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9
4. 좁은 세상(Small World) 20510708 박혜진  20510708 박혜진 20210611 원정희
누가 현재의 직업을 찾는 데 도움을 주었는가?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약한 연결의 힘 (The Strength of Weak Ties)   그냥 아는 사람  (acquaintances) Mark Granovetter
약한 연결의 힘 약한 사회적 연결 강한 친분관계
강한 연결과 약한 연결
약한 연결의 힘 무작위 네트워크 에르되스-레니(Erdos-Renyi)
약한 연결의 힘 그라노베터가 그리는 사회상  내부적으로는 완전하게 연결된 클러스터들이 상호 간에  몇몇 약한 연결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분절화된 그물망.
동시성 (synchrony)
던컨와츠(Duncan Watts) 귀뚜라미 울음 소리의동기화  점점 귀뚜라미 보다는 네트워크에 더 깊이 생각
던컨와츠(Duncan Watts) “나의 친한 두 사람이 서로 알 확률은 얼마일까?” 무작위 네트워크 이론 그라노베터의사회 네트워크 우리는 서로 간에 아는 클러스터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결국 나 의 두 친구는 서로 알게 된다.  나의 두 친구가 서로 알게 될 가능성은 베니스의 곤돌라 사공과 에스키모 어부가 서로 알게 될 가능성과 동일.
클러스터링 계수(clustering coefficient) 수학자와 물리학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방식으로 사회의 클러스터적 성격에 대한 증거를 모으기 위해서는 클러스터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함.  4 실제로 존재하는 링크의 개수 0.66 6 모두 친구관계일 때의 링크 개수 ,[object Object],-0에 가까운 숫자:  친구들 상호 간에는 서로 잘 모르고 오직 당신만이 그들과 1대 1로 관계 맺고 있다.
에르되스넘버(Erdos number) By. 폴 에르되스(Paul Erdos) 에르되스로부터의 거리를 재기 위해 ‘에르되스 넘버’를 도입.  에르되스 자신의 에르되스넘버 – 0 그와 공동저작을 한 사람의 에르되스넘버 – 1 에르되스의공종저자와함게 공동저작을 한 사람의에르되스넘버 -2  좁은 세상의 형상
약한 연결의 힘 타마스비첵(TamasVicsek) 수학자들이 자신의 공동저작 파트너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그들은 고 도로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그라노베터가 그렸던 전체 사회에 대한 모습과 유사.  마크 뉴만(Mark Newman) 사회적 시스템들 안에는 클러스터들이 존재.
클러스터와 클러스터링 클러스터(cluster)≒파벌(clique) - 친근함, 안전 ,익숙함 등을 주는 네트워크 . 씨 엘레강스(C.elegans)의 신경 체계 연결 구조망 = 미국 서부지역 전력 네트워크  = 인터넷상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기업들간의 공동소유 네트워크  = 자연 생태계의 먹이사슬  = 세포 내의 분자 네트워크 클러스터링은 보편적.
와츠와스트로가츠의 연구 - 1998년 《네이처(Nature)》에 기고한 논문에서 에르되스-레니 모델에 대한                 대안적 모델을 제시 - 클러스터링과 무작위 그래프의 우연성을 화해시킨 모델
넓은 세상 모델 ▸사람들은 서클상에 위치 ▸각자는 자신의 직접적 이웃을 앎 ▸각 노드는 모두 똑같이 4명의 이웃을 가짐 ▸이웃들은 3개의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됨 ▸4개의 이웃 모두가 연결될 시 6개의 링크가 존재하나 모델에서는 실제 3개의 링크만 존재  -> 클러스터링 계수는 3/6, 즉 0.5   클러스터링계수가 매우 높다 ▪ 어떻게 클러스터링 계수가 높음을 알 수 있는가? ▸4개의 노드와 연결되었으나 그 링크가 무작위적으로 부여되는 경우 ▸전체 노드 계수가 12개일 경우 클러스터링 계수는 0.33 ▸10억의 노드가 있다면 클러스터링 계수는 10억 분의 4가 됨 ▸곧 새로운 모델이 가정하는 0.5의 클러스터링 계수는 엄청나게 큰 것 ▪ 높은 클러스터링을 도입하며 생긴 문제점 - ‘좁은 세상’이 없어짐 ▸그림의 모델 사회에선 나의 1차적 또는 2차적 이웃만 나와 가까움. ▸원의 반대편의 사람과 악수를 위해선 수없이 많은 악수를 해야함 ▸모델 상에서 맨 위의 노드에서맨 아래의 노드까지 적어도 3개의 링크가 필요 ▸60억의 노드를 대상으로 동일 구조의 모델을 만들 때 맨 위의 노드에서 맨 아래의 노드까지의 최단 경로는 10억 이상의 악수를 필요로 함
좁은 세상 모델 ▪ 거대한 네트워크가 ‘좁은 세상’의 속성을 갖기 위해선 일부의 장거리 링크가 필요 ▸현실 속 우리는 지구상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과의 링크를 가짐 ▸오늘날 사회에 대한 현실적인 모델은 장거리 링크를 허용 해야함 ▸원 주변의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노드들간에 몇 개의 링크를 추가 ▸선택된 노드간 거리=1, 직접적 이웃의 거리 감소 ▪ 와츠-스트로가츠의 발견 중 가장 놀라운 것은 링크를 몇 개만 추가해도 노드 간의 평균거리가 급격히 줄어든다는 것(클러스터링의 계수에는 변화를 주지 않음) ▸모델에서 클러스터링 계수에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며 경로 거리를 급격히 줄일 수 있다는 점 = 소수일지라도 장거리 링크를 가진 친구를 사귀면 국지적인 친구 사귐도 괜찮음을 나타냄 ▸여섯 단계의 분리라는 현상은 위 링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연유한다 할 수 있다 ∴ 거대한 네트워크가 ‘좁은 세상’의 속성을 갖기 위해 극소수의 무작위적 링크만 가져도 됨
