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44
Download to read offline
디브러리 총서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국립중앙도서관
제2권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목 차

         1
      제 장 서론                            제 5 장 NDL 인포메이션코먼스의이용자시나리오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0              1. 기본 서비스 | 54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11               2. 디지털 열람 서비스 | 71
                                        3. 디지털 클러스터/러닝 서비스 | 79
                                        4. 미디어 스튜디오 서비스 | 9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전시/회의 서비스 | 102
                                        6. 기타 서비스 | 108
                                        7.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111
      1. 미래연구 방법 | 14
      2. 이용자 시나리오 관련 선행연구 | 15


                                        제 6 장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
      제 3 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1. 검색 서비스 | 126
                                        2. 열람 서비스 | 138
      1. 연구의 전제조건 | 20
                                        3. 참여 서비스 | 186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방법 | 21
                                        4. 이용 서비스 | 236
      3. 연구의 조사방법 | 26
                                        5.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266




      제 4 장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제 7 장 결론 | 277
      1.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이용자 시나리오 | 40
      2.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 | 43
      3. 정보소외계층의 이용자 시나리오 | 49
                                        [참 고 문 헌] | 281
제2권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표 목차                                                 그림 목차



   [표 Ⅲ-1] 이용자 분류                            | 22       [그림 Ⅲ-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0

   [표 Ⅲ-2] 시나리오 작업 흐름                        | 24       [그림 Ⅲ-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1

   [표 Ⅲ-3]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정의                     | 26       [그림 Ⅲ-3] 예측의 정확성과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   | 24

   [표 Ⅲ-4] 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             | 27       [그림 Ⅲ-4] 예측자의 전문성과 예측자의 수                | 25

   [표 Ⅲ-5] 인포메이션 코먼스 용도별 명수                  | 28

   [표 Ⅲ-6]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32

   [표 Ⅲ-7] 도서관 이용의 주목적                       | 33

   [표 Ⅲ-8]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선호 서비스                 | 34

   [표 Ⅲ-9] 검색결과 표현항목                         | 35

   [표 Ⅲ-10] 자료열람 시 요구사항                      | 36

   [표 Ⅲ-11] 온라인교육 요구내용                       | 37

   [표 Ⅴ-1]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기본 서비스            | 55

   [표 Ⅴ-2]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디지털 열람 서비스        | 72

   [표 Ⅴ-3]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디지털 클러스터/러닝 서비스   | 80

   [표 Ⅴ-4]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미디어 스튜디오 서비스      | 95

   [표 Ⅴ-5]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전시/회의 서비스         | 103

   [표 Ⅴ-6]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기타 서비스            | 108

   [표 Ⅴ-7]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112

   [표 Ⅵ-1]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검색 서비스            | 127

   [표 Ⅵ-2]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열람 서비스            | 143

   [표 Ⅵ-3]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참여 서비스            | 189

   [표 Ⅵ-4]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이용 서비스            | 238

   [표 Ⅵ-5]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267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발




    총서 발간사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디지털 정보자원        이러한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07년도“국립디지털도서관
                  의 수집 · 정리 · 보존 및 이용에 대한 새로운 도서관 혁신모   운영 시범사업” 수행하였으며, 도서관 학계와 업계, 도서관 실무진 등 유수의 인력들이 참가하
                                                               을
                  델로서 국내외 디지털정보서비스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려       고 수차례의 자문을 거쳐 수행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고 합니다.
                                                         본 총서에는 2007년 수행결과를 5권(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 디지털정보에 쉽게       발, 디지털장서 관리 및 연구개발, 디브러리 이용자서비스 공간구축,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으로
                  접근하고 쌍방향 참여로 원하는 디지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편찬하였습니다. 디브러리 총서는 2007년도 결과물 발간을 시작으로 계속적인 연구결과를 편찬
                  전문 지식포털 디브러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할 것이며, 도서관 학계 및 현장에 배포하여 디지털도서관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모델이 될 것으
                                                        로 기대합니다.
                   또한 최첨단 시설로 정보 열람과 활용에 새로운 혁신을 더해
                  주며, 자연과 사람 그리고 정보를 접목한 친환경 도서관을 짓      2009년 개관될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의 혁신과 창조적인 지식 생산으로 대
                  고 있습니다.                               민국을 지력강국(知力强國)으로 거듭나게 하기위한 도약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권 경 상




6                                                                                                총서 발간사        7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1장         서론                                           의 정보와 관련된 행위를 예측하고 방문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것들을
                                                              반영한 이용자 중심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미래예측적인 이용자 시나리오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몇 개의 가정을 통해 예측해 봄으로써 정보 환경 변화에서 일어날 수 있
                                                              는 여러 가능성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예측적인 이용자 시나리오를 통하여 새롭게 변화된 정보환경에 적합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3가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지의 방법을 통하여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행태 및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 환경에 적합한 이용자 중심의 정
      과거 종이 중심의 오프라인 환경에서 전자매체 중심의 온라인 환경으로, 그리고 인터넷의 발달
                                                              보서비스를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이용자를 다양한 유형(성별, 연령, 주제 등)으로 분류하여 각
     로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환경으로 정보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었으며, 누구든지 언제
                                                              각의 이용자 유형별 요구사항을 관찰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반영하고자 한다. 셋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째, 최근 변화된 유무형의 IT 환경 및 정보서비스 기술을 파악하여 디지털도서관의 인포메이션
     도서관도 종이 중심의 자료 제공에서 디지털 자료의 제공으로 범위가 확대되어 온라인 기반의 서
                                                              코먼스 및 포털서비스에 반영하고자 한다.
     비스 제공과 첨단기술과 기기들로 구성된 디지털도서관이란 개념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
     른 다양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면서 기존의 도서관들이 디지털도서관으로 그
                                                               또한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범위로 연구
     기능들을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도 과거에는 집에서 가까운 도서관에 가서 직접 자료를
                                                              를 진행하였다. 첫째, 변화된 디지털도서관 환경에서의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에 대한 개념을 정
     찾아 자료를 열람하거나 대출하였으나 온라인 기반의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정보 환경이 변화됨
                                                              립하고 미래학 관련 분야의 전문 서적과 논문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미래예측 방법 및 선행연구
     에 따라 집에 앉아서 컴퓨터로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고 바로 열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료의 대
                                                              사례를 고찰해보고, 본 연구과제에서 수행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의 원칙 및 조사방법을
     상도 국내뿐만 아니라 범위가 확대되어 World Wide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전 세계에 있는 자
                                                              제시하였다. 둘째, 제시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의 원칙 및 조사방법을 통하여 이용자 시나
     료들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정보 환경에서 지속적
                                                              리오 개발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셋째, 제안된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을 기반으로 인포메이
     으로 증가하는 정보들을 선별하여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
                                                              션 코먼스 및 포털 부문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된 이용자 시나리오를 다양
     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을 대표하
                                                              한 관점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는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는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 환경을 체계적으로 예측하고 판단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계획하여 마련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미래의 정보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감지하여 능
     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정보 환경변화의 여러 가능성들을 정리한 다음, 각 환경에서 이용자들




10                                                                                                       제1장 서론        11
제2장
이론적 배경




         1. 미래연구 방법

2. 이용자 시나리오 관련 선행연구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2장 이론적배경                                               늘어난다. 넷째, 미래의 도서관은 끊임없이 변하는 정보기술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용자의
                                                             요구와 그에 따른 정보서비스의 추이를 분석하고 예측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
                                                             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차미경(2004)은“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의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기법의 적용”
                                                                                                            에서
                                                             시나리오기법을 사용하여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의 미래를 예측하였다. 차미경(2004)의 연
                                                             구에 따르면, 미래 대학도서관의 학술정보서비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모바일 통신의 결
                                                             합으로 전자 학술정보의 이용이 늘어날 것이며, 대학도서관간에 학술정보 공유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미래 학술정보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환경에 맞는 새로운 봉사
                                                             모델의 개발과 자원공유를 위한 국가의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1. 미래연구 방법                                               이민석(2003)은 디지털 컨텐츠의 하나로 많은 도서관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전자책 산업에 대
                                                             한 현황을 분석하면서, 전자책의 발전과 미래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그는 전자책이 디지털 컨텐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들로 진행되어 왔
                                                             츠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전자책 표현기술과 viewer 기술, 저작 기술, 단말 기술
     으나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단순히 미래의
                                                             등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예상되는 미래의 정보 환경과 도서관의 상황들에 대해서 피상적으로 접근
                                                              이미화와 이나니(2003)는 무선정보환경이 변함에 따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도 새로
     하는 방법이다. 둘째, 보다 실제적인 연구로서 미래예측의 방법과 기법을 사용하여 도서관의 미
                                                             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전하면서, 무선정보환경에 따라 정보이용자들의 이용·학습행태,
     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서관 정보서비스
                                                             의사교환형태가 변하고 있으며, 학술정보를 담당하는 도서관에서도 적절한 대책과 준비가 필요
     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
                                                             하다고 역설하였다.
     인 미래의 도서관 모습을 제시한 후자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선행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선행사례들의 과학적인 연구방법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과제에서는 미래 예측적인
      노동조(2004)는“추세연장적 예측을 통한 도서관·정보센터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도
                                                   에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의 3가지 원칙 및 연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3가지 조사방법을 제시
     서관?정보센터가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감지하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전제 아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래 미래예측방법의 하나인 추세연장적 예측을 통하여 도서관·정보센터의 미래를 예측한 것이
     다. 전술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주요 도서관의 홈페이지 분석, 전문사서
                                                             2. 이용자 시나리오 관련 선행연구
     와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 나타난 추세를 근거로 도서관·정보센터의 중기 미래를 예측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의 정보환경은 모바일과 유비쿼터
                                                              이용자 시나리오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들로 진행되어 왔으나 문
     스 환경으로 대표되며, 이들을 통해서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이용하더라도 다
                                                             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앞에서 기술한 노동조, 차미경의 미래연구와 같이 진행된 선행연구가 대표
     양한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간적 지체, 단말기 기술과
                                                             적이다. 그러므로 이용자 시나리오의 선행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선
     보급 속도, 도서관 서비스의 자세와 대응 속도, 저작권 문제 등이 미래의 도서관에 영향을 미치는
                                                             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불확실 요인이다. 셋째, 미래의 도서관은 무선 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접근과 이용이 더욱 확대되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은“미래 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미래교육
                                                                                                         에서
     며, 모바일 기술이 발전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이 보편화되어, 결국에는 전자 정보의 이용이 더욱
                                                             의 핵심 키워드로 대두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 컴퓨팅기술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지를 탐구해보고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효율적인 학습모델을        터 종료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경로로 이루어 졌으며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예시 자료와 시나리오 개발을 통하여 학습모델의 구체적인 구현모습을 제       특히 브라우징 단계를 중심으로 반복 순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이용자의 실제 웹
     기하고자 하였다. 이 보고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 교육을 중심으     정보탐색 경험을 철저히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수집하였으며, 시간적 흐름에 따른 이용자의 인
     로 국내·외의 u-러닝 관련 연구와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u-러닝 학습모델을 개발하    지이동을 분석함으로써 웹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정보탐색행위의 흐름을 실증적이고 논리적으로
     였다. 셋째, 모델을 적용한 예시 자료 및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여기서 시나리오는 현재의 유비    보여 줬다.
     쿼터스 기술의 한계를 좀 더 넘어선 미래 지향적 관점을 가지고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NDL 정보서비스를 Simulation하
      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은“미래교육 시나리오에 기반한 e-러닝 표준화 로드맵 v2      기 위하여 이용자의 형식화된 행위의 흐름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기본적으
     연구”
       에서 e-러닝에 관련된 많은 전문가들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의 상황과 기술적         로 선택하였고, 비 기능적인 요구사항은 Robert Grady의 FURPS+를 근거로 추가하여 작성하
     표준화 요소가 융합된 e-러닝 표준화 로드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 결        였다.
     과 두 가지 주요 과제가 도출되었다. 표준화 로드맵이 미래의 e-러닝 비전을 담고 있어야 되
     기 때문에 미래 교육을 담은 미래 e-러닝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이 첫 번째 주요 연구 과제
     이다. 두 번째 연구과제는 작성된 2015년의 미래 e-러닝 시나리오를 통해 e-러닝 표준화
     로드맵 v2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실행하기 위해 e-러닝 시스템 모델인 IEEE
     LTSA에 기반하여 시나리오를 분석하는 개발 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6)은“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미래교실 구성 방안” 유
                                                   에서
     비쿼터스 환경에서 교육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래교육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미래
     교실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표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래 교육환경에 대한 교육수요
     자 요구조사를 통해 미래 교실환경 모델을 제안하고 미래교실 모델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미래교육환경의 혁신을 위한 기초 조사를 수행하였다.
     둘째, 미래 교수학습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셋째, 미래 교육환경의 효율적 구성방안
     을 마련하였다. 미래교실 프로토타입 구축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미래교실 사용자 시나
     리오를 작성하였다.
      김성진(2006)은“웹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 웹이용자에게서 보여지는 공통된
                                    에서
     정보탐색행위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들이 웹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는지 그 행위 패턴을 분석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대별 인터뷰 기법을 적용하여 Dervin의 인지이동 개념을 기반으로 웹
     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인지적 움직임을 파악하였으며, 응답자 21명을 대상으로
     37개의 웹 탐색 경험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웹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위는 시작, 검색하기,
     결과보기/둘러보기, 조사하기/비교하기, 정보찾기/종합하기, 결정하기/행동하기, 종료의 7개 유
     형으로 정리되었다. 각 행위 단계별로 이동한 경로를 분석 하였을 때 웹 정보탐색행위는 시작부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7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1. 연구의 전제조건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방법

              3. 연구의 조사방법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②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검색




                                                                                                              열람

                                                                                              NDL 포털
                                                                      정보욕구     조사
                                                                                             (방문) 접속

                                                                                                              참여




     1. 연구의 전제조건                                                                                              이용


                                                                                  [그림 Ⅲ-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이용자의 속성에 대한 가정 |
      미래의 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다.                   시나리오 작성 시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포털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부분을 좀 더 세부적으로
      ① 이용자는 성별, 연령, 지적수준, 도구이용능력 등 분류 가능한 어떤 속성을 갖고 있다.       나누어 작성함으로써“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 연구과제”
                                                                                             에서 다양한 유스케이스를 분석할
      ② 이용자는 정보 및 IT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정보서비스를 경험하거나 인지하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의 경우는“방문, 예약”
                                                                                                       에서“이용”
                                                                                                            까지로,
       있다.                                                     포털 이용자의 경우는“(방문)접속” “참여”
                                                                                 에서   까지로 정보탐색 과정을 결정하기로 하였다.
      ③ 이용자는 시대 흐름에 부응하는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직접적 또는 잠재적으로 요구
       하고 있다.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

     |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에 대한 가정 |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3대 연구원칙 |
      NDL의 계획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은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은 이       본 연구의 목적인 미래예측적인 이용자 시나리오를 통하여 새롭게 변화된 정보환경에 적합한
     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으로 이용자의 자료이용 행위에 관한 흐름을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기반마련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3대 연구원칙을 정하고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참조모델이다.                                      그 원칙을 기준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첫째, 이용자 중심의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시나리오 작성자(예측자)는 각 시나리오의 주인공
      ①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이 되어 모든 것을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며 이용자의 환경을 정확히 이해하고 시나리오를 작성
                                                               한다. 또한 이용자 행위 흐름은 이용자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의 이
                           NDL IC
      정보욕구      조사                     가이드           이용   열람
                           방문예약                                용자 관련 정책적인 사항은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전 연구 초기에 파악해야 한다. 여기서 이용자
                                                               중심이란 제공자 중심, 관리자 중심, 시스템 중심 등과 의미적으로 반대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
                     [그림 Ⅲ-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것이다.



