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49
Download to read offline
제    23        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1)김수림*․지현서**․김종규***․정호근****




 목      차

   종합                                5. 오이
   1. 수박                               5.1. 수급 동향
       1.1. 수급 동향                      5.2. 수급 전망
       1.2. 수급 전망                    6. 호박
   2. 참외                               6.1. 수급 동향
       2.1. 수급 동향                      6.2. 수급 전망
       2.2. 수급 전망                    7. 과채류 일본 수출 동향
   3. 토마토                              7.1. 품목별 일본 수출 동향
       3.1. 수급 동향                      7.2. 시사점
       3.2. 수급 전망
   4. 딸기
       4.1. 수급 동향
       4.2. 수급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surim@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kpnu@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jkkim@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hogunc@krei.re.kr
종   합


    ◦ 2010년 과채(6개 품목 기준) 재배면적은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도시주변
제
          농지개발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지
2         의 나쁜 기상여건으로 재정식, 조기 재배종료, 출하지연 등이 빈번하여
부         공급량이 감소하였고, 이에 가격도 대부분 전년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 2010년 과채류 생산량은 235만톤으로 전년보다 8% 감소한 것으로 추정
제         된다. 면적과 단수 증가로 전년보다 5% 증가한 23만톤을 생산한 딸기를
3         제외하면 수박은 76만톤, 토마토와 오이가 33만톤, 호박이 32만톤, 참외
부         는 19만톤 정도로 6∼15% 가량 적게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 2011년 생산량은 평년 수준의 기상여건을 가정하면 2010년보다 딸기만
          3% 감소하고 수박 5%, 참외 7%, 토마토 15%, 오이 5%, 호박 3%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까지 시설재배 기술의 발달로 단수는 계속
          증가하지만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수박, 참외, 딸기는 지금보다 생산량이
          소폭 감소하고, 오이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이 증가하
          는 토마토와 호박은 2021년이 되면 지금보다 30% 정도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과채류에서 파프리카, 멜론, 여름딸기 등이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 파
          프리카는 2001년 이후 연평균 4% 정도 수출이 증가하여 2010년에는 1만
          4천톤, 금액으로는 47억 9천만엔을 기록하였다. 멜론은 2007년부터 수출
          이 증가하여 2010년에는 9백톤, 금액으로는 2억 2천만엔을 기록하였다.

    ◦ 여름딸기는 2003년에 강원도 평창에서 재배를 시작하여 2010년에는 양
          구, 태백, 삼척, 무주로 재배가 확대되었다. 2003년부터 수출이 연평균
          25% 증가하여 2009년에는 2백톤을 수출하였다. 멜론과 여름딸기는 일본
          수입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3%, 5% 정도로 시장점유율이 낮아 품
          질관리와 생산증대를 통한 수출확대가 기대된다.


    61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1     수박


1.1. 수급 동향


1.1.1. 생산 동향

◦ 수박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6% 감소하였다. 노지재배는 생산
  불안정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시설재배는 연작장애로 인한 휴경과 대
  체과일 증가에 따른 소비둔화로 연평균 4% 감소하고 있다.


◦ 2010년 수박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21% 감소한 1만 6,396ha로 나타났다.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품목 전환과 2009년 가을철 낮게 형성된 가격으로
  2∼3기작 재배면적이 줄었기 때문이다. 시설재배는 전년보다 18% 감소
  한 1만 4,103ha, 노지재배는 34% 감소한 2,293ha이다.

          그림 23-1. 수박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제
                                                           23
                                                           장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15
◦ 수박 단수는 2000년 이후 재배기술 향상과 고품질 다수확 품종 보급으로
          연평균 4% 증가하였다. 2010년 단수는 전년보다 13% 증가한 10a에
          4,618㎏로 추정된다.


    ◦ 수박 생산량은 2000년 이후 단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재배면적이 줄어 연
제         평균 2% 감소하였다. 2010년 생산량은 단수가 높지만 재배면적이 줄어
2         전년보다 11% 감소한 76만톤으로 추정된다.

부
    ◦ 시설재배면적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토마토, 멜론, 딸기, 고추 등으로
          전환하여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영남지역 2010년 시설면적은 2002년과
제         2007년보다 각각 40%, 16% 감소하였고, 호남지역은 각각 36%, 12% 감소
3         하였다. 충청지역은 지자체 시설지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감소폭이 작아
부         2010년은 2002년과 2007년보다 각각 1%, 4% 감소하였다.


    ◦ 노지재배는 소득 불안정으로 수박에서 시설재배 혹은 인삼, 복분자 등으
          로 전환하고 있다. 호남지역 2010년 재배면적은 2002년과 2007년보다 각
          각 62%, 26% 감소하였고, 영남지역은 각각 51%, 31% 감소하였다.

                      그림 23-2. 수박 작형별 재배면적 동향




    자료: 통계청(KOSIS).




    61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멜론 재배 동향>

◦ 국내 멜론은 소규모로 재배되었으나 2000년 들어 소비 확대 및 가격 상승으로 재
  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멜론 재배면적은 1990년 이후 연평
  균 16% 증가하였으며, 2009년 재배면적은 호남 756ha, 충청 527ha, 영남 459ha로
  총 1,764ha가 재배되었다.


◦ 멜론 주산지는 전남 담양, 나주, 곡성, 충남 부여지역이며 2기작으로 재배하는 농
  가가 일부 있지만 주로 동기작, 하기작으로 나뉜다.


◦ 가을철 정식 후 11월부터 다음해 6~7월까지 출하하는 동기작은 주로 전남 나주, 경
  남지역에서 재배되며 3~4월 정식 후 6월부터 11월까지 재배되는 하기작은 주로 부
  여, 곡성, 담양, 경북지역에서 재배된다.

                 <멜론 재배면적과 생산량>
          (재배 동향)                 (2009년 지역별 재배면적)




                                                              제
                                                              23
                                                              장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채소류생산실적」. 각 연도.




1.1.2. 출하 및 가격 동향

◦ 2010년 서울(가락)도매시장 반입량은 평년과 전년에 비해 봄, 가을, 겨울
  철이 감소하였고 여름철에 더욱 집중되었다. 4∼5월은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44%, 46% 감소하였다. 이는 정식기와 비대기 기상 악화로 인해 작
  황이 부진하였고 출하가 지연되거나 재배를 포기하였기 때문이다.


◦ 8~11월 반입량은 전년 동월 가격이 낮아 품목전환으로 인한 재배면적 감
  소로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24%, 36% 감소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17
◦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32%,
          38% 상승한 1,935원/kg이다. 6~7월은 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지속된 고
          온의 영향으로 소비가 늘어 1,323원/kg으로 평년 1,155원/kg과 2009년
          1,184원/kg보다 각각 15%, 12% 높았다.

                   그림 23-3. 수박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제
                  (반입량)                     (실질가격)
2
부



제
3
부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
        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4~5월 실질도매가격은 2,040원/kg으로 평년 1,480원/kg과 전년 1,468원/kg
          보다 각각 38%, 39% 높았다. 8~11월은 1,621원/kg으로 평년 948원/kg과
          전년 681원/kg보다 각각 1.7배, 2.4배 높았다.


    ◦ 수박의 최근 3개년(2008∼2010년) 등급별 가격지수는 중품을 100 기준으
          로 9월이 특품 185, 하품 62로 등급별 차이가 가장 컸고, 3월은 특품
          139, 하품 79로 가장 작았다. 7~10월 수박의 등급별 가격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에 농가가 고품질 수박을 출하하면 보다 높은 소
          득을 올릴 수 있다.




    61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그림 23-4. 최근 3개년 수박 등급별 가격지수(중품=100)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농수축산물 거래연보」.


1.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 수박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2%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0년은 공급량이 적어 전년보다 11% 감소한 15.5㎏으로 추정된다.

           그림 23-5. 수박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제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23
                                                               장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19
◦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연평균 2% 감소하였지만, 2010
          년 실질소비자가격은 전년 가을철 출하기 낮은 가격으로 재배가 줄었고,
          여름철 지속된 고온으로 인한 소비증가로 2009년보다 37% 높은 1만
          6,200원/1개 수준이었다.


제   ◦ 2010년 6월 소비자조사 결과, 수박을 구입하는 횟수는 ‘월1회’가 29%로
2         2009년 조사결과보다 9%p 증가하였다.

부
    ◦ 소비자는 수박 가격이 비쌀 경우 ‘참외’ 36%, ‘일반토마토’ 14%, ‘국산포
          도’ 11%, ‘복숭아’ 10% 등의 순으로 소비를 대체하였다. 2009년에 비해
제         참외, 멜론, 기타 과일의 비중만 증가하였다.
3
부   ◦ 특히, 기타 과일(바나나, 파인애플, 오렌지 등)의 경우 2008년과 2009년보
          다 각각 5%p, 1%p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수입과일로 소비
          가 옮겨간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3-6. 수박 구입 횟수와 소비대체재
                 (구입 횟수)                 (소비대체재)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조사치.




    62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1.2. 수급 전망

◦ 2011년 1~3월 수박 정식면적은 2010년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남과 충청지역에서 저온으로 인한 피해 우려로 정식을 줄이고, 다른
  품목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남지역은 2010년과 비슷할 것
  으로 전망된다.


◦ 하지만, 2011년 재배면적은 전년 가격강세의 영향으로 반촉성 및 2~3기
  작 재배면적이 늘어 2010년보다 3% 증가한 1만 6,949ha로 전망된다. 이
  후에는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1만 5,630ha, 2021년 1만 4,486ha로
  추정된다.


◦ 2011년 수박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늘어 2010년보다 5% 증가하며 이후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76만 5천톤, 2021년 73만 7천톤으로 전망된
  다.


◦ 수박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16.2kg, 2016년 15.5kg, 2021년 14.9kg으로
  전망된다.
                                                                             제
       표 23-1. 수박 수급 전망                        그림 23-7.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23
                               전망
 구분    단위      2010                                                          장
                       2011    2016    2021
 재배
        ha     16,396 16,949 15,630 14,486
 면적

 단수    ㎏/10a   4,618   4,675   4,893   5,085


생산량    천톤       757    792     765     737

1인당
        ㎏      15.5    16.2    15.5    14.9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1
2       참외


    2.1. 수급 동향
제
2
    2.1.1. 생산 동향
부
    ◦ 참외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5% 감소하였다. 노지재배는 생산
          불안정으로 줄고 있으며 시설재배도 노동력 부족과 대체과일 증가에 따
제
          른 수요 감소로 연평균 4% 감소하였다.
3
부   ◦ 2010년 참외 재배면적은 노동력 부족과 다른 품목으로의 전환, 정식기
          저온과 여름철 고온의 영향으로 고사주가 증가하여 전년보다 8% 감소한
          6,215ha로 나타났다. 시설참외는 전년보다 7% 감소한 6,097ha, 노지참외
          는 7% 감소한 118ha가 재배되었다.

                 그림 23-8. 참외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62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그림 23-9. 참외 지역별 재배면적 비중




자료: 통계청(KOSIS).



◦ 참외 단수는 2000년 이후 평균 3,178kg/10a 수준에서 정체하고 있다.
  2010년은 정식기와 비대기 기상 악화로 인해 착과가 불량하고 병충해 발
  생이 증가하는 등 작황이 부진하여 전년보다 8% 감소한 10a에 3,119kg
  로 추정된다.

◦ 참외 생산량은 2000년 이후 재배면적이 줄어 연평균 5% 감소하였다.
  2010년은 재배면적이 줄고 단수도 낮아 전년보다 15% 감소한 19만 4천
  톤으로 추정된다.                                                  제
                                                             23
◦ 전국 참외 재배지역 중 영남지역이 2010년 96%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장
  있으며 특히, 경북지역은 2002년 75%에 비해 2010년 87%로 주산지 집
  중이 더욱더 심화되고 있다.

◦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품질경쟁력과 수익성이 낮은 다른 지역의 재배
  비중은 규모를 줄이거나 멜론, 수박, 고추, 포도 등으로 전환하여 감소하
  고 있는 추세이다.

◦ 참외 2010년 재배면적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데 비해, 최대 주산지인 경
  북 성주지역은 4,011ha로 전년보다 4% 증가하였다. 이는, 전년도 높은
  가격 영향으로 신규재배가 늘고 기존 농가의 재배규모가 확대되었기 때
  문이다. 특히, 경북 성주지역의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1% 증가
  하였고, 2010년은 전국 재배면적의 65%를 차지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3
그림 23-10. 경북 성주의 참외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제
2
부



제
3    주: 2010년 전국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성주군청.
부

    ◦ 경북 성주의 2010년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상요인으
          로 인한 단수 감소로 전년보다 12% 적은 12만 7천톤으로 추정된다. 전국
          기준으로 성주 지역의 생산량 비중은 2000년 37%에서 2010년 66%로 증
          가하였다.

    2.1.2. 출하 및 가격 동향

    ◦ 2010년 서울(가락)도매시장 반입량은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8%, 15% 적
          었다. 정식기 저온 피해와 비대기 기상 악화로 인해 고사주가 증가하고
          작황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3~5월 반입량은 평년과 전년보다 각
          각 31%, 43% 감소하였다.

    ◦ 7∼10월 반입량은 가격 강세 지속으로 재배를 연장하는 농가가 늘어 평
          년과 전년보다 각각 9% 증가하였다.

    ◦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15%,
          16% 상승한 2,900원/kg이다. 3~5월은 4,328원/kg으로 평년 4,046원/kg과
          전년 3,995원/kg보다 각각 7%, 8% 높았다.



    62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그림 23-11. 참외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
    =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7~10월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전년 수준과 같은 품질
  회복으로 소비가 늘어 1,988원/kg으로 평년 1,509원/kg과 전년 1,485원/kg
  보다 각각 32%, 34% 높았다.

                                                               제
     그림 23-12. 주산지(성주)와 서울(가락)의 반입량 및 실질가격 비교
                                                               23
           (반입량)                            (실질가격)
                                                               장




 주: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성주군농업기술센터. 서울시농수산물공사.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5
◦ 3~8월 경북 성주의 평균거래량은 서울(가락)도매시장보다 과거 3개년
          (2005~2007년)이 2.2배, 최근 3개년(2008~2010년)이 2.8배 많았다. 평균
          가격도 성주지역 산지가격이 서울도매시장보다 과거 3개년이 1.8배, 최근
          3개년이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   ◦ 서울도매시장의 최근 3개년 4월 참외 가격이 과거 3개년보다 높았던 것
          은 작황부진으로 반입량이 과거 3개년보다 7% 감소하였기 때문이고 7월
2
          은 품질양호로 소비가 유지되어 가격이 높았다.
부

    ◦ 경북 성주와 서울도매시장의 최근 3개년 6월 가격이 낮았던 것은 출하집
제         중과 동시기 대체과일인 수박의 공급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3
    2.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부
    ◦ 참외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5%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0년은 공급량이 적어 전년보다 15% 감소한 4㎏으로 추정된다.

