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76
Download to read offline
이란 국기
≪ 국기 해설 ≫
◦ 이란 국기는 이슬람 혁명으로 1979년 2월 11일 이슬람 공화국이
선포됨에 따라 기존의 문장을 변경
◦ 가로 세로 7:4 비율의 직사각형을 위로부터 녹, 백, 적 삼색으로 균분
하여 "알라는 위대하다(Allah Akbar)"라는 이란어 22자(이란력으로
11월인 Bahman 22일에 발생한 혁명기념일을 상징)를 녹, 적 바탕에
11자씩 기입하고 백색바탕 중앙에는 "하나님은 하나다"라는 의미의
문장을 형상화
목 차
Ⅰ. 개 관·························································································································· 1
Ⅱ. 자연, 지리환경
1. 지정학적 위치········································································································ 7
2. 지형 특색················································································································ 8
3. 기후와 강우량········································································································ 9
4. 민족 구성················································································································ 9
5. 주요 도시·············································································································· 10
6. 종 교 ··············································································································· 10
Ⅲ. 약 사
1. 고대 이란·············································································································· 13
2. 중세 이란·············································································································· 16
3. 근대 이란·············································································································· 18
4. 현대 이란·············································································································· 21
Ⅳ. 정치, 행정
1. 헌 법 ··············································································································· 29
2. 최고지도자············································································································ 31
3. 대통령 및 행정부 ································································································· 31
4. 국 회 ··············································································································· 33
5. 정당제도··············································································································· 33
6. 사 법 부 ··············································································································· 33
7. 헌법수호기관········································································································ 35
8. 최고국가안보위원회····························································································· 36
9. 지방제도··············································································································· 36
10. 정치 동향·············································································································· 37
V. 외 교
1. 외교 정책 기조 ····································································································· 41
2. 주요 외교사안별 입장 ·························································································· 42
3. 주요 대외 관계 ····································································································· 44
Ⅵ. 국 방
1. 일 반 ··············································································································· 53
2. 국방개혁 및 전력 증강 ························································································ 55
Ⅶ. 경제・통상 및 산업
1. 개 관 ··············································································································· 59
2. 최근 경제 정세 ····································································································· 60
3. 부존자원 현황, 개발 현황 및 전망 ····································································· 65
4. 대외 통상 정책 ····································································································· 68
5. 외국인 투자환경 및 투자 유망 분야 ·································································· 75
Ⅷ. 사회, 문화
1. 인 구 ··············································································································· 85
2. 교 육 ··············································································································· 86
3. 언 론 ··············································································································· 87
4. 종 교 ··············································································································· 89
5. 문 화 ··············································································································· 90
6. 노 동 ··············································································································· 91
7. 사 회 ··············································································································· 92
Ⅸ. 한-이란 관계
1. 정치외교··············································································································· 99
2. 경제통상············································································································· 100
3. 정부간 협정 체결 ······························································································· 105
4. 정부간 협의기구 및 친선단체 ··········································································· 106
5. 주요 인사 교류 ·································································································· 107
6. 역대 주 이란 대사 ····························································································· 110
7. 재외동포 현황 및 단체 ······················································································ 111
X. 북한 관계
1. 기본일지············································································································· 117
2. 양국관계 개관···································································································· 117
3. 주요인사교류······································································································ 118
4. 협정체결 현황···································································································· 120
XI. 부 록
1. 이란 국내정세 관련 주요 일지 ········································································· 123
2. 주요 인사 교류 일지 ························································································· 134
3. 이란 시아파 해설 ······························································································· 151
4. 이란 주요인사 인적사항 ···················································································· 153
5. 이란 내각 명단 ·································································································· 161
6. 이란 관련 인터넷 사이트 ·················································································· 162
7. 이란 외교부 조직 현황 ······················································································ 165
8. 이란 여행 정보 ·································································································· 166
Ⅰ. 개 관
Ⅰ. 개관
3
Ⅰ. 개 관
◦ 국 명 : 이란이슬람공화국(Islamic Republic of Iran)
◦ 기 후 : 대륙성 기후(4계절 존재), 남부는 아열대성
◦ 면 적 : 165만 ㎢(한반도의 7.5배)
◦ 인 구 : 7,600만명
◦ 수 도 : 테헤란(Tehran)
- 인구는 850만명으로, 인근 테헤란주 포함시 1,200만명 이상
◦ 주요도시 : 마샤드, 이스파한, 타브리즈, 쉬라즈
◦ 인 종 : 페르시아족(51%), 아제르바이잔족(24%), 길락-마잔다란족(8%),
쿠르드족(7%), 아랍족(3%), 루르족(2%), 발루치족(2%), 투르크
족(2%), 기타(1%) 등
◦ 언 어 : 이란어(Farsi)
◦ 종 교 : 이슬람(시아파)
◦ 교 육 : 의무교육 8년
◦ 국 경 일 : 2.11(이슬람혁명 기념일)
◦ 정부형태 : 이슬람공화국(최고지도자 중심 신정체제)
◦ 최고지도자 : 하메네이(Ayatollah Seyyed Ali Khamenei)
◦ 대 통 령 : 아흐마디네자드(Dr. Mahmoud Ahmadinejad)
◦ 의 회 : 단원제(290석, 임기 4년)
◦ 영 해 : 12마일
이란 개황
4
◦ 국 방 : 정규군 약 55만명, 혁명군 약 12만명
◦ 화폐단위 : 리얄(Rial), 1$당 공식 환율은 12,260 리얄
- 2012.5월 현재 시장환율은 16,500 리얄 내외
◦ 회계연도 : 매년 3.21부터 익년 3.20까지
◦ 주요자원 : 석유(매장량 세계 3위), 천연가스(매장량 세계 2위), 석탄 등
◦ 시 차 : 한국시간보다 5.5 시간 느림
- 3-9월 서머타임 적용 기간에는 4.5시간 차이
Ⅱ. 자연, 지리환경
Ⅱ. 자연, 지리환경
7
Ⅱ. 자연, 지리환경
1. 지정학적 위치
◦ 아시아・유럽・아프리카 등 3대륙간 통로의 중심으로, 인더스 강과 티그리
스 강 사이의 이란 고원에 위치함. (북위 25°-40°, 동경 44°-63°)
◦ 전략적 거점 지역에 위치해 세력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근대 이후
열강이 각축해 왔음.
- 특히, 석유, 가스 자원의 보고인 페르시아만과 카스피해에 걸쳐있는 유
일한 나라
이란 개황
8
◦ 국경선
- 육지 국경선 총길이 : 5,440km
・ 동쪽은 아프가니스탄(936km), 파키스탄(909km), 서쪽은 이라크
(1,458km), 터키(499km), 북쪽은 아제르바이잔(611km), 아르메니
아(35km) 및 투르크메니스탄(992km) 등과 국경선 공유
- 해안선 총길이 : 2,440km(카스피해 해안선 740km 제외)
2. 지형 특색
◦ 지질학상 다양한 시기의 지층이 분포하며, 넓은 국토로 다양한 기후 및 풍
토가 존재함.
- 이란고원은 해저 융기로 생성 후 여러차례 지각변동 경험(전역에 바다
동물, 조개 등 화석 발견)
- 우거진 삼림 퇴적층에는 석유자원이 풍부하고 구리, 석탄, 석회석 등
다량의 지하자원 매장
- 지층 불안정으로 아르데빌(Ardebil)~호라산(Khorasan)~아프가니스탄
(Afghanistan) 연결선상에서 크고 작은 지진이 빈발하고 있으며, 유명
온천도 다수 존재
◦ 동서를 가로지르는 알보르즈(Alborz) 산맥과 남북을 가로지르는 자그로스
(Zagros) 산맥은 이란의 지형과 기후를 결정짓는 양대 산맥임.
- 특히, 알보르즈 산맥 산록은 이란 최대의 삼림지대이며, 이란내 최고봉
(5,671m)인 다마반드 산(Mt. Damavand) 소재
◦ 이란 중앙부의 광활한 카비르(Kavir) 사막과 루트(Lut) 사막은 바닷물이
증발되어 생성된 것으로 생물이 살지 못할 정도로 척박하며 대부분이 미
개척지임.
◦ 이란 서북부 우루미예(Orumieh) 호수는 최대 염분호수로서 주변에 각종
동・식물이 서식하며, 전국적으로 염분 함유의 호수가 다수 산재함.
◦ 카룬(Karun)강, 세피드(Sefid)강, 이스파한 도시 발흥의 배경이 된 자얀데
(Zayandeh)강 등 대소 하천은 식수 공급의 원천임.
Ⅱ. 자연, 지리환경
9
◦ 이란 북부 카스피해(424,240㎢)는 세계 최대의 내륙해로 중동지역 자원의
보고이며, 현재 연안국간 지하자원 개발과 배분 등을 위한 법적 지위에 관
한 협의가 진행중임.
◦ 이란 남부에는 세계 석유수송량의 약 1/3이 통과하는 호르무즈(Hormuz)
해협(가장 폭이 좁은 지역 : 55km) 및 페르시아만(240,000㎢)이 위치함.
- 페르시아만 연안에는 다수의 섬이 산재해 있으며, 아랍에미리트(UAE)
와 영유권 분쟁중인 3개 섬(△ Abu Musa △ Great Tunb △ Lesser
Tunb )과 자유무역지대인 케쉼(Qeshm)섬, 키쉬(Kish)섬 등이 유명
3. 기후와 강우량
◦ 카스피해 연안 서북부는 지중해성 기후, 내륙고원은 대륙성 또는 사막기
후, 페르시아만 연안은 아열대성 기후 등 지형에 따라 기후의 차이가 큼.
- 연평균 기온은 10℃~30℃이며, 오만해 인접 사막지역의 경우 여름 최
고 기온 55℃, 북부 산간의 경우 눈이 자주 오고, 겨울 최저 기온은
-20°C에 이름.
◦ 연평균 강우량은 약 300-350mm(10mm-2,000mm 분포)이며, 카스피해
연안은 2,000mm에 달해 이란내 최대 인구 조밀지역을 형성하고 있음. 이
란 북부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과 봄이 우기임.
- 대부분 지방은 물이 부족하여 까나트(Qanat)라는 지하수로를 통해 물
을 끌어 이용함.
4. 민족 구성
◦ 기원전 3,000-4,000년경 인도․유럽계의 일파인 아리아족(Aryan)이 중앙
아시아 부근에서 유럽대륙 및 이란고원으로 서남하하면서 원주민을 정복
하고 유목생활을 개시한 이래 다양한 인종이 이란 고원에 유입되었음.
- 게르만족이라는 혈통상 유사성은 이란․독일 양국간 유대의 근원
◦ 이란은 다민족국가이나 국가적 일체성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으며, 터키
계는 북부지역인 동서 아제르바이잔주, 쿠르드족은 이라크와의 중부 접경
이란 개황
10
코르데스탄(Kordestan)을 중심으로 분리 독립성향을 띄고 있음.
- 아랍인들은 주로 이라크 접경 남부 쿠제스탄(Khuzestan) 지역과 페르
시아만 연안에 거주하고 있으며, 발루치인들은 파키스탄 인근동부 국경
지역에 거주하면서 언어, 복장 등 민족적 전통을 보존
◦ 종교가 민족 문제보다 우위에 위치하고 있어 민족 요소를 경계하고 종교
를 통한 구심력을 강조함.
5. 주요 도시
◦ 테헤란은 이란 고원 북단의 알보르즈 산맥 남쪽에 위치, 고대에는 비단길
의 중간 기착지로서 현대에는 정치, 경제, 문화 및 교통의 중심지임. 테헤
란은 11세기 도시로 건설되어, 1789년 카자르 왕조 이래 이란의 수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
◦ 그 밖에 대표적인 도시로는 이스파한(Isfahan), 쉬라즈(Shiraz), 타브리즈
(Tabriz), 마샤드(Mashhad)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고대-현대가 접목
된 도시임. 종교적으로는 시아파 성지 마샤드와 1979년 이슬람 혁명의
본산지인 곰(Qom)이 대표적 도시임.
6. 종교
◦ 페르시아 고유 종교는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였으나, 7세기말 아랍
지배 이후 이슬람교가 지배 종교로 정착함. 이란 헌법 12조에는 이란의
공식 종교를 이슬람 시아파(Islam and the Twelve Ja'fari School)로 명
시하고 있음.
- 이슬람교 외에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아르메니아정교 등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소수 종교이며, 특히, 약 20만에 이르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상당
한 수준의 종교적 자치 향유
◦ 종교가 생활의 중심으로서 종교 지도자는 금요 기도회(Friday Prayer) 등
을 통해 대내외 정책을 평가하고 여론을 선도하고 있음.
Ⅲ. 약 사
Ⅲ. 약사
13
Ⅲ. 약 사
1. 고대 이란
가. 선사시대
◦ 아시아 초원에 살던 아리안인(인도-유럽어족)이 기원전 3,000-4,000년
경에 서쪽과 남쪽을 향해 대규모로 이주하기 시작하였으며 남쪽으로 이동
한 부족 중 하나가 기원전 2,500년경 이란 고원에 정착하게 됨.
- 반면, 서진한 부족은 유럽대륙에 정착하여 독일인, 슬라브인, 그리스인,
라틴족 등의 원조가 되었고, 남진을 계속한 부족은 인도 북부에 정착하여
先住民인 드라비다族과의 혼혈과정을 거쳐 현재의 인도족의 기원이 됨.
◦ 이란 고원에 정착한 아리안족은 이합집산의 과정을 거쳐 Scythian족(동북
부 정착), Medes족(중부, 서북부 정착), Persian족(남부, 서남부 정착)으
로 大分되어 갔으며 점차 先住民의 위치를 침탈하고 지배부족이 됨.
나. 메디아 왕조 (B.C. 780 ~ B.C. 550)
◦ 기원전 8세기말경 이란인의 일파인 메디아(Medes)인들이 앗시리아로부터
독립하여 남부 이란과 소아시아에 걸치는 국가를 건설함. 이는 이란인이
세운 최초의 왕조이나 중앙집권국가를 이루지는 못하고 지방세력이 혈연
관계를 통해 중앙권력과 연계된 형태의 연방체로 운영됨.
◦ 기원전 621년 메디아 왕국은 비옥한 초승달 지역(현재의 이라크)을 두고
바빌론과 대적함. 바빌론은 이란 남부 지방을 통치하고 있던 아케메네스家
의 키루스(Cyrus)와 동맹을 맺고 메디아 왕국을 정벌함.
다. 아케메니아(Achaemenid) 왕조 (B.C. 550~B.C. 330)
◦ 키루스(Cyrus)는 새로 아케메니아 왕조를 열고 주변의 군소국가를 통합하여
이란 개황
14
소아시아, 아르메니아 지역, 그리고 지금의 힌두쿠시 지방까지 세력을 확장
하여, 페르시아 제국의 기초를 다짐.
◦ 키루스 대제는 이란 민족을 처음으로 통합하고 당시 문명세계의 대부분을
정복하였으나, 피정복민들을 관용정책으로 대하였음.
- 이로 인해, 현재 이란인들은 키루스 대제를 군사적인 성취를 이룩한 정
복군주보다는 관용과 예지를 갖춘 이상적인 통치자로서 존경하고 있음.
◦ 다리우스(Darius) 1세는 인도 북부에서 지금의 불가리아 남부까지 영토를
확장, 이란 역사상 가장 방대한 영토를 통치한 군주가 됨.
- 다리우스 1세의 영토 확장에 따라 소아시아 지역(터키 서해안)에 위치
하고 있던 당시의 그리스 식민 도시들은 페르시아에 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며 아테네가 이들을 지원하자 3차에 걸쳐 그리스를 침공(B.C.
492~480)
◦ 기원전 492년의 1차 원정은 폭풍으로 인해 실패하였고 2차 원정(기원전
490년)때에는 아테네 동북쪽 마라톤 평원까지 진격하였으나 아테네군에게
대패하였으며 바로 이 전투가 마라톤 경기의 기원이 된 마라톤 전투임.
◦ 다리우스 1세는 3차 원정을 준비하던 중 사망하였고 그의 뒤를 이은 크세
르크세스(Xerxes)가 4차례에 걸쳐 원정을 시도하였으나 살라미스 해협에
서 아테네 해군에게 궤멸됨으로써 10여년에 걸친 그리스 원정은 실패함.
- 그의 사후 피정복민의 반란과 지배층 분열, 왕권 다툼의 혼란 속에 국
력이 쇠퇴하기 시작
◦ 아케메니아 왕조는 중앙집권 체제와 튼튼한 경제사회체제를 이룩하여 명
실상부한 제국의 틀을 갖추었음. 다리우스 1세가 완성한 행정 조직은 중
앙집권과 봉건제도가 혼재된 체제로서 전국을 satrapsy(속주)라고 불리는
20개의 행정구역으로 분할하고 지방행정책임자(태수, satrap)가 상당한 재
량권을 갖고 이를 지배하는 형태였음.
- 그러나 치안 및 동원을 담당하는 장군과 관리는 중앙정부와 긴밀한 직
보체계를 유지하였으며 제국 전역은 촘촘한 도로망과 국가가 운영하는
역마체제(postal system)로 연결되어 국내 아무리 오지라 하더라도 15
일 이내에 연락이 가능
Ⅲ. 약사
15
◦ 페르시아제국의 안정된 지배는 동서교역을 촉진시켰으며, 페르시아어가 중
동지역은 물론 유럽에까지 전파, 현대 영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
- 예컨대, bazzar, shawl, sash(허리띠), turquoise(보석 종류), orange,
lemon, melon, peach, spinach, asparagus 등 일부 영단어들은 페르시
아어에 기원
◦ 무역 외에는 농업과 주변 속국의 조공이 국가의 주요 수입원이었으며 지
금 쉬라즈(Shiraz)市 인근에 남아 있는 Persepolis 離宮에는 조공을 바치
는 23개 주변국가 사절단의 모습이 뚜렷하게 浮彫로 남아 있음.
라. 알렉산더 대왕의 침공(B.C.333~B.C.330)과 셀루키드(Seleucid) 왕조
(B.C 312~B.C 247)
◦ 아케메니아 왕조는 기원전 330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멸
망하였으며 그의 사후 부하 Seleucus 장군과 후손이 일부 이란을 지배함.
마. 파르티아(Parthia) 왕조(B.C.247~A.D. 224)
◦ 타지키스탄 지역의 반유목민인 파르티아족(이란족과 스키타이족의 혼혈)
이 Arsaces의 지도하에 강성하기 시작하여 B.C. 247년에 셀루키드 왕조
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파르티아 왕조를 성립함. 파르티아 왕조는
미트라데이트(Mithradates) 2세(기원전 123~87) 때 흥성하여 인도와 아
르메니아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을 통치하여 아케메니아 왕조의 영광을 재
현하였으며 당시 서양을 통일한 로마제국과 수차례 대적하였음.
◦ 동서양을 잇는 교역이 흥성하였으며 지배층은 조로아스터교를 숭배하였으
나 일반 대중까지 침투하지는 못하였음.
◦ 주변 국가에 비해 신분이동이 가능했던 비교적 개방사회였으며 파르티아
족의 본거지인 파르타브(Parthav) 지방의 언어인 팔레비(Pahlavi)가 행정
어로 사용되었으며 1979년 이슬람혁명으로 붕괴된 팔레비 왕조는 바로 이
이름을 딴 것임.
이란 개황
16
바. 사산(Sassan)조 페르시아 (224~652)
◦ 파르티아 왕조는 神官의 아들 아르다쉬르(Ardashir)에 의해 224년 정복되
었으며 그가 사산이라고 불리는 전설적인 영웅의 후계자라고 자처한 까닭
에 사산 왕조라 불리워짐.
- 사산 왕조는 전국을 12개주로 분할하고, 중앙집권체제를 수립하였으며,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지정(조로아스터교 승려를 지방관으로 파견하
여 정교 일체의 강력한 집권체제 추구)
◦ 조로아스터교의 지나친 숭배로 인해 승려들은 막강한 세력을 형성하여 준
독립적인 지위를 향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 사무까지 관장하
였으며 이는 곧 국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 골육간의 왕권
투쟁, 극도의 사치, 사회기강과 윤리의 문란 등으로 국력이 쇠진, 결국 아
랍족에게 멸망됨.
◦ 사산朝 페르시아는 왕족과 귀족, 승려, 군인, 상인, 농민으로 구성된 계급
사회로 신분 이동이 어려웠음.
- 조로아스터교 승려들의 권세가 강하여 종교적인 개혁운동이 수차 일어
날 정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관용성으로 인해 기독교가 특별히
박해받지는 않았음
◦ 대외관계는 로마와의 긴장관계가 지속, 동서양 양대 제국의 패권다툼이라
는 양상이었음.
◦ 동서양의 교역이 흥성하였으며 현재 바그다드 인근에 위치하였던 수도 크
테시스폰(Ctesisphone)은 당시 200만이 거주하였던 대도시였음.
2. 중세 이란
가. 아랍족의 지배 (651-1037)
◦ 모하메드 사후 1대 칼리프로 취임한 아부 바크르(Abu Bakr)는 비잔틴 제
국과 사산조 페르시아에 대한 정벌을 시작하여 650년 아부 바크르가 이끄는
아랍군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수도인 크테시스폰을 점령하고 651년 사산조
Ⅲ. 약사
17
군대를 대파, 이란 전역을 장악함.
- 이란을 최초로 정복한 정통 칼리프왕조(650~661)에 이어 우마위야
(Umayyad) 왕조(661~750), 압바스(Abbasid) 왕조(750~821)가 계속
하여 이란을 지배
◦ 아랍인은 통설과는 달리 점령 지역민의 개종을 무력으로 강요하지는 않았
으며 이슬람 개종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발적인 개종
을 유도함.
- 이란인의 개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었던 것은 이란의 조로아스터교
가 유일신, 천사와 악마의 절대 이분법 교리, 최후의 심판 등 이슬람교
와 여러가지 면에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
◦ 아랍인들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화폐제도, 행정제도 등 각종 국가 운영체제
를 답습하였으며 이란인은 아랍 지배왕조의 관료로 봉직하면서, 교육, 철
학, 문학, 법학, 의학 등 학문 발달에도 기여함.
- 아랍어는 공식어로 채택되어 지배층에서는 광범위하게 통용되었으나
일반 민중은 계속하여 페르시아어를 사용
나. 셀주크 투르크의 지배 (1037~1220)
◦ 압바스(Abbasid) 왕조는 9세기경부터 투르크계 전사를 고용하였으나 점차
왕조의 권력이 약해지고 이들이 실제 통치를 담당함.
◦ 투르크계인 셀주크(Seljuk)족 투그릴 베그(Tughril Beg)가 지금의 아프가
니스탄 지역에서 흥성하여 이스파한(Isfahan)을 중심으로 시리아, 이라크,
인도에 이르는 제국을 건설하여 이란은 아랍족에 이어 다시 이민족의 지
배를 받게 됨.
다. 몽고족의 지배(1220~1502)
◦ 셀주크 투르크는 몽고군에게 바그다드를 점령당함으로써 1219년 궤멸되었
으며 몽고족은 이란 전역을 황폐화하고 대규모 학살을 자행함.
- 몽고군의 잔혹한 침략은 이란의 발전과 국민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
이란 개황
18
쳤으며 특히 광범위한 학살로 인해 격감된 인구는 20세기 중반에야 몽
고침입 이전 수준을 회복할 정도
- 이란인의 특징으로 권력에 대한 공포와 순종을 거론하는 경우가 많은
데 몽고족의 침입 이후 이러한 특징이 더욱 굳어진 것으로 평가
◦ 칭기즈 칸(Chengiz Khan) 사후 이란을 할당받은 그의 손자 훌라구 칸
(Hulagu Khan)은 일(Il)한국의 지배자가 되었음.
- 꺼전 칸(Ghazan Khan) (1295~1304) 치세에 조세 감면, 농업장려, 관
개시설 재건, 교역로 안전 강화 등의 선정을 펼쳐 다시 무역이 흥성하
였고 이란은 인도, 중동, 유럽, 중국의 문화 문물의 경유지로 번창
◦ 일 한국은 꺼전 칸의 조카였던 아부 사이드(Abu Said) 왕이 1335년 사망
한 후 사분오열의 과정을 거쳐 국세가 쇠잔하였음.
◦ 당시 이란 동북부에는 칭기즈 칸의 3남 차가타이(Choghtei)의 후손이 여
러 소국을 이루고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중 티무르가 강성하기 시작, 이란
을 두차례 침공하고 북인도, 서역, 소아시아에 이르는 제국을 건설하였음.
- 티무르 제국은 1405년 그의 사후 급속히 약화되었으나 1502년 이란인
이 제국을 통일할 때까지 명맥은 유지
◦ 몽고지배 시대는 이란의 문학이 발달한 시기로, 루미(Rumi), 사아디
(Saadi), 저미(Jami), 허페즈(Hafez) 등 국민시인들이 속출하였음.
- 허페즈는 아랍 강점기의 페르도시(Ferdowsi) (935~ ?)와 더불어 이란
시문학의 거성으로 추앙
3. 근대 이란
가. 사파비(Safavid) 왕조(1502~1722)
◦ 이란 서북부 지방에 은둔하던 시아파 집단이 이스마일(Ismail)의 영도하에
정복 전쟁을 개시하여 1502년에는 타브리즈(Tabriz)를 수도로 한 통일왕
조 사파비 왕조를 수립함으로써 이란은 652년 아랍족의 침입 이후 약
1,000년 만에 이민족의 지배를 벗어나 자신들의 왕조를 다시 열게 됨.
- 오랜 이민족 통치는 이란인들에게 잠재적인 반외세 심리와 이방인에
Ⅲ. 약사
19
대한 환대라는 상반된 의식구조를 유산으로 남김
◦ 이스마일은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지정, 향후 이란의 국민의식과 문화
전반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음.
- 초기 사파비 왕조는 신정체제로서 이스마일은 聖俗의 모든 권한을 행
사하였으며 성직자, 관료, 군대의 3대 권력집단이 국왕 보조
◦ 초기 사파비 왕조는 수니파 오스만 터키제국으로부터 끊임없는 침략을 받
았으며, 1524년 수도인 타브리즈가 함락되는 등 국가발전의 장애가 됨.
◦ 사파비 왕조의 전성기는 압바스 대제(Shah Abbas) 치세(1587~1629)시
기로서 그는 일단 오스만과 강화를 맺고 서쪽 국경의 안전을 도모한 후
동쪽 국경을 위협하던 우즈벡을 격퇴시킴.
- 이어 오스만과의 전쟁을 개시, 이라크, 조지아, 코카서스 일부 지방을
탈환함으로써 사파비 왕조 개국 이래 계속되어 온 외침의 위협을 해소
◦ 압바스 대제는 사병을 혁파하고 관료제를 강화하여 중앙집권제를 공고히
