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 the first to like this
Slideshare uses cookies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you with relevant advertising. If you continue browsing the sit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n this website. See our User Agreement and Privacy Policy.
Slideshare uses cookies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you with relevant advertising. If you continue browsing the sit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n this website. See our Privacy Policy and User Agreement for details.
Published on
음악을 만드는 예술가가 과학을 이야기한다는 게 조금 생소하게 다가올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꼭 과학에 대한 지 식이 풍부해야만 과학을 이야기할 수 있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의 이야기는 12살 때 ‘헤일-밥 혜성’을 처음 본 순간에서부터 시작합니다. 어릴 적 캄캄한 밤하늘에 반짝거 리는 별을 바라보는 것 자체만으로 즐거웠습니다. 커다란 혜성은 하늘이 준 선물과도 같았죠. 혜성처럼 우주를 여 행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매일 우주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천문학자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천문학자가 되기 위해선 수학과 과학을 잘해야 했으나 저는 머리가 그 정도로 뛰 어나진 않았습니다. 어린 마음에 눈물을 머금고 천문학자의 꿈을 포기했습니다. 그런 제 마음을 위로해준 것이 음 악이었고, 결국 지금까지 음악가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주나 과학에 흥미를 잃은 것은 아니었지요. 시간이 날 때마다 우주, 과학 관련 도서를 구매해 읽었습니다. 물론 그중 대부분은 이해가 가지 않는 내용 뿐이었지만요. 그러던 어느 날 칼 세이건의 <코스>라는 책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책 내용 중 ‘코스모스란 생명의 음악을 기술하는 악보’라는 문장을 발견했 습니다. 우주를 음악으로 이해해도 되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그래서 책에 나오는 몇 가지 문장들을 바탕으로 제가 상상하는 우주를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로 2010년 12월, 첫 번째 전자음악 앨범 <cosmos>를 완성 하였습니다.
저는 오늘 강연을 통해 수학과 과학에 재능이 없고 이공계열 출신이 아니어도 충분히 과학을 좋아하고 즐길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 [2013 10월의 하늘] 강연 소개글 中
Be the first to like this
Be the first to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