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fully reported this slideshow.
Your SlideShare is downloading. ×

2023년 정기 총회 자료집.pdf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공동체은행 빈고
2023년 조합원 정기 총회
날짜 : 2023년 1월 28일 토요일
시간 : 오후 2시~5시
장소 : 연구자의집 합정R커먼즈
1
총회 식순
1부 : 사전행사
1. 인사하기
2. 새 공동체 소개
3. 설문조사 결과 발표
4. 빈고 어워드
2부 : 본 회의
1. 개회 선언
성원확인
의사 일정 확정 및 서기 선임
안건 채택
전년도 회의록 승인
2. 2...
자료집 목차
1. 총회 식순 - - - - - - - - - - - - 2
2. 자료집 목차 - - - - - - - - - - - - 3
3. 공동체은행 빈고 선언문 - - - - - - - - - - - - 4
4....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Loading in …3
×

Check these out next

1 of 71 Ad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23년 정기 총회 자료집.pdf (20)

Recently uploaded (20)

Advertisement

2023년 정기 총회 자료집.pdf

  1. 1. 공동체은행 빈고 2023년 조합원 정기 총회 날짜 : 2023년 1월 28일 토요일 시간 : 오후 2시~5시 장소 : 연구자의집 합정R커먼즈 1
  2. 2. 총회 식순 1부 : 사전행사 1. 인사하기 2. 새 공동체 소개 3. 설문조사 결과 발표 4. 빈고 어워드 2부 : 본 회의 1. 개회 선언 성원확인 의사 일정 확정 및 서기 선임 안건 채택 전년도 회의록 승인 2. 2022 활동평가 제1호 안건 : 2022년도 활동보고 및 평가 제2호 안건 : 2022년도 결산보고 및 잉여금처분 제3호 안건 : 2022년도 감사보고 3. 2023 활동계획 제4호 안건 : 2023년도 조직 및 임원구성 제5호 안건 : 2023년도 활동계획 제6호 안건 : 2023년도 예산 및 공유지운영 4. 기타 안건 제7호 안건 : 장기 이용활동 종료 처리 5. 소식 공유 6. 폐회 선언 3부 : 뒤풀이 2
  3. 3. 자료집 목차 1. 총회 식순 - - - - - - - - - - - - 2 2. 자료집 목차 - - - - - - - - - - - - 3 3. 공동체은행 빈고 선언문 - - - - - - - - - - - - 4 4. 공동체은행 빈고 노래 - - - - - - - - - - - - 8 5. 공동체은행 빈고의 발자취 - - - - - - - - - - - - 9 6. 2022년도 총회 회의록 - - - - - - - - - - - - 12 7. 2022년도 활동보고 - - - - - - - - - - - - 21 8. 2022년도 활동평가 - - - - - - - - - - - - 35 9. 2022년도 결산 - - - - - - - - - - - - 38 10. 2022년도 잉여금처분 - - - - - - - - - - - - 43 11. 2022년도 감사보고서 - - - - - - - - - - - - 45 12. 2023년도 조직 및 임원 구성 - - - - - - - - - - - - 47 13. 2023년도 활동계획 - - - - - - - - - - - - 48 14. 2023년도 예산 및 공유지운영 - - - - - - - - - - - - 49 15. 기타안건 - - - - - - - - - - - - 51 16. 빈고 13년 일람 - - - - - - - - - - - - 52 17. 광고 - - - - - - - - - - - - 57 18. 빈고 정관 - - - - - - - - - - - - 58 19. 빈고 이용활동 프로그램 안내 - - - - - - - - - - - - 67 20. 빈고 조합원 활동 - - - - - - - - - - - - 68 3
  4. 4. 공동체은행 빈고 선언문 우리는 돈이 있을 때도 은행으로 가고, 없을 때도 은행으로 간다. 돈이 남는 사람은 은행에 예금을 하고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돈이 없는 사람은 은행으로부터 필요한 돈을 대출 받을 수도 있다. 은행은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해서, 양쪽 모두를 만족 시키는 편리하고 합리적인 서비스다. 은행은 어떤 위기에도 지켜져야 하는 사회경제 시스템의 흔들림 없는 기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런가? 우리는 정반대가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이미 짜여진 은행 시스템 속에서 선택의 여지 없이 종속되어 있다. 우리는 은행을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은행 시스템 내부의 닫힌 화폐 흐름이 잠시 우리의 계좌를 거쳐갈 뿐이다. 우리가 남는 돈을 적절히 보관하고 활용할 다른 방법이 있는가? 우리가 필요한 돈을 빌릴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가? 우리의 돈을 어떻게 이용하고 어디에 투자하는 지 결정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가? 누가 우리의 이자율과 투자처와 신용등급과 대출여부를 결정하는가? 우리는 도대체 언제 이 시스템 속에서 살아갈 것을 동의했단 말인가? 다른 대안은 정말 불가능한 건가? 은행이 안정적이라고? 그건 일차적으로는 국가가 안정성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가가 그럴 수 있는 것은 국가가 국민들 즉 우리로부터 세금을 앞으로도 안정적으로 수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행이 수익성이 높다고? 그것은 일차적으로는 은행이 수익성 높은 거대자본에 투자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대자본의 수익성이 높은 것은 거대자본이 노동자와 소비자 즉 우리를 가장 효율적으로 착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모두가 이용할 수밖에 없는 은행이 안정적으로 막대한 이익을 벌고 있다면, 결국 그것은 모두의 주머니를 털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자본주의 은행시스템은 우리의 욕망과 삶의 양식 마저도 바꾸어 놓기 시작했다. 우리는 어느새 저들의 욕망과 저들의 규칙을 따르게 되었다. 무심코 은행에서 권유한 펀드 상품을 가입하면서부터, 우리는 우리의 돈이 안정성과 수익성을 갖고 저절로 불어나길 바라게 되었다. 돈이 어떻게 쓰이고, 누구를 위해 쓰이건 간에 중요한 것은 나에게 돌아오는 이자 또는 투자 수익률 뿐이다. 은행의 낮은 이율을 합리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우리는 그 돈을 빌려 부동산을 매입하고, 투자를 하고, 사업을 벌이면서 레버리지라는 이름의 더 높은 수익률을 얻고자 한다. 그렇게 우리는 여전히 수탈당하고 착취당하는 노동자와 소비자임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예금자, 채권자, 투자자, 채무자, 자산가, 사업가가 되어 간다. 그렇게 우리는 우리를 잃어버리고 그들 중의 하나로, 은행시스템의 지지자 또는 공범자가 되어버렸다. 그렇게 변해버린 우리의 욕망과 신체는 어떠한 다른 삶도 상상하거나 감행할 수 없게 돼버렸다. 우리는 신용협동조합과 대안금융운동의 소중한 역사에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많은 시도들이 초기의 훌륭한 문제의식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성공하면 성공할 수록 기존의 은행과 닮아가지 않을 수 없었다는 사실도 직시하고 있다. 돈이 없을 때는 돈이 돈을 버는 것에 대해 반대하지만, 돈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이율배반에 빠지고 만 것이다. 기존의 은행과 똑같은 욕망을 가진 사람들, 더 높은 이율과 수익을 바라는 자산가, 더 낮은 이율과 높은 레버리지를 바라는 대출자, 안정성과 수익성과 최대이윤을 추구하는 은행가, 이들이 만들어내는 은행에 어떤 대안이 있을 수 있을까? 돈이 우리의 삶의 모든 곳에 개입하고, 우리의 삶의 모든 순간을 지배하게 되면 될수록 이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진다. 노동자로서 정당하게 수입을 얻고, 소비자로서 올바르게 지출을 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다. 하지만 현대 4
  5. 5. 금융자본주의가 발전할수록 개인의 수입과 지출 외에 자산과 부채가 갖는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 사람의 부는 노동시장에 나가기도 전에 자산과 부채의 차이로 대부분이 결정된다. 집을 사는 것은 더 이상 소비의 문제가 아니라, 자산을 상속받는 문제, 대출이라는 리스크를 안고 레버리지를 노리는 투자와 자산운영 전략의 문제다. 우리는 오늘 하루 소비를 위해 노동하는 것만큼이나, 과거의 부채 때문에 노동하고, 미래의 자산을 위해 노동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노동자로서 단결하고, 소비자로서 연합하는 만큼, 금융의 영역에서도 단결하고 연합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 안타깝게도 우리는 이 부분에 대한 경험과 이론을 충분히 갖고 있지 않다. 노동자는 어떻게 저축해야 하나? 실업자는 어떻게 생활해야 하나? 소비자는 금융상품을 어떻게 해야 하나? 노동자는 어디에 투자해야 하나? 소비자는 어떻게 집을 구해야 하는가? 우리는 노후에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 우리는 어떻게 미래의 위험에 대비할 것인가? 우리는 어떻게 그들과는 다르게 돈을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을 것인가? 우리가 노동자와 소비자로서 그들과 투쟁해서 돈에 여유가 생겼을 때, 우리가 그들과 같은 부자가 되고 말 것인가? 우리는 가난하다. 하지만 거대자본에 맞서 미약할 수 밖에 없는 우리가 받는 노동 수입과, 원하지도 않는 거짓 욕망을 전방위적으로 강요당하는 우리의 소비 환경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가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겨우 저축한 돈을 투자로 날리고, 보험에 쏟아붓고, 대출이자로 빼앗기는 우리가 어떻게 가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현재의 조건에 대해 분노하고 투쟁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가난하다. 이 척박한 환경에서 공동체와 공유지를 만들어내는 사람들이 어떻게 빚지지 않고 살아갈 수 있겠는가? 빼앗기는 사람들, 투쟁하는 사람들, 함께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몰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 와중에도 먼저 협력하고 먼저 내어주는 착한 사람들이 어떻게 가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수익을 바라지 않고 공공의 목적을 위해 투자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돈을 벌 수 있겠는가? 받을 기대 없이 주고, 주는 티 내지 않고 주고, 받은 것보다 더 크게 나눠주는 아름다운 사람들이 어찌 홀로 이 험한 세상을 살아갈 수 있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함께 가난하기로 한다. 가난한 우리들이 모여서 함께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어떻게 이런 우리가 갈가리 찢어져 홀로 하나 둘 그들이 되어가지 않고, 언제까지나 우리로서 함께 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은행은 어떠한 은행일 수 있을까? 반대로 이런 사람들을 만들어내는 은행은 어떤 은행이어야 할 것인가? 어떻게 그들의 은행이 아닌 우리의 은행을, 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을 만들 것인가? 만약 그런 은행이 있다면 그것은 자본에 반하는 반자본은행, 서로 돕고 함께 움직이는 공동체들의 공동체(共動體), 꼬뮨을 만들어내는 꼬뮨은행(Commune Bank), 은행(銀行)이 아닌 은행(恩行), 가난해서 행복한 빈민들의 금고(貧庫), 모든 것을 나눠주고, 모든 것을 받아 안을 수 있는 비어 있는 금고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우리의 공동체은행 빈고는 그런 은행이 되고자 한다. 그리고 빈고를 만들어가는 우리는 공동체은행 빈고의 조합원으로서 출자자=이용자=연대자=운영자로서 함께 살아가고자 한다. 출자자 : 우리는 돈이 돈을 벌고, 돈이 사람을 지배하는 금융자본의 질서에 반대하며 자본을 위한 저축을 거부한다. 우리는 우리의 소중한 돈이 은행과 투자를 통해 금융자본이 되어 행하는 착취와 폭력으로부터 해방되길 바란다. 그래서 우리는 자본이 지배하는 은행에 종속된 예금자나 투자자가 아니라 빈고의 출자자가 되고자 한다. 우리는 노동과 투쟁을 통해 얻은 수입과 현명하고 소박한 지출 계획을 바탕으로, 출자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키고자 노력한다. 5
