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44
Virtual Knowledge Studio (VKS)

대구경북 (근대) 언론사와 신문발달사
박한우 교수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영남대사이버감성연구소장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장
대구경북소셜미디어포럼고문
WCU웹보메트릭스사업단장(전)
영국옥스퍼드인터넷연구소(전)
네델란드왕립아카데미(전)
TEDxPalgong (전)
hanpark@ynu.ac.kr
www.hanpark.net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언론사. 나남. 196 page.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언론사. 나남. 196 page.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언론사. 나남. 196 page.
대구, 국채보상운동, 언론
• 대구에서의국채보상운동이『대한매일신
보』,『 황성신문』,『 제국신문』,『 만세
보』등언론을 통하여 보도가 되자 전국민
이 이에 호응하였다.
• 장지연은『황성신문』에「단연보국채(斷
烟報國債)」라는 논설을 싣고 국채보상운
동에의 참여를 호소하였다
대구, 국채보상운동, 언론
일제하 대구경북 지방신문의 개괄
• 1924.10 大邱商報 창간, 1926.10 南鮮經濟日
報로 개제, 1939.3 旬刊 大邱實業新聞과 합
병, 南鮮實業新報로 개제
- 1924년 10월에 대구에서 한익동에 의해 창간
된 『대구상보』(1926년에 남선경제일보로
개제)는 경제신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는
조선인의 이익을 위한 신문으로 보고 불온시
하는 듯한 평가를 내렸다.
• 1928.10 大邱日報 창간: 사장은 濱崎喜三朗
박용규 (2006), „일제하 지방신문의 현실과 역할‟,『한국언론학보』50(6).
표 1. 일제하 지방신문의 변천.에서 재인용
일제시대 대구경북 언론사
대구는 폭격을 받지 않았으므로 언론자료가
잔존할 가능성이 많음.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일제시대 신문총람에 기록된 남선일보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서문시장의 거래광경과
남선경제일보사장 학익동씨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 연구

. 화다출판사.
일제시대 신문총람에 기록된 대구일보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일제 신문총람에 기록된 대구일보 2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일제 신문총람에 기록된 대구일보 1면 사진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大邱府史』에 기록된 대구부 안
에 본사가 있었던 신문사
1. 조선민보(朝鮮民報):1905 마키노 슈(牧野周)가 「大邱実業新報」를 격일로 간행
1906 「大邱日日新聞」로 개칭.
1908.10.1「大邱新聞」으로 개칭. 사장은 가와이 아사오(河井朝雄)
1913.3 「朝鮮民報」로
2. 남선실업신보(南鮮実業新報) 1924.10.27「大邱商報」로 출발
1926.10.14 「南鮮経済日報」로 개칭(일간신문)
*남선실업신보
①大邱商報→南鮮経済日報로 개칭→大邱実業新聞과 합병→南鮮実業新報로 개칭
②大邱日報→大邱実業新聞과 합병→南鮮実業新報로 개칭
3. 대구일보(大邱日報) 1928.10.1 창간→「朝鮮民報」와 경쟁
1939.2 「大邱実業新聞」과 합병(南鮮経済日報와 통합)
1939.3.1「南鮮実業新報」로 개칭
4. 독고(毒皷) 및 경북공론(慶北公論)
5. 잡지사: 「관문(関門)과 경산(慶山)」

박승주 (2013), Personal communication
지사, 지국 또는 통신원을
설치하고 있던 신문사
1.경기일보 2. 조선신문 3. 부산일보 4. 조선일일신문
5. 조선시보(朝鮮時報)
6. 조선매일신문 7. 남선일보 8. 조선상공신문 9. 매일
신보(毎日申報) 10. 동아일보
11. 조선일보 12. 중앙일보 13. 관문(関門)일일신문
14. 후쿠오카 일일신문
15. 경성신문 16. 봉천(奉天)매일신문 17. 대신경(大
新京) 18. 공업신문 19. 신일본
20. 대일본(大日本) 21. 조선미비(朝鮮米肥)일보
22. 일간대륙(日刊大陸)
23. 관문호치(関門報知)신문 24. 오사카 매일신문 25.
요미우리신문
박승주 (2013), Personal communication
일제하 대구의 언론사
• 대구에 본사를 둔 일본어 신문: 대구일
보, 조선민보
• 일본에서 발행되는 조일신문(아사히신문),
매일신문(마이니치신문), 서울에서 발행되는
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 우리말신문이기는
하나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지
국, 한국어/일본어 병용의 남선 경제일보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연구

. 화다출판사.
일제하 대구의 언론 성격
• “대구지방의 언론을 개괄함에 있어서 편의상 일본
어의 그것을 먼저 살펴보면 이들은 총독정치에의
협조와 거류일본인의 권익을 옹호하는 것을 목표
로 했고 아울러 일반시사의 보도를 겸했던 것을 알
수 가 있다. 언론이 가져야할 바 비판정신을 발휘했
다면 저들의 신문도 식민지통합의 야만성과 횡포
성을 눈감아 넘길 수는 없었을 것이나 이 신문들은
그것을 오히려 당연한 것처럼 정당화하고 있었
다”(63쪽)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연구