하였으며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여 아랍족의 침입 이후 쇠퇴일로에 있던
페르시아 예술과 문화를 부흥시켰음.
- 이스파한을 새 수도로 정하고 각종 사원과 궁전, 학교, 다리 등을 건설
하여 당시 이스파한은 ‘세상의 절반’(Nesf~e Jahan)이라 호칭
- 지금도 이스파한은 이란의 심장(Heart), 테헤란은 두뇌(Brain), 종교
중심지 곰(Qom)은 흔히 이란의 영혼(Soul)으로 비유
- 압바스 대제 치하 이란은 전국 주요 도시들을 잇는 도로망과 숙박시설
이 건설되었으며, 비단교역을 독점, 국가 재정을 비축함으로써 동서양
교역중심지로서 크게 발전
◦ 압바스 2세(1642~1666)는 증조부 압바스 대제를 본받아 문화예술을 진
흥하고 산업발전에 노력하였으나, 군사적인 능력과 정치력은 증조부에 미
치지 못하여 계속되는 지방의 반란을 다스리지 못하는 등 제국의 기초가
와해되기 시작하였음.
- 그 후에 즉위한 왕들은 대부분 궁중생활의 방탕함과 유희에 탐닉하여
국고를 낭비하고 국가 관리에 무관심하였음. 이러한 유약하고 무책임한
왕들의 국정 방임은 妻妾家의 국정 개입, 국유지의 관리 부실, 과도한
세금, 교역 쇠퇴, 군대 부실로 이어져 국가는 붕괴단계에 돌입
이란 개황
20
◦ 1736년 신흥 군벌 나데르(Nader)가 실권을 장악한 뒤 왕으로 즉위하니
사파비 왕조는 220년만에 소멸하였음.
◦ 나데르 샤(Nader Shah)는 코카서스, 아르메니아, 카스피해 연안, 아프가니
스탄에 대한 지배권을 회복하고 1739년에는 인도까지 침공하였으나 감당
할 수 없는 대외 원정과 과도한 조세로 국정이 피폐하여 1747년 암살됨.
- 그 후 이란은 1794년 카자르 왕조 건국 이전까지 아프셔르(Afshar)
왕조, 잔드(Zand) 왕조, 카자르(Qajars)왕조 등의 여러 왕조가 부침을
거듭하는 혼란기에 돌입
나. 카자르(Qajars) 왕조 (1794~1925)
◦ 카자르가의 어거 모하메드 칸(Agha Mohammad Khan)(1794~1797)은 잔
드가를 케르만(Kerman)에서 평정, 이란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1794년 카자르 왕조를 건설함.
- 1796년 테헤란으로 천도하였으며, 영토를 확장하고, 러시아의 침입을
격퇴
◦ 2대 파트 알리 샤(Fath Ali Shah) (1797~1834)는 향락과 사치에 탐닉,
국고를 탕진하였으며, 러시아와는 두 차례의 전쟁 끝에 1828년 투르크만
차이 조약을 통해 코카서스 지방을 할양하는 등 19세기 중엽부터 러시아
와 영국의 이란 진출이 본격화됨.
◦ 4대 너세르 알 딘 샤(Naser ad Din Shah) (1848~1896)는 1857년 파리
조약을 통해 헤라트(Herat)를 포함한 아프가니스탄 영토를 영국에 할양함
으로써 현재와 같은 이란의 국경선 윤곽이 나타나게 되었음.
- 이후 미르저 타기 칸(Amir Mirza Taqi Khan) 재상은 부패한 관료제도
혁신과 조세제도 정비, 이슬람 성직자와 외국세력 퇴치, 대학 수립 등
과감한 개혁정책을 시도하였으나 관료들의 저항과 권력집중을 우려한
왕에 의해 암살당함으로서 이란은 중흥의 호기를 상실
- 통상 아미르 카비르(Amir Kabir)라고 불리는 이 재상은 국가경영에 대
한 비전과 능력을 갖추었던 인물로 이란 역사에서 크게 존경받는 인물
이며, 많은 이란인들이 그의 중단된 개혁을 아쉬워하고 있음
Ⅲ. 약사
21
◦ 카자르 왕조의 근대화 정책은 자체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영국의 압력에
의해 진행, 영국의 경제침탈이 본격화됨.
- 특히, 왕실의 부패와 사치 및 서양 열강에 이권을 헐값에 매각하는 행
위가 계속되자 상인, 학생, 지식인 등을 중심으로 왕권을 법적으로 제
한하려는 제헌 움직임 분출
◦ 1907년 러시아와 영국은 이란을 양분하여 자신의 세력권하에 두는 영러
조약을 체결하는 등 본격적인 수탈을 개시하였으나, 중앙정부는 아무런 조
치도 취할 수 없었으며, 1909년 7월 제헌파는 수도 테헤란에 입성하여
Shah를 폐위하고 헌정을 복귀시켰음.
◦ 이러한 와중에 이란은 1911년 제1차 세계대전 중 영국, 러시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당하기도 하였으며, 1917년 친러세력이 러시아 공산혁명
의 와중에 약화되자 영국은 1919년 사실상 이란을 보호령화하는 조약을
체결함.
- 이에 따라, 이란인들의 반영감정은 극에 달하였으며 이를 배경으로
1921년 페르시아 코사크부대 사령관인 레자 칸(Reza Khan)이 반란을
주도, 전권을 장악
◦ 1923년 카자르 왕조의 마지막 왕인 아흐마드 샤(Ahmad Shah)가 국외 망
명함에 따라 1925년 레자 칸은 카자르 왕조의 종식을 선언하게 됨.
4. 현대 이란
가. 팔레비 왕조 (1925~1979)
◦ 1925년 레자 샤 팔레비(Reza Shah Pahlavi) (1925~1941)로 등극한 레
자 칸(Reza Khan)은 이란의 근대화에 주력하여 과감하고 체계적인 서구
화 작업을 주도, 우선 군대를 혁신하여 상비군화 한 후 중앙집권을 회복하
였으며 통치체제와 관료제를 혁신하였음.
- 그는 전국적인 초중등 교육제도를 도입하고 1935년에는 근대적인 대학
을 설립
- 근대적인 교육기관은 새로운 관리와 혁신세력의 배양처가 되었으며 경
이란 개황
22
제가 회복됨에 따라 새로운 중산층이 권력의 기반으로 등장하기 시작
◦ 레자 칸의 개혁정책은 성직자들의 세속적 권한을 타파하고 국가지배체제
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음.
- 즉, 아동들에 대한 코란 교육의 형태로 교육을 사실상 독점하여 왔던
성직자들이 근대적인 교육제도 도입으로 교육에서 배제되었으며 근대
적 사법체계는 성직자들의 자의적인 판결 관행을 금지
- 여성해방에도 주력하여 1936년 차도르의 착용을 금지시키고 서양복제
를 장려
◦ 레자 샤(Reza Shah)는 기득권 수호에 집착하는 기존세력을 분쇄하고 자
신이 의도하는 개혁을 실현시키기 위해 정치적으로는 탄압노선을 선택하
였음. 그는 의회를 무력화시키고 언론을 탄압하였으며 개혁의 수단인 관료
집단도 그 세력이 커지자 감시의 대상이 되었음.
- 근대화로 인해 봉건적인 특권을 박탈당한 이슬람 성직자들은 팔레비
왕가의 적대세력으로 등장
◦ 레자 샤의 근대화 정책은 봉건적 토지소유 제도를 혁파하지 못함으로써
봉건적인 사회구성 방식 그 자체를 변화시키지 못한 채 외견상의 면모만
을 일신하는 데 그쳤으며 개혁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지주가 아닌 농민들
로부터 과도한 조세의 형태로 조달할 수 밖에 없어 개혁정책은 외견상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 지지 기반이 취약하였음.
◦ 1939년 2차대전의 발발과 함께 이란은 중립을 선언하였으나, 1941년 영
국과 소련은 레자 샤가 이란내 독일 기술자들을 추방하지 않는다는 이유
로 이란을 침공, 레자 샤를 체포함.
- 레자 샤는 아들 모하마드 팔레비(Mohammad Reza Pahlavi)
(1941-1979)에게 양위하고 권좌에서 물러났으며, 1944년 요하네스버
그에서 사망
◦ 1941년 팔레비 국왕 즉위 후 이란은 연합국의 병참기지가 되었으며, 친서
방 노선 강요로 1943년 독일에 선전포고함.
- 2차대전은 생필품 부족, 물가 앙등 등 경제적 어려움과 함께, 외국인
혐오증과 극단적 민족주의 배양
Ⅲ. 약사
23
◦ 팔레비 국왕은 종전 후 석유 국유화를 주장하는 국내 요구가 비등하자, 어
쩔 수 없이 모사데크(Mossadeq)를 총리에 임명하였으며, 모사데크 총리
는 취임과 동시에 유전 국유화를 단행함.
- 이에 영국은 경제보복을 단행하였으며, 모사데크 총리에 대한 국민적
지지는 석유수입 감소, 외환부족 등 경제적 어려움과 함께 그의 독재적
성향으로 약화되기 시작
◦ 미국은 1953년 영국과 함께 이란 군부를 사주하여 쿠데타를 일으켰으며,
모사데크 축출 후 팔레비 국왕은 노골적으로 친미 친영노선을 견지함.
- 국내적으로는 주요 정당을 해산하고 언론을 통제하는 한편 비밀경찰
(SAVAK)을 통해 반대파를 탄압함으로써 강력한 권력 장악에는 성공
하였으나 국민대중과 유리되는 결과를 초래
◦ 1963년 팔레비 국왕은 국가개혁을 기치로 6개항의 개혁조치를 국민투표
에 회부하여 소위 ‘백색혁명’을 단행함.
- 주 내용은 △ 삼림과 목초지의 국유화 등 토지개혁, △ 근로자에 대한
회사 이윤 분배, △ 정부소유 공장 매각, △ 노동자, 농민에 유리한 선
거법 개정, △ 문맹퇴치 사업 종사자에 대한 병역 면제, △ 여성 투표
권 허용 등
- 특히, 백색혁명의 핵심은 토지개혁이나, 당시 이슬람 성직자 상당수가
지주인 상황을 감안시, 그의 개혁정책은 수백년 이어 내려온 성직자의
지배적 지위와 특권을 폐지하는 것이어서 성직자 계급의 강한 반발에
직면
◦ 이슬람 성직자들은 당시 존경받는 성직자였던 호메이니의 지도 아래 백색
혁명에 대한 반대운동을 개시하였으며 호메이니는 이로 인해 가택연금되
었으나 후에 국외 망명(터키에서 이라크로 정착)하였음.
◦ 팔레비 국왕은 중동 및 걸프지역의 경찰 역할을 자임하면서 미국산 무기
구입에 막대한 비용을 소비하는 등 군비확충에 노력함. 1970년대 미국의
후원 아래 이란은 OPEC 및 중동지역의 지도적인 국가로 성장하였으나,
국민 대다수는 친미노선을 비굴한 외세 의존으로 이해하였으며 팔레비 왕
조의 비민주성, 빈부 격차, 이슬람 전통을 무시한 서구화와 함께 국민의
저항의지를 자극하게 됨.
이란 개황
24
나. 이슬람 혁명 시작
◦ 1976년 후반부터 이란 경제는 눈에 띄게 악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란의
서구화 및 친미노선은 이슬람 문화와 정체성을 훼손하고 국가의 자손심이
손상되고 있다는 불안감을 자극함.
- 이에 따라, 팔레비 국왕에 대한 국민적 반감은 반왕정 시위의 형태로
구체화
◦ 1978년 1월 Shah 정부는 호메이니가 영국의 간첩이며 동성애자라는 음해
기사를 親정부지에 게재함으로써 국민을 자극하였으며, 곰(Qom)市 신학
생 데모를 유혈진압함.
- 이스파한市의 바자르(Bazaar)가 항의표시로 철시하고 시위에 나서자
이를 다시 무자비하게 해산하는 등 1978년 벽두부터 반정부 시위와 유
혈진압의 악순환이 시작
- 1978년 9월에는 성난 군중들이 테헤란시 잘레(Jaleh) 광장에 운집하였
으며, 테헤란에서도 총성이 울리고 유혈극 시작
◦ 1978년 10월 이라크는 팔레비 국왕의 압력에 따라 호메이니를 프랑스로
추방하였으나 그의 프랑스 망명은 국제적 언론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함으
로써 이란 반정부운동이 국제적 주목을 받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됨.
◦ 팔레비 국왕은 국내외 하야 압력이 고조되자, 1978년 12월 온건계 반대파
인 민족전선(National Front) 지도자 박티아르(Bakhtiar)에게 사태 수습을
요청하였음.
- 박티아르는 국왕 출국을 조건으로 수상에 취임하였으며, 팔레비는
1979.1.16. 이란을 떠남.
- 1979.2.1에는 호메이니가 귀국하였으며, 박티아르 총리는 2.12. 망명함
으로써 왕정이 종식
다. 이란회교공화국 (1979~현재)
◦ 1979년의 이슬람혁명은 이란 역사상 최초로 민중 봉기로 지배자를 교체한
사례이며 이란은 이후 왕정이 아닌 이슬람공화국을 國體로 채택, 이란 역
사상 최초의 공화정이 탄생하게 됨.
Ⅲ. 약사
25
◦ 호메이니 귀국 후 측근들에 의해 조직된 이슬람혁명위원회가 사실상 정부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호메이니 스스로 칙령을 반포하고 정부 각 기구에
자신의 대표자를 파견하거나 새로운 국가기구를 임의로 설치하는 등 중앙
정부와는 별도로 권한을 행사하여 정식 국가기구에 의한 행정은 용이치
않았음.
- 혁명재판소, 혁명위원회 등 혁명기구는 실질적 행정 외에도 舊정권 인
사 및 적대세력을 임의로 구속 처형하였으며 정규군과 별도로 이슬람
혁명수비대(IRGC : Islamic Revolution Guard Corps)를 신설하여 이들
의 행동을 무력으로 뒷받침
◦ 1979년 12월 이슬람 공화정을 표방한 신헌법이 채택되었으며, 팔레비 일
가가 미국에 도착한 직후 1979.11.4 분노한 일단의 대학생들이 테헤란 주
재 미국 대사관을 점령하고 공관원들을 인질로 억류하는 사태가 발생함.
◦ 1980년 1월 신헌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바니 사드르(Bani
Sadr)가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음.
- 그는 혁명기구를 국가기구로 편입시켜 국가를 정상화하려고 시도하였으
나 성직자 중심의 이란 공화당(IRP) 출신 라자이(Rajai) 총리와 대립하
여 별다른 정치적 성과를 거두지 못한 가운데, 국회의 탄핵으로 실각함.
- 바니 사드르는 1981년 7월 파리로 망명한 후, 국민저항이사회
(National Resistance Council)를 결성, 호메이니 축출 운동을 전개
◦ 바니 사드르의 실각은 성직자, 자유주의 성향의 중산층, 급진주의자간의
연합으로 구성된 혁명세력 내부의 권력투쟁이 성직자의 승리로 마감되었
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후 이란 사회는 전반적으로 더욱 이슬람화되었음.
◦ 1981년 12월 호메이니는 혁명기구의 무단 가택침입, 즉결 처형, 재산 몰
수 등의 불법행동을 금지하였으며 혁명기구를 공식 정부기구화하는 작업
에 착수하는 등 혁명이 점차 초기의 불안단계를 극복하고 제도적으로 완
성되었음.
◦ 이러한 가운데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대통령은 이란-이라크 양국이 접경
하고 있는 샤트 알 아랍(Shatt al-Arab) 수로의 영유권 분쟁을 이유로
1980년 9월 주변 아랍국들의 명시적, 암묵적 지지 속에 이란과의 전쟁을
개시함.
이란 개황
26
- 이라크의 진정한 개전 이유는 잠재적 위협국인 이란이 취약한 틈을 타
이란을 제거하고자 한 것이나, 이란은 전쟁 초반 열세를 극복하고 반격
에 나섰으며, 1982년 말부터 전쟁은 지리한 소모전에 돌입
◦ 이란-이라크 전은 1988년 8월 수년간에 걸친 UN 중재 끝에 종료되고
1989년 6월 호메이니도 사망한 후 이란은 비로소 정상적인 국가 운영에
나설 수 있었음.
- 혁명 직후 외부와의 전쟁은 국민의 단결을 유도하여 오히려 혁명을 조
기에 공고히 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
◦ 호메이니 최고지도자 사망 후 집권층 내 보수파와 개혁파로 통칭되는 양
대 정치세력은 대외정책, 경제운영, 사회문화 발전 방향 등 국정 운영을
두고 대립하였으며, 1997년 개혁파 하타미 대통령(1997-2005)의 취임과
더불어 양측간 대립이 심화되었음.
◦ 2005년 6월 대통령 선거에서 강경보수파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저소
득층 유권자들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후, 이란 사회의 전반적인 보수화
가 촉진됨.
◦ 2009년 6월 대통령 선거에서 여론조사 결과와 달리 아흐마디네자드 대통
령이 재선된 것으로 발표되자 국내 개혁세력들은 “민주화 운동(Green
Movement)”을 전개하였으나, 집권 보수세력에 의해 강제 진압되었으며,
개혁세력이 크게 약화됨.
◦ 2012년 3월 제9대 총선에서 주요 개혁세력이 불참한 가운데 집권 보수세
력이 압승을 거둠으로써 역대 가장 보수적인 국회가 출범하게 됨.
Ⅳ. 정치, 행정
Ⅳ. 정치, 행정
29
Ⅳ. 정치, 행정
1. 헌 법
가. 기본원리
◦ 이슬람 혁명 이념 및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이슬람 지상주의 사회 구현
목표로 함.
* 선지자 모하메드(Mohammed)의 교시인 코란(Quran), 순나(Sunna, 전통), 하디스
(Hadiths, 언행록)의 주요 이슬람 원리를 반영
◦ 형식상 3권(입법, 행정, 사법) 분립 원칙을 따르고 있으나, 최고지도자가
신정주의(Velayt-e Faqih) 원칙에 따라 동 3권에 우선하여, 국정전반에
관한 통치 지배권을 행사함.
- 특히, 헌법수호위원회(Guardian Council)는 이슬람 혁명 수호를 위한
핵심 통치기관
나. 89.7 개정 헌법의 주요 특징
◦ 1989년 헌법은 혁명의 유산인 국가지도자위원회(Leadership Council)에
의한 집단지도체제가 비효율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동 위원회를 폐지하고,
각 통치기구 책임자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는 방향으로 개정이 이루어짐.
◦ 최고지도자를 국민에 의한 직접선거가 아닌 국가지도자운영회의(Assembly
of Experts)를 통해 선출토록 함.
- 국가지도자위원회(Leadership Council)를 폐지하여, 최고지도자 1인 중
심체제로 전환
- 총리제 폐지 및 부통령제 신설, 대통령 권한 강화
이란 개황
30
정 부 기 구 표
최고지도자
(Supreme Leader)
국가지도자운영회의
(Assembly of
Experts)
국정조정위원회
(Expediency
Council)
최고국가안보위원회
(Supreme National
Security Council)
헌법수호위원회
(Guardian
Council)
입법부
(Islamic
Consultative
Assembly :
Majlis)
행정부
(Executive)
사법부
(Judiciary)
국회의장
(Speaker)
대통령
(President)
사법부 수장
(Head of
Judiciary)
상임위원회
(Permanent
Committee)
부통령
(Vice
President)
각급법원
교
육
부
통
신
정
보
통
신
부
정
보
부
경
제
재
정
부
외
교
부
보
건
의
학
교
육
부
농
업
부
법
무
부
국
방
부
도
로
도
시
개
발
부
과
학
기
술
부
문
화
이
슬
람
지
도
부
조
합
노
동
복
지
부
내
무
부
석
유
부
에
너
지
부
체
육
청
소
년
부
공
광
상
업
부
(18개 부처)
Ⅳ. 정치, 행정
31
2. 최고지도자 (Supreme Leader)
◦ 국가, 정치, 종교적 최고 권력자로서 국가지도자운영회의(Assembly of
Experts)에서 선출되며, 종신직이나, 직무이행 불능 또는 지도자로서 자격
상실 및 자질 결여 등 사유 발생시 국가지도자운영회의에 의해 해임 가능함.
◦ 국가지도자운영회의와 협의하에 국가최고정책 결정권, 국가정책 집행 감독
권, 임면권, 국민투표 선포권, 군통수권, 전쟁 선포 및 동원권, 헌법수호
위원회의 일부 위원, 사법부 수장, 국영 라디오 및 TV 방송국장, 합참의
장, 이슬람혁명수비대장, 군사령관 등 임면권, 입법, 행정, 사법부간 3부
조정권, 선출된 대통령 인준권 및 해임권, 사면권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
사하고 있음.
◦ 연 혁
- 제1대 : Ayatollah Ruhollah Khomeini (79.3 ~ 89.6)
- 제2대 : Ayatollah Seyyed Ali Khamenei (89.6 ~ 현재)
◦ 지도자 산하 조직 (최고지도자 대표 파견 감독)
- 반왕정 항거기념재단 (Panzdah Khordad Foundation)
- 순교자 재단 (Martyr Foundation)
- 주택 재단 (Housing Foundation)
- 문맹퇴치 운동기구 (Literacy Movement)
- 문화혁명 최고평의회 (Supreme Council of Cultural Revolution)
- 이슬람 선전조직 (Islamic Propaganda Organization)
- 토지분배위원회 (Land Allocation Committees)
3. 대통령(President) 및 행정부
◦ 대통령은 최고지도자와 달리 직접, 보통선거로 선출되며, 헌법상 권력 서
열은 제2위임. (임기 4년, 1회 한해 연임 가능)
◦ 국회가 2/3찬성으로 대통령 불신임시 최고지도자는 대통령을 해임할 수
있음.
이란 개황
32
◦ 역대 대통령
- 제1대 : 바니 사드르 (80.1-81.6) *혁명 초기 강-온 세력 대립
과정에서 탄핵 축출
- 제2대 : 라자이 (81.7-81.8) * 테러사건으로 사망
- 제3, 4대 : 하메네이 (81.10-89.8)
- 제5, 6대 : 라프산자니 (89.8-97.6)
- 제7, 8대 : 하타미(97.6-05.6)
- 제9, 10대 : 아흐마디네자드(05.8-현재)
◦ 대통령은 부통령(2012.4월 현재 12명), 장관(18명)으로 구성된 내각을
관장하며, 장관은 부통령과 달리 국회의 인준을 받아야 공식 임명됨.
* 국회는 각료 전체 또는 개별 장관에 대해 불신임권을 보유
◦ 내각 (18개 부처)
- Education
- Communication and Inforamtion Technology
- Intelligence
- Economy and Finance
- Foreign Affairs
- Health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 Agricultural Jihad
- Justice
- Defense and Logistics
- Roads and Urban Development
-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 Culture and Islamic Guidance
- Cooperatives, Labor and Social Affairs
- Interior
- Petroleum
- Energy
- Sport and Youth Affairs
- Industrial, Mining and Trade
Ⅳ. 정치, 행정
33
4. 국 회 (Islamic Consultative Assembly : Majlis)
◦ 국민의 직접 보통선거로 선출되며, 의원 정수는 290명(임기 4년)으로 헌
법상 소수종교에 5석을 배정하고 있음. (아르메니아정교 2, 조로아스터교
1, 유대교 1, 앗시리아정교 1)
* 헌법 64조에 따라 매 10년마다 20석 이하의 의석 증원 가능
◦ 입법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국회의결 법안은 헌법수호위원회 승인과 대통
령 서명으로 확정됨.
- 국회와 헌법수호위원회간 법안 통과에 이견이 있을 경우 국정조정위원
회 중재로 최종 결정
* 2012.3.2 총선으로 5.26 제9대 국회가 개원하였으며, 강경보수파 주도의 역대 가장
보수적인 국회로 평가
5. 정당제도
◦ 이란 헌법은 정치/사회/종교 단체 구성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으나, 1987.6
월 당시 유일 집권당이었던 ‘이슬람공화당’이 호메네이 최고지도자의 지시
로 해체된 이후, 현재까지 법적 의미의 정당은 없음.
- 다만, 정당법에 의거한 느슨한 형태의 정치단체(‘정파’)만 존재하며, 동
단체들은 정강 및 조직이 미비하며, 정치클럽(Political Club)과 정당
(Political Party)의 중간 형태 또는 직능단체의 성격 보유
◦ 현재 정치성향에 따라 약 200여개의 정치단체들이 활동중이며, 크게 보수
파와 개혁파 정치단체로 구분 가능하나, 2009년 민주화시위 이후 대부분
의 개혁파 정치단체가 해산되거나 활동이 미미한 상황임.
6. 사법부 (Judiciary)
가. 사법 제도의 이슬람화
◦ 1979년 출범한 혁명정권은 코란, 하디스(Hadiths; 모하메드 및 시아파 이
이란 개황
34
맘 언행록), 순니 전통 등 이미 이슬람교가 종합적이고 완벽한 사법체계를
구현하고 있다고 보고 이러한 이슬람 율법에 기초, 사법 제도를 이슬람화
함. (특히, 형법과 가족법은 이슬람원칙을 많이 포함)
나. 사법부 구조
1) 사법부 수장(Head of Judiciary) : Sadegh Larijani
* 최고지도자에 의해 임명, 임기 5년
2) 최고사법위원회 (Supreme Judicial Council)
◦ 최고재판소 소장(대법원장), 검찰청장 그리고 전국 법관들의 비밀투표
로 선출되는 3명의 법관 등 5명으로 구성
- 최고재판소 소장 및 검찰청장은 최고지도자가 임면하며 3인의 법관
은 5년 임기제
◦ 사법정책, 법관의 임명 및 해임, 법률 개정
-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법관의 임명, 보직 및 해임은 최고사법
위원회의 승인이 필요
* 행정부 조직상 법무부는 재판 등에 관여할 수 없고, 사법부의 행정, 예산 관장 및
3부간 업무 연락 담당
다. 재판절차
◦ 이란 사법제도는 1심, 항소심, 최종심 등 3심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반
법원 이외에 이슬람혁명재판소, 성직자재판소 등 특별재판소를 설치하고
있음.
라. 이슬람 형법
◦ 이슬람 형법은 이슬람식 처벌법(82.10 Islamic Punishments Act)에 따라
범죄를 아래 4가지로 분류함.
Ⅳ. 정치, 행정
35
- 호도드(Hodood, 이슬람 율법) 법 : 이슬람 율법이 금지하는 간통, 음
주, 동성애, 신성모독 등 처벌에 관한 규정
- 케사스(Qessas, 보복법) 법 : 살인 등 중범죄의 경우 범죄자에 대한
신체절단 등 보복 허용
- 디어트(Diyat) 법 : 경범죄의 경우 범죄자에 대한 벌금 처분
- 타지러트(Taazirat) 법 : 이슬람 율법에 명시되지 않은 각종 위반 행위
취급
7. 헌법수호기관
가. 국가지도자운영회의 (The Assembly of Experts)
◦ 국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된 위원 86명(임기 8년)으로 구성되며, 최고지도
자 사망 등 유고시 최고지도자 선임권과 함께 해임권을 보유함.
* 현 위원들은 2006.12월 선출되었으며, 2015년 2월 임기 종료
나. 국정조정위원회 (The Expediency Council)
◦ 1988.2월 설치된 기관으로, 최고지도자 보좌, 장기국가정책 입안, 국회와
헌법수호위원회간 대립을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함.
- 최고지도자 유고시 차기 지도자 선임 전까지 일시적으로 동 위원회 결
정에 따라 대통령, 사법부 수장, 헌법수호위원장 등으로 구성된 집단위
원회에서 최고지도자직 임무 수행
◦ 현 위원장은 Rafsanjani 전 대통령이며, 구성원은 당연직인 3부 수뇌(대통
령, 국회의장, 사법부 수장), 헌법수호위원회의 성직자 위원(6명), 담당 각
료, 최고지도자가 임명하는 위원 등 28인으로 구성됨.
* 현 위원들은 2012.3월 최고지도자에 의해 임명되어, 2017.4월 임기 종료(임기 5년)
다. 헌법수호위원회 (The Guardian Council)
◦ 최고지도자에 의해 임명되는 성직자 6명과 사법부 수장 추천인사 중 국회
이란 개황
36
에서 선출하는 민간법률가 6명 등 총 12명으로 구성됨.
- 임기는 6년이며, 매 3년마다 위원의 절반을 교체
◦ 국회 통과 입법안에 대해 최종 승인권을 행사(상원 역할)하며, 헌법 최고
해석권 행사(헌법재판소 역할), 국회의원 입후보자 자격심사 등 선거 업무
(선거관리위원회 역할)를 담당함.
8. 최고국가안보위원회(Supreme Council for National Security)
◦ 정부내 핵심인사들이 모여, 국가 이익, 이슬람혁명, 영토 보전, 주권 등 핵
심사안을 논의하는 최고위 집단안보협의체로서 회의는 대통령이 주재함.
- 참석자는 3부 요인, 최고지도자 지명 대표 2명, 외교장관, 내무장관, 정
보장관, 해당의제 소관 장관 1명, 정규군 및 혁명수비대 사령관, 기획/
예산담당 관료 등으로 구성
9. 지방제도
◦ 내무부 산하 31개 주(Ostan)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시(Bakhsh), 군
(Shahrestan), 면(Dhestan)으로 편제되어 있음.
지방 행정구역
주 명 주도(州都) 주 명 주도(州都)
Alborz Karaj South Khorasan Birjand
Ardebil Ardebil Khuzestan Ahwaz
Bushehr Bushehr Kohkiluyeh-Boyrahmad Yasuj
Chaharmahal va Bakhtiari Shahr-e-Kord Kordestan Sanandaj
East Azarbaijan Tabriz Lorestan Khorramabad
Fars Shiraz Markazi Arak
Golestan Gorgan Mazandaran Sari
Gilan Rasht Qazvin Qazvin
Hamedan Hamedan Qom Qom
Hormozgan Bandar Abbas Semnan Semnan
Ⅳ. 정치, 행정
37
주 명 주도(州都) 주 명 주도(州都)
Ilam Ilam Sistan & Baluchestan Zahedan
Isfahan Isfahan Tehran Tehran
Kerman Kerman West Azarbaijan Orumieh
Kermanshah Kermanshah Yazd Yazd
Razavi Khorasan Mashhad Zanjan Zanjan
North Khorasan Bojnourd
10. 정치 동향
가. 정국 기본 구도
(1) 기본이념 및 통치구조
◦ 이란은 1979년 이슬람혁명 이후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이슬람 지상주
의 사회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슬람 신정주의(theology)와 민
주주의(democracy)를 결합한 이원적 통치체제를 운용하고 있음.
- 일반 행정은 민주적 절차에 따라 선출된 대통령, 국회 등에서 담당
하고 있으나, 종교지도자인 최고지도자에게 국정 운영의 절대권력을
부여
◦ 이란 정치체제는 형식상 3권 분립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국가지도자
운영회의, 국정조정위원회, 헌법수호위원회, 혁명수비대, 혁명재판소,
정보기관 등 이슬람체제를 수호하는 권력기관들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
사하고 있음.
(2) 보수파와 개혁파간 대립 및 협조 구도
◦ 이란 정치권내 양대 정치세력인 보수파와 개혁파는 이슬람 체제 유지
라는 공동목표를 가지고 있으나, 개혁의 속도와 범위, 최고지도자의 권
한과 책임 등에 있어 이견을 보이고 있음.
- 이러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1979년 혁명 이후 지난 30년간
긴장 속의 공생관계 유지
이란 개황
38
◦ 이러한 정치적 공생관계는 지난 2009년 6월 대선 부정시비로 촉발된
민주화 운동 이후 집권 보수파의 개혁파에 대한 탄압으로 무너지고 있음.
- 최근 개혁파의 정치권내 영향력은 크게 약화된 상황이며, 개혁파에
상대적으로 동조적인 온건보수파 세력도 쇠퇴
* 2012.5월 현재 2009년 대선 후보였던 무사비, 카루비 등 주요 개혁파 인사들
이 가택 연금중이며, 개혁파 정파 및 언론 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
나. 최근 정치 동향
(1) 정치권의 강경보수화 경향 심화
◦ 2005년말 개혁파 하타미 대통령의 퇴임 이후 이란내 모든 정치 기구들
이 보수파에 의해 차례로 장악되고 있으며, 개혁파에 의한 2009.6월
대규모 민주화운동(Green Movement)이 실패로 끝난 이후 정치권의
강경보수화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
◦ 대부분의 개혁파 인사들은 2012.3월 제9대 총선에 불참하였으며, 제9대
국회(2012-2016)에서 강경보수파 세력은 70% 이상의 의석을 차지함.
(2) 보수파내 갈등 상존
◦ 이란 지도부는 2009년 민주화 시위로 인한 내부불안을 수습하였으나,
보수 집권층 내부갈등은 오히려 심화되고 있음.
- 현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원리주의 세력과 아흐마
디네자드 대통령 측근세력간 갈등 상존
◦ 이러한 갈등은 2012.3월 이란 역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국회
청문 소환이라는 사건으로 비화되기도 하였으나, 최근 국제사회의 대이
란 제재가 강화되고 있어 집권보수파 세력의 내부 단결(national unity)
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임.
*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를 중심으로 국회, 혁명수비대(IRGC), 보수성직자 중심의 원리
주의자들은 대통령 측근세력을 일탈세력(deviationists)으로, 라프산자니 등 온건보
수파를 부패집단(corrupt group)으로, 개혁파를 반체제그룹(seditionists)으로 비난
V. 외 교
Ⅴ. 외교
41
V. 외 교
1. 외교 정책 기조
가. 평화적 목적의 핵기술 권리 확보 추구
◦ 이란은 2002년 이후 국제사회로부터 핵무기 개발 의혹을 받고 있으며,
UN 안보리 결의 등 국제제재 및 서방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NPT 회원국
으로서 평화적 목적의 핵개발 권리를 확보해 나간다는 기조를 유지해 오
고 있음.
나. 중동 지역 및 이슬람 세계의 지도자적 역할 추구
◦ 아흐마디네자드 행정부는 “이란-이라크-시리아-레바논 헤즈볼라-팔레스
타인 하마스”로 이어지는 반이스라엘/시아파 축을 통해 이스라엘, 사우디 등
역내 라이벌 국가들과 대립하고, 역내 패권 및 위상 제고를 추구하고 있음.
다. 이라크와의 협력 강화
◦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수니파) 붕괴 이후 이라크내 시아파 정부 수립
을 계기로 이란-이라크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란은 이라크의 안보
가 자국의 안보와 직결되어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
* 이라크 시아파 지도자 대다수는 과거 사담 후세인 시절 이란에서 망명한 경험이 있으며,
상당수 이란 시아파 지도자들도 팔레비 왕정 시절 이라크 망명 경험
라.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 지지 및 반이스라엘 정책 견지
◦ 이란은 국제무대에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등 대중동 정책을 비난하면
서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세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음.
이란 개황
42
2. 주요 외교사안별 입장
가. 국제 테러
◦ 이란은 대외적으로 어떠한 형태의 테러행위에 반대한다는 기본 입장이며,
국제 반테러 노력에도 동참하고 있음.
- 이란은 9.11 테러사건의 주범인 아프간 탈레반 정부 전복을 위해 미국
과도 협력
