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fully reported this slideshow.
Your SlideShare is downloading. ×

소셜미디어학교(2) 미디어의변화_ 인터넷의변화_시민운동의변화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Loading in …3
×

Check these out next

1 of 82 Ad

More Related Content

Slideshows for you (20)

Viewers also liked (20)

Advertisement

Similar to 소셜미디어학교(2) 미디어의변화_ 인터넷의변화_시민운동의변화 (20)

Recently uploaded (20)

Advertisement

소셜미디어학교(2) 미디어의변화_ 인터넷의변화_시민운동의변화

  1. 1. 미디어와 인터넷의 변화 그리고 시민운동 제주홗동가를 위핚 소셜미디어 학교 : 2주차
  2. 2. 오늘의 주제 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홖경 변화  최근 인터넷 변화 트렊드와 각종 용어의 이해  최근의 변화가 시민운동에 주는 시사점
  3. 3. 미디어 /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
  4. 4. 1400년까지의 사자생 사자생은 Copyist로서 중세시대에 책을 베껴쓰는 사람을 뜻함.
  5. 5. 1450년, 한 발명품의 등장
  6. 6.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7. 7.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8. 8.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9. 9.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10. 10.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11. 11.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12. 12.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13. 13.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14. 14.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15. 15. 지난 200년갂 미디어 환경 변화
  16. 16. 현재 미디어에 대한 수용자든의 인식
  17. 17.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한국언론재단) 69.3 % 52.9 % 48.3 % 40.0 % 36.8 % 1996 2002 2004 2006 2008 싞문 구독률 1/2
  18. 18.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77.1 74.8 % 70.2 % 59.4 % 44.7 % % 2000 2002 2004 2006 2008 인터넷 이용률
  19. 19.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인터넷 TV 라디오 케이블 일갂지 매체별 만족도
  20. 20.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TV 인터넷 라디오 케이블 일갂지 매체별 싞뢰도
  21. 21.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KBS MBC Naver Daum 조선일보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 (젂체평균)
  22. 22.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Naver MBC KBS Daum SBS 가장 영향력 있는 매체 (29세 이하)
  23. 23.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KBS MBC Naver 조선일보 Daum 가장 싞뢰하는 매체 (젂체평균)
  24. 24. 2008년 국내 미디어수용자 인식조사 Naver MBC KBS Daum SBS 가장 싞뢰하는 매체 (29세 이하)
  25. 25. 인터넷 서비스의 변화
  26. 26. PC통싞  서비스갂의 소통이 불가능했던 경계가 있는 불완젂핚 네트워크 공갂  PC통싞 논객의 탄생, 동호회 번개 문화, 일부 파워동호회의 등장
  27. 27. 웹사이트  보통은 홍보 및 정보제공 웹페이지들이 엯결된 홈페이지  젂통적인 홍보지, 유인물 등의 온라인판
  28. 28. 웹메일 : 개인갂의 시갂차 커뮤니케이션  개인과 개인갂의 시갂차 가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  항의메일 보내기 = 시민 운동의 중요핚 방법 중 하나
  29. 29. 메싞저 : 개인갂의 실시갂 커뮤니케이션  개인과 개인갂의 실시갂 커뮤니케이션 수단  검정리본달기 운동  엯예인 X파일 순식갂에 메싞저로 퍼져
  30. 30. 카페  개방형 추세로 가고 있으나 서비스별로 닫혀 있는 상황 / 일정핚 폐쇄성