. 화다출판사.
일본어 신문인 조선민보 사옥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연구

. 화다출판사.
1939년말 신문 발행지역의 일본인 인구
(『朝鮮年鑑』1942년판, 72쪽).
지역

인천

대전

부산

마산

인구수 14,593 9,472 51,802 5,689

지역

군산

평양

대구

8,861

목포

전주

20,735 7,878 8,517 5,933

진남포 신의주 함흥

인구수 9,540 25,652 6,523

광주

원산

청진

해주

9,615 10,205 15,733 6,080

박용규 (2006), „일제하 지방신문의 현실과 역할‟,『한국언론학보』50(6).
표 1. 일제하 지방신문의 변천.에서 재인용
일제하 대구경북 지방신문의 현실
첫 째, 조선인의 민족성에 대한 모욕적 기사
로는, 『대구일보』는 조선인들이 술과 담
배에만 관심이 있다고 보도했고,
둘 째, 특정 사건과 관련된 조선인 또는 조선
인 단체에 대한 허위․왜곡 보도로는, 『대
구일보』 1929.11 광주학생운동에 대한 허
위․선동보도
셋 째, 조선인 관료나 지방의회 의원을 무시
하고 폄하하는 보도
박용규 (2006), „일제하 지방신문의 현실과 역할‟,『한국언론학보』50(6).
표 1. 일제하 지방신문의 변천.에서 재인용
„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 지방언론
• 일본 외무성은 강제병합 이전에 일본인 발행 지방신문들에 대해 보조
금을 지원해 주었는데, 이는 일본정부가 조선에서의 신문경영을 일본
세력 확장이 수단으로 생각하는 한편 일본의 외교정책에 어긋나는 논
조를 견지하지 않도록 통제 하에 두기로 했기 때문이다(미즈노 나오
키, 2007, 255~256쪽).
• 반면 조선총독부는 병합 이후에 지방신문들에 대해 별다른 지원을 해
주지 않았는데(박용규, 2006, 41쪽), 이는 조선총독부의 일본어 지방
신문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육성정책에서 신문지규칙에 의한 정간조
치 등을 위주로 한 관리정책으로 변모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 이렇게 조선총독부가 더 이상 지방신문들을 육성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주된 이유는, 일제하 지방신문의 대부분의 목표가 “총독정치
에의 협조와 거류일본인의 권익 옹호”(김진화, 1978, 63쪽)에 있었고
또 이 두 가지 목표는 대부분 조화를 이루었지만, 때로는 „거류일본인
의 권익‟을 지나치게 앞세워 조선총독부의 입장과 충돌을 일으키기도
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박용규, 2006, 48쪽).
윤상길 (2011).„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每日申報》. 韓國言論學報, 55
권 2호 (2011년 4월)·56-76.
일제시대 영국인이 발간한
Seoul Press에 지급된 지원금 영수증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신문 자료
조선신보는 1890년 1월 28일 제물상보사에
서 창간한 „인천경성격주상보‟에 뿌리가 닿
아 있다. 서울의 독립신문보다 6년 앞서 일
본인들이 경인 지역에서 발간한 신문으로
는 최초였다. 제호를 조선신문으로 바꾸고
발행지를 서울로 이전하여 1942년까지 발
행되었다. 일본인 발행 신문을 대표하는 신
문으로 가장 긴 수명을 지녔다.
정진석 (2011). 현대사 속의 언론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 신문 자료 일제
강점기의 일본인 발행 신문들. 신문과 방송. 1월호. 92-99.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신문 자료

정진석 (2011). 현대사 속의 언론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 신문 자료 일제
강점기의 일본인 발행 신문들. 신문과 방송. 1월호. 92-99.
일본 연구소에 보관중인 한국 언론사 자료
-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우리나라 지방신문는 1909년 10월 15일 진
주에서 창간된 慶南日報에서 비롯되었으
나, 1914년 말 경에 폐간. 10년 동안이나 한
국인 발행의 지방지가 없는 상태가 계속
• 일제 시대에는 1924년에야 대구에서 大邱
商報-南鮮經濟日報가 발간되면서 명목상으
로나마 유일한 한국인 발행 지방신문이 존
재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에서 처음으로 지방지 발행시도
• 1906년 6월에 대구에 있는 출판사인 廣文社에
서는 농상공부의 신문발간 허가
• 광문사 사장 金光濟와 徐相敦(서상돈)은 이듬
해인 1907년 2월에 국채보상운동을 발기
• 김광제의 신문발행 계획은 실현되지 못함
• 1908년 10월경에 대구관찰사 朴重陽(양)은 대
구의 유지들과 협의하여 자본금을 모집하고
정부로부터도 보조금을 받아 신문사를 설립할
계획을 추진하였으니, 견본신문만 생산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조선총독부는 서울에서 민간지 세 개를 허용
한 후 지방에서는 유일하게 대구에 한국인 발
행 일간지를 하나 허용
• 대구상보-남선경제일보-남선실업신문으로 이
어지는 신문
• 大邱商報는 1924년 12월 27일에 창간: 한일합
방 이전에는 진주에서 慶南日報가 발간된 적
이 있지만 한일합방 후 오래지 않아 폐간되었
기 때문에 대구상보는 지방에서 한국인 명의
로 발행된 유일한 신문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상보 발행인 겸 사장은 韓翼東: 동아일
보의 대구 지국장. 매일신보의 경주 지국장.
• 대구상보는 한국어로만 제작된 것은아니고
일어와 한국어를 병용하여 일어가 오히려
더 많은 지면을 차지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상보 1926년 10월 14일부터는 南鮮經濟日報
변경- 1931년 9월 발행부수는 3천부, 1935년 10월
에는 2천부. 편집국 9명, 공장원 7명.
• 1933년 1월 27일에는 조직을 지배인 체제로 바꾸
어 渡中兼男이라는 일인이 주간. 1937년 경에는 다
시 한국인 韓奉愚가 지배인. 1939년 3월에는 旬刊
으로 발행되던 實業新聞을 합병하여 南鮮實業新報
로 개제.
• 남선경제신문은 경제지였으나 지방에서 발행된 유
일한 한국어 일간지라는 점에서 특이한 존재
• 이 신문은 화재보험과 광산을경영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해방후 지방신문은 다섯 개의 시기로 구분
1,지방지 성장기(1945-1960)
2,카르텔 형성기(1961-1971)
3,과점경영기(1972-1980)
4,독점특혜기(1981-1987)
5,자유경쟁기(1987-현재)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에서는 일제시의 大邱日日新聞을 해방과
더불어 呂相源이 인수하여 大邱時報로 개제
발간
• 50년대의 경상북도에는 가톨릭이 경영하는
대구매일신문과,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인 실업
가가 여상원이운영하는 대구일보가 선두에서
경쟁을 벌였고, 친여 성향의 영남일보와 정치
적으로는 방향이 명백하지 않았던 시사일보가
있었다. 주간신문으로는 포항에 동해시보, 대
구에 교육시보가 있었고 대학신문으로서 주간
구대시보가 있다.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1955년의 대구매일 테러사건은과 1959년
의 경향신문 폐간사건은 자유당 정권의 몰
락을 재촉한 최대의 언론탄압사건이었다.
독재에 대한 언론의 저항은 4.19 학생혁명
을 유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

