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5
Download to read offline
한국↑]려학회지 학교 
17le Koreol/ Jour““1 01 Sc{,ool Psyc{,olog)' 
2α)9, Vol. 6, No. 2, 123- 147 
집행기능의 이해: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l 동 형 f 
배 재 니l학교 심리철학과 
온 논문의 꽉식은 최근 신경심리학 분야에서 활안히 연구되고 있는 집뱅기능의 개념융 국내 
학교섭이학 및 인십 분야의 연구자들 렛 실무자들에게 소개하는 데 있다 최 근 연구문헌파 
동향응 중신으로 집행기능의 개념 및 이 콘, 이 동 갱소년기 학유 및 행동문제와의 판련성 , 
평가 잊 개엽의 주께 순으로 개판합으로써 . 신경싱리학적 개념인 집행기능이, 학교장언에서 
학생뜰이 경힘하는 다양한 문세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며, 개입하기 위해 할 
용힌 수 있는 유용한 새녕 임을 강조한다 아지 ‘’f으로 짐챙기놓이 학교심리한적 연구 및 샤 
바 스 제공에 적용훤 수 있는 구제적 망안과 시샤점 올 논의한다 
주요어 집앵기능 싣앵기능, 관리기능 학교심리쩍 
f 교신서재Córn..'Sf잉nding Au뼈,) 이동헝‘ 배재대학교 싱리첼학과, <J02.7’7) 대신시 서구 연자 l 길 14 
Td.: 042-52ι594 L E.mail : dlt"t:(ã pc:u.ac.kr 
123 •
효F국심리학회지 혁교 
띠 국에서 학교심리학시들의 가장 전통적인 
역할은, 학업수행을 저해하는 다양한 학습, 정 
서 및 행동문제와 관련하여 장애여부를 판정 
하고, 특수교육수혜자격 을 심사하는 데 있어 
왔다 하지만, 지난 20여년에 걸쳐 , 학교심리 
학 내 에서 , 개입계획에 직접적인 시사점을 주 
는 “문제해질중심의 평가척 집근‘'(Mcπell , Ervin, 
& Gimpcl, 2ω6)01 점차 강조되이 왔고‘ 2ω4 
년에 개정된 미 국의 장애인교유개선 냄 ODE1A 
Individuals wirh Disilb îlit}1 Educurion Improvcmem 
Aα)에서는, 특수교육수혜자격을 절정하는데 
있어서 게입에 대한 반응월-(…“r‘cs:야p〕띠때c co ’'…"1 
RTl에))께0깨。1에1 근?지l하여 학습장애를 진단 · 평가힐 것 
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상의 띤 
화에 알맞추어 , 학교심리학적 평가가 특정 준 
거에 따라 장애를 진단하는 일에 그치지 않고, 
학생의 환경적 백락 속에서 위 쉽요인으로 작 
용하는 개인 적 특성이나 결함을 찾아, 개입에 
시 사집을 졸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 
었 다,Weinbcrg & Glanrz‘ 1999) 이러한 지적은, 
효과적인 학교심리학적 서비 스를 세공하고 개 
벨 학생틀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키 
기 위해서는, 학교장변에서 개별 학생 이 보이 
는 학습 행동문제등의 본질을 보다 깊 이 있 
게 설영해주고‘ 또한 개입계획을 세우는데 한 
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흔적, 개념적 뜰,framc 
work)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집행기능,ex('CUuvc “ nction)l)이라는 용어 는, 
l’ 집행기능CX{'(.1IfJve “ nction)은 국내에서 ‘판리기 
능‘ ‘수행 기 능’, 혹은 ‘ 실행기능’ 등의 용어로 번 
역패 왔다 필자는 ‘집행기능·이라는 용어 를 선 
호한다 집행기놓은 다흔 하위 정신기능들의 작 
용을 똥제. 조정하는 지 시 적 정신기림di ra.1"i‘ι 
rl')('nral C3pacÎ(jCS)을 의미하기 때문에 , 단순히 ‘관 
리‘, ‘수앵‘, 혹은 ‘실행 ·한다는 의미보다는 ‘ 잡아 
시 행한다는 의미의 ‘ tA行‘이 , 원래 용이의 의미 
아동 , 청소년기에 영향을 미 치 는 다양한 정신 
장애와 관연하여, 집정 더 자주 연구문헌에 
등장하고 있다 Psyclnfo의 검색엔진을 통해 검 
색되는 연구논문의 수를 보아도 알 수 있다 
가령 , 1 995 년에는 ‘l'XCCl.I<IVC “n((lon’과 ‘chi ldren’ 
을 참조어로 사용했을 때 , 오직 1 5편의 논문 
이 김색되는 만떤에 , 2008년까지 포함시 ;> 1 연 
검색되는 논문의 수는 총 α)()여 편에 이 른다 
국내에서 도 최근 10여 년에 걸쳐, 집행기능에 
대 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최근까지 몇몇 학술 
지흘 통해 약 l ’편의 논문이 출 판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 논문들은, ADHD로 진단된 아동 
틀이 정상아동틀에 비해 집행기능을 측정하는 
깃으로 간주되는 신경싱라학적 검사나 실험적 
인지파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인다 
는 연구들(김용희 2α)6. 김진구, 김홍근, 2008; 
배대석 , 서완석 , 구본훈, 박권생 , 장자은, 2(06) 
이 대부분이여 , 자폐증‘ 품행장애, 십식장애, 
정신운열 증, 뚜렛장애, 학습장애흘 가진 아동 
틀의 집행기능 절합을 보고한 연구들〈성형.'i'-, 
박행 l새 , 2(뻐) 송찬원. 김하경, 장회대 , 2008; 
신민섭 등. 2006; 오현숙 2α)5)과 집챙기능 개 
선을 위한 개입프로그랩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검사리, 김교헌, 2002)도 보고원 바 있다 
떡사적으로 집행기능은 학교심리학 분야보 
다는 주로 신경심리학이나 인지심리학 분야에 
서 연구되어왔다 그러 나, 집행기능의 결함이 
특정한 장애로 진단을 받은 아동을 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아동들에게도 발견된다는 연구들 
이 제시됨에 따아, 집행기능의 결함을 아동 
청소년기 장애들 뿐 아니라, 약불남용, 공격성 , 
위험감수행동 등, 다양한 부적웅의 운제 와 관 
련펴는 ‘위 힘요인‘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Giam:ola, Martin‘ Tarter‘ Pclham & Moss, 1996) 
를 더 잘 반영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124 -
이동혈 / 집행기능의 이해 획교심리획적 적용을 위힌 개핀 
이 제기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심리학과 인접분야 
의 연구자듣 및 실무자뜰에게, 학교장연에서 
직연하는 다양한 어려융을 가진 학생들을 보 
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1 개입하기위 
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신경심리학적인 개 
념으로서 , 집행기능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해, 집행기능에 대한 최근 개념과 이흔올 
소개하고, 집행기능과 학교장띤에서 직민하는 
다양한 부적응행동과 학습문제와의 관련성을 
아동 · 청소년기 흔히 진단되 는 정신장애들을 
중심으로 개관할 것이다 또한, 집행기능에 대 
한 주요 평가적 접근과 최근 동향을 소개하고‘ 
아윷러 집챙기능 문세의 대표적인 게입방법에 
대해서도 개관할 짓이다 마지막으표, 학교심 
리학적 적용을 위한 구처| 적 인 ’앙안과 시사점 
올 논의할 것이다 
집행기능의 개념과 정의 
집행기능은 최근 신경심리학 분야에서 아주 
활발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며 l 이 0 1 지적했 
듯이 국내 에서도 집챙기능에 대한 연구출판깐 
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동 
향에도 불구하Jl., 집챙기능에 대한 정의나 개 
녕사용에 있어샤 상당한 견해차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연구자틀마다 서로 다른 정 91 
를 사용하는 것을 흔히 발견할 수 있고, 집행 
기능이라는 용어가 다른 하위인지과정들을 지 
칭하는 용어들(예릎 들변, 주의 , 기억 등)과 혼 
돈되어 사용되거나, 다른 관련용어들(예를 들 
번, 지능, 상위인지 등)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 
용되기도 한다 
집행기능에 대한 관점 
집행기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심리학 내에서 집행기능이 
다양한 이흔적 관점에서 연구되어왔다는 데 
있다 이러한 이흔적 관점들은 크게 신경심리 
학적 관정, 정보처리적 관점, 발달신리학적 관 
점으로 대벌해 올 수 있다 신경심리학적 관 
접에서는‘ 집행기능을 뇌의 기능과 관련시켜 
설명하려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집행기능을 
단순히 전두엽의 활동으로 동일시해 왔지만, 
이러한 이해는 정확õ~지도 유용하지도 않응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Barklcγ. 2006) 왜냐하면, 
진진두엽을 포합한 진두엽은, 집행기능과 관 
련원 다양한 인지적 기능들 외에도 다양한 다 
른 인지적 과정 틀을 애개하며 , 집행기능이 진 
선두엽의 기능과 빌접한 관련성이 있다 하더 
라도 진진두엽 피질에 국한되는 깃은 아니기 
떼문이다φεnckJ‘1, (996) 신정심리학적 관정에 
서, 집행기능을 대표하는 신경 ilia는, 여러 대 
뇌 영역과 피질하구조의 협응적 활성화에 관 
여하는 신경망이라고 보는 것 이 보다 정확한 
이해다 
정보처리직 관정(혹은 인지심리학적 판점)을 
가진 연구지틀은, 집행기능을 문제해결에 필 
요한 복합적 인지과정으로 본다 가병. To밍잉CIl 
( 1 9')4)은 섬행기능을 상위인지 (mcc<lcognicion)와 
유사한 개념으로 보았다 즉, 상위인지란 지식 
및 전략적 자원 틀을 감찰, 계획, 조직화, 조정 
(cωrdinarion), 조절(adapr;ltion )하는 인지 적 능역 
으로서, 이러한 능력은 집행기능의 특성을 기 
술하기 위해 혼히 언급되는 능력들과 매 우 유 
사함올알수 있다 
집행기능에 대한 발달적 접근에서는. 집행 
기능을 진생이l 적 발달의 맥락에서 이해하려한 
- 125 -
한국심리학회지 회교 
다 가령 , Dcnckl여 1 996)는 아동과 성인의 차이 
가 ‘발달 중에 있는 집행 기능늙‘unf“o|예뻐n멍g cαxcru’”…tI' 
funcri뼈o띠nn)"어에l 있다고 간단히 성명하였다 즉, 아 
동이 성인으로 성장해 갑에 따라, 전반적으로 
독립성이 증가하고 자기-조절력이 증대되며 
자윤적인 생산성이 증가한다고 딸 수 있는 데, 
이러한 변화는 집행기능의 알달에 기인하는 
것요로 발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집행기 
능의 발달온 전전두피질과 관련 피질하 뇌 구 
조의 성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 이러한 
뇌 구조의 성숙은 성인기까지 계속되는 것으 
로 보인다{Wclsh, Pcnningron, & Groisser, 1991) 
Korkn,'U1, Kemp와 κrk-(2이)1)의 연구에 따르연, 
집행기능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유의한 연화 
는 ’세에서 8세 사이에 나타나며, 9세에서 12 
세 사이에도 적지 않은 연화가 있다 Andcrson‘ 
Anderson, Nonhrun‘ J acobs와 αrropp띠 200 1 )의 연 
구에 따르면, 주의동재나 처리속도 같은 인지 
능랙들은 청소년기를 통해서 칩진적으로 알달 
하지만, 특히 15세경에 뚜렷한 증가룹 보이는 
듯하다 같은 연구에서, 인지적 융봉성이나 감 
찰능력운. 아동후기나 청소년기 동안에 연령 
에 따른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과 목표설정을 측정하는 과 
제 들에서의 수행은 1 2셰경에 유의하게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차원적 통합개념으로서의 집행기등 
집행기능은 않은 연구자을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돼 왔다 집행기능의 이해 를 돕기 위해 
일부 연구자들은, 은유{mcraphor)를 사용한다 
가령 . 집행기능을 지능의 일반요인(‘s ‘요인)에 
빗대이 ‘신경심리학자들의 s 요인 혹은 ‘ s 
요인 .. ("smart’를 대표하는 ‘s’)으로 멍영하거나, 
인간의 정신과정에 있어서 집행기능의 역할을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혹은 “뇌의 CEO‘로 비 
유하는 것 이 그것이대G이dbtrg, 200 1) 영향력 
있는 집행기능에 관한 문헌들{Barkley, 2αlO; 
Gioia, Isquirh, & Guy, 200 1, McOoskey, Pcrkins, 
& Van Divner, 2009; Welsh, 2002)은 집행기놓 
올 단일차원의 개녕이라기보다는, 비 교적 서 
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작용하는, 서로 구멸되 
는 다양한 인지과정들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 
념으로 기술한다 McO∞쩌 동{2009l은 집행기 
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돼 온 다양한 은유틀 
이 집행기능의 다차원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옷한다는 점을 지적하연서, 집행기능융, 정신 
능역이 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한 팀의 
공동 지휘자들”에 비유하였다 이러한 다차원 
적 입장은 집행기능을 영어에서 혼히 복수형 
으로 표기하는 것(즉 exr::CU(Îvc funcrioru)에도 반 
영 돼있다 
좀 더 기숨적인 집행기능의 정의를 살펴보 
인, μ ,ak<(995)은 집앵기능을 ‘개인이 독립적 , 
목표지향적, 자조적 행풍을 생공적으로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들”로 간단히 정의하 
였다 Gioia 웅200 1 )은 집행기능을 좀 더 광범 
위하게“모든 인지적 활동, 정서적 반웅, 외현 
적 행동틀을 조직화하고 지시하는 동세직 혹 
은 자기 -조젤적 기능틀"01 라 하였다 유사하 
게. McCloskcy 동{2009)은, ‘집행기능이란, 의도 
적 조직적 , 전략적 , 자기-조철적 및 목표 지 
향적 방식으로 개인의 지각, 정서, 사고 및 
행풍을 "'1 a1 하는 개인의 능력을 관할하는 일 
련의 지시적 능력플(dircrti야 capaci[ics)료, 이야 
한 능력을은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죠화된 방 
식으로 함께 작용한다 F고 개념화하였다 최근 
McOoskcy 둥{2009)은 집챙기능의 ‘전채풍합적 
(holarchic피) 모형 ”을 재시한 바 있다 이들의 
- 126 -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해 화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모형은 집행기능에 대한 현존하는 모형 중 가 
장 포팔적인 것으로, 집행기능의 복잡성 및 
다차웬성올 반영하여, 인간의 중다 기능영역 
과 기능수준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 
하는 집행기능의 역할을 상정하고 있다 이 
모형은 집행기능의 포괄적인 기능을 개엽화하 
기 위해‘ 집행기능의 1) 기능영역(“ nC[lon며 
domains; 지각, 정서, 인지, 행동)‘ 2) 집행기능 
이 관여하는 장"(arenas of Î",'olvemenr 개인 내, 
대인 , 상징세계 및 환경)‘ 3) 집행능력의 층 
((ier: 자기-활성 , 자기 -조절, 자71 -인지/ 자기­결정 
, 자71-생성 및 자기초월석 통합)의 개념 
을 도입하였으며. 죄행기능의 역할에 대 해 다 
양한 수준과 영역에서 체계적인 설명을 세공 
한다 
칩챙기능을 다차원적 통합개념으로 이해하 
는 것은, 서로 다른 측면의 집행기능을 측정 
하는 인지적 과재들에서 통일한 개인이 상이 
한 수준의 수행을 보인다는 연구결과,Carbon, 
Moscs, & daxmn‘ 2α)4)나, 성인과 이동; 표본의 
요인분석식 연구결과을(이영주, 홍장회 2006; 
I..ee & Riccio‘ in pr('SS; Leluo, Juujarvi, Kooisua, & 
Pulkk inen, 2003; Mi)'ake cr 외 , 2000)에 의 해 서 
전반적인 지지룹 받는다 하지만 집챙기능올 
다차원적 개념 으로 고려할 때 ‘ 집행기능을 구 
성하는 핵심적인 차원 혹은 구성요소를 놓고 
학자들 간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함을 인식할 
멸요가 있다 가령 , l=k(995)은, 의지작용 
('olillon), 계획 , 의도적 행위, 및 효과적 수행의 
네 요소를 포항시켰고, ßa써(')'(2ω0)는 보다 포 
팔적으로, 1) 의지작용, 계획, 의도적 , 목표지 
향적 행위 , 2) 억제 및 주의분산에 대한 저항, 
3) 문제해결 및 낀략의 개발‘ 선정 및 갑찰. 4) 
유연한 선환능력 , 5) 목표달성을 위한 지속성 
의 유지. 그리고 6) 시간에 따른 자기인식을 
포함시켰다 한편 , Gioia 등2αJ1)은, 억제, 전 
환, 정서동>11. 학수, 작업기억, 계획, 조직 및 
김찰을 핵심적인 차원으로 재시하였으며, 가 
장 포괄적으로 Mcd∞key 등20(9)은 2 3가지의 
자기-조절적 집행기능을 상정하였다 최근에 
Mclrzen2(07)는, 현존하는 대부분의 정의들이 
포함하고 있는 집챙기능의 요소들을 확인하는 
데 , 1) 목표설정 및 개획‘ 2) 시간에 따른 행동 
의 조직화. 3) 융통성. 4) 이러한 과정틀을 안 
내하는 주의역과 기억체계(즉, 작업기억), )) 
자기-강창과 깝은 자기-조절 과정이 그것이다 
집행가능을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보는 일부 
연구자들은 집행기능의 다중요소들 중, 소수 
의 핵신적인 집행기능 혹은 집챙기능의 차왼 
이 존재한다고 주장해왔다 가링 I Penningroll 
(1 997)은 요인분석적 결 과에 기초하여 , 작엽 
기억, 인지적 융통성, 및 운동억제를, 광범위 
하게 정의된 집챙기능의 주요차원으로 보았고, 
Wclsl끼 2(02)는 작엽기악과 억제를 가장 핵심적 
인 집행기능으로 보았다 
일부 연구자틀,Il<:rnsrein & Wabcr, 2(07)은, 
집챙기능을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 
이 , 현대 인지신정과학에서 딴연해 있는 환원 
주의적인 입장에서 집행기능을 이해한 위험을 
조 래한다고 지적하였다 즉, 홍합적 구성개념 
으료서의 칩행기능을 보다 단순한 인지적 과 
정이나 특정 기술쿄 나누어서 분석할 때 , 집 
행기능의 영역-일반적 (domai n-genernl)인 특성을 
도외시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복잡한 
칩행기능의 개닝을 환웬주의적 관겁보다는1 
게스탈트적 , 시스템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 
이 중요하I져 , 통합성 과 다원성의 양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집쟁기능의 개념적 이해 
에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127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집 행기능과 관련개 념 지능 및 싱위 인지 
집행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집 
행기능을 다른 유사개엽과 비교해서 이해한 
필요가 있다 집행기능과 관련하여 흔히 개념 
적 혼선을 초래하는 두 개념은 상위인지 (mewcog 
ni[ion)와 지능{ imdligencc)이다 집챙기능과 상위 
인지의 개념적 관련성에 대해서‘ 상위인지틀 
집행기능의 한 종류나 하위개념으로 보는 견 
해가 일반적이다 가링 , Kuhn(1 992)은 상위인지 
를 “인지적 진략의 사용을 선택, 통제 및 감찰 
하는 특정한 집행기능”으로 .t!.았고, Flavell, 
Mi llcr와 I>tille이 1993)도 상위인지를 “인지에 대 
한 인지‘’ 흑은 “다른 인지적 과정을 조정하는 
지식이나 인지적 할동’으료 정 의하였다 Torgescn 
( 1 994)은 정보처리적 관점에서 , 집행기능의 칭 
의에 상위인지의 개념을 사용하여‘상위인지 
적 지식‘’과 ·‘ 상위인지적 행동‘을 구분하고, 
후자의 개념에 자기 조겔 뭔 아니라, 지식이 
나 선략적 자웬들을 감찰, 게획 , 조직, 조정 
및 조정하는 능력을 포함시켰다 유사하기1, 
ßu rterfield와 Albemon( 1 994)도, 집 행 기 능을 ‘지 
식과 전략의 사용을 갇찰하고 몽제하는데 관 
여하는 인지적 그러고 상위 인지적 과정의 
조정재〔ω찌 in3.ror)“로 개념화하였다 따라서, 
집행기능은 다양한 인지적 활동이나 상위인 
지적 활동 뿐 아니 라, 앵동 혹은 운동 활동 
(motor acriviries)을 똥제하는 지시적 정신능력 
을 의미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있다 
지능과 집챙기능의 개념적 관련성은, 지능 
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려있다 현재 지능 
에 대한 정의와 。l 론은 매우 다양하다 가령, 
보다 광영위한 정의(예를 들연, Srcmocrg, 2005) 
는 지능의 일부로 상위인지적 과정 혹은 집행 
기능적 통제과정(txt'CUrive control proccss)을 포 
합시카고 있는 반면에, 보다 협소한 지능의 
정의(예를 들연, Terman, 1921)는 집행기능과 
판련된 인지적 과정을 배제하거나 이러한 통 
재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능을 ‘특정 지능검사가 측정하는 것’이라고 
초작적으로 정의하는 입장에서 보연, 현재의 
지능검사들은 집행기능을 적어도 공식적인 지 
능의 구성요소로서 즉정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MrOoskcy 등{20(9)은, 대부분의 지능검사 
가 구성펀 망식(가령, 구체적인 지시사항, 본 
문항 이전에 제시하는 가르치기 문항, 검사자 
자 주의를 환기시키거 나 실행단서를 제공하는 
점 등)은 과제수행에 있어서 집행기능의 관여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며 , 따라서 지능검사짐수 
는 아동의 짐행기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다고 지적한 싸 있다 지능검사접수와 집챙기 
능 측정치들 간의 상관이 대 부분 20에서 30 
정도로 낮게 나타난다는 정 (Korkman, K.irk, & 
Kemp, 1998"1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것으쿄 올 수 있다 
요약하면, 집행기능은 환원주의적 관성보다 
는, 시스댐적, 게스탈트적 관점에서 이 해해야 
하는 다차원척, 통합적 구성개념 이 다 즉 집행 
기능은, 인간의 지각, 인지 , 정서, 및 행동영역 
이1 걸쳐, 개인내적 수준 뭔 아니라, 대인적 상 
호작용에서, 환경과의 관계 를 통해 , 그리고 상 
정체계의 사용을 통해, 포괄적인 영향력을 행 
사하는, 다양한 지시적 정신기능의 복합체로 
볼 수 있다 집챙기능은 대뇌 (특히 진두엽) 및 
이 와 연결된 피질하 구조를 포함한 복잡한 신 
경회로망의 활성화에 의해 에개되는 과정으로 
이해휠 수 있으며, 지능이 나 상위인지 같은 
개념들과, (이플 개념올 어떻게 갱의하느냐에 
따라) 개념적인 수준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될 
128 -
이돔형 / 집행기능의 이 해 학교심리학적 적 용을 위 한 개관 
수 있으나‘ 단순히 동일시될 수 없는 포괄적 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개념이다 
집행기능과 학습 및 행동문제 
지난 20여 년 동안, 집행기능과 。}동 • 갱소 
년기 진단되는 다양한 장애틀과의 관런성을 
제시하는 많은 연구를이 t갚표되었다 대표적 
인 최근 연구틀을 중심으로, 학습문제, 외현화 
및 내재화 행풍문제, 그러고 선반적 발달장애 
로 나누어 개판하도콕 하겠다 
집행기능과 학습문제 
학습문제와 집행기능 사이의 관련성은 많은 
연구들에서 확인되었다{Graham & Harris, 1993: 
Mchzcr, 2ooï ) 가장 일판된 연구결과는‘ 읽기 
장애 나 수학장애 같 은 학숨운세 렐 가진 아동 
들이 작업기억의 결 함을 보인다는 것이대‘1. 