20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1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둘째, NDL 사업계획을 고려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NDL 서비스의 3가지 요소인 정보 자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국가기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기 구축된 도서관들을 선별하여 방문
     정보 기기, 디지털 시설을 고려하여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는데 이러한 NDL 서비스의 3가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문지 조사내용은 방문자들이 정리, 요약하여 다른 시나리오 작성자들과 자
     요소가 아직 구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여 다분히 미래 예측적                   료를 공유하고 브레인스토밍을 거치면서 시나리오 작성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예측 가능하도록
     인 시나리오를 기술해야 하므로 계속적인 작성자와 협력자 간의 브레인스토밍이 이루어져야만                      하였다.
     한다. 또한 모든 경우의 이용자 유형별 시나리오는 무의미하므로, 도서관의 서비스를 고려하여                     둘째, 벤치마크 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사이트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벤치마크를 수행하여
     시나리오별로 핵심적인 이용자 유형을 선별하여 작성한다.                                        다양한 유형의 포털 서비스와 이용자 유형별 정보탐색 과정을 조사하여 이용자 시나리오에 반영
      셋째, 이용자가 NDL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제시할 수 있는 이슈를 시나리오에 반영한다. 따라                  하도록 하였다.
     서 NDL 서비스 제공자 및 관리자들이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를 통하여 이슈를 파악하고 고려할                    셋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측한 시나리오를 토대로 설문지 문안을 작성하고 실제 이용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향후 도서관이 계획한 모든 유무형의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                 하는 일반국민들에게 조사하여 이용자 시나리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용자 시나리오
     적인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필요한 여러 가지 고려사항들을 점검하여 서비스                   는 타 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타 과제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통합 설문조사 형
     를 구현할 때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식으로 추진하였다.


     | 이용자 분류 |                                                            | 이용자 시나리오 작성 기법 |
      NDL 사업계획을 고려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하여 NDL 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유스케이스는 강력한 요구사항 모델링 기법으로써 텍스트 기반의 서술인 산문체 수필이다. 이
     의 유형별, 계층별, 주제별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정보자원, 정보기기, 디지털 시설에 관한 정보요                 를 통해 액터와 유스케이스 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글로 적음으로써 이해를 명확히 할 수 있
     구를 반영한 이용자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다음 표와 같이 이용자를 분류하였다.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NDL 정보서비스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이용자의 형식화된
                                                                           행위의 흐름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기본적으로 선택하였다.
           분류 관점                      분류별 속성                     비고
                                                                            대체적으로 시나리오는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예나 실세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
            성별     남성, 여성                                      성별 분류
                                                                           때문에 요구사항을 획득하고 검증하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다양한 형태로
            연령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연령별 이용자 분류

            계층     일반인, 전문가, 장애인, 노인, 외국인 등                  계층적 이용자 분류    나타나지만 대부분 시나리오 스크립트나 유스케이스 시나리오와 같은 기능적 분석을 위해 시나
            주제     자료열람, 희귀문서열람, 공부 및 연구, 휴식 등                이용 목적 방식     리오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시나리오 기반의 비기능 요구사항 분석에서 제시한 방법은 비기능 요
        정보이용행태     자료검색, 원문열람, 인쇄, 문서 편집, 멀티미디어 제작, 정보공유 등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구사항에 대해 시나리오로 사용자에게 설명을 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고 생성된 시나리오로 비기
                                   [표 Ⅲ-1] 이용자 분류                          능 요구사항을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이은미, 2003).
                                                                            이에 비기능적인 요구사항은 Robert Grady의 FURPS+를 근거로 추가하여 반영하도록 하였
     | 연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3가지 조사방법 |                                           다. FURPS은 Functionality, Usability, Reliability, Performance, Supportability이고, +는
      본 연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3가지 조사방법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                    설계, 구현, 인터페이스, 물리적 인도물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의 개발
     였다.                                                                   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나타낸다.
      첫째,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포메이션 코먼스 부분은 공간, 기기, 시설 등과 밀접하게 연
     관되어 있으며, 기 구축된 모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이용자 시나리오 작성의 상상력과 영감을



22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3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 이용자 시나리오 작성 방법 |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예측자 수와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작업명                     작업 설명                     비고

        모델링 교육      시나리오 및 유스케이스 모델링 교육                     관리자                 예측자의
                                                                                전문성
        브레인스토밍      시나리오 목표, 범위, 작성방향, 조사범위                관리자 예측자

       시나리오 작성      예측자별 시나리오 작성                            예측자

       검토 및 피드백     유스케이스 종류, 구성, 고려사항 검토                  코디네이터

        수정 및 보완     예측자별 시나리오 보완                            예측자
                                                                                         예측의
       시나리오 통합      코디네이터의 시나리오 통합                         코디네이터                         정확성
       시나리오 검증      시나리오의 타당성 검증                            관리자


                             [표 Ⅲ-2] 시나리오 작업 흐름                                                       예측자의 수

                                                                                       [그림 Ⅲ-4] 예측자의 전문성과 예측자의 수

      이용자 시나리오의 작업은 위 표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시나리오는 정보자원, 정보기
     기, 디지털 시설 등의 전문성이 요구된 3인 이상의 예측자가 작성하였다. 시나리오 작성은 한 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일정을 감안하여 정보자원, 정보기기, 디지털 시설 등의 전문성이 요

     람의 전문가가 하나 또는 다수의 시나리오를 쓸 수도 있지만, 때로는 몇 명이 한 팀이 되어 하나           구된 3인 이상의 예측자가 미래의 대안들을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몇

     의 시나리오를 작성하기도 한다(차미경 2004). 대체적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예측자            가지 대안적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미래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의 수가 증가하면 정확한 예측에 가까워지고, 예측자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
     게 된다. 예측의 정확성과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유스케이스 기술항목은 명칭, 개요, 선행조건, 사건흐름(기본·대안·하위흐름), 고려사항, 후
                                                                     행조건, 그래픽 표현으로 구성된다. 명칭은 본 과제에서 유일하게 명명된 유스케이스명을 지칭하
     예측의                              예측의
     정확성                              정확성                            고, 개요에는 유스케이스의 개요를 서술한다. 선행조건은 이용자의 선행상태, 요구정보에 대한
                                                                     선행조건, 외부환경의 선행상태로 구분되고, 후행조건은 행위수행을 통해 달성해야 하는 목적의
                                                                     구체적인 표현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 이용자의 후행상태, 외부환경의 후행상태로 구
                                                                     분된다. 이용자 성별, 연령별, 주제별, 정보요구형태별, 정보이용행태별 이용 시나리오는 대안 또
                                                                     는 하위 사건흐름에 해당하며 그 흐름이 기본흐름과 별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고려사항 항목에
                                                                     기술하고, 그래픽 표현은 사건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유스케이스 기술항목인 명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
                                                                     칭, 개요, 선행조건, 사건흐름(기본·대안·하위흐름), 고려사항, 후행조건, 그래픽 표현에 대한
                  [그림 Ⅲ-3] 예측의 정확성과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
                                                                     정의는 다음 표와 같다.
      또한 동일한 예측의 정확성을 얻기 위해 예측자의 수와 예측자의 전문성은 기본적으로 반비례
     의 관계에 있으나, 예측자의 수보다 전문성의 확보가 더욱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용자



24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5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되었다. 이에 대한 회원 인증 절차, 입실 및 퇴실 절차, 사물함 이용방법, 자료이용 및 활용과정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정           의
                                                                등에서 이용자에게 요구하는 사전 준비물의 최소화,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의 자동화 등의
         명   칭         본 과제에서 유일하게 명명된 유스케이스 명

         개   요         유스케이스의 개요
                                                                편리함이 요구되었다. 또한 이용자는 자료 및 시설 활용을 위한 예약 절차의 단순함과 용이성으

         선행 조건         사건 흐름의 전에 선행된 상황, 환경의 설명                 로 인해 요구사항을 즉시 해결할 수 있기를 원한다. 충분한 좌석 확충 및 시간 확보, 필요한 작업
         사건 흐름         행위의 흐름(기본, 대안, 하위)의 기술                   을 한 공간에서 해결, 인쇄 및 결제 시스템의 용이성이 요구되며, 친절하며 쉽고 자세한 안내로
         고려 사항         사건 흐름에서 이용자 및 관리자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인해 요구사항에 대한 접근성이 쉬워야 한다.
         후행 조건         사건 흐름의 후에 변화된 상황, 환경의 설명
                                                                 이러한 이용자의 이용패턴과 이용자 중심의 요구사항을 브레인스토밍 한 결과, 디지털도서관
         그래픽표현         사건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
                                                                의 이용자들은 쾌적한 환경에서 쉽고 편리하게 유용한 자료를 얻고자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표 Ⅲ-3]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정의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아래 표와 같다.


      ● 이용자 시나리오 기술방법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                            예   시

      시나리오의 기술방법은 아래와 같이 5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쉽고(Easy)              회원 인증을 쉬운 절차로 처리 받을 수 있었다.

      첫째, 주된 시제는 미래의 현장을 관측하는 관점에서 완료형으로 작성한다.                        편리하고(Usable)            휠체어 봉사요원을 통해 편리하게 열람실까지 갈 수 있었다.

                                                                    쾌적하고(Comfortable)         쾌적한 열람 환경에서 다독할 수 있었다.
      둘째, 사건흐름(기본·대안·하위흐름)에는 각 항목별 번호와 소제목을 추가한다.
                                                                       유용한(Useful)            원문 열람을 통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사건흐름에는 가능한 모든 유형을 대상으로 한다.
      넷째, 6하 원칙 (who-when-where-what-how-why)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표 Ⅲ-4] 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

      다섯째, 제공자 및 시스템의 행위와 제공 서비스는 이용자 관점에서 작성한다.
                                                                 또한 NDL에서 제공될 인포메이션 서비스 공간에 대한 개념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각 공간의
     3. 연구의 조사방법                                                용도를 다음의 표와 같이 정의하였다.
                                                                 ① 디지털 열람 : 개인 열람의 관점, 컴퓨터 및 주변기기 활용
     | 방문 조사 |                                                   ② 디지털 클러스터 및 러닝 : 개인 및 다수 학습의 관점, 정보기기 활용
      7월 중순부터 말까지 3인으로 구성된 예측자가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가기관, 대학도서         ③ 미디어 스튜디오 : 다수 제작의 관점, 전문기기 활용
     관, 공공도서관으로 구분하여 랭킹사이트에서 도서관 분야의 점유율이 높은 기관을 선별한 후 탐         ④ 전시장 및 회의실 : 다수 이용의 관점, 공간 및 기기 활용
     방기관 리스트를 작성하여 각 기관을 탐방하였으며, 주요 방문 조사지는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
     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숙명여대도서관, 고려대학도서관, 과천정보과학도서관,
     광명시중앙도서관이었다. 예측자는 가이드, 인증, 예약, 열람, 인쇄, 대출, 기기 대여, 이용 등 기
     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든 이용자 서비스를 이용자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며 직접 경험하
     고 관찰하였다.
      이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볼 때, 도서관 이용을 위한 출입정책의 간편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



26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7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용도              클러스터/        미디어                  ● 국내도서관
                      열람/편집                              전시   회의
     명수                           러닝         스튜디오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1인          ○           ○                               -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2~4인                     ○           ○
                                                                   - 경기도사이버중앙도서관                  http://www.golibrary.go.kr/
       5~10인                       ○           ○

       11~20인                      ○           ○
       21~30인                      ○                               ● 대학도서관
       31~50인                      ○                     ○    ○    - 서울대학교 도서관                    http://library.snu.ac.kr/
       51~100인                     ○                     ○    ○    - 고려대학교 학술정보관                  http://cdl.korea.ac.kr/
                              [표 Ⅲ-5] 인포메이션 코먼스 용도별 명수             -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              http://library.postech.ac.kr/
                                                                   -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lib.sookmyung.ac.kr/
      이를 통해 정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디지털 열람 서비스, 디지털 클러스터 및 러닝
     서비스, 미디어 스튜디오 서비스, 전시 및 회의 서비스로 구분하고, 도서관 공간에서 기본적으로          ● 해외도서관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이용행태, 정보 공간 이외에서 발생하는 기타 이용행태를 추가하여 분류하            - TEL(The European Library)   http://www.theeuropeanlibrary.org/portal
     였다. 이를 시나리오의 유스케이스명과 사건흐름에 반영하여 작성하기로 하였다. 또한 인포메이            -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http://www.oclc.org/
     션 코먼스에서의 주제는 이용자가 찾고자하는 자리가 목적이 되기 때문에 디지털 열람, 디지털            - 독일국립도서관                      http://www.ddb.de/
     클러스터 및 러닝, 미디어 스튜디오, 전시 및 회의를 주제이자 목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또한         - 영국국립도서관                      http://portico.bl.uk/, http://www.bl.uk/
     방문조사에서 발견한 각 기관의 다양한 이용방법들을 분류하여 대표적이거나 이용자 관점에서              - 핀란드국립도서관                     http://www.nationallibrary.fi/
     유용한 것을 시나리오의 기본흐름으로 선정하여 작성하고, 그 밖에 다양한 경우의 수를 대안흐름           - 네덜란드국립도서관                    http://www.kb.nl/
     이나 하위흐름으로 제시하기로 하였다.                                          - 미국의회도서관                      http://www.loc.gov/


     | 벤치마크 조사 |                                                   ● 공공포털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8월 초부터 중순까지 3인으로 구성된 예측자가 온라인            - KERIS‘RISS(KERIS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4u.net/
     사이트를 국내의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및 해외도서관, 공공포털과 공공기관, 민간포털로 구            - KISTI
                                                                         ‘yesKISITI(과학기술정보포털서비스)’http://www.yeskisti.net/
     분하여 벤치마크 하였다. 유형별 포털 사이트 조사를 위하여 예측자들은 모든 포털이 제공하는            - 국가지식포털                       http://www.knowledge.go.kr/
     서비스 리스트를 정리하였다. 이는 대형 포털과 전문 포털, 공공 포털과 민간 포털, 도서관 포털         - KOCCA 문화유통포털                 http://www.kocca.kr/
     과 일반 포털 등의 구분이 서비스 측면에서 그 기준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유비쿼터스, 컨
     버전스, 웹2.0 등의 트렌드로 인하여 비즈니스 별로 구분되던 서비스의 기능이 복합되는 현상이          ● 민간포털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유형별 사이트 중 대표적인 사이트의 선정은 분야별 사이트 순위, 점         - 네이버                          http://www.naver.com/
     유율 및 대표성, 인지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 다음                           http://www.daum.net/