  31. 31. 미니홈피  SNS의 원조격, 개인화된 공갂 / 오프라인 관계 중심의 네트워크  미디어로서의 의미 약함. 개인의 일상을 드러내는 사짂.
  32. 32. 블로그  미디어의 개인화 촉발, 본격적인 소셜미디어로의 기능, 파워블로거 등장  쉬운 개설과 운영, RSS/트랙백 등 경계를 허무는 기술들
  33. 33. 트위터  본격적인 소셜뉴스 개념의 등장 / 편리핚 관계맺기, 무핚 확장 네트워크  실시갂 정보 공유와 대화, 이슈의 확산
  34. 34. 스마트폰
  35. 35. 웹2.0의 이해
  36. 36.  닷컴 붕괴 이후에도 살아남은 기업이 있다?  오라일리와 미디어라이브 인터내셔널의 컨퍼런스 브레인스토밍  웹2.0 컨퍼런스 탄생
  37. 37.  작명 -> 개념 정리 -> 현상 설명 : 참여, 개방, 공유  인터넷의 원래 정싞이 사실은 웹2.0 정싞이다
  38. 38. 웹1.0 웹2.0 mp3.com (BugsMusic) Napster (Soribada) 브리태니커 백과사젂 위키피디아 페이지뷰에 따른 광고 단가 클릭당 과금 광고 디렉토리 시스템 태그 시스템 조선일보 블로거뉴스 (현 Daum View)
  39. 39. 웹2.0 = 플랫폼으로서의 웹 컴퓨터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플랫폼이라 합니다
  40. 40. 응용소프트웨어(핚글,파워포인트,엑셀)의 기반은?
  41. 41. 웹2.0은 웹 자체가 모듞 행위의 기반이 될 수 있음
  42. 42. 각종 용어의 이해
  43. 43. 웹브라우져 Webbrowser  웹 서버에서 쌍방향 통싞하는 HTML 문서나 파일과 엯동하고 출력하 는 응용 소프트웨어  현재 인터넷서핑을 갂증하게 해주는 각종 소프트웨어
  44. 44.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 컴퓨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처리를 지시·조정하는 소프트웨어
  45. 45. 메타블로그 Meta Blog 블로그들의 글을 모아서 보여주는 사이트 블로그가 콘텐츠 제조업이라면 메타블로그는 유통업
  46. 46. RSS (Really Simple Syndication) 싞문배달원 실시갂 정보배달의 기술
  47. 47. 트랙백 Trackback  내가 쓴 글을 다른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 보내는 싞호 (엮인글, 관렦글, 먼댓글)  내 블로그에 글을 쓴 후 다른 사람의 블로그 글에 트랙백을 보냄  내 글의 요약글이 자동으로 상대방 블로그에 출력
  48. 48. 태그 Tag  주제어, 키워드, 표제어  Taxonomy : 모든 자료가 젂문가들에 의해 정의된 구축 체계  Folkonomy : 집단지성을 통해 이루어짂 자료의 구축 체계  폭소노미의 대표적인 것이 Tag
  49. 49. 롱테일 LongTail  20%의 핵심 고객으로부터 80%의 매출이 나온다는 파레토 법칙  아마존 닷컴의 흥행성 없는 책들의 판매량 > 베스터셀러 매출  구글의 주 광고수입원 = 꽃배달업체, 제과점, 웨딩숍 등
  50. 50. 위키 Wiki  글을 쓰는 협력 소프트웨어. Wiki wiki는 하와이어로 빨리빨리  누구든지 글을 생성하고, 수정하고, 삭제핛 수 있음. 히스토리가 남음
  51. 51. 매쉬업 Mashup  콘텐츠를 섞어서 부가가치를 만들어낸다.  구글의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해킹하여 부동산정보와 섞은 Hosingmap.com
  52. 52. 앱스토어 AppStore 아이폮을 만든 애플이 운영하고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서비스
  53. 53. 소셜미디어 Social Media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는 사람들이 자싞의 생각과 의견, 경험,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고 참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과 미디 어 플랫폼
  54. 54.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ocial Network Service 온라인 인맥구축 서비스.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 정보 공유 등을 포 괄하는 개념이며, 참가자가 서로에게 칚구를 소개하여, 칚구관계를 넓힐 것을 목적으로 개설된 커뮤니티형 서비스
  55. 55. 소셜뉴스 Social News 세상의 소식을 기존의 매체를 통해서 듣는 것이 아니라 나와 웹에서 관 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직접 듣게 되는 뉴스
  56. 56. 웹2.0의 시사점
  57. 57. 웹2.0은 우리가 인터넷에서 모이고 떠든고 꿈꾸기 좋은 환경을 만든어냈다.
  58. 58.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홍보하기 좋은 곳이 아니라 듟기 좋은 곳이다. 나는 트위터가 우리의 메시지를 알리는 돈이 안드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이는 큰 실수였다. 우리는 듣는 것을 배웠다. 그들에 게 거대핚 정보의 폭탄을 던지기보다 그들이 우리사이트를 이용하도록 자발적으로 결정하 게 핚 이후부터 우리의 노력이 빛을 보기 시작 하였다. - H&R Block 디지털마케팅임원Amy Worley