와츠-스트로가츠 모델이 에르되스-레니의 세계관과 양립 가능. 와츠-스트로가츠가 발표한 논문의 영향 ▪ 정규적 격자 구조가 출발점이 된다는 것에서 와츠-스트로가츠의 모델은 클러스터를 허용 ▪ 노드를 초기에 원주 위에 배열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노드를 완전히 무작위적으로 연결 ->에르되스-레니의 비전을 충실히 따르고 있음 ∴ 두 모델 모두 근원적으론 주사위를 던져서 링크가 부여되는 평등한 사회를 그리고 있음 ▪ 상당한 정도의 클러스터링을 수용하는 모델 제시  -> 그라노베터가제시한 이미지  의 공식화 ▪ 사회학에서 널리 연구되어 왔던 이슈인 ‘좁은 세상’을 물리학자와 수학자들의 커뮤니티에 소개 ▪ 에르되스-레니의 무작위적 모델과 정규적 격자 모델 양쪽을 우아하게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허브의 등장 허브 ▪ 로봇의 웹 수집 데이터 모양은 이전의 두 모델이 예측한 모습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냄 ▪ 에르되스-레니의 평등주의적 모델도 와츠-스트로가츠의 모델도 이 결과를 설명하지 못함 ->두 모델 모두 특정 노드가 평균적 노드에 비해 훨씬 많은 수의 링크를 갖는 것을 허용치 않음 ▪ 결국 무작위적 세계관을 버리고 현실의 네트워크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나서게 됨 특이하게 많은 수의 링크를 갖고 있는 노드
좁은 세상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좁은 세상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Lee han sol
 
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
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
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cybercommunication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Lee han sol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Lee han sol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Lee han sol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Lee han sol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Lee han sol
 

Similar to 좁은 세상 (7)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
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
링크5. 허브와 커텍터 박양지 이한솔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허브와 커넥터
허브와 커넥터
 

좁은 세상

  • 1. 4. 좁은 세상(Small World) 20510708 박혜진 20510708 박혜진 20210611 원정희
  • 2. 누가 현재의 직업을 찾는 데 도움을 주었는가?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약한 연결의 힘 (The Strength of Weak Ties) 그냥 아는 사람 (acquaintances) Mark Granovetter
  • 3. 약한 연결의 힘 약한 사회적 연결 강한 친분관계
  • 5. 약한 연결의 힘 무작위 네트워크 에르되스-레니(Erdos-Renyi)
  • 6. 약한 연결의 힘 그라노베터가 그리는 사회상 내부적으로는 완전하게 연결된 클러스터들이 상호 간에 몇몇 약한 연결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분절화된 그물망.
  • 8. 던컨와츠(Duncan Watts) 귀뚜라미 울음 소리의동기화 점점 귀뚜라미 보다는 네트워크에 더 깊이 생각
  • 9. 던컨와츠(Duncan Watts) “나의 친한 두 사람이 서로 알 확률은 얼마일까?” 무작위 네트워크 이론 그라노베터의사회 네트워크 우리는 서로 간에 아는 클러스터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결국 나 의 두 친구는 서로 알게 된다. 나의 두 친구가 서로 알게 될 가능성은 베니스의 곤돌라 사공과 에스키모 어부가 서로 알게 될 가능성과 동일.
  • 10.
  • 11. 에르되스넘버(Erdos number) By. 폴 에르되스(Paul Erdos) 에르되스로부터의 거리를 재기 위해 ‘에르되스 넘버’를 도입. 에르되스 자신의 에르되스넘버 – 0 그와 공동저작을 한 사람의 에르되스넘버 – 1 에르되스의공종저자와함게 공동저작을 한 사람의에르되스넘버 -2 좁은 세상의 형상
  • 12. 약한 연결의 힘 타마스비첵(TamasVicsek) 수학자들이 자신의 공동저작 파트너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 그들은 고 도로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그라노베터가 그렸던 전체 사회에 대한 모습과 유사. 마크 뉴만(Mark Newman) 사회적 시스템들 안에는 클러스터들이 존재.