    ◦ 실질소비자가격은 2003년을 고점으로 2009년까지 연평균 3% 감소하였
          지만, 2010년은 기상악화로 인한 공급량 감소와 상반기 이후 품질 회복
          에 의한 소비 유지로 전년보다 24% 높은 1만 6,400원/10개 수준이었다.

                  그림 23-13. 참외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62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2010년 6월 소비자조사 결과 소비자의 참외 소비량은 전년 동월대비 ‘비
  슷하다’ 55%, ‘늘었다’ 25%, ‘줄었다’ 20%로 조사되어 2009년 조사결과
  보다 ‘늘었다’, ‘비슷하다’가 각각 2%p, 1%p 감소한 반면 ‘줄었다’는
  3%p 증가하였다.


◦ 소비자는 참외 가격이 비쌀 경우 ‘수박’ 35%, ‘일반토마토’ 14%, ‘국산포
  도’와 ‘복숭아’ 각각 10% 등의 순으로 소비를 대체하였다. 2009년에 비
  해 수박, 국산포도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일반토마토, 복숭아, 방울토마
  토 등의 비중은 감소하였다.

            그림 23-14. 참외 소비량 변화와 소비대체재
         (소비량 변화)                      (소비대체재)




                                                               제
                                                               23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조사치.
                                                               장
                  표 23-2. 참외 소비량 변화 이유
                                                  단위 : %

                             증가 이유
  구 분
          맛이 좋아      제철 과일   가격 적당     건강 좋아      기타
  2010     43.1       18.6      14.2     2.9      21.2
  2009     47.4       28.1      16.6     4.6       3.3
                             감소 이유
  구 분
          비싼 가격     대체재 많아   맛이 없어     소득 감소      기타
  2010     32.8       30.1      12.8      4.2     20.1
  2009     26.3       40.5      10.2     13.1      9.9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조사치.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7
◦ 소비자가 소비를 늘린 이유는 ‘맛이 좋아서’가 43%로 고품질 참외를 선
          호하는 반면, 줄인 이유는 ‘가격이 비싸서’가 33%로 가장 높아 소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것은 품질과 가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   2.2. 수급 전망
2
    ◦ 2011년 참외 재배면적은 노동력 부족과 다른 품목으로의 전환, 고품질
부
          참외 생산을 위한 연장재배 포기로 2010년보다 2% 감소한 6,098ha로 전
          망된다. 이후에는 연평균 2% 감소하여 2016년 5,311ha, 2021년 5,008ha
제         로 추정된다.

3
    ◦ 2011년 참외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지만 단수가 증가하여 2010년보다
부
          7% 증가한 20만 8천톤으로 전망되며 이후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18만 4천톤, 2021년 17만 6천톤으로 전망된다.


    ◦ 참외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4.2kg, 2016년 3.7kg, 2021년 3.6kg이 될 것
          으로 전망된다.

            표 23-3. 참외 수급 전망                        그림 23-15.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망
     구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ha     6,215   6,098   5,311   5,008
     면적

     단수     ㎏/10a   3,119   3,404   3,460   3,518


    생산량      천톤     194     208     184     176

    1인당
             ㎏       4.0     4.2     3.7     3.6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62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3     토마토


3.1. 수급 동향


3.1.1. 생산 동향

◦ 토마토 재배면적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4% 증가하였으나,
  가격하락과 작목전환으로 2008년 이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0년
  은 전년보다 15% 감소한 5,270ha로 나타났다.

◦ 토마토 단수는 하우스 포장관리와 생산 기술의 꾸준한 향상으로 2001년
  이후 연평균 1% 증가하고 있다. 2010년은 전년과 비슷한 10a에 6,212kg
  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토마토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로 2006년 이후 감소하고 있다. 2010년
  생산량은 작목전환으로 인해 재배면적이 줄고 기상악화의 영향으로 작황
                                                         제
  도 부진해 전년보다 15% 감소한 33만톤으로 추정된다.
                                                         23
         그림 23-16. 토마토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장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9
그림 23-17. 토마토 지역별 재배면적 동향




제
2
부



제
    자료: 통계청(KOSIS).
3
부
    ◦ 2010년 지역별 재배면적은 경기·강원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감소하였
          다. 특히, 충청지역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재배규모 감소와 최근 발생
          하고 있는 병충해로 인해 2008년에 비해 22% 감소하였다. 또한 호남, 영
          남지역은 도시개발 및 작목전환으로 2008년보다 각각 22%, 13% 감소하
          였다.


    ◦ 2010년 재배면적은 전국적으로 봄철 이상기온과 여름철 태풍의 영향 등
          기상요인과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병(TYLCV), 역병 등의 병충해 피
          해로 2009년에 비해 경기 14%, 강원 2%, 충청 24%, 호남 18%, 영남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1.2. 출하 및 가격 동향

    ◦ 2010년 서울(가락)도매시장 토마토 반입량은 4만 4천톤으로 2009년 4만
          6천톤에 비해 5% 감소하였다. 2010년 실질도매가격은 전년보다 41% 높
          은 2,472원/kg이다.




    63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그림 23-18. 토마토 품종별 반입량 및 실질가격




 주: 1)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임.
    2) 가격은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으며, 상품 기준임.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2010년 가격은 봄철 강원지역 주 출하기 이상기온과 여름, 가을철 남부
  지역 태풍의 영향으로 작황이 불량하여 반입량이 크게 줄어 전년보다 전
  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제
◦ 일반토마토 2010년 반입량은 전년보다 8% 감소한 2만 6,169톤이었다. 실
                                                                23
  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보다 40% 높은 2,389원/kg이다. 방울토
                                                                장
  마토는 전년보다 47% 높은 3,540원/kg으로 토마토의 실질도매가격은
  2008년 하락한 이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림 23-19. 토마토 도매시장 반입량 비중
           (2000년)                        (2010년)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1
◦ 서울(가락)도매시장에 반입된 일반토마토와 방울토마토 비중은 2000년
          기준, 일반토마토가 47%, 방울토마토가 53% 반입되어 방울토마토 비중
          이 컸다. 하지만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요식업소의 일반토마토 소비 증
          가로 2010년 일반토마토 반입비중은 2000년에 비해 7%p 증가한 60%
          였다.
제
2   3.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부   ◦ 토마토 1인당 소비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4%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
          다. 하지만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기상악화로 인한 공급량 감소로 전년
          보다 12% 감소한 8kg로 추정된다.
제
3   ◦ 토마토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 이후 연평균 6% 상승하고 있다. 2010
부         년은 기상악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전년보다 34% 높았다.

                 그림 23-20. 토마토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63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표 23-4. 토마토 주요 소비 행태 변화
                                                     단위: %
          생과 그대로    갈아서 주스로 요리 및 샐러드      익히고 삶아서    기타
   2007      33.7     32.3      24.5         6.2      3.3
   2010      77.9     17.0       3.8         0.9      0.4
     일반     61.4      33.4       3.1         1.6      0.5
     방울     94.5       0.5       4.4         0.2      0.4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2011년 1월 소비자 조사치.



◦ 소비자의 구매 행태를 조사한 결과, 2010년 토마토 소비량은 전년과 비
  슷하거나 줄었다가 83%로 나타났다.


◦ 또한, 소비자들은 건강에 좋고 가족들의 선호로 토마토 구입을 늘린 반
  면, 높은 가격으로 인해 구입량을 줄인 비중도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2010년 토마토 구입 시기는 연중 고르게 소비하는 경향이 컸지만, 주로
  5~9월에 소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010년 여름철 대표과일인 수
  박과 참외의 가격이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
◦ 향후 토마토 소비는 2010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늘리겠다는 응답도 높아 2011년에는 토마토 수요가 현 수준보다 다소 늘
                                                                  23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


◦ 소비자가 토마토를 소비하는 주요 행태는 생과 그대로 먹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울토마토의 경우 95%의 높은 비중을 보였다.
  2007년에 비하여 ‘갈아서 주스로’는 15%p, ‘요리 및 샐러드’는 21%p 감
  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1.4. 수출입 동향

◦ 2010년 토마토 수출량은 약 2,303톤으로 전년보다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 수출의 대부분은 토마토(신선, 냉장)와 토마토케첩으로
  각각 47%, 49%를 차지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3
표 23-5. 토마토 가공품목별 수입량 동향
                                                                 단위: 톤
                       식초․초산              페이스트
            페이스트                  소스               케첩      기타    합계
                      조제 이외 기타            이외 기타
     2005    27,829     5,689     3,364    1,880    871    219   39,851
     2006    29,652     5,767     3,446    1,714   1,010   311   41,899

제    2007    29,519     6,657     3,548    1,829   1,391   213   43,157
     2008    26,023     7,447     4,404    1,808   1,465   177   41,323
2
     2009    22,775     7,138     4,724    1,820   1,620   161   38,238
부
     2010    26,164     8,608     4,803    1,905   1,535   89    43,105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제
3   ◦ 토마토 수입은 2007년 4만 3,157톤을 고점으로 하락하였다. 하지만 2010
          년에는 전년보다 13% 증가한 4만 3,105톤이다. 주요 수입은 가공품으로
부
          페이스트가 61%, 식초·초산 조제 이외 기타가 20%를 차지하였다.



    3.2. 수급 전망

    ◦ 2011년 일반토마토 1월 정식면적은 전남 화순에서 딸기로 일부 전환하고
          충청지역에서 오이, 엽채류로 전환하여 2010년보다 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방울토마토는 꾸준한 가격 유지로 2010년과 비슷할 것으
          로 전망된다.

    ◦ 2011년 토마토 재배면적은 가격상승세로 충청과 호남지역 신규 재배면적
          이 증가하여 2010년보다 10% 증가한 5,786ha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후 토마토 재배면적은 건강식품에 대한 꾸준한 수요증가와 홍보효과로
          2016년 6,379ha, 2021년 6,761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11년 토마토 생산량은 재배기술 발달과 종자 개선으로 인한 단수 증가
          로 2010년보다 15% 많은 38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6년은 44만
          톤, 2021년은 47만톤으로 전망된다.




    63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토마토 수입량은 2011년 7만 2천톤에서 2016년 7만 5천톤, 2021년 7만 8
  천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토마토 1인당 소비량은 꾸준하게 증가하여 2016년은 9.9kg, 2021년은
  10.6kg으로 예상된다.

      표 23-6. 토마토 수급 전망                       그림 23-21.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 망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      5,270   5,786   6,379   6,761
 면적
 단수   ㎏/10a   6,212   6,487   6,850   7,008
 총
       천톤     391     436     488     524
공급량
국내
       천톤     327     375     437     474
생산량
수입량    천톤      74      72      75      78
1인당
       ㎏       8.0     8.9     9.9    10.6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수입량은 가공품목을 신선으로 환산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제
                                                                            23
                                                                            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5
4         딸기


    4.1. 수급 동향
제
2
    4.1.1. 생산 동향
부
    ◦ 딸기 재배면적은 2002년 이후 연평균 3%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은 수출확대를 위한 지자체 시설지원으로 전년보다 12% 증가한 7,049ha
제
          이다.
3
부   ◦ 2010년 딸기 단수는 국산품종의 확대와 고설재배 등 시설재배 기술 발달
          로 전년보다 2% 증가한 10a에 3,280kg으로 추정된다. 또한 딸기 생산량
          은 재배면적이 늘고 단수가 증가하여 전년보다 2% 많은 23만톤이 될 것
          으로 추정된다.

                 그림 23-22. 딸기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63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그림 23-23. 딸기 지역별 재배면적 동향




자료: 통계청(KOSIS).



◦ 2010년 재배면적은 충남, 전남지역에서 지자체 시설지원 및 국산품종 재
  배확대로 2008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경북과 전북, 충북지역
  은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재배규모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 국내 딸기 재배의 특징 중 하나가 국산품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 국산품종은 ‘설향’이며 주 정식시기는 아끼히메(장희)보다                   제
  다소 늦은 9~10월이고 출하시기는 12~3월이다. ‘설향’은 타 품종에 비해                23
  재배가 용이하며 다수확을 할 수 있지만 날씨가 따뜻해지는 3~5월에는 쉽                   장
  게 물러진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외 국산품종인 ‘매향’은 주로 일본,
  동남아시아 수출을 목표로 경남 진주지역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 일본품종이 대부분 재배되던 딸기는 2007년부터 빠르게 국산품종으로 전
  환되고 있다. 2010년 9월 품종별 정식면적 조사에 의하면, 국산품종은
  2008년 42%에서 2010년 61%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품종별 비중은 설향이 57%로 가장 많았고, 아끼히메(장희), 레드펄(육보)
  순으로 재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설향은 충청과 호남지역에서
  70% 이상 재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지역에서도 정식면적이 꾸준
  히 증가하고 있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7
표 23-7. 주요 품종별 정식면적 비중
                                                                                           단위: %
                    아끼히메                  레드펄                  매향                   설향
             ’10     ’09    ’08    ’10     ’09    ’08    ’10   ’09    ’08    ’10    ’09     ’08
     충북      3.0     11.5   7.9    3.1     9.5    29.4   0.0   5.3    9.2    90.9   68.4    47.9
     충남      0.7     0.6    1.2    22.3    28.0   44.6   1.5   1.7    1.6    70.8   67.4    50.0
     전북      4.0     4.1    6.3    14.7    18.7   28.6   4.3   11.2   12.8   77.0   65.8    51.3
제    전남      3.5     4.6    4.3    23.3    27.3   31.0   -      -      -     73.2   68.1    64.4
2    경북      2.9     7.6    8.4    44.1    53.4   68.9   0.8   0.9    3.3    51.5   37.6    19.1
     경남      49.6    52.1   59.6   5.9     5.4    11.3   7.0   4.5    5.1    34.0   33.6    19.6
부
     전국      20.4    22.5   26.9   16.5    19.5   29.2   3.6   3.7    4.4    56.6   51.8    36.8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2010년 9월 모니터 조사치.

제
3                                   <여름딸기 재배 동향>
     ◦ 여름딸기는 일본 수출을 목표로 한 수출업체의 계약재배 형식으로 2003년 강원도 평창
부
          에서 시작되어 현재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 여름딸기 재배면적은 2003년 3ha를 시작으로 연평균 31% 증가하여 2010년에는
          18ha이다.

