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하는 일
90%의 사람들을 위한 적정기술을 연구하여 인류를 보다 풍요롭게하는 메이커
활동을 합니다. 만들다보면 결국 나를 스스로 만들게 되죠. 이것이 自力更生의
삶이고 회사의 가치입니다. 2016~17년 연구 주제는 에너지, 환경입니다.
+tech
4
개발, 교육, 나눔, 연구
(주)씨에이씨 www.cardboardartcollege.com cac.kikim@gmail.com 사업자등록번호 : 119-86-00034
지난 2년간 창의적 전방위적인 교보재 재발 및 교육프로그램 기획
전국 300여개 학교(학생과 교사) 기업의 임직원
약 5000명이상 교육
5
100여 개의 공기청정기를 직접 만들어주고 지난해 1월에는
아예 CAC라는 회사를 차렸다. 골판지를 이용해 전기제품을
전문으로 만드는 회사다. “꼭 필요하지만 비싸서 못 사는 사람
들을 위해 저렴한 제품을 만들자는 취집니다.” 김 대표는 그렇
게 선풍기・제습기・정수기 등을 차례로 개발했다. 그리고 모든
제품의 제작법을 동영상으로 찍어 인터넷에 공유했다.
‘골판지 공기청정기 만드는 법’ 등을 무료로 강의한다. 지난해
에는 인천 지역 초・중학교 20곳 1100여 명에게 골판지 전기
제품 등을 소재로 한 기술체험 교육을 재능기부했다. 김 대표
의 다음 목표는 골판지로 만든 드론과 로봇을 개발하는 일이
다. 김 대표는 “골판지 공기청정기처럼 삶에 꼭 필요하면서도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앞으로도 많이 만들겠다”고 말
했다.
[출처: 중앙일보]
수정 2016.03.23
지난 2년간 창의적 전방위적인 교보재 재발 및 교육프로그램 기획
전국 300여개 학교(학생과 교사) 기업의 임직원
약 5000명이상 교육
32
무인자동차 ‘구글 카’ : 구글
‘10년전 구글 카는 구글플렉스의 연구소에서 개발하며 스탠포드대・
카네기멜론대 연구팀, 무인자동차 경주인 그랜드 챌린지 우승자
들을 영입해 사업을 시작
- 자동차 사용을 근본적으로 혁신함으로써 교통사고 예방, 시간의
자유로운 활용, 탄소배출 감축을 목표로 함
- 운전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카메라, GPS, 레이저 스캐너 등
다양한 센서를 통해 도로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 후 컴퓨터가
종합・분석해 방향조작, 가・감속, 정지 등 운전에 필요한 최종
의사결정 내림
카이스트 출신의 공학도 2명으로 창업된 만나(Manna)는 ‘아쿠아포닉스’ 공법을 활용한 환
경제어 수경재배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이다. 자체 보유하고 있는 ‘아쿠아포닉스 기술'을 기반
으로, 기존 환경 제어 농업의 높은 비용의 문제와 낮은 생산성을 혁신하여, 저비용 고품질의
친환경 유기농산물 시장을 개척하겠다는 것이 이들의 비전이다. 40, 50대 자영업자들에게
귀농을 통한 자영업 생태계 플랫폼을 조성하고자 하는 것이 이들의 궁극적 목표다.
이들은 농장 확산 모델로, 순수 직영보다는 기존 농민 및 귀농인들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영농조합의 생태계 모델을 준비하고 있다. 만나는 농지지원사업을 통해 기존의 농지 및 농
업용 시설 등을 인수하고, 귀농인들에게는 시설 현대화 자금과 같은 농업지원자금을 활용
할 수 있는 노하우와 관련 기술 컨설팅을 제공한다.