28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9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 네이트                http://www.nate.com/                셋째, 이용자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참여 서비스를 이용할 때
      - 구글                 http://www.google.com/             학술·연구정보 획득, 업무·학업에 관련된 유용한 자료의 공유, 관심사의 공유 등의 동기부여와
        구글 코리아             http://www.google.co.kr/           상호작용을 요구하며, 참여를 통해 유익함이나 즐거움 등을 보상받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
                                                              인 기능들이 제공되어 있어 원하는 대로 활용하기 용이한 환경을 요구한다.
      ● 웹2.0 서비스 모델                                            넷째, 이용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은 포털 사이트와 도서관의 이용 및 활용방법을 쉽게 인지
      - 위키백과               http://www.wikipedia.org/          할 수 있기를 원하며, 가입 및 예약·신청사항의 간편화와 과정의 간소화를 요구한다.
        한국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이상의 사이트 분석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발견사항을 포털부분의 시나리오 상에 이용자의
      - Youtube            http://www.youtube.com/            관점으로 정보행위 흐름을 기술한 사건흐름 항목에 반영하여 기술하도록 하였다.
      - 판도라                http://www.pandora.tv/
      - 앰앤캐스트              http://www.mncast.com/             | 설문 조사 |
      - flickr             http://www.flickr.com/              설문조사 표본은 9월 중순에 오프라인으로 807명을 대상으로 국립중앙도서관, 과천시정보과
                                                              학도서관, 정독도서관, 고려대학교디지털도서관에서 진행하였다. 설문내용은 방문·관찰 조사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용자의 정보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털에서        및 벤치마크 조사를 통해 도출한 이용자 중심의 원칙,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의 서비스에서
     현재 어떠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각 서비스의 이용 시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무       이용자가 요구하는 기능과 이용자중심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작성하였다. 이용자 중심의 원칙
     엇을 느끼며 생각하고 행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용자가 가상의 NDL 포털을 이용하        이 설문내용에 반영된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도서관 곳곳에 부착된 RFID 등을 이용하여 이
     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       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서관 이용 방법 등을 안내하는 이용안내 서비스는 이용자 중심의 원칙 중
     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이용자가 쉽게 이용하는 항목으로 구분되었고,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출입·열람·복사·대
     도출하였다.                                                   출·반납 등을 자동화시스템이 처리하는 서비스인 정보자원 공유 서비스는 이용자 중심의 원칙
      첫째,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       중 편리함의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도서관내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활용 능력을 길러주는
     는 정보요구사항으로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고자 함이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 및 교육적인 지원을 해주는 서비스인 교육 서비스는 유용함의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검색결과로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발행년도, 저작권여부, 열람여부, 자료형태, 원문의 일      이를 바탕으로 자원, 기기,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사항 및 선호도를 반영한 이용자의 패턴
     부에 요청한 검색어 표시 등을 확인하여 원하던 자료를 쉽게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기를 원한       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기술하였다.
     다. 검색결과를 둘러볼 때 검색자료를 비교하며 조사하고 정보를 찾으며 종합하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기를 요구한다. 또한 의미기반 검색시 검색결과 정렬방식의 적절성으로 요청한 정보        | 이용자 설문결과 |
     와 가장 정확한 정보가 검색결과의 윗부분에 보여짐으로 이용자의 의사결정시 가장 정확하고
     원하던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기를 원한다.                                ●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둘째, 이용자는 자료를 열람하는 데 있어 통합로그인을 통한 로그인의 간편화, 뷰어 설치의 간
     소화, 자료 이용에 대한 간편한 요금 지불 방법, 오류가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제한이 없는
     자유로운 자료 이용 등의 편리하고 쉬운 열람 과정을 요구한다.



30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1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빈도(명)            백분율(%)          ● 주요 설문통계 및 해석
                              남성                488              60.6

            성별                여성                317              39.4
                                                                                 - 도서관 이용의 주목적
                              합계                805              100.0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자료 열람    희귀 문서 열람 공부 및 연구   휴식       기타      총합계
                              10대               13                1.6
                                                                                                남성      49.8%      2.3%    43.4%    2.0%     2.5%    100%
                              20대               192              23.8            성별
                                                                                                여성      59.0%      2.2%    34.7%    0.9%     3.2%    100%
                              30대               245              30.4
                                                                                                10대     69.2%      0.0%     7.7%    7.7%     15.4%   100%
           연령별                40대               206              25.6
                                                                                                20대     39.1%      2.1%    55.7%    0.5%     2.6%    100%
                              50대               92               11.4
                                                                                연령별             30대     60.4%      1.2%    32.7%    2.0%     3.7%    100%
                            60대 이상              58                7.2
                                                                                                40대     60.2%      1.9%    35.0%    1.0%     1.9%    100%
                              합계                806              100.0
                                                                                                50대     54.3%      4.3%    38.0%    1.1%     2.2%    100%
                          초·중·고등학생              13                1.6
                                                                                               60대 이상   43.1%      5.2%    46.6%    5.2%     0.0%    100%
                             청소년                 2                0.2
                                                                                          초·중·고등학생      61.5%      0.0%    15.4%    7.7%     15.4%   100%
                            대학(원)생              147              18.3
                                                                                                청소년     100.0%     0.0%    0.0%     0.0%     0.0%    100%
                             회사원                250              31.1
                                                                                               대학(원)생   36.7%      1.4%    59.9%    0.0%     2.0%    100%
           직업별               자영업자               95               11.8
                                                                                                회사원     64.4%      1.6%    30.8%    0.4%     2.8%    100%
                            교사/교수               38                4.7           직업별
                                                                                               자영업자     51.6%      5.3%    38.9%    4.2%     0.0%    100%
                              주부                89                11.1
                                                                                               교사/교수    44.7%      2.6%    52.6%    0.0%     0.0%    100%
                              기타                169              21.0
                                                                                                주부      62.9%      3.4%    25.8%    1.1%     6.7%    100%
                              합계                803              100.0
                                                                                                기타      47.9%      1.8%    44.4%    3.6%     2.4%    100%
                              [표 Ⅲ-6]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총 합계            53.4%      2.2%    40.0%    1.6%     2.7%    100%


      성별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5명)의 60.6%(488명)가 남성이고 39.4%(317명)                                           [표 Ⅲ-7] 도서관 이용의 주목적

     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남여 비율은 거의 비슷하나 남성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6명)의 30.4%(245명)는 30대, 40대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주목적은 자료열람, 공부 및 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볼 때
     25.6%(206명), 20대는 23.8%(192명), 50대는 11.4%(92명), 60대 이상은 7.2%(58명), 10대는   10대, 30~50대는 자료열람을 주목적으로 하지만, 20대와 60대 이상은 공부 및 연구를 목적으로
     1.6%(13명)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20대와 40대도 비슷                 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업별로는 초·중·고등학생, 회사원, 자영업자, 주부가 자료
     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열람을 위해 도서관을 이용하고 대학(원)생, 교사/교수가 공부 및 연구를 위해 도서관을 이용한다
      직업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3명)의 31.3%(250명)가 회사원이며, 기타                     고 응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나리오의 선행조건을 기술할 때, 각 이용자의 NDL 방문목적으
     21.0%(169명), 대학(원)생 18.3%(147명), 자영업 11.8%(95명), 주부 11.1%(89명), 교사/교수     로 자료열람에 비중을 두었으며 대학(원)생 및 교사/교수의 방문목적으로는 스터디 그룹 등의 공
     4.7%(38명), 초·중·고등학생 1.6%(13명), 청소년 0.2%(2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             부나 연구에 비중을 두어 작성하였다.
     의 직업이 회사원이거나 대학(원)생임을 알 수 있다.



32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3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선호 서비스                                                           다. 그러나 주부는 교육서비스를 가장 선호하며, 2순위로 정보자원공유 서비스를 선호하는 것으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이용 안내    교육      정보자원공유   모바일     연중무휴대화   기타     총합계
                                                                                    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출입부터 물품보관, 예약, 대여, 시설물 이용

                     남성    18.5%    26.1%    32.8%   10.4%    10.8%   1.5%   100%   등이 자동화로 처리되는 전자이용증을 통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시나리오를 전개하였으며, 도서관
      성별
                     여성    18.9%    27.1%    36.3%   8.8%     8.8%    0.0%   100%   의 기기 및 활용능력의 교육서비스에 대해 주부 및 40~50대를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기술하였다.
                     10대   30.8%    7.7%     30.8%   23.1%    0.0%    7.7%   100%

                     20대   18.8%    21.9%    40.6%   7.3%     10.4%   1.0%   100%    - 검색결과 표현항목
                     30대   14.7%    27.8%    37.6%   10.6%    8.6%    0.8%   100%
      연령별                                                                                                                         저작권      자료      열람       발행     검색어 일치한   총
                     40대   19.1%    30.9%    28.9%   9.3%     11.3%   0.5%   100%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여부      형태      여부       년도      원문 일부분   합계

                     50대   22.2%    26.7%    26.7%   13.3%    11.1%   0.0%   100%                   남성    52.1%    5.0%    2.7%   4.8%     11.2%   8.7%     1.4%    14.3%    100%
                                                                                     성별
                60대 이상     25.0%    25.0%    30.4%   7.1%     10.7%   1.8%   100%                   여성    52.1%    3.8%    1.0%   2.5%     7.6%    14.3%    0.3%    18.4%    100%

               초·중·고등학생    15.4%    15.4%    38.5%   23.1%    0.0%    7.7%   100%                   10대   61.5%    0.0%    0.0%   0.0%     0.0%    23.1%    7.7%    7.7%     100%

                  청소년      100.0%   0.0%     0.0%    0.0%     0.0%    0.0%   100%                   20대   48.7%    1.6%    1.6%   2.1%     5.2%    17.8%    1.0%   22.0%     100%

                 대학(원)생    18.4%    21.1%    44.2%   7.5%     7.5%    1.4%   100%                   30대   61.5%    3.7%    2.0%   3.7%     8.2%    8.6%     0.8%    11.5%    100%
                                                                                     연령별
                  회사원      18.9%    26.1%    30.1%   13.3%    11.6%   0.0%   100%                   40대   45.4%    2.9%    2.4%   5.9%     12.7%   9.8%     0.5%   20.5%     100%
      직업별
                 자영업자      20.4%    29.0%    31.2%   7.5%     10.8%   1.1%   100%                   50대   46.2%    11.0%   3.3%   4.4%     14.3%   7.7%     1.1%    12.1%    100%

                 교사/교수     21.1%    26.3%    39.5%   5.3%     7.9%    0.0%   100%              60대 이상     55.4%    14.3%   0.0%   3.6%     16.1%   3.6%     1.8%    5.4%     100%

                     주부    18.0%    38.2%    29.2%   6.7%     7.9%    0.0%   100%            초·중·고등학생     53.8%    0.0%    0.0%   0.0%     0.0%    23.1%    7.7%    15.4%    100%

                     기타    16.9%    24.1%    35.5%   9.6%     12.0%   1.8%   100%               청소년       100.0%   0.0%    0.0%   0.0%     0.0%    0.0%     0.0%    0.0%     100%

              총 합계         18.6%    26.5%    34.3%   9.7%     10.0%   0.9%   100%              대학(원)생     48.6%    4.1%    2.1%   2.7%     8.2%    14.4%    1.4%    18.5%    100%

                                                                                                회사원       49.6%    3.2%    2.0%   4.0%     9.2%    11.2%    1.2%    19.6%    100%
                             [표 Ⅲ-8]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선호 서비스                               직업별
                                                                                                자영업자      53.3%    4.3%    2.2%   5.4%     4.1%    7.6%     0.0%    13.0%    100%

                                                                                               교사/교수      52.6%    7.9%    2.6%   10.5%    10.5%   0.0%     0.0%    15.8%    100%
      디지털도서관으로써 기존의 국립중앙도서관에 비해 보다 강화되었으면 하는 서비스에 대한 질
                                                                                                    주부    64.0%    5.6%    1.1%   2.2%     10.1%   7.9%     0.0%    9.0%     100%
     문에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출입, 열람, 복사, 대출, 반납 등을 자동화 시                                         기타    51.5%    5.4%    2.4%   3.6%     10.2%   12.6%    0.6%    13.8%    100%

     스템이 처리하는 서비스인 정보자원공유 서비스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도서관내 다양한 기기들에                                      총 합계         52.2%    4.4%    2.0%   3.9%     9.8%    10.9%    0.9%    15.9%    100%

     대한 활용 능력을 길러주는 서비스 및 교육적인 지원을 해 주는 서비스인 교육 서비스와 도서관                                                            [표 Ⅲ-9] 검색결과 표현항목