Jong, 1998; Swanson, 1994) 이러한 결과는‘ 음 
운흔적 인식 (phonùlogical awarc.-ncss)이 초기 얽기 
능력의 일차식 갤징요인이며, 읽기장애의 원 
인이라는 연구뜰에 비추이 해석돼 왔다 즉 
음운환적 인식을 측정하는 과세에서 성공적으 
로 수앵히려면 읍소흘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작엽기억이 증요한 역할을 한다는 
해식이대Turner & l-Joovc: r, 1992} 작업기억 외 
에 다른 집행기능들도 학습문제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가령’ H바‘ωι!야""ι’ s、w‘ a 
‘d야1. Kru“와s'1- 뼈M.. to 때mt댄s앤omc때r깨y꺼여(뻐2α00긴2껴)앤페으의l 연구에서‘ 쓰기 
장애로 특수교육 서비스흘 받는 학생 뜰은 착 
수(iniciacion)나 전환~se[ sh싸'"밍을 측정하는 과 
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인 반면, 
보FκSllsta.i ning)나 억제 (inhibicion)과제에서는 유 
집행기능과 외헌화 행동문제 
외현화 행통문제와 집행기능 결합과의 관련 
성은 주로 ADHD, 반사회적 행동 및 약불남 
용에 대한 연구들에서 보고되었다 ADHD 와 
집행기능과의 관계는, 현재 tlDHD를 설명하 
는 주요 이 론들(ßa rklcy, 2006; Rapporr, Koncr, 
Aldtrson, & Raikcr, 2008)에 장 반영 돼 있 다 
ADHD는 집행기능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연 
구된 아동기 장애 증 하나다 ADHD를 가진 
아동블은 정상아동뜰에 비 해 억세(특히, 반응 
억세 혹은 운동억제)를 측정하는 인지적 과제 
들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인다는 연구틀(예 를 
들띤, 배대석 등, 2006: B’J싸aa‘"r샤r“‘k“l싸c야cyι’ Gr()떠(α,1z긴α…,"s 
Dc꺼P씨atu띠씨l“1,‘ 19‘m9낀긴2)에이 가장 일반적이벼o]껴1.’ A‘D아바HiD'를를 가 
진 아동들이 언이장애나 학숨장이! 동의 동반 
장애 여부나 일딴지능 수준과는 독립적으로, 
다양한 유헝의 작엽기익 결함을 보인다는 통 
합분석 결 과도 보고된 바 있다CMarrinu ssen , 
Ha)'dcn, Hogg-Johnson, & Tannoclι 20(5). ADHD 
집단의 집행기능을 연구한 83핀의 논문을 
퉁함분석 한 Willcuft, Doyle, Nigg‘ Faraonc . .l'l­Penningm미 
20(5)은, 가장 일관되고 큰 효과의 
크기를 보인 씌챙기능은 반응억제, 작엽기억 
정기I(vigil‘lm.:C) 렛 게획임을 보고하였다 이 통 
합운석에서 , ADHD 집단의 다양한 주l 행기 능 
걸 함은 지능이나 성취도 그러고 다른 장애의 
증상을 동제한 이후에도 유의하었디 하지만 
효과의 크기가 중간정도(.4ι69)에 그치고 모 
든 ADHD 아동들이 십행기능의 결함을 보이 
지는 않는다는 짐을 지적하면서 , Willcu(( 등 
(2005)은 집챙기능의 결함이 ADHD의 필요조 
건 이나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이 
129 -
한국심리회회지 학교 
퍼한 연구결과들은, ADHD 아동의 죄행기능의 
결함 양상에 있어서 유의한 집단 내 개인차, 
곧 알달적 이질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 
다 。l 러한 발달적 이질성은 ADHD의 하위유 
형이나 동딴장애 등과 감은 다른 중재요인들 
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 
집행기능은 반사회적 행동~Morgan & l.ilirnfelJ, 
2뼈)이냐 공격성 및 폭력행동~Fish야in, 2뼈)과 
유의한 상판을 보이는 한 연인이다 Morgan과 
l.i lienfdd(2αlO)는 반사회적 행동과 다양한 집행 
기능 측정치틀 간의 관계를 검증한 ‘9편의 연 
구를 통합분석 했는데, 평균 효과의 크기 62 
를 얻었다 하지만, ADHD와 같은 동반장애 
를 고려하지 않은 연구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러한 동반장애를 통재했을 때도 집행기능 
의 결함을 보이는지 영확한 결론을 내린 수 
없었다 또 다른 통합분석연귀Oosrrrl때I logan, 
&5<밍l-anr, 1 998)는 ADHD 아동들 뿐 아니라 
품행장애륜 가진 아동들도 반응엔세 결함을 
보인다고 질흔지었다 ADHD와 반사회적 행동 
이나 공격행동 간에 높은 공l영윤이 존재한다 
는 점플 깜안한다면, 억제결합은 ADHD의 흥 
동성이나 과영환동성을 통해서 반사회적 행동 
에 영향을 이 칠 가능성도 시사된다 
집챙기능의 경합은 약윌사용(subscancc 띠c) 
과도 관렌되는 것으로 보인다(Aycadar‘ Tartcr 
Kirisci, & Lu, 1999; Giancola & Parkcr, 200 1) 
Aycadar 동~ 1 999)은 서개D로 진단받은 m영의 
소년들의 다양한 인지적, 행동직 특성에 대한 
단기총단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기 
저선 수준에서의 짐행기능의 걸함은 2년 후의 
약물사용을 ADHD 증상보다 더 잘 예측하였 
다 이러한 집행기능의 효과는 약블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른 영향력을 ul 치는 것으쿄 보인 
다 즉, 집챙기능의 결함은 부모의 약윌사용파 
130 
같은 다륜 변인을 먼저 고려한 이후에는 더 
이상 알콜사용을 에 측하지 못했지만, 부모의 
약불사용, 풍행문제, 지능,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한 이후에도 대마초냐 담배 홈연을 유의 
하게 예측하였다 
집행기능과 내재화 행동문제 
집행기능과 행동문제와의 관련생은 주로 외 
현화 행동문제 영역에서 많이 연구되어왔기 
때문에 , 내재화 행동문제와 집행기능의 관계 
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하지만, 
몇몇 최근 연구들은 임상적인 우울이나 불안 
을 경험하는 아동들이 집행기능올 포함한 다 
양한 인지적 고}세수행에서 결함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Carψ10, N삐1, Lorusso, Battaglia, & 
.Molccni, 2005; Emcrson‘ 빼lJrr , & Hπison, 2005; 
Micco cr aL, 2009; T orcn‘ Sadch, & Wolmcr, 
2(00) 가링 , Ca때do 등-(2ω5)의 연구에서‘ 건강 
한 통새집단의 아동 틀에 비해, 우울한 아동들 
은 언이유창성 과재릎 수행하는 동안 유의하 
게 늦은 ‘착수‘ 능력을 보였고, ‘인지적 억제’ 
를 측정하는 과제와 주의릭 유지를 요하는 과 
제에서도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으며‘ 
이러한 수행결법은 우울증상의 심도와도 유의 
한 상관이 있었다 ’'foren 둥~2000)의 연구애서 , 
우울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격리쏠안장애나 범 
불안 장애를 보이는 6세에서 18세 사이의 아 
동들은, 인지적 융통성이나 언어직 기억을 요 
하는 과제들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 
였다 최근에 보고왼 Micco 월20(9)의 연구에 
서는, 집행기능의 결합이 주우울증이나 펀안 
장애의 기질적 기여요인인지 아니연 이러한 
장애 들의 증상의 발현으로 볼 수 있는지플 검 
증하기 위해서, 부모의 기분장애나 윌안장애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해 학교심리혁적 적용올 위힌 끼관 
와 자녀의 십행기능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하 
였다 이 연구에서, 부모의 정서장애는 자녀의 
집챙기능 손상과 유의한 판련이 없었지만, 현 
새 기분장애 를 경험하고 있는 아동들은 작업 
기억, 인지적 융통성 릉의 집행기능을 측정하 
는 파제 들과 처리속도플 측정 하는 과제에서 
유의한 수행절핍을 보였 으며 , 벙불안장애나 
사회공포증을 가진 아동들은 각각 언어적 기 
억 빛 주의력 유지를 요하는 과제에서 유의하 
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집행기능과 전반적 발달장애 
전반적 발달장애는, 자폐증 스펙트럼 상의 
다양한 심도를 가진 장애듬을 지칭하는 DSM. 
IV 의 진단 범주로, 자폐장애, As pergcr 장애 , 그 
외에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 등올 포 
함한다 자폐증에 대한 인지적 이흔 증, 최근 
주목쓸 받고 있는 견해는 자폐 아동을에게서 
넬진되는 사회직 상호작용의 손상이나 정형화 
된 행동특성이 집행기능의 결합파 관련된다는 
것이다{Hill , 2004). Hill(2004)은 적어도 두 차 
원의 집행기능(즉, 계획 및 인지적 융통성 )01 
자폐증과 빌집히 판련된다고 세안하였다 최 
근 연구들은, 자폐 아동틀이 겨1 획, 전환능릭, 
언이 적 및 공간적 작엽기억 등애서 정상아동 
틀애 비 해, 그 러고 ADHD 아동 들에 비해 , 더 
심각한 걸함을 .!i'.인다고 보고한다(Corbett‘ 
Con.scaminc. Hendren, Roc kι & O,onof(, 20U9; 
Gc따[5 , Vc: rrc. Oosrcrl"an, Roeyc: rs & SccgC<lm, 
2005)‘ 가령 , Cor!Jett 웅2ω9)은 자폐 아동틀, 
ADHD 아동틀 및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아동틀의 신경심리학적 과제에서의 수행을 비 
교하였는데 , iDHD 아동들은 정상집단에 비 
해, 경계 (vigilancc), 익세, 및 작엽 기억 영역에 
서만 절함을 보인 반면. 자폐아동들은 억제, 
작업기억 뿐 아니라 인지적 융통성 등 대부분 
의 집행기능 영역에서 정상아동들이나 ADHD 
아동들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각한 결함을 보 
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 증이 ψHD에 비해 
더 전반적인 손상을 의미하는 ‘전반적 알달장 
애 ’라는 점을 감안한다연, 쉽게 예상할 수 있 
지만, 자폐증이 스펙트업’ 장애라는 점을 고 
려한다띤, 이러한 결과를 모든 유형의 자폐아 
동틀에 ril 일반화 3)-는 것은 문제가 있을 것으 
로 보인다 가령, 한 연구에서 자폐아동들(대 
부분 Asl'c영cr 증후군으로 진단된 아동들이었 
다)은, 다양한 집행기능 과제에서, IQ가 비 슷 
한 다른 정상아몽틀과 비슷한 수준의 수행을 
보였으며 , 오히려 IQ가 비 슷한 iDHD 아동들 
에 비해 서 더 경미한 집행기능 상의 결함을 
보였디{ H.I'!JC, ß∞rh, Ol3.rlton, Hug h('S‘ 2ω6) 
이상으 로 개관한 연구들은, 집챙기능이 아 
동 청소년기 다양한 학습 및 행동 문제들을 
비 롯하여 자폐증과 같이 보다 심각한 발달장 
애 의 중요한 신경심리학적 요인이라는 실증석 
증거를 제시한다 집행기능이 다차원적인 복 
합기l 념이고, 개관한 연구 들이 보여 주듯이 , 집 
행기능이 광법위한 종류의 문제들과 관펀해 
있다는 집을 강안하면, 문제나 장에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양상의 집행기능적 특성(즉, 
프로파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샤 는 이러한 특정 프로파일을 구체 
적으로 정의하고‘ 학교섭리학적 실무에 직용 
하기위해서는 보다 많은 실증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집행기능의 결함음 보이는 학생틀은 이미 
득정한 장애로 진단을 받은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지각, 인지, 
정서 및 행통이1 띠지는 집행기능의 팡엠위한 
• 131
한국심 리학회지 학교 
영향력과 인간발달에 갖는 시사점을 감안한다 
연, 집행기능의 결함은, 학교장면에서 학교심 
리학자 혹은 교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학생 
들의 다양한 문제틀과 관련될 수 있다 가령, 
교사의 지시를 바로 따르지 않는 학생의 경우, 
그러한 행똥은 쉽게 ‘반항적‘ 태도로 해석휠 
수 있다 그러 나, 집행기능의 관점에서 보연‘ 
그 학생의 경우, ‘착수{inititcion)’ 와 관련된 집 
행기능에 문제가 있는 학생일 수 있다 1 착수’ 
의 문제라면, 교사가 지시사항을 춤 더 구조 
화함으로써(가령, 구제적인 시간제한을 부여 
합) 개선될 수 있을지 모룬다 다른 에로, "1 
교적 단시간에 마칠 수 있는 숙제는 잘하면서, 
장기간의 노력을 요하는 파제찰을 완성하는 
데 이려움올 겪는 칭소년의 경우, 단순한 동 
기부족이나 게으룹에서 그 웬인올 찾기보다는, 
‘조직‘이나 ‘계획·과 관련된 집행기능의 문제 
로 재개념화 하는 깃 이 그 학생의 문제를 터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다 또한, 자주 다른 사압의 말을 가로막거나 
대화에 끼어드는 일로 또래 를에 의해 ‘무례한‘ 
아이 로 인식되는 아동의 경우억제‘의 결함 
으로 초래되는 문재일 수 있다 집행기능의 
운제는 학생의 흔한 학입문제와도 띨접히 관 
런휠 수 있다 가병 , 자신의 생각을 구어적으 
로는 왜 잘 표현하지만, 논리척인 산문으l;_ 
표현하는데 어려웅을 겪는 학생의 정우는, ‘작 
업기억‘이나 ‘조직’과 같은 집행기능의 문제일 
수 있다 이런 학생에게 , Ä~신의 아이디어 를 
구체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는 작문템플릿 사 
용법을 가르치거나 단계적 작운전략 등을 가 
르치는 것이 쓰기문세플 극꽉하는데 직접적인 
도웅이될수있다 
집행기농의 명가 
전통적으로1 집행기능의 평가는 학교장연 
보다는 주로 잉상장연에서 , 종합적인 신경심 
리학적 평가의 일부로 포함 왜 왔다 하지만 
집챙기능이 아동 · 청소년기 다양한 장애나 문 
제룹과 관렌된다는 않은 연구결과들이 세시되 
고, 학교심러학적 명가가 진단적 분류에 그치 
지 않고 기l 업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주어 
야 한다는 인식이 고조되면서, 최근 띠국에서 
는 학교장연에서 실시되는 심리학적 평가의 
일부로 집행기능 평가가 포함되는 경우가 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행기능 평가에 대 
한 두 가지 일 반척 접근방법을 소개하고, 학 
교심리학적 평가와 관렌하여 포찰적 접근의 
필요성을 재시하는 것에 국한시키고자 한다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일반적 개관과 집행기 
능의 측정과 관련된 세반 논제들에 대헤서는 
Olan, Slnun‘ Toulopω10u와 Glen (2α)8), Gioia 
동{2(삐) 및 니on과 암잉ncg。κ1996)를 참조하기 
바란다 
인지적 수행과제률 통한 평가 
132 
집행기능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집근땅법은 
인지적 과세에서의 수행을 통해 평가하는 것 
이다 이러한 접근은 심리학에서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편적인 방법으로, 
표준화된 지능검사나 기억검사 둥과 같이, 집 
행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가갱되는 인 지적 
과제를 고안하고 그러한 과세에서의 개인의 
수행을 규준에 비추어 해석하는 방법이다 집 
행가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문헌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지적 과제뜰은 약 60여종이 넘는다고 
한다, Pennington & O.:on。π: 1 99ω 이 중 일부는
이동횡 / 집헬기능의 이해 학교심리혁적 적용을 위한 개핀 
표준화된 경사로 규준에 비추이 해석할 수 있 
지만, 대부분의 검사는 실힘적인 과제들이다 
위스컨신 카드분류검사, 런던 탑 검사, 스트룹 
검사, 선로연결검사, 언어유창성 검사, 영춤 
신호검사 등은 가상 잘 알려진 도구틀로, 국 
내에도 소개되어 , 연구꼭적으로나 임상적 복 
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보다 최 근에는, Ddis­Kaplan 
Exccuriv(' FU!lcrion S}rscem(Ddis, Kaplan, & 
Kramcr, 200 1 )과 같은 표준화된 집행기능검사 
‘배터리’가 출간되었는데, 이 검사는 기존의 
개별적으로 실시되던 다양한 인지적 과제틀을 
재구성한 9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다양한 종류의 집챙기능을 측정쉴 수 있 
도콕 고안되었다 한편 , 국내에서도 아동용 
Kims 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김홍근, 
20(5)가 개발꾀이 표준화펀 바 있다 이 검사 
는 스트룹, 단어유창성, 도안유창성, 및 인출 
효율성의 네 하위겁사로 구성왜 있으며, ‘ 관리 
지능지수‘파는 진제 요약점수를- 산출한다 
행동평정척도를 동한 평가 
부모나 교사에 의해 작성되는 행동평정척도 
는 아통과 청소년의 사회적‘ 정서적, 행동적 
기능을 평가하는 표준적인 집근방웹 중 하나 
다 짐행기능의 평가는 주로 인지적 평가의 
맥박에서 다루어져 왔지만, 어떤 집행기능t예 
활 틀연, 정서 통제 , 자기 -감찰 등)은, 인지적 
수행과제로만 평가하기에는 영확한 한개가 있 
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위한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행동평정척도기법이대Gioia. J찌비 cll, 
Gu}', & Ken、,vonhy, 2α)()) 이 퍼 한 접 근은, 가정 
이나 학교 등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아동과 빈 
번히 상호작용하는 부모나 교사는 자연적인 
환경에서 아동의 집행기능을 관찰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갖기 때문에 아동의 집행기능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줄 수 있다는 가정에 근 
거힌다 국내에는 아직 소개되지 않았지만, 
Gîoîa 동{20(0)이 개 발한 Bch.,… R.1ring Invcmory 
of Executivc FuncrÎon(ßRIEF)은 대표적인 평가도 
구로, 다양한 짐챙기능이 행동으로 표현되는 
측연을 측정할 수 있도확 고안 돼 있다 이 
검사는 8개의 상호 관련왼 집챙기능 하위영역 
(즉, 억제 , 전환/ 융통성, 정서통제 1 삭수, 작업 
기억, 게획 / 조직, 자료의 조직화, 감찰)을 측 
정한다 BRl EF의 착수, 작업기억, 계획, 조직 
화. 및 감찰 소척도는 ‘상위인지지표‘’라는 상 
위척도를, 억씨iI. 전환 정서통제는 “행동조젤지 
표‘를 구성하며, 전반적 지수R서 합산짐수 
(G lolY.1 E、l'cllti"c Om1IX)sirc)를 지1 공한다 
집행기능 평가의 포괄적 접근 
집행기능의 정확한 평가는 쉽지 않은 일이 
다 이것은 집챙기능이, 특정한 인지의 ‘내용’ 
적 측면(가평 , 기억. 언이, 시공간식 지각럭 
등)이라기보다는, 인지와 행동의 ‘통재 ‘ 적 측언 
을 반영하는 개념이바는 데서 비 룻된 다{Gioia 
èt 쇠 , 20( 1) 비교적 단순하거나 특정한 인지 
적 내용을 측정하는 과제는 집행기능을 요구 
하지 않는다 즉, 집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는 피검자에게 모호하거나 새로운 과지1], 곧 
복잠한 문제해결과정을 요구하는 과세가 주어 
져야한다 문제는 이러한 복잡한 과제 를 성공 
적으로 수행하려면, 한 가지 집행기능만 관여 
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집행기능이 판여되 
는 경우가 내부분이라는 데 있다 또한 칩행 
기능은 그 본질상. 다양한 하위인지과정(가링, 
주의, 기억, 언어, 추흔 등)의 개입 없이는 활 
성화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십행기능을 
133 -
효버심 리회회지 학교 
측정하기위해 사용한 과제에서 아동이 서조한 최근 Mcdoskey 둥{200'))은 이러한 방법 틀 에 대 
수행을 보인다면, 이러한 수행결함이 집행기의 해 구체적인 전략을 소개한 바 있다 
문제를 정확히 의미하는 것인지 해식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안일 다양한 집행기 
능이 관여하었을 경우, 서로 다른 집챙 기 능의 
집행기능 문재의 깨입 
기여 정도를 측정 수준에서 분리해 내는 것은 
불가능하거 나 매우 어려운 과제다 이 러한 소 
위, ‘ 과세 윌켠5성 (rask impuriψ‘의 문제 (Lyon & 
Krasn댐or, 1 99ω는 집행기능을 측정하는데 사 
용되는 대부분의 인지적 과제에 면재해 있는 
문제로 집행기능평가의 타당성을 위협한다 
집행기능의 타당한 평가릎 위해서는 다각적 
인 접근이 필요하다 가령 , 검사상황에서 아동 
이 인지적 과제에 어떻게 접근해 가는지 연밀 
히 관찰해 그러한 질적 정보를 양적인 검사수 
행정수를 해석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 
한, 구조화된 검사상황 뿐 아니라 실제생활에 
서의 문제해결행동에 니l 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망법 등은 타당한 집챙기능의 평가플 위 
해서 중요한 부분이다 실제로, 몇몇 연구자뜰 
은 인지적 검사에서 의 수행과 실제 생활현장 
에서의 앵동 간의 상관이 그리 늪지 않다는 정 
을 지적해왔다(삐dCI>On, 2002; Sbordonc & 
Guilm여te‘ 1999) 따라서, 집행기능 평 가의 ‘생 
태학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지 적 즉 
정방입 이외에도 관찰, 연접, 부모와 교사에 
의한 행동평정척도 등 다증적 평가방법을 사 
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포팔적 접근은 현 
새 학교심리학적 평가에 있어서 최상의 실무 
(best prncticc)로 간주되는 “중다방법, 중다정보 
원, 중다장면 평가i,mulril11fthod, m띠tisourcc and 
mulriscrring assessmcnr)’'(Mcrrc ll cr 피 , 2(06)와 일 
치하는 것으로" o~동 뿐 아니아 부모 및 교사 
를 면칭할 수 있는 구조 화된 면정기엽이나 관 
찰 프로토콜 동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집행기능의 결합은 
학교장변에서 다양한 문제로 표출 될 수 있다 
집행기능 에 대한 연구 문헌이 최근 매우 빠른 
속도쿄 늘어나고 있지만, 개입방법에 대한 문 
헌들은 비교적 최근에야 동장하기 시작하였다 
(Mcdoskcy et a1., 2α1); McJtzcr, 2(07) 집행기능 
문제를 위한 개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동의 
내 적 자기조절능릭올 증진시키는 것이띠, 이 
러한 내직 변화를 위 한 전약과 기업을 아동에 
게 직접 가르치는 동시에, 아동아 필요한 적 
절한 외식 환경적 지왼올 제공하는 것이 개 
입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 다{Mcdoskcy Ct 쇠, 
2α)9) 다음은 집행기능 문제를 위한 일반적인 
개입방법들을 크게 두 범주로 나누어서 개판 
한다 
내적 통제력 향상을 위한 접근 
내 적 통세력 향상올 위한 접근은 아동이 
자신의 연령에 적절한 자기조절력을 개알할 
수 있도록 돕는 것쓸 목표로 한다 심리학이 
나 관련분야의 문헌에서 흔히 ‘자7 1 -교수 훈련 
(sdf-insr ructionaJ uaining)’ 혹은 ’상위 인지적 개 
입법 (mC[<lcogni{Ívc imcrvemions)‘ 이라고 룹리는 
기냄 들은 이러한 접근의 대표적인 예라고 흡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의지적 행동이 내 
적언어 (inm.'r speech)에 의해 에개된다는 Vygαs셔 
나 Luria의 주장에 근거를 두고 있는 깃으로 
(Sohlberg & M.rccr, 200 1), 자기 -언어 (scJf-t피k)를 
134 -
이동형 / 집웰기능의 이해 ‘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굉 
통해서 아동 자신이 스스로의 행동을 감찰하 
거나 조정하고, 치| 계적인 문제해결과정을 사 
용하도록 가르지는 절차틀을 포항한다 즉, 주 
로 외적 인어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딘 아동 
이, 점차로 내적 자기-언어에 의한 자기 -조정 
을할수있게 돕는것이다 
자기 -교수법이나 상위인지적 끼|입법은 싱리 
학에서 이상행동이나 부적응의 문제룹 개입하 
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과 。H현! 근거 를 
공유한다고 올 수 있대McOoskcy Ct a1., 20(9) 
비 콕 ‘집행기능의 문제룹 다루기 위한 개입엄 ’ 
이라고 지칭돼오지는 않았지만, 많은 인지행 
동 치료척 기업들은 내적 통세력 증진을 위한 
접근이라고 뀔 수 있다 즉, ‘집행기능’이라는 
용어 를 사용한다면, 인지행동치료는, 내당자가 
자신의 감정, 사Jl, 혹은 행동을 보다 효율적 
으로 동제할 수 있도콕 집행기능을 향상시키 
는 기입이라고 올 수 있을 것이다 교유학 분 
야에서도 이러한 접근은 생소한 개념이 아니 
다 가령 ‘ 상위인지‘의 개념을 사용하에 교수 
과정을 동해 학생 들에지| 상위 인지적 전략틀 
을 가르치려는 노릭 플은, 학생 자신이 읽거나 
쓰거나 계산하는 것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게 
하는〈즉, ‘사고에 대한 사고‘), 집행기능식 동재 
과정을 가르치려는 시도라고 원 수 있다 
Sohl lx:tg 와 M"",cJi 2001)는 자기 -교수법에 기 
초한 프로그램들이 공유하는 핵심 적 인 젤차들 
을 기술했다 첫 단계는, 집행기능의 결함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제나 문제할 찾는 일 
이다 이떼 아동의 일상적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간단한 훈린과제나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문제영역이 획인되면, 구 
체적인 문제가 무잇인지 문세의 분질(예를 틀 
먼, 껴| 획부족, 충동악재결합, 조직성걸여 자기 
감찰 부족 등)을 규정하는 짓이 다음 단지l 다 
세 번째 단계는 그러한 문지l 를 조력할 수 있 
는 자기교수 혹은 상위인지적 절차를 고안하 
는 일이다 가령, 시험 볼 때 오류를 줄이 고 
단지하는 능력의 개선이 펼요하다띤, 자기 -감 
찰과정에 펼요한 단계를 세분해서 정의할 멸 
요가 있을 것 이 다 다음 단계에서는 개입 자 
끼((iinte 
따라 시범 (mαl이ing)을 보이고 아동은 각 단게 
를 소리 내이 말하연서 훈렌과써l 나 훈련활동 
을 연습한다(즉, ‘외적 언어화’) 가평, Lcvin t' 
등{2때))이 기술한 ‘목표판리훈련“에서, 아동이 
영시된 여섯 단계의 자기 교수 질차릎 통해 
문제해결에 집근하도콕 훈련시켰대즉. StOP, 
Detìne, Lisr, Lcarn, Exe<:ute, 그피 고 Ch(~k) 적 질 
하다면‘ 아동의 자기 교수절차를 죠랙하기 위 
해 단서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동이 자 
기 -교수 젤차블 스스로 실행할 수 있게 되면, 
개업자는 이시1 아동이 조용히 속삭이면서 과 
제 릎 수앵하도흑 도우며 충분한 연습의 기회 
를 제공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조용히 속 
삭이던 것을 접차로 줍여서 이제는 내적 인이 
코 전환해 가도콕 옵는다{ 즉, ‘내적 언어화‘) 
ut지악으로, 게입자는 자기 -교수 절차가 다콘 
과세플로 일반화 될 수 있겠는지 를 고려하여 , 
일반화 가능성이 있다연, 동일한 젤차흘 다른 
종류의 과제나 활동을 사용하여 연습 할 수 
있도꽉 5:력한다 
진형식으로, 자기-교수볍 훈련은 보통 실제 
생활의 맥락에서 설앵되기보다는, 구조화된 
인위적인 상횡1 예 상담실)에서 문제와 관떤된 
특정 기술을 가르치고‘ 아동이 목표기술에 능 
숙하게 댐에 따라, 일상생환에 일반화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을 취한다 한편, YI‘isakcr, 
Szekcrcs와 Fl'en해 1998)은 자기 교수 훈련에 있 
어서 생태학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생 
- 135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태학적 상위인지 적 개입법 F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접근은, 아동이 자기조절을 연습하는 
주된 맥락으로 아동의 설생활, 곧 。똥이 자 
주 접하는 문제 나 과제를 활용할 것을 강조한 
다 또한 아동。l 일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실 
생활 속의 주요 인불틀(가령, 부모 가족성원, 
교사 등)의 역할과 이 들과 개입자 간의 협조 
적인 관계를 동해 , 아동의 실생활 환경 속에 
서 , 집행기능 알달을 육성쉴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따라서. 주왼 
개임의 맥락은 교실, 과외활풍, 가정 등의 일 
상적인 생활환경이며 , 아동의 환경에서 아통 
과 정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든 성인들이 
‘코치’의 역할을 한다는 점 에서 선동적 인 자기 
-교수법과 차이 를 보인다 
자기 -교수법이나 상위인지적 개입에 근거한 
기업들은 계획성‘ 조직력 혹은 문제해결능럭 
에 결함이 있거 나 충동성이 높은 아동들이나 
성인들을 교정하는데 적용돼 왔을 뿐 아니라‘ 
인지재환학 분야에서 외상 후 뇌손상 등으 
로 집행기능장애를 보이는 환자틀흘 개 입하 
는 주된 기법으쿄 활용에1 왔대써derman‘ l까‘ & 
Youngson‘ 1995‘ lιvinc cr al., 2αX>; Gccrone & 
Wood, 1986). Grc,ham, Gook과 Crcws(2004J의 통 
함분식젤과는 다양한 사회적 기 술훈련 프로그 
팽들이(이러한 프로그셈뜰의 한 요소로 자기­교수기 
엠 틀 이 종종 포합 돼 있다) 정서 및 행 
동장이! 플 가지고 있거 나 위험 죄단에 있는 아 
동들의 행동문제를 유의 하게 개선한다고 결론 