•

•

•

1955년 9월 14일 오후 4시 25분경, 대구시 태평로에 있는 대구매일신문사에 곤봉과 큰 해머 등을 든 괴한
20여명이 난입하여 욕설과 고함을 지르며 공무국의 문선 케이스를 비롯하여 인쇄기재와 통신시설, 그리고
공장 내부를 닥치는대로 두드려 부수는 사건에서 발단되었다. 괴한들은 만류하던 직원들을 곤봉과 주먹으
로 구타하는 한편, 지방에 발송하려고 준비 중이던 그 날짜 신문도 탈취하였다. 일부는 2층 사무실과 사장
실 등을 쏘다니며 전화기를 부수고 기물을 뒤엎는 난동을 부렸다. 약 10분간에 벌어진 일이었으나 사전에
세밀한 계획을 세웠던듯 조직적으로 파괴하고 난동을 부렸으므로 피해 상황은 컸다. 이것이 대구매일에 대
한 백주 테러 사건이었다.
이 테러는 전국의 언론계를 격분케하여 일대 파문을 일으켰음은 물론이고, 국회에서 진상조사단까지 구성
하여 정치적으로도 여야간에 일대 정쟁으로 발전하였던 사건이다. 테러 사건의 직접적인 발단이 되었던 논
설을 집필한 주필 崔錫采는 구속되어 30일 동안 철창에서 지낸 뒤재판 끝에 대법원에서 무죄의 확정판결
을 받을 때 까지 8개월 동안 법정투쟁을 벌여야했다.
테러의 이유는 여러가지로 복합적이었지만 9월 13일자에 실린 “학도를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는 논설이
도화선이 되었었다. 구속되었던 최석채는 테러사건이 있은 지 꼭 한달 만인 10월 14일 불구속 기소로 석방
되었으나 국가보안법 제 4조 위반혐의로 기소되었다. 혐의는 문제된 논설의 내용을 9월 17일 저녁 8시 30
분 경 북한의 평양방송이 인용하여 선전에 사용하였고, 적성감시위원단의 사기를 높여주어 국책을 변란케
하였다는 것이었다.
1심 첫 공판은 11월 8일에 열렸다. 주심판사는 이용규, 검사 한옥신, 변호인은 국회의원이었던 조재천 외에
3명이었다. 재판부는 제1심에서 최석채의 무죄를 선고하였다. 검찰은 고법에서도 패하자 대법원에까지 사
건을 상고했으나, 이듬해인 1956년 5월 8일 대법원장 김병로를 비롯한 대법관 전원 합의 아래 피고의 무죄
를 확정하여 사건은 완전히 끝났다. 해방 후 필화사건이 대법원까지 가서 판결 받은 첫 케이스였다.
대구매일은 테러사건이 있기 전인 1955년 초에는 겨우 4천 2백부 정도를 발행하는 초라한 신문이었으
나, 테러사건 후 갑자기 유명해져서 1955년 말쯤에는 1만부를 넘어서는 신장을 기록하였다.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인물한국언론사>에서 부녀일보
• 대구에서는 1946년 10월 23일 부녀일보
(婦女日報,The Lady times)가 제 7호로
속간되었다
• 부녀일보는 경관이 영남일보 기자 방수복을
구타한 사건에 대해 1947년 3월 28일과 29
일에 걸쳐 기사를 내보냈다가 편집국장 최
석채가 기사를 쓴 책임으로 제 5관구
경찰청에 구속되었다가 석방 되었다.
정진석(1995), 나남출판사, 『인물한국 언론사』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70년대 초반 시기의 지방신문은 두가지 큰
상황변화를 겪게된다.
• 첫째는 高速道路의 개통으로 중앙지와의
時差가 좁아져서 지방지와 중앙지의 경쟁
이 시작된 것이었다.
• 두번째의 상황변화는 지방신문의 統廢合이
었다. 정부가 이른바 „1道 1社‟ 방침을 추진
하기 시작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박정희 정권 언론윤리위원회법
철폐와 매일신문
• 끝까지 남은 신문사는 <조선> <동아> <경
향> <대구매일신문>. 이에 박 정권은 '언론
기관에 대한 정부 특혜 조치에 관한 건'이란
걸 통해 4개 신문사에 대한 모든 특혜를 금
지시킵니다. 국가기관은 물론 공무원 가정
들로 하여금 이들 신문 구독을 중지시켰다
고 합니다.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1980년에는 제5공화국 출범을 앞두고 언론
기관의 통폐합과 „언론자율정화 및 언론인
의 자질향상에 관한 결의문‟을 채택하여 언
론인 대량해직: 영남일보 18, 대구매일 6
• 지방지의 통폐합은 1도 1사 원칙에 따라
1972년도에 통합되지 않고 1도에 2개지가
발간되던 경북의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매일신문이 영남일보를 흡수 통합하여 대
구매일신문으로 개제 발행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지방신문의 역사
• 통문: 조선시대 지방신문의 역할 담당, “서울을 비롯하여 지방 어느
곳에서나 양반, 유생,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조정의 정치문제나 그
고을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 여론을 형성하고 환기시키는 중요한 커
뮤니케이션 수단”(96쪽) “여러 다중의 의견과 여론을 필사 복제하여
대량으로 전달하였다는 점에서 신문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전국 어
느 곳에서나 이러한 현상이 있었으므로” (96쪽)
• “8 15 해방과 함께 비로소 우리말 지방신문을 가질 수가 있었으나 정
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가 중앙중심 체제이고 국민들의 중앙
선망적인 인식은 지방민들도 중앙지를 선호하게 되었으며 상대적으
로 영세규모의 지방지들은 경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60년
대까지 낮은 국민소득과 문자해득률 및 지방산업의 낙후로 인한 지방
광고의 부족은 지방신문 발전에 장애요인이 되었다”(96쪽)
• “지방 각지에서 발행되는 적지 않은 신문들은 참다운 언론창달을 목
표로 하는 것보다는 기업가나 정치인 등이 자신들의 영향력 행사의
도구로 삼고자 하는 역할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97쪽)

박정규(1997). 한국지방신문의 역사. 김세철 외, 『지역사회와 언론』(60~94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지역언론과 지역사회 및 문화와의 관계

백선기(1997). 지역언론과 지역문화. 김세철 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지역사회와 언론

(334

361쪽).
•

영남일보(嶺南日報) 창간은 혹독한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해방된 우리 민족의 언론 자유와 근
대화의 대장정을 알리는 상징이었다. 1945년 10월11일 광복 후 지방지로는 국내 최초로 민족
지를 표방한 영남일보는 대구부 중앙통 15번지에서 창간호를 발행했다.