     곳곳에 부착된 RFID(전자태그) 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서관 이용 방법 등을 안내
     하는 서비스인 이용안내 서비스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10대와 60대 이상은 정보자원공유 서비스,                           검색결과에 표현항목으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도서명, 검색어에 일치한 원문의 일부, 열람여부,
     이용안내 서비스 순으로 요구했으며, 20~30대는 정보자원공유 서비스, 교육 서비스 순으로 선호                          자료형태 순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전 연령대가 도서명을 가장 중요시하지만 두 번째로 요구하는
     하고, 40~50대는 교육서비스, 정보자원공유 서비스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부분이 연령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10대는 열람여부, 20~40대는 검색어와 일치한 원문의
     별로 살펴볼 때 대체적으로 정보자원공유 서비스를 가장 선호하지만, 2순위의 경우로는 10대가                            일부, 50~60대는 자료형태를 검색결과로 알려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직업별로는 대체적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선호하며, 대학(원)생 및 회사원, 자영업자, 교사/교수가 교육서비스를 선호하였                          도서명을 가장 요구하지만 초·중·고등학생은 열람여부, 자영업자와 주부는 자료형태를 원문의



34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5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일부보다 더욱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기술할 때, 검색서                      용, 통합로그인, 여성은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통합로그인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또한
     비스 및 열람서비스 부분에서 이용자가 검색결과의 도서명을 확인하는 정보탐색행위 패턴에 비중                          연령별로 10대, 30대, 50대는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용, 통합로그인의 순으로 요구하였으며,
     을 두어 반영하였다. 또한 20~40대의 경우는 검색결과 중 검색어가 일치된 원문의 일부, 주부나                      20대는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용,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40대는 통합로그인, 오
     50~60대의 경우는 검색결과 중 자료형태를 확인한 후 다음 정보탐색행위를 거치는 패턴에 비중을                       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60대는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통합로그인의 순으로 자
     두어 반영하였다. 이런 검색결과를 보는 방식을 통해 이용자가 자료를 찾고 종합하여 결정을 내리                        료열람 시 요구사항의 비중이 나타났다. 초·중·고등학생 및 대학(원)생, 자영업자는 제한 없는
     며 다음 행동에 옮기기는 등 웹에서 정보를 찾을 때의 정보탐색행위의 다양한 패턴을 알 수 있다.                       자유로운 자료이용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고, 회사원 및 교사/교수는 통합로그인, 주부는 오류 없
                                                                                 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를 가장 우선시 요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이용자가 제한 없
      - 자료열람시 요구사항                                                               이 자료를 이용하는 패턴으로 시나리오에 반영하였으며, 연계기관의 자료이용 시 통합로그인을
                                                                                 통해 로그인 과정에 대한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는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강조하였다.
                                                간편한      오류없는     제한없는
                           통합          통일된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자료이용       신속한     자유로운    총합계
                           로그인         뷰어      요금지불     자료와의링크    자료이용

                     남성    29.2%       10.1%    7.0%      20.3%   33.3%   100%    - 온라인교육 요구내용
      성별
                     여성    27.3%       8.3%     3.2%      34.3%   27.0%   100%
                                                                                                       도서관     도서관 관련 정보검색                      영상/
                                                                                                                                문해     정보문제
                     10대   30.8%       0.0%     7.7%      7.7%    53.8%   100%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서비스      IT 서비스 /활용능력                    이미지    기타     총합계
                                                                                                                                능력     해결능력
                                                                                                        이용        이용                           제작기술
                     20대   21.9%       9.9%     4.7%      29.2%   34.4%   100%
                                                                                                 남성    11.4%    18.3%   30.8%   5.6%   16.4%   15.6%   1.9%   100%
                                                                                  성별
                     30대   25.5%       10.3%    6.6%      25.1%   32.5%   100%
      연령별                                                                                        여성    9.2%     15.3%   31.8%   6.1%   19.1%   18.2%   0.3%   100%
                     40대   36.6%       7.8%     6.3%      24.9%   24.4%   100%
                                                                                                 10대   0.0%     15.4%   23.1%   7.7%   15.4%   38.5%   0.0%   100%
                     50대   30.8%       13.2%    3.3%      19.8%   33.0%   100%
                                                                                                 20대   6.3%     15.2%   24.6%   7.9%   21.5%   22.5%   2.1%   100%
                 60대 이상    29.1%       5.5%     3.6%      34.5%   27.3%   100%
                                                                                                 30대   11.6%    17.4%   23.2%   6.6%   18.3%   20.7%   2.1%   100%
                                                                                  연령별
               초·중·고등학생    23.1%       0.0%     7.7%      15.4%   53.8%   100%
                                                                                                 40대   11.8%    16.2%   37.7%   4.4%   17.2%   12.3%   0.5%   100%
                     청소년   50.0%       0.0%     0.0%      0.0%    50.0%   100%
                                                                                                 50대   12.1%    22.0%   42.9%   3.3%   14.3%   5.5%    0.0%   100%
                 대학(원)생    24.7%       10.3%    5.5%      28.1%   31.5%   100%
                                                                                             60대 이상    16.1%    19.6%   46.4%   3.6%   7.1%    7.1%    0.0%   100%
                     회사원   32.9%       12.4%    4.8%      20.9%   28.9%   100%
      직업별                                                                                  초·중·고등학생    15.4%    7.7%    23.1%   7.7%   15.4%   30.8%   0.0%   100%
                 자영업자      32.3%       7.5%     5.4%      18.3%   36.6%   100%
                                                                                                 청소년   0.0%     50.0%   0.0%    0.0%   0.0%    50.0%   0.0%   100%
                 교사/교수     26.3%       23.7%    10.5%     18.4%   21.1%   100%
                                                                                             대학(원)생    9.6%     13.0%   22.6%   9.6%   21.2%   22.6%   1.4%   100%
                     주부    33.0%       4.5%     2.3%      40.9%   19.3%   100%
                                                                                                 회사원   12.9%    19.4%   29.0%   3.6%   18.1%   15.3%   1.6%   100%
                                                                                  직업별
                     기타    21.0%       4.8%     6.6%      30.5%   37.1%   100%
                                                                                             자영업자      3.3%     22.8%   40.2%   7.6%   16.3%   8.7%    1.1%   100%
              총 합계         28.4%       9.3%     5.4%      25.9%   31.0%   100%
                                                                                             교사/교수     5.3%     23.7%   31.6%   7.9%   15.8%   15.8%   0.0%   100%

                                   [표 Ⅲ-10] 자료열람 시 요구사항                                          주부    12.6%    12.6%   40.2%   5.7%   14.9%   13.8%   0.0%   100%

                                                                                                 기타    12.0%    15.6%   32.9%   4.2%   15.6%   18.0%   1.8%   100%

                                                                                          총 합계         10.6%    17.2%   31.1%   5.8%   17.4%   16.6%   1.3%   100%
      자료열람 시 요구사항으로는 전반적으로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용, 통합로그인,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통일된 뷰어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은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                                                      [표 Ⅲ-11] 온라인교육 요구내용




36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7
전반적으로 온라인교육의 내용으로 정보검색/활용능력, 정보문제해결 능력, 도서관 관련IT서
     비스 이용, 영상/이미지 제작기술에 관련된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남성은 정보검색/활용
     능력, 도서관 관련IT서비스 이용의 순으로 교육받기를 원했고, 여성은 정보검색/활용 능력, 정보
     문제해결 능력의 순으로 교육을 받기를 원했다. 또한 20~30대는 정보검색/활용 능력교육, 영상/
     이미지 제작기술 교육, 50~60대는 정보검색/활용능력교육, 도서관 관련IT서비스 이용교육의 순
     으로 온라인교육을 요구하며, 40대는 정보검색/활용능력, 정보 문제해결 능력교육, 초·중·고
     등학생은 영상/이미지 제작기술교육, 정보검색/활용 능력교육의 순으로 온라인교육을 받기를 원
     했다. 직업별로는 대학(원)생이 정보검색/활용 능력교육과 영상/이미지제작기술교육, 회사원과
                                                                                     제4장
     자영업자 및 교사/교수는 정보검색/활용능력 교육, 도서관 관련IT서비스 이용교육을 원했다. 또
     한 주부는 정보검색/활용능력, 정보 문제해결능력의 순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
     나리오의 기술시 정보 검색 및 활용 능력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반영하였으며, 온라인교육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내용으로써 영상/이미지 제작기술 교육으로 미디어 스튜디오와 관련된 영상·이미지·음향 제작
     에 관련된 교육내용을 다루었다.




                                                                    1.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이용자 시나리오

                                                                           2.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

                                                                          3. 정보소외계층의 이용자 시나리오



38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4장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받아가라고 일러주었다. 미 반납시에는 출구 검색대에서 경고 알람이 가동한다고 하였다. 설명을
                                                             듣고 철규는 장비대여소에 비치된 PDA 작동법에 관한 인쇄물을 몇 부 챙겼다. 로비에 마련된 의
                                                             자에 앉아 인쇄물을 보면서 PDA의 기능들을 하나씩 실행해보며 익혔다. PDA로 NDL의 이용안
                                                             내와 자료실안내 등에 관한 정보, 예약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는 디지털 클러스터의 자리예약을 위해서 예약시스템을 찾아 NDL을 둘러보았다. 예약
                                                             단말기가 보였고 빈 단말기를 찾아 디지털 클러스터의 좌석예약 현황을 확인한 뒤 원하는 시간을
                                                             지정해 좌석을 예약하였다. 그리고 단말기에‘인쇄’ 클릭하자, 디지털 클러스터 위치와 예약한
                                                                                       를
                                                             좌석명, 좌석위치, 예약시간이 적힌 작은 종이가 인쇄되어 나왔다. 철규는 인쇄물을 주머니에 넣
                                                             으면서 예약한 좌석을 찾아가기에 편리하겠단 생각이 들었다. 예약시간까지 무엇을 할까 생각하
      본 4장에서는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 정보소외계층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각의 대표
                                                             며 로비를 찬찬히 둘러보았다.
     적인 한 이용자씩을 선정하여 시나리오를 기술하였다. 이용자의 유형별, 계층별, 주제별 정보요
                                                              몇몇 사람들이 화면을 보며 서있는 곳이 눈에 띄었다. 가까이 가서 보니 종이로 보던 신문을
     구를 다양하게 다루며, 시나리오의 사건흐름을 기본흐름, 대안흐름, 하위흐름으로 기술한 시나리
                                                             모니터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곳이었다. ○○일보, ××신문, YY신문, 메타블로그 등의 신문
     오는 5장과 6장에서 제시되었다.
                                                             웹사이트도 열람할 수 있었다. 철규는 여러 신문 중 OO일보 아이콘을 클릭한 뒤 신문기사를 읽
                                                             을 수 있었다. 모니터로 열람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는 글자를 확대하여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생
     1.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이용자 시나리오
                                                             긴 듯 했다.
                                                              그리고는 신착자료 열람 공간으로 이동했다. 이 코너에서는 NDL에 최근 한 달간 신규 입수 및
      30대 대학원생인 김철규는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논문을 작성 중에 유용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등록된 디지털자료에 대한 리스트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신규 입수된 자료는 제목
     NDL을 방문하고자 하였다. 철규는 지하철역에 내려 나오는 길에 안내판에서 NDL 셔틀버스 운
                                                             뿐 아니라 주제별로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NDL의 분야별 전문사서가 추천한 주제별, 분야별
     행에 관한 내용을 볼 수 있었다. 역 바로 앞에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고 오래 기다리지 않아 셔틀
                                                             디지털자료에 대해 이미지와 간단한 설명 등을 볼 수 있었다. 시계를 보니 벌써 예약한 시간이 가
     버스를 타고 편하게 NDL에 올라올 수 있었다.
                                                             까워 오고 있었다. 철규는 디지털 클러스터를 향해 계단을 올라갔다.
      NDL 건물 입구를 통과한 철규는 집에서 별도의 온라인 회원가입은 하지 않은 채 방문한 터라
                                                              디지털 클러스터의 예약된 좌석을 찾은 철규는 자리에 앉아 로그인을 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
     현장접수대에 마련되어 있는 PC를 통하여 회원가입을 마치고 키오스크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
                                                             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보고서 및 논문 등을 열람하였다. 원하는 자료의 원문을 인쇄
     를 입력한 후 정기권과 일일 이용권 중 정기권으로 전자이용증을 발급받았다. 그리고나서 불필요
                                                             설정하자, 결제시스템에 접속하여 핸드폰으로 결제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지불을 마치자 컴퓨터
     한 짐을 줄이고자 사물함으로 향했다.
                                                             옆의 프린터를 통해 뽑아 볼 수 있었다. 프린터 옆에 있는 스템플러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편리하
      전자이용증을 무인사물함 리더기에 대자, 사물함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물품을 보관하고,
                                                             게 정리하였다. 검색과 열람을 반복하던 철규는 휴대전화가 진동으로 울리는 순간, 바탕화면의
     간단한 필기도구와 몇 가지 소지품만 챙겨서 비치되어 있던 투명비닐가방에 넣었다. 사물함 열쇠
                                                             ‘일시정지’버튼을 눌렀다. 다른 사람이 자신의 자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을 해 둔 후 안심하
     를 따로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서 편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 전화를 받으러 디지털 클러스터를 나갈 수 있었다. 용무를 마치고 자리로 돌아온 철규는 화면
      그리고는 장비 대여소에서 전자이용증을 제시하여 리더기에 읽히고 신분증을 내고서 PDA를
                                                             의‘사용’버튼을 클릭하고 로그인을 거친 다음 나머지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 이윽고 이용시간
     빌릴 수 있었다. 대여직원은 간단한 작동법을 설명해주었고, 나갈 때 PDA를 반납하고 신분증을
                                                             이 다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5분 뒤 자동 로그아웃 된다는 메시지가 나타났다. 철규는



40                                                                                          제4장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41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
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
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Baro Kim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Baro Kim
 
산학연구실습 Final pt
산학연구실습 Final pt산학연구실습 Final pt
산학연구실습 Final ptYukyung Seo
 
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
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
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Baro Kim
 
Lido 개론
Lido 개론Lido 개론
Lido 개론Baro Kim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Baro Kim
 

What's hot (6)

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
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
정부3.0 공공데이터개방전략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디지털인문학(2014 1전자문서)
 
산학연구실습 Final pt
산학연구실습 Final pt산학연구실습 Final pt
산학연구실습 Final pt
 
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
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
20140819 미국neh의디지털인문학 김바로
 
Lido 개론
Lido 개론Lido 개론
Lido 개론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문화유산 오픈 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 - 유로피아나 데이터 모델과 응용 사례 -
 

Viewers also liked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Hansung University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Hansung University
 
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
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
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Hansung University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Hansung University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Hansung University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Hansung University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Hansung University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Hansung University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Hansung University
 

Viewers also liked (18)

ISO Identifier and UCI
ISO Identifier and UCIISO Identifier and UCI
ISO Identifier and UCI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Library linkeddata
Library linkeddataLibrary linkeddata
Library linkeddata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OD 구축 공정 가이드라인
 
