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0
화장품의
유해성분 1616348
이소연
1
01
화장품 속
유해성분이란?
02
유해성분의
종류
목차
CONTENTS
2
01 화장품 속 유해성분이란?
데이터 출처
구희연,이은주 저 ,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 거름
화장품 속 유해성분?
인체에 유해한 화학 첨가물들은 셀 수 없이 많다.
그 중에서 가장 위험성이 높은 것들만 추리면
화장품 속 유해성분은 크게 20가지로 나눌 수 있다.
3
02 유해성분의 종류 - (1) 파라벤(Paraben)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파라벤(Paraben)
•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의 에스터 또는 염을 말한다.
•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죽이는 성질이 있어 화장품의 방부제로 널리
사용.
• 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소듐메칠파라벤, 소듐부틸파라벤, 소듐
에칠파라벤을 포함해 11가지의 종류가 있다.
• 무색‧무취‧불휘발성 살균보존제로 화장품, 식품, 보습제, 면도젤,
비경구처방약, 스프레이, 치약 등 화장품이외에 식품, 의약품등 폭
넓게 사용.
• 피부를 통해 혈액으로 침투하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파괴
한다는 연구발표와 화장품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의 양성 반응을 보
인다.
•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화장품 위원회는 isopropylparaben,
isobutylparaben,phenylparaben,benzylparaben,
pentylparaben 다섯 가지 파라벤을 금지시켰다.
4
02 유해성분의 종류 - (1) 파라벤(Paraben)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파라벤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로라메르시에 '시크릿 카뮤플라지'
• 포함된 유해성분
메칠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
필파라벤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입생로랑 '탑 시크릿 리-플럼핑 립 밤'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부틸파라벤, BHT부틸하이드
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페녹시에탄올
※총 6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5
02 유해성분의 종류 - (2)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Dibutyl Hydroxy Toluene, DHT)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Dibutyl Hydroxy Toluene, DHT)
• 산화방지제
• 미국에서는 1954년부터 첨가물로 사용
• 피부장애, 과민성의 원인이 되며, 탈모를 유발하고 입으로 들어가
면 혈청 콜레스테롤 상승을 시키며,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됨.
•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립스틱,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메이크업 제품 및 향수, 보습제, 개인위생 용품, 스킨,클렌저, 스킨
케어 제품 등에도 사용됨.
• FDA(미국식품의약국)에 의해 0.02% 농도까지 보존제로 식품에
사용이 허용됨.
6
02 유해성분의 종류 - (2)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Dibutyl Hydroxy Toluene, DHT)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유리아쥬 '스틱 레브르'
• 포함된 유해성분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미네랄오일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디올 '미스 디올 블루밍 부케 오 드 뚜왈렛'
• 포함된 유해성분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황
색4호, 적색504호, 자색401호
※총 6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7
02 유해성분의 종류 - (3) 소디움 라우릴 황산염
( Sodium Laural Sulfate, SLS)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소디움 라우릴 황산염
( Sodium Laural Sulfate, SLS)
• 음이온 계면활성제
• 세제, 샴푸, 크림, 로션 및 의약품의 유화제, 발포제, 습윤제 및 분
산제, 치약, 음식의 거품제로 사용.
• 두피 세척용 샴푸와 비듬, 지루, 지루피부염 및 건선 치료에 사용.
• 의약품뿐 아니라 유해약물에 대한 각질층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직
‧간접적으로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며 눈, 피부 및 호흡기에 자극
적.
8
02 유해성분의 종류 - (3) 소디움 라우릴 황산염
( Sodium Laural Sulfate, SLS)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소디움 라우릴 황산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입생로랑 '루쥬 쀠르 꾸뛰르 베르니 아 레브르'
• 포함된 유해성분
소디움라우릴황산염, 페녹시에탄올, 인공 향료, 적색 202호, 적색
227호, 황색5호, 청색1호, 황색 4호
※총 8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클라란스 'UV플러스 HP데이스크린'
• 포함된 유해성분
소디움라우릴황산염, PEG/PPG-18/18디메치콘, PEG/PPG-
20/15디메치콘, 인공 향료, 페녹시에탄올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9
02 유해성분의 종류 - (4) 소르빈산(Sorbic acid)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소르빈산(Sorbic acid)
• 곰팡이, 효모, 세균 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합성보존료의 일
종
• 미생물 세포의 생성을 막아주고 아미노산 흡수 억제 및 지방산 대
사 산화물을 축적시켜 미생물의 대사를 억제
• 주로 크림에 많이 들어가는 성분
• 아연산과 반응하면 발암 위험이 있고 피부와 점막을 자극하는 알레
르기를 유발
• 우리나라에서는 소르빈산 이외에 소르빈산칼륨 및 소르빈산칼슘
을 사용하도록 허용
10
02 유해성분의 종류 - (4) 소르빈산(Sorbic acid)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소르빈산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랩시리즈 '멀티 액션 훼이스 워시'
• 포함된 유해성분
소르빈산, PEG-3디스테아레이트, 페녹시에탄올, 녹색201호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SK2 '페이셜 트리트먼트 에센스(피테라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소르빈산, 메칠파라벤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11
02 유해성분의 종류 - (5) 아보벤존(Avobenzone)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아보벤존(Avobenzone)
• 부틸메록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dibenzoylmethane), 파
르솔 1789로도 불림.
• 자외선 차단제에 많이 사용
• 햇볕과 만나면 활성산소를 생성하고 DNA를 손상시켜 암과 같은 질병
을 유발
12
02 유해성분의 종류 - (5) 아보벤존(Avobenzone)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아보벤존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끌로에 '로즈 드 끌로에 오 드 뚜왈렛'
• 포함된 유해성분
아보벤존, 벤조페논-3;옥시벤존,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황색5호,
적색 504호, 청색1호, 자색401호
※총 7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페라리 '라이트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아보벤존, 인공 향료, 청색1호, 적색504호, 황색4호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13
02 유해성분의 종류 - (6) 이소프로필 알코올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 프로판올(propanol), 프로페놀(propanol), 이소프로페놀, 러빙
알코올 으로도 불림.
