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e the first to like this
Slideshare uses cookies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you with relevant advertising. If you continue browsing the sit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n this website. See our User Agreement and Privacy Policy.
Slideshare uses cookies to improve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you with relevant advertising. If you continue browsing the site, you agree to the use of cookies on this website. See our Privacy Policy and User Agreement for details.
Published on
*데이터플러스는 '성별, 연령, 세대, 거주지역, 직업, 경제활동 유무, 반려동물 유무, 가구구성, 소득별' 비교 결과를 포함하지만,
본 조사는 '결혼 유무' 비교 결과도 포함함
*소비-일반(3월) 조사와 달리, 소비-일반(8월) 조사에서는 아래와 같이 조사대상 및 조사항목이 변경되었습니다.
- 조사대상 : 만 15~34세에서 만 15~39세로 확대 (밀레니얼 세대 전체 포함)
- 추가된 조사항목
1. 명품 보유 및 구매 경험 (A15~A18)
2. 중고거래 소비행태 (Part D)
3. 주요 6개 일반 은행 브랜드 이미지 (C10, C11)
4. 은행 및 증권사 지점 방문 경험, 모바일/인터넷 서비스 이용 경험 (C13~C16)
Part A. 소비 행태, 습관 및 성향
A1. 한 달 평균 지출 금액 단위 : 만 원 (주관식)
A2-1. (만 15-18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1) 교통비 2) 통신비 3) 학습비 4) 식비 5) 의류·의류잡화·화장품·이미용비
6) 온라인 콘텐츠, 모바일 앱 서비스, 소프트웨어 등 이용료
7) 여가비 8) 기타
A2-2. (만 19-39세) 한 달 평균 항목별 지출액
1) 주거비 및 공과금 2) 교통비 3) 통신비 4) 의료비 5) 교육비·학습비·자기계발비 (대학등록금 제외)
6) 식비 7) 생활용품비 8) 의류·의류잡화·화장품·이미용비
9) 온라인 콘텐츠, 모바일 앱 서비스, 소프트웨어 등 이용료
10) 여가비 11) 경조사비 12) 금융비 13) 기타
A3. 평소 소비 습관 (4점 척도)
1) 계획 소비 2) 절약 소비 3) 충동 구매 4) 과소비 (4점 척도)
A4. 계획 소비 및 절약 소비 관련 평소 습관 (복수)
A5. 충동 구매 및 과소비 관련 평소 습관 (복수)
A6. 최근 6개월 이내 의류·의류잡화 구매 여부 (단수)
A6-1. 의류·의류잡화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7. 최근 6개월 이내 화장품 구매 여부 (단수)
A7-1. 화장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8. 최근 6개월 이내 식품·음료 제품(주류 제외) 구매 여부 (단수)
A8.-1 식품·음료 제품(주류 제외)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9. 최근 6개월 이내 주류 제품(술) 구매 여부 (단수)
A9-1. 주류 제품(술)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0. 최근 6개월 이내 생활용품 구매 여부 (단수)
A10-1. 생활용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1. 최근 6개월 이내 인테리어 소품 구매 여부 (단수)
A11-1. 인테리어 소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2. 최근 6개월 이내 디지털·IT기기 구매 여부 (단수)
A12-1. 디지털·IT기기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3. 최근 6개월 이내 생활가전 구매 여부 (단수)
A13-1. 생활가전 제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A14. 소비 가치에 대한 중요도
1) 저렴한 가격 우선 (7점 척도)
2) 안정성, 안전성, AS 등 품질 우선 (7점 척도)
3) 효능, 성능 등 기능 우선 (7점 척도)
4) 디자인, 컬러 등 제품 외형 우선 (7점 척도)
5) 흔하거나 구입 방법 간편 등 구매 접근성 우선 (7점 척도)
6) 잘 알려져 있고 사람들이 많이 쓰는 브랜드 우선 (7점 척도)
7) 환경, 동물, 기부, 공정무역 등 신념 우선 (7점 척도)
8) 즉각적 만족, 보상 심리 등 소비행위 자체 만족감 우선 (7점 척도)
9) 취향, 취미, 덕질 우선 (7점 척도)
10) 재능, 노력, 자립, 혁신성 등에 대한 지지/응원 우선 (7점 척도)
11) 사회적 이슈에 따른 구매운동/불매운동 실천 우선 (7점 척도)
12) 시간/체력 절약, 스트레스 감소 등 편의 도모 우선 (7점 척도)
13) 인증하거나 보여줄 만한 가치 우선 (7점 척도)
A15. 현재 명품 보유 여부 (단수)
A15-1. 현재 보유하고 있는 명품 품목 (복수)
A16. 최근 1년 이내 새 제품으로 명품 구매 경험 (단수)
A16-1. 최근 1년 이내 새 제품으로 구매한 명품 품목 (복수)
A17. 최근 1년 이내 중고 제품으로 명품 구매 경험 (단수)
A17-1. 최근 1년 이내 중고 제품으로 구매한 명품 품목 (복수)
A18. 의류 및 패션잡화 명품 직접 구매 경험 (단수)
A18-1. 의류 및 패션잡화 명품 주요 구매처 (복수, 최대 3개)
Be the first to like this
Login to see th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