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지역거주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건축도시공간연구실 윤주선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마을만들기의 한계
         연구의                      한국형
 서론       배경
                인터넷의 가능성
                                 마을만들기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Chapter 1
                                 모델 수립




 아파트       매체의 문제              주체의 문제            아파트
마을만들기                                          마을만들기의
 문제점       시, 공간적 제약           전문성 결여            문제점


                                                         Chapter 2
           매체의 대안              주체의 대안            아파트
새로운 방향                                        사이버 공동체와
  모색                                            지역거주
            사이버 공동체           지역 거주 준전문가      준전문가의 결합




                 울산 아데라움                  파주 비발디
사례 관찰
               중앙가로 보행자 가로화              작은 도서관 운동



                                                         Chapter 3
                                                 가능성
사례 평가    사이버 공동체의 역할          준전문가의 역할            및
                                                 한계점




          Ideal Model 제안            현실화 방안
활성화 방안
  제안       동네건축가 제안
            동네 건축가            지원 조례 제정       대학 교육과 연계


                                                         Chapter 4
 결론                        연구의 의의 및 한계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마을만들기의 한계
     연구의                한국형
서론    배경                         아파트
                       마을만들기
           인터넷의 가능성             사이버공동체
                       모델 수립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 한국형 마을만들기 모델 수립                       ::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 획일성, 폐쇄성, 공동체 상실 등 기존
- 마을만들기의 당위성 및 사례연구를                  개발 방식의 문제점 응축
  넘어선 실질적 방법론 연구 요구
                                    - 국민의 50%이상이 거주하는 한국의
- 해외 사례의 무비판적 수용이 아닌                  대표적 주거유형
  한국 현실에 부합되는 모델 필요
                                    - 인터넷 인프라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마을만들기의 한계
     연구의                한국형
서론    배경                         아파트
                       마을만들기
           인터넷의 가능성             사이버공동체
                       모델 수립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 한국형 마을만들기 모델 수립                       ::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 획일성, 폐쇄성, 공동체 상실 등 기존
- 마을만들기의 당위성 및 사례연구를                  개발 방식의 문제점 응축
  넘어선 실질적 방법론 연구 요구
                                    - 국민의 50%이상이 거주하는 한국의
- 해외 사례의 무비판적 수용이 아닌                  대표적 주거유형
  한국 현실에 부합되는 모델 필요
                                    - 인터넷 인프라
기존 마을만들기의 문제점
FTF communication & Designer, Non-designer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한국의 마을만들기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 민선자치의 재개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1949년 지방자치법 제정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C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C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C     손길이용
                             - 1961년 <지방자치법에 관한 임시조치법> 공포, 지방자치 전면중단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1972년 유신헌법 제정 "통일이 될 때까지 지방자치를 실시하지안 이해관계의 참여이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않음"을 명시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되는 일’이고
                                  G
                                  전문가 인력부족
                                              C                                   .
                                                       다”, 거눅, 2007년 9월호 C 340호,pp16
                                                                 G일’이 대부분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통권          G 정말로 전문가의 C
                             - 1988년 지방자치법 개정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 1995년 제1회 4대지방선거실시. 단체장과 의원에 대한 동시선거 가로등 공사 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간접조명이 뭔지 C 340호,pp16 결국   우린 몰랐어요.
                                              C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C
                             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의 개막
                                  대면소통의 한계
                                                                                 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Ludwig Hilberseimer, 베를린 중심 지구 재개발 계획안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1923)
                                                           전문가 파견제도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 주택보급률 100% 달성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ACTIVE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구별은 PARTICIPATION
                                 INFORMATION                   CONSULTATION
                             - 1980년 주택보급률 71.2%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 1993년 주택200만호 건설 종료
                                             정책과정에서4. 장애인, 및 영향력이 증대하는 수준
                                                         주민참여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대규모 도시개발의 폐해                                           주민들에게 노인 등의 참여 제한
                             - 2002년 주택보급률 100% 달성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현장과는
                                                       5. 과도한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 양적 수급에서 질적 향상으로 패러다임 전환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 실제 사용자End User인 생활자Citizen의 참여가 배제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계층의 참여부족 Participation Plicy-making, pp 23
                                 OECD(2001),
                                                       주민들은
                                                       6. 다양한 이 거리를
                                                       -이재성(2006).이해하기는and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설계안을 지방정부의 온라인
                                                                        Consultation  Public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 생활자를 생리적, 기능적 존재로만 간주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 주민들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 수용 불가                          도시 통권33호, pp.40
        Walter Gropius considered it undesirable to talk to building users because ‘they were intellectually undeveloped’

  기초 생활권Community계획의 부재
      - 지역의 특성이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아파트 반영되지 않은 획일적 계획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한국의 마을만들기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 민선자치의 재개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1949년 지방자치법 제정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C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C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C       손길이용
                   - 1961년 <지방자치법에 관한 임시조치법> 공포, 지방자치 전면중단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1972년 유신헌법 제정 "통일이 될 때까지 지방자치를 실시하지안 이해관계의 참여이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않음"을 명시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되는 일’이고
                        G
                        전문가 인력부족
                                        C             .
                                                     다”, 거눅, 2007년 9월호 C 340호,pp16
                                                               G일’이 대부분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통권        G 정말로 전문가의    C
                   - 1988년 지방자치법 개정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 1995년 제1회 4대지방선거실시. 단체장과 의원에 대한 동시선거 가로등 공사 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간접조명이 뭔지 C 340호,pp16 결국   우린 몰랐어요.
                                        C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C
                   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의 개막
                        대면소통의 한계
                                                     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 주택보급률 100% 달성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ACTIVE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구별은 PARTICIPATION
                       INFORMATION                           CONSULTATION
                   - 1980년 주택보급률 71.2%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 1993년 주택200만호 건설 종료
                                   정책과정에서4. 장애인, 및 영향력이 증대하는 수준
                                                       주민참여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주민들에게 노인 등의 참여 제한
                   - 2002년 주택보급률 100% 달성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현장과는
                                                     5. 과도한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 양적 수급에서 질적 향상으로 패러다임 전환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주민들은 계층의 참여부족
                                                     6. 다양한 이 거리를
                       OECD(2001),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이재성(2006).이해하기는and Public Participation Plicy-making, pp 23
                                                                      Consultation
                                                     설계안을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도시 통권33호, pp.40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C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C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C       손길이용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G
                     전문가 인력부족
                                     C          .다”, 거눅, 2007년 9월호 C 340호,pp16
                                                            G일’이 대부분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통권        G 정말로 전문가의    C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C            “간접조명이 뭔지 C 340호,pp16 결국 가로등 C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우린 몰랐어요.                  공사 떄

                     대면소통의 한계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INFORMATION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ACTIVE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CONSULTATION               구별은 PARTICIPATION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정책과정에서4. 장애인, 및 영향력이 증대하는 수준
                                                    주민참여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주민들에게 노인 등의 참여 제한
                                                  현장과는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5. 과도한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주민들은 계층의 참여부족
                                                  6. 다양한 이 거리를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OECD(2001),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이재성(2006).이해하기는and Public Participation Plicy-making, pp 23
                                                                   Consultation
                                                  설계안을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도시 통권33호, pp.40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손길이용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전문가 인력부족
                                .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340호,pp16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
                                        일’이 대부분                  정말로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간접조명이 뭔지 우린340호,pp16 결국 가로등 공사 떄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몰랐어요.