• 기포방지제, 향료, 점도 감소제로 사용.
• 방부효과가 있어 구강세척제, 헤어린스, 헤어스프레이, 핸드로션,
향수 등에서 볼 수 있음.
(Isopropyl Alcohol)
14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이소프로필 알코올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프리메라 '페이셜 마일드 필링'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알코올,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로레알파리 '토탈 리페어5 인스턴트 미라클 헤어팩'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알코올, 페녹시에탄올, 인공 향료, 황색203호, 황색5호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6) 이소프로필 알코올
(Isopropyl Alcohol)
15
02 유해성분의 종류 - (7) 합성착색료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합성착색료
• 법적으로는 허용되고 있음.
• 1992년부터 FDA(미국식품의약국)가 주시하고 있는 성분
• 흑피 병의 원인으로 황색4호, 적색219호, 황색204호가 있음.
• 입술염의 원인으로 적색202호가 있음.
16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합성착색료가 들어간 화장품 예시
맥(MAC) '아이 섀도우 [소바]'
• 포함된 유해성분
황색4호, 적색40호, 청색1호, 페녹시에탄올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나스(NARS) '블러쉬 [섹스어필]'
• 포함된 유해성분
황색4호, 적색201호, 적색226호, 페녹시에탄올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7) 합성착색료
17
02 유해성분의 종류 - (8)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미네랄 오일(Mineral Oil)
• 원유에서 정제되는 화학물질의 혼합물
• 주로 윤활제, 보습제, 일부 비타민과 같은 다른 지용성 성분의 비활
성 매개체로 작용
• 수분 흡인력이 없어 피부호흡을 막아 황변현상을 일으킴
• 피부에 오일 막을 만들어 공기 중의 먼지와 오염물질이 피부에 붙
어 피부의 독소 배출 능력을 방해하여 여드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됨.
• 크림, 로션, 보습제, 아기 용품, 목욕 오일, 헤어 케어 제품, 연고 등
광범위하게 사용
• 베이스 오일, 라이트 오일, 화아트 오일, 리퀴드 파라핀, 파라핀 오
일, 리퀴드, 바셀린 페트롤라툼으로도 불림
• 대체 성분으로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코코아 버터 등이 있음.
18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미네랄오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카멕스(CARMEX) '모이스처라이징 립밤 클래식 튜브'
• 포함된 유해성분
미네랄오일,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스킨푸드 '초코 아이브로우 파우더케익'
• 포함된 유해성분
미네랄오일,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인공 향료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8) 미네랄오일(Mineral Oil)
19
02 유해성분의 종류 - (9)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Imidazolidinyl Urea)
• 디아졸리디닐 유레아 (Diazolidinyl Urea), 디엠디엠 하이단토인
(DMDM hydantoin)으로도 불림.
• 살균보존제로 비비크림에 주로 사용
• 미국 피부학회(America Academy of Dermatology) 보고서
에 따르면, 흔히 쓰이는 방부제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요 원인
• 항균 기능이 낮아 다른 방부제와 혼합하여 사용
• 상품명은 GermallⅡ와 Germall 115
• Germall 115은 상온 10℃에서 독성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방출
• 호흡기나 피부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장 맥박수를 증가
시켜 심계항진증을 유발.
(Imidazolidinyl Urea)
20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가 들어간 화장품 예시
랑콤 '아트라이너'
• 포함된 유해성분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청색1호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DMCK '클린 아크 앰플'
• 포함된 유해성분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페녹시에탄올, PEG-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
스터오일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9)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Imidazolidinyl Urea)
21
02 유해성분의 종류 - (10)인공 향료(Fragrance, Parfum, Aroma)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인공 향료(Fragrance, Parfum, Aroma)
• 과하게 사용하게 되면 면역계에 작용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접촉성 피부염‧색소이상‧광화학반응‧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을
유발
22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인공 향료가 들어간 화장품 예시
빌리프(BELIF) '더 트루 크림 [모이스처라이징밤]'
• 포함된 유해성분
인공 향료, PEG-100스테아레이트, PEG-40스테아레이트, BIS-
PEG-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이니스프리 '더 그린티 씨드 오일'
• 포함된 유해성분
인공 향료
※총 1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0) 인공 향료(Fragrance, Parfum, Aroma)
23
02 유해성분의 종류 - (11)옥시벤존(Oxy Benzone)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옥시벤존(Oxy Benzone)
• 벤조페논(Benzophenones)에서 파생된 물질로 ‘벤조페논-3’으로
불리기도 함.
• 자외선 차단 방지나 변색 방지제로 많이 쓰임.
• 각종 색조 화장품, 립스틱, 선크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 각종 호흡기 장애 및 소화기 장애, 알레르기 유발 등의 부작용을 일으
킬 가능성 있음.
24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옥시벤존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바비브라운 '엑스트라 리페어 모이스처라이징 밤'
• 포함된 유해성분
옥시벤존, 아보벤존, PEG-40스테아레이트, 페녹시에탄올, 라우레
스-7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마크제이콥스 '데이지 드림 오 드 뚜왈렛'
• 포함된 유해성분
옥시벤존, 인공 향료, 아보벤존,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자색401호, 청
색1호
※총 6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1)옥시벤존(Oxy Benzone)
25
02 유해성분의 종류 - (12) 티몰(Thymol)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티몰(Thymol)
• 2-이소프로필-5-메틸페놀(IPMP)로 알려져 있는 방부제, 항진균제
• 여드름 치료를 위한 로션이나, 구강 청결제, 치질 연고로 사용.
• 타임(thyme) 또는 오레가노의 정유에서 추출되는 강한 항산화작용을 하
는 모노테르펜(monoterpene)페놀의 일종으로 각종 의약용으로 사용.
• 피부자극이 발생할 수 있어 민감성 피부나 어린이는 사용을 금함.
26
02 유해성분의 종류 - (13)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Triisopropanolamine)
• 화장수, 향수의 유화제로 용제에 이용
• 부식방지제, ph조절제로 과도한 피지를 제거하여 피부가 거칠어
짐.
(Triisopropanolamine)
27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플레이보이 '제너레이션 포 허 바디미스트'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적색504호, 황색4호, 자색401호, 부틸하
이드록시톨루엔, 옥시벤존, PEG/PPG-4/12디메치콘, 인공 향료
※총 8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3)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Triisopropanolamine)