◦ 국제사회는 이란의 레바논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하마스 등 지원을 테러
지원행위로 비난하고 있으나, 이란은 이들의 대이스라엘 저항운동은 테러
행위가 아닌 자유를 위한 투쟁이라고 주장하고 있음.
- 이란은 국제적으로 테러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서방의 테러에 대한 이중적 기준을 비판
나. 대량살상무기(WMD)
◦ 이란은 서남부 페르시아만 연안의 Bushehr에 러시아의 협력으로 2011년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완공하였으며, 여타 농축활동 등 핵프로그램이 NPT
등 국제규범에 따라 평화적인 목적하에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음.
- 이란은 자국의 핵활동이 NPT에 따른 불가양의 권리이며, 평화적 목적
으로 자국 핵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미국, 이스라엘
등 서방권의 핵무기 개발 의혹을 전면 부인
◦ 이란은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보유가 이슬람 율법에 반한다는 기본 입
장하에 IAEA, NPT, CTBT 등 핵 비확산 관련 국제조약 뿐만 아니라, 여
타 BWC, CWC 등 화생방 무기 금지조약에도 가입함.
- 한편, 이란은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가 역내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
면서, 중동지역의 비핵화 지지
다. 마약
◦ 이란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생산되어, 유럽으로 판매되는 마약의 주요 통로
Ⅴ. 외교
43
로서, 이란 정부는 마약 퇴치 분야에서 UN 등 국제사회와 적극적으로 협
력중임.
* 이란은 전세계 아편(opium) 압류의 89%, 헤로인 및 몰핀 압류의 41%를 담당하고 있으
며, 1979년 이후 마약과의 전쟁으로 군경 3,600여명이 사망하고, 11,000여명이 부상
◦ 특히, 이란은 아프간산 마약의 불법유통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정세/경제 안정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음.
라. 난민
◦ 이란은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간 침공, 이란-이라크 전쟁 및 2000년대초
아프간 전쟁 등으로 주변국 난민들이 대거 유입하는 등 난민 문제에 있어
서도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있음.
◦ 아프간 난민의 경우, 이란은 아프간, UNHCR과의 협력하에 2002.4월부터
886,000여명을 본국에 송환하였으나, 2012.5월 현재 여전히 약 100만명
이상의 아프간 난민이 이란에 체류중임.
* 이라크전(1980-88)으로 인한 이라크 난민 약 20만명은 이라크전 종전 이후 본국에 귀
환하였으며, 2012.5월 현재 4만여명 체류중
마. 아프가니스탄 문제
◦ 이란은 아프가니스탄과 지리적으로 인접(936Km의 국경 공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으로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
* 아프간의 공식 언어인 다리어와 파슈툰어는 파르시(이란어)의 일종이며, 19세기 중반
까지 아프간은 이란의 영토 내지 세력권하에 있었던 지역
◦ 이란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아프간 탈레반 정부 전복 및 Karzai 과도정
부 출범에 기여하였으며, 아프간 복구사업 등 안정화 작업을 적극 지원하
고 있음.
- 이란은 아프간 문제의 역내 해결과 함께 아프간 주둔 외국군의 조속한
철수를 주장
* 2010년 양국간 교역액은 약 15억불이며, 이란은 아프간내 제4위의 투자국
이란 개황
44
바. 중동평화협상
◦ 이란은 중동평화협상이 미국의 주도로 이스라엘에 유리한 방향으로 추진
되고 있으며, 팔레스타인에 대해 일방적인 양보를 강요하고 있다고 비난함.
- 다만, 이란은 팔레스타인-이스라엘간 양자협상과 이행과정을 방해하지
는 않겠다는 입장
◦ 이란은 이스라엘 점령지의 무조건 철수 및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을
지지하며, 하마스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통해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영
향력을 행사하고 있음.
사. 카스피해 법적 지위
◦ 카스피해는 이란, 러시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연안 5개국이 접경하고 있는 국제수역으로, 이들간 별도 합의에 의해 새
로운 법적 지위가 수립되기 전까지는 이란과 구 소련간 조약(1921,
1940)이 유효함.
* 카스피해 연안에 매장된 석유자원의 가치는 12조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
◦ 이란은 카스피해 연안국간 자원의 공동 개발을 선호하나 타국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 해상, 해저를 5개국간 20%씩 균등 배분하자는 입장을 갖고 있음.
- 아울러, 이란은 카스피해를 접경국간 평화지대로 만들자는 구상도 추진중
3. 주요 대외 관계
가. 대미관계
◦ 팔레비 왕정 시절 이란은 미국의 역내 최대 동맹국이었으나, 1979년 이슬
람 혁명으로 반미 이슬람 정권이 출범함에 따라 양국관계가 급속히 악화
되었음.
- 1979.11월 테헤란 주재 미국대사관 점거사건 이후 양국은 외교관계를
단절하였으며, 미국은 자산 동결 등 제재 부과
Ⅴ. 외교
45
* 1980년 이후 미국은 대이란 양자관계를 주이란 스위스대사관을 통해, 이란은 대미
국 양자관계를 주미국 파키스탄대사관을 통해 처리
◦ 미국 클린턴 대통령은 95.4월 미국기업의 대이란 금수조치에 관한 행정명
령에 이어, 96.8월 이란의 석유‧가스 개발사업에 대한 제3국 투자기업에
대한 제재를 내용으로 하는 경제제재법(ILSA : Iran Lybia Sanction Act)
을 채택하였음.
◦ 양국관계는 2000.2월 이란 제6대 총선에서 개혁파 진영이 승리한 것을 계
기로 미국이 이란산 카페트, 캐비어, 견과류(피스타치오)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를 해제하고, 3월 Albright 국무장관이 과거 이란의 내정에 개입했던
점에 유감을 표명하는 등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일시 개선 조짐을
보였음.
- 이란측은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 미국내 동결자산 해제 등의 실질적인
조치가 있기 전에는 양자관계 개선을 논의할 수 없다는 입장
- 반면, 미국은 이란 정부의 테러단체 지원 중단, 중동평화협상 방해 중
지, WMD 개발시도 중단 등을 관계 개선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주장
◦ 양국은 일부 국제이슈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상호 협력을 해 왔는 바,
하타미 대통령은 2001.9.11 테러사건을 즉각 비난하고, 아프간 탈레반 정
권 축출 과정에서 양국간 협조가 이루어짐.
- 2003.3월 미국의 이라크 공격시 이란은 중립정책을 견지하였으나,
Saddam Hussein 축출에 대해서는 환영입장 표명
◦ 양국관계는 2002.1월 미국 Bush 대통령이 연두교서에서 이란을 북한, 이
라크와 함께 ‘악의 축’(대테러 지원, WMD 개발, 비선출 소수 집단의 억압
정책 등을 거론)의 하나라고 적시하고, 2002.3월 미 핵정책보고서에서 이
란을 7대 핵공격 대상국 중의 하나라고 명시함으로써 급속히 냉각됨.
◦ 또한, 2002년 말 이란 반정부 단체에 의해 이란의 비밀 핵프로그램이 폭
로됨으로써 양자관계는 보다 악화되었으며,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가 날
로 강화되는 추세임.
- 2011.12월 미국은 제3국 금융기관의 이란중앙은행 거래 중단 등을 포
함한 이란산 원유거래 및 금융부문에 대한 고강도 제재 실시
이란 개황
46
나. 대 EU 관계
◦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2000년대 중반까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EU는 WMD 비확산, 테러리즘, 인권 등 정치적 사안에 대해
서는 미국과 공조해 왔으나, 경제문제는 독자노선을 추구하였음.
- 이들 국가는 200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이란도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고, 자본과 기술 도입을
위해 대 EU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
◦ 2000년대 초반 하타미 대통령은 1979년 이슬람혁명 후 이란 대통령으로
서는 처음으로 EU 주요국(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을 방문하는 등 정치 분야에서 이란과 EU간 관계가 상당부분
개선됨.
◦ 이란과 EU는 2002.12월부터 이란-EU간 통상협력협정(TCA) 체결을 위
한 협상을 시작하였으나, 2003년 이후 이란 핵문제 부상 및 인권 문제 등
이 양측간 협력 확대의 장애로 작용하였음.
◦ 특히, 2005.8월 아흐마디네자드 정부 출범 이후 이란이 핵문제에 대해 비
타협적 자세를 고수함에 따라, EU와의 관계가 지속 악화되고 있음.
- 2012년초 EU는 이란산 원유 전면금수 조치 및 금융제재 등 미국과 연
계한 고강도 제재 발표·시행
다. 대 러시아 관계
◦ 이란과 러시아 양국은 전통적으로 대립관계에 있었으나, 1979년 이슬람혁
명 후 이란-미국관계가 악화된 것과 달리 이란-러시아 관계는 상대적으
로 계속 증진되어 옴.
◦ 특히, 2001.3월 하타미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계기로 양국간 협력이 더
욱 증대되었으며, 양국은 기본협력협정 서명과 함께 경제, 군사 및 원자력
분야를 포함한 양국간 구체 협력 사업을 가시화 시켜 왔음.
* 이란은 러시아의 지원으로 2011년 페르시아만 연안 Bushehr에 1,000MW 규모 원자력
발전소 완공
Ⅴ. 외교
47
◦ 현재 양국관계는 중동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바라는 러시아와 이란 핵
문제 관련 국제 고립에서 탈피하려는 이란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라. 대 아시아 관계
1) 중 국
◦ 이란은 미국에 대한 반균형세력으로서의 중국을 중시하고 있으며, 중국
은 자국 상품의 판매처 및 원유․가스의 공급국으로서 이란을 중시하고
있음.
- 특히, 최근 서방의 이란산 원유금수 조치에 맞서 이란으로서는 자국
원유 수출지로서 중국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으며, 중국은 대이란
제재에 따라 서방 기업들이 이란에서 철수하고 있는 상황을 틈타
비제재 분야에서 이란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
◦ 한편, 양국간 고위인사 교류는 2000.2월 중국 당가선 외교부장의 이란
방문 및 2000.6월 하타미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확대되어 왔음.
- 최근에는 이란 핵문제로 고위인사 방문 대신 양측간 동 문제 협의
차 외교부 차관(보)급 인사교류가 활발히 진행중
2) 일 본
◦ 양국관계는 통상․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다방면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2000.10월 하타미 대통령의 일본 방문 이후 크게 진전되었음.
- 2012.4월 현재 양국간 6개 공식 협의체가 운영중이며, 대이란 제재
국면하에서도 상대적으로 여타 서방국가에 비해 정부인사간 교류가
활발히 진행중
◦ 일본은 최근 이란 핵문제 악화로 이란과의 경제관계를 축소시키고 있
는 상황이며, 일본은 2003년 서명한 이란 Azadegan 석유개발사업에서
철수하고, 이란산 원유 도입을 대폭 감축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임.
이란 개황
48
3) 인 도
◦ 2001.4월 Vajpayee 인도 총리의 이란 방문 그리고 2003.1 하타미 대
통령의 인도 방문을 계기로 양국은 실질협력 관계를 추구하고 있음.
◦ 최근 인도는 인구증가 및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안정적인 에너
지 도입원이 필요한 바, 미국과 EU의 제재 동참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
란산 원유 도입을 지속한다는 입장을 표명함.
4) 파키스탄
◦ 양국은 아프간 탈레반 반군에 대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으나, 양국관계
에 중대한 장애로 작용하고 있지는 않으며, 접경국(909km 국경 공유)
으로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상호 노력중임.
◦ 특히, 양국은 에너지 분야 협력 관련 이란산 원유의 파키스탄 수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건설사업 관련 협의를 지속중임.
마. 주변 아랍국과의 관계
1) 사우디아라비아
◦ 양국은 기본적으로 역내 패권국 지위를 두고 경쟁관계에 있으나, 99.5
하타미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관계가 일시 개선되었으며, 양
국간 우호관계는 역내안정 유지, OPEC내 공조 등을 위해 필요한 측면
이 있음.
◦ 이러한 양국관계는 2003년 이후 이란 핵문제의 부상과 함께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에서 이란(시아파)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악화되고 있음.
- 특히, 2011.10월 이란 혁명수비대(IRGC)의 주미사우디대사 암살
기도사건은 양국관계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동 사
건에 대한 재판이 미국에서 진행중
Ⅴ. 외교
49
2) 여타 GCC (Gulf Cooperation Council) 국가
* 이란에서는 이들을 PGCC(Persian Gulf Cooperation Council)로 호칭
◦ 페르시아만을 마주보고 있는 양측은 역사, 문화,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
계를 맺고 있으나, GCC는 기본적으로 시아파 국가인 이란의 세력 확장
에 대항한 수니 왕정국가간 연합체라는 속성이 있음.
* UAE의 경우 2011년도 이란의 최대 교역국으로 각국의 대이란 우회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 동참요청에 따라 교역이 감소하
는 추세
◦ GCC 국가들은 이란의 역내 영향력 제고를 자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어 경제 분야에서는 이란을 자극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협
력을 지속하는 한편 페르시아만에서 이란의 영향력 통제를 위해 상호
협력하고 있음.
3) 시리아
◦ 시리아는 이란의 역내 최대 동맹국이자, 반 이스라엘 전선의 최전선이
라는 전략적 중요성을 갖고 있는 바, 양국은 경제분야보다는 정치, 군
사 분야에서 보다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
◦ 중동 민주화(Arab Spring)의 여파로 2011.3월 시리아내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였으며, 2012.8월 현재 시리아 알 아사드 정권의 생존이 위협받
고 있는 상황인 바, 이란은 시리아에 대한 군사, 경제적 지원을 확대하
고 있음.
4) 터 키
◦ 양국은 전통적인 경쟁협력관계 기조하에 역내 영향력 확대를 두고 상
호 경쟁하나, 경제/에너지 협력 및 쿠르드 반군 대응 등에 있어서는 협
력하고 있음.
◦ 이란은 엄격한 이슬람 체제 및 반이스라엘 정책을 견지하고 있어 세속
주의 및 이스라엘에 대한 유화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터키에 대해 비
난과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음.
이란 개황
50
- 최근 시리아 문제에 있어 터키측이 반 시리아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은 양국관계 발전의 중대한 장애로 작용
◦ 터키는 이란 핵문제 관련 중재자(broker)임을 자임하고 있으며,
2010.5월 이란 핵연료 교환 합의(‘테헤란 선언’) 도출, 2011.1월 이스
탄불 회의, 2012.3월 이스탄불 회의, 2012.7월 이스탄불 부대표 회의
를 주선함.
5) 이집트
◦ 1979년 팔레비 왕정 붕괴와 1980년 이집트의 이스라엘 정부 승인 이
후 양국은 국교를 단절한 상태이나, 양국은 전통적인 역내 강국으로서
외교관계 복구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갖고 있음.
- 2011.3월 친 이스라엘 무바락 정권 몰락 이후 양국간 복교 논의 진
행중
* 양국간 복교논의의 장애 중 하나는 1981년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 암살범의 이름
을 딴 테헤란 거리(Khaled Eslamboli)이며, 하타미 정부는 동 거리 명칭 변경을
약속하였으나, 보수파의 반대로 이행 지연
바. 국제기구 가입 현황
◦ UN, IMF, IBRD, UNCTAD, ESCAP, OPEC, WHO, FAO, ILO, G-77,
UNESCO, ICAO, OIC, CCC, G-15, D-8 등(WTO에는 가입 신청하였으
나, 아직 미가입).
사. 이란내 외국공관 및 국제기구 사무소 현황
◦ 2012.5월 현재 대사관(이익대표부 포함) 96개, (총)영사관 19개 등 총
115개 외국공관 소재
* 미국의 이익대표부 역할은 스위스대사관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이란 민병대의 대사관
난입사건 여파로 2011.12월 영국대사관 철수
◦ 기타, ECO, UN, UNHCR, WHO 등 9개 국제기구 사무소 소재
Ⅵ. 국 방
Ⅵ. 국방
53
Ⅵ. 국 방
1. 일반
가. 군 통수권 : 최고지도자가 행사 (최고지도자가 군 총사령관)
나. 병역 제도 : 의무병제, 복무기간 2년
다. 군사지휘 계통
최고지도자
(군 최고통수권자)
대통령
국가안보위원회
합동참모본부
국방장관 내무장관
방위산업청 경찰 혁명수비대 정규군
육
군
해
군
공
군
특
수
군
민
병
대
육
군
해
군
공
군
이란 개황
54
라. 최고국가안보위원회
◦ 대통령 산하 국가 최고안보정책 기구
◦ 주요 구성
- 위원장 : 대통령
- 위 원 : 국방부장관, 합참의장, 혁명수비대 총사령관,
국회국가안보외교정책위원장, 최고지도자 대표(2명) 등
마. 특 징
◦ 국방 조직은 최고지도자 직속으로 정규군, 혁명군의 이원조직이며 대통령
및 국방장관은 군지휘 계통상에 있지 않으며, 국방장관은 군수물자 조달을
책임지고 있음.
◦ 정규군은 팔레비 왕정시의 조직을 답습하고 있으며, 혁명수비대는 1979년
혁명 직후 의용병 형식으로 창설되었음.
- 정규군은 이란의 국토방위 및 국내안정을 담당하고 있는 반면 혁명수
비대는 이란의 이슬람 체제를 수호하는 차이(혁명수비대는 이란-이라
크전 당시 유조선 공격, 비밀 침투 및 게릴라 작전 등을 통해 큰 전과
를 달성)
* 혁명수비대 특수군(Quds Force)은 이란 이슬람 혁명 전파, 반이스라엘 작전 수행
등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국내가 아닌 외국에서 활동하는 부대
바. 군사력
◦ 정규군 55만 (육군 47만, 해군 2만8천, 공군 5만2천)
◦ 혁명군 12만 (육군 15만, 해군 3만, 공군 2만)
◦ 민병대 약 300만 (전투능력 보유 기준)
◦ 경찰 약 30만
Ⅵ. 국방
55
2. 국방개혁 및 전력 증강
가. 러시아, 중국과의 군사협력 강화
◦ 1979년 이슬람 혁명후 미국과의 군사협력이 중단되면서 다량의 미국산 장
비의 노후화와 부품 교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이란은 러시아, 중국 등
과의 군사협력을 도모함.
* 2001.3월 하타미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계기 양국간 수십억불 규모의 군사협력 사업
추진에 합의
◦ 이란 핵문제 악화로 2006년 이후 대이란 재래식무기 수출 금지를 포함한
UN 안보리 결의가 채택됨으로써 외국과의 방산 협력이 극히 제한되고 있
는 실정임.
* 2007년말 러시아는 S-300 지대공미사일 5기를 이란에 8억불에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
하였으나, 2010년 최종 불인도 결정
나. 국내 방위산업 육성
◦ 이란은 국제 고립에 맞서 혁명수비대 주도로 국내 방위산업을 적극 육성
하고 있음.
◦ 특히, 이란은 자국의 군사독트린에 따라 미사일(Shahab-3, Kowsar 등),
무인항공기(UAV), 소형잠수정 등 비대칭전력 위주의 무기 개발 및 국산
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다. 대내외 군사활동
◦ 이란은 대이스라엘 투쟁을 위해 팔레스타인 하마스와 레바논 헤즈볼라 등
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은 정기적으로 합동 군
사훈련을 실시하는 등 단합을 강조하고 있음.
◦ 2011년말 이후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격 가능성이 점증함에 따라, 이란은
호르무즈 해협, 페르시아만 및 인근 지역에서의 군사훈련을 확대 실시하
고, 군사력을 재편하고 있음.
Ⅶ. 경제․통상 및 산업
Ⅶ. 경제・통상 및 산업
59
Ⅶ. 경제․통상 및 산업
1. 개 관
◦ 이란은 △ 풍부한 천연자원, △ 중동 지역내 2위의 인구(7,500만명), △
넓은 국토 및 전략적 입지조건, △ 인적자본의 질(인구의 2/3 이상이 고등
교육 수학), △ 역사와 전통 등으로 경제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됨.
* 이란은 전세계 석유 매장량의 10.3%(3위), 천연가스 매장량의 18%(2위)를 점유하고
있으며(2010년 BP의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통계), 일일 353만 배럴
의 석유를 생산(OPEC내 2위)
- 아울러, 중동 최대의 내수시장이며, 인근국 포함 4억 시장을 포괄하는 역내 교역
허브로서, 비옥한 영토 등 농업발전에도 양호한 조건 보유
◦ 특히, 이란은 지리적으로 7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아시아·유럽·중
동 등 세 대륙을 연결하는 허브이자, 중앙아·서남아 등지로 진출할 수 있
는 전략적 입지조건을 보유하고 있음.
- 이란은 역내국가 가운데 제조업·서비스업·농업 등 산업이 골고루 발전
되어 있는 중동 최고의 산업국가로서 역내 공업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로 평가
- 한편, 이란은 유럽으로 에너지(터키 경유 천연가스)를 공급하고,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 아시아 개도국들의 에너지 증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핵심 에너지 협력국가로 중요성 보유
◦ 이란은 1990년대부터 석유 의존 경제구조 탈피 및 산업화를 위해 「경제·
사회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제20년 미
래계획(20 Year Outlook Plan: 2005-2025)을 수립 추진중에 있음.
- 이란은「제20년 미래계획」에 따라 △ 역내 제일의 과학·경제·기술 선
진국 달성, △ 석유·가스 분야에서 역내 최고 기술 보유, △ 세계 3위
의 가스 공급, △ 사회정의·안전망 구축, △ 국토의 균등 발전 실현 등
을 목표
- 특히, 이란 최대 유전으로 카타르와 공유하고 있는 남부 파르스(South
이란 개황
60
Pars) 가스전 개발 사업을 포함하여 2025년까지 가스 상·하류부문에
각각 500억 및 20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
◦ 이란은 1990년대 말 이후 적극적인 경제 개혁·개방정책으로 1979년 이슬
람 혁명과 이란-이라크전쟁(1980-1988)으로 인한 경제 침체를 다소 회
복하였으며, 2004-2007년 동안 평균 6%대의 양호한 경제성장을 달성함.
- 하지만, 이란은 △ 2008년 세계 금융위기, △ 유가하락, △ 대이란 제
재강화로 인해 2010-2011년 동안 1%대 미만의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
◦ 2005년 수립된 강경보수 성향의 현 Ahmadinejad 정부는 최근 사회정의
실현과 부의 재분배 정책 기조 하에 보조금 철폐 및 다양한 경제개혁을
추진중에 있음.
- 현 정부는 보조금 개혁으로 인한 물가상승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보조
금 개혁법과 달리 전 국민을 대상으로 300억불 이상의 현금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 고인플레, △ 정부재정 악화, △ 산업분야 위축을 야
기했다는 비판에 직면
- 현재 보조금 개혁정책으로 현 정권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저소득층은
큰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반면, 테헤란 등 대도시 중산층은 물가상승
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으며, 저소득층으로의 계층하락 현상 발생
◦ 이러한 경제 개혁정책은 그간 이란의 방만한 에너지 소비 행태 시정 및
재정 건전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평가되나, 2010년 이후 대폭 강화된
대이란 제재 등 대외 환경을 간과한 채 성급하게 추진됨으로써 인플레이
션 등 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상황임.
2. 최근 경제 정세
가. 개요
◦ 2005년 이후 Ahmadinejad 정권의 적극적인 양적 경기부양 정책
(2005-2007년간 30-40%의 유동성이 증가/연평균 1,236억불 증가)으로
2007년까지 5%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였으나, 2008년 세계 경기침체 및
Ⅶ. 경제・통상 및 산업
61
유가하락, 대이란 제재 강화 등에 따라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추세임.
- 특히, 2008년 유가하락(상반기 110달러 → 하반기 40달러 수준)에 따
른 석유수입 감소 및 정부지출 감소에 따른 민간소비 및 투자 억제로
비석유 분야도 저조한 성장세 시현
* 2005년도 경제성장률 4.7%, 2006년도 5.8%, 2007년도 7.8%
◦ 이란중앙은행은 2010년도 이란의 경제성장률을 5.8%로 공식 발표하였으
나, 세계은행, IMF는 1% 내외로 추산하는 등 경기 침체를 보이고 있으며,
2010.12월 보조금 개혁 이후에는 고인플레(30%대) 발생으로 스태그플레
이션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최근 산업계 위축으로 실업률은 공식적으로 12.3%(실질 실업률은
20% 이상, 청년 실업률은 40% 이상 추정)에 달하는 등 고용환경도
지속 악화중
◦ 2010년 중반 이후 강화된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재로 인해 정부의 외환보
유고가 고갈되고 외환시장 개입능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시장의 불안심리
에 따라 환율시장도 불안정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 2012.1월 리알화는 미 달러 대비 17,500-19,000선을 보여, 전년 동기
대비 40-50% 정도 평가절하되었으며, 2012.2월 외환당국은 시장환율
로의 환전금지 조치 단행(4월 현재 공식환율과 시장환율을 이원화한
환율제도를 공식 인정)
- 환율시장의 불안정 요인으로는 △ 원유/금융제재로 원유 수출대금 확보
어려움, △ 안전자산으로서 달러화 수요 급증, △ 이란 핵시설에 대한
무력 공격설 등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 현 정부는 서민 소득 증대, 소득 분배 구조 개선, 석유의존형 수입구조 탈
피, 물가 억제, 부정부패 척결, 국영기업 민영화 등을 골자로 한 경제 정
책을 추진해 왔으나, 인기영합식 정책, 관료주의, 국가에 의한 경제 통제
등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 이란은 고인플레, 고실업 등 경제현안 해결과, 산업분야의 민영화, 낙
후된 기업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석유·가스 개발과 주요 산업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와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
이란 개황
62
< 주요 경제 지표 >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성장률(%) 5.8 7.8 2.3 3.0 5.8 0 ~ 1.0
1인당 GDP($) 3,476 4,318 5,139 5,331 5,593 5,218
물가상승률(%) 11.9 18.4 25.4 10.8 12.4 21.5
실업률(%) 11.3 10.5 10.4 11.9 13.5 12.3
원유생산(mb/d) 4.052 4.057 3.945 3.557 3.540 3.523
원유수출(mb/d) 2.48 2.52 2.30 2.02 2.24 2.10
예산안상 원유가 40.0 33.7 40.0 37.5 65.0 81.5
평균 이란산 원유가 59.6 78.0 80.4 74.7 97.7 106.8
원유수출(10억불) 64.67 84.51 86.62 69.83 86.05 95.0
비석유부문수출(10억불) 11.53 13.16 14.67 17.71 22.56 NA
외채(10억불) NA 21.07 13.96 13.46 12.57 13.52
※ 출처 : 이란 중앙은행(2010.3월 회계년 통계限), Iran's Economy(Eqtesad-e Iran, 현지
주요 경제 매거진), EIU, WB, IMF
나. 부문별 현황
1) 경제 성장 및 물가
◦ 이란은 2007년까지 유가상승에 힘입어 평균 5%대의 고성장을 기록하였
으나, 2008년 유가하락, 국제금융 위기, 국제제재와 대선정국으로 인한
불안정, 보조금 개혁 등으로 2011년도에는 0-1%대의 저성장을 기록함.
- 1인당 GDP는 2011년도 기준 $5,218으로 집계(구매력 기준 $12,263)
◦ 2011년 소비자 물가는 21.58%로 공식 발표되었으나, 2010.12월 보조
금 개혁 이후 정부의 인위적 가격 통제정책을 감안할 때, 실질 물가상
승률은 30-40%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됨.
- 2012년 제2차 정부 보조금 개혁정책이 시행될 경우, 추가 인플레
압력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
2) 실업률
◦ 2011년 현재 공식 실업률은 15% 수준이나 실질 실업률은 20%를 상
Ⅶ. 경제・통상 및 산업
63
회하는 것으로 추정됨.
- 특히, 고학력, 젊은층의 실업문제가 심각하여 대졸자의 40%이상이
실업상태인 것으로 추정되며, 청년 실업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
◦ 이란은 연간 75만-125만개의 신규 고용 창출에 나서고 있으나, 실제
일자리는 연간 45만개에 불과함에 따라, 실업자 적체현상은 날로 심화
되고 있는 추세임.
- 이란 인구의 60% 이상이 30세 이하로 향후 실업문제는 더욱 악화
될 것으로 전망
◦ 직장인들도 봉급만으로는 생활유지가 어려워 대부분 부업 또는 초과근
무를 통해 가계 소득을 보전하고 있는 실정임.
- 현재 공무원 70% 이상이 부업 등에 종사하고 있으며 취업자 중
300만명이 부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3) 수출입 및 외채
◦ 2011년 수출은 유가상승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한 1,020억불을 기록
하였으며, 수입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한 669억불을 기록함.
- 무역수지 흑자폭은 전년대비 97% 증가한 354억불이나, 석유 수출
의존형 경제 구조(전체 수출의 80% 상당) 지속
◦ 2011년 이란의 주요 수입국은 UAE(33%), 중국(12%), 한국(8%), 독
일(6%), 터키(5%)이며, 주요 수출국은 중국, 이라크, UAE, 인도 등임.
- 현재 이란은 중국, 인도, 이라크, 파키스탄, 브라질, 터키,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등과 경제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제재국면을 타개하고자
노력중
◦ 2012.1월 현재 총 대외부채는 148억불(EIU)로 경제 규모에 비해 낮은
편임.
다. 경제 개혁 정책
◦ 이란은 석유 의존형 경제구조 탈피, 공공부문 축소, 보조금 지급 철폐 등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2012.9 이란 개황

