x8)
  • 17. 에러 카운트 량 에러율 반복실험1 평균 에러 개선률 (row 별) 실험1 18% 14% 13% 13% 총 15%
  • 18. 에러 개선률 (row 별) 실험2 11% 11% 12% 9% 총 10% 에러 카운트 량 에러율 반복실험2 평균
  • 19. #결론 • 영상 선형성 개선: Peak-to-Valley Ratio • X축: 3.9 -> 39.3 • Y축: 3.2 -> 46.2 • 픽셀분할 정확도 개선: • 10~15% • 외곽 픽셀들의 개선률 높음 에러 개선률 (row 별) 실험1 실험2 18% 11% 14% 11% 13% 12% 13% 9% 총 15% 총 10%
  • 20.
  • 21.
  • 22. #고찰 및 토론 결과 고찰 • 문제인식: 저항기반 멀티플렉싱 환경에서 검출기의 픽셀분할 비율증가  감마선 반응위치추정 정확도 감소  Anger’s 위치판별 수식의 문제점: 2개 변수만 사용 • 심층신경망 알고리즘의 높은 분류성능과 피팅성능  감마선 반응위치추정 정확도와 픽셀 영역분할 성능 개선 추후 연구 계획 • 더 작게 픽셀분할한 검출기 설계: 고해상도 영상 • 추가 위치판별용 변수 추출 및 적용: 위치판별 성능개선 𝑋 = 𝐴 + 𝐶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𝐶 +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𝑋 = 𝑓𝑥(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𝑌 = 𝑓𝑦(𝐴, 𝐵, 𝐶, 𝐷) 𝐴 + 𝐵 + 𝐶 + 𝐷
  • 23. T H A N K Y O U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