     ◦ 2009년은 양구, 태백, 삼척으로 확대되었고, 2010년부터 전북 무주군에서도 여름
          딸기 재배를 시작하였다. 국내 여름딸기는 4월 말 정식하여 6∼12월까지 출하하
          고 있다.

     ◦ 강원지역의 여름딸기 품종은 수출업체를 통해 보급되었고, 주 품종은 유럽품종인
          ‘플라멩고’였으나 국산품종인 ‘고하’의 보급으로 국산품종 재배도 점차적으로 늘
          고 있는 추세이다.

                                          <여름딸기 재배면적>




     자료: 농촌진흥청.




    63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4.1.2. 출하 및 가격 동향

           그림 23-24. 딸기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
    (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서울(가락)도매시장 딸기 2010년산 반입량은 대형유통업체 거래량이 증
  가하여 2009년산과 평년에 비해 각각 2%, 7% 감소한 1만 7,316톤이었
  다. 2010년산은 주 출하시기에 저온과 일조시간 부족으로 수정 및 착색                 제
  이 불량하여 전반적으로 작황이 부진하였다.
                                                           23
                                                           장
◦ 2010년산 딸기의 월별 반입량은 12~1월이 평년에 비해 3% 증가하고 2~4
  월은 17% 감소하였다. 이는 촉성작형인 국산품종 보급으로 전반적으로
  재배가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 2010년산 딸기 실질도매가격은 2009년산과 평년에 비해 6%, 8% 높은
  6,840원/kg이다. 2010년산은 농가의 품종 전환으로 인해 11월, 3월 가격
  은 높았으나 12~1월 가격은 낮았다.


◦ 품종별 도매시장 가격은 대체적으로 아끼히메는 하락하고 있으며 레드펄
  은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촉성작형의 대표 품종인 아끼히메는 과거
  높은 가격을 유지하였으나 국산품종의 재배확대로 점차 가격이 하락하고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9
있다. 아끼히메의 2010년산 실질도매가격은 2008년산보다 6% 하락한
          5,524원/kg이다.


    ◦ 설향의 12~2월 실질도매가격은 설향 재배면적 증가로 하락하고 있는 추
          세이다. 하지만 2~4월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2010년산 평균 실질도매가
제         격은 2009년산보다 4% 높은 6,062원/kg이다.
2
    ◦ 레드펄의 실질도매가격은 반촉성작형 재배농가의 품종전환으로 가격이
부
          상승하고 있다. 2010년산은 2009년산보다 16% 높은 8,002원/kg이다.

                         그림 23-25. 품종별 도매시장 실질가격
제
3                                 (아끼히메)
부




                    (설향)                      (레드펄)




     주: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
        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64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4.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행태

           그림 23-26. 딸기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 딸기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증가하고 있다. 2010년 1
  인당 소비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4.9kg로 추정된다.

                                                               제
◦ 2011년 1월 소비자 조사결과 딸기 1회 구입량은 500g~1kg이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딸기 구입시 잘 물러진다는 점이                       23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 조사되었다.                                           장


◦ 딸기 안전성에 대한 조사결과, 소비자의 67%가 딸기 구입 시 잔류농약
  등 안전성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이 비싸더라도
  친환경 딸기를 구입한다는 응답이 66%로 높게 조사되었다.

4.1.4. 수출입 동향

◦ 신선딸기 수출은 일본의 원산지 표시제 시행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
  만 2004년을 기점으로 동남아시아 수출이 증가하여 연평균 47%증가하고
  있다. 2010년 신선딸기 수출량은 2,952톤으로 전년보다 24% 증가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1
◦ 2010년 신선딸기 수출량은 전체 딸기 수출의 89%를 차지하였다. 주요
          수출국으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일본 등이 있으며, 싱가포르
          수출 비중은 전체 신선딸기 수출량의 55%를 차지한다.


    ◦ 2010년 딸기 수입량은 6,966톤으로 전년보다 58%가 증가하였다. 딸기
제         수입의 대부분은 냉동딸기이며 90%이상을 중국과 미국에서 수입하고
2         있다.

부                         그림 23-27. 국가별 딸기 수출입 동향

                (국가별 신선딸기 수출)                                    (국가별 수입)

제
3
부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표 23-8. 딸기 수출입 동향
                                                                                         단위: 톤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냉동 3,230     2,117   1,447   1,017   775     621      526    542     467      347
    수출량 신선 1,456         743     261     185     180     417      453    1,052   2,380    2,952
            전체 4,706     2,863   1,740   1,217   957     1,039    986    1,596   2,871    3,303
            냉동 1,403     1,909   2,042   3,852   3,953   4,809   6,460   6,116   3,313    6,045
    수입량
            전체 1,685     2,280   2,710   4,323   4,585   5,580   7,375   7,362   4,412    6,966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4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4.2. 수급 전망

◦ 2011년 딸기 재배면적은 재배농가 고령화로 인해 2010년보다 5% 감소한
  6,719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연평균 2%의 감소추세가 계속되어
  2016년 6,024ha, 2021년 5,664ha로 예상된다.


◦ 2011년 딸기 단수는 국산품종 보급 확대와 재배기술의 향상으로 2010년
  보다 2% 증가한 10a에 3,336kg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2%의 증
  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2011년 딸기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 2010년보다 3% 감소한 22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2021년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에도 불구
  하고 단수의 증가로 2011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딸기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4.7kg, 2016년 4.6kg, 2021년 4.7kg로 꾸준
  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3-9. 딸기 수급 전망                        그림 23-28.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 망                                           제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23
 재배
       ㏊      7,049   6,719   6,024   5,664                                 장
 면적
 단수   ㎏/10a   3,280   3,336   3,612   3,876
 총
      천톤      238     232     227     230
공급량
국내
      천톤      231     224     218     220
생산량
수입량   천톤       7       8       9       10
1인당
       ㎏       4.9     4.7     4.6     4.7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3
5       오이


    5.1. 수급 동향
제
2
    5.1.1. 생산 동향
부
    ◦ 오이 재배면적은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2000년 이후 연평균
          5% 감소하였다. 2010년 재배면적은 일부지역에서 재배규모를 축소하거
제
          나 난방비 부담이 덜한 양채류 등으로 전환하여 전년보다 11% 감소한
3
          4,396ha로 나타났다.
부
    ◦ 오이 단수는 2000년 이후 병충해 방지기술과 하우스 관리기술 향상으로
          연평균 3% 증가하였다. 2010년 단수는 일사량이 적어 작황이 부진하였
          지만 출하기 가격이 높아 포장 관리 양호로 전년보다 4% 증가한 10a에
          7,425kg으로 추정된다.

    ◦ 오이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 2000년 이후 연평균 2% 감소하였다.
          2010년 생산량은 단수는 높지만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보다 7% 감소한
          33만톤으로 추정된다.

                 그림 23-29. 오이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64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그림 23-30. 오이 작형별 재배 동향

             (시설재배)                   (노지재배)




자료: 통계청(KOSIS).



◦ 오이 시설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4%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농가의 고령화로 인한 재배규모 감소나 작목전환이 주된 원인이다.
  특히, 호남지역은 취청오이 재배 농가가 규모를 축소하거나 호박, 한라봉
  으로 전환하여 2007년보다 크게 감소한 481ha이다.


◦ 2010년 노지오이 재배면적은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특히, 충청지
  역 노지오이는 작목을 전환하거나 여름재배 규모를 줄여 2007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제
                                                             23
5.1.2. 출하 및 가격 동향                                            장

◦ 오이의 서울(가락)도매시장 최근 3개년(2008~2010년) 4~6월 반입비중은
  영남지역의 연장재배와 충청지역의 반촉성작형 전환 증가로 과거 3개년
  (2005~2007년)보다 3%p 증가한 반면, 11~12월 반입비중은 난방비 부담
  으로 인한 재배규모 축소로 과거보다 4%p 감소하였다.


◦ 최근 3개년(2008~2010년) 평균가격은 1,324원/kg으로 과거 3개년 1,288원
  /kg보다 3% 상승하였다. 최근 3개년 2∼3월 가격은 유류비 부담으로 인
  한 충청지역의 촉성작형 반입비중 감소로 과거보다 11% 높았다. 2010년
  평균가격은 1,585원/kg으로 전년 1,290원/kg보다 23% 높았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5
그림 23-31. 오이 월별 도매시장 반입비중 및 실질가격

                   (반입비중)                  (가격)




제
2
부

     주: 반입비중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
        =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제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3
부   ◦ 2010년 백다다기오이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봄철과 여름철 반입
          량이 적었다. 3∼4월 반입량은 충청, 영남지역의 흐린 날 지속으로 전년
          과 평년에 비해 각각 25%, 10% 감소하였다. 또한 여름철은 태풍으로 인
          한 주산지 작황 부진으로 반입물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2010년 반입량은
          1만 2,193톤이다.


    ◦ 2010년 백다다기오이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
          각 19%, 23% 높았다.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2,278원/kg이다.


    ◦ 2010년 취청오이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재배규모 감소 및 작황
          부진으로 각각 14%, 19% 적은 1만 7,670톤이다. 2010년은 고령화 및 작
          목전환으로 취청오이 재배면적이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2010년 하반기 많은 강우 일수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반입량이 크
          게 적었다.


    ◦ 2010년 취청오이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각
          27%, 30% 높았다.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2,105원/kg이다.




    64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그림 23-32. 백다다기오이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그림 23-33. 취청오이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제
                                                              23
                                                              장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5.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 오이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감소하고 있다. 2010년 1
  인당 소비량은 전년보다 6% 감소한 7.3kg로 추정된다.

◦ 오이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 이후 연평균 6% 상승하고 있다. 2008∼
  2009년은 공급량 증가로 실질소비자가격이 하락하였으나 2010년은 기상
  악화로 인한 공급량 감소로 전년보다 27% 높았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7
그림 23-34. 오이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제
2
부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제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3
부
    ◦ 2010년 9월 전국 8대 도시에 거주하는 주부 5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
          과, 주로 구매하는 오이 품종은 백다다기오이가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가시오이(28%), 취청오이(15%)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품종별 소비
          비중은 2009년 7월 조사치에 비해 백다다기오이가 3%p 증가하였고 가시
          오이는 4%p 감소하였다.


    ◦ 오이 소비량은 2010년 9월 조사에서 ‘줄었다’는 응답이 58%로 크게 나타
          났다. 그 이유는 ‘가격이 비싸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5.1.4. 수출입 동향

    ◦ 오이 수출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38%로 감소하고 있다. 신선오이 수
          출 비중이 감소한 반면, 가공된 오이 비중이 점차 증가하였다. 2010년 수
          출량은 전년보다 70% 감소한 55톤이다.


    ◦ 2006년 이후 오이 수입량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2010년 수
          입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2만 600톤이다. 오이 수입 중 70%를 차지
          하고 있는 절임오이 수입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14% 증가하여 2010년
          은 전년보다 10% 증가한 1만 6,805톤이다.


    64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표 23-10. 오이 수출입 동향
                                                                                   단위: 톤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신선    8,259   3,529   2,255   1,236    918     398     304     108      67       27
수
     절임       1      42      51      33       4       3       4       5      57        0
출
     기타       5       5      14      51      29      38     106      59      65       27
량
     전체    8,264   3,575   2,320   1,320    951     440     414     172     183       55
     신선       0       0      14       0       0       0       5       0      54      542
수
     절임    4,095   7,809   8,404 12,551 13,305 15,924 15,626 14,916 15,272 16,805
입
     기타    5,904   6,204   5,679   5,232   4,357   4,120   3,961   3,970   2,811    3,253
량
     전체    9,999 14,013 14,096 17,783 17,663 20,044 19,592 18,886 18,140 20,600
 주: 기타는 식초·초산 조제임.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 절임오이는 중국에서 수입되는 비중이 가장 크다. 2003년 이후 중국산
  수입량이 크게 상승하였고 2010년 중국산 수입량은 전년보다 15% 증가
  한 1만 6,377톤이다. 반면, 인도와 스리랑카에서의 수입량은 감소추세이
  며, 2008년 이후 베트남에서 수입되는 절임오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수입량은 전년보다 10% 증가한 335톤이다.

                   그림 23-35. 국가별 절임오이 수입 동향                                                 제
                                                                                            23
                                                                                            장




 주: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는 오른쪽 축 참고.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9
5.2. 수급 전망

    ◦ 2011년 백다다기오이 1~2월 정식면적은 충청지역 재배 확대로 2010년
          보다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취청오이는 호남지역에서 재
          배규모를 줄이거나 양채류로 전환이 많아 2010년보다 3~6%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된다.
제
2   ◦ 2011년 오이 재배면적은 가격상승 기대심리로 2010년보다 4% 증가한
부         4,584ha로 예상된다. 이후 오이 재배면적은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4,379ha, 2021년 4,193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   ◦ 2011년 오이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늘고 단수가 증가하여 2010년보다 5%
3         많은 34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6년은 33만톤, 2021년은 32만톤으
부         로 전망된다.


    ◦ 오이 수입량은 2011년 3만 2천톤에서 2016년 4만 1천톤, 2021년 4만 7천
          톤으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오이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7.6kg, 2016년 7.6kg, 2021년 7.5kg으로 꾸
          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23-11. 오이 수급 전망                       그림 23-36.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 망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     4,396   4,584   4,379   4,193
     면적
     단 수    ㎏/10a   7,425   7,448   7,579   7,709
     총
             천톤     359     373     373     370
    공급량
    국내
             천톤     326     341     332     323
    생산량
    수입량      천톤      33      32      41      47
    1인당
              ㎏      7.3     7.6     7.6     7.5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수입량은 절임오이를 신선으로 환산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65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6     호박


6.1. 수급 동향


6.1.1. 생산 동향

◦ 호박 재배면적은 단호박 등의 재배 증가로 2000년 이후 연평균 1% 증가
  하였다. 2010년 재배면적은 호남, 충청, 경기지역에서 가지, 수박 등으로
  전환해 전년보다 8% 감소한 8,970ha로 나타났다.

◦ 호박 단수는 2000년 이후 꾸준한 기술향상으로 연평균 3% 증가하였다.
  2010년 단수는 전년보다 2% 증가한 10a에 3,566kg으로 추정된다.

◦ 호박 생산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4% 증가하였다. 하지만 2010년 생산
  량은 단수가 높지만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보다 6% 감소한 32만 톤으로
  추정된다.                                                   제

          그림 23-37. 호박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23
                                                          장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1
◦ 시설호박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1%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2010년 호박 시설재배면적은 2007년에 비해 충청, 영남지역에서 증가하
          였다.