                    대면소통의 한계
                               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구별은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주민들에게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4. 장애인, 노인 등의 참여 제한
                               현장과는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5. 과도한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주민들은 계층의 참여부족
                               6. 다양한 이 거리를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이재성(2006).이해하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설계안을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도시 통권33호, pp.40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는 이 문제를 지역이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52호,pp17

 .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적
                                   제        안       전문가의 손길이용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전문가 인력부족
                                .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
                                    일’이 대부분           정말로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340호,pp16

                    대면소통의 한계
                                .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사이버 공동체          아파트 입주자 카페
                               1. 참여방법의 제약
                               2.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4. 장애인, 노인 등의 참여 제한
                               5. 과도한 참여로 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저하
                               6. 다양한 계층의 참여부족
                               -이재성(2006).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TopDown식 개발




 .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제           안     적          용



                    전문가 인력부족
                                . 준전문가 활용          관련전공 주민




                    대면소통의 한계
                                 .
                                사이버 공동체   활용      아파트 입주자 카페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TopDown식 개발




 .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제           안     적          용



                    전문가 인력부족
                                . 준전문가 활용          관련전공 주민




                    대면소통의 한계
                                 .
                                사이버 공동체   활용      아파트 입주자 카페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아파트 마을만들기의 새로운 방향 모색
NEIGHBORHOOD ARCHITECT & CYBER COMMUNITY
#1   소통, 사이버 공동체 : 인터넷 입주자 카페 활용
[대면 소통face to face communication의 한계 ]




                                         6hr                    8hr


  1) 주요도시 10세 이상 인구의 업무시간, 2004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2004년 9월 전국 32,000명을 대상으로 통계청에서 시행한 면접조사 결과)
[대면 소통face to face communication의 한계 ]




                                         6hr                    8hr


  1) 주요도시 10세 이상 인구의 업무시간, 2004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2004년 9월 전국 32,000명을 대상으로 통계청에서 시행한 면접조사 결과)
TIME
                                                    PLACE
             INTERNET ID


[ CMCcomputer-mediated-communication의 제안 ]

   시.공간적 제약 없는 참여
   - 한정된 시간내에 토론등을 마쳐야 하는 오프라인 참여에 비해 시간의 제약이 덜해 충분한 토론이 가능하다.
   - 한정된 시간과 공간에서 행해지는 기존의 주민참여와 달리 직장인, 학생, 장애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이성적인 참여
   - 모든 토론은 기록으로 남고 충분한 토론이 가능하다. (말 -> 문자)
   - 토론 문화가 덜 발달된 우리나라에서 언성을 높이는 등 감정적인 토론으로 진행되기 쉬운 공청회와 차별된다.


   참여비용 절감
   - 집회를 위한 참여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평등한 참여
   - 인터넷 상에서의 토론은 부의 정도, 학력, 성별, 종교등에 의한 차별 없이 동등한 자격으로 토론이 가능하다.


   시각적 매체 활용
   - 일대 다 형식의 모니터 스크린을 통한 소통방식은 직관적인 비쥬얼 정보를 여러 사람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구
                          주요내용                      시사점           한계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분
 임석희(2005)      건설사 및 관리업체에서 제작한 전국 7개도시     - 사이버 커뮤니티는 오프라인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360여개의 아파트 홈페이지 운영실태를 조사.    커뮤니티와 연결될 때 더욱 긍정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분석.                          적 기능 발휘.
 의 가능성과 한계
                단순한 구색맞추기식의 운영. 실제 주민이      - 아파트 사이버 공동체는 지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1권 제6호       요구하는 내용은 없고 구성이 천편일률적.       적으로 동일한 지역내의 사이버
 pp585-604                                   공동체라는 장점을 지님.


 윤무현(2005)      서울, 경기지역 20-60대 183명을 대상으로   - 기존 아파트 관리의 문제점으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아파트 홈페이지의 이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로 지적되어 온 아파트 공동자산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홈페이지가                                   의 운영, 관리 불투명성 해소에    - 홈페이지를 통한 공동체 형
 아파트 생활에 미치                                  대한 아파트 홈페이지의 가능성     성 보다 관리의 효용성에 중
                응답자의 82.5%가 홈페이지를 긍적적으로
 는 영향
                평가                                                점을 둠                +
 성균관대학교 경영대     긍적적 평가의 이유는 운영의 투명성, 관리                          - 세대주보다 20,30대 주민
 학원 석사논문        의 효율성 순이였다.                                       이 설문 응답자의 주를 이룸


 우 룡(2002)      온라인 설문을 통한 아파트 혼페이지 이용과      - 다른 근린관계에 대한 연구와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주민의 근린관계와의 상관관계 조사           달리 아파트 홈페이지를 통한 근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홈페이지의                                   린관계는 수입이 높을 수록 효과
 설치 및 운영이 근린                                 가 높음을 입증                                 +
                아파트 홈페이지는 근린관계에 직, 간접적                           - 온라인 설문자료의 모호함
 관계에 미치는 영향
                으로 정(+)의 영향을 준다.                                  (총 응답자 인원수 등 미기재)
 정보와 사회 제4호                                  - 중산층을 위한 아파트 마을만
 pp.93-120                                   들기 가능성 시사

 김한수(2001)      1999년 이후 처음 생겨나기 시작한 아파트     - 불과 5년전만 해도 사이버 커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홈페이지들에 대해 420명을 대상으로 한 의     뮤니티는 주민 주도보다 건설업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정보화의 실     식수준 설문조사.                    체의 홍보용에 그치는 수준이었
 태와 주민의식                                     음을 보여줌.              - 주민주체의 포털사이트를
 한국주거학회지 12호.   대부분 시공업체가 상업적으로 사용하고 있                           통한 아파트 사이버 공동체가     -
 Pp21-31        거나 일률적인 컨탠츠를 벗어나지 못하는 초      - 사이버 공동체는 한국만의 독    활성화되기 이전의 연구
                보적 수준                        특한 주거문화 창출의 잠재력이
                                             있음을 주장.



- 기존의 연구들은 포터사이트를 통한 주민주체의 아파트 홈페이지가 아닌 관리자 주체의 아파트 홈페이지를 연구대상으로 함.
- 홈페이지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마을만들기)에 대한 연구는 전무함.
#2   준 전문가의 활약: 동네 건축가 제안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참여주체의 문제 ]
[ 동네건축가의]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부족 ]




                                                                        [     ]

     MASTER ARCHITECT         CITIZEN PARTICIPATION              NEIGHBORHOOD ARCHITECT




                        전문가            마을     [       준전문가   ]
I      C

                                      BRIDGING THE GAP          INFORMATION GIVER



                                                                               TRANSLATOR
전문가 인력 부족 해소
- 건축사 수준의 생업을 위해 작업을 하는 전문가가 아닌 학생이나 관련업계 직원을 대상으로 함.


정보의 불균형 해소: 전문가와 주민사이의 communication GAP 해소
- 동네에 상주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경청; 주민의 공공부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전문가와 토론 가능한 수준
으로 도면화,구체화 시키는 역할
- 전문가로부터의 전문적 견해, 전문 용어를 비전문가인 주민이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
- 도시개발 프로세스에서 공공부분에 대한 조언 제공
- 디자인 proposal의 comment
- Planning에 대한 recommendation


전문성의 민주화
- 전문지식의 권력화에 반대
- 전문가의 지식과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
- 개선하고 싶어도 좋은 사례를 본 적이 없어 논의가 발전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보완. 우수 사례 소개


                                전문가          마을          준전문가
 아파트                    아파트 & 준전문가
           + 한정된 공간                 + 밀도, 거주인구 많음
        + 비슷한 사회계층                  + 지역거주




 아파트 & 인터넷                                  준전문가
                        한국형 마을만들기
 + 저렴한 인터넷 비용                               + 일정수준의 전문성
+온/오프라인 전환 용이                               + 많은 인원




                 인터넷                인터넷 & 준전문가
       + 시,공간 제약 적음                 + 참여기회 확대
           + 동등한 기회                 + UCC, BLOG
              + 투명성                 + Smart Mobs
사례 조사 및 분석
2 CASE STUDIES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William N. Dunn.(1994),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정책결정과정모델을 응용
CASE STUDY     01
              울산 남구 평창 아데라움
     주민협의에 의한 중앙도로의 보행자 가로화




조사대상: DAUM 인터넷 카페 ”아데라움”_http://cafe.daum.net/aderaum
     조사자: 윤주선 (카페운영자 ID “아데라움” 과 협의후 조사)
                조사일: 2006년 12월 11일~
[   ]