  • 13. 클러스터와 클러스터링 클러스터(cluster)≒파벌(clique) - 친근함, 안전 ,익숙함 등을 주는 네트워크 . 씨 엘레강스(C.elegans)의 신경 체계 연결 구조망 = 미국 서부지역 전력 네트워크 = 인터넷상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 기업들간의 공동소유 네트워크 = 자연 생태계의 먹이사슬 = 세포 내의 분자 네트워크 클러스터링은 보편적.
  • 14. 와츠와스트로가츠의 연구 - 1998년 《네이처(Nature)》에 기고한 논문에서 에르되스-레니 모델에 대한 대안적 모델을 제시 - 클러스터링과 무작위 그래프의 우연성을 화해시킨 모델
  • 15. 넓은 세상 모델 ▸사람들은 서클상에 위치 ▸각자는 자신의 직접적 이웃을 앎 ▸각 노드는 모두 똑같이 4명의 이웃을 가짐 ▸이웃들은 3개의 링크에 의해 서로 연결됨 ▸4개의 이웃 모두가 연결될 시 6개의 링크가 존재하나 모델에서는 실제 3개의 링크만 존재 -> 클러스터링 계수는 3/6, 즉 0.5 클러스터링계수가 매우 높다 ▪ 어떻게 클러스터링 계수가 높음을 알 수 있는가? ▸4개의 노드와 연결되었으나 그 링크가 무작위적으로 부여되는 경우 ▸전체 노드 계수가 12개일 경우 클러스터링 계수는 0.33 ▸10억의 노드가 있다면 클러스터링 계수는 10억 분의 4가 됨 ▸곧 새로운 모델이 가정하는 0.5의 클러스터링 계수는 엄청나게 큰 것 ▪ 높은 클러스터링을 도입하며 생긴 문제점 - ‘좁은 세상’이 없어짐 ▸그림의 모델 사회에선 나의 1차적 또는 2차적 이웃만 나와 가까움. ▸원의 반대편의 사람과 악수를 위해선 수없이 많은 악수를 해야함 ▸모델 상에서 맨 위의 노드에서맨 아래의 노드까지 적어도 3개의 링크가 필요 ▸60억의 노드를 대상으로 동일 구조의 모델을 만들 때 맨 위의 노드에서 맨 아래의 노드까지의 최단 경로는 10억 이상의 악수를 필요로 함
  • 16. 좁은 세상 모델 ▪ 거대한 네트워크가 ‘좁은 세상’의 속성을 갖기 위해선 일부의 장거리 링크가 필요 ▸현실 속 우리는 지구상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과의 링크를 가짐 ▸오늘날 사회에 대한 현실적인 모델은 장거리 링크를 허용 해야함 ▸원 주변의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노드들간에 몇 개의 링크를 추가 ▸선택된 노드간 거리=1, 직접적 이웃의 거리 감소 ▪ 와츠-스트로가츠의 발견 중 가장 놀라운 것은 링크를 몇 개만 추가해도 노드 간의 평균거리가 급격히 줄어든다는 것(클러스터링의 계수에는 변화를 주지 않음) ▸모델에서 클러스터링 계수에 큰 변화를 주지 않으며 경로 거리를 급격히 줄일 수 있다는 점 = 소수일지라도 장거리 링크를 가진 친구를 사귀면 국지적인 친구 사귐도 괜찮음을 나타냄 ▸여섯 단계의 분리라는 현상은 위 링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연유한다 할 수 있다 ∴ 거대한 네트워크가 ‘좁은 세상’의 속성을 갖기 위해 극소수의 무작위적 링크만 가져도 됨
  • 17. 와츠-스트로가츠 모델이 에르되스-레니의 세계관과 양립 가능. 와츠-스트로가츠가 발표한 논문의 영향 ▪ 정규적 격자 구조가 출발점이 된다는 것에서 와츠-스트로가츠의 모델은 클러스터를 허용 ▪ 노드를 초기에 원주 위에 배열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노드를 완전히 무작위적으로 연결 ->에르되스-레니의 비전을 충실히 따르고 있음 ∴ 두 모델 모두 근원적으론 주사위를 던져서 링크가 부여되는 평등한 사회를 그리고 있음 ▪ 상당한 정도의 클러스터링을 수용하는 모델 제시 -> 그라노베터가제시한 이미지 의 공식화 ▪ 사회학에서 널리 연구되어 왔던 이슈인 ‘좁은 세상’을 물리학자와 수학자들의 커뮤니티에 소개 ▪ 에르되스-레니의 무작위적 모델과 정규적 격자 모델 양쪽을 우아하게 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
  • 18. 허브의 등장 허브 ▪ 로봇의 웹 수집 데이터 모양은 이전의 두 모델이 예측한 모습과 현격한 차이를 나타냄 ▪ 에르되스-레니의 평등주의적 모델도 와츠-스트로가츠의 모델도 이 결과를 설명하지 못함 ->두 모델 모두 특정 노드가 평균적 노드에 비해 훨씬 많은 수의 링크를 갖는 것을 허용치 않음 ▪ 결국 무작위적 세계관을 버리고 현실의 네트워크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나서게 됨 특이하게 많은 수의 링크를 갖고 있는 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