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33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20140058 사회교육과 김주찬
1. 교육평가의 과제
1) 이론적 측면
2) 실제적 측면
1.1 이론적 측면
1.1.1 교육관의 재정립
• 개인이 지니고 있는 교육관과 한 사회의 교육관이 평가
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때로는 사회 갈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국가는 국민들로 하여금 건전한 교육관을 가지
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나의 생각- 요즘과 같은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시
대에서는 교육관을 재정립해주는 일이 더욱 필요하다고
느낌.
1.1.2 새로운 평가이론의 보급
• 사회의 변화나 교육관에 의해 끊임없이 수정되고 개발되
어진다. 최근엔 개별적이고, 정성적이고, 학생의 수행을
강조하는 평가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학문들
과 융합하면서 실제 현장 속에서 활용되기 위한 노력들
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의 생각- 수행평가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학문 간의
경계를 허물어야 한다고 느낌.
1.1.3 평가 목적의 명료화
• 타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목적이 우선 명료해야한다
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평가 목적이 명확해지면 그에 따
른 평가 방법, 내용, 결과 활용 등이 제시되고 그에 대한
당위성이 성립되는 것이다.
나의 생각- 왜 평가를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명료하게
알아야 어떻게 평가를 해야 하는지도 뚜렷해 질 것 같다.
1.1.4 이해관련자들의 의견 수렴
• 반응중심평가 모형을 통해 Stake는 평가에 있어 이해관
계자의 관심과 쟁점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에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해관계자들의 불일치가
나타나 집단 간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해관
계자들 중에서도 평가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당사자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평가 성
공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나의 생각- 새로운 평가 제도의 도입 같은 경우 이러한
이해관계의 충돌보다는 합의점을 찾아내는 것이 올바른
평가로 가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1.1.5 평가 결과의 활용과 공개
• 평가 결과는 여러 상황에서 피평가자들을 변별하는 것
외에도 교육과정의 개정이나 교육방법의 선택에 피드백
되고, 개선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가
공개되면 평가 자체에 대한 공정성과 책무성을 검증 받
을 수 있기 때문에 평가의 신뢰를 높여 준다. 이처럼 평
가 결과의 활용은 개인, 기관, 나아가 사회와 국가의 발
전에 영향을 준다.
나의 생각- 보통 학교에서는 교육 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것을 꺼린다. 하지만 이를 공개하고 학생과 선생님, 학부
모까지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면 평가를 할수록 좋
은 결과가 있을 것 같다.
1.1.6 평가 전문가의 부족
• 평가 결과에 대한 활용성의 증대는 평가 과정이나 평가
결과의 공정성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는 곧 평가 전문성을 강조하는 상황이 되고 있는데, 평
가 전문성은 결국 평가 관련 당사자들이 평가관련 지식
을 얼마나 소유하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
나의 생각- 평가야말로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작
업인 것 같다.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는 일이 시급한 것
같다. 그러기 위해선 본문에서와 같이 대학원 과정이나
전문 단체나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
법을 잘 사용해야 한다.
1.2 실제적 측면
1.2.1 총괄 중심의 평가
• 총괄평가는 교육 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
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 목적이 전도되었다. 교육적
으로 바람직하다고 설정된 교육의 목표가 어느 정도나
달성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가 아니라,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 되어버린 현실이
우리나라 평가 상황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나의 생각- 우리나라는 거의 학습의 결과, 즉 높은 점수
를 얻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이 되고 있다. 그리고 그 현상
은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심화된다는 것이 문제이다.
1.2.2 규준참조평가 선호
• 규준참조평가는 상대평가라고 불리며 그 의미대로 평가
의 대상 집단인 학생들의 상호 비교 점수를 궁극적인 기
준으로 삼는다. 교육의 기본적 목적을 고려한다면 많은
부분 교육현장에서는 준거참조평가를 도입하는 것이 타
당하나, 현재 대학 입시 상황으로는 규준 참조 평가관에
의해 평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행
은 교육의 비교육화를 촉진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나의 생각- 상대평가는 서열을 매김으로 학생이 사뭇 열등
감에 사로잡힐 수 있다. 학생들을 줄 세우기 위한 상대평가
보다는 자신이 목표 점수를 지정해놓고 자신과 경쟁하도록
하는 절대평가가 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1.2.3 측정관과 평가관의 혼동
• 측정관은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실제는 그것이 물질적 현상이든
인간의 정신적 현상이든 안정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반해, 평가관은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실체나 인간의 특성은 변화한
다고 가정한다. 그 동안 학교에서 이루어진 평가는 측정관의 입장이