지었다 학습 문제 의 경우에도 학생들에기l 인 
지적 전략‘ 상위인지, 자기 -조절 적 학습, 자기 
강찰 동 집챙기능에 초집쓸 맞춘 교수방법 틀 
이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을 개선하는데 도움 
을 주는 효과적 인 기법임을 지지하는 여러 연 
구플이 있 다(예를 들연, Hartman, 200 1) 이러 
한 연구 결과들은 내 적 통제력 향상을 위한 
개입법들이 집행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 일 
수 있응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런 연구들은 
종종 개입의 효과를 측징 하기 위해 직접적으 
로 집행기능과 관련원 총속 변인 들을 포항시 
키지 않았다는 갱 에서 해 석 에 제한정을 갖는 
다 더옥이 특정한 집행기능의 개선을 목적으 
로 개입프로그랩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 
한 연구플은 매우 드문 실정 이다 소수의 집 
단 연구(검사 리, 김교헌 2002; Oowser[ & 
uvcsey, 2(00)나 개별 사레 연구(Aldtrman, Frj’· 
& Youngson) 1995; lα'10(' tt 쇠 , 2αlO)는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한다 가령, 00‘”이I와 
Livcscy의 언귀2뼈)는 3-5 세 사이 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행기능 훈띤과제 에 반복적으로 노 
출시키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훈련 
에 사용된 과제는 반응통제 , 표상적 융흉성 , 
작엽 기억, 선택적 주의 , 자기-수정 퉁의 기술 
올 요하는 깃이 었는데 ‘ 이 러한 훈련은 참여 
아동틀의 억제적 통씨와 판련되는 전략이나 
규칙구초 발달윤 측낀 시킨 것으로 보고하였다 
십챙기능에 대한 연구의 역사가 비 교적 짧고, 
특히 집행기능의 문제를 위한 개엽방법을에 
떼 한 문헌들이 최근에야 등장한 점을 감안한 
다띤. 이러한 개입 l상법 들이 구체적인 집행기 
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를 검증하는 연구틀 
이 쟁실 t] 필요하다 하겠다 
외적 통제력 유지를 위한 접근 
외적 통세력 유시를 위한 접근은, 아동 자 
신의 내 적 변화보다는 아동의 환경에 있는 다 
흔 사람틀이 외부직 원조를 제공함으로써 아 
동의 집행기능 문제 에 대처하고 아동의 집행 
기능 딸달을 돕는 l상법이라고 올 수 있다 행 
136 -
이동형 / 집챙기능의 이해 - 학교심리학적 적용올 위힌 개핀 
동주의직 유관관리기법 빛 환경관리기법이 이 
러한 범주에 포합펀다 
유판관려기법의 기본 가정은, 아동의 자기 ­조절석 
행동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그렇지 
않은 행동은 무시하거나 처벌함으로써 아동의 
짐챙기능 문제에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잠근은 ADHD 아동뜰에게 않이 적용 
되 어 왔으며, 잘 고안펀 유관관리기법은 짝 
령기에 있는 ADHD 아동 들의 행동문제를 감 
소시키고, 학습과제의 수행 효융성을 증가시 
킨다는 연구증가틀이 있다(개관을 위해서는 
Tecter. 1995 참초) 라지만 이러한 기업들이 실 
제로 집챙기능 자'11 쓸 개선시키는지에 대한 
설층적 층거는 부족한 설정이며, 유관관리기 
밍의 효용에 대해서는 여려 연구자들이 9 1 문 
올 제기하거나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듯하다 가링 , DeBonis. Ylvisakcr와 KUlldcn 
(2000)는‘ 집챙기능의 운씨| 릎 가지고 있는 아 
동틀은 혼 õl ‘결과’ 룹 동해 학습하는데 많은 
어 려웅이 있다는 점을 지직하면서, 행동의 결 
과른 지나치게 강조하는 개업빔은 깨우 부적 
젤항 수 있으며 룩히 권위주의적인 방법으로 
실시쉴 l애, 아동의 반항성 을 조장하기냐 악화 
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었다 Damιl이 1 9껴)도 
신정심리학직 관집에서 , 전전두엽 중씨l 영역 
('tntron)t(lial arra)의 기능장애는 이미 저장왼 
기익에 정서적 의미릎 부여하는 것을 어럽게 
한 수 있으므로, 처엘이 나 보상이 지속적인 
효과흉 갓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 외의 
연구자등은 전두염손상과 관런왼 동기적 결합 
(5ω,5 & &nson‘ 1 986)0 1 나 작업 기억의 경함 
(Aklcrman, 1 99ω 등을 이유로 유관관리기법이 
심챙기능 문제릎 다루는데 있어서의 그 효과 
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적인 견해는 주로 뚜렷한 뇌손상 퉁으로 
십각한 집행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아동들과 
관련하여 제기된 것으로, 신중히 사용원다면, 
유관판리는 비 교적 경미한 집행기능 문제릎 
보이는 아콩들올 위한 종합적인 개입 프로그 
램의 일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환경관리기법은 아동의 집행기능 결함으로 
인해 초래원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하거나 그 
이한 문제에 대치하기 위해 , 가정이나 학교환 
경을 수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한징지원 l상 
업은, 아동의 생환환경에 부과되는 일상적 요 
구에 대치하도록 아동을 도웅으로써 아동의 
진 !간적인 생환적응을 도울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G li,"'Y & Gli, ky, 2(02) 대표적인 환정관펴 
기엽으로 o~동의 주요 생활환경이나 시 간을 
보다 구조화한다거 나, 아동의 자기 -조절을 롭 
기 위헤 외부적 단서나 프룡프트흘 제공하는 
것‘ 그러고 빈번한 교정적 피드백융 제공하는 
깃 등을 듣 수 있디 환정관리기법은 ADHD와 
외상 후 뇌 손상에 대한 문헌 괜 아니라 학급 
관러나 행동관리프로그램에샤 가장 강조되 는 
요소들 중 하나로, 집행기능의 문제 쉰 징험하 
고 있는 아동에게 , 보다 구조화원 환경을 시1 
공하는 것 이 핵심이대Sohlbc밍 & 사이Iccr. 1998) 
욕히, 교실환경을 계획적으로 수칭하기나 아 
동의 결함윤 보완할 수 있는 외부 조릭 장치 
(예 깥 를연‘ PDA, 과제장, 과제정검옥흑‘ 타이 
<>1. 시각적 려마인더 , 다양한 시 각적 조역자료 
동의 사용)륜 사용 하도꽉 가르치는 것 풍은 
학교장띤에서 싣행할 수 있는 중요한 게임진 
약으로 찰 수 있다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논의 
이상으로. 집챙기능의 새념과 정의, 집챙기 
- 137 -
한국심리획효1 지 회교 
능과 아동 청소년기 학습 및 행동문제와의 
관떤성 , 집챙기능의 평가 및 개업에 대한 최 
근의 연구운헌을을,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염 
두에 두고, 차례로 개관하였다 아동 갱소년 
기 다양한 학습 및 발달문'11 들이 집행기능의 
문세와 녕!접한 관린성이 있 다는 연구들은 집 
행기능이 학교장연에서 아통과 청소년들의 수 
행과 적용, 그리고 다양한 교육적, 심리적 개 
입에 대한 그들의 반응흘 결정하는 중요한 신 
경심리학적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 점은 집행 
기능이라는 구성개념이, 비단 신경심리학자들 
의 전유물이 아니라, 학교심리학적 연구와 서 
비스 제공에 배우 유관한 개녕 이며 , 학교장연 
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께 하는 근 
거가 된다 다음은, 앞서 개판한 집챙기능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집행기능이 학교싱리학 
에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과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국내에 는 아직 학교심리화 
실무에 대 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따련되지 
않은 실정 이 므화 실무에 대한 필자의 논의는 
주로 미국의 학교십리학 실무자뜰의 역할에 
준한 것이라는 접을 밝혀둔다 하지만 이j!-I 한 
방안과 시사접뜰은 현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학교심리학회’가 규정하고 있는 학교심리학자 
의 역헬, 곧 핑가, 711 입, 자문 및 연구와 일치 
하는 것ξ걷‘ 앞으로 국내에 학교심리학적 서 
비스가 도입될 경우 상당한 연계성을 가질 수 
있으l이 , 현재 학교장연에서 상당이나 심리서 
비 스쉴 제공하는 진문가들에게또 일부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첫째, 가장 일반적인 시사정으로, 집행기능 
은 학교에서 다양한 학습 및 직웅문제룹 경험 
하는 학생틀을 이해하고 그뜰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학교심리학 연구자들 뿐 아니 
라 현직 교육자될특수교사. 일반교사1 학교행 
정가 등) 및 학교장연에서 상당 및 심리서비 
스 제공하는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유용 
한 심리학적 구성개념이라는 점이다 파학기 
술 의존도가 정정 더 커지는 현대사회에서 학 
교에서의 성공은 정정 더 많이 다양하고 복잡 
한 집행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 
들은 이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시작하여, 
긴 읽기, 쓴기 과제나 장기 학습 프로젝트 동 
을 수행하도룩 요구받는다 념쳐나는 정보 속 
에 효과적으로 정보릎 조직하고 선택하며, 변 
화하는 환경의 요구에 대 옹하여, 어떻게 효과 
적으로 문제해결전략을 조정하느냐 하는 것은, 
자라나는 어린 학습자들에게 이제 정접 더 도 
전적인 과엽이 휠 것임에 틀림 이 없다 따라 
서 이 틀의 학습을 효과석으로 돕고, 더 나아 
가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내용· 측면에 대한 교수 뿐 아니라. ‘과정 ·과 
‘전략’에 대 한 교육적 개업이 병행되어야 할 
것 이며 , 십행기능은 이러한 측연에서, 학생의 
학슴과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효과적인 교 
육적. 신리학적 개입방법융 개발하는 데 한용 
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적 를이 월 수 있다 
둘째, 염상적 인 관점에서, 학교심리학이나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은 집행기능의 문제가 아 
동 · 청소년기 다양한 정신장애틀과 관련된다 
는 점을 그들의 실무나 임상적 연구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집행기능 연구자을은 집 
챙기능의 결합이 사실상 거의 모든 정신과적 
장애들의 진단준거에 내포돼 있다는 사실을 
지적해왔으며 (Goldberg, 2001; McCloskcy e, ,d., 
2α)9), 이러한 근거에서 일부 연구자들은, 현 
재의 DSM-JV 진단 축에 집행기능 차웬이 추 
가되 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였디{McCI∞key 
e[ 쇠 , 200')) 특정 장애로 진단된 학생을 집행 
기능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해하는 것은, 그 
138 -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히|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학생이 경협하는 구치1 적 인 인지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개입계획 을 세우는데 깨 
우 유용할 수 있 다 많은 경우, 특정 진단을 
받은 아동을 위한 구세적 게입계획을 세울 때, 
그 아동의 진단멍을 아는 짓만으로는 충분한 
도웅이 되지 않는다 집행기능적 관접에서 아 
동의 문세를 접근하면, 아동의 구체적인 문제 
영역과 관렌왼 인지적 요인들에 대해서 더 심 
층적인 이해가 가능하며 , 적절한 개입영역 플 
규정하는데도 도웅이 될 수 있다 최근의 연 
구결파들(ÚJrbcn . r 피 , 200'); Webh, 2(써2; 
Willrun (:c al ‘ 2(05)은, 특정 장애에 따라 구별 
되는 집앵기능 프로파일 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통일한 진단을 받은 아동들 
이라 하더라도 구제적인 죄행기능의 결함 양 
상애 있어서 디양성 을 보일 수 있음을 보여준 
다 따라서, 집행기능의 결함양상이나 프로파 
일에 대한 후속식인 입상 연 구들이 더욱 필요 
하여, 현 시점에서는 실무자로서 아동의 문제 
를 칩행 기능을 통해 개념화할 띠|는 진단영보 
다는 개인의 개별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접 
근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셋째, 집행기능은 짝교심악학적 평가에 대 
한 연구나 실무에 여러 시사점이 있다 앞서 
살펴 본 대 로, 집행기능의 평가는 현재 주로 
신경심리학적 검사나 싣혐적 인지과제 를 통해 
염상장연에서 시행된다 하지만 집행기능평가 
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의 생대학적 타당도가 
문제시되면서 , 아동의 심제생활 속에서의 기 
능올 평가할 필요성이 세기되었다 집행기능 
의 운제는‘ 학교장면과 같이 학엽적인 면에서 
나 행동적인 면에서 지속적으로 목표지향적 
랭동을 요구받고, 매우 구조화왼 상황, 그러고 
또래집단과 같은 뚜렛한 비 교준가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현저히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 
서 학교섬리학 연구자틀은 학교장면에서 적용­헬 
수 있는 집행기능의 ‘다차원적 ‘ 평가를 위 
한 도구들에를 틀연, 교사용 집행기능 평정척 
도, 교사용 및 학생용 구조화된 인터뷰 질문 
지, 집행기능관련 행동관찰척도 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학교성리학 실무자는, 교사 
냐 학부모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몽해서, 학교 
장면 이나 가정에서 아동의 집행기능 문제와 
관련된 일상직인 기능 및 수행의 문세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 수집을 돕는 평가자 혹은 평가 
족진 자로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집챙기능의 
다차원적 명가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있다 
넷째, 집행기능은 학교싱리학적 개업에도 
여러 적용가능성이 있다 앞서 지적한 대로, 
학교장면에서 다양한 심리적 문제릎 다루기 
위해 활용되는 인지행동적 상땀전략들은‘ 집 
행기능의 판점에서 보띤 집행기능의 향상을 
꽉식으로 하는 개입법이라고 환 수 있다 학 
교적응과 수행에 있이서 죄행기능이 갖는 시 
사점을 감안한다면, 학교심리학자 연구자들은 
학교장변에서 개인 , 소그룹, 혹은 학급규모로 
실행할 수 있는 집행기능향상 프로그랩을 개 
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뜰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설무자들은 이러한 프로그 
램을 활용하여 , 개인 학생의 구체적인 집행기 
능 개선을 목표로 하는 상담프 로그램 이나 집 
단 상당프로그램 흑은 교실차원의 심리교육적 
중재 프로그댐을 직집 설시하거나 이러한 프 
로그랩을 실시하는 교사흘 지원할 수 있을 깃 
이다 이러 한 프로그램의 한 예로‘ 미국의 공 
립학교 시 스댐 에서 학생들에게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서 집단상담의 맥락에서 나 흑온 
교실차원의 키리률립으로 많이 적용되는 프로 
그램 중에, “Skillsrreaming"이랴는 프로그램 
139 -
힌국심 리학효|지 혁교 
(M,Ginns & GoldStein, 1984)이 있는데, 이는 자 
기 교수법올 활용하여 , 대인상호작용과 관련 
된 자기-조절능력, 곧 집행기능을 증진시기위 
한 교육프로그랩이다 
다섯째 , 집행기능은 학교장연에서 특수교육 
서비스흘 받는 특수아동틀을 위한 평가나 자 
운에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아직 국내의 실 
정과는 거리가 있지만, 미국의 경우 학교심리 
학자는 특수아동의 학숨 잊 행동문제를 평가 
함으로써 학부모 및 교사흘 포함한 게벨화교 
유지원팀이 특수아동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개띨화교육계획 (individ l1aliz삐 삐uc:uion plan)을 
개발하는데 많은 진문적 조력을 세공한다 학 
교심리학자는 특수아동의 학윤 및 행동특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교윤직 
및 심리적 개업방법에 내해서 팡빙위한 훈띤 
을 받기 때문에, 개멸화교육지원팅이 아동의 
특수한 교육적 요구를 이해하고 개별화된 교 
육프로그 램올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자문을 제 
공쌀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 
애 있이시, 학교심리학자는 기존의 심리명가 
나 심여교육적 평가의 일부포서‘ 아니면 기능 
적 행 동평 기l.fu따non피 behavioral a5$e5smcnt)같 
이 학교장번에서 행동개입 프로그랩 (behaviorill 
intervt:ntion pro,gram) 개발을 목적으료 하는 "1 
교적 간단한 평가의 일부로서, 집행기능에 대 
한 평가를 싣시하고, 평가결과릎 아동의 인지 
적 특성 이나 행동문제틀 설명하는데 적용하여‘ 
2’ 띠파의 공립학교들이 장애인교육엠에 명시원, 
‘걱 절 한 무장공교뭔ÍIee'Pf’ ‘>pn:ue pu버 ic cd“llLO띠‘ 
을 제공하기 위해, 학교심리학자등의 이야한 전 
운성을 석극적으로 할용하는 것올 감안하다인 
우리나라에서도 장에학생 들의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적 요구에 부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수준 
의 학교싱리 서비스의 창출과 제공이 시급하다 
하겠다 
부모나 교사 등의 다흔 교육지왼팀 성원들과 
문제이해를 공유하며, 더 나아가 효과적인 개 
입선략에 대해 자문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국내에도 ‘장애인 동에 대한 특수교육법 ‘ 이 재 
정핑에 따라, 학교장연에서 장애학생들에 대 
한 서비스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립학 
교에서 제공하는 특수교육 서비스가, 그 본질 
상 특수교육학 뭔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 
문성을 기만으로 하는 학제직 접근을 요한다 
는 짐을 감안한다면, 학교싱리학 연구;<]들은 
효과적인 자문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고, 이러 
한 자문모형이 우리나라의 교육시스댐에서 어 
떻 게 활용펼 수 있을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블흔 학교십려 학적 ;<~문 서비강} 특수아동의 
문세를 다루는 것에딴 국한되지는 않지만, 특 
수아동의 '1>j 젤한 교육융 위해서는 개띨화된 
교육적‘ 심리학적 겁근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특수아동을 위한 자운의 활용도나 효용이 높 
아질 가능성이 않다 한면, 실무적 측면에서도 
한교심리학끽 자운은 집행기능 문제의 효과적 
인 개업의 중요한 요소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실헤로, 앞서 소개한 ‘생태학적 상위인지개입 
법“(Yalvisakcr cr 띠 , 1998) 같은 대표적인 집행 
기능중재법은, 아동의 십행기능을 개선하는데, 
아동의 환경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학부모나 교사와의 엠력관계가 개입을 성패 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따지약으로, 학교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들올 개념화하고 적절히 개입하는 
데 있어서, 학교심리학 연구자들 및 실무자들 
은, 집행기능이라는 구성개념을 종합적 • 시스 
템적 정근의 액락애서 환용하여야 한다는 점 
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학생이 가진 특정 문 
제 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j 집행기능의 결함을 
하나의 위험요인으로 간주하던, 핵싱적 원인 
140 -
이동혈 / 집행기능의 이해 회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핀 
으로 간주하던 간에, 학교심리학자는 집행기 
능 이외의 다양한 개인 내 ·외적 요인들을 세 
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합적 
문제이해의 액락에서 집챙기능의 개념이 홍}용 
될 때‘ 보다 효과적이고 적절한 개입으로 이 
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전풍적으쿄 신경심리학이나 인 
지심리화에서 주로 연구되었던 집챙기능이라 
는 개념이 학교심리학 분야의 연구 및 실무영 
역과 띨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 풍으로씨‘ 
신경십펴학적 개념을 학교심리학 분야에 접목 
시키려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외에서 집행기능에 대한 연구들이 "11 우 휠 
알히 진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최근 판심이 
고조되고 있는 시접에서 , 집행기능에 대한 최 
근 개념과 이룬, 아동 · 청소년기의 주원 부적 
응의 문제 및 정신장애와의 관련성, 그리고 
평가 및 개입에 대한 주요 점근 동의 주제를 
포함하는 종합적 개판을 지|시 했다는 데에 의 
의가 있다 본 논문이 한교심리학 연구자틀 
및 관련 실무자들 뿐 아니라 인꺾분야의 전문 
가뜰에게 집행가능에 대한 이해 를 옵고, 이 
분야의 국내 연구필 꽉진시키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현 
관리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27(1), 
139- 151 
김홍근 12(05)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출판 신 
경심리 
에대석 , 서완석, 구본훈, 박권생, 장자은 (2006) 
ADI-ID 하위유헝에 따른 관리기능 질함양 
상 한국심리학효|지 건강‘ 11(2), 27’-299 
성형요 박뺀11 (2뼈J) 뚜렛장애와 주의력 결 
핍 과잉 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비교 
신경정신의학 39(3), 610-619 
송찬윈, 김하경‘ 장희대 (2ωS) 일반학생과 읽 
기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 
행기능 특성 비교 특수이동교육연구. 10 
(20), 247-2“ 
신인섭‘ 김현 01 ‘ 온싱글, 황준원, 김봉년, 조수 
첼 (2006)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 아스 
피거 장애. 학습 장애 아동의 실행 71 능 
"1 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7(2), 131-140 
오현숙 12뼈) 아동과 청소년 정신병리 집단 
들에 나타나는 실행능력의 문써l 한국심리 
학회지 임싱 . 24(1), 157- 170 
이영주, 홍창희 (2006) 실챙기능의 차원과 영 
역별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잉싱‘ 25(2), 
587-602 
Aldcrman. N. (1<)9“ (노Iltral t'X("C lltÎVC: d<:fic Ì[ anJ 
rt.πlnse [0 oJX'l"'dnt <:0’“ lirioning !llcrm펴s 
김사2.1.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이 λleuropJJfho~앵t“" R,h,.씨,jlùillùm. 6, 161.186 
ADI-ID 경향이 높은 아동의 싣행기능 개 Al Jl'rman, N., Fry. R. K.., & YOlJ n잉5On . 1-1. A 
선에 01 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 9'-)5). Improvcmcnt of selιmoniroring skiJJs, 
7(3), 429-445.αlucrion of bcha'Îor disru rb.'mce and th(' 
김용~I (2006). ADHD 아동의 하위 유형에 따 이d이)'S('X없('('UCC“II‘w'‘(' syn찌‘cc1뼈rro’mme: Cnm떼뻐1(I 
흔 전 두엽 집 쟁기 능 연구 한국심리학효회 C(‘)s( 찌aι띠r1띠d :1 야nCW Pαr맹o'gram “0( CS:c이씨:1‘(.“κr,ι-꺼m깨‘ooo…nn미1“i“떼……r…U삐om‘αm’1n밍11밍1s 
지 건강 . 11(2), 30 1-314 
김진구. 김홍근 (200ll). λDHD 아똥의 전두엽- 
141 
rraining. NI!II.씨셔)'d.째ÎfIIl Relx,biliJalioll. 5, 
193-221
한국심리획호|지 학교 
Anderson,’ A. (2002). Asscssmenr and 
de'clopmcnr of CXl'CUCÎV(' function during 
childhood. 0,써 샤껴'lrholol!J'. 8(]I, 71.82 
Andc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Catropα1, C. (200 1) 
Dcvelopmenr of c.'X('Cl cÎ,,(' funcrions rhrough 
lare childhood and adolcscence m an 
Aus【띠ian sample. Dtr.에ψX끼싸 사'IIr째'(ho썽. 1 
20(1), 38~ -406 
A),taclar‘ S.. Tancr, R. E., Kiris<:i, L., & Lu, S 
(1999). Assoc iarion oc-rwccn hypcmnÎviry and 
exrcuti'c cognirÎve funnioning in childhαXJ 
and substance ‘lSe in early adulcscencc. ) 011171/11 
0/ /he AI1Ii'ri((J}1 Ilcll.싸'II~' of Child & /1"01",,111 
PI)rhÙlI’J'. 38(21, 172.178 
ß arklcγ, R. A. (2α)()). Genetics of childh뼈 
disorders: XVII. ADHD, P찌 l 끼1c 
cx('(urivc (uncrions and ADHD. ) (}fI/1,“1 'I I/" 
11111tl"";“m Ilr.ιι'111)' 01 O)J'lt/ JI1lf/ A,lo!eslα'IJJ 
PSJrhi써’)', 39, 1 06셔 lαí8 
ß,,,kley. R. A. (2α)6). A l1m/ùm-ιr/irit J:T)/'t" ~/rlÎt'Îf)' 
dis!lηler: /-Irllltl/xxJk for diagl10JÍJ (/ιI /I-eaU1lfllt 
(3셔 “d.). Nc‘.v York: Guil(ord 
Barkley, R. A.. Grodzinsk)', G., & DuPιul , G. J 
(1992). Fromal lobc (uncrÎons in :l(cemÎon 
d에cit diso rder with and withouc hypcractivity 
A rt"VitV a뼈 research rcpon . )0,ι’71(1/ 01 
Ilbll“”“1 Chikl PI)'dxHOK),. 20(2), 163.188 
Bcr띠tein, J. H.. & Waher, D. P. (2αl7) 
EXClUCÎVC capacitÎt'S (rom a dcvtl‘lpmemal 
pcrspective. 10. L. Mcltzcr (Ed.), Ewmlùr 
끼UCl1011 111 t.까…riOll: FIWII (.까.1)’ 10 pra{fùr (pp 
39.)4). New York, NY’ G비Iford 
Brown, T. E. (200~). AII",/i' fI 싸;dr diJOI써r: 1/" 
III1!OC/μ. 'td l1Iùlll ;11 "hildrm mtt! (/'''''0. Ntw 
Haven, Cf: 、a1c Universiry Prt"SS 
Buttcrlield‘ E. C, & AlbertSon, L. R. (1994). On 
making COgrulÎ'C rheory more genera! and 
‘.1c'Vclopmen띠 Iy pcrtinenr. ln F. Wcincrt & 
W. Scheneider (εIs.) , Rt1et1tl:h 011 mel!lor)' 
tlet 'tloþlllt1lκpp.73.99). Hillsd피c, NJ: 니wπnce 
Erlbaum Associ3tt.'S 
Carlson, S. M ‘ Moses, L J., & 0 ‘n:ton, L J 
(2α껴). Individual differcnccs in cxccucÎvc “lln ioning and thcory of mind: An 
invcsrigation o( inhibj[ory concrol and 
planning ability. JOlln.ι1 01 ι:þfrÙllfflla/ CJJjld 
Pηdx'/'K)', 87, 299.319 
Cat띠do, M. G., Nobil, M., Lorusso, M. L., 
Bamglia, M., & Moltt'l1i, M. (200~) 
lmpu1siviry in ‘lepressed children and 
adok'5ccm.s: 3 comparison bcrwccll bchaviora1 
and ne띠opsyc hological data. P.ηrb;alry ReJtIIπh. 