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
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
Linked Data and Users in Library - Does the library communicate efficiently?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LOD를 말하다: Europeana, BBC, LinkedUp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2014 한국 링크드 데이터 사례집
 
Bibframe
BibframeBibframe
Bibframe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RDF 해설서
RDF 해설서RDF 해설서
RDF 해설서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Similar t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glorykim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Jihoon Roh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glorykim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Hansung University
 
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
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
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gloryki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Hansung University
 
빅데이터
빅데이터빅데이터
빅데이터1jungeee
 
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
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
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ssusera5a73e
 
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
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
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NpoITcenter_Kor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Juyoung An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Juyoung An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datasciencekorea
 
NDSL 정보검색 및 활용
NDSL 정보검색 및 활용NDSL 정보검색 및 활용
NDSL 정보검색 및 활용dgist
 
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
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
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seo jungwon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Hansung University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Suntae Kim
 
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
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
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Young Choi
 
[Imr]week04
[Imr]week04[Imr]week04
[Imr]week04JY LEE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한국디자인진흥원 공공서비스디자인PD
 

Similar to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2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20100401 황혜경 디지털아카이빙계획v03312010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
노지훈(국립중앙도서관 주최 논문 당선작)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2010 06 22_김희정_digital archiving - kisti (2010 6) - 완료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
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
20100413 노경란 선진-주요국의_디지털_아카이빙_프로젝트_사례조사(0407)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빅데이터
빅데이터빅데이터
빅데이터
 
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
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
고급c프 최종보고서.pptx
 
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
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
2014 서울시 희망정책제안 비영리it지원센터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뉴미디어 정보서비스1팀 최종안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 - 온병원
 
NDSL 정보검색 및 활용
NDSL 정보검색 및 활용NDSL 정보검색 및 활용
NDSL 정보검색 및 활용
 
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
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
11th 4U DAY_IMAGINE: 우리가 상상하는 국제개발의 미래는?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사물 웹(Wot) 융합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연구 데이터와 도서관
 
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
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
최영현 Ia structuring 이론 및 실습
 
[Imr]week04
[Imr]week04[Imr]week04
[Imr]week04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2015 국민디자인단 통계청 자율과제 '통계, 즐기셈 배우셈 나라셈에서' 추진현황과 주요 성과 (2016.9)
 

More from Hansung University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Hansung University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Hansung University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Hansung University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Hansung University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Hansung University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Hansung University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Hansung University
 

More from Hansung University (13)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
 