지배적이었고 무엇을 변화시키려고 했으며 실제 그러한 변화가 일
어났는지 등 질적, 가치적 시각에서의 평가는 미흡하였다.
나의 생각-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는 측정관은 잘 이루어지고 있으
나 평가관은 잘 이루어 지고 있지 않고 있다. 변화를 측정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영향을 준 요소들을 파악
하는 것도 못지 않게 중요한 문제이다.
1.2.4 학생의 학업 성취 평가 위주
• 평가의 주안점은 주로 학생의 여러 측면의 자질을 확인
하는 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문제는 평가 활
동이 어느 한 영역만을 강조하는 현상이 심화되어 평가
라고 하면 오직 학생의 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
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이다.
나의 생각- 학교에서는 학생의 능력을 시험 성적으로 일
반화 하는 경향이 있다. 대학 입시의 영향으로 지필 평가
영역에 비중의 거의 몰려 있는 것이 문제다. 지적 영역을
비롯하여 모든 측면을 평가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1.2.5 지적 영역 중심의 평가 관행
•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평가는 학생의 발달 영역 중에서
지적인 측면의 평가에 집중하여 왔다. 우리가 지금까지
지식의 전달의 수준의 교육을 해왔으며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 관한 평가가 어려워 그 부분의 평가가 소
홀해질 수밖에 없었고 교육 여건이 정의적 영역에서의
평가활동을 허락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 교육현장에서 지
적 영역의 평가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이유이다.
나의 생각-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지적 영역 뿐 아니라 여
러 측면에서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1.2.6 평가 결과 활용의 문제
• 궁극적으로 평가 자료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교 안에
서 발생하는 모든 교육적 행위와 상황을 이해하며, 교육
의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하여 수집
되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우리 학교 교육
평가 관행의 문제점은 평가 결과가 주로 학생의 서열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이다.
나의 생각- 쉽게 말해 평가 결과가 등수 매기는 데 밖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평가 결과는 피드백을 통해
서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도움
을 줄 수 있는 자료인 것 같다.
2. 교육평가의 전망
1) 개선 방향
2) 미래의 교육평가
2.1 개선방향
2.1.1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
• 교과서의 범위를 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
았던 학교 현장에서는 암기위주의 교육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내용이 교과서에 한정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나의 생각- 교사는 시험을 내기 위해 교과서에 국한되어
서 수업을 진행하고 평가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될 수 밖에 없다. 외우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업과 평가를 해야 한다.
2.1.2 전인적 평가 중심
• 인간의 성격, 태도와 가치, 도덕성, 각종 정의적 특성과
신체적인 기능을 기르는 것은 지식, 이해, 적용 등의 지
적 영역을 기르는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이
학교교육의 가장 근원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평가 영역
을 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평가로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나의 생각- 학교는 공부 잘하는 사람을 만들어 내는 곳이
아니다. 다방면으로 고루 발달시키는 곳이 학교이다. 지
적 영역만이 아니라 심동적, 정의적 영역도 평가의 비중
을 높여야 한다.
2.1.3 고등정신 능력의 평가
• 학교 교육평가가 응용력이나 종합력, 비판력이나 창의력
보다는 암기력과 같은 낮은 정신능력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구체적인 평가도구에 포함될
내용은 단순 암기로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깊이 있는 사
고 과정을 거쳐 대답할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나의 생각- 계속 비슷한 맥락의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그
만큼 중요한 이야기이다. 응용력, 논리력, 창의력이 암기
력 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그에 따
른 평가가 필요하다.
2.1.4 과정 중심의 평가
• 오늘날 학교교육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어떠하든
최종적인 결과가 어떠한가에 초점을 맞추어지고 있는 것
이 현실이다. 그러나 교육에서 최종 결과도 중요하지만,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해서 교육이 이루어지는가도 매우
중요하다.
나의 생각- 평가를 하고 나면 우리는 모두 결과에 집착한
다. 하지만 그걸로 끝난다면 우리나라는 발전이 없을 것
이다. 이제는 우리는 과정에 집중해야 한다. 과정을 평가
하는 것도 중요하다.
2.1.5 진단, 활용 중심의 평가
•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평가결과는 행정적 편의와 학생 전
체 능력 중심으로 되어 있다. 평가결과의 활용이 극대화
되어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 행동의 변화 기록, 장점 중심 기록, 누가
기록, 절대평가에 의한 개인 내적차이 비교 기록 등에 대
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나의 생각- 앞서 말했듯이 학생들을 줄 세우는 상대평가
보다는 자기 자신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절대평가
의 방법이 더 필요한 것 같다.
2.2 미래의 교육평가
2.2.1 ‘평가’의 재음미