    ◦ 경기, 호남지역은 수박, 가지 등으로 전환하여 2007년보다 각각 26%, 4%
제         감소한 288ha, 96ha이다.
2
    ◦ 반면, 영남지역은 2010년 상반기 애호박 가격이 전반적으로 높아 재배규
부
          모를 확대하여 2007년보다 39% 증가한 1,293ha이다.


제   ◦ 노지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증가하였지만 2007년 이후에는
3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부
    ◦ 단호박의 소비 홍보와 건강식품이라는 소비자들의 인식 확산으로 단호박
          주 작형인 노지재배가 증가하였지만 농가의 노동력 부족으로 2010년 노
          지재배면적은 2007년보다 24% 감소한 5,724ha이다.


                       그림 23-38. 호박 작형별 재배 동향

                  (시설재배)                   (노지재배)




    자료: 통계청(KOSIS).




    65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6.1.2. 출하 및 가격 동향

       그림 23-39. 호박 월별 도매시장 반입비중 및 실질가격 동향

           (반입비중)                       (실질가격)




 주: 반입비중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호박의 서울(가락)도매시장 최근 3개년(2008~2010년) 호박 1~7월 반입비
  중은 영남, 호남지역의 연장재배 증가로 과거 3개년(2005~2007년)보다
  5%p 증가한 반면, 11~12월 반입비중은 가격이 높은 시기의 출하를 목표
  로 주산지에서 출하시기를 조절해 과거보다 5%p 감소하였다.                            제
                                                               23
◦ 최근 3개년 호박 실질도매가격은 1,213원/kg으로 과거 3개년 1,118원/kg               장
  보다 9% 높았다.

◦ 2010년 애호박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각각 14%, 3% 적었다. 여
  름철 발생한 태풍으로 강원지역 재배가 조기 종료되고 전국적으로 작황
  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2010년 애호박 반입량은 4만 2
  천톤이다.


◦ 2010년 애호박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각
  27%, 22% 높은 2,051원/kg이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3
그림 23-40. 애호박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제
2
부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제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3
    ◦ 가락시장에서 거래되는 단호박 반입량 중 수입산 단호박 비중은 30%를
부
          차지하고 있으며 수입산은 주로 2~6월에 거래된다. 주로 거래되는 국내
          산 단호박은 제주, 강원, 전남, 경북지역에서 재배된다.

    ◦ 최근 단호박 재배면적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생산 기술 확대로 2010년
          단호박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각각 8%, 16% 많은 9,266톤이다.
          하지만 2010년 단호박 실질도매가격은 소비 증가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
          각 8%, 15% 높은 1,477원/kg이다.

                  그림 23-41. 단호박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65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6.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그림 23-42. 호박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 호박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전년보다 6% 감소한 6.9kg로 추정된다.


◦ 호박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 이후 연평균 2% 상승하였다. 2008~2009                제
  년은 시장 공급량 증가로 실질소비자가격이 하락하였으나 2010년은 봄철                     23
  과 여름철의 좋지 않은 기상여건으로 공급량이 감소하여 전년보다 24%                      장
  상승하였다.


◦ 2010년 9월 전국 8대 도시에 거주하는 주부 5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
  과 애호박 소비량은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전년 동월 대비
  소비량이 ‘줄었다’는 응답이 60%로 호박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
  다. 대체적으로 소비량이 감소한 이유는 비싼 가격 때문인 것(91%)으로
  나타났다.


◦ 반면, 2009년 7월 조사에 의하면 과거 대비 소비량은 ‘비슷하다’는 응답
  이 61%로 가장 많았고 ‘늘었다’는 응답도 1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5
6.1.4. 수출입 동향

    ◦ 단호박 수출량은 2003년 이후 2008년까지 연평균 25% 감소하였으나 2010
          년은 전년보다 4% 증가한 326톤을 수출하였다. 주 수출국은 일본이지만
          현재 감소추세에 있으며 2010년 일본 수출량은 전년보다 8% 감소한 269
          톤이다. 반면, 홍콩 등 동남아시아 수출은 증가하고 있다.
제
2   ◦ 단호박은 주로 뉴질랜드로부터 수입되며 수입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한
부         다. 단호박 수입량은 2007년까지 증가하였으나 2008년 이후부터 감소하
          고 있다. 하지만 2010년은 전년보다 다소 증가한 1만 5,161톤이다.

제                                표 23-12. 단호박 수출입 동향
                                                                                           단위: 톤
3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부   수출량      335      770      699     333     296      304      220      139      313      326
    수입량      2,089    2,851    4,950   7,581   9,055   13,785   19,722   15,890   15,046   15,161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그림 23-43. 국가별 호박 수출입 동향
                    (국가별 수출)                                    (국가별 수입)




     주: 국가별 수입 그래프의 일본은 오른쪽 축 참고.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5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6.2. 수급 전망

◦ 2011년 1∼2월 애호박 정식면적은 영남지역 재배 확대로 2010년보다 6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11년 호박 재배면적은 가격상승 기대로 2010년보다 3% 증가한
  9,218ha로 전망된다. 이후 호박 재배면적은 연평균 2% 증가하여 2016년
  10,016ha, 2021년 10,838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11년 호박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가 증가하여 2010년보다 3% 많은
  33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6년은 37만톤, 2021년은 42만톤으로 전
  망된다.


◦ 단호박 수요 증가로 인해 수입량은 2011년 1만 7천톤에서 2016년 2만톤,
  2021년 2만 3천톤으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호박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7.1kg, 2016년 8.0kg, 2021년 8.9kg으로 전
  망된다.
                                                                            제
      표 23-13. 호박 수급 전망                       그림 23-44.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23
                              전 망                                           장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      8,970   9,218   10,016 10,838
 면적
 단수   ㎏/10a   3,566   3,592   3,726   3,856
 총
      천톤      337     348      393    441
공급량
국내
      천톤      320     331      373    418
생산량
수입량   천톤       17      17      20      23
1인당
       ㎏       6.9     7.1     8.0     8.9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수입량은 가공호박을 신선으로 환산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7
7       과채류 일본 수출 동향


    7.1. 품목별 일본 수출 동향
제
2
    7.1.1. 파프리카
부
    ◦ 수출 주력 품목 중 하나인 파프리카는 일본시장에서 뉴질랜드 및 네덜란
          드와 경쟁하고 있다. 한국산 파프리카 수입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4%
제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파프리카 수입은 네덜란드 수입비중이 높았으나
3
          2000년 이후 한국산 수입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부

    ◦ 일본시장 내 한국산 파프리카 평균단가는 490엔/kg으로 뉴질랜드와 네덜
          란드에 비하여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파프리카 재
          배 증가와 기술 발달로 인한 고품질 파프리카 생산으로 주 수출국으로
          급부상하면서 뉴질랜드 및 네덜란드에 비해 가격경쟁력뿐만 아니라 품질
          경쟁력 면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표 23-14. 일본의 파프리카 수입국별 수입량 동향
                                                                                   단위: 톤, 백만엔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물량   2,023 11,092 12,290 14,906 16,223 17,764 14,570 14,447 16,958 17,865 14,367
     한국
           금액    779    3,499   3,557   4,926   4,892   5,955   5,426   5,805   5,711   5,205   4,799

     네덜    물량   6,192   5,717   6,829   5,040   4,602   5,087   4,804   3,738   3,182   3,562   5,416
     란드    금액   2,713   2,577   3,253   2,761   2,274   2,325   2,733   2,194   1,443   1,451   2,341

     뉴질    물량   1,990   2,736   3,279   2,663   2,928   3,061   3,426   3,625   2,283   3,385   3,190
     랜드    금액   1,030   1,320   1,508   1,479   1,416   1,410   1,881   2,123   1,286   1,455   1,562

           물량    110     110      55      45      81       1       3       0       1       0      16
     기타
           금액     55      49      24      14      21      0.4      2       0       1       0       7
     주: 2010년은 11월까지임.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5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표 23-15. 일본 시장 가격 동향
                                                                단위: 엔/kg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일본산     473    565    500    482    606    614    555    536    601
파
프    한국산     456    513    467    460    527    587    467    440     -
리   뉴질랜드산    562    618    544    561    599    707    534    550    640
카
    네덜란드산    600    672    577    593    723    627    626    531    624
자료: 동경중앙도매시장.


7.1.2. 멜론

◦ 현재 일본시장의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토마토에서 파프리카
    로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는 신선
    농산물 품목은 딸기, 멜론 등이라고 볼 수 있다. 멜론은 1997년 이후
    꾸준하게 수입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가인 일본 자국산보다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좋아 일본시장에서 전반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멜론은 멕시코산이 일본 수입량의 70%를 차지한다. 하지만 한국산 멜론
    도 꾸준하게 수입량이 증가하여 2002년 이후 연평균 21%로 빠르게 증가                               제
    하고 있다.                                                                  23
                                                                            장
◦ 현재 오타도매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한국산 멜론 평균단가는 280엔/kg
    으로 일본산보다는 가격이 낮지만 경쟁국인 미국산, 멕시코산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있다.


◦ 일본시장에서 한국산 멜론은 회전 초밥집, 프랜차이즈 식당 등 외식업체
    의 수요 증가로 수입이 증가하였고, 최근에는 고품질이라는 인식으로 가
    정 소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9
표 23-16. 일본의 멜론 수입국별 수입량 동향
                                                                                                           단위: 톤, 백만엔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물량 21,795 21,218 23,716 26,993 32,470 28,589 24,675 18,591 23,916 21,852 18,371
     멕시코
            금액    2,359        2,351     2,527       2,752     3,445   2,986    2,607        2,465       2,674    2,221      1,852
            물량 11,450 10,692 10,218 10,876 10,375                      9,172    7,931        7,288       6,612    6,812      8,334
     미국
제           금액      914         874           795        879     813     726      712          654         610        500         609

2    한국
            물량      332         489           481        701   1,366   1,160      812          333         365        720         900
            금액       96         121           120        240     491     389      313          169         106        191         226
부
            물량      558         556           449        246     112      85      143          160         127        109          80
     기타
            금액      226         221           213        130      61      50       73           54          85          55         34
     주: 2010년은 11월까지임.
제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3
                                       표 23-17. 일본 시장 가격 동향
부                                                                                                                     단위: 엔/kg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일본산           401           432          417         383      497           533           481          -          466
           한국산            -            240          281         225       -            543           -            -           -
    멜
           미국산           169           134          142         178       -            -             202          -          220
    론
          뉴질랜드산          654            -            -           -        -            -             -            -           -

           멕시코산          169           152          183         99        47           -             -            -          222
    자료: 동경중앙도매시장.


    7.1.3. 여름딸기

    ◦ 여름딸기는 2003년 일본 수출을 시작으로 연평균 25% 증가하여 2009년
          은 201톤을 수출하였다. 일본 내 여름딸기 수입은 미국산이 95%를 차지
          하고 5%가 한국산이다.


    ◦ 한국산은 미국산에 비해 품질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산
          여름딸기는 품질 등급에 따라 소매점, 제과업체 뿐만 아니라 호텔로도
          유통된다. 따라서, 고품질 딸기 수출은 보다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




    66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표 23-18. 한국 여름딸기 수출량
                                                       단위: 톤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수출량      56      86     105     126     120    147     201
자료: 농촌진흥청.


7.2. 시사점

◦ 한국산 농산물의 일본 수출은 접근성 용이로 과채류, 절화류 등의 수출
  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안전성, 맛 등의 소비자 요구
  수준이 높아 수출에 제약이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일본에서 한국산 농
  산물은 저품질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고품질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다. 품질경쟁력, 안전성 제고를 통하여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 과채류 일본 수출의 제약이 되는 요인은 몇 가지가 있다. 첫째, 국내 도
  매시장가격이 높았을 경우 일본 계약 수출물량을 줄이는 등 수출 물량이
  안정적이지 않다. 둘째, 국내 수출업체간 실적 등의 과다경쟁으로 일본시
  장 내 덤핑 수출이 형성되어 한국산 과채류 이미지를 손상시킨다는 점이
                                                                    제
  다. 셋째,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간의 정보 부족으로 요구사항 불이행, 농
  가 정보 전달 미흡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1)                                    23
                                                                    장
◦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그동안 구축해 놓은 한국산 과채류의 이미지가 실
  추되고 거래가 단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동남아시아 등 새
  로운 수출 시장 판로를 개척하여 성공적으로 수출길이 열렸지만 유통비
  절감 및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고려해 볼 때 일본시장으로의 수출 증대
  노력과 이미지 개선을 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1) ‘어명근 외. 2010.「농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1/2차 연도)」 한국경제연구원.’을 참조함.
                                         .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61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
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
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
Brightcove
 
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
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
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
timancoco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ijceronline
 
пантоміми
пантомімипантоміми
пантоміми
Ira Fridman
 
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
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
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
Sasmita Saha
 
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
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
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
stbarnabastoronto
 

Viewers also liked (15)

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
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
Why the Cloud matters for Encoding
 
H0361039052
H0361039052H0361039052
H0361039052
 
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
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
Gbi 668 giovanny rofiguez grupo 1
 
Sanjay Kedia
Sanjay KediaSanjay Kedia
Sanjay Kedia
 
Inversão de Controlo e Injecção de Dependência na .NET Framework
Inversão de Controlo e Injecção de Dependência na .NET FrameworkInversão de Controlo e Injecção de Dependência na .NET Framework
Inversão de Controlo e Injecção de Dependência na .NET Framework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IJCER (www.ijceronline.co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ational Engineeri...
 
Tupperware1
Tupperware1Tupperware1
Tupperware1
 
New e-Science Edinburgh Late Edition
New e-Science Edinburgh Late EditionNew e-Science Edinburgh Late Edition
New e-Science Edinburgh Late Edition
 
Argia
ArgiaArgia
Argia
 
пантоміми
пантомімипантоміми
пантоміми
 
Diesel Maintenance
Diesel MaintenanceDiesel Maintenance
Diesel Maintenance
 
Las peliculas mas vistas de la historia
Las peliculas mas vistas de la historiaLas peliculas mas vistas de la historia
Las peliculas mas vistas de la historia
 
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
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
antihyper lipidemia & plantcons
 
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
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
St Barnabas Toronto - Leaflet for 5 February 2012
 
Sintesi comm giugno_2013
Sintesi comm giugno_2013Sintesi comm giugno_2013
Sintesi comm giugno_2013
 

Recently uploaded

Recently uploaded (6)

TDM(Text Data Mining) Studio manual(2024)
TDM(Text Data Mining) Studio manual(2024)TDM(Text Data Mining) Studio manual(2024)
TDM(Text Data Mining) Studio manual(2024)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0장~ 01장을 정리한 강의자료 입니다.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0장~ 01장을 정리한 강의자료 입니다.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0장~ 01장을 정리한 강의자료 입니다.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0장~ 01장을 정리한 강의자료 입니다.
 