  6. 6. 이용자 : 우리는 빈고의 공유자본을 요긴하게 이용해서 공동체 공간과 공유지를 만들고 가꾸면서 공동체 구성원의 삶을 풍요롭게 한다. 이를 통해서 더 많은 공유지와 더 많은 공동체 구성원이 생겨날 수 있기를 바란다. 여러 사람이 모은 공유자본을 이용하고 공동체를 꾸리는 일은 수많은 노력과 다짐, 경험과 지혜를 필요로 하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함께하면서 점점 더 잘 함께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우리는 채무자나 사업가가 아니라 빈고의 공유자본을 능숙하게 활용하는 이용자가 되고자 한다. 우리는 공유자본의 힘으로 줄어든 월세, 절약한 이자 등의 이용수입은 자신과 모두를 위해 공유한다. 연대자 : 우리가 출자를 통해 자본을 공유자본으로 만들고, 공유자본을 잘 이용한다면,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잉여금이 발생한다. 우리가 빼앗겼던 돈을 다시 빼앗아 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에서 멈출수 없다. 우리는 만인이 빼앗기는 질서에 반대하며, 우리 외부에 여전히 빼앗기는 세상 만인들이 있다는 것을 안다. 우리가 이들을 외면한다면 우리는 어느새 빼앗는 자의 위치에 서게 되는 셈이다. 우리는 빼앗기던 돈을 다시 빼앗아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원래의 주인인 세상 만인과 모든 생명과 공유할 것이다. 우리는 외부의 또다른 우리와 연대하는 사람이자, 연대의 상대자이기도 한 연대자가 되고자 한다. 우리는 만인을 수탈하는 자본의 질서에 저항하는 사람들과 기쁘게 함께하며 서로 닮아갈 것이다. 운영자 :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는 즐겁게 함께할 것이다. 돈의 다른 흐름, 사람들 사이의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내는 것, 더욱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은 그 자체로 즐거운 일이다. 적절한 활동비가 적절히 분배되는 것은 빈고의 비용이 아니라 노동이 재밌는 일이 되기를 바라는 목적 중에 하나다. 우리는 그렇게 다른 은행을, 다른 질서를 만들어 내는 운영활동가가 되고자 한다. 우리는 고된 일을 재밌게 만들기 위해 협력하고, 재밌는 일을 개발하기 위해 궁리하고, 노동시간을 줄여 나감으로써 일하는 우리의 삶이 재밌어 지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렇게 우리는 공동체은행 빈고의 출자자=이용자=연대자=운영자로서 살아갈 것이다. 우리의 구호는 다음의 두 문장으로 정리된다. 능력에 따라 출자하고, 필요에 따라 이용한다! 기쁘게 연대하고, 즐겁게 운영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우리의 삶을 닮은 세상이 될 것이다. 조합원들의 노동의 결과가 소비되거나 수탈되지 않고 모이게 될 것이다. 우리가 가진 돈이 그들만을 위해 쓰이지 않고, 우리를 위해 쓰이게 될 것이다. 빼앗기던 월세와 이자와 수익금이 다시 돌아올 것이다. 누구도 집을 소유하지 않지만, 모두가 집의 주인으로서 살아갈 것이다. 아무도 가지려 하지 않지만, 그래서 모두가 가지게 될 것이다. 한사코 사양하지만 더욱 풍요롭고 요긴하게 돌아올 것이다. 풍요로운 부는 내부에 머물지 않고 외부의 연대자에게 넘쳐흐를 것이다. 우리 외부의 연대자는 곧 우리가 될 것이다. 공유지는 넓어지고, 사람들이 늘어나고, 그만큼 다시 공유지가 넓어질 것이다. 모두가 가난하지만 누구도 빼앗기지 않고, 아무도 쫓겨나지 않을 것이다. 6
  7. 7. 아무도 연금과 보험을 하지 않아도,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다. 아무도 자본수익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자본수익이 줄어드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자본에 의지하지 않기 때문에, 자본이 위기를 겪어도 아무도 꿈쩍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우리는 자본에 의지하지 않는 생산과 소비를 만들어갈 것이다. 돈은 무소불위의 신이 아닌 단순한 도구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아무렇지도 않게 전혀 다른 돈을 만들어 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미래를 우리는 기다리지 않는다. 우리는 미래를 지금 여기서 살아간다. 우리는 미래에 함께하기 위해 지금 이미 함께하고 있다. 그리고 당신이 곧 또 한 명의 우리가 될 것이다. 당신과 함께 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그리는 미래다. 당신, 또 다른 우리여. 함께 가자! 은행에서 빈고로! 자본에서 꼬뮨으로! 우리가 잃은 것은 오직 자본에 대한 도착이라는 쇠사슬이요, 얻을 것은 전 세계이다. 만국의 빈민들이여 단결하라 2016.03.05 공동체은행 빈고 6차 총회 조합원 일동 7
  8. 8. 공동체은행 빈고 노래 빚을 졌어요 작사/작곡 : 오재환 우린 서로가 서로한테 멀쩡해 보일 정도는 되어서 멀쩡한 사람을 만나서 제법 멀쩡한 시간을 함께 보내고 집에 돌아온 뒤에야 뭐를 잊은 것 같은 기분이 되어 통장에 적힌 숫자를 보며 남은 날들을 세어 보아요. 이게 얼마나 되어야 내가 안심할 자격이 되는 건가요. 시간이 흘러가는 소리에 덜컥 겁을 먹고 내가 가진 것들을 떠올리다가 내게 무엇이 필요했고 또 필요가 없었는지를 전부 잊은 것 같아서 우린 함께 모여서 새로운 미래를 기억해 내기로 했어요. 우린 서로가 서로한테 버림 받고 싶지는 않아서 모르는 사람을 만나서 매우 성실한 상환을 약속을 하고 미리 써버린 날들이 오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이 되어 나한테 매겨진 등급을 보며 벅찬 내일을 상상했어요. 무슨 생각을 하고서 내게 이 정도 자격을 허락했나요. 시간이 다가오는 소리에 귀를 틀어 막고 내가 갚을 것들을 떠올리다가 내가 무엇을 책임지고 또 부탁해야 했었는지를 전부 잊은 것 같아서 우린 함께 모여서 오래된 빚을 기억해 내기로 했어요 나는 미래를 살 수 없어요. 우린 우리의 미래를 팔 수 없어요. 삶의 무게를 저울질하는 사람들에 더는 속지 않아요. 나는 더 이상 빚지지 않아요. 우린 원래 서로에게 빚을 졌어요. 자격을 잃고 사라져 가는 모든 것들에 빚을 졌어요. (2019.03.10) 8
  9. 9. 공동체은행 빈고의 발자취 2008년 02월 21일 해방촌 게스츠하우스 빈집 시작. 빈집들이. 11월 윗집 시작. 2009년 02월 옆집 시작. 03월 가파른집 시작. 03월 빈마을회의 시작. 05월 빈마을금고 논의 시작. 10월 빈농집 시작. 2010년 02월 앞집 시작. 05월 빈마을금고 창립준비위원회 시작. 06월 27일 우주살림협동조합 빈고 창립 총회. 10월 빈가게 공동체 시작. 11월 하늘집 공동체 시작. 2011년 03월 빈고 1차 총회. 05월 공부집 공동체 시작. 05월 팔당집 공동체 시작. 2012년 01월 만행 해방촌 행간 공동체 시작. 02월 빈가게 → 까페해방촌 시작. 02월 해방채, 계단집 공동체 시작. 03월 빈고 2차 총회. 05월 낭만집. 작은집 공동체 시작. 08월 청주 공룡 공동체 시작. 08월 살림집 공동체 시작. 11월 해방촌연구소, 구름집 공동체 시작. 11월 마실집, 옥상집 시작. 12월 수유너머R 해방촌 공동체 시작. 2013년 01월 빈고 총회준비위원회 활동. 03월 빈고 3차 총회. 07월 해방촌 민박 시작. 09월 마실집 공동체 시작. 12월 공룡 마을까페 이따 시작. 2014년 02월 해방촌 연구소 + 해방촌 민박 → 사랑채 시작. 9
  10. 10. 02월 부천 모두들 공동체 시작. 02월 부산 잘자리 공동체 시작. 02월 마루집 공동체 시작. 03월 빈고 4차 총회. 03월 ‘우주살림협동조합 빈고’ → ‘공동체은행 빈고 명칭’ 변경 확정. 11월 인천 비행 공동체 시작. 2015년 03월 빈고 5차 총회. 03월 빈고 건강보험계 시작. 03월 빈고 공동체 활동가 전체회의 시작. 03월 빈컴퓨터 가게 공동체 시작. 07월 온지곤지 공동체 시작. 2016년 02월 까페해방촌 빈가게 정리. ‘해방촌이야기’ 시작. 03월 빈고 6차 총회. 08월 명륜동 쓰리룸 공동체 시작. 10월 빈땅 프로젝트 시작. 10월 홍성 홍부집 공동체 시작. 10월 홈보야지 공동체 시작. 10월 부산 잘자리2호 공동체 시작. 11월 노는집 공동체 시작. 2017년 03월 빈고 7차 총회. 04월 빈땅조합 창립총회. 04월 홍성 빈땅 출자. 07월 온라인 출자 조회 서비스 개시. 2018년 02월 대구 그린집 결합. 03월 빈고 8차 총회. 05월 인권교육센터 들 꿀잠 사무실 시작. 07월 전남 해남 미세마을 결합. 09월 서울 은평구 골목쟁이네 시작. 10월 서울 은평구 빈집 평집 시작. 10월 서울 서대문구 평화살롱 레드북스 공동체 결합. 12월 홍성 키키 완공. 2019년 02월 빈고 9차 총회 04월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 시작 04월 강릉 내일상회 공간 시작 08월 서울 마포구 망집 시작 09월 서울 은평구 웬자족 시작 10
  11. 11. 11월 서울 은평구 단편집 시작 2020년 02월 빈고 10차 총회 03월 서울 경의선공유지 연대가게 시작 05월 청주 공룡 게스트하우스 시작 05월 서울 경의선공유지 연대가게2 시작 08월 서울 에밀리,숲 시작 08월 서울 망집2 시작 10월 순천 여덟집 시작 11월 홍성 스튜디오402 시작 2021년 02월 빈고 11차 총회 03월 빈고 갈등탕비실 시작 03월 빈고 보이는라디오 시작 05월 강릉 내일상회 강릉빈땅 시작 2021년 01월 빈고 12차 총회 05월 서울 이층집 시작 05월 두물머리 언덕집 시작 07월 연구자의집 R커먼즈 시작 2023년 01월 빈고 13차 총회 11
  12. 12. 2022년도 총회 회의록 일시 : 2022년 1월 29일 오후 2시 장소 : 온라인 ZOOM 서기 : 다솜 1부 : 사전행사 : 졔졔 사회 1. 온라인총회 안내 2. 조합원 그룹별 인사 : 3분씩 4번 소그룹모임 3. 축하공연 : 옥수수 조합원 4. 설문조사 결과 발표 : 하루 조합원 2부 : 2021년 활동평가 : 우중산책 사회 1. 성원확인 및 개회 선언 전체 조합원 : 471명 전체 의결권 : 200명 참석 : 38명 위임 : 101명 참석률 : 69.5% 개회선언 시각 : 2시 50분 2. 의사 일정 확정 및 서기 선임 서기 : 다솜 3. 안건 채택 4. 전년도 회의록 승인 제1호 안건 : 2021년도 활동보고 및 평가 ● 2021년도 활동보고 - 발표자: 부깽 ● 2021년 활동 평가 보고 - 발표자: 살구 ● 다른 의견 없이 원안대로 승인 제2호 안건 : 2021년도 결산보고 및 잉여금처분 ● 2021년 결산 보고 및 잉여금처분 - 발표자: 지음 ● 잉여금 (4,382,243빈) 처분 의결 1안 : 출자 지지금 축소 ● 내용: 출자 지지금을 줄여서, 잉여금을 빈고적립금으로 적립하자. 즉, 출자자들이 책임을 지는 방식. 출자자에 대한 배당을 줄이자는 안. 2안 : 기존 빈고적립금 사용 ● 내용: 출자지지금을 충분히 배당하지 못한다면 사실상 적자 상태. 문제는 적자가 난 것이 출자자의 책임이 아니므로, 출자자에게 이를 감당하게 하기보다는 적자라면 기존 빈고적립금을 사용하여 이 부분을 메우는 것이 좋지 않을까? 기존 빈고 적립금을 사용하자는 안.. 12