•

영남일보가 창간될 무렵, 시대 상황은 혼돈 그 자체였다. 일본의 항복으로 광복을 맞았지
만, 이어 6·25 전쟁이 터지면서 영남일보는 격동의 세월을 고스란히 민족과 함께 한다.

•

특히 6·25 전란 속에서는 전국 유일의 일간신문으로서 전황을 신속히 보도하면서, 일약
전국 대표 신문으로 발돋움했다. 전황(戰況) 보도는 한국 언론사(史)에 있어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커뮤니케이션 장치‟이자, 전무후무한 사례로 저널리즘의 새
지평으로 기록됐다.

•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던 영남일보는 이후 1980년 서울의 봄 직후 찾아온 신군부의 등장 속
에 한때 좌절을 맛본다. 신군부는 1도(道) 1사(社) 체제의 억압적 언론정책으로 언론사의 강제
통폐합을 강요했고, 영남일보는 약 9년에 걸쳐 독자를 찾아가지 못하는 비운을 겪었다.

•

영남일보는 6·10 항쟁의 민주화 물결에 힘입어 1989년 4월19일 복간됐고, 이어 과거의 영광
을 복원하기 시작한다.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
•

영남일보는 지역언론의 사명을 다하고자 „로컬리티(Locality)정신‟을 살리는데 초점을 뒀다.
지역언론은 지역민의 목소리를 더욱 철저히 반영해야 한다는 원칙, 즉 „공공저널리즘 정신‟을
도입했다. 대표적으로 로컬퍼스트(Local First) 시리즈와 지역 인재발굴 운동이다.

•

지방정신을 표방하는 로컬퍼스트는 21세기 한국의 지방, 지역사회가 나아가야 할 좌표를 제
시했다. 지방분권과 풀뿌리 지방자치 정신을 향한 지속적인 보도는 지역 신문의 새로운 이정
표로 평가 받고 있다. 이는 헌법개정을 통해 지방분권(分權)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지방의 미
래 비전 제시로 이어지고 있다.

•

지역 사회의 숙원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끈질긴 선도 보도와 분석 기사를 통해 독자들의 신뢰
를 높여왔다.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2011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을 놓고, 단순 보도를 넘어 지역의 어젠다로 설정하고 추진과 실행에 큰 힘을 보탰다.

•

특히 미완의 숙제로 남은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깊이 있는 보도로 시·도민의 열망을 한층 끌
어올렸다.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
출처: 안산뉴스 [지역신문 컨퍼런스서 영남일보 ‘동네기자’대상]

출처: 영남일보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스토리텔링 및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전문가 풀(pool)'을 구성]

•

전국 최초로 „동네기자‟ 제도를 운영했고, 2008년 제2회 지역신문컨퍼런스 대상을 수상, 또 한번 한국 언
론사에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

또 2011년부터 지역의 역사와 인물 자원을 발굴, 체험관광으로 연결시키는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을
국내 언론사 최초로 발족했다.

•

영남일보 부설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 출범 이후 다른 언론 매체도 앞다퉈 벤치마킹하면서 파급효과가
확산되고 있다.

•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창간 68주년을 맞은 영남일보는 오랜 역사와 전통만큼이나 지역
발전을 위한 책임 또한 결코 가볍지 않다. 지역 주체 간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성찰 담론을 지속적으로
제시해 수도권에 밀려 추락한 지방의 사회문화적 위상을 회복하는데 역할을 해야 한다”며 “위기를 기회
로 전환하기 위해선 혁신적인 콘텐츠와 서비스로 지역민들에 가깝게 다가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대구경북언론사(21 march2013)

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
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
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Han Woo PARK
 
천둥소리 34호 최종
천둥소리 34호 최종천둥소리 34호 최종
천둥소리 34호 최종채 국
 
천둥소리 36호
천둥소리 36호천둥소리 36호
천둥소리 36호채 국
 
Korean final project
Korean final project Korean final project
Korean final project Joseph Kang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정연진 Jean Chung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정연진 Jean Chung
 
131002 언론계포럼 56쪽
131002 언론계포럼 56쪽131002 언론계포럼 56쪽
131002 언론계포럼 56쪽nkrefugee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ChangeON@
 
천둥소리 35
천둥소리 35천둥소리 35
천둥소리 35채 국
 
천둥소리 32호(최종)
천둥소리 32호(최종)천둥소리 32호(최종)
천둥소리 32호(최종)채 국
 
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
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
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unnetworking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은영 김
 
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Hyo-Jun Ahn
 
[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
[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
[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ChangeON@
 

Similar to 대구경북언론사(21 march2013) (16)

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
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
대구경북언론사(14 may2013)강의최종본
 
천둥소리 34호 최종
천둥소리 34호 최종천둥소리 34호 최종
천둥소리 34호 최종
 
천둥소리 36호
천둥소리 36호천둥소리 36호
천둥소리 36호
 
Korean final project
Korean final project Korean final project
Korean final project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Aok 원코리아운동(03 08)사사세dc
 
131002 언론계포럼 56쪽
131002 언론계포럼 56쪽131002 언론계포럼 56쪽
131002 언론계포럼 56쪽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2012 ChangeON@between] 퍼블릭액세스프로그램 - 라디오시민세상 제작지원팀
 
4370
43704370
4370
 
Jeju4370book
Jeju4370bookJeju4370book
Jeju4370book
 
천둥소리 35
천둥소리 35천둥소리 35
천둥소리 35
 
천둥소리 32호(최종)
천둥소리 32호(최종)천둥소리 32호(최종)
천둥소리 32호(최종)
 
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
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
촛불 미디어 행동주의 분석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교학사 교과서는 독재와 한통속이었던 전경련의 교과서_교학사 교과서의 친기업・친자본적 서술
 
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국어수행평가 발표
국어수행평가 발표
 
[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
[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
[2013 ChangeON@공룡] 초청강연 언론의 공공성과 공동체언론(권단)
 

More from Han Woo PARK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Han Woo PARK
 
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
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
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Han Woo PARK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Han Woo PARK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Han Woo PARK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Han Woo PARK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Han Woo PARK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Han Woo PARK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Han Woo PARK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Han Woo PARK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Han Woo PARK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Han Woo PARK
 