28
02 유해성분의 종류 - (14) 트리에탄올아민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 세정제의 원료인 스테아린산염의 성분
• 화장품에는 향료, pH조절제, 계면활성제로 사용
• 클렌징의 기본 성분으로 TEA는 안과 질환이나 모발, 피부 건조 증
을 포함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킴.
• 장시간에 걸쳐 체내에 흡수, 축적되며 독성 물질로 변할 수 있음.
(Triethanolamine, TEA)
29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트리에탄올아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에스티로더 '6세대 갈색병 리페어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에탄올아민,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페녹시에탄올, 적색504호,
황색4호, PEG-75, BIS-PEG-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총 7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아벤느 'CPI 스킨 리커버리 크림'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에탄올아민, 미네랄오일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4)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TEA)
30
02 유해성분의 종류 - (15)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 곰팡이, 세균, 곤충에 대한 광범위한 방부제 작용
• 화장품 및 여러 목욕용품 등 피부 관련 제품에서 다양하게 사용
• 경우에 따라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기미, 주근깨의 원인이 됨.
• 피부자극과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31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페녹시에탄올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바닐라코 '프라임 프라이머 피니쉬 파우더'
• 포함된 유해성분
페녹시에탄올,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키스미 '히로인 메이크 스무스 리퀴드 아이라이너'
• 포함된 유해성분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5)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32
02 유해성분의 종류 - (16) 폴리에틸렌글리콜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 보습제, 계면활성제로 화장수, 크림 샴푸 등에 사용
• 피부 점막에 대해 자극성이 높아서 피부 트러블, 두드러기 등을 유발
(PEG, Polyethylene glycol)
33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폴리에틸렌글리콜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스킨푸드 '아르간 오일 실크 플러스 헤어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PEG-10,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세포라 '10 HR 웨어 퍼펙션 파운데이션'
• 포함된 유해성분
PEG-10,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페녹시에탄올, PEG-10디메치콘,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6)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Polyethylene glycol)
34
02 유해성분의 종류 - (17)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BHA, Butyl Hydroxy Anisole)
• 부틸하이드록시툴루엔(BHT, Butylated Hydroxy Toluene)의 다른 이름
• 산화방지제, 향료의 배합목적으로 사용
• 피부 장애, 과민성의 원인이 되며 탈모를 유발
• 입으로 들어가면 혈청 콜레스테롤 상승 및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됨.
• 유전자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피하지방에 쌓이기 쉽고 알레르기유발 가능성이
있음.
(BHA, Butyl Hydroxy Anisole)
35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입큰(IPKN) '뉴이스트 허니 팩트'
• 포함된 유해성분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메칠
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닥터자르트 '블랙라벨 플러스 비비크림'
• 포함된 유해성분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페녹시에
탄올,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세틸PEG
※총 8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7)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
(BHA, Butyl Hydroxy Anisole)
36
02 유해성분의 종류 - (18)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소프로필 메틸페놀(Isopropyl Methyphenol)
• 이소프로필 크레졸, 0-시멘-5-올 으로도 불림.
• 화장수, 유액, 선크림 제품에 사용하는 살균보존제
• 환경호르몬이 의심됨.
• 피부 점막 자극성이 강해서 부종, 여드름, 뾰루지, 두드러기 등 발진
을 일으킴.
•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음.
(Isopropyl Methyphenol)
37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이소프로필 메틸페놀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CJ LION '아이깨끗해 거품형 핸드솝 [순]'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유리아쥬 '톨레덤 수딩 크림'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페녹시에탄올, PEG-100스테아레이트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8)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Isopropyl Methyphenol)
38
02 유해성분의 종류 - (19) 트리클로산(Triclosan)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트리클로산(Triclosan)
• 탈취제, 항균 세정제로 배합한도 0.3% 이내로 사용
• 동물 실험에 의해 혈액, 간, 신장에 독성을 일으킨다고 보고됨.
• 면역력을 약하게 만들고 수정능력을 저하시키며 성호르몬을 교란하는
위험성분
39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트리클로산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한스킨 '블레미쉬 커버 [21 브라이트]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클로산, 페녹시에탄올, 메칠페라벤, 프로필파라벤, 세틸PEG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아이오페(IOPE) '트러블 클리닉 트리트먼트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클로산, PEG-8, 비스-PEG-18메칠에텔디메칠살란, PEG-60하
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페녹시에탄올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9) 트리클로산(Triclosan)
40
02 유해성분의 종류 - (20) 호르몬류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호르몬류
• 에스트로겐, 난포호르몬, 에스트라지올, 에티닐에스트라지올도 약
리작용이 심해 의약품에 가까움.
• 여자 아이가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립스틱을 사용했다가 질 출혈 및
성기, 유방이 과다 발육되었다는 보고가 있음.
에스트로겐
41
출처
source
• 위키백과
• 어플리케이션 '화해'
• 구희연, 이은주 저,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거름
• 이현정, 「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논문, 2017.2
42
감사합니다.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화장품속유해성분 자료조사_1616348 이소연