[   ]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평창 아데라움 최초 분양 카다로그




최초 분양 카다로그:도로용도의 중앙통로

- 횡단보도
- 차량
- 과속방지턱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4년 10월 22일 ID 아데라움
중앙통로의 보행자전용 가로화 제안

- 차량동선은 외곽순환
- 단지내부가 테마공원화되려면 차량제한 필요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1월 31일 ID 아데라움
                                         시공현장

                                - 중앙통로는 보차혼용으로 진행
                          - 바닥 PAVING은 아스팔트 아닌 구운돌 시공예정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2월 18일 ID MS&KAN
                              아데라움 입주시작, 중앙통로는 도로 상태

                            - 중앙통로 보행자 가로화는 내부 논의중
                          - 평창의 최초 설계안대로 보차혼용도로로 입주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4월 12일 ID 입주자 협의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의사결정
중앙통로 차량차단에 대한 입주자 여론조사 실시
                                            - 손쉬운 참가,
- 총 994세대중 119세대 참가                         - 시/공간 초월한 충분한 토론 가능.
- 찬성 110세대 / 반대 9세대                         -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과제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5월 7일 ID 관리사무소                          차량 통제에 따른 문제점
중앙통로 보행가로화에 따른 구체적 동선 계획 공지
                                              - 차량동선이 필로티 아래를 통과해야 한다.
- 입주자 대표회에서 공식 결정                             - 지하주차장과 주동간 엘리베이터가 연결되어 있지
- 2005년 5월 9일부로 시행                            않아 지하에 주차하고 걸어올라와야 한다.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5월 1일 ID 아데라움(106-901)
                                  중앙통로 보행자통로화 준비

                                 - 횡단보도, 과속방지턱 삭제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6월 16일 ID KYUNG SAM
     중앙통로 차단 시행중

   - 차량통제 시설물 설치
7월22일 현장답사
울산도 ‘맞춤형 아파트시대’
                    입주예정자 불합리 공정 개선요구

                   삼산 아데라움 주차장변경등 모범사례



지난해 2월 입주를 시작한 남구 삼산동 아데라움도 마찬가지다. 실제 이 아파트의 지상주차장은 당초
도면상 주차공간으로 설계돼 있었으나 입주예정자협의회의 건의 이후 울산지역 최초로 차량통행이 없
                    는 테마공원으로 탈바꿈됐다.
또 시공사측과의 의견조율을 통해 주민공동편의시설을 원형 돔형의 지하구조물로 조성한 것을 비롯해
밋밋했던 아파트 벽면 도면을 울산대학교 시각디자인과에 의뢰하도록 하는 등 조경, 방음벽 등 30여
          가지에 이르는 공정에서 입주예정자들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했다.
이처럼 아데라움 아파트가 시공사의 일방적 공사가 아닌, 실수요자가 주문한 ‘맞춤식 아파트’로 건립되
기까지는 당시 입주예정자협의회를 이끌었던 강일영(48) 대표를 비롯한 집행부 10여명의 활약이 컸다.
이 협의회의 집행부는 전체 994세대 중 KT직원(통신전문가), 종합건설사 임원(건설전문가), 환경관련
업체 공장장(환경전문가)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 소비자 중심의 아파트를 건립하는데 실질적인
                        위력을 발휘했다.


                        울산 매일신문사
                           경제부종합
                      2006-06-25 23:50:53
CASE STUDY    02
            파주 조리읍 한라 비발디 작은 도서관 운동
      사이버 공동체를 통한 작은도서관 리모델링 및 자치운영




조사대상: 인터넷 NAVER카페 ”파주 한라비발디 카페”_http://cafe.naver.com/pajuviva.cafe
            조사자: 윤주선 (카페운영자 ID “진이아빠” 와 협의후 조사)
                       조사일: 2007년 8월 13일~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0년 7월 ID 입주 시작
                                 선큰광장으로 계획되어 분양됨

                              - 지하에 위치하여 주민의 이용 없이 방치
                                 - 2003년 7월 도서관으로 전환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3년 7월 8일 도서관으로 개장


                 - 신간 부족, 관리의 어려움, 홍보 부족, 짧은 운영시간 등의 이유로
                         여전히 활성화되지 못한 채 방치되어 왔다.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6월 9일 네이버 카페 생성
                    2006년 9월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작은 도서관 운동 제안

             - 인터넷 카페를 통한 주민들의 아파트에 대한 관심을 발전적 방향으로 전환
                   - 인터넷 카페 스텝을 중심으로 도서관 운영위원회 결성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6월 9일 네이버 카페 생성
                     2006년 9월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작은 도서관 운동 제안

             - 출판 평론가 ‘푸코대디’, 전직 사서 ‘랄랄라’, 서점 운영인 ‘서점아찌’의 주도로
                 인터넷 카페상에서 작은 도서관 운영을 위한 밑그림 및 방향 토론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11월 도서관 리모델링 기금 마련 기증도서 경매, 기부금, 자원봉사 활동시작


                               - 물품 제외 기금 500만원 모금
                                 - 도서관 1차 리모델링 실시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12월 1차 리모델링 실시


                               - 사서실, 유아방 등 도색, 도배
                              - 겨울철 난방 위한 전기패널 공사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11월 삼성사회봉사단의 ‘희망의 도서관’사업 선정


       - 사이버 공동체를 통한 활발한 주민참여를 인정받아 아파트 도서관으로는 유일하게 선정
                         - 3000만원 지원 확정
2007년 3월 주민 공동사서제 시행, 강좌 개설


        - 노인회의 바둑 강좌, 분녀회의 동화구현등 시작
- 입주자 대표회로부터 신간구입비 월 60만원 지원 확정, 신간의 안정적 확보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7년 7월 삼성 지원금을 통한 2차 리모델링 실시


                 - 냉난방기, 이동식 난방기, 공기청정기, 노트북, 빔프로젝트 설치
                    - 도서관을 사랑하는 아빠들의 모임, 도서관 후원회 발족
9월 7일 현장답사
사례를 통한 시사점 및 한계
[ 시사점 ]

 참여폭 확대
   기존 부녀회와 주부중심의 마을만들기와 달리 직장인 남성들의 참여가 대폭 증가했다
   실제 본 연구의 2 사례를 포함한 많은 아파트 사이버공동체의 운영자가 직장인 남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저항적 참여  창조적 참여
  기존 아파트 마을만들기 사례는 시공 비리 대책, 관리비 합리화 등 저항적 참여가 주를 이루었다면 본 연구의 사례
  는 더 나은 거주환경을 위한 창조적 참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없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닌 있음으로 해서 삶의 질이 향상되는 보행자 전용가로, 작은 도서관 등은 사이버
    공동체를 통하지 않을 경우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과 토론이 쉽지 않은 사안이다.


 외부 공용공간 개선
   시설의 확충에 머물렀던 기존 마을만들기와 달리 주민 준전문가가 주도한 아데라움 사례는 보다 나은 주거환경
   을 위한 외부 공용공간의 개선에 준전문가 집단의 지식과 경험이 큰 역할을 하였다.
    실제 건축, 환경 전문가들의 참여로 현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지속적인 토론
   주민설명회 등의 단발적 행사가 아닌 일상속에서의 지속적인 토론 가능
    아데라움 사이버 공동체의 경우 2004년 10월 22일 최초 차량통제에 대한 제안글이 올라오기 시작해서 2006
     년 12월 11일 조사 당시까지 중앙도로 보행자 전용가로화와 직접 관련된 글은 총 21건이 등록되었고 120건의
     주민투표를 제외한 총 73건의 찬,반 댓글이 등록되었다.
    파주 비발디 사이버 공동체의 경우 2006년 9월 12일 최초 작은도서관 제안글 이후 2007년 9월 조사 당시까
     지 작은 도서관 운동과 직접 관련된 165개의 게시글이 등록되었다.
[ 사례별 시사점 ]

 아데라움 사례
   입주 전 설계 단계에서의 주민참여
   선분양 후 입주까지 누가 거주하게 될 지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공론화 되기 힘들었던 아파트 설계의 질에 대
    해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여론형성으로 중앙도로 보행자가로화와 더불어,
    - 도색변경 (인근 울산대 미대 교수의 협조)
    - 방음벽 개선 (대나무 및 유리 활용)
    - 조경 개선 (막구조 선큰광장 등 추가)
    - 캐노피 변경
    - 세대간 에어컨 위치 고정 협정
    등의 거주환경 개선이 이루어 졌다.


