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683
Download to read offline
목        차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제1장 계획수립의 배경 및 범위                 3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목적                 3  2. 계획수립의 범위                      4  3. 계획수립의 성격                      4  4. 계획의 내용                        5 제2장 동계올림픽 개최여건 및 전망               7  1. 평창올림픽 개최지 여건                  7  2. 평창올림픽에 대한 기대                  8  3. 동계올림픽 특별법 제정(특구지정)           12  4. 강원도의 과제 및 전망                 14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제1장 계획의 비전과 전략                   21  1. 비전과 목표                       21  2. 계획의 실현 방향                    22  3. 강원도 발전 전략                    24  4. 강원도 종합 발전 계획도                34 제2장 동계올림픽의 원칙과 전략                37  1. 민생올림픽                        37  2. 흑자올림픽                        39  3. 균형올림픽                        43  4. 환경올림픽                        44  5. 평화올림픽                        45  6. 문화올림픽                        47  7. 휴먼웨어올림픽                      48                      ●●   i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목         차     제Ⅲ편       분야별 추진계획       제1장 경제 및 산업계획                        53       제2장 지역개발계획                          121       제3장 환경계획                            235       제4장 관광계획                            335       제5장 문화계획                            411       제6장 복지계획                            477       제7장 휴먼웨어계획                          515     제Ⅳ편 올림픽 사전 및 사후관리계획       제1장 사전 및 사후관리 진단                    569         1. 추진방향                           569         2. 비전 및 추진전략                      570       제2장 사전관리계획                          571         1. 경기장 건설계획                       571         2. 올림픽시설 사후 활용사례                  575         3. 세부 경기장 건설계획                    583         4. 경기장 연결도로 확충계획                  590       제3장 사후관리계획                          598     제Ⅴ편       계획의 집행 및 관리계획       제1장 올림픽 효율적 조직운영과 지원관리 체계           613       제2장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한 올림픽 거버넌스와 시스템 구축   623       제3장 투자계획                            629       제4장 재원조달                            647       제5장 관리계획                            662                              ●●   ii ●●
그     림    목       차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그림 1-1] 강원도 행정구역 범위                               4 [그림 1-2] 고령화 추세전망                                 15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그림 2-1] 강원도의 비전과 전략                              22 [그림 2-2] 강원도 신발전축 3×4 특화벨트 설정                     27 [그림 2-3] 강원발전을 위한 산업도시구조 개편                       30 [그림 2-4] 이머징섹터를 통한 강원발전 전략도                       32 [그림 2-5] 기간교통망 확충계획도(고속도로 및 철도)                   33 [그림 2-6] 기간교통망 확충계획도(국도 및 지방도)                    34 [그림 2-7] 강원도 종합발전 계획도                             36제Ⅲ편   분야별 추진계획 제1장 경제 및 산업계획 [그림 3-1-1] 육성상업간 연계 생태계 체계도                       56 [그림 3-1-2] 기능성 신소재의 산업생태계                         60 [그림 3-1-3] 환동해권과 연계한 Mg, Ti, Zr 생산 Supply Chain   64 [그림 3-1-4]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구별 컨셉                     66 [그림 3-1-5] 남북경제협력 개념도                             68 [그림 3-1-6] 응급의료 신인프라 구축사업 개념도                     70 [그림 3-1-7] 국가방영시스템과의 상호협력 방안                      71 [그림 3-1-8] 국가방역통합 시스템과의 역활분담                      73 [그림 3-1-9] 바이오인포마틱스 서비스모델                         77 [그림 3-1-10] 스마트 안티에이징 관련 연계인프라 및 신규단지             79 [그림 3-1-11] 환동해 산업클러스터의 집적할 각 국별 대표 특화제품          87                         ●● xi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1-12]그린바이오 식품클러스터와 시군연계방안            89       [그림 3-1-13]바이오플라스틱 음료용기                   106       [그림 3-1-14]바이오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품              107       [그림 3-1-15]강원도 고성군 해조류 시범양식               108       [그림 3-1-16]식물공장의 (예)                      111       [그림 3-1-17]제주 서귀포의 외해가두리 시설               117       [그림 3-1-18]무인 외해가두리(미국)                   117       [그림 3-1-19]경제 및 산업계획 계획도                  118       제2장 지역개발계획       [그림 3-2-1] 강원도 교통망 계획 및 아시안하이웨이 노선안       121       [그림 3-2-2] 2010년 강원도 시군별 토지 비중분석          131       [그림 3-2-3] 동계올림픽에 따른 인구 및 가구 증가효과 분석      132       [그림 3-2-4]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개발계획도            133       [그림 3-2-5] 녹색도시 개념도                       134       [그림 3-2-6] 설악단오문화권 개발계획도                  139       [그림 3-2-7] 친환경 기술도입                       145       [그림 3-2-8] 육해공 통합수송체계 및 Port Biz Valley   151       [그림 3-2-9] 강원 철도망의 미래 추진 방향               153       [그림 3-2-10]신설이 필요한 동계올림픽 관련 시설            155       [그림 3-2-11]IBA 베를린 1987의 건축물              157       [그림 3-2-12]구마모토시 아트플러스의 건축물               158       [그림 3-2-13]통영의 낚시 공원                      164       [그림 3-2-14]일본의 우미즈리 낚시 공원                 164       [그림 3-2-15]방파제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              165       [그림 3-2-16]평창 올림픽 주요경기장 연계 교통망            167       [그림 3-2-17]강원 북부권 지방도 확충계획                168       [그림 3-2-18]강원 북부권 교통망 확충계획                168       [그림 3-2-19]올림픽 관련 주변 접근망 추진사업             172                              ●● xii ●●
그   림     목        차[그림 3-2-20]동해항 부두확장 및 인입철도 건설계획          176[그림 3-2-21]양양공항과 인천공항의 비교                182[그림 3-2-22]강원도 주요 접근망계획                  185[그림 3-2-23]전국 물류기지 현황                    186[그림 3-2-24]동계올림픽 주요 접근 교통망 및 녹색도로사업      188[그림 3-2-25]승강장에 설치된 지열시스템                189[그림 3-2-26]한국도로공사에서 시험중인 지열시스템           189[그림 3-2-27]저탄소 녹색교통 수단                   191[그림 3-2-28]강원도 석탄생산량 추이                  202[그림 3-2-29]청정석탄 이용사업 개요                  203[그림 3-2-30]석탄의 자원화 과정                    205[그림 3-2-31]종합휴양의료 복합단지 개발 구상도            209[그림 3-2-32]폐광지역의 자원연계 개발구상도              212[그림 3-2-33]폐광지역 발전지원센터 운영체계              217[그림 3-2-34]자원개발 무인화 R&D 플로우              221[그림 3-2-35]탄광지역 생활현장 명소화 추진전략            225[그림 3-2-36]홍보 및 마케팅 전략(안)                226[그림 3-2-37]천연가스 매장지역 및 공급 배관망도           228[그림 3-2-38]플라즈마 응용기술                     229[그림 3-2-39]개방형 혁신환경 기반의 핵융합로 기술개발 추진체계   230[그림 3-2-40]지역개발 주요 사업계획도                 231제3장 환경계획[그림 3-3-1] 일본 국가살림자원 DB 체계               242[그림 3-3-2] 캐나다의 살림탄소계정시스템 체계도            243[그림 3-3-3] 녹색네트워크 개념도                    244[그림 3-3-4] 천상의 화원 대상지의 특성 분석             247[그림 3-3-5] 대관령면 시가지 지역의 하천환경             249[그림 3-3-6] 보광휘닉스파크 생태습지 조성 대상지           252                    ●● xiii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3-7] 용평리조트 생태습지조성 대상지                   252       [그림 3-3-8] DMZ 트레일 계획도                        253       [그림 3-3-9] 주요 국가의 임도 밀도                       254       [그림 3-3-10]전국 임도 밀도                           255       [그림 3-3-11]강원도 국유림 임도 현황                      255       [그림 3-3-12]다양한 형태로 특성화된 테마관광 예시               258       [그림 3-3-13]다양한 형태의 체험, 휴양, 숙박시설               260       [그림 3-3-14]생물권 보전지역의 기능                       267       [그림 3-3-15]생물권 보전지역의 용도지역                     267       [그림 3-3-16]DMZ일원의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안                 268       [그림 3-3-17]제4차 강원도 임상도                        271       [그림 3-3-18]강원도 병해충 발생 및 방제면적                  278       [그림 3-3-19]하천변 훼손                             286       [그림 3-3-20]콘크리트 수로                            286       [그림 3-3-21]도내 시군별 폐기물 발생량                     291       [그림 3-3-22]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체계의 구축                  292       [그림 3-3-23]경기도 동부권 광역자원회수시설 사례                294       [그림 3-3-24]외국의 재활용품 회수 센터 사례                  297       [그림 3-3-25]동계올림픽 개최지의 신재생에너지 자립화 방안           301       [그림 3-3-26]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 개요                  303       [그림 3-3-27]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 단계별 전략              304       [그림 3-3-28]CCS 개념도                            305       [그림 3-3-29]CCS 산업단지 조성 예정지 및 조감도              306       [그림 3-3-30]영서 및 영동형 G House 조감도               307       [그림 3-3-31]LEED 플레티넘 인증 획득한 대만 빌딩             311       [그림 3-3-32]대관령 기후변화 현황                        315       [그림 3-3-33]대관령 구름물리 선도관측센터 전경 및 인공강수 실험 도식도   315       [그림 3-3-34]기상조절 기술의 활용분야                      316       [그림 3-3-35]기상조절 연구를 위한 관측망 조성 방안              317       [그림 3-3-36]동계올림픽 경기장 주변 기상관측망 구축 현황           319                             ●● xiv ●●
그   림   목      차[그림 3-3-37]벤쿠버 동계올림픽 기상지원 사례           319[그림 3-3-38]지역별 자연재해 피해 현황              322[그림 3-3-39]전국 과학관 현황 및 기후 누리관 조감도      323[그림 3-3-40]기상․기후 클러스터 조성 방안            324[그림 3-3-41]환경 주요 사업계획도                 332제4장 관광계획[그림 3-4-1] 2009 국내여행 참가자수 및 국내여행 총비용   337[그림 3-4-2] 관광소비 지출액 규모                 337[그림 3-4-3] 강원도 관광진흥시책 사업비 추이           339[그림 3-4-4] 2020 강원관광 공간구조              342[그림 3-4-5] 관광분야 정량적 목표                 343[그림 3-4-6] 파리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쇼콜라티에        359[그림 3-4-7]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의 명물 모차르트 쿠겔     359[그림 3-4-8] 반비                          361[그림 3-4-9] 눈동이                         361[그림 3-4-10]U-서비스 개념도                   366[그림 3-4-11]영서지역 엔터테인먼트 산업벨트(안)         371[그림 3-4-12]공교 활용모델                     375[그림 3-4-13]츄라우미 수족관의 구조와 식당            377[그림 3-4-14]오대산 스타트렉킹 코스 개발구상           382[그림 3-4-15]전략관광개발사업 총괄도                407제5장 문화계획[그림 3-5-1] 전국대비 강원도 공연예술단체 현황          416[그림 3-5-2] 올림픽 공식이벤트                   417[그림 3-5-3] 콘텐츠 산업의 흐름도                 419[그림 3-5-4] 강원도 브랜드 디자인 사례              421                     ●● xv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5-5] 국내 도시의 브랜드 디자인 사례                  422       [그림 3-5-6] 전국 창작촌 지도                          426       [그림 3-5-7] 베를린 장벽의 갤러리 사례                     428       [그림 3-5-8] 서울 올림픽공원                           429       [그림 3-5-9] 뮌헨 올림픽 공원                          430       [그림 3-5-10]베이징 올림픽 공원                         430       [그림 3-5-11]채석장 호수모습과 포천 아트벨리 조감도              441       [그림 3-5-12]도고온천역사와 구 장항선 철로길                  441       [그림 3-5-13]선유도 공원 내 시간의 정원과 공원안내판             441       [그림 3-5-14]디자인 산업공원과 센터                       442       [그림 3-5-15]디자인 산업공원 안내판과 에스컬레이터               442       [그림 3-5-16]계절별 수공간 활용사례                       442       [그림 3-5-17]강원도 근대산업유산의 문화명소화를 위한 보전 및 활용 방안   443       [그림 3-5-18]강원도 콘테츠의 대표적 제작사례                  455       [그림 3-5-19]벤쿠버동계올림픽 공식 마니게임                   457       [그림 3-5-20]영화제 포스터                            459       [그림 3-5-21]강원도의 이미지 분석                        462       [그림 3-5-22]디자인강원의 비전과 컨셉                      463       [그림 3-5-23]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및 대구시 브랜드 사례      464       [그림 3-5-24]박경리 문학공원 시설안내도                     465       [그림 3-5-25]창조도시 서울시 및 이천시의 유네스코 로고사용          470       [그림 3-5-26]창조도시의 조성 방향                        471       [그림 3-5-27]문화 주요 사업계획도                        474       제6장 복지계획       [그림 3-6-1] 전국 및 강원도의 출산율 추이                   477       [그림 3-6-2] 전국 및 강원도 여성의 연령계층별 취업자율            478       [그림 3-6-3] 전국 및 강원도의 고령화율 추이                  478       [그림 3-6-4] 강원도 복지대상자 추이                       479                             ●● xvi ●●
그   림        목        차[그림 3-6-5] 타 도단위 대비 강원도 복지대상 현황        480[그림 3-6-6] 강원도 시군별 복지대상 현황             481[그림 3-6-7] 강원도 복지대상인구의 지역별 분포 현황       482[그림 3-6-8] 강원도 사회복지시설 지역별 분포 현황        484[그림 3-6-9] 강원도 다문화가족의 특성               486[그림 3-6-10]타시도 대비 강원도민의 대표 건강 지표       487[그림 3-6-11]타시도 대비 강원도민의 기대수명 및 사인      488[그림 3-6-12]강원도 보건의료기관 및 의료 인력 현황       488[그림 3-6-13]타시도 대비 강원도민의 삶의 질           489[그림 3-6-14]사회복지시설 접근성 제고 방안            495[그림 3-6-15]강원도 사회복지시설 분포               496[그림 3-6-16]지역내외 네트워크 구축 방향             497[그림 3-6-17]중앙정부의 다층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개요     499[그림 3-6-18]고령친화적 교통 환경 조성 추진 방향        500[그림 3-6-19]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               506[그림 3-6-20]강원도 청소년수련시설 지역별 분포          507[그림 3-6-21]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방안   508제7장 휴먼웨어계획[그림 3-7-1] 휴먼웨어의 고도화를 통한 민생 올림픽의 실현    519[그림 3-7-2] 평창올림픽을 통한 상생시스템 구축          522[그림 3-7-3] 강원도민의 사회참여형태                523[그림 3-7-4] 품격 올림픽 아카데미 운영 개요도          524[그림 3-7-5] 강원도민의 사회 참여도                525[그림 3-7-6] 일률적인 초등학교 교과과정의 구조          533[그림 3-7-7] 평생학습 참여율                    535[그림 3-7-8] 동계올림픽관련 일자리 창출 부문           537[그림 3-7-9] 강원도 시군별 의료시설 현황             539                      ●● xvii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7-10]RFID 예시도                     564       [그림 3-7-11]휴먼웨어 사업 총괄도                  566     제Ⅳ편 올림픽 사전 및 사후관리계획       [그림 4-1] 평창 올림픽 시설계획                    573       [그림 4-2] 바이에슬론 경기장을 활용한 슬라이딩            575       [그림 4-3] 스키점프장과 풀장 연계 시설                575       [그림 4-4] 바이에슬론 경기장 체험장                  575       [그림 4-5] 여름철 스키 점프장 체험 시설               575       [그림 4-6] 나가노 동계올림픽 활용사례                 586       [그림 4-7] 나가노 White Ring 전경              577       [그림 4-8] 도쿄돔 전경                         578       [그림 4-9] K-POP 콘서트                      578       [그림 4-10] 닛산 스타디움 전경                    579       [그림 4-11] 결혼식 이벤트 활용                    579       [그림 4-12] 상암 경기장 전경과 VIP실 내부            580       [그림 4-13] 월드컵 몰의 위치와 활용                 580       [그림 4-14] 스피드스케이트 경기장 조감도               583       [그림 4-15] 스피드스케이트 경기장 위치도               583       [그림 4-16]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조감도               584       [그림 4-17]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위치도               584       [그림 4-18] 아이스하키Ⅰ 경기장 조감도                585       [그림 4-19] 아이스하키Ⅰ 경기장 위치도                585       [그림 4-20] 아이스하기Ⅱ 경기장 조감도                586       [그림 4-21] 아이스하기Ⅱ 경기장 위치도                586       [그림 4-22] 루지/ 봅슬레이 경기장 조감도              587       [그림 4-23] 루지/봅슬레이 경기장 위치도               587       [그림 4-24] 중봉 파인경기장 조감도                  588                             ●● xviii ●●
그     림    목       차 [그림 4-25] 알파인 경기장 위치도                                    588 [그림 4-26] 경기장 연결도로 확충사업                                  597 [그림 4-27] 2010년 나고야 총회 개최시설 및 스포츠 시설 활용 사례               603 [그림 4-28] 알펜시아 스키 점프대 및 메인 경기장                           603제Ⅴ편    계획의 집행 및 관리계획 [그림 5-1] 평창올림픽조직운영 전문화 기본체계                              618 [그림 5-2] 수평적 조직문화의 차원                                    621 [그림 5-3] 도정시스템의 개선                                       624 [그림 5-4] CS행정의 추진방향                                      625 [그림 5-5] CS행정의 추진동력                                      626 [그림 5-6] 정책품질관리제 수행체제 구축                                 664 [그림 5-7] 강원도 재해 피해액                                      666 [그림 5-8] 올림픽 zone의 지형 분포 현황                              667 [그림 5-9] 올림픽 zone의 하천 분포 현황                              667 [그림 5-10] 2006년 독일 월드컵 기간 중 스타디움 순찰에 적용된 Quadratec 시스템   673 [그림 5-11] 동해시(180㎢)를 대상으로 한 가시권 분석 사례                    675 [그림 5-12] 강원도내 산불감시 CCTV 배치현황과 올림픽 핵심지역 위치               675 [그림 5-13] 강원도내 주요 지점의 영상적설량계 설치 위치                       678 [그림 5-14] 석유매장량                                          681 [그림 5-15] Ω하천지형 소수력 발전 후보지                               682 [그림 5-16] 강원 동해안의 해안림 분포 현황                              685 [그림 5-17] 해안림과 해변의 다기능 활용 모델                             686                         ●● xix ●●
표     목          차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표 1-1]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8 [표 1-2] 역대 스포츠 행사 경제적 효과와 비교                 9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표 2-1] 국내 총생산 및 지역내 총생산                    37 [표 2-2] 2009년 경제자원별 비중                      37 [표 2-3] 1인당 국민소득                            38 [표 2-4] 나가도 대 레이크플래시드 비교                    40제Ⅲ편   분야별 추진계획 제1장 경제 및 산업계획 [표 3-1-1] 강원도 산업현황                          53 [표 3-1-2] 강원도 산업육성 성과                       54 [표 3-1-3] 강원도 시군별 육성산업과 핵심추진사업              55 [표 3-1-4] 경제 및 산업 분야의 계량적 목표                58 [표 3-1-5] 농림어업분야의 계량적 목표                    59 [표 3-1-6] 지역별 돌로마이트 광산 수 및 가채광량             61 [표 3-1-7] 지역별 규석의 광산 수 및 가채광량               61 [표 3-1-8] 첨단소재부품산업 거점단지 조성계획                62 [표 3-1-9]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강원산업기술연구소 유치 현황   62 [표 3-1-10]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치현황                    62 [표 3-1-11]지질자원연구원 해수리튬연구센터 유치 현황            63 [표 3-1-12]기능성신소재 산업단지별 특성화 및 중점유치 기업        64 [표 3-1-13]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단계별 추진내용              66 [표 3-1-14]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 및 잠재가치            67 [표 3-1-15]바이오시큐리티 세부사업별 주요추진내용              72                      ●● iii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표 3-1-16]전략산업 연구과제별 연계현황              74       [표 3-1-17]강원도의 대표적인 향토산업 현황            86       [표 3-1-18]스마트 올림픽 실현을 위한 TI연계방안        91       [표 3-1-19]강원도 수출입 현황                   94       [표 3-1-20]강원도 동해안 해양심층수산업벨트 구축        115       제2장 지역개발계획       [표 3-2-1] 지역개발분야 지표설정                 125       [표 3-2-2] 동계올림픽특구 주요 기능 및 도입 시설       128       [표 3-2-3] 강원도 외국인투자 현황                129       [표 3-2-4] 강릉 저탄소 녹색시점도시 단계별 계획        135       [표 3-2-5] 강원도 지정/특허 보세구역 현황(2007)     150       [표 3-2-6] 전국 종합보세구역 지정현황(2010)        151       [표 3-2-7] 배후 물류지원시설의 필요시설             152       [표 3-2-8] 철도개설에 따른 역세권 기능             154       [표 3-2-9] 동계올림픽 관련 시설 예상 공사비          156       [표 3-2-10]추진 중인 평창 올림픽 주요 교통・SOC 사업   167       [표 3-2-11]추진 중인 주요 철도사업               169       [표 3-2-12]추진 중인 주요 고속도로 사업            170       [표 3-2-13]추진 중인 주요 국도사업               171       [표 3-2-14]기타 추진사업                     172       [표 3-2-15]강원도 어항별 주요특성                177       [표 3-2-16]울릉도 선박 운항 현황                180       [표 3-2-17]강원도 단계별 녹색교통수단 도입전략         190       [표 3-2-18]접경지역 지역별 고령인구 비율            198       [표 3-2-19]전국 석탄 매장량 현황                202       [표 3-2-20]청정석탄에너지의 종류 및 개념            204       [표 3-2-21]도내 진규폐 산재병원 현황              207       [표 3-2-22]도입시설 및 세부내용                 209                           ●● iv ●●
표      목          차[표 3-2-23]폐광지역 내 관광사업체 및 레저시설 등록현황            211[표 3-2-24]폐광지역내 체육시설 및 숙발시설 현황                211[표 3-2-25]MICE산업자원 현황                         212[표 3-2-26]대한석탄공사 태백장성광업소 생산, 판매 및 원가 추이       220[표 3-2-27]탄광지역 생활현장 보존 복원사업                   222[표 3-2-28]탄광지역 생활현장 보존 복원사업 SWOT분석 및 과제도출     224제3장 환경계획[표 3-3-1] 강원도의 주요환경지표 및 목표                    238[표 3-3-2] 올림픽 개최지역(평창, 강릉, 정선)의 주요환경지표 및 목표   238[표 3-3-3] 연간 ha 당 탄소흡수량(tC/ha)                242[표 3-3-4] 임산물 생산량 비교(2009년)                   272[표 3-3-5] 상수도 시설현황 (2009년)                    280[표 3-3-6] 하수도시설 보급현황                          283[표 3-3-7] ESCO 산업 활성화 계획 및 기대효과               309[표 3-3-8] 극한기상현상 현황                           322[표 3-3-9] 자연재해 피해액 Big 5                      323[표 3-3-10]평창 그린올림픽시티 사업계획 및 추진일정              326제4장 관광계획[표 3-4-1] 강원도 총 산업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335[표 3-4-2] 계절별 관광객수                            338[표 3-4-3]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조성 현황                  340[표 3-4-4] 관광총량 계량적 목표                         343[표 3-4-5] 2011 미슐랭가이드 한국판 : 권역별 관광명소 현황       372[표 3-4-6] 국내 해양 아쿠아리움 현황                      376[표 3-4-7] 오대산 스타트렉킹 코스와 지역자원                  383[표 3-4-8] 동계스포츠 국제대회 개최 현황(1997~2009)         395                      ●●    v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표 3-4-9] 동계올림픽 경기장 시설 계획               398       [표 3-4-10]세계 전지훈련 시장 규모 예측              400       [표 3-4-11]전지훈련지 홍보물 내용 예시               401       [표 3-4-12]강원도 동계스포츠 종목 지원 현황            403       [표 3-4-13]관광(단)지                        406       제5장 문화계획       [표 3-5-1] 강원도 문화기반시설 현황                 411       [표 3-5-2] 시・군별 문화기반시설 현황                412       [표 3-5-3] 강원도 공연시설 현황                   412       [표 3-5-4] 강원도 시군별 공연시설 현황               413       [표 3-5-5] 강원도 시군별 공연시설 현황(계속)           414       [표 3-5-6] 강원도 문화재 현황                    415       [표 3-5-7] 강원도 공연건수                      415       [표 3-5-8] 올림픽 개최와 주목도                   416       [표 3-5-9] 강원도의 대표적 콘텐츠 조직               420       [표 3-5-10] 강원도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활용되는 슬로건     422       [표 3-5-11] 강원도 문화계획의 추진지표               423       [표 3-5-12] 강원도 문화기반시설 현황                425       [표 3-5-13] 동·하계 올림픽 공원 현황               431       [표 3-5-14] 국악원 현황                       432       [표 3-5-15] 지역별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 현황         434       [표 3-5-16] 강원도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사업 추진현황     434       [표 3-5-17] 강원도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사업 추진현황 Ⅱ   435       [표 3-5-18] 근대산업유산의 범위와 내용               437       [표 3-5-19] 춘천시 근대산업유산 예시                437       [표 3-5-20] 원주시 근대산업유산 예시                438       [표 3-5-21] 강원도 시군별 근대산업유산 분포현황          438       [표 3-5-22] 강원도 근대산업유산의 보존 상태별 분포현황      439                              ●● vi ●●