More Related Content

More from drtravel

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drtravel
 
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drtravel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drtravel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drtravel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drtravel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drtravel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drtravel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drtravel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drtravel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drtravel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drtravel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drtravel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drtravel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drtravel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drtravel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drtravel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drtravel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drtravel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drtravel
 

More from drtravel (20)

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호주개황 2011 (1)
호주개황 2011 (1)
 
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피지개황%282011.5%291
피지개황%282011.5%291
 
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포르투갈약황 2010
포르투갈약황 2010
 
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팔라우개황%282011.5%291
팔라우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푸아뉴기니개황%282011.5%291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파키스탄개황%282010.6%29
파키스탄개황%282010.6%29
 
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투발루개황%282011.5%291
투발루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통가개황%282011.5%291
통가개황%282011.5%291
 
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탄자니아 약황 100914
탄자니아 약황 100914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키리바시개황%282011.5%291
키리바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쿡아일랜드개황%282011.5%291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쿠웨이트개황 200807
쿠웨이트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쿠르드 개황 200807
쿠르드 개황 200807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코트디부아르 개황%282010년 1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케냐 개황%282011년 7월%29
 
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캐나다 개황 2008 07
캐나다 개황 2008 07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차드 개황%282010년 3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짐바브웨 개황%282010년 1월%29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요르단 개황%28약식%29 2010
 
