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Restfull API
2016.09.12
응취업
임재현
1. 왜 REST API 일까?
2. REST API 란?
3. 리소스란?
4. API 설계
5. 장점 단점
목차
1.1 왜 REST API 일까?
왜 REST API 일까?
3 / 14
SOAP VS REST
1.1 왜 REST API 일까?
SOAP
4 / 14
웹서비스 내의 모든 데이터는 구조적인 XML로 표현된다.
SOAP 데이터 구조
1.1 왜 REST API 일까?
SOAP
5 / 14
단점
1. 개념적으로 REST 보다 어렵고 무거움
2.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 개발이 어려움
3. 개발을 위한 도구가 필요함
4. 무거움
장점
1. 언어, 플랫폼 그리고 통신에 중립적
2. 분산 컴퓨팅 환경을 다루기 위해 설계
3. 웹 서비스를 위해 보급된 많은 표준을 제공
4. 에러 처리에 대한 내용이 기본으로 내장
5. 확장성
1.1 왜 REST API 일까?
REST
6 / 14
REST 데이터 구조
웹서비스 내의 모든 데이터는 단순한 포맷으로 표현된다.
1.1 왜 REST API 일까?
REST
7 / 14
단점
1. Point-to-Point 통신 모델을 가정함 -> 분산환경에
서는 유용하지 않음
2. 보안, 정책 등에 표준이 없음 -> 고려 시 구현이
어려워짐
3. HTTP 통신 모델이 의존
장점
1. 언어, 플랫폼 그리고 통신에 중립적(=SOAP)
2. SOAP보다 개발하기 단순함
3. 학습곡선이 작고 도구가 거의 필요없음
4. 간결함, 추가적인 메시징 계층이 없음.
5. 웹에 가까운 설계와 철학
1.1 왜 REST API 일까? 8 / 14
SOAP VS REST
결국 ‘간결 VS 표준’ 의 문제
1.1 왜 REST API 일까? 9 / 14
트렌드
• 아마존은 REST 서비스가 85%차지
• 야후는 SOAP API 지원계획이 없음
• Google도 마찬가지
2.1 REST API란? 10 / 14
REST란?
1.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2.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스타일
3. HTTP 프로토콜을 정확하고 의도에 맞게 활용하여, 적합한 디자인
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이 명확
4. 의미적인 범용성을 지니므로 중간 계층의 컴포넌트들이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REST의 기본 원칙을 성실히 지킨 서비스 디자인은 “RESTful 하
다.” 라고 흔히 표현
2.1 REST API란? 11 / 14
플랫폼 범용성
2.1 REST API란? 12 / 14
플랫폼 범용성
2.1 REST API란? 13 / 14
REST 의 특징
1) Uniform (유니폼 인터페이스)
Uniform Interface는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
페이스로 수행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말합니다.
2) Stateless (무상태성)
REST는 무상태성 성격을 갖습니다. 다시 말해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
하고 관리하지 않습니다. 세션 정보나 쿠키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
기 때문에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을 단순히 처리하면 됩니다. 때문에 서비스
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서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단
순해집니다.
3) Cacheable (캐시 가능)
RES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HTTP라는 기존 웹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
에,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HTTP가 가
진 캐싱 기능이 적용 가능합니다. HTTP 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
Modified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합니다.
2.1 REST API란? 14 / 14
REST 의 특징
4) Self-descriptiveness (자체 표현 구조)
REST의 또 다른 큰 특징 중 하나는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5) Client - Server 구조
REST 서버는 API 제공,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세션, 로그인 정
보)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할이 확실히 구분되기 때문에 클라이언
트와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내용이 명확해지고 서로간 의존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6) 계층형 구조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 로드 밸런싱,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 있고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2.1 REST API란? 15 / 14
중심 규칙
1)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리소스명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
GET /members/delete/1
위와 같은 방식은 Rest를 제대로 적용하지 않은 URI!
URI는 자원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함