표      목          차[표 3-5-23] 근대산업유산의 분야 및 종류            440[표 3-5-24] 외국의 문화올림픽 사례               445[표 3-5-25] 강원도의 문화예술콘텐츠               447[표 3-5-26] 타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447[표 3-5-27] 강원도 겨울축제 현황                450[표 3-5-28]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개회식         453[표 3-5-29] 강원도 콘텐츠산업 기업 현황            454[표 3-5-30] 강원도 내 콘텐츠관련 기업 현황          455[표 3-5-31] 올림픽 관련 게임 현황               457[표 3-5-32] 시군 영상위원회 현황                460[표 3-5-33] 문화향유사업 추진성과                467[표 3-5-34]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도시 현황     470[표 3-5-35]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현황          473제6장 복지계획[표 3-6-1] 강원도 복지대상자 연도별 추이            479[표 3-6-2] 강원도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현황           483[표 3-6-3] 중앙정부와 강원도의 복지예산 구조(2009)    490[표 3-6-4] 중앙정부와 강원도의 복지예산 구조Ⅱ(2009)   490[표 3-6-5] 강원도 복지계획의 추진지표              491[표 3-6-6] 강원도 복지재정 내역                 492[표 3-6-7] 강원도 복지재정 내역 Ⅱ               493[표 3-6-8] 강원도 복지대상자 연도별 추이            502[표 3-6-9] 직장과 가정생활 병행의 어렴움            504[표 3-6-10] 연령별 청소년 인구 추이              505[표 3-6-11]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역별 현황           506[표 3-6-12] 필요 의료서비스 미치료율              509[표 3-6-13] 우울증 경험율                    509                     ●● vii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제7장 휴먼웨어계획       [표 3-7-1] 강원도민의 사회적 가치관과 사회참여도              516       [표 3-7-2]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기간중 교류인구 현황        517       [표 3-7-3] 나가노 동계올림픽의 지역별․직업별 자원봉사자수         517       [표 3-7-4] 휴먼웨어계획의 정책부문⋅목표⋅추진사업              519       [표 3-7-5] 평창동계올림픽과 강원사회 혁신                  521       [표 3-7-6] 그레이트 강원 뉴 패러다임                    521       [표 3-7-7] 도민 인재뱅크 운영 개요                     526       [표 3-7-8] 일본 나가노 올림픽의 주민 참여 사례              528       [표 3-7-9] 강원도내 자원봉사센터 현황                    530       [표 3-7-10]강원도내 자원봉사센터 현황Ⅱ                   530       [표 3-7-11]창의적 체험활동의 개요                      532       [표 3-7-12]스포츠산업의 분류                         544       [표 3-7-13]동계올림픽을 기점으로 증가될 일자리, 감소될 일자리 전망   555       [표 3-7-14]나가노 올림픽의 내방객 현황                   557       [표 3-7-15]2011년 현재 도내 마을기업 선정 현황            558       [표 3-7-16]강원도 풀뿌리기업 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            559       [표 3-7-17]강원도 풀뿌리기업 창업 아카데미 운영 개요           559       [표 3-7-18]강원도 풀뿌리기업 마을단위 기업가 양성 교육 개요       560     제Ⅳ편 올림픽 사전 및 사후관리계획       [표 4-1] 알펜시아 클러스터 개요                        571       [표 4-2] Coastal 클러스터 개요                     572       [표 4-3] 2개의 독립경기장 개요                        572       [표 4-4] 세부 올림픽 경기장 사용 및 소유권                 574       [표 4-5] 동계올림픽 경기장 해외 활용사례                   581       [표 4-6] 기타 경기장 해외 활용사례                      581                             ●● viii ●●
표    목          차 [표 4-7] 연도별 투자계획 (스피드스게이트 경기장)         583 [표 4-8] 연도별 투자계획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584 [표 4-9] 연도별 투자계계획(아이스하키 경기장 Ⅰ)         585 [표 4-10] 연도별 투자계획(아이스하기 경기장Ⅱ)          586 [표 4-11] 연도별 투자계획(루지/봅슬레이 경기장)         587 [표 4-12] 연도별 투자계획(알파인 경기장)             588 [표 4-13] 향후 경기장 건설비 세부내역 총괄표           589 [표 4-14] 연도별 투자계획(지방도456)              590 [표 4-15] 연도별 투자계획(지방도408)              591 [표 4-16] 연도별 투자계획(군도12호)               592 [표 4-17] 연도별 투자계획(군도13호)               592 [표 4-18] 연도별 투자계획(도암205호)              593 [표 4-19] 연도별 투자계획(도암209호)              594 [표 4-20] 연도별 투자계획(알파인경기장 진입로)          595 [표 4-21] 연도별 투자계획(올림픽IC 주차장 연결)        595 [표 4-22] 연도별 투자계획(진부역)                 596 [표 4-23] 연도별 투자계획(녹색교통시스템)             597 [표 4-24] 주요 글로벌 거버넌스 국제기구              602 [표 4-25] 강원도 동계스포츠 국제대회 개최 현황          609제Ⅴ편   계획의 집행 및 관리계획 [표 5-1] 평창올림픽위원회 인원확보계획(2012-2018)     613 [표 5-2] 동계올림픽관련 교육과정 중점시책              619 [표 5-3] 수평적 조직도입시 문제점                  620 [표 5-4] 알펜시아리조트의 투자 재원별 투자현황           630 [표 5-5] 부담 주체별 연도별 재원조달                648 [표 5-6] 사업 유형별 연도별 투자비                 648 [표 5-7] 강원도 자치단체별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49                     ●● ix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표 5-8] 강원도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50       [표 5-9] 강원도의 예산 전망                          651       [표 5-10] 강릉시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52       [표 5-11] 강릉시 예산 전망                          652       [표 5-12] 평창군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53       [표 5-13] 평창군의 예산 전망                         654       [표 5-14] 16개 시도의 연도별 지방채 발행 잔액 및 재정자립도      656       [표 5-15] 지자체 재원조달을 위한 법적 근거                 657       [표 5-16] 기타 법규에 의한 재원조달 방안                  659       [표 5-17] Project Financing과 일반 기업대출과의 비교    660       [표 5-18] 재원조달 방안 총괄표                        660       [표 5-19] 주요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비용과 참가인원 및 보안활동 특징   665       [표 5-20] 강원도의 주요 자연재해 현황                    666       [표 5-21] 2009년 12월 기준 허가업종별 현황              669       [표 5-22] 올림픽 기간 중 예상되는 각종 테러, 범죄 및 재난 유형    670       [표 5-23] 연도별 신재생 에너지 공급 의무량                 682       [표 5-24] 강원도 소수력발전 유망지점 추천 현황               682       [표 5-25] 기존 시설물을 이용한 강원도의 소수력 개발 잠재력        683       [표 5-26] 수력 발전소의 분류                         683                             ●●   x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제1장 계획 수립의 배경 및 범위1. 계획 수립의 배경 및 목적○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이하 평창올림픽으로 칭함)가 확정됨에 따라  강원도의 발전여건이 획기적이고 급속도로 빨라질 것으로 기대  -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큰 틀의 종합발    전방안을 강구하여 평창올림픽의 파급효과 극대화 및 지역발전의 전기    를 마련할 전략 구상 필요○ 평창올림픽과 연계한 강원도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도민과 공유하므로희망  을 주고 스스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발전상을 구축  - 지역경제 활성화 및 올림픽 특수겨냥 중장기 성장잠재력이 있는 관련    산업 즉 스포츠 산업단지 구축 외국인 전용단지 휴양레포츠 산업 연계                     ,         ,    등 육성 방안 강구  - 평창올림픽 개최지역 및 산업발전 중심지역을 허브    (Hub)화하고, 변화    하는 발전여건을 도 전역으로 확산하여 파급효과 극대화  - 평창올림픽 개최 3개 시․군(평창, 강릉, 정선)은 지속가능한 자족도시    로 육성할 전략을 마련하고 그 외는 균형발전 전략 차원의 종합적인                   ,    발전계획을 수립, 효과적 집행을 위한 방안 강구○ 평창올림픽 유치로 발전여건이 급속히 진전되는 만큼 능동적으로 대응하 여 획기적인 강원도의 발전을 유도할 체계적인 방안 모색  - 평창올림픽의 7대 원칙 즉 민생, 흑자, 균형, 환경, 평화, 문화, 휴먼웨   어를 통해 올림픽 성공개최와 강원도 발전의 전기를 마련할 구체적인   로드맵 제시  -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강원도를 찾는 세계 각국의 선수단뿐만 아니라   관광객에게 강원도민들로 하여금 감동과 환희를 느끼게 할 수 있도록   긍정적이면서 진취적인 마인드 형성을 위한 조직과 교육으로 한 단계   성숙된 도민의식을 함양시키는 계기로 만들어 글로벌 리더로 양성하는   휴먼웨어 중심의 올림픽으로 육성  -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뿐만 아니라 성공개최 이후에도 강원도 발전   의 성장동력화로 자리매김되어 지속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사업중   심의 종합적 발전전략을 담는「마스터플랜」수립                                                 ●●3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2. 계획 수립의 범위       ○ 강원도내 18개 시․군 전역(16,873.9㎢)                        [그림1-1] 강원도 행정구역 범위       3. 계획의 성격       ○ 국토종합계획 등 국가장기발전 구상과 지역발전전략을 연계하여 국토의         효율적 발전과 지역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국토      계획의 하위계획인 ‘강원         도종합계획(2011~2020)’이 법정계획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강원도 2030비전         계획’에서 큰 틀의 강원도 발전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 따라서, 본 계획은 평창올림픽의 개최 효과를 강원도 전 지역으로 확산시         키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비법정계획으로 강원도 발전을         지속시킬 수 있는 계획안을 마련4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4. 계획의 내용○ 단계별 목표지표를 설정하여 전략적 과제의 실현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큰 틀의 발전전략을 체계적․입체적으로 제시○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정부차원의 다각적인 지원책을 유도해  낼 수 있는 발전방안 모색○ 강원도 전역의 균형적인 발전을 이끌어내고 이를 토대로 올림픽 개최이후  지속적인 성장동력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종합발전 방안 수립○ 평창올림픽의 경제적 기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선도적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실천방안 강구○ 평창올림픽 개최도시는 개최 이후 지속발전이 가능한 자족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비전을 담은 사업내용 포함○ 올림픽 특구 조성 (스포츠산업 클러스터 구축 외국인 전용단지 등                          ,          )  - 스포츠과학전문단지 스포츠전문컨벤션센터 건립               ,  - 올림픽 체험의 장 사계절 체험형 프로그램 운영 등             ,○ 개최지역 배후도시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접경지역 및   폐광지역에 대한 발전전략 국․도비 등 재원투자 계획 수립                 ,  - 권역별 관광사업 고도화 전략 (휴양․레포츠 산업과 연계)  - DMZ 접경지역의 평화지역 벨트화 및 사업계획  - 폐광지역, 농어촌지역 등 낙후지역 활력화 방안 강구○ 부문별 계획 수립시 평창올림픽의 7대원칙 구현과 균형있는 강원도 발전  을 선도할 실천방안 제시  - 도민의 삶의 질 제고 및 지방재정 안정에 기여하는 올림픽  - 환경친화적 경기장 건설 및 개최 이후 관광자원화  -「성공올림픽 」을 통한 지역발전을 선도할 컨텐츠 확보 방안○ 올림픽 특수를 겨냥한 전략과제로 신규 발전과제 중점 발굴 제시  - 스포츠 관련 유관기관 유치  - 의료산업과 연계한 스포츠전문병원 및 의약품 개발                                           ●●5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올림픽 관람객 대상 DMZ 등 도내 투어       ○ 평창올림픽 개최지를 비롯한 도 전역에 대한 교통망 조기 확충 및 조기         가시화 방안 강구         - 평창올림픽 개최를 위해 광역교통망 및 주변지역SOC 조기 구축         - 다핵연계형 광역복합 교통망(환동해, 남북종단, 동서축 등) 강화       ○ 기존 시군별 중점 추진사업을 올림픽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발전                                          ․활성         화시켜 나갈 수 있는 방안 모색6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제2장 올림픽 개최여건 및 전망1. 평창올림픽 개최지 여건○ 평창올림픽은 2010년 3월, IOC에 신청도시 파일을 제출하고 최종적으로  독일 뮌헨, 프랑스 안시 등과 유치경쟁에 돌입하여 2011.7.8일 새벽 「평  창유치」로 확정  - 개최일 : 2018. 2. 9. ~ 2. 25. (총 17일간)    ※ 장애인 올림픽 : 2018. 3. 9. ~ 3. 18. (총 10일간)○ 평창의 비전은 평창올림픽을 통하여 올림픽 무브먼트와 동계스포츠 역사  이래 전례가 없었던 새로운 성장과 잠재력의 유산을 추구하는 새로운 지  평을 여는 것(New Horizons)○ 아시아는 동계스포츠를 즐기는 인구와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  며, 광대하고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  며, 수만 명의 젊은 청소년과 올림픽을 연결시키는 계기○ 평창 등 개최지는 동계스포츠에 적합한 기후와 지형을 갖추고 동계올림픽                                  ,  역사상 가장 컴팩트한 경기장 컨셉으로 올림픽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  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게 될 것○ 정부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에, 강원도는 제3차 강원  도 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에, 평창군은 평창군 기본계획(2002~  2020)에 평창을 ‘아시아 동계스포츠 중심지  ’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반  영하여 법정계획으로 추진○ 1999동계아시안게임을 위해 건설한 크로스컨트리 경기장과 바이애슬론  경기장이 2009년 IFS의 시설기준에 적합하게 조성되었으며 최첨단 스키                                   ,  점프장도 새롭게 건설되었음○ 평창을 동계스포츠 허브로 조성하기 위해 약 1조6천억원이 투자된 알펜  시아 리조트는 2010년 8월 오픈되었으며, 각 경기장을 연결하는 교통망도  장기계획에 따라 구축                                                 ●●7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평창올림픽은 ‘환경올림픽‘을 구현을 위하여, 2009년 배후도시인 강릉이 저         탄소 녹색시범도시로 선정되었으며 향후 평창지역도 저탄소 녹색시점도                            ,         시로 선정하여 추진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음       2. 평창올림픽에 대한 기대       1) 평창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 2018년 2월 9일부터 17일간 강원도에 집결하는 선수와 임원진 취재진 등                                             ,         은 80여개국에서 2만6천여명이 예상되며, 응원단과 관광객 등을 합치면         39만명 내외의 외국인과 내국인 200만명 이상이 평창올림픽과 관련하여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고용효과는 23만명으로 예측                          ,       ○ 경기장, 교통망, 숙박시설 등에 소요되는 투자규모(7조 2,555억원)에 따른         경제적 투자효과가 16조 4천억원으로 전망되며, 관광객들의 소비지출에         따른 경제 효과 4조 7천억원, 외국인 관광객 소비지출 규모   (7,213억원)에         따른 경제적 효과 1조 2천억원 내외로 예상되어 올림픽 개최에 따른 직         접적인 효과는 21조 1천억원 정도 예상       ○ 올림픽 개최 이후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로11조 600억원, 개최이후 찾아         오는 방문객 100만명 정도로 추산할 경우 10년간 18조 4,960억원 예상되         며, 이에 따른 경제적 관광효과는 32조 2천억원 등으로 43조 8천억원의         간접적 효과를 합하여 총 64조 9천억원의 직․간접적 경제효과가 발생될         것으로 추산         [표1-1]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단위 : 원)                       총 경제적 효과              64조 9000억                         직접적 효과              21조 1000억                                     투자효과    16조 4000억                                   소비지출효과    4조 7000억                         간접적 효과              43조 8000억                 세계적 관광지 부상에 따른 추가 관광 효과     32조 2000억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   11조 6000억8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산업별로는 건설부문이 총생산 유발 효과 7조 8천여억원, 제1차 금속제품  2조여억원, 사업서비스 1조 6천여억원, 비금속 광물 제품 1조 1천여억원,  금융보험과 부동산 7,900여억원 등 43조 8천억원으로 직접효과의 2배가  넘을 것으로 추산됨(현대경제연구원  )○ 평창올림픽의 유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총생산 유발효과 20조 4,973억  원, 고용 유발효과 23만25명, 외국인관광객 수는 19만5천명으로 예측하고,  1인당 30만6천원을 지출할 것으로 예측(산업연구원    )  - 이중 강원도가 11조 6,083억원, 타 지역은 8조 8,890억원의 효과  - 생산 증가로 인한 부가가치유발 효과 추정액 8조 7,546억원  - 일자리창출은 강원도에만 14만 개가 생길 것으로 예측○ 평창올림픽 유치위원회에서는 17일간의 대회기간 중 208만명이 관람할  것으로 예상하여 생산유발효과가 20조 4,973억원, 부가가치효과가 8조  7,546억원, 고용유발효과도 23만명으로 예상하고 있음(2018평창동계올림  픽 유치위원회)[표1-2] 역대 스포츠 행사 경제적 효과와 비교              1988년 서울올림픽   2002년 한일 월드컵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기간            16일           30일           17일   관람객           290만명          350만명         208만명 생산유발효과        4조7,000억원      11조5,000억원    20조4,973억원 부가가치효과        1조8,000억원      6조7,000억원     8조7,546억원 고용유발효과           34만명          35만명          23만명※ 자료 :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2) 메가이벤트의 경제적 가치분석○ 벤쿠버 올림픽의 사례로 경제적 가치는 20조 2,000억원(명목 GDP의 약  2%)이상으로 추정하며, 직접적인 국가홍보 효과가 1조 2,096억원, 기업이  미지 제고효과 8,400억원, 기업매출증대 효과 14조 8,308억원, 국민사기진  작 등 간접적 가치 3조 2,964억 원으로 예상                                                         ●●9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올림픽의 기대효과로는 국격 및 국가브랜드 제고효과 사회통합과 선진 시                                              ,           민의식 고취, 한국인의 저력에 대한 재발견 스포츠외교력 강화 등을 제시                                        ,         - 우리나라는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종합 5위를 기록하며 동계스포츠 강           국으로 부상하여 국가 홍보효과 1조 2,096억원, 기업 이미지 제고 8,400억           원, 기업들의 매출 증대효과 14조 8,308억원, 국민사기진작 등 간접적 가           치 3조 2,964억원 등 20조 1,768억원의 경제 효과 발생 (삼성경제연구소)        ○ 서울올림픽의 경우 대외적으로 한국의 국제적인 위상과 지위가 급속하게                      ,          격상되어 국제정치외교 분야의 대외관계에서 한국은 발언권과 영향력을          강화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경제적으로는 첨단기술의 축적,          산업 활동의 촉진, 관광 등 서비스산업의 발전으로 생산력 향상 고용증 ,          대 등의 효과          - 대내적으로는 경기장 시설의 건설 수도권 도로망의 정비, 도시재개발의                                 ,            실시 등 사회간접 자본의 확충으로 지역사회 개발 촉진          - 국민들은 질서, 친절, 청결 등 성숙한 시민의식과 공중도덕을 보여 성공 개최            의 자신감과 민족적인 자긍심을 지니게 됨으로써 선진사회로 도약하는 초석        ○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연구보고서에서는 경기장의 사후활용방안은 공공성          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수익성 증대 방안으로 대중스포츠시설과          시민광장을 입주시키는 경영개선사업의 필요성과 주변 인프라를 통하여          시장성 확대를 활용하는 수익성 시설과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공익성 시          설을 조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        3) 타 시도의 평창올림픽 특수 기대        《 경기도 》        ○ 평창올림픽 개최와 관련하여 동계스포츠 전지훈련장조성 등 발 빠르게           올림픽 특수에 대하여 지역으로 흡수할 수 있는 발전전략 및 추진계획을           내놓고 대응하고 있음          - 경기도내 8개 스키장과 6개 이이스하키장․빙상장을 활용해 스키, 빙상,            아이스하키 종목의 외국팀 훈련캠프 유치계획을 수립하고 전지훈련팀           유치 전담팀을 구성         - 올림픽 기간에 늘어나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리조트 ․스파․호텔 등을           연계한 여행상품과 템플스테이 도자박물관 등 한국형 체험관광을 개발                           ,           하는 등 인프라 및 관광 프로그램개발에 나설 계획10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 화성의 유니버설스튜디오와 경인아라뱃길을 연계 평택항 크루즈상품              ,   한중일 바닷길을 통한 크루즈관광상품 등 바닷길을 연계한 관광상품도   개발할 예정임 - 수서역~광주(35km) KTX 노선을 신설(사업비 3조 5천 496억원)할 경우   기존의 철도망을 이용해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 95분에 접근할 수 있다   는 사업구상도 제안 - 2015년 완공 예정인 광주 초월~원주 가현을 잇는 56.95km의 ‘제2영동고   속도로’(1조 1천 577억원)을 조기 건설하고, 서울~평창까지 1시간 내 연   결이 가능한 ‘여주~원주 복선전철 연장   ’(21.9km․ 6천 329억 원)등 연계   교통망 확충계획을 내 놓았음《 충청북도 》○ 올림픽 기반확충을 위해서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강원 삼척시 고속도로  조기건설, 충북 충주~원주~평창간 복선전철   (충북선과 중앙선 연결철도),  청주~제천~평창간 고속화도로, 단양~제천~영월~평창연계 지방도 및 관광  도로 정비계획을 추진 중에 있음  - 공항과 관련 청주국제공항 시설 조기 확충 청주국제공항 국제노선 확대,                          ,   중부권 거점공항 육성, 천안~청주공항 간 수도권 전철 연장 등을 통해   청주국제공항을 활성화한다는 계획 - 충주시는 충주 ~원주~평창 간 철도 직선 노선 신설 등 평창올림픽   특수를 위한 지역발전 시책을 적극 발굴 추진하는 청사진을 마련《 인천광역시 》○ 인천경제자유구역은 평창올림픽이 개최될 경우IOC와 관련된 글로벌기업  의 CEO들과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주요 인사들이 인천공항을 통하여 평  창을 방문할 것으로 기대하고 2020년 준공예정인 송도국제도시 전체 개                  ,  발도 완료단계에 들어서 완성된 첨단도시 인프라를 이용 글로벌 기업유                                 ,  치에 나서는 등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 평창올림픽을 찾을 각국 주요 인사들과 글로벌 기업 CEO들의 투자성   향 등을 사전에 파악, 분석해 맞춤형 기업 유치 상품도 제시 - 영종지구의 최대 현안인 부동산투자 이민제 무비자 도입, 카지노 허가                         ,  조건 완화 등 복합 문화․관광 도시 조성 등 본격화 예상                                                   ●●11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3. 동계올림픽 특별법 제정(특구지정)        1) 특별법의 필요성        ○ 평창올림픽대회가 개최되는 강원도 평창 및 그 인근지역은 대부분 산림          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서 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우리나라의 국          격을 높이고 세계 속에 기억되는 올림픽 구현을 위하여 지금까지의 국제          대회에 대한 지원과는 다른 차원의 접근 필요        ○ 민간주도의 동계올림픽개최 및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조직위원회를 설립          하고, 이 조직위원회에 대한 국․공유재산의 사용 등을 보장함은 물론 기          념주화 발행 방송사업 및 광고사업 등을 할 수 있도록 허용                 ,        ○ 평창올림픽대회가 아름다운 자연환경의 보전과 올림픽개최에 필요한 개발          이 조화를 이루어 지역의 지속가능한 균형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          계올림픽특구를 지정 ․운영        ○ 평창올림픽대회 개최를 계기로 한 나라 국격의 상징이면서도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관광․문화․스포츠 분야의 개발과 국내외 투          자유치 및 기업육성을 통해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관광․문화․스포츠 산          업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도록 법률안 필요        2) 포함되어야 하는 주요 내용        ○ 조직위원회의 설치 ․운영에 필요한 자금과 대회의 준비․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동계올림픽대회 기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국․공유재산 및 사무용품 등을 대부․사용․          수익하게 할 수 있도록 함        ○ 조직위원회는 대회의 준비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휘장          사업, 공식기념메달사업 방송권사업 택지 등 분양사업, 옥외광고사업 등                       ,      ,          수익사업을 할 수 있음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동계올림픽대회 관련시설의 신축 및 개․보수에          관하여 사업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하고 국가는 동계올림픽대회 유치          를 위하여 이미 설치한 경기장 시설에 대한 설치비용을 보전하여야 함12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동계올림픽대회 관련시설 인프라 직접 연계지역올림픽 관련시설에 접근                           ,  이 용이하고 관광, 녹색산업 등 발전 잠재력과 개발여건이 양호한 지역,  외국인 투지유치 계획 및 정주가능성 등 여건이 조성되어 있는 지역 지                                      ,  속가능한 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양호한 지역 등의 지정요건을  갖춘 지역에 대해 특구 지정○ 동계올림픽특구의 지정이 있는 경우 기본계획에 따라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등의 효과를 인정 및 행위제한을 하고 동계올림픽특구개발사업의 시행방                       ,  법, 재원조달방법 등을 포함한 동계올림픽특구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함○ 동계올림픽특구에서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반시설의 건설 및 관광홍  보사업 등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또는 사업시행자에게 「관광진흥개발  기금법」에 따라 관광진흥개발기금을 우선적으로 대여 또는 보조할 수  있는 특구개발사업에 대한 비용부담 토지 등의 수용․사용 등의 제도를                    ,  도입하도록 함○ 동계올림픽특구 내에 투자촉진 및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국가 또는 지방  자치단체의 시설지원 임대전용산업단지 우선지정 지역주민의 우선고용             ,              ,          ,  학교․의료시설, 주택공급 지원을 위한 제도를 마련함○ 특구의 관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특구개발계획  을 종합계획의 일부로 수립하도록 하고, 국제회의산업 육성 특구 여행객                                 ,  에 대한 부가가치세 환급, 골프장 입장 행위 시 개발소비세 등을 면제할  수 있음○ 교육․문화․관광시설 지원 우수관광 사업체의 지정                ,            ․운영 및 주민생활  의 질적 향상과 전통문화 예술을 계승하고 향토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하                         ,  여 중․장기 향토문화예술진흥계획을 수립 시행토록 하며 도서관 운영                                ,      ,  공연활동의 진흥 등에 관한 특례규정을 둠○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활동 지원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외국인학교 ,  외국인전용 카지노, 부동산투자 이민제, 외국어 서비스 경상거래에 따른                                ,  지급, 외국인전용 임대주택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 평창올림픽 대회를 통한 남북 체육 교류와 한반도 평화 증진 등 규정                                           ●●13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4. 