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Nts Nuli(20)

Recently uploaded(20)

Advertisement

[7/27 접근성세미나]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의 사각 지대를 말하다

  1. 웹접근성 가이드라인의 사각지대를 말하다 김혜일
  2. .co.kr 한국형 웹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3. .co.kr 접근성 지침은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입니다.
  4. .co.kr 얍! 최후의 필살기! 품질마크를 받아랏!!!
  5. .co.kr 웹 접근성 품질마크 역시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입니다. 웹 접근성 품질마크가 높은 접근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6. .co.kr 1.3.3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대 1 이상… …… 다만, 본문 콘텐츠에 단순히 장식 목적으로만 사용한 글자, 마우스나 키보드를 활용하여 초점(Focus)을 받았을 때 명도 대비가 커지는 콘텐츠는 예외로 한다(지침 2.1.2 참조). 기본 마우스오버
  7. .co.kr 선택되지 않아 비활성화 상태인 항목의 명도대비는 예외… 1.3.3 명도대비 지침 외 사례 A 사례 B
  8. .co.kr 사례 C 사례 D
  9. .co.kr 중요 항목에 별도의 색상을 지정하여 사용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확인, 약관동의, 다음단계 등의 필수 항목 1.3.3 명도대비 지침 외 사례 A 사례 B
  10. .co.kr 사례 C
  11. .co.kr 사례 A 사례 B 1.3.3 명도대비 지침 외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분을 명확히 하는 것이 사용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 이 됩니다. 명확한 레이아웃 구분이 없으면 저시력 사용자가 콘텐츠를 인지하는데 어 려움을 겪게 됩니다.
  12. .co.kr 1.3.3 명도대비 지침 외 텍스트를 입력하는 편집창의 테두리에서도 명도대비는 보장되어야 합니다.
  13. .co.kr
  14. .co.kr onmouseover에 의한 스타일 변화 필요. (현재 적용되어있음)
  15. .co.kr 1.2.1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 동영상의 자막을 제공하고 있으나 그 사용성에 있어서는 명시하지 않고 있 어 자막/원고/수화를 제공하더라도 사용자의 정보 접근에 문제를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16. .co.kr 키보드사용자와 화면낭독기 사용자는 동일한가? 키보드 초점 이동이 가능하더라도 화면낭독기 사용자는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화면낭독기 사용자는 키보드사용자(상지)와 분명히 다릅니다. 2.1.1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17. .co.kr 일반적으로 저시력 사용자는 시야 넓이가 매우 좁다
  18. .co.kr
  19. .co.kr 거리와 시야넓이 저시력 사람 보통 사람
  20. .co.kr 확대 기능사용과 시야 넓이 1x 100 % 2x 25 % 3x 11.1 % 4x 6.2 %
  21. .co.kr 동영상 Magnify.table.mp4
  22. .co.kr 프로그램 시간 행사소개 (박태준) 12:30~13:00 네이버 웹 접근성 가이드라인 2.0 프리뷰 (조진주) 13:20~13:50 웹접근성 가이드라인의 사각 지대를 말하다 (김혜일/헤더스) 13:50~14:20 장차법의 해석을 통한 기업의 방향성 수립 요령 (류영일/헤더스, 이모션) 14:20~14:50 Break Time 14:50~15:10 테이블의 라인과 배경색 테이블의 선 스타일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셀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이해하 기 어려울 수 있다. 테이블의 라인을 명확하게 하거나 셀배경색을 활용해서 이를 보완할 수 있 다.
  23. .co.kr …… 사용자가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한 후 기능이 실 행되어야 하며,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새 창, 팝업 창 등을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3.2.1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은 실행되지 않아야… Mouse over Mouse out
  24. .co.kr 동영상 Layer.mouseover.mp4
  25. .co.kr 소메뉴, 페이지탭제목, 현재위치표시 등을 모두 링크로 제공하면서 링크목 록 상호간에 구분이나 구별자를 전혀 제공하지 않아 콘텐츠의 구성을 이해 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높다. 2.4.2 페이지, 프레임, 콘텐츠 블록에는 적절한 제목을 제공 2.4.3 링크 텍스트는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
  26. .co.kr
  27. .co.kr
  28. .co.kr 암호입력, 이체금액, 입금계좌번호 등을 입력하는 편집창에서 화면낭독기의 음성출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 웹을 이용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4.2.1 콘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
  29. .co.kr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일
  30. .co.kr 지침을 아무런 의식없이 적용한다면…
  31. .co.kr 지침을 바탕으로 사용자를 생각한다면…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