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2_user_scenario

  • 1. 디브러리 총서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국립중앙도서관
  • 2. 제2권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목 차 1 제 장 서론 제 5 장 NDL 인포메이션코먼스의이용자시나리오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0 1. 기본 서비스 | 54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11 2. 디지털 열람 서비스 | 71 3. 디지털 클러스터/러닝 서비스 | 79 4. 미디어 스튜디오 서비스 | 94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전시/회의 서비스 | 102 6. 기타 서비스 | 108 7.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111 1. 미래연구 방법 | 14 2. 이용자 시나리오 관련 선행연구 | 15 제 6 장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 제 3 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1. 검색 서비스 | 126 2. 열람 서비스 | 138 1. 연구의 전제조건 | 20 3. 참여 서비스 | 186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방법 | 21 4. 이용 서비스 | 236 3. 연구의 조사방법 | 26 5.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266 제 4 장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제 7 장 결론 | 277 1.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이용자 시나리오 | 40 2.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 | 43 3. 정보소외계층의 이용자 시나리오 | 49 [참 고 문 헌] | 281
  • 3. 제2권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표 목차 그림 목차 [표 Ⅲ-1] 이용자 분류 | 22 [그림 Ⅲ-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0 [표 Ⅲ-2] 시나리오 작업 흐름 | 24 [그림 Ⅲ-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1 [표 Ⅲ-3]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정의 | 26 [그림 Ⅲ-3] 예측의 정확성과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 | 24 [표 Ⅲ-4] 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 | 27 [그림 Ⅲ-4] 예측자의 전문성과 예측자의 수 | 25 [표 Ⅲ-5] 인포메이션 코먼스 용도별 명수 | 28 [표 Ⅲ-6]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32 [표 Ⅲ-7] 도서관 이용의 주목적 | 33 [표 Ⅲ-8]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선호 서비스 | 34 [표 Ⅲ-9] 검색결과 표현항목 | 35 [표 Ⅲ-10] 자료열람 시 요구사항 | 36 [표 Ⅲ-11] 온라인교육 요구내용 | 37 [표 Ⅴ-1]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기본 서비스 | 55 [표 Ⅴ-2]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디지털 열람 서비스 | 72 [표 Ⅴ-3]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디지털 클러스터/러닝 서비스 | 80 [표 Ⅴ-4]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미디어 스튜디오 서비스 | 95 [표 Ⅴ-5]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전시/회의 서비스 | 103 [표 Ⅴ-6]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기타 서비스 | 108 [표 Ⅴ-7]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112 [표 Ⅵ-1]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검색 서비스 | 127 [표 Ⅵ-2]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열람 서비스 | 143 [표 Ⅵ-3]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참여 서비스 | 189 [표 Ⅵ-4]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이용 서비스 | 238 [표 Ⅵ-5] 이용자 시나리오 사건흐름 - 정보소외계층의 서비스 | 267
  • 4.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발 총서 발간사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디지털 정보자원 이러한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07년도“국립디지털도서관 의 수집 · 정리 · 보존 및 이용에 대한 새로운 도서관 혁신모 운영 시범사업” 수행하였으며, 도서관 학계와 업계, 도서관 실무진 등 유수의 인력들이 참가하 을 델로서 국내외 디지털정보서비스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려 고 수차례의 자문을 거쳐 수행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고 합니다. 본 총서에는 2007년 수행결과를 5권(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 디지털정보에 쉽게 발, 디지털장서 관리 및 연구개발, 디브러리 이용자서비스 공간구축,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으로 접근하고 쌍방향 참여로 원하는 디지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편찬하였습니다. 디브러리 총서는 2007년도 결과물 발간을 시작으로 계속적인 연구결과를 편찬 전문 지식포털 디브러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할 것이며, 도서관 학계 및 현장에 배포하여 디지털도서관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모델이 될 것으 로 기대합니다. 또한 최첨단 시설로 정보 열람과 활용에 새로운 혁신을 더해 주며, 자연과 사람 그리고 정보를 접목한 친환경 도서관을 짓 2009년 개관될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의 혁신과 창조적인 지식 생산으로 대 고 있습니다. 민국을 지력강국(知力强國)으로 거듭나게 하기위한 도약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권 경 상 6 총서 발간사 7
  • 5.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 6.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1장 서론 의 정보와 관련된 행위를 예측하고 방문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것들을 반영한 이용자 중심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미래예측적인 이용자 시나리오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몇 개의 가정을 통해 예측해 봄으로써 정보 환경 변화에서 일어날 수 있 는 여러 가능성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다.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예측적인 이용자 시나리오를 통하여 새롭게 변화된 정보환경에 적합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3가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지의 방법을 통하여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첫째,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행태 및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 환경에 적합한 이용자 중심의 정 과거 종이 중심의 오프라인 환경에서 전자매체 중심의 온라인 환경으로, 그리고 인터넷의 발달 보서비스를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이용자를 다양한 유형(성별, 연령, 주제 등)으로 분류하여 각 로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환경으로 정보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었으며, 누구든지 언제 각의 이용자 유형별 요구사항을 관찰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반영하고자 한다. 셋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째, 최근 변화된 유무형의 IT 환경 및 정보서비스 기술을 파악하여 디지털도서관의 인포메이션 도서관도 종이 중심의 자료 제공에서 디지털 자료의 제공으로 범위가 확대되어 온라인 기반의 서 코먼스 및 포털서비스에 반영하고자 한다. 비스 제공과 첨단기술과 기기들로 구성된 디지털도서관이란 개념이 출현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 른 다양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면서 기존의 도서관들이 디지털도서관으로 그 또한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범위로 연구 기능들을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들도 과거에는 집에서 가까운 도서관에 가서 직접 자료를 를 진행하였다. 첫째, 변화된 디지털도서관 환경에서의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에 대한 개념을 정 찾아 자료를 열람하거나 대출하였으나 온라인 기반의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정보 환경이 변화됨 립하고 미래학 관련 분야의 전문 서적과 논문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미래예측 방법 및 선행연구 에 따라 집에 앉아서 컴퓨터로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고 바로 열람할 수 있게 되었으며 자료의 대 사례를 고찰해보고, 본 연구과제에서 수행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의 원칙 및 조사방법을 상도 국내뿐만 아니라 범위가 확대되어 World Wide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전 세계에 있는 자 제시하였다. 둘째, 제시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의 원칙 및 조사방법을 통하여 이용자 시나 료들을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정보 환경에서 지속적 리오 개발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셋째, 제안된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을 기반으로 인포메이 으로 증가하는 정보들을 선별하여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 션 코먼스 및 포털 부문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연구하였다. 넷째, 연구된 이용자 시나리오를 다양 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을 대표하 한 관점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는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는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 환경을 체계적으로 예측하고 판단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계획하여 마련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미래의 정보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감지하여 능 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정보 환경변화의 여러 가능성들을 정리한 다음, 각 환경에서 이용자들 10 제1장 서론 11
  • 7. 제2장 이론적 배경 1. 미래연구 방법 2. 이용자 시나리오 관련 선행연구
  • 8.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2장 이론적배경 늘어난다. 넷째, 미래의 도서관은 끊임없이 변하는 정보기술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 이용자의 요구와 그에 따른 정보서비스의 추이를 분석하고 예측하여,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 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차미경(2004)은“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의 미래 예측을 위한 시나리오기법의 적용” 에서 시나리오기법을 사용하여 대학도서관 학술정보서비스의 미래를 예측하였다. 차미경(2004)의 연 구에 따르면, 미래 대학도서관의 학술정보서비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모바일 통신의 결 합으로 전자 학술정보의 이용이 늘어날 것이며, 대학도서관간에 학술정보 공유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미래 학술정보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환경에 맞는 새로운 봉사 모델의 개발과 자원공유를 위한 국가의 지원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1. 미래연구 방법 이민석(2003)은 디지털 컨텐츠의 하나로 많은 도서관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전자책 산업에 대 한 현황을 분석하면서, 전자책의 발전과 미래의 전망을 제시하였다. 그는 전자책이 디지털 컨텐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들로 진행되어 왔 츠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전자책 표현기술과 viewer 기술, 저작 기술, 단말 기술 으나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단순히 미래의 등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예상되는 미래의 정보 환경과 도서관의 상황들에 대해서 피상적으로 접근 이미화와 이나니(2003)는 무선정보환경이 변함에 따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도 새로 하는 방법이다. 둘째, 보다 실제적인 연구로서 미래예측의 방법과 기법을 사용하여 도서관의 미 운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고 전하면서, 무선정보환경에 따라 정보이용자들의 이용·학습행태, 래 모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서관 정보서비스 의사교환형태가 변하고 있으며, 학술정보를 담당하는 도서관에서도 적절한 대책과 준비가 필요 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 하다고 역설하였다. 인 미래의 도서관 모습을 제시한 후자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선행사례들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선행사례들의 과학적인 연구방법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과제에서는 미래 예측적인 노동조(2004)는“추세연장적 예측을 통한 도서관·정보센터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도 에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의 3가지 원칙 및 연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3가지 조사방법을 제시 서관?정보센터가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감지하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전제 아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래 미래예측방법의 하나인 추세연장적 예측을 통하여 도서관·정보센터의 미래를 예측한 것이 다. 전술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주요 도서관의 홈페이지 분석, 전문사서 2. 이용자 시나리오 관련 선행연구 와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그 결과, 나타난 추세를 근거로 도서관·정보센터의 중기 미래를 예측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의 정보환경은 모바일과 유비쿼터 이용자 시나리오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들로 진행되어 왔으나 문 스 환경으로 대표되며, 이들을 통해서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어떠한 기기를 이용하더라도 다 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앞에서 기술한 노동조, 차미경의 미래연구와 같이 진행된 선행연구가 대표 양한 미디어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간적 지체, 단말기 기술과 적이다. 그러므로 이용자 시나리오의 선행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선 보급 속도, 도서관 서비스의 자세와 대응 속도, 저작권 문제 등이 미래의 도서관에 영향을 미치는 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불확실 요인이다. 셋째, 미래의 도서관은 무선 단말기를 통한 정보의 접근과 이용이 더욱 확대되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은“미래 교육을 위한 U-러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미래교육 에서 며, 모바일 기술이 발전하고 유비쿼터스 환경이 보편화되어, 결국에는 전자 정보의 이용이 더욱 의 핵심 키워드로 대두되고 있는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 컴퓨팅기술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14 제2장 이론적 배경 15
  • 9.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지를 탐구해보고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효율적인 학습모델을 터 종료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경로로 이루어 졌으며 도출하고 이를 적용한 예시 자료와 시나리오 개발을 통하여 학습모델의 구체적인 구현모습을 제 특히 브라우징 단계를 중심으로 반복 순환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이용자의 실제 웹 기하고자 하였다. 이 보고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등 교육을 중심으 정보탐색 경험을 철저히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수집하였으며, 시간적 흐름에 따른 이용자의 인 로 국내·외의 u-러닝 관련 연구와 사례들을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u-러닝 학습모델을 개발하 지이동을 분석함으로써 웹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정보탐색행위의 흐름을 실증적이고 논리적으로 였다. 셋째, 모델을 적용한 예시 자료 및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여기서 시나리오는 현재의 유비 보여 줬다. 쿼터스 기술의 한계를 좀 더 넘어선 미래 지향적 관점을 가지고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NDL 정보서비스를 Simulation하 또,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5)은“미래교육 시나리오에 기반한 e-러닝 표준화 로드맵 v2 기 위하여 이용자의 형식화된 행위의 흐름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기본적으 연구” 에서 e-러닝에 관련된 많은 전문가들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의 상황과 기술적 로 선택하였고, 비 기능적인 요구사항은 Robert Grady의 FURPS+를 근거로 추가하여 작성하 표준화 요소가 융합된 e-러닝 표준화 로드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 결 였다. 과 두 가지 주요 과제가 도출되었다. 표준화 로드맵이 미래의 e-러닝 비전을 담고 있어야 되 기 때문에 미래 교육을 담은 미래 e-러닝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이 첫 번째 주요 연구 과제 이다. 두 번째 연구과제는 작성된 2015년의 미래 e-러닝 시나리오를 통해 e-러닝 표준화 로드맵 v2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실행하기 위해 e-러닝 시스템 모델인 IEEE LTSA에 기반하여 시나리오를 분석하는 개발 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6)은“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미래교실 구성 방안” 유 에서 비쿼터스 환경에서 교육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미래교육의 변화상을 예측하고, 미래 교실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표준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래 교육환경에 대한 교육수요 자 요구조사를 통해 미래 교실환경 모델을 제안하고 미래교실 모델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 미래교육환경의 혁신을 위한 기초 조사를 수행하였다. 둘째, 미래 교수학습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셋째, 미래 교육환경의 효율적 구성방안 을 마련하였다. 미래교실 프로토타입 구축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미래교실 사용자 시나 리오를 작성하였다. 김성진(2006)은“웹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 웹이용자에게서 보여지는 공통된 에서 정보탐색행위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들이 웹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는지 그 행위 패턴을 분석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간대별 인터뷰 기법을 적용하여 Dervin의 인지이동 개념을 기반으로 웹 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인지적 움직임을 파악하였으며, 응답자 21명을 대상으로 37개의 웹 탐색 경험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웹 이용자들의 정보탐색행위는 시작, 검색하기, 결과보기/둘러보기, 조사하기/비교하기, 정보찾기/종합하기, 결정하기/행동하기, 종료의 7개 유 형으로 정리되었다. 각 행위 단계별로 이동한 경로를 분석 하였을 때 웹 정보탐색행위는 시작부 16 제2장 이론적 배경 17
  • 10.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1. 연구의 전제조건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방법 3. 연구의 조사방법