nature's friend
nature's friendnature's friend
nature's friend
guest7dd18b
 
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
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
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
여성환경연대
 
B.b beverage (pdf)
B.b beverage (pdf)B.b beverage (pdf)
B.b beverage (pdf)
morindakrmkt
 
기능성화장품
기능성화장품기능성화장품
기능성화장품
Yong-wook Shin
 
디미컨 중간발표
디미컨 중간발표디미컨 중간발표
디미컨 중간발표
naeun jang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여성환경연대
 
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
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
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
연우 손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연우 손
 
화장품학-제4강
화장품학-제4강화장품학-제4강
화장품학-제4강
Yong-wook Shin
 
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
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
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
KIM WOOJEONG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여성환경연대
 
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
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
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
sgs04097
 
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
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
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
여성환경연대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여성환경연대
 
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
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
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
heejaekim
 
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
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
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
osheakorea
 
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
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
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
여성환경연대
 
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
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
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
Fir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환경정의 environmental justice
 

Similar to 화장품속유해성분 자료조사_1616348 이소연 (20)

nature's friend
nature's friendnature's friend
nature's friend
 
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
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
에코라이프로 건강을 지켜요(어린이 건강생활 가이드)
 
B.b beverage (pdf)
B.b beverage (pdf)B.b beverage (pdf)
B.b beverage (pdf)
 
기능성화장품
기능성화장품기능성화장품
기능성화장품
 
디미컨 중간발표
디미컨 중간발표디미컨 중간발표
디미컨 중간발표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향수 매니큐어 보도자료 (2007)
 
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
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
화장품 유형별 유해성분 조사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김우정, 이소연, 장나은 조
 
화장품학-제4강
화장품학-제4강화장품학-제4강
화장품학-제4강
 
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
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
김우정 화장품유해성분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방향제 속 프탈레이트 보도자료(2010)
 
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
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
화장품의 유해성분 설문결과 및 그래프
 
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
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
립스틱중금속 조사보고서 '치명적인 키스'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시민대학 생활 속 화학물질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생활공간별 유해물질 국내기준과 해외발암물질 등급(2013)
 
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
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
디미컨2중간과제피피티(8주)
 
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
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
O'Shea Korea Introduction for Internship Program
 
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
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
20141023 [보도자료] 대형마트 pb상품 안전성조사 결과발표
 
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
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
NotSeeBack_product_intro_kr202001210316.pdf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생활용품 안전구매 가이드북
 

