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ICT 기획시리즈
13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전력난, 위기의 주범은 누구인가
20103190 김보성
2015. 5. 13
1. 서론
[그림1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14
최근 들어 뉴스를 보면 한국이 전력난에 허덕인다는 기사거리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럴 때 일수록, 절약을 해야 하고, 학교나 회사에서는 반바지 입기 등
을 허용하기도 하면서 전 국민이, 에너지 절약 운동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럴 때 마다 정말 한국이 에너지 위기인지도 궁금했고, 또 얼마나 심각한지
도 궁금해서 이번 주제로 조사를 해보았다. 우선 그림1을 살펴보면 설비예비
율이라 해서, 필요한 전기량보다 조금 더 여유있게 전기를 생산한다는 것인
데 전기량이 100이라 하면, 실제로 전기회사에는 103정도를 여유있게 만든
다는 것이다. 그래프에서 보면 2004년같은 경우에는 34.7이나 더 많이 만들
었지만 해가 갈수록 그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당연히
전력난에 허덕일 수밖에 없는 통계가 나와지고 있다. 이 추세로 대로라면 아
마 머지 않아, 마이너스 상황까지도 될 것 같다.
2. 본론
ICT 기획시리즈
15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실제로 그림2번을 참고해보면, 한국같은 경우, 일본이나 프랑스, 독일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전기량이 무척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2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우리가 저 나라들보다 잘 사는 것도 아니고, 인구수가 월등히 많은 것도 아
닌데 전기량이 저렇게나 많다면, 전기량을 아껴야 하는 게 당연할 것이다.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16
[그림3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국가에서 요구하는 전기 절약은 대부분이 다 가정용에서 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우리나라가 실제로 가정용에서는 전
기를 얼마 쓰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미국은 우리나라에 비해 가정용 전력
소비량이 4배 가까이나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 프랑스 독일에 비
해서도 절반가량의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비싼 전기료도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일반
ICT 기획시리즈
17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가정에서는 전기를 얼마 쓰지도 않는데 왜 이렇게 국가전기사용량은 많은 것
일까?
[그림4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여기에 대해 조사를 해 본 결과 실제 주택 가정용에서는 전체 전기 사용량의
18%정도 밖에 , 일반용(회사)같은 곳에서도 22%로 상당히 저조했다. 즉 산
업용에서만 우리나라 전체 전기의 50%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18
즉 이 말은 주택 개인이 아무리 집안에서 절약정신으로 노력해도 실질적인
산업에서 전기 소모량이 줄여지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전기량이 줄어든다
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에 관해 국가에서는 기업이 생산을 줄일 수 없으니 일반 가정이나 회사에
서 전력량을 줄이라고 요구한다. 물론 삼성이나 여러 대기업이나 우리나라
경제에 없어서는 안되는 또, 우리나라에 필요한 물품들을 생산하는 여러 기
업들이 있다.. 하지만 그런 기업들에서부터 앞장서서 꼭 필요한 전기 소모량
외에 불필요한 생산이나, 아니면 불필요하게 전기가 낭비되는 곳에서부터 줄
여나갈 필요가 있다. 그런 식으로, 산업용 전기에서부터 전기 소모량을 줄여
나가야지 우리나라 전체 전기 소모량이 줄어들 것이다.
또 이렇게 까지 기업들이 무자비하게 전기를 쓸 수 있는 이유는, 다른 외국
에 비해 한국의 산업용 전기가격이 주택용 전기보다 더 가격이 저렴하다고
한다. 이런 시스템의 결과 당연히 산업용에서는 전기를 펑펑 쓸 수 밖에 없
고, 심지어 일본 등 외국 기업에서는 한국에 공장을 짓고 생산을 한다는 기
업도 있다.
3. 결론
ICT 기획시리즈
19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요즘 들어, 국가에 전력난이 화두가 되고 있는데, 조사해 본 결과, 물론 개개
인의 가정집에서도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절약을 해 나가는 방법도 있겠지
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산업용 전기량을 줄여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우선 공장에서 쓰는 산업용 전기가 가장 많은데, 이 산업용 전기의 값을 너
무 싸게 해서 팔다 보니 한국전력에서는 당연히 손해를 볼 수밖에 없고, 한
전이 부도가 나게 되면 당연히 전기를 생산하는데 있어서는 마찰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용 전기의 가격을 적절한 선까지 가격을 올릴 필요가 있다.
또 공장들이 물품을 생산해 낼 때, 에너지 효율이 좋은 기계를 사용하도록
국가에서 권장하거나 또는 에너지 효율이 좋은 기계들을 사용했을 때, 많은
이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일반 가게나, 회사, 가정 내를 가보면 불필요하게 쓰이는 전기가 많다.
덥지도 않은데 에어컨이 과도하게 틀어져 있던지, 아무도 없는 방인데 전기
가 다 커져있고, 쓰지도 않는 TV, 컴퓨터 등이 켜져 있는 것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이런 부분에서는 개인이나 회사 기업들도 노력하여 불필요한 전기를 줄여나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인 산업용공장에서 나오는 전기부터 줄여나간다면, 더욱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20
더 크게 절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전력난(20103190 김보성)

