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ccessfully reported this slideshow.
Your SlideShare is downloading. ×

How Wiki Changes the World?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Ad
Upcoming SlideShare
Meconomy(4)
Meconomy(4)
Loading in …3
×

Check these out next

1 of 25 Ad

More Related Content

Slideshows for you (20)

Advertisement

Recently uploaded (20)

How Wiki Changes the World?

  1. 1. 이희욱 | 블로터닷넷 기자 asadal@bloter.net http://asadal.bloter.net “공동체를 위하여” 위키가 세상을 바꾸는 방법 달리 정하지 않는 한,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 2. Wiki≠Tool Wiki≒OS Movement 공유≤참여
  3. 3. Wikipedia http://wikipedia.org
  4. 4. Wikipedia  한국어 포함 280개 언어로 제공  전체 350만 문서 등록 & 하루평균 7180여개 문서 새로 생성. 페 이지당 평균 20회 수정.(2006년 2월 기준) ※ 참고 : 위키피디아 통계 페이지 (http://stats.wikimedia.org/EN/TablesArticlesTotal.htm)  2005년 2월 조지 부시 이름 뒤에 '바보'(fool) 넣고 오류 수정 시간 실험. 2분 이내 수정.  quot;위키백과와 브리태니커 과학 카테고리 비교 결과 브리태니커 오류 더 많아quot;(<네이처> 2005. 12)
  5. 5. 부작용 : 편집진 인위적 조작. 매수(MS, 위키백과 ODF/OOXML 항목 의도적 수정 혐  의. 2007. 01) 구글 '놀'(Knol) 지식공유 프로젝트  위키버시티(개방형 학습), 위키아(검색) 등 파생 프로젝트  위키랭크(http://wikirank.com) 등 파생 서비스 
  6. 6. Taking IT Global http://www.tigweb.org
  7. 7. Taking IT Global  전세계 젊은이들이 IT 기술 기반으로 지구촌 이슈에 참여하고 변 화를 이끌도록 돕는 NGO(1999~)  디지털 기술은 어떻게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  전세계 261개국 23만 회원들이 자유롭게 활동하는 'e국제연합 '(2009년 2월 기준)  관계중심(×)→의제중심(○)  등록된 프로젝트수 2천개 이상  <사례> 인도 시골지역 디지털 격차 해소, 우간다 HIV 예방
  8. 8. Orthochina http://orthochina.org
  9. 9. Orthochina  중국 정형외과 전문의들을 위한 위키 프로젝트 (1998~) 의료 교육을 위한 트레이닝 사이트  중국어/영어 서비스 제공  일정 자격요건 갖춘 전문의들이 주요 환자 사례 등  록·편집·토론 이용자 3만4천여명, 매달 방문자수 6천명, 포스팅 2  천여회
  10. 10. Intellipedia http://???
  11. 11. Intellipedia  위키 기반 미국 정보조직 내부 커뮤니티(2006. 4~)  CIA·NSA·FBI 등 16개 연방정부 정보국끼리 정보 축적·공유하는 커 뮤니티  두문자어(UN, FBI, UFO...) DB 구축 작업 등 진행  인스턴트 메시징(Jabber), 태깅, RSS 피드, 갤러리, 동영상 공유 서 비스 등 인트라넷에 구축  quot;지금 e메일이나 공유 드라이브로 하는 일이 무엇인지 살펴보라. 이런 일들을 위키 툴로 옮기는 일을 시작하라.quot; - 인텔리피디아 에 반젤리스트 숀 데니히(Sean Dennehy)  국내에서도 참여형 정책제안 사이트 '드림코리아 '(http://www.dreamkorea.org) 오픈(2008. 10). 초기 편집권 개방 안 하고 공무원 중심 운영하다가 입방아에.
  12. 12. Lego Mindstorms http://mindstorms.lego.com