강원도의 과제 및 전망        1) 대도시의 예속화 우려        ○ 동서를 나누는 백두대간과 도 전역에 분산되어 위치한 높은 산과 강 계,          곡으로 도시가 분산 입지하는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생활거점도시도 다른                                       ,          도시와 달리 춘천, 원주, 강릉의 정립(鼎立)형 구조로 진화하였으나 광역          연계 교통망의 발달과 함께 지형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도내 지역간 연계          도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        ○ 분산된 공간구조는 대형시장이자 국제적 거점도시권인 수도권과 도내 각          지역을 수직적 (일방적, 종속적 관계)으로 연계시켜 수도권에 병합되거나          예속될 우려가 있으므로 도내 각 지역 간 수평적 연계관계를 형성할 수 있          도록 지역간 연계성을 강화하는 인프라 확충이 필요          - 춘천~원주축으로 수도권화, 철원의 경우도 수도권으로 진행 중        ○ 광역교통망과 도내 교통망을 입체적으로 연계하여 대도시 및 타 광역경제          권의 경쟁지역에 대응하는 통합적 경쟁력을 갖춘 네트워크형 공간을 형          성하는 계기로 활용        2) 거점도시 중심의 성장과 도농 불균형의 심화        ○ 춘천~속초 고속철도, 춘천~홍천~양양 고속도로, 원주~강릉 복선전철 제,          천~영월~삼척/동해 국도의 고속화 등 동서교통망의 고속화의 진전으로          결절도시(춘천, 원주, 강릉 등 거점도시와 속초, 삼척 등 연계도시)의 성          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        ○ 결절도시 성장은 주변 농산어촌 인구를 흡입하는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          성이 높으며, 특히 백두대간축을 비롯한 내륙 산간지역 접경지역, 폐광지역                                       ,          의 공동화 우려        ○ 급속한 도시화 진전에 따른 열악한 생활환경도 문제점으로 지적          - 강원도의 도시들은 도시주변지역에 풍부한 산림녹지가 형성되어 오히려            도시 내 오픈 스페이스의 조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도심내부            는 녹지부족 현상 심화14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  춘천, 원주, 강릉의 1인당 도시공원면적은 2.6  /인, 1.9  /인,      0.9  /인으로 파악  - 우리나라는 1960년 39.1%, 1970년 50.1%, 1990년 81.9%, 2000년 88.3%에    불과하던 도시화율이 최근 90.5%에 달하고 있음3) 인구의 저출산 및 고령화 진전○ 1970년의 경우 전국보다 강원도의 인구는 더 젊었으나 이후 갈수록 고령  화 인구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추세가 지속되어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  심화될 것임○ 1990년 강원도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1%였으나 2010년에 15%가 넘  어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0년이면 20%를 초과하여 초고령사회가 될                   ,  것으로 전망(고령인구 27만 명 예측)되어 우리나라가 2030년 최고령사회  로 진입하는 것에 비하여 10년이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자료 :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및 『장래인구추계』자료를 이용하여 재구성 점선 :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범위                    [그림1-2] 고령화 추세전망○ 강원도 고령화 현상은 장수인구의 증가보다도 더 큰 원인이 저출산 현상임  - 2010년 현재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1.16명(2000년 1.47명, 2005년1.08    명)으로 세계 최저수준이며, 강원도는 이 보다 높은 1.20명으로 나타남                                                                ●●15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2008년 기준으로 미국은 2.09명, 영국 1.96명, 독일 1.38명, 일본 1.37명            의 출산율을 보임        ○ 고령화로 강원도의 인구구조는 저생산성 구조로 전환될 전망이어서저출            ,          산, 고령화에 따라 생산가능 인구는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          - 강원도는 2010년 996천명(69.1%)에서 2015년에는 979천명(70.2%), 2020            년 922천명(68.8%), 2030년에는 59%로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하게 저하될            것으로 예측        4) 강원도 인프라의 개선        ○ 녹색성장 철도중심의 인프라 구축으로 대륙권으로 가는 강원도 철도교통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          - 서울~춘천 복선전철 개통과 서울-원주 복선전철 (2011년 말)에 이어 평창            올림픽의 기간인프라인 원주 ~강릉철도 개통으로 인적 물적 이동이 왕                                            ,            성할 것으로 기대          - 서울 인천공항(황황해권)과 강릉(환동해권)을 1시간대에 연결하는 물류            체계의 혁신 예상          - 강원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춘천 ~속초 고속철이 개설되면 국토를 동서            로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축의 역할 기대        ○ 철도 중심의 물류체계와 더불어 타 권역과 연계관계가 다양화 전망          - 환동해권의 성장, 국토 내 타 광역경제권의 성장 등은 개별지역과 타            지역 간 수평적(기능적 관계, 대등성) 연계관계를 촉진          - 충청권 신행정복합도시 (세종시)와 연계망을 구축함으로써 강원도와 연계            관계가 미약한 호남권 연계가 활성화 될 전망        5) 강원산업의 구조 개편 불가피        ○ 경제패러다임이 노동집약 경제에서 자본 및 기술집약 경제로 전환되고          최근에는 지식기반 경제로 변환되면서 ‘정보와 지식’이 사회 가치창출의          원천으로 변화        ○ 최근 지구온난화로 산업체계의 재구성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 녹색경제체제 녹색성장체제의 구축이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될 것이며                  ,                             ,16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신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적 주택 및 도시건설 기존 공장의 에너            ,                 ,   지 효율구조로 리모델링 등이 활성화될 전망 - 새로운 에너지 개발 특히 석탄이나 원자력 등 기존 에너지원의 재활용              ,   이 중요한 변수○ 서비스업의 고부가가치화 지식기반산업 비중의 증가와 첨단융합기술과               ,  접목된 새로운 산업의 발전 농어업의 첨단 기술화 및 고부가가치화가                 ,  진전되는 등 산업체계의 소프트화 고기술 및 융합화가 급속히 전개될                    ,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강원도 산업구조 재편 예상                                         ●●17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제1장 계획의 비전과 전략1. 비전과 목표1) 상주인구 200만명 달성○ 강원도는 2010년 센서스 인구 1,456천명으로 전국 48,219천명의 3%를 점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인구규모가 2018년 46,340천명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여 2030년에는 전국 48,635천명, 강원도는 1,224천명으로 예상되  나, 2020년 도내 상주인구는 200만명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  - 주민등록인구, 외국인, 군장병, 외지출신 도내 학생 등 180만명  - 기업도시 및 관광도시로 육성하여 20만명2) 소득 2배, 행복 2배 실현○ 강원도는 2009년 지역총생산액 27조원으로 전국 1,066조원의 2.6%를 (250  억 달러) 차지하고 있으나, 2030년에는 5% 수준인 1,200억 달러를 목표로  하여 소득 2배, 국내 GRDP 5% 목표달성 실현  - 올림픽이 개최되는 2018년까지 매년 6~7% 성장을 달성하여 소득 2배를   달성하고 이후 성장탄력으로 7~10% 성장률로 끌어 올려 전국 대비   GRDP 5%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이를 위해 강원도의 현재의 산업구조를 바이오산업 콘텐츠산업 쾌적산                              ,     ,   업, 융․복합산업, 스포츠산업 신재생에너지 등 이머징 섹터를 집중 육                   ,   성하고, 평창올림픽 개최에 따른 인프라의 확충을 통하여 기존 산업의   고부가치화를 도모하고, 동계스포츠관련 산업클러스터 외국기업 및 자                              ,   본의 유치 등을 통하여 경쟁력있는 산업으로 육성                                                    ●●21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비전 :“소득 2배, 행복 2배 달성과 지속발전 기반 구축”                 성공올림픽 구현과 인간중심의 가치 실현          민 생   흑 자    균 형    환 경   평 화      문 화   휴먼웨어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추 진 전 략             강원도 공간구조를 신발전축 3×4 특화벨트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지역별 차별화된 미래 첨단 융․복합 기업도시 육성             도시와 농촌, 녹색과 경제가 융합된 명품 공간 창조             강원도의 잠재자원의 고부가 시장가치화 실현             행복․건강이 보장된 양질의 삶의 질 보장             창조적 이머징섹터 기반 실현                       [그림2-1] 강원도의 비전과 전략        2. 계획의 실현 방향        1) 강원도 인프라 혁신 달성        ○ 북극항로시대 및 동북아시대의 열린 국토공간형성은 국가 이익에도 부합          되므로 기존의 경부축 중심에서 동서축으로 인적 물적 흐름을 확보하는                                    ,          계기로 활용          - 올림픽 계기 동서고속도로의 개통 제2영동고속도로 개통 등 기간교통                             ,22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망의 확충이 기대되므로, 기간교통망과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교  통망도 대대적으로 확충하여 지역간 균형 및 소통과 화합의 열린공간  으로 조성○ 기후 변화 및 녹색경제의 대세에 맞추어 철도 중심의「目字型」 교통망  을 확충하는 등 녹색교통망 구축 및 도로 중심에서 철도 및 항공 등 고  속교통망 확충2) 도민 의식혁신의 기회○ 하계올림픽은 대체로 국민소득 2만불 이하인 국가에서 개최된 곳이 많지  만 역대 동계올림픽은 국민소득이 3만불이 넘는 국가에서 개최되었으므  로 도민의 자부심과 긍정적 마인드 함양 목표로 추진○ 폐광지역의 쇠퇴, 우수한 자연환경 보전위주의 정책으로 낙후지역 규제                                    ,  지역, 개발족쇄 등 부정적 이미지가 팽배하였으나 올림픽 유치에서 보여  주었던 단결된 역량을 지역발전에 대한 희망과 기대로 승화○ 소극적, 과거의식적 사고에서 진취적이고 미래 지향적 사고로‘세계속의  강원도민’으로의 자신감 등 의식혁신3) 브랜드 이미지 혁신의 기회○ 로컬마인드에서 글로벌마인드로 전환  - 세계 80여개 국가가 강원도의 스포츠교류뿐만 아니라 문화 및 경제교류    의 공식적 파트너가 되는 계기로 활용하여, 강원도의 글로벌화 달성  - 도민의식혁신 운동을 통하여 국제화를 도모하고 각국 참가선수단들에게    감동과 환희를 주어 재방문의 동기를 부여하고 이들을 지속 관리하여                              ,    강원관광의 글로벌화 추진○ 변방에서 중심으로, 미래가치에서 현실가치로 강원도의 가치를 극대화하  는 기회로 활용  - 강원도의 토종․향토산업을 비롯하여 모든 생산제품을 국제표준에 맞도    록 글로벌화로 추진하여 ‘강원도’의 브랜드 가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    는 혁신의 기회로 활용                                           ●●23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4) 균형발전 및 산업혁신의 기회        ○ 평창올림픽 개최를 통하여 강원도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구          축 뿐만 아니라 교통, 산업, 환경, 관광, 문화, 교육 등 모든 경제 및 생활          활동이 불편없는 고른 균형발전과 복지혜택이 주어지는 계기        ○ 단순 1차, 2차, 3차 산업 육성 정책에서 벗어나 산업과 산업간의 융․복          합화로 혁신적 산업으로 강원발전의 선도산업 육성        ○ 지식 및 융 복합화를 통하여 경제활성화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일자          리 창출을 도모하고,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의 R&D 중심으로 이머징섹          터와 히든섹터를 유치하여 자연환경을 보전하면서 고부가가치 창출        3. 강원도 발전 전략        1) 강원 신발전축 3×4 특화벨트         춘천,원주,강릉을 중심 삼각테크노벨리로 지역특성을 살린 특화벨트 전환         ⇨ 바이오․메디 융복합벨트, 에코․비즈벨트, 환동해자원벨트, DMZ 평화생명          벨트, 글로벌 콘텐츠․물류벨트, 첨단 융복합산업벨트, 녹색자원 에너지          벨트간 중복으로 컨버전스를 통한 시너지효과 극대화        ○ 평창올림픽 개최로 강원도의 위상이 크게 부상하게 될 것이며 동해안 항                                          ,         로를 통하여 출입하는 선수․임원․관광객 등 물동량은 크게 증가할 것         으로 예상        ○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해서는 동북아시대 대륙 전진기지로서의 취약         한 강원권 중심의 교통인프라 구축 필요        ○ 세계화와 지방화가 결합된 세방화의 흐름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유          라시아 진출 및 남북교류 거점지대로 육성24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동북아 경제권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환동해 연안국 간 경제블록 형성에  대비한 입체적 복합물류․교통체계 구축○ 수도권 신행정수도 및 국가 신성장축과 연계하는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  간 상생발전을 도모하고 지역 간․지역 내 상호작용과 결합을 통해 생활  권별 중심도시의 특성화된 독자적 사업기반 구축 및 네트워크화를 형성(1) Bio-Medi 융복합벨트 - 국토중앙 내륙의 대동맥으로 수도권과 연계하여 신산업 거점도시를 육성   하여 Bio-Medi 융복합산업 기반 육성 - Bio-Medi 융복합산업의 거점지대로서 산업․정주․레저기능이 통합적으   로 이뤄질 수 있는 복합지대로 조성(2) Eco-Biz벨트 - 백두대간의 풍부한 생태․산림자원 잠재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활성화사업 추진 - 한반도 자연생태관광 거점화, 도시민의 자연생태 체험장, 생태자원의 육   성과 활용 거점으로 추진 - 에너지생산 및 산업화 거점 오토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연관산업 육성                 ,   (헬멧, 에너지R&D, 태양열 재생에너지 효율화사업 등)(3) 환동해자원 물류벨트 - 러시아, 북한 일본을 연결하는 지대로서 대륙과 해양을 향하는 네트워크   강화로 동북아의 관문기능 수행 - 환동해권 대표 문화․관광 거점도시 및 외국인 투자유치 거점 조성으로   동북아시아 경제중심지로 육성 - 공항과 항만기능 및 남북교통망 확충 물류단지 건설 등을 통한 남북물                      ,   류축 기능 강화 및 안보․문화․관광자원 활용(4) DMZ 평화 생명벨트 - 통일 국토의 정중앙지대를 연결하는 생태자원의 보고로 세계적인 생태․   평화의 상징 공간으로 조성                                             ●●25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 남북교류기능 특화 및 평화․생태자원을 활용하여 남북물류기지 건설,          생태 및 군사문화 유적의 시장가치화         - DMZ Geo Park(생태․경관보전지역 한민족 평화문화플라자 남북교류                                 ),          ,          타운, 수자원교류 연계사업 등 전략사업 추진        (5) 글로벌 콘텐츠․물류벨트         - 수도권과 동해안의 연계 강화 도모 및 세계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른 동          북아 물류흐름의 허브역할 수행         - 수도권과 동해안을 연결하는 최단거리 벨트로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한 양          양국제공항의 물류 및 교류거점 기능 강화         - TKR과 TSR의 연계를 통한 물류체계의 혁신으로 강원도 경제교류 범위          를 대러시아 및 EU시장까지 확대        (6) 첨단 융복합산업벨트         - 국토중부내륙의 동서축을 연결하여 주는 지역으로 산업․연구공간과 주          거공간이 어우러지는 첨단 융복합산업벨트로 조성         - 바이오, 의료기기, 신소재, IT 등 산업간 기술 융․복합 촉진을 통해 글          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제적 신성장 거점으로 구축         - 산업구조를 새로운 첨단지식산업으로 변혁하고 산업단지를 초융합 창조                                  ,          서비스산업으로 재편(IT, 나노, 바이오, 에너지, 문화, 우주항공)         - 미래기술과 창조기술을 통하여 기존 산업단지의 잠재력과 생산성을 향상          시키고, 지식서비스산업으로 재편        (7) 녹색자원 에너지벨트         - 자연환경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을 통해 강원남부의 녹색자원          거점지대로 육성         - 에너지의 장기적인 확보 및 연료수급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해 LNG와          석탄의 복합화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청정화 도모         - LNG비축기지와 연계하여 DME 연료저장 탱크 및 석탄가스복합화 발전          단지 조성26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그림2-2] 강원 신발전축 3×4 특화벨트 설정2) 강원산업도시(기업중심도시) 건설 지역특성을 살린 경쟁력있는 특화산업 육성, 거점별 기업중심도시로 개편⇨ 평화산업도시(접경지역), 남북협력도시(동해안 북부지역), 콘텐츠산업  도시(춘천중심), 레져산업도시(평창․강릉), 줄기물질산업도시(옥계,동해)  융․복합산업(원주중심), 에너지․방재산업도시(삼척), 퓨전에너지(폐광지역)(1) 평화산업도시  (접경지역)   - 평화산업도시는 남북과 접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평화를 주제     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동시에 경제적 이익이 창출되는 과정에서 평                                                ●●27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화가 더욱 확산되어 가는 평화번영의 선순환에 초점         - 평화의 창출~유지~확산에 기여하는 제반 영역에서의 활동을 적극 추진           함으로써 추진과정에서 경제적 부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며 남북관계의           경제교류에 의하여 부가 창출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 UN의 평화대학 유치, 남북물류중심기지, 국제금융, 청정에너지, 국제회의           산업을 적극 유치하거나 개최하는 특성화 도시로 육성        (2) 남북협력도시(동해안 북부지역)           - 남한의 자본과 기술, 북한의 노동력을 충분히 활용하여 동해안 접경지역             을 중심으로 남북이 경제, 문화, 관광 등의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체             계를 구축하여 상호이익을 극대화           - 남북경제협력사업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면서 북한의 농수산물의 가공단             지, 북한 특산물 수입기지 및 판매사업 전시장 등 조성                                   ,           - DMZ박물관을 이용한 남북청소년 평화체험  ․수련, 요가․명상센터, 화진             포를 이용한 생태체험학습원, 주말학교, 청소년 영화캠프, 교원휴양시설             등 조성        (3) 콘텐츠산업도시 (춘천중심지역)           - 콘텐츠산업은 게임 영화, 스포츠, 여행, 예술, 패션 등 다양한 영역을 갖                      ,             으며 분야별로 상호 융․복합화를 도모하면 무한한 분야로 확장가능           - 강원정보문화진흥원은 관광 콘텐츠, 의료에 특화된 ICT융합클러스터를                            ,             구축하여 지역연관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여 콘텐             츠산업도시로서 자리매김           - 무한한 창의력에 의하여 무한영역을 갖는 콘텐츠산업은 세계에서도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애니메이션 창작 및 제작능력을 우수한 IT기술과             융합하여 창의적인 컨텐츠산업 기반으로 구축        (4) 물류중심도시(속초․양양지역)           - 동서 및 동해고속도로, 양양공항, 춘천~속초 고속화철도, 동해선 철도가             완성되면 속초와 양양지역은 교통의 요충지가 될 것으로 기대          -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2020년 이후 연중 100일 이상 북극항로의 항해가 가             능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른 신항만의 건설 및 물류의 중심지역으로 육성           -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아시아~유럽지역 운항시 기존 수에즈 경유 항로             보다 운송거리는 7천km(아시아와 유럽간 뱃길을 1/3 단축)이상, 운항소             요 시간은 10일 이상 단축될 것으로 예상           - 북방루트와 동해 진출을 위한 GTI계획 등 주변 정세변화, 극동 러시아28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에너지 자원개발 추진 북한의 지하자원 도입 등을 고려하여 물류중심도               ,   시로 육성 - 북극항로 시대 허브로서의 컨테이너 신항만 조성 쇄빙선 ‘아라운호’의                             ,   출항기지 유치, 강원도 육상․항공 물류루트와 북방루트의 연계, 양양공   항의 올림픽공식공항 등을 통하여 물류도시 입지 강화(5) 레져산업도시(평창․강릉지역) - 백두대간의 수려한 산림과 인간의 바이오리듬에 가장 좋은 Happy 700  고지를 중심으로 기 형성된 동계스포츠 시설활용과 평창올림픽 개최 이  후의 흑자올림픽을 위한 휴양과 레져산업도시로 집중육성하여‘동계스포  츠의 메카’로 조성 - 자연 파괴의 최소화를 위해 고품격의 소규모 숙박시설 공교(空校)를 활                               ,  용한 다양한 문화체험과 자연탐방로 등 휴양과 건강을 위한 산림테라피  특성화지역으로 조성 - 역세권을 중심으로 레져형 기업도시 조성(6) 줄기물질산업도시(옥계, 동해지역) - 기존에 지정된 타 FEZ(자유경제지구)의 중점 유치업종은 자동차부품, 부  품소재, IT, BT에 집중되어 사업 중복성이 높고 부품개발을 위한 소재를                              ,  외국에 의존하고 있어 외국인 투자유치에 한계가 있음 - 강원도 동해안 FEZ에서는 부품개발을 위한 첨단소재원료를 세계 최고의  가격경쟁력과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 가능한 강원도에서 직접 생산하여  ‘국가 Stem Materials의 메카’로 육성   ※ 동해안 FEZ는 기존의 FEZ와 차별화된 산업모델로 조성 - 북한에는 7천조 원에 달하는 지하자원이 있으며 특히 북한의 동해안지                            ,  역인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에 집적되어 있어 남북한 경제협력사업  의 우수 모델사업으로 추진 가능(7) 융․복합산업도시(원주중심지역)   - 1차산업과 3차산업의 융합으로 구제역, FTA, 기후변화 등 3중고에 처한     축산업을 바이러스와 마이크로의 융합으로 고부가가치 축산으로 선도하     는 지역으로 육성   - 의료와 관광이 융합하여 Life Security와 Bio Security를 지역의 선도산업     으로 육성하고, 원주 의료기기의 우수성을 지속시키면서 새로운 변신을     유도하는 융․복합산업도시로 특성화                                                      ●●29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8) 에너지․방재산업도시(삼척지역)           - 삼척의 국가 LNG비축기지와 방재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에너지와 방재중             심의 도시로 특화 육성           - 비상 에너지의 장기적인 확보, 국가 연료수급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해             LNG와 석탄의 복합화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청정화를 도모하고 관련             산업을 유치        (9) 퓨전에너지도시(폐광지역)         - 강원도 삼척, 태백, 정선, 영월은 지난 80년 동안 우리 산업과 ‘서민의          삶’에 토종에너지를 공급해 온 종가임         - 이곳에 남아 있는 석탄 10억 톤은 퓨전에너지가 현실화되는 2030년까지          안보자원의 에너지 버팀목이며, 막대한 핵융합으로 개발         - 20년 뒤 에너지 주권 확보를 겨냥하여 강원도 에너지 자원지대에 퓨전에          너지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미래에너지인 수소핵융합 상용화 발전을 통하          여 ‘에너지 종가에서 에너지 성지’로 자리매김하여 지역발전의 선도산업          으로 육성               [그림2-3] 강원발전을 위한 산업도시(기업중심도시)구조 개편30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4) 이머징섹터의 육성○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원도의 ‘녹색기반’은 새로운 동력산업  을 일으키는데 좋은 조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강원도의 생태자원과 종  다양성’은 새로운 산업의 핵심자원으로 활용가능○ 풍부한 자연은 창조적 인재유치의 기본조건을 충족시키므로 국가급 R&D  기관 및 올림픽 관련 지역스폰서 또는 공사참여 기업의 관련 기관이전  추진도 적극 검토○ 녹색경제는 지역부존자원을 단순 원재료로 공급하는 자원채굴산업이 아  니라 원천자원을 고부가가치화 하는 첨단과학 기술산업이므로 녹색경제  와 관련된 기관 및 기업을 적극 유치○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에 따른 녹색기술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므로 이와 관련된 녹색산업 생명과학, 바이오, 건강의료산업에 대                   ,  한 육성방안을 강구○ 지하 및 해양자원을 활용한 신소재․자원․에너지산업을 육성하여 자원  의 이용 및 관리방안을 집중 모색○ 콘텐츠산업의 기반구축과 하이터치 마케팅을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 방안                   ,  을 강구하고 강원발전의 신성장 동력으로의 문화컨텐츠산업 및 다양한  이업종간 융․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20만 이상의 강원도 주둔 군병력을 자원화하기 위하여 군사산업을 육성  하고 DMZ의 생태자원을 활용한 자원화 및 군사관련 연관산업육성○ MICE(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산업을 육성하여 관광1  번지로서의 강원도의 면모를 정립하고 평창올림픽 이후 각종 시설물을                     ,  활용하여 국제 MICE산업의 메카로 자리잡도록 함                                                                 ●●31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그림2-4] 이머징섹터를 통한 강원발전 전략도        5) 기간인프라 확충        ○ 강원도는 험준한 산지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기간교통망이 부족하고 이에         따라 특성화된 산업이 부재한 구조적 문제가 반복되어 왔음 타 지역에                                        .         비하여 공사단가가 비싸고 강원도의 경우 미래의 땅으로 인식하여 지속                      ,         적 보존을 강요하는 현상이 반복됨        ○ 최근 서해고속도로의 개통 새만금방조제의 완공 등으로 서해안벨트로 관                       ,         광객과 물적자원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볼 때 강원도의 경우 지역간 이         동이 원활하지 않아 경제 및 산업발전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도민간의         소통이 부재한 실정        ○ 따라서 향후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광역교통망 뿐만 아니라 지역간 물적                                              ,         인적교류의 원활화를 위하여 SOC사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도록 함32 ●●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국가 예산으로 집행되는 고속도로 개설 및 국도의 확․포장사업을 지속 적으로 추진하고 중앙정부를 상대로 타당성에 대한 논리를 정립해 나가 고 지방도와 시군도의 경우 정체구간의 4차선화 및 선형개량을 통하여 원활한 흐름을 유도        [그림2-5] 기간교통망 확충계획도(고속도로 및 철도)                                                 ●●33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
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
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Daniel Cheung
 