바리스타이론기초-1 수정 후 111111111111111111111111
바리스타이론기초-1 수정 후 111111111111111111111111바리스타이론기초-1 수정 후 111111111111111111111111
바리스타이론기초-1 수정 후 111111111111111111111111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친환경, 그린, 탄소저감 미래 교육 공간 디자인의 이해와 사례들에 대한 강의 자료
 
코딩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3장(시간 복잡도)를 설명한 ppt입니다
코딩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3장(시간 복잡도)를 설명한 ppt입니다코딩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3장(시간 복잡도)를 설명한 ppt입니다
코딩테스트 합격자 되기 C++ 03장(시간 복잡도)를 설명한 ppt입니다
 
이번에 새로 나온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편 책을 소개하는 PPT 입니다.
이번에 새로 나온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편 책을 소개하는 PPT 입니다.이번에 새로 나온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편 책을 소개하는 PPT 입니다.
이번에 새로 나온 코딩 테스트 합격자 되기 C++편 책을 소개하는 PPT 입니다.
 

1

  • 1. 23 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1)김수림*․지현서**․김종규***․정호근**** 목 차 종합 5. 오이 1. 수박 5.1. 수급 동향 1.1. 수급 동향 5.2. 수급 전망 1.2. 수급 전망 6. 호박 2. 참외 6.1. 수급 동향 2.1. 수급 동향 6.2. 수급 전망 2.2. 수급 전망 7. 과채류 일본 수출 동향 3. 토마토 7.1. 품목별 일본 수출 동향 3.1. 수급 동향 7.2. 시사점 3.2. 수급 전망 4. 딸기 4.1. 수급 동향 4.2. 수급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surim@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kpnu@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jkkim@krei.re.kr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hogunc@krei.re.kr
  • 2. 합 ◦ 2010년 과채(6개 품목 기준) 재배면적은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 도시주변 제 농지개발 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지 2 의 나쁜 기상여건으로 재정식, 조기 재배종료, 출하지연 등이 빈번하여 부 공급량이 감소하였고, 이에 가격도 대부분 전년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 2010년 과채류 생산량은 235만톤으로 전년보다 8% 감소한 것으로 추정 제 된다. 면적과 단수 증가로 전년보다 5% 증가한 23만톤을 생산한 딸기를 3 제외하면 수박은 76만톤, 토마토와 오이가 33만톤, 호박이 32만톤, 참외 부 는 19만톤 정도로 6∼15% 가량 적게 생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 2011년 생산량은 평년 수준의 기상여건을 가정하면 2010년보다 딸기만 3% 감소하고 수박 5%, 참외 7%, 토마토 15%, 오이 5%, 호박 3%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까지 시설재배 기술의 발달로 단수는 계속 증가하지만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수박, 참외, 딸기는 지금보다 생산량이 소폭 감소하고, 오이는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재배면적이 증가하 는 토마토와 호박은 2021년이 되면 지금보다 30% 정도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과채류에서 파프리카, 멜론, 여름딸기 등이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 파 프리카는 2001년 이후 연평균 4% 정도 수출이 증가하여 2010년에는 1만 4천톤, 금액으로는 47억 9천만엔을 기록하였다. 멜론은 2007년부터 수출 이 증가하여 2010년에는 9백톤, 금액으로는 2억 2천만엔을 기록하였다. ◦ 여름딸기는 2003년에 강원도 평창에서 재배를 시작하여 2010년에는 양 구, 태백, 삼척, 무주로 재배가 확대되었다. 2003년부터 수출이 연평균 25% 증가하여 2009년에는 2백톤을 수출하였다. 멜론과 여름딸기는 일본 수입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3%, 5% 정도로 시장점유율이 낮아 품 질관리와 생산증대를 통한 수출확대가 기대된다. 61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3. 1 수박 1.1. 수급 동향 1.1.1. 생산 동향 ◦ 수박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6% 감소하였다. 노지재배는 생산 불안정으로 감소 추세에 있으며 시설재배는 연작장애로 인한 휴경과 대 체과일 증가에 따른 소비둔화로 연평균 4% 감소하고 있다. ◦ 2010년 수박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21% 감소한 1만 6,396ha로 나타났다.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품목 전환과 2009년 가을철 낮게 형성된 가격으로 2∼3기작 재배면적이 줄었기 때문이다. 시설재배는 전년보다 18% 감소 한 1만 4,103ha, 노지재배는 34% 감소한 2,293ha이다. 그림 23-1. 수박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제 23 장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15
  • 4. ◦ 수박 단수는 2000년 이후 재배기술 향상과 고품질 다수확 품종 보급으로 연평균 4% 증가하였다. 2010년 단수는 전년보다 13% 증가한 10a에 4,618㎏로 추정된다. ◦ 수박 생산량은 2000년 이후 단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재배면적이 줄어 연 제 평균 2% 감소하였다. 2010년 생산량은 단수가 높지만 재배면적이 줄어 2 전년보다 11% 감소한 76만톤으로 추정된다. 부 ◦ 시설재배면적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토마토, 멜론, 딸기, 고추 등으로 전환하여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영남지역 2010년 시설면적은 2002년과 제 2007년보다 각각 40%, 16% 감소하였고, 호남지역은 각각 36%, 12% 감소 3 하였다. 충청지역은 지자체 시설지원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감소폭이 작아 부 2010년은 2002년과 2007년보다 각각 1%, 4% 감소하였다. ◦ 노지재배는 소득 불안정으로 수박에서 시설재배 혹은 인삼, 복분자 등으 로 전환하고 있다. 호남지역 2010년 재배면적은 2002년과 2007년보다 각 각 62%, 26% 감소하였고, 영남지역은 각각 51%, 31% 감소하였다. 그림 23-2. 수박 작형별 재배면적 동향 자료: 통계청(KOSIS). 61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5. <멜론 재배 동향> ◦ 국내 멜론은 소규모로 재배되었으나 2000년 들어 소비 확대 및 가격 상승으로 재 배면적과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멜론 재배면적은 1990년 이후 연평 균 16% 증가하였으며, 2009년 재배면적은 호남 756ha, 충청 527ha, 영남 459ha로 총 1,764ha가 재배되었다. ◦ 멜론 주산지는 전남 담양, 나주, 곡성, 충남 부여지역이며 2기작으로 재배하는 농 가가 일부 있지만 주로 동기작, 하기작으로 나뉜다. ◦ 가을철 정식 후 11월부터 다음해 6~7월까지 출하하는 동기작은 주로 전남 나주, 경 남지역에서 재배되며 3~4월 정식 후 6월부터 11월까지 재배되는 하기작은 주로 부 여, 곡성, 담양, 경북지역에서 재배된다. <멜론 재배면적과 생산량> (재배 동향) (2009년 지역별 재배면적) 제 23 장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채소류생산실적」. 각 연도. 1.1.2. 출하 및 가격 동향 ◦ 2010년 서울(가락)도매시장 반입량은 평년과 전년에 비해 봄, 가을, 겨울 철이 감소하였고 여름철에 더욱 집중되었다. 4∼5월은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44%, 46% 감소하였다. 이는 정식기와 비대기 기상 악화로 인해 작 황이 부진하였고 출하가 지연되거나 재배를 포기하였기 때문이다. ◦ 8~11월 반입량은 전년 동월 가격이 낮아 품목전환으로 인한 재배면적 감 소로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24%, 36% 감소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17
  • 6. ◦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32%, 38% 상승한 1,935원/kg이다. 6~7월은 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지속된 고 온의 영향으로 소비가 늘어 1,323원/kg으로 평년 1,155원/kg과 2009년 1,184원/kg보다 각각 15%, 12% 높았다. 그림 23-3. 수박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제 (반입량) (실질가격) 2 부 제 3 부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 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4~5월 실질도매가격은 2,040원/kg으로 평년 1,480원/kg과 전년 1,468원/kg 보다 각각 38%, 39% 높았다. 8~11월은 1,621원/kg으로 평년 948원/kg과 전년 681원/kg보다 각각 1.7배, 2.4배 높았다. ◦ 수박의 최근 3개년(2008∼2010년) 등급별 가격지수는 중품을 100 기준으 로 9월이 특품 185, 하품 62로 등급별 차이가 가장 컸고, 3월은 특품 139, 하품 79로 가장 작았다. 7~10월 수박의 등급별 가격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이 시기에 농가가 고품질 수박을 출하하면 보다 높은 소 득을 올릴 수 있다. 61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7. 그림 23-4. 최근 3개년 수박 등급별 가격지수(중품=100)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농수축산물 거래연보」. 1.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 수박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2%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0년은 공급량이 적어 전년보다 11% 감소한 15.5㎏으로 추정된다. 그림 23-5. 수박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제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23 장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19
  • 8. ◦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연평균 2% 감소하였지만, 2010 년 실질소비자가격은 전년 가을철 출하기 낮은 가격으로 재배가 줄었고, 여름철 지속된 고온으로 인한 소비증가로 2009년보다 37% 높은 1만 6,200원/1개 수준이었다. 제 ◦ 2010년 6월 소비자조사 결과, 수박을 구입하는 횟수는 ‘월1회’가 29%로 2 2009년 조사결과보다 9%p 증가하였다. 부 ◦ 소비자는 수박 가격이 비쌀 경우 ‘참외’ 36%, ‘일반토마토’ 14%, ‘국산포 도’ 11%, ‘복숭아’ 10% 등의 순으로 소비를 대체하였다. 2009년에 비해 제 참외, 멜론, 기타 과일의 비중만 증가하였다. 3 부 ◦ 특히, 기타 과일(바나나, 파인애플, 오렌지 등)의 경우 2008년과 2009년보 다 각각 5%p, 1%p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수입과일로 소비 가 옮겨간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3-6. 수박 구입 횟수와 소비대체재 (구입 횟수) (소비대체재)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조사치. 62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9. 1.2. 수급 전망 ◦ 2011년 1~3월 수박 정식면적은 2010년보다 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남과 충청지역에서 저온으로 인한 피해 우려로 정식을 줄이고, 다른 품목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호남지역은 2010년과 비슷할 것 으로 전망된다. ◦ 하지만, 2011년 재배면적은 전년 가격강세의 영향으로 반촉성 및 2~3기 작 재배면적이 늘어 2010년보다 3% 증가한 1만 6,949ha로 전망된다. 이 후에는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1만 5,630ha, 2021년 1만 4,486ha로 추정된다. ◦ 2011년 수박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늘어 2010년보다 5% 증가하며 이후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76만 5천톤, 2021년 73만 7천톤으로 전망된 다. ◦ 수박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16.2kg, 2016년 15.5kg, 2021년 14.9kg으로 전망된다. 제 표 23-1. 수박 수급 전망 그림 23-7.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23 전망 구분 단위 2010 장 2011 2016 2021 재배 ha 16,396 16,949 15,630 14,486 면적 단수 ㎏/10a 4,618 4,675 4,893 5,085 생산량 천톤 757 792 765 737 1인당 ㎏ 15.5 16.2 15.5 14.9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1
  • 10. 2 참외 2.1. 수급 동향 제 2 2.1.1. 생산 동향 부 ◦ 참외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5% 감소하였다. 노지재배는 생산 불안정으로 줄고 있으며 시설재배도 노동력 부족과 대체과일 증가에 따 제 른 수요 감소로 연평균 4% 감소하였다. 3 부 ◦ 2010년 참외 재배면적은 노동력 부족과 다른 품목으로의 전환, 정식기 저온과 여름철 고온의 영향으로 고사주가 증가하여 전년보다 8% 감소한 6,215ha로 나타났다. 시설참외는 전년보다 7% 감소한 6,097ha, 노지참외 는 7% 감소한 118ha가 재배되었다. 그림 23-8. 참외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62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11. 그림 23-9. 참외 지역별 재배면적 비중 자료: 통계청(KOSIS). ◦ 참외 단수는 2000년 이후 평균 3,178kg/10a 수준에서 정체하고 있다. 2010년은 정식기와 비대기 기상 악화로 인해 착과가 불량하고 병충해 발 생이 증가하는 등 작황이 부진하여 전년보다 8% 감소한 10a에 3,119kg 로 추정된다. ◦ 참외 생산량은 2000년 이후 재배면적이 줄어 연평균 5% 감소하였다. 2010년은 재배면적이 줄고 단수도 낮아 전년보다 15% 감소한 19만 4천 톤으로 추정된다. 제 23 ◦ 전국 참외 재배지역 중 영남지역이 2010년 96%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장 있으며 특히, 경북지역은 2002년 75%에 비해 2010년 87%로 주산지 집 중이 더욱더 심화되고 있다. ◦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품질경쟁력과 수익성이 낮은 다른 지역의 재배 비중은 규모를 줄이거나 멜론, 수박, 고추, 포도 등으로 전환하여 감소하 고 있는 추세이다. ◦ 참외 2010년 재배면적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데 비해, 최대 주산지인 경 북 성주지역은 4,011ha로 전년보다 4% 증가하였다. 이는, 전년도 높은 가격 영향으로 신규재배가 늘고 기존 농가의 재배규모가 확대되었기 때 문이다. 특히, 경북 성주지역의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1% 증가 하였고, 2010년은 전국 재배면적의 65%를 차지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3
  • 12. 그림 23-10. 경북 성주의 참외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제 2 부 제 3 주: 2010년 전국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성주군청. 부 ◦ 경북 성주의 2010년 생산량은 재배면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상요인으 로 인한 단수 감소로 전년보다 12% 적은 12만 7천톤으로 추정된다. 전국 기준으로 성주 지역의 생산량 비중은 2000년 37%에서 2010년 66%로 증 가하였다. 2.1.2. 출하 및 가격 동향 ◦ 2010년 서울(가락)도매시장 반입량은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8%, 15% 적 었다. 정식기 저온 피해와 비대기 기상 악화로 인해 고사주가 증가하고 작황이 부진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3~5월 반입량은 평년과 전년보다 각 각 31%, 43% 감소하였다. ◦ 7∼10월 반입량은 가격 강세 지속으로 재배를 연장하는 농가가 늘어 평 년과 전년보다 각각 9% 증가하였다. ◦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평년과 전년보다 각각 15%, 16% 상승한 2,900원/kg이다. 3~5월은 4,328원/kg으로 평년 4,046원/kg과 전년 3,995원/kg보다 각각 7%, 8% 높았다. 62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13. 그림 23-11. 참외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 =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7~10월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이 증가하였지만 전년 수준과 같은 품질 회복으로 소비가 늘어 1,988원/kg으로 평년 1,509원/kg과 전년 1,485원/kg 보다 각각 32%, 34% 높았다. 제 그림 23-12. 주산지(성주)와 서울(가락)의 반입량 및 실질가격 비교 23 (반입량) (실질가격) 장 주: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성주군농업기술센터. 서울시농수산물공사.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5