기존 농민 및 귀농인들은 2~4억 원을 투자(융자)해 농장을 운영하고, 생산 및 유통된 친환
경 유기농산물 판매 매출을 출자 비율에 맞추어 배당받는 형식이다. 만나는 기술력 및 농장
확장 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인정받아, 2013년 포스코기술투자로부터 투자를 유치했고,
2014년 카이트 창업가 재단을 운영기관으로 하는 중소기업청의 TIPS 사업에 선정된 바 있
으며, 2015년 3월에는 DSC 인베스트먼트로부터 1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2009년부터 진행했던 ‘식물 공장과 비빔밥’ 프로젝트는 현재 저희가 진행하는 만나
(Manna) 프로젝트의 환경제어농업 시스템 구축이라는 비전의 모태가 된 프로젝트라
할 수 있는데요, 수경 재배를 처음 실험했던 프로젝트이기도 합니다. 수경 재배의 장점
은 토양의 질병과 유해 미생물의 영향을 줄이는 데에 효과적이고, 고밀도 재배가 가능하
며, 성장 속도가 빠른 것이 특징입니다. 자연 선순환 과정을 모방하여 어류의 배설물과
발생하는 폐기물질을 특수 미생물을 이용하여 액상 비료화하여 농작물을 키우는 과정인
아쿠아포닉스 기술 개발의 시작이 되었죠.
새로운 미래가 온다 - 다네일핑크
HIGH TECH : 뛰어난 기술
HIGH CONCEPT : 예술적 감성
HIGH TOUCH : 공감
인공지능, 자동화, 고등교육(지식근로자), 안정적인 전문직이 사라짐
6가지 조건: 디자인, 조화, 스토리, 공감, 유희, 의미
51
새로운 사회의 거대한 변화
일반 지식에서 전문 지식으로의 이동은 지식으로 하여금 새로운 사회를 창조할 수 있도록 힘을 부
여해 주었다. 이 새로운 사회는 전문화된 지식에 기초하여 건설되어야 하며, 전문가로서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피터드러커
우리는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기를 바라는가?
52
새로운 직업을 갖게될 것이고 다른 역할을 하게될 것
IBM은 미국 의료영상 기업 ‘머지헬스케어’를 인수하기로 했다.
인수 금액은 10억달러(약 1조6000억원)
머지헬스케어는 의료 영상을 관리, 분석하는 기업이다. 미국 내 7500개 이상 의료기관에서 이 회사 플랫폼을 사용한다.
IBM은 머지헬스케어 기술을 자사 인공지능 슈퍼컴퓨팅 ‘왓슨’ 기반 클라우드 헬스케어 시스템에 접목할 것으로 알려졌다. 의료 영상을 클라
우드로 수집하고, 인공지능 컴퓨터로 유의미한 분석 결과를 도출해 의료진의 진단이나 치료를 돕겠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IBM은 헬스케어 분야 중에서도 의료 데이터 분석에 상당한 힘을 쏟고 있다. IBM은 앞서 의료분야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인 익스플로리스와
의료 데이터 분석 및 지원 서비스 업체인 피텔을 인수한 바 있다. 익스플로리스와 피텔은 5000만명이 넘는 환자에 대한 임상 정보를 보유
하고 있다.
IBM에 따르면 오는 2020년까지 의료 데이터는 매 73일마다 두 배씩 늘어난다. 전 생애주기에 걸쳐 환자 1인당 평균 1106.4테라바이트(TB)
의 의료데이터가 생성된다.
IBM은 방대한 의료 데이터를 분석하면 개인별 맞춤형 의료 서비스가 실현될 것으로 판단해 애플・존슨앤존슨・메드트로닉스 등 기업은 물론
MD앤더슨 암센터・메모리얼 슬론 캐터링 암센터・클리블랜드 클리닉 등 의료기관과 방대한 의료 생태계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데미스 허사비스(영어: Demis Hassabis, 1976년 7월 27일 ~ )는 영국의 인공지능 연구인, 컴퓨터 게임 설계자, 게
이머이다.[1][2][3][4][5]
그는 구글 딥마인드의 창업자이자 최고 경영자이다. 그는 13살의 나이에 체스마스터가 됐고, 17살에 게임 개발에 참
여하기 시작했다. 어린 나이부터 프로그래밍을 배운 그는, 블랙 & 화이트라는 게임의 인공지능을 개발하는 데 참여
했다. 엘릭서 스튜디오라는 비디오 게임 개발사를 만들어, '리퍼블릭: 혁명(Republic: The Revolution)'과 '이블 지
니어스(Evil Genius)'라는 게임도 제작했다. 2005년 게임 개발 업계에서 은퇴한 뒤, 인공지능 개발에 뛰어들었고,
2010년 '딥 마인드'라는 스타트업을 설립했다. '딥 마인드'는 2014년 구글에 인수되었고, 허사비스는 인공지능 부문
부사장이 된다. 딥마인드는 알파고라는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을 만들고, 판후이, 이세돌 등 세계적인 바둑 프로기
사들과 대결시키면서 유명해졌다.[6]
기술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
새로운 기술이 산업을 재편한다.