Delete같은 행위에 대한 표현이 들어가서는 안됨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 등)로 표현
DELETE /members/1
위와 같이 수정가능
2.1 REST API란? 16 / 14
중심 규칙
회원정보를 가져오는 URI
GET /members/show/1 (x)
GET /members/1 (o)
회원을 추가할 때
GET /members/insert/2 (x) - GET 메서드는 리소스 생성에 맞지 않습니다.
POST /members/2 (o)
METHOD 역할
POST POST를 통해 해당 URI를 요청하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GET
GE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조회합니다. 리소스를 조회하고 해당 도큐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가져온다.
PUT PU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수정합니다.
DELETE DELETE를 통해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2.1 REST API란? 17 / 14
리소스란?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보통 파일리소스 (ex. .jpg, .html)
-> http://a.com/logo.gif ( URL&&URI )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
-> http://a.com/logo?name=1234 (URI)
URI>URL
2.1 REST API란? 18 / 14
설계 주의점
1. 슬래시 구분자(/)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
http://restapi.example.com/houses/apartments
http://restapi.example.com/animals/mammals/whales
2. URI 마지막 문자는 슬래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http://restapi.example.com/houses/apartments/ (X)
http://restapi.example.com/houses/apartments (0)
3. 하이픈(-)은 URI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
2.1 REST API란? 19 / 14
설계 주의점
5. 경로에는 소문자가 적합
-> 대문자 소문자 다른 리소스로 인식
4. 밑줄(_)은 URI에 사용하지 않는다.(가독성)
6.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RFC 3986 is the URI (Unified Resource Identifier) Syntax document
http://restapi.example.com/members/soccer/345/photo.jpg (X)
-> REST API에서는 메시지 바디 내용의 포맷을 나타내기 위한 파일 확장자를 URI 안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Accept header를 사용하도록 합시다.
GET / members/soccer/345/photo HTTP/1.1 Host: restapi.example.com
Accept: image/jpg
2.1 REST API란? 20 / 14
리소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
REST 리소스 간에는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고,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방법으로 사용합니다.
) /리소스명/리소스 ID/관계가 있는 다른 리소스명
ex) GET : /users/{userid}/devices (일반적으로 소유 ‘has’의 관계를
표현할 때
만약에 관계명이 복잡하다면 이를 서브 리소스에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좋아하는’ 디바이스 목록을 표현해야 할 경우 다
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GET : /users/{userid}/likes/devices
(관계명이 애매하거나 구체적 표현이 필요할 때)
2.1 REST API란? 21 / 14
자원을 표현하는 Colllection과 Document
Collection과 Document에 대해 알면 URI 설계가 한 층 더 쉬워집니다.
DOCUMENT는 단순히 문서로 이해해도 되고, 한 객체라고 이해하셔도 될 것 같습
니다. 컬렉션은 문서들의 집합, 객체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는데 좀
더 편하실 것 같습니다. 컬렉션과 도큐먼트는 모두 리소스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URI에 표현됩니다. 예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 restapi.example.com/sports/soccer
http:// restapi.example.com/sports/soccer/players/13
위 URI를 보시면 sports라는 컬렉션과 soccer라는 도큐먼트로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좀 더 예를 들어보자면
sports, players 컬렉션과 soccer, 13(13번인 선수)를 의미하는 도큐먼트로 URI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컬렉션은 복수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입
니다. 좀 더 직관적인 REST API를 위해서는 컬렉션과 도큐먼트를 사용할 때 단수
복수도 지켜준다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운 URI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Restfull api