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오스트리아 약황 2012
오스트리아 약황 2012
 

2012.9 이란 개황

  • 1.
  • 2.
  • 3. 이란 국기 ≪ 국기 해설 ≫ ◦ 이란 국기는 이슬람 혁명으로 1979년 2월 11일 이슬람 공화국이 선포됨에 따라 기존의 문장을 변경 ◦ 가로 세로 7:4 비율의 직사각형을 위로부터 녹, 백, 적 삼색으로 균분 하여 "알라는 위대하다(Allah Akbar)"라는 이란어 22자(이란력으로 11월인 Bahman 22일에 발생한 혁명기념일을 상징)를 녹, 적 바탕에 11자씩 기입하고 백색바탕 중앙에는 "하나님은 하나다"라는 의미의 문장을 형상화
  • 4. 목 차 Ⅰ. 개 관·························································································································· 1 Ⅱ. 자연, 지리환경 1. 지정학적 위치········································································································ 7 2. 지형 특색················································································································ 8 3. 기후와 강우량········································································································ 9 4. 민족 구성················································································································ 9 5. 주요 도시·············································································································· 10 6. 종 교 ··············································································································· 10 Ⅲ. 약 사 1. 고대 이란·············································································································· 13 2. 중세 이란·············································································································· 16 3. 근대 이란·············································································································· 18 4. 현대 이란·············································································································· 21 Ⅳ. 정치, 행정 1. 헌 법 ··············································································································· 29 2. 최고지도자············································································································ 31 3. 대통령 및 행정부 ································································································· 31 4. 국 회 ··············································································································· 33 5. 정당제도··············································································································· 33 6. 사 법 부 ··············································································································· 33 7. 헌법수호기관········································································································ 35 8. 최고국가안보위원회····························································································· 36 9. 지방제도··············································································································· 36 10. 정치 동향·············································································································· 37 V. 외 교 1. 외교 정책 기조 ····································································································· 41 2. 주요 외교사안별 입장 ·························································································· 42 3. 주요 대외 관계 ····································································································· 44 Ⅵ. 국 방 1. 일 반 ··············································································································· 53 2. 국방개혁 및 전력 증강 ························································································ 55
  • 5. Ⅶ. 경제・통상 및 산업 1. 개 관 ··············································································································· 59 2. 최근 경제 정세 ····································································································· 60 3. 부존자원 현황, 개발 현황 및 전망 ····································································· 65 4. 대외 통상 정책 ····································································································· 68 5. 외국인 투자환경 및 투자 유망 분야 ·································································· 75 Ⅷ. 사회, 문화 1. 인 구 ··············································································································· 85 2. 교 육 ··············································································································· 86 3. 언 론 ··············································································································· 87 4. 종 교 ··············································································································· 89 5. 문 화 ··············································································································· 90 6. 노 동 ··············································································································· 91 7. 사 회 ··············································································································· 92 Ⅸ. 한-이란 관계 1. 정치외교··············································································································· 99 2. 경제통상············································································································· 100 3. 정부간 협정 체결 ······························································································· 105 4. 정부간 협의기구 및 친선단체 ··········································································· 106 5. 주요 인사 교류 ·································································································· 107 6. 역대 주 이란 대사 ····························································································· 110 7. 재외동포 현황 및 단체 ······················································································ 111 X. 북한 관계 1. 기본일지············································································································· 117 2. 양국관계 개관···································································································· 117 3. 주요인사교류······································································································ 118 4. 협정체결 현황···································································································· 120 XI. 부 록 1. 이란 국내정세 관련 주요 일지 ········································································· 123 2. 주요 인사 교류 일지 ························································································· 134 3. 이란 시아파 해설 ······························································································· 151 4. 이란 주요인사 인적사항 ···················································································· 153 5. 이란 내각 명단 ·································································································· 161 6. 이란 관련 인터넷 사이트 ·················································································· 162 7. 이란 외교부 조직 현황 ······················································································ 165 8. 이란 여행 정보 ·································································································· 166
  • 7.
  • 8. Ⅰ. 개관 3 Ⅰ. 개 관 ◦ 국 명 : 이란이슬람공화국(Islamic Republic of Iran) ◦ 기 후 : 대륙성 기후(4계절 존재), 남부는 아열대성 ◦ 면 적 : 165만 ㎢(한반도의 7.5배) ◦ 인 구 : 7,600만명 ◦ 수 도 : 테헤란(Tehran) - 인구는 850만명으로, 인근 테헤란주 포함시 1,200만명 이상 ◦ 주요도시 : 마샤드, 이스파한, 타브리즈, 쉬라즈 ◦ 인 종 : 페르시아족(51%), 아제르바이잔족(24%), 길락-마잔다란족(8%), 쿠르드족(7%), 아랍족(3%), 루르족(2%), 발루치족(2%), 투르크 족(2%), 기타(1%) 등 ◦ 언 어 : 이란어(Farsi) ◦ 종 교 : 이슬람(시아파) ◦ 교 육 : 의무교육 8년 ◦ 국 경 일 : 2.11(이슬람혁명 기념일) ◦ 정부형태 : 이슬람공화국(최고지도자 중심 신정체제) ◦ 최고지도자 : 하메네이(Ayatollah Seyyed Ali Khamenei) ◦ 대 통 령 : 아흐마디네자드(Dr. Mahmoud Ahmadinejad) ◦ 의 회 : 단원제(290석, 임기 4년) ◦ 영 해 : 12마일
  • 9. 이란 개황 4 ◦ 국 방 : 정규군 약 55만명, 혁명군 약 12만명 ◦ 화폐단위 : 리얄(Rial), 1$당 공식 환율은 12,260 리얄 - 2012.5월 현재 시장환율은 16,500 리얄 내외 ◦ 회계연도 : 매년 3.21부터 익년 3.20까지 ◦ 주요자원 : 석유(매장량 세계 3위), 천연가스(매장량 세계 2위), 석탄 등 ◦ 시 차 : 한국시간보다 5.5 시간 느림 - 3-9월 서머타임 적용 기간에는 4.5시간 차이
  • 11.
  • 12. Ⅱ. 자연, 지리환경 7 Ⅱ. 자연, 지리환경 1. 지정학적 위치 ◦ 아시아・유럽・아프리카 등 3대륙간 통로의 중심으로, 인더스 강과 티그리 스 강 사이의 이란 고원에 위치함. (북위 25°-40°, 동경 44°-63°) ◦ 전략적 거점 지역에 위치해 세력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근대 이후 열강이 각축해 왔음. - 특히, 석유, 가스 자원의 보고인 페르시아만과 카스피해에 걸쳐있는 유 일한 나라
  • 13. 이란 개황 8 ◦ 국경선 - 육지 국경선 총길이 : 5,440km ・ 동쪽은 아프가니스탄(936km), 파키스탄(909km), 서쪽은 이라크 (1,458km), 터키(499km), 북쪽은 아제르바이잔(611km), 아르메니 아(35km) 및 투르크메니스탄(992km) 등과 국경선 공유 - 해안선 총길이 : 2,440km(카스피해 해안선 740km 제외) 2. 지형 특색 ◦ 지질학상 다양한 시기의 지층이 분포하며, 넓은 국토로 다양한 기후 및 풍 토가 존재함. - 이란고원은 해저 융기로 생성 후 여러차례 지각변동 경험(전역에 바다 동물, 조개 등 화석 발견) - 우거진 삼림 퇴적층에는 석유자원이 풍부하고 구리, 석탄, 석회석 등 다량의 지하자원 매장 - 지층 불안정으로 아르데빌(Ardebil)~호라산(Khorasan)~아프가니스탄 (Afghanistan) 연결선상에서 크고 작은 지진이 빈발하고 있으며, 유명 온천도 다수 존재 ◦ 동서를 가로지르는 알보르즈(Alborz) 산맥과 남북을 가로지르는 자그로스 (Zagros) 산맥은 이란의 지형과 기후를 결정짓는 양대 산맥임. - 특히, 알보르즈 산맥 산록은 이란 최대의 삼림지대이며, 이란내 최고봉 (5,671m)인 다마반드 산(Mt. Damavand) 소재 ◦ 이란 중앙부의 광활한 카비르(Kavir) 사막과 루트(Lut) 사막은 바닷물이 증발되어 생성된 것으로 생물이 살지 못할 정도로 척박하며 대부분이 미 개척지임. ◦ 이란 서북부 우루미예(Orumieh) 호수는 최대 염분호수로서 주변에 각종 동・식물이 서식하며, 전국적으로 염분 함유의 호수가 다수 산재함. ◦ 카룬(Karun)강, 세피드(Sefid)강, 이스파한 도시 발흥의 배경이 된 자얀데 (Zayandeh)강 등 대소 하천은 식수 공급의 원천임.
  • 14. Ⅱ. 자연, 지리환경 9 ◦ 이란 북부 카스피해(424,240㎢)는 세계 최대의 내륙해로 중동지역 자원의 보고이며, 현재 연안국간 지하자원 개발과 배분 등을 위한 법적 지위에 관 한 협의가 진행중임. ◦ 이란 남부에는 세계 석유수송량의 약 1/3이 통과하는 호르무즈(Hormuz) 해협(가장 폭이 좁은 지역 : 55km) 및 페르시아만(240,000㎢)이 위치함. - 페르시아만 연안에는 다수의 섬이 산재해 있으며, 아랍에미리트(UAE) 와 영유권 분쟁중인 3개 섬(△ Abu Musa △ Great Tunb △ Lesser Tunb )과 자유무역지대인 케쉼(Qeshm)섬, 키쉬(Kish)섬 등이 유명 3. 기후와 강우량 ◦ 카스피해 연안 서북부는 지중해성 기후, 내륙고원은 대륙성 또는 사막기 후, 페르시아만 연안은 아열대성 기후 등 지형에 따라 기후의 차이가 큼. - 연평균 기온은 10℃~30℃이며, 오만해 인접 사막지역의 경우 여름 최 고 기온 55℃, 북부 산간의 경우 눈이 자주 오고, 겨울 최저 기온은 -20°C에 이름. ◦ 연평균 강우량은 약 300-350mm(10mm-2,000mm 분포)이며, 카스피해 연안은 2,000mm에 달해 이란내 최대 인구 조밀지역을 형성하고 있음. 이 란 북부 지역은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과 봄이 우기임. - 대부분 지방은 물이 부족하여 까나트(Qanat)라는 지하수로를 통해 물 을 끌어 이용함. 4. 민족 구성 ◦ 기원전 3,000-4,000년경 인도․유럽계의 일파인 아리아족(Aryan)이 중앙 아시아 부근에서 유럽대륙 및 이란고원으로 서남하하면서 원주민을 정복 하고 유목생활을 개시한 이래 다양한 인종이 이란 고원에 유입되었음. - 게르만족이라는 혈통상 유사성은 이란․독일 양국간 유대의 근원 ◦ 이란은 다민족국가이나 국가적 일체성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으며, 터키 계는 북부지역인 동서 아제르바이잔주, 쿠르드족은 이라크와의 중부 접경
  • 15. 이란 개황 10 코르데스탄(Kordestan)을 중심으로 분리 독립성향을 띄고 있음. - 아랍인들은 주로 이라크 접경 남부 쿠제스탄(Khuzestan) 지역과 페르 시아만 연안에 거주하고 있으며, 발루치인들은 파키스탄 인근동부 국경 지역에 거주하면서 언어, 복장 등 민족적 전통을 보존 ◦ 종교가 민족 문제보다 우위에 위치하고 있어 민족 요소를 경계하고 종교 를 통한 구심력을 강조함. 5. 주요 도시 ◦ 테헤란은 이란 고원 북단의 알보르즈 산맥 남쪽에 위치, 고대에는 비단길 의 중간 기착지로서 현대에는 정치, 경제, 문화 및 교통의 중심지임. 테헤 란은 11세기 도시로 건설되어, 1789년 카자르 왕조 이래 이란의 수도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 ◦ 그 밖에 대표적인 도시로는 이스파한(Isfahan), 쉬라즈(Shiraz), 타브리즈 (Tabriz), 마샤드(Mashhad)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고대-현대가 접목 된 도시임. 종교적으로는 시아파 성지 마샤드와 1979년 이슬람 혁명의 본산지인 곰(Qom)이 대표적 도시임. 6. 종교 ◦ 페르시아 고유 종교는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였으나, 7세기말 아랍 지배 이후 이슬람교가 지배 종교로 정착함. 이란 헌법 12조에는 이란의 공식 종교를 이슬람 시아파(Islam and the Twelve Ja'fari School)로 명 시하고 있음. - 이슬람교 외에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아르메니아정교 등이 공식적으로 인정된 소수 종교이며, 특히, 약 20만에 이르는 아르메니아인들은 상당 한 수준의 종교적 자치 향유 ◦ 종교가 생활의 중심으로서 종교 지도자는 금요 기도회(Friday Prayer) 등 을 통해 대내외 정책을 평가하고 여론을 선도하고 있음.
  • 17.
  • 18. Ⅲ. 약사 13 Ⅲ. 약 사 1. 고대 이란 가. 선사시대 ◦ 아시아 초원에 살던 아리안인(인도-유럽어족)이 기원전 3,000-4,000년 경에 서쪽과 남쪽을 향해 대규모로 이주하기 시작하였으며 남쪽으로 이동 한 부족 중 하나가 기원전 2,500년경 이란 고원에 정착하게 됨. - 반면, 서진한 부족은 유럽대륙에 정착하여 독일인, 슬라브인, 그리스인, 라틴족 등의 원조가 되었고, 남진을 계속한 부족은 인도 북부에 정착하여 先住民인 드라비다族과의 혼혈과정을 거쳐 현재의 인도족의 기원이 됨. ◦ 이란 고원에 정착한 아리안족은 이합집산의 과정을 거쳐 Scythian족(동북 부 정착), Medes족(중부, 서북부 정착), Persian족(남부, 서남부 정착)으 로 大分되어 갔으며 점차 先住民의 위치를 침탈하고 지배부족이 됨. 나. 메디아 왕조 (B.C. 780 ~ B.C. 550) ◦ 기원전 8세기말경 이란인의 일파인 메디아(Medes)인들이 앗시리아로부터 독립하여 남부 이란과 소아시아에 걸치는 국가를 건설함. 이는 이란인이 세운 최초의 왕조이나 중앙집권국가를 이루지는 못하고 지방세력이 혈연 관계를 통해 중앙권력과 연계된 형태의 연방체로 운영됨. ◦ 기원전 621년 메디아 왕국은 비옥한 초승달 지역(현재의 이라크)을 두고 바빌론과 대적함. 바빌론은 이란 남부 지방을 통치하고 있던 아케메네스家 의 키루스(Cyrus)와 동맹을 맺고 메디아 왕국을 정벌함. 다. 아케메니아(Achaemenid) 왕조 (B.C. 550~B.C. 330) ◦ 키루스(Cyrus)는 새로 아케메니아 왕조를 열고 주변의 군소국가를 통합하여
  • 19. 이란 개황 14 소아시아, 아르메니아 지역, 그리고 지금의 힌두쿠시 지방까지 세력을 확장 하여, 페르시아 제국의 기초를 다짐. ◦ 키루스 대제는 이란 민족을 처음으로 통합하고 당시 문명세계의 대부분을 정복하였으나, 피정복민들을 관용정책으로 대하였음. - 이로 인해, 현재 이란인들은 키루스 대제를 군사적인 성취를 이룩한 정 복군주보다는 관용과 예지를 갖춘 이상적인 통치자로서 존경하고 있음. ◦ 다리우스(Darius) 1세는 인도 북부에서 지금의 불가리아 남부까지 영토를 확장, 이란 역사상 가장 방대한 영토를 통치한 군주가 됨. - 다리우스 1세의 영토 확장에 따라 소아시아 지역(터키 서해안)에 위치 하고 있던 당시의 그리스 식민 도시들은 페르시아에 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으며 아테네가 이들을 지원하자 3차에 걸쳐 그리스를 침공(B.C. 492~480) ◦ 기원전 492년의 1차 원정은 폭풍으로 인해 실패하였고 2차 원정(기원전 490년)때에는 아테네 동북쪽 마라톤 평원까지 진격하였으나 아테네군에게 대패하였으며 바로 이 전투가 마라톤 경기의 기원이 된 마라톤 전투임. ◦ 다리우스 1세는 3차 원정을 준비하던 중 사망하였고 그의 뒤를 이은 크세 르크세스(Xerxes)가 4차례에 걸쳐 원정을 시도하였으나 살라미스 해협에 서 아테네 해군에게 궤멸됨으로써 10여년에 걸친 그리스 원정은 실패함. - 그의 사후 피정복민의 반란과 지배층 분열, 왕권 다툼의 혼란 속에 국 력이 쇠퇴하기 시작 ◦ 아케메니아 왕조는 중앙집권 체제와 튼튼한 경제사회체제를 이룩하여 명 실상부한 제국의 틀을 갖추었음. 다리우스 1세가 완성한 행정 조직은 중 앙집권과 봉건제도가 혼재된 체제로서 전국을 satrapsy(속주)라고 불리는 20개의 행정구역으로 분할하고 지방행정책임자(태수, satrap)가 상당한 재 량권을 갖고 이를 지배하는 형태였음. - 그러나 치안 및 동원을 담당하는 장군과 관리는 중앙정부와 긴밀한 직 보체계를 유지하였으며 제국 전역은 촘촘한 도로망과 국가가 운영하는 역마체제(postal system)로 연결되어 국내 아무리 오지라 하더라도 15 일 이내에 연락이 가능