proposal using big+thick data
proposal using big+thick dataproposal using big+thick data
proposal using big+thick dataByoungHern Kim
 
期貨籌碼表0626
期貨籌碼表0626期貨籌碼表0626
期貨籌碼表0626tsu0716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hond-rez
 
制作Ppt的七种武器
制作Ppt的七种武器制作Ppt的七种武器
制作Ppt的七种武器Yanjun Song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hond-rez
 
期貨籌碼表20090304
期貨籌碼表20090304期貨籌碼表20090304
期貨籌碼表20090304tsu0716
 
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
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
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sunjia
 
期貨籌碼表0606
期貨籌碼表0606期貨籌碼表0606
期貨籌碼表0606tsu0716
 
Rubyonrails
RubyonrailsRubyonrails
Rubyonrailsskyok
 
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
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
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Sompop Petkleang
 
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
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
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handbook
 
期貨籌碼表0613
期貨籌碼表0613期貨籌碼表0613
期貨籌碼表0613tsu0716
 
Jssp(20080705)
Jssp(20080705)Jssp(20080705)
Jssp(20080705)真 岡本
 
期貨籌碼表0604
期貨籌碼表0604期貨籌碼表0604
期貨籌碼表0604tsu0716
 

What's hot (20)

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
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
gfw工作原理及突破技术
 
proposal using big+thick data
proposal using big+thick dataproposal using big+thick data
proposal using big+thick data
 
Thirukkural
ThirukkuralThirukkural
Thirukkural
 
期貨籌碼表0626
期貨籌碼表0626期貨籌碼表0626
期貨籌碼表0626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2
 
制作Ppt的七种武器
制作Ppt的七种武器制作Ppt的七种武器
制作Ppt的七种武器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
сшвабдветысячичть1
 
期貨籌碼表20090304
期貨籌碼表20090304期貨籌碼表20090304
期貨籌碼表20090304
 
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
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
Power Designer数据库建模技术
 
phd_thesis
phd_thesisphd_thesis
phd_thesis
 
期貨籌碼表0606
期貨籌碼表0606期貨籌碼表0606
期貨籌碼表0606
 
Rubyonrails
RubyonrailsRubyonrails
Rubyonrails
 
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
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
คู่มือโลจิสติก Aec
 