Swc발표자료2 2(restful)
Swc발표자료2 2(restful)Swc발표자료2 2(restful)
Swc발표자료2 2(restful)
마경근 마
 
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
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
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
DataUs
 

Similar to Restfull api (20)

REST Concept
REST ConceptREST Concept
REST Concept
 
RESTful API
RESTful APIRESTful API
RESTful API
 
RESTful API 손쉽게 사용하기
RESTful API 손쉽게 사용하기RESTful API 손쉽게 사용하기
RESTful API 손쉽게 사용하기
 
Swc발표자료2 2(restful)
Swc발표자료2 2(restful)Swc발표자료2 2(restful)
Swc발표자료2 2(restful)
 
REST
RESTREST
REST
 
WoO 2012-Web 서비스 기술
WoO 2012-Web 서비스 기술WoO 2012-Web 서비스 기술
WoO 2012-Web 서비스 기술
 
REST에 대해 알아봅시다.pdf
REST에 대해 알아봅시다.pdfREST에 대해 알아봅시다.pdf
REST에 대해 알아봅시다.pdf
 
SOAP 기반/ RESTful기반 웹서비스 비교
SOAP 기반/ RESTful기반 웹서비스 비교SOAP 기반/ RESTful기반 웹서비스 비교
SOAP 기반/ RESTful기반 웹서비스 비교
 
RESTful pattern policy
RESTful pattern policyRESTful pattern policy
RESTful pattern policy
 
RDF와 Graph의 이해 및 오라클 Spartial&Graph 소개
RDF와 Graph의 이해 및 오라클 Spartial&Graph 소개RDF와 Graph의 이해 및 오라클 Spartial&Graph 소개
RDF와 Graph의 이해 및 오라클 Spartial&Graph 소개
 
REST Ovewview
REST OvewviewREST Ovewview
REST Ovewview
 
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
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
220302 사내세미나_오정민 REST API와 크롤링
 
[112]rest에서 graph ql과 relay로 갈아타기 이정우
[112]rest에서 graph ql과 relay로 갈아타기 이정우[112]rest에서 graph ql과 relay로 갈아타기 이정우
[112]rest에서 graph ql과 relay로 갈아타기 이정우
 
open api seminar
open api seminaropen api seminar
open api seminar
 
RDF 해설서
RDF 해설서RDF 해설서
RDF 해설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2012.12_ 서울시 공공데이터 Open api 검증보고서
 
RESTful Java
RESTful JavaRESTful Java
RESTful Java
 
DGMIT 제3회 R&D 컨퍼런스 r&d1 team : HTTP 프로토콜 개요
DGMIT 제3회 R&D 컨퍼런스 r&d1 team : HTTP 프로토콜 개요DGMIT 제3회 R&D 컨퍼런스 r&d1 team : HTTP 프로토콜 개요
DGMIT 제3회 R&D 컨퍼런스 r&d1 team : HTTP 프로토콜 개요
 
Basic of web ref.웹을지탱하는기술_01
Basic of web ref.웹을지탱하는기술_01Basic of web ref.웹을지탱하는기술_01
Basic of web ref.웹을지탱하는기술_01
 
[H3 2012] Open API 와 Ruby on Rails 에 대한 이야기
[H3 2012] Open API 와 Ruby on Rails 에 대한 이야기[H3 2012] Open API 와 Ruby on Rails 에 대한 이야기
[H3 2012] Open API 와 Ruby on Rails 에 대한 이야기
 

Recently uploaded

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
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
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
ahghwo99
 
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
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
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
cho9759
 

Recently uploaded (6)

암호화 보안USB & 외장하드 중앙관리 솔루션 ‘DataLocker SafeConsole’_DATASHEET
암호화 보안USB & 외장하드 중앙관리 솔루션 ‘DataLocker SafeConsole’_DATASHEET암호화 보안USB & 외장하드 중앙관리 솔루션 ‘DataLocker SafeConsole’_DATASHEET
암호화 보안USB & 외장하드 중앙관리 솔루션 ‘DataLocker SafeConsole’_DATASHEET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아틀란티스 졸업작품 commINUty PPT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아틀란티스 졸업작품 commINUty PPT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아틀란티스 졸업작품 commINUty PPT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아틀란티스 졸업작품 commINUty PPT
 
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
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
INU Graduation Powerpoint-Rabbit FootPrint
 
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
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
캡스톤-디자인-최종-발표-(대상혁) 24년도 졸업작품발표회 ppt.pptx
 
인천대학교 캡스톤디자인(2) Pencil me 프레젠테이션 발표자료 파일
인천대학교 캡스톤디자인(2) Pencil me 프레젠테이션 발표자료 파일인천대학교 캡스톤디자인(2) Pencil me 프레젠테이션 발표자료 파일
인천대학교 캡스톤디자인(2) Pencil me 프레젠테이션 발표자료 파일
 
2024년 5월 27일 개발자 이야기 - AWS 람다의 내부 동작 방식 외
2024년 5월 27일 개발자 이야기 - AWS 람다의 내부 동작 방식 외2024년 5월 27일 개발자 이야기 - AWS 람다의 내부 동작 방식 외
2024년 5월 27일 개발자 이야기 - AWS 람다의 내부 동작 방식 외
 