  • 11.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②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검색 열람 NDL 포털 정보욕구 조사 (방문) 접속 참여 1. 연구의 전제조건 이용 [그림 Ⅲ-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이용자의 속성에 대한 가정 | 미래의 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다. 시나리오 작성 시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포털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부분을 좀 더 세부적으로 ① 이용자는 성별, 연령, 지적수준, 도구이용능력 등 분류 가능한 어떤 속성을 갖고 있다. 나누어 작성함으로써“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 연구과제” 에서 다양한 유스케이스를 분석할 ② 이용자는 정보 및 IT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정보서비스를 경험하거나 인지하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의 경우는“방문, 예약” 에서“이용” 까지로, 있다. 포털 이용자의 경우는“(방문)접속” “참여” 에서 까지로 정보탐색 과정을 결정하기로 하였다. ③ 이용자는 시대 흐름에 부응하는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직접적 또는 잠재적으로 요구 하고 있다. 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방법 |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에 대한 가정 |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3대 연구원칙 | NDL의 계획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은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은 이 본 연구의 목적인 미래예측적인 이용자 시나리오를 통하여 새롭게 변화된 정보환경에 적합한 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으로 이용자의 자료이용 행위에 관한 흐름을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 기반마련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3대 연구원칙을 정하고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참조모델이다. 그 원칙을 기준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첫째, 이용자 중심의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시나리오 작성자(예측자)는 각 시나리오의 주인공 ①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이 되어 모든 것을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며 이용자의 환경을 정확히 이해하고 시나리오를 작성 한다. 또한 이용자 행위 흐름은 이용자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도서관의 이 NDL IC 정보욕구 조사 가이드 이용 열람 방문예약 용자 관련 정책적인 사항은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전 연구 초기에 파악해야 한다. 여기서 이용자 중심이란 제공자 중심, 관리자 중심, 시스템 중심 등과 의미적으로 반대의 뜻을 내포하고 있는 [그림 Ⅲ-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것이다. 20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1
  • 12.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둘째, NDL 사업계획을 고려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NDL 서비스의 3가지 요소인 정보 자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국가기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등 기 구축된 도서관들을 선별하여 방문 정보 기기, 디지털 시설을 고려하여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는데 이러한 NDL 서비스의 3가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문지 조사내용은 방문자들이 정리, 요약하여 다른 시나리오 작성자들과 자 요소가 아직 구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구체화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여 다분히 미래 예측적 료를 공유하고 브레인스토밍을 거치면서 시나리오 작성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예측 가능하도록 인 시나리오를 기술해야 하므로 계속적인 작성자와 협력자 간의 브레인스토밍이 이루어져야만 하였다. 한다. 또한 모든 경우의 이용자 유형별 시나리오는 무의미하므로, 도서관의 서비스를 고려하여 둘째, 벤치마크 조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사이트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벤치마크를 수행하여 시나리오별로 핵심적인 이용자 유형을 선별하여 작성한다. 다양한 유형의 포털 서비스와 이용자 유형별 정보탐색 과정을 조사하여 이용자 시나리오에 반영 셋째, 이용자가 NDL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제시할 수 있는 이슈를 시나리오에 반영한다. 따라 하도록 하였다. 서 NDL 서비스 제공자 및 관리자들이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를 통하여 이슈를 파악하고 고려할 셋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예측한 시나리오를 토대로 설문지 문안을 작성하고 실제 이용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향후 도서관이 계획한 모든 유무형의 서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 하는 일반국민들에게 조사하여 이용자 시나리오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이용자 시나리오 적인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때 필요한 여러 가지 고려사항들을 점검하여 서비스 는 타 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타 과제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통합 설문조사 형 를 구현할 때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식으로 추진하였다. | 이용자 분류 | | 이용자 시나리오 작성 기법 | NDL 사업계획을 고려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하여 NDL 포털과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유스케이스는 강력한 요구사항 모델링 기법으로써 텍스트 기반의 서술인 산문체 수필이다. 이 의 유형별, 계층별, 주제별 정보요구를 파악하여 정보자원, 정보기기, 디지털 시설에 관한 정보요 를 통해 액터와 유스케이스 간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글로 적음으로써 이해를 명확히 할 수 있 구를 반영한 이용자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다음 표와 같이 이용자를 분류하였다.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NDL 정보서비스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이용자의 형식화된 행위의 흐름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유스케이스 모델링을 기본적으로 선택하였다. 분류 관점 분류별 속성 비고 대체적으로 시나리오는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예나 실세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 성별 남성, 여성 성별 분류 때문에 요구사항을 획득하고 검증하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시나리오가 다양한 형태로 연령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연령별 이용자 분류 계층 일반인, 전문가, 장애인, 노인, 외국인 등 계층적 이용자 분류 나타나지만 대부분 시나리오 스크립트나 유스케이스 시나리오와 같은 기능적 분석을 위해 시나 주제 자료열람, 희귀문서열람, 공부 및 연구, 휴식 등 이용 목적 방식 리오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시나리오 기반의 비기능 요구사항 분석에서 제시한 방법은 비기능 요 정보이용행태 자료검색, 원문열람, 인쇄, 문서 편집, 멀티미디어 제작, 정보공유 등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 구사항에 대해 시나리오로 사용자에게 설명을 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고 생성된 시나리오로 비기 [표 Ⅲ-1] 이용자 분류 능 요구사항을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이은미, 2003). 이에 비기능적인 요구사항은 Robert Grady의 FURPS+를 근거로 추가하여 반영하도록 하였 | 연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3가지 조사방법 | 다. FURPS은 Functionality, Usability, Reliability, Performance, Supportability이고, +는 본 연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3가지 조사방법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 설계, 구현, 인터페이스, 물리적 인도물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의 개발 였다. 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나타낸다. 첫째,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포메이션 코먼스 부분은 공간, 기기, 시설 등과 밀접하게 연 관되어 있으며, 기 구축된 모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이용자 시나리오 작성의 상상력과 영감을 22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3
  • 13.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 이용자 시나리오 작성 방법 |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예측자 수와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작업명 작업 설명 비고 모델링 교육 시나리오 및 유스케이스 모델링 교육 관리자 예측자의 전문성 브레인스토밍 시나리오 목표, 범위, 작성방향, 조사범위 관리자 예측자 시나리오 작성 예측자별 시나리오 작성 예측자 검토 및 피드백 유스케이스 종류, 구성, 고려사항 검토 코디네이터 수정 및 보완 예측자별 시나리오 보완 예측자 예측의 시나리오 통합 코디네이터의 시나리오 통합 코디네이터 정확성 시나리오 검증 시나리오의 타당성 검증 관리자 [표 Ⅲ-2] 시나리오 작업 흐름 예측자의 수 [그림 Ⅲ-4] 예측자의 전문성과 예측자의 수 이용자 시나리오의 작업은 위 표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시나리오는 정보자원, 정보기 기, 디지털 시설 등의 전문성이 요구된 3인 이상의 예측자가 작성하였다. 시나리오 작성은 한 사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 일정을 감안하여 정보자원, 정보기기, 디지털 시설 등의 전문성이 요 람의 전문가가 하나 또는 다수의 시나리오를 쓸 수도 있지만, 때로는 몇 명이 한 팀이 되어 하나 구된 3인 이상의 예측자가 미래의 대안들을 탐구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몇 의 시나리오를 작성하기도 한다(차미경 2004). 대체적으로 이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예측자 가지 대안적 시나리오를 작성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미래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의 수가 증가하면 정확한 예측에 가까워지고, 예측자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 게 된다. 예측의 정확성과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유스케이스 기술항목은 명칭, 개요, 선행조건, 사건흐름(기본·대안·하위흐름), 고려사항, 후 행조건, 그래픽 표현으로 구성된다. 명칭은 본 과제에서 유일하게 명명된 유스케이스명을 지칭하 예측의 예측의 정확성 정확성 고, 개요에는 유스케이스의 개요를 서술한다. 선행조건은 이용자의 선행상태, 요구정보에 대한 선행조건, 외부환경의 선행상태로 구분되고, 후행조건은 행위수행을 통해 달성해야 하는 목적의 구체적인 표현으로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것, 이용자의 후행상태, 외부환경의 후행상태로 구 분된다. 이용자 성별, 연령별, 주제별, 정보요구형태별, 정보이용행태별 이용 시나리오는 대안 또 는 하위 사건흐름에 해당하며 그 흐름이 기본흐름과 별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고려사항 항목에 기술하고, 그래픽 표현은 사건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유스케이스 기술항목인 명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 칭, 개요, 선행조건, 사건흐름(기본·대안·하위흐름), 고려사항, 후행조건, 그래픽 표현에 대한 [그림 Ⅲ-3] 예측의 정확성과 예측자의 수, 예측자의 전문성의 관계 정의는 다음 표와 같다. 또한 동일한 예측의 정확성을 얻기 위해 예측자의 수와 예측자의 전문성은 기본적으로 반비례 의 관계에 있으나, 예측자의 수보다 전문성의 확보가 더욱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용자 24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5
  • 14.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되었다. 이에 대한 회원 인증 절차, 입실 및 퇴실 절차, 사물함 이용방법, 자료이용 및 활용과정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정 의 등에서 이용자에게 요구하는 사전 준비물의 최소화,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의 자동화 등의 명 칭 본 과제에서 유일하게 명명된 유스케이스 명 개 요 유스케이스의 개요 편리함이 요구되었다. 또한 이용자는 자료 및 시설 활용을 위한 예약 절차의 단순함과 용이성으 선행 조건 사건 흐름의 전에 선행된 상황, 환경의 설명 로 인해 요구사항을 즉시 해결할 수 있기를 원한다. 충분한 좌석 확충 및 시간 확보, 필요한 작업 사건 흐름 행위의 흐름(기본, 대안, 하위)의 기술 을 한 공간에서 해결, 인쇄 및 결제 시스템의 용이성이 요구되며, 친절하며 쉽고 자세한 안내로 고려 사항 사건 흐름에서 이용자 및 관리자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 인해 요구사항에 대한 접근성이 쉬워야 한다. 후행 조건 사건 흐름의 후에 변화된 상황, 환경의 설명 이러한 이용자의 이용패턴과 이용자 중심의 요구사항을 브레인스토밍 한 결과, 디지털도서관 그래픽표현 사건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 의 이용자들은 쾌적한 환경에서 쉽고 편리하게 유용한 자료를 얻고자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표 Ⅲ-3] 유스케이스 기술항목 정의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을 설정하였으며 이는 아래 표와 같다. ● 이용자 시나리오 기술방법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 예 시 시나리오의 기술방법은 아래와 같이 5가지 원칙을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쉽고(Easy) 회원 인증을 쉬운 절차로 처리 받을 수 있었다. 첫째, 주된 시제는 미래의 현장을 관측하는 관점에서 완료형으로 작성한다. 편리하고(Usable) 휠체어 봉사요원을 통해 편리하게 열람실까지 갈 수 있었다. 쾌적하고(Comfortable) 쾌적한 열람 환경에서 다독할 수 있었다. 둘째, 사건흐름(기본·대안·하위흐름)에는 각 항목별 번호와 소제목을 추가한다. 유용한(Useful) 원문 열람을 통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사건흐름에는 가능한 모든 유형을 대상으로 한다. 넷째, 6하 원칙 (who-when-where-what-how-why)에 의거하여 작성한다. [표 Ⅲ-4] 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중심의 4가지 원칙 다섯째, 제공자 및 시스템의 행위와 제공 서비스는 이용자 관점에서 작성한다. 또한 NDL에서 제공될 인포메이션 서비스 공간에 대한 개념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각 공간의 3. 연구의 조사방법 용도를 다음의 표와 같이 정의하였다. ① 디지털 열람 : 개인 열람의 관점, 컴퓨터 및 주변기기 활용 | 방문 조사 | ② 디지털 클러스터 및 러닝 : 개인 및 다수 학습의 관점, 정보기기 활용 7월 중순부터 말까지 3인으로 구성된 예측자가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가기관, 대학도서 ③ 미디어 스튜디오 : 다수 제작의 관점, 전문기기 활용 관, 공공도서관으로 구분하여 랭킹사이트에서 도서관 분야의 점유율이 높은 기관을 선별한 후 탐 ④ 전시장 및 회의실 : 다수 이용의 관점, 공간 및 기기 활용 방기관 리스트를 작성하여 각 기관을 탐방하였으며, 주요 방문 조사지는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 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숙명여대도서관, 고려대학도서관, 과천정보과학도서관, 광명시중앙도서관이었다. 예측자는 가이드, 인증, 예약, 열람, 인쇄, 대출, 기기 대여, 이용 등 기 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모든 이용자 서비스를 이용자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며 직접 경험하 고 관찰하였다. 이용자의 관점에서 살펴볼 때, 도서관 이용을 위한 출입정책의 간편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 26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7
  • 15.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용도 클러스터/ 미디어 ● 국내도서관 열람/편집 전시 회의 명수 러닝 스튜디오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nl.go.kr/ 1인 ○ ○ -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2~4인 ○ ○ - 경기도사이버중앙도서관 http://www.golibrary.go.kr/ 5~10인 ○ ○ 11~20인 ○ ○ 21~30인 ○ ● 대학도서관 31~50인 ○ ○ ○ - 서울대학교 도서관 http://library.snu.ac.kr/ 51~100인 ○ ○ ○ - 고려대학교 학술정보관 http://cdl.korea.ac.kr/ [표 Ⅲ-5] 인포메이션 코먼스 용도별 명수 - 포항공과대학교 청암학술정보관 http://library.postech.ac.kr/ -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http://lib.sookmyung.ac.kr/ 이를 통해 정보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디지털 열람 서비스, 디지털 클러스터 및 러닝 서비스, 미디어 스튜디오 서비스, 전시 및 회의 서비스로 구분하고, 도서관 공간에서 기본적으로 ● 해외도서관 이루어지는 서비스의 이용행태, 정보 공간 이외에서 발생하는 기타 이용행태를 추가하여 분류하 - TEL(The European Library) http://www.theeuropeanlibrary.org/portal 였다. 이를 시나리오의 유스케이스명과 사건흐름에 반영하여 작성하기로 하였다. 또한 인포메이 - OCLC(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http://www.oclc.org/ 션 코먼스에서의 주제는 이용자가 찾고자하는 자리가 목적이 되기 때문에 디지털 열람, 디지털 - 독일국립도서관 http://www.ddb.de/ 클러스터 및 러닝, 미디어 스튜디오, 전시 및 회의를 주제이자 목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또한 - 영국국립도서관 http://portico.bl.uk/, http://www.bl.uk/ 방문조사에서 발견한 각 기관의 다양한 이용방법들을 분류하여 대표적이거나 이용자 관점에서 - 핀란드국립도서관 http://www.nationallibrary.fi/ 유용한 것을 시나리오의 기본흐름으로 선정하여 작성하고, 그 밖에 다양한 경우의 수를 대안흐름 - 네덜란드국립도서관 http://www.kb.nl/ 이나 하위흐름으로 제시하기로 하였다. - 미국의회도서관 http://www.loc.gov/ | 벤치마크 조사 | ● 공공포털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8월 초부터 중순까지 3인으로 구성된 예측자가 온라인 - KERIS‘RISS(KERIS 학술연구정보서비스)’http://www.riss4u.net/ 사이트를 국내의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 및 해외도서관, 공공포털과 공공기관, 민간포털로 구 - KISTI ‘yesKISITI(과학기술정보포털서비스)’http://www.yeskisti.net/ 분하여 벤치마크 하였다. 유형별 포털 사이트 조사를 위하여 예측자들은 모든 포털이 제공하는 - 국가지식포털 http://www.knowledge.go.kr/ 서비스 리스트를 정리하였다. 이는 대형 포털과 전문 포털, 공공 포털과 민간 포털, 도서관 포털 - KOCCA 문화유통포털 http://www.kocca.kr/ 과 일반 포털 등의 구분이 서비스 측면에서 그 기준이 모호해지고 있으며, 실제로 유비쿼터스, 컨 버전스, 웹2.0 등의 트렌드로 인하여 비즈니스 별로 구분되던 서비스의 기능이 복합되는 현상이 ● 민간포털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각 유형별 사이트 중 대표적인 사이트의 선정은 분야별 사이트 순위, 점 - 네이버 http://www.naver.com/ 유율 및 대표성, 인지도 등의 자료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 다음 http://www.daum.net/ 28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29
  • 16.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 네이트 http://www.nate.com/ 셋째, 이용자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참여 서비스를 이용할 때 - 구글 http://www.google.com/ 학술·연구정보 획득, 업무·학업에 관련된 유용한 자료의 공유, 관심사의 공유 등의 동기부여와 구글 코리아 http://www.google.co.kr/ 상호작용을 요구하며, 참여를 통해 유익함이나 즐거움 등을 보상받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 인 기능들이 제공되어 있어 원하는 대로 활용하기 용이한 환경을 요구한다. ● 웹2.0 서비스 모델 넷째, 이용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은 포털 사이트와 도서관의 이용 및 활용방법을 쉽게 인지 - 위키백과 http://www.wikipedia.org/ 할 수 있기를 원하며, 가입 및 예약·신청사항의 간편화와 과정의 간소화를 요구한다. 한국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 이상의 사이트 분석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발견사항을 포털부분의 시나리오 상에 이용자의 - Youtube http://www.youtube.com/ 관점으로 정보행위 흐름을 기술한 사건흐름 항목에 반영하여 기술하도록 하였다. - 판도라 http://www.pandora.tv/ - 앰앤캐스트 http://www.mncast.com/ | 설문 조사 | - flickr http://www.flickr.com/ 설문조사 표본은 9월 중순에 오프라인으로 807명을 대상으로 국립중앙도서관, 과천시정보과 학도서관, 정독도서관, 고려대학교디지털도서관에서 진행하였다. 설문내용은 방문·관찰 조사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용자의 정보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털에서 및 벤치마크 조사를 통해 도출한 이용자 중심의 원칙,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의 서비스에서 현재 어떠한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이용자는 각 서비스의 이용 시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무 이용자가 요구하는 기능과 이용자중심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작성하였다. 이용자 중심의 원칙 엇을 느끼며 생각하고 행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용자가 가상의 NDL 포털을 이용하 이 설문내용에 반영된 경우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도서관 곳곳에 부착된 RFID 등을 이용하여 이 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 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서관 이용 방법 등을 안내하는 이용안내 서비스는 이용자 중심의 원칙 중 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이용자가 쉽게 이용하는 항목으로 구분되었고,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출입·열람·복사·대 도출하였다. 출·반납 등을 자동화시스템이 처리하는 서비스인 정보자원 공유 서비스는 이용자 중심의 원칙 첫째,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 중 편리함의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도서관내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활용 능력을 길러주는 는 정보요구사항으로 이용자가 요청한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고자 함이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 및 교육적인 지원을 해주는 서비스인 교육 서비스는 유용함의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검색결과로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명, 발행년도, 저작권여부, 열람여부, 자료형태, 원문의 일 이를 바탕으로 자원, 기기, 시설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사항 및 선호도를 반영한 이용자의 패턴 부에 요청한 검색어 표시 등을 확인하여 원하던 자료를 쉽게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기를 원한 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기술하였다. 다. 검색결과를 둘러볼 때 검색자료를 비교하며 조사하고 정보를 찾으며 종합하는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기를 요구한다. 또한 의미기반 검색시 검색결과 정렬방식의 적절성으로 요청한 정보 | 이용자 설문결과 | 와 가장 정확한 정보가 검색결과의 윗부분에 보여짐으로 이용자의 의사결정시 가장 정확하고 원하던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기를 원한다. ●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둘째, 이용자는 자료를 열람하는 데 있어 통합로그인을 통한 로그인의 간편화, 뷰어 설치의 간 소화, 자료 이용에 대한 간편한 요금 지불 방법, 오류가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제한이 없는 자유로운 자료 이용 등의 편리하고 쉬운 열람 과정을 요구한다. 30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1