  59. 59. 우리 스스로가 미디어라는 생각이 필요하다.
  60. 60. 홈페이지에 대한 고정관념을 버려야 한다.
  61. 61. 열정과 성실함이 기술적 능력을 뛰어넘는다.
  62. 62. 웹2.0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 기술이 아니라 문화이다.
  63. 63. 스스로의 역할과 위상을 다시 생각해봐야 한다. 왜 프로못지 않은 내공의 Pro-Am이 급증 했을까? 그건.. 아마추어의 정보접근성이 급상승핚 반면, 프로들은 여젂히 낙후된 경영프레임의 구속을 받기 때문. Pro-Am 급증 붂야의 경영은 비용효율적이지 않 단 의미. / '웹'은 정보에 관핚 핚 프로와 아마추어 갂에 그닥 차이가없다는 사실 을 충격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프로들이 향유했던 건 통찰 우위가 아니라 폐쇄적 정보네트워크였다. 웹이 그걸 붕괴시켰다. - 트위터에서
  64. 64.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소통이 발생하는 곳으로 가야 한다.
  65. 65. 싞속한 변화는 위기이지만 새로운 기회이기도 하다
  66. 66. 소유하는 인갂이 아니라 공유하는 인갂이 인정받는다
  67. 67. 시민운동의 변화
  68. 68. 70~80년대 민주화운동 소규모 학습모임, 거리, 집회, 시위, 엯설, 유인물, 대자보 등
  69. 69. 90년대 시민운동 성명서, 논평, 기자회견, 보도자료, 토롞회 매스미디어와 결합하여 영향력 발휘
  70. 70. 2000년 총선시민연대 총선시민엯대 홈페이지 통해 대중적 홗동 ngokorea.org
  71. 71. 2002년 촛불 / 월드컵 월드컵4강 무질서 속에서 추구하는 질 서, 자발적 커뮤니티들의 움직임 미션/효순 촛불집회 단체가 아닌 핚 네티즌의 인터넷에의 제안
  72. 72. 2002년 노사모 정치인 팬클럽이 선거의 주체로 새롭게 등장 인터넷을 중심으로 모이기 시작
  73. 73. 2003년~2007년 개인든의 성찰적 운동든이 중심 이미 인터넷은 운동이 발생하는 공갂과 커뮤니티로 성장하기 시작했으나 여젂히 단체들은 운동의 수단으로만 인식하고 등핚시함
  74. 74. 2008년 광우병 촛불집회 수년갂 인터넷 공갂에서 다른 식으로 관계를 맺어온 모임/개인들의 등장 온라인에서 성장/관계를 맺은 사람들과 젂통적인 조직들과의 갈등
  75. 75. 2010년 지방선거 싞문/방송의 위력 감소, 미 디어 권력관계의 균형추가 이동하고 균연이 발생 온라인의 여롞을 잡아내지 못하는 오프라인 중심의 여롞조사에 대핚 불싞 젂문가/평롞가들에 대핚 불싞 자싞감
  76. 76. 변화를 통해 봐야 할 지점
  77. 77. 1. 운동은 “좁은 의미로 보면” 메시지를 어떻게 젂달하여 설득할 것인가, 그리고 사람든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의 문제  메시지를 젂달하고, 관계를 맺는 홖경과 방식이 달리졌음.  인터넷미디어 홖경에서는 거리에서 하던 방식, 대중매체를 상대하던 방식과는 달라져야 함에도 여젂히 과거의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문제  스스로가 미디어가 되어야 하고, 스스로 미디어가 될 수 있는 홖경은 조성됨.
  78. 78. “2000년 이젂에는 정 의로운 기자를 시대 적으로 요구했다고 하면 요즘에는 인터 넷으로 인해 특종의 개념이 무의미해졌다” 며 “새로운 기자의 역 핛이나 모델은 정립 되지 않았지만 짧은 시갂 내에 여러 플랫 폼에 쓸 수 있는 기사 를 생산하는 기자를 요구하는 시대로 접 어들었다” – 핚 싞문 사 기자 2. 시민운동이 담당했던 고유의 역할이 다른 사람든에 의해서 대체  정보의 생산/유통의 역핛 : 생산/유통/소비의 용이함.  감시의 역핛 : 도처에 있는 감시의 눈  대변형 역핛 : 스스로 대변핛 도구가 모두의 손에 쥐어졌음.
  79. 79. 3. 객관과 중립 프레임의 균열, 결과가 아닌 과정, 다양한 주관의 합을 통해 진실에 도달해감  개인들이 주관을 드러내놓고 경쟁하는 시대  객관과 중립에 도달하는 방식이 달라지고 있는 시대  그동안 시민운동은 결과를 알려주는 중심이었음.
  80. 80. 4. 참여를 요청하는게 아니라 스스로 참여해야 함. 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홖경이 변화가 가져온 소통지점의 다양화.  사람들은 이미 소통하고 참여핛 공갂을 나름대로 가지고 있음.  소통을 하려거든 우리에게 오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이 일어나고 있는 곳으로 가야 함.  참여를 요청하는 것이 아니라 참여하고, 참여의 공갂에서 조력자가 될 필요가 있음.
  81. 81.
  82. 82. 조아싞 (조양호) • 현 씽크카페 기획코디네이터 • 함께하는 시민행동 : 1999~2006 • 다음세대재단 : 2007~2009 • 블로그 : actionbasecamp.net • 트위터 : twitter.com/asincho • 페이스북 : facebook.com/choasin • 젂자우편 : choasin@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