More from sgs04097

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
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
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
sgs04097
 
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
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
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
sgs04097
 
화장품 성분 알고쓰자
화장품 성분 알고쓰자화장품 성분 알고쓰자
화장품 성분 알고쓰자
sgs04097
 
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
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
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
sgs04097
 
5.23 화장품속 유해성분
5.23 화장품속 유해성분5.23 화장품속 유해성분
5.23 화장품속 유해성분
sgs04097
 
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
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
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
sgs04097
 
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
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
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
sgs04097
 
1616348이소연
1616348이소연1616348이소연
1616348이소연
sgs04097
 

More from sgs04097 (8)

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
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
현대오일뱅크_음악시각화
 
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
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
현대오일뱅크 아이디어 1616348 이소연
 
화장품 성분 알고쓰자
화장품 성분 알고쓰자화장품 성분 알고쓰자
화장품 성분 알고쓰자
 
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
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
화장품의 유해성분 어플 디자인
 
5.23 화장품속 유해성분
5.23 화장품속 유해성분5.23 화장품속 유해성분
5.23 화장품속 유해성분
 
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
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
화장품 유해성분(5월 16일)
 
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
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
5월 2일 1616348 이소연 개인 과제
 
1616348이소연
1616348이소연1616348이소연
1616348이소연
 

화장품속유해성분 자료조사_1616348 이소연

  • 3. 2 01 화장품 속 유해성분이란? 데이터 출처 구희연,이은주 저 ,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 거름 화장품 속 유해성분? 인체에 유해한 화학 첨가물들은 셀 수 없이 많다. 그 중에서 가장 위험성이 높은 것들만 추리면 화장품 속 유해성분은 크게 20가지로 나눌 수 있다.
  • 4. 3 02 유해성분의 종류 - (1) 파라벤(Paraben)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파라벤(Paraben) • 파라하이드록시벤조산의 에스터 또는 염을 말한다. •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죽이는 성질이 있어 화장품의 방부제로 널리 사용. • 메칠파라벤, 부틸파라벤, 소듐메칠파라벤, 소듐부틸파라벤, 소듐 에칠파라벤을 포함해 11가지의 종류가 있다. • 무색‧무취‧불휘발성 살균보존제로 화장품, 식품, 보습제, 면도젤, 비경구처방약, 스프레이, 치약 등 화장품이외에 식품, 의약품등 폭 넓게 사용. • 피부를 통해 혈액으로 침투하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파괴 한다는 연구발표와 화장품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의 양성 반응을 보 인다. • 동남아시아 국가연합 화장품 위원회는 isopropylparaben, isobutylparaben,phenylparaben,benzylparaben, pentylparaben 다섯 가지 파라벤을 금지시켰다.
  • 5. 4 02 유해성분의 종류 - (1) 파라벤(Paraben)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파라벤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로라메르시에 '시크릿 카뮤플라지' • 포함된 유해성분 메칠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부틸파라벤, 프로 필파라벤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입생로랑 '탑 시크릿 리-플럼핑 립 밤'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부틸파라벤, BHT부틸하이드 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페녹시에탄올 ※총 6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 6. 5 02 유해성분의 종류 - (2)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Dibutyl Hydroxy Toluene, DHT)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Dibutyl Hydroxy Toluene, DHT) • 산화방지제 • 미국에서는 1954년부터 첨가물로 사용 • 피부장애, 과민성의 원인이 되며, 탈모를 유발하고 입으로 들어가 면 혈청 콜레스테롤 상승을 시키며,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됨. •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립스틱,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메이크업 제품 및 향수, 보습제, 개인위생 용품, 스킨,클렌저, 스킨 케어 제품 등에도 사용됨. • FDA(미국식품의약국)에 의해 0.02% 농도까지 보존제로 식품에 사용이 허용됨.
  • 7. 6 02 유해성분의 종류 - (2)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Dibutyl Hydroxy Toluene, DHT)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유리아쥬 '스틱 레브르' • 포함된 유해성분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미네랄오일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디올 '미스 디올 블루밍 부케 오 드 뚜왈렛' • 포함된 유해성분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황 색4호, 적색504호, 자색401호 ※총 6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 8. 7 02 유해성분의 종류 - (3) 소디움 라우릴 황산염 ( Sodium Laural Sulfate, SLS)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소디움 라우릴 황산염 ( Sodium Laural Sulfate, SLS) • 음이온 계면활성제 • 세제, 샴푸, 크림, 로션 및 의약품의 유화제, 발포제, 습윤제 및 분 산제, 치약, 음식의 거품제로 사용. • 두피 세척용 샴푸와 비듬, 지루, 지루피부염 및 건선 치료에 사용. • 의약품뿐 아니라 유해약물에 대한 각질층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직 ‧간접적으로 자극을 일으킬 수 있으며 눈, 피부 및 호흡기에 자극 적.