136, 123-133 
o,an‘ R., Shum, D., T4ω|여XJulω, T. , & αcn , E 
(1이)8). As5CSsml'm o( ('Xccutivc run“’αs 
Rc""Îc‘.' of insmunems and idtntificncÎon o( 
crirical issucs. Aπ'hiWJ 01 Gir1ÎCtlI 
N’”’vþJ)'(holorJ'. 23, 20 1.216 
Ciccrone, K. D., & WIα닝, J. C. (1 986) 
Remcdi:uion of l'xccmÎ'e funaion Jcficirs aFrcr 
rraumaric brain inlury. Nellroπ/‘1bilifllÚ0I1. 2, 
73.83 
Corlxrr, B., Gmstamine, L., Hcndren‘ R., Rockc, 
D., & Ozon。κ S. (2αη1). Examining 
cx('("U[ive (uncrioning În childrcn wirh aucism 
spccrrum diso rder, a{({'fl[ion deficÎr 
h)’pcracrivÎly diso며er and rypic피 devdopmenr 
Ps)'cmllfη RιCttn1:λ. lα>, 210-222 .. 
Damasio, A. R. (994). /JvJca’1eJ 'errvr: Emotioll. 
142 •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허1 : 학교심리학적 적용올 위한 개관 
rttl1fJlI. (//,ιI (be hlllMι 11 Imtil/. NY: Avon Books 
dc )ong, P. F. (1998). Working memory dc꺼cns 
of r뼈ing disabk-d chil‘Ircn. jrJ/lI7.“1 01 
Cψ%싸!Jf,ι/ α샤1 PI)'<'''.I,때 7U, 75 -96 
DcBonis‘ D. A., Ylvisa kcr, M., Kundert, D. K 
(2000). Thc πlarions hi p octwCf:n ADHD 
thωry and pranice: A prclimin;try 
invesrigarion. )Ofln!.ιI 01 IIlfe"ti끼, Dùoη1m. 
4131. 16I-1 73 
Delis, D. c., Ka끼an, E.. & Kr.lI11er, J. H. (2001) 
αÛJ-κψμ 11 E.W(IJ(ùt FII시'Cfioll 5)'1(,“'}1. S3n 
Amonio. TI<.: '01(: PS}'Chologi ClJ Corpor;trion 
Den(kla, M. B. (19')ω A th('()ry and modd of 
e‘ccun‘c fun(cion: A ncuropsychological 
approιh. 111 G. R. Lyon and N. A 
Krasncgor (Eds.), I lfNIJI;OIl. lIIemo’)', ιlκl 
eXi:mfil'e //11.끼10씨pp.263 -2 7~). ßalt imore: Paul 
H‘ ßrωkes 
Dowsctt. S. 1'01., & Li vcscy, D. J. (21)()()) 끼lC 
devdopl1lent of inhibimry ι:ontrol in preschool 
children: EAius or ‘'(')1('ÇU(ivc s“k川ilIIs'" u띠aaJ nl’nn밍s 
!fiI“f'.Ioþ끼!l,l씨‘ι…ιr’'…'/111., 
Fi씨shbci띠nn、κ1, D. (α2α씨). Ncuropsychologic띠 fllnccion, 
drug aousι anJ viok'm:c: A concc prual 
rr여lle、~'o rk . Crimìn.μI þm;æ IUι-1&,씨Iliol', 27(2). 
139-159 
Flavct l. J. H., lvWlcr‘ P. H.. & Miltcr, S. A 
(1‘993). Co.~,lilù'e tf,,"' 'ilopllltII[. Enlcwood diR'S. 
NJ: Prenti(( Hall 
Gcurts. H., Vcrte, S.. Oostcrlaan, ) ., Roeyer.;, H., 
& Scrgc때, t, J. A. (2()().1). How s따ifìc art 
cxccurivc fl.lnnÎoning ddìcirs in lnrcnriun 
ddìci[ hypcr'.JC[ìvìt}'’ clisordcr :lnd :lurisrn! 
μ끼7“1 _1 α11M f.’'!‘'ho때’ (lIId PS)'chilll’)' tlllrI 
,lIIi씨 Oiscipli"" , 45, 836-854 
143 
Gi:lnco la, P. R., & Parkcr‘ A. M. (200 I). A 
Six.Yl"'dr prospc.'Ct ive stlldy of parhw:lys roward 
dmg use in adolcsccnc boys wirh an‘I wjrhour 
ι (amily hisrory of substam:c 띠c disordcr 
) QfJnlt11 0/ SllIdiα '" AIc_blll. 62, 166- 178 
Gìancola, P. R‘ Martin, C. 5 ‘ Tarrer, R.. Y./ .• 
Pelham‘ W. E ‘ & Moss, H. B. (1 996) 
EXl'CU !i,t cognirive (unccioning and a잃rC'SS lVC 
bchavior in prcad이 csccnr boys ar high risk tor 
subsranιc ‘.bα.1 dependencc. )Olln.ν." _1 SIII<li" 
"1 끼/찌1,01. 57. 352-359 
Gioia, G. A., Isquith, P. K .. & Guy, 5. C. (2이ll) 
Assc..'ssmenc of cx('curivc funnÎons in children 
wirh neurol앵Ïl:al impairmcn< ln R. ) 
S imω nsso n and S. L. Roscncl",j (Eds. ), 
PI)'chol'8.κιl ι'lId dl1.Y:ψ, νwι'fl tlIJeJJn씨11: OJi/d/'f!fI 
witb dÙ'lbilùìes m,ι/ ‘hnJlli( COJlllitìollJ(pp 
; 17-356). New York: Guilford 
Gioiι G. A.. Isq‘.ith, P. K., Guy, S. c., & 
Keoworthy, L. (2000). /Je,μ/'iof' Rι1Ì1Ig Im:mlolJ' 
-1 [.、κ'lIfuγ Pflll(fiofl. Odc.'Ssa, FL: Ps}'chologic뇌 
Assc.'Ssmenr Rcsources 
Glisky, E. L., & Glisky, M. L. (낀:l(2). Lcaroing 
and memory impairmcncs. In P. J. Eslingtr 
(띠 )‘ NeflroþI)뼈,/!lgi,씨 /111m.ν'11Ì0I1J: Gillι, ι/ 
H'J"íνπh alld þmπI써 pp.13 7 -162). Ncw York 
Guilford 
Goldbcr싱, E. (2001). 1J,. <<.,.시ir:f bmill: [rr)ll/(ll 
/’ bes I/llt! fbt cÎl'ilizet! lIIi끼1. Ncw York: Oxt'i:>rd 
Uni、'ersir}' Press 
Graham, 5., & Harris, K. R. (1993). Tι, Jching 
V nt Jn싱 srr:utgic-s co smdc:ncs ‘,'irh IιunJnι 
‘Jisabilitir:s: Issut"S and rtcommcnda(ions. Jn L 
) . Mclcztr (&1.), 511“Ifg)' rlJSi.'JSIII.:tII (lIJd 
IIIJI I'lI(1IUIl ‘r J''''I,싸'fllJ l‘rÎtb Ifα, I1Img ‘liJ(,싸litits
한국심 리 회회 지 학교 
(pp.27 1 -엉2). A띠[in , TX: Pro-Ed 
Grcsham, F. M., Cook, C. R., & Cr<ws, S. D 
(2αμ). Social skills [raining for children and 
youch wich cmo[Îonal .Lnd bchav iora.l disordel'$ 
Validi[y ωnsiclerations ancl tUrure dirc{( ions 
8t;ιll!jQrtll Oisoη1m. 30(1). 32-47 
Happc. F., Bood‘, R, Omrl ron, R., & Hughcs, C 
(2α)6). Ex('Ct!(ivc funcr;un dc:fìcirs in ílurism 
spc-c trum disorders and uncmion ‘lefìcir 
hypcracriv icy disll rdcr: E.'::unining pr에 1" 
across domains and a원 Bmil1 ,,1ft! Cog11i';OIl 
61, 25 -39 
H:ut.1l'L1n‘ H J. (200 1). Mffarogllitioll ;11 셔’711씨 
(//10서 ùlJlm(IÙJII: "fïJtOIJ'. π~Jf(/rcb. nlld þrm1iæ‘ 
Ncrhcrl ands: K1u‘ er Ac.:3dcmic 
Hill, E. (2004). Evaluating the [hcory of EF 
dcfìci rs in autism. Lχ'1'rloþ~써끼'111 Rtι, '1ft.ι 24. 
189-233 
Hicch‘ G. J. & McAu1ey, E. (1‘99 1) X'orking 
mcmory in child ren with spccifìc arichmcdcal 
lea rning diflìcul[ics. 8,시tùh JOlm!,,1 r/ PSJ싸101JJ' 
82. )75-386 
Ho이x:r, S. R., S‘.'3rtz, C.  'V/ ‘ Wakdy‘ M. B., dc 
Kruif, R E., & Momgol1lcry‘ J. W. (2002) 
Ex(.'(urÎvc funccions in clcmemary sch∞l 
chil‘ Ircn ‘.,;[h and wichout problcms in 、,'nttcn 
cxprcssion. jofll1l0/ of u.ι17m.앵 Dù"bilititJ. 35‘ 
57-68 
Korkman‘ M ‘ Kcmp, S. 1., Ki rk, U. (200 1) 
EtlCcfS of agc Qn ncurocognÎri'e ml'aSures of 
childrcn ugcs 5 [0 12: A cross-s("({ional scudy 
on 800 childrcn from thc Uniroo S[Uc~ 
DHttlvpllll'11ldl 1Jell때'J)'{j써1>&)', 10(1), 33 1-354 
Korkman, M., Ki rk, U., & Kcmp, S. (1 998) 
NEPSlι 서 t!l!llfloþlllff1t,ιl 샤'/IroÞIJ'clx!logÎ(α." 
IWeJJlIlflll. San Amonio, TX: Psycho logic피 
Corporntion 
Kuhn‘ D (1992). (앵 nÎrÎ'e developmcnt. In M 
H. Burnstein & ~l E. Lamb (E야 ), 
다:'I.r:WþllleII써, þJ)'fhology: 1111 adlldl/,α'd "XI book 
<3rd 00., pp.2 11-272). Hillsd피 c, NJ: Utwrcnce 
Erlb.1um Asso<.:iures 
lλ::C, D., & Ricrio, C. A (in pπ:5s). Validity of an 
t'XecurÎv<: funcrion model of ADHD symproms, 
rιu:Jing diAÎculcy, and subsrance abuse in 
adulrs. Komlll )0.ι’”“,1 nf GÎIIÎtι, .1 PIJ',hψ/앵. 28 
μhw, J. E., Juujar'i, P., Kooi srrι L , & 
PuU‘kinen, L (2003). Dimensions of excruuve 
runctioning: Evidenα from children. B,ùùb 
)011111$/ /J[ Dtt-e!t.ψl껴'111ι. 1 PIJ.,!J"log)'. 21 , 59-80 
나v i ne, 8., Robcnson, 1. H., dare, L., Gmcr, G., 
Hong, J.. Wilson, ß. A., Duncan, )., & 
Sruss, D. T. (2αX1). Rehabilirarion of 
cxecuri'c funcrioning: An exptrimental-dinical 
validurion of Goal Managcmem Training 
.Jr)l"',“1 01 1끼'tn.끼IιMιl 사'1,roþJydx;/oS…" s;ν'(/)' 
6. 299-312 
ltzak, M. 1). (1995). N,.μ때1S)'chologùal ωjμíl!ltlll 
New York: Û{fo rd Univl'rs i[}' Press 
Marrinusscn, R., i-h}'dcn, J., Hogg-Joh nson, S ‘ & 
T annock, R. (2이)5). A mcta-analysis or 
‘,'orking memα)' 1m야irmcnrs in children 、,,, irh 
a[[eo tlon건에c itl hyperacrivity disorder. ) 011111(// 
o[ Allle,.icall Ilc.씨?tll)' of ChÎ!tI olld Ado/esce1/1 
Psy(bùll’J'. 44, 377-384 
McCloskey, G., Pcrki ns, L., & Van Divncr, B 
(2009) 싸SWllRII/ (11.ιl Î1IUll!f1l1 ÎOII for AA"((f{/Ü't 
þlllmfm ‘liflìmhitJ. RαJtI떠ι:e, NY: Taylor & 
Francis Group 
McGinnis, E ‘ & Goldsttin, A. P. (1984) 
144 -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해 회교심리혁적 적용을 위한 개관 
S앉'ki시//씨'μ.1애싸ι--J끼. μ1’κ1'ιaι'끼,!!Iν“,씨ll쟁 ,'" ,f,k짜"“/'k싸l끼l/l“시aη끼}' 써fihild.: 서iI ‘1:"…/ 
,,,ι“‘b“씨싸'끼1'씨1I.l찌lr.g þroJI““I““t“씨’써시/ 찌J*“i끼μN““'써bJ , αO1ampa.tgnκ’ lLι, Re잉-archl 
P까rcss 
McltZCf, L (2007), E:、~1Xllli/.'e f"까'fiOIl ;11 tdliCflJiOll 
FI'()I1/ tlkO’ )' 10 P.…'fIα New York, NY 
Guilfo rd 
Merrcll, K. Y/ ‘ [πin , R., A" & Gimpcl, G 
A.(2α)6), Sdm/ f!JydJO/o.잉)' for Jhe 21st t'fllfll’7 
I ‘:O/llUlälirms tIf.ιI p'“α1(,α New York, NY 
Guilford Press 
Micco. J. M.) Henin, A., Bicdcrman, J.. 
Rosonbaum, J F., Pwy, C, Rindlaub" L A" 
Murphy, M. & Beckcr, D, R, (2α)<)) 
ExecU[iv(' funcrioning in olfspring at risk “r 
‘leprcssion jmd anxicry αþrmÎl)1I (IIJd “”κυ 
0, 1-11 
Miyake, A ‘ FriαIman, N, p" Emerson, M, J , 
Y/ itzki, A, H" Ho“ ercc r, A., & Wagcr, T 
l), (2대씨'). Th<.' unity and JiversÎry 이 
c、CClI tiv(O funccions and cht'ir conr.ribur ioru w 
complc:x Yromal lolx." rasks: A larcm vu riabk 
analysis. Co,ψ'lll1W 써‘“.fog)', 41, -19-100 
Morgal1, A, 6., & Lilicnfcld‘ 5, 0, (2000), A 
mcru-analpic rcvicw of thc rdarioo berw('cn 
anrSα1‘.11 lx-huvior and neuropsychological 
111αil$Ures of éXe(mive funcrion. Gi,,;m! 
PJ)'dνl째, Rwieu:. 20, 1 15- 136 
Oos rerl때n , )., 1셰an , G. D., & Strgcanr‘ J i 
(1‘η8). R.tspunse inhibirion in AD/ HD, CD‘ 
comorbid AD/ HD + CD, an.xious, and 
conrrol children: A meta.analysis or srudies 
wirh thc srop rask ‘ !"!II7MI 01 α'ild PJηdXJ!Jψ 
& PJ)'chiaJ’J' & 11I/i,d Dùciplùμ?!, 39β) , 4 11 
425 
Pcnningwn, ß. F. (1997). Dimcosions of eXf'{urÎ 'c 
funcrions in normal and abnonnal 
‘Jevelopmcnt. In N. A. KrdSncgor‘ G, R 
Lyon. & p, S. Goldman-Rakic (Eds,), 
&α'IOPIllf!,ιI o[ 1'" P.ψVllla! corlex: ElIOllllioll 
씨뼈씨ogy, (11ι t..lknio>pp,265-28 1), Baltimore 
5r∞kes 
PcnningtOn, B. F.. & OLOnoff, S, (1 996) 
Ex('('U[i'c funnions and dcvclopmemal 
psychoparhology. ) 0'1(.…, of OJi!tl p" ‘“이0' mul 
PJ)chiι, I’)', 37(1 ), 51-87 
RappOrt, M, D,. Koncr, κL J., Aldcπon, R. M" & 
κaikcr , J. (2008). tttemion.ddicitl 
hyperacrÎviry disorder. In M. HcC'S<.'n, & D 
Rtit l1lan CEds.) H(I1It!w짜 ,[ pJ)'dJOlogir,d 
tμ1é1SlIIf1Il ‘ι'J{! f01!/ìψ'111(11;ιllùm 111"/ !nYllmt'lIl, 
rOlll1l1f 2: OJildnw (md “씨.JeJCf11.씨pp.349 - 4여 l 
NJ: Woley 
Sbordone, R" G, & Guilmcttc, T, (1999) 
Ecological validir)': prcdicrion of cvcryday and 
'ociational functioning from ncuropsych이ogical 
data. In J. J S“'eet (Ed,)‘ l ψï:1IJIC 
l、싸''O/JiJrl씨U,!O': Fmu/alllwltI!s 11/ prtl<끼æ 
(pp.227-254), U SSC, Ncthcrlands: 5wm & 
Zeirl ing.ιr 
Sohlbcrg, M, M, & Mat('cr, C A, (2이) 11 
Managcmcnr of dyscx('(urivc: symprol1ls. 1.n M 
M, Sohl bcrg & C A, Mattw ( Edι). ÚIJ!,I/ilil'f 
셔」써ilùalio,시 / 111 끼f앵’“'JÙl' ι'1111.까'I;rblllogi“l 
flppmr/μl (pp, 230-268). Ne‘,' York, NY: Guil 
lord Pr(."Ss 
5tcrnbcrg R, J (2003), CJψ, 'Jilin pJ)'cbo씨. 1 
ßdmont. CA 끼1011lsonl 'Vads、ν orrh 
Sr‘>ss‘ D. T., & 1lcn.lOn, D, f, (1986), TI" [ml/",I 
/때 Ncw Y.‘’rk: R.WCI1 
Swanson, H. l. ( 993). Working mcmo깨 111 
145 -
한국싣리회효|지 학교 
learning disabiliry subgroups. JOllnl.μ1 IIf Wclsh, M. C. (2α)2). Dcvclopmencal and c1inical 
E‘.ptnl1lf11l.ιl αi!tl PSJm.logy, 5ι 87- 11 4. variarions in ('Xccutive funcrions. In D. L 
Tetter, P. A. (998). IlIlfllY'fI/ùm ιr ADHD. New 빼1ft"" and V. J 빼Ifese (Eds.), 0;, .• 1.ψ'f1ltl'IO! 
York: Guilford Press …nolJ끼, 11 Ùl Ilt/millg: Appli(a/iOIlJ 10 Sα, 10/ 
Tcrman, L. M. (1 92 ). Intclligcnce .nd its ,、κ'JIJit't ImJl1Îoll, bmgtl“rge tllld πιli’갱 
measuπmenr, part 11. JOIlI7씨 of Ed.ιraJiolllll sk써(pp. 1 39- 185). Mahwah, NJ μwπnce 
Pη이이쩡 11, 127- 133. Erlbaum Associates 
Toren, P., Sadch, M., Wolmer, L. (2αJO) 
Ncurocognitive corrclates of anxiery disorders 
in childrcn: a preliminary πpOrt. Jom7.싸 4 
1'111.씨, of DiJorder, 14, 239-247 
Torgesen, J. K. (1994). Issues in lhe assessmenc of 
l'x<.'Curive function: An informarion-processing 
pcrs야nÎvc. In G. R. Lvon 따J.), FrtlJJftJ 01 
referr1JIπ 싸 Iht (IJldJllJttJI 01 leontÎ앵 껴찌시'IIJU. 
NeUJ r.ù1ltS 011 11ftι;tJ/lrrll잉'm 11111찌, pp.143 - 162) 
Baltimore: Paul H. BrαJks Publishing co 
Turner, VI. E., & H∞vcr, W. A. (1 992) 
ú>gnÎtivc and linguisric factors În Ie'Jrning [Q 
read. In P. B. Gough, L C. Ehri, & R. 
Trciman (E‘ Is.), R.ιι'/g ι'Cq1l1!l11011 JnαWlfJ(꺼3 
175-2 14) 에IIsd.lc , 에 Erlb.um 
Weinberg, N. z., & Glanrz, M. O. (1999). a,ild 
psych이.Y<1thology risk (accors for drug abusc 
Overvicw. j Ollnltl1 of Gùúcal α,i!tl Pl)d,써Og)', 
28, 갱0-297 
Wdsh, M. c., Pcnnington, B. F., & Groisscr, 0 
B. (199 1). A nom13tive‘Jevelopm이tal study 
of cxαutive funcrion: A wÎndow on pmroncal 
funcrion in children α'1J(hψ'I1Il1Ilnl Nm때@ 
@뼈" 7, 131-149 
Willrutt, E. G., Ooyle, A. E., Nigg, J. T., 
Faraonc, S. V., & Pennington, B. F. (2α)5) 
Validiry of the exccurive fi니ncrion rhoory of 
3nemion defì 디(/ hyperacrivity disordcr: a 
mtta-ana1ytic oc'Vicw. 8io/c앵I“1 PJ)',hiauy, 57, 
133ι 1 346 
Ylvisakcr, M ‘ S7.ckcres, S. F., & Fceney, T. J 
(1998)‘ ú>gnitivc rehrtbilirarion: ExcCuive 
funcrions. 111 M. Ylvisaker (Ed.), 1'rnll1J1RÚC 
bmiu illjuη αilt!rr.',μ a씨 ",101.α'ell/J(pp.22 1 
-269). Bosron, MA: Burrcrworth-Heinemann. 