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Han Woo PARK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Han Woo PARK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Han Woo PARK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Han Woo PARK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Han Woo PARK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Han Woo PARK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Han Woo PARK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Han Woo PARK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Han Woo PARK
 

More from Han Woo PARK (20)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_페이스북_이용자들의_반응과_관계_분석
 
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
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
페이스북 선도자 탄핵촛불에서 캠폐인 이동경로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WATEF 2018 신년 세미나(수정)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세계트리플헬릭스미래전략학회 WATEF 2018 신년 세미나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Disc 2015 보도자료 (휴대폰번호 삭제-수정)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Another Interdisciplinary Transformation: Beyond an Area-studies Journal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4차산업혁명 린든달러 비트코인 알트코인 암호화폐 가상화폐 등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KISTI-WATEF-BK21Plus-사이버감성연구소 2017 동계세미나 자료집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박한우 교수 프로파일 (31 oct2017)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Global mapp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Google and Google Scholar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박한우 영어 이력서 Curriculum vitae 경희대 행사 제출용
 
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향기담은 하루찻집
향기담은 하루찻집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Twitter network map of #ACPC2017 1st day using NodeXL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Facebook bigdata to understand regime change and migration patterns during ca...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세계산학관협력총회 Watef 패널을 공지합니다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 대통령선거 후보수락 유튜브 후보수락 동영상 김찬우 박효찬 박한우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2017년 인포그래픽스 과제모음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SNS 매개 학습공동체의 학습네트워크 탐색 :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2016년 촛불집회의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통해 본 하이브리드 미디어 현상
 

대구경북언론사(21 march2013)