  • 9. 8 02 유해성분의 종류 - (3) 소디움 라우릴 황산염 ( Sodium Laural Sulfate, SLS)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소디움 라우릴 황산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입생로랑 '루쥬 쀠르 꾸뛰르 베르니 아 레브르' • 포함된 유해성분 소디움라우릴황산염, 페녹시에탄올, 인공 향료, 적색 202호, 적색 227호, 황색5호, 청색1호, 황색 4호 ※총 8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클라란스 'UV플러스 HP데이스크린' • 포함된 유해성분 소디움라우릴황산염, PEG/PPG-18/18디메치콘, PEG/PPG- 20/15디메치콘, 인공 향료, 페녹시에탄올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 10. 9 02 유해성분의 종류 - (4) 소르빈산(Sorbic acid)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소르빈산(Sorbic acid) • 곰팡이, 효모, 세균 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합성보존료의 일 종 • 미생물 세포의 생성을 막아주고 아미노산 흡수 억제 및 지방산 대 사 산화물을 축적시켜 미생물의 대사를 억제 • 주로 크림에 많이 들어가는 성분 • 아연산과 반응하면 발암 위험이 있고 피부와 점막을 자극하는 알레 르기를 유발 • 우리나라에서는 소르빈산 이외에 소르빈산칼륨 및 소르빈산칼슘 을 사용하도록 허용
  • 11. 10 02 유해성분의 종류 - (4) 소르빈산(Sorbic acid)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소르빈산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랩시리즈 '멀티 액션 훼이스 워시' • 포함된 유해성분 소르빈산, PEG-3디스테아레이트, 페녹시에탄올, 녹색201호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SK2 '페이셜 트리트먼트 에센스(피테라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소르빈산, 메칠파라벤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 12. 11 02 유해성분의 종류 - (5) 아보벤존(Avobenzone)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아보벤존(Avobenzone) • 부틸메록시디벤조일메탄(ButylMethoxydibenzoylmethane), 파 르솔 1789로도 불림. • 자외선 차단제에 많이 사용 • 햇볕과 만나면 활성산소를 생성하고 DNA를 손상시켜 암과 같은 질병 을 유발
  • 13. 12 02 유해성분의 종류 - (5) 아보벤존(Avobenzone)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아보벤존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끌로에 '로즈 드 끌로에 오 드 뚜왈렛' • 포함된 유해성분 아보벤존, 벤조페논-3;옥시벤존,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황색5호, 적색 504호, 청색1호, 자색401호 ※총 7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페라리 '라이트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아보벤존, 인공 향료, 청색1호, 적색504호, 황색4호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 14. 13 02 유해성분의 종류 - (6) 이소프로필 알코올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 프로판올(propanol), 프로페놀(propanol), 이소프로페놀, 러빙 알코올 으로도 불림. • 기포방지제, 향료, 점도 감소제로 사용. • 방부효과가 있어 구강세척제, 헤어린스, 헤어스프레이, 핸드로션, 향수 등에서 볼 수 있음. (Isopropyl Alcohol)
  • 15. 14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이소프로필 알코올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프리메라 '페이셜 마일드 필링'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알코올,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로레알파리 '토탈 리페어5 인스턴트 미라클 헤어팩'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알코올, 페녹시에탄올, 인공 향료, 황색203호, 황색5호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6) 이소프로필 알코올 (Isopropyl Alcohol)
  • 16. 15 02 유해성분의 종류 - (7) 합성착색료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합성착색료 • 법적으로는 허용되고 있음. • 1992년부터 FDA(미국식품의약국)가 주시하고 있는 성분 • 흑피 병의 원인으로 황색4호, 적색219호, 황색204호가 있음. • 입술염의 원인으로 적색202호가 있음.
  • 17. 16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합성착색료가 들어간 화장품 예시 맥(MAC) '아이 섀도우 [소바]' • 포함된 유해성분 황색4호, 적색40호, 청색1호, 페녹시에탄올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나스(NARS) '블러쉬 [섹스어필]' • 포함된 유해성분 황색4호, 적색201호, 적색226호, 페녹시에탄올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7) 합성착색료
  • 18. 17 02 유해성분의 종류 - (8)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미네랄 오일(Mineral Oil) • 원유에서 정제되는 화학물질의 혼합물 • 주로 윤활제, 보습제, 일부 비타민과 같은 다른 지용성 성분의 비활 성 매개체로 작용 • 수분 흡인력이 없어 피부호흡을 막아 황변현상을 일으킴 • 피부에 오일 막을 만들어 공기 중의 먼지와 오염물질이 피부에 붙 어 피부의 독소 배출 능력을 방해하여 여드름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됨. • 크림, 로션, 보습제, 아기 용품, 목욕 오일, 헤어 케어 제품, 연고 등 광범위하게 사용 • 베이스 오일, 라이트 오일, 화아트 오일, 리퀴드 파라핀, 파라핀 오 일, 리퀴드, 바셀린 페트롤라툼으로도 불림 • 대체 성분으로 코코넛 오일, 아보카도 오일, 아르간 오일, 호호바 오일, 아몬드 오일, 코코아 버터 등이 있음.