  • 20. Ⅲ. 약사 15 ◦ 페르시아제국의 안정된 지배는 동서교역을 촉진시켰으며, 페르시아어가 중 동지역은 물론 유럽에까지 전파, 현대 영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 - 예컨대, bazzar, shawl, sash(허리띠), turquoise(보석 종류), orange, lemon, melon, peach, spinach, asparagus 등 일부 영단어들은 페르시 아어에 기원 ◦ 무역 외에는 농업과 주변 속국의 조공이 국가의 주요 수입원이었으며 지 금 쉬라즈(Shiraz)市 인근에 남아 있는 Persepolis 離宮에는 조공을 바치 는 23개 주변국가 사절단의 모습이 뚜렷하게 浮彫로 남아 있음. 라. 알렉산더 대왕의 침공(B.C.333~B.C.330)과 셀루키드(Seleucid) 왕조 (B.C 312~B.C 247) ◦ 아케메니아 왕조는 기원전 330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멸 망하였으며 그의 사후 부하 Seleucus 장군과 후손이 일부 이란을 지배함. 마. 파르티아(Parthia) 왕조(B.C.247~A.D. 224) ◦ 타지키스탄 지역의 반유목민인 파르티아족(이란족과 스키타이족의 혼혈) 이 Arsaces의 지도하에 강성하기 시작하여 B.C. 247년에 셀루키드 왕조 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파르티아 왕조를 성립함. 파르티아 왕조는 미트라데이트(Mithradates) 2세(기원전 123~87) 때 흥성하여 인도와 아 르메니아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을 통치하여 아케메니아 왕조의 영광을 재 현하였으며 당시 서양을 통일한 로마제국과 수차례 대적하였음. ◦ 동서양을 잇는 교역이 흥성하였으며 지배층은 조로아스터교를 숭배하였으 나 일반 대중까지 침투하지는 못하였음. ◦ 주변 국가에 비해 신분이동이 가능했던 비교적 개방사회였으며 파르티아 족의 본거지인 파르타브(Parthav) 지방의 언어인 팔레비(Pahlavi)가 행정 어로 사용되었으며 1979년 이슬람혁명으로 붕괴된 팔레비 왕조는 바로 이 이름을 딴 것임.
  • 21. 이란 개황 16 바. 사산(Sassan)조 페르시아 (224~652) ◦ 파르티아 왕조는 神官의 아들 아르다쉬르(Ardashir)에 의해 224년 정복되 었으며 그가 사산이라고 불리는 전설적인 영웅의 후계자라고 자처한 까닭 에 사산 왕조라 불리워짐. - 사산 왕조는 전국을 12개주로 분할하고, 중앙집권체제를 수립하였으며, 조로아스터교를 국교로 지정(조로아스터교 승려를 지방관으로 파견하 여 정교 일체의 강력한 집권체제 추구) ◦ 조로아스터교의 지나친 숭배로 인해 승려들은 막강한 세력을 형성하여 준 독립적인 지위를 향유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 사무까지 관장하 였으며 이는 곧 국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 골육간의 왕권 투쟁, 극도의 사치, 사회기강과 윤리의 문란 등으로 국력이 쇠진, 결국 아 랍족에게 멸망됨. ◦ 사산朝 페르시아는 왕족과 귀족, 승려, 군인, 상인, 농민으로 구성된 계급 사회로 신분 이동이 어려웠음. - 조로아스터교 승려들의 권세가 강하여 종교적인 개혁운동이 수차 일어 날 정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관용성으로 인해 기독교가 특별히 박해받지는 않았음 ◦ 대외관계는 로마와의 긴장관계가 지속, 동서양 양대 제국의 패권다툼이라 는 양상이었음. ◦ 동서양의 교역이 흥성하였으며 현재 바그다드 인근에 위치하였던 수도 크 테시스폰(Ctesisphone)은 당시 200만이 거주하였던 대도시였음. 2. 중세 이란 가. 아랍족의 지배 (651-1037) ◦ 모하메드 사후 1대 칼리프로 취임한 아부 바크르(Abu Bakr)는 비잔틴 제 국과 사산조 페르시아에 대한 정벌을 시작하여 650년 아부 바크르가 이끄는 아랍군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수도인 크테시스폰을 점령하고 651년 사산조
  • 22. Ⅲ. 약사 17 군대를 대파, 이란 전역을 장악함. - 이란을 최초로 정복한 정통 칼리프왕조(650~661)에 이어 우마위야 (Umayyad) 왕조(661~750), 압바스(Abbasid) 왕조(750~821)가 계속 하여 이란을 지배 ◦ 아랍인은 통설과는 달리 점령 지역민의 개종을 무력으로 강요하지는 않았 으며 이슬람 개종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자발적인 개종 을 유도함. - 이란인의 개종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었던 것은 이란의 조로아스터교 가 유일신, 천사와 악마의 절대 이분법 교리, 최후의 심판 등 이슬람교 와 여러가지 면에서 유사한 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 ◦ 아랍인들은 사산조 페르시아의 화폐제도, 행정제도 등 각종 국가 운영체제 를 답습하였으며 이란인은 아랍 지배왕조의 관료로 봉직하면서, 교육, 철 학, 문학, 법학, 의학 등 학문 발달에도 기여함. - 아랍어는 공식어로 채택되어 지배층에서는 광범위하게 통용되었으나 일반 민중은 계속하여 페르시아어를 사용 나. 셀주크 투르크의 지배 (1037~1220) ◦ 압바스(Abbasid) 왕조는 9세기경부터 투르크계 전사를 고용하였으나 점차 왕조의 권력이 약해지고 이들이 실제 통치를 담당함. ◦ 투르크계인 셀주크(Seljuk)족 투그릴 베그(Tughril Beg)가 지금의 아프가 니스탄 지역에서 흥성하여 이스파한(Isfahan)을 중심으로 시리아, 이라크, 인도에 이르는 제국을 건설하여 이란은 아랍족에 이어 다시 이민족의 지 배를 받게 됨. 다. 몽고족의 지배(1220~1502) ◦ 셀주크 투르크는 몽고군에게 바그다드를 점령당함으로써 1219년 궤멸되었 으며 몽고족은 이란 전역을 황폐화하고 대규모 학살을 자행함. - 몽고군의 잔혹한 침략은 이란의 발전과 국민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
  • 23. 이란 개황 18 쳤으며 특히 광범위한 학살로 인해 격감된 인구는 20세기 중반에야 몽 고침입 이전 수준을 회복할 정도 - 이란인의 특징으로 권력에 대한 공포와 순종을 거론하는 경우가 많은 데 몽고족의 침입 이후 이러한 특징이 더욱 굳어진 것으로 평가 ◦ 칭기즈 칸(Chengiz Khan) 사후 이란을 할당받은 그의 손자 훌라구 칸 (Hulagu Khan)은 일(Il)한국의 지배자가 되었음. - 꺼전 칸(Ghazan Khan) (1295~1304) 치세에 조세 감면, 농업장려, 관 개시설 재건, 교역로 안전 강화 등의 선정을 펼쳐 다시 무역이 흥성하 였고 이란은 인도, 중동, 유럽, 중국의 문화 문물의 경유지로 번창 ◦ 일 한국은 꺼전 칸의 조카였던 아부 사이드(Abu Said) 왕이 1335년 사망 한 후 사분오열의 과정을 거쳐 국세가 쇠잔하였음. ◦ 당시 이란 동북부에는 칭기즈 칸의 3남 차가타이(Choghtei)의 후손이 여 러 소국을 이루고 거주하고 있었는데 이중 티무르가 강성하기 시작, 이란 을 두차례 침공하고 북인도, 서역, 소아시아에 이르는 제국을 건설하였음. - 티무르 제국은 1405년 그의 사후 급속히 약화되었으나 1502년 이란인 이 제국을 통일할 때까지 명맥은 유지 ◦ 몽고지배 시대는 이란의 문학이 발달한 시기로, 루미(Rumi), 사아디 (Saadi), 저미(Jami), 허페즈(Hafez) 등 국민시인들이 속출하였음. - 허페즈는 아랍 강점기의 페르도시(Ferdowsi) (935~ ?)와 더불어 이란 시문학의 거성으로 추앙 3. 근대 이란 가. 사파비(Safavid) 왕조(1502~1722) ◦ 이란 서북부 지방에 은둔하던 시아파 집단이 이스마일(Ismail)의 영도하에 정복 전쟁을 개시하여 1502년에는 타브리즈(Tabriz)를 수도로 한 통일왕 조 사파비 왕조를 수립함으로써 이란은 652년 아랍족의 침입 이후 약 1,000년 만에 이민족의 지배를 벗어나 자신들의 왕조를 다시 열게 됨. - 오랜 이민족 통치는 이란인들에게 잠재적인 반외세 심리와 이방인에
  • 24. Ⅲ. 약사 19 대한 환대라는 상반된 의식구조를 유산으로 남김 ◦ 이스마일은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지정, 향후 이란의 국민의식과 문화 전반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음. - 초기 사파비 왕조는 신정체제로서 이스마일은 聖俗의 모든 권한을 행 사하였으며 성직자, 관료, 군대의 3대 권력집단이 국왕 보조 ◦ 초기 사파비 왕조는 수니파 오스만 터키제국으로부터 끊임없는 침략을 받 았으며, 1524년 수도인 타브리즈가 함락되는 등 국가발전의 장애가 됨. ◦ 사파비 왕조의 전성기는 압바스 대제(Shah Abbas) 치세(1587~1629)시 기로서 그는 일단 오스만과 강화를 맺고 서쪽 국경의 안전을 도모한 후 동쪽 국경을 위협하던 우즈벡을 격퇴시킴. - 이어 오스만과의 전쟁을 개시, 이라크, 조지아, 코카서스 일부 지방을 탈환함으로써 사파비 왕조 개국 이래 계속되어 온 외침의 위협을 해소 ◦ 압바스 대제는 사병을 혁파하고 관료제를 강화하여 중앙집권제를 공고히 하였으며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여 아랍족의 침입 이후 쇠퇴일로에 있던 페르시아 예술과 문화를 부흥시켰음. - 이스파한을 새 수도로 정하고 각종 사원과 궁전, 학교, 다리 등을 건설 하여 당시 이스파한은 ‘세상의 절반’(Nesf~e Jahan)이라 호칭 - 지금도 이스파한은 이란의 심장(Heart), 테헤란은 두뇌(Brain), 종교 중심지 곰(Qom)은 흔히 이란의 영혼(Soul)으로 비유 - 압바스 대제 치하 이란은 전국 주요 도시들을 잇는 도로망과 숙박시설 이 건설되었으며, 비단교역을 독점, 국가 재정을 비축함으로써 동서양 교역중심지로서 크게 발전 ◦ 압바스 2세(1642~1666)는 증조부 압바스 대제를 본받아 문화예술을 진 흥하고 산업발전에 노력하였으나, 군사적인 능력과 정치력은 증조부에 미 치지 못하여 계속되는 지방의 반란을 다스리지 못하는 등 제국의 기초가 와해되기 시작하였음. - 그 후에 즉위한 왕들은 대부분 궁중생활의 방탕함과 유희에 탐닉하여 국고를 낭비하고 국가 관리에 무관심하였음. 이러한 유약하고 무책임한 왕들의 국정 방임은 妻妾家의 국정 개입, 국유지의 관리 부실, 과도한 세금, 교역 쇠퇴, 군대 부실로 이어져 국가는 붕괴단계에 돌입
  • 25. 이란 개황 20 ◦ 1736년 신흥 군벌 나데르(Nader)가 실권을 장악한 뒤 왕으로 즉위하니 사파비 왕조는 220년만에 소멸하였음. ◦ 나데르 샤(Nader Shah)는 코카서스, 아르메니아, 카스피해 연안, 아프가니 스탄에 대한 지배권을 회복하고 1739년에는 인도까지 침공하였으나 감당 할 수 없는 대외 원정과 과도한 조세로 국정이 피폐하여 1747년 암살됨. - 그 후 이란은 1794년 카자르 왕조 건국 이전까지 아프셔르(Afshar) 왕조, 잔드(Zand) 왕조, 카자르(Qajars)왕조 등의 여러 왕조가 부침을 거듭하는 혼란기에 돌입 나. 카자르(Qajars) 왕조 (1794~1925) ◦ 카자르가의 어거 모하메드 칸(Agha Mohammad Khan)(1794~1797)은 잔 드가를 케르만(Kerman)에서 평정, 이란 전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1794년 카자르 왕조를 건설함. - 1796년 테헤란으로 천도하였으며, 영토를 확장하고, 러시아의 침입을 격퇴 ◦ 2대 파트 알리 샤(Fath Ali Shah) (1797~1834)는 향락과 사치에 탐닉, 국고를 탕진하였으며, 러시아와는 두 차례의 전쟁 끝에 1828년 투르크만 차이 조약을 통해 코카서스 지방을 할양하는 등 19세기 중엽부터 러시아 와 영국의 이란 진출이 본격화됨. ◦ 4대 너세르 알 딘 샤(Naser ad Din Shah) (1848~1896)는 1857년 파리 조약을 통해 헤라트(Herat)를 포함한 아프가니스탄 영토를 영국에 할양함 으로써 현재와 같은 이란의 국경선 윤곽이 나타나게 되었음. - 이후 미르저 타기 칸(Amir Mirza Taqi Khan) 재상은 부패한 관료제도 혁신과 조세제도 정비, 이슬람 성직자와 외국세력 퇴치, 대학 수립 등 과감한 개혁정책을 시도하였으나 관료들의 저항과 권력집중을 우려한 왕에 의해 암살당함으로서 이란은 중흥의 호기를 상실 - 통상 아미르 카비르(Amir Kabir)라고 불리는 이 재상은 국가경영에 대 한 비전과 능력을 갖추었던 인물로 이란 역사에서 크게 존경받는 인물 이며, 많은 이란인들이 그의 중단된 개혁을 아쉬워하고 있음
  • 26. Ⅲ. 약사 21 ◦ 카자르 왕조의 근대화 정책은 자체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영국의 압력에 의해 진행, 영국의 경제침탈이 본격화됨. - 특히, 왕실의 부패와 사치 및 서양 열강에 이권을 헐값에 매각하는 행 위가 계속되자 상인, 학생, 지식인 등을 중심으로 왕권을 법적으로 제 한하려는 제헌 움직임 분출 ◦ 1907년 러시아와 영국은 이란을 양분하여 자신의 세력권하에 두는 영러 조약을 체결하는 등 본격적인 수탈을 개시하였으나, 중앙정부는 아무런 조 치도 취할 수 없었으며, 1909년 7월 제헌파는 수도 테헤란에 입성하여 Shah를 폐위하고 헌정을 복귀시켰음. ◦ 이러한 와중에 이란은 1911년 제1차 세계대전 중 영국, 러시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당하기도 하였으며, 1917년 친러세력이 러시아 공산혁명 의 와중에 약화되자 영국은 1919년 사실상 이란을 보호령화하는 조약을 체결함. - 이에 따라, 이란인들의 반영감정은 극에 달하였으며 이를 배경으로 1921년 페르시아 코사크부대 사령관인 레자 칸(Reza Khan)이 반란을 주도, 전권을 장악 ◦ 1923년 카자르 왕조의 마지막 왕인 아흐마드 샤(Ahmad Shah)가 국외 망 명함에 따라 1925년 레자 칸은 카자르 왕조의 종식을 선언하게 됨. 4. 현대 이란 가. 팔레비 왕조 (1925~1979) ◦ 1925년 레자 샤 팔레비(Reza Shah Pahlavi) (1925~1941)로 등극한 레 자 칸(Reza Khan)은 이란의 근대화에 주력하여 과감하고 체계적인 서구 화 작업을 주도, 우선 군대를 혁신하여 상비군화 한 후 중앙집권을 회복하 였으며 통치체제와 관료제를 혁신하였음. - 그는 전국적인 초중등 교육제도를 도입하고 1935년에는 근대적인 대학 을 설립 - 근대적인 교육기관은 새로운 관리와 혁신세력의 배양처가 되었으며 경
  • 27. 이란 개황 22 제가 회복됨에 따라 새로운 중산층이 권력의 기반으로 등장하기 시작 ◦ 레자 칸의 개혁정책은 성직자들의 세속적 권한을 타파하고 국가지배체제 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음. - 즉, 아동들에 대한 코란 교육의 형태로 교육을 사실상 독점하여 왔던 성직자들이 근대적인 교육제도 도입으로 교육에서 배제되었으며 근대 적 사법체계는 성직자들의 자의적인 판결 관행을 금지 - 여성해방에도 주력하여 1936년 차도르의 착용을 금지시키고 서양복제 를 장려 ◦ 레자 샤(Reza Shah)는 기득권 수호에 집착하는 기존세력을 분쇄하고 자 신이 의도하는 개혁을 실현시키기 위해 정치적으로는 탄압노선을 선택하 였음. 그는 의회를 무력화시키고 언론을 탄압하였으며 개혁의 수단인 관료 집단도 그 세력이 커지자 감시의 대상이 되었음. - 근대화로 인해 봉건적인 특권을 박탈당한 이슬람 성직자들은 팔레비 왕가의 적대세력으로 등장 ◦ 레자 샤의 근대화 정책은 봉건적 토지소유 제도를 혁파하지 못함으로써 봉건적인 사회구성 방식 그 자체를 변화시키지 못한 채 외견상의 면모만 을 일신하는 데 그쳤으며 개혁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지주가 아닌 농민들 로부터 과도한 조세의 형태로 조달할 수 밖에 없어 개혁정책은 외견상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 지지 기반이 취약하였음. ◦ 1939년 2차대전의 발발과 함께 이란은 중립을 선언하였으나, 1941년 영 국과 소련은 레자 샤가 이란내 독일 기술자들을 추방하지 않는다는 이유 로 이란을 침공, 레자 샤를 체포함. - 레자 샤는 아들 모하마드 팔레비(Mohammad Reza Pahlavi) (1941-1979)에게 양위하고 권좌에서 물러났으며, 1944년 요하네스버 그에서 사망 ◦ 1941년 팔레비 국왕 즉위 후 이란은 연합국의 병참기지가 되었으며, 친서 방 노선 강요로 1943년 독일에 선전포고함. - 2차대전은 생필품 부족, 물가 앙등 등 경제적 어려움과 함께, 외국인 혐오증과 극단적 민족주의 배양
  • 28. Ⅲ. 약사 23 ◦ 팔레비 국왕은 종전 후 석유 국유화를 주장하는 국내 요구가 비등하자, 어 쩔 수 없이 모사데크(Mossadeq)를 총리에 임명하였으며, 모사데크 총리 는 취임과 동시에 유전 국유화를 단행함. - 이에 영국은 경제보복을 단행하였으며, 모사데크 총리에 대한 국민적 지지는 석유수입 감소, 외환부족 등 경제적 어려움과 함께 그의 독재적 성향으로 약화되기 시작 ◦ 미국은 1953년 영국과 함께 이란 군부를 사주하여 쿠데타를 일으켰으며, 모사데크 축출 후 팔레비 국왕은 노골적으로 친미 친영노선을 견지함. - 국내적으로는 주요 정당을 해산하고 언론을 통제하는 한편 비밀경찰 (SAVAK)을 통해 반대파를 탄압함으로써 강력한 권력 장악에는 성공 하였으나 국민대중과 유리되는 결과를 초래 ◦ 1963년 팔레비 국왕은 국가개혁을 기치로 6개항의 개혁조치를 국민투표 에 회부하여 소위 ‘백색혁명’을 단행함. - 주 내용은 △ 삼림과 목초지의 국유화 등 토지개혁, △ 근로자에 대한 회사 이윤 분배, △ 정부소유 공장 매각, △ 노동자, 농민에 유리한 선 거법 개정, △ 문맹퇴치 사업 종사자에 대한 병역 면제, △ 여성 투표 권 허용 등 - 특히, 백색혁명의 핵심은 토지개혁이나, 당시 이슬람 성직자 상당수가 지주인 상황을 감안시, 그의 개혁정책은 수백년 이어 내려온 성직자의 지배적 지위와 특권을 폐지하는 것이어서 성직자 계급의 강한 반발에 직면 ◦ 이슬람 성직자들은 당시 존경받는 성직자였던 호메이니의 지도 아래 백색 혁명에 대한 반대운동을 개시하였으며 호메이니는 이로 인해 가택연금되 었으나 후에 국외 망명(터키에서 이라크로 정착)하였음. ◦ 팔레비 국왕은 중동 및 걸프지역의 경찰 역할을 자임하면서 미국산 무기 구입에 막대한 비용을 소비하는 등 군비확충에 노력함. 1970년대 미국의 후원 아래 이란은 OPEC 및 중동지역의 지도적인 국가로 성장하였으나, 국민 대다수는 친미노선을 비굴한 외세 의존으로 이해하였으며 팔레비 왕 조의 비민주성, 빈부 격차, 이슬람 전통을 무시한 서구화와 함께 국민의 저항의지를 자극하게 됨.
  • 29. 이란 개황 24 나. 이슬람 혁명 시작 ◦ 1976년 후반부터 이란 경제는 눈에 띄게 악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란의 서구화 및 친미노선은 이슬람 문화와 정체성을 훼손하고 국가의 자손심이 손상되고 있다는 불안감을 자극함. - 이에 따라, 팔레비 국왕에 대한 국민적 반감은 반왕정 시위의 형태로 구체화 ◦ 1978년 1월 Shah 정부는 호메이니가 영국의 간첩이며 동성애자라는 음해 기사를 親정부지에 게재함으로써 국민을 자극하였으며, 곰(Qom)市 신학 생 데모를 유혈진압함. - 이스파한市의 바자르(Bazaar)가 항의표시로 철시하고 시위에 나서자 이를 다시 무자비하게 해산하는 등 1978년 벽두부터 반정부 시위와 유 혈진압의 악순환이 시작 - 1978년 9월에는 성난 군중들이 테헤란시 잘레(Jaleh) 광장에 운집하였 으며, 테헤란에서도 총성이 울리고 유혈극 시작 ◦ 1978년 10월 이라크는 팔레비 국왕의 압력에 따라 호메이니를 프랑스로 추방하였으나 그의 프랑스 망명은 국제적 언론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함으 로써 이란 반정부운동이 국제적 주목을 받게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됨. ◦ 팔레비 국왕은 국내외 하야 압력이 고조되자, 1978년 12월 온건계 반대파 인 민족전선(National Front) 지도자 박티아르(Bakhtiar)에게 사태 수습을 요청하였음. - 박티아르는 국왕 출국을 조건으로 수상에 취임하였으며, 팔레비는 1979.1.16. 이란을 떠남. - 1979.2.1에는 호메이니가 귀국하였으며, 박티아르 총리는 2.12. 망명함 으로써 왕정이 종식 다. 이란회교공화국 (1979~현재) ◦ 1979년의 이슬람혁명은 이란 역사상 최초로 민중 봉기로 지배자를 교체한 사례이며 이란은 이후 왕정이 아닌 이슬람공화국을 國體로 채택, 이란 역 사상 최초의 공화정이 탄생하게 됨.
  • 30. Ⅲ. 약사 25 ◦ 호메이니 귀국 후 측근들에 의해 조직된 이슬람혁명위원회가 사실상 정부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호메이니 스스로 칙령을 반포하고 정부 각 기구에 자신의 대표자를 파견하거나 새로운 국가기구를 임의로 설치하는 등 중앙 정부와는 별도로 권한을 행사하여 정식 국가기구에 의한 행정은 용이치 않았음. - 혁명재판소, 혁명위원회 등 혁명기구는 실질적 행정 외에도 舊정권 인 사 및 적대세력을 임의로 구속 처형하였으며 정규군과 별도로 이슬람 혁명수비대(IRGC : Islamic Revolution Guard Corps)를 신설하여 이들 의 행동을 무력으로 뒷받침 ◦ 1979년 12월 이슬람 공화정을 표방한 신헌법이 채택되었으며, 팔레비 일 가가 미국에 도착한 직후 1979.11.4 분노한 일단의 대학생들이 테헤란 주 재 미국 대사관을 점령하고 공관원들을 인질로 억류하는 사태가 발생함. ◦ 1980년 1월 신헌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어 바니 사드르(Bani Sadr)가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음. - 그는 혁명기구를 국가기구로 편입시켜 국가를 정상화하려고 시도하였으 나 성직자 중심의 이란 공화당(IRP) 출신 라자이(Rajai) 총리와 대립하 여 별다른 정치적 성과를 거두지 못한 가운데, 국회의 탄핵으로 실각함. - 바니 사드르는 1981년 7월 파리로 망명한 후, 국민저항이사회 (National Resistance Council)를 결성, 호메이니 축출 운동을 전개 ◦ 바니 사드르의 실각은 성직자, 자유주의 성향의 중산층, 급진주의자간의 연합으로 구성된 혁명세력 내부의 권력투쟁이 성직자의 승리로 마감되었 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후 이란 사회는 전반적으로 더욱 이슬람화되었음. ◦ 1981년 12월 호메이니는 혁명기구의 무단 가택침입, 즉결 처형, 재산 몰 수 등의 불법행동을 금지하였으며 혁명기구를 공식 정부기구화하는 작업 에 착수하는 등 혁명이 점차 초기의 불안단계를 극복하고 제도적으로 완 성되었음. ◦ 이러한 가운데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대통령은 이란-이라크 양국이 접경 하고 있는 샤트 알 아랍(Shatt al-Arab) 수로의 영유권 분쟁을 이유로 1980년 9월 주변 아랍국들의 명시적, 암묵적 지지 속에 이란과의 전쟁을 개시함.
  • 31. 이란 개황 26 - 이라크의 진정한 개전 이유는 잠재적 위협국인 이란이 취약한 틈을 타 이란을 제거하고자 한 것이나, 이란은 전쟁 초반 열세를 극복하고 반격 에 나섰으며, 1982년 말부터 전쟁은 지리한 소모전에 돌입 ◦ 이란-이라크 전은 1988년 8월 수년간에 걸친 UN 중재 끝에 종료되고 1989년 6월 호메이니도 사망한 후 이란은 비로소 정상적인 국가 운영에 나설 수 있었음. - 혁명 직후 외부와의 전쟁은 국민의 단결을 유도하여 오히려 혁명을 조 기에 공고히 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 ◦ 호메이니 최고지도자 사망 후 집권층 내 보수파와 개혁파로 통칭되는 양 대 정치세력은 대외정책, 경제운영, 사회문화 발전 방향 등 국정 운영을 두고 대립하였으며, 1997년 개혁파 하타미 대통령(1997-2005)의 취임과 더불어 양측간 대립이 심화되었음. ◦ 2005년 6월 대통령 선거에서 강경보수파 아흐마디네자드 대통령이 저소 득층 유권자들의 압도적 지지로 당선된 후, 이란 사회의 전반적인 보수화 가 촉진됨. ◦ 2009년 6월 대통령 선거에서 여론조사 결과와 달리 아흐마디네자드 대통 령이 재선된 것으로 발표되자 국내 개혁세력들은 “민주화 운동(Green Movement)”을 전개하였으나, 집권 보수세력에 의해 강제 진압되었으며, 개혁세력이 크게 약화됨. ◦ 2012년 3월 제9대 총선에서 주요 개혁세력이 불참한 가운데 집권 보수세 력이 압승을 거둠으로써 역대 가장 보수적인 국회가 출범하게 됨.
  • 33.
  • 34. Ⅳ. 정치, 행정 29 Ⅳ. 정치, 행정 1. 헌 법 가. 기본원리 ◦ 이슬람 혁명 이념 및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이슬람 지상주의 사회 구현 목표로 함. * 선지자 모하메드(Mohammed)의 교시인 코란(Quran), 순나(Sunna, 전통), 하디스 (Hadiths, 언행록)의 주요 이슬람 원리를 반영 ◦ 형식상 3권(입법, 행정, 사법) 분립 원칙을 따르고 있으나, 최고지도자가 신정주의(Velayt-e Faqih) 원칙에 따라 동 3권에 우선하여, 국정전반에 관한 통치 지배권을 행사함. - 특히, 헌법수호위원회(Guardian Council)는 이슬람 혁명 수호를 위한 핵심 통치기관 나. 89.7 개정 헌법의 주요 특징 ◦ 1989년 헌법은 혁명의 유산인 국가지도자위원회(Leadership Council)에 의한 집단지도체제가 비효율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동 위원회를 폐지하고, 각 통치기구 책임자에게 권력을 집중시키는 방향으로 개정이 이루어짐. ◦ 최고지도자를 국민에 의한 직접선거가 아닌 국가지도자운영회의(Assembly of Experts)를 통해 선출토록 함. - 국가지도자위원회(Leadership Council)를 폐지하여, 최고지도자 1인 중 심체제로 전환 - 총리제 폐지 및 부통령제 신설, 대통령 권한 강화