  • 1. Virtual Knowledge Studio (VKS) 대구경북 (근대) 언론사와 신문발달사 박한우 교수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영남대사이버감성연구소장 아시아트리플헬릭스학회장 대구경북소셜미디어포럼고문 WCU웹보메트릭스사업단장(전) 영국옥스퍼드인터넷연구소(전) 네델란드왕립아카데미(전) TEDxPalgong (전) hanpark@ynu.ac.kr www.hanpark.net
  • 2.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언론사. 나남. 196 page.
  • 3.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언론사. 나남. 196 page.
  • 4.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한국언론사. 나남. 196 page.
  • 5. 대구, 국채보상운동, 언론 • 대구에서의국채보상운동이『대한매일신 보』,『 황성신문』,『 제국신문』,『 만세 보』등언론을 통하여 보도가 되자 전국민 이 이에 호응하였다. • 장지연은『황성신문』에「단연보국채(斷 烟報國債)」라는 논설을 싣고 국채보상운 동에의 참여를 호소하였다
  • 7. 일제하 대구경북 지방신문의 개괄 • 1924.10 大邱商報 창간, 1926.10 南鮮經濟日 報로 개제, 1939.3 旬刊 大邱實業新聞과 합 병, 南鮮實業新報로 개제 - 1924년 10월에 대구에서 한익동에 의해 창간 된 『대구상보』(1926년에 남선경제일보로 개제)는 경제신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제는 조선인의 이익을 위한 신문으로 보고 불온시 하는 듯한 평가를 내렸다. • 1928.10 大邱日報 창간: 사장은 濱崎喜三朗 박용규 (2006), „일제하 지방신문의 현실과 역할‟,『한국언론학보』50(6). 표 1. 일제하 지방신문의 변천.에서 재인용
  • 8. 일제시대 대구경북 언론사 대구는 폭격을 받지 않았으므로 언론자료가 잔존할 가능성이 많음.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 9. 일제시대 신문총람에 기록된 남선일보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 10. 서문시장의 거래광경과 남선경제일보사장 학익동씨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 연구 . 화다출판사.
  • 11. 일제시대 신문총람에 기록된 대구일보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 12. 일제 신문총람에 기록된 대구일보 2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 13. 일제 신문총람에 기록된 대구일보 1면 사진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 14. 『大邱府史』에 기록된 대구부 안 에 본사가 있었던 신문사 1. 조선민보(朝鮮民報):1905 마키노 슈(牧野周)가 「大邱実業新報」를 격일로 간행 1906 「大邱日日新聞」로 개칭. 1908.10.1「大邱新聞」으로 개칭. 사장은 가와이 아사오(河井朝雄) 1913.3 「朝鮮民報」로 2. 남선실업신보(南鮮実業新報) 1924.10.27「大邱商報」로 출발 1926.10.14 「南鮮経済日報」로 개칭(일간신문) *남선실업신보 ①大邱商報→南鮮経済日報로 개칭→大邱実業新聞과 합병→南鮮実業新報로 개칭 ②大邱日報→大邱実業新聞과 합병→南鮮実業新報로 개칭 3. 대구일보(大邱日報) 1928.10.1 창간→「朝鮮民報」와 경쟁 1939.2 「大邱実業新聞」과 합병(南鮮経済日報와 통합) 1939.3.1「南鮮実業新報」로 개칭 4. 독고(毒皷) 및 경북공론(慶北公論) 5. 잡지사: 「관문(関門)과 경산(慶山)」 박승주 (2013), Personal communication
  • 15. 지사, 지국 또는 통신원을 설치하고 있던 신문사 1.경기일보 2. 조선신문 3. 부산일보 4. 조선일일신문 5. 조선시보(朝鮮時報) 6. 조선매일신문 7. 남선일보 8. 조선상공신문 9. 매일 신보(毎日申報) 10. 동아일보 11. 조선일보 12. 중앙일보 13. 관문(関門)일일신문 14. 후쿠오카 일일신문 15. 경성신문 16. 봉천(奉天)매일신문 17. 대신경(大 新京) 18. 공업신문 19. 신일본 20. 대일본(大日本) 21. 조선미비(朝鮮米肥)일보 22. 일간대륙(日刊大陸) 23. 관문호치(関門報知)신문 24. 오사카 매일신문 25. 요미우리신문 박승주 (2013), Personal communication
  • 16. 일제하 대구의 언론사 • 대구에 본사를 둔 일본어 신문: 대구일 보, 조선민보 • 일본에서 발행되는 조일신문(아사히신문), 매일신문(마이니치신문), 서울에서 발행되는 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 우리말신문이기는 하나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지 국, 한국어/일본어 병용의 남선 경제일보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연구 . 화다출판사.
  • 17. 일제하 대구의 언론 성격 • “대구지방의 언론을 개괄함에 있어서 편의상 일본 어의 그것을 먼저 살펴보면 이들은 총독정치에의 협조와 거류일본인의 권익을 옹호하는 것을 목표 로 했고 아울러 일반시사의 보도를 겸했던 것을 알 수 가 있다. 언론이 가져야할 바 비판정신을 발휘했 다면 저들의 신문도 식민지통합의 야만성과 횡포 성을 눈감아 넘길 수는 없었을 것이나 이 신문들은 그것을 오히려 당연한 것처럼 정당화하고 있었 다”(63쪽)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연구 . 화다출판사.
  • 18. 일본어 신문인 조선민보 사옥 김진화. 1979. 일제하의 대구의 언론연구 . 화다출판사.
  • 19. 1939년말 신문 발행지역의 일본인 인구 (『朝鮮年鑑』1942년판, 72쪽). 지역 인천 대전 부산 마산 인구수 14,593 9,472 51,802 5,689 지역 군산 평양 대구 8,861 목포 전주 20,735 7,878 8,517 5,933 진남포 신의주 함흥 인구수 9,540 25,652 6,523 광주 원산 청진 해주 9,615 10,205 15,733 6,080 박용규 (2006), „일제하 지방신문의 현실과 역할‟,『한국언론학보』50(6). 표 1. 일제하 지방신문의 변천.에서 재인용
  • 20. 일제하 대구경북 지방신문의 현실 첫 째, 조선인의 민족성에 대한 모욕적 기사 로는, 『대구일보』는 조선인들이 술과 담 배에만 관심이 있다고 보도했고, 둘 째, 특정 사건과 관련된 조선인 또는 조선 인 단체에 대한 허위․왜곡 보도로는, 『대 구일보』 1929.11 광주학생운동에 대한 허 위․선동보도 셋 째, 조선인 관료나 지방의회 의원을 무시 하고 폄하하는 보도 박용규 (2006), „일제하 지방신문의 현실과 역할‟,『한국언론학보』50(6). 표 1. 일제하 지방신문의 변천.에서 재인용
  • 21. „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 지방언론 • 일본 외무성은 강제병합 이전에 일본인 발행 지방신문들에 대해 보조 금을 지원해 주었는데, 이는 일본정부가 조선에서의 신문경영을 일본 세력 확장이 수단으로 생각하는 한편 일본의 외교정책에 어긋나는 논 조를 견지하지 않도록 통제 하에 두기로 했기 때문이다(미즈노 나오 키, 2007, 255~256쪽). • 반면 조선총독부는 병합 이후에 지방신문들에 대해 별다른 지원을 해 주지 않았는데(박용규, 2006, 41쪽), 이는 조선총독부의 일본어 지방 신문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육성정책에서 신문지규칙에 의한 정간조 치 등을 위주로 한 관리정책으로 변모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 이렇게 조선총독부가 더 이상 지방신문들을 육성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 주된 이유는, 일제하 지방신문의 대부분의 목표가 “총독정치 에의 협조와 거류일본인의 권익 옹호”(김진화, 1978, 63쪽)에 있었고 또 이 두 가지 목표는 대부분 조화를 이루었지만, 때로는 „거류일본인 의 권익‟을 지나치게 앞세워 조선총독부의 입장과 충돌을 일으키기도 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박용규, 2006, 48쪽). 윤상길 (2011).„식민지 공공영역‟으로서의 1910년대《每日申報》. 韓國言論學報, 55 권 2호 (2011년 4월)·56-76.