  13. 13. 질의응답 ● 햄 질문: 1,2안 모두 활동가 기금은 0%인데 잉여금 총액이 적어서일까요? ● 졔졔 답변: 네 그렇다고 합니다 ● 살구 답변: 기본적인 활동가 활동비 이외의 부분이라 고래 되었습니다. 전체 빈고 적립금의 비율로 치면 얼마 안될거에요. 전체 빈고 적립금의 비율로 치면 얼마 안될거에요. ● 몽애 질문: 1안 출자지지금을 삭감하고 빈고적립금으로 적립하자. 2안 출자지지금을 보존하고 빈고적릭금을 사용하자. 이렇게 이해해도 될까요? ● 졔졔, 성재, 지화자: 그렇게 이해해도 될 것. ● 몽애 질문: 기존에는 잉여금이 여유?가 있어서 적절하게 출자지지금과 빈고적립금과 퍼센트를 나눠서 결정 했는데, 지금 잉여금이 감소해서 그런 상황인거죠? ● 디디 질문: 잉여금이 감소해서 전체적인 잉여금 분배를 다 줄이는 안은 없는데, 출자지지금만 줄이는것은 좀 신기한 기분이 드는데요? 1안처럼 모두가 책임을 분담한다면, 이용자나 공동체도 같이 분담하는게 좋지 않을까요. 그게 2안이겠지만. ● 하지메 질문: 각 안의 장단점은? ● 지음 답변: 1안은 빈고 적립금을 무난하게 적립하는 것. 20%까지 빈고 적립금을 모으자고 하였지만, 이에 못 미치더라도, 어느 정도 적립하자는 것. 단점은 그대로 출자자들의 배당이 줄어드는 것인데, 최근 예금 이자율을 생각할 때 출자자들이 손해를 보는 것이 될 수 있음. 2안은 출자자들의 이익을 유지해주는 대신에 10년 정도 쌓아온 약 4천만 빈의 빈고 적립금을 사용하게 되는 것. ● 몽애 질문: 이전에 빈고 적립금을 사용한 사례는? ● 지음 답변: 이용활동을 종료하는 경우에 사용하기도 함. 빈고 적립금에서 총회 결정에 따라 지구 분담금 등으로 쓰기도 함. ● 하지메 질문: 원론적으로 두 가지 해석에 대해 이해는 하는데 지금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에 대한 장단점? 긴급성이라고 할까? 그런 판단이 아닌가요? 의견 ● 날맹: 은행처럼 소비자가 아니라 출자자를 '출자자=이용자=연대자=운영자'에 위치시키는 빈고의 의미를 고려하면, '적자'에 대해서 출자자도 책임을 분담하는 측면에서 1안에 한표입니다. '수입'을 늘리거나 빈고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잉여'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어떻게 같이 분담할지 논의를 사업계획에서 하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 정민: 저도 2안이 출자자만이 아니라 빈고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책임을 지는 형태라고 생각돼서 2안에 동의합니다 ● 정훈: 출자자=이용자=연대자=운영자'에 위치시키는 빈고의 의미를 고려하다보면 2안도 설득력있는게 빈고적립금도 함께 만든거라서. ● 반바지빈고 적립금 자체도 비율이 낮아짐. 잉여금이 줄어든 것을 반영한 것. 전체적으로 비율이 낮아지게 배분을 한 것으로 보여줌. 2안은 출자지지금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른 주체의 비율을 줄이게 되는 것은 아닐까? 오히려 2안이 출자 조합원의 이해는 해치지 않으면서, 다른 주체들의 이해는 존중하지 않는 것은 아닐까? 의결 결과: ● 1안: 11명 ● 2안: 최소 16명 ● 온라인에서 정확한 투표 집계가 어렵지만 2안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됨. 13
  14. 14. ● 2안으로 처리하는 것으로 이견없음으로 최종 결정 ● 보고 관련 질의 응답은 없었으며, 보고 내용에 동의함. 제3호 안건 : 2021년도 감사보고 ● 2021년 감사 보고 1 - 발표자: 성재 ● 2021년 감사 보고 2 - 발표자: 하지메 ● 질의응답 ○ 몽애 질문: 성재님께 질문. 지금 활동에 관한 감사인데, 지금 적힌 환경 등의 것은 우리가 해야 하는 분야라고 적은 것인지? ○ 성재 답변: 활동가들이 주력해서 지원해야 할 분야가 이런 분야라고 말씀을 드린 것 ○ 지화자 질문: 하지메님의 '드러눕는다'라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 하지메 답변: '노오력'이라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반대. 이런 상징적 행위라고 할 수 있음. 무언가를 해도 된다고 생각함. 자발적으로 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닌가? ○ 성재 답변: 스스로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러서, 강제적 혹은 부조리한 노동을 강요받게 될 수 있음. 우리가 스스로 원하는 자발적 노동을 하자고 생각. 자기 스스로 일하고 싶어하는, 돈에 의해서 움직이지 말고, 돈에 저항하며 우리가 원해서 움직이자는 의미로 이야기 할 수 있음. ○ 하지메 답변: 우리가 좋은 취지로 돈을 관리하고 있는데, 너무 진지해질 수 있는 지점도 있는 것 같음. 거기서 관성이 생길 수 있고, 너무 강박적으로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음. 격려 차원에서 말씀을 드리고 싶었던 부분도 있음. ○ 정훈 질문: 하지메에게 질문. 관성에 사로잡히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해보자는 주장을 했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하지메가 빈고 안에서 해보고 싶었던 구체적인 활동이 있는지? ○ 하지메 답변: 다양한 활동에 대한 지원? 개개인의 욕구에 따라 어떻게 편하게 제안을 할 수 있으면 좋지 않을까라는 느낌이 들음. 수수님의 조합도 이미 활동을 하고 있는 것 같고, 다른 분들도 그런 활동이 있으면, 조금 다른 것이 아닐까? 저는 요즘에 그림을 배우고 있는데, 이런 식의 다른 사람들이 하고 싶다는 활동이 있지 않을까? 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 김삼권 질문: 기초적인 질문 있습니다. 빈고 총회의 감사보고는 노동조합 등에서 진행하는 일반적인 회계감사보고와는 그 성격이나 목적이 다른 건가요?? ○ 성재 답변: 성격은 같음. 활동을 하는 데에 있어서 진정성 있게 했는지, 다른 비용을 쓸데 없이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것. 그런데 지난 해에는 지지부진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른 비용도 발생이 없었음. 이용금에서 큰 이슈가 될 부분이 강릉 빈땅인데, 강릉 빈땅은 아직 사업이 완료되지 않아 별도의 평가가 어려움. 감사가 사업의 성과라는 것인데, 사업의 성과가 지지부진한 경우에는 사업의 방향성, 새로운 분야를 시도하라고 얘기해야 해서 이를 작성함. 빈고가 해야할 사업은 한 가지, 이용과 분담금을 전달하는 것. 내년도 감사에서 말씀이 많아지면, 올해 성과가 좋았다고 볼 수 있을 것. ○ 하루 답변: 빈고 회계감사는 노조 등에서 하는 것과는 조금 다름. 일반적인 감사보고와는 다르다고 생각할 수 있음. 목적이라는 것은 잘 이끌어가기 위해 보완 지점을 찾는 것 등. ○ 성재 갑변: 하지메 감사님과는 보고서를 따로 썼지만, 보고서를 관통하는 메시지는 하나. 우리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사업을 활발하게 이끌어 나가야 한다는 것. ○ 지각생 답변: 보통 회계감사/사업감사 나누려면 처음 선출할 때부터 역할을 정해서 선출해야 할 겁니다. 빈고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으니 영역이 꼭 나뉠 필요는 없을 것 같네요 제4호 안건 : 2022년도 조직 및 임원구성 14
  15. 15. ● 발표: 졔졔 ● 13기 활동가 소개 ● 운영활동가 입후보 및 추천 ○ 정훈: 하지메 추천 → 승인 ○ 졔졔: 지화자 추천 → 고민이 더 필요 ○ 남은 운영위원들은 고민을 더 하고, 추후에 결정하는 것으로 ● 감사 추천 ○ 지음, 부깽, 졔졔: 날맹 추천 → 사양 ○ 햄 자원 ○ 지음, 수희: 등대(이동근) 추천 ● 최종 임원구성안 ○ 대표활동가 : 정훈 ○ 운영활동가 : 우중산책, 산미, 몽애, 좌인, 온, 람RAHM, 설해, 하지메 ○ 책임활동가 : 지음, 부깽, 살구 ○ 갈등탕비실 : 아침 ○ 감사 : 햄, 등대 ● 이의 없음으로 임원구성안 승인함. ● 기념 사진 촬영 3부 : 2022년 활동계획 제5호 안건 : 2022년도 활동계획 ● 2022년 활동계획 보고 ○ 발표자: 정훈 ○ 보고 내용은 2022년 정기 총회 자료집 참조 ○ 주요 내용 ■ 갈등탕비실: 운영위원으로 참여하였는데, 감사 위상으로 변경이 됨.(독립기구로 운영) ■ 미디어 팀을 꾸릴 예정. 코로나의 장기화로 인해 온라인으로 활동이 늘어남. 이에 완성도 있게 프로그램을 진행해보자는 취지에 진행. 교육은 영상자료가 있을 때 활용 가능. 조합원 중에 관심 있는 분을 모아, 함께 배우고 같이 꾸려가는 형태. ■ 아카이빙은 지금까지 빈고 활동을 정리하고, 팜플릿 및 단행본 제작, 홈페이지 구축, 공부모임과 연계해서 소책자 출판을 진행할 것. ■ 교육활동은 아카이빙팀에서 팜플릿 준비하며 교육자료 제작을 할 것. 지역별로 교육을 요청해주신 분들은 가능하면 방문을 해서 진행. 운영활동가를 중심으로 활동가 교육을 4회 정도에 걸쳐 진행할 예정.각 활동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금 더 깊게 얘기해보는 자리를 만들 예정. 4월부터는 공부모임을 진행할 예정. 제6호 안건 : 2022년도 예산 및 공유지운영 ● 2022년도 예산 및 공유지 운영 ○ 발표자: 지음 ○ 보고 내용은 2022년 정기 총회 자료집 참조 ○ 주요내용 15
  16. 16. ■ 내년에는 강릉 빈땅이 시작되면서 공동체 분담금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지출은 크게 변동 사항이 없을 것. 활동은 비슷한 정도로 지출할 예정. 조합원 교육, 강사비 등을 지급할 예정. ■ 작년에 비해 73%로 잉여금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됨. ■ 출자자들이 반환이나 출자 계획이 있음. 조합원들이 매달 300만빈 씩 출자한다고 예상. 이용에 100만 빈이 있을 것으로 보았을 때, 여유 자금이 약 6,000만 빈. ○ 질의응답 ■ 졔졔 의견: 공유지라는 것을 늘린다는 것이 빈고의 조합원에게 어떤 의미인지, 조합원들이 어떻게 공유지를 이용하거나 같이 만들어갈 수 있는지, 교육이나 논의의 자리가 있으면 좋겠다. ■ 정훈 의견: 강릉도 생겼는데, 어떻게 함께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면 좋을 것. 2022년도에 프로그램을 고민해볼 것. ■ 지각생 질문: 줌 말고 다른 온라인 회의 프로그램을 활용할 시도를 해보았는지? 왜 zoom을 사용했는지? ■ 정훈 의견: Gather town을 활용해보았으나, 결국 Zoom을 사용. 충돌이 나거나 함. ■ 부깽 의견: Gather town은 메뉴얼이 영어라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고, 모바일 접근성도 떨어짐. 다른 것들도 활용해보았으나, 동영상이나 음성 안정성 때문에 Zoom을 계속 활용. ■ 지각생 의견: 총회 등에서 Gather town 등을 활용해서 공유지나 조합원의 활동 및 근황 등 정보를 공유하는 것은 어떨까? ○ 다른 의견 없이 원안대로 승인 제7호 안건 : 빈고 정관 제정 ● 2022년 활동계획 보고 ○ 발표자: 윤기쁨 ○ 보고 내용은 2022년 정기 총회 자료집 참조 ○ 주요 내용 ■ 정관을 만들게 된 계기: 빈고가 있어온지 시간이 오래 됨. 그동안 정관이라는 빈고 전체를 관통하는 규칙 형태의 것이 없었음. 산재된 내규들, 규율들을 상황에 따라 사용함. 지금까지 관행 상 이루어졌던 규칙들, 회의와 활동을 누가 어떻게 하는지에 관한 빈고의 전반적인 내용들을 어떤 것이 있었는지를 확인하고, 명확하게 문서화하는 과정을 거침.대부분의 것들이 운영의 관행을 문서화하는 것. ■ 관심있는 분들을 중심으로 검토 요망. 정관의 장단점과 찬반이 논의가 있었음. 정관이 만들어지면 운영의 탄력성이 저하되거나, 수정의 과정에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음. 따라서 정관의 수정 절차까지 포함하여 이런 우려를 줄이고, 최대한 빈고가 정관을 규율하는 형태로 나아갈 수 있게 준비. ■ 새로운 운영위를 참여하는 사람들이 기존의 운영위를 통해서 배워나갈 수도 있지만 기존의 운영 방식이나 지켜야할 것들, 조직의 구조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인수인계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갈등을 중재하는 절차와 조직도 마련. 정관의 절차기 있음으로써 갈등이 제도의 형태 안에 들어와서 평화적이고, 순서에 맞는 완만한 해결을 할 것이라 기대. 정관으로 인해 필요치 않은 갈등이 생기지 않게끔 노력해주신 분들이 많음. ■ (윤기쁨의 소감) 좀전에, 기존 운영위원으로 활동한 사람들의 소감을 말하는 시간이 있었는데, 저는 이야기가 길어질 것 같아 채팅으로 남깁니다. 저는 2021년 운영위원으로 활동을 했었습니다. 16