 비발디 사례
  입주 후 주거환경 가꾸기 단계에서의 주민참여
   거주과정에서 많은 수의 청소년 거주인구와 서울외곽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교육의 질 저하라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작은 도서관 운동


  예산 확보 문제에 대한 대안
   주민참여의 난제 중 하나인 저예산 문제를 기금모금, 주민봉사와 더불어 민간 사회봉사 단체의 협조를 통해
    해결하여 민간 기업, 주민, 행정의 관계 설정
[ 한계점 ]

 생활요구 vs 계획요구
   용도설정 단계에 그치고 있다
    보행자 전용 가로 추가, 작은 도서관 기능 등 용도 및 기능의 문제에 그치고 있으며 계획, 설계 단계까지 이르
    지 못하였다.
    - 도시, 건축 관련 전문가의 참여 미흡


 제도화 미비
   기존 아파트 관리 주체인 부녀회,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사무소와의 마찰
    사이버공동체 및 주민 준전문가에 대한 공식적인 권한이나 임명절차 등이 정해져 있지 않아, 기존 단체들과의
    마찰 발생
    - 실제 아데라움 카페의 경우 동대표와의 마찰로 인해 한 차례 폐쇄가 되기도 하였다.
    - 비발디의 경우 기존 기득권층인 부녀회와의 크고 작은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자원봉사 형식으로 참여하는 주민 준전문가의 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계획요소의 부재
동네건축가 참여 활성화 및 전문성 확보 방안 제안
    MOTIVATION & PROFESSINALITY
동네 건축가의 구체화
제 1장 총칙
제 1조(목적) 이 규정은 해당 아파트 단지내에 준 전문가로써 동네건축가를 지정하여 거주생활의 쾌적성을 높이는것을 목적으
로 한다.


제2장 (기능) 동네건축가는 다음 각 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1. 동네건축가는 인터넷 입주자 커뮤니티에 별도의 게시판을 마련하여 주민들의 관련 질의에 답변한다.
2. 스스로 발견하거나 주민이 제기한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한다.
3. 스스로 발견하거나 주민이 제기한 문제점과 관련된 우수 사례를 게시판을 통해 소개한다.
4. 제기된 제시안이 주민투표 및 입주자 대표회의를 거쳐 시행될 경우 전문가와 입주자 대표회, 주민간의 의사소통을 보조한
다.


제3장(구성,임기)
1. 동네건축가는 해당 단지에 임기 중 절반이상을 거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2. 동네건축가의 선임은 해당분야 전공학생, 종사자중 지원자를 자격요건으로 한다.
3. 동네건축가의 선임은 지원자중 입주자 대표회의의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한다.
4. 동네건축가의 임기는 1년으로 하며, 연임이 가능하다.
5. 동네건축가는 중복 선임이 가능하며 중복되어 선임할 경우 대표자를 선출한다.


제4장(회의)
1. 동네건축가는 입주자 대표회의의 자문 자격을 갖는다.
2. 동네건축가는 입주자 대표회의에 참여 및 참관할 수 있고 참고 발언을 할 수 있으나, 의결권은 없다.
[의사 결정권자의 자문]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관련 의결 결정시
                     입주자 대표                                자문 역할
                                                   관리사무소


                                                   시공회사    [전문가와 주민간 의사소통]
    동 대표      동 대표    동 대표    동 대표     동 대표
                                                           TRANSLATOR로써의 역할



CYBER COMMNITY: INTERNET CAFE                              [소통] 인터넷 입주민 카페 활용
                                                           의견 구체화(전문화)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동네건축가
                                                           예상되는 폐해 지적
                                                           관련된 우수 사례 소개
TOWN

               TOWN          FEEDBACK                     TOWN
                              NEIGHBORHOOD
                                ARCHITECT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FEEDBACK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CLASS
                                Professor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NEIGHBORHOOD                     FEEDBACK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NEIGHBORHOOD
                                ARCHITECT




    [수업을 통한 동네건축가 활동 촉진: 자문, 동기부여, 학습효과]
TOWN

                                  TOWN
주민들 제안에 전문성 부여 ------------------------        FEEDBACK                          TOWN
1.주민들의 제안에서 추후 예상되는 문제점 예측
                                                NEIGHBORHOOD               역할
2.주민들의 제안 구체화, 전문적 사례를 동네 문제점에 대입하
                                                  ARCHITECT                1.자신이 거주하는 동네의 공공영역에 대한 관찰, 인터넷 입주자
여 쉽게 풀어서 설명.
                                                                           카페를 통한 문제점 조사
                                NEIGHBORHOOD                                    NEIGHBORHOOD
                                                                           2.주민들의 개선안 제안 조사-> 주민들의 개선안에 대한 문제점
                                  ARCHITECT                                     ARCHITECT
                                                                           분석-> 적절한 대안 계획-> 인터넷 카페를 통한 토론 ->




                                                     FEEDBACK
동네건축가에 전문성,객관성 부여 --------------------                                     FEEDBACK -> 개선안 결정 ->인터넷 여론조사 실시
1.동네건축가의 잘못된 판단에 대한 지적                                                     3.개선안 제안에 앞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국내, 국외 우수사례를
                                                                           지속적으로 소개하여 공감대를 형성한다.
2.수업 토론을 통한 새로운 해결방안 조성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3.가능한 대안에 대한 구체화 추진                                                                            ARCHITECT

                                                   CLASS                   과제
                                                  Professor
                                                                           1.자기가 거주하는 ‘동네’의 문제점을 관찰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2.그 후, 인터넷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개선안에 대한 주민들의 합
                                                                                        ARCHITECT




                                                                FEEDBACK
                                                                           의를 도출해보자.
                                                                           3.개선안은 이미 주미들에 의해 제기된 문제일 수도 있다. 개선안
                                                                           은 전문가와 논의 가능한 수준의 구체적인 결과물을 요구한다.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NEIGHBORHOOD
                                                  ARCHITECT




                      [수업을 통한 동네건축가 활동 촉진: 자문, 동기부여, 학습효과]
2007 Community Design and Streets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07master's thesis

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mailcase
 
[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
[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
[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
ChangeON@
 
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
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
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
Jeongeun Kwon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우리 곁에 반가운 변화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Han Woo PARK
 

Similar to 2007master's thesis (6)

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Yc lab presentation 1023
Yc lab presentation 1023
 
[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
[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
[2017체인지온@BIRLZIP]지역 청년활동가 성장기(이태호)
 
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
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
12th.Lecture.Design.for.Community.pdf
 
4강_송하진
4강_송하진4강_송하진
4강_송하진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2020 시민참여 인천 스마트 도시 : 마을플랫폼 기획리빙랩 과정기록집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경기도 고양 산학관 협력 클러스터 트리플헬릭스
 