  • 22. 일제시대 영국인이 발간한 Seoul Press에 지급된 지원금 영수증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 23.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신문 자료 조선신보는 1890년 1월 28일 제물상보사에 서 창간한 „인천경성격주상보‟에 뿌리가 닿 아 있다. 서울의 독립신문보다 6년 앞서 일 본인들이 경인 지역에서 발간한 신문으로 는 최초였다. 제호를 조선신문으로 바꾸고 발행지를 서울로 이전하여 1942년까지 발 행되었다. 일본인 발행 신문을 대표하는 신 문으로 가장 긴 수명을 지녔다. 정진석 (2011). 현대사 속의 언론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 신문 자료 일제 강점기의 일본인 발행 신문들. 신문과 방송. 1월호. 92-99.
  • 24.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신문 자료 정진석 (2011). 현대사 속의 언론 일본 신문자료연구회의 한국 신문 자료 일제 강점기의 일본인 발행 신문들. 신문과 방송. 1월호. 92-99.
  • 25. 일본 연구소에 보관중인 한국 언론사 자료 -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 26.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우리나라 지방신문는 1909년 10월 15일 진 주에서 창간된 慶南日報에서 비롯되었으 나, 1914년 말 경에 폐간. 10년 동안이나 한 국인 발행의 지방지가 없는 상태가 계속 • 일제 시대에는 1924년에야 대구에서 大邱 商報-南鮮經濟日報가 발간되면서 명목상으 로나마 유일한 한국인 발행 지방신문이 존 재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27.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에서 처음으로 지방지 발행시도 • 1906년 6월에 대구에 있는 출판사인 廣文社에 서는 농상공부의 신문발간 허가 • 광문사 사장 金光濟와 徐相敦(서상돈)은 이듬 해인 1907년 2월에 국채보상운동을 발기 • 김광제의 신문발행 계획은 실현되지 못함 • 1908년 10월경에 대구관찰사 朴重陽(양)은 대 구의 유지들과 협의하여 자본금을 모집하고 정부로부터도 보조금을 받아 신문사를 설립할 계획을 추진하였으니, 견본신문만 생산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28.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조선총독부는 서울에서 민간지 세 개를 허용 한 후 지방에서는 유일하게 대구에 한국인 발 행 일간지를 하나 허용 • 대구상보-남선경제일보-남선실업신문으로 이 어지는 신문 • 大邱商報는 1924년 12월 27일에 창간: 한일합 방 이전에는 진주에서 慶南日報가 발간된 적 이 있지만 한일합방 후 오래지 않아 폐간되었 기 때문에 대구상보는 지방에서 한국인 명의 로 발행된 유일한 신문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29.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상보 발행인 겸 사장은 韓翼東: 동아일 보의 대구 지국장. 매일신보의 경주 지국장. • 대구상보는 한국어로만 제작된 것은아니고 일어와 한국어를 병용하여 일어가 오히려 더 많은 지면을 차지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0.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상보 1926년 10월 14일부터는 南鮮經濟日報 변경- 1931년 9월 발행부수는 3천부, 1935년 10월 에는 2천부. 편집국 9명, 공장원 7명. • 1933년 1월 27일에는 조직을 지배인 체제로 바꾸 어 渡中兼男이라는 일인이 주간. 1937년 경에는 다 시 한국인 韓奉愚가 지배인. 1939년 3월에는 旬刊 으로 발행되던 實業新聞을 합병하여 南鮮實業新報 로 개제. • 남선경제신문은 경제지였으나 지방에서 발행된 유 일한 한국어 일간지라는 점에서 특이한 존재 • 이 신문은 화재보험과 광산을경영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1.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해방후 지방신문은 다섯 개의 시기로 구분 1,지방지 성장기(1945-1960) 2,카르텔 형성기(1961-1971) 3,과점경영기(1972-1980) 4,독점특혜기(1981-1987) 5,자유경쟁기(1987-현재)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대구에서는 일제시의 大邱日日新聞을 해방과 더불어 呂相源이 인수하여 大邱時報로 개제 발간 • 50년대의 경상북도에는 가톨릭이 경영하는 대구매일신문과,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인 실업 가가 여상원이운영하는 대구일보가 선두에서 경쟁을 벌였고, 친여 성향의 영남일보와 정치 적으로는 방향이 명백하지 않았던 시사일보가 있었다. 주간신문으로는 포항에 동해시보, 대 구에 교육시보가 있었고 대학신문으로서 주간 구대시보가 있다.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3.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1955년의 대구매일 테러사건은과 1959년 의 경향신문 폐간사건은 자유당 정권의 몰 락을 재촉한 최대의 언론탄압사건이었다. 독재에 대한 언론의 저항은 4.19 학생혁명 을 유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4.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 • • • 1955년 9월 14일 오후 4시 25분경, 대구시 태평로에 있는 대구매일신문사에 곤봉과 큰 해머 등을 든 괴한 20여명이 난입하여 욕설과 고함을 지르며 공무국의 문선 케이스를 비롯하여 인쇄기재와 통신시설, 그리고 공장 내부를 닥치는대로 두드려 부수는 사건에서 발단되었다. 괴한들은 만류하던 직원들을 곤봉과 주먹으 로 구타하는 한편, 지방에 발송하려고 준비 중이던 그 날짜 신문도 탈취하였다. 일부는 2층 사무실과 사장 실 등을 쏘다니며 전화기를 부수고 기물을 뒤엎는 난동을 부렸다. 약 10분간에 벌어진 일이었으나 사전에 세밀한 계획을 세웠던듯 조직적으로 파괴하고 난동을 부렸으므로 피해 상황은 컸다. 이것이 대구매일에 대 한 백주 테러 사건이었다. 이 테러는 전국의 언론계를 격분케하여 일대 파문을 일으켰음은 물론이고, 국회에서 진상조사단까지 구성 하여 정치적으로도 여야간에 일대 정쟁으로 발전하였던 사건이다. 테러 사건의 직접적인 발단이 되었던 논 설을 집필한 주필 崔錫采는 구속되어 30일 동안 철창에서 지낸 뒤재판 끝에 대법원에서 무죄의 확정판결 을 받을 때 까지 8개월 동안 법정투쟁을 벌여야했다. 테러의 이유는 여러가지로 복합적이었지만 9월 13일자에 실린 “학도를 도구로 이용하지 말라”는 논설이 도화선이 되었었다. 구속되었던 최석채는 테러사건이 있은 지 꼭 한달 만인 10월 14일 불구속 기소로 석방 되었으나 국가보안법 제 4조 위반혐의로 기소되었다. 혐의는 문제된 논설의 내용을 9월 17일 저녁 8시 30 분 경 북한의 평양방송이 인용하여 선전에 사용하였고, 적성감시위원단의 사기를 높여주어 국책을 변란케 하였다는 것이었다. 1심 첫 공판은 11월 8일에 열렸다. 주심판사는 이용규, 검사 한옥신, 변호인은 국회의원이었던 조재천 외에 3명이었다. 재판부는 제1심에서 최석채의 무죄를 선고하였다. 검찰은 고법에서도 패하자 대법원에까지 사 건을 상고했으나, 이듬해인 1956년 5월 8일 대법원장 김병로를 비롯한 대법관 전원 합의 아래 피고의 무죄 를 확정하여 사건은 완전히 끝났다. 해방 후 필화사건이 대법원까지 가서 판결 받은 첫 케이스였다. 대구매일은 테러사건이 있기 전인 1955년 초에는 겨우 4천 2백부 정도를 발행하는 초라한 신문이었으 나, 테러사건 후 갑자기 유명해져서 1955년 말쯤에는 1만부를 넘어서는 신장을 기록하였다.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5. <인물한국언론사>에서 부녀일보 • 대구에서는 1946년 10월 23일 부녀일보 (婦女日報,The Lady times)가 제 7호로 속간되었다 • 부녀일보는 경관이 영남일보 기자 방수복을 구타한 사건에 대해 1947년 3월 28일과 29 일에 걸쳐 기사를 내보냈다가 편집국장 최 석채가 기사를 쓴 책임으로 제 5관구 경찰청에 구속되었다가 석방 되었다. 정진석(1995), 나남출판사, 『인물한국 언론사』