• 교육평가란 교육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일이기 때문에, 교육평가
전문가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
식이나 능력은 평가의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부터 시작된다. 하
지만 평가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많은 용어들이 그 의미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평가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혼란이 나타나고 있다. 학
교교육에서의 평가의 의미는 ‘evaluation’이 아닌 ‘assessment’로
이해되어야 한다.
나의 생각- 우리가 교사가 되어 평가를 하려면 평가에 대한 개념부
터 전문적인 지식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평가 자체가 무엇인지 혼
란스럽다면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다.
2.2.2 교육관과 평가
• 평가를 보는 관점이나 입장은 교육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
한 교육관은 크게 선발적 교육관과 발달적 교육관으로 구분된
다. 선발적 교육관이란 모든 사람이 교육의 혜택을 누릴 수 없
기 때문에,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만이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 교육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늘날까지도 대부
분의 사람들이 교육을 보는 관점이다. 이와 달리 교육을 통해
개인의 적성이나 소질을 계발, 육성해야 한다는 관점을 발달
적 교육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교육관은 양극단에 위치하
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음으로 어떤 교육
관이 옳고 그르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나의 생각- 흑백논리에 의해 이 교육관은 맞고 저 교육관은
틀리다고 정하기 보다는 상호 보완을 통해 이상적인 교육관을
만들어가야한다.
2.2.3 평가 방법
• 평가방법은 크게 ‘관찰’에 의한 방법과 피평가자의 직접적인 ‘자기
보고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된다. 관찰에 의한 자료 수집 방법은 가
장 오랫동안 사용된 방법이긴 하지만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
다. 이에 반하여 자기 보고 방법은 학생들의 능력이나 태도 등을 본
인 스스로 나타내기 때문에 관찰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장
점을 가지고 있다. ‘자기 보고에 의한 방법’ 중에서 교육 현장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신뢰도가 높은 지필 검사이다. 우리는 지
필 검사와 수행평가를 서로 병행하면서 평가 목적이나 평가 결과의
활용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나의 생각- 지필검사는 현재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이다.
그만큼 신뢰도가 높다. 하지만 신뢰도가 조금 낮더라도 관찰에 의한
자료수집방법도 중요하다. 종이 한 장으로 사람을 알 수는 없는 법
이기 때문이다.
2.2.4 평가 판단
• 평가에서 판단은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달성 정
도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선발적 교육
관에 의한 평가 판단은 규준참조평가로, 발달적 교육관
에 의한 평가 판단은 준거참조평가로 나타난다.
2.2.5 평가 활용
• 평가 결과 활용 여부에 따라 평가방법, 평가의 판단, 점수 부여 방법
이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실시되는 모든 평가는 학
교 교육과정을 이수한 증거로 활용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총괄
평가만의 기능 뿐 아니라 평가는 교육 전, 교육 진행 중에도 가능하
다. 전자는 진단평가로, 후자는 형성평가로 이야기한다. 학교에선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평가 목적이나 결과 활용
이 불분명한 평가를 하고 있다.
나의 생각- 평가를 언제하고 언제 하면 안된다는 법은 없다. 언제든
지 필요하면 평가를 해야 한다. 다만 그 목적이 분명해야하고 평가
후 결과 활용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3. 평가의 확대
3.1 평가의 대중화
• 첫째, 우리 사회에서 평가는 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까지
유용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 둘째, 평가는 다른 분야나 학문으로 넓혀질 것이다.
• 셋째, 평가가 점차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제도
화될 것이다.
• 넷째, 평가는 전 세계로 확대될 것이다.
• 다섯째, 평가 관련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
• 여섯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점을 가지고 있는 내부 평가가
더 중요하게 될 것이다.
• 일곱째, 평가에서 전문적 협회와 활동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 여덟째, 평가 관련 증거 자료가 양적, 질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3.2 평가의 정교화
• 첫째, 대규모 평가는 점차 줄어들 것이다.
• 둘째, 평가 접근이 상황에 맞게 채택되고 절충적으로 될 것이다.
• 셋째, 평가가 정치적으로 더 세련될 것이다.
• 넷째, 윤리적 쟁점에 관심이 증가할 수이다.
• 다섯째, 여러 기술적인 발달이 평가자로 하여금 보고서 작성 방
법을 변화시킬 것이다.
• 여섯째,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이 다양화 될 것이다.
• 일곱째, 평가를 민주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 여덟째, 수행평가 운동이 활발해질 것이다.
3.3 평가의 비전
• 첫째,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를 높여야 한다.
• 둘째, 평가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다면적인 방
법과 절충적인 접근의 구성적 활용을 계속 연구하
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셋째, 평가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타평가의
활용을 높여야 한다.