2007master's thesis

  • 1.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지역거주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건축도시공간연구실 윤주선
  • 2.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마을만들기의 한계 연구의 한국형 서론 배경 인터넷의 가능성 마을만들기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Chapter 1 모델 수립 아파트 매체의 문제 주체의 문제 아파트 마을만들기 마을만들기의 문제점 시, 공간적 제약 전문성 결여 문제점 Chapter 2 매체의 대안 주체의 대안 아파트 새로운 방향 사이버 공동체와 모색 지역거주 사이버 공동체 지역 거주 준전문가 준전문가의 결합 울산 아데라움 파주 비발디 사례 관찰 중앙가로 보행자 가로화 작은 도서관 운동 Chapter 3 가능성 사례 평가 사이버 공동체의 역할 준전문가의 역할 및 한계점 Ideal Model 제안 현실화 방안 활성화 방안 제안 동네건축가 제안 동네 건축가 지원 조례 제정 대학 교육과 연계 Chapter 4 결론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3.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마을만들기의 한계 연구의 한국형 서론 배경 아파트 마을만들기 인터넷의 가능성 사이버공동체 모델 수립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 한국형 마을만들기 모델 수립 ::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 획일성, 폐쇄성, 공동체 상실 등 기존 - 마을만들기의 당위성 및 사례연구를 개발 방식의 문제점 응축 넘어선 실질적 방법론 연구 요구 - 국민의 50%이상이 거주하는 한국의 - 해외 사례의 무비판적 수용이 아닌 대표적 주거유형 한국 현실에 부합되는 모델 필요 - 인터넷 인프라
  • 4.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마을만들기의 한계 연구의 한국형 서론 배경 아파트 마을만들기 인터넷의 가능성 사이버공동체 모델 수립 연구의 목적 연구의 대상 :: 한국형 마을만들기 모델 수립 ::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 획일성, 폐쇄성, 공동체 상실 등 기존 - 마을만들기의 당위성 및 사례연구를 개발 방식의 문제점 응축 넘어선 실질적 방법론 연구 요구 - 국민의 50%이상이 거주하는 한국의 - 해외 사례의 무비판적 수용이 아닌 대표적 주거유형 한국 현실에 부합되는 모델 필요 - 인터넷 인프라
  • 5. 기존 마을만들기의 문제점 FTF communication & Designer, Non-designer
  • 6.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한국의 마을만들기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 민선자치의 재개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1949년 지방자치법 제정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C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C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C 손길이용 - 1961년 <지방자치법에 관한 임시조치법> 공포, 지방자치 전면중단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1972년 유신헌법 제정 "통일이 될 때까지 지방자치를 실시하지안 이해관계의 참여이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않음"을 명시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되는 일’이고 G 전문가 인력부족 C  . 다”, 거눅, 2007년 9월호 C 340호,pp16 G일’이 대부분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통권 G 정말로 전문가의 C - 1988년 지방자치법 개정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 1995년 제1회 4대지방선거실시. 단체장과 의원에 대한 동시선거 가로등 공사 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간접조명이 뭔지 C 340호,pp16 결국 우린 몰랐어요. C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C 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의 개막 대면소통의 한계 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Ludwig Hilberseimer, 베를린 중심 지구 재개발 계획안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1923) 전문가 파견제도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 주택보급률 100% 달성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ACTIVE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구별은 PARTICIPATION INFORMATION CONSULTATION - 1980년 주택보급률 71.2%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 1993년 주택200만호 건설 종료 정책과정에서4. 장애인, 및 영향력이 증대하는 수준 주민참여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대규모 도시개발의 폐해 주민들에게 노인 등의 참여 제한 - 2002년 주택보급률 100% 달성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현장과는 5. 과도한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 양적 수급에서 질적 향상으로 패러다임 전환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 실제 사용자End User인 생활자Citizen의 참여가 배제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계층의 참여부족 Participation Plicy-making, pp 23 OECD(2001), 주민들은 6. 다양한 이 거리를 -이재성(2006).이해하기는and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설계안을 지방정부의 온라인 Consultation Public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 생활자를 생리적, 기능적 존재로만 간주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 주민들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 수용 불가 도시 통권33호, pp.40 Walter Gropius considered it undesirable to talk to building users because ‘they were intellectually undeveloped’  기초 생활권Community계획의 부재 - 지역의 특성이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아파트 반영되지 않은 획일적 계획
  • 7.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한국의 마을만들기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 민선자치의 재개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1949년 지방자치법 제정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C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C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C 손길이용 - 1961년 <지방자치법에 관한 임시조치법> 공포, 지방자치 전면중단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1972년 유신헌법 제정 "통일이 될 때까지 지방자치를 실시하지안 이해관계의 참여이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않음"을 명시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되는 일’이고 G 전문가 인력부족 C  . 다”, 거눅, 2007년 9월호 C 340호,pp16 G일’이 대부분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통권 G 정말로 전문가의 C - 1988년 지방자치법 개정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 1995년 제1회 4대지방선거실시. 단체장과 의원에 대한 동시선거 가로등 공사 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간접조명이 뭔지 C 340호,pp16 결국 우린 몰랐어요. C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C  본격적인 지방자치 시대의 개막 대면소통의 한계 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 주택보급률 100% 달성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ACTIVE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구별은 PARTICIPATION INFORMATION CONSULTATION - 1980년 주택보급률 71.2%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 1993년 주택200만호 건설 종료 정책과정에서4. 장애인, 및 영향력이 증대하는 수준 주민참여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주민들에게 노인 등의 참여 제한 - 2002년 주택보급률 100% 달성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현장과는 5. 과도한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 양적 수급에서 질적 향상으로 패러다임 전환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주민들은 계층의 참여부족 6. 다양한 이 거리를 OECD(2001),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이재성(2006).