Restfull api

  • 2. 1. 왜 REST API 일까? 2. REST API 란? 3. 리소스란? 4. API 설계 5. 장점 단점 목차
  • 3. 1.1 왜 REST API 일까? 왜 REST API 일까? 3 / 14 SOAP VS REST
  • 4. 1.1 왜 REST API 일까? SOAP 4 / 14 웹서비스 내의 모든 데이터는 구조적인 XML로 표현된다. SOAP 데이터 구조
  • 5. 1.1 왜 REST API 일까? SOAP 5 / 14 단점 1. 개념적으로 REST 보다 어렵고 무거움 2.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 개발이 어려움 3. 개발을 위한 도구가 필요함 4. 무거움 장점 1. 언어, 플랫폼 그리고 통신에 중립적 2. 분산 컴퓨팅 환경을 다루기 위해 설계 3. 웹 서비스를 위해 보급된 많은 표준을 제공 4. 에러 처리에 대한 내용이 기본으로 내장 5. 확장성
  • 6. 1.1 왜 REST API 일까? REST 6 / 14 REST 데이터 구조 웹서비스 내의 모든 데이터는 단순한 포맷으로 표현된다.
  • 7. 1.1 왜 REST API 일까? REST 7 / 14 단점 1. Point-to-Point 통신 모델을 가정함 -> 분산환경에 서는 유용하지 않음 2. 보안, 정책 등에 표준이 없음 -> 고려 시 구현이 어려워짐 3. HTTP 통신 모델이 의존 장점 1. 언어, 플랫폼 그리고 통신에 중립적(=SOAP) 2. SOAP보다 개발하기 단순함 3. 학습곡선이 작고 도구가 거의 필요없음 4. 간결함, 추가적인 메시징 계층이 없음. 5. 웹에 가까운 설계와 철학
  • 8. 1.1 왜 REST API 일까? 8 / 14 SOAP VS REST 결국 ‘간결 VS 표준’ 의 문제
  • 9. 1.1 왜 REST API 일까? 9 / 14 트렌드 • 아마존은 REST 서비스가 85%차지 • 야후는 SOAP API 지원계획이 없음 • Google도 마찬가지
  • 10. 2.1 REST API란? 10 / 14 REST란? 1.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 2.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스타일 3. HTTP 프로토콜을 정확하고 의도에 맞게 활용하여, 적합한 디자인 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이 명확 4. 의미적인 범용성을 지니므로 중간 계층의 컴포넌트들이 서비스를 최적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REST의 기본 원칙을 성실히 지킨 서비스 디자인은 “RESTful 하 다.” 라고 흔히 표현
  • 11. 2.1 REST API란? 11 / 14 플랫폼 범용성
  • 12. 2.1 REST API란? 12 / 14 플랫폼 범용성
  • 13. 2.1 REST API란? 13 / 14 REST 의 특징 1) Uniform (유니폼 인터페이스) Uniform Interface는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 페이스로 수행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말합니다. 2) Stateless (무상태성) REST는 무상태성 성격을 갖습니다. 다시 말해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 하고 관리하지 않습니다. 세션 정보나 쿠키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 기 때문에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을 단순히 처리하면 됩니다. 때문에 서비스 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서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단 순해집니다. 3) Cacheable (캐시 가능) RES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HTTP라는 기존 웹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 에,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HTTP가 가 진 캐싱 기능이 적용 가능합니다. HTTP 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 Modified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합니다.
  • 14. 2.1 REST API란? 14 / 14 REST 의 특징 4) Self-descriptiveness (자체 표현 구조) REST의 또 다른 큰 특징 중 하나는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5) Client - Server 구조 REST 서버는 API 제공, 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증이나 컨텍스트(세션, 로그인 정 보)등을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각각의 역할이 확실히 구분되기 때문에 클라이언 트와 서버에서 개발해야 할 내용이 명확해지고 서로간 의존성이 줄어들게 됩니다. 6) 계층형 구조 REST 서버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 로드 밸런싱, 암호화 계층을 추가해 구조상의 유연성을 둘 수 있고 PROXY, 게이트웨이 같은 네트워크 기반의 중간매체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 15. 2.1 REST API란? 15 / 14 중심 규칙 1)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 한다. (리소스명은 동사보다는 명사를 사용) GET /members/delete/1 위와 같은 방식은 Rest를 제대로 적용하지 않은 URI! URI는 자원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어야함 Delete같은 행위에 대한 표현이 들어가서는 안됨 2)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GET, POST, PUT, DELETE 등)로 표현 DELETE /members/1 위와 같이 수정가능