More Related Content

Viewers also liked

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
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
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Devi Devika
 
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
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
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Jeff Hernandez
 
Email Recovery and Conversion
Email Recovery and ConversionEmail Recovery and Conversion
Email Recovery and ConversionSonika Rawat
 
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
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
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лена резник
 
Kt product catalogue s s
Kt product catalogue s sKt product catalogue s s
Kt product catalogue s sSohail Ahmed
 
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
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
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Paul W Davies
 
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
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
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Ahmedabd Eleslamboly Eleslamboly
 
Anhut Toll Bros Ref Ltr
Anhut Toll Bros Ref LtrAnhut Toll Bros Ref Ltr
Anhut Toll Bros Ref LtrMarika Mensch
 

Viewers also liked (14)

T291 - MBA Pathways_300x270
T291 - MBA Pathways_300x270T291 - MBA Pathways_300x270
T291 - MBA Pathways_300x270
 
Bab i
Bab iBab i
Bab i
 
Experience
ExperienceExperience
Experience
 
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
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
Digital signal processing_by_j.s.chitode
 
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
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
The basics of embroidey digitizing
 
Non verbal communication
Non verbal communicationNon verbal communication
Non verbal communication
 
Vipra today july 2016
Vipra today july 2016Vipra today july 2016
Vipra today july 2016
 
Email Recovery and Conversion
Email Recovery and ConversionEmail Recovery and Conversion
Email Recovery and Conversion
 
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
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
презентация команды мбоу сш 15 5 класс
 
Kt product catalogue s s
Kt product catalogue s sKt product catalogue s s
Kt product catalogue s s
 
CV - Hesham M. Badr - 2016
CV - Hesham M. Badr - 2016CV - Hesham M. Badr - 2016
CV - Hesham M. Badr - 2016
 
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
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
Allied presentation pd jan 2015
 
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
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
Effect of planting containers, cutting types and IBA on transplants productio...
 