  • 14. ◦ 3~8월 경북 성주의 평균거래량은 서울(가락)도매시장보다 과거 3개년 (2005~2007년)이 2.2배, 최근 3개년(2008~2010년)이 2.8배 많았다. 평균 가격도 성주지역 산지가격이 서울도매시장보다 과거 3개년이 1.8배, 최근 3개년이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 ◦ 서울도매시장의 최근 3개년 4월 참외 가격이 과거 3개년보다 높았던 것 은 작황부진으로 반입량이 과거 3개년보다 7% 감소하였기 때문이고 7월 2 은 품질양호로 소비가 유지되어 가격이 높았다. 부 ◦ 경북 성주와 서울도매시장의 최근 3개년 6월 가격이 낮았던 것은 출하집 제 중과 동시기 대체과일인 수박의 공급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3 2.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부 ◦ 참외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5%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0년은 공급량이 적어 전년보다 15% 감소한 4㎏으로 추정된다. ◦ 실질소비자가격은 2003년을 고점으로 2009년까지 연평균 3% 감소하였 지만, 2010년은 기상악화로 인한 공급량 감소와 상반기 이후 품질 회복 에 의한 소비 유지로 전년보다 24% 높은 1만 6,400원/10개 수준이었다. 그림 23-13. 참외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62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15. ◦ 2010년 6월 소비자조사 결과 소비자의 참외 소비량은 전년 동월대비 ‘비 슷하다’ 55%, ‘늘었다’ 25%, ‘줄었다’ 20%로 조사되어 2009년 조사결과 보다 ‘늘었다’, ‘비슷하다’가 각각 2%p, 1%p 감소한 반면 ‘줄었다’는 3%p 증가하였다. ◦ 소비자는 참외 가격이 비쌀 경우 ‘수박’ 35%, ‘일반토마토’ 14%, ‘국산포 도’와 ‘복숭아’ 각각 10% 등의 순으로 소비를 대체하였다. 2009년에 비 해 수박, 국산포도의 비중은 증가한 반면 일반토마토, 복숭아, 방울토마 토 등의 비중은 감소하였다. 그림 23-14. 참외 소비량 변화와 소비대체재 (소비량 변화) (소비대체재) 제 23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조사치. 장 표 23-2. 참외 소비량 변화 이유 단위 : % 증가 이유 구 분 맛이 좋아 제철 과일 가격 적당 건강 좋아 기타 2010 43.1 18.6 14.2 2.9 21.2 2009 47.4 28.1 16.6 4.6 3.3 감소 이유 구 분 비싼 가격 대체재 많아 맛이 없어 소득 감소 기타 2010 32.8 30.1 12.8 4.2 20.1 2009 26.3 40.5 10.2 13.1 9.9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소비자 조사치.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7
  • 16. ◦ 소비자가 소비를 늘린 이유는 ‘맛이 좋아서’가 43%로 고품질 참외를 선 호하는 반면, 줄인 이유는 ‘가격이 비싸서’가 33%로 가장 높아 소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것은 품질과 가격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 2.2. 수급 전망 2 ◦ 2011년 참외 재배면적은 노동력 부족과 다른 품목으로의 전환, 고품질 부 참외 생산을 위한 연장재배 포기로 2010년보다 2% 감소한 6,098ha로 전 망된다. 이후에는 연평균 2% 감소하여 2016년 5,311ha, 2021년 5,008ha 제 로 추정된다. 3 ◦ 2011년 참외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지만 단수가 증가하여 2010년보다 부 7% 증가한 20만 8천톤으로 전망되며 이후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18만 4천톤, 2021년 17만 6천톤으로 전망된다. ◦ 참외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4.2kg, 2016년 3.7kg, 2021년 3.6kg이 될 것 으로 전망된다. 표 23-3. 참외 수급 전망 그림 23-15.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망 구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ha 6,215 6,098 5,311 5,008 면적 단수 ㎏/10a 3,119 3,404 3,460 3,518 생산량 천톤 194 208 184 176 1인당 ㎏ 4.0 4.2 3.7 3.6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62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17. 3 토마토 3.1. 수급 동향 3.1.1. 생산 동향 ◦ 토마토 재배면적은 2001년부터 2007년까지 연평균 14% 증가하였으나, 가격하락과 작목전환으로 2008년 이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0년 은 전년보다 15% 감소한 5,270ha로 나타났다. ◦ 토마토 단수는 하우스 포장관리와 생산 기술의 꾸준한 향상으로 2001년 이후 연평균 1% 증가하고 있다. 2010년은 전년과 비슷한 10a에 6,212kg 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토마토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로 2006년 이후 감소하고 있다. 2010년 생산량은 작목전환으로 인해 재배면적이 줄고 기상악화의 영향으로 작황 제 도 부진해 전년보다 15% 감소한 33만톤으로 추정된다. 23 그림 23-16. 토마토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장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29
  • 18. 그림 23-17. 토마토 지역별 재배면적 동향 제 2 부 제 자료: 통계청(KOSIS). 3 부 ◦ 2010년 지역별 재배면적은 경기·강원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감소하였 다. 특히, 충청지역은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재배규모 감소와 최근 발생 하고 있는 병충해로 인해 2008년에 비해 22% 감소하였다. 또한 호남, 영 남지역은 도시개발 및 작목전환으로 2008년보다 각각 22%, 13% 감소하 였다. ◦ 2010년 재배면적은 전국적으로 봄철 이상기온과 여름철 태풍의 영향 등 기상요인과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병(TYLCV), 역병 등의 병충해 피 해로 2009년에 비해 경기 14%, 강원 2%, 충청 24%, 호남 18%, 영남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1.2. 출하 및 가격 동향 ◦ 2010년 서울(가락)도매시장 토마토 반입량은 4만 4천톤으로 2009년 4만 6천톤에 비해 5% 감소하였다. 2010년 실질도매가격은 전년보다 41% 높 은 2,472원/kg이다. 63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19. 그림 23-18. 토마토 품종별 반입량 및 실질가격 주: 1)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임. 2) 가격은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으며, 상품 기준임.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2010년 가격은 봄철 강원지역 주 출하기 이상기온과 여름, 가을철 남부 지역 태풍의 영향으로 작황이 불량하여 반입량이 크게 줄어 전년보다 전 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제 ◦ 일반토마토 2010년 반입량은 전년보다 8% 감소한 2만 6,169톤이었다. 실 23 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보다 40% 높은 2,389원/kg이다. 방울토 장 마토는 전년보다 47% 높은 3,540원/kg으로 토마토의 실질도매가격은 2008년 하락한 이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림 23-19. 토마토 도매시장 반입량 비중 (2000년) (2010년)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1
  • 20. ◦ 서울(가락)도매시장에 반입된 일반토마토와 방울토마토 비중은 2000년 기준, 일반토마토가 47%, 방울토마토가 53% 반입되어 방울토마토 비중 이 컸다. 하지만 일반 가정뿐만 아니라 요식업소의 일반토마토 소비 증 가로 2010년 일반토마토 반입비중은 2000년에 비해 7%p 증가한 60% 였다. 제 2 3.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부 ◦ 토마토 1인당 소비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4%로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 다. 하지만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기상악화로 인한 공급량 감소로 전년 보다 12% 감소한 8kg로 추정된다. 제 3 ◦ 토마토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 이후 연평균 6% 상승하고 있다. 2010 부 년은 기상악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전년보다 34% 높았다. 그림 23-20. 토마토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63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21. 표 23-4. 토마토 주요 소비 행태 변화 단위: % 생과 그대로 갈아서 주스로 요리 및 샐러드 익히고 삶아서 기타 2007 33.7 32.3 24.5 6.2 3.3 2010 77.9 17.0 3.8 0.9 0.4 일반 61.4 33.4 3.1 1.6 0.5 방울 94.5 0.5 4.4 0.2 0.4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2011년 1월 소비자 조사치. ◦ 소비자의 구매 행태를 조사한 결과, 2010년 토마토 소비량은 전년과 비 슷하거나 줄었다가 83%로 나타났다. ◦ 또한, 소비자들은 건강에 좋고 가족들의 선호로 토마토 구입을 늘린 반 면, 높은 가격으로 인해 구입량을 줄인 비중도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2010년 토마토 구입 시기는 연중 고르게 소비하는 경향이 컸지만, 주로 5~9월에 소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010년 여름철 대표과일인 수 박과 참외의 가격이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제 ◦ 향후 토마토 소비는 2010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늘리겠다는 응답도 높아 2011년에는 토마토 수요가 현 수준보다 다소 늘 23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 ◦ 소비자가 토마토를 소비하는 주요 행태는 생과 그대로 먹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울토마토의 경우 95%의 높은 비중을 보였다. 2007년에 비하여 ‘갈아서 주스로’는 15%p, ‘요리 및 샐러드’는 21%p 감 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1.4. 수출입 동향 ◦ 2010년 토마토 수출량은 약 2,303톤으로 전년보다 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 수출의 대부분은 토마토(신선, 냉장)와 토마토케첩으로 각각 47%, 49%를 차지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3
  • 22. 표 23-5. 토마토 가공품목별 수입량 동향 단위: 톤 식초․초산 페이스트 페이스트 소스 케첩 기타 합계 조제 이외 기타 이외 기타 2005 27,829 5,689 3,364 1,880 871 219 39,851 2006 29,652 5,767 3,446 1,714 1,010 311 41,899 제 2007 29,519 6,657 3,548 1,829 1,391 213 43,157 2008 26,023 7,447 4,404 1,808 1,465 177 41,323 2 2009 22,775 7,138 4,724 1,820 1,620 161 38,238 부 2010 26,164 8,608 4,803 1,905 1,535 89 43,105 자료: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제 3 ◦ 토마토 수입은 2007년 4만 3,157톤을 고점으로 하락하였다. 하지만 2010 년에는 전년보다 13% 증가한 4만 3,105톤이다. 주요 수입은 가공품으로 부 페이스트가 61%, 식초·초산 조제 이외 기타가 20%를 차지하였다. 3.2. 수급 전망 ◦ 2011년 일반토마토 1월 정식면적은 전남 화순에서 딸기로 일부 전환하고 충청지역에서 오이, 엽채류로 전환하여 2010년보다 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방울토마토는 꾸준한 가격 유지로 2010년과 비슷할 것으 로 전망된다. ◦ 2011년 토마토 재배면적은 가격상승세로 충청과 호남지역 신규 재배면적 이 증가하여 2010년보다 10% 증가한 5,786ha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후 토마토 재배면적은 건강식품에 대한 꾸준한 수요증가와 홍보효과로 2016년 6,379ha, 2021년 6,761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11년 토마토 생산량은 재배기술 발달과 종자 개선으로 인한 단수 증가 로 2010년보다 15% 많은 38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6년은 44만 톤, 2021년은 47만톤으로 전망된다. 63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23. ◦ 토마토 수입량은 2011년 7만 2천톤에서 2016년 7만 5천톤, 2021년 7만 8 천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토마토 1인당 소비량은 꾸준하게 증가하여 2016년은 9.9kg, 2021년은 10.6kg으로 예상된다. 표 23-6. 토마토 수급 전망 그림 23-21.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 망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 5,270 5,786 6,379 6,761 면적 단수 ㎏/10a 6,212 6,487 6,850 7,008 총 천톤 391 436 488 524 공급량 국내 천톤 327 375 437 474 생산량 수입량 천톤 74 72 75 78 1인당 ㎏ 8.0 8.9 9.9 10.6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수입량은 가공품목을 신선으로 환산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제 23 장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5
  • 24. 4 딸기 4.1. 수급 동향 제 2 4.1.1. 생산 동향 부 ◦ 딸기 재배면적은 2002년 이후 연평균 3%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은 수출확대를 위한 지자체 시설지원으로 전년보다 12% 증가한 7,049ha 제 이다. 3 부 ◦ 2010년 딸기 단수는 국산품종의 확대와 고설재배 등 시설재배 기술 발달 로 전년보다 2% 증가한 10a에 3,280kg으로 추정된다. 또한 딸기 생산량 은 재배면적이 늘고 단수가 증가하여 전년보다 2% 많은 23만톤이 될 것 으로 추정된다. 그림 23-22. 딸기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63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25. 그림 23-23. 딸기 지역별 재배면적 동향 자료: 통계청(KOSIS). ◦ 2010년 재배면적은 충남, 전남지역에서 지자체 시설지원 및 국산품종 재 배확대로 2008년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경북과 전북, 충북지역 은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으로 재배규모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 국내 딸기 재배의 특징 중 하나가 국산품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표적 국산품종은 ‘설향’이며 주 정식시기는 아끼히메(장희)보다 제 다소 늦은 9~10월이고 출하시기는 12~3월이다. ‘설향’은 타 품종에 비해 23 재배가 용이하며 다수확을 할 수 있지만 날씨가 따뜻해지는 3~5월에는 쉽 장 게 물러진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외 국산품종인 ‘매향’은 주로 일본, 동남아시아 수출을 목표로 경남 진주지역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 일본품종이 대부분 재배되던 딸기는 2007년부터 빠르게 국산품종으로 전 환되고 있다. 2010년 9월 품종별 정식면적 조사에 의하면, 국산품종은 2008년 42%에서 2010년 61%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품종별 비중은 설향이 57%로 가장 많았고, 아끼히메(장희), 레드펄(육보) 순으로 재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설향은 충청과 호남지역에서 70% 이상 재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 지역에서도 정식면적이 꾸준 히 증가하고 있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7