  • 19. 18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미네랄오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카멕스(CARMEX) '모이스처라이징 립밤 클래식 튜브' • 포함된 유해성분 미네랄오일,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스킨푸드 '초코 아이브로우 파우더케익' • 포함된 유해성분 미네랄오일,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인공 향료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8) 미네랄오일(Mineral Oil)
  • 20. 19 02 유해성분의 종류 - (9)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Imidazolidinyl Urea) • 디아졸리디닐 유레아 (Diazolidinyl Urea), 디엠디엠 하이단토인 (DMDM hydantoin)으로도 불림. • 살균보존제로 비비크림에 주로 사용 • 미국 피부학회(America Academy of Dermatology) 보고서 에 따르면, 흔히 쓰이는 방부제로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요 원인 • 항균 기능이 낮아 다른 방부제와 혼합하여 사용 • 상품명은 GermallⅡ와 Germall 115 • Germall 115은 상온 10℃에서 독성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방출 • 호흡기나 피부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거나 심장 맥박수를 증가 시켜 심계항진증을 유발. (Imidazolidinyl Urea)
  • 21. 20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가 들어간 화장품 예시 랑콤 '아트라이너' • 포함된 유해성분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청색1호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DMCK '클린 아크 앰플' • 포함된 유해성분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페녹시에탄올, PEG-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 스터오일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9)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Imidazolidinyl Urea)
  • 22. 21 02 유해성분의 종류 - (10)인공 향료(Fragrance, Parfum, Aroma)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인공 향료(Fragrance, Parfum, Aroma) • 과하게 사용하게 되면 면역계에 작용하여 알레르기를 유발하거나 접촉성 피부염‧색소이상‧광화학반응‧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을 유발
  • 23. 22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인공 향료가 들어간 화장품 예시 빌리프(BELIF) '더 트루 크림 [모이스처라이징밤]' • 포함된 유해성분 인공 향료, PEG-100스테아레이트, PEG-40스테아레이트, BIS- PEG-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이니스프리 '더 그린티 씨드 오일' • 포함된 유해성분 인공 향료 ※총 1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0) 인공 향료(Fragrance, Parfum, Aroma)
  • 24. 23 02 유해성분의 종류 - (11)옥시벤존(Oxy Benzone)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옥시벤존(Oxy Benzone) • 벤조페논(Benzophenones)에서 파생된 물질로 ‘벤조페논-3’으로 불리기도 함. • 자외선 차단 방지나 변색 방지제로 많이 쓰임. • 각종 색조 화장품, 립스틱, 선크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 각종 호흡기 장애 및 소화기 장애, 알레르기 유발 등의 부작용을 일으 킬 가능성 있음.
  • 25. 24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옥시벤존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바비브라운 '엑스트라 리페어 모이스처라이징 밤' • 포함된 유해성분 옥시벤존, 아보벤존, PEG-40스테아레이트, 페녹시에탄올, 라우레 스-7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마크제이콥스 '데이지 드림 오 드 뚜왈렛' • 포함된 유해성분 옥시벤존, 인공 향료, 아보벤존,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자색401호, 청 색1호 ※총 6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1)옥시벤존(Oxy Benzone)
  • 26. 25 02 유해성분의 종류 - (12) 티몰(Thymol)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티몰(Thymol) • 2-이소프로필-5-메틸페놀(IPMP)로 알려져 있는 방부제, 항진균제 • 여드름 치료를 위한 로션이나, 구강 청결제, 치질 연고로 사용. • 타임(thyme) 또는 오레가노의 정유에서 추출되는 강한 항산화작용을 하 는 모노테르펜(monoterpene)페놀의 일종으로 각종 의약용으로 사용. • 피부자극이 발생할 수 있어 민감성 피부나 어린이는 사용을 금함.
  • 27. 26 02 유해성분의 종류 - (13)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Triisopropanolamine) • 화장수, 향수의 유화제로 용제에 이용 • 부식방지제, ph조절제로 과도한 피지를 제거하여 피부가 거칠어 짐. (Triisopropanolamine)
  • 28. 27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플레이보이 '제너레이션 포 허 바디미스트'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적색504호, 황색4호, 자색401호, 부틸하 이드록시톨루엔, 옥시벤존, PEG/PPG-4/12디메치콘, 인공 향료 ※총 8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3) 트리이소프로파놀아민 (Triisopropanolamine)
  • 29. 28 02 유해성분의 종류 - (14) 트리에탄올아민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 세정제의 원료인 스테아린산염의 성분 • 화장품에는 향료, pH조절제, 계면활성제로 사용 • 클렌징의 기본 성분으로 TEA는 안과 질환이나 모발, 피부 건조 증 을 포함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킴. • 장시간에 걸쳐 체내에 흡수, 축적되며 독성 물질로 변할 수 있음. (Triethanolamine, TEA)
  • 30. 29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트리에탄올아민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에스티로더 '6세대 갈색병 리페어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에탄올아민,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페녹시에탄올, 적색504호, 황색4호, PEG-75, BIS-PEG-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총 7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아벤느 'CPI 스킨 리커버리 크림'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에탄올아민, 미네랄오일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4) 트리에탄올아민 (Triethanolamine, TEA)
