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 Cat
배달통 VS 배달의 민족 VS 요기요
디지털 콘텐츠 학과
112297 손지혜
01
서론
02
비교 및 분석
(서비스/UI)
03
오피니언
국내 배달시장 10조원
어플리케이션 시장규모 = 전체 배달시장의 10%인 연간 1조원대
국내 BIG 3 배달 어플리케이션 배달통 & 배달의 민족 & 요기요 의 시장점유율 90%
What is the original?
01 서론
is the original is copy
cat
01 서론
음식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2010년에 가장 먼저 시작한 원조업체
19만개가 넘는 배달업체 정보
→최다 배달업체 보유
BUT!
카피켓인 배달의 민족
시장 점유율 60% 차지 및
누적 다운로드 수 1000 만건을 달성하며
배달업체 어플리케이션 현재 1 위
요기요 2 위
02 비교 및 분석 서비스
배달통 배달의 민족 요기요
공통
된 서
비스
-다양한 음식업체와 업체의 상세한 메뉴판 정보를 제공
-모바일 결제로 전화주문 없이 주문과 결제가 동시에 진행되는 서비스 제공
(명칭 - 배달통 : 우리동네 모바일결제 / 배달의민족 : 바로결제 / 요기요 : 빠른주문 (요기서결제 ))
-장바구니로 다양한 메뉴에서 결제 전 미리 메뉴를 담아놓고 한번에 결제서비스 제공
음식점 실제 이용자가 리뷰와 별점을 남겨 음식점의 평가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명칭 - 배달통 : 배달톡 / 배달의민족 : 우리동네 리뷰 / 요기요 : 클린리뷰 )
차별
된 서
비스
①B-score
6가지 세부 항목으로 업체들을 평가하는
점수 , 이 점수로 동네별로 맛집추천
② 기프티통
배달통의 포인트혜택으로 배달통의 서비
스 (회원가입 , 전화주문 , 배달톡 작성 등 )
를 이용하면 포인트를 획득하고
① 우리동네 맛집랭킹
2가지 항목으로 업체들을 평가하고 평가도
를 통해 동네별로 맛집 추천
② 포인트 : 바로결제시에만 포인트 적립 ,
이용자의 레벨에 따라 포인트 차등 적립
③ 통신사할인
SKT멤버쉽으로 결제금액 할인 가능
①TOP10
업체 내 주 인기메뉴 열가지
를선정하여 메뉴판정보에서
우선 랭크
② 빠른주문
요기요는 클릭한번으로 주
문과 결제가 동시에 진행되
02 비교 및 분석 서비스
●원조 업체인 배달통에 비해 배달의 민족이 업계 1 위인 까닭은 서비스의 차이
① 배달의 민족은 배달통의 평가제도 , 포인트 적립제도를 동일하게 제공하지만
이용자에게 레벨을 부여해 레벨별로 포인트 차등적립→ 이용자의 충성도 높임 → 배달의 민족 이용률 증가
② 통신사 할인혜택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통신사의 고객들이 자연스럽게 배달의 민족사용
→ 가격 경쟁률 높임 → 배달의 민족 이용률 증가
③ 손쉽게 간편하게 배달을 시키는 이용자의 심리 이용 , 생활심부름을 대행하는 헬프서비스 제공
→ 이용자와의 친밀도 상승 → 배달의 민족 이용률 증가
●요기요가 2위인 까닭 서비스본질의 차이
배달통의 주문배달 어플리케이션이라는 형식을 카피켓 했지만 전화주문서비스는 제공하지않음
→ 클릭한번으로 주문과 결제가 동시에 진행되는 서비스만 강점으로 고집하여 제공
→ 동시결제를 원하는 이용자와 간편함을 원하는 이용자에게 선호도와 인지도 상승→ 이용률 증가
02 비교 및 분석 UI
배달통 배달의민족 요기요 첫화면
● UI 비교 및 분석
배달통
B-score를통한 추천맛집
포인트적립률 우선 제공
음식종류는 상단에 배치
배달의민족
음식종류 우선 제공
단골매장,장바구닝 등 하단에 배치
요기요
다섯번의 클릭으로 주문과결제가 동시
에 된다는 슬로건에 맞게 음식이미지
크게 배치
02 비교 및 분석 UI
● 각자의 서비스 강점을 내세우는 UI(user interface) 제공
① 배달통은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와 달리 모든 주문에 포인트 적립혜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인트 적립률을 우선적으로 배치하여 혜택서비스를 강조
② 배달의 민족은 포인트적립이 바로결제시에만 되기때문에 배달통과 달리 따로 분류
직관적이고 아기자기한 디자인으로 이용자와의 친밀도 높임
메뉴 아래에는 생활심부름 대행서비스 탭 배치 ,
장바구니,단골매장 등의 메뉴가 하단에 바로 배치하여 이용자의 편리성 강조
③ 요기요는 클릭이 쉽도록 이미지를 크게하고 화면을 꽉 채움으로써
클릭으로 주문과결제가 동시에 진행된다는 자사의 서비스 강조
03 오피니언
"좋은 예술가는 그대로 복사(copy)하지만 위대한 예술가는 도용(steal)한다”
-피카소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는 배달통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주문배달을 하는 형식을 카피켓을 하였다 .
하지만
그 형식의 장점을 자사의 것으로 소화해 자신들의 추구하는 가치를 더하고 남다른 강점으로 만들어 냈다 .
그 강점은 서비스로 표현이 되었고 마케팅의 목적으로도 삼아 자신들의 제품을 홍보한다 .
카피켓인 배달통과 요기요에 비해 원조인 배달통의 수익 뒤쳐짐은 크게 문제되지않는다
원조는 카피켓에게 영감을 주었고 아이디어를 주었다 . 카피켓 제품들 또한 아이디어를 얻으면서
시장을 확대시켰고 원조업체를 홍보하는 효과를 주었다 . 이처럼 원조와 카피켓은 상생하기도 한다.
카피켓, 그대로 베끼는 것이 아니라 모방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것이라면 위대한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