기계학습,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57
인재의 중요성
오늘날 기술과 혁신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므로, 좋은 인재를 확보하는
것이 경쟁 우위를 유지하는 핵심
“기술 혁명은 본질적으로 근본적인 직무 방식 변화의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일
자리 수가 아니라 직무 수행 방식의 전환이죠.” - 기 라이더(Guy Ryder) 국제노동기구 사무총장
58
인재(재산, 기술, 재해가 되는..)
4차 산업혁명이 도래
미래 산업 현장은 인간과 기계가 함께 일할 것
이며, 이를 통해 더 좋은 직업이 많이 생길 것
미래의 인력이 적절한 기술을 갖춰야 하기 때문에 교육이 변화해야 함
4차 산업혁명이 편리한 미래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을 통
한 사회적 변화로 5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을 예고하기도 했다. 제4
차 산업혁명으로 자동화와 소비자와 생산자 직거래 등으로 오는
2020년까지 510만 개의 직업이 없어질 것
59
현재 존재하는 기업이 사라지거나 새로운 기업이 등장
외고・서울대 경제학부 업한 나, 실은 '3년째 취업 비생'
1 서울대생 취업 고민 상담, 2009년 118건→2015년 688건
2 중국 기업에서 무급으로 일할 기회를 얻었다는 서울의 한 사립대 4학년 학생은 “월급을 못
받을 뿐 아니라 현지 생활비 등을 스스로 부담해야 하지만 돈을 버는 것보다 일단 경력을 쌓는
게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최근 중국으로 떠났다.
3 취업난이 심해지면서 대기업의 생산직 일자리도 대졸자들 사이에 주목받고 있다.
60
졸업하면 취업? 어떤 회사에 다니게 될까?
삼0전자? 현0? 네0버? L0? 현0자동차? 0스코?
이러한 회사는 10~20년 후에도 존재할까?
61
2016년 1월 수출 18.5% 감소...“6년 5개월만에 최대폭 하락"( 합)
- 조선일보
62
"한국판 다이슨 만든다"…산업부, 디자인 혁신전략 발표 - <연합뉴스.2016.8.29>
'2016 디자인 혁신포럼'서 발표…"2020년까지 400억 투자"
(세종=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한국판 다이슨'을 육성하기 위해 2020년까지 400억원이 투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서울 동대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2016 디자인 혁신포럼'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다섯 가지 '디자인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100대 성장 유망기업을 선정해 디자인 중심의 경영을 통해 '한국판 다이슨'으로 성장할 수 있게 돕는다.
다이슨은 부품을 고려하지 않고 이상적인 완제품 디자인을 먼저 만든 뒤 제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날개 없는 선풍기나 먼지봉투 없는 청소기 등이 대표적 제품이다.
정부는 선정 기업의 디자인 역량과 기업 환경을 진단해주고 디자인 경영 로드맵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연구개발(R&D), 판로 확보, 마케팅 등 모든 단계를 패키지로 지원한다.
'디자인 애로 해결사'로서 수출이나 신제품 개발을 앞둔 기업을 위한 '단기 R&D 바우처'도 신설해 내년부터 2020년까지 300억원을 지원한다.
기업이 필요할 때 즉시 디자인 개발에 들어갈 수 있게 바우처(정부가 특정 수혜자에게 직접 비용을 보조해 주기 위하여 지불을 보증해 내놓은 전표) 형태로 지원하는 방식이며 개발 기
간은 6개월 이내다.
디자인 진흥 전담기관인 '한국디자인진흥원'은 중소기업의 제품 개발 전 주기를 지원하는 '국가디자인경영센터'로 개편된다.
이와 함께 소비자가 우수 디자인 제품을 대형 유통 브랜드를 통해 더욱 쉽게 만날 수 있도록 한다.
백화점・대기업 플래그숍 내 디자인 혁신제품 전용 매장을 현재 3곳에서 2010년 16개로 확대하고 외국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유통망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면세점과 홈쇼핑 기업은 물
론 알리바바,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이커머스)와의 협력채널을 확대한다.
또 노후 공공물품과 시설을 보다 사용자 친화적이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으로 탈바꿈한다.