  17. 17. 운영위원 제안을 받았을 때, 운영위원으로서 무엇을 해야하는지를 몰랐기 때문에 거절하기도 승낙하기도 어려웠었고, 거절할 수 있는 제안인지도 알기 어려워서 운영위원으로 참여를 하게 되었습니다. 운영위원 자리에 추천을 받은 만큼, 큰 책임감을 느꼈지만,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떤 생각을 가져야 하는지, 교육을 받거나 인수인계를 받거나 하지 못해서, 혹은 제가 잘 눈치껏 배우지 못해서, 책임감을 내려놓기가 참 어려웠습니다. 무엇인가 맡은 일을 열심히 함으로써 책임을 다하고 싶었지만, 해야 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해서 책임감에 눌려 힘든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저 회의를 최대한 참여하고, 맡은 일인 정관작성을 열심히 했습니다. 사람마다 성격도 성향도 다르기 때문에, 누군가에게는 운영위원이 어렵지 않은 자리이고, 즐겁게 활동할 수 있는 자리일 수도 있습니다. 이번에 처음 운영위원을 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저의 소감 때문에 주저하시는 일은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빈고 운영에 참여해보는 것은 멋진 기회이고 경험입니다. 그러나, 운영위원이 무엇을 하는 자리인지에 대해서, '해보면 안다'라는 대답은 대답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조합원은 운영위원을 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그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운영위원을 할 지 말 지에 대해서 운영위원이 무엇을 하는 것인지 명확히 알고, 자신이 운영위원으로서 하고 싶은 일을 심사숙고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만 합니다. 운영위원을 제안 받았을 때, 운영위원이 뭘 하는 건지 몰라서 주저하는 분들에게는 명확한 답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올해에는 꼭 개선이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 ○ 질의응답 ■ 지각생 의견: 순서와 막연한 부분 등이 있는 것 같은데, 지금 결정을 해야하는 것인가? 꼼꼼히 살필 필요가 있지 않을까? ■ 날맹 질문: 정관을 만들면서 이슈가 되었던 특별한 부분이 있지 않을까? ■ 윤기쁨 답변: 전반부에 많은 이야기가 있었음. 따라서 전문, 이념 등의 내용. 개인적인 고민은 갈등전환위원회에 관한 것. 이를 만들어둠으로써 이 위원회가 감당하기 어려운 것을 맡게 되지는 않을지, 이 조직뿐만 아니라 다른 갈등해결의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유일한 갈등 해소의 방안이 되어버리지는 않을까라는 고민 등이 있었음. 돈의 흐름에 관해서는 뼈대만 만들어 놓아서, 나중에 쉽게 살을 붙일 수 있게 했음. 해산 부분은 형식을 갖추기 위해 만든 것. 예컨대 빈고 명의의 통장이나 부동산을 소유하게 될 경우 관공서나 금융기관에서 필요로 하기도 함. ■ 지음 답변: 조직명은 '빈고'로 바꿈. 소재지는 임시로 홍성군에 둔 것. 서울에 안정적인 공간이 생기면 옮길 수도 있음. 명칭을 조금 바꿈. 공동체기금을 이용지지금으로 바꾼 것은 공동체 활동가 회의 내용을 반영 ■ 지각생 의견: 총회에서 정관을 논의하는 것은 수정안을 내고 질의와 의견을 반영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을까? 정관이 큰 문제가 없으면 초안을 통과하되, 나중에 정관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을 모아서 꼼꼼한 수정안을 내면 어떨까? ● 62조 2항을 삭제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제7조의 3번에 보면, '주된사업에 관한 사항'은 없애거나 구체적으로 쓰는 것이 좋지 않을까? ● 빈고가 기부를 받나? 기부내역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어야 하지 않을까? ○ 지음 답변: 빈고가 영수증을 끊어주는 단체는 아님. ■ 성재 의견: 정관이 법인화에서만 쓰는 것은 아님. 단체나 조직의 성격, 내용을 정리해놓은 것. 기부금 영수증을 끊는 것은 안됨. 비영리 법인, 복지 법인들만 기부금을 받음. 비영리 단체가 받는 경우는 주관기관이나 중앙정부 부처가 법인에 대해 감독하는 경우에만 끊어줌. 우리가 받으면 증여임. 단체 설립에 있어서는 62조 2항이 문제가 되지는 않을 듯. 법을 기반으로 해서 움직이는 17
  18. 18. 조직이 되면 문제가 될 것. 해당하는 내용들은 우리를 규정할 때, 이 법칙대로 운영해나가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주요 목적. ■ 살구 의견: 오타수준의 것들을 고쳐야 할때, 총회에서 어떤 사업이 합의가 되고 결정이 되었는데 수정해야 할 때 등 불필요한 에너지가 들어갈 수 있음. 따라서 총회를 거치지 않고, 정관 일부를 고쳐서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62조 2항을 만든 것. 정관을 쉽게 바꾸려고 만든 것은 아님. 이것이 없어서 총회를 거쳐야만 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항목임. ■ 햄 질문: 운영활동가의 임기가 2년이네요. 매년 새로 선출했었던 것 같은데요. ■ 살구 답변: 반 이상이 2년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1년하고 못하게 되는 경우는 (사퇴)의 형식이 될수도 있을거 같은데요? ■ 토양_온지곤지 의견: 간단한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하나 있고. 어떤 법인화를 염두에 둔 것인지. 어떤 임의단체를 만들어 고유번호증이라도 만들려면 정관이 필요한데. 정관의 목적사업이 금융인데. 이게 목적사업으로 들어가면 가능한지? ■ 지음 답변: 법인화 부분은 여러 가지로 진행한 바가 있음. 아직 구체적으로 어떤 법인으로 하겠다고 정해진 것은 아님. 금융 협동조합은 안되지만, 임의단체 등은 계모임의 경우에도 통장을 만드는 것을 가능. ■ 윤기쁨 답변: 이 정관의 목적은 외부의 누군가를 보여주는 것이 지금으로써는 없음. 장래의 것을 대비한다는 의미에서 겸사겸사 활용하는 것. 지금은 내부에서 활동이나 운영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통일된 지침이 없어서 만드는 것이 제 1차적 목적. 내부에서 소통과 운영에 중심을 두기 위한 것이 주요한 목적. 우리는 법인화를 하기 위한 준비도 되어있지 않음. ■ 성재 의견: 우리가 금융기관이 될 수 없는 이유는 우리는 채권을 발행하지 않음. 우리는 기금사업자에 가까움. ■ 정훈 정리: 우리가 법인화를 염두에 두고 한 것이 아님. 금융업으로 등록할 수가 없음. 협동조합에서도 금융은 허가가 안됨. 법인화는 활동하면서 필요하면 다른 형태로 고민해보아야 함. 이런 부분을 말씀드리는 이유는 법인화를 생각하면서 짜여져 있는 것은 아니고, 활동을 하는 데에 있어서 근거의 자료로 취지가 있다고 봐주면 좋을 것. 62조나 7조의 경우에는 규약을 따로 만들 수도 있고, 구체적인 표현을 쓸 필요도 있음. 활동적인 부분으로 풀어갈 수 있는 부분도 있음. ■ 지각생 의견: 수정안을 철회함. 명칭이 정관이었고, 법인화 가능성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것. 그래서 철회하고자 함. ■ 하지메 질문: 그냥 궁금해서 물어보는 질문인데요. 빈고에게 법인화는 예를 들어 어떤 필요 또는 이득이 있어서 할 수도 있는 걸로 생각이 되나요? 법인화가 잠재적으로 가능성이 있다면, 어떤 상황에서 요구가 되는 것인가요? ■ 정훈 답변: 빈고에서 법인화가 되려면 조합원들의 의견이 있을 것이고, 총회에서 논의가 될 사안. 법인화의 경우에는 있는 그대로 등록할 수 없는 것. 빈땅이나 법적인 무언가가 필요한 것으로 제안을 할 것이라고 생각함. 법인화가 꼭 빈고 형태 그대로 가는 것이 아니라, 사업자를 내는 등 그때그때 필요에 의해 진행될 것이라 봄. ■ 성재 답변: 법인화를 통해 얻게되는 효과. 현재 지음의 통장을 통해 진행되는데, 개인의 통장을 통해 수입없이 자산이 늘어나면 세금 등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음. 또한 의도치 않게 통장주가 사라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음. 법인화를 하면 사고가 일어났을 경우에 통장을 모든 구성원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됨. 법인화를 하는 이유는 의도치 않는 사고나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 ○ 다른 의견 없이 원안대로 정관 승인 18
  19. 19. 6. 기타 안건 및 소식공유 ● 지각생 질문: 홈페이지를 개편하겠다고 하셨는데요 책임활동가 찬스를 그냥 쓰는 건가요? 빈고미디어사업비나 홍보사업비, 아카이빙 사업비 금액이 다 크지 않은 것 같아서요 ● 살구 답변: 짐작대로 일걸요? 책임활동가 찬스. ● 정훈 : 조합원들이 제안한 사업을 기타안건으로 두었습니다. 제안하고 싶으신 안건이 있으신가요? ● 지음 : 그 전에 활동계획, 하지메가 제안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 정훈 : 하지메 공유해주세요. ● 하지메 : 일본의 오사카에서 2시간 정도 되는 시골마을에 친구들이 거점을 만들기 시작했어요. 그 사업을 빈고와 같이 하면서 그 과정을 일본에서 빈고를 설립할수 있는 것으로 전환할수 있을까 하는 제안입니다. 그래서 돈의 움직임을 왼쪽에 그림으로 정리했고요. 지금 된거는 제 계좌에서 이 꼬뮨으로 송금이 된 상황입니다. 다른 부분을 진행할수 있으면 좋겠다. 이렇게 되면 일본에서 빈고를 만들수 있지 않을까? 일본에도 저와 같은 돈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 좀 더 이렇게 관심있는 사람들 있어서 같이 발전시킬수 있지 않을까 싶고. 이거를 하고 싶어 하는 이유는 오른쪽에 적었습니다. 지금 집이 2개 입수된 상황이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코로나에서 국경이 풀리면 일본에서 이쪽으로 와서 학습하는 활동부터 시작할까합니다. 이런 제안입니다. ● 정훈 : 3년째 듣고 있네요. ● 하지메 : 계속 밀리고 있었네요. 이제 좀더 구체적으로 정리를 했습니다. ● 좌인 질문: 일ㅇ본에서 새롭게 빈고를 시작한다는 거 보다는 빈고를 이용해서 씨앗을 만들고 싶은거 같은데, 그분들이 활동계획을 더 구체적으로 새워서 운영활동가 회의에 다루면 되는 것이 아닌가? 아니면 다르게 총회에서 다루어야 하는건지. ● 하지메 : 저도 어느쪽인지 고민되었는데, 최소한 공유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나중에 운영활동가 회의에서 다루어서 결정이 된다 하더라도. 모두가 들었지 했으면 했다. ● 정훈 : 운영위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정훈 : 기타안건을 제안하시면서 나도 이런거 같이 하겠다 해주시면 더 좋겠습니다. ● 성재 : 하고 싶었던 것 조사한것 중에 교육사업이 있었는데, 빈고 홈페이지 개발 하고 계시는데, 웹 프로그래밍 교육사업 하셔도 좋겠습니다. 지인이 패스트캠퍼스에서 일하시는데 제가 회사 다니면서 일하시는 분들 교육을 그쪽 통해서 하고 계신데, 조직내에서교육을 서로 주고 받으셔서, 외부에서 프로그래밍하실수도 있고 하니. ● 정훈 : it쪽 기술을 우리가 활용할 수 있다면 좋다고는 생각하는데, 그것을 배우시고 싶어하는 분들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조합원들 의사를 물어서….교육 선호도 조사를 한다거나 하실 분이 있으면 진행해도 좋을것 같네요. ● 하루 : 빈고 오늘 총회에서 얘기하는 교육은 개인이 배우고 싶은것이라기 보다는 빈고에 대한 교육을 얘기하는 것 같아요. 성재님이 말씀하신 부분은 교육사업의 일환이라기 보다는 조합원 모임이나 공부모임의 일종일것 같아요. 우리 사업이 가닥은 있어야 할 것 같아서. 저는 올해 상반기에는 자전거 타는 모임을 하고 싶지만 빈고 사업으로 한다기 보다는 조합원 모임 수준인거니까요. 빈고 소모임처럼요. ● 지각생 , 좌인 : 자전거 소모임하면 저 합니다. ● 정훈 : 거점 공간 만드는 것들 아이디어 더 나눠주시겠어요? ● 좌인 : 계획은 별로 없지만, 망원동 공간 보러가야지 하고 아직 못봤네요. 브야와 저하고 개인사업하면서 제작하다보니 이왕이면 여러사람이 와서 공유오피스처럼 쓰면서 재미난걸 만들어보는 것이 되었으면 싶습니다. 날 풀리면 공간들을 더 보러 다니려하니 관심있으신분 연락주세요. ● 기쁨 : 관심있어요. 공유오피스 같은게 있으면…관심있습니다. ● 정훈 : 진행되면 꼭 연락주세요. ● 몽애 : 은평구 사시는 주민분들 꽤 되는 걸로 알 고 있는데 은평구 모임은 어떠세요 ● 져니 : 망원 공유오피스라면 저도 같이 얘기해요. 19
  20. 20. ● 좌인 : 그럼 빈고 게시판에 올릴테니 같이 얘기 나눠요. ● 정훈 : 홍보가 이뤄지고 있네요. 실무할 활동가가 없어서 잘 못챙기고 있는데, 잡지 만드는 일, 뉴스레터에서 더 나아가 빈고 관련 담론들까지 더 담아서 하고 싶은데 관심있는 분들 있나요? 연락 바랍니다. 새로운 사업에 대한 의견, 아이디어 더 없으시면 기타 안건 마무리 할까요? 네. 그럼 총회 폐회를 선언하겠습니다. (폐회 시각 : 17: 55) 4부 : 뒤풀이 20
  21. 21. 2022년도 활동 보고 1. 조합원/공동체 현황 1.1. 조합원 현황 (2022년 12월 31일 현재) 조합원수 전년대비 전체조합원 534 명 +19 명 현재조합원 484 명 +16 명 보통조합원 450 명 +12 명 일반조합원 267 명 +24 명 출자조합원 183 명 -12 명 특수조합원 26 명 +3 명 영구조합원 8 명 +1 명 탈퇴조합원 50 명 +3 명 1.2. 신규 조합원 월 인원 신규 조합원 1 월 4 명 탄, 장윤석, 문경, 해바라기 2 월 4 명 물범, 반달, 모치키, 쏭감독 3 월 3 명 현영, 커뮤즈, 비빔 4 월 0 명 - 5 월 1 명 알록 6 월 2 명 진영, 고운 7 월 2 명 왕뚜껑, 오재미 8 월 2 명 희표, 레몬 9 월 1 명 이유지현 10 월 0 명 - 11 월 0 명 - 12 월 0 명 - 합계 19 명 1.3. 영구 조합원 혼양 (2015-12-06) 케이시 (2018-09-20) 사슴 (2020-05-22) 쟤 (2022-12-19) 동물 조합원 : 복돌이, 동글이, 러니, 빙거 21