  • 26. 표 23-7. 주요 품종별 정식면적 비중 단위: % 아끼히메 레드펄 매향 설향 ’10 ’09 ’08 ’10 ’09 ’08 ’10 ’09 ’08 ’10 ’09 ’08 충북 3.0 11.5 7.9 3.1 9.5 29.4 0.0 5.3 9.2 90.9 68.4 47.9 충남 0.7 0.6 1.2 22.3 28.0 44.6 1.5 1.7 1.6 70.8 67.4 50.0 전북 4.0 4.1 6.3 14.7 18.7 28.6 4.3 11.2 12.8 77.0 65.8 51.3 제 전남 3.5 4.6 4.3 23.3 27.3 31.0 - - - 73.2 68.1 64.4 2 경북 2.9 7.6 8.4 44.1 53.4 68.9 0.8 0.9 3.3 51.5 37.6 19.1 경남 49.6 52.1 59.6 5.9 5.4 11.3 7.0 4.5 5.1 34.0 33.6 19.6 부 전국 20.4 22.5 26.9 16.5 19.5 29.2 3.6 3.7 4.4 56.6 51.8 36.8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2010년 9월 모니터 조사치. 제 3 <여름딸기 재배 동향> ◦ 여름딸기는 일본 수출을 목표로 한 수출업체의 계약재배 형식으로 2003년 강원도 평창 부 에서 시작되어 현재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다. ◦ 여름딸기 재배면적은 2003년 3ha를 시작으로 연평균 31% 증가하여 2010년에는 18ha이다. ◦ 2009년은 양구, 태백, 삼척으로 확대되었고, 2010년부터 전북 무주군에서도 여름 딸기 재배를 시작하였다. 국내 여름딸기는 4월 말 정식하여 6∼12월까지 출하하 고 있다. ◦ 강원지역의 여름딸기 품종은 수출업체를 통해 보급되었고, 주 품종은 유럽품종인 ‘플라멩고’였으나 국산품종인 ‘고하’의 보급으로 국산품종 재배도 점차적으로 늘 고 있는 추세이다. <여름딸기 재배면적> 자료: 농촌진흥청. 63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27. 4.1.2. 출하 및 가격 동향 그림 23-24. 딸기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 (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서울(가락)도매시장 딸기 2010년산 반입량은 대형유통업체 거래량이 증 가하여 2009년산과 평년에 비해 각각 2%, 7% 감소한 1만 7,316톤이었 다. 2010년산은 주 출하시기에 저온과 일조시간 부족으로 수정 및 착색 제 이 불량하여 전반적으로 작황이 부진하였다. 23 장 ◦ 2010년산 딸기의 월별 반입량은 12~1월이 평년에 비해 3% 증가하고 2~4 월은 17% 감소하였다. 이는 촉성작형인 국산품종 보급으로 전반적으로 재배가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 2010년산 딸기 실질도매가격은 2009년산과 평년에 비해 6%, 8% 높은 6,840원/kg이다. 2010년산은 농가의 품종 전환으로 인해 11월, 3월 가격 은 높았으나 12~1월 가격은 낮았다. ◦ 품종별 도매시장 가격은 대체적으로 아끼히메는 하락하고 있으며 레드펄 은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촉성작형의 대표 품종인 아끼히메는 과거 높은 가격을 유지하였으나 국산품종의 재배확대로 점차 가격이 하락하고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39
  • 28. 있다. 아끼히메의 2010년산 실질도매가격은 2008년산보다 6% 하락한 5,524원/kg이다. ◦ 설향의 12~2월 실질도매가격은 설향 재배면적 증가로 하락하고 있는 추 세이다. 하지만 2~4월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2010년산 평균 실질도매가 제 격은 2009년산보다 4% 높은 6,062원/kg이다. 2 ◦ 레드펄의 실질도매가격은 반촉성작형 재배농가의 품종전환으로 가격이 부 상승하고 있다. 2010년산은 2009년산보다 16% 높은 8,002원/kg이다. 그림 23-25. 품종별 도매시장 실질가격 제 3 (아끼히메) 부 (설향) (레드펄) 주: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 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64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29. 4.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행태 그림 23-26. 딸기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 딸기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증가하고 있다. 2010년 1 인당 소비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4.9kg로 추정된다. 제 ◦ 2011년 1월 소비자 조사결과 딸기 1회 구입량은 500g~1kg이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딸기 구입시 잘 물러진다는 점이 23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 조사되었다. 장 ◦ 딸기 안전성에 대한 조사결과, 소비자의 67%가 딸기 구입 시 잔류농약 등 안전성에 대해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이 비싸더라도 친환경 딸기를 구입한다는 응답이 66%로 높게 조사되었다. 4.1.4. 수출입 동향 ◦ 신선딸기 수출은 일본의 원산지 표시제 시행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 만 2004년을 기점으로 동남아시아 수출이 증가하여 연평균 47%증가하고 있다. 2010년 신선딸기 수출량은 2,952톤으로 전년보다 24% 증가하였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1
  • 30. ◦ 2010년 신선딸기 수출량은 전체 딸기 수출의 89%를 차지하였다. 주요 수출국으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홍콩, 일본 등이 있으며, 싱가포르 수출 비중은 전체 신선딸기 수출량의 55%를 차지한다. ◦ 2010년 딸기 수입량은 6,966톤으로 전년보다 58%가 증가하였다. 딸기 제 수입의 대부분은 냉동딸기이며 90%이상을 중국과 미국에서 수입하고 2 있다. 부 그림 23-27. 국가별 딸기 수출입 동향 (국가별 신선딸기 수출) (국가별 수입) 제 3 부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표 23-8. 딸기 수출입 동향 단위: 톤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냉동 3,230 2,117 1,447 1,017 775 621 526 542 467 347 수출량 신선 1,456 743 261 185 180 417 453 1,052 2,380 2,952 전체 4,706 2,863 1,740 1,217 957 1,039 986 1,596 2,871 3,303 냉동 1,403 1,909 2,042 3,852 3,953 4,809 6,460 6,116 3,313 6,045 수입량 전체 1,685 2,280 2,710 4,323 4,585 5,580 7,375 7,362 4,412 6,966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4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31. 4.2. 수급 전망 ◦ 2011년 딸기 재배면적은 재배농가 고령화로 인해 2010년보다 5% 감소한 6,719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연평균 2%의 감소추세가 계속되어 2016년 6,024ha, 2021년 5,664ha로 예상된다. ◦ 2011년 딸기 단수는 국산품종 보급 확대와 재배기술의 향상으로 2010년 보다 2% 증가한 10a에 3,336kg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2%의 증 가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2011년 딸기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 2010년보다 3% 감소한 22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6년, 2021년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에도 불구 하고 단수의 증가로 2011년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딸기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4.7kg, 2016년 4.6kg, 2021년 4.7kg로 꾸준 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3-9. 딸기 수급 전망 그림 23-28.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 망 제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23 재배 ㏊ 7,049 6,719 6,024 5,664 장 면적 단수 ㎏/10a 3,280 3,336 3,612 3,876 총 천톤 238 232 227 230 공급량 국내 천톤 231 224 218 220 생산량 수입량 천톤 7 8 9 10 1인당 ㎏ 4.9 4.7 4.6 4.7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3
  • 32. 5 오이 5.1. 수급 동향 제 2 5.1.1. 생산 동향 부 ◦ 오이 재배면적은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으로 2000년 이후 연평균 5% 감소하였다. 2010년 재배면적은 일부지역에서 재배규모를 축소하거 제 나 난방비 부담이 덜한 양채류 등으로 전환하여 전년보다 11% 감소한 3 4,396ha로 나타났다. 부 ◦ 오이 단수는 2000년 이후 병충해 방지기술과 하우스 관리기술 향상으로 연평균 3% 증가하였다. 2010년 단수는 일사량이 적어 작황이 부진하였 지만 출하기 가격이 높아 포장 관리 양호로 전년보다 4% 증가한 10a에 7,425kg으로 추정된다. ◦ 오이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줄어 2000년 이후 연평균 2% 감소하였다. 2010년 생산량은 단수는 높지만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보다 7% 감소한 33만톤으로 추정된다. 그림 23-29. 오이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64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33. 그림 23-30. 오이 작형별 재배 동향 (시설재배) (노지재배) 자료: 통계청(KOSIS). ◦ 오이 시설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4%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농가의 고령화로 인한 재배규모 감소나 작목전환이 주된 원인이다. 특히, 호남지역은 취청오이 재배 농가가 규모를 축소하거나 호박, 한라봉 으로 전환하여 2007년보다 크게 감소한 481ha이다. ◦ 2010년 노지오이 재배면적은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하였다. 특히, 충청지 역 노지오이는 작목을 전환하거나 여름재배 규모를 줄여 2007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제 23 5.1.2. 출하 및 가격 동향 장 ◦ 오이의 서울(가락)도매시장 최근 3개년(2008~2010년) 4~6월 반입비중은 영남지역의 연장재배와 충청지역의 반촉성작형 전환 증가로 과거 3개년 (2005~2007년)보다 3%p 증가한 반면, 11~12월 반입비중은 난방비 부담 으로 인한 재배규모 축소로 과거보다 4%p 감소하였다. ◦ 최근 3개년(2008~2010년) 평균가격은 1,324원/kg으로 과거 3개년 1,288원 /kg보다 3% 상승하였다. 최근 3개년 2∼3월 가격은 유류비 부담으로 인 한 충청지역의 촉성작형 반입비중 감소로 과거보다 11% 높았다. 2010년 평균가격은 1,585원/kg으로 전년 1,290원/kg보다 23% 높았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5
  • 34. 그림 23-31. 오이 월별 도매시장 반입비중 및 실질가격 (반입비중) (가격) 제 2 부 주: 반입비중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 =100)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제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3 부 ◦ 2010년 백다다기오이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봄철과 여름철 반입 량이 적었다. 3∼4월 반입량은 충청, 영남지역의 흐린 날 지속으로 전년 과 평년에 비해 각각 25%, 10% 감소하였다. 또한 여름철은 태풍으로 인 한 주산지 작황 부진으로 반입물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2010년 반입량은 1만 2,193톤이다. ◦ 2010년 백다다기오이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 각 19%, 23% 높았다.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2,278원/kg이다. ◦ 2010년 취청오이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재배규모 감소 및 작황 부진으로 각각 14%, 19% 적은 1만 7,670톤이다. 2010년은 고령화 및 작 목전환으로 취청오이 재배면적이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2010년 하반기 많은 강우 일수로 인한 작황 부진으로 반입량이 크 게 적었다. ◦ 2010년 취청오이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각 27%, 30% 높았다. 2010년 평균 실질도매가격은 2,105원/kg이다. 64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35. 그림 23-32. 백다다기오이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그림 23-33. 취청오이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제 23 장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5.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 오이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감소하고 있다. 2010년 1 인당 소비량은 전년보다 6% 감소한 7.3kg로 추정된다. ◦ 오이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 이후 연평균 6% 상승하고 있다. 2008∼ 2009년은 공급량 증가로 실질소비자가격이 하락하였으나 2010년은 기상 악화로 인한 공급량 감소로 전년보다 27% 높았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7
  • 36. 그림 23-34. 오이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제 2 부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제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3 부 ◦ 2010년 9월 전국 8대 도시에 거주하는 주부 5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 과, 주로 구매하는 오이 품종은 백다다기오이가 56%로 가장 높게 나타났 으며 가시오이(28%), 취청오이(15%)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품종별 소비 비중은 2009년 7월 조사치에 비해 백다다기오이가 3%p 증가하였고 가시 오이는 4%p 감소하였다. ◦ 오이 소비량은 2010년 9월 조사에서 ‘줄었다’는 응답이 58%로 크게 나타 났다. 그 이유는 ‘가격이 비싸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5.1.4. 수출입 동향 ◦ 오이 수출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38%로 감소하고 있다. 신선오이 수 출 비중이 감소한 반면, 가공된 오이 비중이 점차 증가하였다. 2010년 수 출량은 전년보다 70% 감소한 55톤이다. ◦ 2006년 이후 오이 수입량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2010년 수 입량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2만 600톤이다. 오이 수입 중 70%를 차지 하고 있는 절임오이 수입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14% 증가하여 2010년 은 전년보다 10% 증가한 1만 6,805톤이다. 64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37. 표 23-10. 오이 수출입 동향 단위: 톤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신선 8,259 3,529 2,255 1,236 918 398 304 108 67 27 수 절임 1 42 51 33 4 3 4 5 57 0 출 기타 5 5 14 51 29 38 106 59 65 27 량 전체 8,264 3,575 2,320 1,320 951 440 414 172 183 55 신선 0 0 14 0 0 0 5 0 54 542 수 절임 4,095 7,809 8,404 12,551 13,305 15,924 15,626 14,916 15,272 16,805 입 기타 5,904 6,204 5,679 5,232 4,357 4,120 3,961 3,970 2,811 3,253 량 전체 9,999 14,013 14,096 17,783 17,663 20,044 19,592 18,886 18,140 20,600 주: 기타는 식초·초산 조제임.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 절임오이는 중국에서 수입되는 비중이 가장 크다. 2003년 이후 중국산 수입량이 크게 상승하였고 2010년 중국산 수입량은 전년보다 15% 증가 한 1만 6,377톤이다. 반면, 인도와 스리랑카에서의 수입량은 감소추세이 며, 2008년 이후 베트남에서 수입되는 절임오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 수입량은 전년보다 10% 증가한 335톤이다. 그림 23-35. 국가별 절임오이 수입 동향 제 23 장 주: 인도, 베트남, 스리랑카는 오른쪽 축 참고.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49
