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대형서점/몰의 하락세
5
※ source : https://www.businessinsider.com/amazons-new-bookstores-are-copying-independent-booksellers-2017-1
• 최근 미국 독립서점의 성장 원인
을 분석한 <독립 상점의 3C 전
략> (하버드대학 라이언 라파엘리
교수, HBR, 2017)
• “독립 상점이 살아남기 위해 사람
들이 모이게끔(Convening) 하고,
개성적인 상품 추천(Curation)
을 하며, 지역의 사랑방 역할
(Community)을 해야 한다”
6.
아마존과 반스앤노블의 현황 비교
6
• 아마존(온라인)과 반스앤노블(오프라인)
주가 변동 시가총액은 1,600배 차이
• 아마존 : 미국 신간 유통 점유율 40% 이
상, 전자책 점유율 70% 이상
• 아마존의 오프라인 진출 확대(2015년,
20여개 출점)
• 반스앤노블 CEO 해고, 회사 매각 추진
컨셉 스토어로 미래 서점 테스트
• 반스앤노블 디지털 사업 대폭 축소, 대학
서점 강화
※ source : https://www.google.com/finance
7.
아마존북스의 확장.. 프라임 회원과 데이터 확보
목적
7
※ source : https://www.amazon.com/find-your-store/b/?node=17608448011
10.
일본.. 1997년 정점으로 시장 규모와 서점수 등
하락 추세
10
• 2016년 서고잡저(書高雜低)의 시대로 전환
• 종이서적 매출 감소, 전자서적 매년 20% 성
장
• 서점 수는 1만2천여 개로 매년 감소세
• 서점 매출액 : 츠타야 > 기노쿠니아 > 마루
젠준쿠도
• 무지북스, 모리오카 서점 등 컨셉 서점의 확
산
[서점수와 서적/잡지반품율]
※ source : http://www.1book.co.jp/
11.
[참고] 츠타야의 신사업 모델.. 책과 휴식의 공간
체험화
11
• 2017년 11월, 일본 도쿄 신주쿠에 오
픈
• 24시간 운영, 시간당 500엔
• 층별로 글램핑 분위기의 개방된 휴식
공간, 공동작업 공간, 여성전용 공간,
샤워 공간 등 구성
• 책을 ‘소비(구매)하는 공간’이 아니라
책과 휴식이 어우러진 ‘공간을 소비’하
도록 사업 모델화
※ source : https://tsutaya.tsite.jp/feature/store/tba_shinjuku/index
12.
중국.. 온라인의 급성장과 오프라인의 대형화 추세
12
• 온라인 도서 구매 증가(전년대비 30%
성장)
• 2016년 온라인 > 오프라인 역전
• 아동 분야 도서 매출이 가장 높음
• 오프라인 서점의 타개책 : 독서 환경
개선, 서비스 향상, 차별화 전략(24
시간 서점 등) 추진
• 디지털 출판 산업 성장 : 스마트폰
독서율 증가 전체 독서율 증가의
핵심 원인
(단위: 억 위안)
[온/오프라인 서점 판매 규모]
※ source : http://kccl.co.kr/221406776078?fbclid=IwAR1kW2rEXUxAwV7q8YL5cUJWIGizjKToGb91gNJKh6e_1It1UvApUR0qkFI
13.
[참고] 중국의 대표 오프라인 서점 내부 : 웅장함
과 첨단의 조화
13
<펑수오 서점> <중수거 서점>
15.
국내 서점 현황 요약 정리
15
• 2017년 기준, 도서만 판매하는 순수서점은
1,536개로 2015년 대비 23개 감소
• 문구류 등을 겸업하는 일반서점의 숫자도
2,050개로 2015년 대비 66개 감소
• 서울과 6대 광역시에 소재한 서점이 총 1,110
개로 전체의 54.1%, 지방은 45.9%로 지역
별 편차
• 전용면적 20평 미만이 27.5%, 약 20평에
서 50평의 서점이 45% 대부분 50평 미만
• 기타서점(독립서점)은 총 301개. 서울 133개,
제주 41개, 경기 25개 순
17.