Phuket
PhuketPhuket
Phuket
 
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
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
CRE-013-個人知識管理達人
 
期貨籌碼表0613
期貨籌碼表0613期貨籌碼表0613
期貨籌碼表0613
 
Where is he_from-swf
Where is he_from-swfWhere is he_from-swf
Where is he_from-swf
 
Jssp(20080705)
Jssp(20080705)Jssp(20080705)
Jssp(20080705)
 
4 8 avo 2014 x
4 8 avo 2014 x4 8 avo 2014 x
4 8 avo 2014 x
 
期貨籌碼表0604
期貨籌碼表0604期貨籌碼表0604
期貨籌碼表0604
 

More from 준일 홍

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
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
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준일 홍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준일 홍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준일 홍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준일 홍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준일 홍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준일 홍
 
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준일 홍
 

More from 준일 홍 (9)

Otgwrk960579
Otgwrk960579Otgwrk960579
Otgwrk960579
 
Otgwrk060003
Otgwrk060003Otgwrk060003
Otgwrk060003
 
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
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
연구과제%2811 25%29염돈민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기본보고%2812 35%29김은숙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강원도발전전략 요약서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인쇄 내지 최종]_연구원과제_12-42_조명호김재진[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올림픽재원확보(최종)[1]
올림픽재원확보(최종)[1]
 