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
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
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은영 김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Humanpowercomputersesang
HumanpowercomputersesangHumanpowercomputersesang
HumanpowercomputersesangBen Kim
 
14년2월 지혜의공간ii
14년2월 지혜의공간ii14년2월 지혜의공간ii
14년2월 지혜의공간iiDong-Joon Kim
 
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
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
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JongHyuck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활 김
 
[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
[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
[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GE코리아
 
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Charzin
 

Similar to 전력난(20103190 김보성) (8)

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
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
전기요금 현실화와 에너지 수요관리 방안 정책토론회 자료집(20130911)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4기_해바라기_탐방 보고서
 
Humanpowercomputersesang
HumanpowercomputersesangHumanpowercomputersesang
Humanpowercomputersesang
 
14년2월 지혜의공간ii
14년2월 지혜의공간ii14년2월 지혜의공간ii
14년2월 지혜의공간ii
 
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
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
130628 도쿄도의 에너지절약정책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서울에너지설계사 매뉴얼(최종)
 
[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
[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
[GE Innovation Forum 2015] ‘퓨처오브워크: 산업과 일의 미래- 한국’ 보고서 (한글)
 
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2019년도 대한전기학회 본부 스마트그리드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
 

전력난(20103190 김보성)

  • 1. ICT 기획시리즈 13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전력난, 위기의 주범은 누구인가 20103190 김보성 2015. 5. 13 1. 서론 [그림1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 2.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14 최근 들어 뉴스를 보면 한국이 전력난에 허덕인다는 기사거리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럴 때 일수록, 절약을 해야 하고, 학교나 회사에서는 반바지 입기 등 을 허용하기도 하면서 전 국민이, 에너지 절약 운동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럴 때 마다 정말 한국이 에너지 위기인지도 궁금했고, 또 얼마나 심각한지 도 궁금해서 이번 주제로 조사를 해보았다. 우선 그림1을 살펴보면 설비예비 율이라 해서, 필요한 전기량보다 조금 더 여유있게 전기를 생산한다는 것인 데 전기량이 100이라 하면, 실제로 전기회사에는 103정도를 여유있게 만든 다는 것이다. 그래프에서 보면 2004년같은 경우에는 34.7이나 더 많이 만들 었지만 해가 갈수록 그 비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당연히 전력난에 허덕일 수밖에 없는 통계가 나와지고 있다. 이 추세로 대로라면 아 마 머지 않아, 마이너스 상황까지도 될 것 같다. 2. 본론