146 - 
원고접수일 2이19 ’ 30 
게재결징일 2009. 7. 31
한국싱;,1 학회지 학교 
n,e Korean Journal o[ Scllool Ps)'clrolog)‘ 
2α)9. Yol. 6. No. 2, 123- 147 
Executive Function: 
A Re찌ew for Its Application to Sch∞,1 Psychology 
Donghyung Lee 
Dcp"mncnc of Psychology and Philosophy, P띠 Oiai Univcrsiq' 
TI,‘ purposc of rhis anidc Îs ro providc res<"Jrchcrs :111<1 pracrÎrioncrs in school psyιhology anJ Îcs relared 
"elds ‘,vÎrh ‘l comprchcnsive revÎt::w of a ncuropsych이 ogical ccrm, cxccurive fun([ ion‘ ”’rh regard ro Îcs 
α ffcm conccprualiz3rion. ics rclac Îonship with var써us learning ιnJ ~havjor problems in childhαxl and 
adolescene<:. anJ major approachcs IO :.lSscssmem and i nccπcnt lon “r CX‘;curÎ 'C functiun Jiffirultit'S 
Up-co-d;m.' research findings and currcm rrcnds ‘II1d ÎSSlICS in thc srudy of cxerurive funcrion afC prcsemed 
:md ‘J iscussα:1 as rclevam (Q rhe flcld 이 sch∞1 psych이ogy 끼uuugho‘It [1(' rt. >. 'icw, ir Îs cmphasÎl.cd th;lC 
exêαcivc fu ncrion is a usc서fu l conccp이 ual framework rhat schωI psychologiscs can ut ilizc to ‘mdc:rstand. 
cval‘J,1(C. and inreπcnc wi[h '‘IrJOω ool1car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encollnrered in schωI scrrings 
FinaUy, implic:ar ions for research and praClice in school psychology ‘lκirs relatoo djsciplin(~ arc discusscd 
KiJ “”ιIJ : t.κ끼in.' fimη1011 κ.""'/ M'(""/~잉1 
147 -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이동형 2009 집행기능이해 학교심리학적 적용개관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혜원 정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혜원 정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혜원 정
 
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
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
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혜원 정
 
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
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
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Hmjudy Lee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혜원 정
 
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
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
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혜원 정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혜원 정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혜원 정
 
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
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
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혜원 정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혜원 정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혜원 정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혜원 정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혜원 정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maru2science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혜원 정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혜원 정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혜원 정
 

Similar to 이동형 2009 집행기능이해 학교심리학적 적용개관 (20)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김형재홍순옥,2011 유아영재,일반 실행기능영역별 비교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
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
양옥승2012 영아 자기조절의미 두뇌발달관점
 
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
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
Embodied approach to constructionism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이명주 홍창의 2006 실행기능 차원과 영역별발달
 
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
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
장혜인 2010 자기조절적 기질로서의 통제노력 연구현황과 과제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 2010 adhd의 실행기능에 관한_고찰__이론적_접근_및_국내_연구의_최근_동향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송찬원김하경2009 adhd 신경심리적 인지특성
 
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
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
공영숙임지영 2011 국내실행기능연구 동향분석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정대영2007 정서행동장애 상위인지적 중재 실행기능자기조절모형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공영숙 2011 국내 실행기능연구동향분석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2005 최송미 대학생 사회적유능성 구성요인탐색과 유용성 연구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서정은 박혜원 2011 아동의 정서지능이 실행기능에_미치는_영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정귀언, 김화수, 이근용 2014 읽기장애 실행기능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과학글쓰기 논문 (손정우)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정철호 2007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과_정상_아동의_지능__기억_및_전두엽_관리_기능에_대한_비교_연구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1993 김희화 한국아동 자아존중감 척도개발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전옥배 2006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감각통합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주의집중력에_미치는_효과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김수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위한_음악의_치료적_사용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이동형 2009 집행기능이해 학교심리학적 적용개관

  • 1. 한국↑]려학회지 학교 17le Koreol/ Jour““1 01 Sc{,ool Psyc{,olog)' 2α)9, Vol. 6, No. 2, 123- 147 집행기능의 이해: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l 동 형 f 배 재 니l학교 심리철학과 온 논문의 꽉식은 최근 신경심리학 분야에서 활안히 연구되고 있는 집뱅기능의 개념융 국내 학교섭이학 및 인십 분야의 연구자들 렛 실무자들에게 소개하는 데 있다 최 근 연구문헌파 동향응 중신으로 집행기능의 개념 및 이 콘, 이 동 갱소년기 학유 및 행동문제와의 판련성 , 평가 잊 개엽의 주께 순으로 개판합으로써 . 신경싱리학적 개념인 집행기능이, 학교장언에서 학생뜰이 경힘하는 다양한 문세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며, 개입하기 위해 할 용힌 수 있는 유용한 새녕 임을 강조한다 아지 ‘’f으로 짐챙기놓이 학교심리한적 연구 및 샤 바 스 제공에 적용훤 수 있는 구제적 망안과 시샤점 올 논의한다 주요어 집앵기능 싣앵기능, 관리기능 학교심리쩍 f 교신서재Córn..'Sf잉nding Au뼈,) 이동헝‘ 배재대학교 싱리첼학과, <J02.7’7) 대신시 서구 연자 l 길 14 Td.: 042-52ι594 L E.mail : dlt"t:(ã pc:u.ac.kr 123 •
  • 2. 효F국심리학회지 혁교 띠 국에서 학교심리학시들의 가장 전통적인 역할은, 학업수행을 저해하는 다양한 학습, 정 서 및 행동문제와 관련하여 장애여부를 판정 하고, 특수교육수혜자격 을 심사하는 데 있어 왔다 하지만, 지난 20여년에 걸쳐 , 학교심리 학 내 에서 , 개입계획에 직접적인 시사점을 주 는 “문제해질중심의 평가척 집근‘'(Mcπell , Ervin, & Gimpcl, 2ω6)01 점차 강조되이 왔고‘ 2ω4 년에 개정된 미 국의 장애인교유개선 냄 ODE1A Individuals wirh Disilb îlit}1 Educurion Improvcmem Aα)에서는, 특수교육수혜자격을 절정하는데 있어서 게입에 대한 반응월-(…“r‘cs:야p〕띠때c co ’'…"1 RTl에))께0깨。1에1 근?지l하여 학습장애를 진단 · 평가힐 것 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상의 띤 화에 알맞추어 , 학교심리학적 평가가 특정 준 거에 따라 장애를 진단하는 일에 그치지 않고, 학생의 환경적 백락 속에서 위 쉽요인으로 작 용하는 개인 적 특성이나 결함을 찾아, 개입에 시 사집을 졸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 었 다,Weinbcrg & Glanrz‘ 1999) 이러한 지적은, 효과적인 학교심리학적 서비 스를 세공하고 개 벨 학생틀의 독특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키 기 위해서는, 학교장변에서 개별 학생 이 보이 는 학습 행동문제등의 본질을 보다 깊 이 있 게 설영해주고‘ 또한 개입계획을 세우는데 한 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흔적, 개념적 뜰,framc work)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집행기능,ex('CUuvc “ nction)l)이라는 용어 는, l’ 집행기능CX{'(.1IfJve “ nction)은 국내에서 ‘판리기 능‘ ‘수행 기 능’, 혹은 ‘ 실행기능’ 등의 용어로 번 역패 왔다 필자는 ‘집행기능·이라는 용어 를 선 호한다 집행기놓은 다흔 하위 정신기능들의 작 용을 똥제. 조정하는 지 시 적 정신기림di ra.1"i‘ι rl')('nral C3pacÎ(jCS)을 의미하기 때문에 , 단순히 ‘관 리‘, ‘수앵‘, 혹은 ‘실행 ·한다는 의미보다는 ‘ 잡아 시 행한다는 의미의 ‘ tA行‘이 , 원래 용이의 의미 아동 , 청소년기에 영향을 미 치 는 다양한 정신 장애와 관연하여, 집정 더 자주 연구문헌에 등장하고 있다 Psyclnfo의 검색엔진을 통해 검 색되는 연구논문의 수를 보아도 알 수 있다 가령 , 1 995 년에는 ‘l'XCCl.I<IVC “n((lon’과 ‘chi ldren’ 을 참조어로 사용했을 때 , 오직 1 5편의 논문 이 김색되는 만떤에 , 2008년까지 포함시 ;> 1 연 검색되는 논문의 수는 총 α)()여 편에 이 른다 국내에서 도 최근 10여 년에 걸쳐, 집행기능에 대 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최근까지 몇몇 학술 지흘 통해 약 l ’편의 논문이 출 판된 것으로 보인다 국내 논문들은, ADHD로 진단된 아동 틀이 정상아동틀에 비해 집행기능을 측정하는 깃으로 간주되는 신경싱라학적 검사나 실험적 인지파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인다 는 연구들(김용희 2α)6. 김진구, 김홍근, 2008; 배대석 , 서완석 , 구본훈, 박권생 , 장자은, 2(06) 이 대부분이여 , 자폐증‘ 품행장애, 십식장애, 정신운열 증, 뚜렛장애, 학습장애흘 가진 아동 틀의 집행기능 절합을 보고한 연구들〈성형.'i'-, 박행 l새 , 2(뻐) 송찬원. 김하경, 장회대 , 2008; 신민섭 등. 2006; 오현숙 2α)5)과 집챙기능 개 선을 위한 개입프로그랩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검사리, 김교헌, 2002)도 보고원 바 있다 떡사적으로 집행기능은 학교심리학 분야보 다는 주로 신경심리학이나 인지심리학 분야에 서 연구되어왔다 그러 나, 집행기능의 결함이 특정한 장애로 진단을 받은 아동을 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아동들에게도 발견된다는 연구들 이 제시됨에 따아, 집행기능의 결함을 아동 청소년기 장애들 뿐 아니라, 약불남용, 공격성 , 위험감수행동 등, 다양한 부적웅의 운제 와 관 련펴는 ‘위 힘요인‘으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 (Giam:ola, Martin‘ Tarter‘ Pclham & Moss, 1996) 를 더 잘 반영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124 -
  • 3. 이동혈 / 집행기능의 이해 획교심리획적 적용을 위힌 개핀 이 제기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심리학과 인접분야 의 연구자듣 및 실무자뜰에게, 학교장연에서 직연하는 다양한 어려융을 가진 학생들을 보 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평가하"1 개입하기위 해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신경심리학적인 개 념으로서 , 집행기능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 를 위해, 집행기능에 대한 최근 개념과 이흔올 소개하고, 집행기능과 학교장띤에서 직민하는 다양한 부적응행동과 학습문제와의 관련성을 아동 · 청소년기 흔히 진단되 는 정신장애들을 중심으로 개관할 것이다 또한, 집행기능에 대 한 주요 평가적 접근과 최근 동향을 소개하고‘ 아윷러 집챙기능 문세의 대표적인 게입방법에 대해서도 개관할 짓이다 마지막으표, 학교심 리학적 적용을 위한 구처| 적 인 ’앙안과 시사점 올 논의할 것이다 집행기능의 개념과 정의 집행기능은 최근 신경심리학 분야에서 아주 활발한 연구 주제 중 하나이며 l 이 0 1 지적했 듯이 국내 에서도 집챙기능에 대한 연구출판깐 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동 향에도 불구하Jl., 집챙기능에 대한 정의나 개 녕사용에 있어샤 상당한 견해차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연구자틀마다 서로 다른 정 91 를 사용하는 것을 흔히 발견할 수 있고, 집행 기능이라는 용어가 다른 하위인지과정들을 지 칭하는 용어들(예릎 들변, 주의 , 기억 등)과 혼 돈되어 사용되거나, 다른 관련용어들(예를 들 번, 지능, 상위인지 등)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 용되기도 한다 집행기능에 대한 관점 집행기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존재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심리학 내에서 집행기능이 다양한 이흔적 관점에서 연구되어왔다는 데 있다 이러한 이흔적 관점들은 크게 신경심리 학적 관정, 정보처리적 관점, 발달신리학적 관 점으로 대벌해 올 수 있다 신경심리학적 관 접에서는‘ 집행기능을 뇌의 기능과 관련시켜 설명하려한다 일부 연구자들은 집행기능을 단순히 전두엽의 활동으로 동일시해 왔지만, 이러한 이해는 정확õ~지도 유용하지도 않응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Barklcγ. 2006) 왜냐하면, 진진두엽을 포합한 진두엽은, 집행기능과 관 련원 다양한 인지적 기능들 외에도 다양한 다 른 인지적 과정 틀을 애개하며 , 집행기능이 진 선두엽의 기능과 빌접한 관련성이 있다 하더 라도 진진두엽 피질에 국한되는 깃은 아니기 떼문이다φεnckJ‘1, (996) 신정심리학적 관정에 서, 집행기능을 대표하는 신경 ilia는, 여러 대 뇌 영역과 피질하구조의 협응적 활성화에 관 여하는 신경망이라고 보는 것 이 보다 정확한 이해다 정보처리직 관정(혹은 인지심리학적 판점)을 가진 연구지틀은, 집행기능을 문제해결에 필 요한 복합적 인지과정으로 본다 가병. To밍잉CIl ( 1 9')4)은 섬행기능을 상위인지 (mcc<lcognicion)와 유사한 개념으로 보았다 즉, 상위인지란 지식 및 전략적 자원 틀을 감찰, 계획, 조직화, 조정 (cωrdinarion), 조절(adapr;ltion )하는 인지 적 능역 으로서, 이러한 능력은 집행기능의 특성을 기 술하기 위해 혼히 언급되는 능력들과 매 우 유 사함올알수 있다 집행기능에 대한 발달적 접근에서는. 집행 기능을 진생이l 적 발달의 맥락에서 이해하려한 - 125 -
  • 4. 한국심리학회지 회교 다 가령 , Dcnckl여 1 996)는 아동과 성인의 차이 가 ‘발달 중에 있는 집행 기능늙‘unf“o|예뻐n멍g cαxcru’”…tI' funcri뼈o띠nn)"어에l 있다고 간단히 성명하였다 즉, 아 동이 성인으로 성장해 갑에 따라, 전반적으로 독립성이 증가하고 자기-조절력이 증대되며 자윤적인 생산성이 증가한다고 딸 수 있는 데, 이러한 변화는 집행기능의 알달에 기인하는 것요로 발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집행기 능의 발달온 전전두피질과 관련 피질하 뇌 구 조의 성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 이러한 뇌 구조의 성숙은 성인기까지 계속되는 것으 로 보인다{Wclsh, Pcnningron, & Groisser, 1991) Korkn,'U1, Kemp와 κrk-(2이)1)의 연구에 따르연, 집행기능의 발달에 있어서 가장 유의한 연화 는 ’세에서 8세 사이에 나타나며, 9세에서 12 세 사이에도 적지 않은 연화가 있다 Andcrson‘ Anderson, Nonhrun‘ J acobs와 αrropp띠 200 1 )의 연 구에 따르면, 주의동재나 처리속도 같은 인지 능랙들은 청소년기를 통해서 칩진적으로 알달 하지만, 특히 15세경에 뚜렷한 증가룹 보이는 듯하다 같은 연구에서, 인지적 융봉성이나 감 찰능력운. 아동후기나 청소년기 동안에 연령 에 따른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획과 목표설정을 측정하는 과 제 들에서의 수행은 1 2셰경에 유의하게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차원적 통합개념으로서의 집행기등 집행기능은 않은 연구자을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돼 왔다 집행기능의 이해 를 돕기 위해 일부 연구자들은, 은유{mcraphor)를 사용한다 가령 . 집행기능을 지능의 일반요인(‘s ‘요인)에 빗대이 ‘신경심리학자들의 s 요인 혹은 ‘ s 요인 .. ("smart’를 대표하는 ‘s’)으로 멍영하거나, 인간의 정신과정에 있어서 집행기능의 역할을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혹은 “뇌의 CEO‘로 비 유하는 것 이 그것이대G이dbtrg, 200 1) 영향력 있는 집행기능에 관한 문헌들{Barkley, 2αlO; Gioia, Isquirh, & Guy, 200 1, McOoskey, Pcrkins, & Van Divner, 2009; Welsh, 2002)은 집행기놓 올 단일차원의 개녕이라기보다는, 비 교적 서 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작용하는, 서로 구멸되 는 다양한 인지과정들로 구성된, 다차원적 개 념으로 기술한다 McO∞쩌 동{2009l은 집행기 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돼 온 다양한 은유틀 이 집행기능의 다차원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옷한다는 점을 지적하연서, 집행기능융, 정신 능역이 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한 팀의 공동 지휘자들”에 비유하였다 이러한 다차원 적 입장은 집행기능을 영어에서 혼히 복수형 으로 표기하는 것(즉 exr::CU(Îvc funcrioru)에도 반 영 돼있다 좀 더 기숨적인 집행기능의 정의를 살펴보 인, μ ,ak<(995)은 집앵기능을 ‘개인이 독립적 , 목표지향적, 자조적 행풍을 생공적으로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들”로 간단히 정의하 였다 Gioia 웅200 1 )은 집행기능을 좀 더 광범 위하게“모든 인지적 활동, 정서적 반웅, 외현 적 행동틀을 조직화하고 지시하는 동세직 혹 은 자기 -조젤적 기능틀"01 라 하였다 유사하 게. McCloskcy 동{2009)은, ‘집행기능이란, 의도 적 조직적 , 전략적 , 자기-조철적 및 목표 지 향적 방식으로 개인의 지각, 정서, 사고 및 행풍을 "'1 a1 하는 개인의 능력을 관할하는 일 련의 지시적 능력플(dircrti야 capaci[ics)료, 이야 한 능력을은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죠화된 방 식으로 함께 작용한다 F고 개념화하였다 최근 McOoskcy 둥{2009)은 집챙기능의 ‘전채풍합적 (holarchic피) 모형 ”을 재시한 바 있다 이들의 - 126 -
  • 5.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해 화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모형은 집행기능에 대한 현존하는 모형 중 가 장 포팔적인 것으로, 집행기능의 복잡성 및 다차웬성올 반영하여, 인간의 중다 기능영역 과 기능수준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 하는 집행기능의 역할을 상정하고 있다 이 모형은 집행기능의 포괄적인 기능을 개엽화하 기 위해‘ 집행기능의 1) 기능영역(“ nC[lon며 domains; 지각, 정서, 인지, 행동)‘ 2) 집행기능 이 관여하는 장"(arenas of Î",'olvemenr 개인 내, 대인 , 상징세계 및 환경)‘ 3) 집행능력의 층 ((ier: 자기-활성 , 자기 -조절, 자71 -인지/ 자기­결정 , 자71-생성 및 자기초월석 통합)의 개념 을 도입하였으며. 죄행기능의 역할에 대 해 다 양한 수준과 영역에서 체계적인 설명을 세공 한다 칩챙기능을 다차원적 통합개념으로 이해하 는 것은, 서로 다른 측면의 집행기능을 측정 하는 인지적 과재들에서 통일한 개인이 상이 한 수준의 수행을 보인다는 연구결과,Carbon, Moscs, & daxmn‘ 2α)4)나, 성인과 이동; 표본의 요인분석식 연구결과을(이영주, 홍장회 2006; I..ee & Riccio‘ in pr('SS; Leluo, Juujarvi, Kooisua, & Pulkk inen, 2003; Mi)'ake cr 외 , 2000)에 의 해 서 전반적인 지지룹 받는다 하지만 집챙기능올 다차원적 개념 으로 고려할 때 ‘ 집행기능을 구 성하는 핵심적인 차원 혹은 구성요소를 놓고 학자들 간에 다양한 견해가 존재함을 인식할 멸요가 있다 가령 , l=k(995)은, 의지작용 ('olillon), 계획 , 의도적 행위, 및 효과적 수행의 네 요소를 포항시켰고, ßa써(')'(2ω0)는 보다 포 팔적으로, 1) 의지작용, 계획, 의도적 , 목표지 향적 행위 , 2) 억제 및 주의분산에 대한 저항, 3) 문제해결 및 낀략의 개발‘ 선정 및 갑찰. 4) 유연한 선환능력 , 5) 목표달성을 위한 지속성 의 유지. 그리고 6) 시간에 따른 자기인식을 포함시켰다 한편 , Gioia 등2αJ1)은, 억제, 전 환, 정서동>11. 학수, 작업기억, 계획, 조직 및 김찰을 핵심적인 차원으로 재시하였으며, 가 장 포괄적으로 Mcd∞key 등20(9)은 2 3가지의 자기-조절적 집행기능을 상정하였다 최근에 Mclrzen2(07)는, 현존하는 대부분의 정의들이 포함하고 있는 집챙기능의 요소들을 확인하는 데 , 1) 목표설정 및 개획‘ 2) 시간에 따른 행동 의 조직화. 3) 융통성. 4) 이러한 과정틀을 안 내하는 주의역과 기억체계(즉, 작업기억), )) 자기-강창과 깝은 자기-조절 과정이 그것이다 집행가능을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보는 일부 연구자들은 집행기능의 다중요소들 중, 소수 의 핵신적인 집행기능 혹은 집챙기능의 차왼 이 존재한다고 주장해왔다 가링 I Penningroll (1 997)은 요인분석적 결 과에 기초하여 , 작엽 기억, 인지적 융통성, 및 운동억제를, 광범위 하게 정의된 집챙기능의 주요차원으로 보았고, Wclsl끼 2(02)는 작엽기악과 억제를 가장 핵심적 인 집행기능으로 보았다 일부 연구자틀,Il<:rnsrein & Wabcr, 2(07)은, 집챙기능을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 이 , 현대 인지신정과학에서 딴연해 있는 환원 주의적인 입장에서 집행기능을 이해한 위험을 조 래한다고 지적하였다 즉, 홍합적 구성개념 으료서의 칩행기능을 보다 단순한 인지적 과 정이나 특정 기술쿄 나누어서 분석할 때 , 집 행기능의 영역-일반적 (domai n-genernl)인 특성을 도외시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복잡한 칩행기능의 개닝을 환웬주의적 관겁보다는1 게스탈트적 , 시스템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 이 중요하I져 , 통합성 과 다원성의 양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집쟁기능의 개념적 이해 에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127 -