이해하기는and Public Participation Plicy-making, pp 23 Consultation 설계안을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도시 통권33호, pp.40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8.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C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C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C 손길이용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G 전문가 인력부족 C  .다”, 거눅, 2007년 9월호 C 340호,pp16 G일’이 대부분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통권 G 정말로 전문가의 C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C “간접조명이 뭔지 C 340호,pp16 결국 가로등 C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우린 몰랐어요. 공사 떄 대면소통의 한계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INFORMATION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ACTIVE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CONSULTATION 구별은 PARTICIPATION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정책과정에서4. 장애인, 및 영향력이 증대하는 수준 주민참여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주민들에게 노인 등의 참여 제한 현장과는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5. 과도한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주민들은 계층의 참여부족 6. 다양한 이 거리를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OECD(2001), Citizens as partners: Information,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이재성(2006).이해하기는and Public Participation Plicy-making, pp 23 Consultation 설계안을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도시 통권33호, pp.40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9.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사실입니다.“ -이호(2001), “마을지역이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는 이 문제를 만들기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52호,pp17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전문가의 손길이 52호,pp17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 .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에 머물러 있었다. …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귀찮은 일’이 하고 … 않은, 혹은 적 제 안 전문가가 별로 대부분싶지 저예산이기에 정말로 전문가의 전문가의 손길이용 손길이 필요하다.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전문가 인력부족  .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340호,pp16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 일’이 대부분 정말로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 [ 전문가 파견제도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간접조명이 뭔지 우린340호,pp16 결국 가로등 공사 떄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몰랐어요. 대면소통의 한계  . 난리가 났습니다. 공사 후 2-3층 주민들이 가로등 불빛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항의가 끊이지 않았지요.” 카페 으로 사이버 공동체 잠을 잘 수 없다는 아파트 입주자 볼라드도 아쉽다. 보도와 차도 구별은 색을 달리해서 분 1. 참여방법의 제약 리하는 및 공간적인 제약 2. 시간 방법도 있었을텐데 굳이 낮은 볼라드를 설치해서 하루에도 몇 번씩 사람들이 걸려 넘어진다.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주민들에게 보여준 조감도나 시뮬레이션 결과는 공사 후 4. 장애인, 노인 등의 참여 제한 현장과는 참여로 달랐다는 것이다. 5. 과도한 너무나도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전문가와 주민간의 생각차이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저하 주민들은 계층의 참여부족 6. 다양한 이 거리를 너무나 잘 압니다. 물론 주민들이 -이재성(2006).이해하기는 힘듭니다. 그러나 주민들이 이해할 설계안을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수 있는 설계안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김은희(2005), “노유동 로데오 거리-뿌듯한 과정, 아쉬운 결과”, 걷고싶은 도시 통권33호, pp.40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10.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 부족 ] TopDown식 개발 “ 전문가중에서 동네에 ]와서 함께 일하려고 하는 사람들 [ 대면소통의 한계 도 극히 제한적이고 거의 없는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저 는 이 문제를 지역이 필요로 하는 전문가를 발굴해서 키 워야 되는 문제인지 아니면 전문가가 스스로 변해야 되 는 문제인지..” -이호(2001), “마을 만들기 현황과 전망”, 도시와 빈곤, 2001년 10월호 통권 52호,pp17  . “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디자인은 그 동안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전문가가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혹은 적 제 안 전문가의 손길이용 채 미치지 못하는 그런 보잘 것 없고 초라한 디자인영역 에 머물러 있었다. … 현실적으로 ‘돈 안 되는 일’이고 전문가 인력부족  . ‘귀찮은 준전문가 활용… 저예산이기에 관련전공 주민 일’이 대부분 정말로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하다. -이영범(2007), “주민참여는 주민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이해관계의 참여이 다”, 거눅, 2007년 9월호 통권 340호,pp16 대면소통의 한계  . [ 전문가 파견제도 ]활용 사이버 공동체 아파트 입주자 카페 1. 참여방법의 제약 2. 시간 및 공간적인 제약 3. 주민참여에 따른 비용과 시간낭비 4. 장애인, 노인 등의 참여 제한 5. 과도한 참여로 이한 참여의 왜곡과 정책 집행, 결정 저하 6. 다양한 계층의 참여부족 -이재성(2006). 지방정부의 온라인 주민참여. 한국학술정보.pp35-38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11.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TopDown식 개발  .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제 안 적 용 전문가 인력부족  . 준전문가 활용 관련전공 주민 대면소통의 한계 .  사이버 공동체 활용 아파트 입주자 카페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12.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TopDown식 개발  . 주민참여형 개발 문 제 제 안 적 용 전문가 인력부족  . 준전문가 활용 관련전공 주민 대면소통의 한계 .  사이버 공동체 활용 아파트 입주자 카페 아파트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동네건축가의 마을 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13. 아파트 마을만들기의 새로운 방향 모색 NEIGHBORHOOD ARCHITECT & CYBER COMMUNITY
  • 14. #1 소통, 사이버 공동체 : 인터넷 입주자 카페 활용
  • 15. [대면 소통face to face communication의 한계 ] 6hr 8hr 1) 주요도시 10세 이상 인구의 업무시간, 2004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2004년 9월 전국 32,000명을 대상으로 통계청에서 시행한 면접조사 결과)
  • 16. [대면 소통face to face communication의 한계 ] 6hr 8hr 1) 주요도시 10세 이상 인구의 업무시간, 2004 생활시간조사, 통계청 (2004년 9월 전국 32,000명을 대상으로 통계청에서 시행한 면접조사 결과)
  • 17. TIME PLACE INTERNET ID [ CMCcomputer-mediated-communication의 제안 ] 시.공간적 제약 없는 참여 - 한정된 시간내에 토론등을 마쳐야 하는 오프라인 참여에 비해 시간의 제약이 덜해 충분한 토론이 가능하다. - 한정된 시간과 공간에서 행해지는 기존의 주민참여와 달리 직장인, 학생, 장애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이성적인 참여 - 모든 토론은 기록으로 남고 충분한 토론이 가능하다. (말 -> 문자) - 토론 문화가 덜 발달된 우리나라에서 언성을 높이는 등 감정적인 토론으로 진행되기 쉬운 공청회와 차별된다. 참여비용 절감 - 집회를 위한 참여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평등한 참여 - 인터넷 상에서의 토론은 부의 정도, 학력, 성별, 종교등에 의한 차별 없이 동등한 자격으로 토론이 가능하다. 시각적 매체 활용 - 일대 다 형식의 모니터 스크린을 통한 소통방식은 직관적인 비쥬얼 정보를 여러 사람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다.