  • 16. 2.1 REST API란? 16 / 14 중심 규칙 회원정보를 가져오는 URI GET /members/show/1 (x) GET /members/1 (o) 회원을 추가할 때 GET /members/insert/2 (x) - GET 메서드는 리소스 생성에 맞지 않습니다. POST /members/2 (o) METHOD 역할 POST POST를 통해 해당 URI를 요청하면 리소스를 생성합니다. GET GE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조회합니다. 리소스를 조회하고 해당 도큐먼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가져온다. PUT PUT를 통해 해당 리소스를 수정합니다. DELETE DELETE를 통해 리소스를 삭제합니다.
  • 17. 2.1 REST API란? 17 / 14 리소스란?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 보통 파일리소스 (ex. .jpg, .html) -> http://a.com/logo.gif ( URL&&URI )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자원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열의 구성 -> http://a.com/logo?name=1234 (URI) URI>URL
  • 18. 2.1 REST API란? 18 / 14 설계 주의점 1. 슬래시 구분자(/)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 http://restapi.example.com/houses/apartments http://restapi.example.com/animals/mammals/whales 2. URI 마지막 문자는 슬래시(/)를 포함하지 않는다. http://restapi.example.com/houses/apartments/ (X) http://restapi.example.com/houses/apartments (0) 3. 하이픈(-)은 URI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
  • 19. 2.1 REST API란? 19 / 14 설계 주의점 5. 경로에는 소문자가 적합 -> 대문자 소문자 다른 리소스로 인식 4. 밑줄(_)은 URI에 사용하지 않는다.(가독성) 6.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RFC 3986 is the URI (Unified Resource Identifier) Syntax document http://restapi.example.com/members/soccer/345/photo.jpg (X) -> REST API에서는 메시지 바디 내용의 포맷을 나타내기 위한 파일 확장자를 URI 안에 포함시키지 않습니다. Accept header를 사용하도록 합시다. GET / members/soccer/345/photo HTTP/1.1 Host: restapi.example.com Accept: image/jpg
  • 20. 2.1 REST API란? 20 / 14 리소스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 REST 리소스 간에는 연관 관계가 있을 수 있고,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표현방법으로 사용합니다. ) /리소스명/리소스 ID/관계가 있는 다른 리소스명 ex) GET : /users/{userid}/devices (일반적으로 소유 ‘has’의 관계를 표현할 때 만약에 관계명이 복잡하다면 이를 서브 리소스에 명시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좋아하는’ 디바이스 목록을 표현해야 할 경우 다 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GET : /users/{userid}/likes/devices (관계명이 애매하거나 구체적 표현이 필요할 때)
  • 21. 2.1 REST API란? 21 / 14 자원을 표현하는 Colllection과 Document Collection과 Document에 대해 알면 URI 설계가 한 층 더 쉬워집니다. DOCUMENT는 단순히 문서로 이해해도 되고, 한 객체라고 이해하셔도 될 것 같습 니다. 컬렉션은 문서들의 집합, 객체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는데 좀 더 편하실 것 같습니다. 컬렉션과 도큐먼트는 모두 리소스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URI에 표현됩니다. 예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 restapi.example.com/sports/soccer http:// restapi.example.com/sports/soccer/players/13 위 URI를 보시면 sports라는 컬렉션과 soccer라는 도큐먼트로 표현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좀 더 예를 들어보자면 sports, players 컬렉션과 soccer, 13(13번인 선수)를 의미하는 도큐먼트로 URI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컬렉션은 복수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입 니다. 좀 더 직관적인 REST API를 위해서는 컬렉션과 도큐먼트를 사용할 때 단수 복수도 지켜준다면 좀 더 이해하기 쉬운 URI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