Anhut Toll Bros Ref Ltr
Anhut Toll Bros Ref LtrAnhut Toll Bros Ref Ltr
Anhut Toll Bros Ref Ltr
 

Similar to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tjgus0610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SeoYeon Cha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parkhyemi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유리 박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alskdmfmxk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Minsoo Jung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Minsoo Jung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Minsoo Jung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tngml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yujeong2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guest917038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은영 장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roh_eungyeong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Minsoo Jung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dmavyenro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Minsoo Jung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지수 남
 

Similar to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20)

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국어20140028김서현
국어20140028김서현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_차서연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과정 260-292 ppt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평가 Ppt(2 2학기) pdf파일
 
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교육과정Ppt
교육과정Ppt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30_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_3박유리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13 교육평가이해(교육관개념기능) 3조수린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제1장p30 교육평가이해(교육평가관평가유형) 4맹민영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교육평가관
교육평가관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교육과정 260~292쪽 유수희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제1장교육평가의이해13~53 한유정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운영 업그레이드 전략 발표 자료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 6장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ppt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노은경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교육평가의 이해(교육관 평가, 개념과 기능) 김지혜
 
제 13장
제 13장제 13장
제 13장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_남지수
 
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제 6장 수행평가
제 6장 수행평가
 

제9장교육평가과제전망 김주찬

  • 1.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20140058 사회교육과 김주찬
  • 2. 1. 교육평가의 과제 1) 이론적 측면 2) 실제적 측면
  • 4. 1.1.1 교육관의 재정립 • 개인이 지니고 있는 교육관과 한 사회의 교육관이 평가 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때로는 사회 갈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국가는 국민들로 하여금 건전한 교육관을 가지 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나의 생각- 요즘과 같은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시 대에서는 교육관을 재정립해주는 일이 더욱 필요하다고 느낌.
  • 5. 1.1.2 새로운 평가이론의 보급 • 사회의 변화나 교육관에 의해 끊임없이 수정되고 개발되 어진다. 최근엔 개별적이고, 정성적이고, 학생의 수행을 강조하는 평가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여러 학문들 과 융합하면서 실제 현장 속에서 활용되기 위한 노력들 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의 생각- 수행평가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학문 간의 경계를 허물어야 한다고 느낌.
  • 6. 1.1.3 평가 목적의 명료화 • 타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평가 목적이 우선 명료해야한다 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평가 목적이 명확해지면 그에 따 른 평가 방법, 내용, 결과 활용 등이 제시되고 그에 대한 당위성이 성립되는 것이다. 나의 생각- 왜 평가를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명료하게 알아야 어떻게 평가를 해야 하는지도 뚜렷해 질 것 같다.