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홍준일후보소개자료
홍준일후보소개자료
 

강원도발전전략 전체

  • 1. 차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제1장 계획수립의 배경 및 범위 3 1. 계획수립의 배경 및 목적 3 2. 계획수립의 범위 4 3. 계획수립의 성격 4 4. 계획의 내용 5 제2장 동계올림픽 개최여건 및 전망 7 1. 평창올림픽 개최지 여건 7 2. 평창올림픽에 대한 기대 8 3. 동계올림픽 특별법 제정(특구지정) 12 4. 강원도의 과제 및 전망 14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제1장 계획의 비전과 전략 21 1. 비전과 목표 21 2. 계획의 실현 방향 22 3. 강원도 발전 전략 24 4. 강원도 종합 발전 계획도 34 제2장 동계올림픽의 원칙과 전략 37 1. 민생올림픽 37 2. 흑자올림픽 39 3. 균형올림픽 43 4. 환경올림픽 44 5. 평화올림픽 45 6. 문화올림픽 47 7. 휴먼웨어올림픽 48 ●● i ●●
  • 2.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목 차 제Ⅲ편 분야별 추진계획 제1장 경제 및 산업계획 53 제2장 지역개발계획 121 제3장 환경계획 235 제4장 관광계획 335 제5장 문화계획 411 제6장 복지계획 477 제7장 휴먼웨어계획 515 제Ⅳ편 올림픽 사전 및 사후관리계획 제1장 사전 및 사후관리 진단 569 1. 추진방향 569 2. 비전 및 추진전략 570 제2장 사전관리계획 571 1. 경기장 건설계획 571 2. 올림픽시설 사후 활용사례 575 3. 세부 경기장 건설계획 583 4. 경기장 연결도로 확충계획 590 제3장 사후관리계획 598 제Ⅴ편 계획의 집행 및 관리계획 제1장 올림픽 효율적 조직운영과 지원관리 체계 613 제2장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한 올림픽 거버넌스와 시스템 구축 623 제3장 투자계획 629 제4장 재원조달 647 제5장 관리계획 662 ●● ii ●●
  • 3. 림 목 차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그림 1-1] 강원도 행정구역 범위 4 [그림 1-2] 고령화 추세전망 15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그림 2-1] 강원도의 비전과 전략 22 [그림 2-2] 강원도 신발전축 3×4 특화벨트 설정 27 [그림 2-3] 강원발전을 위한 산업도시구조 개편 30 [그림 2-4] 이머징섹터를 통한 강원발전 전략도 32 [그림 2-5] 기간교통망 확충계획도(고속도로 및 철도) 33 [그림 2-6] 기간교통망 확충계획도(국도 및 지방도) 34 [그림 2-7] 강원도 종합발전 계획도 36제Ⅲ편 분야별 추진계획 제1장 경제 및 산업계획 [그림 3-1-1] 육성상업간 연계 생태계 체계도 56 [그림 3-1-2] 기능성 신소재의 산업생태계 60 [그림 3-1-3] 환동해권과 연계한 Mg, Ti, Zr 생산 Supply Chain 64 [그림 3-1-4]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지구별 컨셉 66 [그림 3-1-5] 남북경제협력 개념도 68 [그림 3-1-6] 응급의료 신인프라 구축사업 개념도 70 [그림 3-1-7] 국가방영시스템과의 상호협력 방안 71 [그림 3-1-8] 국가방역통합 시스템과의 역활분담 73 [그림 3-1-9] 바이오인포마틱스 서비스모델 77 [그림 3-1-10] 스마트 안티에이징 관련 연계인프라 및 신규단지 79 [그림 3-1-11] 환동해 산업클러스터의 집적할 각 국별 대표 특화제품 87 ●● xi ●●
  • 4.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1-12]그린바이오 식품클러스터와 시군연계방안 89 [그림 3-1-13]바이오플라스틱 음료용기 106 [그림 3-1-14]바이오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제품 107 [그림 3-1-15]강원도 고성군 해조류 시범양식 108 [그림 3-1-16]식물공장의 (예) 111 [그림 3-1-17]제주 서귀포의 외해가두리 시설 117 [그림 3-1-18]무인 외해가두리(미국) 117 [그림 3-1-19]경제 및 산업계획 계획도 118 제2장 지역개발계획 [그림 3-2-1] 강원도 교통망 계획 및 아시안하이웨이 노선안 121 [그림 3-2-2] 2010년 강원도 시군별 토지 비중분석 131 [그림 3-2-3] 동계올림픽에 따른 인구 및 가구 증가효과 분석 132 [그림 3-2-4] 강릉 저탄소 녹색시범도시 개발계획도 133 [그림 3-2-5] 녹색도시 개념도 134 [그림 3-2-6] 설악단오문화권 개발계획도 139 [그림 3-2-7] 친환경 기술도입 145 [그림 3-2-8] 육해공 통합수송체계 및 Port Biz Valley 151 [그림 3-2-9] 강원 철도망의 미래 추진 방향 153 [그림 3-2-10]신설이 필요한 동계올림픽 관련 시설 155 [그림 3-2-11]IBA 베를린 1987의 건축물 157 [그림 3-2-12]구마모토시 아트플러스의 건축물 158 [그림 3-2-13]통영의 낚시 공원 164 [그림 3-2-14]일본의 우미즈리 낚시 공원 164 [그림 3-2-15]방파제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 165 [그림 3-2-16]평창 올림픽 주요경기장 연계 교통망 167 [그림 3-2-17]강원 북부권 지방도 확충계획 168 [그림 3-2-18]강원 북부권 교통망 확충계획 168 [그림 3-2-19]올림픽 관련 주변 접근망 추진사업 172 ●● xii ●●
  • 5. 림 목 차[그림 3-2-20]동해항 부두확장 및 인입철도 건설계획 176[그림 3-2-21]양양공항과 인천공항의 비교 182[그림 3-2-22]강원도 주요 접근망계획 185[그림 3-2-23]전국 물류기지 현황 186[그림 3-2-24]동계올림픽 주요 접근 교통망 및 녹색도로사업 188[그림 3-2-25]승강장에 설치된 지열시스템 189[그림 3-2-26]한국도로공사에서 시험중인 지열시스템 189[그림 3-2-27]저탄소 녹색교통 수단 191[그림 3-2-28]강원도 석탄생산량 추이 202[그림 3-2-29]청정석탄 이용사업 개요 203[그림 3-2-30]석탄의 자원화 과정 205[그림 3-2-31]종합휴양의료 복합단지 개발 구상도 209[그림 3-2-32]폐광지역의 자원연계 개발구상도 212[그림 3-2-33]폐광지역 발전지원센터 운영체계 217[그림 3-2-34]자원개발 무인화 R&D 플로우 221[그림 3-2-35]탄광지역 생활현장 명소화 추진전략 225[그림 3-2-36]홍보 및 마케팅 전략(안) 226[그림 3-2-37]천연가스 매장지역 및 공급 배관망도 228[그림 3-2-38]플라즈마 응용기술 229[그림 3-2-39]개방형 혁신환경 기반의 핵융합로 기술개발 추진체계 230[그림 3-2-40]지역개발 주요 사업계획도 231제3장 환경계획[그림 3-3-1] 일본 국가살림자원 DB 체계 242[그림 3-3-2] 캐나다의 살림탄소계정시스템 체계도 243[그림 3-3-3] 녹색네트워크 개념도 244[그림 3-3-4] 천상의 화원 대상지의 특성 분석 247[그림 3-3-5] 대관령면 시가지 지역의 하천환경 249[그림 3-3-6] 보광휘닉스파크 생태습지 조성 대상지 252 ●● xiii ●●
  • 6.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3-7] 용평리조트 생태습지조성 대상지 252 [그림 3-3-8] DMZ 트레일 계획도 253 [그림 3-3-9] 주요 국가의 임도 밀도 254 [그림 3-3-10]전국 임도 밀도 255 [그림 3-3-11]강원도 국유림 임도 현황 255 [그림 3-3-12]다양한 형태로 특성화된 테마관광 예시 258 [그림 3-3-13]다양한 형태의 체험, 휴양, 숙박시설 260 [그림 3-3-14]생물권 보전지역의 기능 267 [그림 3-3-15]생물권 보전지역의 용도지역 267 [그림 3-3-16]DMZ일원의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안 268 [그림 3-3-17]제4차 강원도 임상도 271 [그림 3-3-18]강원도 병해충 발생 및 방제면적 278 [그림 3-3-19]하천변 훼손 286 [그림 3-3-20]콘크리트 수로 286 [그림 3-3-21]도내 시군별 폐기물 발생량 291 [그림 3-3-22]자원순환형 폐기물관리체계의 구축 292 [그림 3-3-23]경기도 동부권 광역자원회수시설 사례 294 [그림 3-3-24]외국의 재활용품 회수 센터 사례 297 [그림 3-3-25]동계올림픽 개최지의 신재생에너지 자립화 방안 301 [그림 3-3-26]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 개요 303 [그림 3-3-27]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 단계별 전략 304 [그림 3-3-28]CCS 개념도 305 [그림 3-3-29]CCS 산업단지 조성 예정지 및 조감도 306 [그림 3-3-30]영서 및 영동형 G House 조감도 307 [그림 3-3-31]LEED 플레티넘 인증 획득한 대만 빌딩 311 [그림 3-3-32]대관령 기후변화 현황 315 [그림 3-3-33]대관령 구름물리 선도관측센터 전경 및 인공강수 실험 도식도 315 [그림 3-3-34]기상조절 기술의 활용분야 316 [그림 3-3-35]기상조절 연구를 위한 관측망 조성 방안 317 [그림 3-3-36]동계올림픽 경기장 주변 기상관측망 구축 현황 319 ●● xiv ●●
  • 7. 림 목 차[그림 3-3-37]벤쿠버 동계올림픽 기상지원 사례 319[그림 3-3-38]지역별 자연재해 피해 현황 322[그림 3-3-39]전국 과학관 현황 및 기후 누리관 조감도 323[그림 3-3-40]기상․기후 클러스터 조성 방안 324[그림 3-3-41]환경 주요 사업계획도 332제4장 관광계획[그림 3-4-1] 2009 국내여행 참가자수 및 국내여행 총비용 337[그림 3-4-2] 관광소비 지출액 규모 337[그림 3-4-3] 강원도 관광진흥시책 사업비 추이 339[그림 3-4-4] 2020 강원관광 공간구조 342[그림 3-4-5] 관광분야 정량적 목표 343[그림 3-4-6] 파리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쇼콜라티에 359[그림 3-4-7]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의 명물 모차르트 쿠겔 359[그림 3-4-8] 반비 361[그림 3-4-9] 눈동이 361[그림 3-4-10]U-서비스 개념도 366[그림 3-4-11]영서지역 엔터테인먼트 산업벨트(안) 371[그림 3-4-12]공교 활용모델 375[그림 3-4-13]츄라우미 수족관의 구조와 식당 377[그림 3-4-14]오대산 스타트렉킹 코스 개발구상 382[그림 3-4-15]전략관광개발사업 총괄도 407제5장 문화계획[그림 3-5-1] 전국대비 강원도 공연예술단체 현황 416[그림 3-5-2] 올림픽 공식이벤트 417[그림 3-5-3] 콘텐츠 산업의 흐름도 419[그림 3-5-4] 강원도 브랜드 디자인 사례 421 ●● xv ●●
  • 8.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5-5] 국내 도시의 브랜드 디자인 사례 422 [그림 3-5-6] 전국 창작촌 지도 426 [그림 3-5-7] 베를린 장벽의 갤러리 사례 428 [그림 3-5-8] 서울 올림픽공원 429 [그림 3-5-9] 뮌헨 올림픽 공원 430 [그림 3-5-10]베이징 올림픽 공원 430 [그림 3-5-11]채석장 호수모습과 포천 아트벨리 조감도 441 [그림 3-5-12]도고온천역사와 구 장항선 철로길 441 [그림 3-5-13]선유도 공원 내 시간의 정원과 공원안내판 441 [그림 3-5-14]디자인 산업공원과 센터 442 [그림 3-5-15]디자인 산업공원 안내판과 에스컬레이터 442 [그림 3-5-16]계절별 수공간 활용사례 442 [그림 3-5-17]강원도 근대산업유산의 문화명소화를 위한 보전 및 활용 방안 443 [그림 3-5-18]강원도 콘테츠의 대표적 제작사례 455 [그림 3-5-19]벤쿠버동계올림픽 공식 마니게임 457 [그림 3-5-20]영화제 포스터 459 [그림 3-5-21]강원도의 이미지 분석 462 [그림 3-5-22]디자인강원의 비전과 컨셉 463 [그림 3-5-23]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및 대구시 브랜드 사례 464 [그림 3-5-24]박경리 문학공원 시설안내도 465 [그림 3-5-25]창조도시 서울시 및 이천시의 유네스코 로고사용 470 [그림 3-5-26]창조도시의 조성 방향 471 [그림 3-5-27]문화 주요 사업계획도 474 제6장 복지계획 [그림 3-6-1] 전국 및 강원도의 출산율 추이 477 [그림 3-6-2] 전국 및 강원도 여성의 연령계층별 취업자율 478 [그림 3-6-3] 전국 및 강원도의 고령화율 추이 478 [그림 3-6-4] 강원도 복지대상자 추이 479 ●● xvi ●●
  • 9. 림 목 차[그림 3-6-5] 타 도단위 대비 강원도 복지대상 현황 480[그림 3-6-6] 강원도 시군별 복지대상 현황 481[그림 3-6-7] 강원도 복지대상인구의 지역별 분포 현황 482[그림 3-6-8] 강원도 사회복지시설 지역별 분포 현황 484[그림 3-6-9] 강원도 다문화가족의 특성 486[그림 3-6-10]타시도 대비 강원도민의 대표 건강 지표 487[그림 3-6-11]타시도 대비 강원도민의 기대수명 및 사인 488[그림 3-6-12]강원도 보건의료기관 및 의료 인력 현황 488[그림 3-6-13]타시도 대비 강원도민의 삶의 질 489[그림 3-6-14]사회복지시설 접근성 제고 방안 495[그림 3-6-15]강원도 사회복지시설 분포 496[그림 3-6-16]지역내외 네트워크 구축 방향 497[그림 3-6-17]중앙정부의 다층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개요 499[그림 3-6-18]고령친화적 교통 환경 조성 추진 방향 500[그림 3-6-19]청소년의 스트레스 인지율 506[그림 3-6-20]강원도 청소년수련시설 지역별 분포 507[그림 3-6-21]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연계방안 508제7장 휴먼웨어계획[그림 3-7-1] 휴먼웨어의 고도화를 통한 민생 올림픽의 실현 519[그림 3-7-2] 평창올림픽을 통한 상생시스템 구축 522[그림 3-7-3] 강원도민의 사회참여형태 523[그림 3-7-4] 품격 올림픽 아카데미 운영 개요도 524[그림 3-7-5] 강원도민의 사회 참여도 525[그림 3-7-6] 일률적인 초등학교 교과과정의 구조 533[그림 3-7-7] 평생학습 참여율 535[그림 3-7-8] 동계올림픽관련 일자리 창출 부문 537[그림 3-7-9] 강원도 시군별 의료시설 현황 539 ●● xvii ●●
  • 10.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그 림 목 차 [그림 3-7-10]RFID 예시도 564 [그림 3-7-11]휴먼웨어 사업 총괄도 566 제Ⅳ편 올림픽 사전 및 사후관리계획 [그림 4-1] 평창 올림픽 시설계획 573 [그림 4-2] 바이에슬론 경기장을 활용한 슬라이딩 575 [그림 4-3] 스키점프장과 풀장 연계 시설 575 [그림 4-4] 바이에슬론 경기장 체험장 575 [그림 4-5] 여름철 스키 점프장 체험 시설 575 [그림 4-6] 나가노 동계올림픽 활용사례 586 [그림 4-7] 나가노 White Ring 전경 577 [그림 4-8] 도쿄돔 전경 578 [그림 4-9] K-POP 콘서트 578 [그림 4-10] 닛산 스타디움 전경 579 [그림 4-11] 결혼식 이벤트 활용 579 [그림 4-12] 상암 경기장 전경과 VIP실 내부 580 [그림 4-13] 월드컵 몰의 위치와 활용 580 [그림 4-14] 스피드스케이트 경기장 조감도 583 [그림 4-15] 스피드스케이트 경기장 위치도 583 [그림 4-16]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조감도 584 [그림 4-17]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위치도 584 [그림 4-18] 아이스하키Ⅰ 경기장 조감도 585 [그림 4-19] 아이스하키Ⅰ 경기장 위치도 585 [그림 4-20] 아이스하기Ⅱ 경기장 조감도 586 [그림 4-21] 아이스하기Ⅱ 경기장 위치도 586 [그림 4-22] 루지/ 봅슬레이 경기장 조감도 587 [그림 4-23] 루지/봅슬레이 경기장 위치도 587 [그림 4-24] 중봉 파인경기장 조감도 588 ●● xviii ●●
  • 11. 림 목 차 [그림 4-25] 알파인 경기장 위치도 588 [그림 4-26] 경기장 연결도로 확충사업 597 [그림 4-27] 2010년 나고야 총회 개최시설 및 스포츠 시설 활용 사례 603 [그림 4-28] 알펜시아 스키 점프대 및 메인 경기장 603제Ⅴ편 계획의 집행 및 관리계획 [그림 5-1] 평창올림픽조직운영 전문화 기본체계 618 [그림 5-2] 수평적 조직문화의 차원 621 [그림 5-3] 도정시스템의 개선 624 [그림 5-4] CS행정의 추진방향 625 [그림 5-5] CS행정의 추진동력 626 [그림 5-6] 정책품질관리제 수행체제 구축 664 [그림 5-7] 강원도 재해 피해액 666 [그림 5-8] 올림픽 zone의 지형 분포 현황 667 [그림 5-9] 올림픽 zone의 하천 분포 현황 667 [그림 5-10] 2006년 독일 월드컵 기간 중 스타디움 순찰에 적용된 Quadratec 시스템 673 [그림 5-11] 동해시(180㎢)를 대상으로 한 가시권 분석 사례 675 [그림 5-12] 강원도내 산불감시 CCTV 배치현황과 올림픽 핵심지역 위치 675 [그림 5-13] 강원도내 주요 지점의 영상적설량계 설치 위치 678 [그림 5-14] 석유매장량 681 [그림 5-15] Ω하천지형 소수력 발전 후보지 682 [그림 5-16] 강원 동해안의 해안림 분포 현황 685 [그림 5-17] 해안림과 해변의 다기능 활용 모델 686 ●● xix ●●
  • 12.
  • 13. 목 차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표 1-1]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8 [표 1-2] 역대 스포츠 행사 경제적 효과와 비교 9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표 2-1] 국내 총생산 및 지역내 총생산 37 [표 2-2] 2009년 경제자원별 비중 37 [표 2-3] 1인당 국민소득 38 [표 2-4] 나가도 대 레이크플래시드 비교 40제Ⅲ편 분야별 추진계획 제1장 경제 및 산업계획 [표 3-1-1] 강원도 산업현황 53 [표 3-1-2] 강원도 산업육성 성과 54 [표 3-1-3] 강원도 시군별 육성산업과 핵심추진사업 55 [표 3-1-4] 경제 및 산업 분야의 계량적 목표 58 [표 3-1-5] 농림어업분야의 계량적 목표 59 [표 3-1-6] 지역별 돌로마이트 광산 수 및 가채광량 61 [표 3-1-7] 지역별 규석의 광산 수 및 가채광량 61 [표 3-1-8] 첨단소재부품산업 거점단지 조성계획 62 [표 3-1-9]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강원산업기술연구소 유치 현황 62 [표 3-1-10]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치현황 62 [표 3-1-11]지질자원연구원 해수리튬연구센터 유치 현황 63 [표 3-1-12]기능성신소재 산업단지별 특성화 및 중점유치 기업 64 [표 3-1-13]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단계별 추진내용 66 [표 3-1-14]북한의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 및 잠재가치 67 [표 3-1-15]바이오시큐리티 세부사업별 주요추진내용 72 ●● iii ●●
  • 14.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표 3-1-16]전략산업 연구과제별 연계현황 74 [표 3-1-17]강원도의 대표적인 향토산업 현황 86 [표 3-1-18]스마트 올림픽 실현을 위한 TI연계방안 91 [표 3-1-19]강원도 수출입 현황 94 [표 3-1-20]강원도 동해안 해양심층수산업벨트 구축 115 제2장 지역개발계획 [표 3-2-1] 지역개발분야 지표설정 125 [표 3-2-2] 동계올림픽특구 주요 기능 및 도입 시설 128 [표 3-2-3] 강원도 외국인투자 현황 129 [표 3-2-4] 강릉 저탄소 녹색시점도시 단계별 계획 135 [표 3-2-5] 강원도 지정/특허 보세구역 현황(2007) 150 [표 3-2-6] 전국 종합보세구역 지정현황(2010) 151 [표 3-2-7] 배후 물류지원시설의 필요시설 152 [표 3-2-8] 철도개설에 따른 역세권 기능 154 [표 3-2-9] 동계올림픽 관련 시설 예상 공사비 156 [표 3-2-10]추진 중인 평창 올림픽 주요 교통・SOC 사업 167 [표 3-2-11]추진 중인 주요 철도사업 169 [표 3-2-12]추진 중인 주요 고속도로 사업 170 [표 3-2-13]추진 중인 주요 국도사업 171 [표 3-2-14]기타 추진사업 172 [표 3-2-15]강원도 어항별 주요특성 177 [표 3-2-16]울릉도 선박 운항 현황 180 [표 3-2-17]강원도 단계별 녹색교통수단 도입전략 190 [표 3-2-18]접경지역 지역별 고령인구 비율 198 [표 3-2-19]전국 석탄 매장량 현황 202 [표 3-2-20]청정석탄에너지의 종류 및 개념 204 [표 3-2-21]도내 진규폐 산재병원 현황 207 [표 3-2-22]도입시설 및 세부내용 209 ●● iv ●●
  • 15. 목 차[표 3-2-23]폐광지역 내 관광사업체 및 레저시설 등록현황 211[표 3-2-24]폐광지역내 체육시설 및 숙발시설 현황 211[표 3-2-25]MICE산업자원 현황 212[표 3-2-26]대한석탄공사 태백장성광업소 생산, 판매 및 원가 추이 220[표 3-2-27]탄광지역 생활현장 보존 복원사업 222[표 3-2-28]탄광지역 생활현장 보존 복원사업 SWOT분석 및 과제도출 224제3장 환경계획[표 3-3-1] 강원도의 주요환경지표 및 목표 238[표 3-3-2] 올림픽 개최지역(평창, 강릉, 정선)의 주요환경지표 및 목표 238[표 3-3-3] 연간 ha 당 탄소흡수량(tC/ha) 242[표 3-3-4] 임산물 생산량 비교(2009년) 272[표 3-3-5] 상수도 시설현황 (2009년) 280[표 3-3-6] 하수도시설 보급현황 283[표 3-3-7] ESCO 산업 활성화 계획 및 기대효과 309[표 3-3-8] 극한기상현상 현황 322[표 3-3-9] 자연재해 피해액 Big 5 323[표 3-3-10]평창 그린올림픽시티 사업계획 및 추진일정 326제4장 관광계획[표 3-4-1] 강원도 총 산업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 335[표 3-4-2] 계절별 관광객수 338[표 3-4-3]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 조성 현황 340[표 3-4-4] 관광총량 계량적 목표 343[표 3-4-5] 2011 미슐랭가이드 한국판 : 권역별 관광명소 현황 372[표 3-4-6] 국내 해양 아쿠아리움 현황 376[표 3-4-7] 오대산 스타트렉킹 코스와 지역자원 383[표 3-4-8] 동계스포츠 국제대회 개최 현황(1997~2009) 395 ●● v ●●
  • 16.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표 3-4-9] 동계올림픽 경기장 시설 계획 398 [표 3-4-10]세계 전지훈련 시장 규모 예측 400 [표 3-4-11]전지훈련지 홍보물 내용 예시 401 [표 3-4-12]강원도 동계스포츠 종목 지원 현황 403 [표 3-4-13]관광(단)지 406 제5장 문화계획 [표 3-5-1] 강원도 문화기반시설 현황 411 [표 3-5-2] 시・군별 문화기반시설 현황 412 [표 3-5-3] 강원도 공연시설 현황 412 [표 3-5-4] 강원도 시군별 공연시설 현황 413 [표 3-5-5] 강원도 시군별 공연시설 현황(계속) 414 [표 3-5-6] 강원도 문화재 현황 415 [표 3-5-7] 강원도 공연건수 415 [표 3-5-8] 올림픽 개최와 주목도 416 [표 3-5-9] 강원도의 대표적 콘텐츠 조직 420 [표 3-5-10] 강원도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 활용되는 슬로건 422 [표 3-5-11] 강원도 문화계획의 추진지표 423 [표 3-5-12] 강원도 문화기반시설 현황 425 [표 3-5-13] 동·하계 올림픽 공원 현황 431 [표 3-5-14] 국악원 현황 432 [표 3-5-15] 지역별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 현황 434 [표 3-5-16] 강원도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사업 추진현황 434 [표 3-5-17] 강원도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사업 추진현황 Ⅱ 435 [표 3-5-18] 근대산업유산의 범위와 내용 437 [표 3-5-19] 춘천시 근대산업유산 예시 437 [표 3-5-20] 원주시 근대산업유산 예시 438 [표 3-5-21] 강원도 시군별 근대산업유산 분포현황 438 [표 3-5-22] 강원도 근대산업유산의 보존 상태별 분포현황 439 ●● vi ●●
  • 17. 목 차[표 3-5-23] 근대산업유산의 분야 및 종류 440[표 3-5-24] 외국의 문화올림픽 사례 445[표 3-5-25] 강원도의 문화예술콘텐츠 447[표 3-5-26] 타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447[표 3-5-27] 강원도 겨울축제 현황 450[표 3-5-28]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개회식 453[표 3-5-29] 강원도 콘텐츠산업 기업 현황 454[표 3-5-30] 강원도 내 콘텐츠관련 기업 현황 455[표 3-5-31] 올림픽 관련 게임 현황 457[표 3-5-32] 시군 영상위원회 현황 460[표 3-5-33] 문화향유사업 추진성과 467[표 3-5-34]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도시 현황 470[표 3-5-35]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 현황 473제6장 복지계획[표 3-6-1] 강원도 복지대상자 연도별 추이 479[표 3-6-2] 강원도 사회복지시설 유형별 현황 483[표 3-6-3] 중앙정부와 강원도의 복지예산 구조(2009) 490[표 3-6-4] 중앙정부와 강원도의 복지예산 구조Ⅱ(2009) 490[표 3-6-5] 강원도 복지계획의 추진지표 491[표 3-6-6] 강원도 복지재정 내역 492[표 3-6-7] 강원도 복지재정 내역 Ⅱ 493[표 3-6-8] 강원도 복지대상자 연도별 추이 502[표 3-6-9] 직장과 가정생활 병행의 어렴움 504[표 3-6-10] 연령별 청소년 인구 추이 505[표 3-6-11] 다문화가정 자녀의 지역별 현황 506[표 3-6-12] 필요 의료서비스 미치료율 509[표 3-6-13] 우울증 경험율 509 ●● vii ●●