  • 18. 주요내용 시사점 한계 및 본 연구와의 차별성 분 임석희(2005) 건설사 및 관리업체에서 제작한 전국 7개도시 - 사이버 커뮤니티는 오프라인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360여개의 아파트 홈페이지 운영실태를 조사. 커뮤니티와 연결될 때 더욱 긍정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사이버공동체 분석. 적 기능 발휘. 의 가능성과 한계 단순한 구색맞추기식의 운영. 실제 주민이 - 아파트 사이버 공동체는 지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1권 제6호 요구하는 내용은 없고 구성이 천편일률적. 적으로 동일한 지역내의 사이버 pp585-604 공동체라는 장점을 지님. 윤무현(2005) 서울, 경기지역 20-60대 183명을 대상으로 - 기존 아파트 관리의 문제점으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아파트 홈페이지의 이용실태에 대한 설문조사 로 지적되어 온 아파트 공동자산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홈페이지가 의 운영, 관리 불투명성 해소에 - 홈페이지를 통한 공동체 형 아파트 생활에 미치 대한 아파트 홈페이지의 가능성 성 보다 관리의 효용성에 중 응답자의 82.5%가 홈페이지를 긍적적으로 는 영향 평가 점을 둠 + 성균관대학교 경영대 긍적적 평가의 이유는 운영의 투명성, 관리 - 세대주보다 20,30대 주민 학원 석사논문 의 효율성 순이였다. 이 설문 응답자의 주를 이룸 우 룡(2002) 온라인 설문을 통한 아파트 혼페이지 이용과 - 다른 근린관계에 대한 연구와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주민의 근린관계와의 상관관계 조사 달리 아파트 홈페이지를 통한 근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홈페이지의 린관계는 수입이 높을 수록 효과 설치 및 운영이 근린 가 높음을 입증 + 아파트 홈페이지는 근린관계에 직, 간접적 - 온라인 설문자료의 모호함 관계에 미치는 영향 으로 정(+)의 영향을 준다. (총 응답자 인원수 등 미기재) 정보와 사회 제4호 - 중산층을 위한 아파트 마을만 pp.93-120 들기 가능성 시사 김한수(2001) 1999년 이후 처음 생겨나기 시작한 아파트 - 불과 5년전만 해도 사이버 커 - 관리자 주체의 홈페이지만 홈페이지들에 대해 420명을 대상으로 한 의 뮤니티는 주민 주도보다 건설업 연구 대상에 포함 아파트 정보화의 실 식수준 설문조사. 체의 홍보용에 그치는 수준이었 태와 주민의식 음을 보여줌. - 주민주체의 포털사이트를 한국주거학회지 12호. 대부분 시공업체가 상업적으로 사용하고 있 통한 아파트 사이버 공동체가 - Pp21-31 거나 일률적인 컨탠츠를 벗어나지 못하는 초 - 사이버 공동체는 한국만의 독 활성화되기 이전의 연구 보적 수준 특한 주거문화 창출의 잠재력이 있음을 주장. - 기존의 연구들은 포터사이트를 통한 주민주체의 아파트 홈페이지가 아닌 관리자 주체의 아파트 홈페이지를 연구대상으로 함. - 홈페이지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마을만들기)에 대한 연구는 전무함.
  • 19. #2 준 전문가의 활약: 동네 건축가 제안
  • 20. 동네건축가의 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참여주체의 문제 ]
  • 21. [ 동네건축가의]마을만들기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 전문가 인력부족 ] [ ] MASTER ARCHITECT CITIZEN PARTICIPATION NEIGHBORHOOD ARCHITECT 전문가 마을 [ 준전문가 ]
  • 22. I C BRIDGING THE GAP INFORMATION GIVER TRANSLATOR 전문가 인력 부족 해소 - 건축사 수준의 생업을 위해 작업을 하는 전문가가 아닌 학생이나 관련업계 직원을 대상으로 함. 정보의 불균형 해소: 전문가와 주민사이의 communication GAP 해소 - 동네에 상주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경청; 주민의 공공부분에 대한 아이디어를 전문가와 토론 가능한 수준 으로 도면화,구체화 시키는 역할 - 전문가로부터의 전문적 견해, 전문 용어를 비전문가인 주민이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서 설명 - 도시개발 프로세스에서 공공부분에 대한 조언 제공 - 디자인 proposal의 comment - Planning에 대한 recommendation 전문성의 민주화 - 전문지식의 권력화에 반대 - 전문가의 지식과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 - 개선하고 싶어도 좋은 사례를 본 적이 없어 논의가 발전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보완. 우수 사례 소개 전문가 마을 준전문가
  • 23.  아파트  아파트 & 준전문가 + 한정된 공간 + 밀도, 거주인구 많음 + 비슷한 사회계층 + 지역거주  아파트 & 인터넷  준전문가 한국형 마을만들기 + 저렴한 인터넷 비용 + 일정수준의 전문성 +온/오프라인 전환 용이 + 많은 인원  인터넷  인터넷 & 준전문가 + 시,공간 제약 적음 + 참여기회 확대 + 동등한 기회 + UCC, BLOG + 투명성 + Smart Mobs
  • 24. 사례 조사 및 분석 2 CASE STUDIES
  • 25.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William N. Dunn.(1994),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정책결정과정모델을 응용
  • 26. CASE STUDY 01 울산 남구 평창 아데라움 주민협의에 의한 중앙도로의 보행자 가로화 조사대상: DAUM 인터넷 카페 ”아데라움”_http://cafe.daum.net/aderaum 조사자: 윤주선 (카페운영자 ID “아데라움” 과 협의후 조사) 조사일: 2006년 12월 11일~
  • 27. [ ] [ ]
  • 28.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평창 아데라움 최초 분양 카다로그 최초 분양 카다로그:도로용도의 중앙통로 - 횡단보도 - 차량 - 과속방지턱
  • 29.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4년 10월 22일 ID 아데라움 중앙통로의 보행자전용 가로화 제안 - 차량동선은 외곽순환 - 단지내부가 테마공원화되려면 차량제한 필요
  • 30.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1월 31일 ID 아데라움 시공현장 - 중앙통로는 보차혼용으로 진행 - 바닥 PAVING은 아스팔트 아닌 구운돌 시공예정
  • 31.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2월 18일 ID MS&KAN 아데라움 입주시작, 중앙통로는 도로 상태 - 중앙통로 보행자 가로화는 내부 논의중 - 평창의 최초 설계안대로 보차혼용도로로 입주
  • 32.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4월 12일 ID 입주자 협의회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의사결정 중앙통로 차량차단에 대한 입주자 여론조사 실시 - 손쉬운 참가, - 총 994세대중 119세대 참가 - 시/공간 초월한 충분한 토론 가능. - 찬성 110세대 / 반대 9세대 -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 과제
  • 33.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5월 7일 ID 관리사무소 차량 통제에 따른 문제점 중앙통로 보행가로화에 따른 구체적 동선 계획 공지 - 차량동선이 필로티 아래를 통과해야 한다. - 입주자 대표회에서 공식 결정 - 지하주차장과 주동간 엘리베이터가 연결되어 있지 - 2005년 5월 9일부로 시행 않아 지하에 주차하고 걸어올라와야 한다.
  • 34.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5년 5월 1일 ID 아데라움(106-901) 중앙통로 보행자통로화 준비 - 횡단보도, 과속방지턱 삭제
  • 35.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 36.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 37. 2005년 6월 16일 ID KYUNG SAM 중앙통로 차단 시행중 - 차량통제 시설물 설치
  • 39. 울산도 ‘맞춤형 아파트시대’ 입주예정자 불합리 공정 개선요구 삼산 아데라움 주차장변경등 모범사례 지난해 2월 입주를 시작한 남구 삼산동 아데라움도 마찬가지다. 실제 이 아파트의 지상주차장은 당초 도면상 주차공간으로 설계돼 있었으나 입주예정자협의회의 건의 이후 울산지역 최초로 차량통행이 없 는 테마공원으로 탈바꿈됐다. 또 시공사측과의 의견조율을 통해 주민공동편의시설을 원형 돔형의 지하구조물로 조성한 것을 비롯해 밋밋했던 아파트 벽면 도면을 울산대학교 시각디자인과에 의뢰하도록 하는 등 조경, 방음벽 등 30여 가지에 이르는 공정에서 입주예정자들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했다. 이처럼 아데라움 아파트가 시공사의 일방적 공사가 아닌, 실수요자가 주문한 ‘맞춤식 아파트’로 건립되 기까지는 당시 입주예정자협의회를 이끌었던 강일영(48) 대표를 비롯한 집행부 10여명의 활약이 컸다. 이 협의회의 집행부는 전체 994세대 중 KT직원(통신전문가), 종합건설사 임원(건설전문가), 환경관련 업체 공장장(환경전문가) 등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 소비자 중심의 아파트를 건립하는데 실질적인 위력을 발휘했다. 울산 매일신문사 경제부종합 2006-06-25 23:50:53
  • 40. CASE STUDY 02 파주 조리읍 한라 비발디 작은 도서관 운동 사이버 공동체를 통한 작은도서관 리모델링 및 자치운영 조사대상: 인터넷 NAVER카페 ”파주 한라비발디 카페”_http://cafe.naver.com/pajuviva.cafe 조사자: 윤주선 (카페운영자 ID “진이아빠” 와 협의후 조사) 조사일: 2007년 8월 13일~
  • 41.
  • 42.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0년 7월 ID 입주 시작 선큰광장으로 계획되어 분양됨 - 지하에 위치하여 주민의 이용 없이 방치 - 2003년 7월 도서관으로 전환
  • 43.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3년 7월 8일 도서관으로 개장 - 신간 부족, 관리의 어려움, 홍보 부족, 짧은 운영시간 등의 이유로 여전히 활성화되지 못한 채 방치되어 왔다.