  • 35. 이란 개황 30 정 부 기 구 표 최고지도자 (Supreme Leader) 국가지도자운영회의 (Assembly of Experts) 국정조정위원회 (Expediency Council) 최고국가안보위원회 (Supreme National Security Council) 헌법수호위원회 (Guardian Council) 입법부 (Islamic Consultative Assembly : Majlis) 행정부 (Executive) 사법부 (Judiciary) 국회의장 (Speaker) 대통령 (President) 사법부 수장 (Head of Judiciary) 상임위원회 (Permanent Committee) 부통령 (Vice President) 각급법원 교 육 부 통 신 정 보 통 신 부 정 보 부 경 제 재 정 부 외 교 부 보 건 의 학 교 육 부 농 업 부 법 무 부 국 방 부 도 로 도 시 개 발 부 과 학 기 술 부 문 화 이 슬 람 지 도 부 조 합 노 동 복 지 부 내 무 부 석 유 부 에 너 지 부 체 육 청 소 년 부 공 광 상 업 부 (18개 부처)
  • 36. Ⅳ. 정치, 행정 31 2. 최고지도자 (Supreme Leader) ◦ 국가, 정치, 종교적 최고 권력자로서 국가지도자운영회의(Assembly of Experts)에서 선출되며, 종신직이나, 직무이행 불능 또는 지도자로서 자격 상실 및 자질 결여 등 사유 발생시 국가지도자운영회의에 의해 해임 가능함. ◦ 국가지도자운영회의와 협의하에 국가최고정책 결정권, 국가정책 집행 감독 권, 임면권, 국민투표 선포권, 군통수권, 전쟁 선포 및 동원권, 헌법수호 위원회의 일부 위원, 사법부 수장, 국영 라디오 및 TV 방송국장, 합참의 장, 이슬람혁명수비대장, 군사령관 등 임면권, 입법, 행정, 사법부간 3부 조정권, 선출된 대통령 인준권 및 해임권, 사면권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 사하고 있음. ◦ 연 혁 - 제1대 : Ayatollah Ruhollah Khomeini (79.3 ~ 89.6) - 제2대 : Ayatollah Seyyed Ali Khamenei (89.6 ~ 현재) ◦ 지도자 산하 조직 (최고지도자 대표 파견 감독) - 반왕정 항거기념재단 (Panzdah Khordad Foundation) - 순교자 재단 (Martyr Foundation) - 주택 재단 (Housing Foundation) - 문맹퇴치 운동기구 (Literacy Movement) - 문화혁명 최고평의회 (Supreme Council of Cultural Revolution) - 이슬람 선전조직 (Islamic Propaganda Organization) - 토지분배위원회 (Land Allocation Committees) 3. 대통령(President) 및 행정부 ◦ 대통령은 최고지도자와 달리 직접, 보통선거로 선출되며, 헌법상 권력 서 열은 제2위임. (임기 4년, 1회 한해 연임 가능) ◦ 국회가 2/3찬성으로 대통령 불신임시 최고지도자는 대통령을 해임할 수 있음.
  • 37. 이란 개황 32 ◦ 역대 대통령 - 제1대 : 바니 사드르 (80.1-81.6) *혁명 초기 강-온 세력 대립 과정에서 탄핵 축출 - 제2대 : 라자이 (81.7-81.8) * 테러사건으로 사망 - 제3, 4대 : 하메네이 (81.10-89.8) - 제5, 6대 : 라프산자니 (89.8-97.6) - 제7, 8대 : 하타미(97.6-05.6) - 제9, 10대 : 아흐마디네자드(05.8-현재) ◦ 대통령은 부통령(2012.4월 현재 12명), 장관(18명)으로 구성된 내각을 관장하며, 장관은 부통령과 달리 국회의 인준을 받아야 공식 임명됨. * 국회는 각료 전체 또는 개별 장관에 대해 불신임권을 보유 ◦ 내각 (18개 부처) - Education - Communication and Inforamtion Technology - Intelligence - Economy and Finance - Foreign Affairs - Health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 Agricultural Jihad - Justice - Defense and Logistics - Roads and Urban Development - Science, Research and Technology - Culture and Islamic Guidance - Cooperatives, Labor and Social Affairs - Interior - Petroleum - Energy - Sport and Youth Affairs - Industrial, Mining and Trade
  • 38. Ⅳ. 정치, 행정 33 4. 국 회 (Islamic Consultative Assembly : Majlis) ◦ 국민의 직접 보통선거로 선출되며, 의원 정수는 290명(임기 4년)으로 헌 법상 소수종교에 5석을 배정하고 있음. (아르메니아정교 2, 조로아스터교 1, 유대교 1, 앗시리아정교 1) * 헌법 64조에 따라 매 10년마다 20석 이하의 의석 증원 가능 ◦ 입법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국회의결 법안은 헌법수호위원회 승인과 대통 령 서명으로 확정됨. - 국회와 헌법수호위원회간 법안 통과에 이견이 있을 경우 국정조정위원 회 중재로 최종 결정 * 2012.3.2 총선으로 5.26 제9대 국회가 개원하였으며, 강경보수파 주도의 역대 가장 보수적인 국회로 평가 5. 정당제도 ◦ 이란 헌법은 정치/사회/종교 단체 구성의 자유를 명시하고 있으나, 1987.6 월 당시 유일 집권당이었던 ‘이슬람공화당’이 호메네이 최고지도자의 지시 로 해체된 이후, 현재까지 법적 의미의 정당은 없음. - 다만, 정당법에 의거한 느슨한 형태의 정치단체(‘정파’)만 존재하며, 동 단체들은 정강 및 조직이 미비하며, 정치클럽(Political Club)과 정당 (Political Party)의 중간 형태 또는 직능단체의 성격 보유 ◦ 현재 정치성향에 따라 약 200여개의 정치단체들이 활동중이며, 크게 보수 파와 개혁파 정치단체로 구분 가능하나, 2009년 민주화시위 이후 대부분 의 개혁파 정치단체가 해산되거나 활동이 미미한 상황임. 6. 사법부 (Judiciary) 가. 사법 제도의 이슬람화 ◦ 1979년 출범한 혁명정권은 코란, 하디스(Hadiths; 모하메드 및 시아파 이
  • 39. 이란 개황 34 맘 언행록), 순니 전통 등 이미 이슬람교가 종합적이고 완벽한 사법체계를 구현하고 있다고 보고 이러한 이슬람 율법에 기초, 사법 제도를 이슬람화 함. (특히, 형법과 가족법은 이슬람원칙을 많이 포함) 나. 사법부 구조 1) 사법부 수장(Head of Judiciary) : Sadegh Larijani * 최고지도자에 의해 임명, 임기 5년 2) 최고사법위원회 (Supreme Judicial Council) ◦ 최고재판소 소장(대법원장), 검찰청장 그리고 전국 법관들의 비밀투표 로 선출되는 3명의 법관 등 5명으로 구성 - 최고재판소 소장 및 검찰청장은 최고지도자가 임면하며 3인의 법관 은 5년 임기제 ◦ 사법정책, 법관의 임명 및 해임, 법률 개정 -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모든 법관의 임명, 보직 및 해임은 최고사법 위원회의 승인이 필요 * 행정부 조직상 법무부는 재판 등에 관여할 수 없고, 사법부의 행정, 예산 관장 및 3부간 업무 연락 담당 다. 재판절차 ◦ 이란 사법제도는 1심, 항소심, 최종심 등 3심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일반 법원 이외에 이슬람혁명재판소, 성직자재판소 등 특별재판소를 설치하고 있음. 라. 이슬람 형법 ◦ 이슬람 형법은 이슬람식 처벌법(82.10 Islamic Punishments Act)에 따라 범죄를 아래 4가지로 분류함.
  • 40. Ⅳ. 정치, 행정 35 - 호도드(Hodood, 이슬람 율법) 법 : 이슬람 율법이 금지하는 간통, 음 주, 동성애, 신성모독 등 처벌에 관한 규정 - 케사스(Qessas, 보복법) 법 : 살인 등 중범죄의 경우 범죄자에 대한 신체절단 등 보복 허용 - 디어트(Diyat) 법 : 경범죄의 경우 범죄자에 대한 벌금 처분 - 타지러트(Taazirat) 법 : 이슬람 율법에 명시되지 않은 각종 위반 행위 취급 7. 헌법수호기관 가. 국가지도자운영회의 (The Assembly of Experts) ◦ 국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된 위원 86명(임기 8년)으로 구성되며, 최고지도 자 사망 등 유고시 최고지도자 선임권과 함께 해임권을 보유함. * 현 위원들은 2006.12월 선출되었으며, 2015년 2월 임기 종료 나. 국정조정위원회 (The Expediency Council) ◦ 1988.2월 설치된 기관으로, 최고지도자 보좌, 장기국가정책 입안, 국회와 헌법수호위원회간 대립을 중재하는 역할을 담당함. - 최고지도자 유고시 차기 지도자 선임 전까지 일시적으로 동 위원회 결 정에 따라 대통령, 사법부 수장, 헌법수호위원장 등으로 구성된 집단위 원회에서 최고지도자직 임무 수행 ◦ 현 위원장은 Rafsanjani 전 대통령이며, 구성원은 당연직인 3부 수뇌(대통 령, 국회의장, 사법부 수장), 헌법수호위원회의 성직자 위원(6명), 담당 각 료, 최고지도자가 임명하는 위원 등 28인으로 구성됨. * 현 위원들은 2012.3월 최고지도자에 의해 임명되어, 2017.4월 임기 종료(임기 5년) 다. 헌법수호위원회 (The Guardian Council) ◦ 최고지도자에 의해 임명되는 성직자 6명과 사법부 수장 추천인사 중 국회
  • 41. 이란 개황 36 에서 선출하는 민간법률가 6명 등 총 12명으로 구성됨. - 임기는 6년이며, 매 3년마다 위원의 절반을 교체 ◦ 국회 통과 입법안에 대해 최종 승인권을 행사(상원 역할)하며, 헌법 최고 해석권 행사(헌법재판소 역할), 국회의원 입후보자 자격심사 등 선거 업무 (선거관리위원회 역할)를 담당함. 8. 최고국가안보위원회(Supreme Council for National Security) ◦ 정부내 핵심인사들이 모여, 국가 이익, 이슬람혁명, 영토 보전, 주권 등 핵 심사안을 논의하는 최고위 집단안보협의체로서 회의는 대통령이 주재함. - 참석자는 3부 요인, 최고지도자 지명 대표 2명, 외교장관, 내무장관, 정 보장관, 해당의제 소관 장관 1명, 정규군 및 혁명수비대 사령관, 기획/ 예산담당 관료 등으로 구성 9. 지방제도 ◦ 내무부 산하 31개 주(Ostan)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는 시(Bakhsh), 군 (Shahrestan), 면(Dhestan)으로 편제되어 있음. 지방 행정구역 주 명 주도(州都) 주 명 주도(州都) Alborz Karaj South Khorasan Birjand Ardebil Ardebil Khuzestan Ahwaz Bushehr Bushehr Kohkiluyeh-Boyrahmad Yasuj Chaharmahal va Bakhtiari Shahr-e-Kord Kordestan Sanandaj East Azarbaijan Tabriz Lorestan Khorramabad Fars Shiraz Markazi Arak Golestan Gorgan Mazandaran Sari Gilan Rasht Qazvin Qazvin Hamedan Hamedan Qom Qom Hormozgan Bandar Abbas Semnan Semnan
  • 42. Ⅳ. 정치, 행정 37 주 명 주도(州都) 주 명 주도(州都) Ilam Ilam Sistan & Baluchestan Zahedan Isfahan Isfahan Tehran Tehran Kerman Kerman West Azarbaijan Orumieh Kermanshah Kermanshah Yazd Yazd Razavi Khorasan Mashhad Zanjan Zanjan North Khorasan Bojnourd 10. 정치 동향 가. 정국 기본 구도 (1) 기본이념 및 통치구조 ◦ 이란은 1979년 이슬람혁명 이후 이슬람 원리에 입각한 이슬람 지상주 의 사회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슬람 신정주의(theology)와 민 주주의(democracy)를 결합한 이원적 통치체제를 운용하고 있음. - 일반 행정은 민주적 절차에 따라 선출된 대통령, 국회 등에서 담당 하고 있으나, 종교지도자인 최고지도자에게 국정 운영의 절대권력을 부여 ◦ 이란 정치체제는 형식상 3권 분립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국가지도자 운영회의, 국정조정위원회, 헌법수호위원회, 혁명수비대, 혁명재판소, 정보기관 등 이슬람체제를 수호하는 권력기관들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 사하고 있음. (2) 보수파와 개혁파간 대립 및 협조 구도 ◦ 이란 정치권내 양대 정치세력인 보수파와 개혁파는 이슬람 체제 유지 라는 공동목표를 가지고 있으나, 개혁의 속도와 범위, 최고지도자의 권 한과 책임 등에 있어 이견을 보이고 있음. - 이러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1979년 혁명 이후 지난 30년간 긴장 속의 공생관계 유지
  • 43. 이란 개황 38 ◦ 이러한 정치적 공생관계는 지난 2009년 6월 대선 부정시비로 촉발된 민주화 운동 이후 집권 보수파의 개혁파에 대한 탄압으로 무너지고 있음. - 최근 개혁파의 정치권내 영향력은 크게 약화된 상황이며, 개혁파에 상대적으로 동조적인 온건보수파 세력도 쇠퇴 * 2012.5월 현재 2009년 대선 후보였던 무사비, 카루비 등 주요 개혁파 인사들 이 가택 연금중이며, 개혁파 정파 및 언론 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상황 나. 최근 정치 동향 (1) 정치권의 강경보수화 경향 심화 ◦ 2005년말 개혁파 하타미 대통령의 퇴임 이후 이란내 모든 정치 기구들 이 보수파에 의해 차례로 장악되고 있으며, 개혁파에 의한 2009.6월 대규모 민주화운동(Green Movement)이 실패로 끝난 이후 정치권의 강경보수화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있음. ◦ 대부분의 개혁파 인사들은 2012.3월 제9대 총선에 불참하였으며, 제9대 국회(2012-2016)에서 강경보수파 세력은 70% 이상의 의석을 차지함. (2) 보수파내 갈등 상존 ◦ 이란 지도부는 2009년 민주화 시위로 인한 내부불안을 수습하였으나, 보수 집권층 내부갈등은 오히려 심화되고 있음. - 현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원리주의 세력과 아흐마 디네자드 대통령 측근세력간 갈등 상존 ◦ 이러한 갈등은 2012.3월 이란 역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국회 청문 소환이라는 사건으로 비화되기도 하였으나, 최근 국제사회의 대이 란 제재가 강화되고 있어 집권보수파 세력의 내부 단결(national unity) 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임. *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를 중심으로 국회, 혁명수비대(IRGC), 보수성직자 중심의 원리 주의자들은 대통령 측근세력을 일탈세력(deviationists)으로, 라프산자니 등 온건보 수파를 부패집단(corrupt group)으로, 개혁파를 반체제그룹(seditionists)으로 비난
  • 45.
  • 46. Ⅴ. 외교 41 V. 외 교 1. 외교 정책 기조 가. 평화적 목적의 핵기술 권리 확보 추구 ◦ 이란은 2002년 이후 국제사회로부터 핵무기 개발 의혹을 받고 있으며, UN 안보리 결의 등 국제제재 및 서방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NPT 회원국 으로서 평화적 목적의 핵개발 권리를 확보해 나간다는 기조를 유지해 오 고 있음. 나. 중동 지역 및 이슬람 세계의 지도자적 역할 추구 ◦ 아흐마디네자드 행정부는 “이란-이라크-시리아-레바논 헤즈볼라-팔레스 타인 하마스”로 이어지는 반이스라엘/시아파 축을 통해 이스라엘, 사우디 등 역내 라이벌 국가들과 대립하고, 역내 패권 및 위상 제고를 추구하고 있음. 다. 이라크와의 협력 강화 ◦ 2003년 사담 후세인 정권(수니파) 붕괴 이후 이라크내 시아파 정부 수립 을 계기로 이란-이라크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란은 이라크의 안보 가 자국의 안보와 직결되어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음. * 이라크 시아파 지도자 대다수는 과거 사담 후세인 시절 이란에서 망명한 경험이 있으며, 상당수 이란 시아파 지도자들도 팔레비 왕정 시절 이라크 망명 경험 라.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건설 지지 및 반이스라엘 정책 견지 ◦ 이란은 국제무대에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등 대중동 정책을 비난하면 서 팔레스타인 저항 운동세력을 적극 지원하고 있음.
  • 47. 이란 개황 42 2. 주요 외교사안별 입장 가. 국제 테러 ◦ 이란은 대외적으로 어떠한 형태의 테러행위에 반대한다는 기본 입장이며, 국제 반테러 노력에도 동참하고 있음. - 이란은 9.11 테러사건의 주범인 아프간 탈레반 정부 전복을 위해 미국 과도 협력 ◦ 국제사회는 이란의 레바논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하마스 등 지원을 테러 지원행위로 비난하고 있으나, 이란은 이들의 대이스라엘 저항운동은 테러 행위가 아닌 자유를 위한 투쟁이라고 주장하고 있음. - 이란은 국제적으로 테러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며, 서방의 테러에 대한 이중적 기준을 비판 나. 대량살상무기(WMD) ◦ 이란은 서남부 페르시아만 연안의 Bushehr에 러시아의 협력으로 2011년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완공하였으며, 여타 농축활동 등 핵프로그램이 NPT 등 국제규범에 따라 평화적인 목적하에 추진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음. - 이란은 자국의 핵활동이 NPT에 따른 불가양의 권리이며, 평화적 목적 으로 자국 핵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미국, 이스라엘 등 서방권의 핵무기 개발 의혹을 전면 부인 ◦ 이란은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보유가 이슬람 율법에 반한다는 기본 입 장하에 IAEA, NPT, CTBT 등 핵 비확산 관련 국제조약 뿐만 아니라, 여 타 BWC, CWC 등 화생방 무기 금지조약에도 가입함. - 한편, 이란은 이스라엘의 핵무기 보유가 역내 안보에 위협이 되고 있다 면서, 중동지역의 비핵화 지지 다. 마약 ◦ 이란은 아프가니스탄에서 생산되어, 유럽으로 판매되는 마약의 주요 통로
  • 48. Ⅴ. 외교 43 로서, 이란 정부는 마약 퇴치 분야에서 UN 등 국제사회와 적극적으로 협 력중임. * 이란은 전세계 아편(opium) 압류의 89%, 헤로인 및 몰핀 압류의 41%를 담당하고 있으 며, 1979년 이후 마약과의 전쟁으로 군경 3,600여명이 사망하고, 11,000여명이 부상 ◦ 특히, 이란은 아프간산 마약의 불법유통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아프가니스탄 정세/경제 안정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갖고 있음. 라. 난민 ◦ 이란은 1980년대 소련의 아프간 침공, 이란-이라크 전쟁 및 2000년대초 아프간 전쟁 등으로 주변국 난민들이 대거 유입하는 등 난민 문제에 있어 서도 국제사회와 협력하고 있음. ◦ 아프간 난민의 경우, 이란은 아프간, UNHCR과의 협력하에 2002.4월부터 886,000여명을 본국에 송환하였으나, 2012.5월 현재 여전히 약 100만명 이상의 아프간 난민이 이란에 체류중임. * 이라크전(1980-88)으로 인한 이라크 난민 약 20만명은 이라크전 종전 이후 본국에 귀 환하였으며, 2012.5월 현재 4만여명 체류중 마. 아프가니스탄 문제 ◦ 이란은 아프가니스탄과 지리적으로 인접(936Km의 국경 공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으로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 * 아프간의 공식 언어인 다리어와 파슈툰어는 파르시(이란어)의 일종이며, 19세기 중반 까지 아프간은 이란의 영토 내지 세력권하에 있었던 지역 ◦ 이란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아프간 탈레반 정부 전복 및 Karzai 과도정 부 출범에 기여하였으며, 아프간 복구사업 등 안정화 작업을 적극 지원하 고 있음. - 이란은 아프간 문제의 역내 해결과 함께 아프간 주둔 외국군의 조속한 철수를 주장 * 2010년 양국간 교역액은 약 15억불이며, 이란은 아프간내 제4위의 투자국
  • 49. 이란 개황 44 바. 중동평화협상 ◦ 이란은 중동평화협상이 미국의 주도로 이스라엘에 유리한 방향으로 추진 되고 있으며, 팔레스타인에 대해 일방적인 양보를 강요하고 있다고 비난함. - 다만, 이란은 팔레스타인-이스라엘간 양자협상과 이행과정을 방해하지 는 않겠다는 입장 ◦ 이란은 이스라엘 점령지의 무조건 철수 및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을 지지하며, 하마스에 대한 군사적 지원을 통해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영 향력을 행사하고 있음. 사. 카스피해 법적 지위 ◦ 카스피해는 이란, 러시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 연안 5개국이 접경하고 있는 국제수역으로, 이들간 별도 합의에 의해 새 로운 법적 지위가 수립되기 전까지는 이란과 구 소련간 조약(1921, 1940)이 유효함. * 카스피해 연안에 매장된 석유자원의 가치는 12조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 ◦ 이란은 카스피해 연안국간 자원의 공동 개발을 선호하나 타국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 해상, 해저를 5개국간 20%씩 균등 배분하자는 입장을 갖고 있음. - 아울러, 이란은 카스피해를 접경국간 평화지대로 만들자는 구상도 추진중 3. 주요 대외 관계 가. 대미관계 ◦ 팔레비 왕정 시절 이란은 미국의 역내 최대 동맹국이었으나, 1979년 이슬 람 혁명으로 반미 이슬람 정권이 출범함에 따라 양국관계가 급속히 악화 되었음. - 1979.11월 테헤란 주재 미국대사관 점거사건 이후 양국은 외교관계를 단절하였으며, 미국은 자산 동결 등 제재 부과
  • 50. Ⅴ. 외교 45 * 1980년 이후 미국은 대이란 양자관계를 주이란 스위스대사관을 통해, 이란은 대미 국 양자관계를 주미국 파키스탄대사관을 통해 처리 ◦ 미국 클린턴 대통령은 95.4월 미국기업의 대이란 금수조치에 관한 행정명 령에 이어, 96.8월 이란의 석유‧가스 개발사업에 대한 제3국 투자기업에 대한 제재를 내용으로 하는 경제제재법(ILSA : Iran Lybia Sanction Act) 을 채택하였음. ◦ 양국관계는 2000.2월 이란 제6대 총선에서 개혁파 진영이 승리한 것을 계 기로 미국이 이란산 카페트, 캐비어, 견과류(피스타치오)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를 해제하고, 3월 Albright 국무장관이 과거 이란의 내정에 개입했던 점에 유감을 표명하는 등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는 등 일시 개선 조짐을 보였음. - 이란측은 대이란 경제제재 해제, 미국내 동결자산 해제 등의 실질적인 조치가 있기 전에는 양자관계 개선을 논의할 수 없다는 입장 - 반면, 미국은 이란 정부의 테러단체 지원 중단, 중동평화협상 방해 중 지, WMD 개발시도 중단 등을 관계 개선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주장 ◦ 양국은 일부 국제이슈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상호 협력을 해 왔는 바, 하타미 대통령은 2001.9.11 테러사건을 즉각 비난하고, 아프간 탈레반 정 권 축출 과정에서 양국간 협조가 이루어짐. - 2003.3월 미국의 이라크 공격시 이란은 중립정책을 견지하였으나, Saddam Hussein 축출에 대해서는 환영입장 표명 ◦ 양국관계는 2002.1월 미국 Bush 대통령이 연두교서에서 이란을 북한, 이 라크와 함께 ‘악의 축’(대테러 지원, WMD 개발, 비선출 소수 집단의 억압 정책 등을 거론)의 하나라고 적시하고, 2002.3월 미 핵정책보고서에서 이 란을 7대 핵공격 대상국 중의 하나라고 명시함으로써 급속히 냉각됨. ◦ 또한, 2002년 말 이란 반정부 단체에 의해 이란의 비밀 핵프로그램이 폭 로됨으로써 양자관계는 보다 악화되었으며,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가 날 로 강화되는 추세임. - 2011.12월 미국은 제3국 금융기관의 이란중앙은행 거래 중단 등을 포 함한 이란산 원유거래 및 금융부문에 대한 고강도 제재 실시
