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구의 50%에 육박하는 6억5천만명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고, 8억명 이상인 핸드폰 사용자의 8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중 83.4%인 5억2천만명 이상이 모바일을 이용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의 인터넷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을 하고 있는 중으로 앞으로 중국 인터넷 시장은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와 영향력을 갖게 될 것임에 틀림이 없다. 그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더 늦기 전에 중국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과 진출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제작한 중국어 홈페이지들은 중국인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제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다. 그 원인은 무엇이며,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없는가?
실제 중국에서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으로 ICP라고 하는 인증을 받아야 하고, 중국의 검색사이트나 포털사이트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구축 해야 한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만드는 대부분의 중국어 사이트들은 국내에서 서비스 되는 형태로 개발되어 중국에서 정상적인 서비스가 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중국의 경우 모바일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홈페이지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도 모바일인터넷 사용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중국의 경우는 초기부터 모바일 사용자의 비중이 높고 시장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제대로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홈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식으로 중국에 등록이 되어야 하고, 중국에서 원할하게 서비스가 될 수 있는 네트웤 망을 확보해야 하고, 중국인들이 홈페이지를 방문하는 경로가 되는 검색엔진 사이트나 포털사이트에서 잘 나타날 수 있도록 검색엔진최적화(SEO)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제적 웹표준을 준수하는 개발 방법과 기술을 적용하고, 중국 검색엔진에 맞는 SEO 전략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개발한 홈페이지들은 국내 환경에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고, SEO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구글 등의 미국사이트에 최적화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중국에서는 구글사이트 등이 막히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구글사이트를 이용하는 SEO 기준 뿐만 아니라 로그분석이나 참조 연계 등의 경우에도 관련된 사항들은 모두 제거를 해주도록 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중국 인터넷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홈페이지 구축 방안과 전략을 논의해 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