2018년 국내 서점업계 주요 이슈
17
① 영풍문고의 서울문고 인수 추진 무산 : 종로점 내 ‘무인양품’
입점
② 주요 대형서점 CEO 변경 : 예스24(9월), 인터파크도서(10
월), 교보문고(12월)
③ 주요 독립서점 휴/폐점 소식 : 북바이북, 사적인서점, 북티끄
등
④ 모바일 채널의 급성장 : 온라인 내 모바일 매출의 점유율
40~50% 수준
⑤ 전자책 플랫폼의 투자 유치 확대 : 리디북스, 밀리의 서재
⑥ 웹소설/웹툰 콘텐츠 플랫폼의 강세 : 카카오 페이지, 네이버 시
리즈
19.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전략 수립
19
• 오프라인 채널
대형 서점 : 라이프 스타일형 공간 체험
중소형/독립 서점 : 큐레이션 기반 북카페
+ 북클럽
* 지역 중소형 서점(참고서 중심)의 대대적인
변화 필요
• 온라인/모바일 채널
종이책 서점 : 멤버십 + 데이터 마케팅 +
배송
전자책 서점 : 동시출간 + 오리지널 콘텐
츠 + IT
웹콘텐츠 플랫폼 : 스낵컬처 콘텐츠 + 가
격제 + IT
라이프 스타일
멤버십
큐레이션
서브스크립션
데이터
모바일
20.
중소형/독립서점의 캐시 카우(cash cow) 확보와
네트워크 구축
20
• 고정비(임대료/인건비 등)의 증가, 수익
성의 한계 : 도서 마진율 감소, 식음료
재고 관리 부담 등
• 멤버십 마케팅을 통한 충성 고객 확보 주
력
• 서브스크립션 기반의 유료 북클럽 운영 :
영국 헤이우드힐, 해처즈 서점 사례 참고
• 서점 브랜드를 활용한 다양한 굿즈
(goods) 판매 : 미국 스트랜드 서점 사
례 참고
• 서점간 네트워크 강화 및 공동 마케팅 추
진※ source : https://www.heywoodhill.com/
21.
[참고] 독립서점의 생존을 위한 바이 로컬(buy
local) 문화
21
※ source : https://techcrunch.com/2015/06/18/bookindy/
22.
모바일과 소셜미디어의 적극적인 활용
22
• 모바일 서점의 폭발적인 증가세
• 스마트폰과 모바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변화
• 커머스와 커뮤니티의 옴니채널(omni
channel)화 오프라인에서 콘텐츠 제작
후 SNS에 공유 (소셜 라이브 이벤트 추
진)
• 분야별 인플루언서/북튜버의 발견과 네트
워크 추진
23.
큐레이션(curation) 역량 강화와 투자
23
• 빅데이터/AI 알고리즘과 휴먼 큐레이션의
경쟁/연계
• 큐레이션 역량은 단기간에 갖추기 어려움
큐레이션의 수준은 큐레이
터의 역량에 비례
• 고객 친화적인 큐레이션은 공간/사이트
만족도를 더욱 높여주는 효과 창출 : 일
본 츠타야 다이칸야마 티사이트, 미국 원
그랜드북스, 넷플릭스 사례 참고
※ source : http://real.tsite.jp/daikanyama/english/, http://onegrandbooks.com/
24.
24
“안목이 높고 열정적인 서점 직원들에게
서점의 미래가 달려 있어요.
좋은 서점이라면, 책을 사는 행위 자체를
어떤 특별한 경험으로 만들 수 있어야 하죠”
- 젠 캠벨, 《북숍 스토리》 -
<Literati Bookstore>, 124 E Washington St, Ann
Arbor, 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