  • 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집 행기능과 관련개 념 지능 및 싱위 인지 집행기능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집 행기능을 다른 유사개엽과 비교해서 이해한 필요가 있다 집행기능과 관련하여 흔히 개념 적 혼선을 초래하는 두 개념은 상위인지 (mewcog ni[ion)와 지능{ imdligencc)이다 집챙기능과 상위 인지의 개념적 관련성에 대해서‘ 상위인지틀 집행기능의 한 종류나 하위개념으로 보는 견 해가 일반적이다 가링 , Kuhn(1 992)은 상위인지 를 “인지적 진략의 사용을 선택, 통제 및 감찰 하는 특정한 집행기능”으로 .t!.았고, Flavell, Mi llcr와 I>tille이 1993)도 상위인지를 “인지에 대 한 인지‘’ 흑은 “다른 인지적 과정을 조정하는 지식이나 인지적 할동’으료 정 의하였다 Torgescn ( 1 994)은 정보처리적 관점에서 , 집행기능의 칭 의에 상위인지의 개념을 사용하여‘상위인지 적 지식‘’과 ·‘ 상위인지적 행동‘을 구분하고, 후자의 개념에 자기 조겔 뭔 아니라, 지식이 나 선략적 자웬들을 감찰, 게획 , 조직, 조정 및 조정하는 능력을 포함시켰다 유사하기1, ßu rterfield와 Albemon( 1 994)도, 집 행 기 능을 ‘지 식과 전략의 사용을 갇찰하고 몽제하는데 관 여하는 인지적 그러고 상위 인지적 과정의 조정재〔ω찌 in3.ror)“로 개념화하였다 따라서, 집행기능은 다양한 인지적 활동이나 상위인 지적 활동 뿐 아니 라, 앵동 혹은 운동 활동 (motor acriviries)을 똥제하는 지시적 정신능력 을 의미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할 수있다 지능과 집챙기능의 개념적 관련성은, 지능 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달려있다 현재 지능 에 대한 정의와 。l 론은 매우 다양하다 가령, 보다 광영위한 정의(예를 들연, Srcmocrg, 2005) 는 지능의 일부로 상위인지적 과정 혹은 집행 기능적 통제과정(txt'CUrive control proccss)을 포 합시카고 있는 반면에, 보다 협소한 지능의 정의(예를 들연, Terman, 1921)는 집행기능과 판련된 인지적 과정을 배제하거나 이러한 통 재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능을 ‘특정 지능검사가 측정하는 것’이라고 초작적으로 정의하는 입장에서 보연, 현재의 지능검사들은 집행기능을 적어도 공식적인 지 능의 구성요소로서 즉정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MrOoskcy 등{20(9)은, 대부분의 지능검사 가 구성펀 망식(가령, 구체적인 지시사항, 본 문항 이전에 제시하는 가르치기 문항, 검사자 자 주의를 환기시키거 나 실행단서를 제공하는 점 등)은 과제수행에 있어서 집행기능의 관여 가능성을 최소화시키며 , 따라서 지능검사짐수 는 아동의 짐행기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다고 지적한 싸 있다 지능검사접수와 집챙기 능 측정치들 간의 상관이 대 부분 20에서 30 정도로 낮게 나타난다는 정 (Korkman, K.irk, & Kemp, 1998"1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해주는 것으쿄 올 수 있다 요약하면, 집행기능은 환원주의적 관성보다 는, 시스댐적, 게스탈트적 관점에서 이 해해야 하는 다차원척, 통합적 구성개념 이 다 즉 집행 기능은, 인간의 지각, 인지 , 정서, 및 행동영역 이1 걸쳐, 개인내적 수준 뭔 아니라, 대인적 상 호작용에서, 환경과의 관계 를 통해 , 그리고 상 정체계의 사용을 통해, 포괄적인 영향력을 행 사하는, 다양한 지시적 정신기능의 복합체로 볼 수 있다 집챙기능은 대뇌 (특히 진두엽) 및 이 와 연결된 피질하 구조를 포함한 복잡한 신 경회로망의 활성화에 의해 에개되는 과정으로 이해휠 수 있으며, 지능이 나 상위인지 같은 개념들과, (이플 개념올 어떻게 갱의하느냐에 따라) 개념적인 수준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될 128 -
  • 7. 이돔형 / 집행기능의 이 해 학교심리학적 적 용을 위 한 개관 수 있으나‘ 단순히 동일시될 수 없는 포괄적 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개념이다 집행기능과 학습 및 행동문제 지난 20여 년 동안, 집행기능과 。}동 • 갱소 년기 진단되는 다양한 장애틀과의 관런성을 제시하는 많은 연구를이 t갚표되었다 대표적 인 최근 연구틀을 중심으로, 학습문제, 외현화 및 내재화 행풍문제, 그러고 선반적 발달장애 로 나누어 개판하도콕 하겠다 집행기능과 학습문제 학습문제와 집행기능 사이의 관련성은 많은 연구들에서 확인되었다{Graham & Harris, 1993: Mchzcr, 2ooï ) 가장 일판된 연구결과는‘ 읽기 장애 나 수학장애 같 은 학숨운세 렐 가진 아동 들이 작업기억의 결 함을 보인다는 것이대‘1. Jong, 1998; Swanson, 1994) 이러한 결과는‘ 음 운흔적 인식 (phonùlogical awarc.-ncss)이 초기 얽기 능력의 일차식 갤징요인이며, 읽기장애의 원 인이라는 연구뜰에 비추이 해석돼 왔다 즉 음운환적 인식을 측정하는 과세에서 성공적으 로 수앵히려면 읍소흘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작엽기억이 증요한 역할을 한다는 해식이대Turner & l-Joovc: r, 1992} 작업기억 외 에 다른 집행기능들도 학습문제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인다 가령’ H바‘ωι!야""ι’ s、w‘ a ‘d야1. Kru“와s'1- 뼈M.. to 때mt댄s앤omc때r깨y꺼여(뻐2α00긴2껴)앤페으의l 연구에서‘ 쓰기 장애로 특수교육 서비스흘 받는 학생 뜰은 착 수(iniciacion)나 전환~se[ sh싸'"밍을 측정하는 과 제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인 반면, 보FκSllsta.i ning)나 억제 (inhibicion)과제에서는 유 집행기능과 외헌화 행동문제 외현화 행통문제와 집행기능 결합과의 관련 성은 주로 ADHD, 반사회적 행동 및 약불남 용에 대한 연구들에서 보고되었다 ADHD 와 집행기능과의 관계는, 현재 tlDHD를 설명하 는 주요 이 론들(ßa rklcy, 2006; Rapporr, Koncr, Aldtrson, & Raikcr, 2008)에 장 반영 돼 있 다 ADHD는 집행기능과 관련하여 가장 많이 연 구된 아동기 장애 증 하나다 ADHD를 가진 아동블은 정상아동뜰에 비 해 억세(특히, 반응 억세 혹은 운동억제)를 측정하는 인지적 과제 들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인다는 연구틀(예 를 들띤, 배대석 등, 2006: B’J싸aa‘"r샤r“‘k“l싸c야cyι’ Gr()떠(α,1z긴α…,"s Dc꺼P씨atu띠씨l“1,‘ 19‘m9낀긴2)에이 가장 일반적이벼o]껴1.’ A‘D아바HiD'를를 가 진 아동들이 언이장애나 학숨장이! 동의 동반 장애 여부나 일딴지능 수준과는 독립적으로, 다양한 유헝의 작엽기익 결함을 보인다는 통 합분석 결 과도 보고된 바 있다CMarrinu ssen , Ha)'dcn, Hogg-Johnson, & Tannoclι 20(5). ADHD 집단의 집행기능을 연구한 83핀의 논문을 퉁함분석 한 Willcuft, Doyle, Nigg‘ Faraonc . .l'l­Penningm미 20(5)은, 가장 일관되고 큰 효과의 크기를 보인 씌챙기능은 반응억제, 작엽기억 정기I(vigil‘lm.:C) 렛 게획임을 보고하였다 이 통 합운석에서 , ADHD 집단의 다양한 주l 행기 능 걸 함은 지능이나 성취도 그러고 다른 장애의 증상을 동제한 이후에도 유의하었디 하지만 효과의 크기가 중간정도(.4ι69)에 그치고 모 든 ADHD 아동들이 십행기능의 결함을 보이 지는 않는다는 짐을 지적하면서 , Willcu(( 등 (2005)은 집챙기능의 결함이 ADHD의 필요조 건 이나 충분조건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이 129 -
  • 8. 한국심리회회지 학교 퍼한 연구결과들은, ADHD 아동의 죄행기능의 결함 양상에 있어서 유의한 집단 내 개인차, 곧 알달적 이질성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 다 。l 러한 발달적 이질성은 ADHD의 하위유 형이나 동딴장애 등과 감은 다른 중재요인들 에 의해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 집행기능은 반사회적 행동~Morgan & l.ilirnfelJ, 2뼈)이냐 공격성 및 폭력행동~Fish야in, 2뼈)과 유의한 상판을 보이는 한 연인이다 Morgan과 l.i lienfdd(2αlO)는 반사회적 행동과 다양한 집행 기능 측정치틀 간의 관계를 검증한 ‘9편의 연 구를 통합분석 했는데, 평균 효과의 크기 62 를 얻었다 하지만, ADHD와 같은 동반장애 를 고려하지 않은 연구들이 대부분이어서, 그러한 동반장애를 통재했을 때도 집행기능 의 결함을 보이는지 영확한 결론을 내린 수 없었다 또 다른 통합분석연귀Oosrrrl때I logan, &5<밍l-anr, 1 998)는 ADHD 아동들 뿐 아니라 품행장애륜 가진 아동들도 반응엔세 결함을 보인다고 질흔지었다 ADHD와 반사회적 행동 이나 공격행동 간에 높은 공l영윤이 존재한다 는 점플 깜안한다면, 억제결합은 ADHD의 흥 동성이나 과영환동성을 통해서 반사회적 행동 에 영향을 이 칠 가능성도 시사된다 집챙기능의 경합은 약윌사용(subscancc 띠c) 과도 관렌되는 것으로 보인다(Aycadar‘ Tartcr Kirisci, & Lu, 1999; Giancola & Parkcr, 200 1) Aycadar 동~ 1 999)은 서개D로 진단받은 m영의 소년들의 다양한 인지적, 행동직 특성에 대한 단기총단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기 저선 수준에서의 짐행기능의 걸함은 2년 후의 약물사용을 ADHD 증상보다 더 잘 예측하였 다 이러한 집행기능의 효과는 약블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른 영향력을 ul 치는 것으쿄 보인 다 즉, 집챙기능의 결함은 부모의 약윌사용파 130 같은 다륜 변인을 먼저 고려한 이후에는 더 이상 알콜사용을 에 측하지 못했지만, 부모의 약불사용, 풍행문제, 지능,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한 이후에도 대마초냐 담배 홈연을 유의 하게 예측하였다 집행기능과 내재화 행동문제 집행기능과 행동문제와의 관련생은 주로 외 현화 행동문제 영역에서 많이 연구되어왔기 때문에 , 내재화 행동문제와 집행기능의 관계 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하지만, 몇몇 최근 연구들은 임상적인 우울이나 불안 을 경험하는 아동들이 집행기능올 포함한 다 양한 인지적 고}세수행에서 결함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Carψ10, N삐1, Lorusso, Battaglia, & .Molccni, 2005; Emcrson‘ 빼lJrr , & Hπison, 2005; Micco cr aL, 2009; T orcn‘ Sadch, & Wolmcr, 2(00) 가링 , Ca때do 등-(2ω5)의 연구에서‘ 건강 한 통새집단의 아동 틀에 비해, 우울한 아동들 은 언이유창성 과재릎 수행하는 동안 유의하 게 늦은 ‘착수‘ 능력을 보였고, ‘인지적 억제’ 를 측정하는 과제와 주의릭 유지를 요하는 과 제에서도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으며‘ 이러한 수행결법은 우울증상의 심도와도 유의 한 상관이 있었다 ’'foren 둥~2000)의 연구애서 , 우울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격리쏠안장애나 범 불안 장애를 보이는 6세에서 18세 사이의 아 동들은, 인지적 융통성이나 언어직 기억을 요 하는 과제들에서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 였다 최근에 보고왼 Micco 월20(9)의 연구에 서는, 집행기능의 결합이 주우울증이나 펀안 장애의 기질적 기여요인인지 아니연 이러한 장애 들의 증상의 발현으로 볼 수 있는지플 검 증하기 위해서, 부모의 기분장애나 윌안장애
  • 9.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해 학교심리혁적 적용올 위힌 끼관 와 자녀의 십행기능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하 였다 이 연구에서, 부모의 정서장애는 자녀의 집챙기능 손상과 유의한 판련이 없었지만, 현 새 기분장애 를 경험하고 있는 아동들은 작업 기억, 인지적 융통성 릉의 집행기능을 측정하 는 파제 들과 처리속도플 측정 하는 과제에서 유의한 수행절핍을 보였 으며 , 벙불안장애나 사회공포증을 가진 아동들은 각각 언어적 기 억 빛 주의력 유지를 요하는 과제에서 유의하 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집행기능과 전반적 발달장애 전반적 발달장애는, 자폐증 스펙트럼 상의 다양한 심도를 가진 장애듬을 지칭하는 DSM. IV 의 진단 범주로, 자폐장애, As pergcr 장애 , 그 외에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 등올 포 함한다 자폐증에 대한 인지적 이흔 증, 최근 주목쓸 받고 있는 견해는 자폐 아동을에게서 넬진되는 사회직 상호작용의 손상이나 정형화 된 행동특성이 집행기능의 결합파 관련된다는 것이다{Hill , 2004). Hill(2004)은 적어도 두 차 원의 집행기능(즉, 계획 및 인지적 융통성 )01 자폐증과 빌집히 판련된다고 세안하였다 최 근 연구들은, 자폐 아동틀이 겨1 획, 전환능릭, 언이 적 및 공간적 작엽기억 등애서 정상아동 틀애 비 해, 그 러고 ADHD 아동 들에 비해 , 더 심각한 걸함을 .!i'.인다고 보고한다(Corbett‘ Con.scaminc. Hendren, Roc kι & O,onof(, 20U9; Gc따[5 , Vc: rrc. Oosrcrl"an, Roeyc: rs & SccgC<lm, 2005)‘ 가령 , Cor!Jett 웅2ω9)은 자폐 아동틀, ADHD 아동틀 및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아동틀의 신경심리학적 과제에서의 수행을 비 교하였는데 , iDHD 아동들은 정상집단에 비 해, 경계 (vigilancc), 익세, 및 작엽 기억 영역에 서만 절함을 보인 반면. 자폐아동들은 억제, 작업기억 뿐 아니라 인지적 융통성 등 대부분 의 집행기능 영역에서 정상아동들이나 ADHD 아동들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각한 결함을 보 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 증이 ψHD에 비해 더 전반적인 손상을 의미하는 ‘전반적 알달장 애 ’라는 점을 감안한다연, 쉽게 예상할 수 있 지만, 자폐증이 스펙트업’ 장애라는 점을 고 려한다띤, 이러한 결과를 모든 유형의 자폐아 동틀에 ril 일반화 3)-는 것은 문제가 있을 것으 로 보인다 가령, 한 연구에서 자폐아동들(대 부분 Asl'c영cr 증후군으로 진단된 아동들이었 다)은, 다양한 집행기능 과제에서, IQ가 비 슷 한 다른 정상아몽틀과 비슷한 수준의 수행을 보였으며 , 오히려 IQ가 비 슷한 iDHD 아동들 에 비해 서 더 경미한 집행기능 상의 결함을 보였디{ H.I'!JC, ß∞rh, Ol3.rlton, Hug h('S‘ 2ω6) 이상으 로 개관한 연구들은, 집챙기능이 아 동 청소년기 다양한 학습 및 행동 문제들을 비 롯하여 자폐증과 같이 보다 심각한 발달장 애 의 중요한 신경심리학적 요인이라는 실증석 증거를 제시한다 집행기능이 다차원적인 복 합기l 념이고, 개관한 연구 들이 보여 주듯이 , 집 행기능이 광법위한 종류의 문제들과 관펀해 있다는 집을 강안하면, 문제나 장에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양상의 집행기능적 특성(즉, 프로파일)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샤 는 이러한 특정 프로파일을 구체 적으로 정의하고‘ 학교섭리학적 실무에 직용 하기위해서는 보다 많은 실증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집행기능의 결함음 보이는 학생틀은 이미 득정한 장애로 진단을 받은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지각, 인지, 정서 및 행통이1 띠지는 집행기능의 팡엠위한 • 131
  • 10. 한국심 리학회지 학교 영향력과 인간발달에 갖는 시사점을 감안한다 연, 집행기능의 결함은, 학교장면에서 학교심 리학자 혹은 교사가 일상적으로 접하는 학생 들의 다양한 문제틀과 관련될 수 있다 가령, 교사의 지시를 바로 따르지 않는 학생의 경우, 그러한 행똥은 쉽게 ‘반항적‘ 태도로 해석휠 수 있다 그러 나, 집행기능의 관점에서 보연‘ 그 학생의 경우, ‘착수{inititcion)’ 와 관련된 집 행기능에 문제가 있는 학생일 수 있다 1 착수’ 의 문제라면, 교사가 지시사항을 춤 더 구조 화함으로써(가령, 구제적인 시간제한을 부여 합) 개선될 수 있을지 모룬다 다른 에로, "1 교적 단시간에 마칠 수 있는 숙제는 잘하면서, 장기간의 노력을 요하는 파제찰을 완성하는 데 이려움올 겪는 칭소년의 경우, 단순한 동 기부족이나 게으룹에서 그 웬인올 찾기보다는, ‘조직‘이나 ‘계획·과 관련된 집행기능의 문제 로 재개념화 하는 깃 이 그 학생의 문제를 터 정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 다 또한, 자주 다른 사압의 말을 가로막거나 대화에 끼어드는 일로 또래 를에 의해 ‘무례한‘ 아이 로 인식되는 아동의 경우억제‘의 결함 으로 초래되는 문재일 수 있다 집행기능의 운제는 학생의 흔한 학입문제와도 띨접히 관 런휠 수 있다 가병 , 자신의 생각을 구어적으 로는 왜 잘 표현하지만, 논리척인 산문으l;_ 표현하는데 어려웅을 겪는 학생의 정우는, ‘작 업기억‘이나 ‘조직’과 같은 집행기능의 문제일 수 있다 이런 학생에게 , Ä~신의 아이디어 를 구체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는 작문템플릿 사 용법을 가르치거나 단계적 작운전략 등을 가 르치는 것이 쓰기문세플 극꽉하는데 직접적인 도웅이될수있다 집행기농의 명가 전통적으로1 집행기능의 평가는 학교장연 보다는 주로 잉상장연에서 , 종합적인 신경심 리학적 평가의 일부로 포함 왜 왔다 하지만 집챙기능이 아동 · 청소년기 다양한 장애나 문 제룹과 관렌된다는 않은 연구결과들이 세시되 고, 학교심러학적 명가가 진단적 분류에 그치 지 않고 기l 업계획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주어 야 한다는 인식이 고조되면서, 최근 띠국에서 는 학교장연에서 실시되는 심리학적 평가의 일부로 집행기능 평가가 포함되는 경우가 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행기능 평가에 대 한 두 가지 일 반척 접근방법을 소개하고, 학 교심리학적 평가와 관렌하여 포찰적 접근의 필요성을 재시하는 것에 국한시키고자 한다 개별 평가도구에 대한 일반적 개관과 집행기 능의 측정과 관련된 세반 논제들에 대헤서는 Olan, Slnun‘ Toulopω10u와 Glen (2α)8), Gioia 동{2(삐) 및 니on과 암잉ncg。κ1996)를 참조하기 바란다 인지적 수행과제률 통한 평가 132 집행기능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집근땅법은 인지적 과세에서의 수행을 통해 평가하는 것 이다 이러한 접근은 심리학에서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편적인 방법으로, 표준화된 지능검사나 기억검사 둥과 같이, 집 행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가갱되는 인 지적 과제를 고안하고 그러한 과세에서의 개인의 수행을 규준에 비추어 해석하는 방법이다 집 행가능에 대한 다양한 연구문헌에서 사용되고 있는 인지적 과제뜰은 약 60여종이 넘는다고 한다, Pennington & O.:on。π: 1 99ω 이 중 일부는
  • 11. 이동횡 / 집헬기능의 이해 학교심리혁적 적용을 위한 개핀 표준화된 경사로 규준에 비추이 해석할 수 있 지만, 대부분의 검사는 실힘적인 과제들이다 위스컨신 카드분류검사, 런던 탑 검사, 스트룹 검사, 선로연결검사, 언어유창성 검사, 영춤 신호검사 등은 가상 잘 알려진 도구틀로, 국 내에도 소개되어 , 연구꼭적으로나 임상적 복 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보다 최 근에는, Ddis­Kaplan Exccuriv(' FU!lcrion S}rscem(Ddis, Kaplan, & Kramcr, 200 1 )과 같은 표준화된 집행기능검사 ‘배터리’가 출간되었는데, 이 검사는 기존의 개별적으로 실시되던 다양한 인지적 과제틀을 재구성한 9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다양한 종류의 집챙기능을 측정쉴 수 있 도콕 고안되었다 한편 , 국내에서도 아동용 Kims 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김홍근, 20(5)가 개발꾀이 표준화펀 바 있다 이 검사 는 스트룹, 단어유창성, 도안유창성, 및 인출 효율성의 네 하위겁사로 구성왜 있으며, ‘ 관리 지능지수‘파는 진제 요약점수를- 산출한다 행동평정척도를 동한 평가 부모나 교사에 의해 작성되는 행동평정척도 는 아통과 청소년의 사회적‘ 정서적, 행동적 기능을 평가하는 표준적인 집근방웹 중 하나 다 짐행기능의 평가는 주로 인지적 평가의 맥박에서 다루어져 왔지만, 어떤 집행기능t예 활 틀연, 정서 통제 , 자기 -감찰 등)은, 인지적 수행과제로만 평가하기에는 영확한 한개가 있 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위한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행동평정척도기법이대Gioia. J찌비 cll, Gu}', & Ken、,vonhy, 2α)()) 이 퍼 한 접 근은, 가정 이나 학교 등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아동과 빈 번히 상호작용하는 부모나 교사는 자연적인 환경에서 아동의 집행기능을 관찰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갖기 때문에 아동의 집행기능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줄 수 있다는 가정에 근 거힌다 국내에는 아직 소개되지 않았지만, Gîoîa 동{20(0)이 개 발한 Bch.,… R.1ring Invcmory of Executivc FuncrÎon(ßRIEF)은 대표적인 평가도 구로, 다양한 짐챙기능이 행동으로 표현되는 측연을 측정할 수 있도확 고안 돼 있다 이 검사는 8개의 상호 관련왼 집챙기능 하위영역 (즉, 억제 , 전환/ 융통성, 정서통제 1 삭수, 작업 기억, 게획 / 조직, 자료의 조직화, 감찰)을 측 정한다 BRl EF의 착수, 작업기억, 계획, 조직 화. 및 감찰 소척도는 ‘상위인지지표‘’라는 상 위척도를, 억씨iI. 전환 정서통제는 “행동조젤지 표‘를 구성하며, 전반적 지수R서 합산짐수 (G lolY.1 E、l'cllti"c Om1IX)sirc)를 지1 공한다 집행기능 평가의 포괄적 접근 집행기능의 정확한 평가는 쉽지 않은 일이 다 이것은 집챙기능이, 특정한 인지의 ‘내용’ 적 측면(가평 , 기억. 언이, 시공간식 지각럭 등)이라기보다는, 인지와 행동의 ‘통재 ‘ 적 측언 을 반영하는 개념이바는 데서 비 룻된 다{Gioia èt 쇠 , 20( 1) 비교적 단순하거나 특정한 인지 적 내용을 측정하는 과제는 집행기능을 요구 하지 않는다 즉, 집행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는 피검자에게 모호하거나 새로운 과지1], 곧 복잠한 문제해결과정을 요구하는 과세가 주어 져야한다 문제는 이러한 복잡한 과제 를 성공 적으로 수행하려면, 한 가지 집행기능만 관여 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집행기능이 판여되 는 경우가 내부분이라는 데 있다 또한 칩행 기능은 그 본질상. 다양한 하위인지과정(가링, 주의, 기억, 언어, 추흔 등)의 개입 없이는 활 성화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십행기능을 133 -
  • 12. 효버심 리회회지 학교 측정하기위해 사용한 과제에서 아동이 서조한 최근 Mcdoskey 둥{200'))은 이러한 방법 틀 에 대 수행을 보인다면, 이러한 수행결함이 집행기의 해 구체적인 전략을 소개한 바 있다 문제를 정확히 의미하는 것인지 해식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안일 다양한 집행기 능이 관여하었을 경우, 서로 다른 집챙 기 능의 집행기능 문재의 깨입 기여 정도를 측정 수준에서 분리해 내는 것은 불가능하거 나 매우 어려운 과제다 이 러한 소 위, ‘ 과세 윌켠5성 (rask impuriψ‘의 문제 (Lyon & Krasn댐or, 1 99ω는 집행기능을 측정하는데 사 용되는 대부분의 인지적 과제에 면재해 있는 문제로 집행기능평가의 타당성을 위협한다 집행기능의 타당한 평가릎 위해서는 다각적 인 접근이 필요하다 가령 , 검사상황에서 아동 이 인지적 과제에 어떻게 접근해 가는지 연밀 히 관찰해 그러한 질적 정보를 양적인 검사수 행정수를 해석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 한, 구조화된 검사상황 뿐 아니라 실제생활에 서의 문제해결행동에 니l 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망법 등은 타당한 집챙기능의 평가플 위 해서 중요한 부분이다 실제로, 몇몇 연구자뜰 은 인지적 검사에서 의 수행과 실제 생활현장 에서의 앵동 간의 상관이 그리 늪지 않다는 정 을 지적해왔다(삐dCI>On, 2002; Sbordonc & Guilm여te‘ 1999) 따라서, 집행기능 평 가의 ‘생 태학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지 적 즉 정방입 이외에도 관찰, 연접, 부모와 교사에 의한 행동평정척도 등 다증적 평가방법을 사 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포팔적 접근은 현 새 학교심리학적 평가에 있어서 최상의 실무 (best prncticc)로 간주되는 “중다방법, 중다정보 원, 중다장면 평가i,mulril11fthod, m띠tisourcc and mulriscrring assessmcnr)’'(Mcrrc ll cr 피 , 2(06)와 일 치하는 것으로" o~동 뿐 아니아 부모 및 교사 를 면칭할 수 있는 구조 화된 면정기엽이나 관 찰 프로토콜 동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집행기능의 결합은 학교장변에서 다양한 문제로 표출 될 수 있다 집행기능 에 대한 연구 문헌이 최근 매우 빠른 속도쿄 늘어나고 있지만, 개입방법에 대한 문 헌들은 비교적 최근에야 동장하기 시작하였다 (Mcdoskcy et a1., 2α1); McJtzcr, 2(07) 집행기능 문제를 위한 개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아동의 내 적 자기조절능릭올 증진시키는 것이띠, 이 러한 내직 변화를 위 한 전약과 기업을 아동에 게 직접 가르치는 동시에, 아동아 필요한 적 절한 외식 환경적 지왼올 제공하는 것이 개 입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 다{Mcdoskcy Ct 쇠, 2α)9) 다음은 집행기능 문제를 위한 일반적인 개입방법들을 크게 두 범주로 나누어서 개판 한다 내적 통제력 향상을 위한 접근 내 적 통세력 향상올 위한 접근은 아동이 자신의 연령에 적절한 자기조절력을 개알할 수 있도록 돕는 것쓸 목표로 한다 심리학이 나 관련분야의 문헌에서 흔히 ‘자7 1 -교수 훈련 (sdf-insr ructionaJ uaining)’ 혹은 ’상위 인지적 개 입법 (mC[<lcogni{Ívc imcrvemions)‘ 이라고 룹리는 기냄 들은 이러한 접근의 대표적인 예라고 흡 수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의지적 행동이 내 적언어 (inm.'r speech)에 의해 에개된다는 Vygαs셔 나 Luria의 주장에 근거를 두고 있는 깃으로 (Sohlberg & M.rccr, 200 1), 자기 -언어 (scJf-t피k)를 134 -
