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fully reported this slideshow.
Your SlideShare is downloading. ×

스타트업 CEO를 위한 개발자 이해하기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Loading in …3
×

Check these out next

1 of 25 Ad

스타트업 CEO를 위한 개발자 이해하기

Download to read offline

스타트업 (혹은 신규 사업)은 개발자와 긴밀한 협업 관계 없이 성공할 수 없습니다.

개발자들은 어떤 마음으로 스타트업에 뛰어들까요? 또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그들을 이해하면 함께 좋은 제품을 만들어 내기가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스타트업 (혹은 신규 사업)은 개발자와 긴밀한 협업 관계 없이 성공할 수 없습니다.

개발자들은 어떤 마음으로 스타트업에 뛰어들까요? 또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요? 그들을 이해하면 함께 좋은 제품을 만들어 내기가 훨씬 수월해질 것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More Related Content

Slideshows for you (20)

Viewers also liked (20)

Advertisement

Similar to 스타트업 CEO를 위한 개발자 이해하기 (20)

Recently uploaded (20)

Advertisement

스타트업 CEO를 위한 개발자 이해하기

  1. 1. 스타트업 CEO들을 위한 개발자 이해하기 - 개발자 마음 편 - SLOWBEE 허 윤
  2. 2. 개이오(개발자+CEO) 허윤 • S/W 개발 6년 • 데이터마이닝 2년 • 창업 및 스타트업 분야 경력 총 4년 • 비즈니스모델 전문자격 취득 및 코칭 과 정 준비 Enginepreneur
  3. 3. 이렇다고 하는 미국, 개발자의 위상은? IT종사자 평균 $80,180 전체 평균 임금 $45,790 변호사 $130,000 SW 엔지니어 $100,180 출처: http://www.bls.gov/oes/current/oes_nat.htm
  4. 4. • 아이디어는 가볍고, 시스템은 무겁다 한 가지를 추가/변경 하면 다른 시스템이나 구조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충분히 고려할 시간적 여유를 가져야 함. 시 시스템이 바뀌는 경영 의사 결정은 꼭 개발자와 같이 … • 보이는 것보다 안보이는 일이 많다 현실적으로 개발자는 급한 일정에 맞춰 서비스가 돌아가게 우선 만든다. 그런데 기술부채는 쌓여가고 있다. 구조화, 모듈화, 확장성 등 SW 공학적으로 신경쓸게 많다 • 무리한 일정이 디폴트라 생각 유독 한국의 기획(경영)자는 개발 작업시간을 정규 업무시간 기준이 아닌, 야근을 디폴트로 계산하는 경향… 개발자들이 기획 회의에서 부정적인 이유
  5. 5. 스티브 잡스 & 스티브워즈 니악 https://www.youtube.com/watch?v=HAyoB3w7QQs
  6. 6. 기획자(CEO), 개발자(CTO) 니들 정체가 뭐냐
  7. 7. 꿈을 그리는 사람 기획자 인문학 / 사회학 / 경제경영 요구사항 추가 및 변경이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짐 고객 지향 (혹은 사장님 지향) 말만 앞서는…? 어린 시절 대장놀이 좋아했을 것 같… 변덕 쟁이
  8. 8. 개발자 공학/기술 전공자 요구사항 추가 및 변경이 모두 코딩 작업으로 이루어짐 꿈을 현실화하는 사람 기술 지향 어린 시절 레고/과학상자를… 핑계와 변명 덕후…?
  9. 9. 무엇이 문제인가? 1/4 - 개발자 : 더 오래 걸리는 일이에요. (또 야근하라고? ) - 기획자: 그것 하나 바꾸는데 그렇게 오래 걸려요? (야근하면 되자나....나도 하는데...) “변경 안 하면 다 같이 죽는 거야” ‘작은 변경이 종 종 일정 ! 일정!! 일정!!!
  10. 10. 비즈니스 개발 vs 소프트웨어 개발 Time to market 기술 부채 vs 재무적/사업적 마일스톤 팀워크, 존중 감 흥미롭고 도전적 과제 성취 사업 성장 무엇이 문제인가? 2/4 기술적 완성도고객 만족
  11. 11. 자기 의사결정권의 신비 ● 숙제 하려고 막 책상에 앉았는데 숙제해! 라고 하 면.... 너무 하기 싫어진다 ● 팽생 청소 안 하던 아들이 엄마 기쁘게 하겠다며 스스로 청소를 시작한다. ● 오늘은 원래 내가 멋지게 쏘려고 했는데, 얄미운 친구 하나가 오늘은 니가 쏴야지! 한다. 결국 우울한 마음으로 쏜다. “결국 지 맘대로군” 나도 뭐좀 해보려고 여기 들어왔단 말이야… “그 걸, 나 없이 결정했어?” 무엇이 문제인가? 3/4
  12. 12. 인간의 궁극의 동기 사업가는 사업개발로 자신을 증명하지만… 개발자는 기술로 (코드로) 자신을 증명해야 한다… 이 차이에서 모든 갈등이 시작되는 것 아닐까? 무엇이 문제인가? 4/4
  13. 13. 설계, 구현아이디어, 기 획 기획자(CEO) vs 개발자(CTO) 진취적/활동적 분석적/꼼꼼함<- 막 던짐까칠함 -> <- 머리로만 일해, 갑질 쩔어 실제 하는 일 실제 하는 일상대에 대한 인식 손발? 늘 시키는 대로만 해 -> “언제까지 돼요?” 또 무슨 핑계 -> “힘들겠는데요.”<- 비즈니스 스케쥴만 중 요하냐 요구사항 변 경 코드 수정, 보완이거 바꾸는게 뭐가 어려워 -> <- 안 된다고 해 고객과 대화 기계와 대화고객보다 코드가 바꾸기 쉬워 -> <- 왜 다 해줘!?
  14. 14. 개발자도 경영 을 경영자도 개발 So What? 적어도 스타트업에서 만큼은 …… 반드시 이해해야 한다.
  15. 15. 이해의 시작 개발자도 꿈이 있다! 사장님도 결국 고객 좋으라고 하는 일! 우린 운명 공동체야!!
  16. 16. 이해의 실천
  17. 17. 기획자의 실천 개발의 어려움, 특히 잦은 요구사항 변경의 어려움 이해 … 개발자의 언어를 이해하자 개발자의 자기만족 의 동기를 이해하 자
  18. 18. 개발자의 실천 고객이 내 밥줄… 아무리 정교한 시스템 / 화려한 코드도 고객에게 가치를 주지 못하면 공멸…… 고객의 요구에 맞춘 잦은 변경 사항의 필요 성 이해 예술과 기술의 경계를 잘 지키 자
  19. 19. 보너스 트랙
  20. 20. ● 불확실한 약속을 싫어함 (지분, 스톡옵션, 롤) 스타트업은 왜? 개발자를 구하기 힘들까 ● 확실한 보상을 중시 (월급, 복지, 개발환경) ● 개인적 모티베이션 중시 (아이디어 있으면 직접함)
  21. 21. ● 몇몇 의사 결정들을 같이 하기 좀 더 나은 접근법 ● 개발자에게 진심으로 조언을 구해보기 ● 그 외 개발자 꼬시기… (재택근무/휴가/장비) ● 또 하나 중요한 것은! (CTO 혹은 팀멤버가 누 구냐?)
  22. 22. 다음시간에는! 개발자 언어 편 “이제 아래와 같은 대화가 가능합니다” “응 그래요, 초기에는 아무래도 AWS EC2 두 개 정도 세팅하고, 급격한 유저 증가에 대비한 오토스케일링은 엘라스틱 로드 벨런싱 옵션을 설정해놓으면 되겠네요. 근데, 혹시 더 싸거나 손에 맞는 클라우드나 호스팅 서비스 있으면 추천해줘요”
  23. 23. 감사합니다