정부는 현재 진행 중인 군인 용품(수통・방한 장갑・마스크 등 5종) 디자인 개선 사업을 소방과 경찰 분야까지 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터미널, 전통시장, 산업단지와 같이 국민이 가깝게
접하는 공공시설도 다시 디자인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디자인 한류'를 확산시키고자 매년 개최되는 '디자인코리아'를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제 박람회로 키우고, 우리 디자인 기업이 외국으로 진출할 때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코리아 디자
인센터'를 현재 1개에서 2020년까지 10개로 확대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우리 디자이너가 세계 무대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능한 신진 디자이너를 매년 10명씩 발굴해 국제 전시회 참가, 국내외 언론 홍보, 해외 연수 등을 지원해주는 한
편, 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을 아우를 수 있는 글로벌 융합형 인재를 2020년까지 500명 육성한다.
74
제임스 다이슨은 누구인가?
단 몇가지 제품을 만드는데 1000명이상의 엔지니어 참여(고용창출)
65개국에 수출, 다이슨재단이 후원, 다이슨어워드, 런 디자인협회 회장
75
다이슨 같은 사람을 만들자?
세계 최초 지봉투 없는 청 기 개발… 기사 작위 받아
1979년 그는 마차 보관소로 쓰이던 집 뒤 낡
은 창고로 들어가 혼자서 진공청소기
프로토타입(떠오르는 아이디어를 보고 만
질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보는 것・시제품보
다 더 원초적이며 미완성 형태이다)을 만들
기 시작한다. 첫 프로토타입은 시리얼 상자
와 테이프로 만든 엉성한 형태였고, 이후 5
년간 5127개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생활비는 아내가 미술 교실에서 강사를 하고
잡지에 그림을 팔아서 댔다.
바퀴자국이 나지 않는 수레
"자기 본능을 믿어라. 전문가를 믿지 마라"는 그의 신념은 이런 경험이 쌓인 결과다. 다이슨 청소기의 먼지통은 투명하다. 당시 마케팅
전문가들은 "더러운 먼지통을 보는 일은 불쾌하며 제품 판매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력 반대했다. 하지만 다이슨은 "직접 눈으
로 성능을 보게 해야 한다"고 밀어붙였다. 그는 영국 제조업에 만연한 '할 수 없다(can't do)'는 문화를 바로잡기 위한 활동도 활발히 하
고 있다. 2002년 재단을 세워 은 산업 디자이너들에게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를 수여하고 있으며, 노동당 정책 자문을 거쳐 현 총리
인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보수당)의 자문을 맡고 있다. '영국을 유럽의 하이테크 수출국으로 만들자'는 제목의 60쪽 짜리 보고서를 만
들었다. 런던 디자인 박물관장(1999~2004), 런던 디자인 협회 회장을 지냈으며, 2007년 대영제국 기사 작위를 받았다.
다이슨을 성공으로 이끈 청소기
76
왜 메이커운동이 중요한가?
OECD 국가들 중 가장 낮은 노동 생산성을 기록한 한국, 왜 그랬을까?
일을 많이 하는데 돈을 못번다. ㅠㅠ
여러분의 자녀분은 공부잘해서 대학에 가서 취업잘해서
매일 야근, 특근을 하면서 45세 즈음에 명퇴당하는 삶을 살게 할 계획인가요?
요령을 피워서? 일을 못해서? 커뮤이케이션 문제로? 문화?
이유는 부가가치가 낮은 일을 하기 때문
고 부가가치 산업 빈국, 고학력에 비해 낮은 생산성
78
메이커 문화의 동력
오픈소스와 생산장비의 발달
생산의 문턱이 낮아짐
유연한 협력/지식의 공유-인터넷
…
새로운 일자리 창출 필요
…
인간은 만드는 동물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빼앗기고 잃어버린 인간 능력과
창조적 삶을 회복하기 위해
‘쓸모있는 실업을 할 권리’를!
118
영국 식민당국을 불구화시키기 위한 투쟁적인 방법.
그러한 투쟁의 한 수단으로서 영국에서 수입되는 직물을 거부하고 인도의
민중이 그동안 잊혀졌던 전통적인 가내 수공업을 부활시켜 스스로의
생활 필수품을 자급 자족하여 독립을 하고자 함
119
미래의 문제는 미래의 역량으로
문제는 미래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
게다가 미래의 문제는 현재 문제로 인식하
지 않는 경향이 있다.