  • 36.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70년대 초반 시기의 지방신문은 두가지 큰 상황변화를 겪게된다. • 첫째는 高速道路의 개통으로 중앙지와의 時差가 좁아져서 지방지와 중앙지의 경쟁 이 시작된 것이었다. • 두번째의 상황변화는 지방신문의 統廢合이 었다. 정부가 이른바 „1道 1社‟ 방침을 추진 하기 시작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7. 박정희 정권 언론윤리위원회법 철폐와 매일신문 • 끝까지 남은 신문사는 <조선> <동아> <경 향> <대구매일신문>. 이에 박 정권은 '언론 기관에 대한 정부 특혜 조치에 관한 건'이란 걸 통해 4개 신문사에 대한 모든 특혜를 금 지시킵니다. 국가기관은 물론 공무원 가정 들로 하여금 이들 신문 구독을 중지시켰다 고 합니다. 정진석 (2013. 3. 19.) Personal communication.
  • 38.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와 대구경북 신문사의 역할 • 1980년에는 제5공화국 출범을 앞두고 언론 기관의 통폐합과 „언론자율정화 및 언론인 의 자질향상에 관한 결의문‟을 채택하여 언 론인 대량해직: 영남일보 18, 대구매일 6 • 지방지의 통폐합은 1도 1사 원칙에 따라 1972년도에 통합되지 않고 1도에 2개지가 발간되던 경북의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는 매일신문이 영남일보를 흡수 통합하여 대 구매일신문으로 개제 발행 정진석(1992). 한국의 지방언론 발달사. 『신부 전달출 회장 화갑기념논총』(203 ~223쪽). 대구: 매일신문사.
  • 39. 지방신문의 역사 • 통문: 조선시대 지방신문의 역할 담당, “서울을 비롯하여 지방 어느 곳에서나 양반, 유생,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조정의 정치문제나 그 고을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 여론을 형성하고 환기시키는 중요한 커 뮤니케이션 수단”(96쪽) “여러 다중의 의견과 여론을 필사 복제하여 대량으로 전달하였다는 점에서 신문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전국 어 느 곳에서나 이러한 현상이 있었으므로” (96쪽) • “8 15 해방과 함께 비로소 우리말 지방신문을 가질 수가 있었으나 정 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가 중앙중심 체제이고 국민들의 중앙 선망적인 인식은 지방민들도 중앙지를 선호하게 되었으며 상대적으 로 영세규모의 지방지들은 경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60년 대까지 낮은 국민소득과 문자해득률 및 지방산업의 낙후로 인한 지방 광고의 부족은 지방신문 발전에 장애요인이 되었다”(96쪽) • “지방 각지에서 발행되는 적지 않은 신문들은 참다운 언론창달을 목 표로 하는 것보다는 기업가나 정치인 등이 자신들의 영향력 행사의 도구로 삼고자 하는 역할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97쪽) 박정규(1997). 한국지방신문의 역사. 김세철 외, 『지역사회와 언론』(60~94쪽).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40. 지역언론과 지역사회 및 문화와의 관계 백선기(1997). 지역언론과 지역문화. 김세철 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지역사회와 언론 (334 361쪽).
  • 41. • 영남일보(嶺南日報) 창간은 혹독한 일제 식민통치로부터 해방된 우리 민족의 언론 자유와 근 대화의 대장정을 알리는 상징이었다. 1945년 10월11일 광복 후 지방지로는 국내 최초로 민족 지를 표방한 영남일보는 대구부 중앙통 15번지에서 창간호를 발행했다. • 영남일보가 창간될 무렵, 시대 상황은 혼돈 그 자체였다. 일본의 항복으로 광복을 맞았지 만, 이어 6·25 전쟁이 터지면서 영남일보는 격동의 세월을 고스란히 민족과 함께 한다. • 특히 6·25 전란 속에서는 전국 유일의 일간신문으로서 전황을 신속히 보도하면서, 일약 전국 대표 신문으로 발돋움했다. 전황(戰況) 보도는 한국 언론사(史)에 있어 전인미답(前人未踏)의 „커뮤니케이션 장치‟이자, 전무후무한 사례로 저널리즘의 새 지평으로 기록됐다. •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던 영남일보는 이후 1980년 서울의 봄 직후 찾아온 신군부의 등장 속 에 한때 좌절을 맛본다. 신군부는 1도(道) 1사(社) 체제의 억압적 언론정책으로 언론사의 강제 통폐합을 강요했고, 영남일보는 약 9년에 걸쳐 독자를 찾아가지 못하는 비운을 겪었다. • 영남일보는 6·10 항쟁의 민주화 물결에 힘입어 1989년 4월19일 복간됐고, 이어 과거의 영광 을 복원하기 시작한다.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
  • 42.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
  • 43. • 영남일보는 지역언론의 사명을 다하고자 „로컬리티(Locality)정신‟을 살리는데 초점을 뒀다. 지역언론은 지역민의 목소리를 더욱 철저히 반영해야 한다는 원칙, 즉 „공공저널리즘 정신‟을 도입했다. 대표적으로 로컬퍼스트(Local First) 시리즈와 지역 인재발굴 운동이다. • 지방정신을 표방하는 로컬퍼스트는 21세기 한국의 지방, 지역사회가 나아가야 할 좌표를 제 시했다. 지방분권과 풀뿌리 지방자치 정신을 향한 지속적인 보도는 지역 신문의 새로운 이정 표로 평가 받고 있다. 이는 헌법개정을 통해 지방분권(分權)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지방의 미 래 비전 제시로 이어지고 있다. • 지역 사회의 숙원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끈질긴 선도 보도와 분석 기사를 통해 독자들의 신뢰 를 높여왔다.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2011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을 놓고, 단순 보도를 넘어 지역의 어젠다로 설정하고 추진과 실행에 큰 힘을 보탰다. • 특히 미완의 숙제로 남은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깊이 있는 보도로 시·도민의 열망을 한층 끌 어올렸다.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
  • 44. 출처: 안산뉴스 [지역신문 컨퍼런스서 영남일보 ‘동네기자’대상] 출처: 영남일보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스토리텔링 및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해'전문가 풀(pool)'을 구성] • 전국 최초로 „동네기자‟ 제도를 운영했고, 2008년 제2회 지역신문컨퍼런스 대상을 수상, 또 한번 한국 언 론사에 한 페이지를 장식했다. • 또 2011년부터 지역의 역사와 인물 자원을 발굴, 체험관광으로 연결시키는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을 국내 언론사 최초로 발족했다. • 영남일보 부설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 출범 이후 다른 언론 매체도 앞다퉈 벤치마킹하면서 파급효과가 확산되고 있다. • 박한우 영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창간 68주년을 맞은 영남일보는 오랜 역사와 전통만큼이나 지역 발전을 위한 책임 또한 결코 가볍지 않다. 지역 주체 간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성찰 담론을 지속적으로 제시해 수도권에 밀려 추락한 지방의 사회문화적 위상을 회복하는데 역할을 해야 한다”며 “위기를 기회 로 전환하기 위해선 혁신적인 콘텐츠와 서비스로 지역민들에 가깝게 다가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출처: 박재일, 이창남 (2013. 10. 12). 전란 속 유일 발행 … 한국 언론사 이정표 되다. 영남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