  • 13. 이동형 / 집웰기능의 이해 ‘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굉 통해서 아동 자신이 스스로의 행동을 감찰하 거나 조정하고, 치| 계적인 문제해결과정을 사 용하도록 가르지는 절차틀을 포항한다 즉, 주 로 외적 인어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딘 아동 이, 점차로 내적 자기-언어에 의한 자기 -조정 을할수있게 돕는것이다 자기 -교수법이나 상위인지적 끼|입법은 싱리 학에서 이상행동이나 부적응의 문제룹 개입하 기 위한 ·인지행동적 접근‘과 。H현! 근거 를 공유한다고 올 수 있대McOoskcy Ct a1., 20(9) 비 콕 ‘집행기능의 문제룹 다루기 위한 개입엄 ’ 이라고 지칭돼오지는 않았지만, 많은 인지행 동 치료척 기업들은 내적 통세력 증진을 위한 접근이라고 뀔 수 있다 즉, ‘집행기능’이라는 용어 를 사용한다면, 인지행동치료는, 내당자가 자신의 감정, 사Jl, 혹은 행동을 보다 효율적 으로 동제할 수 있도콕 집행기능을 향상시키 는 기입이라고 올 수 있을 것이다 교유학 분 야에서도 이러한 접근은 생소한 개념이 아니 다 가령 ‘ 상위인지‘의 개념을 사용하에 교수 과정을 동해 학생 들에지| 상위 인지적 전략틀 을 가르치려는 노릭 플은, 학생 자신이 읽거나 쓰거나 계산하는 것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게 하는〈즉, ‘사고에 대한 사고‘), 집행기능식 동재 과정을 가르치려는 시도라고 원 수 있다 Sohl lx:tg 와 M"",cJi 2001)는 자기 -교수법에 기 초한 프로그램들이 공유하는 핵심 적 인 젤차들 을 기술했다 첫 단계는, 집행기능의 결함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제나 문제할 찾는 일 이다 이떼 아동의 일상적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간단한 훈린과제나 활동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문제영역이 획인되면, 구 체적인 문제가 무잇인지 문세의 분질(예를 틀 먼, 껴| 획부족, 충동악재결합, 조직성걸여 자기 감찰 부족 등)을 규정하는 짓이 다음 단지l 다 세 번째 단계는 그러한 문지l 를 조력할 수 있 는 자기교수 혹은 상위인지적 절차를 고안하 는 일이다 가령, 시험 볼 때 오류를 줄이 고 단지하는 능력의 개선이 펼요하다띤, 자기 -감 찰과정에 펼요한 단계를 세분해서 정의할 멸 요가 있을 것 이 다 다음 단계에서는 개입 자 끼((iinte 따라 시범 (mαl이ing)을 보이고 아동은 각 단게 를 소리 내이 말하연서 훈렌과써l 나 훈련활동 을 연습한다(즉, ‘외적 언어화’) 가평, Lcvin t' 등{2때))이 기술한 ‘목표판리훈련“에서, 아동이 영시된 여섯 단계의 자기 교수 질차릎 통해 문제해결에 집근하도콕 훈련시켰대즉. StOP, Detìne, Lisr, Lcarn, Exe<:ute, 그피 고 Ch(~k) 적 질 하다면‘ 아동의 자기 교수절차를 죠랙하기 위 해 단서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동이 자 기 -교수 젤차블 스스로 실행할 수 있게 되면, 개업자는 이시1 아동이 조용히 속삭이면서 과 제 릎 수앵하도흑 도우며 충분한 연습의 기회 를 제공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조용히 속 삭이던 것을 접차로 줍여서 이제는 내적 인이 코 전환해 가도콕 옵는다{ 즉, ‘내적 언어화‘) ut지악으로, 게입자는 자기 -교수 절차가 다콘 과세플로 일반화 될 수 있겠는지 를 고려하여 , 일반화 가능성이 있다연, 동일한 젤차흘 다른 종류의 과제나 활동을 사용하여 연습 할 수 있도꽉 5:력한다 진형식으로, 자기-교수볍 훈련은 보통 실제 생활의 맥락에서 설앵되기보다는, 구조화된 인위적인 상횡1 예 상담실)에서 문제와 관떤된 특정 기술을 가르치고‘ 아동이 목표기술에 능 숙하게 댐에 따라, 일상생환에 일반화할 수 있도록 돕는 방식을 취한다 한편, YI‘isakcr, Szekcrcs와 Fl'en해 1998)은 자기 교수 훈련에 있 어서 생태학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생 - 135 -
  • 14.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태학적 상위인지 적 개입법 F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접근은, 아동이 자기조절을 연습하는 주된 맥락으로 아동의 설생활, 곧 。똥이 자 주 접하는 문제 나 과제를 활용할 것을 강조한 다 또한 아동。l 일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실 생활 속의 주요 인불틀(가령, 부모 가족성원, 교사 등)의 역할과 이 들과 개입자 간의 협조 적인 관계를 동해 , 아동의 실생활 환경 속에 서 , 집행기능 알달을 육성쉴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따라서. 주왼 개임의 맥락은 교실, 과외활풍, 가정 등의 일 상적인 생활환경이며 , 아동의 환경에서 아통 과 정규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든 성인들이 ‘코치’의 역할을 한다는 점 에서 선동적 인 자기 -교수법과 차이 를 보인다 자기 -교수법이나 상위인지적 개입에 근거한 기업들은 계획성‘ 조직력 혹은 문제해결능럭 에 결함이 있거 나 충동성이 높은 아동들이나 성인들을 교정하는데 적용돼 왔을 뿐 아니라‘ 인지재환학 분야에서 외상 후 뇌손상 등으 로 집행기능장애를 보이는 환자틀흘 개 입하 는 주된 기법으쿄 활용에1 왔대써derman‘ l까‘ & Youngson‘ 1995‘ lιvinc cr al., 2αX>; Gccrone & Wood, 1986). Grc,ham, Gook과 Crcws(2004J의 통 함분식젤과는 다양한 사회적 기 술훈련 프로그 팽들이(이러한 프로그셈뜰의 한 요소로 자기­교수기 엠 틀 이 종종 포합 돼 있다) 정서 및 행 동장이! 플 가지고 있거 나 위험 죄단에 있는 아 동들의 행동문제를 유의 하게 개선한다고 결론 지었다 학습 문제 의 경우에도 학생들에기l 인 지적 전략‘ 상위인지, 자기 -조절 적 학습, 자기 강찰 동 집챙기능에 초집쓸 맞춘 교수방법 틀 이 아동의 자기-조절 능력을 개선하는데 도움 을 주는 효과적 인 기법임을 지지하는 여러 연 구플이 있 다(예를 들연, Hartman, 200 1) 이러 한 연구 결과들은 내 적 통제력 향상을 위한 개입법들이 집행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적 일 수 있응을 시사한다 하지만, 이런 연구들은 종종 개입의 효과를 측징 하기 위해 직접적으 로 집행기능과 관련원 총속 변인 들을 포항시 키지 않았다는 갱 에서 해 석 에 제한정을 갖는 다 더옥이 특정한 집행기능의 개선을 목적으 로 개입프로그랩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평가 한 연구플은 매우 드문 실정 이다 소수의 집 단 연구(검사 리, 김교헌 2002; Oowser[ & uvcsey, 2(00)나 개별 사레 연구(Aldtrman, Frj’· & Youngson) 1995; lα'10(' tt 쇠 , 2αlO)는 대체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한다 가령, 00‘”이I와 Livcscy의 언귀2뼈)는 3-5 세 사이 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행기능 훈띤과제 에 반복적으로 노 출시키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훈련 에 사용된 과제는 반응통제 , 표상적 융흉성 , 작엽 기억, 선택적 주의 , 자기-수정 퉁의 기술 올 요하는 깃이 었는데 ‘ 이 러한 훈련은 참여 아동틀의 억제적 통씨와 판련되는 전략이나 규칙구초 발달윤 측낀 시킨 것으로 보고하였다 십챙기능에 대한 연구의 역사가 비 교적 짧고, 특히 집행기능의 문제를 위한 개엽방법을에 떼 한 문헌들이 최근에야 등장한 점을 감안한 다띤. 이러한 개입 l상법 들이 구체적인 집행기 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 를 검증하는 연구틀 이 쟁실 t] 필요하다 하겠다 외적 통제력 유지를 위한 접근 외적 통세력 유시를 위한 접근은, 아동 자 신의 내 적 변화보다는 아동의 환경에 있는 다 흔 사람틀이 외부직 원조를 제공함으로써 아 동의 집행기능 문제 에 대처하고 아동의 집행 기능 딸달을 돕는 l상법이라고 올 수 있다 행 136 -
  • 15. 이동형 / 집챙기능의 이해 - 학교심리학적 적용올 위힌 개핀 동주의직 유관관리기법 빛 환경관리기법이 이 러한 범주에 포합펀다 유판관려기법의 기본 가정은, 아동의 자기 ­조절석 행동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그렇지 않은 행동은 무시하거나 처벌함으로써 아동의 짐챙기능 문제에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잠근은 ADHD 아동뜰에게 않이 적용 되 어 왔으며, 잘 고안펀 유관관리기법은 짝 령기에 있는 ADHD 아동 들의 행동문제를 감 소시키고, 학습과제의 수행 효융성을 증가시 킨다는 연구증가틀이 있다(개관을 위해서는 Tecter. 1995 참초) 라지만 이러한 기업들이 실 제로 집챙기능 자'11 쓸 개선시키는지에 대한 설층적 층거는 부족한 설정이며, 유관관리기 밍의 효용에 대해서는 여려 연구자들이 9 1 문 올 제기하거나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듯하다 가링 , DeBonis. Ylvisakcr와 KUlldcn (2000)는‘ 집챙기능의 운씨| 릎 가지고 있는 아 동틀은 혼 õl ‘결과’ 룹 동해 학습하는데 많은 어 려웅이 있다는 점을 지직하면서, 행동의 결 과른 지나치게 강조하는 개업빔은 깨우 부적 젤항 수 있으며 룩히 권위주의적인 방법으로 실시쉴 l애, 아동의 반항성 을 조장하기냐 악화 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었다 Damιl이 1 9껴)도 신정심리학직 관집에서 , 전전두엽 중씨l 영역 ('tntron)t(lial arra)의 기능장애는 이미 저장왼 기익에 정서적 의미릎 부여하는 것을 어럽게 한 수 있으므로, 처엘이 나 보상이 지속적인 효과흉 갓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 외의 연구자등은 전두염손상과 관런왼 동기적 결합 (5ω,5 & &nson‘ 1 986)0 1 나 작업 기억의 경함 (Aklcrman, 1 99ω 등을 이유로 유관관리기법이 심챙기능 문제릎 다루는데 있어서의 그 효과 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비판적인 견해는 주로 뚜렷한 뇌손상 퉁으로 십각한 집행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아동들과 관련하여 제기된 것으로, 신중히 사용원다면, 유관판리는 비 교적 경미한 집행기능 문제릎 보이는 아콩들올 위한 종합적인 개입 프로그 램의 일부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환경관리기법은 아동의 집행기능 결함으로 인해 초래원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하거나 그 이한 문제에 대치하기 위해 , 가정이나 학교환 경을 수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한징지원 l상 업은, 아동의 생환환경에 부과되는 일상적 요 구에 대치하도록 아동을 도웅으로써 아동의 진 !간적인 생환적응을 도울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G li,"'Y & Gli, ky, 2(02) 대표적인 환정관펴 기엽으로 o~동의 주요 생활환경이나 시 간을 보다 구조화한다거 나, 아동의 자기 -조절을 롭 기 위헤 외부적 단서나 프룡프트흘 제공하는 것‘ 그러고 빈번한 교정적 피드백융 제공하는 깃 등을 듣 수 있디 환정관리기법은 ADHD와 외상 후 뇌 손상에 대한 문헌 괜 아니라 학급 관러나 행동관리프로그램에샤 가장 강조되 는 요소들 중 하나로, 집행기능의 문제 쉰 징험하 고 있는 아동에게 , 보다 구조화원 환경을 시1 공하는 것 이 핵심이대Sohlbc밍 & 사이Iccr. 1998) 욕히, 교실환경을 계획적으로 수칭하기나 아 동의 결함윤 보완할 수 있는 외부 조릭 장치 (예 깥 를연‘ PDA, 과제장, 과제정검옥흑‘ 타이 <>1. 시각적 려마인더 , 다양한 시 각적 조역자료 동의 사용)륜 사용 하도꽉 가르치는 것 풍은 학교장띤에서 싣행할 수 있는 중요한 게임진 약으로 찰 수 있다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논의 이상으로. 집챙기능의 새념과 정의, 집챙기 - 137 -
  • 16. 한국심리획효1 지 회교 능과 아동 청소년기 학습 및 행동문제와의 관떤성 , 집챙기능의 평가 및 개업에 대한 최 근의 연구운헌을을,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염 두에 두고, 차례로 개관하였다 아동 갱소년 기 다양한 학습 및 발달문'11 들이 집행기능의 문세와 녕!접한 관린성이 있 다는 연구들은 집 행기능이 학교장연에서 아통과 청소년들의 수 행과 적용, 그리고 다양한 교육적, 심리적 개 입에 대한 그들의 반응흘 결정하는 중요한 신 경심리학적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 점은 집행 기능이라는 구성개념이, 비단 신경심리학자들 의 전유물이 아니라, 학교심리학적 연구와 서 비스 제공에 배우 유관한 개녕 이며 , 학교장연 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께 하는 근 거가 된다 다음은, 앞서 개판한 집챙기능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집행기능이 학교싱리학 에 적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방안과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국내에 는 아직 학교심리화 실무에 대 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따련되지 않은 실정 이 므화 실무에 대한 필자의 논의는 주로 미국의 학교십리학 실무자뜰의 역할에 준한 것이라는 접을 밝혀둔다 하지만 이j!-I 한 방안과 시사접뜰은 현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학교심리학회’가 규정하고 있는 학교심리학자 의 역헬, 곧 핑가, 711 입, 자문 및 연구와 일치 하는 것ξ걷‘ 앞으로 국내에 학교심리학적 서 비스가 도입될 경우 상당한 연계성을 가질 수 있으l이 , 현재 학교장연에서 상당이나 심리서 비 스쉴 제공하는 진문가들에게또 일부 적용될 수 있는 것들이다 첫째, 가장 일반적인 시사정으로, 집행기능 은 학교에서 다양한 학습 및 직웅문제룹 경험 하는 학생틀을 이해하고 그뜰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학교심리학 연구자들 뿐 아니 라 현직 교육자될특수교사. 일반교사1 학교행 정가 등) 및 학교장연에서 상당 및 심리서비 스 제공하는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유용 한 심리학적 구성개념이라는 점이다 파학기 술 의존도가 정정 더 커지는 현대사회에서 학 교에서의 성공은 정정 더 많이 다양하고 복잡 한 집행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 들은 이제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시작하여, 긴 읽기, 쓴기 과제나 장기 학습 프로젝트 동 을 수행하도룩 요구받는다 념쳐나는 정보 속 에 효과적으로 정보릎 조직하고 선택하며, 변 화하는 환경의 요구에 대 옹하여, 어떻게 효과 적으로 문제해결전략을 조정하느냐 하는 것은, 자라나는 어린 학습자들에게 이제 정접 더 도 전적인 과엽이 휠 것임에 틀림 이 없다 따라 서 이 틀의 학습을 효과석으로 돕고, 더 나아 가 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내용· 측면에 대한 교수 뿐 아니라. ‘과정 ·과 ‘전략’에 대 한 교육적 개업이 병행되어야 할 것 이며 , 십행기능은 이러한 측연에서, 학생의 학슴과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효과적인 교 육적. 신리학적 개입방법융 개발하는 데 한용 될 수 있는 유용한 개념적 를이 월 수 있다 둘째, 염상적 인 관점에서, 학교심리학이나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은 집행기능의 문제가 아 동 · 청소년기 다양한 정신장애틀과 관련된다 는 점을 그들의 실무나 임상적 연구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집행기능 연구자을은 집 챙기능의 결합이 사실상 거의 모든 정신과적 장애들의 진단준거에 내포돼 있다는 사실을 지적해왔으며 (Goldberg, 2001; McCloskcy e, ,d., 2α)9), 이러한 근거에서 일부 연구자들은, 현 재의 DSM-JV 진단 축에 집행기능 차웬이 추 가되 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였디{McCI∞key e[ 쇠 , 200')) 특정 장애로 진단된 학생을 집행 기능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해하는 것은, 그 138 -
  • 17.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히| 학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관 학생이 경협하는 구치1 적 인 인지적 어려움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개입계획 을 세우는데 깨 우 유용할 수 있 다 많은 경우, 특정 진단을 받은 아동을 위한 구세적 게입계획을 세울 때, 그 아동의 진단멍을 아는 짓만으로는 충분한 도웅이 되지 않는다 집행기능적 관접에서 아 동의 문세를 접근하면, 아동의 구체적인 문제 영역과 관렌왼 인지적 요인들에 대해서 더 심 층적인 이해가 가능하며 , 적절한 개입영역 플 규정하는데도 도웅이 될 수 있다 최근의 연 구결파들(ÚJrbcn . r 피 , 200'); Webh, 2(써2; Willrun (:c al ‘ 2(05)은, 특정 장애에 따라 구별 되는 집앵기능 프로파일 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동시에, 통일한 진단을 받은 아동들 이라 하더라도 구제적인 죄행기능의 결함 양 상애 있어서 디양성 을 보일 수 있음을 보여준 다 따라서, 집행기능의 결함양상이나 프로파 일에 대한 후속식인 입상 연 구들이 더욱 필요 하여, 현 시점에서는 실무자로서 아동의 문제 를 칩행 기능을 통해 개념화할 띠|는 진단영보 다는 개인의 개별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접 근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셋째, 집행기능은 짝교심악학적 평가에 대 한 연구나 실무에 여러 시사점이 있다 앞서 살펴 본 대 로, 집행기능의 평가는 현재 주로 신경심리학적 검사나 싣혐적 인지과제 를 통해 염상장연에서 시행된다 하지만 집행기능평가 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의 생대학적 타당도가 문제시되면서 , 아동의 심제생활 속에서의 기 능올 평가할 필요성이 세기되었다 집행기능 의 운제는‘ 학교장면과 같이 학엽적인 면에서 나 행동적인 면에서 지속적으로 목표지향적 랭동을 요구받고, 매우 구조화왼 상황, 그러고 또래집단과 같은 뚜렛한 비 교준가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현저히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 따라 서 학교섬리학 연구자틀은 학교장면에서 적용­헬 수 있는 집행기능의 ‘다차원적 ‘ 평가를 위 한 도구들에를 틀연, 교사용 집행기능 평정척 도, 교사용 및 학생용 구조화된 인터뷰 질문 지, 집행기능관련 행동관찰척도 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학교성리학 실무자는, 교사 냐 학부모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몽해서, 학교 장면 이나 가정에서 아동의 집행기능 문제와 관련된 일상직인 기능 및 수행의 문세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 수집을 돕는 평가자 혹은 평가 족진 자로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집챙기능의 다차원적 명가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있다 넷째, 집행기능은 학교싱리학적 개업에도 여러 적용가능성이 있다 앞서 지적한 대로, 학교장면에서 다양한 심리적 문제릎 다루기 위해 활용되는 인지행동적 상땀전략들은‘ 집 행기능의 판점에서 보띤 집행기능의 향상을 꽉식으로 하는 개입법이라고 환 수 있다 학 교적응과 수행에 있이서 죄행기능이 갖는 시 사점을 감안한다면, 학교심리학자 연구자들은 학교장변에서 개인 , 소그룹, 혹은 학급규모로 실행할 수 있는 집행기능향상 프로그랩을 개 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뜰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설무자들은 이러한 프로그 램을 활용하여 , 개인 학생의 구체적인 집행기 능 개선을 목표로 하는 상담프 로그램 이나 집 단 상당프로그램 흑은 교실차원의 심리교육적 중재 프로그댐을 직집 설시하거나 이러한 프 로그랩을 실시하는 교사흘 지원할 수 있을 깃 이다 이러 한 프로그램의 한 예로‘ 미국의 공 립학교 시 스댐 에서 학생들에게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서 집단상담의 맥락에서 나 흑온 교실차원의 키리률립으로 많이 적용되는 프로 그램 중에, “Skillsrreaming"이랴는 프로그램 139 -
  • 18. 힌국심 리학효|지 혁교 (M,Ginns & GoldStein, 1984)이 있는데, 이는 자 기 교수법올 활용하여 , 대인상호작용과 관련 된 자기-조절능력, 곧 집행기능을 증진시기위 한 교육프로그랩이다 다섯째 , 집행기능은 학교장연에서 특수교육 서비스흘 받는 특수아동틀을 위한 평가나 자 운에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 아직 국내의 실 정과는 거리가 있지만, 미국의 경우 학교심리 학자는 특수아동의 학숨 잊 행동문제를 평가 함으로써 학부모 및 교사흘 포함한 게벨화교 유지원팀이 특수아동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개띨화교육계획 (individ l1aliz삐 삐uc:uion plan)을 개발하는데 많은 진문적 조력을 세공한다 학 교심리학자는 특수아동의 학윤 및 행동특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교윤직 및 심리적 개업방법에 내해서 팡빙위한 훈띤 을 받기 때문에, 개멸화교육지원팅이 아동의 특수한 교육적 요구를 이해하고 개별화된 교 육프로그 램올 개발하는데 효과적인 자문을 제 공쌀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제공 애 있이시, 학교심리학자는 기존의 심리명가 나 심여교육적 평가의 일부포서‘ 아니면 기능 적 행 동평 기l.fu따non피 behavioral a5$e5smcnt)같 이 학교장번에서 행동개입 프로그랩 (behaviorill intervt:ntion pro,gram) 개발을 목적으료 하는 "1 교적 간단한 평가의 일부로서, 집행기능에 대 한 평가를 싣시하고, 평가결과릎 아동의 인지 적 특성 이나 행동문제틀 설명하는데 적용하여‘ 2’ 띠파의 공립학교들이 장애인교육엠에 명시원, ‘걱 절 한 무장공교뭔ÍIee'Pf’ ‘>pn:ue pu버 ic cd“llLO띠‘ 을 제공하기 위해, 학교심리학자등의 이야한 전 운성을 석극적으로 할용하는 것올 감안하다인 우리나라에서도 장에학생 들의 다양하고 독특한 교육적 요구에 부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수준 의 학교싱리 서비스의 창출과 제공이 시급하다 하겠다 부모나 교사 등의 다흔 교육지왼팀 성원들과 문제이해를 공유하며, 더 나아가 효과적인 개 입선략에 대해 자문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국내에도 ‘장애인 동에 대한 특수교육법 ‘ 이 재 정핑에 따라, 학교장연에서 장애학생들에 대 한 서비스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립학 교에서 제공하는 특수교육 서비스가, 그 본질 상 특수교육학 뭔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 문성을 기만으로 하는 학제직 접근을 요한다 는 짐을 감안한다면, 학교싱리학 연구;<]들은 효과적인 자문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고, 이러 한 자문모형이 우리나라의 교육시스댐에서 어 떻 게 활용펼 수 있을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블흔 학교십려 학적 ;<~문 서비강} 특수아동의 문세를 다루는 것에딴 국한되지는 않지만, 특 수아동의 '1>j 젤한 교육융 위해서는 개띨화된 교육적‘ 심리학적 겁근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특수아동을 위한 자운의 활용도나 효용이 높 아질 가능성이 않다 한면, 실무적 측면에서도 한교심리학끽 자운은 집행기능 문제의 효과적 인 개업의 중요한 요소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실헤로, 앞서 소개한 ‘생태학적 상위인지개입 법“(Yalvisakcr cr 띠 , 1998) 같은 대표적인 집행 기능중재법은, 아동의 십행기능을 개선하는데, 아동의 환경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학부모나 교사와의 엠력관계가 개입을 성패 를 좌우하는 핵심요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따지약으로, 학교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들올 개념화하고 적절히 개입하는 데 있어서, 학교심리학 연구자들 및 실무자들 은, 집행기능이라는 구성개념을 종합적 • 시스 템적 정근의 액락애서 환용하여야 한다는 점 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학생이 가진 특정 문 제 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j 집행기능의 결함을 하나의 위험요인으로 간주하던, 핵싱적 원인 140 -
  • 19. 이동혈 / 집행기능의 이해 회교심리학적 적용을 위한 개핀 으로 간주하던 간에, 학교심리학자는 집행기 능 이외의 다양한 개인 내 ·외적 요인들을 세 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합적 문제이해의 액락에서 집챙기능의 개념이 홍}용 될 때‘ 보다 효과적이고 적절한 개입으로 이 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전풍적으쿄 신경심리학이나 인 지심리화에서 주로 연구되었던 집챙기능이라 는 개념이 학교심리학 분야의 연구 및 실무영 역과 띨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 풍으로씨‘ 신경십펴학적 개념을 학교심리학 분야에 접목 시키려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외에서 집행기능에 대한 연구들이 "11 우 휠 알히 진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도 최근 판심이 고조되고 있는 시접에서 , 집행기능에 대한 최 근 개념과 이룬, 아동 · 청소년기의 주원 부적 응의 문제 및 정신장애와의 관련성, 그리고 평가 및 개입에 대한 주요 점근 동의 주제를 포함하는 종합적 개판을 지|시 했다는 데에 의 의가 있다 본 논문이 한교심리학 연구자틀 및 관련 실무자들 뿐 아니라 인꺾분야의 전문 가뜰에게 집행가능에 대한 이해 를 옵고, 이 분야의 국내 연구필 꽉진시키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현 관리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 27(1), 139- 151 김홍근 12(05) 아동용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해설서 대구 도서출판 신 경심리 에대석 , 서완석, 구본훈, 박권생, 장자은 (2006) ADI-ID 하위유헝에 따른 관리기능 질함양 상 한국심리학효|지 건강‘ 11(2), 27’-299 성형요 박뺀11 (2뼈J) 뚜렛장애와 주의력 결 핍 과잉 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비교 신경정신의학 39(3), 610-619 송찬윈, 김하경‘ 장희대 (2ωS) 일반학생과 읽 기 쓰기 학습장애학생의 신경심리적 실 행기능 특성 비교 특수이동교육연구. 10 (20), 247-2“ 신인섭‘ 김현 01 ‘ 온싱글, 황준원, 김봉년, 조수 첼 (2006)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 아스 피거 장애. 학습 장애 아동의 실행 71 능 "1 교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7(2), 131-140 오현숙 12뼈) 아동과 청소년 정신병리 집단 들에 나타나는 실행능력의 문써l 한국심리 학회지 임싱 . 24(1), 157- 170 이영주, 홍창희 (2006) 실챙기능의 차원과 영 역별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잉싱‘ 25(2), 587-602 Aldcrman. N. (1<)9“ (노Iltral t'X("C lltÎVC: d<:fic Ì[ anJ rt.πlnse [0 oJX'l"'dnt <:0’“ lirioning !llcrm펴s 김사2.1. 김교헌 (2002) 행동억제 훈련이 λleuropJJfho~앵t“" R,h,.씨,jlùillùm. 6, 161.186 ADI-ID 경향이 높은 아동의 싣행기능 개 Al Jl'rman, N., Fry. R. K.., & YOlJ n잉5On . 1-1. A 선에 01 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 9'-)5). Improvcmcnt of selιmoniroring skiJJs, 7(3), 429-445.αlucrion of bcha'Îor disru rb.'mce and th(' 김용~I (2006). ADHD 아동의 하위 유형에 따 이d이)'S('X없('('UCC“II‘w'‘(' syn찌‘cc1뼈rro’mme: Cnm떼뻐1(I 흔 전 두엽 집 쟁기 능 연구 한국심리학효회 C(‘)s( 찌aι띠r1띠d :1 야nCW Pαr맹o'gram “0( CS:c이씨:1‘(.“κr,ι-꺼m깨‘ooo…nn미1“i“떼……r…U삐om‘αm’1n밍11밍1s 지 건강 . 11(2), 30 1-314 김진구. 김홍근 (200ll). λDHD 아똥의 전두엽- 141 rraining. NI!II.씨셔)'d.째ÎfIIl Relx,biliJalioll. 5, 193-221