  • 18.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제7장 휴먼웨어계획 [표 3-7-1] 강원도민의 사회적 가치관과 사회참여도 516 [표 3-7-2]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기간중 교류인구 현황 517 [표 3-7-3] 나가노 동계올림픽의 지역별․직업별 자원봉사자수 517 [표 3-7-4] 휴먼웨어계획의 정책부문⋅목표⋅추진사업 519 [표 3-7-5] 평창동계올림픽과 강원사회 혁신 521 [표 3-7-6] 그레이트 강원 뉴 패러다임 521 [표 3-7-7] 도민 인재뱅크 운영 개요 526 [표 3-7-8] 일본 나가노 올림픽의 주민 참여 사례 528 [표 3-7-9] 강원도내 자원봉사센터 현황 530 [표 3-7-10]강원도내 자원봉사센터 현황Ⅱ 530 [표 3-7-11]창의적 체험활동의 개요 532 [표 3-7-12]스포츠산업의 분류 544 [표 3-7-13]동계올림픽을 기점으로 증가될 일자리, 감소될 일자리 전망 555 [표 3-7-14]나가노 올림픽의 내방객 현황 557 [표 3-7-15]2011년 현재 도내 마을기업 선정 현황 558 [표 3-7-16]강원도 풀뿌리기업 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 559 [표 3-7-17]강원도 풀뿌리기업 창업 아카데미 운영 개요 559 [표 3-7-18]강원도 풀뿌리기업 마을단위 기업가 양성 교육 개요 560 제Ⅳ편 올림픽 사전 및 사후관리계획 [표 4-1] 알펜시아 클러스터 개요 571 [표 4-2] Coastal 클러스터 개요 572 [표 4-3] 2개의 독립경기장 개요 572 [표 4-4] 세부 올림픽 경기장 사용 및 소유권 574 [표 4-5] 동계올림픽 경기장 해외 활용사례 581 [표 4-6] 기타 경기장 해외 활용사례 581 ●● viii ●●
  • 19. 목 차 [표 4-7] 연도별 투자계획 (스피드스게이트 경기장) 583 [표 4-8] 연도별 투자계획 (피겨/쇼트트랙 경기장) 584 [표 4-9] 연도별 투자계계획(아이스하키 경기장 Ⅰ) 585 [표 4-10] 연도별 투자계획(아이스하기 경기장Ⅱ) 586 [표 4-11] 연도별 투자계획(루지/봅슬레이 경기장) 587 [표 4-12] 연도별 투자계획(알파인 경기장) 588 [표 4-13] 향후 경기장 건설비 세부내역 총괄표 589 [표 4-14] 연도별 투자계획(지방도456) 590 [표 4-15] 연도별 투자계획(지방도408) 591 [표 4-16] 연도별 투자계획(군도12호) 592 [표 4-17] 연도별 투자계획(군도13호) 592 [표 4-18] 연도별 투자계획(도암205호) 593 [표 4-19] 연도별 투자계획(도암209호) 594 [표 4-20] 연도별 투자계획(알파인경기장 진입로) 595 [표 4-21] 연도별 투자계획(올림픽IC 주차장 연결) 595 [표 4-22] 연도별 투자계획(진부역) 596 [표 4-23] 연도별 투자계획(녹색교통시스템) 597 [표 4-24] 주요 글로벌 거버넌스 국제기구 602 [표 4-25] 강원도 동계스포츠 국제대회 개최 현황 609제Ⅴ편 계획의 집행 및 관리계획 [표 5-1] 평창올림픽위원회 인원확보계획(2012-2018) 613 [표 5-2] 동계올림픽관련 교육과정 중점시책 619 [표 5-3] 수평적 조직도입시 문제점 620 [표 5-4] 알펜시아리조트의 투자 재원별 투자현황 630 [표 5-5] 부담 주체별 연도별 재원조달 648 [표 5-6] 사업 유형별 연도별 투자비 648 [표 5-7] 강원도 자치단체별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49 ●● ix ●●
  • 20.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표 목 차 [표 5-8] 강원도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50 [표 5-9] 강원도의 예산 전망 651 [표 5-10] 강릉시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52 [표 5-11] 강릉시 예산 전망 652 [표 5-12] 평창군 자체수입(지방세와 세외수입) 전망 653 [표 5-13] 평창군의 예산 전망 654 [표 5-14] 16개 시도의 연도별 지방채 발행 잔액 및 재정자립도 656 [표 5-15] 지자체 재원조달을 위한 법적 근거 657 [표 5-16] 기타 법규에 의한 재원조달 방안 659 [표 5-17] Project Financing과 일반 기업대출과의 비교 660 [표 5-18] 재원조달 방안 총괄표 660 [표 5-19] 주요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비용과 참가인원 및 보안활동 특징 665 [표 5-20] 강원도의 주요 자연재해 현황 666 [표 5-21] 2009년 12월 기준 허가업종별 현황 669 [표 5-22] 올림픽 기간 중 예상되는 각종 테러, 범죄 및 재난 유형 670 [표 5-23] 연도별 신재생 에너지 공급 의무량 682 [표 5-24] 강원도 소수력발전 유망지점 추천 현황 682 [표 5-25] 기존 시설물을 이용한 강원도의 소수력 개발 잠재력 683 [표 5-26] 수력 발전소의 분류 683 ●● x ●●
  • 21.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제1장 계획 수립의 배경 및 범위1. 계획 수립의 배경 및 목적○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이하 평창올림픽으로 칭함)가 확정됨에 따라 강원도의 발전여건이 획기적이고 급속도로 빨라질 것으로 기대 -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큰 틀의 종합발 전방안을 강구하여 평창올림픽의 파급효과 극대화 및 지역발전의 전기 를 마련할 전략 구상 필요○ 평창올림픽과 연계한 강원도 발전전략을 마련하여 도민과 공유하므로희망 을 주고 스스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발전상을 구축 - 지역경제 활성화 및 올림픽 특수겨냥 중장기 성장잠재력이 있는 관련 산업 즉 스포츠 산업단지 구축 외국인 전용단지 휴양레포츠 산업 연계 , , 등 육성 방안 강구 - 평창올림픽 개최지역 및 산업발전 중심지역을 허브 (Hub)화하고, 변화 하는 발전여건을 도 전역으로 확산하여 파급효과 극대화 - 평창올림픽 개최 3개 시․군(평창, 강릉, 정선)은 지속가능한 자족도시 로 육성할 전략을 마련하고 그 외는 균형발전 전략 차원의 종합적인 , 발전계획을 수립, 효과적 집행을 위한 방안 강구○ 평창올림픽 유치로 발전여건이 급속히 진전되는 만큼 능동적으로 대응하 여 획기적인 강원도의 발전을 유도할 체계적인 방안 모색 - 평창올림픽의 7대 원칙 즉 민생, 흑자, 균형, 환경, 평화, 문화, 휴먼웨 어를 통해 올림픽 성공개최와 강원도 발전의 전기를 마련할 구체적인 로드맵 제시 -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강원도를 찾는 세계 각국의 선수단뿐만 아니라 관광객에게 강원도민들로 하여금 감동과 환희를 느끼게 할 수 있도록 긍정적이면서 진취적인 마인드 형성을 위한 조직과 교육으로 한 단계 성숙된 도민의식을 함양시키는 계기로 만들어 글로벌 리더로 양성하는 휴먼웨어 중심의 올림픽으로 육성 -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뿐만 아니라 성공개최 이후에도 강원도 발전 의 성장동력화로 자리매김되어 지속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사업중 심의 종합적 발전전략을 담는「마스터플랜」수립 ●●3
  • 22.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2. 계획 수립의 범위 ○ 강원도내 18개 시․군 전역(16,873.9㎢) [그림1-1] 강원도 행정구역 범위 3. 계획의 성격 ○ 국토종합계획 등 국가장기발전 구상과 지역발전전략을 연계하여 국토의 효율적 발전과 지역발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국토 계획의 하위계획인 ‘강원 도종합계획(2011~2020)’이 법정계획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강원도 2030비전 계획’에서 큰 틀의 강원도 발전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 따라서, 본 계획은 평창올림픽의 개최 효과를 강원도 전 지역으로 확산시 키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비법정계획으로 강원도 발전을 지속시킬 수 있는 계획안을 마련4 ●●
  • 23.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4. 계획의 내용○ 단계별 목표지표를 설정하여 전략적 과제의 실현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큰 틀의 발전전략을 체계적․입체적으로 제시○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정부차원의 다각적인 지원책을 유도해 낼 수 있는 발전방안 모색○ 강원도 전역의 균형적인 발전을 이끌어내고 이를 토대로 올림픽 개최이후 지속적인 성장동력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종합발전 방안 수립○ 평창올림픽의 경제적 기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선도적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실천방안 강구○ 평창올림픽 개최도시는 개최 이후 지속발전이 가능한 자족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비전을 담은 사업내용 포함○ 올림픽 특구 조성 (스포츠산업 클러스터 구축 외국인 전용단지 등 , ) - 스포츠과학전문단지 스포츠전문컨벤션센터 건립 , - 올림픽 체험의 장 사계절 체험형 프로그램 운영 등 ,○ 개최지역 배후도시를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소외되기 쉬운 접경지역 및 폐광지역에 대한 발전전략 국․도비 등 재원투자 계획 수립 , - 권역별 관광사업 고도화 전략 (휴양․레포츠 산업과 연계) - DMZ 접경지역의 평화지역 벨트화 및 사업계획 - 폐광지역, 농어촌지역 등 낙후지역 활력화 방안 강구○ 부문별 계획 수립시 평창올림픽의 7대원칙 구현과 균형있는 강원도 발전 을 선도할 실천방안 제시 - 도민의 삶의 질 제고 및 지방재정 안정에 기여하는 올림픽 - 환경친화적 경기장 건설 및 개최 이후 관광자원화 -「성공올림픽 」을 통한 지역발전을 선도할 컨텐츠 확보 방안○ 올림픽 특수를 겨냥한 전략과제로 신규 발전과제 중점 발굴 제시 - 스포츠 관련 유관기관 유치 - 의료산업과 연계한 스포츠전문병원 및 의약품 개발 ●●5
  • 24.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올림픽 관람객 대상 DMZ 등 도내 투어 ○ 평창올림픽 개최지를 비롯한 도 전역에 대한 교통망 조기 확충 및 조기 가시화 방안 강구 - 평창올림픽 개최를 위해 광역교통망 및 주변지역SOC 조기 구축 - 다핵연계형 광역복합 교통망(환동해, 남북종단, 동서축 등) 강화 ○ 기존 시군별 중점 추진사업을 올림픽과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발전 ․활성 화시켜 나갈 수 있는 방안 모색6 ●●
  • 25.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제2장 올림픽 개최여건 및 전망1. 평창올림픽 개최지 여건○ 평창올림픽은 2010년 3월, IOC에 신청도시 파일을 제출하고 최종적으로 독일 뮌헨, 프랑스 안시 등과 유치경쟁에 돌입하여 2011.7.8일 새벽 「평 창유치」로 확정 - 개최일 : 2018. 2. 9. ~ 2. 25. (총 17일간) ※ 장애인 올림픽 : 2018. 3. 9. ~ 3. 18. (총 10일간)○ 평창의 비전은 평창올림픽을 통하여 올림픽 무브먼트와 동계스포츠 역사 이래 전례가 없었던 새로운 성장과 잠재력의 유산을 추구하는 새로운 지 평을 여는 것(New Horizons)○ 아시아는 동계스포츠를 즐기는 인구와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으 며, 광대하고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 며, 수만 명의 젊은 청소년과 올림픽을 연결시키는 계기○ 평창 등 개최지는 동계스포츠에 적합한 기후와 지형을 갖추고 동계올림픽 , 역사상 가장 컴팩트한 경기장 컨셉으로 올림픽에 참가하는 모든 선수들 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게 될 것○ 정부는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에, 강원도는 제3차 강원 도 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에, 평창군은 평창군 기본계획(2002~ 2020)에 평창을 ‘아시아 동계스포츠 중심지 ’로 조성하기 위한 계획을 반 영하여 법정계획으로 추진○ 1999동계아시안게임을 위해 건설한 크로스컨트리 경기장과 바이애슬론 경기장이 2009년 IFS의 시설기준에 적합하게 조성되었으며 최첨단 스키 , 점프장도 새롭게 건설되었음○ 평창을 동계스포츠 허브로 조성하기 위해 약 1조6천억원이 투자된 알펜 시아 리조트는 2010년 8월 오픈되었으며, 각 경기장을 연결하는 교통망도 장기계획에 따라 구축 ●●7
  • 26.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평창올림픽은 ‘환경올림픽‘을 구현을 위하여, 2009년 배후도시인 강릉이 저 탄소 녹색시범도시로 선정되었으며 향후 평창지역도 저탄소 녹색시점도 , 시로 선정하여 추진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음 2. 평창올림픽에 대한 기대 1) 평창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 2018년 2월 9일부터 17일간 강원도에 집결하는 선수와 임원진 취재진 등 , 은 80여개국에서 2만6천여명이 예상되며, 응원단과 관광객 등을 합치면 39만명 내외의 외국인과 내국인 200만명 이상이 평창올림픽과 관련하여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고용효과는 23만명으로 예측 , ○ 경기장, 교통망, 숙박시설 등에 소요되는 투자규모(7조 2,555억원)에 따른 경제적 투자효과가 16조 4천억원으로 전망되며, 관광객들의 소비지출에 따른 경제 효과 4조 7천억원, 외국인 관광객 소비지출 규모 (7,213억원)에 따른 경제적 효과 1조 2천억원 내외로 예상되어 올림픽 개최에 따른 직 접적인 효과는 21조 1천억원 정도 예상 ○ 올림픽 개최 이후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로11조 600억원, 개최이후 찾아 오는 방문객 100만명 정도로 추산할 경우 10년간 18조 4,960억원 예상되 며, 이에 따른 경제적 관광효과는 32조 2천억원 등으로 43조 8천억원의 간접적 효과를 합하여 총 64조 9천억원의 직․간접적 경제효과가 발생될 것으로 추산 [표1-1]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단위 : 원) 총 경제적 효과 64조 9000억 직접적 효과 21조 1000억 투자효과 16조 4000억 소비지출효과 4조 7000억 간접적 효과 43조 8000억 세계적 관광지 부상에 따른 추가 관광 효과 32조 2000억 국가 이미지 제고 효과 11조 6000억8 ●●
  • 27.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산업별로는 건설부문이 총생산 유발 효과 7조 8천여억원, 제1차 금속제품 2조여억원, 사업서비스 1조 6천여억원, 비금속 광물 제품 1조 1천여억원, 금융보험과 부동산 7,900여억원 등 43조 8천억원으로 직접효과의 2배가 넘을 것으로 추산됨(현대경제연구원 )○ 평창올림픽의 유치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총생산 유발효과 20조 4,973억 원, 고용 유발효과 23만25명, 외국인관광객 수는 19만5천명으로 예측하고, 1인당 30만6천원을 지출할 것으로 예측(산업연구원 ) - 이중 강원도가 11조 6,083억원, 타 지역은 8조 8,890억원의 효과 - 생산 증가로 인한 부가가치유발 효과 추정액 8조 7,546억원 - 일자리창출은 강원도에만 14만 개가 생길 것으로 예측○ 평창올림픽 유치위원회에서는 17일간의 대회기간 중 208만명이 관람할 것으로 예상하여 생산유발효과가 20조 4,973억원, 부가가치효과가 8조 7,546억원, 고용유발효과도 23만명으로 예상하고 있음(2018평창동계올림 픽 유치위원회)[표1-2] 역대 스포츠 행사 경제적 효과와 비교 1988년 서울올림픽 2002년 한일 월드컵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기간 16일 30일 17일 관람객 290만명 350만명 208만명 생산유발효과 4조7,000억원 11조5,000억원 20조4,973억원 부가가치효과 1조8,000억원 6조7,000억원 8조7,546억원 고용유발효과 34만명 35만명 23만명※ 자료 :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2) 메가이벤트의 경제적 가치분석○ 벤쿠버 올림픽의 사례로 경제적 가치는 20조 2,000억원(명목 GDP의 약 2%)이상으로 추정하며, 직접적인 국가홍보 효과가 1조 2,096억원, 기업이 미지 제고효과 8,400억원, 기업매출증대 효과 14조 8,308억원, 국민사기진 작 등 간접적 가치 3조 2,964억 원으로 예상 ●●9
  • 28.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올림픽의 기대효과로는 국격 및 국가브랜드 제고효과 사회통합과 선진 시 , 민의식 고취, 한국인의 저력에 대한 재발견 스포츠외교력 강화 등을 제시 , - 우리나라는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 종합 5위를 기록하며 동계스포츠 강 국으로 부상하여 국가 홍보효과 1조 2,096억원, 기업 이미지 제고 8,400억 원, 기업들의 매출 증대효과 14조 8,308억원, 국민사기진작 등 간접적 가 치 3조 2,964억원 등 20조 1,768억원의 경제 효과 발생 (삼성경제연구소) ○ 서울올림픽의 경우 대외적으로 한국의 국제적인 위상과 지위가 급속하게 , 격상되어 국제정치외교 분야의 대외관계에서 한국은 발언권과 영향력을 강화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경제적으로는 첨단기술의 축적, 산업 활동의 촉진, 관광 등 서비스산업의 발전으로 생산력 향상 고용증 , 대 등의 효과 - 대내적으로는 경기장 시설의 건설 수도권 도로망의 정비, 도시재개발의 , 실시 등 사회간접 자본의 확충으로 지역사회 개발 촉진 - 국민들은 질서, 친절, 청결 등 성숙한 시민의식과 공중도덕을 보여 성공 개최 의 자신감과 민족적인 자긍심을 지니게 됨으로써 선진사회로 도약하는 초석 ○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연구보고서에서는 경기장의 사후활용방안은 공공성 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수익성 증대 방안으로 대중스포츠시설과 시민광장을 입주시키는 경영개선사업의 필요성과 주변 인프라를 통하여 시장성 확대를 활용하는 수익성 시설과 문화시설을 제공하는 공익성 시 설을 조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 3) 타 시도의 평창올림픽 특수 기대 《 경기도 》 ○ 평창올림픽 개최와 관련하여 동계스포츠 전지훈련장조성 등 발 빠르게 올림픽 특수에 대하여 지역으로 흡수할 수 있는 발전전략 및 추진계획을 내놓고 대응하고 있음 - 경기도내 8개 스키장과 6개 이이스하키장․빙상장을 활용해 스키, 빙상, 아이스하키 종목의 외국팀 훈련캠프 유치계획을 수립하고 전지훈련팀 유치 전담팀을 구성 - 올림픽 기간에 늘어나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리조트 ․스파․호텔 등을 연계한 여행상품과 템플스테이 도자박물관 등 한국형 체험관광을 개발 , 하는 등 인프라 및 관광 프로그램개발에 나설 계획10 ●●
  • 29.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 화성의 유니버설스튜디오와 경인아라뱃길을 연계 평택항 크루즈상품 , 한중일 바닷길을 통한 크루즈관광상품 등 바닷길을 연계한 관광상품도 개발할 예정임 - 수서역~광주(35km) KTX 노선을 신설(사업비 3조 5천 496억원)할 경우 기존의 철도망을 이용해 인천공항에서 평창까지 95분에 접근할 수 있다 는 사업구상도 제안 - 2015년 완공 예정인 광주 초월~원주 가현을 잇는 56.95km의 ‘제2영동고 속도로’(1조 1천 577억원)을 조기 건설하고, 서울~평창까지 1시간 내 연 결이 가능한 ‘여주~원주 복선전철 연장 ’(21.9km․ 6천 329억 원)등 연계 교통망 확충계획을 내 놓았음《 충청북도 》○ 올림픽 기반확충을 위해서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 ~강원 삼척시 고속도로 조기건설, 충북 충주~원주~평창간 복선전철 (충북선과 중앙선 연결철도), 청주~제천~평창간 고속화도로, 단양~제천~영월~평창연계 지방도 및 관광 도로 정비계획을 추진 중에 있음 - 공항과 관련 청주국제공항 시설 조기 확충 청주국제공항 국제노선 확대, , 중부권 거점공항 육성, 천안~청주공항 간 수도권 전철 연장 등을 통해 청주국제공항을 활성화한다는 계획 - 충주시는 충주 ~원주~평창 간 철도 직선 노선 신설 등 평창올림픽 특수를 위한 지역발전 시책을 적극 발굴 추진하는 청사진을 마련《 인천광역시 》○ 인천경제자유구역은 평창올림픽이 개최될 경우IOC와 관련된 글로벌기업 의 CEO들과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주요 인사들이 인천공항을 통하여 평 창을 방문할 것으로 기대하고 2020년 준공예정인 송도국제도시 전체 개 , 발도 완료단계에 들어서 완성된 첨단도시 인프라를 이용 글로벌 기업유 , 치에 나서는 등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 평창올림픽을 찾을 각국 주요 인사들과 글로벌 기업 CEO들의 투자성 향 등을 사전에 파악, 분석해 맞춤형 기업 유치 상품도 제시 - 영종지구의 최대 현안인 부동산투자 이민제 무비자 도입, 카지노 허가 , 조건 완화 등 복합 문화․관광 도시 조성 등 본격화 예상 ●●11
  • 30.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3. 동계올림픽 특별법 제정(특구지정) 1) 특별법의 필요성 ○ 평창올림픽대회가 개최되는 강원도 평창 및 그 인근지역은 대부분 산림 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서 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어 우리나라의 국 격을 높이고 세계 속에 기억되는 올림픽 구현을 위하여 지금까지의 국제 대회에 대한 지원과는 다른 차원의 접근 필요 ○ 민간주도의 동계올림픽개최 및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조직위원회를 설립 하고, 이 조직위원회에 대한 국․공유재산의 사용 등을 보장함은 물론 기 념주화 발행 방송사업 및 광고사업 등을 할 수 있도록 허용 , ○ 평창올림픽대회가 아름다운 자연환경의 보전과 올림픽개최에 필요한 개발 이 조화를 이루어 지역의 지속가능한 균형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 계올림픽특구를 지정 ․운영 ○ 평창올림픽대회 개최를 계기로 한 나라 국격의 상징이면서도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관광․문화․스포츠 분야의 개발과 국내외 투 자유치 및 기업육성을 통해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관광․문화․스포츠 산 업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도록 법률안 필요 2) 포함되어야 하는 주요 내용 ○ 조직위원회의 설치 ․운영에 필요한 자금과 대회의 준비․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동계올림픽대회 기금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국․공유재산 및 사무용품 등을 대부․사용․ 수익하게 할 수 있도록 함 ○ 조직위원회는 대회의 준비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하여 휘장 사업, 공식기념메달사업 방송권사업 택지 등 분양사업, 옥외광고사업 등 , , 수익사업을 할 수 있음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동계올림픽대회 관련시설의 신축 및 개․보수에 관하여 사업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하고 국가는 동계올림픽대회 유치 를 위하여 이미 설치한 경기장 시설에 대한 설치비용을 보전하여야 함12 ●●
  • 31.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동계올림픽대회 관련시설 인프라 직접 연계지역올림픽 관련시설에 접근 , 이 용이하고 관광, 녹색산업 등 발전 잠재력과 개발여건이 양호한 지역, 외국인 투지유치 계획 및 정주가능성 등 여건이 조성되어 있는 지역 지 , 속가능한 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양호한 지역 등의 지정요건을 갖춘 지역에 대해 특구 지정○ 동계올림픽특구의 지정이 있는 경우 기본계획에 따라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등의 효과를 인정 및 행위제한을 하고 동계올림픽특구개발사업의 시행방 , 법, 재원조달방법 등을 포함한 동계올림픽특구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함○ 동계올림픽특구에서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반시설의 건설 및 관광홍 보사업 등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 또는 사업시행자에게 「관광진흥개발 기금법」에 따라 관광진흥개발기금을 우선적으로 대여 또는 보조할 수 있는 특구개발사업에 대한 비용부담 토지 등의 수용․사용 등의 제도를 , 도입하도록 함○ 동계올림픽특구 내에 투자촉진 및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국가 또는 지방 자치단체의 시설지원 임대전용산업단지 우선지정 지역주민의 우선고용 , , , 학교․의료시설, 주택공급 지원을 위한 제도를 마련함○ 특구의 관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특구개발계획 을 종합계획의 일부로 수립하도록 하고, 국제회의산업 육성 특구 여행객 , 에 대한 부가가치세 환급, 골프장 입장 행위 시 개발소비세 등을 면제할 수 있음○ 교육․문화․관광시설 지원 우수관광 사업체의 지정 , ․운영 및 주민생활 의 질적 향상과 전통문화 예술을 계승하고 향토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하 , 여 중․장기 향토문화예술진흥계획을 수립 시행토록 하며 도서관 운영 , , 공연활동의 진흥 등에 관한 특례규정을 둠○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활동 지원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외국인학교 , 외국인전용 카지노, 부동산투자 이민제, 외국어 서비스 경상거래에 따른 , 지급, 외국인전용 임대주택 등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 평창올림픽 대회를 통한 남북 체육 교류와 한반도 평화 증진 등 규정 ●●13