  22. 22. 1.4. 공동체 현황 구분 공동체 지역 공동체활동가 공동체책임자 공유지 공동체 13곳 경의선공유지 서울 마포 김상철 김상철, 정기황, 김성은, 미어캣 공룡 충북 청주 우중산책 우중산책, 영은, 오재환 내일상회 강원 강릉 산미 솜씨,오늘,프란 두물머리 경기 양평 이파람 디온, 이파람, 최효정 들 서울 영등포 루트 날맹, 루트, 햄 명륜동쓰리룸 서울 성북 천피터 천피터 빈땅조합 충남 홍성 지음 지음 스튜디오402 충남 홍성 지음 살구,나루 에밀리,숲 서울 마포 일종의친구들 숲이아, 장수정, 일종의친구들 연구자의집 서울 마포 디디 디디,김성은,왕뚜껑 웬자족 서울 은평 윤기쁨 윤기쁨, 헤일러, 져니 이층집 서울 영등포 몽애 문경, 부깽 홍성키키 충남 홍성 살구 지음, 수희, 살구 활동 공동체 20곳 건강계 서울 살구 살구 공유주거협동조합 충남 홍성 지음 지음, 웅기, 수희 국경을넘는계 서울 수수 서원 그린집 대구 다옹 다옹, 그린비, 후영 넥스트젠 서울 노원 동근 진 닐리리만보 전국 살구 살구, 람, 하루 따로또같이 서울 성북 반바지 위버, 참참 망집 서울 마포 배꼽냄새 바람, 배꼽냄새, 켄 미세마을 전남 해남 지선 지선 별음밴드 서울 쏭 멍구, 홍진 빈연구소 서울 다솜 다솜,부깽,디디 솔방울커먼즈 서울 종로 졔졔 졔졔, 안새롬, 지니 수수노래조합 전남 구례 옥수수 옥수수,김단 에코토피아 서울 광대 광대, 서원 여행자 서울 다올 다올, 윤기쁨, 정숙조신, 헤일러 은평공간 서울 은평 사 사, 형석, 파이퍼 이룸 서울 동대문 유나 별, 유나, 차차, 혜진 일본빈고 일본 하지메 하지메, 지음, 디디 졸라맨 파주 정훈 정훈,현영,편범삼 해방촌사람들 서울 용산 광대 광대, 서원 특수 공동체 18곳 고양이 서울 은평 빈고 골목쟁이네 서울 은평 우더 우더 까페해방촌 서울 용산 지음 지음 노는사람 서울 용산 서원 서원 다람쥐회 서울 영등포 더스페이스 서울 용산 루쓰 루쓰 독립프로젝트 서울 용산 지음 지음 두꺼비 전북 전주 몽애 김환수,몽애, 김동섭 모두들 경기 부천 양양 병택 빈고공통장 서울 빈고상임 빈고상임 상호부조기금 서울 은평 서원 동녘? 연해주펀드 서울 용산 지음 지음 이음이네 전남 목포 잔잔 잔잔,쌩쌩 청년연대은행토닥 서울 반바지 반바지 커먼즈넷후원계좌 전국 오재미 지음 해방촌연구소 서울 용산 지음 지음 해방화폐 서울 용산 좌인 좌인 홍성키트 충남 홍성 지음 지음, 수희, 살구, 웅기 22
  23. 23. 1.5. 공유지 현황 1.5.1. 종료 : 그린집, 망집, 빈컴퓨터 1.5.2. 생성 : 이층집, 두물머리 언덕집, 연구자의집 R커먼즈 2. 회의 진행 2.1. 2022년 총회 2.1.1. 일시 : 2022년 1월 29일 오후 2시 2.1.2. 장소 : 온라인 ZOOM 2.1.3. 참가자 : 2.1.4. 활동가 구성 (12기) 2.1.4.1. 대표 활동가: 정훈 2.1.4.2. 운영위원 : 우중산책, 산미, 몽애, 좌인, 온, 람RAHM, 설해 2.1.4.3. 책임 활동가: 부깽, 살구, 지음 2.1.4.4. 갈등탕비실 : 아침 2.1.4.5. 감사 : 햄, 등대 2.2. 빈고 활동가대회 2.2.1. 일시 : 2022년 12월 17일~18일, 청주 공룡 2.2.2. 참가자 : 22명 2.2.3. 프로그램 2.2.3.1. 1부 : 빈고 활동 보고 2.2.3.2. 2부 : 빈고 조합원/공동체 이야기 2.2.3.3. 3부 : 빈고의 상상력 - 거북섬 공동체들(하지메) 2.3. 빈고 조합원소풍 2.3.1. 일시 : 2022년 10월 15일~16일, 두물머리 언덕집 2.3.2. 참가자 : 24명 2.3.3. 프로그램 2.3.3.1. 1부 : 소풍 2.3.3.2. 2부 : 조합원모임 2.3.3.3. 3부 : 산책 23
  24. 24. 2.4. 운영회의 2.4.1. 운영회의 : 총 12회 (매월 진행) 회차 월 일 장소 주요 안건 1차 2월 12 청주(공룡)+온라인 총회평가,소개 및 각오, 13기 활동계획, 미디어팀,아카이빙팀, 소소잡팀 구성, 이용활동 보조, 운영활동가 매뉴얼, 일본빈고 인큐베이팅, 공통계 서비스 2차 3월 2 온라인 리플렛 기획, 미디어워크숍 기획, 소소잡팀 기획, 공통계 시작, 일본빈고 시작, 빈고 로고 작성, 빈고 깃발 제작 3차 4월 6 온라인 빈고 핸드북 기획, 미디어워크숍 시작, 신입조합원모임 기획, 소모임지원 기획, 도토리회 컨설팅, 운영활동가 교육 기획, 빈고 로고 공모, 이용지지금 분배안 논의, 봄바람 순례단 참여 4차 5월 4 온라인 운영활동가 오리엔테이션, 미디어워크샵 촬영 수업, 빈땅캠프 기획, 재정매뉴얼 작성 중 5차 6월 8 온라인 이층집 시작, 두물머리 시작, 커먼즈금융 프로젝트 시작 6차 7월 9 온라인 빈고 핸드북 작성, 건강계 소모임 7차 8월 3 영등포(이층집) 연구자의집 시작, 빈연구소 네트워크파티 기획, 건강계 수다회, 호주 연구자 인터뷰 8차 9월 7 온라인 커먼즈금융 집담회 기획, 연구자의집 협업 논의, 홈페이지 개편, 조합원 소풍 기획, 법인화 검토 9차 10월 5 온라인 조합원 소풍 준비 10차 11월 2 온라인 활동 평가, 빈그림 결성, 조합원탈퇴신청서양식 작성, 금리상승 대응방안 논의, 활동가대회 준비 11차 11월 30 온라인 활동가대회 기획, 빈연구소 세미나 12차 1월 4 온라인 13기 활동 평가, 총회 준비위 구성, 총회 기획 2.5. 총회준비회의 : 총 3회 회차 월 일 장소 주요 안건 1차 1월 9 온라인 운영회의 평가, 총회 순서 및 안건 확정 2차 1월 18 온라인 총회 자료집 확정 3차 1월 25 온라인 총회 최종 점검 24
  25. 25. 2.6. 감사 진행 2.6.1. 일시 : 2023년 1월 17일, 온라인 ZOOM 2.6.2. 참가 : 햄, 등대 감사 2.7. 온라인회의 2.7.1. 상임회의 텔레그램방 (14명) 2.7.2. 운영활동가 텔레그램방 (79명) 3. 빈연구소 3.1. 조합원 핸드북 발간 (다솜, 정민, 지음) ● 빈고 조합원 핸드북을 엮어내며 ● 빈고 선언문 ● 빈고 취지문 ● 빈고 발자취 ● 빈고 소개 ● 빈고의 가치 : 공유 · 자치 · 환대 ● 공유화폐 빈의 흐름과 현황 ● 빈고 공유상태표 ● 빈고의 활동 ● 빈고의 구조 ● 빈고 활동가들 ● 빈고 공동체들 ● 빈고 이용활동 ● 빈고 활동들 ● 자주 묻는 질문과 답 ● 빈고 12년 일람 (2021.12.31 기준) ● 빈고 정관 ● 함께해요 : 조합원 가입 안내 3.2. 커먼즈금융 소논문 3.2.1. 한국도시연구소 2022 소액연구 지원사업 최종보고서 작성 완료 3.2.2. 다솜/진영, <금융커먼즈의 조성을 위한 국내 대안금융 생태계의 탐색> 01 | 서론 02 | 해외 금융커먼즈 사례 분석 03 | 국내 대안금융 생태계의 형성 과정과 구조 04 | 대안금융 생태계의 관계 맺기 05 | 금융 커먼즈의 조성 및 활성화 방안 3.3. 금융커먼즈 집담회 3.3.1. 일시: 2022년 9월 17일 (토) 오후 2시 3.3.2. 장소: R커먼즈 합정 (마포구 서교동 461-13, 씨티빌딩 2층), 온라인 병행 3.3.3. 대안금융단체 : 도토리회, 한살림 연대기금, 마포공동체 네트워크 모아, 사회투자지원재단, 건맥, 1897 협동조합, 주민협동연합회, 공유성북, 사람과 공간, 풀빵, 다람쥐회, 25
  26. 26. 3.3.4. 주최·주관·지원 단체: 공동체 은행 빈고, 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사)지식공유 연구자의 집, 커먼즈 네트워크, 한국도시연구소 3.3.5. 프로그램 ● 커먼즈와 금융 (발표 : 디디) ● 금융커먼즈_두 번의 사양 (발표 : 지음) ● 국내 금융커먼즈 생태계 지도 그리기 (발표 : 진영, 다솜) ● 금융커먼즈 단체 소개 ● 금융커먼즈 집담회 ● 네트워크 파티 3.4. 빈연구소 내부세미나 3.4.1. 마르셀 모스, <<증여론>> 3.4.2. 모리스 고들리에, <<증여의 수수께끼>> 3.5. 외부 교육 및 발표 날짜 내용 진행, 준비 2022/04/13 하지메 미국의 한 모임에서 빈고 소개. 발표 자료 작성. 하지메 2022/04/26 부산 수영구 도시재생대학 "빈마을이야기" 발표 살구/지음 2022/07/09 공유도시 커먼즈금융 기고글 지음 2022/10/21 진안 담쟁이 방문 살구/지음 2022/10/28 커먼즈네트워크포럼 참가 지음 2022/11/06 배재대 강의, 영상 + 강의 지음 4. 빈빈스프레드 4.1. 미디어워크샵 4.1.1. 준비팀 : 설해, 정훈, 람RAHM, 온 4.1.2. 강사 : 설해 4.1.3. 참가자 : 12명 4.1.4. 2022년 4월 5일부터 4주차에 걸쳐서 진행 5. 소소잡팀 5.1. 신입 조합원모임 5.1.1. 준비팀 : 좌인, 정훈, 람RAHM 5.1.2. 참가자 : 커뮤즈, 물범, 현영, 쏭감독, 반달, 우루 5.2. 소모임 지원 5.2.1. 공고 : 우루, 정훈 26
  27. 27. 6. 갈등탕비실 활동 6.1. 갈등탕비실 상시운영 6.1.1. 갈등탕비실 이메일 또는 빈고폰으로 연락주시면 담당자와 얘기나눌 수 있습니다. 6.1.2. 갈등탕비실 담당자 : 아침 활동가 (풀이탐구소 탐정, 빈고 책임활동가) 6.1.3. 갈등탕비실 이메일 : bingopantry@gmail.com 6.1.4. 갈등탕비실 안내전화 : 빈고폰 (010-3058-1968) 6.2. 갈등전환위원회 6.2.1. 신청 건이 없어서 열리지 않았음. 7. 재정 활동 7.1. 재정 컨설팅 7.1.1. 홍성 도토리회 장부 및 업무 컨설팅 7.1.2. 조합원 개인 가계부 양식 작성 7.2. 공통계 서비스 시작 7.2.1. 공동체통장(공통장)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서비스 7.2.2. 공동체가 여러개의 계정을 운영하며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7.2.3. 5개의 공동체가 126개의 계정을 공통계 서비스를 통해서 이용하는 중. 7.2.4. 기존 공통장은 ‘공통장’이라는 공통계의 하위 계정으로 포함시켜서 관리중. 56개 계정. 7.2.5. 공동체가 보유한 자기 자산과 공유지 현황을 함께 확인할 수 있음. 7.2.6. 향후 홈페이지에서 공통계 현황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할 예정. 7.3. 공통계 현황 공통계 공유자 공유지 계정 수 공동체자산 빈고자산 공유지자산 공통계 잔액 공통장 56 51,337,567 - - 51,337,567 공유주거협동조합 21 114,058,977 91,000,000 204,960,000 98,977 내일상회 7 3,296,628 11,200,000 13,600,000 896,628 빈땅조합 54 45,661,410 113,000,000 157,000,000 1,661,410 이층집 5 8,830,000 31,160,000 40,000,000 -10,000 일본빈고 8 21,600,000 0 21,500,000 100,000 합계 126 244,784,582 246,360,000 437,060,000 54,084,582 8. 홍보 활동 8.1. 빈고 로고 공모 27
  28. 28. 8.2. 빈고 깃발 제작 8.3. 빈고 스티커 제작 9. 소통 활동 9.1. 빈고폰 9.1.1. 전화, 문자, 카카오톡 : 010-3058-1968 9.1.2. 텔레그램 : @bingobank 9.2. 홈페이지 : https://bingobank.org/ 9.2.1. 유지관리 9.2.2. 도메인연장 9.3. 뉴스레터 9.3.1. 뉴스레터 매월 발송 9.3.2. 2022년 총 6회 발송 9.4. 재정공유 9.4.1. 매월 발송 9.5. 문자알림 9.5.1. 매월 전체 조합원 출자금 및 뉴스레터 안내 9.5.2. 이용활동가, 공동체활동가 안내 9.5.3. 건강계 안내 9.5.4. 활동가대회, 총회 안내 9.5.5. 빈고 보이는라디오 홍보 9.6. SNS 9.6.1. 페이스북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communebank : 포스팅 중지 9.6.2. 유튜브 채널 : 테스트중. 조합원교육 및 워크샵 녹화자료 업로드. 28
  29. 29. 10. 출자활동 10.1. 월별 출자활동 10.2. 조합원별 출자금 분포 29
  30. 30. 11. 이용활동 11.1. 신규이용활동 11.1.1. 공동체공간이용 11.1.1.1. 서울 이층집(6월) 11.1.1.2. 두물머리 언덕집(6월) 11.1.1.3. 연구자의집 합정R커먼즈(7월) 11.1.1.4. 공유주거협동조합 추가이용(8월) 11.1.2. 공동체활동이용 11.1.2.1. 일본빈고(2월) 11.1.2.2. 연구자의집 합정R커먼즈(10월) 11.1.3. 공동체회원이용 : 2회 11.1.4. 출자자이용 : 4회 11.1.5. 빈쌈짓돈 : 9회 11.2. 이용활동 완료 11.2.1. 공동체공간이용 : 그린집, 내일상회, 망집, 빈컴퓨터 11.2.2. 공동체활동 : 일본빈고 11.2.3. 공동체활동 : 웬자족 11.2.4. 공동체회원이용 : 1회 11.2.5. 출자자이용 : 1회 11.2.6. 빈쌈짓돈 : 6회 11.3. 프로그램별 이용활동 현황 분류 2022년 합계 전체 누적 비율 변화 반환 이용 차액 반환 횟수 이용 횟수 반환 이용 차액 당기 전기 공동체공간 76,625,087 -87,000,000 -10,374,913 26 4 1,320,910,000 -1,677,370,000 -356,460,000 80.13% 79.38% 공동체회원 20,240,000 -8,200,000 12,040,000 68 6 201,514,373 -207,324,373 -5,810,000 1.31% 3.41% 공동체활동 3,780,000 -20,000,000 -16,220,000 9 2 64,427,861 -96,927,861 -32,500,000 7.31% 4.99% 공동체출자 2,000,000 -2,000,000 0 1 1 6,100,000 -23,100,000 -17,000,000 3.82% 5.19% 출자자이용 39,300,000 -41,400,000 -2,100,000 36 9 135,150,000 -164,660,000 -29,510,000 6.63% 6.53% 빈쌈짓돈 2,600,000 -3,985,000 -1,385,000 16 15 83,339,088 -86,904,088 -3,565,000 0.80% 0.49% 기타이용 0 0 0 0 0 20,929,530 -20,929,530 0 0.00% 0.00% 전체합계 144,545,087 -162,585,000 -18,039,913 156 37 1,872,990,852 -2,317,835,852 -444,845,000 100.00% 100.00% 30