  • 7. 1.1.4 이해관련자들의 의견 수렴 • 반응중심평가 모형을 통해 Stake는 평가에 있어 이해관 계자의 관심과 쟁점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에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해관계자들의 불일치가 나타나 집단 간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해관 계자들 중에서도 평가 결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 당사자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평가 성 공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나의 생각- 새로운 평가 제도의 도입 같은 경우 이러한 이해관계의 충돌보다는 합의점을 찾아내는 것이 올바른 평가로 가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 8. 1.1.5 평가 결과의 활용과 공개 • 평가 결과는 여러 상황에서 피평가자들을 변별하는 것 외에도 교육과정의 개정이나 교육방법의 선택에 피드백 되고, 개선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가 공개되면 평가 자체에 대한 공정성과 책무성을 검증 받 을 수 있기 때문에 평가의 신뢰를 높여 준다. 이처럼 평 가 결과의 활용은 개인, 기관, 나아가 사회와 국가의 발 전에 영향을 준다. 나의 생각- 보통 학교에서는 교육 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것을 꺼린다. 하지만 이를 공개하고 학생과 선생님, 학부 모까지 서로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면 평가를 할수록 좋 은 결과가 있을 것 같다.
  • 9. 1.1.6 평가 전문가의 부족 • 평가 결과에 대한 활용성의 증대는 평가 과정이나 평가 결과의 공정성에 더욱 관심을 가지는 요소가 되고 있다. 이는 곧 평가 전문성을 강조하는 상황이 되고 있는데, 평 가 전문성은 결국 평가 관련 당사자들이 평가관련 지식 을 얼마나 소유하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 나의 생각- 평가야말로 전문적인 지식을 필요로 하는 작 업인 것 같다.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는 일이 시급한 것 같다. 그러기 위해선 본문에서와 같이 대학원 과정이나 전문 단체나 학회가 중심이 되어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 법을 잘 사용해야 한다.
  • 11. 1.2.1 총괄 중심의 평가 • 총괄평가는 교육 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 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 목적이 전도되었다. 교육적 으로 바람직하다고 설정된 교육의 목표가 어느 정도나 달성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가 아니라,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 되어버린 현실이 우리나라 평가 상황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나의 생각- 우리나라는 거의 학습의 결과, 즉 높은 점수 를 얻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이 되고 있다. 그리고 그 현상 은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심화된다는 것이 문제이다.
  • 12. 1.2.2 규준참조평가 선호 • 규준참조평가는 상대평가라고 불리며 그 의미대로 평가 의 대상 집단인 학생들의 상호 비교 점수를 궁극적인 기 준으로 삼는다. 교육의 기본적 목적을 고려한다면 많은 부분 교육현장에서는 준거참조평가를 도입하는 것이 타 당하나, 현재 대학 입시 상황으로는 규준 참조 평가관에 의해 평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행 은 교육의 비교육화를 촉진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나의 생각- 상대평가는 서열을 매김으로 학생이 사뭇 열등 감에 사로잡힐 수 있다. 학생들을 줄 세우기 위한 상대평가 보다는 자신이 목표 점수를 지정해놓고 자신과 경쟁하도록 하는 절대평가가 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13. 1.2.3 측정관과 평가관의 혼동 • 측정관은 이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실제는 그것이 물질적 현상이든 인간의 정신적 현상이든 안정성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반해, 평가관은 세계에 존재하는 모든 실체나 인간의 특성은 변화한 다고 가정한다. 그 동안 학교에서 이루어진 평가는 측정관의 입장이 지배적이었고 무엇을 변화시키려고 했으며 실제 그러한 변화가 일 어났는지 등 질적, 가치적 시각에서의 평가는 미흡하였다. 나의 생각-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는 측정관은 잘 이루어지고 있으 나 평가관은 잘 이루어 지고 있지 않고 있다. 변화를 측정하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영향을 준 요소들을 파악 하는 것도 못지 않게 중요한 문제이다.