  • 32.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4. 강원도의 과제 및 전망 1) 대도시의 예속화 우려 ○ 동서를 나누는 백두대간과 도 전역에 분산되어 위치한 높은 산과 강 계, 곡으로 도시가 분산 입지하는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생활거점도시도 다른 , 도시와 달리 춘천, 원주, 강릉의 정립(鼎立)형 구조로 진화하였으나 광역 연계 교통망의 발달과 함께 지형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도내 지역간 연계 도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 ○ 분산된 공간구조는 대형시장이자 국제적 거점도시권인 수도권과 도내 각 지역을 수직적 (일방적, 종속적 관계)으로 연계시켜 수도권에 병합되거나 예속될 우려가 있으므로 도내 각 지역 간 수평적 연계관계를 형성할 수 있 도록 지역간 연계성을 강화하는 인프라 확충이 필요 - 춘천~원주축으로 수도권화, 철원의 경우도 수도권으로 진행 중 ○ 광역교통망과 도내 교통망을 입체적으로 연계하여 대도시 및 타 광역경제 권의 경쟁지역에 대응하는 통합적 경쟁력을 갖춘 네트워크형 공간을 형 성하는 계기로 활용 2) 거점도시 중심의 성장과 도농 불균형의 심화 ○ 춘천~속초 고속철도, 춘천~홍천~양양 고속도로, 원주~강릉 복선전철 제, 천~영월~삼척/동해 국도의 고속화 등 동서교통망의 고속화의 진전으로 결절도시(춘천, 원주, 강릉 등 거점도시와 속초, 삼척 등 연계도시)의 성 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 ○ 결절도시 성장은 주변 농산어촌 인구를 흡입하는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 성이 높으며, 특히 백두대간축을 비롯한 내륙 산간지역 접경지역, 폐광지역 , 의 공동화 우려 ○ 급속한 도시화 진전에 따른 열악한 생활환경도 문제점으로 지적 - 강원도의 도시들은 도시주변지역에 풍부한 산림녹지가 형성되어 오히려 도시 내 오픈 스페이스의 조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도심내부 는 녹지부족 현상 심화14 ●●
  • 33.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 춘천, 원주, 강릉의 1인당 도시공원면적은 2.6  /인, 1.9  /인, 0.9  /인으로 파악 - 우리나라는 1960년 39.1%, 1970년 50.1%, 1990년 81.9%, 2000년 88.3%에 불과하던 도시화율이 최근 90.5%에 달하고 있음3) 인구의 저출산 및 고령화 진전○ 1970년의 경우 전국보다 강원도의 인구는 더 젊었으나 이후 갈수록 고령 화 인구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추세가 지속되어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 심화될 것임○ 1990년 강원도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1%였으나 2010년에 15%가 넘 어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0년이면 20%를 초과하여 초고령사회가 될 , 것으로 전망(고령인구 27만 명 예측)되어 우리나라가 2030년 최고령사회 로 진입하는 것에 비하여 10년이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 자료 :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 및 『장래인구추계』자료를 이용하여 재구성 점선 :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범위 [그림1-2] 고령화 추세전망○ 강원도 고령화 현상은 장수인구의 증가보다도 더 큰 원인이 저출산 현상임 - 2010년 현재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1.16명(2000년 1.47명, 2005년1.08 명)으로 세계 최저수준이며, 강원도는 이 보다 높은 1.20명으로 나타남 ●●15
  • 34. 제Ⅰ편 계획 수립의 개요 - 2008년 기준으로 미국은 2.09명, 영국 1.96명, 독일 1.38명, 일본 1.37명 의 출산율을 보임 ○ 고령화로 강원도의 인구구조는 저생산성 구조로 전환될 전망이어서저출 , 산, 고령화에 따라 생산가능 인구는 큰 폭으로 감소하는 추세 - 강원도는 2010년 996천명(69.1%)에서 2015년에는 979천명(70.2%), 2020 년 922천명(68.8%), 2030년에는 59%로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하게 저하될 것으로 예측 4) 강원도 인프라의 개선 ○ 녹색성장 철도중심의 인프라 구축으로 대륙권으로 가는 강원도 철도교통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 - 서울~춘천 복선전철 개통과 서울-원주 복선전철 (2011년 말)에 이어 평창 올림픽의 기간인프라인 원주 ~강릉철도 개통으로 인적 물적 이동이 왕 , 성할 것으로 기대 - 서울 인천공항(황황해권)과 강릉(환동해권)을 1시간대에 연결하는 물류 체계의 혁신 예상 - 강원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춘천 ~속초 고속철이 개설되면 국토를 동서 로 연결하는 중요한 철도축의 역할 기대 ○ 철도 중심의 물류체계와 더불어 타 권역과 연계관계가 다양화 전망 - 환동해권의 성장, 국토 내 타 광역경제권의 성장 등은 개별지역과 타 지역 간 수평적(기능적 관계, 대등성) 연계관계를 촉진 - 충청권 신행정복합도시 (세종시)와 연계망을 구축함으로써 강원도와 연계 관계가 미약한 호남권 연계가 활성화 될 전망 5) 강원산업의 구조 개편 불가피 ○ 경제패러다임이 노동집약 경제에서 자본 및 기술집약 경제로 전환되고 최근에는 지식기반 경제로 변환되면서 ‘정보와 지식’이 사회 가치창출의 원천으로 변화 ○ 최근 지구온난화로 산업체계의 재구성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 녹색경제체제 녹색성장체제의 구축이 피할 수 없는 대세가 될 것이며 , ,16 ●●
  • 35.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신재생에너지 개발 에너지 효율적 주택 및 도시건설 기존 공장의 에너 , , 지 효율구조로 리모델링 등이 활성화될 전망 - 새로운 에너지 개발 특히 석탄이나 원자력 등 기존 에너지원의 재활용 , 이 중요한 변수○ 서비스업의 고부가가치화 지식기반산업 비중의 증가와 첨단융합기술과 , 접목된 새로운 산업의 발전 농어업의 첨단 기술화 및 고부가가치화가 , 진전되는 등 산업체계의 소프트화 고기술 및 융합화가 급속히 전개될 ,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강원도 산업구조 재편 예상 ●●17
  • 36.
  • 37.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제1장 계획의 비전과 전략1. 비전과 목표1) 상주인구 200만명 달성○ 강원도는 2010년 센서스 인구 1,456천명으로 전국 48,219천명의 3%를 점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인구규모가 2018년 46,340천명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여 2030년에는 전국 48,635천명, 강원도는 1,224천명으로 예상되 나, 2020년 도내 상주인구는 200만명으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 - 주민등록인구, 외국인, 군장병, 외지출신 도내 학생 등 180만명 - 기업도시 및 관광도시로 육성하여 20만명2) 소득 2배, 행복 2배 실현○ 강원도는 2009년 지역총생산액 27조원으로 전국 1,066조원의 2.6%를 (250 억 달러) 차지하고 있으나, 2030년에는 5% 수준인 1,200억 달러를 목표로 하여 소득 2배, 국내 GRDP 5% 목표달성 실현 - 올림픽이 개최되는 2018년까지 매년 6~7% 성장을 달성하여 소득 2배를 달성하고 이후 성장탄력으로 7~10% 성장률로 끌어 올려 전국 대비 GRDP 5%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이를 위해 강원도의 현재의 산업구조를 바이오산업 콘텐츠산업 쾌적산 , , 업, 융․복합산업, 스포츠산업 신재생에너지 등 이머징 섹터를 집중 육 , 성하고, 평창올림픽 개최에 따른 인프라의 확충을 통하여 기존 산업의 고부가치화를 도모하고, 동계스포츠관련 산업클러스터 외국기업 및 자 , 본의 유치 등을 통하여 경쟁력있는 산업으로 육성 ●●21
  • 38.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비전 :“소득 2배, 행복 2배 달성과 지속발전 기반 구축” 성공올림픽 구현과 인간중심의 가치 실현 민 생 흑 자 균 형 환 경 평 화 문 화 휴먼웨어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올림픽 추 진 전 략 강원도 공간구조를 신발전축 3×4 특화벨트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지역별 차별화된 미래 첨단 융․복합 기업도시 육성 도시와 농촌, 녹색과 경제가 융합된 명품 공간 창조 강원도의 잠재자원의 고부가 시장가치화 실현 행복․건강이 보장된 양질의 삶의 질 보장 창조적 이머징섹터 기반 실현 [그림2-1] 강원도의 비전과 전략 2. 계획의 실현 방향 1) 강원도 인프라 혁신 달성 ○ 북극항로시대 및 동북아시대의 열린 국토공간형성은 국가 이익에도 부합 되므로 기존의 경부축 중심에서 동서축으로 인적 물적 흐름을 확보하는 , 계기로 활용 - 올림픽 계기 동서고속도로의 개통 제2영동고속도로 개통 등 기간교통 ,22 ●●
  • 39.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망의 확충이 기대되므로, 기간교통망과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교 통망도 대대적으로 확충하여 지역간 균형 및 소통과 화합의 열린공간 으로 조성○ 기후 변화 및 녹색경제의 대세에 맞추어 철도 중심의「目字型」 교통망 을 확충하는 등 녹색교통망 구축 및 도로 중심에서 철도 및 항공 등 고 속교통망 확충2) 도민 의식혁신의 기회○ 하계올림픽은 대체로 국민소득 2만불 이하인 국가에서 개최된 곳이 많지 만 역대 동계올림픽은 국민소득이 3만불이 넘는 국가에서 개최되었으므 로 도민의 자부심과 긍정적 마인드 함양 목표로 추진○ 폐광지역의 쇠퇴, 우수한 자연환경 보전위주의 정책으로 낙후지역 규제 , 지역, 개발족쇄 등 부정적 이미지가 팽배하였으나 올림픽 유치에서 보여 주었던 단결된 역량을 지역발전에 대한 희망과 기대로 승화○ 소극적, 과거의식적 사고에서 진취적이고 미래 지향적 사고로‘세계속의 강원도민’으로의 자신감 등 의식혁신3) 브랜드 이미지 혁신의 기회○ 로컬마인드에서 글로벌마인드로 전환 - 세계 80여개 국가가 강원도의 스포츠교류뿐만 아니라 문화 및 경제교류 의 공식적 파트너가 되는 계기로 활용하여, 강원도의 글로벌화 달성 - 도민의식혁신 운동을 통하여 국제화를 도모하고 각국 참가선수단들에게 감동과 환희를 주어 재방문의 동기를 부여하고 이들을 지속 관리하여 , 강원관광의 글로벌화 추진○ 변방에서 중심으로, 미래가치에서 현실가치로 강원도의 가치를 극대화하 는 기회로 활용 - 강원도의 토종․향토산업을 비롯하여 모든 생산제품을 국제표준에 맞도 록 글로벌화로 추진하여 ‘강원도’의 브랜드 가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 는 혁신의 기회로 활용 ●●23
  • 40.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4) 균형발전 및 산업혁신의 기회 ○ 평창올림픽 개최를 통하여 강원도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구 축 뿐만 아니라 교통, 산업, 환경, 관광, 문화, 교육 등 모든 경제 및 생활 활동이 불편없는 고른 균형발전과 복지혜택이 주어지는 계기 ○ 단순 1차, 2차, 3차 산업 육성 정책에서 벗어나 산업과 산업간의 융․복 합화로 혁신적 산업으로 강원발전의 선도산업 육성 ○ 지식 및 융 복합화를 통하여 경제활성화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일자 리 창출을 도모하고, 기업, 대학, 연구기관 등의 R&D 중심으로 이머징섹 터와 히든섹터를 유치하여 자연환경을 보전하면서 고부가가치 창출 3. 강원도 발전 전략 1) 강원 신발전축 3×4 특화벨트 춘천,원주,강릉을 중심 삼각테크노벨리로 지역특성을 살린 특화벨트 전환 ⇨ 바이오․메디 융복합벨트, 에코․비즈벨트, 환동해자원벨트, DMZ 평화생명 벨트, 글로벌 콘텐츠․물류벨트, 첨단 융복합산업벨트, 녹색자원 에너지 벨트간 중복으로 컨버전스를 통한 시너지효과 극대화 ○ 평창올림픽 개최로 강원도의 위상이 크게 부상하게 될 것이며 동해안 항 , 로를 통하여 출입하는 선수․임원․관광객 등 물동량은 크게 증가할 것 으로 예상 ○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해서는 동북아시대 대륙 전진기지로서의 취약 한 강원권 중심의 교통인프라 구축 필요 ○ 세계화와 지방화가 결합된 세방화의 흐름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해 유 라시아 진출 및 남북교류 거점지대로 육성24 ●●
  • 41.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동북아 경제권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환동해 연안국 간 경제블록 형성에 대비한 입체적 복합물류․교통체계 구축○ 수도권 신행정수도 및 국가 신성장축과 연계하는 인프라 구축으로 지역 간 상생발전을 도모하고 지역 간․지역 내 상호작용과 결합을 통해 생활 권별 중심도시의 특성화된 독자적 사업기반 구축 및 네트워크화를 형성(1) Bio-Medi 융복합벨트 - 국토중앙 내륙의 대동맥으로 수도권과 연계하여 신산업 거점도시를 육성 하여 Bio-Medi 융복합산업 기반 육성 - Bio-Medi 융복합산업의 거점지대로서 산업․정주․레저기능이 통합적으 로 이뤄질 수 있는 복합지대로 조성(2) Eco-Biz벨트 - 백두대간의 풍부한 생태․산림자원 잠재력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활성화사업 추진 - 한반도 자연생태관광 거점화, 도시민의 자연생태 체험장, 생태자원의 육 성과 활용 거점으로 추진 - 에너지생산 및 산업화 거점 오토테마파크를 중심으로 연관산업 육성 , (헬멧, 에너지R&D, 태양열 재생에너지 효율화사업 등)(3) 환동해자원 물류벨트 - 러시아, 북한 일본을 연결하는 지대로서 대륙과 해양을 향하는 네트워크 강화로 동북아의 관문기능 수행 - 환동해권 대표 문화․관광 거점도시 및 외국인 투자유치 거점 조성으로 동북아시아 경제중심지로 육성 - 공항과 항만기능 및 남북교통망 확충 물류단지 건설 등을 통한 남북물 , 류축 기능 강화 및 안보․문화․관광자원 활용(4) DMZ 평화 생명벨트 - 통일 국토의 정중앙지대를 연결하는 생태자원의 보고로 세계적인 생태․ 평화의 상징 공간으로 조성 ●●25
  • 42.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 남북교류기능 특화 및 평화․생태자원을 활용하여 남북물류기지 건설, 생태 및 군사문화 유적의 시장가치화 - DMZ Geo Park(생태․경관보전지역 한민족 평화문화플라자 남북교류 ), , 타운, 수자원교류 연계사업 등 전략사업 추진 (5) 글로벌 콘텐츠․물류벨트 - 수도권과 동해안의 연계 강화 도모 및 세계 경제여건의 변화에 따른 동 북아 물류흐름의 허브역할 수행 - 수도권과 동해안을 연결하는 최단거리 벨트로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한 양 양국제공항의 물류 및 교류거점 기능 강화 - TKR과 TSR의 연계를 통한 물류체계의 혁신으로 강원도 경제교류 범위 를 대러시아 및 EU시장까지 확대 (6) 첨단 융복합산업벨트 - 국토중부내륙의 동서축을 연결하여 주는 지역으로 산업․연구공간과 주 거공간이 어우러지는 첨단 융복합산업벨트로 조성 - 바이오, 의료기기, 신소재, IT 등 산업간 기술 융․복합 촉진을 통해 글 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제적 신성장 거점으로 구축 - 산업구조를 새로운 첨단지식산업으로 변혁하고 산업단지를 초융합 창조 , 서비스산업으로 재편(IT, 나노, 바이오, 에너지, 문화, 우주항공) - 미래기술과 창조기술을 통하여 기존 산업단지의 잠재력과 생산성을 향상 시키고, 지식서비스산업으로 재편 (7) 녹색자원 에너지벨트 - 자연환경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을 통해 강원남부의 녹색자원 거점지대로 육성 - 에너지의 장기적인 확보 및 연료수급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해 LNG와 석탄의 복합화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청정화 도모 - LNG비축기지와 연계하여 DME 연료저장 탱크 및 석탄가스복합화 발전 단지 조성26 ●●
  • 43.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그림2-2] 강원 신발전축 3×4 특화벨트 설정2) 강원산업도시(기업중심도시) 건설 지역특성을 살린 경쟁력있는 특화산업 육성, 거점별 기업중심도시로 개편⇨ 평화산업도시(접경지역), 남북협력도시(동해안 북부지역), 콘텐츠산업 도시(춘천중심), 레져산업도시(평창․강릉), 줄기물질산업도시(옥계,동해) 융․복합산업(원주중심), 에너지․방재산업도시(삼척), 퓨전에너지(폐광지역)(1) 평화산업도시 (접경지역) - 평화산업도시는 남북과 접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에 있어서 평화를 주제 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 동시에 경제적 이익이 창출되는 과정에서 평 ●●27
  • 44.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화가 더욱 확산되어 가는 평화번영의 선순환에 초점 - 평화의 창출~유지~확산에 기여하는 제반 영역에서의 활동을 적극 추진 함으로써 추진과정에서 경제적 부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며 남북관계의 경제교류에 의하여 부가 창출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임 - UN의 평화대학 유치, 남북물류중심기지, 국제금융, 청정에너지, 국제회의 산업을 적극 유치하거나 개최하는 특성화 도시로 육성 (2) 남북협력도시(동해안 북부지역) - 남한의 자본과 기술, 북한의 노동력을 충분히 활용하여 동해안 접경지역 을 중심으로 남북이 경제, 문화, 관광 등의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체 계를 구축하여 상호이익을 극대화 - 남북경제협력사업의 전초기지로 활용하면서 북한의 농수산물의 가공단 지, 북한 특산물 수입기지 및 판매사업 전시장 등 조성 , - DMZ박물관을 이용한 남북청소년 평화체험 ․수련, 요가․명상센터, 화진 포를 이용한 생태체험학습원, 주말학교, 청소년 영화캠프, 교원휴양시설 등 조성 (3) 콘텐츠산업도시 (춘천중심지역) - 콘텐츠산업은 게임 영화, 스포츠, 여행, 예술, 패션 등 다양한 영역을 갖 , 으며 분야별로 상호 융․복합화를 도모하면 무한한 분야로 확장가능 - 강원정보문화진흥원은 관광 콘텐츠, 의료에 특화된 ICT융합클러스터를 , 구축하여 지역연관산업을 육성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하여 콘텐 츠산업도시로서 자리매김 - 무한한 창의력에 의하여 무한영역을 갖는 콘텐츠산업은 세계에서도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애니메이션 창작 및 제작능력을 우수한 IT기술과 융합하여 창의적인 컨텐츠산업 기반으로 구축 (4) 물류중심도시(속초․양양지역) - 동서 및 동해고속도로, 양양공항, 춘천~속초 고속화철도, 동해선 철도가 완성되면 속초와 양양지역은 교통의 요충지가 될 것으로 기대 -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2020년 이후 연중 100일 이상 북극항로의 항해가 가 능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른 신항만의 건설 및 물류의 중심지역으로 육성 -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아시아~유럽지역 운항시 기존 수에즈 경유 항로 보다 운송거리는 7천km(아시아와 유럽간 뱃길을 1/3 단축)이상, 운항소 요 시간은 10일 이상 단축될 것으로 예상 - 북방루트와 동해 진출을 위한 GTI계획 등 주변 정세변화, 극동 러시아28 ●●
  • 45.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에너지 자원개발 추진 북한의 지하자원 도입 등을 고려하여 물류중심도 , 시로 육성 - 북극항로 시대 허브로서의 컨테이너 신항만 조성 쇄빙선 ‘아라운호’의 , 출항기지 유치, 강원도 육상․항공 물류루트와 북방루트의 연계, 양양공 항의 올림픽공식공항 등을 통하여 물류도시 입지 강화(5) 레져산업도시(평창․강릉지역) - 백두대간의 수려한 산림과 인간의 바이오리듬에 가장 좋은 Happy 700 고지를 중심으로 기 형성된 동계스포츠 시설활용과 평창올림픽 개최 이 후의 흑자올림픽을 위한 휴양과 레져산업도시로 집중육성하여‘동계스포 츠의 메카’로 조성 - 자연 파괴의 최소화를 위해 고품격의 소규모 숙박시설 공교(空校)를 활 , 용한 다양한 문화체험과 자연탐방로 등 휴양과 건강을 위한 산림테라피 특성화지역으로 조성 - 역세권을 중심으로 레져형 기업도시 조성(6) 줄기물질산업도시(옥계, 동해지역) - 기존에 지정된 타 FEZ(자유경제지구)의 중점 유치업종은 자동차부품, 부 품소재, IT, BT에 집중되어 사업 중복성이 높고 부품개발을 위한 소재를 , 외국에 의존하고 있어 외국인 투자유치에 한계가 있음 - 강원도 동해안 FEZ에서는 부품개발을 위한 첨단소재원료를 세계 최고의 가격경쟁력과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 가능한 강원도에서 직접 생산하여 ‘국가 Stem Materials의 메카’로 육성 ※ 동해안 FEZ는 기존의 FEZ와 차별화된 산업모델로 조성 - 북한에는 7천조 원에 달하는 지하자원이 있으며 특히 북한의 동해안지 , 역인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에 집적되어 있어 남북한 경제협력사업 의 우수 모델사업으로 추진 가능(7) 융․복합산업도시(원주중심지역) - 1차산업과 3차산업의 융합으로 구제역, FTA, 기후변화 등 3중고에 처한 축산업을 바이러스와 마이크로의 융합으로 고부가가치 축산으로 선도하 는 지역으로 육성 - 의료와 관광이 융합하여 Life Security와 Bio Security를 지역의 선도산업 으로 육성하고, 원주 의료기기의 우수성을 지속시키면서 새로운 변신을 유도하는 융․복합산업도시로 특성화 ●●29
  • 46.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8) 에너지․방재산업도시(삼척지역) - 삼척의 국가 LNG비축기지와 방재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에너지와 방재중 심의 도시로 특화 육성 - 비상 에너지의 장기적인 확보, 국가 연료수급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해 LNG와 석탄의 복합화로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청정화를 도모하고 관련 산업을 유치 (9) 퓨전에너지도시(폐광지역) - 강원도 삼척, 태백, 정선, 영월은 지난 80년 동안 우리 산업과 ‘서민의 삶’에 토종에너지를 공급해 온 종가임 - 이곳에 남아 있는 석탄 10억 톤은 퓨전에너지가 현실화되는 2030년까지 안보자원의 에너지 버팀목이며, 막대한 핵융합으로 개발 - 20년 뒤 에너지 주권 확보를 겨냥하여 강원도 에너지 자원지대에 퓨전에 너지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미래에너지인 수소핵융합 상용화 발전을 통하 여 ‘에너지 종가에서 에너지 성지’로 자리매김하여 지역발전의 선도산업 으로 육성 [그림2-3] 강원발전을 위한 산업도시(기업중심도시)구조 개편30 ●●
  • 47.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4) 이머징섹터의 육성○ 절대적으로나 상대적으로 우수한 강원도의 ‘녹색기반’은 새로운 동력산업 을 일으키는데 좋은 조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강원도의 생태자원과 종 다양성’은 새로운 산업의 핵심자원으로 활용가능○ 풍부한 자연은 창조적 인재유치의 기본조건을 충족시키므로 국가급 R&D 기관 및 올림픽 관련 지역스폰서 또는 공사참여 기업의 관련 기관이전 추진도 적극 검토○ 녹색경제는 지역부존자원을 단순 원재료로 공급하는 자원채굴산업이 아 니라 원천자원을 고부가가치화 하는 첨단과학 기술산업이므로 녹색경제 와 관련된 기관 및 기업을 적극 유치○ 기후변화 등 환경문제에 따른 녹색기술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므로 이와 관련된 녹색산업 생명과학, 바이오, 건강의료산업에 대 , 한 육성방안을 강구○ 지하 및 해양자원을 활용한 신소재․자원․에너지산업을 육성하여 자원 의 이용 및 관리방안을 집중 모색○ 콘텐츠산업의 기반구축과 하이터치 마케팅을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 방안 , 을 강구하고 강원발전의 신성장 동력으로의 문화컨텐츠산업 및 다양한 이업종간 융․복합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20만 이상의 강원도 주둔 군병력을 자원화하기 위하여 군사산업을 육성 하고 DMZ의 생태자원을 활용한 자원화 및 군사관련 연관산업육성○ MICE(Meeting, Incentive, Convention, Exhibition)산업을 육성하여 관광1 번지로서의 강원도의 면모를 정립하고 평창올림픽 이후 각종 시설물을 , 활용하여 국제 MICE산업의 메카로 자리잡도록 함 ●●31
  • 48. 제Ⅱ편 계획의 기본방향 [그림2-4] 이머징섹터를 통한 강원발전 전략도 5) 기간인프라 확충 ○ 강원도는 험준한 산지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기간교통망이 부족하고 이에 따라 특성화된 산업이 부재한 구조적 문제가 반복되어 왔음 타 지역에 . 비하여 공사단가가 비싸고 강원도의 경우 미래의 땅으로 인식하여 지속 , 적 보존을 강요하는 현상이 반복됨 ○ 최근 서해고속도로의 개통 새만금방조제의 완공 등으로 서해안벨트로 관 , 광객과 물적자원이 이동하고 있는 것을 볼 때 강원도의 경우 지역간 이 동이 원활하지 않아 경제 및 산업발전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도민간의 소통이 부재한 실정 ○ 따라서 향후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광역교통망 뿐만 아니라 지역간 물적 , 인적교류의 원활화를 위하여 SOC사업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도록 함32 ●●
  • 49. 강원도 종합 발전 전략 ●●●● ●●●○ 국가 예산으로 집행되는 고속도로 개설 및 국도의 확․포장사업을 지속 적으로 추진하고 중앙정부를 상대로 타당성에 대한 논리를 정립해 나가 고 지방도와 시군도의 경우 정체구간의 4차선화 및 선형개량을 통하여 원활한 흐름을 유도 [그림2-5] 기간교통망 확충계획도(고속도로 및 철도)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