  31. 31. 12. 연대활동 12.1. 지구분담금 날짜 사용처 활동가 금액 2022/03/14 강정마을 안녕방 반디 200,000 2022/04/08 생활교육공동체공룡 : 봄바람 순례단 설해 300,000 2022/04/30 재단법인인권재단사람 : 차별금지법 제정 투쟁 부깽 300,000 2022/07/14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노동자 파업연대 우중산책 300,000 2022/09/01 강윤정 : 이룸 이태원 언니의 거주지 침수 피해 복구 부깽 300,000 2022/09/15 사단법인녹색연합 : 기후정의행동 조직위원회 참가 졔졔 200,000 2022/09/27 전쟁없는세상 : DX KOREA 무기박람회 반대 평화행동 아침 300,000 2022/11/03 노들장애인야학 평등한 밥상 모금 진영 200,000 2022/11/03 민주노총서울본부 노조법 2,3조 개정운동 판다리 100,000 합계 2,200,000 12.2. 공동체기금 날짜 사용처 공동체 금액 2022/02/14 공룡 공동체기금 (교통사고지원) 공룡 500,000 2022/06/10 이층집 신생공동체공간 지원 이층집 150,000 2022/06/10 두물머리 언덕집 신생공동체공간 지원 두물머리 150,000 2022/06/10 별음밴드 신생공동체활동 지원 별음밴드 100,000 2022/06/10 빈땅조합 빈땅캠프 공동체활동 지원 빈땅조합 100,000 합계 1,000,000 13. 건강보험계 13.1. 건강계원 구분 7기 (2021) 8기 (2022) 정상 59 명 56 명 미납 11 명 7 명 정지 1 명 8 명 탈퇴 11 명 15 명 합계 82 명 86 명 13.2. 건강계 활동 13.2.1. 빈고건강계모임(7월 16일, 온라인) 13.2.2. 빈자전거모임(졔졔, 8월 13일) 13.2.3. 홍성자전거모임(매월 세째주 주말) 13.2.4. 수목원나들이(민하, 11월 2일) 13.2.5. 조깅모임 13.2.6. 건강계수다방(11월 5일) 13.2.7. 운동 근황 공유 소모임 모집글 (우루, 5월 2일)) 13.2.8. 건강계유사 활동 지원 (졔졔, 우마) 13.2.9. 건강계 주요문서 모음 및 업데이트 31
  32. 32. 13.2.10. 부고 알림 13.2.11. 건강 정보 나누기 : 건강계 텔레그램방 13.2.12. 8기 정산 계모임 (1월) 13.3. 재정공유 13.3.1. 8기 정산 7기 결산 잔액 3,071,568 잉여금처분 후 잔액 수입 9,950,000 회비 9,950,000 66명 합계 지출 -5,343,388 곗돈 -4,623,388 26명, 198건 활동비 -720,000 유사활동비(6만빈*12개월) 8기 잉여금 4,606,612 누적 잉여금 7,678,180 13.3.2. 곗돈 지급 구분 금액 비율 횟수 비고 영수증 총액 9,916,450 100.00% 198 회 26명 급여 3,443,300 34.72% 192 회 100% 지급 전액 34,900 0.35% 5 회 100% 지급 비급여 6,342,650 63.96% 50 회 60% 지급 보험외 95,600 0.96% 5 회 제외 신청 제외액 4,081,897 41.16% 9 회 타실손보험 보장분 등 제외 곗돈 신청액 5,834,553 100.00% 198 회 26명 곗돈 승인액 4,623,388 79.24% 196 회 보험외 2건 제외 곗돈 지급액 4,623,388 79.24% 196 회 전액 지급 13.3.3. 8기 잉여금처분 잉여금총액 7,678,180 빈 비고 계원 회비 반환 2,106,000 빈 회비 완납 계원 54명, 39,000빈씩 반환 (예상) 빈고 선물 240,000 빈 월 2만빈 유사 선물 480,000 빈 월 4만빈 9기 이월 4,852,180 빈 잔액 32
  33. 33. 13.4. 누적 곗돈 지급 14. 빈땅조합 14.1. 빈땅지주 14.1.1. 빈땅 공유지주 : 전체 64명 14.1.2. 신규 공유지주 : +11명 14.2. 빈땅캠프 14.2.1. 일시 : 6월 4일~6일, 강릉빈땅 14.2.2. 장소 : 강릉빈땅 + 안프로하우스 14.2.3. 참가자 : 27명 14.2.4. 프로그램 14.2.4.1. 참가자 인사 : "뭉게 꿈이 피어나다" 14.2.4.2. 강릉 빈땅 소개 : "새 희망을 꿈꾸며" 14.2.4.3. 빈땅조합 총회 14.2.4.4. 샴푸바만들기 14.2.4.5. 토크쇼 : "푸른바다 저멀리" 14.2.4.6. 선물교환 14.2.4.7. 헤거달힘(헤엄쳐라 거친바다 헤치고 달려라 땅을 힘껏 박차고) 14.2.4.8. 내일상회 텃밭 투어 14.3. 빈땅조합 활동 14.3.1. 공유지 확대 : 18평(180만빈) 증가 14.3.2. 빈고이용 300만빈 반환. 14.3.3. 빈고 공통계 전환 14.3.4. 텐텐절 멍니칠순잔치 : 10월 9일~10일 33
  34. 34. 14.3.5. 홍성빈땅 : 공유주거협동조합/공유주택 키키 14.3.6. 강릉빈땅 : 내일상회/생태전환마을내일 협동조합 14.4. 빈땅 공유상태표(2022.05.31) (1평=10만빈) 34
  35. 35. 2022년도 활동 평가 1. 2022년 활동 계획 대비 1.1. 빈고 미디어 활동 1.1.1. 미디어워크샵 성황리에 마침. 졸업작품 4개 발표. 1.1.2. 참가자들이 재밌게 참여했는데, 후속 작업이 부족했음. 1.1.3. 올해 후속 기획을 해봐도 좋겠다. 1.2. 아카이빙 활동 1.2.1. 아카이빙팀 빈연구소로 확대 1.2.2. 빈고 핸드북 발간 1.2.3. 금융커먼즈 논문 작성 및 집담회를 통해 외부 단체들과 만나는 계기가 되었다. 1.2.4. 홈페이지 개편 작업 진행 1.3. 교육 활동 1.3.1. 핸드북 발간은 했으나 조합원 교육은 진행하지 못했다. 1.3.2. 올해는 꼭! 2. 항목별 평가 2.1. 긍정적인 면 2.1.1. 대표를 중심으로 조합원모임과 팀별모임 시도를 열심히 했다. 2.1.2. 빈연구소+연구자의집 등 학술 활동 진행. 2.1.3. 빈고핸드북 작성 2.1.4. 건강계와 빈땅조합은 사실상 빈고의 주요활동으로 자리잡은 듯. 2.1.5. 홈페이지 개편 작업 진행. 2.1.6. 금융커먼즈 집담회를 통한 금융단체와의 연대활동 시도. 2.1.7. 이층집, 두물머리 언덕집, 연구자의집 공동체, 공유지 생성. 2.1.8. 도토리회, 연구자의집, 일본빈고, 진안 담쟁이 등 빈고 시스템의 확장 형태 고민 2.2. 부정적인 면 2.2.1. 조합원 확대 저조, 출자활동 저조, 규모의 정체 2.2.2. 신규 조합원은 늘었지만, 의결권 있는 출자조합원은 감소했음. 2.2.3. 조합원간 혹은 공동체간 교류 저조 2.2.4. 빈고-공동체 관계 약화 2.2.5. 운영회의 참여도 하락 2.2.6. 조합원, 활동가 교육 약화 2.2.7. 활동가 확대의 어려움 2.2.8. 대사회적 활동이 부족 2.3. 조합원 모임 2.3.1. 빈땅캠프(강릉), 활동가대회(청주), 조합원소풍(두물머리), 신입조합원모임(온라인), 운영회의(청주, 이층집), 빈빈스프레드 워크샵(홍성), 일본빈고(사요코뮨) 등등 2.3.2. 다양한 조합원모임을 열심히 진행했다. 2.3.3. 후속 모임 빈그림, 자전거모임 등이 결성되는 성과. 35
  36. 36. 3. 재정 평가 3.1. 공유지가 얼마나 늘었는가? 3.1.1. 공유지(자산)는 13기에 다시 5억빈을 넘어서 5.3억빈으로 증가. 3.1.2. 공유공간(이용)은 1.4억빈이 반환되고, 1.6억빈이 추가 이용되어서 합계 4.4억빈으로 증가. 3.1.3. 출자금은 3천만빈 정도 늘어서 3.6억빈으로 증가. 3.1.4. 차입금은 9기 이후로 지속적으로 감소. 3.2. 자본수익을 얼마나 탈환했는가? 3.2.1. 12기, 13기에 이용금액이 늘고 그에 따라 분담금 수입이 증가함 3.2.2. 수입은 12기에 비해서 400만빈 증가, 지출은 약간 감소해서, 잉여금은 450만빈 증가한 890만빈. 3.2.3. 사업수입, 선물이 각각 늘어서 150만빈 정도 증가. 3.2.4. 조합비가 30만빈 정도 감소했는데, 이는 활동하는 조합원 수가 감소했음을 의미함. 3.2.5. 올해 급격한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빈고의 이용분담금은 아직 조정되지는 않았다. 3.2.6. 예치금은 8천만빈으로 12기에 비해서 약간 늘어남. 3.2.7. 금리 이상에 따른 대응 전략 수립 필요할 듯. 3.3. 탈환한 자본수익을 어떻게 사용했는가? 3.3.1. 지출은 12기에 비해 97%로 약간 감소했으나 거의 비슷함. 3.3.2. 오프라인 조합원모임이 늘면서 회의비가 약간 증가함. 3.3.3. 차입금 반환으로 인한 이자비용이 감소함. 3.3.4. 결과적으로 잉여금은 12기 대비 203% 로 450만빈 정도 증가. 3.3.5. 잉여/수입 비율은 26%에서 42.7%로 증가. 4. 운영위원 평가 및 소감 4.1. 정훈 : 생각보다 많은 일이 있었다. 대표를 잘 해보고 싶었다. 빈고 이름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 많다. 활동을 잘하고 못하고보다 중요한 것은 누군가 소외되지 않고, 함께 무언가를 하고 있다는 것. 잡지를 못했는데 올해 잘 해보고 싶다. 4.2. 온 : 운영위원 하기를 잘 했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걱정됐지만, 안했으면 작년이 더 힘들었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소속감과 안정감, 다정함을 느낄 수 있었다. 베푼 것 보다 받은 게 많다. 새로운 조합원과 활동가를 만나면서 다정함을 돌려주고 싶다. 4.3. 설해 : 올해 여름부터 거제에 내려가 있으면서 다른 일을 잘 못했다. 빈빈스프레드와 활동가대회까지 즐거웠다. 어디서든 조합원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빈빈스프레드 참여 마무리할 예정. 4.4. 산미 : 올해는 많이 만났고, 새로운 공동체도 생겼다. 빈땅캠프를 강릉에서 했다는 의미. 핸드북을 바탕으로 10분, 20분 짜리 교육안을 만들면 좋을 거 같다. 그걸로 강릉에서 교육을 할 수도 있을 듯. 4.5. 람RAHM : 정훈이 같이 해보면 재밌겠다. 연초의 기운을 오래 가져가지 못했다. 생각이 많다. 활동을 할 수 있을지 하고 싶은지 고민중이다. 4.6. 몽애 : 빈고에서 사람을 만나서 공동체를 만들 수 있었고. 빈고 사람들 만나는 건 즐겁구나. 어떨때는 묘한 부채감이 있다. 안 하는 것은 아니지만 잘하는 건 아닌 것 같다. 빈고의 장점은 각자의 아이디어가 실현이 되는 것이지만, 항상 뒤끝이 마무리가 잘 안되는 느낌이 있다. 이층집 잘 운영해보겠다. 재밌게 하자. 4.7. 살구 : 올해 운영위원 합이 좋았다. 정훈이 오랫동안 하고 싶은만큼 못했던 것 같은데, 대표를 맡으면서 그간의 고민을 많이 내어놓고 하고 싶은 것도 욕심껏 내어놓아서 지나고보니 뭔가 많이 한 것 같다. 올해의 합으로 내년도 잘 할 수 있으면 좋겠다. 4.8. 지음 : 다른 걸 해보겠다고 교육활동을 못했다. 내년에는 잘 해보겠다. 36
  37. 37. 4.9. 부깽 : 회의 열심히 참여. 홈페이지 몇년간 숙원을 … 올해는 재밌는 일들이 있었던 듯. 줌의 장점이 있지만, 줌으로는 회의만 압축적으로 하고, 실제로 모여서 놀고 교육하고 하면 좋겠다. 조합원들과 만날 수 있는 자리를 많이 만들면 좋겠다. 4.10. 하지메 : 상반기는 없었다. 돌아와서 적응하는 게 어려웠다. 다른분들도 상반기와 하반기가 달랐던 것 같다. 하반기에 분위기가 가라앉는 느낌. 어떻게 할 수 있을까? 미국에서 발표. 일본에서 조합원모임. 4.11. 좌인 : 초반의 의욕을 지속하지 못한 한 해였다. 조합원 모임 활성화와 빈고 잡지발간을 해보고 싶었는데 제대로 해보지 못했다. 신입 조합원 모임 시도는 좋았으나 지속하지 못한 게 아쉽다. 정훈 대표의 열정적인 활동에 박수를 보낸다 올해는 쌍둥이를 키우느라 활동을 계속할 수 없는데, 대신 출자 활동을 꾸준히 해보겠다. 37