Editor's Notes

  • 이때 권한이라는 것은? 개발 도구를 자유롭게 사게 해 준다든지, 이 부분은 갈아엎고 싶다 하면 갈아엎게 시간을 준다든지 하는 것들.
  • 프로그래머의 '안 된다 = 시간 문제'라는 점을 이야기했다. 
    기획자 입장에서는 간단한 작업이라고 생각하고 이야기할 수 있지만, 
    프로그래머 입장에서는 시스템 구조 등 훨씬 큰 부분까지
    손대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 큰 기업/브랜드 가치가 있는 기업에서 인적 물적 인프라가 주는 안전망 안에서 기술적으로 intensiv한 개발을 하고 싶어 하는 성향

    생의 Timeline 상에서 CTO급, 혹은 새로운 시스템 구축할 정도의 경력은 5~10년 35살 이상, 결혼/육아 등으로 안정 지향

    모험형 개발자는 본인이 아이디어가 있고 충분히 서비스 만들어 낼 능력이 있음 본인이 투자 받고 본인이 대표로 경영자를 거꾸로 찾으면 된다고 생각

    지분 참여 스톡옵션 등은 참여율이 미비하거나 희석 등으로 기여/리스크에 비해 보상이 크지 않다고 생각
  • 큰 기업/브랜드 가치가 있는 기업에서 인적 물적 인프라가 주는 안전망 안에서 기술적으로 intensiv한 개발을 하고 싶어 하는 성향

    생의 Timeline 상에서 CTO급, 혹은 새로운 시스템 구축할 정도의 경력은 5~10년 35살 이상, 결혼/육아 등으로 안정 지향

    모험형 개발자는 본인이 아이디어가 있고 충분히 서비스 만들어 낼 능력이 있음 본인이 투자 받고 본인이 대표로 경영자를 거꾸로 찾으면 된다고 생각

    지분 참여 스톡옵션 등은 참여율이 미비하거나 희석 등으로 기여/리스크에 비해 보상이 크지 않다고 생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