  • 3. ICT 기획시리즈 15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실제로 그림2번을 참고해보면, 한국같은 경우, 일본이나 프랑스, 독일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전기량이 무척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림2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우리가 저 나라들보다 잘 사는 것도 아니고, 인구수가 월등히 많은 것도 아 닌데 전기량이 저렇게나 많다면, 전기량을 아껴야 하는 게 당연할 것이다.
  • 4.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16 [그림3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국가에서 요구하는 전기 절약은 대부분이 다 가정용에서 줄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우리나라가 실제로 가정용에서는 전 기를 얼마 쓰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미국은 우리나라에 비해 가정용 전력 소비량이 4배 가까이나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 프랑스 독일에 비 해서도 절반가량의 수준밖에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로는 비싼 전기료도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일반
  • 5. ICT 기획시리즈 17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가정에서는 전기를 얼마 쓰지도 않는데 왜 이렇게 국가전기사용량은 많은 것 일까? [그림4 출처 : 최진기의 뉴스워크] 여기에 대해 조사를 해 본 결과 실제 주택 가정용에서는 전체 전기 사용량의 18%정도 밖에 , 일반용(회사)같은 곳에서도 22%로 상당히 저조했다. 즉 산 업용에서만 우리나라 전체 전기의 50%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6.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18 즉 이 말은 주택 개인이 아무리 집안에서 절약정신으로 노력해도 실질적인 산업에서 전기 소모량이 줄여지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전기량이 줄어든다 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에 관해 국가에서는 기업이 생산을 줄일 수 없으니 일반 가정이나 회사에 서 전력량을 줄이라고 요구한다. 물론 삼성이나 여러 대기업이나 우리나라 경제에 없어서는 안되는 또, 우리나라에 필요한 물품들을 생산하는 여러 기 업들이 있다.. 하지만 그런 기업들에서부터 앞장서서 꼭 필요한 전기 소모량 외에 불필요한 생산이나, 아니면 불필요하게 전기가 낭비되는 곳에서부터 줄 여나갈 필요가 있다. 그런 식으로, 산업용 전기에서부터 전기 소모량을 줄여 나가야지 우리나라 전체 전기 소모량이 줄어들 것이다. 또 이렇게 까지 기업들이 무자비하게 전기를 쓸 수 있는 이유는, 다른 외국 에 비해 한국의 산업용 전기가격이 주택용 전기보다 더 가격이 저렴하다고 한다. 이런 시스템의 결과 당연히 산업용에서는 전기를 펑펑 쓸 수 밖에 없 고, 심지어 일본 등 외국 기업에서는 한국에 공장을 짓고 생산을 한다는 기 업도 있다. 3. 결론
  • 7. ICT 기획시리즈 19 창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요즘 들어, 국가에 전력난이 화두가 되고 있는데, 조사해 본 결과, 물론 개개 인의 가정집에서도 전기 사용량을 줄이고, 절약을 해 나가는 방법도 있겠지 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산업용 전기량을 줄여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우선 공장에서 쓰는 산업용 전기가 가장 많은데, 이 산업용 전기의 값을 너 무 싸게 해서 팔다 보니 한국전력에서는 당연히 손해를 볼 수밖에 없고, 한 전이 부도가 나게 되면 당연히 전기를 생산하는데 있어서는 마찰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산업용 전기의 가격을 적절한 선까지 가격을 올릴 필요가 있다. 또 공장들이 물품을 생산해 낼 때, 에너지 효율이 좋은 기계를 사용하도록 국가에서 권장하거나 또는 에너지 효율이 좋은 기계들을 사용했을 때, 많은 이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일반 가게나, 회사, 가정 내를 가보면 불필요하게 쓰이는 전기가 많다. 덥지도 않은데 에어컨이 과도하게 틀어져 있던지, 아무도 없는 방인데 전기 가 다 커져있고, 쓰지도 않는 TV, 컴퓨터 등이 켜져 있는 것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이런 부분에서는 개인이나 회사 기업들도 노력하여 불필요한 전기를 줄여나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인 산업용공장에서 나오는 전기부터 줄여나간다면, 더욱
  • 8. 기술동향 2015. 3. 18. w ww.nipa.kr 20 더 크게 절약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