  • 38. 5.2. 수급 전망 ◦ 2011년 백다다기오이 1~2월 정식면적은 충청지역 재배 확대로 2010년 보다 1~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취청오이는 호남지역에서 재 배규모를 줄이거나 양채류로 전환이 많아 2010년보다 3~6% 감소할 것으 로 전망된다. 제 2 ◦ 2011년 오이 재배면적은 가격상승 기대심리로 2010년보다 4% 증가한 부 4,584ha로 예상된다. 이후 오이 재배면적은 연평균 1% 감소하여 2016년 4,379ha, 2021년 4,193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 ◦ 2011년 오이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늘고 단수가 증가하여 2010년보다 5% 3 많은 34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6년은 33만톤, 2021년은 32만톤으 부 로 전망된다. ◦ 오이 수입량은 2011년 3만 2천톤에서 2016년 4만 1천톤, 2021년 4만 7천 톤으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오이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7.6kg, 2016년 7.6kg, 2021년 7.5kg으로 꾸 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 23-11. 오이 수급 전망 그림 23-36.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전 망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 4,396 4,584 4,379 4,193 면적 단 수 ㎏/10a 7,425 7,448 7,579 7,709 총 천톤 359 373 373 370 공급량 국내 천톤 326 341 332 323 생산량 수입량 천톤 33 32 41 47 1인당 ㎏ 7.3 7.6 7.6 7.5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수입량은 절임오이를 신선으로 환산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65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39. 6 호박 6.1. 수급 동향 6.1.1. 생산 동향 ◦ 호박 재배면적은 단호박 등의 재배 증가로 2000년 이후 연평균 1% 증가 하였다. 2010년 재배면적은 호남, 충청, 경기지역에서 가지, 수박 등으로 전환해 전년보다 8% 감소한 8,970ha로 나타났다. ◦ 호박 단수는 2000년 이후 꾸준한 기술향상으로 연평균 3% 증가하였다. 2010년 단수는 전년보다 2% 증가한 10a에 3,566kg으로 추정된다. ◦ 호박 생산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4% 증가하였다. 하지만 2010년 생산 량은 단수가 높지만 재배면적이 줄어 전년보다 6% 감소한 32만 톤으로 추정된다. 제 그림 23-37. 호박 재배면적과 생산량(3개년 이동평균) 23 장 주: 2010년 생산량은 추정치임. 자료: 통계청(KOSIS).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1
  • 40. ◦ 시설호박 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1%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2010년 호박 시설재배면적은 2007년에 비해 충청, 영남지역에서 증가하 였다. ◦ 경기, 호남지역은 수박, 가지 등으로 전환하여 2007년보다 각각 26%, 4% 제 감소한 288ha, 96ha이다. 2 ◦ 반면, 영남지역은 2010년 상반기 애호박 가격이 전반적으로 높아 재배규 부 모를 확대하여 2007년보다 39% 증가한 1,293ha이다. 제 ◦ 노지재배면적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증가하였지만 2007년 이후에는 3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부 ◦ 단호박의 소비 홍보와 건강식품이라는 소비자들의 인식 확산으로 단호박 주 작형인 노지재배가 증가하였지만 농가의 노동력 부족으로 2010년 노 지재배면적은 2007년보다 24% 감소한 5,724ha이다. 그림 23-38. 호박 작형별 재배 동향 (시설재배) (노지재배) 자료: 통계청(KOSIS). 652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41. 6.1.2. 출하 및 가격 동향 그림 23-39. 호박 월별 도매시장 반입비중 및 실질가격 동향 (반입비중) (실질가격) 주: 반입비중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 호박의 서울(가락)도매시장 최근 3개년(2008~2010년) 호박 1~7월 반입비 중은 영남, 호남지역의 연장재배 증가로 과거 3개년(2005~2007년)보다 5%p 증가한 반면, 11~12월 반입비중은 가격이 높은 시기의 출하를 목표 로 주산지에서 출하시기를 조절해 과거보다 5%p 감소하였다. 제 23 ◦ 최근 3개년 호박 실질도매가격은 1,213원/kg으로 과거 3개년 1,118원/kg 장 보다 9% 높았다. ◦ 2010년 애호박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각각 14%, 3% 적었다. 여 름철 발생한 태풍으로 강원지역 재배가 조기 종료되고 전국적으로 작황 이 부진하여 반입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2010년 애호박 반입량은 4만 2 천톤이다. ◦ 2010년 애호박 실질도매가격은 반입량 감소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각 27%, 22% 높은 2,051원/kg이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3
  • 42. 그림 23-40. 애호박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제 2 부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제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3 ◦ 가락시장에서 거래되는 단호박 반입량 중 수입산 단호박 비중은 30%를 부 차지하고 있으며 수입산은 주로 2~6월에 거래된다. 주로 거래되는 국내 산 단호박은 제주, 강원, 전남, 경북지역에서 재배된다. ◦ 최근 단호박 재배면적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생산 기술 확대로 2010년 단호박 반입량은 전년과 평년에 비해 각각 8%, 16% 많은 9,266톤이다. 하지만 2010년 단호박 실질도매가격은 소비 증가로 전년과 평년보다 각 각 8%, 15% 높은 1,477원/kg이다. 그림 23-41. 단호박 도매시장 반입량 및 실질가격 (반입량) (실질가격) 주: 반입량 및 가격은 서울(가락)도매시장 실적자료이며, 가격은 월별 생산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서울시농수산물공사. 654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43. 6.1.3. 소비 및 소비자 구매 행태 그림 23-42. 호박 1인당 소비량 및 실질소비자가격 (1인당 소비량) (실질소비자가격) 주: 1)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추정치임. 2) 연도별 실질소비자가격은 소매가격(상품 기준) 실적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2005년=100) 로 디플레이트 하였음. 자료: 통계청(KOSIS), 농수산물유통공사(KAMIS). ◦ 호박 1인당 소비량은 2000년 이후 연평균 3%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1인당 소비량은 전년보다 6% 감소한 6.9kg로 추정된다. ◦ 호박 실질소비자가격은 2000년 이후 연평균 2% 상승하였다. 2008~2009 제 년은 시장 공급량 증가로 실질소비자가격이 하락하였으나 2010년은 봄철 23 과 여름철의 좋지 않은 기상여건으로 공급량이 감소하여 전년보다 24% 장 상승하였다. ◦ 2010년 9월 전국 8대 도시에 거주하는 주부 5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 과 애호박 소비량은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전년 동월 대비 소비량이 ‘줄었다’는 응답이 60%로 호박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 다. 대체적으로 소비량이 감소한 이유는 비싼 가격 때문인 것(91%)으로 나타났다. ◦ 반면, 2009년 7월 조사에 의하면 과거 대비 소비량은 ‘비슷하다’는 응답 이 61%로 가장 많았고 ‘늘었다’는 응답도 1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5
  • 44. 6.1.4. 수출입 동향 ◦ 단호박 수출량은 2003년 이후 2008년까지 연평균 25% 감소하였으나 2010 년은 전년보다 4% 증가한 326톤을 수출하였다. 주 수출국은 일본이지만 현재 감소추세에 있으며 2010년 일본 수출량은 전년보다 8% 감소한 269 톤이다. 반면, 홍콩 등 동남아시아 수출은 증가하고 있다. 제 2 ◦ 단호박은 주로 뉴질랜드로부터 수입되며 수입물량의 90% 이상을 차지한 부 다. 단호박 수입량은 2007년까지 증가하였으나 2008년 이후부터 감소하 고 있다. 하지만 2010년은 전년보다 다소 증가한 1만 5,161톤이다. 제 표 23-12. 단호박 수출입 동향 단위: 톤 3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부 수출량 335 770 699 333 296 304 220 139 313 326 수입량 2,089 2,851 4,950 7,581 9,055 13,785 19,722 15,890 15,046 15,161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그림 23-43. 국가별 호박 수출입 동향 (국가별 수출) (국가별 수입) 주: 국가별 수입 그래프의 일본은 오른쪽 축 참고.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56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45. 6.2. 수급 전망 ◦ 2011년 1∼2월 애호박 정식면적은 영남지역 재배 확대로 2010년보다 6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11년 호박 재배면적은 가격상승 기대로 2010년보다 3% 증가한 9,218ha로 전망된다. 이후 호박 재배면적은 연평균 2% 증가하여 2016년 10,016ha, 2021년 10,838ha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11년 호박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가 증가하여 2010년보다 3% 많은 33만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2016년은 37만톤, 2021년은 42만톤으로 전 망된다. ◦ 단호박 수요 증가로 인해 수입량은 2011년 1만 7천톤에서 2016년 2만톤, 2021년 2만 3천톤으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호박 1인당 소비량은 2011년 7.1kg, 2016년 8.0kg, 2021년 8.9kg으로 전 망된다. 제 표 23-13. 호박 수급 전망 그림 23-44. 재배면적 및 생산량 전망 23 전 망 장 구 분 단위 2010 2011 2016 2021 재배 ㏊ 8,970 9,218 10,016 10,838 면적 단수 ㎏/10a 3,566 3,592 3,726 3,856 총 천톤 337 348 393 441 공급량 국내 천톤 320 331 373 418 생산량 수입량 천톤 17 17 20 23 1인당 ㎏ 6.9 7.1 8.0 8.9 소비량 주: 2010년은 추정치임. 수입량은 가공호박을 신선으로 환산한 수치임. 자료: 통계청(KOSIS). 전망치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ASMO).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7
  • 46. 7 과채류 일본 수출 동향 7.1. 품목별 일본 수출 동향 제 2 7.1.1. 파프리카 부 ◦ 수출 주력 품목 중 하나인 파프리카는 일본시장에서 뉴질랜드 및 네덜란 드와 경쟁하고 있다. 한국산 파프리카 수입량은 2001년 이후 연평균 4% 제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파프리카 수입은 네덜란드 수입비중이 높았으나 3 2000년 이후 한국산 수입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부 ◦ 일본시장 내 한국산 파프리카 평균단가는 490엔/kg으로 뉴질랜드와 네덜 란드에 비하여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파프리카 재 배 증가와 기술 발달로 인한 고품질 파프리카 생산으로 주 수출국으로 급부상하면서 뉴질랜드 및 네덜란드에 비해 가격경쟁력뿐만 아니라 품질 경쟁력 면에서도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표 23-14. 일본의 파프리카 수입국별 수입량 동향 단위: 톤, 백만엔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물량 2,023 11,092 12,290 14,906 16,223 17,764 14,570 14,447 16,958 17,865 14,367 한국 금액 779 3,499 3,557 4,926 4,892 5,955 5,426 5,805 5,711 5,205 4,799 네덜 물량 6,192 5,717 6,829 5,040 4,602 5,087 4,804 3,738 3,182 3,562 5,416 란드 금액 2,713 2,577 3,253 2,761 2,274 2,325 2,733 2,194 1,443 1,451 2,341 뉴질 물량 1,990 2,736 3,279 2,663 2,928 3,061 3,426 3,625 2,283 3,385 3,190 랜드 금액 1,030 1,320 1,508 1,479 1,416 1,410 1,881 2,123 1,286 1,455 1,562 물량 110 110 55 45 81 1 3 0 1 0 16 기타 금액 55 49 24 14 21 0.4 2 0 1 0 7 주: 2010년은 11월까지임.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658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47. 표 23-15. 일본 시장 가격 동향 단위: 엔/kg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일본산 473 565 500 482 606 614 555 536 601 파 프 한국산 456 513 467 460 527 587 467 440 - 리 뉴질랜드산 562 618 544 561 599 707 534 550 640 카 네덜란드산 600 672 577 593 723 627 626 531 624 자료: 동경중앙도매시장. 7.1.2. 멜론 ◦ 현재 일본시장의 한국산 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토마토에서 파프리카 로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새롭게 관심을 받고 있는 신선 농산물 품목은 딸기, 멜론 등이라고 볼 수 있다. 멜론은 1997년 이후 꾸준하게 수입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가인 일본 자국산보다 가격은 저렴하지만 품질이 좋아 일본시장에서 전반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멜론은 멕시코산이 일본 수입량의 70%를 차지한다. 하지만 한국산 멜론 도 꾸준하게 수입량이 증가하여 2002년 이후 연평균 21%로 빠르게 증가 제 하고 있다. 23 장 ◦ 현재 오타도매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한국산 멜론 평균단가는 280엔/kg 으로 일본산보다는 가격이 낮지만 경쟁국인 미국산, 멕시코산에 비해서 높게 형성되고 있다. ◦ 일본시장에서 한국산 멜론은 회전 초밥집, 프랜차이즈 식당 등 외식업체 의 수요 증가로 수입이 증가하였고, 최근에는 고품질이라는 인식으로 가 정 소비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59
  • 48. 표 23-16. 일본의 멜론 수입국별 수입량 동향 단위: 톤, 백만엔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물량 21,795 21,218 23,716 26,993 32,470 28,589 24,675 18,591 23,916 21,852 18,371 멕시코 금액 2,359 2,351 2,527 2,752 3,445 2,986 2,607 2,465 2,674 2,221 1,852 물량 11,450 10,692 10,218 10,876 10,375 9,172 7,931 7,288 6,612 6,812 8,334 미국 제 금액 914 874 795 879 813 726 712 654 610 500 609 2 한국 물량 332 489 481 701 1,366 1,160 812 333 365 720 900 금액 96 121 120 240 491 389 313 169 106 191 226 부 물량 558 556 449 246 112 85 143 160 127 109 80 기타 금액 226 221 213 130 61 50 73 54 85 55 34 주: 2010년은 11월까지임. 제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3 표 23-17. 일본 시장 가격 동향 부 단위: 엔/kg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일본산 401 432 417 383 497 533 481 - 466 한국산 - 240 281 225 - 543 - - - 멜 미국산 169 134 142 178 - - 202 - 220 론 뉴질랜드산 654 - - - - - - - - 멕시코산 169 152 183 99 47 - - - 222 자료: 동경중앙도매시장. 7.1.3. 여름딸기 ◦ 여름딸기는 2003년 일본 수출을 시작으로 연평균 25% 증가하여 2009년 은 201톤을 수출하였다. 일본 내 여름딸기 수입은 미국산이 95%를 차지 하고 5%가 한국산이다. ◦ 한국산은 미국산에 비해 품질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산 여름딸기는 품질 등급에 따라 소매점, 제과업체 뿐만 아니라 호텔로도 유통된다. 따라서, 고품질 딸기 수출은 보다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다. 660 ● 농산업별 전망과 미래 농업 ․ 농촌
  • 49. 표 23-18. 한국 여름딸기 수출량 단위: 톤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수출량 56 86 105 126 120 147 201 자료: 농촌진흥청. 7.2. 시사점 ◦ 한국산 농산물의 일본 수출은 접근성 용이로 과채류, 절화류 등의 수출 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안전성, 맛 등의 소비자 요구 수준이 높아 수출에 제약이 많은 나라이기도 하다. 일본에서 한국산 농 산물은 저품질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고품질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다. 품질경쟁력, 안전성 제고를 통하여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 과채류 일본 수출의 제약이 되는 요인은 몇 가지가 있다. 첫째, 국내 도 매시장가격이 높았을 경우 일본 계약 수출물량을 줄이는 등 수출 물량이 안정적이지 않다. 둘째, 국내 수출업체간 실적 등의 과다경쟁으로 일본시 장 내 덤핑 수출이 형성되어 한국산 과채류 이미지를 손상시킨다는 점이 제 다. 셋째, 수출업체와 수입업체간의 정보 부족으로 요구사항 불이행, 농 가 정보 전달 미흡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1) 23 장 ◦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그동안 구축해 놓은 한국산 과채류의 이미지가 실 추되고 거래가 단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동남아시아 등 새 로운 수출 시장 판로를 개척하여 성공적으로 수출길이 열렸지만 유통비 절감 및 안정적인 가격 형성을 고려해 볼 때 일본시장으로의 수출 증대 노력과 이미지 개선을 위한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 1) ‘어명근 외. 2010.「농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1/2차 연도)」 한국경제연구원.’을 참조함. . 과채 수급 동향과 전망 ● 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