  • 20. 한국심리획호|지 학교 Anderson,’ A. (2002). Asscssmenr and de'clopmcnr of CXl'CUCÎV(' function during childhood. 0,써 샤껴'lrholol!J'. 8(]I, 71.82 Andc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Catropα1, C. (200 1) Dcvelopmenr of c.'X('Cl cÎ,,(' funcrions rhrough lare childhood and adolcscence m an Aus【띠ian sample. Dtr.에ψX끼싸 사'IIr째'(ho썽. 1 20(1), 38~ -406 A),taclar‘ S.. Tancr, R. E., Kiris<:i, L., & Lu, S (1999). Assoc iarion oc-rwccn hypcmnÎviry and exrcuti'c cognirÎve funnioning in childhαXJ and substance ‘lSe in early adulcscencc. ) 011171/11 0/ /he AI1Ii'ri((J}1 Ilcll.싸'II~' of Child & /1"01",,111 PI)rhÙlI’J'. 38(21, 172.178 ß arklcγ, R. A. (2α)()). Genetics of childh뼈 disorders: XVII. ADHD, P찌 l 끼1c cx('(urivc (uncrions and ADHD. ) (}fI/1,“1 'I I/" 11111tl"";“m Ilr.ιι'111)' 01 O)J'lt/ JI1lf/ A,lo!eslα'IJJ PSJrhi써’)', 39, 1 06셔 lαí8 ß,,,kley. R. A. (2α)6). A l1m/ùm-ιr/irit J:T)/'t" ~/rlÎt'Îf)' dis!lηler: /-Irllltl/xxJk for diagl10JÍJ (/ιI /I-eaU1lfllt (3셔 “d.). Nc‘.v York: Guil(ord Barkley, R. A.. Grodzinsk)', G., & DuPιul , G. J (1992). Fromal lobc (uncrÎons in :l(cemÎon d에cit diso rder with and withouc hypcractivity A rt"VitV a뼈 research rcpon . )0,ι’71(1/ 01 Ilbll“”“1 Chikl PI)'dxHOK),. 20(2), 163.188 Bcr띠tein, J. H.. & Waher, D. P. (2αl7) EXClUCÎVC capacitÎt'S (rom a dcvtl‘lpmemal pcrspective. 10. L. Mcltzcr (Ed.), Ewmlùr 끼UCl1011 111 t.까…riOll: FIWII (.까.1)’ 10 pra{fùr (pp 39.)4). New York, NY’ G비Iford Brown, T. E. (200~). AII",/i' fI 싸;dr diJOI써r: 1/" III1!OC/μ. 'td l1Iùlll ;11 "hildrm mtt! (/'''''0. Ntw Haven, Cf: 、a1c Universiry Prt"SS Buttcrlield‘ E. C, & AlbertSon, L. R. (1994). On making COgrulÎ'C rheory more genera! and ‘.1c'Vclopmen띠 Iy pcrtinenr. ln F. Wcincrt & W. Scheneider (εIs.) , Rt1et1tl:h 011 mel!lor)' tlet 'tloþlllt1lκpp.73.99). Hillsd피c, NJ: 니wπnce Erlbaum Associ3tt.'S Carlson, S. M ‘ Moses, L J., & 0 ‘n:ton, L J (2α껴). Individual differcnccs in cxccucÎvc “lln ioning and thcory of mind: An invcsrigation o( inhibj[ory concrol and planning ability. JOlln.ι1 01 ι:þfrÙllfflla/ CJJjld Pηdx'/'K)', 87, 299.319 Cat띠do, M. G., Nobil, M., Lorusso, M. L., Bamglia, M., & Moltt'l1i, M. (200~) lmpu1siviry in ‘lepressed children and adok'5ccm.s: 3 comparison bcrwccll bchaviora1 and ne띠opsyc hological data. P.ηrb;alry ReJtIIπh. 136, 123-133 o,an‘ R., Shum, D., T4ω|여XJulω, T. , & αcn , E (1이)8). As5CSsml'm o( ('Xccutivc run“’αs Rc""Îc‘.' of insmunems and idtntificncÎon o( crirical issucs. Aπ'hiWJ 01 Gir1ÎCtlI N’”’vþJ)'(holorJ'. 23, 20 1.216 Ciccrone, K. D., & WIα닝, J. C. (1 986) Remcdi:uion of l'xccmÎ'e funaion Jcficirs aFrcr rraumaric brain inlury. Nellroπ/‘1bilifllÚ0I1. 2, 73.83 Corlxrr, B., Gmstamine, L., Hcndren‘ R., Rockc, D., & Ozon。κ S. (2αη1). Examining cx('("U[ive (uncrioning În childrcn wirh aucism spccrrum diso rder, a{({'fl[ion deficÎr h)’pcracrivÎly diso며er and rypic피 devdopmenr Ps)'cmllfη RιCttn1:λ. lα>, 210-222 .. Damasio, A. R. (994). /JvJca’1eJ 'errvr: Emotioll. 142 •
  • 21.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허1 : 학교심리학적 적용올 위한 개관 rttl1fJlI. (//,ιI (be hlllMι 11 Imtil/. NY: Avon Books dc )ong, P. F. (1998). Working memory dc꺼cns of r뼈ing disabk-d chil‘Ircn. jrJ/lI7.“1 01 Cψ%싸!Jf,ι/ α샤1 PI)'<'''.I,때 7U, 75 -96 DcBonis‘ D. A., Ylvisa kcr, M., Kundert, D. K (2000). Thc πlarions hi p octwCf:n ADHD thωry and pranice: A prclimin;try invesrigarion. )Ofln!.ιI 01 IIlfe"ti끼, Dùoη1m. 4131. 16I-1 73 Delis, D. c., Ka끼an, E.. & Kr.lI11er, J. H. (2001) αÛJ-κψμ 11 E.W(IJ(ùt FII시'Cfioll 5)'1(,“'}1. S3n Amonio. TI<.: '01(: PS}'Chologi ClJ Corpor;trion Den(kla, M. B. (19')ω A th('()ry and modd of e‘ccun‘c fun(cion: A ncuropsychological approιh. 111 G. R. Lyon and N. A Krasncgor (Eds.), I lfNIJI;OIl. lIIemo’)', ιlκl eXi:mfil'e //11.끼10씨pp.263 -2 7~). ßalt imore: Paul H‘ ßrωkes Dowsctt. S. 1'01., & Li vcscy, D. J. (21)()()) 끼lC devdopl1lent of inhibimry ι:ontrol in preschool children: EAius or ‘'(')1('ÇU(ivc s“k川ilIIs'" u띠aaJ nl’nn밍s !fiI“f'.Ioþ끼!l,l씨‘ι…ιr’'…'/111., Fi씨shbci띠nn、κ1, D. (α2α씨). Ncuropsychologic띠 fllnccion, drug aousι anJ viok'm:c: A concc prual rr여lle、~'o rk . Crimìn.μI þm;æ IUι-1&,씨Iliol', 27(2). 139-159 Flavct l. J. H., lvWlcr‘ P. H.. & Miltcr, S. A (1‘993). Co.~,lilù'e tf,,"' 'ilopllltII[. Enlcwood diR'S. NJ: Prenti(( Hall Gcurts. H., Vcrte, S.. Oostcrlaan, ) ., Roeyer.;, H., & Scrgc때, t, J. A. (2()().1). How s따ifìc art cxccurivc fl.lnnÎoning ddìcirs in lnrcnriun ddìci[ hypcr'.JC[ìvìt}'’ clisordcr :lnd :lurisrn! μ끼7“1 _1 α11M f.’'!‘'ho때’ (lIId PS)'chilll’)' tlllrI ,lIIi씨 Oiscipli"" , 45, 836-854 143 Gi:lnco la, P. R., & Parkcr‘ A. M. (200 I). A Six.Yl"'dr prospc.'Ct ive stlldy of parhw:lys roward dmg use in adolcsccnc boys wirh an‘I wjrhour ι (amily hisrory of substam:c 띠c disordcr ) QfJnlt11 0/ SllIdiα '" AIc_blll. 62, 166- 178 Gìancola, P. R‘ Martin, C. 5 ‘ Tarrer, R.. Y./ .• Pelham‘ W. E ‘ & Moss, H. B. (1 996) EXl'CU !i,t cognirive (unccioning and a잃rC'SS lVC bchavior in prcad이 csccnr boys ar high risk tor subsranιc ‘.bα.1 dependencc. )Olln.ν." _1 SIII<li" "1 끼/찌1,01. 57. 352-359 Gioia, G. A., Isquith, P. K .. & Guy, 5. C. (2이ll) Assc..'ssmenc of cx('curivc funnÎons in children wirh neurol앵Ïl:al impairmcn< ln R. ) S imω nsso n and S. L. Roscncl",j (Eds. ), PI)'chol'8.κιl ι'lId dl1.Y:ψ, νwι'fl tlIJeJJn씨11: OJi/d/'f!fI witb dÙ'lbilùìes m,ι/ ‘hnJlli( COJlllitìollJ(pp ; 17-356). New York: Guilford Gioiι G. A.. Isq‘.ith, P. K., Guy, S. c., & Keoworthy, L. (2000). /Je,μ/'iof' Rι1Ì1Ig Im:mlolJ' -1 [.、κ'lIfuγ Pflll(fiofl. Odc.'Ssa, FL: Ps}'chologic뇌 Assc.'Ssmenr Rcsources Glisky, E. L., & Glisky, M. L. (낀:l(2). Lcaroing and memory impairmcncs. In P. J. Eslingtr (띠 )‘ NeflroþI)뼈,/!lgi,씨 /111m.ν'11Ì0I1J: Gillι, ι/ H'J"íνπh alld þmπI써 pp.13 7 -162). Ncw York Guilford Goldbcr싱, E. (2001). 1J,. <<.,.시ir:f bmill: [rr)ll/(ll /’ bes I/llt! fbt cÎl'ilizet! lIIi끼1. Ncw York: Oxt'i:>rd Uni、'ersir}' Press Graham, 5., & Harris, K. R. (1993). Tι, Jching V nt Jn싱 srr:utgic-s co smdc:ncs ‘,'irh IιunJnι ‘Jisabilitir:s: Issut"S and rtcommcnda(ions. Jn L ) . Mclcztr (&1.), 511“Ifg)' rlJSi.'JSIII.:tII (lIJd IIIJI I'lI(1IUIl ‘r J''''I,싸'fllJ l‘rÎtb Ifα, I1Img ‘liJ(,싸litits
  • 22. 한국심 리 회회 지 학교 (pp.27 1 -엉2). A띠[in , TX: Pro-Ed Grcsham, F. M., Cook, C. R., & Cr<ws, S. D (2αμ). Social skills [raining for children and youch wich cmo[Îonal .Lnd bchav iora.l disordel'$ Validi[y ωnsiclerations ancl tUrure dirc{( ions 8t;ιll!jQrtll Oisoη1m. 30(1). 32-47 Happc. F., Bood‘, R, Omrl ron, R., & Hughcs, C (2α)6). Ex('Ct!(ivc funcr;un dc:fìcirs in ílurism spc-c trum disorders and uncmion ‘lefìcir hypcracriv icy disll rdcr: E.'::unining pr에 1" across domains and a원 Bmil1 ,,1ft! Cog11i';OIl 61, 25 -39 H:ut.1l'L1n‘ H J. (200 1). Mffarogllitioll ;11 셔’711씨 (//10서 ùlJlm(IÙJII: "fïJtOIJ'. π~Jf(/rcb. nlld þrm1iæ‘ Ncrhcrl ands: K1u‘ er Ac.:3dcmic Hill, E. (2004). Evaluating the [hcory of EF dcfìci rs in autism. Lχ'1'rloþ~써끼'111 Rtι, '1ft.ι 24. 189-233 Hicch‘ G. J. & McAu1ey, E. (1‘99 1) X'orking mcmory in child ren with spccifìc arichmcdcal lea rning diflìcul[ics. 8,시tùh JOlm!,,1 r/ PSJ싸101JJ' 82. )75-386 Ho이x:r, S. R., S‘.'3rtz, C. 'V/ ‘ Wakdy‘ M. B., dc Kruif, R E., & Momgol1lcry‘ J. W. (2002) Ex(.'(urÎvc funccions in clcmemary sch∞l chil‘ Ircn ‘.,;[h and wichout problcms in 、,'nttcn cxprcssion. jofll1l0/ of u.ι17m.앵 Dù"bilititJ. 35‘ 57-68 Korkman‘ M ‘ Kcmp, S. 1., Ki rk, U. (200 1) EtlCcfS of agc Qn ncurocognÎri'e ml'aSures of childrcn ugcs 5 [0 12: A cross-s("({ional scudy on 800 childrcn from thc Uniroo S[Uc~ DHttlvpllll'11ldl 1Jell때'J)'{j써1>&)', 10(1), 33 1-354 Korkman, M., Ki rk, U., & Kcmp, S. (1 998) NEPSlι 서 t!l!llfloþlllff1t,ιl 샤'/IroÞIJ'clx!logÎ(α." IWeJJlIlflll. San Amonio, TX: Psycho logic피 Corporntion Kuhn‘ D (1992). (앵 nÎrÎ'e developmcnt. In M H. Burnstein & ~l E. Lamb (E야 ), 다:'I.r:WþllleII써, þJ)'fhology: 1111 adlldl/,α'd "XI book <3rd 00., pp.2 11-272). Hillsd피 c, NJ: Utwrcnce Erlb.1um Asso<.:iures lλ::C, D., & Ricrio, C. A (in pπ:5s). Validity of an t'XecurÎv<: funcrion model of ADHD symproms, rιu:Jing diAÎculcy, and subsrance abuse in adulrs. Komlll )0.ι’”“,1 nf GÎIIÎtι, .1 PIJ',hψ/앵. 28 μhw, J. E., Juujar'i, P., Kooi srrι L , & PuU‘kinen, L (2003). Dimensions of excruuve runctioning: Evidenα from children. B,ùùb )011111$/ /J[ Dtt-e!t.ψl껴'111ι. 1 PIJ.,!J"log)'. 21 , 59-80 나v i ne, 8., Robcnson, 1. H., dare, L., Gmcr, G., Hong, J.. Wilson, ß. A., Duncan, )., & Sruss, D. T. (2αX1). Rehabilirarion of cxecuri'c funcrioning: An exptrimental-dinical validurion of Goal Managcmem Training .Jr)l"',“1 01 1끼'tn.끼IιMιl 사'1,roþJydx;/oS…" s;ν'(/)' 6. 299-312 ltzak, M. 1). (1995). N,.μ때1S)'chologùal ωjμíl!ltlll New York: Û{fo rd Univl'rs i[}' Press Marrinusscn, R., i-h}'dcn, J., Hogg-Joh nson, S ‘ & T annock, R. (2이)5). A mcta-analysis or ‘,'orking memα)' 1m야irmcnrs in children 、,,, irh a[[eo tlon건에c itl hyperacrivity disorder. ) 011111(// o[ Allle,.icall Ilc.씨?tll)' of ChÎ!tI olld Ado/esce1/1 Psy(bùll’J'. 44, 377-384 McCloskey, G., Pcrki ns, L., & Van Divncr, B (2009) 싸SWllRII/ (11.ιl Î1IUll!f1l1 ÎOII for AA"((f{/Ü't þlllmfm ‘liflìmhitJ. RαJtI떠ι:e, NY: Taylor & Francis Group McGinnis, E ‘ & Goldsttin, A. P. (1984) 144 -
  • 23. 이동형 / 집행기능의 이해 회교심리혁적 적용을 위한 개관 S앉'ki시//씨'μ.1애싸ι--J끼. μ1’κ1'ιaι'끼,!!Iν“,씨ll쟁 ,'" ,f,k짜"“/'k싸l끼l/l“시aη끼}' 써fihild.: 서iI ‘1:"…/ ,,,ι“‘b“씨싸'끼1'씨1I.l찌lr.g þroJI““I““t“씨’써시/ 찌J*“i끼μN““'써bJ , αO1ampa.tgnκ’ lLι, Re잉-archl P까rcss McltZCf, L (2007), E:、~1Xllli/.'e f"까'fiOIl ;11 tdliCflJiOll FI'()I1/ tlkO’ )' 10 P.…'fIα New York, NY Guilfo rd Merrcll, K. Y/ ‘ [πin , R., A" & Gimpcl, G A.(2α)6), Sdm/ f!JydJO/o.잉)' for Jhe 21st t'fllfll’7 I ‘:O/llUlälirms tIf.ιI p'“α1(,α New York, NY Guilford Press Micco. J. M.) Henin, A., Bicdcrman, J.. Rosonbaum, J F., Pwy, C, Rindlaub" L A" Murphy, M. & Beckcr, D, R, (2α)<)) ExecU[iv(' funcrioning in olfspring at risk “r ‘leprcssion jmd anxicry αþrmÎl)1I (IIJd “”κυ 0, 1-11 Miyake, A ‘ FriαIman, N, p" Emerson, M, J , Y/ itzki, A, H" Ho“ ercc r, A., & Wagcr, T l), (2대씨'). Th<.' unity and JiversÎry 이 c、CClI tiv(O funccions and cht'ir conr.ribur ioru w complc:x Yromal lolx." rasks: A larcm vu riabk analysis. Co,ψ'lll1W 써‘“.fog)', 41, -19-100 Morgal1, A, 6., & Lilicnfcld‘ 5, 0, (2000), A mcru-analpic rcvicw of thc rdarioo berw('cn anrSα1‘.11 lx-huvior and neuropsychological 111αil$Ures of éXe(mive funcrion. Gi,,;m! PJ)'dνl째, Rwieu:. 20, 1 15- 136 Oos rerl때n , )., 1셰an , G. D., & Strgcanr‘ J i (1‘η8). R.tspunse inhibirion in AD/ HD, CD‘ comorbid AD/ HD + CD, an.xious, and conrrol children: A meta.analysis or srudies wirh thc srop rask ‘ !"!II7MI 01 α'ild PJηdXJ!Jψ & PJ)'chiaJ’J' & 11I/i,d Dùciplùμ?!, 39β) , 4 11 425 Pcnningwn, ß. F. (1997). Dimcosions of eXf'{urÎ 'c funcrions in normal and abnonnal ‘Jevelopmcnt. In N. A. KrdSncgor‘ G, R Lyon. & p, S. Goldman-Rakic (Eds,), &α'IOPIllf!,ιI o[ 1'" P.ψVllla! corlex: ElIOllllioll 씨뼈씨ogy, (11ι t..lknio>pp,265-28 1), Baltimore 5r∞kes PcnningtOn, B. F.. & OLOnoff, S, (1 996) Ex('('U[i'c funnions and dcvclopmemal psychoparhology. ) 0'1(.…, of OJi!tl p" ‘“이0' mul PJ)chiι, I’)', 37(1 ), 51-87 RappOrt, M, D,. Koncr, κL J., Aldcπon, R. M" & κaikcr , J. (2008). tttemion.ddicitl hyperacrÎviry disorder. In M. HcC'S<.'n, & D Rtit l1lan CEds.) H(I1It!w짜 ,[ pJ)'dJOlogir,d tμ1é1SlIIf1Il ‘ι'J{! f01!/ìψ'111(11;ιllùm 111"/ !nYllmt'lIl, rOlll1l1f 2: OJildnw (md “씨.JeJCf11.씨pp.349 - 4여 l NJ: Woley Sbordone, R" G, & Guilmcttc, T, (1999) Ecological validir)': prcdicrion of cvcryday and 'ociational functioning from ncuropsych이ogical data. In J. J S“'eet (Ed,)‘ l ψï:1IJIC l、싸''O/JiJrl씨U,!O': Fmu/alllwltI!s 11/ prtl<끼æ (pp.227-254), U SSC, Ncthcrlands: 5wm & Zeirl ing.ιr Sohlbcrg, M, M, & Mat('cr, C A, (2이) 11 Managcmcnr of dyscx('(urivc: symprol1ls. 1.n M M, Sohl bcrg & C A, Mattw ( Edι). ÚIJ!,I/ilil'f 셔」써ilùalio,시 / 111 끼f앵’“'JÙl' ι'1111.까'I;rblllogi“l flppmr/μl (pp, 230-268). Ne‘,' York, NY: Guil lord Pr(."Ss 5tcrnbcrg R, J (2003), CJψ, 'Jilin pJ)'cbo씨. 1 ßdmont. CA 끼1011lsonl 'Vads、ν orrh Sr‘>ss‘ D. T., & 1lcn.lOn, D, f, (1986), TI" [ml/",I /때 Ncw Y.‘’rk: R.WCI1 Swanson, H. l. ( 993). Working mcmo깨 111 145 -
  • 24. 한국싣리회효|지 학교 learning disabiliry subgroups. JOllnl.μ1 IIf Wclsh, M. C. (2α)2). Dcvclopmencal and c1inical E‘.ptnl1lf11l.ιl αi!tl PSJm.logy, 5ι 87- 11 4. variarions in ('Xccutive funcrions. In D. L Tetter, P. A. (998). IlIlfllY'fI/ùm ιr ADHD. New 빼1ft"" and V. J 빼Ifese (Eds.), 0;, .• 1.ψ'f1ltl'IO! York: Guilford Press …nolJ끼, 11 Ùl Ilt/millg: Appli(a/iOIlJ 10 Sα, 10/ Tcrman, L. M. (1 92 ). Intclligcnce .nd its ,、κ'JIJit't ImJl1Îoll, bmgtl“rge tllld πιli’갱 measuπmenr, part 11. JOIlI7씨 of Ed.ιraJiolllll sk써(pp. 1 39- 185). Mahwah, NJ μwπnce Pη이이쩡 11, 127- 133. Erlbaum Associates Toren, P., Sadch, M., Wolmer, L. (2αJO) Ncurocognitive corrclates of anxiery disorders in childrcn: a preliminary πpOrt. Jom7.싸 4 1'111.씨, of DiJorder, 14, 239-247 Torgesen, J. K. (1994). Issues in lhe assessmenc of l'x<.'Curive function: An informarion-processing pcrs야nÎvc. In G. R. Lvon 따J.), FrtlJJftJ 01 referr1JIπ 싸 Iht (IJldJllJttJI 01 leontÎ앵 껴찌시'IIJU. NeUJ r.ù1ltS 011 11ftι;tJ/lrrll잉'm 11111찌, pp.143 - 162) Baltimore: Paul H. BrαJks Publishing co Turner, VI. E., & H∞vcr, W. A. (1 992) ú>gnÎtivc and linguisric factors În Ie'Jrning [Q read. In P. B. Gough, L C. Ehri, & R. Trciman (E‘ Is.), R.ιι'/g ι'Cq1l1!l11011 JnαWlfJ(꺼3 175-2 14) 에IIsd.lc , 에 Erlb.um Weinberg, N. z., & Glanrz, M. O. (1999). a,ild psych이.Y<1thology risk (accors for drug abusc Overvicw. j Ollnltl1 of Gùúcal α,i!tl Pl)d,써Og)', 28, 갱0-297 Wdsh, M. c., Pcnnington, B. F., & Groisscr, 0 B. (199 1). A nom13tive‘Jevelopm이tal study of cxαutive funcrion: A wÎndow on pmroncal funcrion in children α'1J(hψ'I1Il1Ilnl Nm때@ @뼈" 7, 131-149 Willrutt, E. G., Ooyle, A. E., Nigg, J. T., Faraonc, S. V., & Pennington, B. F. (2α)5) Validiry of the exccurive fi니ncrion rhoory of 3nemion defì 디(/ hyperacrivity disordcr: a mtta-ana1ytic oc'Vicw. 8io/c앵I“1 PJ)',hiauy, 57, 133ι 1 346 Ylvisakcr, M ‘ S7.ckcres, S. F., & Fceney, T. J (1998)‘ ú>gnitivc rehrtbilirarion: ExcCuive funcrions. 111 M. Ylvisaker (Ed.), 1'rnll1J1RÚC bmiu illjuη αilt!rr.',μ a씨 ",101.α'ell/J(pp.22 1 -269). Bosron, MA: Burrcrworth-Heinemann. 146 - 원고접수일 2이19 ’ 30 게재결징일 2009. 7. 31
  • 25. 한국싱;,1 학회지 학교 n,e Korean Journal o[ Scllool Ps)'clrolog)‘ 2α)9. Yol. 6. No. 2, 123- 147 Executive Function: A Re찌ew for Its Application to Sch∞,1 Psychology Donghyung Lee Dcp"mncnc of Psychology and Philosophy, P띠 Oiai Univcrsiq' TI,‘ purposc of rhis anidc Îs ro providc res<"Jrchcrs :111<1 pracrÎrioncrs in school psyιhology anJ Îcs relared "elds ‘,vÎrh ‘l comprchcnsive revÎt::w of a ncuropsych이 ogical ccrm, cxccurive fun([ ion‘ ”’rh regard ro Îcs α ffcm conccprualiz3rion. ics rclac Îonship with var써us learning ιnJ ~havjor problems in childhαxl and adolescene<:. anJ major approachcs IO :.lSscssmem and i nccπcnt lon “r CX‘;curÎ 'C functiun Jiffirultit'S Up-co-d;m.' research findings and currcm rrcnds ‘II1d ÎSSlICS in thc srudy of cxerurive funcrion afC prcsemed :md ‘J iscussα:1 as rclevam (Q rhe flcld 이 sch∞1 psych이ogy 끼uuugho‘It [1(' rt. >. 'icw, ir Îs cmphasÎl.cd th;lC exêαcivc fu ncrion is a usc서fu l conccp이 ual framework rhat schωI psychologiscs can ut ilizc to ‘mdc:rstand. cval‘J,1(C. and inreπcnc wi[h '‘IrJOω ool1car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encollnrered in schωI scrrings FinaUy, implic:ar ions for research and praClice in school psychology ‘lκirs relatoo djsciplin(~ arc discusscd KiJ “”ιIJ : t.κ끼in.' fimη1011 κ.""'/ M'(""/~잉1 1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