  13. 13. Lego Mindstorms  무한한 확장성의 가능성을 극대화한 '파괴를 통한 혁신' 사례 미국 레고사와 MIT 합작품  레고 조합물에 명령 기능을 더할 수 있는 '사고할 수  있는 조각‘ 사용허가 계약서에 '해킹 권리' 추가.  1998년 출시. 이용자들이 센서, 모터, 제어장치를 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등 자기만의 로봇 변형. “애호가가 레고를 키우고 발전시킨다” 
  14. 14. Cofundos http://cofundos.org
  15. 15. Cofundos  오픈소스SW 기반 협업 공동체  오픈소스SW 개발 아이디어 공유·발전→자금 공모(구성원= 투자자)→투자자 투표로 개발자 선정→시제품 두고 투자자 끼리 완성도 평가→합격시 투자금액을 개발자에게 제공(불 합격시 아이디어 공유 단계로 유턴)  모든 아이디어는 ‘저작자표시’(BY) CCL 조건 적용  완성 제품은 OSI 승인한 오픈소스 라이선스 적용  소수의 큰손(×)→열정적인 다수 개미투자자(○)  개방된 아이디어+열린SW+열정적 투자자=Cofundos
  16. 16. CC Mixter http://ccmixter.org
  17. 17. CC Mixter  참여형 음악창작·공유 프로젝트  곡 단위가 아닌, 음원 단위로 공유  공개하는 음원에 CCL 의무 적용. 단, 변경금지(NC) 조항은 적용할 수 없음.  공개된 음원을 리믹스해 자신만의 음악을 창조하고 이를 다시 공 유할 수 있는 서비스. '비영리' 조항이 적용되지 않은 음원이라면 상업적 용도로 활용 가능.  아마추어 작곡가나 인디 밴드들이 음악성을 알리고 검증받는 공 간으로 활용  상업 레이블 이용자는 신인 발굴, 합법적으로 상업용 음악 창작 도 우미로 활용 가능(로고송 등)  한국 CC믹스터(http://ccmixter.or.kr) 프로젝트 출범(2006. 12~)
  18. 18. A Swarm of Angels http://aswarmofangels.com
  19. 19. A Swarm of Angels  영화제작자와 시나리오 작가들이 모여 만든 오픈소스 영화 제작 프로젝트  100만파운드(약 20억원) 기금을 모아 영화를 제작한 뒤 CCL을 붙 여 전세계 100만명에게 무료 다운로드 제공 목표  웹으로 참여자 모집. 각본 선정, 제작, 트레일러 촬영, 본영화 제작, 후처리작업, 영화 배포까지 공동 작업  온라인 포럼 '더 나인 오더스'를 통해 위키 기반 의견 교환, 공동 작 업 진행. 시나리오도 공동 편집·수정  정회원은 연회비 25파운드(약 5만2천원). 글 작성권과 투표권이 없 는 준회원은 5파운드(약 1만300원)  회원간 동의가 없을 경우 초기 각본 작업부터 일정이 늘어질 위험 성
  20. 20. 과제 도구의 장벽 1. 쉽고 편리한 편집 도구 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온라인 의제설정을 위한 장치 마련(추천 / PM / 중간보고)  소통의 장벽 2. 자발적 참의 의존도의 마지노선은 어디까지?  의사조율 / 불펌 대처 / 활발한 토론 부재  의지의 장벽 3. 쉽고 재미있게 : 참여가 아니라 즐기는 것!  희생이 없는 기여. 희생이 아니라 기여라는 인식전환 및 동기유발 
  21. 21. “우리 마을을 거쳐가는 나그네는 음식이나 물을 달라고 말할 필요가 없었다. 그가 발걸음을 멈추면 사람들은 그냥 물을 주고 대접했다. 자, 물어보자. 당신이 속한 공동체가 더 나아지도록 당신도 그렇게 할 것인가?” - 넬슨 만델라
  22. 22. Ubuwiki Offline http://ubuwikioffline.sourceforge.net
  23. 23. Ubuwiki Offline  PC에서 쓸 수 있도록 고안된 위키형 게시판 프로그램  초고속망 보급 낮고 인터넷 이용료 비싼 아프리카 지역 주 민 위해 개발  휴대용 위키 프로그램 ‘위키 온 어 스틱‘ 변형  휴대 간편할 것. 저사양 PC에서도 사용 가능. 누구나 컨텐 트를 자유롭게 만들고, 고치고, 개선할 수 있어야 할 것  자체 수정 기능이 내장된 XHTML 파일 하나로 구성. 용량 4.5MB
  24. 24. “왜 우리가 지식과 자원을 배포하는 데 인터넷에 의존해야 하는가? 전혀 낯선 이에게 우부위키를 넘겨준 적 있는가? 우부위키는 온전히 운영체제 독립적인 플랫폼이지만, 이를 세대간 정보를 나누는 방법이라 여기면 어떨까.”
  25. 25. “공동체를 위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