  38. 38. 2022년도 결산 1. 공유상태표=재무상태표 (2022년 12월 31일 현재) 공유지(좌변) 공유자(우변) 구분 전기(2021) 당기(2022) 당기/전기 구분 전기(2021) 당기(2022) 당기/전기 자산 총액 495,478,571 530,665,549 107% 부채+자본 총액 495,478,571 530,665,549 107% 현금 및 예치금 68,673,484 85,820,549 125% 출자금 334,105,204 359,927,892 108% 현금 2,673,484 5,820,549 218% 일반조합원 300,497,967 305,205,918 102% 예치금 66,000,000 80,000,000 121% 특수조합원 32,466,997 53,545,734 165% 공동체출자 17,000,000 17,000,000 100% 영구조합원 1,140,240 1,176,240 103% 다람쥐회 1,000,000 1,000,000 100% 적립금 95,386,116 97,769,510 102% 홍성빈땅 16,000,000 16,000,000 100% 빈고적립금 48,361,827 46,669,965 97% 공동체공간 346,085,087 345,660,000 100% 출자지지금 37,299,796 42,435,052 114% 강릉빈땅 97,000,000 97,000,000 - 지구분담금 6,329,494 4,579,494 72% 공유주거협동조합 89,000,000 91,000,000 102% 활동가기금 1,375,000 2,615,000 190% 웬자족 35,000,000 35,000,000 100% 공동체기금 2,019,999 1,469,999 - 이층집 - 31,160,000 신규 공통장 41,605,008 51,337,567 123% 공룡 25,000,000 25,000,000 100% 건강계 6,884,286 9,467,203 138% 들 20,000,000 20,000,000 100% 국경을넘는계 6,680,000 8,788,000 132% 연구자의집 - 20,000,000 신규 따로또같이 4,092,022 6,882,022 168% 명륜동쓰리룸 10,000,000 10,000,000 100% 해방촌사람들 4,743,628 4,743,628 100% 두물머리 - 9,900,000 신규 커먼즈넷후원계좌 - 2,587,200 신규 경의선공유지 10,800,000 4,800,000 44% 은평공간 2,400,000 2,400,000 100% 에밀리,숲 3,200,000 1,800,000 56% 이음이네 1,800,000 2,400,000 133% 종료 공간 합계 56,085,087 - 종료 기타공동체합계 15,005,072 14,069,514 94% 공동체활동 16,280,000 35,540,000 218% 공통계 - 2,747,015 신규 연구자의집 - 19,840,000 신규 공유주거협동조합 - 98,977 신규 내일상회 10,280,000 9,700,000 94% 내일상회 - 896,628 신규 공룡 6,000,000 6,000,000 100% 빈땅조합 - 1,661,410 신규 공동체회원 17,850,000 15,460,000 87% 이층집 - -10,000 신규 조합원이용 29,590,000 31,185,000 105% 일본빈고 - 100,000 신규 출자자이용 27,410,000 27,620,000 101% 차입금 20,000,000 10,000,000 50% 빈쌈짓돈 2,180,000 3,565,000 164% 차입자 합계 20,000,000 10,000,000 감소 당기잉여금 4,382,243 8,883,565 203% 38
  39. 39. 2. 운영성과표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지출 수입 구분 전기(2021) 당기(2022) 당기/전기 구분 전기(2021) 당기(2022) 당기/전기 지출 총액 12,254,591 11,924,887 97% 수입 총액 16,636,834 20,808,452 125% 운영비 640,190 446,850 70% 분담금(공동체) 12,521,000 15,468,148 124% 사무실임대료 160,000 100,000 63% 공유주거협동조합 4,683,000 4,520,000 97% 빈고폰사용료 170,890 106,850 63% 강릉빈땅 550,000 3,300,000 600% 도메인비 14,300 - 0% 웬자족 1,480,000 1,801,875 122% 서버비용 240,000 240,000 100% 공룡 1,500,000 1,500,000 100% 기타운영비 55,000 - 0% 들 1,200,000 1,200,000 100% 활동비 10,116,000 10,052,000 99% 이층집 - 833,333 신규 책임활동가 7,000,000 6,580,000 94% 연구자의집 - 503,333 신규 활동가건강계 2,496,000 1,872,000 75% 그린집 1,800,000 485,000 27% 활동가퇴직금 300,000 1,240,000 413% 빈컴퓨터 - 435,891 종료 기타활동비 320,000 360,000 113% 명륜동쓰리룸 450,000 360,000 80% 회의비 349,900 776,010 222% 망집 420,000 298,667 71% 운영회의 90,900 100,000 110% 두물머리 - 176,877 신규 조합원모임 - 191,010 - 내일상회 348,000 53,172 15% 활동가대회 - 250,000 - 단편집 90,000 - 종료 총회준비회의 81,000 - 0% 분담금(조합원) 958,737 311,836 33% 갈등전환위원회 - - - 조합원분담금 958,737 311,836 33% 교통비 - 71,000 - 조합비 2,370,000 2,050,000 86% 총회 178,000 164,000 92% 조합비 2,370,000 2,050,000 86% 사업비 96,000 104,000 108% 사업수입 150,000 930,000 620% 조합원교육 - - - 외부교육 150,000 930,000 620% 강사비 - - - 선물 200,896 937,461 467% 갈등탕비실 - 40,000 - 선물 200,896 937,461 467% 빈고미디어사업 96,000 - - 이자수입 436,201 1,111,007 255% 아카이빙사업 - - - 거래은행 436,201 1,111,007 255% 홍보사업비 - 64,000 - 기타수입 - - - 제안사업 - - - 기타수입 - - - 이자비용 1,012,500 546,027 54% 차입금이자 1,012,500 546,027 54% 기타지출 40,001 - 0% 잉여금 4,382,243 8,883,565 203% 39
  40. 40. 3. 예산집행표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지출 수입 구분 2022 예산 2022 지출 실제/예산 구분 2022 예산 2022 수입 실제/예산 지출 총액 16,034,300 11,924,887 74% 수입 총액 19,230,000 20,808,452 108% 운영비 1,074,300 446,850 42% 분담금(공동체) 14,980,000 15,468,148 103% 사무실임대료 600,000 100,000 17% 공유주거협동조합 4,500,000 4,520,000 100% 빈고폰사용료 120,000 106,850 89% 그린집 1,800,000 485,000 27% 도메인비 14,300 - 0% 공룡 1,500,000 1,500,000 100% 서버비용 240,000 240,000 100% 웬자족 1,680,000 1,801,875 107% 기타운영비 100,000 - 0% 들 1,200,000 1,200,000 100% 활동비 10,460,000 10,052,000 96% 명륜동쓰리룸 360,000 360,000 100% 책임활동가 7,200,000 6,580,000 91% 망집 420,000 298,667 71% 활동가건강계 1,560,000 1,872,000 120% 내일상회 20,000 53,172 266% 활동가퇴직금 500,000 1,240,000 248% 강릉빈땅 3,300,000 3,300,000 100% 기타활동비 1,200,000 360,000 30% 이층집 - 833,333 신규 회의비 1,720,000 776,010 45% 연구자의집 - 503,333 신규 운영회의 200,000 100,000 50% 두물머리 - 176,877 신규 조합원모임 200,000 191,010 96% 빈컴퓨터 - 435,891 신규 활동가대회 400,000 250,000 63% 새 공유지 200,000 1,949,434 975% 총회준비회의 80,000 - 0% 분담금(조합원) 1,000,000 311,836 31% 갈등전환위원회 240,000 - 0% 조합원분담금 1,000,000 311,836 31% 교통비 200,000 71,000 36% 조합비 2,500,000 2,050,000 82% 총회 400,000 164,000 41% 조합비 2,500,000 2,050,000 0% 사업비 2,080,000 104,000 5% 사업수입 150,000 930,000 620% 조합원교육 400,000 0% 외부교육 150,000 930,000 620% 강사비 400,000 0% 선물 200,000 937,461 469% 갈등탕비실 180,000 40,000 22% 선물 200,000 937,461 469% 빈고미디어사업 500,000 0% 이자수입 400,000 1,111,007 278% 아카이빙사업 200,000 0% 거래은행 400,000 1,111,007 278% 홍보사업비 200,000 64,000 32% 기타수입 - - - 제안사업 200,000 0% 기타수입 - - - 이자비용 600,000 546,027 91% 차입금이자 600,000 546,027 91% 기타지출 100,000 - 0% 잉여금 3,195,700 8,883,565 278% 40
  41. 41. 4. 월별 자산 변동 5. 월별 수지 변동 41
  42. 42. 6. 공유지 = 공유자 도표 (자산 배분 및 구성) 42
  43. 43. 7. 수입구성 = 수입배분 도표 43
  44. 44. 2022년도 잉여금 처분 1. 당기(2022) 잉여금 처분안 1. 1안 : 출자지지금 축소 당기(2022) 잉여금 분배안 잉여금총액 8,883,565 빈 100.0% 전기 대비 102% 증가 출자지지금 7,243,480 빈 81.5% 출자금의 2.0% 적립(전기 +0.4%P) 지구분담금 890,000 빈 10.0% 10% 이상 이용지지금 890,000 빈 10.0% 10% 이상 빈고적립금 -139,915 빈 -1.6% 기존 빈고적립금 사용 활동가기금 0 빈 0.0% 2. 2안 : 기존 빈고적립금 사용 당기(2022) 잉여금 분배안 잉여금총액 8,883,565 빈 100.0% 전기 대비 102% 증가 출자지지금 9,054,350 빈 101.9% 출자금의 2.5% 적립(전기 +0.9%P) 지구분담금 890,000 빈 10.0% 10% 이상 이용지지금 890,000 빈 10.0% 10% 이상 빈고적립금 -1,950,785 빈 -22.0% 기존 빈고적립금 사용 활동가기금 0 빈 0.0% <참고 : 전기(2021) 잉여금 처분> 전기(2021) 잉여금 분배안 잉여금총액 4,382,243 빈 100.0% 전기 대비 61% 감소 출자지지금 5,109,000 빈 116.6% 출자금의 1.6% 적립(전기 동일) 지구분담금 450,000 빈 10.3% 10% 이상 이용지지금 450,000 빈 10.3% 10% 이상 빈고적립금 -1,626,757 빈 -37.1% 기존 빈고적립금 사용 활동가기금 0 빈 0.0% 44
  45. 45. 2022년도 감사보고서 1/2 공동체은행 빈고의 사업, 재무상황, 회계 등 운영 전반에 대한 감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보고합니다. 1. 개요 ● 감사대상 기간 : 2022년 1월 1일~2022년 12월 31일 ● 감사 실시일 : 2023년 1월 17일 (화) 20:00 ● 감사대상 : 공동체은행 빈고 총회 자료집의 공유상태표, 운영성과표, 예산집행표 항목과 관련된 통장과 문서기록 2. 감사 보고 언제나 빈고의 목적과 이념을 잊지 않고 빈고를 운영해 온 책임활동가들과 운영활동가들에게 경의와 응원을 보냅니다. 1) 수시 입출금 통장과 신협 예금 통장 잔액 확인 공유상태표의 현금 및 예치금 항목의 금액과 수시 입출금 통장, 신협 예금 통장의 잔액이 일치함을 확인하였습니다. 2) 빈고의 활동 총회에 제출되는 운영성과표와 예산집행표를 바탕으로 당기의 출자와 이용, 사업에 관한 내용을 확인하였고 문제 되는 부분이 없었습니다. 감사 진행 중 질문이 필요했던 부분이나 의견들은 아래에 권고사항으로 따로 작성하였습니다. 3) 전기 감사 권고사항의 이행 전기의 감사 2인의 권고사항은 빈고의 큰 방향성을 제시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그래서 당기 빈고 활동에서 권고사항 이행 여부를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지구분담금과 공동체기금의 사용처와 금액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보아 전기 감사의 권고사항을 역행하지는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3. 권고사항 - 분기별로 빈고의 운영과 관련한 문서를 수정할 수 없는 형태로 인쇄하고 자료 목록을 작성하여 함께 보관하기 바랍니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없는 지출과 수입을 기록한 장부, 통장 사본, 정기예금 증서, 계약서 등을 보관 문서 대상으로 하면 됩니다. - 외부교육 활동과 컨설팅 활동에서 발생한 수입의 정산 기준을 만들기 바랍니다. 외부교육 활동과 컨설팅 활동은 운영회의에 보고되지만 운영활동가와 책임활동가의 업무 범위를 넘어서는 부분입니다. 물론 빈고에서 활동하고 있기에 맡을 수 있는 활동이기도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활동들의 준비와 실행은 활동가 개인의 역량에 많이 기대고 있습니다. 당장에는 그 수입이 많지 않아 효과가 없더라도 이 활동들로 발생한 수입의 정산 기준은 있어야 할 것입니다. - 감사 범위를 지금보다 세분화하기 바랍니다. 빈고 전반을 총괄하여 감사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기에 감사의 범위를 ‘출자·이용 활동 및 회계’ 감사, ‘IT’ 감사, ‘사업 및 운영’ 감사 등으로 나누어 빠지는 부분 없이 감사하고, 감사 보고의 신뢰를 높이면 좋겠습니다. 2023년 1월 25일 빈고 감사 햄 45
