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Advertisement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뉴스젤리] 무엇이 뉴스인가(20)

More from Newsjelly(20)

Advertisement

Recently uploaded(14)

[뉴스젤리] 무엇이 뉴스인가

  1. What is News? 당신에게 와 닿는 뉴스가 진짜 뉴스다!
  2. 뉴스의 홍수 • 지상파, 케이블, 종합편성채널, 라디오, 주간언론 매체, SNS, 독립언론, 인터넷, 블로그등 수많은 미디어 • 2012년 인터넷 신문 등록현황 3,850 업체 • 초 단위로 업데이트 되는 인터넷 기사 뉴스의 홍수 속에서 여러분은 만족하시나요?
  3. 나와는 상관없는 뉴스 • 데스크에서 게이트킵핑 된 뉴스 • 사람들의 관심사와 궁금증 보다 운영주체의 생각을 이야기 • 삶에 대한 관심 보다 스포츠, 연 애, 정치에 관한 소식만 전달 나의 삶에 영향이 미치는 소식이 묻혀 버리는 것은 아닐까?
  4. 제목만 다르고 내용은 중복된 뉴스 다음날 97건 개재
  5. 컨텐츠가 부재한 뉴스 • 기사간 자기 복제 심화 • 기사 보다 광고 공해 • 자극적인 제목과 차별성 없는 기사 • 기사보다 더 눈에 들어오는 낮 뜨거운 광고
  6. 나를 위한 뉴스는? • 올드 미디어의 자기 복제와 게이트키핑 속에 내가 궁금해 하고 내 삶에 영향을 미치는 소식은 소외 당하는 것은 아닌가? • 궁금하고 내 삶에 영향을 미치는 이야기, 사실전달이 아닌 의미전달 하는 뉴스가 진짜 뉴스다!
  7. 데이터 속에 숨겨진 당신과 세상이야기 • SNS의 활성화 • 공공데이터의 개방 • 다양해진 리서치 • 빅데이터 시대 데이터 속에 당신과 세상의 이야기가 숨어있다
  8. DATA JOURNALISM • 빅데이터와 저널리즘의 만남 • 주체적인 위치에서 데이터 수집과 분석 • 데이터 속에 새로운 스토리를 발견 • 분류가능한 빅데이터 속 숨은 의미 찾기 지금까지 없는 독창적이고 풍부한 스토리텔링
  9. 진짜 궁금한 이야기는 무엇인가요?
  10. Like Jelly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스토리텔링!
  11. Data Driven Approach
  12. 데이터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사람들이 쉽게 오해할 수 있는 문제의 경우, 데이터 분석 기 반 그래프 및 차트를 이해하기 쉽게 제공 •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시민들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유도 • 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가치 창 출에 대한 중요성은 사회 공통 으로 인식하는 분야
  13. 공공데이터는 세상을 보는 창이다 • 공공 데이터는 정부 또는 공공기관 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 공공기관의 업무과정에서 얻어진 데이터들로 데이터 중에서 상대적 으로 높은 가치 • 해당되는 문서를 찾는 특별한 목적 을 갖는 개인에게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공개형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 하는 전문가가 필요!
  14. 소셜데이터는 무의식 중의 설문조사 • Data is New Soil and Oil •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사람들 의 생각에 관한 insight 를 얻 을 수 있다 • 영향력 평가/ 커뮤니티 파악 / 관계경로 검색 / 사회적 역활 추정
  15. 전문 리서치 기관과 파트너십 • 공공 데이터와 소셜 데이터 만 으로는 추정의 한계 • 전문 리서치 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데이터의 정확성과 효용 성 확보 • 문제 발굴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의견을 묻는 창구 확보
  16. 빅데이터 속의 세상 찾기 • 공공데이터와 소셜데이터는 활용가치는 높지만 미가공 • 수집하고 분석하는 전문가 필요 • 빅 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한계 : 새로운 질문은 할 수 없다 • 공공+소셜+전문 리서치 기관 뉴스젤리의 빅데이터 속의 세상 찾기
  17. Visual Storytelling
  18. 단순 사실만 전달하는 기사 • 스트레이트 위주의 사실 전달 • 리포트의 빈약함 • 뉴 미디어의 등장과 정보홍수 • 행간을 집어주지 못하고 단순 사실 전달 • 읽어도 의미도, 흐름도, 맥락 도 알아내기 힘들다 뉴스 큐레이션의 필요성
  19. 단편적인 통계 지표의 난해함 • 기사의 통계 중독과 대중의 숫 자 공포증 • 정확한 수치만 전달하려 하지 의미하는 바에 대한 설명 부족 • 대안으로 떠오른 인포그래픽 통계, 읽게 하지 말고 보게 만들고 이야기하자!
  20. 정보의 홍수 속에서 텍스트의 한계 • 매체의 디지털 전환, 데이터는 무서운 속도로 증가 • 디지털화에 따른 정보의 멀티 미디어화 • 텍스트만으로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람들에게 효과적으 로 정보전달하는데 한계 비주얼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21. 1994년 그리고 20년 뒤 2013년, 얼마나 달라졌을까? <응답하라 1994>의 신드롬 과연 우리들의 1994년은 어떠했는가? 소셜데이터와 공공데이터의 결합 1994년의 생활상과 2013년을 비교하여 우리의 삶이 얼마나 달라졌는지 파악 • 과거를 추억하고 오늘을 되돌아보며 • • • • http://newsjel.ly/issue/4/
  22. 정치와 연예의 기막힌 우연 • 음모론 검증 • 소셜데이터의 키워드 분석과 올해의 뉴스 기사를 수집 분석 • 연예와 정치의 기사량과 SNS 상의 반응 비교 대조 http://newsjel.ly/issue/5/
  23. 12월의 어느 날, 10년의 크리스마스 • 10년간의 크리스마스의 모습 을 스토리텔링 • 기온과 시대상의 매치 • 크리스마스를 화두로 우리사회의 변화를 이야기 http://newsjel.ly/issue/6/
  24. 그림 하나의 힘 : 인포그래픽 • 복잡한 정보의 조각들의 빠 르고,명백하고, 정확하게 • 많은 데이터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 정보들간 인과관계 발견 • 매개변수 모니터링
  25. 단순 사실 전달을 넘어 흐름을 보여준다
  26. two-way communication
  27. RAW 데이터 공개를 통한 정보 공유 • 국내의 경우 원시 데이터에 대 한 언급이 부족 • 공유된 정보도 기계에 의한 접 근이 불가능한 형태로 공유 • 원시 데이터 공유로 2차 저작물 생성 유도 • 다양하고 새로운 주제에 대한 활발한 논의
  28. 젤리녀와 함께 이야기 나누는 토론의 장 • 정보뿐만 아니라 의견에 대해서 도 사용자와 소통하는 노력 • 사용자 참여 요소 개발로 일방적 의사전달에서 토론의 장으로 함께 만들어가는 뉴스젤리!
  29. help@newsjel.ly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