  • 17.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빈도(명) 백분율(%) ● 주요 설문통계 및 해석 남성 488 60.6 성별 여성 317 39.4 - 도서관 이용의 주목적 합계 805 100.0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자료 열람 희귀 문서 열람 공부 및 연구 휴식 기타 총합계 10대 13 1.6 남성 49.8% 2.3% 43.4% 2.0% 2.5% 100% 20대 192 23.8 성별 여성 59.0% 2.2% 34.7% 0.9% 3.2% 100% 30대 245 30.4 10대 69.2% 0.0% 7.7% 7.7% 15.4% 100% 연령별 40대 206 25.6 20대 39.1% 2.1% 55.7% 0.5% 2.6% 100% 50대 92 11.4 연령별 30대 60.4% 1.2% 32.7% 2.0% 3.7% 100% 60대 이상 58 7.2 40대 60.2% 1.9% 35.0% 1.0% 1.9% 100% 합계 806 100.0 50대 54.3% 4.3% 38.0% 1.1% 2.2% 100% 초·중·고등학생 13 1.6 60대 이상 43.1% 5.2% 46.6% 5.2% 0.0% 100% 청소년 2 0.2 초·중·고등학생 61.5% 0.0% 15.4% 7.7% 15.4% 100% 대학(원)생 147 18.3 청소년 100.0% 0.0% 0.0% 0.0% 0.0% 100% 회사원 250 31.1 대학(원)생 36.7% 1.4% 59.9% 0.0% 2.0% 100% 직업별 자영업자 95 11.8 회사원 64.4% 1.6% 30.8% 0.4% 2.8% 100% 교사/교수 38 4.7 직업별 자영업자 51.6% 5.3% 38.9% 4.2% 0.0% 100% 주부 89 11.1 교사/교수 44.7% 2.6% 52.6% 0.0% 0.0% 100% 기타 169 21.0 주부 62.9% 3.4% 25.8% 1.1% 6.7% 100% 합계 803 100.0 기타 47.9% 1.8% 44.4% 3.6% 2.4% 100% [표 Ⅲ-6]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총 합계 53.4% 2.2% 40.0% 1.6% 2.7% 100% 성별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5명)의 60.6%(488명)가 남성이고 39.4%(317명) [표 Ⅲ-7] 도서관 이용의 주목적 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남여 비율은 거의 비슷하나 남성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6명)의 30.4%(245명)는 30대, 40대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주목적은 자료열람, 공부 및 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볼 때 25.6%(206명), 20대는 23.8%(192명), 50대는 11.4%(92명), 60대 이상은 7.2%(58명), 10대는 10대, 30~50대는 자료열람을 주목적으로 하지만, 20대와 60대 이상은 공부 및 연구를 목적으로 1.6%(13명)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20대와 40대도 비슷 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업별로는 초·중·고등학생, 회사원, 자영업자, 주부가 자료 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열람을 위해 도서관을 이용하고 대학(원)생, 교사/교수가 공부 및 연구를 위해 도서관을 이용한다 직업에 대한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803명)의 31.3%(250명)가 회사원이며, 기타 고 응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나리오의 선행조건을 기술할 때, 각 이용자의 NDL 방문목적으 21.0%(169명), 대학(원)생 18.3%(147명), 자영업 11.8%(95명), 주부 11.1%(89명), 교사/교수 로 자료열람에 비중을 두었으며 대학(원)생 및 교사/교수의 방문목적으로는 스터디 그룹 등의 공 4.7%(38명), 초·중·고등학생 1.6%(13명), 청소년 0.2%(2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 부나 연구에 비중을 두어 작성하였다. 의 직업이 회사원이거나 대학(원)생임을 알 수 있다. 32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3
  • 18.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선호 서비스 다. 그러나 주부는 교육서비스를 가장 선호하며, 2순위로 정보자원공유 서비스를 선호하는 것으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이용 안내 교육 정보자원공유 모바일 연중무휴대화 기타 총합계 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출입부터 물품보관, 예약, 대여, 시설물 이용 남성 18.5% 26.1% 32.8% 10.4% 10.8% 1.5% 100% 등이 자동화로 처리되는 전자이용증을 통한 서비스를 중심으로 시나리오를 전개하였으며, 도서관 성별 여성 18.9% 27.1% 36.3% 8.8% 8.8% 0.0% 100% 의 기기 및 활용능력의 교육서비스에 대해 주부 및 40~50대를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기술하였다. 10대 30.8% 7.7% 30.8% 23.1% 0.0% 7.7% 100% 20대 18.8% 21.9% 40.6% 7.3% 10.4% 1.0% 100% - 검색결과 표현항목 30대 14.7% 27.8% 37.6% 10.6% 8.6% 0.8% 100% 연령별 저작권 자료 열람 발행 검색어 일치한 총 40대 19.1% 30.9% 28.9% 9.3% 11.3% 0.5% 100%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도서명 저자명 출판사 여부 형태 여부 년도 원문 일부분 합계 50대 22.2% 26.7% 26.7% 13.3% 11.1% 0.0% 100% 남성 52.1% 5.0% 2.7% 4.8% 11.2% 8.7% 1.4% 14.3% 100% 성별 60대 이상 25.0% 25.0% 30.4% 7.1% 10.7% 1.8% 100% 여성 52.1% 3.8% 1.0% 2.5% 7.6% 14.3% 0.3% 18.4% 100% 초·중·고등학생 15.4% 15.4% 38.5% 23.1% 0.0% 7.7% 100% 10대 61.5% 0.0% 0.0% 0.0% 0.0% 23.1% 7.7% 7.7% 100% 청소년 100.0% 0.0% 0.0% 0.0% 0.0% 0.0% 100% 20대 48.7% 1.6% 1.6% 2.1% 5.2% 17.8% 1.0% 22.0% 100% 대학(원)생 18.4% 21.1% 44.2% 7.5% 7.5% 1.4% 100% 30대 61.5% 3.7% 2.0% 3.7% 8.2% 8.6% 0.8% 11.5% 100% 연령별 회사원 18.9% 26.1% 30.1% 13.3% 11.6% 0.0% 100% 40대 45.4% 2.9% 2.4% 5.9% 12.7% 9.8% 0.5% 20.5% 100% 직업별 자영업자 20.4% 29.0% 31.2% 7.5% 10.8% 1.1% 100% 50대 46.2% 11.0% 3.3% 4.4% 14.3% 7.7% 1.1% 12.1% 100% 교사/교수 21.1% 26.3% 39.5% 5.3% 7.9% 0.0% 100% 60대 이상 55.4% 14.3% 0.0% 3.6% 16.1% 3.6% 1.8% 5.4% 100% 주부 18.0% 38.2% 29.2% 6.7% 7.9% 0.0% 100% 초·중·고등학생 53.8% 0.0% 0.0% 0.0% 0.0% 23.1% 7.7% 15.4% 100% 기타 16.9% 24.1% 35.5% 9.6% 12.0% 1.8% 100% 청소년 100.0% 0.0% 0.0% 0.0% 0.0% 0.0% 0.0% 0.0% 100% 총 합계 18.6% 26.5% 34.3% 9.7% 10.0% 0.9% 100% 대학(원)생 48.6% 4.1% 2.1% 2.7% 8.2% 14.4% 1.4% 18.5% 100% 회사원 49.6% 3.2% 2.0% 4.0% 9.2% 11.2% 1.2% 19.6% 100% [표 Ⅲ-8]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선호 서비스 직업별 자영업자 53.3% 4.3% 2.2% 5.4% 4.1% 7.6% 0.0% 13.0% 100% 교사/교수 52.6% 7.9% 2.6% 10.5% 10.5% 0.0% 0.0% 15.8% 100% 디지털도서관으로써 기존의 국립중앙도서관에 비해 보다 강화되었으면 하는 서비스에 대한 질 주부 64.0% 5.6% 1.1% 2.2% 10.1% 7.9% 0.0% 9.0% 100% 문에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인증된 이용자의 도서관 출입, 열람, 복사, 대출, 반납 등을 자동화 시 기타 51.5% 5.4% 2.4% 3.6% 10.2% 12.6% 0.6% 13.8% 100% 스템이 처리하는 서비스인 정보자원공유 서비스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도서관내 다양한 기기들에 총 합계 52.2% 4.4% 2.0% 3.9% 9.8% 10.9% 0.9% 15.9% 100% 대한 활용 능력을 길러주는 서비스 및 교육적인 지원을 해 주는 서비스인 교육 서비스와 도서관 [표 Ⅲ-9] 검색결과 표현항목 곳곳에 부착된 RFID(전자태그) 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현재 위치와 도서관 이용 방법 등을 안내 하는 서비스인 이용안내 서비스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10대와 60대 이상은 정보자원공유 서비스, 검색결과에 표현항목으로는 대부분의 응답자가 도서명, 검색어에 일치한 원문의 일부, 열람여부, 이용안내 서비스 순으로 요구했으며, 20~30대는 정보자원공유 서비스, 교육 서비스 순으로 선호 자료형태 순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전 연령대가 도서명을 가장 중요시하지만 두 번째로 요구하는 하고, 40~50대는 교육서비스, 정보자원공유 서비스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부분이 연령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10대는 열람여부, 20~40대는 검색어와 일치한 원문의 별로 살펴볼 때 대체적으로 정보자원공유 서비스를 가장 선호하지만, 2순위의 경우로는 10대가 일부, 50~60대는 자료형태를 검색결과로 알려주기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직업별로는 대체적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선호하며, 대학(원)생 및 회사원, 자영업자, 교사/교수가 교육서비스를 선호하였 도서명을 가장 요구하지만 초·중·고등학생은 열람여부, 자영업자와 주부는 자료형태를 원문의 34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5
  • 19.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일부보다 더욱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기술할 때, 검색서 용, 통합로그인, 여성은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통합로그인의 순으로 요구하였다. 또한 비스 및 열람서비스 부분에서 이용자가 검색결과의 도서명을 확인하는 정보탐색행위 패턴에 비중 연령별로 10대, 30대, 50대는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용, 통합로그인의 순으로 요구하였으며, 을 두어 반영하였다. 또한 20~40대의 경우는 검색결과 중 검색어가 일치된 원문의 일부, 주부나 20대는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용,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40대는 통합로그인, 오 50~60대의 경우는 검색결과 중 자료형태를 확인한 후 다음 정보탐색행위를 거치는 패턴에 비중을 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60대는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통합로그인의 순으로 자 두어 반영하였다. 이런 검색결과를 보는 방식을 통해 이용자가 자료를 찾고 종합하여 결정을 내리 료열람 시 요구사항의 비중이 나타났다. 초·중·고등학생 및 대학(원)생, 자영업자는 제한 없는 며 다음 행동에 옮기기는 등 웹에서 정보를 찾을 때의 정보탐색행위의 다양한 패턴을 알 수 있다. 자유로운 자료이용에 가장 큰 비중을 두었고, 회사원 및 교사/교수는 통합로그인, 주부는 오류 없 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를 가장 우선시 요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이용자가 제한 없 - 자료열람시 요구사항 이 자료를 이용하는 패턴으로 시나리오에 반영하였으며, 연계기관의 자료이용 시 통합로그인을 통해 로그인 과정에 대한 번거로움을 최소화하는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강조하였다. 간편한 오류없는 제한없는 통합 통일된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자료이용 신속한 자유로운 총합계 로그인 뷰어 요금지불 자료와의링크 자료이용 남성 29.2% 10.1% 7.0% 20.3% 33.3% 100% - 온라인교육 요구내용 성별 여성 27.3% 8.3% 3.2% 34.3% 27.0% 100% 도서관 도서관 관련 정보검색 영상/ 문해 정보문제 10대 30.8% 0.0% 7.7% 7.7% 53.8% 100% 이용자 유형 이용자 구분 서비스 IT 서비스 /활용능력 이미지 기타 총합계 능력 해결능력 이용 이용 제작기술 20대 21.9% 9.9% 4.7% 29.2% 34.4% 100% 남성 11.4% 18.3% 30.8% 5.6% 16.4% 15.6% 1.9% 100% 성별 30대 25.5% 10.3% 6.6% 25.1% 32.5% 100% 연령별 여성 9.2% 15.3% 31.8% 6.1% 19.1% 18.2% 0.3% 100% 40대 36.6% 7.8% 6.3% 24.9% 24.4% 100% 10대 0.0% 15.4% 23.1% 7.7% 15.4% 38.5% 0.0% 100% 50대 30.8% 13.2% 3.3% 19.8% 33.0% 100% 20대 6.3% 15.2% 24.6% 7.9% 21.5% 22.5% 2.1% 100% 60대 이상 29.1% 5.5% 3.6% 34.5% 27.3% 100% 30대 11.6% 17.4% 23.2% 6.6% 18.3% 20.7% 2.1% 100% 연령별 초·중·고등학생 23.1% 0.0% 7.7% 15.4% 53.8% 100% 40대 11.8% 16.2% 37.7% 4.4% 17.2% 12.3% 0.5% 100% 청소년 50.0% 0.0% 0.0% 0.0% 50.0% 100% 50대 12.1% 22.0% 42.9% 3.3% 14.3% 5.5% 0.0% 100% 대학(원)생 24.7% 10.3% 5.5% 28.1% 31.5% 100% 60대 이상 16.1% 19.6% 46.4% 3.6% 7.1% 7.1% 0.0% 100% 회사원 32.9% 12.4% 4.8% 20.9% 28.9% 100% 직업별 초·중·고등학생 15.4% 7.7% 23.1% 7.7% 15.4% 30.8% 0.0% 100% 자영업자 32.3% 7.5% 5.4% 18.3% 36.6% 100% 청소년 0.0% 50.0% 0.0% 0.0% 0.0% 50.0% 0.0% 100% 교사/교수 26.3% 23.7% 10.5% 18.4% 21.1% 100% 대학(원)생 9.6% 13.0% 22.6% 9.6% 21.2% 22.6% 1.4% 100% 주부 33.0% 4.5% 2.3% 40.9% 19.3% 100% 회사원 12.9% 19.4% 29.0% 3.6% 18.1% 15.3% 1.6% 100% 직업별 기타 21.0% 4.8% 6.6% 30.5% 37.1% 100% 자영업자 3.3% 22.8% 40.2% 7.6% 16.3% 8.7% 1.1% 100% 총 합계 28.4% 9.3% 5.4% 25.9% 31.0% 100% 교사/교수 5.3% 23.7% 31.6% 7.9% 15.8% 15.8% 0.0% 100% [표 Ⅲ-10] 자료열람 시 요구사항 주부 12.6% 12.6% 40.2% 5.7% 14.9% 13.8% 0.0% 100% 기타 12.0% 15.6% 32.9% 4.2% 15.6% 18.0% 1.8% 100% 총 합계 10.6% 17.2% 31.1% 5.8% 17.4% 16.6% 1.3% 100% 자료열람 시 요구사항으로는 전반적으로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용, 통합로그인, 오류 없는 신속한 자료와의 링크, 통일된 뷰어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은 제한 없는 자유로운 자료이 [표 Ⅲ-11] 온라인교육 요구내용 36 제3장 이용자 시나리오 개발방법론 37
  • 20. 전반적으로 온라인교육의 내용으로 정보검색/활용능력, 정보문제해결 능력, 도서관 관련IT서 비스 이용, 영상/이미지 제작기술에 관련된 교육을 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남성은 정보검색/활용 능력, 도서관 관련IT서비스 이용의 순으로 교육받기를 원했고, 여성은 정보검색/활용 능력, 정보 문제해결 능력의 순으로 교육을 받기를 원했다. 또한 20~30대는 정보검색/활용 능력교육, 영상/ 이미지 제작기술 교육, 50~60대는 정보검색/활용능력교육, 도서관 관련IT서비스 이용교육의 순 으로 온라인교육을 요구하며, 40대는 정보검색/활용능력, 정보 문제해결 능력교육, 초·중·고 등학생은 영상/이미지 제작기술교육, 정보검색/활용 능력교육의 순으로 온라인교육을 받기를 원 했다. 직업별로는 대학(원)생이 정보검색/활용 능력교육과 영상/이미지제작기술교육, 회사원과 제4장 자영업자 및 교사/교수는 정보검색/활용능력 교육, 도서관 관련IT서비스 이용교육을 원했다. 또 한 주부는 정보검색/활용능력, 정보 문제해결능력의 순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시 나리오의 기술시 정보 검색 및 활용 능력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요구를 반영하였으며, 온라인교육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내용으로써 영상/이미지 제작기술 교육으로 미디어 스튜디오와 관련된 영상·이미지·음향 제작 에 관련된 교육내용을 다루었다. 1.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이용자 시나리오 2. NDL 포털의 이용자 시나리오 3. 정보소외계층의 이용자 시나리오 38
  • 21.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 개발 제4장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받아가라고 일러주었다. 미 반납시에는 출구 검색대에서 경고 알람이 가동한다고 하였다. 설명을 듣고 철규는 장비대여소에 비치된 PDA 작동법에 관한 인쇄물을 몇 부 챙겼다. 로비에 마련된 의 자에 앉아 인쇄물을 보면서 PDA의 기능들을 하나씩 실행해보며 익혔다. PDA로 NDL의 이용안 내와 자료실안내 등에 관한 정보, 예약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는 디지털 클러스터의 자리예약을 위해서 예약시스템을 찾아 NDL을 둘러보았다. 예약 단말기가 보였고 빈 단말기를 찾아 디지털 클러스터의 좌석예약 현황을 확인한 뒤 원하는 시간을 지정해 좌석을 예약하였다. 그리고 단말기에‘인쇄’ 클릭하자, 디지털 클러스터 위치와 예약한 를 좌석명, 좌석위치, 예약시간이 적힌 작은 종이가 인쇄되어 나왔다. 철규는 인쇄물을 주머니에 넣 으면서 예약한 좌석을 찾아가기에 편리하겠단 생각이 들었다. 예약시간까지 무엇을 할까 생각하 본 4장에서는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 정보소외계층 서비스를 이용하는 각각의 대표 며 로비를 찬찬히 둘러보았다. 적인 한 이용자씩을 선정하여 시나리오를 기술하였다. 이용자의 유형별, 계층별, 주제별 정보요 몇몇 사람들이 화면을 보며 서있는 곳이 눈에 띄었다. 가까이 가서 보니 종이로 보던 신문을 구를 다양하게 다루며, 시나리오의 사건흐름을 기본흐름, 대안흐름, 하위흐름으로 기술한 시나리 모니터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는 곳이었다. ○○일보, ××신문, YY신문, 메타블로그 등의 신문 오는 5장과 6장에서 제시되었다. 웹사이트도 열람할 수 있었다. 철규는 여러 신문 중 OO일보 아이콘을 클릭한 뒤 신문기사를 읽 을 수 있었다. 모니터로 열람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는 글자를 확대하여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생 1.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의 이용자 시나리오 긴 듯 했다. 그리고는 신착자료 열람 공간으로 이동했다. 이 코너에서는 NDL에 최근 한 달간 신규 입수 및 30대 대학원생인 김철규는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논문을 작성 중에 유용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등록된 디지털자료에 대한 리스트를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신규 입수된 자료는 제목 NDL을 방문하고자 하였다. 철규는 지하철역에 내려 나오는 길에 안내판에서 NDL 셔틀버스 운 뿐 아니라 주제별로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NDL의 분야별 전문사서가 추천한 주제별, 분야별 행에 관한 내용을 볼 수 있었다. 역 바로 앞에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고 오래 기다리지 않아 셔틀 디지털자료에 대해 이미지와 간단한 설명 등을 볼 수 있었다. 시계를 보니 벌써 예약한 시간이 가 버스를 타고 편하게 NDL에 올라올 수 있었다. 까워 오고 있었다. 철규는 디지털 클러스터를 향해 계단을 올라갔다. NDL 건물 입구를 통과한 철규는 집에서 별도의 온라인 회원가입은 하지 않은 채 방문한 터라 디지털 클러스터의 예약된 좌석을 찾은 철규는 자리에 앉아 로그인을 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 현장접수대에 마련되어 있는 PC를 통하여 회원가입을 마치고 키오스크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 을 통하여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보고서 및 논문 등을 열람하였다. 원하는 자료의 원문을 인쇄 를 입력한 후 정기권과 일일 이용권 중 정기권으로 전자이용증을 발급받았다. 그리고나서 불필요 설정하자, 결제시스템에 접속하여 핸드폰으로 결제하는 방법을 선택하고 지불을 마치자 컴퓨터 한 짐을 줄이고자 사물함으로 향했다. 옆의 프린터를 통해 뽑아 볼 수 있었다. 프린터 옆에 있는 스템플러를 이용하여 인쇄물을 편리하 전자이용증을 무인사물함 리더기에 대자, 사물함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물품을 보관하고, 게 정리하였다. 검색과 열람을 반복하던 철규는 휴대전화가 진동으로 울리는 순간, 바탕화면의 간단한 필기도구와 몇 가지 소지품만 챙겨서 비치되어 있던 투명비닐가방에 넣었다. 사물함 열쇠 ‘일시정지’버튼을 눌렀다. 다른 사람이 자신의 자리를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을 해 둔 후 안심하 를 따로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서 편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 전화를 받으러 디지털 클러스터를 나갈 수 있었다. 용무를 마치고 자리로 돌아온 철규는 화면 그리고는 장비 대여소에서 전자이용증을 제시하여 리더기에 읽히고 신분증을 내고서 PDA를 의‘사용’버튼을 클릭하고 로그인을 거친 다음 나머지 작업을 하기 시작했다. 이윽고 이용시간 빌릴 수 있었다. 대여직원은 간단한 작동법을 설명해주었고, 나갈 때 PDA를 반납하고 신분증을 이 다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5분 뒤 자동 로그아웃 된다는 메시지가 나타났다. 철규는 40 제4장 이용자 시나리오 : 기본흐름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