  46. 46. 2022년도 감사보고서 2/2 2023년 1월 17일(화)에 햄 감사님과 함께 <2022년 공동체은행 빈고의 활동과 재정> 전반에 걸쳐 감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보고합니다. 먼저, 코로나19 상황에서 너무나도 미미한 활동비로 이렇게 꾸준하게 조직을 유지해 온 빈고 활동가분들에게 경의를 표하며 깊은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1) 이번 감사에서, 빈고의 기본적인 운영(결산, 정기 활동 등)에 관해서는 특이사항은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2) 다만 한 가지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 사업비를 보면, 빈고의 규모에 비해 사업비 비중이 매우 낮습니다. 물론 빈고는 금융커먼즈 조직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운영에 중점을 둔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합니다. 그리고 지출에 관해서도 세심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10년 이상을 지속해 온 공동체은행 빈고는 이제는 새롭게 ‘활’력과 ‘동’력을 얻을 수 있는 활동에 선택과 집중이 요구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그러한 활동을 기획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활동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비용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2023년에는 대사회적 활동을 확대하고 빈고의 가치를 널리 알리는 차원에서, 사업 한 가지를 발굴하여 추진해보시기를 제안합니다. 빈고가 사업담당주체로서 사업비를 책정하여 일반을 대상으로 사업을 공모, 선정하는 방식으로 2023 핵심활동을 이끌어 내거나, 아니면 빈고가 공모사업 지원을 통해서 사업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겁니다. 여러 이유로, 후자보다는 전자를 권하는 바입니다. 이상 콕집어 감사였습니다. 고맙습니다. 2023년 1월 25일 빈고 감사 등대 46
  47. 47. 2023년도 조직 및 임원 구성 1. 조직 및 회의체계 1. 조합원총회 (2024년 1월) 2. 조합원소풍 (8월) 3. 활동가대회 (12월) 4. 운영회의 (월 1회, 격월 오프라인) 5. 상임회의 (상시) 6. 갈등전환위원회(수시) 7. 감사 (분기별 감사, 연말감사) 2. 활동가 1. 대표활동가 : 정훈 2. 운영활동가 후보 : 몽애, 산미, 설해, 온, 하지메, 반바지, 이파람, 산초 (+현장 추천) 3. 책임활동가 1. 상임활동가 : 지음 (+후임) 2. 책임활동가 1. 건강보험계 : 유선 2. 홈페이지 : 부깽 4. 갈등탕비실 : 아침 5. 감사 : 햄, 등대 47
  48. 48. 2023년도 활동계획 1. 조합원모임 1.1. 다양한 조합원 모임을 만들어서 조합원들의 접점을 넓힌다. 1.2. 빈땅캠프, 조합원소풍, 활동가대회 등등 1.3. 격월 대면 운영회의 진행 1.4. 금요일 공부모임 등 진행 (R커먼즈 공간 활용) 1.5. 커먼즈뱅크 강좌 진행 1.6. 온/오프라인 조합원 교육 진행 2. 빈고 미디어 활동 2.1. 미디어를 활용해서 빈고의 컨텐츠를 배포하고 관계를 만든다. 2.2. 영상 워크샵 후속 작업 추진 2.3. 빈고 핸드북 편집, 인쇄 추진 2.4. 빈고 잡지 추진 3. 활동비 확보 방안 모색 3.1. 활동비를 확충할 수 있는 수익 사업을 모색한다. 3.2. 활동비 후원금 모금 4. 기본 활동 4.1. 상임활동 4.1.1. 빈고폰 4.1.2. 재정업무 4.1.3. 상담업무 4.1.4. 월말정산 4.1.5. 분기별감사 4.1.6. 뉴스레터 4.2. 책임활동 4.2.1. 건강보험계 4.2.2. 홈페이지운영 4.3. 갈등탕비실 5. 공유지계획 5.1. 올해 신규 공유지를 위해 가용할 수 있는 자금은 최대 7천만빈 정도로 예상됨. 5.2. 부동산 시장의 변화에 대응 전략 모색 5.3. 지역 거점 공간 (서울, 홍성, 제주 등) 확보 시도. 5.4. 각 지역마다 함께할 수 있는 다른 단체들과 적극 연대한다. 6. 조합원 활동 6.1. 출자활동 6.2. 이용활동 6.3. 연대활동 6.4. 운영활동 6.5. 조합원 제안 활동 48
  49. 49. 2023년도 예산 및 공유지운영 1. 2023년도 예산(안) 지출 수입 구분 2022 지출 2023 예산 비고 구분 2022 수입 2023 예산 비고 지출 총액 11,924,887 15,694,300 132% 수입 총액 20,808,452 20,460,000 98% 운영비 446,850 1,674,300 375% 분담금(공동체) 15,468,148 15,460,000 100% 사무실임대료 100,000 1,200,000 공유주거협동조합 4,520,000 4,560,000 동일 빈고폰사용료 106,850 120,000 1만*12개월 강릉빈땅 3,300,000 3,300,000 동일 도메인비 - 14,300 동일 웬자족 1,801,875 1,680,000 동일 서버비용 240,000 240,000 2만*12개월 공룡 1,500,000 1,500,000 동일 기타운영비 - 100,000 들 1,200,000 1,200,000 동일 활동비 10,052,000 10,020,000 100% 이층집 833,333 1,500,000 증가 책임활동가 6,580,000 7,200,000 60만*12개월 연구자의집 503,333 960,000 증가 활동가건강계 1,872,000 1,560,000 156천*10명 그린집 485,000 - 종료 활동가퇴직금 1,240,000 660,000 빈컴퓨터 435,891 - 종료 기타활동비 360,000 600,000 10만*6회 명륜동쓰리룸 360,000 360,000 동일 회의비 776,010 1,820,000 235% 망집 298,667 - 종료 운영회의 100,000 200,000 2만*10회 두물머리 176,877 - 반환중 조합원모임 191,010 200,000 2만*10회 내일상회 53,172 - 반환중 활동가대회 250,000 400,000 20만*2회 새 공유지 - 400,000 신규이용 총회준비회의 - 80,000 2만*4회 분담금(조합원) 311,836 500,000 160% 갈등전환위원회 - 240,000 2회*12만 조합원분담금 311,836 500,000 감소 교통비 71,000 200,000 2만*10회 조합비 2,050,000 2,200,000 107% 총회 164,000 500,000 조합비 2,050,000 2,200,000 감소 사업비 104,000 1,780,000 1712% 사업수입 930,000 1,000,000 108% 조합원교육 200,000 5만*4회 외부교육 930,000 1,000,000 증가 강사비 400,000 10만*4회 선물 937,461 300,000 32% 갈등탕비실 40,000 180,000 3만*6회 선물 937,461 300,000 증가 빈고미디어사업 200,000 이자수입 1,111,007 1,000,000 90% 잡지사업비 400,000 거래은행 1,111,007 1,000,000 증가 홍보사업비 64,000 200,000 기타수입 - - 제안사업 200,000 기타수입 - - 이자비용 546,027 300,000 55% 차입금이자 546,027 300,000 감소 기타지출 - 100,000 잉여금 8,883,565 4,765,700 54% 49
  50. 50. 2. 2023년도 공유지운영(안) 범례 단위 : 만빈 출자계획 추가이용 이용반환 예비자금 기타자금 공동체 현재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조합원 출자 등 -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조합원 이용 등 -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강릉빈땅 9,700 - - - - - - - - - - - - 공유주거협동조합 9,100 - - - - - - - - - - - 200 연구자의집 3,984 8 8 8 8 8 8 8 8 8 8 8 8 웬자족 3,500 - - - - - - - - -3,500 4,000 - - 이층집 3,116 - - - - - - - - - - - - 공룡 3,100 - - - - - - - - - - - - 들 2,000 - - - - -1,000 - - - - - - - 홍성빈땅 1,600 - - - - - 200 - - - - - - 명륜동쓰리룸 1,000 - - - - - - - - - - - - 두물머리 990 - - - - - - - - - - - - 내일상회 97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경의선공유지 480 - - - - - - - - - - - - 에밀리,숲 180 - - - - - - - - - - - - - - - - - - - - - - - - - - 개인이용자 합계 4,764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신생 공동체 - - - - - - -1,000 - - - - - -10,000 차입자 1,000 - - - - - - - - - - - 3,000 고액출자자 - - - - - - - - - - - - - 잉여금 - - - - - - - - - - - - - 조정 - - - - - - - - - - - - - 월별합계 - 278 278 278 278 -722 -522 278 278 -3,222 4,278 278 -6,622 여유자금 8,000 8,278 8,556 8,834 9,112 8,390 7,868 8,146 8,424 5,202 9,480 9,758 3,136 ● 재계약/변동예정 : 웬자족 재계약 예정 ● 추가 이용 : 들 ● 반환 계획 : 빈땅조합, 내일상회, 공유주거협동조합 ● 신규 공유지 준비 : 서울 공간, 홍성 마을공간, 순천 마을공간, 신생 공동체 예비 ● 추가 동원 가능 자금 : 차입자 50
  51. 51. 기타안건 1. 장기 이용활동 종료 처리 아래의 이용활동은 이용활동가 개인의 상황으로 미루어보아, 더이상 이용활동이 불가하다 판단됩니다. 합계 총액 860,000빈을 빈고적립금에서 출금해서 지원하는 것으로 활동을 종료처리할 것을 승인 바랍니다. 해당 금액은 2022년 말 기준, 빈고적립금 잔액 46,669,965 빈의 1.84%에 해당하는금액입니다. 2019년 총회에서 2,624,553빈을 같은 방식으로 지원한 사례가 있습니다. 이용활동가 소속 공동체 마지막 활동일 이용구분 금액 태** 주력발전소 2017년 8월 공동체회원 560,000 빈 이** 서울 2015년 2월 빈쌈짓돈 300,000 빈 합계 860,000 빈 51
  52. 52. 빈고 13년 일람 1. 활동가 구분 대표활동가 상임활동가 운영활동가 감사 공동체활동가/운영위원 주요 변화 1기 자주, 지음, 지각생 슈아 매달 당첨운영위원 빈마을금고 취지문 초기 준비 단계 자치적 구조 강조(대표없음, 당첨운영위원) 2기 지음, 우마 희공, 석류, 들깨, 시금치 자주, 켄짱, 연두, 들깨, 석류, 잔잔, 병채, 이슷 다양한 잉여금분배 실험 3기 잔잔, 켄짱, 규섭, 좌인, 양군 지음, 체, 산하 양군, 잔잔, 이경, 나루, 크트, 우중산책, 규섭, 김환수, 지음, 켄짱, 좌인, 하루, 산하, 체, 현민 빈마을을 넘어서 확장 4기 주노정, 좌인 지음, 오디 모기, 테아 좌인, 양군, 오디, 유농, 청하, 산하, 잔잔, 우중산책, 살구, 지음, 주노정, 자유, 매콩, 땡땡, 하람, 파스, 곰자 공동체기금 도입 5기 좌인, 파스, 곰자 오디 지음, 말랴 자유, 정민, 종민, 하람, 매콩, 땡땡, 테아, 돌고래, 시오, 파스, 곰자, 켄짱, 몽애, 그링, 한돌 공동체은행 빈고' 명칭 수정 6기 부깽, 정민, 몽애 오디, 곰자, 정민 지음, 좌인, 부깽 양군, 우중산책 파스, 한돌, 종민, 그링, 시오, 라일락, 켄짱, 슉슉 빈고 홈페이지 오픈 건강보험계 시작 7기 서원 정민, 서원, 오디 몽애, 지음, 칡, 정민 살구 보선, 병택, 룡룡, 슉슉, 좌인, 둥쟁, 나마스떼, 웅기, 곰자, 드론, 센, 쉐프, 디온, 천피터, 김기민 빈고선언문 채택 운영활동 텔레그램방 개설 8기 서원, 지음 부깽, 정민 기픈옹달 보선, 병택, 룡룡, 쉐프, 디온, 나마스떼, 우더, 동녘, 양군, 광대, 웅기, 지음, 곰자, 청하, 센, 천피터, 토양, 김기민, 켄짱 온라인 출자조회 시작 화폐단위 변경 빈땅조합 창립 9기 땡땡, 하루, 나루, 살구, 니름 서원, 지음 부깽, 정민, 우더 센, 정훈 우중산책, 땡땡, 마루, 센, 천피터, 나마스떼, 광대, 반바지, 토양, 성재, 다옹, 웅기, 사, 날맹, 지선, 자기, 염 1빈 단위 출자 도입 공유주거협동조합 설립 10기 하루, 나루, 살구, 니름 서원, 지음 부깽, 사, 수수 크트, 지각생, 졔졔 센, 반바지, 광대, 날맹, 준현, 우중산책, 지음, 다옹, 김단, 쵱혱영 공동체통장 조회 11기 우중산책 지음 살구, 부깽, 숲이아 다옹, 김단 판다리, 졔졔, 미어캣, 날맹, 정훈 운영위원 / 책임활동가 체제 갈등중재위원회 활동 오프라인/온라인 필수 조합원교육 시작 12기 우중산책 지음, 살구, 부깽, 아침, 다솜 성재, 하지메 베로, 산미, 숲이아, 쏭, 윤기쁨, 정훈, 졔졔, 판다리, 하루, 하얀늑대 온라인회의 갈등탕비실 운영 빈고 정관 작성 13기 정훈 지음, 살구, 부깽 햄, 등대, 아침 우중산책, 산미, 몽애, 좌인, 온, 람RAHM, 설해, 하지메 공통계, 미디어워크샵, 조합원소풍, 빈연구소,핸드북 발간 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