  • 51. 이란 개황 46 나. 대 EU 관계 ◦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2000년대 중반까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EU는 WMD 비확산, 테러리즘, 인권 등 정치적 사안에 대해 서는 미국과 공조해 왔으나, 경제문제는 독자노선을 추구하였음. - 이들 국가는 200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대이란 경제제재에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이란도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고, 자본과 기술 도입을 위해 대 EU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 ◦ 2000년대 초반 하타미 대통령은 1979년 이슬람혁명 후 이란 대통령으로 서는 처음으로 EU 주요국(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을 방문하는 등 정치 분야에서 이란과 EU간 관계가 상당부분 개선됨. ◦ 이란과 EU는 2002.12월부터 이란-EU간 통상협력협정(TCA) 체결을 위 한 협상을 시작하였으나, 2003년 이후 이란 핵문제 부상 및 인권 문제 등 이 양측간 협력 확대의 장애로 작용하였음. ◦ 특히, 2005.8월 아흐마디네자드 정부 출범 이후 이란이 핵문제에 대해 비 타협적 자세를 고수함에 따라, EU와의 관계가 지속 악화되고 있음. - 2012년초 EU는 이란산 원유 전면금수 조치 및 금융제재 등 미국과 연 계한 고강도 제재 발표·시행 다. 대 러시아 관계 ◦ 이란과 러시아 양국은 전통적으로 대립관계에 있었으나, 1979년 이슬람혁 명 후 이란-미국관계가 악화된 것과 달리 이란-러시아 관계는 상대적으 로 계속 증진되어 옴. ◦ 특히, 2001.3월 하타미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을 계기로 양국간 협력이 더 욱 증대되었으며, 양국은 기본협력협정 서명과 함께 경제, 군사 및 원자력 분야를 포함한 양국간 구체 협력 사업을 가시화 시켜 왔음. * 이란은 러시아의 지원으로 2011년 페르시아만 연안 Bushehr에 1,000MW 규모 원자력 발전소 완공
  • 52. Ⅴ. 외교 47 ◦ 현재 양국관계는 중동지역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바라는 러시아와 이란 핵 문제 관련 국제 고립에서 탈피하려는 이란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라. 대 아시아 관계 1) 중 국 ◦ 이란은 미국에 대한 반균형세력으로서의 중국을 중시하고 있으며, 중국 은 자국 상품의 판매처 및 원유․가스의 공급국으로서 이란을 중시하고 있음. - 특히, 최근 서방의 이란산 원유금수 조치에 맞서 이란으로서는 자국 원유 수출지로서 중국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으며, 중국은 대이란 제재에 따라 서방 기업들이 이란에서 철수하고 있는 상황을 틈타 비제재 분야에서 이란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 ◦ 한편, 양국간 고위인사 교류는 2000.2월 중국 당가선 외교부장의 이란 방문 및 2000.6월 하타미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확대되어 왔음. - 최근에는 이란 핵문제로 고위인사 방문 대신 양측간 동 문제 협의 차 외교부 차관(보)급 인사교류가 활발히 진행중 2) 일 본 ◦ 양국관계는 통상․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다방면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2000.10월 하타미 대통령의 일본 방문 이후 크게 진전되었음. - 2012.4월 현재 양국간 6개 공식 협의체가 운영중이며, 대이란 제재 국면하에서도 상대적으로 여타 서방국가에 비해 정부인사간 교류가 활발히 진행중 ◦ 일본은 최근 이란 핵문제 악화로 이란과의 경제관계를 축소시키고 있 는 상황이며, 일본은 2003년 서명한 이란 Azadegan 석유개발사업에서 철수하고, 이란산 원유 도입을 대폭 감축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는 상황임.
  • 53. 이란 개황 48 3) 인 도 ◦ 2001.4월 Vajpayee 인도 총리의 이란 방문 그리고 2003.1 하타미 대 통령의 인도 방문을 계기로 양국은 실질협력 관계를 추구하고 있음. ◦ 최근 인도는 인구증가 및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안정적인 에너 지 도입원이 필요한 바, 미국과 EU의 제재 동참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 란산 원유 도입을 지속한다는 입장을 표명함. 4) 파키스탄 ◦ 양국은 아프간 탈레반 반군에 대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으나, 양국관계 에 중대한 장애로 작용하고 있지는 않으며, 접경국(909km 국경 공유) 으로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상호 노력중임. ◦ 특히, 양국은 에너지 분야 협력 관련 이란산 원유의 파키스탄 수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건설사업 관련 협의를 지속중임. 마. 주변 아랍국과의 관계 1) 사우디아라비아 ◦ 양국은 기본적으로 역내 패권국 지위를 두고 경쟁관계에 있으나, 99.5 하타미 대통령의 사우디 방문을 계기로 관계가 일시 개선되었으며, 양 국간 우호관계는 역내안정 유지, OPEC내 공조 등을 위해 필요한 측면 이 있음. ◦ 이러한 양국관계는 2003년 이후 이란 핵문제의 부상과 함께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팔레스타인 등에서 이란(시아파)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악화되고 있음. - 특히, 2011.10월 이란 혁명수비대(IRGC)의 주미사우디대사 암살 기도사건은 양국관계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동 사 건에 대한 재판이 미국에서 진행중
  • 54. Ⅴ. 외교 49 2) 여타 GCC (Gulf Cooperation Council) 국가 * 이란에서는 이들을 PGCC(Persian Gulf Cooperation Council)로 호칭 ◦ 페르시아만을 마주보고 있는 양측은 역사, 문화, 경제적으로 긴밀한 관 계를 맺고 있으나, GCC는 기본적으로 시아파 국가인 이란의 세력 확장 에 대항한 수니 왕정국가간 연합체라는 속성이 있음. * UAE의 경우 2011년도 이란의 최대 교역국으로 각국의 대이란 우회교역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 동참요청에 따라 교역이 감소하 는 추세 ◦ GCC 국가들은 이란의 역내 영향력 제고를 자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어 경제 분야에서는 이란을 자극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협 력을 지속하는 한편 페르시아만에서 이란의 영향력 통제를 위해 상호 협력하고 있음. 3) 시리아 ◦ 시리아는 이란의 역내 최대 동맹국이자, 반 이스라엘 전선의 최전선이 라는 전략적 중요성을 갖고 있는 바, 양국은 경제분야보다는 정치, 군 사 분야에서 보다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음. ◦ 중동 민주화(Arab Spring)의 여파로 2011.3월 시리아내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였으며, 2012.8월 현재 시리아 알 아사드 정권의 생존이 위협받 고 있는 상황인 바, 이란은 시리아에 대한 군사, 경제적 지원을 확대하 고 있음. 4) 터 키 ◦ 양국은 전통적인 경쟁협력관계 기조하에 역내 영향력 확대를 두고 상 호 경쟁하나, 경제/에너지 협력 및 쿠르드 반군 대응 등에 있어서는 협 력하고 있음. ◦ 이란은 엄격한 이슬람 체제 및 반이스라엘 정책을 견지하고 있어 세속 주의 및 이스라엘에 대한 유화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터키에 대해 비 난과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음.
  • 55. 이란 개황 50 - 최근 시리아 문제에 있어 터키측이 반 시리아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은 양국관계 발전의 중대한 장애로 작용 ◦ 터키는 이란 핵문제 관련 중재자(broker)임을 자임하고 있으며, 2010.5월 이란 핵연료 교환 합의(‘테헤란 선언’) 도출, 2011.1월 이스 탄불 회의, 2012.3월 이스탄불 회의, 2012.7월 이스탄불 부대표 회의 를 주선함. 5) 이집트 ◦ 1979년 팔레비 왕정 붕괴와 1980년 이집트의 이스라엘 정부 승인 이 후 양국은 국교를 단절한 상태이나, 양국은 전통적인 역내 강국으로서 외교관계 복구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갖고 있음. - 2011.3월 친 이스라엘 무바락 정권 몰락 이후 양국간 복교 논의 진 행중 * 양국간 복교논의의 장애 중 하나는 1981년 이집트 사다트 대통령 암살범의 이름 을 딴 테헤란 거리(Khaled Eslamboli)이며, 하타미 정부는 동 거리 명칭 변경을 약속하였으나, 보수파의 반대로 이행 지연 바. 국제기구 가입 현황 ◦ UN, IMF, IBRD, UNCTAD, ESCAP, OPEC, WHO, FAO, ILO, G-77, UNESCO, ICAO, OIC, CCC, G-15, D-8 등(WTO에는 가입 신청하였으 나, 아직 미가입). 사. 이란내 외국공관 및 국제기구 사무소 현황 ◦ 2012.5월 현재 대사관(이익대표부 포함) 96개, (총)영사관 19개 등 총 115개 외국공관 소재 * 미국의 이익대표부 역할은 스위스대사관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이란 민병대의 대사관 난입사건 여파로 2011.12월 영국대사관 철수 ◦ 기타, ECO, UN, UNHCR, WHO 등 9개 국제기구 사무소 소재
  • 57.
  • 58. Ⅵ. 국방 53 Ⅵ. 국 방 1. 일반 가. 군 통수권 : 최고지도자가 행사 (최고지도자가 군 총사령관) 나. 병역 제도 : 의무병제, 복무기간 2년 다. 군사지휘 계통 최고지도자 (군 최고통수권자) 대통령 국가안보위원회 합동참모본부 국방장관 내무장관 방위산업청 경찰 혁명수비대 정규군 육 군 해 군 공 군 특 수 군 민 병 대 육 군 해 군 공 군
  • 59. 이란 개황 54 라. 최고국가안보위원회 ◦ 대통령 산하 국가 최고안보정책 기구 ◦ 주요 구성 - 위원장 : 대통령 - 위 원 : 국방부장관, 합참의장, 혁명수비대 총사령관, 국회국가안보외교정책위원장, 최고지도자 대표(2명) 등 마. 특 징 ◦ 국방 조직은 최고지도자 직속으로 정규군, 혁명군의 이원조직이며 대통령 및 국방장관은 군지휘 계통상에 있지 않으며, 국방장관은 군수물자 조달을 책임지고 있음. ◦ 정규군은 팔레비 왕정시의 조직을 답습하고 있으며, 혁명수비대는 1979년 혁명 직후 의용병 형식으로 창설되었음. - 정규군은 이란의 국토방위 및 국내안정을 담당하고 있는 반면 혁명수 비대는 이란의 이슬람 체제를 수호하는 차이(혁명수비대는 이란-이라 크전 당시 유조선 공격, 비밀 침투 및 게릴라 작전 등을 통해 큰 전과 를 달성) * 혁명수비대 특수군(Quds Force)은 이란 이슬람 혁명 전파, 반이스라엘 작전 수행 등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로 국내가 아닌 외국에서 활동하는 부대 바. 군사력 ◦ 정규군 55만 (육군 47만, 해군 2만8천, 공군 5만2천) ◦ 혁명군 12만 (육군 15만, 해군 3만, 공군 2만) ◦ 민병대 약 300만 (전투능력 보유 기준) ◦ 경찰 약 30만
  • 60. Ⅵ. 국방 55 2. 국방개혁 및 전력 증강 가. 러시아, 중국과의 군사협력 강화 ◦ 1979년 이슬람 혁명후 미국과의 군사협력이 중단되면서 다량의 미국산 장 비의 노후화와 부품 교체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이란은 러시아, 중국 등 과의 군사협력을 도모함. * 2001.3월 하타미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 계기 양국간 수십억불 규모의 군사협력 사업 추진에 합의 ◦ 이란 핵문제 악화로 2006년 이후 대이란 재래식무기 수출 금지를 포함한 UN 안보리 결의가 채택됨으로써 외국과의 방산 협력이 극히 제한되고 있 는 실정임. * 2007년말 러시아는 S-300 지대공미사일 5기를 이란에 8억불에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 하였으나, 2010년 최종 불인도 결정 나. 국내 방위산업 육성 ◦ 이란은 국제 고립에 맞서 혁명수비대 주도로 국내 방위산업을 적극 육성 하고 있음. ◦ 특히, 이란은 자국의 군사독트린에 따라 미사일(Shahab-3, Kowsar 등), 무인항공기(UAV), 소형잠수정 등 비대칭전력 위주의 무기 개발 및 국산 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다. 대내외 군사활동 ◦ 이란은 대이스라엘 투쟁을 위해 팔레스타인 하마스와 레바논 헤즈볼라 등 에 대한 인적, 물적 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이들은 정기적으로 합동 군 사훈련을 실시하는 등 단합을 강조하고 있음. ◦ 2011년말 이후 이란 핵시설에 대한 공격 가능성이 점증함에 따라, 이란은 호르무즈 해협, 페르시아만 및 인근 지역에서의 군사훈련을 확대 실시하 고, 군사력을 재편하고 있음.
  • 61.
  • 63.
  • 64. Ⅶ. 경제・통상 및 산업 59 Ⅶ. 경제․통상 및 산업 1. 개 관 ◦ 이란은 △ 풍부한 천연자원, △ 중동 지역내 2위의 인구(7,500만명), △ 넓은 국토 및 전략적 입지조건, △ 인적자본의 질(인구의 2/3 이상이 고등 교육 수학), △ 역사와 전통 등으로 경제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됨. * 이란은 전세계 석유 매장량의 10.3%(3위), 천연가스 매장량의 18%(2위)를 점유하고 있으며(2010년 BP의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통계), 일일 353만 배럴 의 석유를 생산(OPEC내 2위) - 아울러, 중동 최대의 내수시장이며, 인근국 포함 4억 시장을 포괄하는 역내 교역 허브로서, 비옥한 영토 등 농업발전에도 양호한 조건 보유 ◦ 특히, 이란은 지리적으로 7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아시아·유럽·중 동 등 세 대륙을 연결하는 허브이자, 중앙아·서남아 등지로 진출할 수 있 는 전략적 입지조건을 보유하고 있음. - 이란은 역내국가 가운데 제조업·서비스업·농업 등 산업이 골고루 발전 되어 있는 중동 최고의 산업국가로서 역내 공업화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로 평가 - 한편, 이란은 유럽으로 에너지(터키 경유 천연가스)를 공급하고, 중국, 인도, 파키스탄 등 아시아 개도국들의 에너지 증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핵심 에너지 협력국가로 중요성 보유 ◦ 이란은 1990년대부터 석유 의존 경제구조 탈피 및 산업화를 위해 「경제· 사회개발 5개년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으며, 2005년부터「제20년 미 래계획(20 Year Outlook Plan: 2005-2025)을 수립 추진중에 있음. - 이란은「제20년 미래계획」에 따라 △ 역내 제일의 과학·경제·기술 선 진국 달성, △ 석유·가스 분야에서 역내 최고 기술 보유, △ 세계 3위 의 가스 공급, △ 사회정의·안전망 구축, △ 국토의 균등 발전 실현 등 을 목표 - 특히, 이란 최대 유전으로 카타르와 공유하고 있는 남부 파르스(South
  • 65. 이란 개황 60 Pars) 가스전 개발 사업을 포함하여 2025년까지 가스 상·하류부문에 각각 500억 및 200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 ◦ 이란은 1990년대 말 이후 적극적인 경제 개혁·개방정책으로 1979년 이슬 람 혁명과 이란-이라크전쟁(1980-1988)으로 인한 경제 침체를 다소 회 복하였으며, 2004-2007년 동안 평균 6%대의 양호한 경제성장을 달성함. - 하지만, 이란은 △ 2008년 세계 금융위기, △ 유가하락, △ 대이란 제 재강화로 인해 2010-2011년 동안 1%대 미만의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성장세가 급격히 둔화 ◦ 2005년 수립된 강경보수 성향의 현 Ahmadinejad 정부는 최근 사회정의 실현과 부의 재분배 정책 기조 하에 보조금 철폐 및 다양한 경제개혁을 추진중에 있음. - 현 정부는 보조금 개혁으로 인한 물가상승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보조 금 개혁법과 달리 전 국민을 대상으로 300억불 이상의 현금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 고인플레, △ 정부재정 악화, △ 산업분야 위축을 야 기했다는 비판에 직면 - 현재 보조금 개혁정책으로 현 정권의 전통적 지지기반인 저소득층은 큰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반면, 테헤란 등 대도시 중산층은 물가상승 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으며, 저소득층으로의 계층하락 현상 발생 ◦ 이러한 경제 개혁정책은 그간 이란의 방만한 에너지 소비 행태 시정 및 재정 건전화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로 평가되나, 2010년 이후 대폭 강화된 대이란 제재 등 대외 환경을 간과한 채 성급하게 추진됨으로써 인플레이 션 등 정책의 부정적 영향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상황임. 2. 최근 경제 정세 가. 개요 ◦ 2005년 이후 Ahmadinejad 정권의 적극적인 양적 경기부양 정책 (2005-2007년간 30-40%의 유동성이 증가/연평균 1,236억불 증가)으로 2007년까지 5%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였으나, 2008년 세계 경기침체 및
  • 66. Ⅶ. 경제・통상 및 산업 61 유가하락, 대이란 제재 강화 등에 따라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추세임. - 특히, 2008년 유가하락(상반기 110달러 → 하반기 40달러 수준)에 따 른 석유수입 감소 및 정부지출 감소에 따른 민간소비 및 투자 억제로 비석유 분야도 저조한 성장세 시현 * 2005년도 경제성장률 4.7%, 2006년도 5.8%, 2007년도 7.8% ◦ 이란중앙은행은 2010년도 이란의 경제성장률을 5.8%로 공식 발표하였으 나, 세계은행, IMF는 1% 내외로 추산하는 등 경기 침체를 보이고 있으며, 2010.12월 보조금 개혁 이후에는 고인플레(30%대) 발생으로 스태그플레 이션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됨. - 최근 산업계 위축으로 실업률은 공식적으로 12.3%(실질 실업률은 20% 이상, 청년 실업률은 40% 이상 추정)에 달하는 등 고용환경도 지속 악화중 ◦ 2010년 중반 이후 강화된 국제사회의 대이란 제재로 인해 정부의 외환보 유고가 고갈되고 외환시장 개입능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시장의 불안심리 에 따라 환율시장도 불안정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 2012.1월 리알화는 미 달러 대비 17,500-19,000선을 보여, 전년 동기 대비 40-50% 정도 평가절하되었으며, 2012.2월 외환당국은 시장환율 로의 환전금지 조치 단행(4월 현재 공식환율과 시장환율을 이원화한 환율제도를 공식 인정) - 환율시장의 불안정 요인으로는 △ 원유/금융제재로 원유 수출대금 확보 어려움, △ 안전자산으로서 달러화 수요 급증, △ 이란 핵시설에 대한 무력 공격설 등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 현 정부는 서민 소득 증대, 소득 분배 구조 개선, 석유의존형 수입구조 탈 피, 물가 억제, 부정부패 척결, 국영기업 민영화 등을 골자로 한 경제 정 책을 추진해 왔으나, 인기영합식 정책, 관료주의, 국가에 의한 경제 통제 등 구조적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 이란은 고인플레, 고실업 등 경제현안 해결과, 산업분야의 민영화, 낙 후된 기업환경 개선이 필요하며, 석유·가스 개발과 주요 산업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국제사회와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
  • 67. 이란 개황 62 < 주요 경제 지표 > 연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성장률(%) 5.8 7.8 2.3 3.0 5.8 0 ~ 1.0 1인당 GDP($) 3,476 4,318 5,139 5,331 5,593 5,218 물가상승률(%) 11.9 18.4 25.4 10.8 12.4 21.5 실업률(%) 11.3 10.5 10.4 11.9 13.5 12.3 원유생산(mb/d) 4.052 4.057 3.945 3.557 3.540 3.523 원유수출(mb/d) 2.48 2.52 2.30 2.02 2.24 2.10 예산안상 원유가 40.0 33.7 40.0 37.5 65.0 81.5 평균 이란산 원유가 59.6 78.0 80.4 74.7 97.7 106.8 원유수출(10억불) 64.67 84.51 86.62 69.83 86.05 95.0 비석유부문수출(10억불) 11.53 13.16 14.67 17.71 22.56 NA 외채(10억불) NA 21.07 13.96 13.46 12.57 13.52 ※ 출처 : 이란 중앙은행(2010.3월 회계년 통계限), Iran's Economy(Eqtesad-e Iran, 현지 주요 경제 매거진), EIU, WB, IMF 나. 부문별 현황 1) 경제 성장 및 물가 ◦ 이란은 2007년까지 유가상승에 힘입어 평균 5%대의 고성장을 기록하였 으나, 2008년 유가하락, 국제금융 위기, 국제제재와 대선정국으로 인한 불안정, 보조금 개혁 등으로 2011년도에는 0-1%대의 저성장을 기록함. - 1인당 GDP는 2011년도 기준 $5,218으로 집계(구매력 기준 $12,263) ◦ 2011년 소비자 물가는 21.58%로 공식 발표되었으나, 2010.12월 보조 금 개혁 이후 정부의 인위적 가격 통제정책을 감안할 때, 실질 물가상 승률은 30-40%를 상회할 것으로 추정됨. - 2012년 제2차 정부 보조금 개혁정책이 시행될 경우, 추가 인플레 압력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 2) 실업률 ◦ 2011년 현재 공식 실업률은 15% 수준이나 실질 실업률은 20%를 상
  • 68. Ⅶ. 경제・통상 및 산업 63 회하는 것으로 추정됨. - 특히, 고학력, 젊은층의 실업문제가 심각하여 대졸자의 40%이상이 실업상태인 것으로 추정되며, 청년 실업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 ◦ 이란은 연간 75만-125만개의 신규 고용 창출에 나서고 있으나, 실제 일자리는 연간 45만개에 불과함에 따라, 실업자 적체현상은 날로 심화 되고 있는 추세임. - 이란 인구의 60% 이상이 30세 이하로 향후 실업문제는 더욱 악화 될 것으로 전망 ◦ 직장인들도 봉급만으로는 생활유지가 어려워 대부분 부업 또는 초과근 무를 통해 가계 소득을 보전하고 있는 실정임. - 현재 공무원 70% 이상이 부업 등에 종사하고 있으며 취업자 중 300만명이 부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3) 수출입 및 외채 ◦ 2011년 수출은 유가상승으로 전년대비 20% 증가한 1,020억불을 기록 하였으며, 수입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한 669억불을 기록함. - 무역수지 흑자폭은 전년대비 97% 증가한 354억불이나, 석유 수출 의존형 경제 구조(전체 수출의 80% 상당) 지속 ◦ 2011년 이란의 주요 수입국은 UAE(33%), 중국(12%), 한국(8%), 독 일(6%), 터키(5%)이며, 주요 수출국은 중국, 이라크, UAE, 인도 등임. - 현재 이란은 중국, 인도, 이라크, 파키스탄, 브라질, 터키, 말레이시아, 베네수엘라 등과 경제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제재국면을 타개하고자 노력중 ◦ 2012.1월 현재 총 대외부채는 148억불(EIU)로 경제 규모에 비해 낮은 편임. 다. 경제 개혁 정책 ◦ 이란은 석유 의존형 경제구조 탈피, 공공부문 축소, 보조금 지급 철폐 등