  • 44.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6월 9일 네이버 카페 생성 2006년 9월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작은 도서관 운동 제안 - 인터넷 카페를 통한 주민들의 아파트에 대한 관심을 발전적 방향으로 전환 - 인터넷 카페 스텝을 중심으로 도서관 운영위원회 결성
  • 45.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6월 9일 네이버 카페 생성 2006년 9월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작은 도서관 운동 제안 - 출판 평론가 ‘푸코대디’, 전직 사서 ‘랄랄라’, 서점 운영인 ‘서점아찌’의 주도로 인터넷 카페상에서 작은 도서관 운영을 위한 밑그림 및 방향 토론
  • 46.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11월 도서관 리모델링 기금 마련 기증도서 경매, 기부금, 자원봉사 활동시작 - 물품 제외 기금 500만원 모금 - 도서관 1차 리모델링 실시
  • 47.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12월 1차 리모델링 실시 - 사서실, 유아방 등 도색, 도배 - 겨울철 난방 위한 전기패널 공사
  • 48.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6년 11월 삼성사회봉사단의 ‘희망의 도서관’사업 선정 - 사이버 공동체를 통한 활발한 주민참여를 인정받아 아파트 도서관으로는 유일하게 선정 - 3000만원 지원 확정
  • 49. 2007년 3월 주민 공동사서제 시행, 강좌 개설 - 노인회의 바둑 강좌, 분녀회의 동화구현등 시작 - 입주자 대표회로부터 신간구입비 월 60만원 지원 확정, 신간의 안정적 확보
  • 50. I  문제제기 I  대안토론 I  대안결정 I  사업실행 I  사후평가 I 2007년 7월 삼성 지원금을 통한 2차 리모델링 실시 - 냉난방기, 이동식 난방기, 공기청정기, 노트북, 빔프로젝트 설치 - 도서관을 사랑하는 아빠들의 모임, 도서관 후원회 발족
  • 53. [ 시사점 ]  참여폭 확대 기존 부녀회와 주부중심의 마을만들기와 달리 직장인 남성들의 참여가 대폭 증가했다  실제 본 연구의 2 사례를 포함한 많은 아파트 사이버공동체의 운영자가 직장인 남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저항적 참여  창조적 참여 기존 아파트 마을만들기 사례는 시공 비리 대책, 관리비 합리화 등 저항적 참여가 주를 이루었다면 본 연구의 사례 는 더 나은 거주환경을 위한 창조적 참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없어서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닌 있음으로 해서 삶의 질이 향상되는 보행자 전용가로, 작은 도서관 등은 사이버 공동체를 통하지 않을 경우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과 토론이 쉽지 않은 사안이다.  외부 공용공간 개선 시설의 확충에 머물렀던 기존 마을만들기와 달리 주민 준전문가가 주도한 아데라움 사례는 보다 나은 주거환경 을 위한 외부 공용공간의 개선에 준전문가 집단의 지식과 경험이 큰 역할을 하였다.  실제 건축, 환경 전문가들의 참여로 현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지속적인 토론 주민설명회 등의 단발적 행사가 아닌 일상속에서의 지속적인 토론 가능  아데라움 사이버 공동체의 경우 2004년 10월 22일 최초 차량통제에 대한 제안글이 올라오기 시작해서 2006 년 12월 11일 조사 당시까지 중앙도로 보행자 전용가로화와 직접 관련된 글은 총 21건이 등록되었고 120건의 주민투표를 제외한 총 73건의 찬,반 댓글이 등록되었다.  파주 비발디 사이버 공동체의 경우 2006년 9월 12일 최초 작은도서관 제안글 이후 2007년 9월 조사 당시까 지 작은 도서관 운동과 직접 관련된 165개의 게시글이 등록되었다.
  • 54. [ 사례별 시사점 ]  아데라움 사례 입주 전 설계 단계에서의 주민참여  선분양 후 입주까지 누가 거주하게 될 지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공론화 되기 힘들었던 아파트 설계의 질에 대 해 사이버공동체를 통한 여론형성으로 중앙도로 보행자가로화와 더불어, - 도색변경 (인근 울산대 미대 교수의 협조) - 방음벽 개선 (대나무 및 유리 활용) - 조경 개선 (막구조 선큰광장 등 추가) - 캐노피 변경 - 세대간 에어컨 위치 고정 협정 등의 거주환경 개선이 이루어 졌다.  비발디 사례 입주 후 주거환경 가꾸기 단계에서의 주민참여  거주과정에서 많은 수의 청소년 거주인구와 서울외곽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교육의 질 저하라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작은 도서관 운동 예산 확보 문제에 대한 대안  주민참여의 난제 중 하나인 저예산 문제를 기금모금, 주민봉사와 더불어 민간 사회봉사 단체의 협조를 통해 해결하여 민간 기업, 주민, 행정의 관계 설정
  • 55. [ 한계점 ]  생활요구 vs 계획요구 용도설정 단계에 그치고 있다  보행자 전용 가로 추가, 작은 도서관 기능 등 용도 및 기능의 문제에 그치고 있으며 계획, 설계 단계까지 이르 지 못하였다. - 도시, 건축 관련 전문가의 참여 미흡  제도화 미비 기존 아파트 관리 주체인 부녀회,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사무소와의 마찰  사이버공동체 및 주민 준전문가에 대한 공식적인 권한이나 임명절차 등이 정해져 있지 않아, 기존 단체들과의 마찰 발생 - 실제 아데라움 카페의 경우 동대표와의 마찰로 인해 한 차례 폐쇄가 되기도 하였다. - 비발디의 경우 기존 기득권층인 부녀회와의 크고 작은 마찰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자원봉사 형식으로 참여하는 주민 준전문가의 노력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 57. 동네건축가 참여 활성화 및 전문성 확보 방안 제안 MOTIVATION & PROFESSINALITY
  • 59. 제 1장 총칙 제 1조(목적) 이 규정은 해당 아파트 단지내에 준 전문가로써 동네건축가를 지정하여 거주생활의 쾌적성을 높이는것을 목적으 로 한다. 제2장 (기능) 동네건축가는 다음 각 호의 기능을 수행한다. 1. 동네건축가는 인터넷 입주자 커뮤니티에 별도의 게시판을 마련하여 주민들의 관련 질의에 답변한다. 2. 스스로 발견하거나 주민이 제기한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 대안을 제시한다. 3. 스스로 발견하거나 주민이 제기한 문제점과 관련된 우수 사례를 게시판을 통해 소개한다. 4. 제기된 제시안이 주민투표 및 입주자 대표회의를 거쳐 시행될 경우 전문가와 입주자 대표회, 주민간의 의사소통을 보조한 다. 제3장(구성,임기) 1. 동네건축가는 해당 단지에 임기 중 절반이상을 거주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2. 동네건축가의 선임은 해당분야 전공학생, 종사자중 지원자를 자격요건으로 한다. 3. 동네건축가의 선임은 지원자중 입주자 대표회의의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결정한다. 4. 동네건축가의 임기는 1년으로 하며, 연임이 가능하다. 5. 동네건축가는 중복 선임이 가능하며 중복되어 선임할 경우 대표자를 선출한다. 제4장(회의) 1. 동네건축가는 입주자 대표회의의 자문 자격을 갖는다. 2. 동네건축가는 입주자 대표회의에 참여 및 참관할 수 있고 참고 발언을 할 수 있으나, 의결권은 없다.
  • 60. [의사 결정권자의 자문]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관련 의결 결정시 입주자 대표 자문 역할 관리사무소 시공회사 [전문가와 주민간 의사소통] 동 대표 동 대표 동 대표 동 대표 동 대표 TRANSLATOR로써의 역할 CYBER COMMNITY: INTERNET CAFE [소통] 인터넷 입주민 카페 활용 의견 구체화(전문화)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입주민 동네건축가 예상되는 폐해 지적 관련된 우수 사례 소개
  • 61. TOWN TOWN FEEDBACK TOWN NEIGHBORHOOD ARCHITECT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FEEDBACK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CLASS Professor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NEIGHBORHOOD FEEDBACK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NEIGHBORHOOD ARCHITECT [수업을 통한 동네건축가 활동 촉진: 자문, 동기부여, 학습효과]
  • 62. TOWN TOWN 주민들 제안에 전문성 부여 ------------------------ FEEDBACK TOWN 1.주민들의 제안에서 추후 예상되는 문제점 예측 NEIGHBORHOOD 역할 2.주민들의 제안 구체화, 전문적 사례를 동네 문제점에 대입하 ARCHITECT 1.자신이 거주하는 동네의 공공영역에 대한 관찰, 인터넷 입주자 여 쉽게 풀어서 설명. 카페를 통한 문제점 조사 NEIGHBORHOOD NEIGHBORHOOD 2.주민들의 개선안 제안 조사-> 주민들의 개선안에 대한 문제점 ARCHITECT ARCHITECT 분석-> 적절한 대안 계획-> 인터넷 카페를 통한 토론 -> FEEDBACK 동네건축가에 전문성,객관성 부여 -------------------- FEEDBACK -> 개선안 결정 ->인터넷 여론조사 실시 1.동네건축가의 잘못된 판단에 대한 지적 3.개선안 제안에 앞서 제기된 문제에 대한 국내, 국외 우수사례를 지속적으로 소개하여 공감대를 형성한다. 2.수업 토론을 통한 새로운 해결방안 조성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3.가능한 대안에 대한 구체화 추진 ARCHITECT CLASS 과제 Professor 1.자기가 거주하는 ‘동네’의 문제점을 관찰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2.그 후, 인터넷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개선안에 대한 주민들의 합 ARCHITECT FEEDBACK 의를 도출해보자. 3.개선안은 이미 주미들에 의해 제기된 문제일 수도 있다. 개선안 은 전문가와 논의 가능한 수준의 구체적인 결과물을 요구한다. NEIGHBORHOOD NEIGHBORHOOD ARCHITECT ARCHITECT NEIGHBORHOOD ARCHITECT [수업을 통한 동네건축가 활동 촉진: 자문, 동기부여, 학습효과]
  • 63. 2007 Community Design and Streets THANK YOU FOR YOUR AT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