단지 막연한 두려움 뿐
신이 있다면, 아마 미래를 내다본다는 것에
대해서 비웃을 지도 ㅠㅠ
하지만, 비웃음과 D무시 무관심을 극복한 사람들이 문명을 개척
120
인간의 수명보다 지식의 수명이 짧아지는 시대
대학에서 배운 지식이
길면 2~3년, 3~4년이면 끝
121
독일 DFKI(독일인공지능연구소)를 통해 2011년 'Industry 4.0'이라는 키워드를 제시
Industry 4.0 짠!
-사이버 물리시스템(물리적 현실 세계에 속한 사람과 센서 및 엑추에이터를 인터넷 서비스, 인공지능
시스템, 각종 정보망이 존재하는 사이버 가상세계(인터넷 또는 모바일 웹)와 연결해주는 매개체) 기반
의 유연하고 가벼운 생산체계를 의미
-사물인터넷(IoT), 3D프린팅, 빅데이터 기술 등을 생산현장에 접목하여 생산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방식 (무겁고 경직된 인터스트리 3.0에서 가볍고 유연한 인더스트리 4.0으로의 전환)
135
배경은 초연결사회로의 진입
초연결사회는 초연결 혁명을 통해 스마트 그리드, u-Health,
u-City 등 산업은 물론 일상생활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기존 산업 및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
초연결사회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핵심 기술별 하부기술 개발이 진행 중
이나, 사물인터넷 자체 실현 기술에 대한 연구는 시작 단계
o 이질적인 사물 간 자유로운 통신・협업 기반의 상호연동을 통한
안전하며 끊어짐 없는 서비스 제공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SW의 규모와 복잡성 증가로 결함 가능성 증대
o 이종 복합 시스템 간의 고신뢰성과 실시간성을 보장하는
무결점(Zero-Defect) 자율 제어 시스템인 ‘사이버물리시스템’ 주목
초연결사회는 초연결 혁명을 통해 기존 산업 및 사회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올 것
‘기기간 네트워킹’의 기술적 연결과 더 나은 삶에 대한 인간의
욕구는 ‘사람-사물-정보간 실시간적 상호작용’, 즉 사회적 연결이
극대화되는 초연결사회로 변화하게 함
초연결사회를 맞아 사물인터넷 자체를 실현하는 기술 선점 필요
지멘스, 폴스크바겐 등 제조업 혁신에 나서 지능형 공장 구현
- 지멘스는 250개 협력업체와 스마트팩토리 구축, 폴스크바겐은
지능형 공장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에너지 효율 극대화
독일 정부 인더스트리 4.0은 제조업이 직면한 사회(S)・기술(T)・경제(E)・생태(E)・
정치(P) 부문의 변화에 ICT를 접목해 총력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
자료 : 김영훈・이정아(2014), 인더스크리 4.0과 제조업 창조경제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ICT와 제조업의 융합이
제조업의 효율을 높이는 수단으로 작용
- 제조업과 ICT 융합이 생산 방식의 혁명을 일으키며 제조업 위기의 돌파구로
주목 받으면서, 제조업 부활에 날개를 달아 주는 요소로 부상
- 4차 산업혁명기에는 ICT와 제조업의 융합으로 산업기기와 생산과정이 모두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상호 소통하면서 전사적 최적화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
- 기술의 진보로 공장이 스스로 생산, 공정통제 및 수리, 작업장 안전 등을 관리
하는 완벽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로 전환되어, 전체 생산 공정을
최적화・효율화하고, 산업 공정의 유연성과 성능을 새로운 차원으로 업그레이드
140
스마트 팩토리를 목표로 신산업혁명을
유도하는 Industry 4.0은 필연적 흐름
- ICT 기반 스마트화는 스마트 폰, 스마트 미터, 스마트 시티, 스마트 그리드 등
모든 것에 적용되고 있으며, 공장을 스마트화 하는 인더스트리 4.0도 필연적 흐름
- 인더스트리 4.0은 공장자동화 기술, 제조 기술, 정보통신 기술, 그리고 차세대
인터넷의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산업의 신시대를 선도할 것으로 기대
142
인더스트리 4.0의 기대 효과
소비자 맞춤형 대량 생산(Mass Customization) 확대
143
소프트웨어 조기교육 체계 마련
○ 인더스트리 4.0를 구현하는 핵심 언어이자 부가가치의 원천으로써 어렸을 때 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친숙한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의 중장기적 경쟁력을 위해 코딩 조기교육이 필요함을 역설했고,
빌게이츠 등도 어렸을 때부터 독서하는 습관처럼 코딩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주장
- 영국은 초중고 필수과목에 컴퓨터과학(CS)을 포함, 기존 컴퓨터 활용교육을 뛰어넘어
학생들이 컴퓨터 언어를 사용해 SW를 만드는 ‘코딩 교육’으로 전면 개편(한국경제, 2014)
○ ICT 분야에 국한된 교육에서 탈피해 첨단 제조 기술 융합형 인재 육성 시스템 구축
- 자동화․지능화․로봇화 등 선진국 제조 기술의 발전과 제조혁명에 대한 대응력 강화가 시급
- 디자인, 3D 프린터, 디지털 제작, 센서와 자동화, 로봇과 같은 첨단기술을 보유한
인력의 공급이 중요해졌기 때문에 이를 육성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STEPI, 2014)
148
창업은 성공확률을 높이는 게임
• 리스크를 줄여나가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
•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단계별 문제를 가장 효율적으로 해결해야 생존
스티브잡스 같은 1%를 위한 창업이 아
니라 90%를 위한 창업을 생각해보자.