  • 31. 30 02 유해성분의 종류 - (15)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 곰팡이, 세균, 곤충에 대한 광범위한 방부제 작용 • 화장품 및 여러 목욕용품 등 피부 관련 제품에서 다양하게 사용 • 경우에 따라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기미, 주근깨의 원인이 됨. • 피부자극과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
  • 32. 31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페녹시에탄올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바닐라코 '프라임 프라이머 피니쉬 파우더' • 포함된 유해성분 페녹시에탄올,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키스미 '히로인 메이크 스무스 리퀴드 아이라이너' • 포함된 유해성분 페녹시에탄올,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5)페녹시에탄올(Phenoxy Ethanol)
  • 33. 32 02 유해성분의 종류 - (16) 폴리에틸렌글리콜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 보습제, 계면활성제로 화장수, 크림 샴푸 등에 사용 • 피부 점막에 대해 자극성이 높아서 피부 트러블, 두드러기 등을 유발 (PEG, Polyethylene glycol)
  • 34. 33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폴리에틸렌글리콜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스킨푸드 '아르간 오일 실크 플러스 헤어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PEG-10,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세포라 '10 HR 웨어 퍼펙션 파운데이션' • 포함된 유해성분 PEG-10,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페녹시에탄올, PEG-10디메치콘, ※총 4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6)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Polyethylene glycol)
  • 35. 34 02 유해성분의 종류 - (17)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BHA, Butyl Hydroxy Anisole) • 부틸하이드록시툴루엔(BHT, Butylated Hydroxy Toluene)의 다른 이름 • 산화방지제, 향료의 배합목적으로 사용 • 피부 장애, 과민성의 원인이 되며 탈모를 유발 • 입으로 들어가면 혈청 콜레스테롤 상승 및 체중 감소의 원인이 됨. • 유전자 이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피하지방에 쌓이기 쉽고 알레르기유발 가능성이 있음. (BHA, Butyl Hydroxy Anisole)
  • 36. 35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입큰(IPKN) '뉴이스트 허니 팩트' • 포함된 유해성분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메칠 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닥터자르트 '블랙라벨 플러스 비비크림' • 포함된 유해성분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인공 향료, 페녹시에 탄올,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세틸PEG ※총 8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7) 부틸 하이드록시 아니솔 (BHA, Butyl Hydroxy Anisole)
  • 37. 36 02 유해성분의 종류 - (18)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소프로필 메틸페놀(Isopropyl Methyphenol) • 이소프로필 크레졸, 0-시멘-5-올 으로도 불림. • 화장수, 유액, 선크림 제품에 사용하는 살균보존제 • 환경호르몬이 의심됨. • 피부 점막 자극성이 강해서 부종, 여드름, 뾰루지, 두드러기 등 발진 을 일으킴. •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음. (Isopropyl Methyphenol)
  • 38. 37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이소프로필 메틸페놀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CJ LION '아이깨끗해 거품형 핸드솝 [순]'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인공 향료 ※총 2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유리아쥬 '톨레덤 수딩 크림' • 포함된 유해성분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페녹시에탄올, PEG-100스테아레이트 ※총 3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8)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Isopropyl Methyphenol)
  • 39. 38 02 유해성분의 종류 - (19) 트리클로산(Triclosan)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트리클로산(Triclosan) • 탈취제, 항균 세정제로 배합한도 0.3% 이내로 사용 • 동물 실험에 의해 혈액, 간, 신장에 독성을 일으킨다고 보고됨. • 면역력을 약하게 만들고 수정능력을 저하시키며 성호르몬을 교란하는 위험성분
  • 40. 39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트리클로산이 들어간 화장품 예시 한스킨 '블레미쉬 커버 [21 브라이트]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클로산, 페녹시에탄올, 메칠페라벤, 프로필파라벤, 세틸PEG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아이오페(IOPE) '트러블 클리닉 트리트먼트 에센스' • 포함된 유해성분 트리클로산, PEG-8, 비스-PEG-18메칠에텔디메칠살란, PEG-60하 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페녹시에탄올 ※총 5가지의 유해성분 검출 02 유해성분의 종류 - (19) 트리클로산(Triclosan)
  • 41. 40 02 유해성분의 종류 - (20) 호르몬류 데이터 출처 위키백과, 화해, 이현정-'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호르몬류 • 에스트로겐, 난포호르몬, 에스트라지올, 에티닐에스트라지올도 약 리작용이 심해 의약품에 가까움. • 여자 아이가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립스틱을 사용했다가 질 출혈 및 성기, 유방이 과다 발육되었다는 보고가 있음. 에스트로겐
  • 42. 41 출처 source • 위키백과 • 어플리케이션 '화해' • 구희연, 이은주 저, '「대한민국 화장품의 비밀」, 거름 • 이현정, 「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논문, 20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