  • 14. 1.2.4 학생의 학업 성취 평가 위주 • 평가의 주안점은 주로 학생의 여러 측면의 자질을 확인 하는 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문제는 평가 활 동이 어느 한 영역만을 강조하는 현상이 심화되어 평가 라고 하면 오직 학생의 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 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문제이다. 나의 생각- 학교에서는 학생의 능력을 시험 성적으로 일 반화 하는 경향이 있다. 대학 입시의 영향으로 지필 평가 영역에 비중의 거의 몰려 있는 것이 문제다. 지적 영역을 비롯하여 모든 측면을 평가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 15. 1.2.5 지적 영역 중심의 평가 관행 •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평가는 학생의 발달 영역 중에서 지적인 측면의 평가에 집중하여 왔다. 우리가 지금까지 지식의 전달의 수준의 교육을 해왔으며 정의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에 관한 평가가 어려워 그 부분의 평가가 소 홀해질 수밖에 없었고 교육 여건이 정의적 영역에서의 평가활동을 허락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 교육현장에서 지 적 영역의 평가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는 이유이다. 나의 생각-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지적 영역 뿐 아니라 여 러 측면에서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 16. 1.2.6 평가 결과 활용의 문제 • 궁극적으로 평가 자료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교 안에 서 발생하는 모든 교육적 행위와 상황을 이해하며, 교육 의 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하여 수집 되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우리 학교 교육 평가 관행의 문제점은 평가 결과가 주로 학생의 서열을 결정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된다는 점이다. 나의 생각- 쉽게 말해 평가 결과가 등수 매기는 데 밖에 사용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평가 결과는 피드백을 통해 서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도움 을 줄 수 있는 자료인 것 같다.
  • 17. 2. 교육평가의 전망 1) 개선 방향 2) 미래의 교육평가
  • 19. 2.1.1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 • 교과서의 범위를 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삼 았던 학교 현장에서는 암기위주의 교육을 유도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가의 내용이 교과서에 한정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나의 생각- 교사는 시험을 내기 위해 교과서에 국한되어 서 수업을 진행하고 평가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암기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될 수 밖에 없다. 외우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업과 평가를 해야 한다.
  • 20. 2.1.2 전인적 평가 중심 • 인간의 성격, 태도와 가치, 도덕성, 각종 정의적 특성과 신체적인 기능을 기르는 것은 지식, 이해, 적용 등의 지 적 영역을 기르는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이 학교교육의 가장 근원적인 목적이다. 따라서 평가 영역 을 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평가로 활성화 시켜야 할 것이다. 나의 생각- 학교는 공부 잘하는 사람을 만들어 내는 곳이 아니다. 다방면으로 고루 발달시키는 곳이 학교이다. 지 적 영역만이 아니라 심동적, 정의적 영역도 평가의 비중 을 높여야 한다.
  • 21. 2.1.3 고등정신 능력의 평가 • 학교 교육평가가 응용력이나 종합력, 비판력이나 창의력 보다는 암기력과 같은 낮은 정신능력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구체적인 평가도구에 포함될 내용은 단순 암기로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깊이 있는 사 고 과정을 거쳐 대답할 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나의 생각- 계속 비슷한 맥락의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그 만큼 중요한 이야기이다. 응용력, 논리력, 창의력이 암기 력 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그에 따 른 평가가 필요하다.
  • 22. 2.1.4 과정 중심의 평가 • 오늘날 학교교육은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어떠하든 최종적인 결과가 어떠한가에 초점을 맞추어지고 있는 것 이 현실이다. 그러나 교육에서 최종 결과도 중요하지만, 어떤 절차나 과정을 통해서 교육이 이루어지는가도 매우 중요하다. 나의 생각- 평가를 하고 나면 우리는 모두 결과에 집착한 다. 하지만 그걸로 끝난다면 우리나라는 발전이 없을 것 이다. 이제는 우리는 과정에 집중해야 한다. 과정을 평가 하는 것도 중요하다.
  • 23. 2.1.5 진단, 활용 중심의 평가 •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평가결과는 행정적 편의와 학생 전 체 능력 중심으로 되어 있다. 평가결과의 활용이 극대화 되어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에게 도움을 주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생 행동의 변화 기록, 장점 중심 기록, 누가 기록, 절대평가에 의한 개인 내적차이 비교 기록 등에 대 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나의 생각- 앞서 말했듯이 학생들을 줄 세우는 상대평가 보다는 자기 자신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절대평가 의 방법이 더 필요한 것 같다.
  • 25. 2.2.1 ‘평가’의 재음미 • 교육평가란 교육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는 일이기 때문에, 교육평가 전문가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 식이나 능력은 평가의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부터 시작된다. 하 지만 평가의 개념으로 사용되는 많은 용어들이 그 의미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평가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혼란이 나타나고 있다. 학 교교육에서의 평가의 의미는 ‘evaluation’이 아닌 ‘assessment’로 이해되어야 한다. 나의 생각- 우리가 교사가 되어 평가를 하려면 평가에 대한 개념부 터 전문적인 지식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평가 자체가 무엇인지 혼 란스럽다면 제대로 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다.