스타트업 2.0은 평범한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거의 마지막 기회
Start Up 2.0
미래사회는 지식 그 자체보다는 지식이 가진
창조성(Creativity)이 더욱 중요해지는 시대
‘개인의 창조성, 기술, 재능 등을 기반으로 지식재산을
생성・활용하며, 이를 통해 경제적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해내는
경제시스템ʼ(UK DCMS & Creative Industries Task Force, 1998)
구분 1.0 2.0
개발프로세스 개발 후 마케팅
고객개발
제품개발
고객검증
자본 대량자본 상대적으로 소자본
마케팅
브랜드 프로모션
비용 마케팅
바이럴
벤치마킹
철학 경험과 직관 중시 고객경험에 연관된 모든 것 중시
방법론 솔루션 중심 방법론 문제해결 중심 방법론
성장
빠른 성장
시작의 빠른 선점
튼튼한 성장
(단계별 성장으로 투자리스크를 줄임)
단계별 요건을 충족
성장속도 조절하기
소프트웨어가 모든 산업을 먹어치우고있다.
• 전통산업에 소프트웨어가 도입되면서 창조적/파괴적 혁신이 일어나고 있음
youtube, Netflix, Moocs, Uber, Airbnb
기존 산업에 소프트웨어가 적용되면 새로운 기회가 발생
기존 산업에 소프트웨어가 적용되면?
40배 가치 상승
유통구조, 고객맞춤, 시공간초월, 지식의 활용
= 구조의 구축비용을 0원으로 만듬
기술만 있으면 약 13만원($100)으로 창업이 가능하다.
실력만 갖추면 시장진입이 가능
작은 혁신이 가능
큰 손실이 없으니 작게 시작하고 다양한 도전이 가능
그런데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에 진입도 가능 ^^
Lean engineering
• 스타트업은 문제해결, 솔루션 발견, 비즈니스 모델의 단계로
이루어짐
• 신속하게 비스니스 절차를 밟아나갈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
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음
우리도 할 수 있다.
• 실패 비용도 낮다.
• 세상에 좀 더 가치있는 문제, 즉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것을 해보자.
Think Bing, Start Small(Solve real big & audacious problem), Move Fast
진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해보자.
•내가 창업을 해야 하는 이유는?
•어떤 문제를 풀 것인가?
•어떤 게임을 할 것인가?
•어떻게 때를 기다릴 것인가?
•어떤 역할로 이 게임에 참여할 것인가?
나에게 적합한 질문과 선택을 통해 방향을 설정하기
문제를 발굴하고
스스로의 힘으로 해결가능
문제에 집중할 수 있으며
그 문제가 가진 드높은 가치를 파악
마음껏 문제해결을 위한 도전
이것도 일종의 게임
그래서 행복할 수 있다면
도전해보자!
Start Up 2.0
그렇다면 이것만 고민해자
• 문제는 무엇이고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한 문장으로 말하자.
• 문제해결 위한 팀을 구성하자.
• 문제, 해결, 비스니스 솔루션을 정리하자.
• 시장, 타겟 고객이 누구인지 파악하자.
• 타이밍을 잡는다.
• 차별화 요소를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