  • 26. 2.2.2 교육관과 평가 • 평가를 보는 관점이나 입장은 교육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 한 교육관은 크게 선발적 교육관과 발달적 교육관으로 구분된 다. 선발적 교육관이란 모든 사람이 교육의 혜택을 누릴 수 없 기 때문에, 소수의 선택된 사람들만이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 교육관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늘날까지도 대부 분의 사람들이 교육을 보는 관점이다. 이와 달리 교육을 통해 개인의 적성이나 소질을 계발, 육성해야 한다는 관점을 발달 적 교육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교육관은 양극단에 위치하 고 있으며, 목적에 따라 다르게 활용될 수 있음으로 어떤 교육 관이 옳고 그르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나의 생각- 흑백논리에 의해 이 교육관은 맞고 저 교육관은 틀리다고 정하기 보다는 상호 보완을 통해 이상적인 교육관을 만들어가야한다.
  • 27. 2.2.3 평가 방법 • 평가방법은 크게 ‘관찰’에 의한 방법과 피평가자의 직접적인 ‘자기 보고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된다. 관찰에 의한 자료 수집 방법은 가 장 오랫동안 사용된 방법이긴 하지만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 다. 이에 반하여 자기 보고 방법은 학생들의 능력이나 태도 등을 본 인 스스로 나타내기 때문에 관찰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장 점을 가지고 있다. ‘자기 보고에 의한 방법’ 중에서 교육 현장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은 신뢰도가 높은 지필 검사이다. 우리는 지 필 검사와 수행평가를 서로 병행하면서 평가 목적이나 평가 결과의 활용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나의 생각- 지필검사는 현재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방법이다. 그만큼 신뢰도가 높다. 하지만 신뢰도가 조금 낮더라도 관찰에 의한 자료수집방법도 중요하다. 종이 한 장으로 사람을 알 수는 없는 법 이기 때문이다.
  • 28. 2.2.4 평가 판단 • 평가에서 판단은 비교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달성 정 도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선발적 교육 관에 의한 평가 판단은 규준참조평가로, 발달적 교육관 에 의한 평가 판단은 준거참조평가로 나타난다.
  • 29. 2.2.5 평가 활용 • 평가 결과 활용 여부에 따라 평가방법, 평가의 판단, 점수 부여 방법 이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실시되는 모든 평가는 학 교 교육과정을 이수한 증거로 활용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총괄 평가만의 기능 뿐 아니라 평가는 교육 전, 교육 진행 중에도 가능하 다. 전자는 진단평가로, 후자는 형성평가로 이야기한다. 학교에선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평가 목적이나 결과 활용 이 불분명한 평가를 하고 있다. 나의 생각- 평가를 언제하고 언제 하면 안된다는 법은 없다. 언제든 지 필요하면 평가를 해야 한다. 다만 그 목적이 분명해야하고 평가 후 결과 활용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 31. 3.1 평가의 대중화 • 첫째, 우리 사회에서 평가는 교육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까지 유용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 둘째, 평가는 다른 분야나 학문으로 넓혀질 것이다. • 셋째, 평가가 점차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제도 화될 것이다. • 넷째, 평가는 전 세계로 확대될 것이다. • 다섯째, 평가 관련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 • 여섯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점을 가지고 있는 내부 평가가 더 중요하게 될 것이다. • 일곱째, 평가에서 전문적 협회와 활동이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 여덟째, 평가 관련 증거 자료가 양적, 질적으로 증가될 것이다.
  • 32. 3.2 평가의 정교화 • 첫째, 대규모 평가는 점차 줄어들 것이다. • 둘째, 평가 접근이 상황에 맞게 채택되고 절충적으로 될 것이다. • 셋째, 평가가 정치적으로 더 세련될 것이다. • 넷째, 윤리적 쟁점에 관심이 증가할 수이다. • 다섯째, 여러 기술적인 발달이 평가자로 하여금 보고서 작성 방 법을 변화시킬 것이다. • 여섯째,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이 다양화 될 것이다. • 일곱째, 평가를 민주화하려는 노력이 계속될 것이다. • 여덟째, 수행평가 운동이 활발해질 것이다.
  • 33. 3.3 평가의 비전 • 첫째,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를 높여야 한다. • 둘째, 평가의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다면적인 방 법과 절충적인 접근의 구성적 활용을 계속 연구하 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 셋째, 평가 실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메타평가의 활용을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